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1407A - 차체 외부 주차 컨트롤러 - Google Patents

차체 외부 주차 컨트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1407A
KR20150071407A KR1020130158413A KR20130158413A KR20150071407A KR 20150071407 A KR20150071407 A KR 20150071407A KR 1020130158413 A KR1020130158413 A KR 1020130158413A KR 20130158413 A KR20130158413 A KR 20130158413A KR 20150071407 A KR20150071407 A KR 201500714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rque
torque sensor
vehicle
vehicle body
parking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8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성기
송여울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301584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71407A/ko
Publication of KR201500714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14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0Interpretation of driver requests or dem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W30/18009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4Monitoring the functioning of the control system
    • B60W50/045Monitoring control system parameters
    • B60W2050/046Monitoring control system parameters involving external transmission of data to or from the vehicle, e.g. via telemetry, satellite,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1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510/06Combustion engines, Gas turbines
    • B60W2510/0657Engine torqu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ntrol Of Driving Devices And Active Controlling Of Vehicle (AREA)

Abstract

차체 외부 주차 컨트롤러가 개시되며, 상기 차체 외부 주차 컨트롤러는 좌우 방향을 축으로 하는 제1 토크를 감지하는 제1 토크센서; 전후 방향을 축으로 하는 제2 토크를 감지하는 제2 토크센서; 및 상기 제1 토크센서에 상기 제1 토크에 대응하는 제1 작용력을 전달하거나, 상기 제2 토크센서에 상기 제2 토크에 대응하는 제2 작용력을 전달하는 컨트롤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차량은 상기 제1 토크와 상기 제2 토크에 대응하는 방향 및 속도로 제어되는 것인 차체 외부 주차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체 외부 주차 컨트롤러{OUTSIDE PARKING CONTROLLER}
본원은 소형 전기자동차와 같은 차량에 적용될 수 있는 차체 외부 주차 컨트롤러에 관한 것이다.
최근 차량의 수요 증가로 인하여, 주차 문제가 사회의 이슈로 등장하고 있다. 종래의 자동차 주차 방식의 경우, 운전자가 차체 주변의 정보를 거울과 후방 카메라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인식하고, 차체를 조금씩 움직이는 반복적인 과정을 통해 주차를 수행한다. 이러한 종래의 자동차 주차 방식과 관련하여, 한국특허공개공보 제2010-0138564호에는 “후방카메라 일체형 주차보조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거울이나 후방 카메라를 이용한다고 하더라도, 좁은 공간에 차량을 주차시킬 때에는 운전에 서툰 초보 운전자, 여성 운전자, 고령의 운전자 등 운전자가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다. 즉, 거울을 통한 반사 영상,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 등 간접적인 정보만으로 좁은 공간에 주차를 하기 위해서는 여러번 전진과 후진을 반복해야 하는 경우가 많으며, 운전자 이외의 사람이 차량이 제대로 주차할 수 있도록 안내를 해주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기도 하였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직접 차체 주위 상황을 살피면서 차량 주차를 쉽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차체 외부 주차 컨트롤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제1 측면에 따른 차체 외부 주차 컨트롤러는 차량의 차체 외부에 돌출되도록 장착되는 차체 외부 주차 컨트롤러로서, 좌우 방향을 축으로 하는 제1 토크를 감지하는 제1 토크센서; 전후 방향을 축으로 하는 제2 토크를 감지하는 제2 토크센서; 및 상기 제1 토크센서에 상기 제1 토크에 대응하는 제1 작용력을 전달하거나, 상기 제2 