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9884A - 열전도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는 힛 싱크 - Google Patents

열전도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는 힛 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9884A
KR20150069884A KR1020130156573A KR20130156573A KR20150069884A KR 20150069884 A KR20150069884 A KR 20150069884A KR 1020130156573 A KR1020130156573 A KR 1020130156573A KR 20130156573 A KR20130156573 A KR 20130156573A KR 20150069884 A KR20150069884 A KR 201500698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polyamide
resin composition
inorganic fi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6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3191B1 (ko
Inventor
윤여은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565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3191B1/ko
Publication of KR201500698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98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3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31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7/02Polyamides derived from omega-amino carboxylic acids or from lactam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3Fillers, pigments or reinforc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3Phosphorus bound to oxygen bound to oxygen and to carbon only
    • C08K5/5313Phosphinic compounds, e.g. R2=P(:O)O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08K7/04Fibres or whiskers inorganic
    • C08K7/06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08K7/04Fibres or whiskers inorganic
    • C08K7/14Gla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20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 H01B1/24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the conductive material comprising carbon-silicon compounds, carbon or silic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3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characterised by the heat transfer by conduction from the heat generating element to a dissipating body
    • H05K7/20436Inner thermal coupling elements in heat dissipating housings, e.g. protrusions or depressions integrally formed in the housing
    • H05K7/20445Inner thermal coupling elements in heat dissipating housings, e.g. protrusions or depressions integrally formed in the housing the coupling element being an additional piece, e.g. thermal standoff
    • H05K7/20472Sheet interfaces
    • H05K7/20481Sheet interfac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composition exhibiting specific thermal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17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magnesium
    • C08K2003/222Magnesia, i.e. magnesium oxide

Abstract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열전도성 수지 조성물은 폴리아미드 수지 10 중량부에 대하여, 세라믹 계열의 무기 충전재 4 내지 40 중량부, 그리고 포스피네이트계 첨가제 1 내지 4 중량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열전도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는 힛 싱크{THERMAL CONDUCTIVE RESIN COMPOSITE AND HEATSINK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열전도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는 힛 싱크에 관한 것이다.
전자 기기의 경량화, 소형화 및 다기능화에 따라 전자 부품도 고집적화 및 고용량화되고 있다. 전자 부품은 발열 소자일 수 있으며, 발열은 전자 부품의 기능 저하, 기판의 열화 및 제품의 수명 단축의 원인이 되고 있다. 이에, 전자 부품의 고집적화 및 고용량화에 따라, 방열 문제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전자 부품에 사용되는 수지 조성물은 전기 절연성인 동시에 우수한 열전도성을 가져야 한다. 이러한 수지 조성물의 방열 성능을 높이기 위하여 무기 충전재를 고밀도로 충전할 필요가 있다.
한편, AC 전압을 사용하는 조명용 힛 싱크를 위한 플라스틱 소재는 열가소성 수지인 폴라아미드계 수지와 세라믹계 무기 충전재를 포함할 수 있다. 세라믹계 무기 충전재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은 양호한 방열 성능을 가질 수는 있으나, 세라믹계 무기 충전재의 특성으로 인하여 내전압이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
내전압이 전자 부품의 신뢰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방열 성능과 내전압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수지 조성물이 필요하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열전도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는 힛 싱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열전도성 수지 조성물은 폴리아미드 수지 10 중량부에 대하여, 세라믹 계열의 무기 충전재 4 내지 40 중량부, 그리고 포스피네이트계 첨가제 1 내지 4 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는 폴리아미드 6, 폴리아미드 66, 폴리아미드 46 및 그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세라믹계열의 무기충전재는 산화마그네슘, 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수산화알루미늄 및 그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포스피네이트계 첨가제는 디에틸 포스핀산 알루미늄 염(Diethyl phosphinic acid aluminum salt)을 포함할 수 있다.
