KR20150073552A - 레이저를 이용한 위조지폐 검출 장치와 검출방법 - Google Patents

레이저를 이용한 위조지폐 검출 장치와 검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3552A
KR20150073552A KR1020130161380A KR20130161380A KR20150073552A KR 20150073552 A KR20150073552 A KR 20150073552A KR 1020130161380 A KR1020130161380 A KR 1020130161380A KR 20130161380 A KR20130161380 A KR 20130161380A KR 20150073552 A KR20150073552 A KR 201500735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visible light
bill
las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1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수
Original Assignee
박성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수 filed Critical 박성수
Priority to KR1020130161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73552A/ko
Publication of KR201500735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35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06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using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7D7/12Visible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radi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07/00Paper-money testing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spection Of Paper Currency And Valuable Secur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이저를 이용한 위조지폐 검출 장치와 검출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위조지폐 검출장치는, 지폐 투입을 감지하는 투입센서와, 상기 투입센서에서 지폐 투입을 감지하면, IR(Infrared Ray)광을 지폐 상에 발광하는 레이저 발광부와, 상기 레이저 발광부가 발광하는 IR광을 통해 발생하는 광학적 천이 현상으로 발생하는 가시광을 센싱하는 수광부와, 상기 수광부를 통해 센싱되는 가시광의 크기에 대응하는 전압 또는 전류를 측정하여 상기 지폐의 위조 여부를 판별하는 측정부와, 상기 각각의 센서와 구성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레이저를 이용한 위조지폐 검출 장치와 검출방법{Device and Method for Detection Fake Note Using of Laser}
본 발명은 레이저를 이용하여 위조지폐를 검출하는 장치와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지폐의 위조를 검출하는 방법은 위조지폐를 검출하기 위한 잉크의 반응위치의 형태 또는 위치 등을 측정하는 방식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자외선의 투과 흡수도 또는 반사도를 측정하는 방식은 특정 형태를 가지며, 지폐의 지질을 측정하거나 자외선 반응 잉크에 대한 투과 또는 반사도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방식을 가진다.
그러나, 최근 위조지폐의 정교성은 날로 정교해 지고 지폐의 지질과 자외선 또는 잉크 반응 영역에 대한 위치정보까지 위조하기에 이르러 신뢰성에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 및 과제에 대한 인식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 아니므로 이러한 인식을 기반으로 선행기술들과 대비한 본 발명의 진보성을 판단하여서는 아니됨을 밝혀둔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특정잉크에 대한 검출장치로서, 레이저 광원을 이용한 천이 현상을 이용하여 보다 정확하게 위조지폐를 검출할 수 있는 장치와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위조지폐 검출장치는, 지폐 투입을 감지하는 투입센서와, 상기 투입센서에서 지폐 투입을 감지하면, IR(Infrared Ray)광을 지폐 상에 발광하는 레이저 발광부와, 상기 레이저 발광부가 발광하는 IR광을 통해 발생하는 광학적 천이 현상으로 발생하는 가시광을 센싱하는 수광부와, 상기 수광부를 통해 센싱되는 가시광의 크기에 대응하는 전압 또는 전류를 측정하여 상기 지폐의 위조 여부를 판별하는 측정부와, 상기 각각의 센서와 구성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레이저 발광부는, 950~1000(nm) 파장대의 IR광을 발광하는 레이저 다이오드와, 상기 IR광을 확산하는 볼록렌즈를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레이저 발광부는, 레이저 다이오드 구동에 따라 발생하는 발열을 방열하기 위한 방열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수광부는, 400~680(nm) 파장대의 가시 광을 필터링하는 가시광 필터와, 상기 가시광
Figure pat00009
를 통해 유입되는 가시광을 수광하는 수광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발광부와 수광부는, 지폐에 투과된 광을 수광 할 수 있는 투과형 구조, 또는 지폐의 반사된 광을 수광할 수 있는 반사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위조지폐 검출장치를 이용한 위조지폐 검출방법은, 투입센서에서 지폐 투입을 감지하는 단계와, IR(Infrared Ray)광을 지폐 상에 발광하는 단계와, 상기 IR광을 통해 발생하는 광학적 천이 현상으로 발생하는 가시광을 센싱하는 단계와, 상기 센싱되는 가시광의 크기에 대응하는 전압 또는 전류를 측정하여 상기 지폐의 위조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IR(Infrared Ray)광을 지폐 상에 발광하는 단계는, 레이저 다이오드에서 780~1100(nm) 파장대의 IR광을 발광하는 단계와, 볼록렌즈를 통해 상기 IR광을 확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IR광을 통해 발생하는 광학적 천이 현상으로 발생하는 가시광을 센싱하는 단계는, 가시광 필터에서 400~680(nm) 파장대의 가시광을 필터링하는 단계와, 상기 가시광
