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7812A - 제어 단말과 연동하여 청각 기기를 관리하는 스테이션 - Google Patents

제어 단말과 연동하여 청각 기기를 관리하는 스테이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7812A
KR20150067812A KR1020130152592A KR20130152592A KR20150067812A KR 20150067812 A KR20150067812 A KR 20150067812A KR 1020130152592 A KR1020130152592 A KR 1020130152592A KR 20130152592 A KR20130152592 A KR 20130152592A KR 20150067812 A KR20150067812 A KR 201500678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ion
unit
charging
control terminal
dr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2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종민
신희숙
정지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525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67812A/ko
Priority to US14/561,685 priority patent/US20150162770A1/en
Publication of KR201500678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78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2Phase substances, e.g. smokes, aerosols or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3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 B08B1/32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using rotary cleaning memb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17Hearing device specific tools used for storing or handling hearing devices or parts thereof, e.g. placement in the ear, replacement of cerumen barriers, repair, cleaning hearing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Neurosurge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제어 단말과 연동하여 청각 기기를 관리하는 스테이션이 개시된다. 스테이션은 청각 기기의 건조, 청소, 소독, 충전, 설정 등 다양한 동작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를 외부에 위치한 제어 단말을 통해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제어 단말과 연동하여 청각 기기를 관리하는 스테이션 {STATION FOR MANAGING HEARING APPARATUS INTERLINKING CONTROL DEVICE}
아래의 실시예들은 청각 기기를 보관하는 스테이션에 관한 것으로, 스테이션의 외부에 위치한 제어 단말을 통해 스테이션의 다양한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보청기와 같은 청각 기기는 사용자의 귀에 착용된 후에, 사용되지 않으면 별도의 장소에 보관될 필요가 있다. 현재 보청기를 보관하는 도구들은 안경 보관 케이스와 같이 단순히 외부로부터 보호하고자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보청기를 보관하는 것과 더불어 보청기의 기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다양한 관리가 필요하다. 뿐만 아니라, 보청기의 관리를 위해서 외부에서 쉽게 확인이 가능한 방식도 다양한 네트워크 장치의 발전에 따라 요구되고 있다.
일실시예들은 보청기와 같은 청각 기기를 보관하는 것과 더불어 청각 기기를 건조, 청소, 소독, 충전, 설정할 수 있는 스테이션을 제공한다.
일실시예들은 청각 기기를 관리하기 위한 건조, 청소, 소독, 충전, 설정 등의 동작들을 스테이션의 외부에 위치한 제어 단말을 통해 제어할 수 있는 스테이션을 제공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션은 제어 단말과 연동하여 청각 기기를 관리하고, 스테이션에 배치된 청각 기기를 건조하는 건조부; 및 상기 제어 단말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건조부의 동작 파라미터를 조절하는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션에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청각 기기의 건조 시간, 건조 세기, 건조 주기, 건조 예약 또는 건조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건조부의 동작 파라미터를 조절하는 제어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션은, 건조부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알림창이 설치되어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션은, 스테이션은, 건조부의 동작 상태에 따라 색상 표현이 달라지는 조명 기기가 설치되어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션은 제어 단말과 연동하여 청각 기기를 관리하고, 스테이션에 배치된 청각 기기를 청소하는 청소부; 및 상기 제어 단말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청소부의 동작 파라미터를 조절하는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션에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청각 기기를 청소하기 위한 바람 세기, 흡입 세기, 솔의 회전 속도, 상기 청각 기기의 청소 상태, 청소 주기, 또는 청소 예약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청소부의 동작 파라미터를 조절하는 제어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션은 청소부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알림창이 설치되어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션은 청소부의 동작 상태에 따라 색상 표현이 달라지는 조명 기기가 설치되어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션은 제어 단말과 연동하여 청각 기기를 관리하고, 스테이션에 배치된 청각 기기를 소독하는 소독부; 및 상기 제어 단말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소독부의 동작 파라미터를 조절하는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션에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청각 기기의 소독 시간, 소독 주기, 소독약 교체, 소독 예약 또는 소독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소독부의 동작 파라미터를 조절하는 