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8017A - 단말 장치 및 그것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단말 장치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단말 장치 및 그것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단말 장치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8017A
KR20150068017A KR1020130153725A KR20130153725A KR20150068017A KR 20150068017 A KR20150068017 A KR 20150068017A KR 1020130153725 A KR1020130153725 A KR 1020130153725A KR 20130153725 A KR20130153725 A KR 20130153725A KR 20150068017 A KR20150068017 A KR 201500680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 string
screen
matching information
unit
sent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3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교열
송해창
하정현
강상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537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68017A/ko
Priority to US14/310,980 priority patent/US20150161091A1/en
Publication of KR20150068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80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06F3/04855Interaction with scrollba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40Processing or translation of natural language
    • G06F40/42Data-driven translation
    • G06F40/45Example-based machine translation; Align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는 제 1 문자열 및 상기 제 1 문자열과 관련성을 갖는 제 2 문자열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제 1 문자열을 제 1 화면에 출력하고, 상기 제 2 문자열을 제 2 화면에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 1 문자열 및 제 2 문자열 간의 문장 단위의 매칭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 1 문자열 또는 제 2 문자열의 소정 부분이 선택되거나 상기 제 1 화면 또는 제 2 화면에 대한 스크롤 제어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문장 단위의 매칭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화면 및 제 2 화면의 스크롤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단말 장치 및 그것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단말 장치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TERMINAL DEVICE AND DISPLAY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COMMUNICATION SYSTEM COMPRISING THE TERMINAL DEVICE}
본 발명은 단말 장치 및 그것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단말 장치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기술의 발달과 함께 이동통신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전자수첩, 스마트 폰, 태블릿 PC(Personal Computer) 등과 같이 이동 중에 통신 및 개인정보 처리가 가능한 전자 장치가 다양하게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편의성 증대를 위해 음성통화 및 영상통화 등과 같은 통화 기능, SMS(Short Message Service)/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및 이메일 등과 같은 메시지 송수신 기능, 사진 촬영 기능, 음악 재생 기능, 인터넷 기능, 및 외국어 번역/사전 기능 등을 구비하고 있다.
하지만, 전자 장치의 다양한 기능들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데에는 디스플레이의 제한이 따른다. 이러한 제한은 휴대성이 강조되는 모바일 전자 장치의 경우 더욱 문제가 될 수 있다. 이에, 제한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보다 많은 정보를 사용자에게 편리하게 제공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화면을 복수 개로 분할하여 출력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플레이되는 복수 개의 화면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단말 장치 및 그것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단말 장치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는 제 1 문자열 및 상기 제 1 문자열과 관련성을 갖는 제 2 문자열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제 1 문자열을 제 1 화면에 출력하고, 상기 제 2 문자열을 제 2 화면에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 1 문자열 및 제 2 문자열 간의 문장 단위의 매칭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 1 문자열 또는 제 2 문자열의 소정 부분이 선택되거나 상기 제 1 화면 또는 제 2 화면에 대한 스크롤 제어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문장 단위의 매칭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화면 및 제 2 화면의 스크롤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제 1 문자열 및 제 2 문자열 간의 문단 단위의 매칭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은 제 1 문자열을 제 1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 1 문자열과 관련성을 갖는 제 2 문자열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문자열과 제 2 문자열 간의 문장 단위의 매칭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 2 문자열을 제 2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문자열의 소정 부분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문장 단위의 매칭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 부분에 매칭되는 상기 제 2 문자열의 대응 부분이 상기 제 2 화면에 표시되도록 상기 제 2 화면의 스크롤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은 제 1 문자열을 제 1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 1 문자열과 관련성을 갖는 제 2 문자열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문자열과 제 2 문자열 간의 문장 단위의 매칭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 2 문자열을 제 2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화면 또는 제 2 화면에 대한 스크롤 제어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문장 단위의 매칭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화면 및 제 2 화면의 스크롤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은 제 1 문자열을 저장하는 단말, 및 상기 단말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제 1 문자열을 처리하여 상기 제 1 문자열과 관련성을 갖는 제 2 문자열을 생성하고, 상기 제 1 문자열 및 제 2 문자열 간의 문장 단위의 매칭 정보를 생성하는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제 2 문자열 및 상기 문장 단위의 매칭 정보를 상기 단말로 전달하고, 상기 단말은 상기 제 1 문자열을 제 1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제 2 문자열을 제 2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단말은 상기 제 1 문자열 또는 제 2 문자열의 소정 부분이 선택되거나 상기 제 1 화면 또는 제 2 화면에 대한 스크롤 제어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서버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문장 단위의 매칭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화면 및 제 2 화면의 스크롤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 및 그것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단말 장치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은 디스플레이되는 복수 개의 화면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 및 그것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단말 장치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은 단말 장치의 사용에 있어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단말 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화면을 예시적으로 보여준다.
도 3 및 도 4는 도 1의 제어부가 문장 단위로 매칭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제어부가 문단 단위로 매칭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스크롤 제어 명령 입력에 따른 제어부의 스크롤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는 제 1 문자열의 소정 부분 선택에 따른 제어부의 스크롤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S260 단계를 더욱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을 보여준다.
도 14는 도 13의 통신 시스템의 동작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100)는 입력부(110), 제어부(120), 디스플레이부(130), 저장부(140), 통신부(150) 및 음성출력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10)는 사용자로부터 문자열(이하에서, '제 1 문자열'이라고 칭함)을 입력받을 수 있다. 입력부(110)는 단말 장치(100)의 설정에 따라 다양한 언어(예를 들어, 한국어, 영어, 일본어, 중국어 등), 기호, 특수 문자 등의 문자열을 입력받을 수 있다. 입력부(110)는 예를 들면, 키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패드(touch pad, 정압/정전), 조그 휠(jog wheel), 조그 스위치(jog switch)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10)는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문자열로 변환하는 음성 인식 모듈로 구성될 수도 있다.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제 1 문자열은 저장부(140)에 저장될 수 있다.
