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8461A - 무선랜 시스템에서 짧은 mac 헤더를 지원하는 프레임 송수신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랜 시스템에서 짧은 mac 헤더를 지원하는 프레임 송수신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8461A
KR20150068461A KR1020157012235A KR20157012235A KR20150068461A KR 20150068461 A KR20150068461 A KR 20150068461A KR 1020157012235 A KR1020157012235 A KR 1020157012235A KR 20157012235 A KR20157012235 A KR 20157012235A KR 20150068461 A KR20150068461 A KR 201500684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
frame
field
address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2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석용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50068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84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6Provisioning of proxy services
    • H04L67/568Storing data temporarily at an intermediate stage, e.g. cach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76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based on the identity of the terminal or configuration, e.g. MAC address, hardware or software configuration or device fingerpr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2Applying verification of the received information
    • H04L63/123Applying verification of the received information received data contents, e.g. message integ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04Protocols for data compression, e.g. ROH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22Parsing or analysis of hea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04L69/322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 H04L69/324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in the data link layer [OSI layer 2], e.g. HDL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2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e.g. protecting personally identifiable information [PI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3Protecting confidentiality, e.g. by encry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8Access secu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6Optimizing the usage of the radio link, e.g. header compression, information sizing, discarding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6Optimizing the usage of the radio link, e.g. header compression, information sizing, discarding information
    • H04W28/065Optimizing the usage of the radio link, e.g. header compression, information sizing, discarding information using assembly or disassembly of packets
    • H04W4/00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101/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 H04L61/00
    • H04L2101/60Types of network addresses
    • H04L2101/618Details of network addresses
    • H04L2101/622Layer-2 addresses, e.g. medium access control [MAC] addres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랜 시스템에서 짧은 MAC 헤더를 지원하는 프레임 송수신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시스템에서 시퀀스 번호(sequence number)를 관리하는 방법은, 제 1 STA이 제 2 STA으로 짧은 MAC 헤더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의 전송 방향이 상향링크 또는 하향링크 방향인지에 따라서, 상기 짧은 MAC 헤더에 포함된 수신자 주소 필드 또는 송신자 주소 필드 중의 하나가 연관식별자(AID)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신자 주소 필드가 상기 AID 값을 포함하는 경우에, 상기 AID 값에 의해서 식별되는 STA MAC 주소를 이용해서 상기 프레임에 대한 상기 시퀀스 번호가 할당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랜 시스템에서 짧은 MAC 헤더를 지원하는 프레임 송수신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FRAME SUPPORTING A SHORT MAC HEADER IN WIRELESS LAN SYSTEM}
이하의 설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무선랜 시스템에서 짧은 MAC 헤더를 지원하는 프레임 송수신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이다.
최근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다양한 무선 통신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이 중에서 무선랜(WLAN)은 무선 주파수 기술을 바탕으로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랩탑 컴퓨터,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가정이나 기업 또는 특정 서비스 제공지역에서 무선으로 인터넷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무선랜에서 취약점으로 지적되어온 통신 속도에 대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최근의 기술 표준에서는 네트워크의 속도와 신뢰성을 증가시키고, 무선 네트워크의 운영 거리를 확장한 시스템이 도입되었다. 예를 들어, IEEE 802.11n에서는 데이터 처리 속도가 최대 540Mbps 이상인 고처리율(High Throughput; HT)을 지원하며, 또한 전송 에러를 최소화하고 데이터 속도를 최적화하기 위해 송신부와 수신부 양단 모두에 다중 안테나를 사용하는 MIMO(Multiple Inputs and Multiple Outputs) 기술의 적용이 도입되었다.
차세대 통신 기술로서 M2M(Machine-to-Machine) 통신 기술이 논의되고 있다. IEEE 802.11 WLAN 시스템에서도 M2M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기술 표준이 IEEE 802.11ah로서 개발되고 있다. M2M 통신에서는 매우 많은 기기가 존재하는 환경에서 가끔씩 적은 양의 데이터를 저속으로 통신하는 시나리오를 고려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STA 전력 절약 및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한, 짧은 MAC 헤더가 사용되는 경우의 시퀀스 번호 관리 방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짧은 MAC 헤더가 사용되는 경우에서 암호화된 데이터 유닛을 구성하는 방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시스템에서 시퀀스 번호(sequence number)를 관리하는 방법은, 제 1 STA이 제 2 STA으로 짧은 MAC 헤더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의 전송 방향이 상향링크 또는 하향링크 방향인지에 따라서, 상기 짧은 MAC 헤더에 포함된 수신자 주소 필드 또는 송신자 주소 필드 중의 하나가 연관식별자(AID)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신자 주소 필드가 상기 AID 값을 포함하는 경우에, 상기 AID 값에 의해서 식별되는 STA MAC 주소에 기초하여 상기 프레임에 대한 상기 시퀀스 번호가 할당될 수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시스템에서 시퀀스 번호(sequence number)를 관리하는 스테이션(STA) 장치는, 송수신기; 및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STA이 다른 STA으로 짧은 MAC 헤더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상기 송수신기를 이용하여 전송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의 전송 방향이 상향링크 또는 하향링크 방향인지에 따라서, 상기 짧은 MAC 헤더에 포함된 수신자 주소 필드 또는 송신자 주소 필드 중의 하나가 연관식별자(AID)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신자 주소 필드가 상기 AID 값을 포함하는 경우에, 상기 AID 값에 의해서 식별되는 STA MAC 주소에 기초하여 상기 프레임에 대한 상기 시퀀스 번호가 할당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에 있어서 이하의 사항이 공통으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시퀀스 번호는 상기 제 1 STA에 의해서 캐시(cache)될 수 있다.
상기 시퀀스 번호는, 상기 AID 값에 의해서 식별되는 상기 STA MAC 주소를 기준으로 순차적으로 증가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이 하향링크 방향으로 전송되는 경우에, 상기 수신자 주소 필드는 상기 제 2 STA의 AID 값을 포함하고, 상기 송신자 주소 필드는 BSSID(Basic Service Set Identifier)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짧은 MAC 헤더는 Frame Control 필드, Address 1 필드, Address 2 필드 및 Sequence Control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Address 1 필드는 상기 수신자 주소 필드이고, 상기 Address 2 필드는 상기 송신자 주소 필드이며, 상기 Sequence Control 필드는 상기 시퀀스 번호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시스템에서 시퀀스 번호(sequence number)를 관리하는 방법은, 제 2 STA이 제 1 STA으로부터 짧은 MAC 헤더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의 전송 방향이 상향링크 또는 하향링크 방향인지에 따라서, 상기 짧은 MAC 헤더에 포함된 수신자 주소 필드 또는 송신자 주소 필드 중의 하나가 연관식별자(AID)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신자 주소 필드가 상기 AID 값을 포함하는 경우에, 상기 AID 값에 의해서 식별되는 STA MAC 주소와 함께, 상기 MAC 헤더에 포함된 상기 시퀀스 번호 값이 상기 제 2 STA에 의해서 캐시(cache)될 수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시스템에서 시퀀스 번호(sequence number)를 관리하는 스테이션(STA) 장치는, 송수신기; 및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STA이 다른 STA으로부터 짧은 MAC 헤더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상기 송수신기를 이용하여 수신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의 전송 방향이 상향링크 또는 하향링크 방향인지에 따라서, 상기 짧은 MAC 헤더에 포함된 수신자 주소 필드 또는 송신자 주소 필드 중의 하나가 연관식별자(AID)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신자 주소 필드가 상기 AID 값을 포함하는 경우에, 상기 AID 값에 의해서 식별되는 STA MAC 주소와 함께, 상기 MAC 헤더에 포함된 상기 시퀀스 번호 값이 상기 STA 장치에 의해서 캐시(cache)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에 있어서 이하의 사항이 공통으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의 상기 AID 값에 의해서 식별되는 상기 STA MAC 주소 및 상기 MAC 헤더에 포함된 상기 시퀀스 번호의 값이, 이전에 캐시된 상기 AID 값에 의해서 식별되는 STA MAC 주소 및 상기 시퀀스 번호와 동일한 경우, 상기 프레임은 중복 프레임인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의 재시도(retry) 비트가 1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이 상향링크 방향으로 전송되는 경우에, 상기 수신자 주소 필드는 BSSID(Basic Service Set Identifier) 값을 포함하고, 상기 송신자 주소 필드는 상기 제 1 STA의 AID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짧은 MAC 헤더는 Frame Control 필드, Address 1 필드, Address 2 필드 및 Sequence Control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Address 1 필드는 상기 수신자 주소 필드이고, 상기 Address 2 필드는 상기 송신자 주소 필드이며, 상기 Sequence Control 필드는 상기 시퀀스 번호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대하여 전술한 일반적인 설명과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이며, 청구항 기재 발명에 대한 추가적인 설명을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짧은 MAC 헤더가 사용되는 경우의 시퀀스 번호 관리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짧은 MAC 헤더가 사용되는 경우의 암호화된 데이터 유닛을 구성하는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들을 나타내고 명세서의 기재와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IEEE 802.11 시스템의 예시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IEEE 802.11 시스템의 다른 예시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IEEE 802.11 시스템의 또 다른 예시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무선랜 시스템의 예시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무선랜 시스템에서의 링크 셋업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백오프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숨겨진 노드 및 노출된 노드에 대한 설명을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RTS와 CTS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전력 관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TIM을 수신한 STA의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그룹 기반 AID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IEEE 802.11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프레임 구조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장거리 PLCP 프레임 포맷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1MHz 대역폭에 대한 PLCP 프레임 포맷을 구성하기 위한 반복 기법을 설명하기 위한 전송 플로우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확장된 능력 요소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CCMP 캡슐화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짧은 MAC 헤더의 프레임 제어 필드의 예시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AAD의 예시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Nonce의 예시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암호화된 MPDU의 예시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짧은 MAC 헤더를 지원하는 프레임 송수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당업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을 소정 형태로 결합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특정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된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무선 액세스 시스템들인 IEEE 802 시스템, 3GPP 시스템, 3GPP LTE 및 LTE-A(LTE-Advanced)시스템 및 3GPP2 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에 개시된 표준 문서들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명확히 드러내기 위해 설명하지 않은 단계들 또는 부분들은 상기 문서들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개시하고 있는 모든 용어들은 상기 표준 문서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이하의 기술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액세스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다. CDMA는 UTRA(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나 CDMA2000과 같은 무선 기술(radio technology)로 구현될 수 있다. TDMA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EDGE(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와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OFDMA는 IEEE 802.11 (Wi-Fi), IEEE 802.16 (WiMAX), IEEE 802-20, E-UTRA(Evolved UTRA) 등과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명확성을 위하여 이하에서는 IEEE 802.11 시스템을 위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WLAN 시스템의 구조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IEEE 802.11 시스템의 예시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IEEE 802.11 구조는 복수개의 구성요소들로 구성될 수 있고, 이들의 상호작용에 의해 상위계층에 대해 트랜스패런트한 STA 이동성을 지원하는 WLAN이 제공될 수 있다. 기본 서비스 세트(Basic Service Set; BSS)는 IEEE 802.11 LAN에서의 기본적인 구성 블록에 해당할 수 있다. 도 1 에서는 2 개의 BSS(BSS1 및 BSS2)가 존재하고 각각의 BSS의 멤버로서 2 개의 STA이 포함되는 것(STA1 및 STA2 는 BSS1에 포함되고, STA3 및 STA4는 BSS2에 포함됨)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1 에서 BSS를 나타내는 타원은 해당 BSS에 포함된 STA들이 통신을 유지하는 커버리지 영역을 나타내는 것으로도 이해될 수 있다. 이 영역을 BSA(Basic Service Area)라고 칭할 수 있다. STA이 BSA 밖으로 이동하게 되면 해당 BSA 내의 다른 STA들과 직접적으로 통신할 수 없게 된다.
IEEE 802.11 LAN에서 가장 기본적인 타입의 BSS는 독립적인 BSS(Independent BSS; IBSS)이다. 예를 들어, IBSS는 2 개의 STA만으로 구성된 최소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가장 단순한 형태이고 다른 구성요소들이 생략되어 있는 도 1 의 BSS(BSS1 또는 BSS2)가 IBSS의 대표적인 예시에 해당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STA들이 직접 통신할 수 있는 경우에 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형태의 LAN은 미리 계획되어서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LAN이 필요한 경우에 구성될 수 있으며, 이를 애드-혹(ad-hoc) 네트워크라고 칭할 수도 있다.
STA의 켜지거나 꺼짐, STA이 BSS 영역에 들어오거나 나감 등에 의해서, BSS에서의 STA의 멤버십이 동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BSS의 멤버가 되기 위해서는, STA은 동기화 과정을 이용하여 BSS에 조인할 수 있다. BSS 기반구조의 모든 서비스에 액세스하기 위해서는, STA은 BSS에 연관(associated)되어야 한다. 이러한 연관(association)은 동적으로 설정될 수 있고, 분배시스템서비스(Distribution System Service; DSS)의 이용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 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IEEE 802.11 시스템의 다른 예시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에서는 도 1 의 구조에서 분배시스템(Distribution System; DS), 분배시스템매체(Distribution System Medium; DS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 등의 구성요소가 추가된 형태이다.
LAN에서 직접적인 스테이션-대-스테이션의 거리는 물리 계층(PHY) 성능에 의해서 제한될 수 있다. 어떠한 경우에는 이러한 거리의 한계가 충분할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보다 먼 거리의 스테이션 간의 통신이 필요할 수도 있다. 확장된 커버리지를 지원하기 위해서 분배시스템(DS)이 구성될 수 있다.
DS는 BSS들이 상호연결되는 구조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도 1 과 같이 BSS가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대신에, 복수개의 BSS들로 구성된 네트워크의 확장된 형태의 구성요소로서 BSS가 존재할 수도 있다.
DS는 논리적인 개념이며 분배시스템매체(DSM)의 특성에 의해서 특정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IEEE 802.11 표준에서는 무선 매체(Wireless Medium; WM)와 분배시스템매체(DSM)을 논리적으로 구분하고 있다. 각각의 논리적 매체는 상이한 목적을 위해서 사용되며, 상이한 구성요소에 의해서 사용된다. IEEE 802.11 표준의 정의에서는 이러한 매체들이 동일한 것으로 제한하지도 않고 상이한 것으로 제한하지도 않는다. 이와 같이 복수개의 매체들이 논리적으로 상이하다는 점에서, IEEE 802.11 LAN 구조(DS 구조 또는 다른 네트워크 구조)의 유연성이 설명될 수 있다. 즉, IEEE 802.11 LAN 구조는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각각의 구현예의 물리적인 특성에 의해서 독립적으로 해당 LAN 구조가 특정될 수 있다.
DS는 복수개의 BSS들의 끊김 없는(seamless) 통합을 제공하고 목적지로의 어드레스를 다루는 데에 필요한 논리적 서비스들을 제공함으로써 이동 기기를 지원할 수 있다.
AP 는, 연관된 STA들에 대해서 WM을 통해서 DS 로의 액세스를 가능하게 하고 STA 기능성을 가지는 엔티티(entity)를 의미한다. AP를 통해서 BSS 및 DS 간의 데이터 이동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 에서 도시하는 STA2 및 STA3 은 STA의 기능성을 가지면서, 연관된 STA들(STA1 및 STA4)가 DS로 액세스하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모든 AP는 기본적으로 STA에 해당하므로, 모든 AP는 어드레스 가능한 엔티티이다. WM 상에서의 통신을 위해 AP 에 의해서 사용되는 어드레스와 DSM 상에서의 통신을 위해 AP 에 의해서 사용되는 어드레스는 반드시 동일할 필요는 없다.
AP에 연관된 STA들 중의 하나로부터 그 AP의 STA 어드레스로 전송되는 데이터는, 항상 비제어 포트(uncontrolled port)에서 수신되고 IEEE 802.1X 포트 액세스 엔티티에 의해서 처리될 수 있다. 또한, 제어 포트(controlled port)가 인증되면 전송 데이터(또는 프레임)는 DS로 전달될 수 있다.
도 3 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IEEE 802.11 시스템의 또 다른 예시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에서는 도 2 의 구조에 추가적으로 넓은 커버리지를 제공하기 위한 확장된 서비스 세트(Extended Service Set; ESS)를 개념적으로 나타낸다.
임의의(arbitrary) 크기 및 복잡도를 가지는 무선 네트워크가 DS 및 BSS들로 구성될 수 있다. IEEE 802.11 시스템에서는 이러한 방식의 네트워크를 ESS 네트워크라고 칭한다. ESS는 하나의 DS에 연결된 BSS들의 집합에 해당할 수 있다. 그러나, ESS는 DS를 포함하지는 않는다. ESS 네트워크는 LLC(Logical Link Control) 계층에서 IBSS 네트워크로 보이는 점이 특징이다. ESS에 포함되는 STA들은 서로 통신할 수 있고, 이동 STA들은 LLC에 트랜스패런트하게 하나의 BSS에서 다른 BSS로 (동일한 ESS 내에서) 이동할 수 있다.
