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9820A -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9820A
KR20150069820A KR1020130156413A KR20130156413A KR20150069820A KR 20150069820 A KR20150069820 A KR 20150069820A KR 1020130156413 A KR1020130156413 A KR 1020130156413A KR 20130156413 A KR20130156413 A KR 20130156413A KR 20150069820 A KR20150069820 A KR 201500698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drying duct
tub
coupled
pa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6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564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69820A/ko
Publication of KR201500698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98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Abstract

건조효율이 향상되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세탁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세탁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세탁수가 저수되도록 상기 캐비닛 내부에 마련되는 터브, 상기 터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드럼, 공기를 가열하여 상기 드럼의 내부로 공급하는 건조 덕트 및 상기 터브 및 상기 건조 덕트를 연결하고, 내측에 상기 건조 덕트를 향하여 상방으로 돌출되는 가이드가 마련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에는 상기 가이드와 이격되도록 상기 가이드 외측에 배치되는 패킹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세탁기{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건조효율이 향상되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세탁기는 전력을 이용하여 의류를 세탁하는 기계로서, 일반적으로 세탁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과, 캐비닛 내부에 세탁수를 저수하는 터브와, 터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과, 드럼을 회전 구동하기 위한 모터를 구비한다.
드럼의 내부에 세탁물 및 세탁수가 투입된 상태에서 드럼이 모터에 의해 회전하면 세탁물이 드럼 및 세탁수와 마찰하여 세탁물에 묻은 때가 제거된다.
일반적으로, 건조 기능을 가지는 드럼 세탁기는 건조 히터에 의한 열기를 세탁물이 수용된 수용 공간 내에 송풍하여 세탁물을 건조하는 건조 장치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건조 기능을 단독으로 수행하거나, 세탁 기능과 연계하여 탈수 완료 후 건조 기능을 수행한다.
세탁기의 건조 장치는 가열 장치에 의해 가열된 뜨거운 공기를 드럼의 내부로 공급하여 세탁물을 가열함으로써 세탁물의 수분을 증발시키고, 증발된 수분을 응축시켜 배출함으로써 세탁물의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세탁기 내부에 건조 장치를 설치하는 과정에 있어서, 건조 장치의 구조적 이유로 인해 건조 장치가 견고하게 설치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어렵다. 따라서 건조 장치 설치상의 하자가 빈번하게 일어날 수 있고, 설치상 하자의 일 예로써 건조 장치와 터브의 결합부위에 틈새가 발생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틈새를 통해 드럼 내부의 습한 공기가 유출될 수 있고, 습한 공기는 세탁기 내부의 구조물을 손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건조 덕트에서 발생하는 공기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세탁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건조 덕트 및 터브의 결합을 견고히 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세탁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세탁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세탁수가 저수되도록 상기 캐비닛 내부에 마련되는 터브, 상기 터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드럼, 공기를 가열하여 상기 드럼의 내부로 공급하는 건조 덕트 및 상기 터브 및 상기 건조 덕트를 연결하고, 내측에 상기 건조 덕트를 향하여 상방으로 돌출되는 가이드가 마련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에는 상기 가이드와 이격되도록 상기 가이드 외측에 배치되는 패킹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건조 덕트는 제 1하우징, 상기 제 1하우징과 결합하여 내부에 공기가 이동하는 유로부를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를 따라 상기 연결부재에 결합되는 결합부가 마련되는 제 2하우징 및 상기 유로부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유로부 내부의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가이드의 외주면 및 상기 패킹의 내주면 사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2하우징과 마주하는 상기 연결부재의 일 면에는 상기 결합부가 삽입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결합부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는 상기 연결부재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가이드의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건조 덕트를 향하여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연결부재에 연결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패킹은 상기 지지부를 감싸도록 상기 지지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는 