이하에서, 입력부(110)는 터치 패드인 것으로 가정되며, 디스플레이부(130)의 터치 패널을 통해 입력부(110)의 터치 화면이 활성화되는 것으로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30)의 화면 상에 활성화되는 입력부(110)의 다양한 문자 입력 터치 화면(예를 들어, 한국어인 경우 모음, 자음 입력 터치 화면)을 통해 문자열을 입력할 수 있다. 이러한 입력부(110)의 구성 및 동작은 잘 알려져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제어부(120)는 제 1 문자열을 처리하여 제 1 문자열과 관련성이 있는 제 2 문자열을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제 1 문자열 또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제 1 문자열을 처리하여 제 2 문자열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제 1 문자열을 번역하여 제 2 문자열을 생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관련성'은 제 1 문자열 및 제 2 문자열이 동일한 내용을 나타내거나, 지시 관계 등을 통해 상호 간에 일정한 관련성이 있으면 충분한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생성된 제 2 문자열은 저장부(140)에 저장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발명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어부(120)는 제 1 문자열을 번역하여 제 2 문자열을 생성하는 것으로 가정되어 설명될 것이다. 즉, 제 2 문자열은 제 1 문자열을 다른 언어로 번역한 문자열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언어로 제 1 문자열을 번역할 수 있으며, 미리 설정된 규칙과 프로그램에 따라 제 1 문자열을 번역하여 제 2 문자열을 생성할 것이다. 또한,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개행 문자(line feed character) 단위로 제 1 문자열을 번역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문자열 및 제 2 문자열의 개행 문자의 수는 동일할 것이다.
제어부(120)는 제 1 문자열 및 제 2 문자열이 디스플레이부(130)를 통해 각각 별개의 화면으로 출력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제 1 문자열은 제 1 화면에, 제 2 문자열은 제 1 화면과 오버랩(overlap)되지 않는 위치에 출력되는 제 2 화면에 출력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제 1 문자열과 제 2 문자열 간의 매칭 정보(matching inormation)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문장(sentence) 또는 문단(paragraph) 단위로 제 1 문자열과 제 2 문자열 간의 매칭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매칭 정보는 제 1 문자열(ex. 원문)의 문장 또는 문단이 제 2 문자열(ex. 번역문)의 어떠한 문장 또는 문단에 대응되는지를 가리키는 정보로 이해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생성된 매칭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제 1 문자열 또는 제 2 문자열의 소정 부분이 선택되거나 제 1 화면 또는 제 2 화면에 대한 스크롤 제어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제 1 화면 및 제 2 화면의 스크롤(scroll)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소정 부분은 예를 들어, 단어, 문장 또는 문단일 수 있다. 제어부(120)의 매칭 정보 생성에 대해서는 이하의 도 3 내지 도 5를, 생성된 매칭 정보를 이용하여 제어부(120)가 제 1 화면 및 제 2 화면의 스크롤을 제어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이하의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디스플레이부(130)는 제 1 화면 및 제 2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130)는 복수 개의 컨텐츠를 동시에 출력하기 위하여 화면을 적절히 분할하여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문자열과 제 2 문자열을 출력하기 위해 2개의 화면으로 분할하여 출력하는 것으로 가정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디스플레이부(130)는 실시 형태에 따라 3개 또는 그 이상의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3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제 1 문자열을 제 1 화면에, 제 1 문자열의 번역인 제 2 문자열을 제 2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제 1 화면 및 제 2 화면은 동일한 사이즈로 출력될 수 있다. 제 1 화면 및 제 2 화면은 독자적인 스크롤을 가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0)를 통해 출력되는 제 1 화면 및 제 2 화면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30)는 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FT LCD, Thin Film Transistor-LCD),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ED), 능동형 OLED(AMOLED, Active Matrix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벤디드 디스플레이(bended display), 그리고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명형으로 구성되는 투명 디스플레이(transparent display)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30)는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터치스크린(touchscreen)으로 마련되어 입력부(110)의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널은 디스플레이부(130)에 대한 사용자의 제스처에 응답하는 사용자 입력을 제어부(160)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손가락이나 터치 펜 등 터치 수단에 의해 발생한 사용자 입력은 터치, 멀티 터치, 탭(Tap), 더블 탭(Double Tap), 롱 탭(Long tap), 탭 앤 터치(Tap & touch), 드래그(Drag), 플릭(Flick), 프레스(Press), 핀치인(pinch in) 및 핀치아웃(pinch out)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제 1 문자열 및/또는 제어부(120)에 의해 생성되는 제 2 문자열을 일시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제 1 문자열 및 제 2 문자열 간의 매칭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예를 들어,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마이크로 타입(micro type), 및 카드 타입(예컨대, SD 카드(Secure Digital Card) 또는 XD 카드(eXtream Digital Card)) 등의 메모리와,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M), 롬(ROM,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M), 자기 메모리(MRAM, Magnetic RAM), 자기 디스크(magnetic disk), 및 광디스크(optical disk) 타입의 메모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타입의 기록 매체(storage medium)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50)는 제 1 문자열 및 제 2 문자열을 다른 단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다른 단말 장치는 단말 장치(100)와 사용 주체가 상이한 단말 장치를 의미하며, 이동통신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전자수첩, 스마트 폰, 태블릿 PC(Personal Computer) 및 PC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통신부(150)는 예를 들어, 이메일, 파일 등 다양한 포맷을 통해 제 1 문자열 및 제 2 문자열을 다른 단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사용자 간에 데이터 