멜라민폴리포스페이트(Melamine polyphosphate) 및 멜라민시아누레이트(Melamine Cyanurate)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소계열의 무기 충전재 및 글래스화이버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소계열의 무기 충전재는 그라파이트, 탄소 섬유, 탄소나노튜브 및 그들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힛 싱크는 광원으부터 발생한 열을 전달 받아 외부로 방출하는 방열부를 포함하며, 상기 방열부는 폴리아미드 수지 10 중량부에 대하여, 세라믹 계열의 무기 충전재 4 내지 40 중량부, 그리고 포스피네이트계 첨가제 1 내지 4 중량부를 포함하는 열전도성 수지 조성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열전도도 및 내전압이 우수한 수지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부품의 방열 성능 및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인쇄 회로 기판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열전도성 수지 조성물이 적용되는 힛싱크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wt%는 중량부로 대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폴리아미드 수지, 세라믹 계열의 무기충전재 및 포스피네이트계 첨가제를 포함하는 열전도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열전도성 수지 조성물은 폴리아미드 수지 10 중량부에 대하여 세라믹 계열의 무기 충전재 4 내지 40 중량부, 포스피네이트계 첨가제 1 내지 4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폴리아미드 수지 10 중량부에 대하여 세라믹 계열의 무기 충전재가 4 내지 40 중량부로 포함되면, 밀착성이 양호하고, 두께 조절이 용이하며, 열전도성, 내열성 및 절연성 등이 양호해질 수 있다. 열전도성, 내열성 및 절연성 등은 무기 충전재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좋은데, 그 체적 분율에 따라 향상되는 것은 아니며, 특정 첨가량부터 비약적으로 향상된다. 다만, 폴리아미드 수지 10 중량부에 대하여 40 중량부를 초과하는 세라믹 계열의 무기 충전재가 함유되면, 점도 상승으로 인하여 성형성이 악화될 수 있다. 그리고, 폴리아미드 수지 10 중량부에 대하여 4 중량부 미만의 세라믹 계열의 무기 충전재가 함유되면, 요구되는 수준의 열전도 효과를 얻을 수 없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열전도성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폴리아미드 수지는 극성인 아미드기(NHCO-)를 포함하는 수지를 의미한다. 폴리아미드 수지는, 예를 들면 폴리아미드 6, 폴리아미드 66, 폴리아미드 610, 폴리아미드 612, 폴리아미드 11, 폴리아미드 12, 폴리아미드 46, MXD 6 폴리아미드, 공중합 폴리아미드 및 투명 폴리아미드 및 그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될 수 있다. 특히, 폴리아미드 6, 폴리아미드 66 및 폴리아미드 46은 내열성 및 내충격성이 높아 전자 부품에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 중에서, 폴리아미드 6은 폴리아미드 66 및 폴리아미드 46에 비하여 융점이 낮으으로 성형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열전도성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세라믹계열의 무기 충전재는 예를 들면 산화마그네슘, 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수산화알루미늄 및 그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될 수 있다.
세라믹계열의 무기 충전재로 산화마그네슘이 사용되는 경우, 다양한 크기의 산화마그네슘이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평균 직경이 1㎛ 내지 20㎛인 산화마그네슘 그룹과 평균 직경이 40㎛ 내지 60㎛인 산화마그네슘 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크기의 산화마그네슘을 혼합하는 경우, 입자 크기가 큰 산화마그네슘 간의 공간에 입자 크기가 작은 산화마그네슘이 채워지는 패킹 효과로 인하여, 충전율 및 열전도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열전도성 수지 조성물은 탄소계 무기 충전재 및 글래스화이버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탄소계 무기 충전재 또는 글래스화이버가 더 함유되면, 세라믹계 무기 충전재 간의 브릿지 역할을 하여 열전도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탄소계 무기 충전재가 함유되면, 상대적으로 비중이 높은 세라믹계 무기 충전재의 양을 줄일 수 있어, 열전도성 수지 조성물의 무게를 줄일 수도 있다.
다만, 탄소계 무기 충전재 및 글래스화이버 중 적어도 하나가 열전도성 수지 조성물의 20wt%를 초과하여 함유되면, 열전도성 수지 조성물의 전기 전도도가 높아져 절연 성능이 낮아질 수 있다.
탄소계 무기 충전재는 그라파이트(graphite), 탄소섬유(Carbon Fiber),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 Tube, CNT) 및 그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열전도성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포스포네이트계 첨가제는, 예를 들면 미분말 유기 포스피네이트 물질(micronized organic phosphinate material)을 포함할 수 있다. 포스피네이트계 첨가제는, 예를 들면 디에틸 포스핀산 알루미늄 염(diethyl phosphinic acid aluminum salt)을 포함할 수 있다.
