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2312A - 세탁장치 - Google Patents

세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2312A
KR20100102312A KR1020090020623A KR20090020623A KR20100102312A KR 20100102312 A KR20100102312 A KR 20100102312A KR 1020090020623 A KR1020090020623 A KR 1020090020623A KR 20090020623 A KR20090020623 A KR 20090020623A KR 20100102312 A KR20100102312 A KR 201001023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rgent
detergent container
tub
locking projection
laund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0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73925B1 (ko
Inventor
김정찬
한인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206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3925B1/ko
Priority to CN2009102067325A priority patent/CN101736560B/zh
Publication of KR201001023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23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39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39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73Braking devices, e.g. linear or rotational dampers or friction brakes; Buffers; End s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50Safety devices or the like for draw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장치에 관한 것으로, 외형을 형성하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마련되며 세탁수가 저장되는 터브와, 상기 터브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드럼과, 상기 드럼에 회전력을 부여하는 구동부와, 상기 캐비닛에 마련되어 상기 터브로 세탁수 및 세제를 공급하도록 상기 세제의 수납을 위하여 인출되는 세제통이 구비되며, 상기 세제통의 탈거가 방지되는 세제공급장치를 구비하며, 이에 따라 세제공급장치의 착탈구조를 개선함으로써 불필요하게 세제공급장치가 분리되는 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세탁장치{Laundry machine}
본 발명은 세탁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세탁장치에 마련되는 세제공급장치의 착탈구조를 개선한 한 세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장치는 세제의 유화작용과 펄세이터 또는 드럼의 회전에 따른 수류의 마찰작용 및 세탁물에 가하는 충격작용 등을 이용하여 의복 및 침구 등에 부착된 각종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제품이다. 최근에 등장하는 전자동 세탁장치는 중간에 사용자의 조작없이 세탁코스, 헹굼코스, 탈수코스 등으로 이어지는 일련의 행정을 자동으로 진행한다.
최근에는 세탁조가 세워진 상태로 회전하는 펄세이터 세탁장치에 비해 전체 높이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탁물이 꼬이고 세탁물에 주름이 많이 생기는 문제가 거의 발생되지 않는 드럼형 세탁장치의 수요가 점점 늘어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세탁장치의 구조를 간략히 설명하면, 외형을 형성하는 본체 캐비닛과, 본체 캐비닛의 내측에 위치하며 댐퍼와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고 세탁수가 저장되는 터브와, 터브의 내측에 위치하며 세탁물을 넣을 수 있는 원통형상의 드럼으로 크게 구분되고, 드럼은 드럼 내에 투입된 세탁물을 세탁하기 위한 구동부에 의해 구동력을 전달 받는다.
이러한 세탁장치에는 세탁물의 세탁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별도의 세제를 공급하기 위한 세제공급장치가 마련된다.
종래의 세제공급장치는 세제통 하우징과, 급수호스와 연결되어 세제통 하우징으로 세탁수를 분사하는 디스펜서와, 세제통 하우징에 삽입되어 세제와 표백제 등이 저장되는 세제통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세제통은 세제통 하우징에 인출 가능토록 삽입되고 세제통 하우징의 하부에는 터브로 세탁수 및 세제를 터브로 공급하는 급수 밸로우즈가 마련된다.
한편, 세제통의 상부와, 디스팬서의 하부에는 세제통의 인출시 세제통이 어느 정도 인출됨에 따라 거치되는 걸림돌기와, 걸림부가 각각 형성된다. 이에 세제통의 인출시 세제통이 쉽게 탈거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세탁장치의 세제공급장치는 조립을 위하여 세제통 캡과 세제통 사이에 조립 공차가 반듯이 필요하다. 이러한 조립공차에 의해 세제통 캡과 세제통 사이에 형성된 걸림돌기 및 돌기부의 유격이 필요이상으로 커지는 문제접이 있다.
