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8387A - 유니폼 자원 식별자(uri) 파라미터들의 계승 - Google Patents

유니폼 자원 식별자(uri) 파라미터들의 계승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8387A
KR20150068387A KR1020157009084A KR20157009084A KR20150068387A KR 20150068387 A KR20150068387 A KR 20150068387A KR 1020157009084 A KR1020157009084 A KR 1020157009084A KR 20157009084 A KR20157009084 A KR 20157009084A KR 20150068387 A KR20150068387 A KR 201500683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cument
mpd
mp4v
address
htt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9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7478B1 (ko
Inventor
실바인 케르바데크
클라우디아 베커
올리비어 비볼로
Original Assignee
오렌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렌지 filed Critical 오렌지
Publication of KR201500683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83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74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74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61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 H04L65/612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for uni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2Standardisation; Integration
    • H04L41/0246Exchanging or transporting network management information using the Internet; Embedding network management web servers in network elements; Web-services-based protocols
    • H04L41/0273Exchanging or transporting network management information using the Internet; Embedding network management web servers in network elements; Web-services-based protocols using web services for network management, e.g. simple object access protocol [SOAP]
    • H04L41/0293Exchanging or transporting network management information using the Internet; Embedding network management web servers in network elements; Web-services-based protocols using web services for network management, e.g. simple object access protocol [SOAP] for accessing web services by means of a binding identification of the management service or element
    • H04L65/408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 H04N21/23439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for generating different vers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08Management of client data
    • H04N21/25816Management of client data involving client 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37Control signals issued by the client directed to the server or network components
    • H04N21/6373Control signals issued by the client directed to the server or network components for rate control, e.g. request to the server to modify its transmission 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세그먼트(0.mp4v, 180180.mp4v)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y)에 액세스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데이터 세그먼트는 콘텐츠를 설명하는 문서(y.mpd)를 통해 액세스가능하다. 방법은 콘텐츠(y.mpd)를 설명하는 문서를 획득하는 제 1 단계(E1, E11) ― 문서로부터, 적어도 세그먼트의 제 1 범용 어드레스(HTTP://x.com/video/0.mp4v)가 생성된다(E2) ―; 콘텐츠를 설명하는 문서(y.mpd)의 범용 어드레스(HTTP://x.com/video/y.mpd?s=abd)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s=abd)를 획득하는 제 2 단계; 콘텐츠를 설명하는 문서(y.mpd)에서 적어도 하나의 어드레스 생성기 규칙(URLParameterTemplate)을 판독하는 단계; 및 세그먼트의 제 1 범용 어드레스(HTTP://x.com/video/0.mp4v) 및 획득된 파라미터(s=abd)의 어드레스 생성기 규칙(URLParameterTemplate)의 함수로서, 세그먼트에 대한 제 2 범용 어드레스(HTTP://x.com/y1.mp4v?s=abd)를 생성하는 마지막 단계(E3)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액세스 방법의 맥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문서(y.mpd)를 생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니폼 자원 식별자(URI) 파라미터들의 계승{INHERITANCE OF UNIFORM RESOURCE IDENTIFIER (URI) PARAMETERS}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컨텐츠 통신들에 관한 것이다.
용어 "멀티미디어 컨텐츠"는 임의의 오디오 또는 비디오 컨텐츠, 또는 더 일반적으로는 임의의 다른 디지털 컨텐츠를 의미하도록 이용된다.
본 발명은 더 구체적으로는, 네트워크를 통해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송신 및 수신하는 것에 관한 것이고, 특히, 네트워크를 통해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연속적으로 다운로딩하는 것에 관한 것이고, 이것은 또한 "스트리밍"으로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은 더 상세하게는, 컨텐츠에 대한 범용 어드레스들을 이용한 통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로도 또한 공지된 범용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액세스하기 위해, 전기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할 수 있는 임의의 클라이언트 단말(아래에서는 단순히 "단말"로 지칭됨)에 적용된다.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액세스하기 위해, 클라이언트 단말은 일반적으로 범용 어드레스 또는 URI를 사용한다(recourse). 이러한 어드레스는, 컨텐츠에 대한 액세스, 및 컨텐츠를 소모(예를 들어, 컨텐츠가 비디오 컨텐츠인 경우, 용어 "소모"는 "시청"을 의미하도록 이용됨)하기 위한 연관된 프로토콜에 대한 표시들 둘 모두를 제공한다. URI는, 물리적 또는 추상적 자원을 식별하고,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에 의해 발행된 표준들의 세트의 신택스, 및 특히 IETF의 사양 RFC 3986(사양 :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 제네릭 신택스(generic syntax))에 따르는 일련의 문자들이다. 이러한 범용 어드레스는, 예를 들어, 다음의 형태, dvb://content1, rtsp://content2, HTTP://content3, ftp://content4 등을 가질 수 있다.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액세스는 직접적(단일 URI를 이용하여 단일 요청에 의해 트리거링됨) 또는 간접적일 수 있고, 이후에, URI는 제 2 요청을 통해 서비스에 액세스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파라미터들을 제공한다. 종래의 예시는 비디오 온 디맨드(video on demand) 서비스이고: 제 1 단계는, 단말이 HTTP(hyper text transport protocol), 즉, 인터넷 네트워크들 및 특히 웹을 위해 개발된 클라이언트-서버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함으로써 서비스에 액세스하기 위한 파라미터들을 설명하는 문서(SDP(session description protocol))를 다운로딩하는 것으로 이루어지고; 제 2 단계에서, 서비스가 실제로 시작하는데, 즉, 클라이언트 단말이 문서(이 예에서는 SDP)에서 제공된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비디오를 수신 및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문서는 컴퓨터 파일, 또는 특정한 어드레스에서 액세스가능한 컨텐츠의 설명적 데이터 세트일 수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 아래에서, 문맥에 따라, 용어 "설명 파일" 또는 "문서"가 이용된다. 서비스에 대한 이러한 타입의 액세스는, 서버의 존재를 요구할 수 있거나(특히 포인트 투 포인트 또는 "유니캐스트" 통신의 경우), 또는 서버의 존재를 요구할 필요가 없음("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 타입의 포인트 투 멀티포인트 통신의 경우)을 주목해야 한다. 특히, HTTP 프로토콜은 포인트 투 포인트(또는 "유니캐스트") 타입이고, 결과적으로, "HTTP 클라이언트"로 지칭되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서버의 존재를 의미한다.
