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8043A - 스마트안경 및 그에 연결되는 젠더 - Google Patents

스마트안경 및 그에 연결되는 젠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8043A
KR20150068043A KR1020130153775A KR20130153775A KR20150068043A KR 20150068043 A KR20150068043 A KR 20150068043A KR 1020130153775 A KR1020130153775 A KR 1020130153775A KR 20130153775 A KR20130153775 A KR 20130153775A KR 20150068043 A KR20150068043 A KR 201500680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frame
magnetic force
contact terminal
contact
ex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3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49074B1 (ko
Inventor
안준범
Original Assignee
(주)대한특수금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한특수금속 filed Critical (주)대한특수금속
Priority to KR10201301537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9074B1/ko
Publication of KR201500680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80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90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9074B1/ko

Links

Images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스마트 기기에 연동되어 해당 기능을 제공하는 렌즈프레임; 상기 렌즈프레임에 시계줄을 연결하는 시계줄연결부; 및 상기 렌즈프레임과 시계줄연결부 사이에 위치된 렌즈프레임의 일측면에 구성되어 렌즈프레임과 시계줄연결부의 결합 여부에 따라 감춰지거나 노출된 상태를 가지며 노출시 외부기기의 데이터 통신용 인터페이스나 젠더의 인터페이스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스마트안경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스마트안경 및 그에 연결되는 젠더{Smart glass and connecting gender thereof}
본 발명은 스마트안경 및 젠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안경의 전원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부가 안경다리가 연결되는 스마트안경의 렌즈프레임 측면부에 구성되어 렌즈프레임과 안경다리의 회동을 통한 자력 결합 여부에 따라 노출 또는 감춰지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인터페이스의 노출시 이에 접속되는 소형의 젠더를 통하여 전원 및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스마트안경 및 그에 연결되는 젠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등과 같은 스마트 기기는, 모바일 전자기기의 일종으로 원거리 및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하여 사용이 편리하고 휴대성이 매우 우수하다.
더불어, 최근에는 사용자의 얼굴에 안경 타입으로 착용된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 기기와 무선통신을 통하여 연동되어 스마트 기기를 직접 사용하지 않고도 스마트 기기를 대신하여 해당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는 '구글 글라스' 또는 '스포츠형 안경' 등과 같은 스마트안경이 큰 인기를 얻고 있다.
여기서, 상기 스마트안경은, 디자인 출원 30-2013-0011832호 등에 개시된 바와 같이, 렌즈프레임과 상기 렌즈프레임에 연결되는 안경다리 등을 포함하고, 이때, 상기 렌즈프레임의 일측에 구성된 카메라 기능을 가지는 프로젝터를 통하여 스마트 기기로부터 해당 정보가 제공되어 해당 기능을 제공하고 안경다리에는 이어폰이나 등과 같은 주변기기가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스마트안경는, 상기 프로젝터를 포함한 구성부들을 충전함에 있어서, 안경다리로부터 '머리 끈' 타입으로 연장되는 케이블의 단부에 충전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충전 및 통신장치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충전용 컨넥터 등과 같은 인터페이스가 노출된 상태를 가지게 된다.