상기 패킹이 결합된 상기 지지부보다 상기 건조 덕트를 향하여 상방으로 더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는 상기 패킹이 결합된 상기 지지부와 동일한 정도로 상기 건조 덕트를 향하여 상방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세탁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세탁수가 저수되도록 상기 캐비닛 내부에 마련되는 터브, 상기 터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드럼, 공기를 가열하여 상기 드럼의 내부로 공급하는 건조 덕트, 상기 터브 및 상기 건조 덕트를 연결하고, 내부에 공기가 이동하는 공기이동통로가 형성되는 연결부재 및 상기 건조 덕트 및 상기 연결부재의 결합을 견고히 하도록 상기 연결부재에 결합되는 패킹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연결부재와 마주하는 상기 건조 덕트의 일 면에 형성되는 결합부를 가이드하도록 상기 건조 덕트를 향하여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가이드와 이격되도록 상기 가이드 외측에 마련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패킹은 상기 지지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가이드 및 상기 패킹 사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및 상기 패킹이 결합된 상기 지지부는 상기 건조 덕트를 향하여 돌출된 정도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킹은 상기 지지부의 표면을 감싸도록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는 상기 패킹이 결합된 상기 지지부보다 상기 건조 덕트를 향하여 더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가이드의 외측에 결합하도록 상기 가이드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패킹은 탄성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터브 및 건조 덕트를 연결하는 연결부재의 내측에 가이드를 마련함으로써 건조 덕트가 가이드를 따라 연결부재에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가이드가 패킹이 결합된 지지부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거나, 패킹이 결합된 지지부보다 더 높은 높이를 가지도록 연결부재를 형성함으로써 건조 덕트를 연결부재에 조립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패킹이탈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터브에 건조 덕트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터브 및 건조 덕트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중요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시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건조 덕트 및 연결부재가 결합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건조 덕트 및 연결부재가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캐비닛을 생략하고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건조 행정 시 공기의 유동 흐름을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터브에 건조 덕트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기(1)는 그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 세탁행정 또는 헹굼행정에 사용될 세탁수 또는 헹굼수를 수용하는 터브(20),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30) 및 드럼(30)을 회전시키는 모터(40)를 포함한다.
캐비닛(10)에는 사용자로부터 세탁기(1)의 동작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81a,81b) 및 세탁기(1)의 동작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83)를 포함하는 컨트롤 패널(80)이 마련된다.
입력부(81a,81b)는 세탁시간, 헹굼 횟수, 탈수시간, 건조시간, 동작 및 일시정지 등 세탁기(1)의 동작과 관련된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으며, 가압식 버튼(81a) 또는 회전식 버튼(81b)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83)는 세탁수의 양, 세탁기(1)가 수행 중인 행정, 세탁 종료까지 남은 시간 등 세탁기(1)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며,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패널,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 LED)패널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1)는 입력부(81a,81b)와 표시부(83)를 별도로 마련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터치 스크린 패널(Touch Screen Panel: TSP)를 채용하여 입력부와 표시부를 일체로 마련할 수도 있다.
또한, 캐비닛(10)은 프레임(10a,10b,10c,10d)들을 포함하며, 프레임(10a,10b,10c,10d)은 각각 캐비닛의 상면을 이루는 상면 프레임(10a), 캐비닛(10)의 전, 후면을 이루는 전면 프레임(10b) 및 후면 프레임(10c), 전면 프레임(10b)과 후면 프레임(10c)을 연결하며 캐비닛(10)의 측면과 하면을 이루는 측면 프레임(미도시) 및 하면 프레임(10d)으로 구성된다.
캐비닛(10)의 전면 프레임(10b)에는 드럼(30)의 내부로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도록 투입구(2a)가 형성된다. 투입구(2a)는 캐비닛(10)의 전면 프레임(10b)에 설치된 도어(13)에 의해 개폐된다.
터브(20)와 캐비닛(10)의 사이에는 터브(20)를 상측에서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17)이 마련될 수 있다. 스프링(17)은 탄성력으로 인해 터브(20)가 유동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진동과 소음을 완화하는 역할을 한다.