포스피네이트계 첨가제는 열전도성 수지 조성물의 내전압을 높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열전도성 수지 조성물에 포스피네이트계 첨가제가 첨가되면, 열전도 성능을 개선하나 내전압을 낮출 수 있는 세라믹계 무기 충전재가 첨가되더라도, 일정한 수준의 내전압이 유지될 수 있다.
폴리아미드 수지 10 중량부에 대하여 포스피네이트계 첨가제 1 내지 4 중량부가 포함되면, 열전도성 수지 조성물의 내전압을 높일 수 있다. 폴리아미드 수지 10 중량부에 대하여 포스피네이트계 첨가제가 1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면, 요구되는 수준의 내전압을 얻기 어렵다. 그리고, 폴리아미드 수지 10 중량부에 대하여 인계 첨가제가 4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면, 열전도성이 낮아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열전도성 수지 조성물은 멜라민폴리포스페이트(Melamine polyphosphate) 및 멜라민시아누레이트(Melamine Cyanurate)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멜라민폴리포스페이트 또는 멜라민시아누레이트는 포스피네이트계 첨가제와 마찬가지로, 열전도성 수지 조성물의 내전압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다만, 포스피네이트계 첨가제와 비교하여 멜라민폴리포스페이트 또는 멜라민시아누레이트의 가격은 상대적으로 저렴하다. 따라서, 포스피네이트계 첨가제와 멜라민폴리포스페이트(Melamine polyphosphate) 및 멜라민시아누레이트(Melamine Cyanurate) 중 적어도 하나를 적절히 혼합하면 내전압 수준을 유지하면서도 생산 가격을 줄일 수 있다. 포스피네이트계 첨가제 10 중량부에 대하여 멜라민폴리포스페이트(Melamine polyphosphate) 및 멜라민시아누레이트(Melamine Cyanurate) 중 적어도 하나는 1 중량부 내지 9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열전도성 수지 조성물을 섬유 기재나 글라스 기재에 코팅 또는 함침시키고, 가열에 의하여 반경화시킴으로써 프리프레그(prepreg)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열전도성 수지 조성물은 다양한 전자 부품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열전도성 수지 조성물이 적용된 인쇄 회로 기판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인쇄 회로 기판(100)은 금속 플레이트(110), 절연층(120) 및 회로 패턴(130)을 포함한다.
금속 플레이트(110)는 구리, 알루미늄, 니켈, 금, 백금 및 이들로부터 선택된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금속 플레이트(110) 상에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열전도성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 절연층(120)이 형성된다.
절연층(120) 상에는 회로 패턴(130)이 형성된다. 회로 패턴(130)은 구리, 니켈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절연층(120)은 금속 플레이트(110)와 회로 패턴(130) 사이를 절연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열전도성 수지 조성물을 절연층으로 이용함으로써, 방열 성능이 우수한 인쇄 회로 기판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열전도성 수지 조성물은 조명의 힛싱크(heatsink)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열전도성 수지 조성물이 적용되는 힛싱크의 사시도이다.
도 2를을 참조하면, 힛 싱크(200)는 조명 장치에 내장되며, 힛 싱크(200)의 상면에는 조명 장치의 광원이 배치될 수 있다. 광원은,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LED(Light Emitting Diode) 패키지를 포함할 수 있다. 광원으로부터 발생한 열은 힛 싱크(200)로 전달되며, 외부로 방출된다. 힛 싱크(200)와 공기 간의 접촉 면적을 넓히기 위하여, 힛 싱크(200)의 표면은 요철 형상(210)을 가질 수 있다.