토크센서에 상기 제2 토크에 대응하는 제2 작용력을 전달하는 컨트롤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차량은 상기 제1 토크와 상기 제2 토크에 대응하는 방향 및 속도로 제어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컨트롤 부재에 의하여 작용되는 토크를 2개의 토크센서를 통해 2축에 대하여 감지함으로써, 2축에 대한 토크의 콤비네이션에 대응하는 방향 및 속도로 차량의 이동이 제어될 수 있어, 사용자는 주차 시 주변의 환경을 직접적, 즉각적으로 인지하여 차량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최적의 방향 및 속도에 따라 차량을 이동시킬 수 있어, 주차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줄일 수 있으며, 직접적인 인지에 따른 제어가 가능하므로 보다 정확한 차량 이동 제어가 가능해져 주변 차량이나 장애물과의 접촉사고 발생 감소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체 외부 주차 컨트롤러의 입체도이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체 외부 주차 컨트롤러를 위에서 투영하여 바라본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체 외부 주차 컨트롤러를 좌측에서 투영하여 바라본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체 외부 주차 컨트롤러가 차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참고로, 본원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 중 방향이나 위치와 관련된 용어(전방, 후방, 상향, 상측, 하향, 하측, 좌측, 우측 등)는 도면에 나타나 있는 각 구성의 배치 상태를 기준으로 설정한 것이다. 예를 들어, 도 2를 보았을 때 전반적으로 9시 방향이 전방, 3시 방향이 후방, 12시 방향이 우측 방향, 6시 방향이 좌측 방향 등이 될 수 있으며, 도 3을 보았을 때 전반적으로 12시 방향이 우측 방향, 6시 방향이 좌측 방향, 9시 방향이 전방, 3시 방향이 후방 등이 될 수 있고, 도 4를 보았을 때 전반적으로 12시 방향이 상향, 6시 방향이 하향, 9시 방향이 전방, 3시 방향이 후방 등이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체 외부 주차 컨트롤러(이하 '본 차체 외부 주차 컨트롤러'라 함)에 대해 설명한다.
본원은 차체 외부 주차 컨트롤러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체 외부 주차 컨트롤러의 입체도이고,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체 외부 주차 컨트롤러를 위에서 투영하여 바라본 개략적인 평면도이며,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체 외부 주차 컨트롤러를 좌측에서 투영하여 바라본 개략적인 측면도이고,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체 외부 주차 컨트롤러가 차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본 차체 외부 주차 컨트롤러(1)는 차량의 차체 외부에 적어도 일부가 돌출되도록 장착되는 차체 외부 주차 컨트롤러이다.
여기서, 차량은 이를 테면 2인이 탑승 가능한 소형 전기자동차일 수 있다. 다만, 본원에서의 차량은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반적인 다양한 차량들에 본 차체 외부 주차 컨트롤러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본 차체 외부 주차 컨트롤러(1)는 차량의 차체 외부에 일부(제2 부재(12)의 일부 및 컨트롤 부재(13))가 돌출되도록 장착될 수 있다. 다만, 본 차체 외부 주차 컨트롤러(1)의 장착 방식은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부재(11)의 단부가 차체 외부에 부착 고정되는 방식으로 장착되는 등, 필요에 따라 다양한 장착 방식이 채용될 수 있다.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본 차체 외부 주차 컨트롤러(1)는 제1 부재(11), 제2 부재(12), 및 컨트롤 부재(13)를 포함한다.
제1 토크센서(111)는 좌우 방향(도 2 기준 12시 및 6시 방향)을 축으로 하는 제1 토크를 감지한다. 본원에 적용되는 토크센서로는 토크를 측정하는 일반적인 토크센서가 활용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구성이라 할 것인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제2 토크센서(121)는 전후 방향을 축으로 하는 제2 토크를 감지한다.
또한, 컨트롤 부재(13)는 제1 토크센서(111)에 제1 토크에 대응하는 제1 작용력을 전달하거나, 제2 토크센서(121)에 제2 토크에 대응하는 제2 작용력을 전달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컨트롤 부재(13)를 좌우 방향을 축으로 하여 앞으로 밀거나 뒤로 당겨 회동시키면 제1 토크센서(111)로 제1 작용력이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컨트롤 부재(13)를 전우 방향을 축으로 하여 좌측 또는 우측으로 돌려 회동시키면 제2 토크센서(111)로 제2 작용력이 전달될 수 있다.
제1 토크센서(111)와 제2 토크센서(121)는 이렇게 전달된 작용력으로 인해 토크센서에 걸리는 토크를 각각 감지하는 것이다. 차량은 제1 토크센서(111)와 제2 토크센서(121)가 각각 감지한 제1 토크와 제2 토크에 대응하는 방향 및 속도로 제어된다.
