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9370A - Basement storage room - Google Patents

Basement storage roo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9370A
KR20150069370A KR1020130155683A KR20130155683A KR20150069370A KR 20150069370 A KR20150069370 A KR 20150069370A KR 1020130155683 A KR1020130155683 A KR 1020130155683A KR 20130155683 A KR20130155683 A KR 20130155683A KR 20150069370 A KR20150069370 A KR 201500693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room
underground storage
hole
underground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568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송명종
Original Assignee
송명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명종 filed Critical 송명종
Priority to KR10201301556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69370A/en
Publication of KR201500693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937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nderground storing room. An underground storing roo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tilized while being buried underground and includes an internal receiving space and holes on the top or the lateral surface. A connecting pipe connected to the receiving space is formed on the top.

Description

지하 저장실{Basement storage room}{Basement storage room}

본 발명은 지하 저장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sement storage room.

구조물은 지하에 매립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지하 저장실에는 사람의 출입을 위한 개구가 제공될 수 있다. 지하 저장실은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하 저장실은 물건의 저장 공간, 음식물을 보관하기 위한 공간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지하 저장실은 사람이 휴식을 취하기 위한 공간으로 사용될 수 있다.The structure may be installed in an underground state. Such an underground storage room may be provided with an opening for human access. Underground storage rooms can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For example, an underground storage room can be used as a storage space for objects and a space for storing food. Also, the underground storage room can be used as a space for people to take a break.

본 발명은 홀이 제공되는 지하 저장실을 제공하기 위한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for providing a basement storage room where holes are provided.

또한, 본 발명은 홀을 통해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지하 저장실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n underground storage room for preventing water from flowing through a hole.

또한, 본 발명은 수용 공간과 외부의 공기가 교환될 수 있는 지하 저장실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intended to provide an underground storage room in which the receiving space and the outside air can be exchanged.

또한, 본 발명은 홀이 개폐 될 수 있는 지하 저장실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n underground storage room in which a hole can be opened and closed.

또한, 본 발명은 홀을 통해 흙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지하 저장실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n underground storage room for preventing soil from being introduced through the holes.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지하에 매립된 상태로 사용되고,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도록 제공되고, 상부 또는 측면에는 홀이 형성되는 지하 저장실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underground storeroom can be provided, which is used in a state of being buried underground, is provided so as to form a housing space therein, and has a hole formed on the top or side thereof.

또한, 상기 홀은 상기 수용 공간에서 외측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le may be inclined downward in the outward direction in the accommodation space.

또한, 상부에 상기 수용 공간과 연통되는 연통관이 제공될 수 있다.Further, a communicating tube communicating with the accommodation space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또한, 상기 연통관은 사람의 출입을 위한 도어가 제공되는 일단의 타측 단부에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ng tube may be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one end provided with a door for entrance and exit of a person.

또한, 상기 수용 공간에는 사람의 출입을 위한 도어가 제공되는 일단의 뒤쪽에 상기 일단의 측벽과 마주보는 내측벽이 제공되어, 상기 일단의 측벽과 상기 내측벽 사이에 버퍼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Further, the accommodating space may be provided with an inner wall facing the one sidewall at a rear end of the receptacle provided with a door for the entrance and exit of a person, and a buffer space may be formed between the sidewall and the inner wall.

또한, 상기 지하 저장실은, 제 1 지층에 대해 단차지게 돌출된 제 2 지층의 측면으로 삽입되는 방식으로 매립되어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underground storage room may be buried in such a manner that the underground storage room is inserted into the side of the second stratum that protrudes stepwise with respect to the first stratum.

