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0632A - 분배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증발기 - Google Patents

분배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증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0632A
KR20150070632A KR1020130157088A KR20130157088A KR20150070632A KR 20150070632 A KR20150070632 A KR 20150070632A KR 1020130157088 A KR1020130157088 A KR 1020130157088A KR 20130157088 A KR20130157088 A KR 20130157088A KR 20150070632 A KR20150070632 A KR 201500706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liquid
along
evaporator
heat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7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4612B1 (ko
Inventor
강정호
김철민
하심복
정진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570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4612B1/ko
Priority to US14/531,802 priority patent/US10222104B2/en
Priority to EP14194424.9A priority patent/EP2886978A1/en
Publication of KR201500706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06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46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46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2Evaporators
    • F25B39/028Evaporators having distribu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2Evapo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2Header boxes; End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22Arrangements for directing heat-exchange media into successive compartments, e.g. arrangements of gu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400/00General features or devices for 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or heat-pump systems, i.e. not limited to a particular subgroup of F25B
    • F25B2400/23Sepa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F28D2021/0019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8D2021/0068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efrigerant cycles
    • F28D2021/0071Evapo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배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증발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 1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관통홀이 마련된 제 1 냉매 분배부 및 상기 제 1 냉매 분배부로부터 상기 관통홀을 통해 낙하하는 냉매를 전열관으로 안내하며, 상기 냉매의 유동방향을 따라 유동면의 단면적이 작아지는 복수 개의 냉매 적하부를 포함하는 분배 유닛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분배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증발기{Distributor unit and evaporator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분배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증발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분배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증발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전열관으로 냉매를 균일하게 분배시킬 수 있는 분배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증발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보 냉동기는 냉매를 이용하여 냉수와 냉각수의 열교환을 수행하는 기기로서, 압축기와 증발기와 응축기 및 팽창밸브를 포함한다.
상기 증발기와 응축기는 일 실시태양으로 쉘 인 튜브(Shell in tube) 구조를 가질 수 있고, 튜브 내부로는 냉수와 냉각수가 각각 유동되며, 쉘 내부에 냉매가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증발기로는 냉수가 유입 및 토출되며, 상기 증발기 내부에서 상기 냉매와 냉수의 열교환이 이루어져 상기 냉수는 상기 증발기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냉각된다.
한편, 상기 증발기가 폴링 필름 증발기(Falling film evaporator)인 경우, 상기 증발기로 유입된 냉매는 분배 유닛을 통해 상기 냉수가 유동하는 전열관으로 골고루 분산된다. 이때 상기 분배 유닛을 통해 상기 전열관으로 냉매 유동을 균일하게 분산시키기 위하여 상기 증발기 내부로 유입되는 냉매로부터 액상 냉매와 기상 냉매의 이상 유동을 제어하는 것이 중요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증발기 내부로는 기상 냉매와 액상 냉매의 혼합 냉매가 유입되고, 이상의 냉매가 전열관을 따라 이동하는 속도가 빨라 분배 유닛에서 균일한 냉매의 분배가 어려운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이상 유동에 의하여 기상 냉매와 액상 냉매의 분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기체 냉매와 액상 냉매의 동압에 차이가 있어 냉매의 균일한 분배가 어려운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증발기 내부로 유입되는 냉매로부터 액상 냉매와 기상 냉매를 효과적으로 분리시킴과 동시에 액상 냉매와 기상 냉매의 동압을 낮추어 이상 유동의 흐름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는 구조가 요구된다.
한편, 상기 분배 유닛은 전열관으로 냉매를 균일하게 분배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종래 분배 유닛은 유입된 냉매가 모서리 측으로만 유동하여 전열관으로 냉매를 고르게 분산시키지 못하는 문제를 가지거나, 균일한 유동을 형성하기 위하여 복잡한 형상으로 제작되는 문제를 갖는다.
본 발명은 냉매가 균일하게 전열관으로 분배되어 열교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분배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증발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증발기 내부로 유입되는 기상 냉매와 액상 냉매의 동압을 낮추어 이상 유동을 제어할 수 있는 분배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증발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상 냉매와 액상 냉매를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분배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증발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분배 유닛으로 액상 냉매만을 유입시켜 냉매를 균일하게 분배 시킬 수 있는 분배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증발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 1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관통홀이 마련된 제 1 냉매 분배부, 복수 개의 냉매 적하부를 포함하는 분배 유닛이 제공된다.