공유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50)는 입력되는 제 1 문자열을 번역을 위해 외부의 서버로 전달할 수도 있으며, 이는 이하의 도 13을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음성출력부(160)는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제 1 문자열 및/또는 제어부(120)에 의해 생성되는 제 2 문자열을 미리 설정된 각각의 언어로 음성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100)는 서로 다른 화면에 출력되는 제 1 문자열 및 제 2 문자열 간의 매칭 정보를 생성하고, 사용자로부터 제 1 문자열 또는 제 2 문자열의 소정 부분이 선택되거나 제 1 화면 또는 제 2 화면에 대한 스크롤 제어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매칭 정보를 이용하여 제 1 화면 및 제 2 화면의 스크롤(scroll)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사용자로부터 제 1 문자열의 소정 부분이 선택되는 경우 매칭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소정 부분에 대응되는 제 2 문자열의 대응 부분을 검출하고, 검출된 대응 부분이 제 2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 2 화면의 스크롤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사용자로부터 제 2 문자열의 소정 부분이 선택되는 경우 매칭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소정 부분에 대응되는 제 1 문자열의 대응 부분을 검출하고, 검출된 대응 부분이 제 1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 1 화면의 스크롤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사용자로부터 제 1 화면 또는 제 2 화면에 대한 스크롤 제어 명령(예를 들어, 스크롤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매칭 정보를 이용하여 제 1 화면 및 제 2 화면의 스크롤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문자열(ex. 원문)과 제 2 문자열(ex. 번역문)에 대한 사용자의 가독성 및 이해도가 향상될 수 있다. 이는, 제 1 문자열이 대량인 경우 더욱 효과적일 수 있으며, 별도의 스크롤 제어를 통해 제 1 문자열의 소정 부분에 대응되는 부분이 제 2 문자열의 어떠한 부분인지를 검색해야하는 사용자의 수고를 덜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단말 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화면을 예시적으로 보여준다. 도 2 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 1 문자열이 제 1 화면의 표시 범위에 모두 표시되는 것으로 도시되나, 실시예에 따라 제 1 문자열의 입력량이 많아지는 경우 제 1 화면의 표시 범위를 초과할 수 있다. 표시 범위는 제 1 화면이 스크롤 변화 없이 문자열을 표시할 수 있는 범위로 이해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제어부(120)는 제 1 문자열을 번역하여 제 2 문자열을 생성하는 것으로 가정되어 설명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30)는 제 1 화면(131) 및 제 2 화면(132)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제 1 화면(131)이 상부에, 제 2 화면(132)이 하부에 출력되는 것으로 도시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문자열(S1)은 제 1 화면(131)에, 제 2 문자열(S2)은 제 2 화면(132)에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 1 문자열(S1)은 한국어로, 제 2 문자열(S2)은 영어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의 설정 및 프로그램 설계에 따라 다양한 언어가 제공될 수 있음은 잘 이해될 것이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30)는 미리 설정된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제공할 수 있다. 각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경우, 제어부(120)는 대응되는 기능이 실행되도록 입력부(110), 디스플레이부(130), 통신부(150), 및 음성출력부(160)를 각각 제어할 수 있다.
확대 인터페이스(131a)는 제 1 화면(131)의 사이즈를 증가시켜 제 1 화면(131)이 디스플레이부(130)의 전체 화면으로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20)는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음성 입력 인터페이스(131b)는 입력부(110)의 문자열 입력 방식을 음성 입력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20)는 입력부(110)를 제어하여 입력 수단을 예를 들어, 마이크(미도시) 및 음성 인식 모듈(미도시)로 변경할 수 있다.
언어 선택 인터페이스(132c)는 입력부(110)에 입력된 언어를 다른 언어(예를 들어, 영어, 중국어 등)로 변경할 수 있다.
제 2 화면(132)의 확대 인터페이스(132a), 음성 입력 인터페이스(132b), 및 언어 선택 인터페이스(132c)는 각각 제 1 화면(131)의 확대 인터페이스(131a), 음성 입력 인터페이스(131b), 및 언어 선택 인터페이스(131c)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30)는 동기화 모드 설정 인터페이스(133) 및 공유 인터페이스(134)를 제공할 수 있다.
동기화 모드 설정 인터페이스(133)는 제 1 화면 및 제 2 화면의 동기화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동기화 모드는 제어부(120)에 의해 제 1 화면 및 제 2 화면의 스크롤이 동시에 제어되는 동작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동기화 모드 설정 인터페이스(133)가 선택된 동기화 모드에서 제 1 화면 및 제 2 화면에 대한 스크롤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고, 동기화 모드 설정 인터페이스(133)가 선택되지 않은 일반 모드에서는 제 1 화면 및 제 2 화면의 스크롤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공유 인터페이스(134)는 제 1 문자열(S1) 및 제 2 문자열(S2)을 다른 단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20)는 통신부(150)를 활성화시킬 것이다.
제 1 음성 출력 인터페이스(135)는 제 1 문자열을 해당 언어의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제 2 음성 출력 인터페이스(136)는 제 2 문자열을 해당 언어의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20)는 음성출력부(16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도 1의 제어부가 문장 단위로 매칭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에서 디스플레이부(130)는 라인(line) 단위로 문자열을 출력하는 것으로 가정된다. 예를 들어, 하나의 라인에는 미리 설정된 수의 문자가 표시될 수 있으며, 문자열이 미리 설정된 수의 문자를 초과하는 경우 다음 라인에 표시될 것이다. 각 라인은 디스플레이부(130)의 각 화면의 최상단부터 순번값을 가지고, 최상단의 라인에는 문자열이 출력되지 않으며, 0의 순번값을 갖는 것으로 가정된다.
또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제어부(120)는 개행 문자(line feed character) 단위로 제 1 문자열을 번역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문자열 및 제 2 문자열의 개행 문자의 수는 동일할 것이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120)는 개행 문자를 이용하여 제 1 문자열(S1) 및 제 2 문자열(S2) 간의 문장 단위의 매칭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20)는 제 1 문자열(S1) 및 제 2 문자열(S2)의 개행 문자들의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각각의 개행 문자는 (x, y)의 배열 형태의 위치 정보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x는 개행 문자에 의해 개시되는 문장의 이전 라인의 순번값을, y는 개행 문자에 의해 개시된 문장이 종결되는 라인의 순번값을 의미할 수 있다(x≥0, y≥0, x, y는 정수).