IEEE 802.11 에서는 도 3 에서의 BSS들의 상대적인 물리적 위치에 대해서 아무것도 가정하지 않으며, 다음과 같은 형태가 모두 가능하다. BSS들은 부분적으로 중첩될 수 있고, 이는 연속적인 커버리지를 제공하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형태이다. 또한, BSS들은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을 수 있고, 논리적으로는 BSS들 간의 거리에 제한은 없다. 또한, BSS들은 물리적으로 동일한 위치에 위치할 수 있고, 이는 리던던시를 제공하기 위해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IBSS 또는 ESS 네트워크들이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ESS 네트워크로서 동일한 공간에 물리적으로 존재할 수 있다. 이는 ESS 네트워크가 존재하는 위치에 애드-혹 네트워크가 동작하는 경우나, 상이한 기관(organizations)에 의해서 물리적으로 중첩되는 IEEE 802.11 네트워크들이 구성되는 경우나, 동일한 위치에서 2 이상의 상이한 액세스 및 보안 정책이 필요한 경우 등에서의 ESS 네트워크 형태에 해당할 수 있다.
도 4 는 무선랜 시스템의 예시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에서는 DS를 포함하는 기반 구조 BSS 의 일례가 도시된다.
도 4 의 예시에서 BSS1 및 BSS2가 ESS를 구성한다. 무선랜 시스템에서 STA은 IEEE 802.11 의 MAC/PHY 규정에 따라 동작하는 기기이다. STA은 AP STA 및 비-AP(non-AP) STA을 포함한다. Non-AP STA은 랩탑 컴퓨터, 이동 전화기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직접 다루는 기기에 해당한다. 도 4 의 예시에서 STA1, STA3, STA4 는 non-AP STA에 해당하고, STA2 및 STA5 는 AP STA 에 해당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non-AP STA은 단말(terminal), 무선 송수신 유닛(Wireless Transmit/Receive Unit; WTRU),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UE), 이동국(Mobile Station; MS), 이동단말(Mobile Terminal), 이동 가입자국(Mobile Subscriber Station; MSS) 등으로 칭할 수도 있다. 또한, AP는 다른 무선 통신 분야에서의 기지국(Base Station; BS), 노드-B(Node-B), 발전된 노드-B(evolved Node-B; eNB), 기저 송수신 시스템(Base Transceiver System; BTS), 펨토 기지국(Femto BS) 등에 대응하는 개념이다.
링크 셋업 과정
도 5는 일반적인 링크 셋업(link setup)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STA이 네트워크에 대해서 링크를 셋업하고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서는, 먼저 네트워크를 발견(discovery)하고, 인증(authentication)을 수행하고, 연관(association)을 맺고(establish), 보안(security)을 위한 인증 절차 등을 거쳐야 한다. 링크 셋업 과정을 세션 개시 과정, 세션 셋업 과정이라고도 칭할 수 있다. 또한, 링크 셋업 과정의 발견, 인증, 연관, 보안 설정의 과정을 통칭하여 연관 과정이라고 칭할 수도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예시적인 링크 셋업 과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단계 S510에서 STA은 네트워크 발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네트워크 발견 동작은 STA의 스캐닝(scanning)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즉, STA이 네트워크에 액세스하기 위해서는 참여 가능한 네트워크를 찾아야 한다. STA은 무선 네트워크에 참여하기 전에 호환 가능한 네트워크를 식별하여야 하는데, 특정 영역에 존재하는 네트워크 식별과정을 스캐닝이라고 한다.
스캐닝 방식에는 능동적 스캐닝(active scanning)과 수동적 스캐닝(passive scanning)이 있다.
도 5에서는 예시적으로 능동적 스캐닝 과정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발견 동작을 도시한다. 능동적 스캐닝에서 스캐닝을 수행하는 STA은 채널들을 옮기면서 주변에 어떤 AP가 존재하는지 탐색하기 위해 프로브 요청 프레임(probe request frame)을 전송하고 이에 대한 응답을 기다린다. 응답자(responder)는 프로브 요청 프레임을 전송한 STA에게 프로브 요청 프레임에 대한 응답으로 프로브 응답 프레임(probe response frame)을 전송한다. 여기에서, 응답자는 스캐닝되고 있는 채널의 BSS에서 마지막으로 비콘 프레임(beacon frame)을 전송한 STA일 수 있다. BSS에서는 AP가 비콘 프레임을 전송하므로 AP가 응답자가 되며, IBSS에서는 IBSS 내의 STA들이 돌아가면서 비콘 프레임을 전송하므로 응답자가 일정하지 않다. 예를 들어, 1번 채널에서 프로브 요청 프레임을 전송하고 1번 채널에서 프로브 응답 프레임을 수신한 STA은, 수신한 프로브 응답 프레임에 포함된 BSS 관련 정보를 저장하고 다음 채널(예를 들어, 2번 채널)로 이동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스캐닝(즉, 2번 채널 상에서 프로브 요청/응답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에서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스캐닝 동작은 수동적 스캐닝 방식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수동적 스캐닝에서 스캐닝을 수행하는 STA은 채널들을 옮기면서 비콘 프레임을 기다린다. 비콘 프레임은 IEEE 802.11에서 관리 프레임(management frame) 중 하나로서, 무선 네트워크의 존재를 알리고, 스캐닝을 수행하는 STA으로 하여금 무선 네트워크를 찾아서, 무선 네트워크에 참여할 수 있도록 주기적으로 전송된다. BSS에서 AP가 비콘 프레임을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IBSS에서는 IBSS 내의 STA들이 돌아가면서 비콘 프레임을 전송한다. 스캐닝을 수행하는 STA은 비콘 프레임을 수신하면 비콘 프레임에 포함된 BSS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다른 채널로 이동하면서 각 채널에서 비콘 프레임 정보를 기록한다. 비콘 프레임을 수신한 STA은, 수신한 비콘 프레임에 포함된 BSS 관련 정보를 저장하고 다음 채널로 이동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다음 채널에서 스캐닝을 수행할 수 있다.
능동적 스캐닝과 수동적 스캐닝을 비교하면, 능동적 스캐닝이 수동적 스캐닝보다 딜레이(delay) 및 전력 소모가 작은 장점이 있다.
STA이 네트워크를 발견한 후에, 단계 S520에서 인증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인증 과정은 후술하는 단계 S540의 보안 셋업 동작과 명확하게 구분하기 위해서 첫 번째 인증(first authentication) 과정이라고 칭할 수 있다.
인증 과정은 STA이 인증 요청 프레임(authentication request frame)을 AP에게 전송하고, 이에 응답하여 AP가 인증 응답 프레임(authentication response frame)을 STA에게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인증 요청/응답에 사용되는 인증 프레임(authentication frame)은 관리 프레임에 해당한다.
인증 프레임은 인증 알고리즘 번호(authentication algorithm number), 인증 트랜잭션 시퀀스 번호(authentication transaction sequence number), 상태 코드(status code), 검문 텍스트(challenge text), RSN(Robust Security Network), 유한 순환 그룹(Finite Cyclic Group)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인증 요청/응답 프레임에 포함될 수 있는 정보들의 일부 예시에 해당하며, 다른 정보로 대체되거나, 추가적인 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STA은 인증 요청 프레임을 AP에게 전송할 수 있다. AP는 수신된 인증 요청 프레임에 포함된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STA에 대한 인증을 허용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AP는 인증 처리의 결과를 인증 응답 프레임을 통하여 STA에게 제공할 수 있다.
STA이 성공적으로 인증된 후에, 단계 S530에서 연관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연관 과정은 STA이 연관 요청 프레임(association request frame)을 AP에게 전송하고, 이에 응답하여 AP가 연관 응답 프레임(association response frame)을 STA에게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연관 요청 프레임은 다양한 능력(capability)에 관련된 정보, 비콘 청취 간격(listen interval), SSID(service set identifier), 지원 레이트(supported rates), 지원 채널(supported channels), RSN, 이동성 도메인, 지원 오퍼레이팅 클래스(supported operating classes), TIM 방송 요청(Traffic Indication Map Broadcast request), 상호동작(interworking) 서비스 능력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관 응답 프레임은 다양한 능력에 관련된 정보, 상태 코드, AID(Association ID), 지원 레이트, EDCA(Enhanced Distributed Channel Access) 파라미터 세트, RCPI(Received Channel Power Indicator), RSNI(Received Signal to Noise Indicator), 이동성 도메인, 타임아웃 간격(연관 컴백 시간(association comeback time)), 중첩(overlapping) BSS 스캔 파라미터, TIM 방송 응답, QoS 맵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연관 요청/응답 프레임에 포함될 수 있는 정보들의 일부 예시에 해당하며, 다른 정보로 대체되거나, 추가적인 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STA이 네트워크에 성공적으로 연관된 후에, 단계 S540에서 보안 셋업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단계 S540의 보안 셋업 과정은 RSNA(Robust Security Network Association) 요청/응답을 통한 인증 과정이라고 할 수도 있고, 상기 단계 S520의 인증 과정을 첫 번째 인증(first authentication) 과정이라고 하고, 단계 S540의 보안 셋업 과정을 단순히 인증 과정이라고도 칭할 수도 있다.
단계 S540의 보안 셋업 과정은, 예를 들어, EAPOL(Extensible Authentication Protocol over LAN) 프레임을 통한 4-웨이(way) 핸드쉐이킹을 통해서, 프라이빗 키 셋업(private key setup)을 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보안 셋업 과정은 IEEE 802.11 표준에서 정의하지 않는 보안 방식에 따라 수행될 수도 있다.
WLAN의 진화
무선랜에서 통신 속도에 대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비교적 최근에 제정된 기술 표준으로서 IEEE 802.11n이 존재한다. IEEE 802.11n은 네트워크의 속도와 신뢰성을 증가시키고, 무선 네트워크의 운영 거리를 확장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IEEE 802.11n에서는 데이터 처리 속도가 최대 540Mbps 이상인 고처리율(High Throughput; HT)을 지원하며, 또한 전송 에러를 최소화하고 데이터 속도를 최적화하기 위해 송신부와 수신부 양단 모두에 다중 안테나를 사용하는 MIMO(Multiple Inputs and Multiple Outputs) 기술에 기반을 두고 있다.
무선랜의 보급이 활성화되고 또한 이를 이용한 어플리케이션이 다양화됨에 따라, 최근에는 IEEE 802.11n이 지원하는 데이터 처리 속도보다 더 높은 처리율을 지원하기 위한 새로운 무선랜 시스템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초고처리율(Very High Throughput; VHT)를 지원하는 차세대 무선랜 시스템은 IEEE 802.11n 무선랜 시스템의 다음 버전(예를 들어, IEEE 802.11ac)으로서, MAC 서비스 액세스 포인트(Service Access Point; SAP)에서 1Gbps 이상의 데이터 처리 속도를 지원하기 위하여 최근에 새롭게 제안되고 있는 IEEE 802.11 무선랜 시스템중의 하나이다.
차세대 무선랜 시스템은 무선채널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복수의 STA들이 동시에 채널에 액세스하는 MU-MIMO(Multi User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방식의 전송을 지원한다. MU-MIMO 전송 방식에 따르면, AP가 MIMO 페어링(pairing)된 하나 이상의 STA에게 동시에 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화이트스페이스(whitespace)에서 무선랜 시스템 동작을 지원하는 것이 논의되고 있다. 예를 들어, 아날로그 TV의 디지털화로 인한 유휴 상태의 주파수 대역(예를 들어, 54~698MHz 대역)과 같은 TV 화이트스페이스(TV WS)에서의 무선랜 시스템의 도입은 IEEE 802.11af 표준으로서 논의되고 있다. 하지만, 이는 예시에 불과하고, 화이트스페이스는 허가된 유저(licensed user)가 우선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허가된 대역이라 할 수 있다. 허가된 유저는 허가된 대역의 사용을 허가 받은 유저를 의미하며, 허가된 장치(licensed device), 프라이머리 유저(primary user), 우선적 사용자(incumbent user) 등으로 칭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WS에서 동작하는 AP 및/또는 STA은 허가된 유저에 대한 보호(protection) 기능을 제공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WS 대역에서 특정 대역폭을 가지도록 규약(regulation)상 분할되어 있는 주파수 대역인 특정 WS 채널을 마이크로폰(microphone)과 같은 허가된 유저가 이미 사용하고 있는 경우, 허가된 유저를 보호하기 위하여 AP 및/또는 STA은 해당 WS 채널에 해당하는 주파수 대역은 사용할 수 없다. 또한, AP 및/또는 STA은 현재 프레임 전송 및/또는 수신을 위해 사용하고 있는 주파수 대역을 허가된 유저가 사용하게 되면 해당 주파수 대역의 사용을 중지해야 한다.
따라서 AP 및/또는STA은 WS 대역 내 특정 주파수 대역의 사용이 가능한지, 다시 말해서 상기 주파수 대역에 허가된 유저가 있는지 여부를 파악하는 절차가 선행되어야 한다. 특정 주파수 대역에 허가된 유저가 있는지 여부를 파악하는 것을 스펙트럼 센싱(spectrum sensing)이라 한다. 스펙트럼 센싱 메커니즘으로 에너지 탐지(energy detection) 방식, 신호 탐지(signature detection) 방식 등이 활용된다. 수신 신호의 강도가 일정 값 이상이면 허가된 유저가 사용중인 것으로 판단하거나, DTV 프리앰블(preamble)이 검출되면 허가된 유저가 사용중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차세대 통신 기술로서 M2M(Machine-to-Machine) 통신 기술이 논의되고 있다. IEEE 802.11 무선랜 시스템에서도 M2M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기술 표준이 IEEE 802.11ah로서 개발되고 있다. M2M 통신은 하나 이상의 머신(Machine)이 포함되는 통신 방식을 의미하며,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 또는 사물 통신으로 칭하여지기도 한다. 여기서, 머신이란 사람의 직접적인 조작이나 개입을 필요로 하지 않는 엔티티(entity)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모듈이 탑재된 검침기(meter)나 자동 판매기와 같은 장치는 물론, 사용자의 조작/개입 없이 자동으로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 기기도 머신의 예시에 해당할 수 있다. M2M 통신은 디바이스 간의 통신(예를 들어, D2D(Device-to-Device) 통신), 디바이스와 서버(application server) 간의 통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와 서버 통신의 예시로, 자동 판매기와 서버, POS(Point of Sale) 장치와 서버, 전기, 가스 또는 수도 검침기와 서버 간의 통신을 들 수 있다. 그 외에도 M2M 통신 기반의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에는, 보안(security), 운송(transportation), 헬스 케어(health care)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적용례의 특성을 고려하면, 일반적으로 M2M 통신은 매우 많은 기기가 존재하는 환경에서 가끔씩 적은 양의 데이터를 저속으로 송수신하는 것을 지원할 수 있어야 한다.
구체적으로, M2M 통신은 많은 STA의 개수를 지원할 수 있어야 한다. 현재 정의되어 있는 무선랜 시스템에서는 하나의 AP에 최대 2007 개의 STA이 연관되는 경우를 가정하지만, M2M 통신에서는 이보다 많은 개수(약 6000 개)의 STA이 하나의 AP에 연관되는 경우를 지원하는 방안들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M2M 통신에서는 낮은 전송 속도를 지원/요구하는 애플리케이션이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를 원활하게 지원하기 위해서, 예를 들어, 무선랜 시스템에서는 TIM(Traffic Indication Map) 요소 기반으로 STA이 자신에게 송신될 데이터의 존재 여부를 인지할 수 있는데, TIM의 비트맵 크기를 줄이는 방안들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M2M 통신에서는 송신/수신 간격이 매우 긴 트래픽이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예를 들어, 전기/가스/수도 사용량과 같이 긴 주기(예를 들어, 한 달) 마다 매우 적은 양의 데이터를 주고 받는 것이 요구된다. 이에 따라, 무선랜 시스템에서는, 하나의 AP에 연관될 수 있는 STA의 개수는 매우 많아지더라도, 하나의 비콘 주기 동안에 AP로부터 수신할 데이터 프레임이 존재하는 STA의 개수가 매우 적은 경우를 효율적으로 지원하는 방안들이 논의되고 있다.