이러한 걸림돌기 및 돌기부의 유격에 의해 사용자가 세제를 공급하기 위하여 세제통을 인출할 때 사용자에 의한 외력 및 흔들림에 의해 세제통이 세탁장치로부터 임의로 탈거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세탁장치의 세제공급장치의 착탈구조를 개선하여 세제공급장치의 결합구조를 강화시킨 세탁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는, 외형을 형성하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마련되며 세탁수가 저장되는 터브와, 상기 터브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드럼과, 상기 드럼에 회전력을 부여하는 구동부(70)와, 상기 캐비닛에 마련되어 상기 터브로 세탁수 및 세제를 공급하도록 상기 세제의 수납을 위하여 인출되는 세제통이 구비되며, 상기 세제통의 탈거가 방지되는 세제공급장치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제공급장치는 상기 캐비닛에 장착되는 세제통 하우징과, 상기 세제통 하우징의 상부에 마련되어 세탁수를 공급하고, 그 하면에 제 1걸림돌기가 형성되는 디스펜서와, 상기 세제통 하우징에 인출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제 1걸림돌기에 거치되는 걸림부가 형성되는 세탁통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걸림돌기는 상기 디스펜서의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 1걸림돌기의 단부에서 상기 세제통의 인출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절곡되는 제 1절곡단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는 상기 제 1걸림돌기 측으로 돌출되는 제 2걸림돌기와, 상기 제 2걸림돌기의 단부에서 상기 세제통의 인출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 1절곡 단에 거치되는 제 2절곡단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제통은 상기 세제가 수납되는 다수의 세제수용부와, 상기 세제수용부를 구획하는 구획부를 구비하며, 상기 걸림부는 상기 구획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획부의 일부가 "⊃"자 형태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탄성편이 형성되고, 상기 제 2걸림돌기는 상기 탄성편의 단부에서 상기 제 1걸림돌기 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걸림돌기는 상기 세탁통의 삽입방향의 반대방향에 제 1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 2걸림돌기는 상기 세탁통의 삽입방향에 상기 세탁통의 삽입시 상기 제 1경사면에 접하는 제 2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탁방법에 따르면, 세제공급장치의 착탈구조를 개선함으로써 불필요하게 세제공급장치가 분리되는 일을 방지할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각 구성요소들의 명칭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에 정의된 각각의 명칭들은 당업계에서 다른 명칭으로 호칭 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는 외형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캐비닛(10)의 내부에 마련되며 세탁수가 저장되는 터브(30)와, 터브(30)의 내측에 축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드럼(50)과, 드럼(50)에 회전력을 부여하여 드럼(50) 내에 투입된 세탁물을 세탁, 헹굼, 탈수 시키는 구동부(70)와, 각 구성부를 제어하여 세탁장치를 작동시키는 제어부(60) 및 제어부(60)와 연계되어 각 구성부를 제어하기 위한 조작패널(20)을 포함한다.
상기 캐비닛(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의 외형을 형성하며, 후술될 각종 구성요소가 내측 및 외측에 장착된다. 이러한, 캐비닛(10)의 전방측에는 세탁물을 투입하기 위한 도어(12)가 회동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터브(30)는 캐비닛(10)의 내측에 세탁수를 수용하도록 마련되며, 도어(12)로 투입되는 세탁물을 수용하도록 도어(12) 측으로 개방된 함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터브(30)의 후면에는 드럼(50)을 회전시키는 구동부(70)가 장착된다. 이러한 구동부(70)는 모터 등으로 이루어져 드럼(50)을 회전시키게 되며, 제어부(60)의 제어에 따라 구동부(70)의 회전속도가 제어된다. 이러한 구동부(70)의 구 조, 종류에 대해서는 당업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으며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으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터브(30)는 상부의 스프링(31) 및 하부의 댐퍼(32)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된다. 이에 구동부(70)에 의한 드럼(50)의 회전시 발생하는 진동이 터브(30)를 통해 캐비닛(10)으로 전달될 때 스프링(31)과 댐퍼(32)에 의해 완충 및 감쇠되어 드럼(50)의 회전에 따른 진동이 캐비닛(10)으로 전달되는 것을 감소시킨다.