힛 싱크(2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전도성 수지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방열 성능이 우수한 힛 싱크를 얻을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이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이축압출기의 배럴 온도를 260~270℃로 유지하면서, 폴리아미드 10 중량부, 상온에서 열전도도가 60W/mK이며 직경이 50㎛인 산화마그네슘 11.66 중량부, 디에틸 포스핀산 알루미늄 염 3 중량부를 메인 호퍼에 투입하였다. 그리고, 직경이 10㎛ 산화마그네슘 2.78 중량부를 제1 사이드 피더로 투입한 후, 그라파이트 1.94 중량부와 탄소 섬유 1.39 중량부를 제2 사이드 피더로 투입하여 스크루 속도 160rpm, 벤트 압력 600mmHg에서 압출하였다. 압출된 스트랜드를 물에서 냉각시킨 후, 회전 절단기의 속도 70rpm으로 절단하여 펠렛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이축압출기의 배럴 온도를 260~270℃로 유지하면서, 폴리아미드 10 중량부, 상온에서 열전도도가 60W/mK이며 직경이 50㎛인 산화마그네슘 15.07 중량부, 디에틸 포스핀산 알루미늄 염 2 중량부를 메인 호퍼에 투입하였다. 그리고, 직경이 10㎛ 산화마그네슘 3.17 중량부를 제1 사이드 피더로 투입한 후, 그라파이트 1.59 중량부와 탄소 섬유 1.9 중량부를 제2 사이드 피더로 투입하여 스크루 속도 160rpm, 벤트 압력 600mmHg에서 압출하였다. 압출된 스트랜드를 물에서 냉각시킨 후, 회전 절단기의 속도 70rpm으로 절단하여 펠렛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이축압출기의 배럴 온도를 260~270℃로 유지하면서, 폴리아미드 10 중량부, 상온에서 열전도도가 60W/mK이며 직경이 50㎛인 산화마그네슘 15.07 중량부, 디에틸 포스핀산 알루미늄 염 1 중량부,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 1 중량부를 메인 호퍼에 투입하였다. 그리고, 직경이 10㎛ 산화마그네슘 3.17 중량부를 제1 사이드 피더로 투입한 후, 그라파이트 1.59 중량부와 탄소 섬유 1.9 중량부를 제2 사이드 피더로 투입하여 스크루 속도 160rpm, 벤트 압력 600mmHg에서 압출하였다. 압출된 스트랜드를 물에서 냉각시킨 후, 회전 절단기의 속도 70rpm으로 절단하여 펠렛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이축압출기의 배럴 온도를 260~270℃로 유지하면서, 폴리아미드 10 중량부, 상온에서 열전도도가 60W/mK이며 직경이 50㎛인 산화마그네슘 15.07 중량부, 디에틸 포스핀산 알루미늄 염 1 중량부를 메인 호퍼에 투입하였다. 그리고, 직경이 10㎛ 산화마그네슘 3.17 중량부를 제1 사이드 피더로 투입한 후, 그라파이트 1.59 중량부와 탄소 섬유 1.9 중량부를 제2 사이드 피더로 투입하여 스크루 속도 160rpm, 벤트 압력 600mmHg에서 압출하였다. 압출된 스트랜드를 물에서 냉각시킨 후, 회전 절단기의 속도 70rpm으로 절단하여 펠렛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이축압출기의 배럴 온도를 260~270℃로 유지하면서, 폴리아미드 10 중량부, 상온에서 열전도도가 60W/mK이며 직경이 50㎛인 산화마그네슘 15.07 중량부, 디에틸 포스핀산 알루미늄 염 0.5 중량부,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 0.5 중량부를 메인 호퍼에 투입하였다. 그리고, 직경이 10㎛ 산화마그네슘 3.17 중량부를 제1 사이드 피더로 투입한 후, 그라파이트 1.59 중량부와 탄소 섬유 1.9 중량부를 제2 사이드 피더로 투입하여 스크루 속도 160rpm, 벤트 압력 600mmHg에서 압출하였다. 압출된 스트랜드를 물에서 냉각시킨 후, 회전 절단기의 속도 70rpm으로 절단하여 펠렛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이축압출기의 배럴 온도를 260~270℃로 유지하면서, 폴리아미드 10 중량부, 상온에서 열전도도가 60W/mK이며 직경이 50㎛인 산화마그네슘 11.66 중량부를 메인 호퍼에 투입하였다. 그리고, 직경이 10㎛ 산화마그네슘 2.78 중량부를 제1 사이드 피더로 투입한 후, 그라파이트 1.94 중량부와 탄소 섬유 1.39 중량부를 제2 사이드 피더로 투입하여 스크루 속도 160rpm, 벤트 압력 600mmHg에서 압출하였다. 압출된 스트랜드를 물에서 냉각시킨 후, 회전 절단기의 속도 70rpm으로 절단하여 펠렛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이축압출기의 배럴 온도를 260~270℃로 유지하면서, 폴리아미드 10 중량부, 상온에서 열전도도가 60W/mK이며 직경이 50㎛인 산화마그네슘 15.07 중량부를 메인 호퍼에 투입하였다. 그리고, 직경이 10㎛ 산화마그네슘 3.17 중량부를 제1 사이드 피더로 투입한 후, 그라파이트 1.59 중량부와 탄소 섬유 1.9 중량부를 제2 사이드 피더로 투입하여 스크루 속도 160rpm, 벤트 압력 600mmHg에서 압출하였다. 압출된 스트랜드를 물에서 냉각시킨 후, 회전 절단기의 속도 70rpm으로 절단하여 펠렛을 제조하였다.
