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8887A - 실시간 협업 시스템의 콘텐츠 디스플레이 동기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실시간 협업 시스템의 콘텐츠 디스플레이 동기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8887A
KR20150068887A KR1020140067123A KR20140067123A KR20150068887A KR 20150068887 A KR20150068887 A KR 20150068887A KR 1020140067123 A KR1020140067123 A KR 1020140067123A KR 20140067123 A KR20140067123 A KR 20140067123A KR 20150068887 A KR20150068887 A KR 201500688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thumbnail
display
devices
l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7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7567B1 (ko
Inventor
웡 베니
시아 빙
정 의석
킹 피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50068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88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75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75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40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5/403Arrangements for multi-party communication, e.g. for con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5Replication or mirroring of data, e.g. scheduling or transport for data synchronisation between network n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4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terminals or networks with limited capabilities; specially adapted for terminal port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2866Architectures; Arrangements
    • H04L67/30Profiles
    • H04L67/303Terminal pro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5Push-based network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실시간 협업 시스템의 콘텐츠 디스플레이 동기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실시간 협업 시스템의 콘텐츠 디스플레이 동기화 방법에 있어서, 마스터 장치에서, 각 썸네일에 대응되는 썸네일 리스트와 콘텐츠를 다수의 다른 장치들로 전송하는 과정; 상기 다수의 다른 장치들 각각에서, 다른 장치들의 디스플레이 포맷과 무관하게, 해당 장치에 적합한 포맷으로, 상기 썸네일 리스트를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 상기 마스터 장치에서, 현재 포커스된 콘텐츠에 대응되는 콘텐츠 아이디를, 상기 다수의 다른 장치들로 전송하는 과정; 및 상기 다수의 다른 장치들 각각에서, 상기 콘텐츠 아이디에 대응되는 썸네일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상기 썸네일 리스트를 스크롤하는 과정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상술한 실시 예와 다른 실시 예들도 포함한다.

Description

실시간 협업 시스템의 콘텐츠 디스플레이 동기화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SYNCHRONIZING DISPLAY OF CONTENT IN REAL-TIME COLLABORATION SYSYTEM}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실시간 협업 시스템의 콘텐츠 디스플레이 동기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 단말기 등과 같은 전자 장치는, 사용자 간의 무선 통신을 제공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기술이 진보하면서, 이동 단말기는 간단한 전화 통화를 넘어 다양한 추가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는 경보, 단문 메시지 서비스 (SMS),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MMS), 이메일, 게임, 근거리 통신 원격 제어, 이미징 기능 등의 다양한 추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추가로 디지털 카메라, 오디오 및 비디오 콘텐츠 예약 기능, 그리고 더 많은 것들을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현재에도 여러 유형의 이동 단말기들이 효과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일상 생활의 필수 품이 되었다.
상기 이동 단말기는, 실시간 협업 효과를 향상시켜 왔다. 이것은 여러 사람들이 자신의 이동 단말기를 사용하여 다양한 콘텐츠를 각각 검색하고, 더 나아가 동일한 콘텐츠를 공동으로 작업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실시간 협업을 통해 전세계 사용자들이 다양한 이동 단말기들을 사용하여 동일한 콘텐츠를 함께 공동으로 작업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현재까지의 솔루션은 이동 단말기와 같은 각 장치들 간의 콘텐츠 디스플레이 동기화를 효과적으로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 리스트가 공통으로 각 장치에 실시간 표시될 때, 각 장치들에 적합한 디스플레이 포맷으로 콘텐츠 리스트를 디스플레이 하거나, 각 장치들의 디스플레이 해상도에 적합한 포맷에 맞게 콘텐츠 리스트를 스크롤 처리하도록 하는 것을 지원하지 못하고 있다.
종래 기술의 한 솔루션에서는, 마스터 장치가, 상기 마스터 장치에 디스플레이 되는 현재 뷰(view)를 다른 장치들로 각각 전송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마스터 장치의 디스플레이 해상도가, 상기 다른 장치들의 디스플레이 해상도보다 높은 경우, 상기 다른 장치에서는, 상기 마스터 장치로부터 수신한 뷰(view)를 정상적으로 디스플레이 하기에 부적합하다.