터브(20)는 캐비닛(10)의 내측 전방에 위치하는 제 1터브(21)와, 제 1터브(21)의 후면부에 결합되는 제 2터브(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터브(21)는 원주 방향으로 마련되는 원통부(21a)와, 원통부(21a)의 전면에 위치하는 전면판(21b)을 포함한다.
제 2터브(23)는 원주 방향으로 마련되는 원통부(23a)와, 원통부(23a)의 후면에 위치하는 후면판(23b)을 포함한다.
제 1터브(21)의 원통부(21a)와 제 2터브(23)의 원통부(23a)가 결합되어 터브(20)를 구성한다.
터브(20)의 상부에는 터브(20)로 세탁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장치(50)와, 급수장치(50)에 연결되어 급수장치(50)를 통해 전달된 세탁수가 세제와 함께 터브(20)로 공급되도록 하는 세제공급장치(60)가 배치되며, 터브(20)의 하부에는 세탁에 사용된 세탁수를 캐비닛(10)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장치(70)가 배치된다.
급수장치(50)는 외부의 급수원(미도시)과 세제공급장치(60)를 연결하는 제 1급수관(51)과, 제 1급수관(51)과 건조 덕트(100)를 연결하는 제 2급수관(52)과, 제 1급수관(51)에 배치되어 제 1급수관(51)을 개폐하는 급수밸브(55)와, 세제공급장치(60)와 터브(20)를 연결하여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되어 세제공급장치(60)를 경유한 세탁수를 터브(20)로 공급하는 연결관(57)을 포함할 수 있다.
배수장치(70)는 터브(20) 내부의 물을 캐비닛(10)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펌프(71)와, 터브(20) 내부의 물이 배수펌프(71)로 유입될 수 있도록 터브(20)와 배수펌프(71)를 연결하는 연결호스(73)와, 배수펌프(71)에 의해 펌핑된 물을 캐비닛(10)의 외부로 안내하는 배수호스(75)를 포함할 수 있다.
터브(20)는 댐퍼(90)에 의해 지지된다. 댐퍼(90)는 캐비닛(10)의 내측 바닥면과 터브(20)의 외면을 연결한다. 또한, 댐퍼(90)는 캐비닛(10)의 내측 바닥면 외에도 상측, 좌우측에 위치하여 터브(20)를 지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댐퍼(90) 또는 스프링(17)은 터브(20)의 상하에서 터브(20)의 상하 유동으로부터 발생하는 진동과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터브(20)는 적어도 하나의 댐퍼(9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드럼(30)의 후면에는 모터(40)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축(41)이 연결된다. 드럼(30)의 둘레에는 세탁수의 유통을 위한 다수의 통공(31)이 형성된다. 드럼(30)의 내주면에는 드럼(30)이 회전할 때 세탁물의 상승 및 낙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복수의 리프터(33)가 설치된다.
드럼(30)과 모터(40) 사이에는 구동축(41)이 배치된다. 구동축(41)의 일단은 드럼(30)의 후면판에 연결되고, 구동축(41)의 타단은 터브(20)의 후벽의 외측으로 연장된다. 모터(40)가 구동축(41)을 구동하면, 구동축(41)에 연결된 드럼(30)이 구동축(41)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터브(20)의 후벽에는 구동축(4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베어링 하우징(25)이 설치된다. 베어링 하우징(25)은 알루미늄 합금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터브(20)를 사출 성형할 때 제 2터브(23)의 후면판(23b)에 인서트 사출될 수 있다. 베어링 하우징(25)과 구동축(41) 사이에는 구동축(41)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베어링(27)들이 설치된다.
세탁기(1)는 터브(20) 내부의 공기를 건조시킨 후 건조된 공기를 다시 터브(20)의 내부로 공급하도록 터브(20)에 마련되는 건조 덕트(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건조 덕트(100)는 터브(20)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으나, 건조 덕트(100)의 위치는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터브 및 건조 덕트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중요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시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건조 덕트 및 연결부재가 결합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건조 덕트 및 연결부재가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캐비닛을 생략하고 도시한 사시도이다. 미도시된 도면 부호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한다.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 덕트(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110) 및 하우징(110) 내부에 마련되어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12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제 1하우징(111) 및 제 2하우징(1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하우징(111) 및 제 2하우징(112)은 서로 결합하여 내부에 공기가 이동하는 유로부(113)를 형성할 수 있다.