예를 들어, 제 1 문자열(S1)의 각 문장들은 하나의 라인에 모두 출력이 되므로, 공백 라인을 포함하여 총 6개의 개행 문자를 가질 수 있다. 즉, 제 1 문자열(S1)의 첫 번째 개행 문자는 첫 번째 라인에 대응되고, 첫 번째 개행 문자의 위치 정보는 (0, 1)의 배열 형태로 생성될 수 있다. 제 1 문자열(S1)의 두 번째 개행 문자는 두 번째 라인에 대응되고, 두 번째 개행 문자의 위치 정보는 (1, 2)의 배열 형태로 생성될 수 있다. 제 1 문자열(S1)의 세 번째 내지 여섯 번째 개행 문자 역시 상술한 방법으로 위치 정보가 생성될 것이다.
반면에, 제 2 문자열(S2)의 첫 번째 문장은 하나의 라인을 초과한다. 즉, 제 2 문자열(S2)의 첫 번째 개행 문자는 첫 번째 및 두 번째 라인에 대응되고, 따라서 첫 번째 개행 문자의 위치 정보는 (0, 2)의 배열 형태로 생성될 수 있다. 제 2 문자열(S2)의 두 번째 개행 문자는 세 번째 라인에 대응되고, 이는 (2, 3)의 배열 형태로 생성될 수 있다. 제 2 문자열(S2)의 세 번째 내지 여섯 번째 개행 문자 역시 상술한 방법으로 위치 정보가 생성될 것이다.
결과적으로, 제 1 문자열(S1) 및 제 2 문자열(S2) 각각의 첫 번째 개행 문자는 (0, 1) 및 (0, 2)의 매칭 정보를 가질 수 있다. 제 1 문자열(S1) 및 제 2 문자열(S2) 각각의 두 번째 개행 문자는 (1, 2) 및 (2, 3)의 매칭 정보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따라서, 제어부(120)는 사용자로부터 제 1 문자열(S1)의 소정 문장(예를 들어, 세 번째 개행 문자이자 (2, 3)의 위치 정보를 갖는)이 선택되는 경우, 매칭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소정 문장의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제 2 문자열(S2)의 대응 문장(즉, 세 번째 개행 문자이자 (3, 4)의 위치 정보를 갖는)의 위치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대응 문장이 제 2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 2 화면의 스크롤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사용자로부터 제 1 화면 또는 제 2 화면에 대한 스크롤 제어 명령(예를 들어, 스크롤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매칭 정보를 이용하여 스크롤 제어 명령이 입력된 화면(ex. 제 1 화면)에 표시되는 최상단 문장의 개행 문자의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다른 화면(ex. 제 2 화면)의 대응 문장의 개행 문자의 위치 정보를 검색하여, 제 1 화면 및 제 2 화면의 스크롤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120)는 마침표(period)를 이용하여 문장 단위의 매칭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20)는 제 1 문자열(S1) 및 제 2 문자열(S1)의 문장들의 마침표의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문자열(S1)의 문장들은 각각 하나의 마침표를 가질 수 있다. 즉, 제 1 문자열(S1)의 첫 번째 마침표는 첫 번째 라인에 대응되고, 첫 번째 마침표의 위치 정보는 (0, 1)의 배열 형태로 생성될 수 있다. 제 1 문자열(S1)의 두 번째 마침표는 세 번째 라인에 대응되고, 두 번째 마침표의 위치 정보는 (2, 3)의 배열 형태로 생성될 수 있다. 제 1 문자열(S1)의 세 번째 및 네 번째 마침표 역시 상술한 방법으로 위치 정보가 생성될 것이다.
반면에, 제 2 문자열(S2)의 첫 번째 문장은 하나의 라인을 초과한다. 즉, 제 2 문자열(S2)의 첫 번째 마침표는 두 번째 라인에 대응되고, 따라서 첫 번째 마침표의 위치 정보는 (0, 2)의 배열 형태로 생성될 수 있다. 제 2 문자열(S2)의 두 번째 마침표는 네 번째 라인에 대응되고, 이는 (3, 4)의 배열 형태로 생성될 수 있다. 제 2 문자열(S2)의 세 번째 및 네 번째 마침표 역시 상술한 방법으로 위치 정보가 생성될 것이다.
결과적으로, 제 1 문자열(S1) 및 제 2 문자열(S2) 각각의 첫 번째 마침표는 (0, 1) 및 (0, 2)의 매칭 정보를 가질 수 있다. 제 1 문자열(S1) 및 제 2 문자열(S2) 각각의 두 번째 마침표는 (2, 3) 및 (3, 4)의 매칭 정보를 가질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제어부가 문단 단위로 매칭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120)는 마침표와 공백 라인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문단 단위의 매칭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제어부(120)는 마침표를 이용하여 제 1 문자열(S1) 및 제 2 문자열(S2) 간의 문장 단위의 매칭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문자열(S1)의 첫 번째 문장과 두 번째 문장 사이에는 공백 라인이 존재한다. 이처럼, 문장 사이에 공백 라인이 존재하는 경우 개행 문자를 이용한 경우와 달리, 마침표의 위치 정보들에는 불연속성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문자열(S1)의 두 번째 라인에는 마침표가 없으므로 첫 번째 마침표의 위치 정보는 (0, 1)의 배열 형태를, 두 번째 마침표의 위치 정보는 (2, 3)의 배열 형태로 생성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이러한 불연속성에 기초하여 문단 단위의 매칭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제어부(120)는 위치 정보의 불연속성이 발견되는 지점을 기준으로 문단의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제 1 문자열(S1)의 첫 번째 문장은 첫 번째 문단이며, 첫 번째 문단의 위치 정보는 (0, 1)의 배열 형태로 생성될 수 있다. 반면에, 제 2 문자열(S2)의 첫 번째 문장은 첫 번째 문단이며, 첫 번째 문단의 위치 정보는 (0, 2)의 배열 형태로 생성될 수 있다. 나아가, 제 1 문자열(S1)의 두 번째 문장 및 세 번째 문장은 두 번째 문단이며, 두 번째 문단의 위치 정보는 (2, 4)의 배열 형태로 생성될 수 있다. 반면에, 제 2 문자열(S2)의 두 번째 문장 및 세 번째 문장은 두 번째 문단이며, 두 번째 문단의 위치 정보는 (3, 5)의 배열 형태로 생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20)는 사용자로부터 제 1 문자열(S1)의 소정 문단이 선택되는 경우, 매칭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소정 문단의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제 2 문자열(S2)의 대응 문단의 위치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대응 문단이 제 2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 2 화면의 스크롤을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스크롤 제어 명령 입력에 따른 제어부의 스크롤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6에서는 제 1 문자열(S1)의 입력량이 많아 스크롤 바(131d)가 생성된 경우로 가정된다. 스크롤 바(131d, 132d)는 화면의 스크롤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이해될 수 있다.