종래 기술의 다른 솔루션에서는, 상기와 같은 뷰(view)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지 않으며, 사용자가 선택한 아이템에 포커스하여 콘텐츠 리스트를 스크롤 하도록 하는 것을, 각 장치들의 개별 사용자들에게 허용하지 않고 있다. 즉, 현재까지는 각 장치들에 적합한 포맷으로 콘텐츠 리스트를 디스플레이 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고 있으며, 각 장치들의 사용자들이 콘텐츠 리스트를 개별적으로 스크롤 하도록 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고 있다. 또한 마스터 장치가 각 장치들의 디스플레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하나의 명령을 송신하도록 허용하는 방안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 또는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예를 들어, 스마트 폰 또는 태블릿 PC 등과 다양한 유형의 전자 장치 등을 이용하여 실시간 협업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실시간 협업 시스템의 콘텐츠 디스플레이 동기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실시간 협업 시스템의 콘텐츠 디스플레이 동기화 방법에 있어서, 마스터 장치에서, 각 썸네일에 대응되는 썸네일 리스트와 콘텐츠를 다수의 다른 장치들로 전송하는 과정; 상기 다수의 다른 장치들 각각에서, 다른 장치들의 디스플레이 포맷과 무관하게, 해당 장치에 적합한 포맷으로, 상기 썸네일 리스트를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 상기 마스터 장치에서, 현재 포커스 된 콘텐츠에 대응되는 콘텐츠 아이디를, 상기 다수의 다른 장치들로 전송하는 과정; 및 상기 다수의 다른 장치들 각각에서, 상기 콘텐츠 아이디에 대응되는 썸네일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상기 썸네일 리스트를 스크롤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실시간 협업 시스템에 있어서, 마스터 장치; 및 다수의 다른 장치들을 포함하되, 상기 마스터 장치는, 각 썸네일에 대응되는 썸네일 리스트와 콘텐츠를 상기 다수의 다른 장치들로 전송하고, 포커스 변경이 발생하면, 상기 포커스 변경이 발생한 썸네일에 대응되는 콘텐츠 아이디를 전송하며, 상기 다수의 다른 장치들 각각은, 다른 장치들의 디스플레이 포맷과 무관하게, 해당 장치의 포맷으로, 상기 썸네일 리스트를 디스플레이 하고, 상기 콘텐츠 아이디가 수신되면, 상기 콘텐츠 아이디에 대응되는 썸네일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다른 장치들의 디스플레이 포맷과 무관하게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실시간 협업 시스템의 콘텐츠 디스플레이 방법에 있어서, 각 썸네일에 대응되는 썸네일 리스트와 콘텐츠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실시간 협업 시스템 내의 다른 장치들의 디스플레이 포맷과 무관하게, 상기 썸네일 리스트를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 포커스가 변경된 썸네일에 대응되는 콘텐츠 아이디를 마스터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과정; 및 상기 실시간 협업 시스템 내의 다른 장치들의 디스플레이 포맷과 무관하게, 상기 콘텐츠 아이디에 대응되어 포커스 된 썸네일을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실시간 협업 장치에 있어서, 썸네일 리스트, 각 썸네일에 대응되는 콘텐츠, 그리고 포커스가 변경될 썸네일에 대응되는 콘텐츠 아이디를 수신하는 통신 유니트; 디스플레이 유니트; 및 상기 디스플레이 유니트에 상기 썸네일 리스트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유니트를 제어하고, 상기 콘텐츠 아이디가 수신될 때, 상기 실시간 협업에 참여한 다른 장치들의 디스플레이 포맷과 무관하게, 상기 장치의 디스플레이 포맷에 따라 상기 콘텐츠 아이디에 대응되는 썸네일에 포커스가 맞추어 지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유니트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예를 들어, 스마트 폰 또는 태블릿 PC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장치들이 사용될 수 있는 실시간 협업 시스템에서, 상기 장치들은, 각각 자신의 장치에 적합한 디스플레이 포맷으로 콘텐츠 리스트 등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각 장치들의 사용자들 간에 협의를 통해 마스터 장치를 다른 장치로 전환할 수 있고, 썸네일 리스트 등이 업데이트되는 경우, 이에 상응하는 업데이트된 디스플레이를 각 장치들이 자신의 장치에 적합한 포맷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포커스가 변경된 썸네일에 대응되는 콘텐츠를 각 장치들의 사용자가 스크롤 및 디스플레이 업데이트를 통해 공동으로 볼 수 있게 되므로 실시간 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실시간 협업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스크롤 및 디스플레이 방식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실시간 협업 시스템의 콘텐츠 디스플레이 동기화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실시간 협업 시스템의 콘텐츠 디스플레이 동기화 장치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이 도면에 예시되고 관련된 상세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또는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되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 가운데 사용될 수 있는“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하나 이상의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을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또는”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단어들의 어떠한, 그리고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A 또는 B”는, A를 포함할 수도, B를 포함할 수도, 또는 A 와 B 모두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 가운데 “제1,”“제2,”“첫째,”또는“둘째,”등의 표현들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수식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및/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표현들은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 짓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장치와 제 2 사용자 장치는 모두 사용자 장치며, 서로 다른 사용자 장치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어떤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통신 기능을 포함한 가구(furniture) 또는 건물/구조물의 일부, 전자 보드(electronic board), 전자 사인 입력장치(electronic signature receiving device), 프로젝터(projector), 또는 각종 계측장치(예: 수도, 전기, 가스, 또는 전파 계측 장치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다양한 장치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장치들에 한정되지 않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실시간 협업 시스템의 콘텐츠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에 대해서 살펴본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이용되는 사용자라는 용어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사람 또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장치(예: 인공지능 전자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실시간 협업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시스템은 실시간 협업에 참여하는 여러 개의 장치들을 포함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3 개의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임의의 장치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장치, 제2 장치, 제3 장치는, 인터넷 또는 근거리 통신망 (LAN)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실시간으로 작업 및 문서 공유 등의 협업을 할 수 있다. 상기 3 개의 장치들은,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 전용 서버, 애플리케이션 서버, 다이렉트 피어 - 투 - 피어 통신 등을 통해 실시간으로 협업할 수 있다.