또한, 터브(30)의 상측에는 외부의 수원으로부터 터브(30) 내부로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급수호스(33)와, 급수호스(33) 상에 설치되어 물의 출입을 제어하는 급수밸브(34)와, 상기 급수호스(33)를 통해 공급되는 물이 세제와 함께 터브(30) 내부로 투입되도록 세제가 투입되는 세제공급장치(100)가 설치된다. 세제공급장치(100)에 대해서는 추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리고, 터브(30)의 하측에는 세탁 및 헹굼 등에 사용된 세탁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배수호스(36)와 배수펌프(37)가 설치된다.
한편, 터브(30)의 외측에는 세탁장치의 건조행정을 위해 공기를 순환시키는 순환덕트(40)가 설치된다. 즉, 순환덕트(40)는 터브(30) 내부의 공기를 인출한 후 가열하여 다시 터브(30)로 유입시키도록 구성된다.
여기에서, 순환덕트(40)는 건조덕트(41)와 응축덕트(47)로 구분된다. 이때, 상기 건조덕트(41) 내부에는 터브(30) 내측으로 열풍을 토출할 수 있도록 히터(43)와 송풍팬(45)이 설치된다.
이러한 건조덕트(41)와 응축덕트(47)는 상호 연통됨과 아울러 드럼(50) 내부 와 연통되도록 설치되며, 터브(30)에는 건조덕트(41)를 통한 더운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38)와, 응축덕트(47)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39)가 형성된다. 또한, 응축덕트(47)에는 공기 중의 습기를 응축시키도록 냉각수를 공급하는 급수기(49)가 설치된다.
상기 드럼(50)은 터브(30)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드럼(50)의 내측에는 도어(12) 측으로 투입되는 세탁물이 투입되어 적재된다. 이러한 드럼(50)에는 세탁수가 통공되는 다수의 배수공(52)이 형성되며, 드럼(50)의 내측에는 드럼(50)이 회전될 때 드럼(50)에 적재된 세탁물을 거치하여 상승시킨 후 낙하시키는 다수의 리프트(54)가 형성되며, 리프트(54)에 의한 세탁물의 유동에 따라 세탁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60)는 세탁장치의 전반적인 작동을 제어하며, 세탁장치의 설정에 따라 세탁장치를 작동시킨다. 즉, 일반적인 작동과 설정된 특정 시간에 예약작동을 위한 제어를 수행한다.
상기 조작패널(20)은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12)의 상측에 마련되며 세탁장치의 작동을 제어하기 조작부(22) 및 세탁장치의 작동상태를 디스플레이 하는 표시부(26)가 구비된다. 여기서 조작부(22)와 표시부(26)는 상술한 제어부(60)와 연계되어 세탁장치의 작동을 제어하거나, 세탁장치의 작동상태를 디스플레이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주요부인 세제공급장치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제공급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제공급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세제공급장치(100)는 세탁기의 상부에 형성된 세제통 장착부(미도시) 내측에 설치되는 세제통 하우징(110)과, 세제통 하우징(110)에 인출 가능토록 삽입되는 세제통(130)과, 세제통 하우징(110)의 개구된 상면에 장착되는 디스펜서(120)를 구비한다.
세제통 하우징(110)은 전면 및 상면이 개방되는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후방부에는 터브(30)로 세탁수 및 세제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 밸로우즈(117)가 연결되는 배수구(112)가 형성된다.
디스펜서(120)는 세제통 하우징(110)의 상부에 결합되어 세제통(130)의 수납공간을 형성한다. 이러한 디스펜서(120)는 세탁수를 공급하는 급수호스(33)가 연결된다. 디스펜서(120)의 내부에는 세탁수가 충전되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며, 그 하측에는 급수호스(33)에 의해 공급되는 세탁수가 세제통(130)으로 분사되도록 다수의 분사홀(미도시)이 형성된다.
또한, 디스펜서(120)의 하면에는 세제통(130)의 탈거를 방지하기 위한 제 1걸림돌기(122)가 형성된다. 이러한 제 1걸림돌기(122)는 디스펜서(120)의 하면에서 돌출되어 세제통(130)의 인출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절곡되는 제 1절곡단(124)이 형성된다. 한편, 제 1걸림돌기(122)의 제 1절곡단(124) 외측(세제통(130)의 인출방향 측)에는 세제통(130)의 원할한 삽입을 위하여 하부가 세제통(130)의 삽입방향으로 경사지는 제 1경사면(126)이 형성된다(도 4참조).
