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8242A - 약제 혼합 장치가 구비된 방제기 - Google Patents

약제 혼합 장치가 구비된 방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8242A
KR20150068242A KR1020130154247A KR20130154247A KR20150068242A KR 20150068242 A KR20150068242 A KR 20150068242A KR 1020130154247 A KR1020130154247 A KR 1020130154247A KR 20130154247 A KR20130154247 A KR 20130154247A KR 20150068242 A KR20150068242 A KR 201500682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ine
tank
fluid
engine
dr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42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00033B1 (ko
Inventor
김남재
박선심
주재황
김윤근
채대승
Original Assignee
한아에스에스 주식회사
한동특장(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아에스에스 주식회사, 한동특장(주) filed Critical 한아에스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542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0033B1/ko
Publication of KR201500682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82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00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00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82Undercarriages, frames, mountings, couplings,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7/00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Special Spray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약제 혼합 장치가 구비된 방제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분배라인을 통해 약제를 외부로 살포하도록 약제탱크에서 분배라인으로 공급되는 유체를 상기 약제탱크로 순환시키는 리턴라인이 구비되되, 그 리턴라인상에 약제원액이 저장된 원액약제통이 약액흡입호스에 의해 연결되어 고압펌프에 의해 호스류로 압송되는 유체가 통과되면서 발생되는 압력차에 의해 일정량의 약제원액이 상기 약제탱크내로 혼입될 수 있도록 하는 약제 혼합 장치가 구비된 방제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 혼합 장치가 구비된 방제기는, 유체가 수용되도록 차체의 적재함에 설치되는 약제탱크와; 상기 약제탱크에 저장된 유체를 흡입라인을 통해 분배라인으로 공급하도록 펌핑 구동되는 고압펌프가 구비된 펌핑부와; 상기 분배라인을 통해 공급된 유체를 살포하도록 송풍팬이 구비된 방제부를; 포함하는 방제기에 있어서, 상기 분배라인으로 공급되는 유체를 상기 약제탱크로 순환되게 하는 리턴라인이 구비되되, 상기 리턴라인에는 상기 펌핑부를 통해 압송되는 유체가 통과되면서 발생되는 압력차에 의해 진공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제트펌프가 설치되고, 원액약제통에 저장된 약제원액이 상기 리턴라인으로 유입되어 상기 약제탱크로 혼입되도록 상기 원액약제통이 약액흡입호스에 의해 상기 제트펌프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약제 혼합 장치가 구비된 방제기{SPRAYER HAVING MIXING CHEMICALS DEVICE}
본 발명은 약제 혼합 장치가 구비된 방제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분배라인을 통해 약제를 외부로 살포하도록 약제탱크에서 분배라인으로 공급되는 유체를 상기 약제탱크로 순환시키는 리턴라인이 구비되되, 그 리턴라인상에 약제원액이 저장된 원액약제통이 약액흡입호스에 의해 연결되어 고압펌프에 의해 호스류로 압송되는 유체가 통과되면서 발생되는 압력차에 의해 일정량의 약제원액이 상기 약제탱크내로 혼입될 수 있도록 하는 약제 혼합 장치가 구비된 방제기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과수원, 농장, 골프장 등 면적이 넓은 장소에 농약을 살포하기 위해 사용되는 농약방제기에 있어서는 그 전체적인 구성이 농약이 저장되어지는 약제탱크, 약제탱크내에 저장된 농약을 일정한 압력으로 끌어올리기 위한 펌프, 그리고 상기 펌프를 통하여 끌어 올려진 농약을 팬을 구동시켜 살포시키는 송풍장치 등으로 구성되어진다. 또한, 상기 펌프를 이용하여 약액이 분사장치를 통해 고압상태로 분사되도록 하는 방식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으며, 분사장치를 작업자가 직접 들고다니는 수작업에 의한 약제 살포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와 같이, 방제를 위해 수작업에 의한 약제 살포작업 과정에서는 많은 인력과 작업시간이 요구되므로 효율적이지 못하고, 특히, 살포되는 유독성의 약액에 작업자가 무방비로 노출된 상태이므로, 호흡기를 통해 유독성의 약액이 몸안으로 유입되어 각종 질병을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또한, 이러한 농약방제기는 농약원액을 공급하는 농약제조공장으로부터 농약판매점까지의 이동성을 높이면서 농약 농가에서의 농약원액의 보관성을 높이기 위해 농약은 희석되지 않는 농약원액의 형태로 제공되며, 이러한 농약원액을 물에 일정한 비율로 희석시켜 농약 살포대상지에 농약이 살포되게 된다.