상기 장치들은, 실시간 협업에서 공동으로 사용되는 콘텐츠 리스트(content list)를 공유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는, 콘텐츠 아이템(item) 리스트를 "썸네일(thumbnail) 리스트"이라고 하지만, 이는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썸네일 리스트에 포함된 콘텐츠는 슬라이드, 이미지, 텍스트, 비디오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유형일 수 있으며, 다목적 인터넷 메일 확장 (MIME: Multipurpose Internet Mail Extension) 타입, 또는 다른 포맷을 갖는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썸네일 리스트에 포함된 내용은 모두 같은 유형을 가질 필요가 없다. 썸네일 리스트는 비디오, 텍스트, 슬라이드, 오디오 등을 위한 작은 이미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썸네일 리스트는, 축소된 크기의 이미지 또는 아이콘에 대응하는 콘텐츠와, 콘텐츠의 텍스트 설명,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 클립은 클립의 간단한 설명과 함께 오디오 클립을 나타내는 아이콘이 포함된 썸네일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장치들은, 썸네일 리스트가 표시될 때, 디스플레이 사이즈 또는 스크린 해상도와 같은 다양한 요소들을 고려하여, 해당 장치에 적합한 포맷으로 썸네일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결국 각 장치들은 각기 다르게 썸네일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장치들 중 하나는 리더 장치 또는 마스터 장치로 지정된다. 상기 마스터 장치는 실시간 협업을 주도하고, 썸네일 리스트와, 상기 썸네일 리스트에 대응되는 콘텐츠를 다른 장치로 송신한다. 상기 다른 장치는 해당 장치에 가장 적합한 포맷의 리스트를 표시한다. 대화면 디스플레이 또는 높은 스크린 해상도를 갖는 장치는, 하나의 화면에 썸네일을 모두 표시하는 반면, 작은 화면을 갖는 장치는 하나의 화면에 리스트의 서브세트(subset)를 표시하고, 상기 리스트를 좌/우 가로로 리스트를 스크롤 하거나, 상/하 세로로 스크롤 한다.
상기 마스터 장치가, 하나의 썸네일에서 다른 썸네일로 포커스를 변경하면, 상기 마스터 장치는, 새롭게 포커스 된 썸네일에 대한 아이디(ID)를 각각의 다른 장치들로 전송한다. 상기 다른 장치는 각 장치의 방식에 따라, 수신된 콘텐츠 아이디(ID)에 대응하는 썸네일을 스크롤 할 수 있다. 결국 각 장치들은 디스플레이에 가장 적합한 방식으로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이것은 실시간 협업에 참가한 참가자의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작은 화면을 사용하는 사용자는, 예를 들어, 대형 모니터에 사용된 스크린 크기의 다운 사이즈 버전에 종속될 필요가 없다.
도 2 a와 도 2 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썸네일 리스트가 다양하게 스크롤 및 디스플레이되는 도면이다.
도 2 a 및 도 2 b를 참조하면, 상기 다른 장치들은 서로 다른 포맷으로 썸네일 리스트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태블릿 사이즈 디스플레이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썸네일들이 전체 스크린 화면을 차지하는 세로 방향의 썸네일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2a에서 상기 썸네일 12는 현재 포커스 된 썸네일로서, 전체 스크린을 차지한다. 상기 장치가 썸네일 16에 대응되는 콘텐츠 ID를 수신하면, 상기 장치는 상기 썸네일 16에 포커스를 맞추고, 상기 썸네일 16이 보이도록 리스트를 아래로 스크롤 한다. 이것은 애니메이션 스크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디스플레이 또는 스크롤 방식을 갖는 다른 장치들은 동일한 방식을 적용하지 않는다. 도 2b는 썸네일 리스트를 다른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하는 도면이다. 썸네일 14는 현재 포커스 되어 있다. 만일 도 2b의 디스플레이를 보이고 있는 장치가, 썸네일 16에 대응되는 콘텐츠 ID를 수신하면, 상기 디스플레이에는, 상기 썸네일 16이 이미 보이기 때문에 디스플레이를 스크롤 하지 않는다. 만일 썸네일 26에 대응되는 다른 콘텐츠 ID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썸네일 26이 보이도록 오른쪽으로 스크롤 하게 된다.
