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7686A - Hs 품목 분류 코드 결정 시스템 - Google Patents

Hs 품목 분류 코드 결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7686A
KR20150067686A KR1020130153488A KR20130153488A KR20150067686A KR 20150067686 A KR20150067686 A KR 20150067686A KR 1020130153488 A KR1020130153488 A KR 1020130153488A KR 20130153488 A KR20130153488 A KR 20130153488A KR 20150067686 A KR20150067686 A KR 201500676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tem
classification code
item classification
use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3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71041B1 (ko
Inventor
송병준
김영춘
이주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무역정보통신
사단법인 한국관세무역개발원
(주)아이씨엔아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무역정보통신, 사단법인 한국관세무역개발원, (주)아이씨엔아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무역정보통신
Priority to KR10201301534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1041B1/ko
Priority to US14/148,862 priority patent/US20150161728A1/en
Publication of KR201500676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76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10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10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06F17/40Data acquisition and logg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4Trading; Exchange, e.g. stocks, commodities, derivatives or currency excha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echnology Law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HS 품목 분류 코드를 결정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품목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선택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처리부, 품목 정보에 대응하는 HS 품목 분류 코드에 관한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품목 정보를 기초로,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품목 정보에 대응하는 HS 품목 분류 코드를 결정하는 HS 품목 분류 코드 결정부를 포함하는 HS 품목 분류 코드 결정 시스템이다.

Description

HS 품목 분류 코드 결정 시스템{System for determining Harmonized System(HS) classification}
본 발명은 HS 품목 분류 코드를 결정하기 위한 시스템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다양한 추론을 실시하여 자동으로 HS 품목 분류 코드를 결정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HS 품목 분류란 전 세계에서 거래되는 각종 물품을 세계관세기구(WCO)가 정한 국제통일상품분류체계(HS, Harmonized Commodity Description and Coding System, 줄요서 Harmonized System)에 의거하여 하나의 HS 품목 분류 코드에 분류하는 것으로서 국제통상상품분류체계에 관한 국제협약(The International Convention on the Harmonized Commodity Description and Coding System : HS 협약)에 의해 체약국은 HS체계에서 정한 원칙에 따라 HS 품목 분류 업무를 수행한다.
수입 물품에 대한 관세는 해당 HS 품목 분류 코드마다 적용되는 관세율이 미리 정해져 있으므로, 정확한 HS 품목 분류가 선행되어야 납부할 관세액이 결정된다. 특히, 기능은 유사하지만 형태가 다르거나, 형태는 유사하나 기능이 다른 경우 또는 범용성 부분품인지 아니면 전용부분품인지 여부에 따라 HS 품목 분류 코드가 달라지므로, 정확한 관세를 납부하기 위해서는 수입신고 시 올바른 HS 품목 분류가 중요하다.
HS 품목 분류 코드란 수출입 물품에 대해 HS 협약에 의해 부여되는 분류 코드로서 6자리까지는 국제적으로 공통으로 사용하는 코드이며, 7자리부터는 각 나라에서 6단위 소호의 범위 내에서 이를 세분하여 10자리까지 사용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10자리까지 사용하며 이를 HSK(HS of Korea)라 한다.
HS 품목 분류 코드의 구조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0102.90-1000라는 10단위 HSK에서
* 01 : 류(Chapter) -> 산동물이 분류되는 류(類)로서 앞 2자리를 말함.
* 0102 : 호(Heading) -> 소(牛)가 분류되는 호(號)로서 앞 4자리를 말함.
* 0102.90 : 소호(Subheading) -> 기타의 소가 분류되는 소호(小號)로서 앞 5,6자리를 말함.
* 0102.90-1000 :『젖소』가 분류되는 10자리 코드임. 7단위 이하는 6단위에서 정하는 범위 내에서 각국이 이를 세분하여 사용할 수 있음. 우리나라는 마지막 4자리를 세분하여 10단위로 사용하고 있음.
특정 물품에 해당되는 HS 품목 분류 코드를 찾는 과정을 품목 분류라 하는데, 특정 물품을 계층적 구조를 갖는 HS 품목 분류 코드에 정확히 맞추어 분류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상당히 어려운 문제이다. HS 품목 분류는 기초적으로 CCC(관세협력이사회)에서 제정한 HS 협약의 HS 품목 분류 통칙에 따라 이루어지기는 하나 단순히 물품의 종류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물품의 주요 특성, 성분, 용도, 재질 및 기타 여러요소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관세법 상 잘못된 품목 분류에 기초하여 특정 물품을 수입통관하였다가 수입 후 다른 HS 품목 분류 코드임이 판명될 경우 수입자(납세의무자)는 HS 품목 분류 신고의 오류로 인한 추징 및 가산세 등의 경제적 부담을 지게 된다. 따라서, 정확하게 HS 품목 분류 코드로 분류할 필요가 있으나 상술한 바와 같은 HS 품목 분류의 어려움이 뒤따른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 2012-0052636호(2012.05.24.공개)
본 발명은 특정 물품의 수출입에 필요한 HS 품목 분류 코드를 자동으로 용이하게 결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기존의 사례 또는 유사 사례를 기초로 HS 품목 분류 코드를 결정하여 다양한 상황에 부합하는 HS 품목 분류 코드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한다.