이에, 상기와 같이, 스마트안경의 인터페이스부 즉, 충전 및 통신용 접촉단자가 안경의 외측부로 노출된 상태를 가지기 때문에, 외부에서 사용 중 빗물 등과 액체에 접촉단자가 접촉되는 경우 접촉단자의 부식 및 쇼트 등으로 인하여 스마트안경이 오동작 되고, 미관도 좋지 않으며, 사용상의 불편함을 초래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마트안경의 전원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부가 안경다리가 연결되는 스마트안경의 렌즈프레임 측면부에 구성되어 렌즈프레임과 안경다리의 회동을 통한 자력 결합 여부에 따라 노출 또는 감춰지도록 하여 액체와의 접촉에 따른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는 스마트안경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와 같은 스마트안경의 인터페이스부 노출시 이에 간편하게 접속되는 소형의 젠더를 통하여 전원 및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스마트안경에 연결되는 젠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마트 기기에 연동되어 해당 기능을 제공하는 프로젝터가 구성되는 렌즈프레임; 상기 렌즈프레임에 안경다리연결부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안경다리; 및 상기 렌즈프레임의 일측면에 구성되어 렌즈프레임과 안경다리의 결합 여부에 따라 감춰지거나 노출된 상태를 가지며 노출시 외부기기의 데이터 통신용 인터페이스나 젠더의 인터페이스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스마트안경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인터페이스부가 구성된 렌즈프레임의 접촉면과 안경다리의 접촉면은, 상호간 소정각도로 회동되도록 연결된 상태에서 상호간 자력 결합되거나 해제되도록 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부가 감춰지고 노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안경다리는, 상기 인터페이스부가 구성된 렌즈프레임의 일측면에 접촉되는 접촉면에 방수용 와셔가 일체 또는 장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렌즈프레임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젠더의 접촉단자나 충전용 컨넥터의 접촉단자에 비삽입 접점되는 접촉단자와; 상기 접촉단자의 일측에 구성되어 젠더의 자력결합부재나 충전용 컨넥터의 자력결합부재에 자력 결합되는 자력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전면케이스와 후면케이스가 상호간 연결 결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 구성되는 장착블록; 상기 장착블록의 전면에 구성되어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를 가지며 스마트안경의 접촉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촉단자; 상기 장착블록의 전면에 구성되어 스마트안경에 자력 결합되는 자력결합부재; 상기 장착블록의 배면에 구성되어 상기 자력결합부재의 자력 직진성을 확보하기 위한 백플레이트; 및 상기 장착블록의 배면에 구성되고 일단에는 상기 접촉단자에 접속되고 타단에는 마이크로단자가 상기 하우징의 후면으로 노출되도록 구성되는 PCB를 포함하는 스마트안경에 연결되는 젠더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의 전면케이스는, 상기 접촉단자가 노출되는 접촉면의 상하측면이 소정길이와 곡률로 연장 형성되는 곡률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접촉단자는, 상기 장착블록의 일측면 내측에 구비된 상태에서 PCB에 접속 실장되고 하우징의 전면케이스 외부로 단부가 노출된 상태를 가지는 비삽입 접점 단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스마트안경에 있어서, 충전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부가 렌즈프레임과 안경다리의 접촉부위인 렌즈프레임의 일측면에 구성되어 렌즈프레임과 안경다리 상호간 회동 가능한 상태로 자력 결합 및 해제시 노출되거나 숨겨짐으로써, 노출시에는 젠더나 충전용 컨넥터를 통한 전기적 접속을 통한 충전 및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고, 숨김시에는 사용자와의 신체에 접촉되지 않도록 하여 빗물 등과 같은 액체에 의해 쇼트되거나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안경에 연결되는 젠더에 있어서, 소형의 하우징 일측면이 상기와 같은 동작을 통해 노출된 상태의 스마트안경의 인터페이스부에 자력을 이용하여 비삽입 접점되어 전기적으로 도통됨으로써, 충전 과정이 매우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그 부피가 최소화되어 휴대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안경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스마트안경에 있어서 렌즈프레임에 연결되는 안경다리의 회동 및 자력 결합에 따라 노출 또는 감춰지는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
도 3과 도 4는 각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안경에 연결되는 젠더를 나타낸 도면; 및