세제통(130)은 세제통(130)이 인출되도록 손잡이(132)가 형성된 전면부(131)와, 전면부(131)의 후방에 형성된 분말 세제 및 표백제 및 유연제 등의 보조 세제 가 수용되는 세제수용부(133)와, 세제수용부(133)의 영역을 구획하는 구획부(134)와, 구획부(134)에 마련되어 세제통(130)의 인출시 제 1걸림돌기(122)에 거치되는 걸림부(135)를 구비한다.
여기서 걸림부(135)는 걸림부(135)는 구획부의 일부가 "⊃"자 형태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탄성편(136)과, 탄성편(136)의 단부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제 2걸림돌기(137)를 구비한다.
여기서 제 2걸림돌기(137)는 탄성편(136)의 상면에서 돌출되어 세제통(130)의 인출방향으로 절곡되는 제 2절곡단(138)이 형성된다. 한편, 제 2걸림돌기(137)의 제 2절곡단 외측(세제통의 삽입방향 측)에는 세제통(130)의 원할한 삽입을 위하여 상부가 세제통(130)의 인출방향으로 으로 경사지는 제 2경사면(139)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제공급장치의 작동을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각각의 요소들은 상술한 설명과 도면을 참조하여 이해하여야 한다.
여기서 본원 발명은 세탁장치의 세제공급장치의 구조개선에 관련된 것이다. 이에 세탁장치의 구체적이 작동에 관련되어서는 본원 발명의 요지를 흐릴 여지가 있어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세제통(130) 내부로 분말 세제 또는 표백제 등을 투입하고자 하는 경우, 손잡이(132)를 잡아당기면 세제통(130)은 세제통 하우징(110) 내측에서 세제통 하우징(110)의 전방으로 인출된다.
이때 인출되는 세제통(130)은 세제통(130)의 상부에 마련되는 걸림부(135)의 제 2걸림돌기(137)와 디스펜서(120)의 하면에 마련되는 제 1걸림돌기(122)가 수직방향으로 지지 및 거치되면서 세제통(130)이 완전 탈거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디스펜서(120)의 제 1걸림돌기(122)와, 걸림부(135)의 제 2걸림돌기(137)는 서로 각각 반대방향으로 절곡되는 제 1, 2 절곡단(124, 138)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거치 및 지지된다.
이러한 제 1, 2걸림돌기(122, 137)의 수평걸림과, 제 1, 2절곡단(124, 138)의 수직걸림에 따라 세제통 하우징(110)과, 세제통(130) 사이의 조리 유격, 설치 유격 또는 외력 및 흔들림에 의해 세제통(130)이 세제통 하우징(110)에서 완전히 탈거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수리 또는 유지보수를 위하여 세제통(130)을 완전히 분리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세제통(130)을 소정거리 인출하고 별도의 공구를 이용하여 세제통(130)에 형성된 걸림부(135)의 탄성편(136)을 가압하여 제 2걸림돌기(137) 및 제 2절곡단(138)을 제 2걸림돌기(137)의 아래로 회동시킨 후 세제통(130)을 완전 탈거 할 수 있다.