제어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션은 소독부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알림창이 설치되어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션은 소독부의 동작 상태에 따라 색상 표현이 달라지는 조명 기기가 설치되어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션은 제어 단말과 연동하여 청각 기기를 관리하고, 스테이션에 배치된 청각 기기를 충전하는 충전부; 및 상기 제어 단말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충전부의 동작 파라미터를 조절하는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션에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청각 기기의 충전 시간, 충전 완료, 충전 주기, 충전 예약 또는 충전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충전부의 동작 파라미터를 조절하는 제어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션은 충전부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알림창이 설치되어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션은 충전부의 동작 상태에 따라 색상 표현이 달라지는 조명 기기가 설치되어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션은 제어 단말과 연동하여 청각 기기를 관리하고, 스테이션에 배치된 청각 기기의 어플리케이션을 설정하는 설정부; 및 상기 제어 단말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설정부의 동작 파라미터를 조절하는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션에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청각 기기의 파라미터 또는 펌웨어 업그레이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설정부의 동작 파라미터를 조절하는 제어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션은 설정부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알림창이 설치되어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션은 설정부의 동작 상태에 따라 색상 표현이 달라지는 조명 기기가 설치되어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보청기와 같은 청각 기기를 보관하는 것과 더불어 청각 기기를 건조, 청소, 소독, 충전, 설정하여 청각 기기를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청각 기기를 관리하기 위한 건조, 청소, 소독, 충전, 설정 등의 동작들을 스테이션의 외부에 위치한 제어 단말을 통해 제어할 수 있어서, 스테이션을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청각 기기의 스테이션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션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청각 기기의 건조를 위한 제어 단말의 기능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청각 기기의 청소를 위한 제어 단말의 기능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청각 기기의 소독을 위한 제어 단말의 기능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청각 기기의 충전을 위한 제어 단말의 기능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청각 기기의 설정을 위한 제어 단말의 기능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청각 기기의 스테이션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스테이션(102)에 청각 기기(103)가 보관될 수 있다. 일례로, 스테이션(102)은 단순히 청각 기기(103)를 보관하는 것 이외에 건조, 청소, 충전, 소독, 설정 등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스테이션(102)은 고정된 형태이거나 또는 휴대가 가능한 소형일 수 있다.
특히, 제어 단말(101)이 전달한 제어 명령에 따라 스테이션(102)의 다양한 동작들이 제어될 수 있다. 여기서, 제어 단말(101)은 스테이션(102)의 외부에 위치하며 네트워크를 통해 제어 명령을 스테이션(102)에 전달할 수 있다. 일례로, 제어 단말(101)은 네트워크가 가능하고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스마트폰, 휴대폰, PDA, 테블릿 PC, 스마트 워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단말(101)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인 NFC, WiFi, BlueTooth, RFID 등 다양한 형태의 통신 방식으로 제어 명령을 스테이션(102)에 전달할 수 있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션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스테이션(102)는 통신부(201), 건조부(202), 충전부(203), 소독부(204), 청소부(205) 및 설정부(206)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건조부(202), 충전부(203), 소독부(204), 청소부(205) 및 설정부(206)는 실시예에 따라 스테이션(102)에 포함되거나 제외될 수 있다.
통신부(201)는 제어 단말(101)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건조부(202), 충전부(203), 소독부(204), 청소부(205) 또는 설정부(206)의 동작 파라미터를 조절하는 제어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건조부(202), 충전부(203), 소독부(204), 청소부(205) 또는 설정부(206)의 동작 파라미터에 대해서는 도 4 내지 도 8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건조부(202)는 스테이션에 배치된 청각 기기를 건조할 수 있다. 충전부(203)는 스테이션에 배치된 청각 기기를 충전할 수 있다. 소독부(204)는 스테이션에 배치된 청각 기기를 소독할 수 있다. 청소부(205)는 스테이션에 배치된 청각 기기를 청소할 수 있다. 설정부(206)는 스테이션에 배치된 청각 기기의 어플리케이션을 설정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션(101)은 청각 기기와 관련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며, 외부에 위치한 제어 단말(101)을 통해 편리하게 기능이 제어될 수 있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서, 알림창(301)은 건조부(202), 충전부(203), 소독부(204), 청소부(205) 또는 설정부(206)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다. 여기서, 동작 상태는 건조부(202), 충전부(203), 소독부(204), 청소부(205) 또는 설정부(206)와 관련된 세부 설정 정보, 동작 진행 정도, 동작 완료 메시지 등을 의미한다.