도 5와 도 6은 각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워치에 연결되는 젠더를 나타낸 사시도와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안경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스마트안경에 있어서 렌즈프레임에 연결되는 안경다리의 회동 및 자력 결합에 따라 노출 또는 감춰지는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과 도 4는 각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안경에 연결되는 젠더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5와 도 6은 각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워치에 연결되는 젠더를 나타낸 사시도와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안경(100)은, 스마트 기기에 연동되어 해당 기능을 제공하는 프로젝터가 구성되는 렌즈프레임(110), 상기 렌즈프레임(110)에 안경다리연결부(120)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안경다리(130) 및 상기 렌즈프레임(110)과 안경다리(130) 사이에 위치된 렌즈프레임(110)의 일측면에 구성되고 외부기기의 데이터 통신용 인터페이스나 젠더(200)의 인터페이스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하여 충전 및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인터페이스부(140)를 포함하며, 상기 인터페이스부(140)가 구성된 렌즈프레임(110)의 일측면에 안경다리(130)가 안경다리연결부(120)를 통해 소정각도로 회동되도록 연결된 상태에서 상호간 자력 결합되거나 해제시 상기 인터페이스부(140)가 감춰지거나 노출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렌즈프레임(110)과 안경다리(130)가, 안경다리연결부(120)를 통하여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안경다리(130)가 렌즈프레임(110)에 대하여 소정각도로 회동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과 동작은, 통상의 안경 조립체 등과 같이, 이미 공지된 구성과 기능을 가지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안경다리연결부(120)는, 상기 렌즈프레임(110)의 공지의 탈착 구조를 통하여 분리 및 결합 가능한 상태를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렌즈프레임(110)에 구성되는 프로젝터와 상기 프로젝터를 스마트 기기와 연동되도록 하는 구성부들 역시도, '구글 글래스' 또는 '스마트 안경' 등과 같이, 이미 공지된 구성과 기능을 가지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안경다리(130)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40)가 구성되는 렌즈프레임(110)의 일측면에 회동 동작시 접촉되는 부위에 자력 결합을 가능하게 하는 자력결합부재(131)가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때, 상기 인터페이스부(140) 또는 렌즈프레임(110)의 일측면에 상기 자력부재(131)에 자력결합을 위한 자력결합부재(142)가 구성되어 자력 결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안경다리(130)의 자력결합부재(131)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40) 또는 렌즈프레임(110)의 자력결합부재(142)가 자성부재인 경우에는 자성부재나 피자성부재로 구성되고, 인터페이스부(140) 또는 렌즈프레임(110)의 자력결합부재(142)가 피자성부재인 경우에는 자성부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렌즈프레임(110)과 안경다리(130)에 의하면, 상기 인터페이스부(140)가 구성된 렌즈프레임(110)의 일측면과 안경다리(130)가 안경다리연결부(120)를 통하여 상호간 소정각도로 회동되도록 연결된 상태에서 상호간 자력 결합되거나 해제됨으로써, 자력결합시에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40)가 감춰지도록 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액체 등과 접촉으로 인한 쇼트나 부식이 방지될 수 있고, 자력결합 해제시에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40)가 노출되도록 하여 후술된 젠더(200)나 보조기기의 충전용 컨넥터의 전기적 접속이 가능하여 전원 및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안경다리(130)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40)가 구성된 렌즈프레임(110)의 일측면에 접촉되는 접촉면에 방수용 와셔(133)가 일체 또는 별도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인터페이스부(140)가 방수용 와셔(133)에 의해 실링되는 경우 방수 기능이 제공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인터페이스부(140)는, 상기 렌즈프레임(110)과 안경다리(130) 사이에 위치된 렌즈프레임(110)의 일측면에 구성되어 외부기기의 데이터 통신용 인터페이스나 젠더(200)의 인터페이스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하여 충전 및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인터페이스로, 상기 렌즈프레임(110)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후술된 젠더(200)의 접촉단자(230)나 충전용 컨넥터의 접촉단자에 비삽입 접점되어 상호간 전원 및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접촉단자(141)와, 상기 접촉단자(141)의 일측에 구성되어 젠더(200)의 자력결합부재(240)나 충전용 컨넥터의 자력결합부재에 자력 결합되어 상기 접촉단자들의 전기적 비삽입 접점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자력결합부재(142)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접촉단자(141)는, 상기 렌즈프레임(110)의 일측면 내측에 구비되는 인쇄회로기판에 도금 공법에 의해 기판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핀의 형상을 통하여 실장된 상태에서 렌즈프레임(110)의 일측면 외부로 노출된 상태를 가진다.