뿐만 아니라, 종래에 비하여 다양한 정보를 바탕으로 HS 품목 분류 코드를 결정하여 HS 품목 분류의 정확도를 높이고자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HS 품목 분류 코드 결정 시스템은 품목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선택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처리부, 품목 정보에 대응하는 HS 품목 분류 코드에 관한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품목 정보를 기초로,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품목 정보에 대응하는 HS 품목 분류 코드를 결정하는 HS 품목 분류 코드 결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는 관세통계통합품목 분류표(HSK)에 표기된 HS 품목 분류 코드 뿐만 아니라, 품목 분류 기본 통칙, 품목 분류의 포함/제외 규정, 품명에 대한 정의, 품명분류를 위한 필수 규격 또는 품목 분류 체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품목 정보 또는 HS 품목 분류 코드와 매칭하여 저장되고, 상기 HS 품목 분류 코드 결정부는 입력된 품목 정보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품목 정보를 매칭시키는 키워드 매칭 모듈 및 상기 키워드 매칭 모듈에 의해 결정된 품목 정보에 대응하는 HS 품목 분류 코드를 결정하는 HS 품목 분류 코드 결정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HS 품목 분류 코드 결정 모듈은 HS 품목 분류 코드 결정 시 상기 결정된 품목 정보와 매칭된 품목 분류 기본 통칙, 품목 분류의 포함/제외 규정, 품명에 대한 정의, 품명분류를 위한 필수 규격 또는 품목 분류 체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반영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인터페이스 처리부는 사용자가 분류하고자 하는 품목이 속하는 산업의 수출입 물품 HS 품목 분류 코드 특성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요소별 결정 방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이 때 상기 HS 품목 분류 코드 결정부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산업별 수출입 물품 HS 품목 분류 코드 특성을 검색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수출입 물품 HS 품목 분류 코드 특성에 대응하는 HS 품목 분류 코드를 결정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인터페이스 처리부는 사용자가 분류하고자 하는 품목이 속하는 산업의 결정 단계별 필수 입력값을 제공하는 단계별 결정 방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이 때 상기 HS 품목 분류 코드 결정부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결정 단계별 필수 입력값에 대응하여 HS 품목 분류 코드의 범위를 단계별로 좁혀가며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데이터베이스는 제 1 저장부 및 제 2 저장부를 포함하고, 제 1 저장부는 관세통계통합품목 분류표(HSK)에 표기된 HS 품목 분류 코드 뿐만 아니라, 품목 분류 기본 통칙, 품목 분류의 포함/제외 규정, 품명에 대한 정의, 품명분류를 위한 필수 규격 또는 품목 분류 체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품목 정보와 매칭하여 저장하고, 제 2 저장부는 과거의 품목 분류 결정 시 입력된 품목 정보와 결정된 HS 품목 분류 코드를 매칭하여 누적적으로 저장한다.
이 때, 인터페이스 처리부는 사용자가 분류하고자 하는 품목이 속하는 산업의 수출입 물품 HS 품목 분류 코드 특성을 제공하고, 사용자가 추가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사례별 결정 방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HS 품목 분류 코드 결정부는 수출입 물품 HS 품목 분류 코드 특성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저장부에 누적 저장된 HS 품목 분류 코드를 1차적으로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추가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1차적으로 제공된 HS 품목 분류 코드를 선별한다.
한편, 상기 HS 품목 분류 코드 결정부는 품목 분류 원칙을 기초로 제 1 저장부에 분류되어 저장된 HS 품목 분류 코드 별 키워드를 제 1 저장부로부터 결정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HS 품목 분류 코드 별 키워드에 대응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 또는 선택되는 품목 정보에 매칭되는 HS 품목 분류 코드 결정 사례가 존재하는지 제 2 저장부를 검색하며, HS 품목 분류 코드 결정 사례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HS 품목 분류 코드 결정 사례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사례를 기초로 HS 품목 분류 코드를 결정하고, 상기 제 2 저장부에 HS 품목 분류 코드 결정 사례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HS 품목 분류 코드 별 키워드 각각을 분리하여 검색하고, 휴리스틱 알고리즘(Heuristic Algorithm)을 적용하여 HS 품목 분류 코드를 추론하는 개별 요소 HS 품목 분류 코드 추론 및 상기 HS 품목 분류 코드 별 키워드 전체를 통합하여 검색하고, 휴리스틱 알고리즘(Heuristic Algorithm)을 적용하여 HS 품목 분류 코드를 추론하는 복합 요소 HS 추론을 적용하고, 적용된 HS 추론 결과를 기초로 HS 품목 분류 코드 결정을 위한 시뮬레이션 모델을 제네틱 알고리즘(genetic algorithm)을 기초로 선택한 후, 선택된 시뮬레이션 모델을 적용하여 HS 품목 분류 코드를 결정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HS 품목 분류 코드 결정부의 HS 품목 분류 코드 결과는 제 2 저장부에 HS 품목 분류 코드 결정 사례로 추가 저장된다.