표 1은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조성물로부터 사출된 샘플을 이용하여 내전압을 비교한 결과이다. 내전압은 TOS-5101 제품을 사용하여 1kV/sec 속도로 전압을 증가시키며 브레이크 다운(break down)되는 지점의 전압을 측정하였다.
실험번호 내전압(keV)
실시예 1 10
비교예 1 1.68
실험번호 내전압(keV)
실시예 2 9.46
실시예 3 9.59
실시예 4 8.49
실시예 5 6.91
비교예 2 3.84
표 1을 참조하면, 폴리아미드 수지 및 무기 충전재가 동일한 비율로 함유되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수지 조성물에서, 포스피네이트계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실시예 1의 내전압이 포스피네이트계 첨가제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1의 내전압에 비하여 월등하게 높음을 알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표 2를 참조하면, 폴리 아미드 수지 및 무기 충전재가 동일한 비율로 함유되는 실시예 2 내지 5 및 비교예 2의 수지 조성물에서, 포스피네이트계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실시예 2 내지 3, 포스피네이트계 첨가제 및 멜라민계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실시예 4 내지 5의 내전압이 포스피네이트계 첨가제 및 멜라민계 첨가제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2의 내전압에 비하여 월등하게 높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포스피네이트계 첨가제가 폴리아미드 수지 10 중량부에 대하여 각각 3 중량부, 2 중량부 및 1 중량부로 함유되는 실시예 1, 실시예 2 및 실시예 4를 비교하면, 포스피네이트계 첨가제의 함량이 높아짐에 따라 내전압이 높아짐을 알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8)

  1. 폴리아미드 수지 10 중량부에 대하여, 세라믹 계열의 무기 충전재 4 내지 40 중량부, 그리고 포스피네이트계 첨가제 1 내지 4 중량부
    를 포함하는 열전도성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는 폴리아미드 6, 폴리아미드 66, 폴리아미드 46 및 그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되는 열전도성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계열의 무기충전재는 산화마그네슘, 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수산화알루미늄 및 그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되는 열전도성 수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피네이트계 첨가제는 디에틸 포스핀산 알루미늄 염(Diethyl phosphinic acid aluminum salt)을 포함하는 열전도성 수지 조성물.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멜라민폴리포스페이트(Melamine polyphosphate) 및 멜라민시아누레이트(Melamine Cyanurate)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열전도성 수지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탄소계열의 무기 충전재 및 글래스화이버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열전도성 수지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계열의 무기 충전재는 그라파이트, 탄소 섬유, 탄소나노튜브 및 그들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열전도성 수지 조성물.
  8. 광원으부터 발생한 열을 전달 받아 외부로 방출하는 방열부를 포함하며,
    상기 방열부는 폴리아미드 수지 10 중량부에 대하여, 세라믹 계열의 무기 충전재 4 내지 40 중량부, 그리고 포스피네이트계 첨가제 1 내지 4 중량부를 포함하는 열전도성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힛 싱크.