그리고, 세제통(130)의 결합시에는 세제통 하우징(110)으로 세제통(130)을 삽입함에 따라 제 1걸림돌기(122)의 제 1경사면(126)과, 제 2걸림돌기(137)의 제 2경사면(139)이 서로 접하게 되고, 세제통(130)에 소정의 압력을 가하면 제 1경사면(126)에 접하는 제 2경사면(139)이 제 1경사면(126)을 따라 미끌어지면서 탄성편(136)이 휘어져 세제통(130)이 삽입된다. 세제통(130)이 삽입된 후에는 탄성 편(136)의 탄성력에 의해 제 2걸림돌기(137) 및 제 2절곡단(138)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면서 세제통(130)의 탈거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제공급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제공급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Claims (6)

  1. 외형을 형성하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마련되며 세탁수가 저장되는 터브와,
    상기 터브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드럼과,
    상기 드럼에 회전력을 부여하는 구동부와,
    상기 캐비닛에 마련되어 상기 터브로 세탁수 및 세제를 공급하도록 상기 세제의 수납을 위하여 인출되는 세제통이 구비되며, 상기 세제통의 탈거가 방지되는 세제공급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공급장치는
    상기 캐비닛에 장착되는 세제통 하우징과,
    상기 세제통 하우징의 상부에 마련되어 세탁수를 공급하고, 그 하면에 제 1걸림돌기가 형성되는 디스펜서와,
    상기 세제통 하우징에 인출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제 1걸림돌기에 거치되는 걸림부가 형성되는 세탁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세탁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걸림돌기는 상기 디스펜서의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 1걸림돌기의 단부에서 상기 세제통의 인출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절곡되는 제 1절곡단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는 상기 제 1걸림돌기 측으로 돌출되는 제 2걸림돌기와, 상기 제 2걸림돌기의 단부에서 상기 세제통의 인출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 1절곡단에 거치되는 제 2절곡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통은 상기 세제가 수납되는 다수의 세제수용부와, 상기 세제수용부를 구획하는 구획부를 구비하며,
    상기 걸림부는 상기 구획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의 일부가 "⊃"자 형태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탄성편이 형성되고,
    상기 제 2걸림돌기는 상기 탄성편의 단부에서 상기 제 1걸림돌기 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걸림돌기는 상기 세탁통의 삽입방향의 반대방향에 제 1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 2걸림돌기는 상기 세탁통의 삽입방향에 상기 세탁통의 삽입시 상기 제 1경사면에 접하는 제 2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KR1020090020623A 2009-03-11 2009-03-11 세탁장치 KR1010739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0623A KR101073925B1 (ko) 2009-03-11 2009-03-11 세탁장치
CN2009102067325A CN101736560B (zh) 2009-03-11 2009-10-19 洗涤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0623A KR101073925B1 (ko) 2009-03-11 2009-03-11 세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2312A true KR20100102312A (ko) 2010-09-24
KR101073925B1 KR101073925B1 (ko) 2011-10-17

Family

ID=42460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0623A KR101073925B1 (ko) 2009-03-11 2009-03-11 세탁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73925B1 (ko)
CN (1) CN10173656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21286A (zh) * 2016-12-14 2018-06-29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涤剂盒组件及洗衣机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306243Y (zh) * 1997-07-03 1999-02-03 海尔集团公司 洗衣机的洗涤剂自动投入装置
KR100479088B1 (ko) * 2002-11-28 2005-03-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유연제 케이스 조립구조
CN1779047A (zh) * 2004-11-19 2006-05-31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滚筒洗衣机的洗涤剂盒连接结构
CN101177895A (zh) * 2006-11-08 2008-05-14 南京乐金熊猫电器有限公司 滚筒式洗衣机的洗涤剂供应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736560A (zh) 2010-06-16
CN101736560B (zh) 2011-09-14
KR101073925B1 (ko) 2011-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1941B1 (ko) 세탁물 처리장치
US9340919B2 (en) Detergent supply apparatus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EP2063014B1 (en) Washing machine
EP1903136A1 (en) Washing machine
KR101233188B1 (ko) 세탁기의 세제박스
US20050172678A1 (en) Pedestal assembly of washing machine
EP3061382B1 (en) Dishwasher
KR102165604B1 (ko) 세탁기
KR20110009918A (ko) 세탁물 처리기기
KR20170041415A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1268222B1 (ko) 세탁기
WO2008105635A1 (en) Washing machine
KR101073925B1 (ko) 세탁장치
EP3372726B1 (en) Apparatus for treating laundry
KR102557404B1 (ko) 세탁기
KR101146272B1 (ko) 드럼세탁기의 세제 박스
KR101435793B1 (ko) 세탁물 처리장치
KR20150039480A (ko) 드럼 세탁기
JP5889573B2 (ja) 洗濯機
KR101962132B1 (ko) 세탁장치
KR101422004B1 (ko) 세탁물 처리장치
KR20070066596A (ko) 세탁기의 세제공급기구
KR102342116B1 (ko) 세탁물처리기기
KR20230105101A (ko) 의류처리장치
KR101136449B1 (ko) 드럼 세탁기용 세제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