상기 복수 개의 냉매 적하부는 상기 제 1 냉매 분배부로부터 상기 관통홀을 통해 낙하하는 냉매를 전열관으로 안내하며, 상기 냉매의 유동방향을 따라 유동면의 단면적이 작아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배 유닛은 상기 냉매 적하부의 유동면에 마련되고, 상기 관통홀에서 낙하하는 냉매를 저장할 수 있는 냉매 저장부 및 상기 냉매 저장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슬릿을 구비하는 제 2 냉매 분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분배 유닛은 제 1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관통홀이 마련된 제 1 부재, 복수 개의 냉매 적하부를 포함하는 제 2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냉매 적하부는 상기 제 1 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관통홀을 통해 유입된 냉매를 전열관으로 안내하며, 냉매의 유동방향을 따라 유동면이 작아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부재는 상기 관통홀에서 낙하한 냉매가 유동하는 제 1 영역과 상기 냉매의 유동 방향을 따라 상기 제 1 영역으로부터 연장되며 복수 개의 냉매 적하부가 마련된 제 2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배 유닛은 상기 관통홀에서 낙하하는 냉매를 저장할 수 있는 냉매 저장부 및 상기 냉매 저장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슬릿을 구비하는 제 3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분배 유닛은 폭 방향으로 냉매를 분배하는 제 1 냉매 분배부, 상기 제 1 냉매 분배부로부터 냉매가 전달되고, 길이 방향으로 냉매를 분배하는 제 2 냉매 분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냉매 분배부는 폭 방향으로 냉매를 분배하기 위하여 폭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제 1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냉매 분배부는 길이 방향으로 냉매를 분배하기 위하여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제 2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배 유닛은 상기 제 2 냉매 분배부로부터 상기 제 2 관통홀을 통해 유입되는 냉매를 길이 방향을 따라 전열관으로 안내하며, 냉매의 유동방향을 따라 유동면의 단면적이 작아지는 복수 개의 냉매 적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증발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쉘(Shell), 기상 냉매와 액상 냉매를 분리하는 기액분리유닛, 분리된 액상 냉매를 전열관에 균일하게 분배하는 분배 유닛, 상기 분배 유닛으로부터 분산된 상기 액상 냉매와 열교환하기 위한 냉수가 유동하는 전열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액분리기는 상기 셸 내부에 형성되어 냉매 유입구로부터 혼합되어 유입된 기상 냉매와 액상 냉매를 분리하고, 분리된 기상 냉매가 토출되는 기상 냉매 토출구 상측으로 일리미네이터(Eliminator)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증발기는 상기 분배 유닛에서 분배된 상기 액상 냉매 중 일부는 상기 쉘의 바닥으로 운반되고, 상기 전열관의 일부가 상기 액상 냉매에 의해 상기 쉘의 바닥에 형성된 풀(Pool)에 침전되는 하이브리드 폴링 필름 증발기(Hybrid falling film evaporator)일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분배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증발기에 따르면, 냉매가 균일하게 전열관으로 분배되어 열교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분배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증발기에 따르면, 폭 방향 뿐만 아니라 길이 방향으로도 냉매가 균일하게 전열관으로 분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분배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증발기에 따르면, 증발기 내부로 유입되는 기상 냉매와 액상 냉매의 동압을 낮추어 이상 유동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분배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증발기에 따르면, 증발기 내부로 유입되는 기상 냉매와 액상 냉매를 효과적으로 분리하여 액상 냉매만 분배 유닛으로 유입시켜 냉매를 균일하게 분배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분배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증발기에 따르면, 일리미네이터가 구비된 기액분리유닛에 의해 액상 냉매가 압축기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분배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증발기에 따르면, 전열관에 적하시키고자 하는 위치에 냉매를 정확하게 적하시킬 수 있어 열교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터보 냉동기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증발기 내부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증발기를 구성하는 기액분리유닛과 분배 유닛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증발기를 구성하는 기액분리유닛과 분배 유닛의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증발기를 구성하는 기액분리유닛과 분배 유닛의 전개도.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분배 유닛의 사시도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분배 유닛의 확대 전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재 2 부재의 변형 예를 나타낸 분배 유닛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와 관련된 분배 유닛의 전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와 관련된 분배 유닛의 "A" 영역 확대 상세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와 관련된 분배 유닛의 제 1 냉매 분배부의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와 관련된 분배 유닛의 제 2 냉매 분배부의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배 유닛, 증발기 및 이를 포함하는 터보 냉동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된 각 구성 부재의 크기 및 형상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한편, 제 1 또는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이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시키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분배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증발기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터보 냉동기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증발기가 적용되는 터보 냉동기(1)는 냉매를 압축시키기 위한 압축기(10)와 응축기(30)와 팽창밸브(40) 및 증발기(2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터보 냉동기(1)는 냉매를 압축하기 위한 임펠러(11)를 포함하는 압축기(10)와 상기 압축기(10)로부터 유입된 냉매와 냉각수의 열교환을 위한 응축기(3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응축기(30)로부터 토출된 냉매와 냉수의 열교환을 위한 증발기(20) 및 상기 응축기(30)와 증발기(20) 사이에 마련된 팽창밸브(40)를 포함한다.
상기 압축기(10)는 1단 또는 2단 압축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압축기(10)는 냉매의 압축을 위하여 구동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임펠러(11: Impeller)를 포함한다.
상기 압축기(10)는 상기 임펠러(11)가 수용되는 쉬라우드와 임펠러(11)의 회전에 의해 배출된 유체의 운동에너지를 압력에너지로 변환시키는 가변 디퓨저(Diffuser)를 포함한다.
도 1에는 상기 압축기(10)가 1단 압축부를 포함하는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증발기(20)와 응축기(30)는 일 실시태양으로 쉘 인 튜브(Shell in tube) 구조를 가질 수 있고, 튜브 내부로는 냉수와 냉각수가 각각 유동하며, 쉘 내부에 냉매가 일정 부분 수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증발기(20)로는 냉수(Chilled water)가 유입 및 토출되며, 상기 증발기(20) 내부에서 상기 냉매와 냉수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며, 상기 냉수는 상기 증발기(2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냉각된다.
또한, 상기 응축기(30)로는 냉각수(Condensed water)가 유입 및 토출되며, 상기 응축기(30) 내부에서 상기 냉매와 냉각수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며, 상기 냉각수는 상기 응축기(3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가열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압축기(10)는 2단 압축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기 압축기(10)는 복수의 스테이지를 갖는 다단 압축기일 수 있다.