하지만, 통상의 약제탱크는 농약방제차량의 적재함 상면에 부착되어져 있으며, 그 약제탱크의 뚜껑은 약제탱크 케이스의 상면에 형성되어져 있으므로, 이러한 약제탱크에서 농약원액을 희석시키기 위해서는 직접 사용자가 농약원액을 들고, 농
약방제차량의 적재함에 위치된 약제탱크에서 희석작업을 하였기 때문에, 자칫 농약원액을 사용자의 신체에 흘림으로써 농약원액으로 인한 안전사고가 매우 빈번하게 발생되었다.
뿐만 아니라, 약제탱크의 뚜껑을 개방시키고, 농약원액을 투입하게 되면 약제탱크의 투입구로 제대로 농약원액이 투입되는 지를 사용자가 확인하면서, 농약원액을 투입해야되므로 사용자의 안면이 약제탱크의 뚜껑을 향하게 되므로, 그 농약원액의 분자가 비산되어 사용자의 코로 흡입되게 되면 순간적으로 의식을 잃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농약원액은 고농축의 약제이며, 방제용 약제, 방역용 약제, 살충용 약제들이므로 신체에 접촉될 경우, 신체의 피부기관은 물론이고, 심지어는 연골 및 경골조직을 녹일 수 있는 강력한 농축액이다. 하지만, 매년 농가에서는 농약원액으로 인한 안전사고가 끊이질 않고 발생되고 있기 때문에 농약원액을 희석시킬 때 보다 안전하게 농약원액이 희석될 수 있도록 한 장치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었다.
이에, 본 출원인은 약제탱크의 일측면에 급수용 펌프를 구비하고, 그 급수용 펌프에 흡입호스를 매개하여, 3분기된 유입로를 형성하는 엘보우관을 결합시키며, 그 엘보우관을 통해 급수를 위한 흡입호스 및 약제원액통으로부터 약제원액을 공급받는 약액흡입호스를 각각 결합시키고, 각 호스에 밸브를 구성함으로써, 차량의 적재함에 올라서지 않고도 밸브를 조작하여 용이하게 약제원액을 물과 희석시킬 수 있도록 한 "원액 희석장치가 구비된 농약방제기"를 국내에 실용신안등록 제20-0436194호로 등록받은 바 있다.
상기 선등록 실용신안은 사용자가 원액 약제를 희석시키기 위해서 농약 방제차량의 적재함에 올라서지 않아도, 차량의 운전석이나 지면에서 밸브류의 간편한 조작을 통해 원액 약제를 물과 함께 약제탱크로 유입시켜 희석되게 할 수 있어 안전 사고의 위험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은 있다 하겠으나, 밸브의 조절을 통해 작업자의 감으로 원액 약제를 투입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었으며, 차량의 적재함에 설치된 약제탱크로 물과 원액 약제를 공급하기 위한 호스류가 길게 연장되는 등 각 구성들간의 배치 구조가 효율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한편, 농작물을 대규모로 재배하는 계획농가에서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약제를 펌핑하는 펌프와, 펌프에 의해 펌핑된 약제를 분무 살포하는 분무노즐과, 상기 분무노즐로부터 분무되는 약제가 농작물에 골고루 살포되어질 수 있도록 좌,우 및 상,하 각도 조절되는 것과 동시에 분무노즐로부터 분무되는 약제를 불어내는 송풍팬을 가지는 분사장치 등이 구비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방제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일례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47392호(2011.07.01. 등록, 출원인 "(주)한성티앤아이", 발명의 명칭 "방제기")를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선 등록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본체프레임(101)의 일측에 약제탱크(110)와, 타측에 약제분무펌프(400)가 설치된 엔진실(120)과, 상기 약제탱크(110)와 엔진실(120) 사이의 중앙 상부에 설치된 송풍부(130)와 구경관(140) 및 분무부(150)로서 이루어진 분사장치(300)와, 상기 분사장치(300)의 송풍부(130)의 하측에 고정체(160)와, 상기 고정체(160)의 하측에는 지지브라켓(170)과, 상기 지지브라켓(170)과 고정체(160) 사이에는 분사장치(300)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는 실린더(180)와, 상기 지지브라켓(170) 하단이 고정되어 회전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 회전체(190)와, 상기 회전체(190)의 외측에는 회전기어(191)와, 상기 회전기어(191)를 회전시키는 축기어(201)가 설치된 구동모터(200)와, 상기 