또한, 상기 지하 저장실은, 인접한 지면에 상기 지면에서 상기 수용 공간으로 반입하거나 상기 수용 공간에서 상기 지면으로 반출되는 물건을 승강 시키기 위한 승강 장치가 제공되는 구덩이에 매립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underground storage room may be embedded in a pit provided with a lifting device for lifting and lowering an object carried on the ground from the ground to an adjacent ground or from the ground to the accommodation spac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홀이 제공되는 지하 저장실이 제공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underground storage room in which a hole is provided can be provid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홀을 통해 물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ater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through the holes.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수용 공간과 외부의 공기가 교환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ccommodating space and the outside air can be exchang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지하 저장실에 형성된 홀은 개폐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les formed in the underground storage room can be opened or clos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에에 의하면, 홀을 통해 흙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oil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through the hol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하 저장실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B-B에 따른 홀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홀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지하 저장실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지하 저장실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지하 저장실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지하 저장실이 이들 구성하는 모듈들로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은 모듈이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제 3 실시 예에 따른 지하 저장실에 형성된 홀 부분을 수용 공간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12는 홀이 개방되게 개폐 도어가 이동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제 4 실시 예에 따른 지하 저장실에 형성된 홀 부분을 수용 공간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14는 도 13의 C-C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3 및 도 14의 홀을 갖는 모듈들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모듈들이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underground storage roo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hole according to BB of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ho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5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underground storage room is installed.
6 and 7 are views showing a state where the underground storage room is installed.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sement storage roo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nderground storage room of FIG. 8 is separated into modules constituting the same, and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odule in a assembled state.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 hall portion formed in a basement storage room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in an accommodation space, and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is moved so that the hole is opened.
FIG. 13 is a view showing a hole portion formed in a basement storage room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in an accommodation space, and FIG. 14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CC in FIG.
Fig. 1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modules having holes of Figs. 13 and 14, and Fig. 1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odules of Fig. 15 assembled.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 과장되었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following embodiments. This embodiment is provided to more ful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us, the shape of the elements in the figures has been exaggerated to emphasize a clearer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하 저장실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underground storage roo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지하 저장실(10)은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구조로 제공된다. 지하 저장실(10)의 상부는 돔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underground storage room 10 is provided with a structure in which a receiving space is formed therein. The upper portion of the underground storage room 10 may be provided in a dome shape.

지하 저장실(10)은 여러 상이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하 저장실(10)은 주위를 둘러싼 흙이 주로 황토로 이루어진곳에 매립될 수 있다. 이 때, 황토에서 발생되는 원적외선이 지하 저장실(10)의 수용 공간으로 방사될 수 있다. 이러한, 원적외선은 수용 공간에 위치된 사람 또는 저장물에 유익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지하 저장실(10)은 황토를 이용한 원적외선을 이용한 치료, 피로 회복을 목적으로 사람이 휴식을 취하는 장소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지하 저장실(10)은 지하 저장 시설로 이용될 수 있다. 지하 저장실(10)은 콘크리트 또는 금속으로 제조될 수 있다. 지하 저장실(10)의 일측에는 사람의 출입을 위한 도어(12)가 설치될 수 있다. 지하 저장실(10)의 상부에는 연통관(11)이 제공된다. 연통관(11)은 수용 공간과 연통되게 제공된다. 따라서, 연통관(11)을 통해 지하 저장실(10)의 수용 공간과 외부의 공기 교환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연통관(11)은 도어(12)가 제공되는 쪽의 타측 단부에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도어(12)가 제공되는 부분의 타측에 위치되어, 사람의 출입 과정에 의해서 공기의 유동이 발생되지 않는 부분의 공기가 외부의 공기와 교환될 수 있다. 일 예로, 지하 저장실(10)에 음식물 등이 저장되는 경우, 음식물에서 발생되는 냄새가 지하 저상실(40) 내부에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냄새의 경우, 도어(12)가 제공되는 부분에 인접한 부분에 비해, 그 타측에 강하게 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냄새의 경우, 연통관(11)에 의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The underground storage room 10 can be used for a number of different purposes. For example, the underground storage room 10 may be buried in a place where the surrounding soil is mainly composed of loess. At this time, the far-infrared rays generated in the loess can be radiated into the receiving space of the underground storage room 10. Such far infrared rays can have a beneficial effect on the person or the storage situated in the receiving space. Accordingly, the underground storage room 10 can provide a place where a person can take a rest for the purpose of treatment using the far-infrared ray using yellow soil, and restoration of fatigue. Also, the underground storage room 10 can be used as an underground storage facility. The underground storage room 10 can be made of concrete or metal. A door 12 may b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underground storage room 10 for the entrance and exit of a person. A communicating tube (11) is provid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underground storage compartment (10). The communicating tube 11 is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the accommodation space. Therefore, the exchange of air with the receiving space of the underground storage compartment 10 through the communicating tube 11 can be performed. Further, the communicating tube 11 may be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side where the door 12 is provided. Therefore, the air in the portion where the flow of air is not generated by the process of entering and exiting the person can be exchanged with the outside air by being positioned on the other side of the portion where the door 12 is provided. For example, when food or the like is stored in the underground storage room 10, the odor generated in the food can be generated in the underground storage space 40. In the case of such an odor, the door 12 can be strongly bent on the other side as compared with the portion adjacent to the portion where the door 12 is provided. Therefore, in case of such an odor, it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the communicating tube 11. [