도 2a 및 도 2b에서, 포커스를 갖는 썸네일은 포커스를 갖지 않는 썸네일에 비해 두꺼운 외곽을 갖도록 디스플레이 된다. 포커스를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이러한 메커니즘 또는 포커스를 보이기 위한 다른 포맷의 디스플레이는 아이콘으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상기 협업 과정을 수행하는 동안, 썸네일 아이템은 상기 썸네일 리스트에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 썸네일이 삭제되는 경우, 상기 마스터 장치는 상기 삭제된 썸네일에 대응되는 콘텐츠 ID를 다른 장치들로 전송하고 필요하면 디스플레이를 다시 업데이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마스터 장치가 썸네일 16을 삭제하는 지시를 전송하면, 도 2a의 테이블에서 썸네일 16은 삭제되고, 디스플레이는 업데이트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썸네일 16이 스크린에서 제거되고 상기 썸네일 16 대신 다른 썸네일의 슬라이드가 대체되는 애니메이션 효과로 업데이트 동작이 구현될 수도 있다.
유사하게, 썸네일이 추가되는 경우, 상기 마스터 장치는 상기 썸네일에 대응되는 콘텐츠 아이템뿐만 아니라 콘텐츠 아이디를 전송한다. 예를 들어, 상기 마스터 장치는 썸네일 17에 대응되는 새로운 콘텐츠 아이템 추가가 결정되면, 상기 마스터 장치는 다른 장치들로 상기 새로운 콘텐츠 아이템을 전송한다. 상기 다른 장치들은 상기 리스트 내에 새로운 썸네일을 삽입하고 그에 따라 디스플레이를 업데이트한다.
썸네일에 대응되는 콘텐츠는 상기 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업데이트될 수 있다. 상기 마스터 장치가 콘텐츠를 수정하는 경우, 상기 콘텐츠와 그에 상응하는 콘텐츠 아이디는 다른 장치들로 전송되고, 그에 따라 다른 장치들은 디스플레이를 새로 업데이트할 수 있게 된다. 이것은 변경된 콘텐츠를 반영하여 썸네일을 업데이트하거나 콘텐츠 자체를 업데이트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고, 각 장치는 자신의 포맷에 따라 디스플레이 변경을 조정할 수도 있다.
또한, 리스트가 업데이트 될 때 콘텐츠 아이디와 콘텐츠를 전송하는 대신, 상기 마스터 장치는, 상기 모든 변경이 포함된 새로운 전체 썸네일 리스트를 전송할 수 있고, 상기 다른 장치는 그에 따라 새로 업데이트된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위에서 주어진 예는 마스터 장치에 의해 업데이트되는 것을 설명한 반면, 다른 예로서 상기 다른 장치들이 업데이트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질 수 있고, 실시간 협업을 하고 있는 다른 장치로 변경된 사항을 전파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변경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유사하게 전파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마스터 장치는 콘텐츠 아이디와 콘텐츠를 전송하지 않아도 된다.
더 나아가 상기 마스터 장치는 협업이 종료된 후 변경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의 시스템에서, 상기 협업은 마스터 장치인 제1 장치에 의해 시작될 수 있다. 이후 참가자들은 제2 장치를 마스터 장치로 전환하는 데 동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장치의 사용자가 특정 주제에 대해 전문가이거나, 상기 제1 장치의 사용자가 대화 도중 퇴장한 경우 등이 이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마스터 장치를 변경할 때, 상기 현재의 마스터 장치는, 제1 장치에서 제2 장치로 마스터 장치가 변경된다는 메시지를 다른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다른 장치들의 디스플레이는 독립적으로 각각 자신의 디스플레이를 유지할 수 있다. 즉, 마스터 장치가 제1 장치에서 제2 장치로 변경되더라도 제3 장치는 동일한 디스플레이를 유지하게 된다.
도 2a 및 도 2b는 단지 실시 예를 보이기 위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디스플레이를 보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썸네일 리스트는 팝업 창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상기 썸네일 리스트는 세로 리스트 또는 복합 스크린으로 디스플레이 될 수 있고 상기 복합 스크린에는 상기 썸네일 리스트가 스크린 일 측에 표시될 수 있고, 상기 썸네일에 대응되는 콘텐츠의 큰 디스플레이는 임의의 한 콘텐츠에 포커스가 맞추어진 상태로 표시될 수 있다.