여기서, 제1 토크와 제2 토크에 대응하는 방향 및 속도로 제어된다는 것은, 좌우 방향을 축으로 하는 제1 토크의 크기 및 전후 방향을 축으로 하는 제2 토크의 크기를 조합(combination)한 벡터의 방향 및 속도에 맞추어 제어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전기차의 경우에 한해 예시적으로 설명하면, 차체 외부에서 사용자가 전기차를 이동시키고 싶은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가해진 힘을 각 토크센서가 각 방향에 대하여 제1 토크 및 제2 토크로 나누어 감지하여, 이를 통해 전후좌우 방향 및 그 크기를 인지하고, 이에 따라 전기차 바퀴의 각속도를 조절하여 해당 방향으로 전기차를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차량의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다.
본원에 의하면, 컨트롤 부재(13)에 의하여 작용되는 토크를 제1 토크센서(111) 및 제2 토크센서(121)를 통해 2축에 대하여 감지함으로써, 2축에 대한 토크의 콤비네이션에 대응하는 방향 및 속도로 차량의 이동이 제어될 수 있어, 사용자는 주차 시 주변의 환경을 직접적, 즉각적으로 인지하여 차량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최적의 방향 및 속도에 따라 차량을 이동시킬 수 있어, 주차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줄일 수 있으며, 직접적인 인지에 따른 제어가 가능하므로 보다 정확한 차량 이동 제어가 가능해져 주변 차량이나 장애물과의 접촉사고 발생 감소를 기대할 수 있다.
특히, 소형 전기자동차는 좁은 영역에서 주차가 가능한 이점이 있으며, 이에 따라, 본 차체 외부 주차 컨트롤러(1)는 차량 중 소형 전기자동차에 적용되는 경우 보다 효과적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차체 외부 주차 컨트롤러(1)와 관련한 구성들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부재(11)는 차체의 고정부로부터 좌측 또는 우측 방향 (도 2 기준 12시 및 6시 방향)으로 연장된다.
예시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부재(11)는 좌측 방향(도 2 기준 6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제1 부재(11)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고정부는 제1 부재(11)의 단부와의 볼트 체결 등을 통해 제1 부재(11)를 고정하는 부분이다. 예시적으로, 고정부는 차체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면, 제1 부재(11)는 차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고정부와 연결되고, 제2 부재(12)는 이러한 제1 부재(11)로부터 차체 외측으로 연장되어,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그 일부가 차체 외부로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후술하겠지만, 제2 부재(12)의 후단에 컨트롤 부재(13)가 연결될 수 있다.
또는 고정부의 다른 구현예로서, 고정부는 차체 외부에 구비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제1 부재(11)의 단부(도 2 기준 12시 방향 단부)가 차체 외부에 구비된 고정부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제1 부재(11)는 제1 토크센서(111)를 포함한다. 즉, 제1 토크센서(111)는, 컨트롤 부재(13)에 의해 가해진 제1 작용력이 제1 부재(11)를 통해 제1 토크센서(111)로 전달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예시적으로, 도 1 및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 토크센서(111)는 제 1부재(11)의 단부 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 2부재(12)는 제 1부재(11)로부터 후방(도 2 기준 3시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제2 부재(12)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2 부재(12)는 제2 토크센서(121)를 포함한다. 즉, 제2 토크센서(121)는, 컨트롤 부재(13)에 의해 가해진 제2 작용력이 제2 부재(12)를 통해 제2 토크센서(121)로 전달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예시적으로, 도 1 및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 2 토크센서(121)는 제 2 부재(12)의 중간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컨트롤 부재(13)는 제 2 부재(12)로부터 상향(도 3 기준 12시 방향) 또는 하향(도 3 기준 6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컨트롤 부재(13)는, 좌우 방향을 축으로 회동시키면 제1 토크센서(111)에 제1 작용력이 전달되고, 전후 방향을 축으로 회동시키면 제2 토크센서(121)에 제2 작용력이 전달되도록, 제1 부재(11) 및 제2 부재(12)와 연결된다.