상기 접촉단자(141)는, 상기 렌즈프레임(110)의 일측면 즉, 후술된 젠더(200)나 충전기의 충전용 컨넥터가 접촉되는 접촉면에 다양한 개수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그 단부가 평면 또는 요홈을 가지는 평면단자와 그 단부가 내부에 구비된 스프링에 의해 탄력을 가지면서 인쇄회로기판측으로 반동 삽입되거나 또는 단부만이 탄력을 가지면서 인쇄회로기판측으로 휘어지는 탄력단자로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평면단자는 접촉면에 형성되는 통공의 내부에 단자가 함몰된 구조 또는 통공의 평면에 대응되는 구조로 구성되고, 상기 탄력단자는 접촉면에 형성되는 통공의 외측으로 단자가 일부 돌출된 구조로 구성된다.
즉, 접촉단자(141)는, 젠더(200)나 충전용 컨넥터의 접촉단자(230)가 평면단자인 경우에는 탄력단자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젠더(200)나 충전용 컨넥터의 접촉단자(230)가 탄력단자인 경우에는 평면단자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력결합부재(142)는, 상기 접촉단자(141)가 구성된 렌즈프레임(110)의 일측면 즉, 접촉면에 다양한 형상과 면적을 가지면서 위치될 수 있고, 자성부재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자석 또는 전자석, 영구자석, 단극 또는 다극착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고, 피자성부재인 경우에는 상기 자성부재에 자력 결합이 가능한 금속이나 강자성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자력결합부재(142)는, 젠더(200)나 충전용 컨넥터의 자력결합부재(240)가 자성부재인 경우에는 자성부재이거나 피자성부재인 것이 바람직하고, 젠더(200)나 충전용 컨넥터의 자력결합부재(240)가 피자성부재인 경우에는 자성부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자력결합부재(142)가 자석인 경우에는 자석을 물리적으로 나누지 않고 착자요크라는 설비를 통해 상하단극, 2극 및 4극착자로 제조하여 다양한 개수의 극성을 가지도록 할 수 있고, 또한, 금속체가 해당 자석의 배면부 또는 좌우측부 또는 상하측부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위치되어 자력의 직진성 확보를 통한 자력 향상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으며, 자석들간의 자력 결합시 해당 극성끼리만 결합되도록 하여 역방향 접점을 방지하는 구조로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젠더(200)(또는, 충전용 컨넥터)와 렌즈프레임(110)이 방향성을 가지면서 접점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인터페이스부(140)에 의하면, 상기 렌즈프레임(110)과 안경다리(130)의 자력결합 해제를 통한 노출시 후술된 젠더(200)나 충전용 컨넥터가 자력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도통 가능한 상태로 비삽입 접점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터페이스부(140)에 구성되는 자력결합부재(142)는, 상기 안경다리(130)에 구성되는 자력결합부재(131)와 자력결합 가능하게 구성되어도 무방하며, 이 경우, 상기 렌즈프레임(110)의 일측면에 구성되는 자력결합부재의 구성은 생략되어도 무방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스마트안경(100)에 의하면, 충전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부(140)가 상호간 회동 가능하게 자력 결합 및 해제되는 렌즈프레임(110)과 안경다리(130)의 접촉부위에 해당되는 렌즈프레임(110) 일측면에 구성되어 노출되거나 숨겨짐으로써, 노출시에는 후술된 젠더(200)나 충전용 컨넥터를 통한 전기적 접속을 통한 충전 및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고, 숨김시에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빗물 등과 같은 액체에 의해 쇼트되거나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안경(100)에 연결되는 소형의 젠더(200)는, 상기와 같이 스마트안경(110)의 인터페이스부(140)가 상기와 같이 비삽입식 포트의 구성을 가지고 충전용 컨넥터가 삽입식 컨넥터의 구성일 때 상호간 전기적 접점을 가능하게 하는 연결부재로, 전면케이스(211)와 후면케이스(212)가 상호간 연결 결합되는 하우징(210),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에 장착 구성되는 장착블록(220), 상기 장착블록(220)의 전면에 구성되어 하우징(210)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를 가지며 상기 스마트안경(100) 렌즈프레임(110)의 접촉단자(14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촉단자(230), 상기 장착블록(220)의 전면에 구성되어 상기 렌즈프레임(110)의 자력결합부재(142)에 자력 결합되는 자력결합부재(240), 상기 장착블록(220)의 배면에 구성되어 상기 자력결합부재(240)의 자력 직진성을 확보하기 위한 백플레이트(250) 및 상기 장착블록(220)의 배면에 구성되고 일단에는 상기 접촉단자(230)에 접속되고 타단에는 외부의 충전용 컨넥터의 삽입식 접촉단자가 삽입 접속되도록 하는 마이크로단자(260)가 상기 하우징(210)의 후면으로 노출되도록 구성되는 