먼저, 도 6의 (a)를 참조하면, 제 1 화면(131) 및 제 2 화면(132)의 스크롤 바(131d, 132d)는 최상단에 위치하는 것으로 가정된다.
도 6의 (b)를 참조하면, 사용자에 의해 제 1 화면(131)에 대한 스크롤 제어 명령이 입력된다. 스크롤 제어 명령은 사용자에 의해 스크롤 바(131d)가 제어되는 것으로 구현될 수 있다. 스크롤 제어 명령은 예를 들어, 스크롤을 위(up) 혹은 아래(down)로 이동시키는 제어 명령일 수 있다.
도 6의 (c)를 참조하면, 제어부(12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제 1 화면(131)에 대한 스크롤 제어 명령에 따라, 매칭 정보를 이용하여 제 1 화면(131)에 표시되는 최상단 문장의 개행 문자의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다른 화면(ex. 제 2 화면)의 대응 문장의 개행 문자의 위치 정보를 검색하여, 제 1 화면 및 제 2 화면의 스크롤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스크롤 바(131d) 및 스크롤 바(132d)는 동시에 위 또는 아래 방향으로 제어될 것이다.
도 7 내지 도 9는 제 1 문자열의 소정 부분 선택에 따른 제어부의 스크롤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9에서는 제 1 문자열의 소정 부분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경우가 도시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 2 문자열의 소정 부분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경우도 이하에서 설명되는 기술적 사상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확대 인터페이스(131a), 음성 입력 인터페이스(131b), 언어 선택 인터페이스(131c), 동기화 모드 설정 인터페이스(133), 및 공유 인터페이스(134)는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먼저, 도 7의 (a)를 참조하면, 제 1 화면(131)에 표시된 제 1 문자열(S1)과 제 2 화면(132)에 표시된 제 2 문자열(S2)은 스크롤이 서로 어긋난 상태(예를 들어, 서로 관련성 없는 부분이 표시된 상태)로 가정된다.
도 7의 (b)를 참조하면, 사용자에 의해 제 1 화면(131)의 제 1 문자열(S1)의 소정 부분이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소정 부분은 사용자의 터치 또는 비접촉 근접 터치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비접촉 근접 터치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30)의 화면에 접촉하지 않더라도, 화면으로의 접근을 감지하여 사용자의 제스처에 따른 기능을 실행하는 기술로 이해될 수 있다. 비접촉 근접 터치는 호버링(hovering)과 같은 용어로도 사용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7의 (b)를 참조하면, 사용자에 의해 제 1 문자열(S1)의 소정 문장(ex. '캠페인은 현금과 일치되었다')이 선택되는 경우가 도시된다. 제어부(120)는 예를 들어, 선택된 소정 문장을 하이라이트(H1)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매칭 정보를 이용하여 선택된 상기 소정 문장의 개행 문자의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제 2 문자열(S2)의 대응 문장(ex. 'The campaign was matched with cash')의 위치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도 7의 (c)를 참조하면, 제어부(120)는 검출된 제 2 문자열(S2)의 대응 문장(ex. 'The campaign was matched with cash')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대응 문장이 제 2 화면(132)에 표시되도록 제 2 화면(132)의 스크롤을 제어할 수 있다. 제 2 화면(132)의 스크롤 제어는 예를 들어, 스크롤 바(132d)의 제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제 2 화면(132)에서의 제 2 문자열(S2)의 대응 문장(ex. 'The campaign was matched with cash')의 레벨(Lv2)과 제 1 화면(131)에서의 제 1 문자열(S1)의 소정 문장(ex. '캠페인은 현금과 일치되었다')의 레벨(Lv1)이 동일하도록 제 2 화면(132)의 스크롤을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20)는 제 2 문자열(S2)의 대응 문장을 하이라이트(H2)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가독성 및 이해도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의 (a)를 참조하면, 도 7의 (a)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 1 화면(131)에 표시된 제 1 문자열(S1)과 제 2 화면(132)에 표시된 제 2 문자열(S2)은 서로 매칭되지 않은 상태로 가정된다.
도 8의 (b)를 참조하면, 사용자에 의해 제 1 문자열(S1)의 소정 단어(ex. '현금')이 선택되는 경우가 도시된다. 제어부(120)는 예를 들어, 선택된 소정 단어를 하이라이트(H1)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매칭 정보를 이용하여 선택된 상기 소정 단어가 포함된 문장의 개행 문자의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제 2 문자열(S2)의 대응 문장(ex. 'The campaign was matched with cash')의 위치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도 8의 (c)를 참조하면, 제어부(120)는 검출된 제 2 문자열(S2)의 대응 문장(ex. 'The campaign was matched with cash')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대응 문장이 제 2 화면(132)에 표시되도록 제 2 화면(132)의 스크롤을 제어할 수 있다. 제 2 화면(132)의 스크롤 제어는 예를 들어, 스크롤 바(132d)의 제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20)는 검출된 제 2 문자열(S2)의 대응 문장(ex. 'The campaign was matched with cash') 내에서 상기 소정 단어(ex. '현금')에 대응되는 단어를 검색하여 하이라이트(H2) 표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의 (a)를 참조하면, 도 7의 (a)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 1 화면(131)에 표시된 제 1 문자열(S1)과 제 2 화면(132)에 표시된 제 2 문자열(S2)은 서로 매칭되지 않은 상태로 가정된다.