예시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 부재(13)는 상향(도 3 기준 12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컨트롤 부재(13)는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손잡이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컨트롤 부재(13)의 재질은 아크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컨트롤 부재(13)는 엘보(122)를 통해 제 2부재(12)와 연결될 수 있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엘보(122)는 서로 직교하는 부재를 상호 연결할 수 있도록 90도 구부러진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엘보(122)와 같은 연결 유닛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구성인바,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차체 외부 주차 컨트롤러(1)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어부는 제1 토크센서(111)에 의한 감지된 제1 토크와 제2 토크센서(121)에 의한 감지된 제2 토크에 대응하는 방향 및 속도로 차량을 제어하는 구성이다.
예시적으로, 사용자가 투명색 아크릴 손잡이와 같은 컨트롤 부재(13)를 잡고 차량이 이동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제1 토크센서(111) 및 제2 토크센서(121)에서 전후좌우 방향으로 받는 힘(토크)의 크기를 측정(감지)하고, 제어부는 제1 토크센서(111) 및 제2 토크센서(121)로부터 감지한 크기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는, 차량 자체의 시스템 상에 포함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본 차체 외부 주차 컨트롤러(1) 자체에 장착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제어부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앞서 살펴본 구성들을 토대로 본 차체 외부 주차 컨트롤러의 동작 및 그에 따른 작용효과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사용자가 차량을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주차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가 컨트롤 부재(13)에 전후좌우 방향 중 주차를 위해 이동시키고 싶은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차체 외부 주차 컨트롤러(1)는 좌우 방향을 축으로 하는 제1 토크센서(111)와 전후 방향을 축으로 하는 제2 토크센서(121)에서 받은 토크의 크기를 조합(combination)하여 벡터의 방향으로 바퀴의 각속도를 조절하여 원하는 방향 및 속도로 차량을 이동하여 주차를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사용자가 컨트롤 부재(13)를 정확히 앞으로만 돌리면(좌우 방향을 축으로 하여 전방으로 회동), 제1 작용력이 제1 토크센서(111)에 작용하면서 제1 토크가 제1 토크센서(111)에 걸리게 되며, 제2 토크센서(121)에는 어떠한 토크도 걸리지 않게 된다. 따라서, 차량은 제1 토크센서(111)가 감지한 제1 토크의 크기에 대응하는 속도로 전방으로 이동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컨트롤 부재(13)를 전방과 좌측 방향 사이의 대각선 방향(도 2 기준 7시 내지 8시 방향)으로 밀어 조작하면, 사용자가 가한 작용력 중 일부는 제1 작용력으로 제1 토크센서(111)에 작용하면서 제1 토크가 제1 토크센서(111)에 걸리게 되고, 사용자가 가한 작용력 중 나머지 일부는 제2 작용력으로 제2 토크센서(121)에 작용하면서 제2 토크 또한 제2 토크센서(121)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차량은 제1 토크센서(111)가 감지한 제1 토크 및 제2 토크센서(121)가 감지한 제2 토크의 크기에 대응하는 속도로 해당 대각선 방향(도 2 기준 7시 내지 8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차량을 많이 움직이고 싶은 경우는, 컨트롤 부재(13)에 힘을 크게 가하고, 차량을 약간씩 움직이고 싶은 경우는, 컨트롤 부재(13)에 적은 힘을 가하면 해당 방향으로 힘의 크기에 대응하는 속도로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다만, 제1 토크 또는 제2 토크의 크기에 대응하는 속도는, 해당 토크의 크기에 비례하여 증가하도록 설정될 수 있겠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너무 큰 작용력을 초기부터 가하더라도, 차량의 속도는 이러한 큰 작용력에 비례하여 바로 급격히 상승되지 않고, 점진적으로 느리게 상승되도록 하는 것이 안전 측면에서 보다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같이 본 차체 외부 주차 컨트롤러(1)를 이용할 경우, 사용자는 주위 환경에 대해 직접적으로 인지를 하고, 적합한 방향으로 컨트롤 부재(13)를 조작하여 간편하고 편리하게 주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주차에 어려움을 느끼는 초보 운전자, 여성 운전자, 고령의 운전자 등에게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본 차체 외부 주차 컨트롤러(1)는 전기적인 방식이 아닌 토크센서를 적용한 부분적으로 기계적인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사용자가 차량을 이동하려는 방향과 이동 정도를 컨트롤 부재(13)에 힘으로 가함으로써 사용자들이 직관적으로 편리하게 사용 할 수 있다. 또한 본원에 의하면, 사용자는 주차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줄일 수 있고, 차량의 최소 이동으로 주차를 수행함으로써 자원을 절약할 수 있고, 주차 시 종종 발생하는 접촉 사고를 상당량 줄일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 제1부재 12: 제2부재