이와 같이 무선랜 기술은 빠르게 진화하게 있으며, 전술한 예시들 외에도 직접 링크 셋업, 미디어 스트리밍 성능의 개선, 고속 및/또는 대규모의 초기 세션 셋업의 지원, 확장된 대역폭 및 동작 주파수의 지원 등을 위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매체 액세스 메커니즘
IEEE 802.11에 따른 무선랜 시스템에서, MAC(Medium Access Control)의 기본 액세스 메커니즘은 CSMA/CA(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Avoidance) 메커니즘이다. CSMA/CA 메커니즘은 IEEE 802.11 MAC의 분배 조정 기능(Distributed Coordination Function, DCF)이라고도 불리는데, 기본적으로 "listen before talk" 액세스 메커니즘을 채용하고 있다. 이러한 유형의 액세스 메커니즘 따르면, AP 및/또는 STA은 전송을 시작하기에 앞서, 소정의 시간구간(예를 들어, DIFS(DCF Inter-Frame Space) 동안 무선 채널 또는 매체(medium)를 센싱(sensing)하는 CCA(Clear Channel Assessment)를 수행할 수 있다. 센싱 결과, 만일 매체가 유휴 상태(idle status)인 것으로 판단 되면, 해당 매체를 통하여 프레임 전송을 시작한다. 반면, 매체가 점유 상태(occupied status)인 것으로 감지되면, 해당 AP 및/또는 STA은 자기 자신의 전송을 시작하지 않고 매체 액세스를 위한 지연 기간(예를 들어, 임의 백오프 주기(random backoff period))을 설정하여 기다린 후에 프레임 전송을 시도할 수 있다. 임의 백오프 주기의 적용으로, 여러 STA들은 서로 다른 시간 동안 대기한 후에 프레임 전송을 시도할 것이 기대되므로, 충돌(collision)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IEEE 802.11 MAC 프로토콜은 HCF(Hybrid Coordination Function)를 제공한다. HCF는 상기 DCF와 PCF(Point Coordination Function)를 기반으로 한다. PCF는 폴링(polling) 기반의 동기식 액세스 방식으로 모든 수신 AP 및/또는 STA이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도록 주기적으로 폴링하는 방식을 일컫는다. 또한, HCF는 EDCA(Enhanced Distributed Channel Access)와 HCCA(HCF Controlled Channel Access)를 가진다. EDCA는 제공자가 다수의 사용자에게 데이터 프레임을 제공하기 위한 액세스 방식을 경쟁 기반으로 하는 것이고, HCCA는 폴링(polling) 메커니즘을 이용한 비경쟁 기반의 채널 액세스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다. 또한, HCF는 WLAN의 QoS(Quality of Service)를 향상시키기 위한 매체 액세스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경쟁 주기(Contention Period; CP)와 비경쟁 주기(Contention Free Period; CFP) 모두에서 QoS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도 6은 백오프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임의 백오프 주기에 기반한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점유(occupy 또는 busy) 상태이던 매체가 유휴(idle) 상태로 변경되면, 여러 STA들은 데이터(또는 프레임) 전송을 시도할 수 있다. 이 때, 충돌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STA들은 각각 임의 백오프 카운트를 선택하고 그에 해당하는 슬롯 시간만큼 대기한 후에, 전송을 시도할 수 있다. 임의 백오프 카운트는 패킷 번호(Packet Number) 값을 가지며, 0 내지 CW 범위의 값 중에서 하나로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CW는 경쟁 윈도우(Contention Window) 파라미터 값이다. CW 파라미터는 초기값으로 CWmin이 주어지지만, 전송 실패의 경우(예를 들어, 전송된 프레임에 대한 ACK을 수신하지 못한 경우)에 2 배의 값을 취할 수 있다. CW 파라미터 값이 CWmax가 되면 데이터 전송이 성공할 때까지 CWmax 값을 유지하면서 데이터 전송을 시도할 수 있고, 데이터 전송이 성공하는 경우에는 CWmin 값으로 리셋된다. CW, CWmin 및 CWmax 값은 CW, CWmin 및 CWmax 값은 -1 2n(n=0, 1, 2, ...)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임의 백오프 과정이 시작되면 STA은 결정된 백오프 카운트 값에 따라서 백오프 슬롯을 카운트 다운하는 동안에 계속하여 매체를 모니터링한다. 매체가 점유상태로 모니터링되면 카운트 다운을 멈추고 대기하고, 매체가 유휴 상태가 되면 나머지 카운트 다운을 재개한다.
도 6의 예시에서 STA3의 MAC에 전송할 패킷이 도달한 경우에, STA3는 DIFS 만큼 매체가 유휴 상태인 것을 확인하고 바로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나머지 STA들은 매체가 점유(busy) 상태인 것을 모니터링하고 대기한다. 그 동안 STA1, STA2 및 STA5의 각각에서도 전송할 데이터가 발생할 수 있고, 각각의 STA은 매체가 유휴상태로 모니터링되면 DIFS만큼 대기한 후에, 각자가 선택한 임의 백오프 카운트 값에 따라 백오프 슬롯의 카운트 다운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의 예시에서는 STA2가 가장 작은 백오프 카운트 값을 선택하고, STA1이 가장 큰 백오프 카운트 값을 선택한 경우를 나타낸다. 즉, STA2가 백오프 카운트를 마치고 프레임 전송을 시작하는 시점에서 STA5의 잔여 백오프 시간은 STA1의 잔여 백오프 시간보다 짧은 경우를 예시한다. STA1 및 STA5는 STA2가 매체를 점유하는 동안에 잠시 카운트 다운을 멈추고 대기한다. STA2의 점유가 종료되어 매체가 다시 유휴 상태가 되면, STA1 및 STA5는 DIFS만큼 대기한 후에, 멈추었던 백오프 카운트를 재개한다. 즉, 잔여 백오프 시간만큼의 나머지 백오프 슬롯을 카운트 다운한 후에 프레임 전송을 시작할 수 있다. STA5의 잔여 백오프 시간이 STA1보다 짧았으므로 STA5이 프레임 전송을 시작하게 된다. 한편, STA2가 매체를 점유하는 동안에 STA4에서도 전송할 데이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때, STA4의 입장에서는 매체가 유휴 상태가 되면 DIFS만큼 대기한 후, 자신이 선택한 임의 백오프 카운트 값에 따른 카운트 다운을 수행하고 프레임 전송을 시작할 수 있다. 도 6의 예시에서는 STA5의 잔여 백오프 시간이 STA4의 임의 백오프 카운트 값과 우연히 일치하는 경우를 나타내며, 이 경우, STA4와 STA5 간에 충돌이 발생할 수 있다. 충돌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STA4와 STA5 모두 ACK을 받지 못하여, 데이터 전송을 실패하게 된다. 이 경우, STA4와 STA5는 CW 값을 2배로 늘린 후에 임의 백오프 카운트 값을 선택하고 카운트 다운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STA1은 STA4와 STA5의 전송으로 인해 매체가 점유 상태인 동안에 대기하고 있다가, 매체가 유휴 상태가 되면 DIFS만큼 대기한 후, 잔여 백오프 시간이 지나면 프레임 전송을 시작할 수 있다.
STA의 센싱 동작
전술한 바와 같이 CSMA/CA 메커니즘은 AP 및/또는 STA이 매체를 직접 센싱하는 물리적 캐리어 센싱(physical carrier sensing) 외에 가상 캐리어 센싱(virtual carrier sensing)도 포함한다. 가상 캐리어 센싱은 숨겨진 노드 문제(hidden node problem) 등과 같이 매체 액세스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보완하기 위한 것이다. 가상 캐리어 센싱을 위하여, 무선랜 시스템의 MAC은 네트워크 할당 벡터(Network Allocation Vector; NAV)를 이용할 수 있다. NAV는 현재 매체를 사용하고 있거나 또는 사용할 권한이 있는 AP 및/또는 STA이, 매체가 이용 가능한 상태로 되기까지 남아 있는 시간을 다른 AP 및/또는 STA에게 지시(indicate)하는 값이다. 따라서 NAV로 설정된 값은 해당 프레임을 전송하는 AP및/또는 STA에 의하여 매체의 사용이 예정되어 있는 기간에 해당하고, NAV 값을 수신하는 STA은 해당 기간동안 매체 액세스가 금지된다. NAV는, 예를 들어, 프레임의 MAC 헤더(header)의 "duration" 필드의 값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충돌 가능성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강인한 충돌 검출(robust collision detect) 메커니즘이 도입되었다. 이에 대해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제 캐리어 센싱 범위와 전송 범위는 동일하지 않을 수도 있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동일한 것으로 가정한다.
도 7은 숨겨진 노드 및 노출된 노드에 대한 설명을 위한 도면이다.
도 7(a)는 숨겨진 노드에 대한 예시이며, STA A와 STA B는 통신 중에 있고 STA C가 전송할 정보를 가지고 있는 경우이다. 구체적으로 STA A가 STA B에 정보를 전송하고 있는 상황이지만, STA C가 STA B로 데이터를 보내기 전에 캐리어 센싱을 수행할 때에 매체가 유휴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는 STA A의 전송(즉, 매체 점유)을 STA C의 위치에서는 센싱하지 못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경우에, STA B는 STA A와 STA C의 정보를 동시에 받기 때문에 충돌이 발생하게 된다. 이 때 STA A는 STA C의 숨겨진 노드라고 할 수 있다.
도 7(b)는 노출된 노드(exposed node)에 대한 예시이며, STA B는 STA A에 데이터를 전송하고 있는 상황에서, STA C가 STA D에서 전송할 정보를 가지고 있는 경우이다. 이 경우에 STA C가 캐리어 센싱을 수행하면, STA B의 전송으로 인하여 매체가 점유된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STA C가 STA D에 전송할 정보가 있더라도 매체 점유 상태라고 센싱되기 때문에 매체가 유휴 상태가 될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 그러나, 실제로는 STA A는 STA C의 전송 범위 밖에 있으므로, STA C로부터의 전송과 STA B로부터의 전송은 STA A의 입장에서는 충돌하지 않을 수도 있으므로, STA C는 STA B가 전송을 멈출 때까지 불필요하게 대기하는 것이 된다. 이 때 STA C를 STA B의 노출된 노드라고 할 수 있다.
도 8은 RTS와 CTS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과 같은 예시적인 상황에서 충돌 회피(collision avoidance) 메커니즘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 RTS(request to send)와 CTS(clear to send)등의 짧은 시그널링 패킷(short signaling packet)을 이용할 수 있다. 두 STA 간의 RTS/CTS는 주위의 STA(들)이 오버히어링(overhearing)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주위의 STA(들)이 상기 두 STA 간의 정보 전송 여부를 고려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를 전송하려는 STA이 데이터를 받는 STA에 RTS 프레임을 전송하면, 데이터를 받는 STA은 CTS 프레임을 주위의 STA들에게 전송함으로써 자신이 데이터를 받을 것임을 알릴 수 있다.
도 8(a)는 숨겨진 노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에 대한 예시이며, STA A와 STA C가 모두 STA B에 데이터를 전송하려고 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STA A가 RTS를 STA B에 보내면 STA B는 CTS를 자신의 주위에 있는 STA A와 STA C에 모두 전송을 한다. 그 결과 STA C는 STA A와 STA B의 데이터 전송이 끝날 때까지 기다리게 되어 충돌을 피할 수 있게 된다.
도 8(b)는 노출된 노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에 대한 예시이며, STA A와 STA B 간의 RTS/CTS 전송을 STA C가 오버히어링함으로써, STA C는 자신이 다른 STA(예를 들어, STA D)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더라도 충돌이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STA B는 주위의 모든 STA들에게 RTS를 전송하고, 실제로 보낼 데이터가 있는 STA A만 CTS를 전송하게 된다. STA C는 RTS만을 받고 STA A의 CTS를 받지 못했기 때문에 STA A는 STC C의 캐리어 센싱 밖에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전력 관리
전술한 바와 같이 무선랜 시스템에서는 STA이 송수신을 수행하기 전에 채널 센싱을 수행해야 하는데, 채널을 항상 센싱하는 것은 STA의 지속적인 전력 소모를 야기한다. 수신 상태에서의 전력 소모는 송신 상태에서의 전력 소모에 비하여 크게 차이가 나지 않으며, 수신 상태를 계속 유지하는 것도 전력이 제한된(즉, 배터리에 의해 동작하는) STA에게 큰 부담이 된다. 따라서, STA이 지속적으로 채널을 센싱하기 위해서 수신 대기 상태를 유지하면, 무선랜 처리율 측면에서 특별한 이점 없이 전력을 비효율적으로 소모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무선랜 시스템에서는 STA의 전력 관리(power management; PM) 모드를 지원한다.
STA의 전력 관리 모드는 액티브(active) 모드 및 전력 절약(power save; PS) 모드로 나뉘어 진다. STA은 기본적으로 액티브 모드로 동작한다. 액티브 모드로 동작하는 STA은 어웨이크 상태(awake state)를 유지한다. 어웨이크 상태는, 프레임 송수신이나 채널 스캐닝 등 정상적인 동작이 가능한 상태이다. 한편, PS 모드로 동작하는 STA은 슬립 상태(sleep state) (또는 도즈(doze) 상태)와 어웨이크 상태(awake state)를 전환(switch)해가며 동작한다. 슬립 상태로 동작하는 STA은 최소한의 전력으로 동작하며, 프레임 송수신은 물론 채널 스캐닝도 수행하지 않는다.
STA이 슬립 상태로 가능한 오래 동작할수록 전력 소모가 줄어들기 때문에, STA은 동작 기간이 증가한다. 하지만 슬립 상태에서는 프레임 송수신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무조건적으로 오래 동작할 수는 없다. 슬립 상태로 동작하는 STA이 AP에게 전송할 프레임이 존재하는 경우 어웨이크 상태로 전환하여 프레임을 송신할 수 있다. 한편, AP가 STA에게 전송할 프레임이 있는 경우, 슬립 상태의 STA은 이를 수신할 수 없으며 수신할 프레임이 존재하는 것도 알 수 없다. 따라서, STA은 자신에게 전송될 프레임의 존재 여부를 알기 위해(또한 존재한다면 이를 수신하기 위해) 특정 주기에 따라 어웨이크 상태로 전환하는 동작이 필요할 수 있다.
도 9는 전력 관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AP(210)는 일정한 주기로 비콘 프레임(beacon frame)을 BSS 내의 STA들에게 전송한다(S211, S212, S213, S214, S215, S216). 비콘 프레임에는 TIM(Traffic Indication Map) 정보 요소(Information Element)가 포함된다. TIM 정보 요소는 AP(210)가 자신과 연관된 STA들에 대한 버퍼된 트래픽이 존재하며, 프레임을 전송할 것임을 알려주는 정보를 포함한다. TIM 요소에는 유니캐스트(unicast) 프레임을 알려주는데 사용되는 TIM과 멀티캐스트(multicast) 또는 브로드캐스트(broadcast) 프레임을 알려주는데 사용되는 DTIM(delivery traffic indication map)이 있다.
AP(210)는 3번의 비콘 프레임을 전송할 때 마다 1회씩 DTIM을 전송할 수 있다. STA1(220) 및 STA2(222)는 PS 모드로 동작하는 STA이다. STA1(220) 및 STA2(222)는 소정의 주기의 웨이크업 인터벌(wakeup interval) 마다 슬립 상태에서 어웨이크 상태로 전환하여 AP(210)에 의하여 전송된 TIM 요소를 수신할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 각각의 STA은 자신의 로컬 클럭(local clock)에 기초하여 어웨이크 상태로 전환할 시점을 계산할 수 있으며, 도 9의 예시에서는 STA의 클럭은 AP의 클럭과 일치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예를 들어, 상기 소정의 웨이크업 인터벌은, STA1(220)이 비콘 인터벌마다 어웨이크 상태로 전환하여 TIM 요소를 수신할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STA1(220)은 AP(210)가 첫 번째로 비콘 프레임을 전송할 때(S211) 어웨이크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S221). STA1(220)은 비콘 프레임을 수신하고 TIM 요소를 획득할 수 있다. 획득된 TIM 요소가 STA1(220)에게 전송될 프레임이 있음을 지시하는 경우, STA1(220)은 AP(210)에게 프레임 전송을 요청하는 PS-Poll(Power Save-Poll) 프레임을 AP(210)에게 전송할 수 있다(S221a). AP(210)는 PS-Poll 프레임에 대응하여 프레임을 STA1(220)에게 전송할 수 있다(S231). 프레임 수신을 완료한 STA1(220)은 다시 슬립 상태로 전환하여 동작한다.
AP(210)가 두 번째로 비콘 프레임을 전송함에 있어서, 다른 장치가 매체에 액세스하고 있는 등 매체가 점유된(busy medium) 상태이므로, AP(210)는 정확한 비콘 인터벌에 맞추어 비콘 프레임을 전송하지 못하고 지연된 시점에 전송할 수 있다(S212). 이 경우 STA1(220)은 비콘 인터벌에 맞추어 동작 모드를 어웨이크 상태로 전환하지만, 지연 전송되는 비콘 프레임을 수신하지 못하여 다시 슬립 상태로 전환한다(S222).
AP(210)가 세 번째로 비콘 프레임을 전송할 때, 해당 비콘 프레임에는 DTIM으로 설정된 TIM 요소가 포함될 수 있다. 다만, 매체가 점유된(busy medium) 상태이므로 AP(210)는 비콘 프레임을 지연 전송한다(S213). STA1(220)은 비콘 인터벌에 맞추어 어웨이크 상태로 전환하여 동작하며, AP(210)에 의해 전송되는 비콘 프레임을 통하여 DTIM을 획득할 수 있다. STA1(220)이 획득한 DTIM은 STA1(220)에 전송될 프레임은 없으며 다른 STA을 위한 프레임이 존재함을 지시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이 경우, STA1(220)은 자신이 수신할 프레임이 없음을 확인하고, 다시 슬립 상태로 전환하여 동작할 수 있다. AP(210)는 비콘 프레임 전송 후 프레임을 해당 STA에게 전송한다(S232).
AP(210)는 네 번째로 비콘 프레임을 전송한다(S214). 다만, STA1(220)은 이 전 2회에 걸친 TIM 요소 수신을 통해 자신에 대한 버퍼된 트래픽이 존재한다는 정보를 획득할 수 없었으므로, TIM 요소 수신을 위한 웨이크업 인터벌을 조정할 수 있다. 또는, AP(210)에 의해 전송되는 비콘 프레임에 STA1(220)의 웨이크업 인터벌 값을 조정을 위한 시그널링 정보가 포함된 경우, STA1(220)의 웨이크업 인터벌 값이 조정될 수 있다. 본 예시에서, STA1(220)은 비콘 인터벌마다 TIM 요소 수신을 위해 운영 상태를 전환하던 것을 3회의 비콘 인터벌마다 한 번 깨어나는 것으로 운영 상태를 전환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STA1(220)은 AP(210)가 네 번째 비콘 프레임을 전송하고(S214), 다섯 번째 비콘 프레임을 전송하는 시점에(S215) 슬립 상태를 유지하므로 해당 TIM 요소를 획득할 수 없다.