도 9의 (b)를 참조하면, 사용자에 의해 제 1 문자열(S1)의 소정 문단(P1)이 선택되는 경우가 도시된다. 제어부(120)는 예를 들어, 선택된 소정 문단(P1)을 하이라이트(H1)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매칭 정보(도 5 참조)를 이용하여 선택된 상기 소정 문단(P1)의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제 2 문자열(S2)의 대응 문단(P2)의 위치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도 9의 (c)를 참조하면, 제어부(120)는 검출된 제 2 문자열(S2)의 대응 문단(P2)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대응 문단(P2)이 제 2 화면(132)에 표시되도록 제 2 화면(132)의 스크롤을 제어할 수 있다. 제 2 화면(132)의 스크롤 제어는 예를 들어, 스크롤 바(132d)의 제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20)는 검출된 제 2 문자열(S2)의 대응 문단(P2)에 하이라이트(H2) 표시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은 제 1 문자열을 제 1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S110), 제 1 문자열과 관련성을 갖는 제 2 문자열을 생성하는 단계(S120), 제 1 문자열 및 제 2 문자열 간의 매칭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130), 제 2 문자열을 제 2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S140), 동기화 모드 선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50), 제 1 화면 또는 제2 화면에 대한 스크롤 제어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제 1 화면 및 제 2 화면의 스크롤을 제어하는 단계(S160), 및 제 1 화면 및 제 2 화면의 스크롤을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단계(S170)를 포함할 수 있다.
S160 단계는 S150 단계의 판단 결과 동기화 모드가 선택된 경우에, S170 단계는 S150 단계의 판단 결과 동기화 모드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에 각각 수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 S110 내지 S170의 각 단계가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먼저, S11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부(130)는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되거나 저장부(140)에 저장된 제 1 문자열(S1)을 제 1 화면(131)에 출력할 수 있다.
S120 단계에서, 제어부(120)는 제 1 문자열(S1)과 관련성을 갖는 제 2 문자열(S2)을 생성할 수 있다.
S130 단계에서, 제어부(120)는 제 1 문자열(S1) 및 제 2 문자열(S2) 간의 매칭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예를 들어, 제 1 문자열(S1) 및 제 2 문자열(S2)의 문장 또는 문단 단위로 매칭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매칭 정보 생성 과정은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할 수 있다.
S14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부(130)는 제 2 문자열(S2)을 제 2 화면(132)에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화면(132)은 제 1 화면(131)과 오버랩되지 않고, 제 1 화면(131)과 동일한 사이즈로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 2 화면(132)은 제 1 화면(131)과 동일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S150 단계에서, 제어부(120)는 사용자에 의해 동기화 모드가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동기화 모드는 제어부(120)에 의해 제 1 화면(131) 및 제 2 화면(132)의 스크롤이 동시에 제어되는 동작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기화 모드는 동기화 모드 설정 인터페이스(133, 도 2 참조)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경우 활성화될 수 있다. 동기화 모드가 선택된 경우 S160 단계가 수행된다.
S160 단계에서, 제어부(120)는 사용자로부터 제 1 화면(131) 또는 제 2 화면(132)에 대한 스크롤 제어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매칭 정보를 이용하여 제 1 화면(131) 및 제 2 화면(132)의 스크롤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20)의 구체적인 스크롤 제어 과정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다.
한편, S170 단계에서, 제어부(120)는 사용자로부터 제 1 화면(131) 또는 제 2 화면(132)에 대한 스크롤 제어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스크롤 제어 명령이 입력된 화면에 대해서만 스크롤을 제어할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S260 단계를 더욱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11 및 12에서는 제 1 문자열의 소정 부분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경우가 도시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 2 문자열의 소정 부분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경우도 이하에서 설명되는 기술적 사상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먼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은 제 1 문자열을 제 1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S210), 제 1 문자열과 관련성을 갖는 제 2 문자열을 생성하는 단계(S220), 제 1 문자열 및 제 2 문자열 간의 매칭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230), 제 2 문자열을 제 2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S240), 동기화 모드 선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50), 제 1 문자열의 소정 부분이 선택되는 경우 매칭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문자열의 대응 부분이 제 2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 2 화면의 스크롤을 제어하는 단계(S260), 제 2 문자열의 대응 부분에 하이라이트 표시하는 단계(S270), 및 제 1 화면 및 제 2 화면의 스크롤을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단계(S280)를 포함할 수 있다.
S260 단계는 매칭 정보를 이용하여 제 2 문자열의 대응 부분을 검출하는 단계(S261), 및 제 1 화면에서의 소정 부분의 레벨과 제 2 화면에서의 대응 부분의 레벨이 동일하도록 제 2 화면의 스크롤을 제어하는 단계(S262)를 포함할 수 있다.
S260 단계 및 S270 단계는 S250 단계의 판단 결과 동기화 모드가 선택된 경우에, S280 단계는 S250 단계의 판단 결과 동기화 모드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에 각각 수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 S210 내지 S280의 각 단계가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S210 단계 내지 S250 단계의 경우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된 S110 단계 내지 S150 단계와 각각 동일하므로 생략될 것이다.
S260 단계에서, 제어부(120)는 사용자에 의해 제 1 문자열(S1)의 소정 부분이 선택되는 경우 매칭 정보를 이용하여 제 2 문자열(S2)의 대응 부분이 제 2 화면(132)에 표시되도록 제 2 화면(132)의 스크롤을 제어할 수 있다.
S261 단계에서, 제어부(120)는 상기 매칭 정보를 이용하여 제 2 문자열(S2)의 대응 부분을 검출할 수 있다. 즉, 제어부(120)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매칭 정보를 이용하여 제 1 문자열(S1)의 소정 부분의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제 2 문자열(S2)의 대응 부분의 위치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S262 단계에서, 제어부(120)는 제 1 화면(131)에서의 제 1 문자열(S1)의 소정 부분의 레벨과 제 2 화면(132)에서의 제 2 문자열(S2)의 대응 부분의 레벨이 동일하도록 제 2 화면(132)의 스크롤을 제어할 수 있다.