회전체(190)와 고정된 로타리조인트(210)와, 상기 로타리조인트(210)와 회전체(190)를 지지하는 고정브라켓(220)으로 구성되고, 상기 로타리조인트(210)의 하단에 형성된 홀(211)과 상기 약제분무펌프(400)와 연결된 약제호스(401)의 중앙에는 티자형 연결관(402)의 양측이 연결되고, 상기 티자형 연결관(402)의 중앙에는 분무압력이 가해지면 닫히고 해제되면 열리는 체크밸브(403)가 연결되고, 상기 체크밸브(403)에는 레버(405)에 의해 개폐되는 볼밸브(404)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대부분의 방제기는 송풍식 방제기로서, 크기가 크게 형성되므로 이동이 어려워 주로 상용 차량에 탑재시킨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원거리로 방제를 위한 대구경의 분사장치(300)는 회전 구동을 위한 연결 장치 등이 부설된 경우 차량 적재함의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었고, 그로 인해 약제를 저장하기 위한 약제탱크의 수용공간이 작아지기 때문에 약제 방제 작업을 오래 지속할 수 없기 때문에 약제의 잦은 충전 작업이 진행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엔진실(120)이 분사장치와 별개로 떨어진 위치에 설치되어 있어 유체를 이송하는 호스류나 유압라인이 다중으로 복잡하게 연결되는 등의 구조를 갖고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방제기 대부분은 독성을 갖는 농약원액에 사용자가 쉽게 노출되게 될 뿐만 아니라, 엔진의 구동력이 분사장치에 안정적으로 미치지 못하게 되어 오래 사용된 경우 내구성이 떨어져 진동이나 소음이 발생될 수 있는 구조로서, 호스류와 유압라인 주변에 농약이나 기름때 등의 오염원이 유출되어 악취가 발생될 수 있는 등의 문제 또한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간편한 조작을 통해 고압펌프에 의한 압력차를 이용하여 리턴라인상에 설치된 원액약제통으로부터 일정량의 약제원액이 약제탱크로 자동으로 혼입되게 하여 희석수와 약제원액을 희석시키는 작업을 자동화할 수 있어 방제기의 살포 작업이 용이하고, 그에 따른 사용자의 작업환경이 개선될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약제 혼합 장치가 구비된 방제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엔진부가 방제부와 인접한 위치에서 동력 전달을 위한 연결축이 클러치와 직결식으로 결합되어 하나의 엔진으로부터 펌프와 송풍팬을 동시에 구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과 동시에 방제기로 제공되는 엔진의 구동력이 향상되고, 그 연결부품들의 내구성이 향상되며, 호스류나 유압라인의 연결 길이를 짧게 구성할 수 있어 유체의 노출로 인한 오염을 줄일 수 있는 약제 혼합 장치가 구비된 방제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방제 작업을 위한 엔진의 예열시간을 활용하여 희석수와 약제원액을 희석시키는 작업을 진행할 수 있어 방제기의 방제 작업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른 엔진 구동 시간을 줄일 수 있어 낭비되는 연료 등을 대폭 절감시킬 수 있는 약제 혼합 장치가 구비된 방제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약제 혼합 장치가 구비된 방제기는, 유체가 수용되도록 차체의 적재함에 설치되는 약제탱크와; 상기 약제탱크에 저장된 유체를 흡입라인을 통해 분배라인으로 공급하도록 펌핑 구동되는 고압펌프가 구비된 펌핑부와; 상기 분배라인을 통해 공급된 유체를 살포하도록 송풍팬이 구비된 방제부를; 포함하는 방제기에 있어서, 상기 분배라인으로 공급되는 유체를 상기 약제탱크로 순환되게 하는 리턴라인이 구비되되, 상기 리턴라인에는 상기 펌핑부를 통해 압송되는 유체가 통과되면서 발생되는 압력차에 의해 진공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제트펌프가 설치되고, 원액약제통에 저장된 약제원액이 상기 리턴라인으로 유입되어 상기 약제탱크로 혼입되도록 상기 원액약제통이 약액흡입호스에 의해 상기 제트펌프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약제 혼합 장치가 구비된 방제기는, 상기 펌핑부 및 방제부에 동력을 제공하는 엔진부와; 상기 엔진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컨트롤러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약제탱크는, 