AP(210)가 여섯 번째로 비콘 프레임을 전송할 때(S216), STA1(220)은 어웨이크 상태로 전환하여 동작하고 비콘 프레임에 포함된 TIM요소를 획득할 수 있다(S224). TIM 요소는 브로드캐스트 프레임이 존재함을 지시하는 DTIM이므로, STA1(220)은 PS-Poll 프레임을 AP(210)에게 전송하지 않고, AP(210)에 의해 전송되는 브로드캐스트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다(S234). 한편 STA2(230)에 설정된 웨이크업 인터벌은 STA1(220)보다 긴 주기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STA2(230)는 AP(210)가 다섯 번째로 비콘 프레임을 전송하는 시점(S215)에 어웨이크 상태로 전환하여 TIM 요소를 수신할 수 있다(S241). STA2(230)는 TIM 요소를 통하여 자신에게 전송될 프레임이 존재함을 알고, 프레임 전송을 요청하기 위해 AP(210)에게 PS-Poll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S241a). AP(210)는 PS-Poll 프레임에 대응하여 STA2(230)에게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S233).
도 9와 같은 전력 절약 모드 운영을 위해 TIM 요소에는 STA이 자신에게 전송될 프레임이 존재하는지를 지시하는 TIM 또는 브로드캐스트/멀티캐스트 프레임이 존재하는지를 지시하는 DTIM이 포함된다. DTIM은 TIM 요소의 필드 설정을 통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10 내지 12는 TIM을 수신한 STA의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STA은 AP로부터 TIM을 포함하는 비콘 프레임을 수신하기 위해 슬립 상태에서 어웨이크 상태로 전환하고, 수신한 TIM 요소를 해석하여 자신에게 전송될 버퍼된 트래픽이 있음을 알 수 있다. STA은 PS-Poll 프레임 전송을 위한 매체 액세스를 위해 다른 STA들과 경쟁(contending)을 수행한 후에, AP에게 데이터 프레임 전송을 요청하기 위하여 PS-Poll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STA에 의해 전송된 PS-Poll 프레임을 수신한 AP는 STA에게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STA은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고 이에 대한 확인응답(ACK) 프레임을 AP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후 STA은 다시 슬립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도 10과 같이 AP는 STA으로부터 PS-Poll 프레임을 수신한 다음 소정의 시간(예를 들어, SIFS(Short Inter-Frame Space)) 후에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는 즉시 응답(immediate response) 방식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한편, AP가 PS-Poll 프레임을 수신한 후에 STA에게 전송할 데이터 프레임을 SIFS 시간 동안에 준비하지 못한 경우에는 지연된 응답(deferred response) 방식에 따라 동작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의 예시에서 STA이 슬립 상태에서 어웨이크 상태로 전환하여 AP로부터 TIM을 수신하고 경쟁을 거쳐 PS-Poll 프레임을 AP로 전송하는 동작은 도 10의 예시와 동일하다. AP가 PS-Poll 프레임을 수신하고도 SIFS 동안 데이터 프레임을 준비하지 못한 경우,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는 대신 ACK 프레임을 STA에게 전송할 수 있다. AP는 ACK 프레임 전송 후 데이터 프레임이 준비되면, 컨텐딩을 수행한 후 데이터 프레임을 STA에게 전송할 수 있다. STA은 데이터 프레임을 성공적으로 수신하였음을 나타내는 ACK 프레임을 AP에게 전송하고, 슬립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도 12는 AP가 DTIM을 전송하는 예시에 대한 것이다. STA들은 AP로부터 DTIM 요소를 포함하는 비콘 프레임을 수신하기 위해 슬립 상태에서 어웨이크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STA들은 수신한 DTIM을 통해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프레임이 전송될 것임을 알 수 있다. AP는 DTIM을 포함하는 비콘 프레임 전송 후 PS-Poll 프레임의 송수신 동작 없이 바로 데이터(즉,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프레임)를 전송할 수 있다. STA들은 DTIM을 포함하는 비콘 프레임을 받은 후에 계속하여 어웨이크 상태를 유지하는 중에 데이터를 수신하고, 데이터 수신이 완료된 후에 다시 슬립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TIM 구조
상기 도 9 내지 12를 참조하여 설명한 TIM(또는 DTIM)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한 전력 절약 모드 운영 방법에 있어서, STA들은 TIM 요소에 포함된 STA 식별 정보를 통하여 자신을 위해 전송될 데이터 프레임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TA 식별 정보는 STA이 AP와 연관(association)시에 할당받는 식별자인 AID(Association Identifier)와 관련된 정보일 수 있다.
AID는 하나의 BSS 내에서는 각각의 STA에 대한 고유한(unique) 식별자로서 사용된다. 일례로, 현재 무선랜 시스템에서 AID는 1에서 2007까지의 값 중 하나의 값으로 할당될 수 있다. 현재 정의되어 있는 무선랜 시스템에서는, AP 및/또는 STA이 전송하는 프레임에는 AID를 위하여 14비트가 할당될 수 있으며, AID 값은 16383까지 할당될 수 있으나 2008에서 16383은 예비(reserved)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기존의 정의에 따른 TIM 요소는, 하나의 AP에 많은 개수의 (예를 들어, 2007개 초과의) STA들이 연관될 수 있는 M2M 애플리케이션의 적용에 적절하지 않다. 기존의 TIM 구조를 그대로 확장하는 경우에는 TIM 비트맵 크기가 너무 커져서 기존의 프레임 포맷으로는 지원할 수 없고, 낮은 전송 레이트의 애플리케이션을 고려하는 M2M 통신에 적합하지 않다. 또한, M2M 통신에서는 하나의 비콘 주기 동안에 수신 데이터 프레임이 존재하는 STA의 개수가 매우 적을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위와 같은 M2M 통신의 적용예를 고려하면, TIM 비트맵의 크기는 커지지만 대부분의 비트가 0 값을 가지는 경우가 많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비트맵을 효율적으로 압축하는 기술이 요구된다.
기존의 비트맵 압축 기술로서, 비트맵의 앞부분에 연속되는 0을 생략하고 오프셋(offset) (또는 시작점) 값으로 정의하는 방안이 마련되어 있다. 그러나, 버퍼된 프레임이 존재하는 STA들의 개수는 적지만 각각의 STA의 AID 값이 차이가 큰 경우에는 압축 효율이 높지 못하다. 예를 들어 AID가 10와 2000의 값을 가지는 단 두 개의 STA에게 전송할 프레임만이 버퍼되어 있는 경우에, 압축된 비트맵의 길이는 1990이지만 양 끝을 제외하고는 모두 0의 값을 가지게 된다. 하나의 AP에 연관될 수 있는 STA의 개수가 적은 경우에는 비트맵 압축의 비효율성이 크게 문제되지 않지만, STA의 개수가 증가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비효율성이 전체 시스템 성능을 저해하는 요소가 될 수도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AID를 여러 그룹으로 나누어 보다 효과적인 데이터의 전송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각 그룹에는 지정된 그룹 ID(GID)가 할당된다. 이러한 그룹 기반으로 할당되는 AID에 대해서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3(a)는 그룹 기반으로 할당된 AID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a)의 예시에서는 AID 비트맵의 앞의 몇 비트들을 GID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ID 비트맵의 처음 2 비트를 사용하여 4개의 GID를 나타낼 수 있다. AID 비트맵의 전체 길이가 N 비트인 경우에, 처음 2 비트(B1 및 B2)이 값은 해당 AID의 GID를 나타낸다.
도 13(b)는 그룹 기반으로 할당된 AID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b)의 예시에서는 AID의 위치에 따라서 GID가 할당될 수 있다. 이 때, 동일한 GID를 사용하는 AID들은 오프셋(offset) 및 길이(length) 값으로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GID 1이 오프셋 A 및 길이 B로 표현되면, 비트맵 상에서 A 내지 A+B-1의 AID들이 GID 1을 가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도 13(b)의 예시에서, 전체 1 내지 N4의 AID가 4개의 그룹으로 분할된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GID 1에 속하는 AID들은 1 내지 N1이며, 이 그룹에 속하는 AID들은 오프셋 1 및 길이 N1로 표현될 수 있다. 다음으로, GID 2에 속하는 AID들은 오프셋 N1+1 및 길이 N2-N1+1으로 표현될 수 있고, GID 3에 속하는 AID들은 오프셋 N2+1 및 길이 N3-N2+1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GID 4에 속하는 AID들은 오프셋 N3+1 및 길이 N4-N3+1으로 표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그룹 기반으로 할당되는 AID가 도입되면, GID에 따라 다른 시간 구간에 채널 액세스를 허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많은 수의 STA에 대한 TIM 요소 부족 문제를 해결함과 동시에 효율적인 데이터의 송수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시간 구간 동안에는 특정 그룹에 해당하는 STA(들)에게만 채널 액세스가 허용되고, 나머지 다른 STA(들)에게는 채널 액세스가 제한(restrict)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특정 STA(들)에게만 액세스가 허용되는 소정의 시간 구간을, 제한된 액세스 윈도우(Restricted Access Window; RAW)라고 칭할 수도 있다.
GID에 따른 채널 액세스에 대해서 도 13(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3(c)에서는 AID가 3개의 그룹으로 나누어져 있는 경우, 비콘 인터벌에 따른 채널 액세스 메커니즘을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첫 번째 비콘 인터벌(또는 첫 번째 RAW)은 GID 1에 속하는 AID에 해당하는 STA의 채널 액세스가 허용되는 구간이고, 다른 GID에 속하는 STA들의 채널 액세스는 허용되지 않는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서, 첫 번째 비콘에는 GID 1에 해당하는 AID들만을 위한 TIM 요소가 포함된다. 두 번째 비콘 프레임에는 GID 2를 가지는 AID들만을 위한 TIM 요소가 포함되며, 이에 따라 두 번째 비콘 인터벌(또는 두 번째 RAW) 동안에는 GID 2에 속하는 AID에 해당하는 STA의 채널 액세스 만이 허용된다. 세 번째 비콘 프레임에는 GID 3을 가지는 AID들만을 위한 TIM 요소가 포함되며, 이에 따라 세 번째 비콘 인터벌(또는 세 번째 RAW) 동안에는 GID 3에 속하는 AID에 해당하는 STA의 채널 액세스 만이 허용된다. 네 번째 비콘 프레임에는 다시 GID 1을 가지는 AID들만을 위한 TIM 요소가 포함되며, 이에 따라 네 번째 비콘 인터벌(또는 네 번째 RAW) 동안에는 GID 1에 속하는 AID에 해당하는 STA의 채널 액세스 만이 허용된다. 그 다음으로, 다섯 번째 이후의 비콘 인터벌들(또는 다섯 번째 이후의 RAW들)의 각각에서도, 해당 비콘 프레임에 포함된 TIM에서 지시되는 특정 그룹에 속한 STA의 채널 액세스만이 허용될 수 있다.
도 13(c)에서는 비콘 인터벌에 따라 허용되는 GID의 순서가 순환적 또는 주기적인 예시를 나타내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TIM 요소에 특정 GID(들)에 속하는 AID(들)만을 포함시킴으로써, 특정 시간 구간(예를 들어, 특정 RAW) 동안에 상기 특정 AID(들)에 해당하는 STA(들)만의 채널 액세스를 허용하고 나머지 STA(들)의 채널 액세스는 허용하지 않는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그룹 기반 AID 할당 방식은, TIM의 계층적(hierarchical) 구조라고도 칭할 수 있다. 즉, 전체 AID 공간을 복수개의 블록들로 분할하고, 0이 아닌 값을 가지는 특정 블록에 해당하는 STA(들) (즉, 특정 그룹의 STA)의 채널 액세스만이 허용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큰 크기의 TIM을 작은 블록/그룹으로 분할하여 STA이 TIM 정보를 유지하기 쉽게 하고, STA의 클래스, 서비스품질(QoS), 또는 용도에 따라 블록/그룹을 관리하기가 용이하게 된다. 상기 도 13의 예시에서는 2-레벨의 계층을 나타내지만, 2 이상의 레벨의 형태로 계층적 구조의 TIM이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체 AID 공간을 복수개의 페이지(page) 그룹으로 분할하고, 각각의 페이지 그룹을 복수개의 블록으로 구분하고, 각각의 블록을 복수개의 서브-블록으로 분할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도 13(a)의 예시의 확장으로서, AID 비트맵에서 처음 N1개의 비트는 페이지 ID(즉, PID)를 나타내고, 그 다음 N2개의 비트는 블록 ID를 나타내고, 그 다음 N3개의 비트는 서브-블록 ID를 나타내고, 나머지 비트들이 서브-블록 내의 STA 비트 위치를 나타내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예시들에 있어서, STA들(또는 각각의 STA에 할당된 AID들)을 소정의 계층적인 그룹 단위로 분할하고 관리하는 다양한 방식들이 적용될 수 있으며, 그룹 기반 AID 할당 방식이 상기 예시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프레임 구조
도 14는 IEEE 802.11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프레임 구조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PPDU(Physical Layer Convergence Protocol(PLCP) Packet Data Unit) 프레임 포맷은, STF(Short Training Field), LTF(Long Training Field), SIG(SIGNAL) 필드, 및 데이터(Data) 필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가장 기본적인(예를 들어, non-HT(High Throughput)) PPDU 프레임 포맷은 L-STF(Legacy-STF), L-LTF(Legacy-LTF), SIG 필드 및 데이터 필드만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PPDU 프레임 포맷의 종류(예를 들어, HT-mixed 포맷 PPDU, HT-greenfield 포맷 PPDU, VHT(Very High Throughput) PPDU 등)에 따라서, SIG 필드와 데이터 필드 사이에 추가적인 (또는 다른 종류의) STF, LTF, SIG 필드가 포함될 수도 있다.
STF는 신호 검출, AGC(Automatic Gain Control), 다이버시티 선택, 정밀한 시간 동기 등을 위한 신호이고, LTF는 채널 추정, 주파수 오차 추정 등을 위한 신호이다. STF와 LTF를 합쳐서 PCLP 프리앰블(preamble)이라고 칭할 수 있고, PLCP 프리앰블은 OFDM 물리계층의 동기화 및 채널 추정을 위한 신호라고 할 수 있다.
SIG 필드는 RATE 필드 및 LENGTH 필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RATE 필드는 데이터의 변조 및 코딩 레이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LENGTH 필드는 데이터의 길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SIG 필드는 패리티(parity) 비트, SIG TAIL 비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필드는 SERVICE 필드, PSDU(PLCP Service Data Unit), PPDU TAIL 비트를 포함할 수 있고, 필요한 경우에는 패딩 비트도 포함할 수 있다. SERVICE 필드의 일부 비트는 수신단에서의 디스크램블러의 동기화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PSDU는 MAC 계층에서 정의되는 MAC PDU(Protocol Data Unit)에 대응하며, 상위 계층에서 생성/이용되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PPDU TAIL 비트는 인코더를 0 상태로 리턴하기 위해서 이용될 수 있다. 패딩 비트는 데이터 필드의 길이를 소정의 단위로 맞추기 위해서 이용될 수 있다.
MAC PDU는 다양한 MAC 프레임 포맷에 따라서 정의되며, 기본적인 MAC 프레임은 MAC 헤더, 프레임 바디, 및 FCS(Frame Check Sequence)로 구성된다. MAC 프레임은 MAC PDU로 구성되어 PPDU 프레임 포맷의 데이터 부분의 PSDU를 통하여 송신/수신될 수 있다.
MAC 헤더는 프레임 제어(Frame Control) 필드, 기간(Duration)/ID 필드, 주소(Address) 필드 등을 포함한다. 프레임 제어 필드는 프레임 송신/수신에 필요한 제어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기간/ID 필드는 해당 프레임 등을 전송하기 위한 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MAC 헤더의 Sequence Control, QoS Control, HT Control 서브필드들의 구체적인 내용은 IEEE 802.11-2012 표준 문서를 참조할 수 있다.
MAC 헤더의 프레임 제어 필드는, Protocol Version, Type, Subtype, To DS, From DS, More Fragment, Retry, Power Management, More Data, Protected Frame, Order 서브필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 제어 필드의 각각의 서브필드의 내용은 IEEE 802.11-2012 표준 문서를 참조할 수 있다.
아래의 표 1은 기존의 IEEE 11ac 표준에서 정의하는 프레임 제어 필드 내의 To DS 서브필드와 From DS 서브필드에 대한 설명이다.
To DS and From DS values Meaning
To DS = 0, From DS = 0 동일한 IBSS 내에서 하나의 STA으로부터 다른 STA으로 향하는 데이터 프레임,
동일한 BSS 내에서 하나의 non-AP STA으로부터 다른 non-AP STA으로의 향하는 데이터 프레임, 또는
BSS의 콘텍스트를 벗어난 데이터 프레임,
또한, 모든 관리 및 제어 프레임들.
(A data frame direct from one STA to another STA within the same IBSS, a data frame direct from one non-AP STA to another non-AP STA within the same BSS, or a data frame outside the context of a BSS, as well as all management and control frames.)