S270 단계에서, 제어부(120)는 제 2 문자열(S2)의 대응 부분에 하이라이트 표시할 수 있다.
한편, S280 단계는,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된 S170 단계와 동일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을 보여준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1000)은 단말 장치(1100) 및 서버(1200)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 장치(1100) 및 서버(1200)는 통신망(1300)을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단말 장치(1100)는 제 1 문자열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1100)는 사용자로부터 제 1 문자열을 입력받고, 입력된 제 1 문자열을 저장할 수 있다. 도 1에서 설명된 단말 장치(100)와 달리, 단말 장치(1100)는 제 1 문자열과 관련성을 갖는 제 2 문자열을 자체적으로 생성하지 않고, 제 1 문자열을 서버(1200)로 전달할 수 있다.
서버(1200)는 단말 장치(1100)로부터 전달되는 제 1 문자열을 처리하여(예를 들어, 번역) 제 2 문자열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서버(1200)는 제 1 문자열 및 제 2 문자열 간의 매칭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매칭 정보를 단말 장치(1100)로 전달할 수 있다. 즉, 통신 시스템(1000)은 제 2 문자열 생성, 제 1 문자열 및 제 2 문자열 간의 매칭 정보 생성을 서버(1200)에서 처리하므로 단말 장치(1100)의 부하를 줄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단말 장치(1100)는 서버(1200)로부터 전달되는 제 2 문자열 및 매칭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단말 장치(1100)는 상기 매칭 정보를 이용하여 제 1 문자열 또는 제 2 문자열의 소정 부분이 선택되거나 제 1 화면 또는 제 2 화면에 대한 스크롤 제어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서버(1200)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매칭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화면 및 제 2 화면의 스크롤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4는 도 13의 통신 시스템의 동작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단말 장치(1100)는 사용자로부터 제 1 문자열을 입력받을 수 있다(S310). 한편, 도 14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단말 장치(1100)는 입력된 제 1 문자열을 제 1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말 장치(1100)는 미리 저장된 제 1 문자열을 제 1 화면에 출력할 수도 있다.
다음, 단말 장치(1100)는 제 1 문자열을 서버(1200)로 전달할 수 있다(S320). 서버(1200)는 제 1 문자열을 처리(예를 들어, 번역)하여 제 1 문자열과 관련성을 갖는 제 2 문자열을 생성할 수 있다(S330). 서버(1200)는 제 1 문자열 및 제 2 문자열 간의 매칭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1200)는 제 2 문자열 및 생성된 매칭 정보를 단말 장치(1100)로 전달할 것이다.
서버(1200)로부터 제 2 문자열 및 매칭 정보를 전달받은 단말 장치(1100)는 제 2 문자열을 제 2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S360).
다음, 단말 장치(1100)에 제 1 문자열 또는 제 1 문자열의 소정 부분이 선택되거나, 제 1 화면 또는 제 2 화면에 대한 스크롤 제어 명령이 입력될 수 있다(S370). 이 경우, 단말 장치(1100)는 서버(1200)로부터 전달된 매칭 정보를 이용하여 제 1 화면 및 제 2 화면의 스크롤을 제어할 것이다(S380).
한편, 이상에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소프트웨어(software), 하드웨어(hardware)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computer)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과 관련한 전기적인 유닛(unit)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단말 장치 131: 제 1 화면
110: 입력부 132: 제 2 화면
120: 제어부 131a, 132a: 확대 인터페이스
130: 디스플레이부 131b, 132b: 음성 입력 인터페이스
140: 저장부 131c, 132c: 언어 선택 인터페이스
150: 통신부 131d, 132d: 스크롤 바
160: 음성출력부 133: 동기화 모드 선택 인터페이스
134: 공유 인터페이스
135: 제 1 음성 출력 인터페이스
136: 제 2 음성 출력 인터페이스

Claims (22)

  1. 제 1 문자열 및 상기 제 1 문자열과 관련성을 갖는 제 2 문자열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제 1 문자열을 제 1 화면에 출력하고, 상기 제 2 문자열을 제 2 화면에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 1 문자열 및 제 2 문자열 간의 문장(sentence) 단위의 매칭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 1 문자열 또는 제 2 문자열의 소정 부분이 선택되거나 상기 제 1 화면 또는 제 2 화면에 대한 스크롤 제어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문장 단위의 매칭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화면 및 제 2 화면의 스크롤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문자열에 포함된 개행 문자(line feed character) 또는 마침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문장 단위의 매칭 정보를 생성하는 단말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문자열의 소정 부분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문장 단위의 매칭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소정 부분에 매칭되는 상기 제 2 문자열의 대응 부분을 검출하고, 상기 대응 부분이 상기 제 2 화면에 표시되도록 상기 제 2 화면의 스크롤을 제어하는 단말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화면에서의 상기 소정 부분의 레벨과 상기 제 2 화면에서의 상기 대응 부분의 레벨이 동일하도록 상기 제 2 화면의 스크롤을 제어하는 단말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대응 부분에 하이라이트(highlight) 표시하는 단말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부분 및 대응 부분은 단어, 문장, 또는 문단인 단말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화면 또는 제 2 화면에 대한 스크롤 업(up)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 1 화면 및 제 2 화면의 스크롤을 업 시키는 단말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화면 또는 제 2 화면에 대한 스크롤 다운(down)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 1 화면 및 제 2 화면의 스크롤을 다운 시키는 단말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부분은 터치 또는 비접촉 근접 터치에 의해 선택되는 단말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제 1 화면 및 제 2 화면이 서로 오버랩되지 않도록 출력하는 단말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문자열을 번역하여 상기 제 2 문자열을 생성하는 단말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문자열은 외부 서버로부터 생성되어 상기 저장부로 전달되는 단말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문장 단위의 매칭 정보를 저장하는 단말 장치.