HTTP 프로토콜의 이러한 문맥에서,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에서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해, "적응형 스트리밍" 타입의 기술을 사용하는 것이 통상적인 관행이다. 이러한 타입의 기술은 특히,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단말과 컨텐츠 서버 사이의 접속을 통해 이용가능한 대역폭에서의 변화들을 고려하면서 양호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종래에, 동일한 비디오에 대해, 예를 들어, 상이한 데이터 레이트들을 대응하는 다양한 품질들이 인코딩될 수 있다. 각각의 데이터 레이트는 시간 세그먼트들(컨텐츠 "프래그먼트들"로 공지됨)로 자체 세분화된다. 이러한 다양한 데이터 레이트들 및 세그먼트화의 설명들 및 또한 컨텐츠 프래그먼트들의 설명들은 서비스 플랫폼에 의해 클라이언트 단말에 이용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완전한 컨텐츠에 액세스하기 위해, 다수의 세그먼트들에 대응하는 다수의 URI 어드레스들을 알 필요가 있다.
스트리밍으로의 이러한 컨텐츠의 배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예를 들어, 사설 솔루션들과 같은 몇 가지 솔루션들이 존재하는데, 예를 들어, Microsoft Smooth Streaming, Apple HLS, Adobe Http Dynamic Streaming, 또는 다른 MPEG DASH 표준이 존재하며, 이것은 아래에서 설명된다. 이러한 방법들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중간 설명 파일들(이러한 파일들은 또한 문서들, 또는 목록들 또는 실제로 자원들로 지칭될 수 있음)을 클라이언트에 전송하는 것을 제안하고, 파일들은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상이한 품질들에 대한 다양한 세그먼트들의 어드레스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http를 통한 동적 적응형 스트리밍 - ISO/IEC 표준 2309 1:2012(E)의 경우) MPEG DASH는, 인터넷을 통해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스트리밍하는 것에 전용되는 ISO/IEC 표준 조직으로부터의 표준이고; 특히 네트워크에 접속된 주변기기들(TV, 태블릿들 등)이 HTT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소모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MPEG DASH 표준을 준수하는 클라이언트로부터의 그리고 서버로 전송되는 HTTP 요청은 예를 들어, URL(uniform resource locator) 타입의 범용 어드레스 또는 URI를 포함하고, 여기서 URL은, 인터넷 네트워크를 통해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액세스를 부여하는 URI의 특정한 예이다. 따라서, MPEG DASH에 있어서, 컨텐츠에 대한 액세스는 통상적으로 2개의 스테이지들에서 발생한다:
1) 통상적으로, 미디어 프리젠테이션 설명(MPD)으로 공지된, 구체적으로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미디어 세그먼트들의 어드레스들을 포함하는 파일을 다운로딩함으로써, 설명 문서를 획득하는 스테이지. 이러한 다운로딩은 통상적으로 HTTP URL을 이용하여 발생하지만, 또한 몇몇 다른 프로토콜(예를 들어, ftp://mydescriptionfile)을 설명하는 범용 어드레스(URI)를 이용하여 발생할 수 있다.
2) 통상적으로, 설명 문서에서의 컨텐츠 어드레스들을 이용하여, 다운로딩함으로써, 미디어 세그먼트들을 획득하는 스테이지. 이러한 다운로딩은 통상적으로 HTTP URL을 통해 발생하지만, 또한 몇몇 다른 프로토콜(예를 들어, dvb://mycontentsegment)을 설명하는 범용 어드레스(URI)를 통해 발생할 수 있다.
특정한 상황들에서, 컨텐츠는 특정한 제약들에 종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에 대한 액세스가 보호될 수 있고 이러한 보호는, 단말이 식별된 것으로 가정하고 ―여기서 이러한 식별은 본질적으로(naturally) 사용자의 함수로서 변함―, 사용자의 권리들이 체크된 것으로 가정하며, 권리들은 또한 시간에 걸쳐 변할 수 있다. 식별 및 사용자 권리들의 체크는 종래에 서비스 플랫폼에 의해 수행되고, 그 결과는, 아래에서 URI 파라미터들로 지칭되는 URI 범용 어드레스와 연관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파라미터들에 의해 분배 서버로 송신된다.