13: 컨트롤 부재 111: 제1토크센서
121: 제2토크센서 122: 엘보

Claims (3)

  1. 차량의 차체 외부에 돌출되도록 장착되는 차체 외부 주차 컨트롤러로서,
    좌우 방향을 축으로 하는 제1 토크를 감지하는 제1 토크센서;
    전후 방향을 축으로 하는 제2 토크를 감지하는 제2 토크센서; 및
    상기 제1 토크센서에 상기 제1 토크에 대응하는 제1 작용력을 전달하거나, 상기 제2 토크센서에 상기 제2 토크에 대응하는 제2 작용력을 전달하는 컨트롤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차량은 상기 제1 토크와 상기 제2 토크에 대응하는 방향 및 속도로 제어되는 것인 차체 외부 주차 컨트롤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의 고정부로부터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토크센서를 포함하는 제1 부재;
    상기 제1 부재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토크 센서를 포함하는 제2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 부재는 상기 제2 부재로부터 상향 또는 하향으로 연장되는 것인 차체 외부 주차 컨트롤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부재는, 좌우 방향을 축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제1 토크센서에 상기 제1 작용력이 전달되고, 전후 방향을 축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제2 토크센서에 상기 제2 작용력이 전달되도록,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와 연결되는 것인 차체 외부 주차 컨트롤러.
KR1020130158413A 2013-12-18 2013-12-18 차체 외부 주차 컨트롤러 KR201500714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8413A KR20150071407A (ko) 2013-12-18 2013-12-18 차체 외부 주차 컨트롤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8413A KR20150071407A (ko) 2013-12-18 2013-12-18 차체 외부 주차 컨트롤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1407A true KR20150071407A (ko) 2015-06-26

Family

ID=53517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8413A KR20150071407A (ko) 2013-12-18 2013-12-18 차체 외부 주차 컨트롤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7140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85479B2 (en) Parking assist apparatus
JP5995931B2 (ja) 駐車支援装置、駐車支援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EP2981077B1 (en) Periphery monitoring device and program
US7429051B2 (en) Process for coupling a trailer with the use of a vehicle level regulation system
US9505436B2 (en) Parking assist system
JP5962319B2 (ja) 車両制御装置
US20130043989A1 (en) Method for Supporting the Driver of a Vehicle
US10755573B2 (en) Collision avoidance device
WO2014051125A1 (ja) 駐車支援装置、駐車支援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730191B2 (ja) 車両用運転支援装置、及び、脇見状態検出装置
CN110891830A (zh) 周边监控装置
WO2018070298A1 (ja) 表示制御装置
US10807643B2 (en) Peripheral monitoring device
US10434947B2 (en) Driver sitting position controlled vehicle collision avoidance
EP2185401B1 (en) Parking assist apparatus
JP2008174102A (ja) 駐車支援装置
WO2008107728A1 (en) A vehicle rear-view mirror shifting system implemented with aim to eliminate the dead angle
JP6897294B2 (ja) 牽引支援装置
JP2019001273A (ja) 車両の操舵支援装置および操舵支援制御方法
JP6332416B2 (ja) 車両制御装置
WO2018061261A1 (ja) 表示制御装置
WO2019008824A1 (ja) 周辺監視装置
CN107792178B (zh) 停车支援装置
KR102326052B1 (ko) 자동차의 안전 조타력 보조 시스템
KR101798054B1 (ko) 레이저 가이드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