일 실시태양으로, 상기 압축기(10)는 2단 압축부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터보 냉동기(1)는 상기 응축기(30)에서 토출된 냉매로부터 액상 냉매와 기상 냉매를 분리시키고, 상기 분리된 기상 냉매를 상기 압축기로 토출시키기 위한 이코너마이저(Economizer)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응축기(30)와 상기 이코너마이저 사이에 마련된 제 1 팽창밸브 및 상기 이코너마이저와 상기 증발기(20) 사이에 마련된 제 2 팽창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압축기(10)가 2단 압축부를 포함하는 경우, 일 실시태양으로 상기 압축기(10)는 저압 압축부와 고압 압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압 압축부에는 1단 임펠러가 마련되고, 상기 고압 압축부에는 2단 임펠러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저압 압축부로는 상기 증발기로부터 토출된 냉매가 유입되고, 상기 고압 압축부로는 상기 이코너마이저에서 분리된 기상 냉매가 유입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고압 압축부로는 이코너마이저에서 분리된 기상 냉매와 저압 압축부에서 압축된 냉매가 함께 압축되기 때문에 상기 압축기에 가해지는 압축일이 줄어들게 된다. 상기 압축기에 가해지는 압축일이 줄어들게 됨으로써 압축기의 운전범위가 늘어나는 효과가 발생한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증발기 내부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증발기(20)는 폴링 필름 증발기(Falling film evaporator)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증발기(20)로 유입된 냉매(M)는 분배 유닛(200)을 통해 상기 냉수가 유동하는 전열관(22)으로 골고루 분산된다.
이때 상기 분배 유닛(200)을 통해 상기 전열관(22)으로 냉매 유동을 균일하게 분산시키기 위하여 상기 증발기(20) 내부로 유입되는 냉매(M)로부터 액상 냉매(L)와 기상 냉매(G)의 이상 유동을 제어하는 것이 중요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증발기(20) 내부로는 기상 냉매와 액상 냉매의 혼합 냉매(M)가 유입되고, 이상의 냉매(L과 G)가 전열관(22)을 따라 이동하는 속도가 빨라 분배 유닛(200)에서 균일한 냉매의 분배가 어려운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이상 유동에 의하여 기상 냉매(G)와 액상 냉매(L)의 분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기체 냉매(G)와 액상 냉매(L)의 동압을 맞추기도 쉽지 않아 상기 분배 유닛(200)에서 상기 전열관(22)으로 냉매의 균일한 분배가 어려운 문제가 발생한다.
상술한바와 같은 불균일한 냉매의 분배는 상기 전열관(22)에 건조점(Dry out spot)을 형성하며, 이와 같은 국부적인 건조점은 폴링 필름 증발기의 전체 열교환 성능을 저하시키는 문제를 발생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증발기(20)는 폴링 필름 증발기이고, 쉘 인 튜브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쉘(21) 내부에 냉수(Chilled water)가 유동하기 위한 전열관(22)이 마련되며, 상기 쉘(21) 내부에 기액분리유닛(100)과 분배 유닛(200)이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쉘(21) 내부에는 분배 유닛(200)만이 마련될 수도 있고, 기액분리유닛(100)과 분배 유닛(200)이 각각 마련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증발기를 구성하는 기액분리유닛과 분배 유닛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쉘(21) 내부에 기액분리유닛(100)과 분배 유닛(200)이 일체화되어 마련된 경우를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일체화된 기액분리유닛(100)과 분배 유닛(200)을 포함하는 증발기(20)는 터보 냉동기(1)에 적용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공기조화장치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증발기와 이를 구성하는 기액분리유닛과 분배 유닛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증발기를 구성하는 기액분리유닛과 분배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4, 도 5는 기액분리유닛과 분배 유닛의 종단면도, 전개도이다.
본 발명의 증발기(20)는 외관을 형성하는 쉘(21), 냉매 유입구(110)로부터 혼합되어 유입된 기상 냉매와 액상 냉매를 분리하는 기액분리유닛(100)과 상기 기액분리유닛(100)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액상 냉매를 전열관(22)에 균일하게 분배하는 분배 유닛(200)과 상기 분배 유닛(200)으로부터 분배된 액상 냉매와 열교환하기 위한 냉수가 유동하는 전열관(22)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증발기(20)는 상기 분배 유닛(200)에서 분배된 액상 냉매 중 일부가 상기 쉘(21)의 바닥으로 운반되고, 상기 전열관(22)의 일부가 액상 냉매에 의해 상기 쉘(21)의 바닥에 형성된 풀(Pool)에 침전되는 하이브리드 폴링 필름 증발기(Falling film evaporator)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증발기(20)는 상기 쉘(21) 내부에 일체화된 기액분리유닛(100)과 분배 유닛(200)을 포함한다.