한편, 본 발명의 데이터베이스는 품목 분류 결정기준, FTA별 원산지 결정 기준, 품목별 협정 관세율 또는 품목 분류 결정 사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HS 품목 분류 코드와 매칭하여 저장하고, HS 품목 분류 코드 결정부는 HS 품목 분류 코드 결정 시 상기 품목 분류 결정기준, FTA별 원산지 결정 기준, 품목별 협정 관세율 또는 품목 분류 결정 사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따라 기초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특정 물품의 수출입에 필요한 HS 품목 분류 코드를 자동으로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다.
특히, 기존의 사례 또는 유사 사례를 기초로 HS 품목 분류 코드를 결정하여 다양한 상황에 부합하는 HS 품목 분류 코드를 결정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종래에 비하여 다양한 정보를 바탕으로 HS 품목 분류 코드를 결정하므로 품목 분류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고, 품목 분류 결과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HS 품목 분류 코드 결정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HS 품목 분류 코드 결정 시스템 내에 HS 품목 분류 코드 결정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3은 데이터베이스 상에 HS 품목 분류 코드와 매칭되어 저장된 다양한 정보의 예를 표로 정리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인터페이스 처리부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HS 품목 분류 코드 결정부에서 HS 품목 분류 코드를 결정하는 매커니즘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HS 품목 분류 코드 결정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본 발명의 HS 품목 분류 코드 결정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품목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선택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처리부, 품목 정보에 대응하는 HS 품목 분류 코드에 관한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품목 정보를 기초로,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품목 정보에 대응하는 HS 품목 분류 코드를 결정하는 HS 품목 분류 코드 결정부를 포함하고, 이 때 상기 데이터베이스에는 관세통계통합품목 분류표(HSK)에 표기된 HS 품목 분류 코드 뿐만 아니라, 품목 분류 기본 통칙, 품목 분류의 포함/제외 규정, 품명에 대한 정의, 품명분류를 위한 필수 규격 또는 품목 분류 체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품목 정보 또는 HS 품목 분류 코드와 매칭하여 저장되고, 상기 HS 품목 분류 코드 결정부는 입력된 품목 정보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품목 정보를 매칭시키는 키워드 매칭 모듈 및 상기 키워드 매칭 모듈에 의해 결정된 품목 정보에 대응하는 HS 품목 분류 코드를 결정하는 HS 품목 분류 코드 결정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HS 품목 분류 코드 결정 모듈은 HS 품목 분류 코드 결정 시 상기 결정된 품목 정보와 매칭된 품목 분류 기본 통칙, 품목 분류의 포함/제외 규정, 품명에 대한 정의, 품명분류를 위한 필수 규격 또는 품목 분류 체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반영한다.
인터페이스 처리부는 사용자에게 HS 품목 분류 코드를 하기 위한 방식을 결정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제공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정보를 HS 품목 분류 코드 결정부에 전달하여 품목을 결정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가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데이터베이스는 품목 정보에 대응하는 HS 품목 분류 코드에 관한 정보가 되어 있다. 본 발명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는 특정 품목 또는 품목 정보와 HS 품목 분류 코드가 단순히 (1 : 1)로 매칭된 것이 아니라, 각 품목 정보의 조합에 따라 또는 이하에서 설명할 품목 분류 기본 통칙, 품목 분류의 포함/제외 규정, 품명에 대한 정의, 품명분류를 위한 필수 규격, 품목 분류 체계 등과 연동하여 상황 및 품목 정보의 특성, 관련 규정에 따라 특정 품목 및 HS 품목 분류 코드의 매칭이 달라지는 일종의 (m : n) 매칭 형태로 저장되어 있다.
HS 품목 분류 코드 결정부는 사용자가 선택 또는 사용자에게 제시된 인터페이스에 따라 입력되는 품목 정보 등을 기초로, 이에 매칭되는 HS 품목 분류 코드를 결정하기 위한 연산을 처리하고,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품목 정보에 대응하는 HS 품목 분류 코드를 결정하는 구성이다.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HS 품목 분류 코드 결정부에서 HS 품목 분류 코드를 결정하는 상세한 방식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본 발명의 데이터베이스에는 관세통계통합품목 분류표(HSK)에 표기된 HS 품목 분류 코드 뿐만 아니라, 품목 분류 기본 통칙, 품목 분류의 포함/제외 규정, 품명에 대한 정의, 품명분류를 위한 필수 규격 또는 품목 분류 체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품목 정보 또는 HS 품목 분류 코드와 매칭하여 저장되어 있다. 이로써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품목 정보를 이용하여 품목을 분류할 때 위 정보들을 반영하여 보다 정확하게 품목을 분류할 수 있다.
위 정보들이 데이터베이스 상에 매칭되어 저장된 예를 표로 정리한 것이 도 3이다.