제 1하우징(111) 및 제 2하우징(112)의 테두리에는 고정부재(미도시)에 의해 제 1하우징(111) 및 제 2하우징(112)이 결합되도록 고정부재가 체결되는 복수의 고정홀(119)이 형성될 수 있다.
건조 덕트(100)의 일측은 연결부재(140)에 의해 터브(20)와 연결되고, 타측에는 터브(20)의 커넥터(21c)에 연결되는 연통부(118)가 마련되어 공기는 터브(20)와 건조 덕트(100) 사이를 순환한다. 연결부재(140)는 후술한다.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터브(20)의 공기가 건조 덕트(100)로 유입되어 다시 터브(2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공기의 순환 흐름을 형성하는 송풍팬(130)이 위치할 수 있다.
송풍팬(130)은 송풍팬(130)에 연결되는 구동모터(116)에 의해 작동 가능하다.
송풍팬(130) 하부에 위치하는 제 2하우징(112)의 일 면(112a)에는 터브(20)로부터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송풍팬(130)의 크기에 대응하는 송풍홀(117)이 마련될 수 있다.
하우징(110)은 제 1하우징(111) 및 제 2하우징(112)으로 분리되지 않고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세탁기(1)는 터브(20) 및 건조 덕트(10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재(140)의 내부에는 공기가 이동하는 공기이동통로(143)가 형성될 수 있다.
송풍홀(117)이 형성되는 제 2하우징(112)의 일 면(112a)과 마주하는 연결부재(140)의 일 면(140a)에는 개구부(144)가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144)는 연결부재(140)의 내부에 형성되는 공기이동통로(143)의 일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터브(20) 내부의 공기는 개구부(144)를 통해 건조 덕트(100)로 유입될 수 있다.
연결부재(140)는 개구부(144)의 둘레를 형성하고, 건조 덕트(100)를 향하여 상방으로 돌출되는 가이드(141)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141)는 연결부재(14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140)는 가이드(141)와 이격되도록 가이드(141) 외측에 위치하고, 건조 덕트(100)를 향하여 상방으로 돌출되는 지지부(1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142)는 연결부재(14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142)는 가이드(141) 및 연결부재(14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141) 및 지지부(142)의 돌출정도는 서로 상이하거나 동일할 수 있다.
세탁기(1)는 건조 덕트(100) 및 연결부재(140)의 결합을 견고히 하도록 연결부재(140)에 결합되는 패킹(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패킹(150)은 탄성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고무를 포함할 수 있다.
패킹(150)은 지지부(142)를 감싸도록 지지부(142)에 결합될 수 있다. 즉, 패킹(150)은 지지부(142)의 표면을 감싸도록 지지부(142)에 결합될 수 있다.
지지부(142)에 결합된 패킹(150) 및 가이드(141) 사이에는 건조 덕트(100)가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홀(145)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건조 덕트(100)의 제 2하우징(112) 일면(112a)에는 송풍홀(117)의 둘레를 형성하는 결합부(114)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114)는 연결부재(140)를 향하여 하방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결합부(114)는 결합홀(145)에 결합될 수 있다. 즉, 결합부(114)는 가이드(141)를 따라 가이드(141)의 외주면 및 패킹(150)의 내주면 사이에 형성되는 결합홀(145)에 체결될 수 있다.
결합홀(145)에 체결되는 결합부(114)의 결합력을 보완하도록 가이드(141)의 외주면과 마주하는 패킹(150)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돌기(151, 도 6참조)가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144)는 결합부(114)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가이드(141) 및 패킹(150)이 결합된 지지부(142)는 건조 덕트(100)를 향하여 상방으로 돌출된 정도가 상이할 수 있다.