상기 일체화된 기액분리유닛(100)과 분배 유닛(200)은 혼합되어 유입되는 기상 냉매와 액상 냉매를 상기 기액분리유닛(100)에서 분리한 후 상기 분배 유닛(200)에서 전열관(22)으로 바로 분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일체화된 기액분리유닛(100)과 분배 유닛(200)은 하부에 위치하는 전열관(22)의 길이와 폭에 대응되도록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분배 유닛(200)에서 상기 전열관(22)의 길이 방향과 폭 방향을 따라 냉매를 균일하게 분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액분리유닛(100)은 상기 냉매 유입구(110), 상기 냉매 유입구(110)로부터 유입된 기상 냉매와 액상 냉매를 분리하는 다공판(130)을 구비하는 하우징(120)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20)은 분리된 기상 냉매가 토출되는 기상 냉매 토출구(140) 및 분리된 액상 냉매가 토출되는 액상 냉매 토출구(150)를 포함한다. 상기 액상 냉매 토출구(150)는 상기 하우징(120)의 하면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관통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상 냉매 토출구(140)는 상기 하우징(120)의 일측에 위치하는 상기 냉매 유입구(110)에서 길이 방향으로 반대측 끝단부에 위치한다. 상기 기상 냉매 토출구(140)를 통해 토출된 기상 냉매는 상기 증발기(20) 내부를 통해 상기 압축기(10)로 유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상 냉매 토출구(140)의 상측으로 일리미네이터(Eliminator) (160)가 구비되어 액상 냉매가 상기 압축기(1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상기 일리미네이터(160)는 금속재질의 망이 여러 장 겹쳐진 형상으로 기상 냉매와 함께 토출되는 액상 냉매를 걸러주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일리미네이터(160)는 상기 냉매 유입구(110)의 길이 방향으로 반대측 끝단부에서 상기 냉매 유입구(110)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일리미네이터(160)의 크기는 냉매의 건도와 유량에 맞추어 설계될 수 있다.
한편, 유체가 통과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홀이 구비된 상기 다공판(130)은 상기 하우징(120)의 내측에 상기 하우징(120)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다공판(130)은 상기 기액분리유닛(100) 내부로 유입되는 기상 냉매와 액상 냉매의 밀도차에 의한 동압의 주기적인 변화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구체적으로 기상 냉매와 액상 냉매의 동압을 낮추어 이상 냉매 흐름을 용이하게 한다.
즉, 상기 기액분리유닛(100) 내부에서 상기 냉매 유입구(110)로 유입되는 속도가 다른 기상 냉매와 액상 냉매는 동압은 일정하게 유지되고, 기상 냉매와 액상 냉매가 상기 다공판(130)에 충돌하면서 속도는 낮아지게 된다.
또한, 상기 기액분리유닛(100)은 운전 조건의 변화에 의한 냉매 유동이 불안정해 지는 경우에도 이상 유동을 제어할 수 있어 냉매를 균일하게 분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우징(120) 내에 구비되는 다공판(130)의 개수와 설치 위치, 다공판(130)의 공극률(Porosity)은 이상 냉매의 제어와 액상 냉매의 분배를 결정하는 주요 인자가 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배 유닛(200)은 폭 방향으로 냉매를 분배하기 위하여 폭 방향(W)을 따라 복수 개의 제 1 관통홀(220)이 형성되는 제 1 냉매 분배부(21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냉매 분배부(210)로부터 냉매가 전달되고, 길이 방향(L)으로 냉매를 분배하기 위하여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제 2 관통홀(240)이 형성된 제 2 냉매 분배부(23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 2 냉매 분배부(230)는 상기 제 2 관통홀(240)을 통해 전달되는 냉매를 길이 방향을 따라 재분배하여 상기 전열관(22)으로 낙하시키며, 냉매의 유동방향을 따라 유동면의 단면적이 작아지는 복수 개의 냉매 적하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매 적하부(250)는 냉매를 더 균일하게 분배하기 위하여 상기 제 2 관통홀(240)에서 낙하하는 냉매를 저장할 수 있는 냉매 저장부 및 상기 냉매 저장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슬릿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분배 유닛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분배 유닛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분배 유닛(300)은 제 1 방향('길이 방향'이라고도 함.)을 따라 복수 개의 관통홀(320)이 마련된 제 1 냉매 분배부(31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1 냉매 분배부(310)로부터 상기 관통홀(320)을 통해 낙하하는 냉매를 상기 전열관(22)으로 안내하며, 상기 냉매의 유동방향을 따라 유동면의 단면적이 작아지는 복수 개의 냉매 적하부(330)를 포함한다.
상기 분배 유닛(300)은 상기 제 1 냉매 분배부(310)의 상기 관통홀(320)을 통해 낙하하는 냉매가 상기 전열관(22)으로 균일하게 낙하되도록 유도하는 제 2 냉매 분배부(34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냉매 분배부(340)는 상기 냉매 적하부(330)의 유동면에 마련되고, 상기 관통홀(320)에서 낙하한 후 상기 냉매 적하부(330)의 유동면을 따라 흐르는 냉매를 저장할 수 있는 냉매 저장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냉매 분배부(340)는 상기 냉매 저장부(350)의 하부에 복수 개의 슬릿(360)을 구비하여 상기 냉매 저장부(350)에 저장된 냉매를 상기 냉매 적하부(330)로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제 2 냉매 분배부(340)는 제 1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복수 개의 슬릿(360)은 제 1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어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슬릿(360)을 통과한 냉매는 제 1 방향을 따라 균일한 평균 유량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전열관(22)으로 분산되는 냉매의 균일도가 향상될 수 있다.
상기 냉매 적하부(330)는 냉매의 유동방향을 따라 단면적이 작아지는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슬릿(360)을 통과한 냉매는 상기 냉매 적하부(330)의 단면적이 가장 작은 끝단에서 상기 전열관(22)으로 적하하게 된다.
전술한바와 같이 상기 제 1 냉매 분배부(310)에서 낙하한 냉매는 상기 제 2 냉매 분배부(340)의 냉매 저장부(350)에 일시적으로 저장되면서 운동에너지의 대부분을 상실하게 된다.