도 3을 살펴보면, HS 품목 분류 코드 6104.31-0000와 매칭된 다양한 정보 들이 나타나 있다. 표준 품명은 "양모나 섬수모 편물제 여성용 재킷과 블레이저, 양모나 섬수모 편물제 소녀용 재킷과 블레이저"로, 이는 HSK에 표기된 것이며, 재질, 타입, 조립여부, 구성 성분과 같은 항목의 세부 속성이 저장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품목 정보 중에 양모, 소녀용, 뜨개질 편물 등의 정보가 속해있다면, HS 품목 분류 코드 6104.31-0000도 해당 품목의 HS 품목 분류 코드의 후보군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 뿐 아니라, 품목 분류 기본 통칙, 품목 분류의 포함/제외 규정 등에 관한 정보도 HS 품목 분류 코드와 매칭되어 저장된다. 도 3의 예에서 HS 품목 분류 코드 6104.31-0000는 제 6212호, 6309호의 물품이 제외되고, 제 9021호의 정형외과용 기기, 외과용 벨트, 탈장대 또는 기타 이와 유사한 물품이 제외되며, 제6108호의 페티코트와 슬립이 제외된다. 즉, 입력되는 품목 정보에 따라 결정된 여러 HS 품목 분류 코드 후보군 중 품목 분류 포함/제외 규정을 반영하여 특정 후보군을 제외하거나 선별할 수 있다.
종래에는 특정 물품을 HS 품목 분류 코드에 맞추어 품목 분류하기 위해서는 계층적 구조로 이루어진 HS 품목 분류 코드의 상위 분류에서 하위 분류에 이르기까지 특정 물품이 어느 분류에 속하는지 일일이 선택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즉, 특정 물품이 어느 류에 속하는지 판단하고, 그 다음에는 어느 호에 속하는지, 이어서 어느 소호에 속하는지 전체 목록을 일일이 확인하며, 품목을 분류하였다. 그러나 앞서 언급한대로 품목 분류는 동일한 물품이라도 성질, 주요 특성, 성분, 용도, 재질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종래의 방식은 정확한 품목 분류를 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게다가 중간에 잘못된 분류를 선택하게 되는 경우, 예를 들어 류는 정확하게 선택하였으나 호는 잘못 선택한 경우, 엉뚱한 소호 중에 하나를 선택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품목 정보를 기반으로 데이터베이스에 다양한 옵션에 따라 저장된 정보를 매칭해가면서 HS 품목 분류 코드를 결정하므로 종래에 HSK 만을 기초로 분류하던 방식에 비하여 물품의 성질, 특성, 성분, 용도, 재질에 부합하도록 품목 분류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인터페이스 처리부는 품목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선택할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여러가지 방식에 따라 HS 품목 분류 코드를 결정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그 일 실시예로 본 발명의 인터페이스 처리부는 사용자가 분류하고자 하는 품목이 속하는 산업의 수출입 물품 HS 품목 분류 코드 특성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요소별 결정 방식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 HS 품목 분류 코드 결정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산업별 수출입 물품 HS 품목 분류 코드 특성을 검색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수출입 물품 HS 품목 분류 코드 특성에 대응하는 HS 품목 분류 코드를 결정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품목을 분류하고자 하는 물품의 세부 특성을 미리 파악하지 못하더라도, 이 물품이 속하는 산업의 HS 품목 분류 코드 특성을 제공받고, 제공받은 HS 품목 분류 코드 특성 내에서 해당 물품과 동일, 유사한 특성을 선택하는 방식에 따라 물품의 품목을 분류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인터페이스 처리부는 사용자가 분류하고자 하는 품목이 속하는 산업의 결정 단계별 필수 입력값을 제공하는 단계별 결정 방식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 때, HS 품목 분류 코드 결정부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결정 단계별 필수 입력값에 대응하여 HS 품목 분류 코드의 범위를 단계별로 좁혀가며 HS 품목 분류 코드를 결정한다.