PCB(270)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210)의 전면케이스(211)는, 접촉면의 상하측면이 소정길이와 곡률로 연장 형성되는 곡률부(211a)를 통하여, 충전이나 데이터 통신을 위해 접촉면 상호간 접촉시 상기 인터페이스부(140)가 구성된 스마트안경(110)의 접촉면을 감싸도록 하여 소정 크기의 외력이 발생되더라도 상호간 안정적인 접속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장착블록(220)은,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에 장착 구성되는 장착부재로, 상기 접촉단자(230)와 자력결합부재(240) 및 백플레이트(250)가 해당 위치에 수용 및 구성되도록 하여, 상기 하우징(210)이 소형의 공간을 가지더라도 상기 구성부들이 하우징(210)에 용이하게 구성 및 조립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접촉단자(230)는, 상기 장착블록(220)의 일측면 내측에 구비된 상태에서 PCB(270)에 접속 실장되고 하우징(210)의 전면케이스(211) 외부로 단부가 노출된 상태를 가진다.
여기서, 상기 접촉단자(230)는, 상기 렌즈프레임(110)의 접촉면에 구성된 인터페이스부(140)의 접촉단자(141)에 대응되는 개수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그 단부가 평면 또는 요홈을 가지는 평면단자와 그 단부가 내부에 구비된 스프링에 의해 탄력을 가지면서 PCB(270)측으로 반동 삽입되거나 또는 단부만이 탄력을 가지면서 PCB(270)측으로 휘어지는 탄력단자로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평면단자는 접촉면에 형성되는 통공의 내부에 단자가 함몰된 구조 또는 통공의 평면에 대응되는 구조로 구성되고, 상기 탄력단자는 접촉면에 형성되는 통공의 외측으로 단자가 일부 돌출된 구조로 구성된다.
즉, 접촉단자(230)는, 상기 렌즈프레임(110)의 접촉단자(141)가 평면단자인 경우에는 탄력단자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렌즈프레임(110)의 접촉단자(141)가 탄력단자인 경우에는 평면단자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력결합부재(240)는, 상기 접촉단자(230)가 구성된 장착블록(220)에 렌즈프레임(110)의 자력결합부재(142)에 대응되도록 위치되는데, 자성부재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자석 또는 전자석, 영구자석, 단극 또는 다극착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고, 피자성부재인 경우에는 상기 자성부재에 자력 결합이 가능한 금속이나 강자성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자력결합부재(240)는, 렌즈프레임(110)의 자력결합부재(142)가 자성부재인 경우에는 자성부재이거나 피자성부재인 것이 바람직하고, 렌즈프레임(110) 자력결합부재(142)가 피자성부재인 경우에는 자성부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자력결합부재(240)가 자석인 경우에는 자석을 물리적으로 나누지 않고 착자요크라는 설비를 통해 상하단극, 2극 및 4극착자로 제조하여 다양한 개수의 극성을 가지도록 할 수 있고, 또한, 백플레이트(250)가 해당 자석의 배면부 또는 좌우측부 또는 상하측부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위치되어 자력의 직진성 확보를 통한 자력 향상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으며, 자석들간의 자력 결합시 해당 극성끼리만 결합되도록 하여 역방향 접점을 방지하는 구조로 배치되는 경우 상기 렌즈프레임(110)와 젠더(200)가 방향성을 가지면서 접점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단자(260)는, 상기 젠더(200)에 전원 및 통신장치의 삽입형 컨넥터가 삽입 접속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삽입형 컨넥터에 대응되는 구조를 가지며, 그 구성과 동작은 이미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젠더(200)는, 상기 PCB(270)에 쇼트방지부가 더 구성되는데, 상기 쇼트방지부는, 상기 비삽입 방식의 접촉단자(230)가 외부의 도체성 물질에 의해 단락되어 V-BUS와 GND의 전원공급라인에 쇼트 발생시 렌즈프레임(110)에 제공되는 전류를 차단하는 전압쇼트방지회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스마트안경(100)의 접촉면과 젠더(200)의 접촉면에는, 상기 자력결합부재들의 자력 결합에 따른 접촉단자들의 비삽입 접점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가이드수단(미도시)이 각각 더 구성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역방향 삽입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수단은, 접촉면의 테두리를 감싸면서 돌출 형성되는 양각가이드와 함몰 형성되는 음각가이드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스마트안경(100)의 가이드수단이 양각가이드인 경우에는 젠더(200)의 가이드수단이 음각가이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젠더(200)의 가이드수단이 양각가이드인 경우 스마트안경(100)의 가이드수단이 음각가이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젠더(200)에 의하면, 상기 스마트안경(110)의 