To DS = 1, From DS = 0 DS를 목적지로 하는, 또는 AP에 연관된 STA이 해당 AP의 포트 액세스 엔티티로 전송하는 데이터 프레임.
(A data frame destined for the DS or being sent by a STA associated with an AP to the Port Access Entity in that AP.)
To DS = 0, From DS = 1 DS를 나가는, 또는 AP의 포트 액세스 엔티티에 의해서 전송되는 데이터 프레임.
(A data frame exiting the DS or being sent by the Port Access Entity in an AP.)
To DS = 1, From DS = 1 4-주소 포맷을 사용하는 데이터 프레임.
주소 필드들의 조합을 사용한 과정은 별도로 정의함.
(A data frame using the four-address format. This standard does not define procedures for using this combination of field values.)
MAC 헤더의 4 개의 주소 필드(Address 1, Address 2, Address 3, Address 4)는 BSSID(Basic Service Set Identifier), SA(Source Address), DA(Destination Address), TA(Transmitter Address), RA(Receiver Address) 등을 지시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으며, 프레임 타입에 따라서 4 개의 주소 필드 중에서 일부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주소 필드의 용도는, 해당 필드의 주소의 타입에 무관하게, MAC 헤더 내에서의 주소 필드(Address 1 - Address 4)의 상대적인 위치에 의해서 특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자 주소는 항상 수신된 프레임의 Address 1 필드의 내용을 기준으로 확인할 수 있다. CTS 프레임의 수신자 주소는 그 대응하는 RTS 프레임의 Address 2 필드로부터 항상 획득할 수 있다. ACK 프레임의 수신자 주소는 그 확인응답의 대상이 되는 프레임의 Address 2 필드로부터 항상 획득할 수 있다. 아래의 표 2는 MAC 헤더의 프레임 제어 필드 내의 To DS 서브필드 및 From DS 서브필드의 값에 따른, MAC 헤더의 주소 필드들(Address 1 - Address 4)의 내용을 설명하는 것이다.
To DS
From DS
Address 1 Address 2 Address 3 Address 4
RA=DA TA=BSSID MSDU case A-MSDU case MSDU case A-MSDU case
0 0 RA=DA TA=SA BSSID BSSID N/A N/A
0 1 RA=DA TA=BSSID SA BSSID N/A N/A
1 0 RA=BSSID TA=SA DA BSSID N/A N/A
1 1 RA TA DA BSSID SA BSSID
상기 표 2에서 RA는 수신자 주소를 의미하고, TA는 송신자 주소를 의미하고, DA는 목적지 주소를 의미하고, SA는 소스 주소를 의미한다. 또한, MSDU는 MAC SAP(Service Access Point) 간에 전달되는 정보의 단위인 MAC SDU(Service Data Unit)을 의미한다. A-MSDU(Aggregate-MSDU)는 복수개의 MAC SDU들을 하나의 MAC PDU를 통하여 전달하는 프레임 포맷을 의미한다. 이들 주소 필드(Address 1, Address 2, Address 3, 또는 Address 4)의 값은 48 비트 크기의 이더넷(ethernet) MAC 주소(address)의 형태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널-데이터 패킷(NDP) 프레임 포맷은 데이터 패킷을 포함하지 않는 형태의 프레임 포맷을 의미한다. 즉, NDP 프레임은, 일반적인 PPDU 포맷에서 PLCP 헤더 부분(즉, STF, LTF 및 SIG 필드)만을 포함하고, 나머지 부분(즉, 데이터 필드)은 포함하지 않는 프레임 포맷을 의미한다. NDP 프레임은 짧은(short) 프레임 포맷이라고 칭할 수도 있다.
중복 검출(Duplicate Detection)
MAC 레벨 확인응답(acknowledgment) 및 재전송은 프로토콜로서 정의되어 있으므로, 하나의 프레임이 1 번 이상 수신될 가능성이 있다. 여기서, 중복되는(duplicated) 프레임은 걸러내야(filter out) 한다. 중복 프레임을 걸러내기 위해서, MAC 헤더의 시퀀스 제어(Sequence Control) 필드가 이용될 수 있다. 데이터 프레임과 관리 프레임에서 Sequence Control 필드는, Sequence Number 및 프래그먼트 번호(fragment number)로 구성된다. 동일한 MSDU의 부분들에 해당하는 MPDU들은 동일한 시퀀스 번호를 가지고, 상이한 MSDU들은 상이한 시퀀스 번호를 가진다.
STA은 새로운 MSDU 마다 1 씩 증가되는 카운터(예를 들어, 0 부터 시작되는 모듈로(modulo)-4096 카운터)에 따라서 프레임의 시퀀스 번호를 할당한다. 프레임을 전송하는 STA에서는, 수신자 주소(RA) 별로 가장 마지막으로 사용된 시퀀스 번호를 저장(또는 캐시(cache))한다.
프레임을 수신하는 STA에서는, 가장 최근에 수신된 프레임의 송신자 주소(TA), 시퀀스 번호 및 프래그먼트 번호의 세트를 캐시한다. TA는 수신된 프레임의 Address 2 필드의 값으로부터 결정될 수 있다. 만약 프레임 제어 필드의 재시도(Retry) 필드가 1로 설정되고 동일한 TA로부터 동일한 시퀀스 번호를 가지는 (또는 동일한 프래그먼트 번호를 가지는) 프레임이 수신된 경우에, 수신 STA는 중복된 프레임인 것으로 판단하고 이를 거절(reject)할 수 있다.
MAC 헤더 압축 방안
본 발명에서는 저전력으로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서 MAC 헤더의 압축(compression) 방안을 제안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MAC 헤더 압축 방안은, 예를 들어, 1MHz/2MHz/4MHz/8MHz/16MHz 채널 대역폭(channel bandwidth)를 사용하고, 1 GHz 아래(sub 1 GHz; S1G)의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는 무선랜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MAC 헤더는 데이터 전송을 위한 프레임에 필수적으로 포함된다. 만약 MAC 헤더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경우(즉, MAC 헤더의 오버헤드를 감소시키는 경우), STA의 MAC 프레임 생성, 전송, 수신 등의 동작이 보다 간소화될 수 있고 결국 STA의 소비 전력이 저감될 수 있다.
또한, Sub 1 GHz (S1G) 대역에서 동작하는 무선랜 시스템(예를 들어, IEEE 802.11ah 표준에 따른 시스템)은, 낮은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한다는 특징 및 프레임이 도달하는 커버리지가 실외(outdoor)환경에서 1km에 이른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무선랜 시스템에서는 낮은 전송률, 저전력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sensor) 또는 계측기(meter) 타입의 STA 동작에 대해서 주로 정의한다.
또한, 이러한 센서 타입 STA들에게는 전력 절약(power saving) 메커니즘이 절대적으로 중요하다. 전력 절약을 위해 STA은 불필요하게 깨어 있는 상황을 최소화 할 필요가 있으며, 깨어 있는 시기에 송수신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전송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S1G 대역에서 동작하는 무선랜 시스템을 위해서, 장거리(long-range) 전송을 지원하면서도 소비 전력이 낮은 프레임을 구성하는 것이 요구된다. 장거리 전송을 지원하는 프레임을 구현하기 위해서, 프레임의 필드들을 시간축 또는 주파수축 상에서 2배 이상으로 반복(repetition)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필드 반복 코딩에 따라서 MAC 헤더의 크기가 증가되기 때문에, STA의 프레임 처리를 위한 소비 전력이 증가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MAC 헤더 압축 방안에 대해서 제안한다. 이를 위하여, S1G 대역에서 동작하는 무선랜 시스템에서 프레임을 구성하는 방식에 대해서 먼저 살펴본다.
S1G 대역에서의 통신은 전파 특성상 기존 실내(indoor) 중심의 무선랜 시스템에 비해 월등히 넓은 커버리지를 갖게 되며, 기존 IEEE 802.11ac 시스템에서 정의하는 PHY를 1/10로 다운-클러킹(down-clocking)하는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이 경우, 802.11ac 시스템에서 지원하는 20/40/80/160/80+80 MHz 채널 대역폭을 1/10로 다운-클러킹 함으로써 S1G 대역에서 2/4/8/16/8+8 MHz 채널 대역폭으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드 인터벌(GI)은 802.11ac 시스템에서의 0.8㎲에서 8㎲로 10배 증가하게 된다.
S1G 대역에서는 기존에 이미 동작하고 있는 레거시(legacy) 기기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역방향 호환성(backward compatibility)을 고려할 필요 없이 PHY 프리앰블을 최대한 S1G 대역에 효과적으로 설계하는 것이 중요하다. 가장 쉽게 생각해 볼 수 있는 방식은 기존에 정의되어 있는 HT-GreenField PLCP 프레임 포맷(IEEE 802.11n 표준 참조)을 1/10로 다운-클러킹하여 S1G PHY 프리앰블을 설계하는 방식이며, 이와 같은 구조는 예를 들어 2MHz이상의 대역폭에 대해 사용될 수 있다.
장거리 통신을 지원하기 위해서 상기 2MHz이상의 대역폭에 대해 사용되는 S1G PHY 구조의 프레임 포맷의 STF/LTF/SIG/DATA 필드들을 시간축 또는 주파수축 상에서 2배 이상으로 반복(repetition)함으로써 장거리 PLCP 프레임을 구성할 수도 있다.
도 15는 장거리 PLCP 프레임 포맷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의 PLCP 프레임 포맷은 IEEE 802.11n에서 정의되는 Green-field 포맷과 유사하게 STF, LTF1, SIG, LTF2-LTFN, Data 필드로 구성되지만, Green-field에 비하여 프리앰블 부분의 전송 시간이 반복에 의해서 2 배 이상 증가한 형태로 이해될 수 있다. 도 15의 예시와 같은 PLCP 프레임 포맷은 1MHz 대역폭에 대해 사용될 수 있으며, 1MHz PPDU 포맷으로 칭하여질 수 있다.
도 15의 1MHz PPDU의 STF 필드는 2 MHz 이상의 대역폭에 대한 PPDU에서의 STF(2 심볼 길이)와 동일한 주기(same periodicity)를 가지지만 시간 상에서 2번 반복(rep2) 기법이 적용되어 4 심볼 길이(예를 들어, 160㎲)를 가지며, 3 dB 전력 부스팅이 적용된다.
도 15의 1MHz PPDU의 LTF1 필드는 2 MHz 이상의 대역폭에 대한 PPDU에서의 LTF1 필드(2 심볼 길이)와 주파수 도메인에서 직교(orthogonal)하도록 설계되며, 시간 상에서 2번 반복되어 4 심볼 길이를 가진다.
도 15의 1MHz PPDU의 SIG 필드는 반복 코딩될 수 있다. 2 MHz 이상의 대역폭에 대한 PPDU에서의 SIG 필드는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으로서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BPSK(Binary PSK) 등이 적용될 수 있고, 2 심볼의 길이를 가진다. 반면, 1 MHz PPDU의 SIG 필드는 가장 낮은 MCS (즉, BPSK)와 반복 코딩(rep2)가 적용되고, 레이트가 1/2이 되도록 구성되며, 6 심볼 길이로 정의될 수 있다.
도 15의 1MHz PPDU의 LTF2 필드부터 LTFN 필드는 MIMO의 경우에 포함될 수 있으며, 각각의 LTF 필드가 1 심볼 길이를 가진다.
도 15의 1MHz PPDU의 Data 필드는 반복 기법이 적용되거나 적용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6은 1MHz 대역폭에 대한 PLCP 프레임 포맷을 구성하기 위한 반복 기법을 설명하기 위한 전송 플로우이다.
도 16의 스크램블러는 0 또는 1 이 길게 반복될 확률을 낮추기 위해서 데이터를 스크램블링할 수 있다. FEC(Forward Error Correction)는 에러 정정을 위해서 데이터를 인코딩할 수 있고, 이를 위하여 바이너리 컨볼루션 인코더 또는 LDPC(Low Density Parity Check) 인코더를 포함할 수 있다.
2x 블록-단위 반복(2x block-wise repetition)은, 각각의 OFDM 심볼의 x 개의 인코딩된 정보 비트들(인코딩 레이트가 1/2이라면, 각각의OFDM 심볼에서 x/2 개의 정보 비트가 인코딩되어 x 개의 인코딩된 정보 비트가 생성될 수 있음)이 블록 단위로 반복되어 2x 개의 정보 비트들을 출력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반복 후에는 하나의 공간 스트림(SS)에서 가장 낮은 MSC(예를 들어, MCS0)이 적용되는 경우에, 심볼 당 NCBPS개의 코딩된 비트가 포함될 수 있다.
다음으로, 인터리버는 디코더 측에서 인접한 노이즈 비트가 길게 연속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인터리빙(또는 위치 바꿈)을 수행할 수 있다. BPSK 매퍼는 인코딩된 데이터 비트를 BPSK 성상 포인트(constellation point)로 변환(또는 복소 심볼에 매핑)할 수 있다. 공간 매핑에서, 시간-공간 스트림들이 전송 체인들에 매핑될 수 있다. IDFT(Inverse Discrete Fourier Transform)를 통해서 복소 심볼들이 시간 도메인 블록으로 변환될 수 있다. GI 및 윈도우(GI & Window)에서 심볼 자신의 일부를 해당 심볼의 앞에 붙여서(prepend) 가드 인터벌(GI)을 구현하는 동작이 수행될 수 있고, 각각의 심볼의 에지들(edges)을 부드럽게 하여 스펙트럼 감쇄(spectral decay) 증가시키는 윈도잉(windowing)수행될 수 있다. 아날로그 및 RF(Radio Frequency)에서 전송 심볼이 생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1MHz PPDU 프레임을 구성하는 경우에, 하나의 PPDU의 듀레이션이 너무 길어져서 전송 효율이 낮아지고 STA의 소비 전력이 증가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PPDU의 프리앰블의 길이를 줄이는 것, MAC 헤더를 압축(compression)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무선랜 시스템에서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MAC 헤더 압축 기법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안한다.
본 발명에서는 AP가 라우터(router)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고 가정한다. 컴퓨터 네트워크 프로토콜 디자인 및 통신을 계층으로 나누어 설명한 OSI(Open System Interconnection) 7 계층은 아래의 표 3과 같다.
Application layer
Presentation layer
Session layer
Transport layer
network layer
data link layer
physical layer
일반적으로 AP가 라우터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지 못할 경우, AP는 물리(Physical) 계층(layer) 및 데이터 링크(Data Link) 계층(MAC 계층, LLC(Logical Link Control) 계층)의 기능만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AP가 프레임을 수신하여 해당 프레임을 올바른 목적지로 전달하기 위해서는 4 개의 주소(즉, 소스 주소(SA), 목적지 주소(DA), 송신자 주소(TA), 및 수신자 주소 (RA))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무선랜 시스템에서는 상기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MAC 프레임의 헤더에서 4개의 Address 필드들을 사용한다. 4 개의 Address 필드들의 내용은 MAC 헤더의 프레임 제어 필드 내의 To DS 서브필드와 From DS 서브필드의 값에 따라 결정된다. 일반적으로 To DS 및 From DS가 모두 1로 설정되는 경우는 현재 무선랜 시스템에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Address 4 필드는 사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AP가 라우터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지 못할 경우, AP가 프레임을 수신하여 해당 프레임을 올바른 목적지로 전달하기 위해서는 3개의 주소 필드가 요구된다.
한편, AP가 라우터의 역할을 수행하는 경우, 물리 계층, 데이터 링크 계층(MAC 계층, LLC 계층)과 함께 네트워크(Network) 계층, 전송(Transport) 계층(예를 들어,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계층)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AP는 MAC 계층에서 SA와 DA를 제외하고 TA와 RA만으로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SA와 DA를 알아내서 올바른 프레임의 전달을 위한 역할은 IP 계층이 수행할 수 있다. 즉, AP가 라우터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경우, 프레임의 MAC 헤더에는 TA 및 RA(예를 들어, AP의 주소와 STA의 주소)를 나타내는 2 개의 Address 필드만이 포함되어도 올바른 프레임의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MAC 헤더에 Address 정보로서 TA와 RA의 두 가지 Address 필드만을 포함하도록 MAC 헤더 압축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AP가 라우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모든 AP가 라우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은 아니므로, AP는 라우터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능력(capability) 정보를 다른 STA에게 알려줘야 한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확장된 능력 요소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의 예시에서 Element ID 필드는 해당 요소가 Extended Capabilities element임을 나타내는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Length 필드는 Capabilities 필드의 길이에 해당하는 옥텟(octet) 개수의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Capabilities 필드는 상기 요소를 전송하는 STA(또는 AP STA)의 능력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비트 필드이다. Capabilities 필드의 길이는 변수 n으로 표현될 수 있고, 각각의 비트 위치는 특정 능력의 지원 여부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는 MAC 헤더 압축 기능의 수행 여부(즉, AP의 라우터 기능 수행 여부)를 나타내는 1 비트를 Capabilities 필드에 추가하는 것을 제안한다. 상기 1 비트는 Capabilities 필드에서 유보된(reserved) 비트가 사용될 수 있다. AP로부터 확장된 능력 요소를 수신한 STA은 상기 1 비트의 값을 확인하여, 상기 AP가 라우터 기능을 수행하여 MAC 헤더 압축을 수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알 수 있다. 이러한 확장된 능력 요소는, 연관 요청/응답 프레임, 재-연관 요청/응답 프레임, 비콘 프레임, 프로브 응답 프레임 등에 포함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MAC 헤더에서 주소 정보로서 TA 및 RA의 두 가지 Address 필드만을 포함하도록 MAC 헤더 압축이 수행되는 경우에, 압축된 MAC 프레임 포맷(또는 짧은(short) MAC 프레임 프레임 포맷이라고 칭할 수 있음)의 TA 및 RA는 각각 아래의 표 4와 같이 정의될 수 있다.