본 실시예는, 사용자로부터 필수 입력값 중 어느 하나(복수도 가능)가 입력되면 HS 품목 분류 코드 결정부는 해당 입력값에 대응하는 HS 품목 분류 코드를 제공한다. 사용자는 1차적으로 제공된 HS 품목 분류 코드에 기초하여 다른 항목의 필수 입력값을 입력하면, 1차적으로 제공된 HS 품목 분류 코드 중에서 새로 입력된 필수 입력값과 연관된 HS 품목 분류 코드 만을 제공한다. 이러한 과정을 수 차례 진행하며, 일종의 사용자 대화형으로(사용자가 제시한 조건에 부합하는 결과를 HS 품목 분류 코드 결정 시스템이 응답하는 형태를 반복) HS 품목 분류 코드를 결정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의 일 예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보면 입력 조건에 따라 사용자에게 HS 품목 분류 코드가 제시되고 사용자는 제시된 HS 품목 분류 코드 중 품목을 분류하기 위한 특정 물품에 부합하는 HS 품목 분류 코드를 선택할 수 있다. 도 4의 예는 사용자 대화형 인터페이스의 거의 최종 단계를 나타낸 것이나, 초기의 인터페이스에서는 조회되는 목록의 수가 훨씬 더 많아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베이스는 제 1 저장부 및 제 2 저장부를 포함하고, 제 1 저장부는 관세통계통합품목 분류표(HSK)에 표기된 HS 품목 분류 코드 뿐만 아니라, 품목 분류 기본 통칙, 품목 분류의 포함/제외 규정, 품명에 대한 정의, 품명분류를 위한 필수 규격 또는 품목 분류 체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품목 정보와 매칭하여 저장하며, 제 2 저장부는 과거의 품목 분류 결정 시 입력된 품목 정보와 결정된 HS 품목 분류 코드를 매칭하여 누적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저장부와 제 2 저장부는 물리적으로 구분된 저장매체일 수도 있고, 물리적으로는 하나의 저장매체이나 저장 영역이 구분되는 경우일 수도 있으며, 한편으로는 저장되는 정보의 종류만 구분될 뿐 실질적으로 하나의 저장매체일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데이터베이스는 앞서 언급한 항목들 외에 과거의 품목 분류 결정 시 입력된 품목 정보와 결정된 HS 품목 분류 코드를 매칭하여 누적적으로 저장한다. 앞선 실시예에 따라 특정 물품의 HS품목 분류가 결정되면, 그 결과를 저장하여 추후 유사한 조건, 품목 정보 등이 입력되었을 경우 과거의 분류 결과를 예시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일종의 사례기반추론(Case Based Reasoning)에 근거하여 HS 품목 분류 코드를 결정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인터페이스 처리부는 사용자가 분류하고자 하는 품목이 속하는 산업의 수출입 물품 HS 품목 분류 코드 특성을 제공하고, 사용자가 추가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사례별 결정 방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이 때 HS 품목 분류 코드 결정부는 상기 수출입 물품 HS 품목 분류 코드 특성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저장부에 누적 저장된 HS 품목 분류 코드를 1차적으로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추가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1차적으로 제공된 HS 품목 분류 코드를 선별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제 2 저장부에 누적 저장된 과거의 HS 품목 분류 코드 사례를 그대로 이용하지 않고, 과거의 사례에 현재 품목 분류 중인 물품의 특성을 반영하여 HS 품목 분류 코드를 결정한다.
HS 품목 분류 코드 시 동일한 특성, 조건을 가지는 물품을 다시 분류하게 되는 일보다는 특성, 조건, 관련 법규, 수출입처 등이 다른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즉, 제 2 저장부에 누적적으로 저장된 과거의 품목 분류 사례와 동일한 경우보다는 일부 내용이 변경된 경우가 훨씬 많다.
본 실시예는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여, 과거 사례와 유사하되 차이점을 반영한 HS 품목 분류 코드를 선별할 수 있도록 한다. 즉, 과거 사례에서 입력된 정보 중 일부를 변경하거나 또는 정보를 추가하고 이를 반영하여 HS 품목 분류 코드를 결정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의해 과거 사례와 현재 조건의 특징을 동시에 고려한 품목 분류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HS 품목 분류 코드 결정부는 품목 분류 원칙을 기초로 제 1 저장부에 분류되어 저장된 HS코드별 키워드를 제 1 저장부로부터 결정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HS코드별 키워드에 대응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 또는 선택되는 품목 정보에 매칭되는 HS 품목 분류 코드 결정 사례가 존재하는지 제 2 저장부를 검색하며, HS 품목 분류 코드 결정 사례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HS 품목 분류 코드 결정 사례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사례를 기초로 HS 품목 분류 코드를 결정한다.
한편, 제 2 저장부에 HS 품목 분류 코드 결정 사례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HS 품목 분류 코드 결정부는 상기 HS 품목 분류 코드 별 키워드 각각을 분리하여 검색하고, 휴리스틱 알고리즘(Heuristic Algorithm)을 적용하여 HS 품목 분류 코드를 추론하는 개별 요소 HS 품목 분류 코드 추론 및 상기 HS 품목 분류 코드 별 키워드 전체를 통합하여 검색하고, 휴리스틱 알고리즘(Heuristic Algorithm)을 적용하여 HS 품목 분류 코드를 추론하는 복합 요소 HS 추론을 적용하고, 적용된 HS 추론 결과를 기초로 HS 품목 분류 코드 결정을 위한 시뮬레이션 모델을 제네틱 알고리즘(genetic algorithm)을 기초로 선택한 후, 선택된 시뮬레이션 모델을 적용하여 HS 품목 분류 코드를 결정한다.
본 실시예에 따라 HS 품목 분류 코드 결정부에서 HS 품목 분류 코드를 결정하는 매커니즘은 도 5에 플로우 차트 형태로 나타나 있다.
개별 요소 HS 품목 추론을 적용하는 때에는 휴리스틱 알고리즘 중 특히 스위핑 방법을 적용하고, 복합 요소 HS 품목 추론을 적용하는 때에는 휴리스틱 알고리즘 중 전면 탐색 방법을 적용한다.