유체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컨트롤러부는, 상기 수위센서에서 감지된 수위에 따라 상기 원액약제통에서 일정량의 약제원액이 상기 약제탱크로 투입되도록 약제원액의 배출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약제 혼합 장치가 구비된 방제기는, 상기 약제탱크를 감싸도록 설치된 프레임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펌핑부, 방제부 및 엔진부는 상기 프레임부 상부에 적층되게 배치되고, 상기 고압펌프와 상기 송풍팬 각각은 상기 엔진부의 양측 각각에서 회전 구동되는 엔진의 구동축과 결합된 구동풀리 및 벨트를 매개로 연결되는 각각의 클러치에 의해 상기 엔진부로부터 각각 동력이 전달 및 차단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약제 혼합 장치가 구비된 방제기는 간편한 조작을 통해 고압펌프에 의한 압력차를 이용하여 리턴라인상에 설치된 원액약제통으로부터 일정량의 약제원액이 약제탱크로 자동으로 혼입되게 하여 희석수와 약제원액을 희석시키는 작업을 자동화할 수 있어 방제기의 살포 작업이 용이하고, 그에 따른 사용자의 작업환경이 개선될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약제 혼합 장치가 구비된 방제기는 엔진부가 방제부와 인접한 위치에서 동력 전달을 위한 연결축이 클러치와 직결식으로 결합되어 하나의 엔진으로부터 펌프와 송풍팬을 동시에 구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과 동시에 방제기로 제공되는 엔진의 구동력이 향상되고, 그 연결부품들의 내구성이 향상되며, 호스류나 유압라인의 연결 길이를 짧게 구성할 수 있어 유체의 노출로 인한 오염을 줄일 수 있는 장점 또한 갖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약제 혼합 장치가 구비된 방제기는 방제 작업을 위한 엔진의 예열시간을 활용하여 희석수와 약제원액을 희석시키는 작업을 진행할 수 있어 방제기의 방제 작업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른 엔진 구동 시간을 줄일 수 있어 낭비되는 연료 등을 대폭 절감시킬 수 있는 장점 또한 갖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제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약제 혼합 장치가 구비된 방제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3은 도 2의 A부분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약제 혼합 장치가 구비된 방제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약제 혼합 장치가 구비된 방제기의 방제부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약제 혼합 장치가 구비된 방제기의 펌핑부 및 엔진부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약제 혼합 장치가 구비된 방제기(이하에서는 "방제기"라 한다.)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약제 혼합 장치가 구비된 방제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고, 도 3은 도 2의 A부분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약제 혼합 장치가 구비된 방제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약제 혼합 장치가 구비된 방제기의 방제부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약제 혼합 장치가 구비된 방제기의 펌핑부 및 엔진부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제기는, 유체가 수용되도록 차체의 적재함에 설치되는 약제탱크(10)와, 상기 약제탱크(10)에 저장된 유체를 흡입라인을 통해 분배라인으로 공급하도록 펌핑 구동되는 고압펌프가 구비된 펌핑부(20)와, 상기 분배라인을 통해 공급된 유체를 살포하도록 송풍팬이 구비된 방제부(30)를 포함하는 방제기에 있어서, 약제원액이 상기 약제탱크(10)로 자동으로 공급되어 상기 약제탱크(10)에서 약제원액과 희석수가 혼합될 수 있도록 하는 약제 혼합 장치(1)가 구비되는 구성이다.