Transmission direction Transmitter Address Receiver Address
DL AP address STA address
UL STA address AP address
상기 표 4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TA 및 RA는 전송 방향(transmission direction)에 따라서 결정된다. 하향링크(DL)의 경우에 TA는 AP 주소로, RA는 프레임을 수신하는 STA의 주소로 설정된다. 상향링크(UL)의 경우에 TA는 프레임을 전송하는 STA의 주소로, RA는 AP의 주소로 설정된다.
이와 같이, MAC 헤더에서 주소 정보를 제외(즉, 필수적인 RA 및 TA만 포함시키고 다른 주소 정보를 생략)하는 방식으로 MAC 헤더 압축을 수행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MAC 헤더에 포함되는 주소 정보 자체의 오버헤드를 더 줄일 수 있는 방안에 대해서 제안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기존의 MAC 헤더의 주소 필드는. 48 비트 길이의 MAC 주소 형태로 설정되는 것으로 정의되어 있다. 그러나, 주소 정보의 압축을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STA의 MAC 주소 대신에 연관식별자(AID)를 사용하는 것을 제안한다. AID는 16 비트 길이로 정의된다. 따라서, AID를 사용하는 경우에 MAC 헤더의 오버헤드를 더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압축된 MAC 헤더의 TA 및 RA는 아래의 표 5와 같이 정의될 수 있다.
Transmission direction Transmitter Address Receiver Address
DL BSSID STA AID
UL STA AID BSSID
상기 표 5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향링크(DL)의 경우에 TA(예를 들어, Address 2 필드)는 BSSID로, RA(예를 들어, Address 1 필드)는 프레임을 수신하는 STA의 AID로 설정된다. 상향링크(UL)의 경우에 TA(예를 들어, Address 2 필드)는 프레임을 전송하는 STA의 AID로, RA(예를 들어, Address 1 필드)는 BSSID로 설정된다. BSSID는 AP의 MAC 주소와 동일한 것일 수 있다.
압축된 MAC 헤더를 포함하는 프레임에 대한 중복 검출 방안
MAC 헤더에서 STA의 MAC 주소를 AID로 대체하는 경우, 프레임을 수신한 STA은 상기 프레임의 MAC 헤더에 포함된 AID를 MAC 주소로 변환하고(또는 매핑시키고), 변환된(또는 매핑된) MAC 주소를 시퀀스 번호(Sequence Number)와 함께 메모리(또는 캐시(cache))에 저장한다. 이는, 압축된 MAC 프레임에 대한 재전송을 지원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AP 로부터 DL 프레임을 수신한 STA은, 상기 DL 프레임의 TA 주소 필드(즉, Address 2 필드)에 포함된 BSSID에 해당하는 MAC 주소를 Sequence Number와 함께 캐시에 저장한다. 상기 DL 프레임에 액세스 카테고리(Access Category)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BSSID, Sequence Number 및 Access Category를 캐시에 저장한다.
STA으로부터 UL 프레임을 수신한 AP는, 상기 UL 프레임의 TA 주소 필드(즉, Address 2 필드)에 포함된 STA AID를 확인할 수 있다. STA AID는 AP가 할당하는 것이므로, AP는 해당 AID가 할당된 STA의 MAC 주소(즉, STA AID와 STA MAC 주소의 매핑관계)를 알고 있다. 이에 따라, AP는 상기 UL 프레임의 주소 필드(즉, Address 2 필드)에 포함된 STA AID로부터 STA MAC 주소를 알 수 있다. 그리고, AP는 AID에 의해서 식별된 (즉, AID에 매핑된) STA MAC 주소를 Sequence Number와 함께 캐시에 저장한다. 상기 UL 프레임에 Access Category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STA MAC Address, Sequence Number 및 Access Category를 캐시에 저장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시퀀스 제어 방식에 따라 STA에서 캐시를 관리함으로써, 압축된 MAC 프레임(또는 짧은 MAC 프레임)에 대한 재전송이 올바르게 수행될 수 있다. 특히, 정상(normal) MAC 헤더를 포함하는 프레임과, 압축된 MAC 헤더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모두 사용하는 환경에서 재전송이 올바르게 수행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MAC 헤더 압축 방안 및 시퀀스 제어 방식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제 1 STA이 압축된 MAC 헤더를 사용한 제 1 프레임을 제 2 STA으로 전송한 후에, 그 다음으로 상기 제 2 STA으로 전송하는 제 2 프레임에서는 정상 MAC 헤더를 사용하는 경우를 가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프레임과 제 2 프레임은 상이한 MPDU를 전송하는 프레임이다). 이러한 경우에 압축된 MAC 프레임과 정상 MAC 프레임 각각에 대한 재전송이 수행될 수 있기 때문에, 중복 수신 여부를 효율적으로 판단하기 위해서는 통합된 캐시 유지관리(unified cache maintenance) 방식이 요구된다. 그렇지 않으면, 프레임 전송 STA은 물론 프레임 수신 STA에서도, AID와 시퀀스 번호를 기준으로 관리되는 캐시와, MAC 주소와 시퀀스 번호를 기준으로 관리되는 캐시를 모두 유지하여야 하므로, STA의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하나의 MSDU의 부분들에 해당하는 복수개의 서로 다른 MPDU들이 정상 MAC 헤더 또는 압축된 MAC 헤더를 사용한 프레임을 통하여 전달되는 경우에는, 특정 STA에 동일한 시퀀스 번호 및 상이한 프래그먼트 번호를 이용하여 시퀀스 제어 정보가 관리되어야 하는데, AID를 기준으로 한 시퀀스 번호와 MAC 주소를 기준으로 한 시퀀스 번호가 따로 관리되는 경우에는 이와 같은 프레임들의 중복이 검출되더라도 이를 올바르게 처리할 수 없는 오동작이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STA AID를 사용하는 압축된 MAC 헤더가 포함되는 프레임에 대해서는, STA AID에 의해서 식별되는(identified by) (또는 STA AID에 매핑되는) STA MAC 주소를 시퀀스 번호와 함께 캐시에 저장하는 것을 제안한다.
프레임 전송 STA에서는, 전송하는 프레임의 시퀀스 번호를 RA 별로 또는 {RA, 액세스 카테고리} 별로 순차적으로 증가시킨다. 본 발명의 제안에 따르면, 전송하는 프레임의 RA 주소 필드(즉, Address 1 필드)가 STA AID 형태로 구성되는 압축된 MAC 프레임인 경우에, 전송 STA에서의 시퀀스 번호는 수신측 STA의 AID가 아닌 수신측 STA의 MAC 주소를 기준으로 관리된다. 즉, 프레임을 전송하는 STA에서는, 수신측 STA의 MAC 주소 별로 가장 마지막으로 사용된 시퀀스 번호를 저장(또는 캐시(cache))한다.
재전송되는 프레임의 프레임 제어 필드의 재시도 비트는 1로 설정된다. 재시도 비트가 1로 설정된 프레임을 수신한 경우에, 수신된 프레임이 압축된 MAC 헤더를 사용한 경우라면, 압축된 MAC 헤더의 주소 필드에 포함된 STA AID를 STA MAC 주소로 변환한다. 프레임을 수신한 STA은, 변환된 STA MAC 주소(또는 수신된 프레임의 주소 필드에 포함된 STA AID 값에 의해 식별되는 MAC 주소)와 함께 시퀀스 번호 및/또는 액세스 카테고리 정보를, 캐시에 있는 과거의 정보(즉, 가장 마지막으로 저장된 STA MAC 주소, 시퀀스 번호, 액세스 카테고리 정보)와 비교하여, 현재 수신된 프레임이 중복 프레임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짧은 MAC 헤더 암호화 방안
본 발명에서는 짧은 MAC 프레임(또는 압축된 MAC 프레임)에 대한 암호화 방안에 대해서 제안한다.
정상 MAC 헤더를 사용하는 프레임과 짧은 MAC 헤더를 사용하는 프레임에 대해서 암호화 방식과 차이점이 발생할 수 있다. 아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정상 MAC 헤더를 사용하는 경우와, 짧은 MAC 헤더를 사용하는 경우에서, 부가 인증 데이터(Additional Authentication Data; AAD) 구성(construction) 방법 및 논스(Nonce) 구성 방법이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MAC 헤더에 대한 무결성(integrity) 검증이 올바르게 수행되도록 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동일한 MPDU에 대한 전송 및 재전송은 동일한 프레임 포맷을 사용하도록 동작하는 것을 제안한다.
예를 들어, 정상 MAC 프레임(또는 정상 MAC 헤더)을 사용하여 MPDU를 전송한 후에, 동일한 MPDU를 재전송함에 있어서 짧은 MAC 프레임(또는 짧은 MAC 헤더)을 사용할 수 없고, 정상 MAC 프레임(또는 정상 MAC 헤더)을 사용하여 재전송할 수 있다. 또한, 짧은 MAC 프레임(또는 짧은 MAC 헤더)을 사용하여 MPDU를 전송한 후에, 동일한 MPDU를 재전송함에 있어서 정상 MAC 프레임(또는 정상 MAC 헤더)을 사용할 수 없고, 짧은 MAC 프레임(또는 짧은 MAC 헤더)을 사용하여 재전송할 수 있다.
도 18은 CCMP 캡슐화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IEEE 802.11 시스템에서 MAC 프레임의 암호화를 위해서, TKIP(Temporal Key Integrity Protocol), CCMP(Counter mode with Cipher-block chaining Message authentication code Protocol) 등이 이용될 수 있다. CCMP는 IEEE 802.11i 표준에서 제안된 것으로, AES(Advanced Encryption Standard)의 CCM에 기초하여 데이터 기밀성(confidentiality)을 위해서 설계된, 강화된 데이터 암호캡슐화(enhanced cryptographic encapsulation) 방법이다.
IEEE 802.11 시스템에서의 보안 메커니즘(security mechanism)은 데이터 프레임 및 관리 프레임에 대해서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TKIP, CCMP 등을 이용하여 데이터 기밀성(data confidentiality), 인증(authentication), 무결성(integrity), 및 재생 보호(replay protection) 등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8의 예시를 참조하면 원문(plaintext) MPDU의 페이로드로부터 암호화된 MPDU(encrypted MPDU)를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패킷 번호(PN)를 증가(increment)시켜서, 각각의 MPDU에 대한 새로운 PN 값을 얻을 수 있다.
원문 MPDU의 MAC 헤더의 필드들을 사용해서 CCM을 위한 AAD가 구성될 수 있다. CCM 알고리즘은 AAD에 포함된 필드들에 대한 무결성 보호를 제공할 수 있다. AAD는 MPDU의 FC(Frame Control) 필드, A1 (Address 1) 필드, A2 (Address 2) 필드, A3 (Address 3) 필드, SC (Sequence Control) 필드, A4 (Address 4) 필드, QC (QoS Control)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PN 값과, MPDU의 A2 (Address 2) 필드 및 Priority 값으로부터, CCM Nonce가 구성될 수 있다. Nonce는 보안 알고리즘에서 한번만 사용되는 숫자 또는 비트 스트링을 의미한다.
PN 값 및 키 식별자(KeyId) 값으로부터 8-옥텟 CCMP 헤더를 형성한다.
임시 키(TK), AAD, Nonce 및 MPDU 데이터를 사용하여, 암호화된 데이터(encrypted data) 및 MIC(Message Integrity Code)를 형성한다.
원래(original) MPDU 헤더, 생성된 CCMP 헤더, 생성된 암호화된 데이터 및 MIC를 결합(combine)하여, 암호화된 MPDU를 형성한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짧은 MAC 헤더의 프레임 제어 필드의 예시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의 짧은 MAC 헤더의 프레임 제어(FC) 필드의 서브필드들은, 도 14에서 설명한 정상 MAC 헤더의 서브필드들과 일부 상이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상 MAC 헤더와 비교하여, 짧은 MAC 헤더의 FC 필드에서는 Type 필드가 4 비트 크기를 가지고, subtype 필드는 포함하지 않는다. 또한, 정상 MAC 헤더와 비교하여, 짧은 MAC 헤더의 FC 필드에서는 To DS 필드 및 Order 필드를 포함하지 않는다. 또한, 정상 MAC 헤더와 비교하여, 짧은 MAC 헤더의 FC 필드에서는 EOSP(End Of Service Period) 필드를 포함한다.
도 19의 짧은 MAC 헤더의 FC 필드의 예시적인 포맷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짧은 MAC 헤더의 FC 필드는 Protocol Version 필드(2 비트), Type 필드(4 비트), From DS 필드(1 비트), More Fragments 필드(1 비트), Power Management 필드(1 비트), More Data 필드(1 비트), Protected Frame 필드(1 비트), EOSP 필드(1 비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도 18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MAC 헤더의 필드들을 이용하여 AAD가 구성되는데, 도 19와 같은 짧은 MAC 헤더의 FC 필드가 이용되는 경우의 AAD의 구성 방안에 대해서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AAD의 예시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의 예시에서 FC는 프레임 제어(Frame Control) 필드를 나타내며, 2 옥텟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도 20의 AAD의 FC 필드는 도 19의 짧은 MAC 헤더의 FC 필드에 따라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AAD에서의 FC 필드의 Power Management 비트는 0으로 마스킹(masked to 0) 될 수 있다 (Power Management bit masked to 0). 또한, AAD에서의 FC 필드의 More Data 비트는 0으로 마스킹 될 수 있다. 또한, AAD에서의 FC 필드의 Protected Frame 비트는 항상 1로 설정(always set to 1) 될 수 있다. 또한, AAD에서의 FC 필드의 EOSP 비트는 0으로 마스킹 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Retry 비트가 0으로 마스킹 될 수도 있다. 어떤 필드가 0 값으로 마스킹 된다는 의미는 해당 필드가 AAD에 포함되기는 하지만 사용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20의 A1, A2, A3 및 A4는 각각 MPDU의 Address 1, Address 2, Address 3 및 Address 4 필드에 대응한다. A1 필드는 6 옥텟 또는 2 옥텟 크기를 가질 수 있다. A2 필드는 6 옥텟 또는 2 옥텟 크기를 가질 수 있다. A3 및 A4 필드는 각각 6 옥텟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표 4 내지 표 5와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짧은 MAC 헤더는 A3 또는 A4 필드 중에서 하나 이상은 생략하고, A1 (즉, RA) 및 A2 (즉, TA) 필드들은 항상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A1 필드는, MAC 주소 또는 BSSID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6 옥텟 크기를 가지고, AID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2 옥텟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A2 필드는, MAC 주소 또는 BSSID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6 옥텟 크기를 가지고, AID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2 옥텟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AAD에서도 A3 및 A4 필드 중에서 하나, 또는 A3와 A4 필드 모두가 생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짧은 MAC 헤더에서 A3가 생략되는 경우에 AAD는 FC, A1, A2, A4 및 SC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짧은 MAC 헤더에서 A4가 생략되는 경우에 AAD는 FC, A1, A2, A3 및 SC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짧은 MAC 헤더에서 A3 및 A4가 생략되는 경우에 AAD는 FC, A1, A2 및 SC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AAD의 A1 필드는 6 옥텟 또는 2 옥텟 크기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0의 AAD의 A1 필드는 MPDU의 Address 1 필드에 따라서 구성된다. AAD의 A1 필드는, 프레임 방향(예를 들어, 상향링크 프레임 또는 하향링크 프레임)에 따라서 AID(2 옥텟) 또는 MAC 주소(6 옥텟)으로 구성될 수 있다. 짧은 MAC 헤더의 FC 필드의 From DS 비트가 1로 설정되는 하향링크 프레임의 경우 (이 경우 AAD의 FC 필드의 From DS 비트도 1 값으로 설정됨), AAD의 A1 필드는 수신자 STA의 AID (2 옥텟) 값으로 구성된다. 또는 짧은 MAC 헤더의 FC 필드의 From DS 비트가 0으로 설정되는 상향링크 프레임의 경우 (이 경우 AAD의 FC 필드의 From DS 비트도 0 값으로 설정됨), AAD의 A1 필드는 수신자 STA(또는 AP)의 MAC 주소 또는 BSSID (6 옥텟) 값으로 구성된다.
또한, AAD의 A2 필드는 6 옥텟 또는 2 옥텟 크기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0의 AAD의 A2 필드는 MPDU의 Address 2 필드에 따라서 구성된다. AAD의 A2 필드는, 프레임 방향(예를 들어, 상향링크 프레임 또는 하향링크 프레임)에 따라서 AID(2 옥텟) 또는 MAC 주소(6 옥텟)으로 구성될 수 있다. 짧은 MAC 헤더의 FC 필드의 From DS 비트가 1로 설정되는 하향링크 프레임의 경우 (이 경우 AAD의 FC 필드의 From DS 비트도 1 값으로 설정됨), AAD의 A2 필드는 송신자 STA(또는 AP)의 MAC 주소 또는 BSSID (6 옥텟) 값으로 구성된다. 또는 짧은 MAC 헤더의 FC 필드의 From DS 비트가 0으로 설정되는 상향링크 프레임의 경우 (이 경우 AAD의 FC 필드의 From DS 비트도 0 값으로 설정됨), AAD의 A2 필드는 송신자 STA의 AID (2 옥텟) 값으로 구성된다.