운동에너지를 상실한 냉매는 상기 저장부(350)의 하부에 형성된 상기 슬릿(360)을 통과하여 상기 냉매 적하부(330)의 하측 유동면에서 표면장력과 중력에 의해 상기 냉매 적하부(330)의 끝단부로 안내된다.
냉매는 끝단부로 갈수록 유동면의 단면적이 작아지는 상기 냉매 적하부(330)의 단면적이 가장 작은 끝단에서 중력에 의해 상기 전열관(22)으로 적하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슬릿(360)은 상기 냉매 적하부(330)의 끝단부와 동축선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슬릿(360)을 통과한 냉매는 상기 냉매 적하부(330)의 하측 유동면을 직선으로 유동하여 상기 냉매 적하부(330)의 끝단부로 안내될 수 있다.
상기 슬릿(360)은 인접하는 2개의 상기 냉매 적하부(330) 사이 공간에 위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슬릿(360)을 통과한 냉매는 상기 냉매 적하부(330)의 경사진 측부를 따라 상기 냉매 적하부(330)의 끝단부로 안내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냉매 적하부(330)는 냉매의 유동방향을 따라 단면적이 작아지고 끝단부가 날카로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냉매 적하부(330)는 톱니 형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이때, 날카로운 형상의 상기 냉매 적하부(330)의 끝단은 냉매를 적하하고자 하는 상기 전열관(22)과 대응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날카로운 형상의 상기 냉매 적하부(330)의 개수는 상기 전열관(22)에 건조점(Dry out spot)이 발생하지 않는 피치(Pitch)를 고려하여 설계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전열관(22)에 정확하게 냉매를 적하시켜 상기 전열관(22)과 접촉하지 않고 이탈되는 액상 냉매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8은 분배 유닛의 확대된 전면도이다.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분배 유닛을 구조적 측면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분배 유닛(400)은 제 1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관통홀(420)이 마련된 제 1 부재(41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분배 유닛(400)은 상기 제 1 부재(410)와 연결되며, 상기 관통홀(420)을 통해 유입된 냉매를 전열관(22)으로 안내하며, 냉매의 유동방향을 따라 유동면이 작아지는 복수 개의 냉매 적하부(460)를 포함하는 제 2 부재(43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 2 부재(430)는 제 1 부재(410)의 하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부재(430)는 점 용접(spot welding), 볼트 체결 등의 기계적 결합 방식으로 상기 제 1 부재(470)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2 부재(430)는 상기 관통홀(420)에서 낙하한 냉매가 유동하는 제 1 영역(440)과 상기 냉매의 유동 방향을 따라 상기 제 1 영역(440)으로부터 연장되며 복수 개의 냉매 적하부(460)가 마련된 제 2 영역(450)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영역(440)은 곡면부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영역(450)은 평면부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영역(440)과 제 2 영역(450)은 소정의 각도를 가지는 구부러진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영역(440)과 제 2 영역(450)의 경계부는 곡면부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영역(450)은 상기 냉매 적하부(460)에서 냉매가 수직 낙하하기 용이하도록 중력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영역(440)과 제 2 영역(450)은 90도 이상의 각도로 연결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분배 유닛(400)은 상기 제 1 부재(470)의 상기 관통홀(420)에서 낙하하여 상기 제 1 영역(440)을 유동하는 냉매를 저장할 수 있는 냉매 저장부(480) 및 상기 냉매 저장부(480)의 하부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슬릿(490)을 구비하는 제 3 부재(4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 부재(470)는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제 2 부재(430)와 동일한 길이로 연속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 3 부재(470)는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 상기 제 2 부재(430)에 독립된 형상으로 복수 개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 3 부재(470)는 상기 제 2 부재(430)의 제 2 영역(450)에 위치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냉매 저장부(480)는 상기 제 2 부재(430)의 제 1 영역(440)에서 상기 제 2 영역(450)으로 곡면으로 연결되는 상기 경계부의 곡면 끝점에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냉매가 제 2 부재(430)의 상기 제 1 영역(440)에서 유동 후 상기 냉매 저장부(480)로 진입 시 상기 경계부에서 상기 제 1 영역(440)보다 큰 기울기를 가지는 상기 제 2 영역(450)으로 빠르게 이동하므로 상기 냉매 저장부(480)에서 냉매를 저장하는 것이 용이해 지기 때문이다.
이때, 상기 냉매 저장부(480)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상기 경계부의 곡면의 시작점 보다 높이가 더 높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냉매를 저장하는 공간을 형성하기 위함이다.
상기 냉매 저장부(480)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흐르는 액체를 저장하기 용이하도록 상면이 개방된 중공의 원통이나 다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냉매 저장부(480)는 상기 제 2 부재(430)의 상기 제 2 영역(450)에 일면이 결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3 부재(470)의 상기 슬릿(490)은 상기 냉매 저장부(480)의 하부에 형성된다. 상기 슬릿(490)의 일부는 상기 제 2 부재(430)의 상기 제 2 영역(450)과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릿(490)은 상기 냉매 적하부(460)와 인접하는 관통홀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제 3 부재(470)의 상기 슬릿(490)은 상기 냉매 적하부(460)의 끝단부와 동축선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3 부재(470)의 상기 슬릿(490)은 인접하여 형성된 상기 냉매 적하부(460)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냉매의 유동방향을 따라 유동면의 단면적이 작아지는 상기 냉매 적하부(460)의 측부를 따라 상기 냉매가 흐를 수 있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 2 부재(430)는 상기 제 1 방향과 직교하는 제 2 방향을 중심선으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부재(430)의 측면에 결합되는 상기 제 3 부재(470)도 상기 제 2 방향을 중심선으로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 일 실시예의 분배 유닛의 제 2 부재의 변형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배 유닛(500)은 제 1 방향을 따라 관통홀(520)이 마련된 제 1 부재(510)와 냉매의 유동방향을 따라 유동면이 작아지는 제 2 부재(530)가 일체로 형성 될 수 있다.