이에, 상기 약제 혼합 장치(1)는 상기 분배라인(6)으로 공급되는 유체를 상기 약제탱크(10)로 순환되게 하는 리턴라인(8)이 구비되되, 상기 리턴라인(8)에는 상기 펌핑부(20)를 통해 압송되는 유체가 통과되면서 발생되는 압력차에 의해 진공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제트펌프(17)가 설치되고, 원액약제통(15)에 저장된 약제원액이 상기 리턴라인(8)으로 유입되어 상기 약제탱크(10)로 혼입되도록 상기 원액약제통(15)이 약액흡입호스(15a)에 의해 상기 제트펌프(17)에 연결된 것을 가장 큰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를 위해 본 발명 방제기는 약제탱크(10), 펌핑부(20), 방제부(30), 엔진부(40), 프레임부(50), 제어컨트롤러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약제탱크(10)는 차체의 적재함에 설치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방제부(30)를 통해 살포를 위한 유체가 내부에 저장되고, 저장된 유체가 상기 펌핑부(20)를 통해 흡입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약제탱크(10)는 외부로 연결된 유입관(2)을 통해 물과 같은 희석수를 유입시킬 수 있고, 그 희석수를 약제원액과 혼합시켜 제조된 약제를 상기 방제부(30)의 살포수단을 통해 방제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상기 펌핑부(20)는 상기 약제탱크(10)에 저장된 유체를 흡입라인(4)을 통해 분배라인(6)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펌핑 구동되는 고압펌프(21)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고압펌프(21)는 배터리로부터 직류전원을 공급받아 가동될 수 있을 것이지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고압펌프(21)가 상기 엔진부(40)의 동력을 제공받아 가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특징인 것으로, 이하에서 상기 엔진부(40)의 구성과 함께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방제부(30)는 상기 분배라인(6)을 통해 공급된 약제를 살포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상기 엔진부(40)의 구동력을 제공받아 고속 회전되는 송풍팬(31)이 구비된다.
이에, 상기 방제부(30)는 상기 송풍팬(31)과, 상기 송풍팬(31)에 의해 발생되는 에어를 유도하는 송풍관(32)이 구성되고, 상기 분배라인(6)을 통해 압송되는 약제를 광역면적에 방사할 수 있는 살포노즐(33a) 및 원거리의 협소한 면적에 집중적으로 약제를 살포할 수 있는 총포노즐(33b)과 같은 살포수단(33)이 구비되어 약제를 방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엔진부(40)는 상기 펌핑부(20) 및 상기 방제부(30)에 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때, 상기 펌핑부(20), 방제부(30) 및 엔진부(40)는 상기 프레임부(50)의 상부에 적층되게 배치된 것이 특징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부(50)는 상기 약제탱크(10)를 감싸도록 다수의 프레임으로 직육면체의 골격을 이루어 상기 약제탱크(10)가 내부에서 보호될 수 있도록 하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부(50)는 상기 약제탱크(10)가 안착 고정되기 위한 제1층 바닥부(50a)와, 상기 제1층 바닥부(50b) 상부로 소정 간격 이격된 제2층 바닥부(50b)를 갖도록 구성된다. 이에,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엔진부(40)가 상기 프레임부(50) 상부 즉, 상기 제2층 바닥부(50b)에 적층되는 상태로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주요 구성들이 상기 프레임부(50) 상부로 모두 적층되게 배치되는 구조를 통해 다음과 같은 효과가 발생된다.
우선, 차체의 적재함에 설치될 수 있는 상기 프레임부(50)를 통해 상기 약제탱크(10)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는 것과 동시에, 상기 약제탱크(10)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배경기술에서 설명된 종래의 일반적인 방제기와 같이 대형의 송풍팬 또는 분사장치들을 차량에 탑재하기 위해 엔진실과 물탱크가 적재함 바닥에 위치되도록 하는 구조에서는 약제탱크를 크게 제작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약제의 수용량이 한정적인 것이었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대형의 화물차량을 특수 개조하여야 함에 따라 제작비용 등이 추가로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러한 대형 차량은 공간이 협소한 지역에서 사용되지 못하였으므로 비효율적이었던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주요 구성들의 적층 구조를 통해 상기 약제탱크(10)의 크기를 차체의 적재함 크기만큼 크게 제작 및 탑재할 수 있으므로, 종래에 비해 약제탱크(10)에 수용되는 약제의 저장량을 대폭 늘릴 수 있는 장점을 갖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상기 프레임부(50) 상부에 적층된 상기 엔진부(40)를 통해 상기 펌핑부(20) 및 방제부(30)를 동시에 구동시킬 수 있는 작용효과가 발생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구성들의 결합 구조를 살펴보면, 상기 고압펌프(21)는 상기 엔진(41)의 일측 방향으로 돌출된 상기 구동축(41a)에 직결식으로 연결된 제1 클러치(42a)에 회전축이 직접 연결되어 구동될 수 있게 되고, 상기 방제부(30)의 송풍팬(31)은 그 구동축이 상기 엔진(41)의 타측 방향으로 돌출된 상기 구동축(41a)에 직결식으로 연결된 제2 클러치(42b)에 조인트를 통해 커플링 연결되어 상기 엔진부(40)로부터 구동력을 제공받게 된다.