도 20의 A3 필드는, 존재한다면 (if present), MPDU의 Address 3 필드에 따라서 구성된다. 또한, AAD의 A3 Present 비트는 압축된 MAC 헤더 또는 AAD에 A3 필드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도 20의 A4 필드는, 존재한다면 (if present), MPDU의 Address 4 필드에 따라서 구성된다.
도 20의 SC는 시퀀스 제어(Sequence Control) 필드를 나타내며, 2 옥텟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도 20의 AAD의 SC 필드는 MPDU의 Sequence Control 필드에 따라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중복 검출 섹션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MAC 헤더의 Sequence Control 필드는 Sequence Number 및 Fragment Number 서브필드로 구성되며, 도 20의 AAD의 SC 필드도 Sequence Number 및 Fragment Number 서브필드로 구성된다. 도 20의 AAD에서의 SC 필드의 Sequence Number 서브필드(Sequence Control 필드의 비트 4-15)는 0으로 마스킹 될 수 있다. 또한, 도 20의 AAD에서의 SC 필드의 Fragment Number 서브필드는 MAC 헤더의 SC 필드의 Fragment Number 서브필드에 비하여 수정되지 않는다(not modified).
도 20의 AAD 구성요소들의 순서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며,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되는 AAD는 도 20에 예시된 서브필드들 중의 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Nonce의 예시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의 예시에서와 같이 Nonce는, Nonce 플래그(Nonce Flags) 필드, A2 (Address 2) 필드, 및 PN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Nonce Flags 필드는 1 옥텟 크기를 가질 수 있다. A2 필드는 6 옥텟 또는 2 옥텟 크기를 가질 수 있다. PN 필드는 6 옥텟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도 21에서는 Nonce Flags 필드의 구체적인 구성을 추가적으로 도시한다. Nonce Flags 필드는 Priority 서브필드를 위한 4 비트, Management 서브필드를 위한 1 비트, 및 유보된(reserved) 3 비트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1의 Nonce Flags의 Priority 필드는 짧은 MAC 프레임의 Priority를 나타내는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Priority 필드는 plaintext MPDU의 TID (Traffic Identifier) 또는 액세스 카테고리(Access Category)를 지시하는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 21의 Nonce Flags의 Management 필드는 plaintext MPDU가 관리 프레임(Management Frame)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 21의 Nonce의 A2 필드는 짧은 MAC 헤더의 Address 2 필드에 따라서 구성될 수 있다. Nonce의 A2 필드는, 프레임 방향(예를 들어, 상향링크 프레임 또는 하향링크 프레임)에 따라서 송신자 STA의 AID(2 옥텟) 또는 MAC 주소(6 옥텟)으로 구성될 수 있다. 짧은 MAC 헤더의 FC 필드의 From DS 비트가 1로 설정되는 하향링크 프레임의 경우, Nonce의 A2 필드는 송신자 STA(또는 AP)의 MAC 주소 또는 BSSID (6 옥텟) 값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Nonce의 A2 필드는 짧은 MAC 헤더의 A2 필드에 의해서 식별되는 송신자 STA(또는 AP)의 MAC 주소 또는 BSSID (6 옥텟) 값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짧은 MAC 헤더의 FC 필드의 From DS 비트가 0으로 설정되는 상향링크 프레임의 경우, Nonce의 A2 필드는 송신자 STA의 AID (2 옥텟) 값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암호화된 MPDU의 예시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plaintext MPDU에 대한 암호화 결과에 해당하는 암호화된 MPDU는, 도 22의 MAC 헤더(도 18의 plaintext MPDU의 MAC 헤더), 도 22의 CCMP 헤더 (도 18에서 PN 및 KeyId에 기초하여 생성된 CCMP 헤더), 도 22의 생성된 암호화된 데이터, MIC 및 FCS(Frame Check Sequence)로 구성될 수 있다.
CCMP에서는 매 세션 마다 임시 키(Temporal Key)가 갱신되는 것이 요구되며, 주어진 임시 키에 대해 매 프레임 마다 nonce 값이 고유(unique)할 것이 추가적으로 요구된다. 이러한 요구사항을 만족하기 위해, 48 비트의 PN (Packet Number) 값이 사용되고, PN 값은 임시 키가 갱신될 때 마다 1로 초기화(initialized) 된다.
도 22의 예시에서, PN 값은 CCMP 헤더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CCMP 헤더에는 6 옥텟 (즉, 48 비트) 길이의 PN 필드가 포함되며, 6 옥텟의 각각의 PN0, PN1, PN2, PN3, PN4 및 PN5 이라고 칭한다.
본 발명에서는 짧은 MAC 프레임에서 PN 필드의 크기를 줄임으로써, 암호화된 PPDU에 대한 MAC 오버헤드를 추가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을 제안한다.
구체적으로, CCMP 헤더에는 PN의 6 옥텟 중의 일부(예를 들어, PN0 및 PN1) 만을 포함시켜 전송하고, 나머지(예를 들어, PN2, PN3, PN4 및 PN5)는 MAC 프레임을 전송하는 STA과 수신하는 STA 사이에서 동기화시켜 둘 수 있다.
예를 들어, STA이 처음으로 암호화된 PPDU를 전송할 때는 짧은 MAC 프레임 포맷을 사용하지 않고 정상 MAC 프레임 포맷을 사용하여 48 비트의 PN 값의 전체가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만약, 송신 STA과 수신 STA이 모두 짧은 MAC 프레임을 지원하는 경우에, 정상 MAC 프레임 포맷을 사용하여 전송된 암호화된 PPDU의 48 비트 크기의 PN 값이 수신 STA 측에서 저장 또는 유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러 없이 성공적으로 수신하여 성공적으로 복호화(decryption)를 수행하여 무결성 검증을 마친 PPDU에 대해서는, {Transmitter Address, Temporal Key, PN 48 bits} 의 세트에 대한 캐시가 수신 STA에 의해서 저장 및 유지 관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PN 값을 송수신 STA들 간에 동기화시킨 후에, 송신 STA은 짧은 MAC 프레임을 암호화시킨 PPDU(이는, 이전에 정상 MAC 프레임을 통하여 전송한 암호화된 PPDU와 상이한 PPDU임)를 전송할 수 있다. 이후로는, 짧은 MAC 프레임에 포함되는 CCMP 헤더에는 48 비트 크기의 PN 값 중에서 일부(예를 들어, PN0 및 PN1) 만이 포함될 수 있고, 이에 따라 MAC 오버헤드가 감소될 수 있다.
짧은 MAC 프레임을 암호화시킨 PPDU를 수신하는 STA은, 짧은 MAC 프레임을 복호화(decrypt) 하기 위해서, 이전에 저장하여 둔 PN 값을 이용할 수 있다. 즉, 짧은 MAC 프레임의 CCMP 헤더에 PN0 및 PN1 만이 포함된 경우에는, 나머지 PN2, PN3, PN4 및 PN5 으로는 수신 STA에서 저장하고 있는 값을 이용하여, 전체 48 비트의 PN 값을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CCMP 헤더에 포함된 일부와 저장하고 있던 나머지 일부를 결합하여 구성된 48 비트의 PN 값을 이용하여 (즉, Nonce 구성에 상기 결합하여 구성한 PN 값이 사용된 것으로 보고) MAC 프레임의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만약, 임시 키가 변경되는 경우에, 수신 STA은 {Transmitter Address, Temporal Key, PN 48 bits}의 세트로 저장하고 있던 PN 값을 지운다. 따라서, 임시 키가 변경 되면, 송신 STA은 짧은 MAC 프레임 포맷을 사용하지 않고, 반드시 정상 MAC 프레임 포맷을 사용하여 48 비트 전체의 PN 값을 수신 STA에게 전송해야 한다. 이를 통해, 송수신 STA 간에 PN 값이 다시 동기화 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중복 검출 섹션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MAC 헤더에는 Sequence Control 필드가 포함되며, Sequence Control 필드의 Sequence Number 서브필드의 값은 매 PPDU 마다 1씩 증가한다. 본 발명에서는 Sequence Number의 값을 PN 값의 일부로서 사용함으로써 (또는 Sequence Number의 값을 PN 값의 일부에 연계시킴으로써) MAC 오버헤드를 추가로 감소시키는 것을 제안한다.
이 경우, 최초 전송되는 프레임에서는 전체 PN 값을 수신 STA에게 알려줄 수 있다. 수신 STA은 전체 PN 값을 저장하면서, 현재 수신된 프레임의 MAC 헤더의 Sequence Control 필드의 Sequence Number 값의 세트를 함께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 STA은 {Transmitter Address, Temporal Key, PN 48 bits, Sequence Number}의 세트를 캐시에 저장 및 유지 관리할 수 있다. 후속하는 전송에서 짧은 MAC 프레임을 이용하는 경우 CCMP 헤더에 PN 필드를 포함시키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짧은 MAC 프레임으로부터 생성된 암호화된 MPDU의 Sequence Control 필드의 Sequence Number 값을 사용하여, 수신 STA은 PN 값을 도출할 수 있다.
또한, 임시 키가 변경되면 수신 STA은 {Transmitter Address, Temporal Key, PN 48 bits, Sequence Number}의 세트로 저장하고 있던 PN 값을 지운다. 따라서, 임시 키가 변경 되면, 송신 STA은 짧은 MAC 프레임 포맷을 사용하지 않고, 반드시 정상 MAC 프레임 포맷을 사용하여 48 비트 전체의 PN 값을 수신 STA에게 전송해야 한다. 이를 통해, 송수신 STA 간에 PN 값이 다시 동기화 될 수 있다.
또한, Sequence Number가 PN 값의 일부로서 사용되는 경우, PN 값이 초기화 됨에 따라 Sequence Number 역시 초기화 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짧은 MAC 헤더를 지원하는 프레임 송수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계 S2310에서 제 1 STA은 제 2 STA으로 전송할 짧은 MAC 헤더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생성할 수 있다.
짧은 MAC 헤더는 수신자 주소(즉, 제 2 STA 주소)를 나타내는 A1 필드 및 송신자 주소(제 1 STA 주소)를 나타내는 A2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의 전송 방향(상향링크/하향링크)에 따라서 상기 A1 또는 A2 필드 중의 하나가 AID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만약, A1 필드가 AID 값을 포함하는 경우에, 상기 AID 값에 대해서가 아니라, 상기 AID 값에 의해서 식별되는 STA MAC 주소(즉, 제 1 STA의 MAC 주소)에 대해서 시퀀스 번호가 할당될 수 있다. 상기 AID 값에 의해서 식별되는 STA MAC 주소에 대해서 할당되는 시퀀스 번호는 제 1 STA에 의해서 캐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짧은 MAC 헤더는 적어도 FC 필드, A1 필드, A2 필드 및 SC 필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시퀀스 번호 정보는 SC 필드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제 1 STA은 암호화된 MPDU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생성할 수도 있다. 암호화된 MPDU에는 AAD가 포함되는데, AAD는 짧은 MAC 헤더의 FC 필드, A1 필드, A2 필드 및 SC 필드에 기초하여 구성될 수 있다. 짧은 MAC 헤더의 A1 및 A2 필드와 마찬가지로, 상기 프레임의 전송 방향(상향링크/하향링크)에 따라서 AAD의 A1 또는 A2 필드 중의 하나는 AID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AAD의 FC 필드는 Protocol Version 필드, Type 필드, From DS 필드, More Fragments 필드, Power Management 필드, More Data 필드, Protected Frame 필드, EOSP (End Of Service Period)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Power Management 필드는 0으로 마스킹되고, 상기 More Data 필드는 0으로 마스킹 되고, 상기 Protected Frame 필드는 항상 1로 설정되고, 상기 EOSP 비트는 0으로 마스킹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암호화된 MPDU는 논스(Nonce)를 더 포함하고, 상기 Nonce는, Nonce Flags 필드, A2 필드 및 Packet Number (PN)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Nonce의 Nonce Flags 필드는 상기 MPDU의 Priority 정보 및 상기 MPDU가 관리(Management) 프레임인지 여부에 기초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Nonce의 A2 필드는, 상기 MPDU의 상기 A2 필드에 의해서 식별되는(identified) 상기 제 1 STA의 MAC 주소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Nonce의 PN 필드는 상기 MPDU의 암호화에 사용되는 PN 정보에 기초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단계 S2320에서 제 1 STA은 위와 같이 구성된 짧은 MAC 헤더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제 2 STA으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2330에서 제 2 STA은 수신된 프레임을 프로세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STA은 상기 수신된 프레임의 짧은 MAC 헤더의 송신자 주소 필드(즉, A2) 필드가 AID 값을 포함하는 경우에, 해당 AID 값에 대해서가 아니라, 해당 AID 값에 의해 식별되는 STA MAC 주소와 함께, 상기 짧은 MAC 헤더의 SC 필드에 포함된 시퀀스 번호 값을 캐시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짧은 MAC 헤더에 포함된 상기 AID 값에 의해서 식별되는 상기 STA MAC 주소 및 상기 짧은 MAC 헤더에 포함된 상기 시퀀스 번호의 값이, 이전에 캐시된 상기 AID 값에 의해서 식별되는 STA MAC 주소 및 상기 시퀀스 번호와 동일한 경우, 제 2 STA은 해당 프레임을 중복 프레임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제 2 STA은 암호화된 MPDU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수신한 경우에, 상기 암호화된 MPDU의 구성에 기초하여 MPDU의 복호화(decryption)를 수행할 수 있다.
도 23에서 예시하는 본 발명의 짧은 MAC 헤더를 지원하는 프레임 송수신 방법에 있어서, 전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사항들은 독립적으로 적용되거나 또는 2 이상의 실시예가 동시에 적용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STA1 (10)는 프로세서(11), 메모리(12), 송수신기(13)를 포함할 수 있다. STA2 (20)는 프로세서(21), 메모리(22), 송수신기(23)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기(13 및 23)는 무선 신호를 송신/수신할 수 있고, 예를 들어, IEEE 802 시스템에 따른 물리 계층을 구현할 수 있다. 프로세서(11 및 21)는 송수신기(13 및 21)와 연결되어 IEEE 802 시스템에 따른 물리 계층 및/또는 MAC 계층을 구현할 수 있다. 프로세서(11 및 21)는 전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STA1 및 STA2 의 동작을 구현하는 모듈이 메모리(12 및 22)에 저장되고, 프로세서(11 및 21)에 의하여 실행될 수 있다. 메모리(12 및 22)는 프로세서(11 및 21)의 내부에 포함되거나 또는 프로세서(11 및 21)의 외부에 설치되어 프로세서(11 및 21)와 공지의 수단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도 24의 STA1(10)은 무선랜 시스템에서 시퀀스 번호(sequence number)를 관리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STA1의 프로세서(11)는, STA1(10)이 STA2(20)로 짧은 MAC 헤더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상기 송수신기(13)를 이용하여 전송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의 전송 방향이 상향링크 또는 하향링크 방향인지에 따라서, 상기 짧은 MAC 헤더에 포함된 수신자 주소 필드 또는 송신자 주소 필드 중의 하나가 연관식별자(AID)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신자 주소 필드가 상기 AID 값을 포함하는 경우에, 상기 AID 값에 의해서 식별되는 STA MAC 주소에 대해서 상기 시퀀스 번호가 할당될 수 있다.
또한, 도 24의 STA1(10)은 무선랜 시스템에서 매체 액세스 제어(MAC)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MPDU) 을 암호화(encryption)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STA1의 프로세서(11)는, Frame Control (FC) 필드, Address 1 (A1) 필드, Address 2 (A2) 필드 및 Sequence Control (SC) 필드를 포함하는 부가 인증 데이터(AAD)를 construct 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STA1의 프로세서(11)는, AAD를 포함하는 암호화된 MPDU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상기 송수신기(13)를 이용하여 STA2(20)로 전송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AAD의 상기 FC 필드, 상기 A1 필드, 상기 A2 필드 및 상기 SC 필드는, 상기 MPDU의 FC 필드, A1 필드, A2 필드 및 SC 필드에 기초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의 전송 방향이 상향링크 또는 하향링크 방향인지에 따라서, 상기 AAD의 A1 필드 또는 A2 필드 중의 하나가 연관식별자(AID) 값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24의 STA2(20)은 시퀀스 번호(sequence number)를 관리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STA2의 프로세서(21)는, STA2(20)이 STA1(10)으로부터 짧은 MAC 헤더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상기 송수신기(23)를 이용하여 수신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의 전송 방향이 상향링크 또는 하향링크 방향인지에 따라서, 상기 짧은 MAC 헤더에 포함된 수신자 주소 필드 또는 송신자 주소 필드 중의 하나가 연관식별자(AID)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신자 주소 필드가 상기 AID 값을 포함하는 경우에, 상기 AID 값에 의해서 식별되는 STA MAC 주소와 함께, 상기 MAC 헤더에 포함된 상기 시퀀스 번호 값이 상기 STA2(20)에 의해서 캐시(cache)될 수 있다.