이러한 특정한 파라미터들을, 설명 파일에서 설명되는 모든 컨텐츠 요청들 중 단말로부터의 요구와 연관시키기 위해, 이러한 환경들 하에서, 단말들로부터의 요구들이 존재할 때 그만큼 많은 문서들 또는 설명 파일들을 시스템이 생성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는 복잡하며 서비스 플랫폼 또는 분배 서버에 부담을 준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단점들을 제시하지 않는 솔루션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기능적 양상에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설명하는 문서를 생성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세그먼트는, 적어도 상기 문서로부터의 제 1 범용 어드레스를 통해 액세스가능하며, 상기 문서를 생성하는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범용 어드레스 생성기 규칙을 문서에 기록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생성기 규칙은, 제 1 범용 어드레스, 및 컨텐츠를 설명하는 문서의 범용 어드레스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 둘 모두로부터, 세그먼트에 대한 제 2 범용 어드레스를 생성하기에 적합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세그먼트에 대한 제 2 또는 최종 어드레스에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개인화된 파라미터들을 도입시키는 것을 준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생성된 세그먼트 어드레스는 세그먼트의 제 1 어드레스보다 더 완전하고; 특히, 각각의 클라이언트에 대한 특정한 설명 문서를 생성하는 것에 의해서만 개인화될 수 있는 종래 기술의 제 1 어드레스와는 달리,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요구한 클라이언트와 연관된 파라미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설명 문서의 범용 어드레스와 연관된 파라미터들(URI 파라미터들)은 통상적으로, 본질적으로 각각의 클라이언트에 특정된 인증 파라미터들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모든 클라이언트들에 대해 컨텐츠에 대한 단일 설명 문서(목록, 설명 파일 등)을 생성하는 것, 및 이와 동시에, 설명 문서의 어드레스와 매우 단순하게 연관된 파라미터들로 컨텐츠 세그먼트들의 어드레스들을 개인화하는 것 둘 모두가 가능한 이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특정한 구현에서,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설명 문서를 생성하는 방법은 또한, 세그먼트에 대한 제 2 범용 어드레스를 생성하기 위해 고려될 필요가 있는 획득된 파라미터들을 범용 어드레스 생성기 규칙이 특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이 구현에서, 세그먼트의 제 2 또는 최종 어드레스를 생성하는 경우에 고려될 범용 어드레스 파라미터들을 명시적으로 명명하는 것이 가능하다. 통상적으로, 이것은, 설명 문서가, 세그먼트에 대한 최종 어드레스에서 삽입될 또는 전달될 URI 파라미터들, 예를 들어, 서명, 날짜 등을 특정하는 것을 수반한다. 따라서, 특정한 URL 파라미터들에 우선순위를 부여하도록, 또는 특정한 다른 파라미터들을 고려하지 않도록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구현 대신에 또는 그와 함께 구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제 2 특정 구현에서, 앞서 설명된 방법은 추가로, 어드레스 생성기 규칙이, 세그먼트에 대한 제 2 범용 어드레스를 생성하기 위해, 획득된 파라미터들이 고려될 필요가 있는 순서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이러한 구현은, 세그먼트에 대한 최종 어드레스를 생성하기 위해 고려될 URL 파라미터들을 자동으로 또는 묵시적으로 고려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생성기 규칙에서 특정되는 순서는, 예를 들어, 서버의 관점에서 파라미터들의 중요도의 순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이는 머신마다 다르게 될 수 있는데, 이는, 이러한 환경들 하에서, 설명 파일의 컨텐츠(규칙)를 변경하는 것이 충분하기 때문이다.
다른 기능적 양상에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액세스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세그먼트는 컨텐츠를 설명하는 문서를 통해 액세스가능하며, 상기 세그먼트에 대한 액세스는 세그먼트의 제 2 범용 어드레스를 통해 발생하고, 상기 액세스 방법은, 하기 단계들: 즉,
· 컨텐츠를 설명하는 문서를 획득하는 단계 ―세그먼트의 적어도 제 1 범용 어드레스가 문서로부터 생성됨―;
· 컨텐츠를 설명하는 문서의 범용 어드레스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
· 컨텐츠를 설명하는 문서의 적어도 하나의 어드레스 생성기 규칙을 판독하는 단계; 및
· 세그먼트의 범용 어드레스 및 획득된 파라미터의 어드레스 생성기 규칙의 함수로서, 세그먼트에 대한 제 2 범용 어드레스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설명 문서, 및 설명 문서의 범용 어드레스와 연관된 파라미터들 둘 모두를 알면, 그에 따라 클라이언트는 규칙을 적용하여, 그러한 파라미터들 중 하나 또는 그 초과를, 소모될 멀티미디어 컨텐츠 세그먼트의 어드레스에 포함시킬 수 있다. 그에 따라, 세그먼트에 대해 생성된 제 2 어드레스, 또는 최종 어드레스는 제 1 어드레스보다 더 완전하고(complete), 이는, 특히, 통상적으로는 본질적으로 클라이언트에 특정된 인증 파라미터들인 클라이언트와 연관된 파라미터들을 도입시킴으로써 컨텐츠의 세그먼트들에 대한 액세스를 개인화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모든 클라이언트들에 단일 문서(목록, 설명 파일 등)를 제안하는 이점을 제공하는데, 이는, 문서의 어드레스를 이용하는 간단한 방식으로 전달되는 파라미터들의 함수로서 컨텐츠 세그먼트들의 어드레스들을 개인화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구체적(material) 양상에서, 본 발명은 또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설명하는 문서를 생성하기에 적합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버를 제공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세그먼트는 상기 문서로부터의 제 1 범용 어드레스를 통해 액세스가능하며, 상기 컨텐츠 서버는, 문서에 적어도 하나의 범용 어드레스 생성기 규칙을 기록하기 위한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생성기 규칙은, 제 1 범용 어드레스, 범용 어드레스 생성기 규칙, 및 컨텐츠를 설명하는 문서의 범용 어드레스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세그먼트에 대한 제 2 범용 어드레스를 생성하기에 적합하다.
다른 구체적 양상에서, 본 발명은 또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액세스하기에 적합한 단말을 제공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세그먼트는 컨텐츠를 설명하는 문서를 통해 액세스가능하며, 상기 액세스는 세그먼트에 대한 제 2 범용 어드레스를 통해 발생하고, 상기 단말은:
· 컨텐츠를 설명하는 문서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 ―세그먼트에 대한 적어도 제 1 범용 어드레스가 문서로부터 생성됨―;
· 컨텐츠를 설명하는 문서의 범용 어드레스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
· 컨텐츠를 설명하는 문서에서 적어도 하나의 어드레스 생성기 규칙을 판독하기 위한 모듈; 및
· 세그먼트의 제 1 범용 어드레스 및 획득된 파라미터의 어드레스 생성기 규칙의 함수로서, 세그먼트에 대한 제 2 범용 어드레스를 생성하기 위한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구체적 양상에서, 본 발명은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설명하는 문서를 생성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코드 명령들을 포함한다.