즉, 상기 엔진부(40)는 상기 고압펌프(21)와 상기 송풍팬(31)을 동시에 구동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고압펌프(21)와 상기 송풍팬(31) 각각은 상기 엔진(41)의 양측에서 회전 구동되는 구동축(41a)과 결합된 구동풀리(41b) 및 벨트(41c)를 매개로 연결되는 제1 클러치(42a) 및 제2 클러치(42b)에 의해 상기 엔진부(40)와 직결식으로 연결되어 각각 동력이 전달 및 차단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어컨트롤러부(60)는 상기 제1 클러치(42a) 및 제2 클러치(42b)의 작동을 단속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상기 펌핑부(20) 및 상기 방제부(30) 각각으로 제공되는 동력을 공급 및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엔진부(40) 구동을 제어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발명 방제기는 상기 원액약제통(15)의 약제원액이 상기 리턴라인(8)으로 유입되어 상기 약제탱크(10)로 자동 공급되게 할 수 있다.
우선, 상기 엔진부(40)는 상기 제어컨트롤러부(60)의 조작을 통해 상기 엔진(41)을 예열하도록 구동된다. 이후에 상기 엔진(41)과 상기 송풍팬(31)이 안정적인 RPM(revolutions per minute)으로 회전 구동되는 경우, 상기 펌핑부(20)는 상기 약제탱크(10)의 약제를 흡입하도록 설치된 흡입라인(4)을 통해 상기 약제탱크(10)에 저장된 약제를 펌핑하여 상기 분배라인(6)으로 공급하고, 상기 방제부(30)의 살포수단(33)을 통해 약제를 방제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제기는 상기 엔진(41)의 예열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원액약제통(15)의 약제원액을 희석수와 혼합시키는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리턴라인(8)은 상기 약제탱크(10) 내부와 고압펌프(21)를 연결하는 흡입라인(4)상에 연결되거나, 상기 분배라인(6)에서 분기되게 구비될 수 있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배라인(6)에서 분기되게 연결되어 상기 분배라인(6)으로 공급되는 유체가 상기 약제탱크(10)로 순환되도록 하게 된다.
이에, 상기 리턴라인(8)에는 상기 고압펌프(21)를 통해 상기 리턴라인(8)으로 압송되는 유체가 통과되면서 발생되는 압력차에 의해 진공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제트펌프(17)가 설치되고, 상기 제트펌프(17)에는 약제원액이 저장된 상기 원액약제통(15)이 상기 약액흡입호스(15a)에 의해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원액약제통(15)에 저장되어 있는 약제원액은 상기 약액흡입호스(15a)를 단속하도록 설치된 개폐밸브가 개방된 경우, 상기 제트펌프(17)에 의해 상기 약제탱크(10) 내로 일정량 혼입되고, 상기 약제탱크(10)에 채워진 희석수와 혼합되어 살포를 위한 약제가 제조된다.
이때, 상기 고압펌프(21)는 상기 리턴라인(8)에서의 유체의 순환동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제어컨트롤러부(6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약제탱크(10) 내의 유체를 상기 분배라인(6)으로 펌핑하여 상기 리턴라인(8) 방향으로 순환시키게 된다.
즉,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트펌프(17)는 노즐(N)과 디퓨져(D)를 흐르는 유체에서 발생되는 베르누이 원리에 의해 진공상태의 흡입력을 발생시키게 되는데, 상기 제트펌프(17)의 입구단(17a)으로 들어온 유체는 상기 노즐(N)을 통과하며 유속이 급속히 증가되고, 상기 디퓨져(D)를 통과하며 점차적으로 유속이 감소되어 출구단(17b)으로 빠져나가게 된다.