즉, 스테이션(102)에 배치된 청각 기기(103)를 관리하기 위한 다양한 건조부(202), 충전부(203), 소독부(204), 청소부(205) 또는 설정부(206)의 동작 상태가 외부의 LCD, LED와 같은 디스플레이 형태인 알림창(301)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스테이션(101)은 건조부(202), 충전부(203), 소독부(204), 청소부(205) 또는 설정부(206)의 동작 상태에 따라 색상 표현이 달라지는 조명 기기(302)가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조부(202), 충전부(203), 소독부(204), 청소부(205) 또는 설정부(206) 중 어느 하나가 동작 중인 경우, 조명 기기(302)는 빨간색을 나타내고, 동작이 완료되면 조명 기기(302)는 녹색을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스테이션(102)은 간단한 스위치 동작으로 스테이션의 표지 디자인을 변경할 수도 있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청각 기기의 건조를 위한 제어 단말의 기능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제어 단말(101)은 건조부(202)의 다양한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은 제어 단말(101)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간단한 입력만으로 스테이션(102)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도 4에서 제어 단말(101)은 건조부(202)의 건조 시간, 건조 세기, 건조 주기, 건조 예약, 건조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청각 기기는 습기에 약하기 때문에 건조가 중요하다. 그리고, 건조를 통해 습기가 제대로 제거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렵기 때문에, 스테이션(102)에 구비된 습도 센서가 청각 기기의 습도를 체크한 후 네트워크를 통해 습도를 제어 단말(102)에 제공할 수 있다.
건조 시간은 건조부(202)가 미리 설정된 온도의 바람으로 청각 기기를 건조하는 시간을 의미한다. 건조 세기는 청각 기기를 건조할 때 사용하는 바람의 풍속이나 또는 바람의 온도를 의미한다. 건조 주기는 미리 설정된 온도의 바람으로 청각 기기를 건조하는 주기를 의미한다. 건조 예약은 미리 설정된 온도의 바람으로 청각 기기를 현재 시점으로부터 장래의 특정 시점에 건조를 하도록 예약하는 것을 의미한다. 건조 상태는 청각 기기의 건조가 완료되었는지, 청각 기기의 건조 상태가 어느 정도인지를 나타낸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청각 기기의 청소를 위한 제어 단말의 기능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제어 단말(101)은 청소부(205)의 다양한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은 제어 단말(101)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간단한 입력만으로 스테이션(102)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도 5에서 제어 단말(101)은 청소부(205)의 바람 세기, 흡입 세기, 회전 속도, 청소 상태, 청소 주기, 청소 예약을 제어할 수 있다. 청각 기기는 인체의 귀에 착용되기 때문에, 귀지(ear wax)가 묻어있을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귀지는 위생상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청각 기기의 오작동을 야기할 수 있기 때문에 청소하여 제거할 필요가 있다.
청소부(205)의 바람 세기는 귀지를 제거하기 위해 청각 기기에 분사하는 바람의 풍속을 의미한다. 흡입 세기는 귀지를 제거하기 위해 청각 기기에 석션(suction)하는 바람의 풍속을 의미한다. 회전 속도는 귀지를 제거하기 위해 청각 기기에 접촉하는 솔의 회전 속도를 의미한다. 청소 상태는 청각 기기에서 귀지를 제거한 정도 또는 청소부(205)의 청소 동작이 진행 상태, 완료 상태 등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청소 예약은 청소부(205)가 현재 시점으로부터 장래의 특정 시점에 청각 기기를 청소하도록 예약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청각 기기의 소독을 위한 제어 단말의 기능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제어 단말(101)은 소독부(204)의 다양한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은 제어 단말(101)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간단한 입력만으로 스테이션(102)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도 6에서 제어 단말(101)은 소독부(204)의 소독 시간, 소독 주기, 소독약 교체, 소독 상태 또는 소독 예약을 제어할 수 있다. 청각 기기는 인체의 귀에 착용되기 때문에, 귀지(ear wax)가 묻어있을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귀지는 위생상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청각 기기의 오작동을 야기할 수 있기 때문에 청소 뿐만 아니라 소독까지 하여 청각 기기를 청결하게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소독 시간은 소독부(204)가 청각 기기에 소독약을 분사하는 시간을 의미한다. 소독 주기는 소독부(204)가 청각 기기에 소독약을 분사하는 주기를 의미한다. 소독약 교체는 소독부(204)가 청각 기기에 소독할 때 사용하는 소독양의 정도를 파악한 후, 소독약을 교환하거나 채우는 것을 의미한다. 소독 상태는 청각 기기의 소독 정도, 소독이 어느 정도 진행되었는지, 소독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소독 예약은 소독부(204)가 현재 시점으로부터 장래의 특정 시점에 청각 기기를 소독하도록 예약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청각 기기의 충전을 위한 제어 단말의 기능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고하면, 제어 단말(101)은 충전부(203)의 다양한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은 제어 단말(101)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간단한 입력만으로 스테이션(102)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도 7에서 제어 단말(101)은 충전부(203)의 충전 시간, 충전 완료, 충전 상태, 충전 주기, 충전 예약을 제어할 수 있다. 청각 기기의 내부에는 배터리가 내장되어 있으며, 외부의 소리를 사용자의 귀에 전달하는 과정에서 내부 프로세서의 동작으로 인해 배터리가 소모될 수 있다. 그래서, 청각 기기를 스테이션에 보관하는 경우, 청각 기기에 내장된 배터리를 충전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배터리의 충전 방식은, 스테이션(102)에 설치된 태양 전지를 통해 충전하는 방식, 스테이션(102)에 설치된 전원 연결을 통해 충전하는 방식, 스테이션(102)의 내부에 설치된 자석과 청각 기기의 내부에 설치된 코일 과의 공진을 통한 무선 충전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충전 시간은 청각 기기에 내장된 배터리를 충전하는 시간을 의미한다. 