도 2는 도 1의 A-A에 따른 단면도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in Fig.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지하 저장실(10)에는 도어(12)의 뒤쪽에 버퍼 공간(13)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하 저장실(10)의 일단의 뒤쪽에는 지하 저장실(10)일단의 측벽과 마주보는 내측벽(14)이 제공되어, 지하 저장실(10)의 일단과 내측벽(14) 사이에 버퍼 공간(13)이 형성된다. 내측벽(14)에는 사람의 출입을 위한 보조 도어(15)가 제공된다.Referring to FIGS. 1 and 2, a buffer space 13 may be formed at the rear of the door 12 in the underground storage room 10. Specifically, an inner wall 14 facing the side wall of one end of the underground storage compartment 10 is provided at the rear of one end of the underground storage compartment 10, so that a buffer space is formed between one end of the underground storage compartment 10 and the inner wall 14 (13) is formed. The inner side wall 14 is provided with an auxiliary door 15 for the entry and exit of a person.

지하 저장실(10)에는 홀(16)들이 형성된다. 도 1에는 홀(16)들은 지하 저장실(10)의 상부 및 측면에 형성된 경우를 예로 도시 하였다. 그러나, 홀(16)들은 지하 저장실(10)의 상부 또는 측면 중 일부에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도 있다.Holes 16 are formed in the underground storage chamber 10. 1, the holes 16 are formed on the top and side surfaces of the underground storage chamber 10. However, the holes 16 may be selectively formed on a part of the upper side or the side surface of the underground storage chamber 10.

도 3은 도 2의 B-B에 따른 홀의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hole according to B-B of Fig.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홀(16)은 지면에 나란한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홀(16)은 지하 저장실(10)의 내부에서 외부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지하 저장실(10)을 둘러싼 흙 또는 우천시 지하로 스며든 빗물이 지하 저장실(10)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1 to 3, the hole 16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a direction parallel to the paper surface. Specifically, the holes 16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in the outward direction from the inside of the underground storage chamber 10.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hut off the inflow of rainwater into the underground storage room 10 when the earth or the surrounding of the underground storage room 10 is exposed to rain.

도 4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홀의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ho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4를 참조하면, 홀(16)에는 보조관(17)이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보조관(17)은 지하 저장실(10)의 내부에서 외부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삽입될 수 있다. 보조관(17)의 양단은 지하구조물의 측벽과 나란하게 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보조관(17)은 지하 저장실(10)의 내부 또는 외부의 일단이 돌출되게 제공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an auxiliary pipe 17 may be inserted into the hole 16. In addition, the auxiliary pipe 17 can be inserted downward in the outward direction from the inside of the underground storage chamber 10. Both ends of the auxiliary pipe 17 may be provided so as to be parallel to the side wall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In addition, the auxiliary pipe 17 may be provided such that one end of the inside or the outside of the underground storage chamber 10 protrudes.

도 5는 지하 저장실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underground storage room is installed.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지하 저장실(10)은 단차가 형성된 지형에 매립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하 저장실(10)은 제 1 지층(21)에 대해 단차지게 돌출된 제 2 지층(21b)에 매립될 수 있다. 즉, 지하 저장실(10)은 제 2 지층(21b)에 측면으로 삽입되는 방식으로 매립될 수 있다. 그리고, 지하 저장실(10)에서 도어(12)가 제공되는 일단은 외부에 노출되도록 위치된다. 이때, 제 1 지층(21)은 통상적인 지면일 수 있다. 또한, 제 1 지층(21)은 지면에 대해 단차지게 돌출된 지형일 수 도 있다.1 to 5, the underground storage room 10 may be embedded in a stepped terrain. Specifically, the underground storage compartment 10 may be embedded in the second stratum 21b protruding stepwise with respect to the first stratum 21. That is, the underground storage room 10 can be buried in a manner that it is laterally inserted into the second paper layer 21b. One end of the underground storage room 10 where the door 12 is provided is exposed to the outside. At this time, the first layer 21 may be a conventional floor. In addition, the first layer 21 may be a terraform protruding stepwise with respect to the ground.

도 6및 도 7은 지하 저장실이 설치된 다른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6 and 7 are views showing another state in which the underground storage room is installed.