이 때문에, 상기 노즐(N)과 디퓨져(D) 사이 공간이 저압이 되어 진공상태가 되며, 상기 약액흡입호스(15a)의 출구단 즉, 상기 약액흡입호스(15a)와 상기 리턴라인(8)이 연통되는 부분으로 상기 원액약제통(15)의 약제원액이 상기 리턴라인(8)으로 유입되고 결국, 상기 리턴라인(8)을 따라 순환되는 유체에 의해 상기 약제탱크(10) 내부로 혼입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살포를 위한 상기 약제가 상기 엔진(41)의 예열시간 동안 간편하게 제작될 수 있게 되고, 상기 방제부(30) 및 엔진부(40)의 예열이 끝난 경우, 상기 제어컨트롤러부(60)에서는 상기 약제탱크(10)에서 상기 흡입라인(4)을 통해 흡입된 약제가 상기 분배라인(6)으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살포수단(33)을 통해 방제기의 외부로 살포하는 작업이 곧바로 가능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약제탱크(10)에는 유체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12)가 구비되는데, 상기 제어컨트롤러부(60)는 상기 수위센서(12)에서 감지된 수위에 따라 상기 원액약제통(15)에서 일정량의 약제원액이 상기 약제탱크(10)로 투입되도록 약제원액의 배출량을 제어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유입관(2)을 통해 상기 약제탱크(10)로 희석수가 일정 수량만큼 채워지면 상기 제어컨트롤러부(60)는 상기 엔진(41)을 구동시키고, 상기 고압펌프(21)를 통해 상기 리턴라인(8)으로 상기 약제탱크(10)의 희석수를 순환시키는 것과 동시에 상기 원액약제통(15)의 약제원액이 상기 리턴라인(8)으로 혼입될 수 있도록 하는데, 이때 상기 제어컨트롤러부(60)는 상기 약액흡입호스(15a)에 설치된 개폐밸브를 단속하여 상기 약제원액이 상기 수위센서(12)에서 감지된 희석수의 수위 즉, 수량에 따라 일정비율의 약제원액이 상기 약제탱크(10) 내로 자동 투입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 방제기는 상기 약제탱크(10) 내에 수용된 희석수와 상기 약제원액이 혼합되어 약제가 제조되도록 하는 작업이 매우 간편하고, 안전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작업자의 안전이 보장되고, 본 발명 방제기를 이용한 방제 작업시간이 종래에 비해 크게 단축될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엔진 구동 시간을 줄일 수 있어 낭비되는 연료 등을 대폭 절감시킬 수 있는 작용효과가 발생되는 것이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약제 혼합 장치가 구비된 방제기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2 유입관 4 흡입라인
6 분배라인 8 리턴라인
10 약제탱크 12 수위센서
15 원액약제통 15a 약액흡입호스
17 제트펌프 20 펌핑부
21 고압펌프 30 방제부
31 송풍팬 33 살포수단
40 엔진부 41 엔진
50 프레임부 60 제어컨트롤러부

Claims (3)

  1. 유체가 수용되도록 차체의 적재함에 설치되는 약제탱크와; 상기 약제탱크에 저장된 유체를 흡입라인을 통해 분배라인으로 공급하도록 펌핑 구동되는 고압펌프가 구비된 펌핑부와; 상기 분배라인을 통해 공급된 유체를 살포하도록 송풍팬이 구비된 방제부를; 포함하는 방제기에 있어서,
    상기 분배라인으로 공급되는 유체를 상기 약제탱크로 순환되게 하는 리턴라인이 구비되되,
    상기 리턴라인에는 상기 펌핑부를 통해 압송되는 유체가 통과되면서 발생되는 압력차에 의해 진공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제트펌프가 설치되고,
    원액약제통에 저장된 약제원액이 상기 리턴라인으로 유입되어 상기 약제탱크로 혼입되도록 상기 원액약제통이 약액흡입호스에 의해 상기 제트펌프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혼합 장치가 구비된 방제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펌핑부 및 방제부에 동력을 제공하는 엔진부와; 상기 엔진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컨트롤러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약제탱크는, 유체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컨트롤러부는, 상기 수위센서에서 감지된 수위에 따라 상기 원액약제통에서 일정량의 약제원액이 상기 약제탱크로 투입되도록 약제원액의 배출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혼합 장치가 구비된 방제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탱크를 감싸도록 설치된 프레임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펌핑부, 방제부 및 엔진부는 상기 프레임부 상부에 적층되게 배치되고,
    상기 고압펌프와 상기 송풍팬 각각은 상기 엔진부의 양측 각각에서 회전 구동되는 엔진의 구동축과 결합된 구동풀리 및 벨트를 매개로 연결되는 각각의 클러치에 의해 상기 엔진부로부터 각각 동력이 전달 및 차단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혼합 장치가 구비된 방제기.