Figure pat00010
를 통해 유입되는 가시광을 수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 자외선 방식의 위조지폐 검출방식에 따른 신뢰성 문제를 극복하는 동시에 보다 정교한 위조지폐 검출이 가능한 효과를 지니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레이저 광원을 이용한 천이 현상을 이용함에 따라, 위조지폐감지 요소잉크의 시각적인 확인이 가능한 효과를 지니고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한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위조지폐 검출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위조지폐 검출장치의 세부 구성 사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레이저 발광부와 수광부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른 레이저 발광부와 수광부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을 보여주는 일실시예도 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 방법에 따른 위조지폐 검출 프로세스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위조지폐 검출장치(10)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은 위조지폐 검출장치(10)가 지폐 투입을 센싱하면, IR(Infrared Ray)광을 지폐 상에 발광하고, 상기 IR광을 통해 발생하는 광학적 천이 현상으로 발생하는 가시광을 센싱한 후, 상기 센싱되는 가시광의 크기에 대응하는 전압 또는 전류를 측정하여 상기 지폐의 위조 여부를 판별하는 구성을 도시한 것이며,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위조지폐 검출장치(10)의 세부 구성 사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도면 1 내지 3은 본 발명에 따른 주요 구성요소만 도시하였으며, 본 도면 상에 구체적인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상기 위조지폐 검출장치(10)의 구성은 추가 또는 삭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위조지폐 검출장치(10)의 주요 기능구성은, 도시된 바와 같이, 픽업롤러(a)와, 분리롤러(b)와, 투입센서(d)와, 레이저 발광부(e)와, 수광부(f)와, 측정부(m)와, 상기 각각의 구성부를 제어하는 제어부(n)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위조지폐 검출장치(10)의 종류와 특성에 따라 상기 각 구성부는 추가 또는 제외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방법에 따른 픽업롤러(a)와 분리롤러(b)는 투입된 지폐를 낱장으로 분리하여 투입센서(d)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투입센서(d)는 낱장으로 분리되어 이동하는 지폐의 투입여부를 감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지폐 투입이 감지되면, 이를 제어부(n)로 전달하여 제어부(n)에서 레이저 발광부(e)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투입센서(d)는 두 개 이상 복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방법에 따른 레이저 발광부(e)는, 레이저 다이오드(i)를 이용하여 IR(950∼1000[nm] 파장대)광을 발광하고, 볼록렌즈(g)를 사용 하여 광을 확산해 발광되는 광의 폭을 늘려 광을 조사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레이저 발광부(e)는 레이저 다이오드(i)의 특성인 구동시 발생하는 발열의 방열 목적으로 구리 또는 알루미늄으로 방열을 할 수 있도록 방열구조 (j)의 형태로 구조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방법에 따른 수광부(f)는, 가시 광(400~680nm)을 필터링하는 가시광 필터(k)와 필터링된 가시광을 수광하는 수광센서(l)로 이루어지며, 상기 레이저 발광부(e)에서 발광한 IR광이 위조 방지 잉크(anti-stoke)의 영역에서 광학적 천의 현상을 일으켜 생성되는 가시 광을 상기 가시광 필터(k)를 통해 필터링 후 상기 수광센서(l)에서 센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지폐가 레이저 발광부(e)와 수광부(f) 구조 사이에서 지나갈 때 지폐의 재질 또는 일반잉크에서는 아무 반응을 하지 않아 IR광(예를들면, 950nm)만 발생하고 위조 방지 잉크(anti-stoke)의 영역에서는 광학적 천의 현상(가시 광이 발생하는 현상)이 발생하여 수광 센서에 광학적 신호 또는 빛이 전달되고 그 광량 만큼이 전류 또는 전압으로 표현이 되며, 상기 표현되는 전압 또는 전류를 측정하여 위조 방지 잉크의 유무를 판단하고 그 값을 이용하여 지폐의 위조여부를 판단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방법에 따르면, 상기 레이저 발광부(e)와 수광부(f)는 지폐에 투과된 광을 수광 할 수 있는 투과형 구조(도면 4) 또는 지폐의 반사된 광을 수광 할 수 있는 반사형 구조(도면 5)와 같은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레이저 발광부(e) 및 수광부(f)는 각각 두 개 이상 복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방법에 따른 측정부(m)는, 상기 수광부(f)에서 센싱된 전압 또는 전류의 크기를 측정하여 위조 방지 잉크의 유무를 판단하고 그 값을 이용하여 지폐의 위조여부를 판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측정부(m)에서 전압 또는 전류의 크기를 측정하여 지폐의 위조여부를 판단하는 사례를 보여주는 일실시예도 이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폐가 진행방향에 따라 투입센서(d)와 레이저 발광부(e) 및 수광부(f)로 투입이 된다면, 레이저 발광부(e) 및 수광부(f)에서의 파형은 도면 7에서와 같이 위치에 따라 A)형과 B)형의 레벨을 측정하게 된다.