각 장치는 해당 장치에 적합하게 썸네일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다른 장치가 디스플레이를 어떻게 업데이트하는 지와는 독립적으로 포커스 변경에 상응하는 디스플레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한 실시 예로서, 상기 디스플레이 방식은 장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썸네일 리스트를 태블릿 방식으로 표시하는 경우, 세로 모드일 때, 상기 썸네일 리스트를 스크린의 가로 상단(또는 하단)으로 디스플레이하고, 가로 모드일 때, 상기 썸네일 리스트를 세로 좌측(또는 우측)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상기 스크린의 중앙에 포커스가 맞도록 디스플레이된 썸네일에 대응되는 콘텐츠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마스터 장치로부터 상기 콘텐츠 아이디를 수신하면, 상기 썸네일 리스트는 스크롤되고 현재 방식에 따라 포커스가 변경된다. 다른 실시 예로서,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한번에 모든 썸네일을 표시할 수 있도록 충분히 큰 사이즈일 수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사이즈가 크거나, 디스플레이할 썸네일의 개수가 적은 경우에도 해당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 디스플레이 방법에 대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동작 300에서, 상기 마스터 장치는 썸네일 리스트를 각각 제2 장치와 제3 장치로 전송한다. 상기 제2 장치와 제3 장치는 상기 리스트를 각각의 장치에 적합한 포맷으로 디스플레이 한다. 상기 장치들은 마스터 장치를 포함하여 다른 장치의 디스플레이 포맷을 고려하지 않는다. 만일 상기 마스터 장치가 상기 협업에 참가하고 있는 경우, 상기 마스터 장치는 상기 리스트를 자신에 적합한 포맷으로 디스플레이 한다.
동작 310에서 상기 포커스가 썸네일 10으로 이동하면, 상기 마스터 장치는 상기 썸네일 10에 대응되는 콘텐츠 아이디를 제2 장치와 제3장치로 전송한다. 상기 제2장치와 제3 장치는 상기 썸네일 10 포커스가 맞도록 자신들의 디스플레이를 업데이트한다. 이 것은 상기 디스플레이를 스크롤 하거나 팝업 창을 디스플레이 하여 썸네일 10이 보이도록 하는 것일 수 있으며, 만일 썸네일 10이 이미 보이는 상태이면 위 동작을 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마스터 장치는 포커스를 변경하기 보다는 다른 목적으로 콘텐츠 아이디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가, 삭제, 그리고 변경된 콘텐츠를 식별하기 위해 콘텐츠 아이디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마스터 장치는 상기 콘텐츠 아이디를 전송하기 위해 인디케이터를 전송할 수 있고, 상기 제2 장치와 제3 장치는 포커스 변경이 없으면, 상기 마스터 장치로부터 수신된 지시에 따라 상기 썸네일 리스트와 콘텐츠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동작 320에서, 상기 포커스는 다시 썸네일 18로 이동된다. 따라서 상기 마스터 장치는 상기 썸네일 18에 대응되는 콘텐츠 아이디를 상기 제2 장치와 제3장치로 전송한다. 상기 제2 장치와 제3 장치는 각각 상기 썸네일 18에 포커스 되도록 자신들의 디스플레이를 업데이트한다. 상기 장치들은 다른 장치와는 독립적으로 해당 장치에 적합하게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상기 마스터 장치는 세로로 상기 썸네일을 스크롤 할 수 있는 반면, 상기 제2 장치와 제3 장치는 상기 썸네일 18을 가로로 스크롤 할 수 있다. 제3 장치에는 썸네일 18이 이미 디스플레이된 상태이면, 상기 콘텐츠 아이디를 수신한 것에 대해 아무런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각 장치는 다른 장치들과 독립적으로 디스플레이를 업데이트하고, 상기 포커스 된 동일한 썸네일이 보이도록 한다. 이런 방식은 각 사용자가 자신이 소유한 장치를 통해 가정 적합한 방식으로 동일한 콘텐츠를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는 각 장치의 디스플레이 포맷이 다르더라도 모든 장치에서 동기화된다.
상기 장치들이 해당 장치에서 포커스를 변경하는 것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장치들 중 하나의 사용자는 실시간 표시로 다른 슬라이드를 보고 싶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사용자를 위해 디스플레이는 다른 슬라이드로 포커스를 변경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사용자가 마스터 장치의 사용자가 아니기 때문에, 상기 포커스의 변경은 다른 장치에 반영되지 않는다. 유사하게 상기 마스터 장치가 다른 장치로 별도의 통지 없이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장치가 마스터 장치로부터 포커스 변경 지시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장치는 자동으로 포커스를 변경하고 사용자로부터 확인을 요청(예: 대화 박스)하거나, 포커스 변경을 사용자에게 통지하거나, 아무런 동작을 하지 않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실시간 협업 시스템의 콘텐츠 디스플레이 동기화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장치는 실시간 협업에 참여할 수 있는 장치로서, 스마트 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태블릿, 랩톱, 데스크톱 컴퓨터, 홈 엔터테인먼트, 콘솔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전자 장치일 수 있다.