KR1020130154247A 2013-12-11 2013-12-11 약제 혼합 장치가 구비된 방제기 KR1016000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4247A KR101600033B1 (ko) 2013-12-11 2013-12-11 약제 혼합 장치가 구비된 방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4247A KR101600033B1 (ko) 2013-12-11 2013-12-11 약제 혼합 장치가 구비된 방제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8242A true KR20150068242A (ko) 2015-06-19
KR101600033B1 KR101600033B1 (ko) 2016-03-04

Family

ID=53515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4247A KR101600033B1 (ko) 2013-12-11 2013-12-11 약제 혼합 장치가 구비된 방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003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39754A (zh) * 2018-06-22 2018-11-06 湖北漳发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柑橘种植用农药喷洒装置
KR20200092262A (ko) * 2019-01-24 2020-08-03 (주) 한호기술 무인자율주행 및 고정식 겸용 우사방제로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6506B1 (ko) * 2019-08-08 2020-05-29 박민자 축산농가용 이동식 방제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0596A (ko) * 2000-10-09 2001-01-05 최봉환 트랙터장착용 농약살포 분무기 및 그 살포방법
KR100758896B1 (ko) * 2006-10-31 2007-09-14 허문회 농축산 차량용 방역 소독장치
KR20130007122A (ko) * 2011-06-29 2013-01-18 문용수 약제 분무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0596A (ko) * 2000-10-09 2001-01-05 최봉환 트랙터장착용 농약살포 분무기 및 그 살포방법
KR100758896B1 (ko) * 2006-10-31 2007-09-14 허문회 농축산 차량용 방역 소독장치
KR20130007122A (ko) * 2011-06-29 2013-01-18 문용수 약제 분무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39754A (zh) * 2018-06-22 2018-11-06 湖北漳发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柑橘种植用农药喷洒装置
CN108739754B (zh) * 2018-06-22 2021-04-30 新昌县大菠萝农业发展有限公司 一种柑橘种植用农药喷洒装置
KR20200092262A (ko) * 2019-01-24 2020-08-03 (주) 한호기술 무인자율주행 및 고정식 겸용 우사방제로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0033B1 (ko) 2016-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79006B2 (en) Spraying assembly, and sprayer equipped with at least one such assembly
KR102025386B1 (ko) 스마트 무인 방제기
US9545642B2 (en) Chemical dispenser
KR101551353B1 (ko) 비가열식 무인 연막기
KR101600033B1 (ko) 약제 혼합 장치가 구비된 방제기
JPS5834059A (ja) 噴霧装置
KR20160051268A (ko) 분사방향 가변형 콤팩트 구조의 약액 자동 분사장치
CN108887250A (zh) 一种苗木种植用农药喷洒装置
KR20160097491A (ko) 약제 희석기능을 갖는 휴대용 분무기
KR101462622B1 (ko) 안개식 약제 살포장치
KR200482553Y1 (ko) 분무기 겸용 트랙터 탑재식 원거리 방제기
KR101616517B1 (ko) 나노 버블 분사 장치
GB2469018A (en) Vapour Misting Apparatus
CN102630660B (zh) 一种生物农药喷洒装置
US8673088B1 (en) Foam dispensing device
KR101059324B1 (ko) 벤츄리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약제분사장치
CN106561612A (zh) 农用药剂浓度配比、喷洒一体设备
JP3990273B2 (ja) 散布機
KR20160003343U (ko) 멀티 회전 송풍기를 갖는 트랙터 탑재식 원거리용 방제기
KR200407660Y1 (ko) 농약 자동 분무기
KR200379025Y1 (ko) 희석용 물탱크 없는 동력분무기
KR200449574Y1 (ko) 소독기
KR101207900B1 (ko) 광역살포기의 약액 혼합 분사장치
KR100873065B1 (ko) 지상에서 약액공급수단을 갖는 광역방제/살포기
US20050274822A1 (en) Spray system with chemical injector and water supply l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