상기 제 2 부재(530)는 상기 관통홀(520)을 생성하기 위하여 커팅되는 제 1 부재(510)의 하측면을 이용하여 생성할 수 있고, 별도로 생성하여 상기 관통홀(520) 하측으로 부착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 1 부재(510)의 상기 관통홀(520)은 상기 제 2 부재(530)와는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분배 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고자 한다.
도 10,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분배 유닛의 전면도와 전면도의 “A" 영역의 확대 상세도이다. 도 12는 상기 분배 유닛의 제 1 냉매 분배부의 평면도, 도 13은 상기 분배 유닛의 제 2 냉매 분배부의 평면도이다.
상기 분배 유닛(600)은 폭 방향으로 냉매를 분배하기 위하여 상기 폭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제 1 관통홀(620)이 형성된 제 1 냉매 분배부(61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1 냉매 분배부(610)로부터 냉매가 전달되고, 길이 방향으로 냉매를 분배하기 위하여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제 2 관통홀(640)이 형성된 제 2 냉매 분배부(630)를 포함하다.
이때, 상기 제 2 냉매 분배부(630)는 상기 제 1 냉매 분배부(610)의 하측으로 직각을 이루며 교차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 2 냉매 분배부(630)는 상기 제 2 냉매 분배부(630)로부터 상기 제 2 관통홀(640)을 통해 유입되는 냉매를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전열관(22)으로 안내하며, 냉매의 유동방향을 따라 유동면의 단면적이 작아지는 복수 개의 냉매 적하부(65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냉매 분배부(610)는 기액분리유닛(100)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기액분리유닛(100)에서 전달받은 냉매를 상기 기액분리유닛(100)의 폭 방향으로 분배하기 위하여 길이 방향(L)보다 폭 방향(W)으로 더 길게 형성된다.
상기 제 1 냉매 분배부(610)는 상기 기액분리유닛(100)과 동일한 가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냉매 분배부(610)는 상기 기액분리유닛(100)의 하면에 상기 기액분리유닛(100)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냉매 분배부(610)는 냉매를 수용할 수 있도록 소정 높이를 가진 상면이 개방된 다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냉매 분배부(610)의 하면에는 상기 제 2 냉매 분배부(630)로 냉매를 전달 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관통홀(620)이 형성된다.
즉, 상기 기액분리유닛(100)에서 낙하한 냉매는 상기 제 1 냉매 분배부(610)에서 폭 방향으로 분산되어 상기 제 1 관통홀(620)을 통해 상기 제 2 냉매 분배부(630)로 낙하하게 된다.
상기 제 2 냉매 분배부(630)는 상기 제 1 냉매 분배부(610)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냉매 분배부(610)에서 전달 받은 냉매를 길이 방향으로 분배하기 위하여 폭 방향(W)보다 길이 방향(L)으로 더 길게 형성된다.
상기 제 2 냉매 분배부(630)는 상기 기액분리유닛(100)과 동일한 세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냉매 분배부(630)는 상기 제 1 냉매 분배부(610)의 하면에 폭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2 냉매 분배부(630)는 냉매를 수용할 수 있도록 소정 높이를 가진 상면이 개방된 다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냉매 분배부(630)의 하면에는 상기 전열관(22)으로 냉매를 낙하시키기 위한 상기 제 2 관통홀(640)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관통홀(620)과 제 2 관통홀(640)의 개수와 크기는 상기 전열관(22)으로 낙하되는 냉매 유량과 상기 제 1 냉매 분배부(610)와 제 2 냉매 분배부(630)에 저장될 수 있는 냉매 높이에 따라 설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2 냉매 분배부(630)의 하측으로 상기 제 2 관통홀(640)을 통해 낙하하는 냉매를 길이 방향을 따라 전열관(22)으로 안내하며, 냉매의 유동방향을 따라 유동면의 단면적이 작아지는 상기 복수 개의 냉매 적하부(650)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냉매 분배부(610)에서 폭 방향으로 분산된 냉매는 제 2 냉매 분배부(630)를 통해 길이 방향으로 분산된 후, 상기 제 2 관통홀(640)을 통하여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상기 냉매 적하부(650)로 전달되어 길이 방향으로 재분배되어 상기 전열관(22)으로 낙하하게 된다.
한편, 상기 분배 유닛(600)은 상기 냉매 적하부(650)의 유동면에 마련되고, 상기 제 2 관통홀(640)에서 낙하하는 냉매를 저장할 수 있는 냉매 저장부(670) 및 상기 냉매 저장부(670)의 하부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슬릿(680)을 구비하는 제 3 냉매 분배부(6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릿(580)은 상기 제 2 냉매 분배부(630)와 냉매 적하부(650)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제 2 관통홀(640)을 통과한 냉매를 상기 냉매 적하부(650)로 안내한다.