도 1 내지 4,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지하 저장실(10)은 도어(12)가 제공되는 일단이 노출되도록 매립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면에 지하 저장실(10)의 체적이 대응되는 구덩이를 판 후, 지하 저장실(10)이 구덩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이때, 구덩이의 깊이는 지하 저장실(10)의 높이보다 얕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지하 저장실(10)의 상단은 지면의 상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때, 지면의 위쪽으로 노출된 지하 저장실(10)의 상단은 흙을 이용해 덮어 줄수 있다. 또한, 지하 저장실(10)은 그 깊이가 지하 저장실(10)의 높이보다 깊은 구덩이에 매립될 수 도 있다. 연통관(11)은 그 상단이 흙의 위쪽으로 노출되게 위치된다.1 to 4, 6 and 7, the underground storage room 10 may be buried so that one end of the door 12 is exposed. Specifically, after the pit corresponding to the volume of the underground storage chamber 10 is mounted on the ground, the underground storage chamber 10 can be located in the pit. At this time, the depth of the pit can be made shallower than the height of the underground storage room 10. Accordingly, the upper end of the underground storage room 10 can be exposed to the upper part of the ground. At this time, the top of the underground storage room 10 exposed above the ground can be covered with the earth. In addition, the depth of the subterranean storage chamber 10 may be embedded in a pit that is deeper than the height of the subterranean storage chamber 10. The communicating tube 11 is positioned such that its upper end is exposed upward of the soil.

구덩이에는 지하 저장실(10)의 도어(12)가 위치되는 방향에 승강 수단(18)이 제공된다. 일 예로 승강 수단(18)은 구덩이의 일 측면에 제공된 계단일 수 있다. 또한, 승강 수단(18)은 구덩이의 일측면에 설치된 사다리, 엘리베이터 일 수도 있다.The pit is provided with elevating means (18)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door (12) of the underground storage compartment (10) is located. As an example, the lifting means 18 may be a step provided on one side of the pit. The elevating means 18 may be a ladder or an elevator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pit.

구덩이의 하면에는 승강 수단(18)과 지하 저장실(10)사이에 작업 공간(19)이 형성될 수 있다. 작업 공간(19)은 지하 저장실(10)로 반입하거나, 지하 저장실(10)에서 반출되는 물건(L)을 위한 공간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승강 수단(18)과 인접한 지면에는 승강 장치(20)가 설치될 수 있다. 승강 장치(20)는 중량물을 승강 시키기위한 크레인, 도르레가 설치된 작업대 등일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승강 장치(20)를 이용해 지면의 물건(L)을 작업 공간(19)으로 내리거나, 작업 공간(19)의 물건(L)을 지면으로 끌어 올릴 수 있다.A work space 19 may be formed between the elevating means 18 and the underground storage room 10 on the lower surface of the pit. The work space 19 can be used as a space for carrying the object L to the underground storage room 10 or the object L to be taken out of the underground storage room 10. For example, the elevating device 20 may be installed on the ground adjacent to the elevating device 18. The elevating device 20 may be a crane for raising and lowering a heavy object, a workbench equipped with a pulley, or the like. Therefore, the worker can lower the object L on the ground to the work space 19 or lift the object L in the work space 19 to the ground by using the elevating apparatus 20. [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지하 저장실(10)은 저렴한 비용으로 생산될수 있다. 또한, 지하 저장실(10)은 저렴한 비용으로 매립 설치 될 수 있다. 또한, 지하 저장실(10)은 매립 설치 후 유지에 따른 비용이 별도로 발생되지 않을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nderground storage room 10 can be produced at low cost. Also, the underground storage room 10 can be buried and installed at a low cost. In addition, the maintenance cost of the underground storage room 10 after burial installation may not be separately generated.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지하 저장실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sement storage roo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도어가 형성되는 지하 저장실의 일단이 생략되었다.8, one end of the underground storage room where the door is formed is omitted.

도 8을 참조하면, 지하 저장실(10a)에는 다각형 형상의 홀(110)이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a polygonal hole 110 may be formed in the basement storage room 10a.

도 9는 도 8의 지하 저장실이 이들 구성하는 모듈들로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은 모듈이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이다.FIG. 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nderground storage room of FIG. 8 is separated into modules constituting the same, and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odule in a assembled state.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지하 저장실(10a)은 모듈들(210, 220, 230)은 조립하는 방식으로 만들어 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S. 9 and 10, the underground storage room 10a can be manufactured by assembling the modules 210, 220, and 230. FIG.

모듈들(210, 220, 230)은 지지 모듈(210), 측면 모듈(220) 및 상부 모듈(230)을 포함할 수 있다.The modules 210, 220, and 230 may include a support module 210, a side module 220, and an upper module 230.