인터페이스부(140)가 노출된 상태에서 자력결합부재(142,240)들의 자력 결합시 접촉단자(141,230)들이 상호간 비삽입 접점된 상태에서 상기 접촉단자(230)에 마이크로단자(260)에 접속된 충전용 컨넥터로부터 제공되는 동작 전원 및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부들이 소형의 하우징(210) 내부에 구성된 상태에서 하우징(210)의 일측면이 상기와 같은 동작을 통해 노출된 상태의 스마트안경(100)의 인터페이스부(140)에 자력을 이용하여 비삽입 접점되어 전기적으로 도통됨으로써, 충전 과정이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그 부피가 최소화되어 휴대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 범위와 청구 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9)

  1. 스마트 기기에 연동되어 해당 기능을 제공하는 프로젝터가 구성되는 렌즈프레임(110);
    상기 렌즈프레임(110)에 안경다리연결부(120)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안경다리(130); 및
    상기 렌즈프레임(110)의 일측면에 구성되어 렌즈프레임(110)과 안경다리(130)의 결합 여부에 따라 감춰지거나 노출된 상태를 가지며 노출시 외부기기의 데이터 통신용 인터페이스나 젠더(200)의 인터페이스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인터페이스부(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안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140)가 구성된 렌즈프레임(110)의 접촉면과 안경다리(130)의 접촉면은,
    상호간 소정각도로 회동되도록 연결된 상태에서 상호간 자력 결합되거나 해제되도록 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부(140)가 감춰지고 노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안경.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경다리(130)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40)가 구성되는 렌즈프레임(110)의 일측면에 자력 결합될 수 있도록 자력결합부재(131)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안경.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140) 또는 렌즈프레임(110)의 일측면에 상기 자력부재(131)에 자력결합을 위한 자력결합부재(142)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안경.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경다리(130)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40)가 구성된 렌즈프레임(110)의 일측면에 접촉되는 접촉면에 방수용 와셔(133)가 일체 또는 장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안경.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140)는,
    상기 렌즈프레임(110)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젠더(200)의 접촉단자(230)나 충전용 컨넥터의 접촉단자에 비삽입 접점되는 접촉단자(141)와;
    상기 접촉단자(141)의 일측에 구성되어 젠더(200)의 자력결합부재(240)나 충전용 컨넥터의 자력결합부재에 자력 결합되는 자력결합부재(1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안경.
  7. 전면케이스(211)와 후면케이스(212)가 상호간 연결 결합되는 하우징(210);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에 장착 구성되는 장착블록(220);
    상기 장착블록(220)의 전면에 구성되어 하우징(210)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를 가지며 스마트안경의 접촉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촉단자(230);
    상기 장착블록(220)의 전면에 구성되어 스마트안경에 자력 결합되는 자력결합부재(240);
    상기 장착블록(220)의 배면에 구성되어 상기 자력결합부재(240)의 자력 직진성을 확보하기 위한 백플레이트(250); 및
    상기 장착블록(220)의 배면에 구성되고 일단에는 상기 접촉단자(230)에 접속되고 타단에는 마이크로단자(260)가 상기 하우징(210)의 후면으로 노출되도록 구성되는 PCB(2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안경에 연결되는 젠더.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10)의 전면케이스(211)는,
    상기 접촉단자(230)가 노출되는 접촉면의 상하측면이 소정길이와 곡률로 연장 형성되는 곡률부(211a)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안경에 연결되는 젠더.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단자(230)는,
    상기 장착블록(220)의 일측면 내측에 구비된 상태에서 PCB(270)에 접속 실장되고 하우징(210)의 전면케이스(211) 외부로 단부가 노출된 상태를 가지는 비삽입 접점 단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안경에 연결되는 젠더.