상기 장치는 컨트롤러 410, 디스플레이 유니트 420, 그리고 통신 유니트 430을 포함한다. 상기 컨트롤러 410은 상기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통신 유니트 430이 상기 마스터 장치로부터 썸네일 리스트를 수신하면, 상기 컨트롤러 420은 상기 장치에 적합하게 리스트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유니트 420을 제어한다. 상기 장치가 마스터 장치로 작동하는 경우, 상기 컨트롤러 410은 상기 통신 유니트를 제어하여 상기 썸네일 리스트와 콘텐츠, 그리고 콘텐츠 아이디를 상기 다른 장치들로 전송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유니트 420는 스크린 상에 상기 썸네일 리스트와 콘텐츠를 표시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유니트 420는 다양한 디스플레이 기술, 예를 들어,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OLED(Organic LED), AMOLED(Active Matrix OLED), 프리즈마 등의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 더욱 상세하게, 상기 디스플레이 유니트는 상기 장치의 하우징 내에 집적되거나, 케이블을 통해 연결된 외부 장치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유니트는 또한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유니트는 협업 시스템 내의 다른 장치들과 통산할 뿐만 아니라, 상기 협업 시스템 실현에 사용되는 어떠한 서버 또는 장치들과 통신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유니트는 무선, 유선 통신이 모두 가능하다. 예를 들어, 이더넷, LTE(Ethernet, Long Term Evolution), LTE-Advanced (LTE-A), 3G cellular, Wi-Fi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통신 유니트는 RF 송신기와 RF 수신기가 사용될 수 있고, 상기 썸네일 리스트와 콘텐츠, 그리고 콘텐츠 아이디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실시간 협업에는 다양한 유형의 장치들이 참여할 수 있으며, 각 장치는 도 4에 도시한 구성 요소들 보다 더 많은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GPS 유니트, 카메라, 스피커, 마이크로 폰, 가속도 센서, 근거리 통신 유니트, 스토리지 등과 같은 다양한 여러 기능의 구성들이 추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구현될(Implemented)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하는 경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Device) 내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120에 의해 실행 가능하도록 구성된다(Configured for execution).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로 하여금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을 실행하게 하는 명령어(Instructions)를 포함한다.
이러한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 소프트웨어)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Flash) 메모리를 포함하는 비휘발성(Non-Volatile) 메모리, 롬(ROM: Read Only Memory), 전기적 삭제가능 프로그램가능 롬(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Magnetic Disc Storage Device), 컴팩트 디스크 롬(CD-ROM: Compact Disc-ROM), DVD(Digital Video Disk) 또는 다른 형태의 광학 저장 장치, 마그네틱 카세트(Magnetic Cassette)에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이들의 일부 또는 전부의 조합으로 구성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구성 메모리는 다수 개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인터넷(Internet), 인트라넷(Intranet), LAN(Local Area Network), WLAN(Wide LAN), 또는 SAN(Storage Area Network)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근(Access)할 수 있는 부착 가능한(Attachable) 저장 장치(Storage Device)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 장치는 외부 포트를 통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네트워크상의 별도의 저장장치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의 구체적인 실시 예들에서, 발명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는 제시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라 단수 또는 복수로 표현되었다. 그러나, 단수 또는 복수의 표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시한 상황에 적합하게 선택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단수 또는 복수의 구성 요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단수로 구성되거나, 단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410: 컨트롤러
420: 디스플레이 유니트
430: 통신 유니트

Claims (14)

  1. 실시간 협업 시스템의 콘텐츠 디스플레이 동기화 방법에 있어서,
    마스터 장치에서, 각 썸네일에 대응되는 썸네일 리스트와 콘텐츠를 다수의 다른 장치들로 전송하는 과정;
    상기 다수의 다른 장치들 각각에서, 다른 장치들의 디스플레이 포맷과 무관하게, 해당 장치에 적합한 포맷으로, 상기 썸네일 리스트를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
    상기 마스터 장치에서, 현재 포커스된 콘텐츠에 대응되는 콘텐츠 아이디를, 상기 다수의 다른 장치들로 전송하는 과정; 및
    상기 다수의 다른 장치들 각각에서, 상기 콘텐츠 아이디에 대응되는 썸네일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상기 썸네일 리스트를 스크롤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썸네일 리스트를 스크롤하는 과정은,
    세로 포맷으로 정렬된 썸네일 리스트를 스크롤하는 것인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썸네일 리스트를 스크롤하는 과정은,
    가로 포맷으로 정렬된 썸네일 리스트를 스크롤하는 것인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콘텐츠 변경에 대응되는 콘텐츠 아이디를 수신하는 과정; 및
    상기 수신된 콘텐츠 아이디에 상응하여 변경된 콘텐츠가 반영되는 썸네일 리스트를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5. 실시간 협업 시스템에 있어서,
    마스터 장치; 및
    다수의 다른 장치들을 포함하되,
    상기 마스터 장치는, 각 썸네일에 대응되는 썸네일 리스트와 콘텐츠를 상기 다수의 다른 장치들로 전송하고, 포커스 변경이 발생하면, 상기 포커스 변경이 발생한 썸네일에 대응되는 콘텐츠 아이디를 전송하며, ,
    상기 다수의 다른 장치들 각각은, 다른 장치들의 디스플레이 포맷과 무관하게, 해당 장치의 포맷으로, 상기 썸네일 리스트를 디스플레이 하고, 상기 콘텐츠 아이디가 수신되면, 상기 콘텐츠 아이디에 대응되는 썸네일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다른 장치들의 디스플레이 포맷과 무관하게 디스플레이 하는 실시간 협업 시스템.