본 발명의 휴리스틱 알고리즘은 이미 정립된 공식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정보가 불완전한 상황에서 경험을 통해서, 주먹구구식 규칙(rule of thumb)의 시행착오(trial and error)를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을 통해 지식을 발견(discover)하여 알게 하는 추측기술(art dof good guessing)이나 과정을 의미한다(예를 들어, 훌륭한 품목분류 전문가는 몇가지 핵심 내용에 대한 문답과 사실 자료를 통해 해당 품목의 HS 품목 분류 코드를 결정한다. 품목분류의 수많은 경험으로 최대한 판단의 어려움이 겪지 않고 HS 품목 분류 코드를 결정한다.).
휴리스틱 알고리즘은 전체적인 품목분류의 문제로 당면한 개별 물품에 대한 HS 품목 코드를 결정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의 하나이다. 휴리스틱 알고리즘 방법 중에서 스위핑 방법은 추측이나 검색 요소의 순서나 위치를 바꾸는 방법이며, 전면탐색 방법은 추측이나 검색 요소를 순차적으로 적용하는 방법이고, 요소삽입 방법은 추측이나 검색의 기본 모형에서 요소를 삽입해 가는 방법이다.
한편, 선택된 시뮬레이션 모델을 적용하는 과정에서는 휴리스틱 알고리즘 중 요소 삽입 방법을 이용하여 시뮬레이션하며, 그 결과를 제네틱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HS 품목 분류 코드를 결정한다.
본 발명의 제네틱 알고리즘은 사례나 추측이나 검색경로 전체 영역을 병렬적으로 탐색하는 알고리즘에 의한 최적의 해답을 찾는 생물의 진화를 모방한 돌연변이나 교배와 같은 형식의 진화형 연산기법이다. 즉, 제네틱 알고리즘은 HS 품목분류 번호를 결정하고자 하는 문제에 대한 가능한 해답들을 정해진 형태의 자료구조로 표현한 다음에 이들을 점차적으로 변형함으로써 점점 더 좋은 해답을 만들어 내는 함수 Y = f(x)를 최적화하는 해 x를 찾기 위한 접근방법으로서 진화를 모방한(Simulated evolution) 탐색 알고리즘이다.
상술한 알고리즘을 거쳐 HS 품목 분류 코드를 결정한 결과는 제 2 저장부에 HS 품목 분류 코드 결정 사례로 추가 저장된다. 추가 저장된 결과는 앞서 언급한 사례 기반 추론 방식에 따라 HS 품목 분류 코드를 결정할 때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베이스는 품목 분류 결정기준, FTA별 원산지 결정 기준, 품목별 협정 관세율 또는 품목 분류 결정 사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HS 품목 분류 코드와 매칭하여 저장하고, 상기 HS 품목 분류 코드 결정부는 HS 품목 분류 코드 결정 시 상기 품목 분류 결정기준, FTA별 원산지 결정 기준, 품목별 협정 관세율 또는 품목 분류 결정 사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함께 제공한다. 그 결과 단순히 HS 품목 분류 코드 결과를 코드 형태로 제공하는 데에 그치지 않고, 해당 상품을 수출입할 때 고려해야 할 다양한 정보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한 부분까지 본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12)

  1. 품목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선택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처리부;
    품목 정보에 대응하는 HS 품목 분류 코드에 관한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품목 정보를 기초로,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품목 정보에 대응하는 HS 품목 분류 코드를 결정하는 HS 품목 분류 코드 결정부;
    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는 관세통계통합품목 분류표(HSK)에 표기된 HS 품목 분류 코드 뿐만 아니라, 품목 분류 기본 통칙, 품목 분류의 포함/제외 규정, 품명에 대한 정의, 품명분류를 위한 필수 규격 또는 품목 분류 체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품목 정보 또는 HS 품목 분류 코드와 매칭하여 저장되고,
    상기 HS 품목 분류 코드 결정부는
    입력된 품목 정보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품목 정보를 매칭시키는 키워드 매칭 모듈; 및
    상기 키워드 매칭 모듈에 의해 결정된 품목 정보에 대응하는 HS 품목 분류 코드를 결정하는 HS 품목 분류 코드 결정 모듈;
    을 포함하되
    상기 HS 품목 분류 코드 결정 모듈은 HS 품목 분류 코드 결정 시 상기 결정된 품목 정보와 매칭된 품목 분류 기본 통칙, 품목 분류의 포함/제외 규정, 품명에 대한 정의, 품명분류를 위한 필수 규격 또는 품목 분류 체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반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S 품목 분류 코드 결정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처리부는
    사용자가 분류하고자 하는 품목이 속하는 산업의 수출입 물품 HS 품목 분류 코드 특성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요소별 결정 방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S 품목 분류 코드 결정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HS 품목 분류 코드 결정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산업별 수출입 물품 HS 품목 분류 코드 특성을 검색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수출입 물품 HS 품목 분류 코드 특성에 대응하는 HS 품목 분류 코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S 품목 분류 코드 결정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처리부는
    사용자가 분류하고자 하는 품목이 속하는 산업의 결정 단계별 필수 입력값을 제공하는 단계별 결정 방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S 품목 분류 코드 결정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HS 품목 분류 코드 결정부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결정 단계별 필수 입력값에 대응하여 HS 품목 분류 코드의 범위를 단계별로 좁혀가며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S 품목 분류 코드 결정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제 1 저장부 및 제 2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저장부는 관세통계통합품목 분류표(HSK)에 표기된 HS 품목 분류 코드 뿐만 아니라, 품목 분류 기본 통칙, 품목 분류의 포함/제외 규정, 품명에 대한 정의, 품명분류를 위한 필수 규격 또는 품목 분류 체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품목 정보와 매칭하여 저장하고,