충전 완료는 청각 기기에 내장된 배터리가 충전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충전 상태는 청각 기기에 내장된 배터리에 얼마만큼 충전이 되었는지를 나타낸다. 충전 주기는 청각 기기를 충전하는 주기를 의미한다. 충전 예약은 충전부(203)가 현재 시점으로부터 장래의 특정 시점에 청각 기기를 충전하도록 예약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청각 기기의 설정을 위한 제어 단말의 기능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고하면, 제어 단말(101)은 설정부(206)의 다양한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은 제어 단말(101)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간단한 입력만으로 스테이션(102)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도 8에서 제어 단말(101)은 설정부(206)의 파라미터 조절과 펌웨어 업그레이드를 제어할 수 있다. 청각 기기는 인체의 귀에 착용되며 인체의 귀의 특성은 계속해서 동일하게 유지되는 것이 아니므로 인체의 귀에 맞도록 셋팅될 필요가 있다. 한편, 청각 기기의 소프트웨어들이 업그레이드되면서 이를 반영하기 위한 펌웨어도 함께 업그레이드될 필요가 있다.
파라미터 조절은 사용자가 들을 수 있는 주파수 대역을 조절하는 것을 의미한다. 펌웨어 업그레이드는 청각 기기에 내장된 프로세서의 소프트웨어의 버전을 최신의 상태로 변경하는 것을 의미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션은 제어 단말과 연동하여 청각 기기를 관리하고, 스테이션에 배치된 청각 기기를 건조하는 건조부; 및 상기 제어 단말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건조부의 동작 파라미터를 조절하는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션에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청각 기기의 건조 시간, 건조 세기, 건조 주기, 건조 예약 또는 건조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건조부의 동작 파라미터를 조절하는 제어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션은, 건조부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알림창이 설치되어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션은, 스테이션은, 건조부의 동작 상태에 따라 색상 표현이 달라지는 조명 기기가 설치되어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션은 제어 단말과 연동하여 청각 기기를 관리하고, 스테이션에 배치된 청각 기기를 청소하는 청소부; 및 상기 제어 단말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청소부의 동작 파라미터를 조절하는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션에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청각 기기를 청소하기 위한 바람 세기, 흡입 세기, 솔의 회전 속도, 상기 청각 기기의 청소 상태, 청소 주기, 또는 청소 예약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청소부의 동작 파라미터를 조절하는 제어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션은 청소부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알림창이 설치되어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션은 청소부의 동작 상태에 따라 색상 표현이 달라지는 조명 기기가 설치되어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션은 제어 단말과 연동하여 청각 기기를 관리하고, 스테이션에 배치된 청각 기기를 소독하는 소독부; 및 상기 제어 단말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소독부의 동작 파라미터를 조절하는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션에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청각 기기의 소독 시간, 소독 주기, 소독약 교체, 소독 예약 또는 소독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소독부의 동작 파라미터를 조절하는 제어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션은 소독부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알림창이 설치되어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션은 소독부의 동작 상태에 따라 색상 표현이 달라지는 조명 기기가 설치되어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션은 제어 단말과 연동하여 청각 기기를 관리하고, 스테이션에 배치된 청각 기기를 충전하는 충전부; 및 상기 제어 단말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충전부의 동작 파라미터를 조절하는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션에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청각 기기의 충전 시간, 충전 완료, 충전 주기, 충전 예약 또는 충전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충전부의 동작 파라미터를 조절하는 제어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션은 충전부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알림창이 설치되어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션은 충전부의 동작 상태에 따라 색상 표현이 달라지는 조명 기기가 설치되어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션은 제어 단말과 연동하여 청각 기기를 관리하고, 스테이션에 배치된 청각 기기의 어플리케이션을 설정하는 설정부; 및 상기 제어 단말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설정부의 동작 파라미터를 조절하는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션에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청각 기기의 파라미터 또는 펌웨어 업그레이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설정부의 동작 파라미터를 조절하는 제어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션은 설정부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알림창이 설치되어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션은 설정부의 동작 상태에 따라 색상 표현이 달라지는 조명 기기가 설치되어 있다.