여기서 앞에서 설명한 제 3 냉매 분배부(660)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 :터보 냉동기
10: 압축기
20: 증발기
21: 쉘
22: 전열관
30: 응축기
40: 팽창밸브
100: 기액분리유닛
110: 냉매 유입구
120: 하우징
130: 다공판
140: 기상 냉매 토출구
150: 액상 냉매 토출구
160: 일리미네이터(Eliminator)
200, 300, 400, 500, 600: 분배 유닛

Claims (19)

  1. 제 1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관통홀이 마련된 제 1 냉매 분배부; 및
    상기 제 1 냉매 분배부로부터 상기 관통홀을 통해 낙하하는 냉매를 전열관으로 안내하며, 상기 냉매의 유동방향을 따라 유동면의 단면적이 작아지는 복수 개의 냉매 적하부를 포함하는 분배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 적하부의 유동면에 마련되고, 상기 관통홀에서 낙하하는 냉매를 저장할 수 있는 냉매 저장부 및 상기 냉매 저장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슬릿을 구비하는 제 2 냉매 분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 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은 상기 제 1 냉매 분배부와 냉매 적하부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관통홀을 통과한 상기 냉매를 상기 냉매 적하부로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 유닛.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은 상기 냉매 적하부의 끝단부와 동축선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 유닛.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은 인접하여 형성된 상기 냉매 적하부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냉매의 유동방향을 따라 유동면의 단면적이 작아지는 상기 냉매 적하부의 측부를 따라 상기 냉매가 흐르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 유닛.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 적하부는 톱니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 유닛.
  7. 제 1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관통홀이 마련된 제 1 부재;
    상기 제 1 부재와 연결되며, 상기 관통홀을 통해 유입된 냉매를 전열관으로 안내하며, 냉매의 유동방향을 따라 유동면이 작아지는 복수 개의 냉매 적하부를 포함하는 제 2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부재는 상기 관통홀에서 낙하한 냉매가 유동하는 제 1 영역과 상기 냉매의 유동 방향을 따라 상기 제 1 영역으로부터 연장되며 복수 개의 냉매 적하부가 마련된 제 2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 유닛.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은 곡면부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영역은 평면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 유닛.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은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구부러지고, 상기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의 경계부는 곡면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 유닛.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에서 낙하하는 냉매를 저장할 수 있는 냉매 저장부 및 상기 냉매 저장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슬릿을 구비하는 제 3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 유닛.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부재는 상기 제 2 영역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 유닛.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은 상기 냉매 적하부의 끝단부와 동축선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 유닛.
  13. 폭 방향으로 냉매를 분배하기 위하여 폭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제 1 관통홀이 형성된 제 1 냉매 분배부;
    상기 제 1 냉매 분배부로부터 냉매가 전달되고, 길이 방향으로 냉매를 분배하기 위하여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제 2 관통홀이 형성된 제 2 냉매 분배부;
    상기 제 2 냉매 분배부로부터 상기 제 2 관통홀을 통해 유입되는 냉매를 길이 방향을 따라 전열관으로 안내하며, 냉매의 유동방향을 따라 유동면의 단면적이 작아지는 복수 개의 냉매 적하부를 포함하는 분배 유닛.
  14. 외관을 형성하는 쉘(shell);
    상기 셸 내부에 형성되고, 냉매 유입구로부터 혼합되어 유입된 기상 냉매와 액상 냉매를 분리하고 일리미네이터(eliminator)를 구비하는 기액분리유닛;
    상기 기액분리유닛의 하부에 형성되며, 단면적이 작아지는 복수 개의 냉매 적하부를 구비하여 액상 냉매를 전열관에 균일하게 분배하는 분배 유닛;
    상기 분배 유닛으로부터 분배된 액상 냉매와 열교환하기 위한 냉수가 유동하는 전열관을 포함하고,
    상기 분배 유닛에서 분배된 액상 냉매 중 일부는 상기 쉘의 바닥으로 운반되고, 상기 전열관의 일부가 액상 냉매에 의해 상기 쉘의 바닥에 형성된 풀(pool)에 침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기액분리유닛은 상기 냉매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기상 냉매와 액상 냉매를 분리하기 위한 다공판을 포함하는 하우징;
    분리된 기상 냉매가 토출되는 기상 냉매 토출구 및 분리된 액상 냉매가 토출되는 액상 냉매 토출구; 및
    상기 기상 냉매 토출구에 마련된 일리미네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일리미네이터는 상기 기상 냉매 토출구의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기.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판은 상기 하우징 내측에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기.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 유닛은 제 1 방향을 따라 액상 냉매를 분배하기 위하여 제 1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제 1 관통홀이 형성된 제 1 냉매 분배부;
    상기 제 1 냉매 분배부로부터 액상 냉매가 전달되고, 상기 제 1 방향과는 다른 제 2 방향을 따라 액상 냉매를 분배하기 위하여 상기 제 2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제 2 관통홀이 형성된 제 2 냉매 분배부;
    상기 제 2 냉매 분배부로부터 상기 제 2 관통홀을 통해 유입되는 액상 냉매를 상기 제 2 방향을 따라 전열관으로 안내하며, 액상 냉매의 유동방향을 따라 유동면의 단면적이 작아지는 복수 개의 상기 냉매 적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 적하부는 상기 관통홀에서 낙하하는 액상 냉매를 저장할 수 있는 냉매 저장부 및 상기 냉매 저장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슬릿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기.