    상기 제 2 저장부는 과거의 품목 분류 결정 시 입력된 품목 정보와 결정된 HS 품목 분류 코드를 매칭하여 누적적으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S 품목 분류 코드 결정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처리부는
    사용자가 분류하고자 하는 품목이 속하는 산업의 수출입 물품 HS 품목 분류 코드 특성을 제공하고, 사용자가 추가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사례별 결정 방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S 품목 분류 코드 결정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HS 품목 분류 코드 결정부는
    상기 수출입 물품 HS 품목 분류 코드 특성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저장부에 누적 저장된 HS 품목 분류 코드를 1차적으로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추가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1차적으로 제공된 HS 품목 분류 코드를 선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S 품목 분류 코드 결정 시스템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HS 품목 분류 코드 결정부는
    품목 분류 원칙을 기초로 제 1 저장부에 분류되어 저장된 HS 품목 분류 코드 별 키워드를 제 1 저장부로부터 결정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HS 품목 분류 코드 별 키워드에 대응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 또는 선택되는 품목 정보에 매칭되는 HS 품목 분류 코드 결정 사례가 존재하는지 제 2 저장부를 검색하며,
    HS 품목 분류 코드 결정 사례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HS 품목 분류 코드 결정 사례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사례를 기초로 HS 품목 분류 코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S 품목 분류 코드 결정 시스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HS 품목 분류 코드 결정부는
    상기 제 2 저장부에 HS 품목 분류 코드 결정 사례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HS 품목 분류 코드 별 키워드 각각을 분리하여 검색하고, 휴리스틱 알고리즘(Heuristic Algorithm)을 적용하여 HS 품목 분류 코드를 추론하는 개별 요소 HS 품목 분류 코드 추론; 및
    상기 HS 품목 분류 코드 별 키워드 전체를 통합하여 검색하고, 휴리스틱 알고리즘(Heuristic Algorithm)을 적용하여 HS 품목 분류 코드를 추론하는 복합 요소 HS 추론;
    을 적용하고,
    적용된 HS 추론 결과를 기초로 HS 품목 분류 코드 결정을 위한 시뮬레이션 모델을 제네틱 알고리즘(genetic algorithm)을 기초로 선택한 후, 선택된 시뮬레이션 모델을 적용하여 HS 품목 분류 코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S 품목 분류 코드 결정 시스템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HS 품목 분류 코드 결정부의 HS 품목 분류 코드 결과는 제 2 저장부에 HS 품목 분류 코드 결정 사례로 추가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S 품목 분류 코드 결정 시스템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품목 분류 결정기준, FTA별 원산지 결정 기준, 품목별 협정 관세율 또는 품목 분류 결정 사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HS 품목 분류 코드와 매칭하여 저장하고,
    상기 HS 품목 분류 코드 결정부는 HS 품목 분류 코드 결정 시 상기 품목 분류 결정기준, FTA별 원산지 결정 기준, 품목별 협정 관세율 또는 품목 분류 결정 사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함께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S 품목 분류 코드 결정 시스템
KR1020130153488A 2013-12-10 2013-12-10 Hs 품목 분류 코드 결정 시스템 KR1015710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3488A KR101571041B1 (ko) 2013-12-10 2013-12-10 Hs 품목 분류 코드 결정 시스템
US14/148,862 US20150161728A1 (en) 2013-12-10 2014-01-07 System for determining hs commodity classification cod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3488A KR101571041B1 (ko) 2013-12-10 2013-12-10 Hs 품목 분류 코드 결정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7686A true KR20150067686A (ko) 2015-06-18
KR101571041B1 KR101571041B1 (ko) 2015-11-23

Family

ID=53271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3488A KR101571041B1 (ko) 2013-12-10 2013-12-10 Hs 품목 분류 코드 결정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50161728A1 (ko)
KR (1) KR101571041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1782B1 (ko) * 2019-01-09 2019-09-17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건축물 용도 코드 맵핑 장치 및 그 방법
KR20210017865A (ko) * 2019-08-09 2021-02-17 주식회사 한국무역정보통신 Hs 코드 추천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
JP2022054527A (ja) * 2020-09-28 2022-04-07 株式会社三菱総合研究所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220059232A (ko) * 2020-11-02 2022-05-10 한국기계산업진흥회 품목별 수출입/생산액 산출 방법, 분석 대상 품목의 기업 정보 산출 방법, 수급 분석 지표 산출 방법, 및 경쟁력 지표 산출 방법
KR20220168263A (ko) * 2021-06-16 2022-12-23 이씨플라자(주) 국가별 무역상품정보 및 거래정보 기반 관계 사전 구축 및 효율적 검색 방법
KR102567833B1 (ko) * 2022-03-18 2023-08-18 기초과학연구원 설명가능 인공지능을 이용한 세관 물품 분류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97390B (zh) * 2017-04-05 2020-07-07 安徽机器猫电子商务股份有限公司 一种设备配件或零部件商品交易信息搜索方法