결국, 일실시예들에 의하면, 청각 기기를 보관하는 스테이션의 다양한 기능들을 외부의 제어 단말을 통해 손쉽게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이상의 설명들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1: 제어 단말
102: 스테이션
103: 청각 기기

Claims (20)

  1. 제어 단말과 연동하여 청각 기기를 관리하는 스테이션에 있어서,
    스테이션에 배치된 청각 기기를 건조하는 건조부; 및
    상기 제어 단말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건조부의 동작 파라미터를 조절하는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통신부
    를 포함하는 스테이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청각 기기의 건조 시간, 건조 세기, 건조 주기, 건조 예약 또는 건조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건조부의 동작 파라미터를 조절하는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스테이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션은,
    건조부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알림창이 설치되어 있는 스테이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션은,
    건조부의 동작 상태에 따라 색상 표현이 달라지는 조명 기기가 설치되어 있는 스테이션.
  5. 제어 단말과 연동하여 청각 기기를 관리하는 스테이션에 있어서,
    스테이션에 배치된 청각 기기를 청소하는 청소부; 및
    상기 제어 단말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청소부의 동작 파라미터를 조절하는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통신부
    를 포함하는 스테이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청각 기기를 청소하기 위한 바람 세기, 흡입 세기, 솔의 회전 속도, 상기 청각 기기의 청소 상태, 청소 주기, 또는 청소 예약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청소부의 동작 파라미터를 조절하는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스테이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션은,
    청소부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알림창이 설치되어 있는 스테이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션은,
    청소부의 동작 상태에 따라 색상 표현이 달라지는 조명 기기가 설치되어 있는 스테이션.
  9. 제어 단말과 연동하여 청각 기기를 관리하는 스테이션에 있어서,
    스테이션에 배치된 청각 기기를 소독하는 소독부; 및
    상기 제어 단말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소독부의 동작 파라미터를 조절하는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통신부
    를 포함하는 스테이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청각 기기의 소독 시간, 소독 주기, 소독약 교체, 소독 예약 또는 소독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소독부의 동작 파라미터를 조절하는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스테이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션은,
    소독부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알림창이 설치되어 있는 스테이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션은,
    소독부의 동작 상태에 따라 색상 표현이 달라지는 조명 기기가 설치되어 있는 스테이션.
  13. 제어 단말과 연동하여 청각 기기를 관리하는 스테이션에 있어서,
    스테이션에 배치된 청각 기기를 충전하는 충전부; 및
    상기 제어 단말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충전부의 동작 파라미터를 조절하는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통신부
    를 포함하는 스테이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청각 기기의 충전 시간, 충전 완료, 충전 주기, 충전 예약 또는 충전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충전부의 동작 파라미터를 조절하는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스테이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션은,
    충전부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알림창이 설치되어 있는 스테이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션은,
    충전부의 동작 상태에 따라 색상 표현이 달라지는 조명 기기가 설치되어 있는 스테이션.
  17. 제어 단말과 연동하여 청각 기기를 관리하는 스테이션에 있어서,
    스테이션에 배치된 청각 기기의 어플리케이션을 설정하는 설정부; 및
    상기 제어 단말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설정부의 동작 파라미터를 조절하는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통신부
    를 포함하는 스테이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청각 기기의 파라미터 또는 펌웨어 업그레이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설정부의 동작 파라미터를 조절하는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스테이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션은,
    설정부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알림창이 설치되어 있는 스테이션.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션은,
    설정부의 동작 상태에 따라 색상 표현이 달라지는 조명 기기가 설치되어 있는 스테이션.