다른 구체적 양상에서,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액세스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코드 명령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 양상은, 기능적 양상의 방법들에 의해 추구되는 것들과 적어도 동일한 이점들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예로써 제공되고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이루어진 하기의 설명을 판독할 때 더 양호하게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인터넷을 통해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것에 기초하는 스트리밍 아키텍쳐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구현의 인터넷을 통해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것에 기초하는 스트리밍 아키텍쳐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구현의 타이밍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구현의 변형을 도시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인터넷 타입 네트워크를 통해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것에 기초하는 스트리밍 아키텍쳐를 도시한다. 통상적으로, 클라이언트 단말(1)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미디어(오디오, 비디오 등)로 이루어진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다운로딩하기 위해서 컨텐츠 서버(8)와의 통신에 진입하려 시도한다.
아래의 예에서는,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수반되는 스트리밍 컨텍스트가 MPEG DASH 표준을 사용한다.
단말(1)은 멀티미디어 컨텐츠 설명 문서(y)에 대한 어드레스(여기서는 URL이지만 더 일반적으로는 URI 타입 범용 어드레스)를 획득하기 위해 서비스 플랫폼(3)에 질의함으로써 시작하고; 아래에서, 이 문서는 MPD 타입의 파일(y.mpd)이다.
서비스 플랫폼(3)은 MPD 파일의 어드레스를 단말에 제공함으로써 응답하고, 이 예에서, 이는 사이트 "x.com"으로부터 다운로딩(또는 스트리밍)될 수 있는 mpd 타입의 파일
Figure pct00001
을 나타내는 URL "HTTP://x.com/y.mpd"이다.
서비스 플랫폼(3)은 클라이언트에 의해 사용할 URI에 특정 수의 파라미터들을 추가할 수 있다. URI들의 일반적인 신택스를 설명하는 IETF 사양 RFC 3986에 따르면, 이러한 파라미터들은 "?" 심볼에 의해 도입된다. URI에 파라미터들을 삽입하기 위한 이러한 메커니즘에 대한 추가적인 상세사항들에 대해, 당업자는 RFC 3986을 참조해야 한다. 예를 들어, 인증과 연관된 배포 컨텐츠와 관련해서, 서비스 플랫폼은 인증 토큰을 URI에 추가할 수 있고, 이 예에서, 토큰은 컨텐츠 전달 플랫폼에 의해 사용할 클라이언트에 대한 인증 파라미터인 스트링 "s=abd"에 의해서 표현된다. 설명 파일에 대한 그의 요청에 응답하여, 클라이언트는 따라서 다음의 두 개를 포함하는 URL "HTTP://x.com/y.mpd?s=abd"를 수신한다.
· 파일 자체의 범용 어드레스 (HTTP://x.com/y.mpd); 및
· 인증 파라미터 (abd)
이러한 URI에 기초해서, 설명 문서(4)가 컨텐츠 서버(8)로부터 다운로딩될 수 있고, 파라미터 abd는 서버가 클라이언트를 인증하게 할 수 있다.
MPEG/DASH 표준을 따르는 예시적인 MPD 파일이 아래에서 설명된다. 제 1 범용 어드레스를 생성하기 위해 특별히 제공되는, 본 발명의 맥락에서 적절한 필드들이 이탤릭체로 제공된다.
<?xml version="1.0"?>
<MPD
xmlns:xsi="HTTP://www.w3.org/2001/XMLSchema-instance"
xmlns="urn:mpeg:DASH:schema:MPD:2011"
xsi:schemaLocation="urn:mpeg:DASH:schema:MPD:2011 DASH-MPD.xsd"
type="dynamic"
minimumUpdatePeriod="PT2S"
timeShiftBufferDepth="PT30M"
availabilityStartTime="2011-12-25T12:30:00"
minBufferTime="PT4S"
profiles="urn:mpeg:dash:profile:isoff-live:2011">
< BaseURL >HTTP:// x.com/</ BaseURL >
<Period>
<!-- Video -->
<AdaptationSet
mimeType="video/mp4"
codecs="avc1.4D401F"
frameRate="30000/1001"
segmentAlignment="true"
startWithSAP="1">
< BaseURL > video /</ BaseURL >
< SegmentTemplate timescale="90000" initialization="$Bandwidth$/init.mp4v" media="$Bandwidth$/$Time$.mp4v">
<SegmentTimeline>
<S t="0" d="180180" r="432"/>
</SegmentTimeline>
</SegmentTemplate>
<Representation id="v1" width="640" height="480" bandwidth="500000"/>
<Representation id="v2" width="1280" height="720"bandwidth="2000000"/>
</AdaptationSet>
</Period>
</MPD>
표1: MPEG/DASH-순응 MPD 파일의 예
MPD 파일은, 본원에서 "제 1" 범용 어드레스들로 지칭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어드레스들을 생성하는 것을 가능케 하여, 이들을, 본 발명의 맥락에서 생성되며 본원에서 "제 2" 범용 어드레스들로 지칭되는 어드레스들과 구별되게 하며; 제 1 어드레스는, MPEG/DASH 표준의 종래 기술에 따라,
· 직접적으로 (세그먼트의 URL이 파일에 직접적으로 특정됨); 또는
· 미디어 세그먼트 URL들을 구성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통해 간접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위의 언급된 RFC 3986에서 설명되는 범용 어드레스들(URI들)을 해결하기 이전에 메커니즘을 사용한다. 클라이언트 단말은, 미디어 세그먼트의 제 1 범용 어드레스(URL 또는 URI)를 구성하기 위해, 특정 필드들을 해석하고 이들을 적절히 수정해야 한다.
URI의 이러한 해결은 MPD의 계층에서 다양한 레벨들로 존재할 수 있는 엘리먼트 BaseURL을 사용하여 수행된다.
이 예에서, URL들은 두 개의 필드들 "BaseURL"("HTTP://x.com/" 및 "video/") "SegmentTemplate"의 도움으로 구성된다.
MPEG/DASH 표준에 의해 특정되는 "SegmentTemplate"는 다양한 식별자들에 기초하여 중간 URI 어드레스들을 구성하기 위한 일반적인 방법이고, 이 예에서:
· $Time$ : 미디어 세그먼트의 처음에 시간에 의해 대체될 것임. 이 시간은 이 예에서 새로운 세그먼트의 각 처음에 대해 180180의 오프셋을 특정하는 "SegmentTemplate" 라인에 의해서 제공된다:
· $Number$ : 원하는 미디어 세그먼트의 순서 번호에 의해 대체될 것임; 및
· $Bandwidth$ : 타겟된 표현의 "대역폭" 속성의 값에 의해 대체될 것임.