A)형과 B)형은 수광 센서의 출력값 측정을 그래프로 도시한 사례로서, A)형은 수광 센서 위치에 위조 방지요소가 없는 위치에서의 수광 센서의 출력 값을 순차적으로 저장한 값이고 B)형은 수광 센서 위치에 위조 방지요소가 있는 위치에서의 수광 센서의 출력 값을 순차적으로 저장한 값이다.
B)형의 그래프에서 설정 값 보다 크게 나오는 센서의 출력량이 100이상 획득되는 횟수를 측정하고, 그 결과값이 기 정해진 횟수(예를들면, 3회)보다 크면 정상지폐로 판단하고, 그 결과값이 기 정해진 횟수보다 적을 경우를 위조지폐로 판단할 수 있다.
물론, 수광부(f)가 하나인 경우, 하나의 결과 값이 100이상 획득되면 정상지폐로 판단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위조지폐 검출장치(10)를 이용한 사고정보 처리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우선, 위조지폐 검출장치(10)는 픽업롤러(a)와 분리롤러(b)는 투입된 지폐를 낱장으로 분리하여 투입센서(d)로 전달한다(S810).
이후, 상기 위조지폐 검출장치(10)는 투입 센서에서 지폐가 센싱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820).
상기 (S820)과정에서, 지폐가 센싱되지 않으면(S830), 위조지폐 검출장치(10)는 (S810)과정을 반복한다.
만약, 상기 (S820)과정에서, 지폐가 센싱되면(S840), 위조지폐 검출장치(10)는 제어부(n)를 통해 레이저 발광부(e)의 레이저 다이오드(i)를 동작시켜 IR광이 발광되도록 제어한다(S850).
여기서, 상기 위조지폐 검출장치(10)는 레이저 다이오드(i)를 이용하여 IR(950∼1000[nm] 파장대)광을 발광하고, 볼록렌즈(g)를 사용 하여 광을 확산해 발광되는 광의 폭을 늘릴 수 있다.
이후, 위조지폐 검출장치(10)는 수광부(f)를 통해 상기 레이저 발광부(e)에서 발광한 IR광이 위조 방지 잉크(anti-stoke)의 영역에서 광학적 천의 현상을 일으켜 생성되는 가시 광을 상기 가시광 필터(k)를 통해 필터링 후 수광센서(l)를 통해 수광되는 광학적 신호 또는 빛에 대응하는 전류 또는 전압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저장한다(S860).
이후, 위조지폐 검출장치(10)는 측정부(m)를 통해 특정 레벨에 도달하는 데이터를 합산하고, 누적된 횟수를 카운팅한다(S870).
여기서, 상기 위조지폐 검출장치(10) 상에 수광부(f)가 하나만 구비되어 있는 경우, 누적된 횟수의 카운팅 없이 특정 레벨(예를들면, 100)에 도달한 횟수가 하나인 경우에도 정상 지폐로 판단할 수 있다.
(S870)과정을 통해 특정 레벨에 도달한 횟수가 3회를 초과하면(S880), 정상지폐로 판단하고(S890), (S870)과정을 통해 특정 레벨에 도달한 횟수가 3회 보다 적으면(S895), 위조지폐로 판단한다(S899).
상기 (S870)과정 내지 (S899)과정에서 횟수 3회는 일실시예에 따라 정해진 횟수일 뿐이며, 상기 횟수는 당업자의 구현방식에 따라 1회, 2회, 또는 3회 이상의 횟수로 정해질 수 있다.