지지 모듈(210)은 지하 저장실(10a)의 저면을 형성한다. 지지 모듈(210)은 위쪽에서 볼 때, 그 형상이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 모양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지지 모듈(210)은 하나가 지하 저장실(10a)의 저면을 형성하거나, 2개 이상의 지지 모듈(210)들이 서로 수평 방향으로 연결되어 지하 저장실(10a)의 저면을 형성할 수 있다.The support module 210 forms the bottom surface of the underground storage room 10a. The support module 210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plate having a circular, elliptical or polygonal shape when viewed from above. One of the support modules 210 may form a bottom surface of the basement storage room 10a or two or more support modules 21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horizontal direction to form a bottom surface of the basement storage room 10a.

측면 모듈(220)들은 지지 모듈(210)의 둘레에 결합 가능한 형상으로 제공된다. 예를 들어, 지지 모듈(210)이 사각형 형상으로 제공되는 경우, 측면 모듈(220)은 사각형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지지 모듈(210)이 원형으로 제공되는 경우, 지지 모듈(210)은 위쪽에서 볼 때 라운드진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측면 모듈(220)들이 지지 모듈(210)의 둘레를 따라 결합되면, 측면 모듈(220)은 지하 저장실(10a)의 측벽을 형성한다. 측면 모듈(220)들에는 홀(16)이 형성될 수 있다.The side modules 220 are provided in a shape that is engageable around the support module 210. For example, when the supporting module 210 is provided in a rectangular shape, the side module 220 may be provided in a rectangular shape. Further, when the support module 210 is provided in a circular shape, the support module 210 may be provided in a rounded shape when viewed from above. Thus, when the side modules 220 are coupled along the perimeter of the support module 210, the side module 220 forms a side wall of the underground storage compartment 10a. Holes 16 may be formed in the side modules 220.

상부 모듈(230)들은 지하 저장실(10a)의 상부를 형성한다. 상부 모듈(230)들은 지지 모듈(210)들의 상단에 결합 가능한 형상으로 제공된다. 또한, 상부 모듈(230)들은 그 하단이 지지 모듈(210)들의 상단에 결합되었을 때, 그 상단이 다른 상부 모듈(230)과 연결되는 형상으로 제공된다. 예를 들어, 상부 모듈(230)은 일 측면에서 볼 때 라운드진 형상으로 제공되어, 상부 모듈(230) 2개가 각각 마주보는 측면 모듈(220)에 연결되면 아치 형상을 이루도록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부 모듈(230)은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지하 저장실(10a)의 중심 방향으로 경사진 형상으로 제공될 수 도 있다. 상부 모듈(230)들에는 홀(16)이 형성될 수 있다.The upper modules 230 form the upper portion of the underground storage room 10a. The upper modules 230 are provided in a shape that is engageable with the upper ends of the support modules 210. When the lower ends of the upper modules 230 are coupled to the upper ends of the support modules 210, the upper ends of the upper modules 230 are connected to other upper modules 230. For example, the upper module 230 may be provided in a rounded shape when viewed from one side, and may be provided to have an arch shape when two upper modules 230 are connected to the facing side modules 220, respectively. Also, the upper module 230 may be provided in an inclined shape toward the center of the basement storage room 10a from the lower part to the upper part. Holes 16 may be formed in the upper modules 230.

그리고, 지하 저장실(10a)은 모듈들(210, 220, 230)을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조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하 저장실(10a)은 하단에서 상단 방향으로 지지 모듈(210), 측면 모듈(220), 측면 모듈(220), 상부 모듈(230)의 순서로 조립될 수 있다. 또한, 지하 저장실(10a)은 측면 모듈(220)이 생략되고, 지지 모듈(210)의 상면에 상부 모듈(230)이 바로 조립 될 수도 있다.The underground storage room 10a can be assembled using the modules 210, 220, and 230 selectively. For example, the underground storage room 10a may be assembled in the order of the supporting module 210, the side module 220, the side module 220, and the upper module 230 in the order from the lower end to the upper end. The side module 220 may be omitted in the underground storage room 10a and the upper module 230 may be assembled directly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module 210. [

도 11은 제 3 실시 예에 따른 지하 저장실에 형성된 홀 부분을 수용 공간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12는 홀이 개방되게 개폐 도어가 이동된 상태의 사시도이다.FIG.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 hall portion formed in a basement storage room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in an accommodation space, and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is moved so that the hole is opened.

도 12는 망(130) 및 방지턱(150)의 도시의 편의를 위해 홀(120)의 상부는 절개된 상태로 나타내었다.12 shows the upper portion of the hole 120 in an incised state for the sake of convenience of the net 130 and the bailout 150. [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홀(120)에는 망(130), 개폐 도어(140) 및 방지턱(150)이 설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1 and 12, a net 130, an opening / closing door 140, and a bail guard 150 may be installed in the hole 120.