따라서, 이 예에서 500 kbps(kilobits per second)의 품질(또는 데이터 레이트)을 위해 처음 두 개의 비디오 세그먼트들로의 액세스를 제공하는 처음 두 개의 URL들은 다음과 같다:
1. HTTP://x.com/video500000/0.mp4v; 및
2. HTTP://x.com/video500000/180180.mp4v
현재, 이에 따라, MPEG DASH는, 특정 수의 파라미터들을 포함하는 미디어 세그먼트들의 제 1 어드레스들(URL들 또는 URI들)이 생성될 수 있게 하는 메커니즘을 제안한다. 이러한 메커니즘은, URL 파라미터들이 컨텐츠에 액세스하려 시도하는 모든 클라이언트들에 공통적인 한, 충분하다. 대조적으로, 만약 (통상적으로 액세스 또는 권한들을 인증 및 검사하기 위해) 클라이언트의 함수로서 이러한 파라미터들을 개인화하는 것이 요구된다면, 유일한 해결책은 각각의 클라이언트에 특정적인 MPD 설명 파일을 생성하는 것이다. 그 방법은 (컨텐츠 전달 플랫폼들에 대한 시간 및 자원들의 측면에서는) 비용이 많이 드는데, 그 이유는 그 방법이 각각의 클라이언트에 대해 그때그때(on the fly) 구성될 설명 문서를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이는, 본 발명이 본원에서 제 2 범용 어드레스들로 지칭되는 세그먼트 어드레스들(URL들)을 자동으로 생성하여 이들을 제 1 범용 어드레스들과 구별하는 것을 제안하는 이유이고, 그 세그먼트 어드레스들(URL들)은,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단말에 관련될 수 있는 특정 수의 파라미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예에서는, MPD 파일의 URL의 파라미터(s=abd)로서 특정되는 보안 파라미터는 세그먼트의 제 2 어드레스를 생성할 때 도입 또는 전달된다. 종래 기술을 사용하여 생성될 수 있는 제 1 어드레스들 외에도, 이러한 제 2 어드레스들은 따라서 개인화된 보안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즉, 제 2 세그먼트 어드레스들은, 심지어 이들이 단일 MPD 설명 파일로부터 생성되더라도, 각각의 클라이언트 단말에 적응된다.
본질적으로, 컨텐츠를 요구할 때, 그리고 컨텐츠 요구와 연관되고 이에 따라 설명 파일을 통하는 어떠한 간접성(indirection)도 없는 단지 하나의 세그먼트(예를 들어, 오디오 세그먼트)만이 존재할 때, URL 파라미터(이를 테면 위에서 설명된 토큰)를 전달하는 것은 이미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컨텐츠가 설명 파일을 통해서만 액세스가능할 때는, 각각의 요청에 대한 특정 파일을 생성하는 것 외에, 세그먼트들 각각에 파라미터를 전달하기 위한 임의의 솔루션이 현재는 존재하지 않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리밍 시스템의 원리를 도시한다.
서비스 플랫폼(3)으로부터의 설명 파일(y.mpd)의 범용 어드레스를 요청 및 수신하고, 컨텐츠 플랫폼(8)으로부터의 설명 파일 자체를 요청 및 수신하는 제 1 단계들은 도 1과 관련하여 설명된 것들과 동일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후속 단계 동안에, 본 발명은 설명 파일의 URL 어드레스와 연관된 파라미터(여기서는, URL 파라미터로서 서비스 플랫폼에 의해 이전에 전송된 토큰 "s=abd")로 하여금 도 3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방법을 사용하여 미디어 세그먼트를 요구하는 각각의 요청 시에 클라이언트에 의해서 삽입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예에서 500 kbps의 품질을 위해 처음 두 개의 비디오 세그먼트들에 대한 액세스를 위한 처음 두 개의 URL들은 다음과 같다:
1. HTTP://x.com/video500000/0.mp4v?=abd; 및
2. HTTP://x.com/video500000/180180.mp4v?s=abd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두 가지 장점들이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된 종래 기술과 비교함으로써 명백히 확인될 수 있다:
· 이러한 새로운 방법에 의해서: 서버가 각각의 미디어 세그먼트를 검증하기 위해 URL에 존재하는 토큰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만약 각각의 미디어 세그먼트에 대한 토큰이 유효하면, 서버는 미디어 세그먼트를 실제로 전달할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다운로딩이 실패한다. 따라서, 메커니즘이 과거보다 더 안전하다.
· 게다가, 각각의 클라이언트에 대한 설명 파일(y.mpd)을 생성할 어떤 필요성도 더 이상 없는데, 그 이유는 설명 파일의 URL에서 클라이언트가 사전에 수신했던 파라미터들을 전달함으로써, 각각의 클라이언트가 컨텐츠의 다양한 세그먼트들에 대한 액세스를 개인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메커니즘의 다양한 단계들을 타밍도의 형태로 도시하고 있다.
이는, 아래에서 수정된 바와 같이 파일 y.MPD의 교환 및 사용에 기초한다(이탤릭체의 필드들은 본 발명에 따른 새로운 필드이다).
새로운 필드 URLParameters는 본 발명의 계승 메커니즘이 활성임을 특정한다. 본질적으로, 다른 변형들도 가능하다. 특히, 이 필드는 선택적이라는 것이 고려될 수 있고, 이 필드의 존재 또는 부재는 클라이언트 단말 상에 존재하는 XML 파일의 분석 모델에 의해서 테스팅된다. 이 필드가 부재라면, 이는 디폴트로써 파라미터와 연관될 수 있다.