KR1020130152592A 2013-12-09 2013-12-09 제어 단말과 연동하여 청각 기기를 관리하는 스테이션 KR2015006781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2592A KR20150067812A (ko) 2013-12-09 2013-12-09 제어 단말과 연동하여 청각 기기를 관리하는 스테이션
US14/561,685 US20150162770A1 (en) 2013-12-09 2014-12-05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hear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2592A KR20150067812A (ko) 2013-12-09 2013-12-09 제어 단말과 연동하여 청각 기기를 관리하는 스테이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7812A true KR20150067812A (ko) 2015-06-19

Family

ID=53272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2592A KR20150067812A (ko) 2013-12-09 2013-12-09 제어 단말과 연동하여 청각 기기를 관리하는 스테이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50162770A1 (ko)
KR (1) KR2015006781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64798A1 (en) * 2016-06-27 2018-01-03 Oticon A/s Control of a hearing device
CN111417469A (zh) * 2017-10-06 2020-07-14 迪格奥斯实验室公司 用于耳机的储存设备
FR3079289A1 (fr) * 2018-03-22 2019-09-27 Mg Developpement Dispositif d'entretien de protheses auditives equipees d'une batterie rechergeable
WO2020139402A1 (en) * 2018-12-29 2020-07-02 Serene Group, Inc. Universal charging and drying station for hearing aid
US11122378B1 (en) 2019-08-06 2021-09-14 Daniel R. Schumaier Hearing aid dryer and disinfection kit
US11266757B2 (en) 2019-08-06 2022-03-08 Daniel R. Schumaier Hearing aid dryer and disinfection kit with UV-reflective drying tray
US11102588B2 (en) 2019-08-06 2021-08-24 Daniel R. Schumaier Hearing aid dryer and disinfection kit
US11092379B2 (en) 2019-08-07 2021-08-17 Ear Technology Corporation Dryer and sanitizer for rechargeable electronic devices
US11292033B2 (en) * 2019-08-09 2022-04-05 Patrick Behrbom Earphone cleaning device
US11167052B2 (en) 2020-04-07 2021-11-09 Daniel R. Schumaier Ultraviolet light sanitizer
CN112732066A (zh) * 2020-12-31 2021-04-30 深圳创维-Rgb电子有限公司 一种终端可消毒充电设备控制方法、装置、终端设备及存储介质
US20220360881A1 (en) * 2021-05-06 2022-11-10 Gn Hearing A/S Hearing device comprising a receiver module comprising a vent having a vent valve device
CN114760295A (zh) 2022-03-03 2022-07-15 上海华信长安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利用耳机共享充电实现智能化信息管理的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33664A1 (en) * 2000-03-13 2001-10-25 Songbird Hearing, Inc. Hearing aid format selector
US6916291B2 (en) * 2001-02-07 2005-07-12 East Carolina University Systems, methods and products for diagnostic hearing assessments distributed via the use of a computer network
US7182820B2 (en) * 2002-04-17 2007-02-27 Magnatone Hearing Aid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cleaning a hearing aid device
EP1341395A1 (en) * 2002-05-24 2003-09-03 Phonak Ag Hearing device
DK1496530T4 (da) * 2003-07-08 2010-11-29 Sonion Roskilde As Betjeningspanel med aktiveringszone
WO2005125276A1 (en) * 2004-06-14 2005-12-29 Johnson & Johnson Consumer Companies, Inc. At-home hearing aid testing and cleaning system
US7850783B2 (en) * 2005-06-30 2010-12-14 General Hearing Instrument,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ning hearing aids
US8329007B2 (en) * 2005-09-07 2012-12-11 Mb Research & Development, Llc Hearing aid dehumidifier and disinfectant chamber
US20080007217A1 (en) * 2006-07-06 2008-01-10 Riley Louis F Method and apparatus for recharging a hearing device
DE102006043153A1 (de) * 2006-09-14 2008-03-27 Siemens Audiologische Technik Gmbh Reinigungswerkzeug für ein Hörgerät
US7823598B2 (en) * 2006-10-05 2010-11-02 Stern Ari K Portable apparatus for charging and cleaning hearing aid device
US8652412B2 (en) * 2007-11-29 2014-02-18 The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Sterilization of consumable composition dispensers
US20090296968A1 (en) * 2008-05-28 2009-12-03 Zounds, Inc. Maintenance station for hearing aid
US8400017B2 (en) * 2008-09-27 2013-03-19 Witricity Corporation Wireless energy transfer for computer peripheral applications