가이드(141)는 결합부(114)가 가이드(141)의 외주면을 따라 결합홀(145)에 결합되도록 패킹(150)이 결합된 지지부(142)보다 건조 덕트(100)를 향하여 상방으로 더 돌출될 수 있다.
가이드(141)는 패킹(150)이 결합된 지지부(142)와 동일한 정도로 건조 덕트(100)를 향하여 상방으로 돌출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건조 행정 시 공기의 유동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미도시된 도면 부호는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30)은 터브(2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세탁물은 드럼(30) 내부에서 회전되면서 터브(20) 내부에서 순환하는 공기에 의해 건조된다. 드럼(30) 내부의 세탁물에 포함된 수분을 흡수한 고온 다습한 공기는 터브(20) 내측에서 응축된다. 즉, 응축수가 공급되면서 응축수와의 열교환을 통해 공기 속의 수분이 응축된다.
응축수는 드럼(30)과 터브(20) 사이로 공급되어 드럼(30) 내의 고온 다습한 공기를 통해 응축시킬 수 있다. 또한, 터브(20)의 내측에 별도의 응축수 공급통로를 구현하여 고온 다습한 공기를 응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외에도 드럼(30)의 회전에 따라 응축수가 이동하도록 응축수를 드럼(30)을 회전시키는 구동축(41) 방향으로 낙하시켜 드럼(30) 내부의 고온 다습한 공기를 응축시킬 수 있다. 이 과정에서 형성되는 응축수는 낙하하여 터브(20), 연결호스(73), 배수펌프(71) 및 배수호스(75)를 순차적으로 거쳐 세탁기(1) 외부로 배출된다.
대부분의 수분이 제거된 상태의 공기는 터브(20)에서 연결부재(140)를 통해 건조 덕트(100)로 유입된다. 송풍팬(130)은 이러한 공기의 흐름을 유도한다. 건조 덕트(100)로 유입된 공기는 건조 덕트(100) 내부의 히터(120)에 의해 가열된 후, 고온 건조한 상태로 건조공기유로(160)를 통해 다시 터브(20)의 내부로 유입된다. 건조 덕트(100) 내부에 히터(120)를 두어 공기를 가열하는 이유는 공기의 온도가 높을수록 흡수할 수 있는 수분도 많아지기 때문에 세탁물에 포함된 수분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게 때문이다.
터브(20) 내부로 유입된 고온 건조한 상태의 공기는 드럼(30) 내부의 세탁물에 포함된 수분을 흡수한 후, 다시 터브(20) 내측에서 응축되고 다시 건조 덕트(100)로 유입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세탁물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여 세탁물을 건조한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 세탁기 2a : 투입구
10 : 캐비닛 13 : 도어
20 : 터브 21 : 제 1터브
21b : 전면판 21c : 커넥터
23 : 제 2터브 23b : 후면판
21a, 23a : 원통부 25 : 베어링 하우징
27 : 베어링 30 : 드럼
31 : 통공 33 : 리프터
40 : 모터 41 : 구동축
50 : 급수장치 51 : 제 1급수관
52 : 제 2급수관 55 : 급수밸브
57 : 연결관 60 : 세제공급장치
70 : 배수장치 71 : 배수펌프
73 : 연결호스 75 : 배수호스
80 : 컨트롤 패널 81a : 가압식 버튼
81b : 회전식 버튼 83 : 표시부
100 : 건조 덕트 110 : 하우징
111 : 제 1하우징 112 : 제 2하우징
112a : 제 2하우징의 일면 113 : 유로부
114 : 결합부 116 : 구동모터
117 : 송풍홀 118 : 연통부
120 : 히터 130 : 송풍팬
140 : 연결부재 140a : 연결부재 일면
141 : 가이드 142 : 지지부
143 : 공기이동통로 144 : 개구부
145 : 결합홀 150 : 패킹
151 : 돌기 10a : 상면 프레임
10b : 전면 프레임 10c : 후면 프레임
10d : 하면 프레임 17 : 스프링
90 : 댐퍼 119 : 고정홀
160 : 건조공기유로

Claims (15)

  1.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세탁수가 저수되도록 상기 캐비닛 내부에 마련되는 터브;
    상기 터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드럼;
    공기를 가열하여 상기 드럼의 내부로 공급하는 건조 덕트; 및
    상기 터브 및 상기 건조 덕트를 연결하고, 내측에 상기 건조 덕트를 향하여 상방으로 돌출되는 가이드가 마련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에는 상기 가이드와 이격되도록 상기 가이드 외측에 배치되는 패킹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덕트는,
    제 1하우징;
    상기 제 1하우징과 결합하여 내부에 공기가 이동하는 유로부를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를 따라 상기 연결부재에 결합되는 결합부가 마련되는 제 2하우징; 및