  6. 실시간 협업 시스템의 콘텐츠 디스플레이 방법에 있어서,
    각 썸네일에 대응되는 썸네일 리스트와 콘텐츠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실시간 협업 시스템 내의 다른 장치들의 디스플레이 포맷과 무관하게, 상기 썸네일 리스트를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
    포커스가 변경된 썸네일에 대응되는 콘텐츠 아이디를 마스터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과정; 및
    상기 실시간 협업 시스템 내의 다른 장치들의 디스플레이 포맷과 무관하게, 상기 콘텐츠 아이디에 대응되어 포커스 된 썸네일을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썸네일 리스트를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은, 세로로 정렬된 썸네일 리스트를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 아이디에 대응되는 썸네일을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은, 상기 콘텐츠 아이디에 대응되는 썸네일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상기 세로로 정렬된 썸네일 리스트를 스크롤 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썸네일 리스트를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은, 가로로 정렬된 썸네일 리스트를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 아이디에 대응되는 썸네일을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은, 상기 콘텐츠 아이디에 대응되는 썸네일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상기 가로로 정렬된 썸네일 리스트를 스크롤 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업데이트할 콘텐츠에 대응되는 콘텐츠 아이디와 썸네일 리스트 업데이트를 지시하는 명령을 수신하는 과정; 및
    상기 업데이트할 콘텐츠와 업데이트 명령에 기반하여 상기 썸네일 리스트의 디스플레이를 업데이트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10. 실시간 협업 장치에 있어서,
    썸네일 리스트, 각 썸네일에 대응되는 콘텐츠, 그리고 포커스가 변경될 썸네일에 대응되는 콘텐츠 아이디를 수신하는 통신 유니트;
    디스플레이 유니트; 및
    상기 디스플레이 유니트에 상기 썸네일 리스트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유니트를 제어하고, 상기 콘텐츠 아이디가 수신될 때, 상기 실시간 협업에 참여한 다른 장치들의 디스플레이 포맷과 무관하게, 상기 장치의 디스플레이 포맷에 따라 상기 콘텐츠 아이디에 대응되는 썸네일에 포커스가 맞추어 지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유니트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가로로 정렬된 썸네일 리스트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유니트를 제어하고, 상기 콘텐츠 아이디에 대응되는 썸네일을 디스플레이 하기 위해 가로로 썸네일 리스트를 스크롤 하여, 상기 콘텐츠 아이디에 대응되는 썸네일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유니트를 제어하는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세로로 정렬된 썸네일 리스트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유니트를 제어하고, 상기 콘텐츠 아이디에 대응되는 썸네일을 디스플레이 하기 위해 세로로 썸네일 리스트를 스크롤 하여, 상기 콘텐츠 아이디에 대응되는 썸네일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유니트를 제어하는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콘텐츠 아이디와 상기 썸네일 리스트의 업데이트 지시를 통신을 통해 수신할 때, 상기 업데이트 명령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된 썸네일 리스트를 업데이트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유니트를 제어하는 방법.