US9515494B2 (en) * 2008-09-27 2016-12-06 Witricity Corporation Wireless power system including impedance matching network
US7814678B2 (en) * 2008-10-10 2010-10-19 Hearing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Hearing aid dryer
US8112900B2 (en) * 2008-10-10 2012-02-14 Hearing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Hearing aid dryer
US20110257994A1 (en) * 2008-10-24 2011-10-20 Givens Gregg D Internet based multi-user diagnostic hearing assessment systems having client-server architecture with user-based access levels for secure data exchange
CN102301314B (zh) * 2009-02-05 2015-07-01 株式会社eRCC 输入设备、可穿戴计算机以及输入方法
US8493344B2 (en) * 2009-06-07 2013-07-23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accessibility using a touch-sensitive surface
JP5462947B2 (ja) * 2009-08-11 2014-04-02 ヴェーデクス・アクティーセルスカプ 補聴器用保管システム
US8538033B2 (en) * 2009-09-01 2013-09-17 Sonic Innovation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obtaining hearing enhancement fittings for a hearing aid device
US8712083B2 (en) * 2010-10-11 2014-04-29 Starkey Laborator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wireless communication in hearing assistance systems
FR2966046B1 (fr) * 2010-10-13 2013-04-26 Mg Dev Dispositif de nettoyage d'une prothese auditive
WO2011029959A2 (en) * 2010-10-22 2011-03-17 Phonak Ag Method for testing a hearing device as well as an arrangement for testing a hearing device
DE102011004679A1 (de) * 2011-02-24 2012-08-30 Siemens Medical Instruments Pte. Ltd. Anordnung und Verfahren zur Wartung von Hörgeräten
US8918197B2 (en) * 2012-06-13 2014-12-23 Avraham Suhami Audio communication networks
WO2013020594A1 (en) * 2011-08-10 2013-02-14 Phonak Ag Method for providing distant support to a personal hearing system user and system for implementing such a method
US9970708B2 (en) * 2012-02-01 2018-05-15 Revive Electronics, LL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drying electronic devices
US9158891B2 (en) * 2013-02-15 2015-10-13 Cochlear Limited Medical device diagnostics using a portable device
WO2014153007A1 (en) * 2013-03-14 2014-09-25 Revive Electronics, LL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drying electronic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162770A1 (en) 2015-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67812A (ko) 제어 단말과 연동하여 청각 기기를 관리하는 스테이션
EP2178315B1 (en) A listening system comprising a charging station with a data memory
EP3121706A1 (en) Control method and control system for working mode of mobile device
US990073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ocating and updating low-power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CA2799322C (en) Automatic power-off of a hearing aid
US9749753B2 (en) Hearing device with low-energy warning
US20120216418A1 (en) Configuration and method for the maintenance of hearing devices
CN106663362A (zh) 在移动设备为用户提供电池电量通知的方法及其移动设备
CN103475985A (zh) 具有可再充电电池的听力装置系统
CN108370481A (zh) 电源管理特征
AU2012202394A1 (en) A System Compris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a Time Function
CN110602586A (zh) 一种无线耳机的杀菌消毒方法、充电盒及无线耳机设备
CN115379331A (zh) 用于对至少一听力装置充电的方法及相应助听器系统
CN202551284U (zh) 可通过外部升级的耳机
JP2015138985A (ja) ウエアラブル型の小形電気機器
EP2268226A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sthetic/orthotic device communication
US11087870B2 (en) System and method of traceability of a dental prosthesis, and corresponding dental prosthesis
WO2012016587A1 (en) Rechargeable partially implantable hearing instrument
CN110707790B (zh) 听力设备充电方法、听力设备系统、听力设备和充电装置
CN111083597A (zh) 一种无线耳机及其杀菌消毒方法
KR200383465Y1 (ko) 자명종 시스템
CN107149335A (zh) 一种智能床垫的控制方法及装置
CN207412517U (zh) 一种植入式神经刺激器程控仪及控制系统
Freeman et al. Battery Life: Counseling patients about the power consumption of wireless streaming hearing aids
CN109032388A (zh) 一种用于无线鼠标的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