10 : 위조지폐 검출장치 a : 픽업롤러
b : 분리롤러 d : 투입센서
e : 레이저 발광부 f : 수광부
g : 볼록렌즈 i : 레이저 다이오드
k : 가시광 필터 l : 수광센서
m : 측정부 n : 제어부

Claims (8)

  1. 위조지폐 검출장치에 있어서,
    지폐 투입을 감지하는 투입센서;
    상기 투입센서에서 지폐 투입을 감지하면, IR(Infrared Ray)광을 지폐 상에 발광하는 레이저 발광부;
    상기 레이저 발광부가 발광하는 IR광을 통해 발생하는 광학적 천이 현상으로 발생하는 가시광을 센싱하는 수광부;
    상기 수광부를 통해 센싱되는 가시광의 크기에 대응하는 전압 또는 전류를 측정하여 상기 지폐의 위조 여부를 판별하는 측정부; 및
    상기 각각의 센서와 구성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위조지폐 검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발광부는,
    950~1000(nm) 파장대의 IR광을 발광하는 레이저 다이오드;
    상기 IR광을 확산하는 볼록렌즈;를 포함하는 위조지폐 검출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발광부는,
    레이저 다이오드 구동에 따라 발생하는 발열을 방열하기 위한 방열구조로 이루어지는 위조지폐 검출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광부는,
    400~680(nm) 파장대의 가시 광을 필터링하는 가시광 필터;
    상기 가시광
    Figure pat00011
    를 통해 유입되는 가시광을 수광하는 수광 센서;를 포함하는 위조지폐 검출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와 수광부는,
    지폐에 투과된 광을 수광 할 수 있는 투과형 구조, 또는
    지폐의 반사된 광을 수광 할 수 있는 반사형 구조로 이루어지는 위조지폐 검출장치.
  6. 위조지폐 검출장치를 이용한 위조지폐 검출방법에 있어서,
    투입센서에서 지폐 투입을 감지하는 단계;
    IR(Infrared Ray)광을 지폐 상에 발광하는 단계;
    상기 IR광을 통해 발생하는 광학적 천이 현상으로 발생하는 가시광을 센싱하는 단계;
    상기 센싱되는 가시광의 크기에 대응하는 전압 또는 전류를 측정하여 상기 지폐의 위조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조지폐 검출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IR(Infrared Ray)광을 지폐 상에 발광하는 단계는,
    레이저 다이오드에서 950~1000(nm) 파장대의 IR광을 발광하는 단계; 및
    볼록렌즈를 통해 상기 IR광을 확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조지폐 검출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IR광을 통해 발생하는 광학적 천이 현상으로 발생하는 가시광을 센싱하는 단계는,
    가시광 필터에서 400~680(nm) 파장대의 가시 광을 필터링하는 단계; 및
    상기 가시광 필터를 통해 유입되는 가시광을 수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조지폐 검출방법.
KR1020130161380A 2013-12-23 2013-12-23 레이저를 이용한 위조지폐 검출 장치와 검출방법 KR201500735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1380A KR20150073552A (ko) 2013-12-23 2013-12-23 레이저를 이용한 위조지폐 검출 장치와 검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1380A KR20150073552A (ko) 2013-12-23 2013-12-23 레이저를 이용한 위조지폐 검출 장치와 검출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3552A true KR20150073552A (ko) 2015-07-01

Family

ID=53787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1380A KR20150073552A (ko) 2013-12-23 2013-12-23 레이저를 이용한 위조지폐 검출 장치와 검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7355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2758B1 (ko) 지폐 감별기
JP4703403B2 (ja) 検査装置
US20080173832A1 (en) Valuable paper validator
JP6247747B2 (ja) 紙葉類真偽判別装置及び紙葉類真偽判別方法
US8263948B2 (en) Authentication apparatus for moving value documents
US20160238529A1 (en) Fluorescence and phosphorescence detection device, fluorescence and phosphorescence detection method, and paper-sheet processing device
JP4596690B2 (ja) 紙葉類蛍光検出センサ
KR101573656B1 (ko) 지폐 처리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위폐 검출 방법
WO2008111734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recognizing bill type and discriminating counterfeit bill for one contact image sensor
EP3509041B1 (en) Paper sheet sensing device
US6441891B1 (en) System for detecting a foreign object attached to a bill passing through a bill validator
KR20150073552A (ko) 레이저를 이용한 위조지폐 검출 장치와 검출방법
JP2003272022A (ja) 近赤外光を用いた紙葉類のテープ検出装置
EP1953709A1 (en) Valuable paper validator
CN108496207B (zh) 有价票券识别装置、有价票券处理机、图像传感器单元及光学可变元件区域的检测方法
KR101539604B1 (ko) 현금 자동 입출금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위폐 검출 방법
JPH0944633A (ja) 紙葉類鑑別装置
JP2003162748A (ja) 紙葉類蛍光検出センサ
CN110379065B (zh) 纸币、票券鉴别光学器件、装置、设备和方法
RU185984U1 (ru) Портатив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луавтоматической проверки наличия на банкнотах защитных антистоксовых меток (спецэлемент и)
JP4596594B2 (ja) 紙葉類の蛍光スレッド検出装置
KR20160113878A (ko) 권종인식 및 위조지폐 검출장치
RU158936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автоматической проверки наличия на банкнотах защитных антистоксовых меток (спецэлемент и)
GB255131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nsing taggants
JPH10208102A (ja) 紙幣の真贋判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