새로운 필드 URLParameterTemplate는 생성될 (URL, URI) 미디어 세그먼트 어드레스들에 파라미터들을 전달하기 위해 제공된다. 그 필드 URLParameterTemplate는 특히 파일의 어떤 필드들이 각각의 미디어 세그먼트에서 재사용될지를 특정한다. 이 예에서는, 단지 "토큰" 필드만이 재사용될 것이지만, 더 많은 수의 파라미터들을 재사용하는 것을 예상하는 것도 본질적으로 가능하다. 이 필드가 선택적이라는 것이 고려될 수 있고, 이 필드의 존재 또는 부재는 클라이언트 단말에 존재하는 XML 파일의 분석 모듈에 의해 테스팅된다. 만약 이 필드가 부재라면, 마찬가지로 디폴트로써의 파라미터가 그와 연관될 수 있다.
단계(E1) 동안에, 단말(1)은 설명 파일 y.mpd을 요청하는데, 그 파일은 단계 E10 동안에 컨텐츠 서버(8)에 의해서 그 단말(1)로 전송된다.
단계(E2) 동안에, 단말(1)은 컨텐츠 세그먼트의 제 1 범용 어드레스(HTTP://x.com/video/0.mp4v)를 생성한다.
단계(E3) 동안에, 단말(1)은, 설명 파일 어드레스의 파라미터로서 단말(1)에 전송되었던 인증 파라미터 "s=abd"를 설명 파일에서 판독되는 (URLParameterTemplate) 규칙을 따르는 세그먼트의 제 2 어드레스에 삽입함으로써, 세그먼트의 제 2 범용 어드레스(HTTP://x.com/video/0.mp4v?s=abd)를 생성한다.
단계(E4) 동안에는, 단말(1)은, 서버가 인증 파라미터들(s=abd)을 검증한 이후에, 단계(E12) 동안 컨텐츠 서버에 의해서 그 단말(1)에 전송되는 세그먼트를 요청하기 위해 이러한 제 2 범용 어드레스를 사용한다. 이어서, 단말(1)은 선택적인 단계(E5) 동안 컨텐츠를 소모할 수 있다.
프로세싱할 컨텐츠 세그먼트들이 남아 있는 한, 테스트 단계(E6)는 단말(1)로 하여금 다른 컨텐츠 세그먼트에 대해서 단계들(E3 내지 E5)을 반복하게 할 수 있다.
Figure pct00002
표 2: 본 발명에 따라 수정되는 MPEG/DASH MPD 파일의 예
이러한 제 1 예에서, 세그먼트의 제 2 범용 어드레스를 생성하기 위하여 전달될 필요가 있는 파라미터들은 규칙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며, 다음과 같이 "서명" 파라미터를 전달하기 위한 신택스 예가 파일에서 주어진다.
<URLParameterTemplate parameters="?$signature$"/>
변형예에서, 제 2 범용 어드레스를 생성하기 위하여 전달될 예정인 파라미터들은, 예를 들어 하기의 신택스를 사용하여 자신들의 순서가 언급되며, 하기의 신택스는 전달될 제 1 파라미터가 번호 2, 다음으로 번호 1 및 그 다음으로 번호 3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URLParameterTemplate = "2 1 3">
도 4를 참조로 하여 설명된 다른 변형예에서, 컨텍스트는 더 이상 http를 통해 스트리밍에 의해 콘텐츠를 배포하는 컨텍스트가 아니고 실시간 프로토콜(RTP)을 통하는 스트리밍의 컨텍스트이며, 실시간 스트리밍 프로토콜(RTSP)에 의해 체크된다. RTSP에 의해 체크되는 VOD(video on demand) 서비스에서, 주문형 비디오 세션의 설정은 세션이 시작되도록 하는 정보를 다운로드하는 제 1 단계를 통해 전달된다. 이하의 표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이러한 제 1 단계는 일반적으로, SDP 프로토콜(IETF RFC 4566)에 의존하며, 이는 특히 VOD 세션, 콘텐츠의 특징들(데이터 레이트, 비디오 및 오디오 코덱) 등을 위하여 어떤 프로토콜이 사용되는지를 설명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정보는 종래의 파일("sdp" 파일로 지칭됨) 다운로딩을 통해 복원될 수 있으며, 이후 클라이언트 단말과 서버 간의 스트리밍 세션을 셋업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File:audio.sdp
a=control:rtsp://movie.example.com/ost.wav m=audio 0 RTP/AVP 96
a=rtpmap:96 L8/22048/1
a=range:npt=0-262.243000
표 3: 예시적인 SDP 파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러한 애플리케이션 맥락에 직접 적용될 수 있다.
단말 1이 SDP 설명 파일을 획득하였다고 가정한다.
이후, SDP 파일을 다운로딩하기 위한 요청 동안 사용되는 파라미터들은 세션이 설정되도록 하는 요청을 구성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특히, 파라미터 "device = laptop"는, SDP 파일의 범용 어드레스에 부착되고 rts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오디오 세그먼트를 복원하기 위하여 전달된다. 미디어 세그먼트 요청은 다음과 같은 형태를 취한다.
rtsp://movie.example.com/ost.wav&device=laptop
표 2의 예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본 발명이 작동되도록 이러한 sdp 파일에 새로운 시그널링을 삽입하는 것이 적절하다.