망(130)은 홀(120)은 전반적으로 차폐하도록 제공된다. 망(130)은 지하 저장실(10b)의 외면에 인접한 곳에 설치될 수 있다. 사용 상태에 따라, 지하 저장실(10b)을 둘러싼 흙 등이 홀(120)을 통해 수용 공간(100)으로 유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가 내래는 경우 지반이 약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흙이 홀(120)을 통해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망(130)은 홀(120) 등을 통해 흙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그 양을 감소 시킬 수 있다.The net 130 is provided so that the holes 120 are generally shielded. The net 130 may be installed adjacent to the outer surface of the underground storage room 10b. The soil surrounding the underground storage room 10b can be introduc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100 through the holes 120 depending on the use state. For example, if it rains, the ground can become weak. Accordingly, the soil can be introduced through the hole 120. Therefore, the net 130 can prevent or reduce the amount of the soil introduced through the holes 120 and the like.

개폐 도어(140)는 홀(120)을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개폐 도어(140)는 지하 저장실(10b)의 내면에 인접하게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수용 공간(100)에서 홀(120)을 바라볼 때, 개폐 도어(140), 망(130)의 순서로 홀(120)에 설치된다. 망(130)이 설치된 경우에도 입자가 작은 흙은 홀(120)을 통해 수용 공간(100)으로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일기 예보 등을 통해 우천 시와 같이 흙의 유입이 예상될 때 개폐 도어(140)를 통해 홀(120)을 차폐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개폐 도어(140)가 슬라이드 방식으로 제공되는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개폐 도어(140)는 경첩에 의한 회전 방식으로 제공될 수 도 있다.The opening and closing door 140 selectively opens and closes the hole 120.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140 may be installed adjacent to the inner surface of the underground storage room 10b. Accordingly, when the hole 120 is view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100,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140 and the net 130 are installed in the hole 120 in this order. Even when the mesh 130 is installed, the soil having a small particle size can be introduc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100 through the hole 120. Accordingly, the user can shield the hole 120 through the opening / closing door 140 when the soil is expected to flow through the weather forecast or the like. Although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140 is provided in a sliding manner in this embodiment,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140 may be provided in a rotating manner by a hinge.

홀(120)에는 방지턱(150)이 제공될 수 있다. 방지턱(150)은 망(130)과 개폐 도어(140) 사이에 위치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방지턱(150)은 홀(120)의 저면에서 돌출된 형상으로 제공된다. 방지턱(150)은 홀(120)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제공되는 블록 또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우천 시 지하로 스며튼 비 또는 지하 저장실(10b) 주의의 수분은 망(130)을 통과한 후, 수용 공간(100)으로 유동할 수 있다. 이때, 방지턱(150)은 물이 수용 공간(100) 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차단한다.The hole 120 may be provided with a bail 150. The bail guard 150 may be provided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net 130 and the opening / closing door 140. The protrusion 150 is provided in a shape protruding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hole 120. The bump 150 may be provided in a block or plate shape provid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le 120. The water in the underground storage room 10b or the underground storage room 10b may flow into the storage space 100 after passing through the net 130. [ At this time, the protrusion 150 blocks water from flowing in the direction of the accommodation space 100.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홀(120)을 통해 흙이 수용 공간(100)으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oil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100 through the hole 120. [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홀(120)을 통해 물이 수용 공간(100)으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ater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100 through the hole 120. [

도 13은 제 4 실시 예에 따른 지하 저장실에 형성된 홀 부분을 수용 공간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14는 도 13의 C-C에 따른 단면도이다.FIG. 13 is a view showing a hole portion formed in a basement storage room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in an accommodation space, and FIG. 14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of FIG.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홀(122)에는 차단홈(160)이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3 and 14, a blocking groove 160 may be formed in the hole 122.

망(132), 개폐 도어(142) 및 방지턱(152)의 구성은 도 11와 동일하므로 반복된 설명은 생략한다.The structure of the net 132, the opening / closing door 142, and the bushing 152 are the same as those in Fig. 11, and thus a repeat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차단홈(160)은 홀(122)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차단홈(160)의 길이 방향은 홀(122)의 길이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단홈(160)의 길이 방향은 홀(122)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차단홈(160)은 방지턱(152) 보다 지하 저장실(10c)의 외면에 인접하게 형성된다. 차단홈(160)은 외부에서 유입되는 물을 일시적으로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유입되는 물이 방지턱(152)을 넘어 수용 공간(100)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The blocking groove 160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hole 122.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locking groove 160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le 122. For example,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locking groove 160 may be formed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le 122. The blocking groove 160 is formed adjacent to the outer surface of the underground storage compartment 10c than the restricting tab 152. [ The blocking groove 160 can provide a space for temporarily accommodating the water that flows from the outside. Therefore, the inflow water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100 beyond the bust 152.