KR1020130153775A 2013-12-11 2013-12-11 스마트안경 및 그에 연결되는 젠더 KR1015490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3775A KR101549074B1 (ko) 2013-12-11 2013-12-11 스마트안경 및 그에 연결되는 젠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3775A KR101549074B1 (ko) 2013-12-11 2013-12-11 스마트안경 및 그에 연결되는 젠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8043A true KR20150068043A (ko) 2015-06-19
KR101549074B1 KR101549074B1 (ko) 2015-09-02

Family

ID=53515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3775A KR101549074B1 (ko) 2013-12-11 2013-12-11 스마트안경 및 그에 연결되는 젠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90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6613B1 (ko) * 2016-05-16 2017-10-18 주식회사 정글 스피커가 장착된 안경
KR20180109644A (ko) 2017-03-28 2018-10-08 문명일 스마트 안경 및 그 광학시스템
KR102191433B1 (ko) 2017-04-18 2020-12-15 문명일 스마트 안경
KR102492607B1 (ko) 2017-12-05 2023-01-27 주식회사 메카비전 스포츠 고글
KR102218210B1 (ko) 2018-02-13 2021-02-22 주식회사 메카비전 가상 오브젝트의 처리가 가능한 스마트 안경
KR102218207B1 (ko) 2018-03-09 2021-02-19 주식회사 메카비전 가상 오브젝트의 처리가 가능한 스마트 안경
KR20190077255A (ko) 2019-06-13 2019-07-03 주식회사 메카비전 스마트 안경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9863Y1 (ko) 2003-01-17 2003-04-08 흐시아오 밍툰 온도측정 포유병
JP6005994B2 (ja) 2012-05-21 2016-10-12 オリンパス株式会社 眼鏡型ウェアラブル装置
KR101393388B1 (ko) 2013-11-12 2014-05-13 (주)대한특수금속 스마트워치 및 그에 연결되는 젠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9074B1 (ko) 2015-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9074B1 (ko) 스마트안경 및 그에 연결되는 젠더
KR101393388B1 (ko) 스마트워치 및 그에 연결되는 젠더
US9778705B2 (en) Electronic device with moveable contacts at an exterior surface
TWI491117B (zh) 電連接器、托座及電連接器組件
CN203103583U (zh) 插头连接器和双面插头连接器
US9147966B2 (en)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a non-insertion type interface
KR200484059Y1 (ko) 휴대용기기용 결합팁을 이용하는 보호케이스
KR20140073448A (ko) 전기 커넥터가 제공된 손목시계
CN109995399B (zh) 连接器及其组合
CN112415769A (zh) 智能眼镜和充电套装
CN105495882A (zh) 穿戴设备
CN213122445U (zh) 一种模块化智能眼镜
JP2008171652A (ja) 小型マグネットコネクター
TW201707286A (zh) 電連接器
CN113419355A (zh) 方便更换电池的眼镜
CN213987065U (zh) 智能眼镜和充电套装
CN110602286A (zh) 电子设备、传感器扩展装置和电子设备组件
US20130016426A1 (en) Three-dimensional glasses
CN213464085U (zh) 智能眼镜组件
CN212784840U (zh) 放置盒、可穿戴设备及可穿戴设备组件
TWI678559B (zh) 模組化智慧眼鏡
CN106155187B (zh) 便携式电子装置及其保护盖
WO2021012865A1 (zh) 终端设备、数据线及终端设备组件
US20190148958A1 (en) Casing-type Charging module for mobile device
US20200050237A1 (en) Display Terminals and wearable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