  14. 제 1 문자열을 제 1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 1 문자열과 관련성을 갖는 제 2 문자열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문자열과 제 2 문자열 간의 문장 단위의 매칭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 2 문자열을 제 2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문자열의 소정 부분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문장 단위의 매칭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 부분에 매칭되는 상기 제 2 문자열의 대응 부분이 상기 제 2 화면에 표시되도록 상기 제 2 화면의 스크롤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문자열의 소정 부분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문장 단위의 매칭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 부분에 매칭되는 상기 제 2 문자열의 대응 부분이 상기 제 2 화면에 표시되도록 상기 제 2 화면의 스크롤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문장 단위의 매칭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대응 부분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화면에서의 상기 소정 부분의 레벨과 상기 제 2 화면에서의 상기 대응 부분의 레벨이 동일하도록 상기 제 2 화면의 스크롤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 부분에 하이라이트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단말 장치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17. 제 1 문자열을 제 1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 1 문자열과 관련성을 갖는 제 2 문자열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문자열과 제 2 문자열 간의 문장 단위의 매칭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 2 문자열을 제 2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화면 또는 제 2 화면에 대한 스크롤 제어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문장 단위의 매칭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화면 및 제 2 화면의 스크롤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화면 또는 제 2 화면에 대한 스크롤 제어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문장 단위의 매칭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화면 및 제 2 화면의 스크롤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화면 및 제 2 화면의 스크롤을 동시에 제어하는 단말 장치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19. 제 1 문자열 및 상기 제 1 문자열과 관련성을 갖는 제 2 문자열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제 1 문자열을 제 1 화면에 출력하고, 상기 제 2 문자열을 제 2 화면에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 1 문자열 및 제 2 문자열 간의 문단(paragraph) 단위의 매칭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 1 문자열 또는 제 2 문자열의 소정 부분이 선택되거나 상기 제 1 화면 또는 제 2 화면에 대한 스크롤 제어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문단 단위의 매칭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화면 및 제 2 화면의 스크롤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
  20. 제 1 문자열을 저장하는 단말; 및
    상기 단말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제 1 문자열을 처리하여 상기 제 1 문자열과 관련성을 갖는 제 2 문자열을 생성하고, 상기 제 1 문자열 및 제 2 문자열 간의 문장 단위의 매칭 정보를 생성하는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제 2 문자열 및 상기 문장 단위의 매칭 정보를 상기 단말로 전달하고,
    상기 단말은 상기 제 1 문자열을 제 1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제 2 문자열을 제 2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단말은 상기 제 1 문자열 또는 제 2 문자열의 소정 부분이 선택되거나 상기 제 1 화면 또는 제 2 화면에 대한 스크롤 제어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서버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문장 단위의 매칭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화면 및 제 2 화면의 스크롤을 제어하는 통신 시스템.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상기 제 1 문자열 및 제 2 문자열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제 1 문자열을 제 1 화면에 출력하고, 상기 제 2 문자열을 제 2 화면에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 1 문자열 또는 제 2 문자열의 소정 부분이 선택되거나 상기 제 1 화면 또는 제 2 화면에 대한 스크롤 제어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문장 단위의 매칭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화면 및 제 2 화면의 스크롤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문자열의 소정 부분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문장 단위의 매칭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소정 부분에 매칭되는 상기 제 2 문자열의 대응 부분을 검출하고, 상기 대응 부분이 상기 제 2 화면에 표시되도록 상기 제 2 화면의 스크롤을 제어하는 통신 시스템.
KR1020130153725A 2013-12-11 2013-12-11 단말 장치 및 그것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단말 장치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KR2015006801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3725A KR20150068017A (ko) 2013-12-11 2013-12-11 단말 장치 및 그것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단말 장치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US14/310,980 US20150161091A1 (en) 2013-12-11 2014-06-20 Terminal device,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of the terminal device, and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the terminal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3725A KR20150068017A (ko) 2013-12-11 2013-12-11 단말 장치 및 그것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단말 장치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8017A true KR20150068017A (ko) 2015-06-19

Family

ID=53271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3725A KR20150068017A (ko) 2013-12-11 2013-12-11 단말 장치 및 그것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단말 장치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50161091A1 (ko)
KR (1) KR2015006801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79795B (zh) * 2017-07-07 2020-06-23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滚动处理方法、装置及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74204A (ja) * 1996-06-28 1998-03-17 Toshiba Corp 機械翻訳方法及び原文・訳文表示方法
US7877251B2 (en) * 2007-05-07 2011-01-25 Microsoft Corporation Document translation system
US8135574B2 (en) * 2007-11-15 2012-03-13 Weikel Bryan T Creating and displaying bodies of parallel segmented tex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161091A1 (en) 2015-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52448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removing or replacing on-keyboard prediction candidates
US9684446B2 (en) Text suggestion output using past interaction data
US9557913B2 (en) Virtual keyboard display having a ticker proximate to the virtual keyboard
US20150160855A1 (en) Multiple character input with a single selection
US8656296B1 (en) Selection of characters in a string of characters
EP3005066B1 (en) Multiple graphical keyboards for continuous gesture input
US8782550B1 (en) Character string replacement
CA2820997C (en) Methods and systems for removing or replacing on-keyboard prediction candidates
KR101750968B1 (ko) 일관된 텍스트 제안 출력
US10095405B2 (en) Gesture keyboard input of non-dictionary character strings
EP2592567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removing or replacing keyboard prediction candidates
US9199155B2 (en) Morpheme-level predictive graphical keyboard
US20140164981A1 (en) Text entry
US8812973B1 (en) Mobile device text-formatting
US20150082234A1 (en) Electronic device and text-input interface displaying method thereof
US20140006937A1 (en) Character function user interface
KR20150068017A (ko) 단말 장치 및 그것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단말 장치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US10152172B2 (en) Keyboard device and keyboard control method
US11086410B2 (en) Apparatus for text entry and associated methods
US10908697B2 (en) Character editing based on selection of an allocation pattern allocating characters of a character array to a plurality of selectable keys
KR20110137499A (ko) 어안효과에 기반한 터치스크린 한글 입력 방법,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전자 기기
KR20080045398A (ko)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문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