물론, 앞서 설명된 구현은 오직 비제한 표시로 주어지며,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수정들이 본 발명에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Claims (8)

  1.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세그먼트(0.mpv4v, 180180.mp4v)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y)를 설명하는 문서(y.mpd)를 생성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세그먼트는 상기 문서(y.mpd)로부터 제 1 범용 어드레스(HTTP://x.com/video/0.mp4v)를 통해 액세스가능하며,
    상기 문서를 생성하는 방법은, 상기 문서(y.mpd)에 적어도 하나의 범용 어드레스 생성기 규칙(URLParameterTemplate)을 기록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생성기 규칙은,
    상기 제 1 범용 어드레스(HTTP://x.com/video/0.mp4v), 및
    상기 콘텐츠를 설명하는 상기 문서(y.mpd)의 범용 어드레스(HTTP://x.com/y.mp4v?s=abd)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s=abd)
    둘다로부터, 상기 세그먼트에 대한 제 2 범용 어드레스(HTTP://x.com/video/0.mp4v?s=abd)를 생성하기에 적합한, 문서(y.mpd)를 생성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범용 어드레스 생성기 규칙((URLParameterTemplate)은, 상기 세그먼트에 대한 제 2 범용 어드레스(HTTP://x.com/video/1.mp4v?s=abd)를 생성하기 위하여 고려될 필요가 있는 획득된 파라미터들(서명)을 특정하는, 문서(y.mpd)를 생성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스 생성기 규칙은, 상기 세그먼트에 대한 제 2 범용 어드레스(HTTP://x.com/video/1.mp4v?s=abd)를 생성하기 위하여, 획득된 파라미터들이 고려될 필요가 있는 순서를 표시하는, 문서(y.mpd)를 생성하는 방법.
  4.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세그먼트(0.mp4v, 180180.mp4v)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y)에 액세스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세그먼트는 콘텐츠를 설명하는 문서(y.mpd)를 통해 액세스가능하며,
    상기 세그먼트에 대한 액세스는 상기 세그먼트의 제 2 범용 어드레스(HTTP://x.com/video/ y1.mp4v?s=abd)를 통해 이루어지며;
    상기 액세스하는 방법은,
    상기 콘텐츠를 설명하는 문서(y.mpd)를 획득하는 단계(E1, E11) ― 상기 문서로부터, 적어도 세그먼트의 제 1 범용 어드레스(HTTP://x.com/video/0.mp4v)가 생성됨(E2) ―;
    상기 콘텐츠를 설명하는 문서(y.mpd)의 범용 어드레스(HTTP://x.com/y.mpd?s=abd)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s=abd)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를 설명한 문서(y.mpd)에서 적어도 하나의 어드레스 생성기 규칙(URLParameterTemplate)을 판독하는 단계; 및
    상기 세그먼트의 범용 어드레스(HTTP://x.com/video/0.mp4v) 및 획득된 파라미터(s=abd)의 상기 어드레스 생성기 규칙(URLParameterTemplate)의 함수로서, 상기 세그먼트에 대한 제 2 범용 어드레스(HTTP://x.com/video/y1.mp4v?s=abd)를 생성하는 단계(E3)
    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y)에 액세스하는 방법.
  5.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세그먼트(0.mp4v, 180180.mp4v)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y)를 설명하는 문서(y.mpd)를 생성하기에 적합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버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세그먼트는 상기 문서(y.mpd)로부터 적어도 제 1 범용 어드레스(HTTP://x.com/video/1.mp4v)를 통해 액세스가능하며,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버는, 상기 문서(y.mpd)에 적어도 하나의 범용 어드레스 생성기 규칙(URLParameterTemplate)을 기록하기 위한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생성기 규칙은, 상기 제 1 범용 어드레스(HTTP://x.com/video/0.mp4v) 및 상기 콘텐츠를 설명하는 상기 문서(y.mpd)의 범용 어드레스(HTTP://x.com/y.mpd?s=abd)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s=abd)를 기초로 하여 상기 세그먼트에 대한 제 2 범용 어드레스(HTTP://x.com/video/0.mp4v?s=abd)를 생성하기에 적합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버.
  6.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세그먼트(0.mp4v, 180180.mp4v)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y)에 액세스하기에 적합한 단말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세그먼트는 상기 콘텐츠를 설명하는 문서(y.MPD)를 통해 액세스가능하며,
    상기 액세스는 상기 세그먼트에 대한 제 2 범용 어드레스(HTTP://x.com/video/ y1.mp4v?s=abd)를 통해 이루어지며;
    상기 단말은,
    상기 콘텐츠를 설명하는 문서(y.mpd)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 ― 상기 문서로부터, 적어도 세그먼트에 대한 제 1 범용 어드레스(HTTP://x.com/video/0.mp4v)가 생성됨 ―;
    상기 콘텐츠를 설명하는 문서(y.mpd)의 범용 어드레스(HTTP://x.com/y.mp4v?s=abd)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s=abd)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
    상기 콘텐츠를 설명하는 문서(y.mpd)에서 적어도 하나의 어드레스 생성기 규칙(URLParameterTemplate)을 판독하기 위한 모듈; 및
    상기 세그먼트의 제 1 범용 어드레스(HTTP://x.com/video/0.mp4v) 및 획득된 파라미터(s=abd)의 상기 어드레스 생성기 규칙(URLParameterTemplate)의 함수로서, 상기 세그먼트에 대한 제 2 범용 어드레스(HTTP://x.com/video/y1.mp4v?s=abd)를 생성하기 위한 모듈
    을 포함하는, 문서(y.mpd)에 액세스하기에 적합한 단말.