도 15는 도 13 및 도 14의 홀을 갖는 모듈들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모듈들이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이다.Fig. 1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modules having holes of Figs. 13 and 14, and Fig. 1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odules of Fig. 15 assembled.

설명의 편의를 위해 홀(122)에 제공되는 개폐 도어(142), 방지턱(152) 및 망(132)은 생략되었다.The opening and closing door 142, the bust 152 and the net 132 provided in the hole 122 are omitt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도 13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차단홈(160)에는 배수구(161)가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3 to 16, a drain hole 161 may be formed in the blocking groove 160.

배수구(161)는 배수 라인(170)에 연결된다. 배수 라인(170)은 연결 배수 라인(172)들 및 메인 배수 라인(171)을 포함한다.The drain 161 is connected to the drain line 170. The drain line 170 includes connection drain lines 172 and a main drain line 171.

상술한 바와 같이 홀(122)은 상부 모듈(230) 또는 측면 모듈(220)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모든 홀(122)들 또는 일부 홀(122)들에는 배수구(161)가 형성될 수 있다. 배수구(161)는 각각 연결 배수 라인(172)에 연결된다. 그리고, 각각의 연결 배수 라인(172)은 메인 배수 라인(171)에 연결된다. 메인 배수 라인(171)은 배수구(161)로 유입된 물을 모아 지하 저장실(10c) 외부로 배출한다. 구체적으로, 메인 배수 라인(171)은 홀(122)이 형성된 모듈들(212, 222, 232)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홀(122)이 상부 모듈(230) 및 측면 모듈(220)에 형성된 경우, 메인 배수 라인(171)은 상부 모듈(230) 및 측면 모듈(220)에 형성된다. 상부 모듈(230) 및 측면 모듈(220)에 형성된 메인 배수 라인(171)은 조립된 지하 저장실(10c)에서 서로 연결되도록 제공된다. 그리고, 메인 배수 라인(171)의 단부는 지하 저장실(10c) 외면에 노출되게 제공된다. 예를 들어, 메인 배수 라인(171)은 지지 모듈(210)에도 제공되고, 측면 모듈(220)에 형성된 메인 배수 라인(171)과 연결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또는, 상부 모듈(230) 또는 측면 모듈(220)에 형성된 메인 배수 라인(171)의 단부가 외면으로 노출되게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배수구(161)로 유입된 물은 메인 배수 라인(171) 밖으로 배출될 수 있다. 지하 저장실(10c)의 설치 환경에 따라, 외면으로 노출된 메인 배수 라인(171)은 별개의 배수 시설로 연결될 수 있다.The holes 122 may be formed in the upper module 230 or the side module 220 as described above. The drain holes 161 may be formed in all of the holes 122 or some of the holes 122. The drain 161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drain line 172, respectively. Each connection drain line 172 is connected to the main drain line 171. The main drain line 171 collects the water flowing into the drain port 161 and discharges the water to the outside of the underground storage chamber 10c. Specifically, the main drain line 171 may be formed in each of the modules 212, 222, and 232 having the holes 122 formed therein. Thus, when the holes 122 are formed in the upper module 230 and the side module 220, the main drain line 171 is formed in the upper module 230 and the side module 220. The main drain line 171 formed in the upper module 230 and the side module 220 is provided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assembled underground storage room 10c. The end of the main drain line 171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underground storage compartment 10c. For example, the main drain line 171 may also be provided to the support module 210 and to be connected to the main drain line 171 formed in the side module 220. Alternatively, the end of the main drain line 171 formed in the upper module 230 or the side module 220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Therefore, the water that has flowed into the drain port 161 can be discharged outside the main drain line 171.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environment of the underground storage room 10c, the main drain line 171 exposed to the outside may be connected to a separate drainage facility.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모듈들(212, 222, 232)에 배수 라인(170)들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모듈들(212, 222, 232)의 조립하는 작업 만으로, 배수구(161)로 유입된 물들을 배출하기 위한 배수 라인(170)이 함께 조립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rain lines 170 are formed in modules 212, 222, 232. Accordingly, the drain line 170 for discharging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drain hole 161 is assembled together only by assembling the modules 212, 222, and 232.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저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is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foregoing is intended to illustrate and explain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in various other combinations, modifications, and environments. That is, it is possible to make changes or modific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concept of the invention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within the scope of the disclosure, and / or within the skill and knowledge of the art.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re intended to illustrate the best mode for implemen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required for specific applications and us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lso possible. Accordingly,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appended claims are intended to cover such other embodiments.