KR1020130156573A 2013-12-16 2013-12-16 열전도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는 힛 싱크 KR1021131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6573A KR102113191B1 (ko) 2013-12-16 2013-12-16 열전도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는 힛 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6573A KR102113191B1 (ko) 2013-12-16 2013-12-16 열전도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는 힛 싱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9884A true KR20150069884A (ko) 2015-06-24
KR102113191B1 KR102113191B1 (ko) 2020-05-20

Family

ID=53516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6573A KR102113191B1 (ko) 2013-12-16 2013-12-16 열전도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는 힛 싱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319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96259A1 (en) * 2016-05-10 2017-11-16 Republic Polytechnic A heat sink, a filler for a heat sink and methods thereof
CN109467747A (zh) * 2017-09-07 2019-03-15 科莱恩塑料和涂料有限公司 用于聚合物组合物的增效的阻燃剂组合及其用途
WO2021034144A1 (ko) * 2019-08-21 2021-02-25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방열플라스틱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4193A (ko) * 2007-08-01 2010-04-29 가부시키가이샤 구라레 폴리아미드 조성물
KR20110094077A (ko) * 2008-12-22 2011-08-19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난연성 폴리아마이드 조성물
KR101131964B1 (ko) * 2009-07-06 2012-03-29 (주)삼박 열전도성 수지 및 그 열전도성 수지로 이루어진 led 히트싱크, led 조명 케이스 및 smps 케이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4193A (ko) * 2007-08-01 2010-04-29 가부시키가이샤 구라레 폴리아미드 조성물
KR20110094077A (ko) * 2008-12-22 2011-08-19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난연성 폴리아마이드 조성물
KR101131964B1 (ko) * 2009-07-06 2012-03-29 (주)삼박 열전도성 수지 및 그 열전도성 수지로 이루어진 led 히트싱크, led 조명 케이스 및 smps 케이스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96259A1 (en) * 2016-05-10 2017-11-16 Republic Polytechnic A heat sink, a filler for a heat sink and methods thereof
CN109467747A (zh) * 2017-09-07 2019-03-15 科莱恩塑料和涂料有限公司 用于聚合物组合物的增效的阻燃剂组合及其用途
CN109467747B (zh) * 2017-09-07 2021-07-06 科莱恩塑料和涂料有限公司 用于聚合物组合物的增效的阻燃剂组合及其用途
WO2021034144A1 (ko) * 2019-08-21 2021-02-25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방열플라스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3191B1 (ko) 2020-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977976B (zh) 导热塑料材料的热沉
EP2715227B1 (en) Led plastic heat sink and method for making and using the same
JP5728754B2 (ja) 照明装置
KR101831599B1 (ko) 이중 절연층을 포함한 방열시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방열시트
JP5016548B2 (ja) 発光素子用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それからなる成形品、並びにそれを用いてなる発光素子
JP5024071B2 (ja) 放熱性樹脂組成物
US20140080954A1 (en) Methods for making thermally conductve compositions containing boron nitride
KR20110111248A (ko) Led 조명 장치용 하우징 및 led 조명 장치
JP2009167358A (ja) 放熱性樹脂組成物
KR101831595B1 (ko) 절연방열층을 포함한 방열시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방열시트
JP2006328352A (ja) 絶縁性熱伝導性樹脂組成物及び成形品並びにその製造方法
KR102113191B1 (ko) 열전도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는 힛 싱크
KR101657338B1 (ko) 고분자 수지 조성물과 제조 방법, 및 플라스틱 사출 성형품
KR20140121161A (ko) 전기절연성 및 열전도성 고분자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20130118417A (ko) 유연성이 우수한 고방열 기판
TWI667338B (zh) 用於高導熱材料之組成物
CN109354868B (zh) 一种石墨烯改性的阻燃导热尼龙塑料及其制备方法
KR20150029445A (ko) 열전도성 수지 조성물
KR20150044682A (ko) 열전도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는 힛 싱크
KR20230154839A (ko) 열전도성 수지 시트
KR101688278B1 (ko) 비카본계 필러 함유 열전도성 수지 조성물 및 압출성형품의 제조방법
KR101241787B1 (ko) 방열특성이 개선된 수지조성물
KR101267252B1 (ko) 유연성이 우수한 고방열 기판
US20190186841A1 (en) Thermal management device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KR20150126478A (ko) 열전도성 분말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사출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