  14. 제1항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
KR1020140067123A 2013-12-12 2014-06-02 실시간 협업 시스템의 콘텐츠 디스플레이 동기화 장치 및 방법 KR1021975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104,385 US9674236B2 (en) 2013-12-12 2013-12-12 Method for syncronized real-time sharing the display of ordered lists of content
US14/104,385 2013-12-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8887A true KR20150068887A (ko) 2015-06-22
KR102197567B1 KR102197567B1 (ko) 2021-01-04

Family

ID=51300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7123A KR102197567B1 (ko) 2013-12-12 2014-06-02 실시간 협업 시스템의 콘텐츠 디스플레이 동기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674236B2 (ko)
EP (1) EP2884720A1 (ko)
KR (1) KR10219756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8641A (ko) * 2017-07-24 2020-02-19 텐센트 테크놀로지(센젠) 컴퍼니 리미티드 게임 콘텐츠를 동기식으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및 저장 매체
KR20200137679A (ko) 2019-05-31 2020-12-09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밀접도 기반 객체 검색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83635B2 (ja) * 2014-01-06 2016-09-06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処理装置および携帯情報端末
GB2557233A (en) * 2016-11-30 2018-06-20 Collaboration Platform Services Ltd Simultaneous Multiuser Information cross streaming and sharing
US20190102841A1 (en) * 2017-10-04 2019-04-04 Servicenow, Inc. Mapping engine configurations with task managed workflows and grid user interfaces
US10360252B1 (en) * 2017-12-08 2019-07-23 Palantir Technologies Inc. Detection and enrichment of missing data or metadata for large data sets
KR20230055073A (ko) * 2021-10-18 2023-04-2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18424A1 (en) * 2006-04-13 2007-10-25 Zhang, Sheng Web search on mobile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99995A (en) * 1997-06-30 1999-05-04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organizing information
US6654784B1 (en) * 2000-01-14 2003-11-25 Nexaweb Technologies, Inc Computing architecture
US20020111995A1 (en) * 2001-02-14 2002-08-15 Mansour Peter M. Platform-independent distributed user interface system architecture
US20020191031A1 (en) 2001-04-26 2002-12-1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mage navigating browser for large image and small window size applications
US7398295B2 (en) * 2003-06-30 2008-07-08 Microsoft Corporation Virtual lobby for data conferencing
EP1515223A1 (de) * 2003-09-10 2005-03-16 Siemens Aktiengesellschaft Generierung einer Objekt-Bearbeitungsplattform zwischen zwei Computern über eine Bildschirmzusammenfügung
CN100486280C (zh) 2005-02-02 2009-05-06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移动通信终端页面适配的方法及系统
US7710349B2 (en) * 2005-07-18 2010-05-04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ethods and systems for sharing multimedia application data by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devices
US8054241B2 (en) * 2006-09-14 2011-11-08 Citrix System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ple display support in remote access software
EP3654141A1 (en) * 2008-10-06 2020-05-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graphical user interface depending on a user's contact pattern
US9251506B2 (en) * 2010-01-05 2016-02-02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content categorization and retrieva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18424A1 (en) * 2006-04-13 2007-10-25 Zhang, Sheng Web search on mobile device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8641A (ko) * 2017-07-24 2020-02-19 텐센트 테크놀로지(센젠) 컴퍼니 리미티드 게임 콘텐츠를 동기식으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및 저장 매체
KR20200137679A (ko) 2019-05-31 2020-12-09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밀접도 기반 객체 검색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172329A1 (en) 2015-06-18
KR102197567B1 (ko) 2021-01-04
US9674236B2 (en) 2017-06-06
EP2884720A1 (en) 2015-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83447B2 (en) Providing side conversations within a virtual conferencing system
KR20150068887A (ko) 실시간 협업 시스템의 콘텐츠 디스플레이 동기화 장치 및 방법
US11979244B2 (en) Configuring 360-degree video within a virtual conferencing system
US20220321371A1 (en) Providing a room preview within a virtual conferencing system
US20220321374A1 (en) Presenting overview of participant conversations within a virtual conferencing system
US8175638B2 (en) Virtual video message answering machine platform
WO2022212391A1 (en) Presenting participant conversations within virtual conferencing system
CA2916110C (en) Group management method and server in mobile social network service application
US20130225139A1 (en) Cooperative tablet computer and mobile communicator
US10897435B2 (en) Instant messaging method and system, and electronic apparatus
US20160127292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polling in message conversations across multiple devices
US20160353406A1 (en) Media information sharing between networked mobile devices
CN110505072B (zh) 用于备份聊天记录的方法、终端设备和计算机可读介质
US20140354680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Generating Display Data
CN105814885A (zh) 同步通信系统和方法
US10310727B2 (en)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a part of a web page in a drop area and transmitting the part of the webpage to a separate display apparatus
CN113220387A (zh) 会议信息展示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CN109842542B (zh) 即时会话方法及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
US20240073372A1 (en) In-person participant interaction for hybrid event
US11880560B1 (en) Providing bot participants within a virtual conferencing system
US20240073371A1 (en) Virtual participant interaction for hybrid event
US20240073050A1 (en) Presenting captured screen content within a virtual conferencing system
CN101345909B (zh) 提供即时讯息服务之介面、系统及其方法
US20230328166A1 (en) Call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16506241A (zh) 一种在线活动控制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