도 24의 STA1(10) 및 STA2(20)구체적인 구성은, 전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사항들이 독립적으로 적용되거나 또는 2 이상의 실시예가 동시에 적용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내용은 명확성을 위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수단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또는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 유닛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유닛은 상기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10 : STA1
20 : STA2

Claims (12)

  1. 무선랜 시스템에서 시퀀스 번호(sequence number)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 1 STA이 제 2 STA으로 짧은 MAC 헤더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의 전송 방향이 상향링크 또는 하향링크 방향인지에 따라서, 상기 짧은 MAC 헤더에 포함된 수신자 주소 필드 또는 송신자 주소 필드 중의 하나가 연관식별자(AID) 값을 포함하고,
    상기 수신자 주소 필드가 상기 AID 값을 포함하는 경우에, 상기 AID 값에 의해서 식별되는 STA MAC 주소에 기초하여 상기 프레임에 대한 상기 시퀀스 번호가 할당되는, 시퀀스 번호 관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퀀스 번호는 상기 제 1 STA에 의해서 캐시(cache)되는, 시퀀스 번호 관리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퀀스 번호는, 상기 AID 값에 의해서 식별되는 상기 STA MAC 주소를 기준으로 순차적으로 증가되는, 시퀀스 번호 관리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이 하향링크 방향으로 전송되는 경우에,
    상기 수신자 주소 필드는 상기 제 2 STA의 AID 값을 포함하고,
    상기 송신자 주소 필드는 BSSID(Basic Service Set Identifier) 값을 포함하는, 시퀀스 번호 관리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짧은 MAC 헤더는 Frame Control 필드, Address 1 필드, Address 2 필드 및 Sequence Control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Address 1 필드는 상기 수신자 주소 필드이고,
    상기 Address 2 필드는 상기 송신자 주소 필드이며,
    상기 Sequence Control 필드는 상기 시퀀스 번호 값을 포함하는, 시퀀스 번호 관리 방법.
  6. 무선랜 시스템에서 시퀀스 번호(sequence number)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 2 STA이 제 1 STA으로부터 짧은 MAC 헤더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의 전송 방향이 상향링크 또는 하향링크 방향인지에 따라서, 상기 짧은 MAC 헤더에 포함된 수신자 주소 필드 또는 송신자 주소 필드 중의 하나가 연관식별자(AID) 값을 포함하고,
    상기 송신자 주소 필드가 상기 AID 값을 포함하는 경우에, 상기 AID 값에 의해서 식별되는 STA MAC 주소와 함께, 상기 MAC 헤더에 포함된 상기 시퀀스 번호 값이 상기 제 2 STA에 의해서 캐시(cache)되는, 시퀀스 번호 관리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상기 AID 값에 의해서 식별되는 상기 STA MAC 주소 및 상기 MAC 헤더에 포함된 상기 시퀀스 번호의 값이, 이전에 캐시된 상기 AID 값에 의해서 식별되는 STA MAC 주소 및 상기 시퀀스 번호와 동일한 경우, 상기 프레임은 중복 프레임인 것으로 결정되는, 시퀀스 번호 관리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재시도(retry) 비트가 1로 설정되는, 시퀀스 번호 관리 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이 상향링크 방향으로 전송되는 경우에,
    상기 수신자 주소 필드는 BSSID(Basic Service Set Identifier) 값을 포함하고,
    상기 송신자 주소 필드는 상기 제 1 STA의 AID 값을 포함하는, 시퀀스 번호 관리 방법.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짧은 MAC 헤더는 Frame Control 필드, Address 1 필드, Address 2 필드 및 Sequence Control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Address 1 필드는 상기 수신자 주소 필드이고,
    상기 Address 2 필드는 상기 송신자 주소 필드이며,
    상기 Sequence Control 필드는 상기 시퀀스 번호 값을 포함하는, 시퀀스 번호 관리 방법.
  11. 무선랜 시스템에서 시퀀스 번호(sequence number)를 관리하는 스테이션(STA) 장치에 있어서,
    송수신기;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STA이 다른 STA으로 짧은 MAC 헤더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상기 송수신기를 이용하여 전송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프레임의 전송 방향이 상향링크 또는 하향링크 방향인지에 따라서, 상기 짧은 MAC 헤더에 포함된 수신자 주소 필드 또는 송신자 주소 필드 중의 하나가 연관식별자(AID) 값을 포함하고,
    상기 수신자 주소 필드가 상기 AID 값을 포함하는 경우에, 상기 AID 값에 의해서 식별되는 STA MAC 주소에 기초하여 상기 프레임에 대한 상기 시퀀스 번호가 할당되는, 시퀀스 번호 관리 STA 장치.
  12. 무선랜 시스템에서 시퀀스 번호(sequence number)를 관리하는 스테이션(STA) 장치에 있어서,
    송수신기;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STA이 다른 STA으로부터 짧은 MAC 헤더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상기 송수신기를 이용하여 수신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프레임의 전송 방향이 상향링크 또는 하향링크 방향인지에 따라서, 상기 짧은 MAC 헤더에 포함된 수신자 주소 필드 또는 송신자 주소 필드 중의 하나가 연관식별자(AID) 값을 포함하고,
    상기 송신자 주소 필드가 상기 AID 값을 포함하는 경우에, 상기 AID 값에 의해서 식별되는 STA MAC 주소와 함께, 상기 MAC 헤더에 포함된 상기 시퀀스 번호 값이 상기 STA 장치에 의해서 캐시(cache)되는, 시퀀스 번호 관리 STA 장치.
KR1020157012235A 2012-10-12 2013-10-07 무선랜 시스템에서 짧은 mac 헤더를 지원하는 프레임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15006846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261712813P 2012-10-12 2012-10-12
US61/712,813 2012-10-12
US201361749393P 2013-01-07 2013-01-07
US61/749,393 2013-01-07
PCT/KR2013/008938 WO2014058193A1 (en) 2012-10-12 2013-10-07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frame supporting a short mac header in wireless lan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8461A true KR20150068461A (ko) 2015-06-19

Family

ID=5047760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2235A KR20150068461A (ko) 2012-10-12 2013-10-07 무선랜 시스템에서 짧은 mac 헤더를 지원하는 프레임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1020157012236A KR20150070257A (ko) 2012-10-12 2013-10-07 무선랜 시스템에서 짧은 mac 헤더를 지원하는 프레임 송수신 방법 및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2236A KR20150070257A (ko) 2012-10-12 2013-10-07 무선랜 시스템에서 짧은 mac 헤더를 지원하는 프레임 송수신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9843558B2 (ko)
EP (1) EP2907332B1 (ko)
JP (1) JP6068657B2 (ko)
KR (2) KR20150068461A (ko)
CN (1) CN104704868B (ko)
WO (2) WO20140581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98386B1 (en) * 2009-06-26 2019-05-21 Marvell International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e communications in networks
WO2013085363A1 (ko) * 2011-12-09 2013-06-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 시스템에서 프레임 송신 및 수신 방법과 이를 지원하는 장치
KR20150068461A (ko) * 2012-10-12 2015-06-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 시스템에서 짧은 mac 헤더를 지원하는 프레임 송수신 방법 및 장치
US9614935B2 (en) * 2013-03-15 2017-04-04 Qualcomm Incorporated Protected control frames
US20150124647A1 (en) * 2013-11-01 2015-05-07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for providing state updates in a mesh network
US20150195710A1 (en) * 2014-01-07 2015-07-09 Adam M. Bar-Niv Apparatus, method and system of obfusca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dentifier
EP3182677B1 (en) * 2014-08-10 2020-04-22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enabling station to receive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DE102014012673A1 (de) * 2014-08-22 2016-02-25 Wabco Gmbh Fahrzeug-Netzwerk und Verfahren zum Aufbau eines Fahrzeug-Netzwerks
JP6856524B2 (ja) * 2014-09-19 2021-04-07 華為技術有限公司Huawei Technologies Co.,Ltd. ワイヤレスローカルエリアネットワークデータ送信方法および装置
US9742543B2 (en) * 2014-09-23 2017-08-22 Newracom, Inc. Acknowledgment mechanisms for OFDMA operation
US20170257795A1 (en) * 2014-10-27 2017-09-07 Intel IP Corporation Wireless device,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compressed media access control header
US20160285834A1 (en) * 2014-11-10 2016-09-29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encrypting fields of a frame header for wi-fi privacy
US20180035461A1 (en) * 2015-02-11 2018-02-01 Lg Electronics Inc. Medium protecting method and device for mu transmission in wireless lan
US20160366001A1 (en) * 2015-06-10 2016-12-15 Intel IP Corporatio Receiver identification by encoder state
US10271263B2 (en) * 2015-09-04 2019-04-23 Intell IP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frame addressing in wireless networks
EP3349505B1 (en) * 2015-09-08 2023-05-24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CN106572198B (zh) * 2015-10-13 2020-06-02 华为技术有限公司 媒介访问控制包头压缩方法、装置及系统
CN106900073B (zh) 2015-12-18 2020-09-1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端到端通信方法、接入点及第一站点
US11265284B2 (en) * 2016-03-18 2022-03-01 Westinghouse Air Brake Technologies Corporation Communication status system and method
KR102597254B1 (ko) * 2016-04-04 2023-11-02 주식회사 윌러스표준기술연구소 프래그멘테이션을 이용하는 무선 통신 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무선 통신 단말
US10979266B2 (en) 2016-11-07 2021-04-13 Wilus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 Inc. Method f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for long distance transmiss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same
WO2018140080A1 (en) * 2017-01-26 2018-08-02 Intel Corporation Authenticating a multicast wake-up packet
US10278235B1 (en) * 2017-10-11 2019-04-30 Honeywell International Inc. Assignment of channels for communicating with an unmanned vehicle
US10820349B2 (en) 2018-12-20 2020-10-27 Autonomous Roadway Intelligence, Llc Wireless message collision avoidance with high throughput
US11368397B2 (en) 2019-01-15 2022-06-21 Nokia Technologies Oy Swapping header information for data transmission
US10820182B1 (en) 2019-06-13 2020-10-27 David E. Newman Wireless protocols for emergency message transmission
US10939471B2 (en) 2019-06-13 2021-03-02 David E. Newman Managed transmission of wireless DAT messages
US11272364B2 (en) * 2019-06-19 2022-03-08 Nxp Usa, Inc. Security in a multi-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21007290A1 (en) * 2019-07-08 2021-01-14 Arris Enterprises Llc Device steering based on profile and historical behavior
US11765577B2 (en) * 2019-07-12 2023-09-19 Apple Inc. Identity obscuration for a wireless station
US11290577B2 (en) * 2020-03-11 2022-03-29 Semiconductor Components Industries, Llc Wireless data transmission

Family Cites Families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09252B (fi) 1999-04-13 2002-06-14 Nokia Corp Tietoliikennejärjestelmän uudelleenlähetysmenetelmä, jossa on pehmeä yhdistäminen
US8483105B2 (en) 2003-10-15 2013-07-09 Qualcomm Incorporated High speed media access control
US8842657B2 (en) 2003-10-15 2014-09-23 Qualcomm Incorporated High speed media access control with legacy system interoperability
JP4220435B2 (ja) 2004-05-28 2009-02-04 株式会社東芝 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端末
JP4308295B2 (ja) * 2005-03-31 2009-08-05 パイオニア株式会社 無線lanシステム、その基地局および端末局
US8619658B2 (en) * 2005-09-21 2013-12-31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ssion manageme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588417B2 (en) 2007-05-04 2013-11-19 Conexant System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cast retransmission over a secure wireless LAN
EP2174462A1 (en) * 2007-07-05 2010-04-14 Ceragon Networks LTD. Data packet header compression
EP2168316A4 (en) * 2007-07-06 2014-08-13 Lg Electronics Inc RADIO MEASUREMENT PROCEDUR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5169449B2 (ja) 2008-05-01 2013-03-27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及び受信方法
US8934407B2 (en) * 2008-09-05 2015-01-13 Zte (Usa) Inc. MAC layer packet data units for wireless communications
US8498280B2 (en) * 2009-03-27 2013-07-3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system for reducing header information in communication systems
US8243623B2 (en) * 2009-03-31 2012-08-14 Intel Corporation Combined device and service discovery technique in stations supporting tunneled direct link setup (TDLS)
US8537795B2 (en) * 2009-07-28 2013-09-17 Intel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forwarding fram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8560848B2 (en) 2009-09-02 2013-10-15 Marvell World Trade Ltd. Galois/counter mode encryption in a wireless network
KR101216100B1 (ko) * 2009-11-18 2012-1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편화 패킹 확장헤더를 수반하는 mac pdu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CN102771060B (zh) * 2009-11-24 2016-05-18 韩国电子通信研究院 用于在基于多用户多输入多输出的无线通信系统中恢复传送失败的帧的方法
US8885620B2 (en) 2009-12-02 2014-11-11 Marvell World Trade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ounding multiple stations
CN102714534B (zh) * 2009-12-03 2015-01-07 Lg电子株式会社 在无线ran系统中发送帧的方法和装置
CN103109496B (zh) * 2010-09-10 2016-01-20 Lg电子株式会社 无线局域网络系统中针对利用服务质量机制的管理帧的密码通信的方法及设备
WO2012059182A1 (de) 2010-11-03 2012-05-10 Eth Zurich Verfahren zum entgasen einer wärmeträgerflüssigkeit sowie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US20130022032A1 (en) 2011-01-26 2013-01-24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communicating in a network
US9515925B2 (en) 2011-05-19 2016-12-06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s for media access control header compression
US20130128809A1 (en) * 2011-05-19 2013-05-23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s for media access control header compression
US9137823B1 (en) * 2011-05-23 2015-09-15 Marvell International Ltd. Downlink and uplink staggering techniques with aid bitmap segmentation
WO2013025820A2 (en) * 2011-08-15 2013-02-21 Marvell World Trade Ltd. Long range wlan data unit format
US8897298B2 (en) 2011-11-02 2014-11-25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compressing headers and payloads
US9363175B2 (en) 2011-12-16 2016-06-07 Stmicroelectronics, Inc. Sub-1GHz MAC frame header compression
CN103178931B (zh) 2011-12-20 2017-04-19 华为技术有限公司 传输数据帧的方法和装置
EP2810478B1 (en) 2012-01-31 2016-11-16 Marvell World Trade Ltd. Mac header compression in long-range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CN103259876B (zh) 2012-02-17 2017-02-01 华为终端有限公司 处理地址冲突的方法和装置
US20130223338A1 (en) * 2012-02-29 2013-08-29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s for block acknowledgment compression
US9942887B2 (en) * 2012-04-12 2018-04-10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downlink transmission in a wireless network
US9860785B2 (en) * 2012-05-11 2018-01-02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s for control frame and management frame compression
US20140036807A1 (en) * 2012-07-30 2014-02-06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multiple services over wlan
US8794566B2 (en) 2012-08-02 2014-08-05 Neurosciences Research Foundation, Inc. Vehicle capable of stabilizing a payload when in motion
US10178582B2 (en) * 2012-08-06 2019-01-08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s for frame control design
WO2014039540A1 (en) * 2012-09-05 2014-03-13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s for mac frame extensibility and frame specific mac header design for wlan systems
KR20150068461A (ko) * 2012-10-12 2015-06-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 시스템에서 짧은 mac 헤더를 지원하는 프레임 송수신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843558B2 (en) 2017-12-12
EP2907332A4 (en) 2016-06-15
US9749901B2 (en) 2017-08-29
CN104704868A (zh) 2015-06-10
EP2907332A1 (en) 2015-08-19
US20150271137A1 (en) 2015-09-24
KR20150070257A (ko) 2015-06-24
CN104704868B (zh) 2018-06-15
JP2015534796A (ja) 2015-12-03
EP2907332B1 (en) 2017-12-06
JP6068657B2 (ja) 2017-01-25
WO2014058192A1 (en) 2014-04-17
US20150289164A1 (en) 2015-10-08
WO2014058193A1 (en) 2014-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9436B1 (ko) 무선랜 시스템에서 짧은 mac 헤더를 지원하는 프레임 송수신 방법 및 장치
JP6068657B2 (ja) 無線lanシステムにおいて短いmacヘッダーを支援するフレーム送受信方法及び装置
KR102378136B1 (ko) 무선랜 시스템에서 트리거 프레임 수신 후 상향링크 전송 수행 방법 및 장치
JP5866479B2 (ja) 無線lanシステムにおいて部分連携識別子を含むフレーム送受信方法及び装置
JP6470683B2 (ja) 無線lanシステムにおいてシステム情報アップデート方法及び装置
US9736871B2 (en)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information related to association identifi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KR101584554B1 (ko) 무선랜 시스템에서 트래픽 지시 맵을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US20160173662A1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hort frame fragment in wireless lan system
JP2016226043A (ja) 無線lanシステムにおいて帯域幅によるフレーム送受信方法及び装置
US9781670B2 (en) Method and device for implementing power saving in wireless LAN system
KR20150063521A (ko) 무선랜 시스템에서 중계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60009531A (ko) 무선랜 시스템에서 저전력 장치를 위한 프레임 교환 방법 및 장치
WO2014104556A1 (ko) 무선랜 시스템의 중계 네트워크에서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JP2017501629A (ja) 無線lanシステムにおいて部分連係識別子を含むフレーム送受信方法及び装置
KR20150013481A (ko) 무선랜 시스템에서 채널 액세스 제어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