    상기 유로부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유로부 내부의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가이드의 외주면 및 상기 패킹의 내주면 사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하우징과 마주하는 상기 연결부재의 일 면에는 상기 결합부가 삽입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결합부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상기 연결부재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가이드의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건조 덕트를 향하여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연결부재에 연결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패킹은 상기 지지부를 감싸도록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상기 패킹이 결합된 상기 지지부보다 상기 건조 덕트를 향하여 상방으로 더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상기 패킹이 결합된 상기 지지부와 동일한 정도로 상기 건조 덕트를 향하여 상방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9.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세탁수가 저수되도록 상기 캐비닛 내부에 마련되는 터브;
    상기 터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드럼;
    공기를 가열하여 상기 드럼의 내부로 공급하는 건조 덕트;
    상기 터브 및 상기 건조 덕트를 연결하고, 내부에 공기가 이동하는 공기이동통로가 형성되는 연결부재; 및
    상기 건조 덕트 및 상기 연결부재의 결합을 견고히 하도록 상기 연결부재에 결합되는 패킹;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연결부재와 마주하는 상기 건조 덕트의 일 면에 형성되는 결합부를 가이드하도록 상기 건조 덕트를 향하여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가이드와 이격되도록 상기 가이드 외측에 마련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패킹은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가이드 및 상기 패킹 사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및 상기 패킹이 결합된 상기 지지부는 상기 건조 덕트를 향하여 돌출된 정도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은 상기 지지부의 표면을 감싸도록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는 상기 패킹이 결합된 상기 지지부보다 상기 건조 덕트를 향하여 더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4.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가이드의 외측에 결합하도록 상기 가이드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5.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은 탄성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KR1020130156413A 2013-12-16 2013-12-16 세탁기 KR201500698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6413A KR20150069820A (ko) 2013-12-16 2013-12-16 세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6413A KR20150069820A (ko) 2013-12-16 2013-12-16 세탁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9820A true KR20150069820A (ko) 2015-06-24

Family

ID=53516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6413A KR20150069820A (ko) 2013-12-16 2013-12-16 세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6982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84200B2 (en) Washing machine
EP3189179B1 (en) Washing machine
KR102627713B1 (ko) 세탁기
US20060169006A1 (en) Drum type washing machine
US20050172678A1 (en) Pedestal assembly of washing machine
US20120144875A1 (en)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KR102165604B1 (ko) 세탁기
US10344420B2 (en) Washing machine
KR20140104304A (ko) 드럼 세탁기
KR20170041415A (ko) 세탁물 처리기기
KR20150069820A (ko) 세탁기
KR20190020562A (ko) 세탁기
CN109629168B (zh) 洗涤干燥机
KR102627706B1 (ko) 세탁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00094676A (ko) 컨트롤패널 조립부 및 이를 구비하는 세탁장치
US20050262886A1 (en) Base assembly and washing machine with the same
KR101012387B1 (ko) 캐비닛 및 이를 구비하는 세탁장치
JP5440467B2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US20180057990A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JP4922330B2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KR20100105198A (ko) 세탁물 처리기기
JP5600608B2 (ja) 洗濯乾燥機
KR20180052283A (ko) 의류처리장치
KR20140104309A (ko) 드럼 세탁기
KR20100102312A (ko) 세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