  7. 코드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코드 명령들은, 상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 1 항에 따른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설명하는 문서를 생성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8. 코드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코드 명령들은, 상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 4 항에 따른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액세스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57009084A 2012-10-09 2013-10-07 유니폼 자원 식별자(uri) 파라미터들의 계승 KR1021474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259623 2012-10-09
FR1259623A FR2996715A1 (fr) 2012-10-09 2012-10-09 Heritage de parametres d'identifiant universel de ressource (uri)
PCT/FR2013/052379 WO2014057197A1 (fr) 2012-10-09 2013-10-07 Heritage de parametres d'identifiant universel de ressource (uri)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8387A true KR20150068387A (ko) 2015-06-19
KR102147478B1 KR102147478B1 (ko) 2020-08-24

Family

ID=47425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9084A KR102147478B1 (ko) 2012-10-09 2013-10-07 유니폼 자원 식별자(uri) 파라미터들의 계승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9769010B2 (ko)
EP (1) EP2907315B1 (ko)
JP (1) JP6277194B2 (ko)
KR (1) KR102147478B1 (ko)
CN (1) CN104718763B (ko)
BR (1) BR112015007743B1 (ko)
FR (1) FR2996715A1 (ko)
RU (1) RU2602244C1 (ko)
WO (1) WO20140571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34550A (ko) 2010-07-20 2012-04-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스트리밍 컨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US9467493B2 (en) * 2010-09-06 2016-10-11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treaming content
KR101206111B1 (ko) * 2010-09-06 2012-11-28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스트리밍 콘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US9516009B2 (en) * 2014-09-29 2016-12-06 Tetrapod Software, Inc. Authenticating redirection service
CN117278537A (zh) 2015-02-11 2023-12-22 Vid拓展公司 用于dash中的一般化http头的系统和方法
JP6476995B2 (ja) * 2015-02-24 2019-03-06 沖電気工業株式会社 中継装置、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中継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0104065B2 (en) 2015-05-26 2018-10-16 Futurewei Technologies, Inc. Token-based authentication and authorization information signaling and exchange for adaptive streaming
US10333930B2 (en) * 2016-11-14 2019-06-25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transparent multi-factor authentication and security posture checking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9749A (ko) * 2009-09-22 2012-06-28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Url 템플릿들 및 구성 규칙들을 이용하는 향상된 블록-요청 스트리밍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51453A1 (en) * 2002-12-04 2004-06-17 Entriq Inc. Multiple content provider user interface
JP2008048383A (ja) * 2006-06-16 2008-02-28 Ericsson Ab 会議コールに独立したマルチメディアソースを結び付ける方法
EP2243292A4 (en) * 2007-11-16 2012-08-01 Thomson Licensing SYSTEM AND METHOD FOR SITTING MANAGEMENT OF STREAMING MEDIA
CN102055789B (zh) * 2009-11-09 2013-10-09 华为技术有限公司 实现基于http的流媒体业务的方法、系统和网络设备
JP5833114B2 (ja) * 2010-06-28 2015-12-16 フル・エルエルシー Httpライブストリーミングと両立できるようにストリーミングメディアプログラムおよび目標とされた広告を供給する方法および装置
KR20120034550A (ko) * 2010-07-20 2012-04-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스트리밍 컨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US20120030224A1 (en) * 2010-07-29 2012-02-02 Activepath Ltd. Enabling active content in messaging using automatic data replacement
US9467493B2 (en) * 2010-09-06 2016-10-11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treaming content
KR101206111B1 (ko) * 2010-09-06 2012-11-28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스트리밍 콘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739272B1 (ko) * 2011-01-18 2017-05-24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시스템에서 컨텐트의 저장 및 재생을 위한 장치 및 방법
US8984144B2 (en) * 2011-03-02 2015-03-17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Delivery of content
US9253233B2 (en) * 2011-08-31 2016-02-02 Qualcomm Incorporated Switch signaling methods providing improved switching between representations for adaptive HTTP streaming
JP6348251B2 (ja) * 2012-09-13 2018-06-27 サターン ライセンシング エルエルシーSaturn Licensing LLC 端末装置、受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9348993B2 (en) * 2012-09-28 2016-05-24 Futurewei Technologies, Inc. Segment authentication for dynamic adaptive streaming
US9607132B2 (en) * 2012-10-22 2017-03-28 Koninklijke Kpn N.V. Token-based validation method for segmented content delivery
CN104956645B (zh) * 2013-01-16 2018-04-27 华为技术有限公司 自适应流中的url参数插入和添加
CN107077541B (zh) * 2014-03-24 2020-01-03 华为技术有限公司 应用于动态自适应流媒体的部分url签名系统和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9749A (ko) * 2009-09-22 2012-06-28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Url 템플릿들 및 구성 규칙들을 이용하는 향상된 블록-요청 스트리밍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5007743B1 (pt) 2022-09-06
RU2602244C1 (ru) 2016-11-10
WO2014057197A1 (fr) 2014-04-17
KR102147478B1 (ko) 2020-08-24
EP2907315A1 (fr) 2015-08-19
JP2016500943A (ja) 2016-01-14
US20150280965A1 (en) 2015-10-01
CN104718763B (zh) 2018-08-28
FR2996715A1 (fr) 2014-04-11
US9769010B2 (en) 2017-09-19
RU2015113822A (ru) 2016-11-10
JP6277194B2 (ja) 2018-02-07
EP2907315B1 (fr) 2022-06-22
BR112015007743A2 (pt) 2019-11-05
CN104718763A (zh) 2015-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7478B1 (ko) 유니폼 자원 식별자(uri) 파라미터들의 계승
US10057277B2 (en) System and method for partial URL signing with applications to dynamic adaptive streaming
JP6384699B2 (ja) アダプティブストリーミングのためのトークンに基づく認証および認可情報のシグナリングおよびやりとり
EP2916519B1 (en) Retrieving supplemental content
US9875480B2 (en) System, method, and infrastructure for real-time live streaming content
US10079870B2 (en) System and method for effectively controlling client behavior in adaptive streaming
US8839376B2 (en) Application authorization for video services
US2012001728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drm service
JP2011525757A (ja) メディアコンテンツを推奨する方法、装置およびシステム
KR101317028B1 (ko) 모바일 장치를 위한 미디어 콘텐츠 스위칭 방법
US20150172342A1 (en) Adaptive video insertion
WO2013081944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domain management
WO2011102825A1 (en) System and method for publishing content on the internet
US2015019559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henticating a User to Access Multimedia Content
US10878076B2 (en) Receiving apparatus, transmitting apparatus, and data processing method
CN107615774B (zh) 接收装置、发送装置及数据处理方法
WO2015131390A1 (en) Communication method, user device, content server and controller
KR101496326B1 (ko) 복수의 서비스 제공자의 웹 기반 서비스를 제공/수신하기위한 방법 및 장치
US20170127103A1 (en) Method for managing the selection of the representation of segments of multimedia content transmitted over a communication network
US11418273B2 (en) Reception device, transmission device, and data processing method
US20200364317A1 (en) Method and system for identifying a user terminal in order to receive streaming protected multimedia content
CN108234911A (zh) Iptv电视一体机
CN115499626A (zh) 一种监控数据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