11: 연통관 12: 도어
13: 버퍼 공간 14: 내측벽
15: 보조 도어 16: 홀
17: 보조관 18: 승강 수단
19: 작업 공간 20: 승강 장치
11: communicating tube 12: door
13: buffer space 14: inner side wall
15: auxiliary door 16: hole
17: auxiliary pipe 18: elevating means
19: work space 20: lifting device

Claims (7)

지하에 매립된 상태로 사용되고,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도록 제공되고,
상부 또는 측면에는 홀이 형성되는 지하 저장실.
Is used in a state of being buried underground, is provided so as to form a receiving space therein,
An underground storage compartment in which a hole is formed at the top or sid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은 상기 수용 공간에서 외측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지하 저장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ole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in an outward direction in the accommodating space.
제 1 항에 있어서,
상부에 상기 수용 공간과 연통되는 연통관이 제공되는 지하 저장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communicating tube communicating with the accommodating space is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관은 사람의 출입을 위한 도어가 제공되는 일단의 타측 단부에 제공되는 지하 저장실.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communicating tube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one end provided with a door for entrance and exit of a pers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공간에는 사람의 출입을 위한 도어가 제공되는 일단의 뒤쪽에 상기 일단의 측벽과 마주보는 내측벽이 제공되어, 상기 일단의 측벽과 상기 내측벽 사이에 버퍼 공간이 형성되는 지하 저장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ccommodating space is provided with an inner wall opposed to the one end sidewall at a rear end of a door provided with a door for the entrance and exit of a human being, wherein a buffer space is formed between the one sidewall and the inner sidewal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하 저장실은,
제 1 지층에 대해 단차지게 돌출된 제 2 지층의 측면으로 삽입되는 방식으로 매립되어 설치되는 지하 저장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underground storage room may include: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stratum cores are embedded in the side wall of the second stratu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하 저장실은,
인접한 지면에 상기 지면에서 상기 수용 공간으로 반입하거나 상기 수용 공간에서 상기 지면으로 반출되는 물건을 승강 시키기 위한 승강 장치가 제공되는 구덩이에 매립되는 지하 저장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underground storage room may include:
And a lifting and lowering device for lifting and lowering an object to be brought into the accommodating space from the ground on an adjacent ground or being carried out to the ground in the accommodating space is buried in a pit.
KR1020130155683A 2013-12-13 2013-12-13 Basement storage room KR2015006937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5683A KR20150069370A (en) 2013-12-13 2013-12-13 Basement storage roo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5683A KR20150069370A (en) 2013-12-13 2013-12-13 Basement storage roo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9370A true KR20150069370A (en) 2015-06-23

Family

ID=53516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5683A KR20150069370A (en) 2013-12-13 2013-12-13 Basement storage roo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69370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53866A (en) Storm shelter
KR0139012B1 (en) tomb
US3981110A (en) Dwelling house
KR20150069370A (en) Basement storage room
CN104164892A (en) Multifunctional cable tunnel inspection well
JP5713863B2 (en) Evacuation shelter
CN106284409A (en) Integration underground pipe gallery
JP2017127067A (en) Wire common trench, and housing box for use therein
CN202202372U (en) Rainwater drainer
KR20190116770A (en) Pool structure
JP6188401B2 (en) Shelter
US20110265397A1 (en) Storm Shelter and Method of Use Thereof
US20160333563A1 (en) Underground System Adapted for Retaining or Detaining Stormwater
KR101635360B1 (en) Apparatus of protection for inflow rain
KR101021648B1 (en) Apparatus of protection for inflow rain
JP5279319B2 (en) Dwelling units and apartment houses
KR20090119191A (en) A sunken garden structure connected to a building and the residiential building where the sunken garden structure is established
JP2008045361A (en) Lift type shutter
KR101050131B1 (en) Structure of apartment complex
KR101707671B1 (en) Manhole structure of road
CN205840424U (en) A kind of Novel base station
KR101864541B1 (en) Storage room
US9010035B1 (en) Safe room assembly
KR200356617Y1 (en) charnel house
CN106170190A (en) Electrical equipment storage plastic box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5101006256;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1023

Effective date: 20161024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S601 Decision to reject again after remand of revo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1320;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0320

Effective date: 201708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