KR1020130157088A 2013-12-17 2013-12-17 분배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증발기 KR1022046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7088A KR102204612B1 (ko) 2013-12-17 2013-12-17 분배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증발기
US14/531,802 US10222104B2 (en) 2013-12-17 2014-11-03 Distributor and turbo refrigerating machine and evaporator having the same
EP14194424.9A EP2886978A1 (en) 2013-12-17 2014-11-24 Distributor unit and evaporator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7088A KR102204612B1 (ko) 2013-12-17 2013-12-17 분배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증발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0632A true KR20150070632A (ko) 2015-06-25
KR102204612B1 KR102204612B1 (ko) 2021-01-19

Family

ID=52100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7088A KR102204612B1 (ko) 2013-12-17 2013-12-17 분배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증발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222104B2 (ko)
EP (1) EP2886978A1 (ko)
KR (1) KR1022046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7420A (ko) * 2020-08-27 2022-03-08 한국기계연구원 유하액막식 증발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72159B2 (ja) * 2014-05-19 2018-08-15 富士通株式会社 蒸発器、冷却装置及び電子機器
US10746441B2 (en) * 2016-03-07 2020-08-18 Daikin Applied Americas Inc. Heat exchanger
JP2017163065A (ja) * 2016-03-11 2017-09-14 富士通株式会社 電子機器
US10969146B2 (en) * 2016-08-26 2021-04-06 Carrier Corporation Refrigerant distributor for falling film evaporator
US10132537B1 (en) * 2017-05-22 2018-11-20 Daikin Applied Americas Inc. Heat exchanger
CN107084558A (zh) * 2017-06-28 2017-08-22 广东美的暖通设备有限公司 空调器的分配器及空调器
CN111174465A (zh) * 2018-11-12 2020-05-19 麦克维尔空调制冷(武汉)有限公司 蒸发器以及包含该蒸发器的换热系统
CN111750570A (zh) * 2019-03-28 2020-10-09 开利公司 蒸发器及其挡板结构
CN111991823B (zh) * 2020-08-21 2022-04-29 江苏一万节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降膜蒸发器的流体分布板
CN117387254B (zh) * 2023-12-11 2024-04-26 江苏世林博尔制冷设备有限公司 一种蒸发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61987A (en) * 1995-05-25 1996-10-08 American Standard Inc. Falling film evaporator with vapor-liquid separator
US6868695B1 (en) * 2004-04-13 2005-03-22 American Standard International Inc. Flow distributor and baffle system for a falling film evaporator
KR20070014725A (ko) * 2005-07-29 2007-02-01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흡수식 냉동기의 액체 분배 장치 및 흡수식 냉동기
US20130277018A1 (en) * 2012-04-23 2013-10-24 Aaf-Mcquay Inc. Heat exchanger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69634B2 (ja) * 1997-03-17 2002-03-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液体分配装置及び流下液膜式熱交換器並びに吸収式冷凍機
US6167713B1 (en) 1999-03-12 2001-01-02 American Standard Inc. Falling film evaporator having two-phase distribution system
US6572687B2 (en) * 2001-07-25 2003-06-03 Clearwater International Llc Gas dryer
DE10243625A1 (de) * 2002-09-19 2004-04-01 Basf Ag Hydraulich abgedichteter Querstrom-Stoffaustauschboden
KR20090114367A (ko) * 2006-12-21 2009-11-03 존슨 컨트롤스 테크놀러지 컴퍼니 강하 경막 증발기
US8408026B2 (en) * 2007-08-21 2013-04-02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Liquid collector and redistributor for packed columns
EP2450645B1 (en) 2008-01-11 2014-10-08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Vapor compression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61987A (en) * 1995-05-25 1996-10-08 American Standard Inc. Falling film evaporator with vapor-liquid separator
US6868695B1 (en) * 2004-04-13 2005-03-22 American Standard International Inc. Flow distributor and baffle system for a falling film evaporator
KR20070014725A (ko) * 2005-07-29 2007-02-01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흡수식 냉동기의 액체 분배 장치 및 흡수식 냉동기
US20130277018A1 (en) * 2012-04-23 2013-10-24 Aaf-Mcquay Inc. Heat exchang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7420A (ko) * 2020-08-27 2022-03-08 한국기계연구원 유하액막식 증발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86978A1 (en) 2015-06-24
US10222104B2 (en) 2019-03-05
KR102204612B1 (ko) 2021-01-19
US20150168035A1 (en) 2015-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70632A (ko) 분배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증발기
JP4291956B2 (ja) 二段式冷媒分散装置を備えた流下式薄膜蒸発器
CN108779968B (zh) 热交换器
US10132537B1 (en) Heat exchanger
EP3036492B1 (en) Heat exchanger
EP2841868B1 (en) Heat exchanger
US6868695B1 (en) Flow distributor and baffle system for a falling film evaporator
US9541314B2 (en) Heat exchanger
EP3019809B1 (en) Heat exchanger
US10612859B2 (en) Heat exchanger
US9677818B2 (en) Heat exchanger
KR20170114320A (ko) 증발기 및 이를 포함하는 칠러 시스템
US20210285701A1 (en) Refrigerant distributor and evaporator comprising the refrigerant distributor
US11536497B2 (en) Evaporator
JP2022515614A (ja) 熱交換器
US11898780B2 (en) Evaporator
US20210254871A1 (en) Evaporator
JP2022517728A (ja) 熱交換器
KR102104893B1 (ko) 증발기 및 이를 포함하는 터보 냉동기
JP2022521365A (ja) 熱交換器
KR20140069976A (ko) 증발기 및 이를 포함하는 터보 냉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