EP3818478A1 (en) 2018-07-04 2021-05-12 Solmaz Gumruk Musavirligi A.S. A method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s to find a unique harmonized system code from given texts and system for implementing the same
CN110059159A (zh) * 2019-04-15 2019-07-26 重庆天蓬网络有限公司 一种近似商标实时监控系统
KR102242587B1 (ko) 2019-09-06 2021-04-21 주식회사 한국무역정보통신 사용자 맞춤형 hs 코드 추천 방법 및 서버
KR102386926B1 (ko) 2020-07-16 2022-04-15 주식회사 한국무역정보통신 사용자 참여형 hs 코드 추천 방법 및 서버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81178A (en) * 1987-05-07 1989-11-14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Method of controlling a classifier system
US8725656B1 (en) * 2000-05-18 2014-05-13 United Parcel Service Of America, Inc. Freight rate manager
US8321356B2 (en) * 2000-05-18 2012-11-27 United Parcel Service Of America, Inc. System and method for calculating real-time costing information
US20020091574A1 (en) * 2000-05-30 2002-07-11 Lefebvre Guy V. Master universal tariff system and method
US20020010665A1 (en) * 2000-05-30 2002-01-24 Lefebvre Guy V. Real time global tariff and import data system and method
US20110213869A1 (en) * 2000-09-25 2011-09-01 Yevgeny Korsunsky Processing data flows with a data flow processor
US7249116B2 (en) * 2002-04-08 2007-07-24 Fiske Software, Llc Machine learning
US7412658B2 (en) * 2002-11-14 2008-08-12 Sap Ag Modeling system for graphic user interface
US7792863B2 (en) * 2002-12-27 2010-09-07 Honda Motor Co., Ltd. Harmonized tariff schedule classification using decision tree database
JP4095007B2 (ja) 2003-09-30 2008-06-04 富士通株式会社 商品情報管理用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US7725406B2 (en) * 2004-03-30 2010-05-25 United Parcel Service Of Americ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national shipping and brokerage operations support processing
US8010375B2 (en) * 2004-05-11 2011-08-30 Sap Ag Object model for global trade applications
US8032480B2 (en) * 2007-11-02 2011-10-04 Hunch Inc. Interactive computing advice facility with learning based on user feedback
US9898767B2 (en) * 2007-11-14 2018-02-20 Panjiva, Inc. Transaction facilitating marketplace platform
US20090222365A1 (en) * 2008-02-29 2009-09-03 Mcglynn Joseph A Community-Based Transaction Categorization
US9461876B2 (en) * 2012-08-29 2016-10-04 Loci System and method for fuzzy concept mapping, voting ontology crowd sourcing, and technology prediction
US8965820B2 (en) * 2012-09-04 2015-02-24 Sap Se Multivariate transaction classificatio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1782B1 (ko) * 2019-01-09 2019-09-17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건축물 용도 코드 맵핑 장치 및 그 방법
KR20210017865A (ko) * 2019-08-09 2021-02-17 주식회사 한국무역정보통신 Hs 코드 추천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
JP2022054527A (ja) * 2020-09-28 2022-04-07 株式会社三菱総合研究所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220059232A (ko) * 2020-11-02 2022-05-10 한국기계산업진흥회 품목별 수출입/생산액 산출 방법, 분석 대상 품목의 기업 정보 산출 방법, 수급 분석 지표 산출 방법, 및 경쟁력 지표 산출 방법
KR20220168263A (ko) * 2021-06-16 2022-12-23 이씨플라자(주) 국가별 무역상품정보 및 거래정보 기반 관계 사전 구축 및 효율적 검색 방법
KR102567833B1 (ko) * 2022-03-18 2023-08-18 기초과학연구원 설명가능 인공지능을 이용한 세관 물품 분류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1041B1 (ko) 2015-11-23
US20150161728A1 (en) 2015-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1041B1 (ko) Hs 품목 분류 코드 결정 시스템
CN108960719B (zh) 选品方法和装置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8161045B2 (en) Use of associate memory learning agent technology to identify interchangeable parts in parts catalogs
US8935263B1 (en) Generating rankings of reputation scores in reputation systems
CN110490717A (zh) 基于用户会话及图卷积神经网络的商品推荐方法及系统
KR101596353B1 (ko) 품목분류코드 결정 장치 및 방법
CN104239399B (zh) 社交网络中的潜在好友推荐方法
US9330125B2 (en) Querying of reputation scores in reputation systems
CN105659225A (zh) 使用路径受约束的随机游走的查询扩展和查询-文档匹配
Hosenie et al. Comparing multiclass, binary, and hierarchical machine learning classification schemes for variable stars
US8793201B1 (en) System and method for seeding rule-based machine learning models
EP3825867A1 (en) Search system and search method
Lappas et al. Efficient and domain-invariant competitor mining
Valkanas et al. Mining competitors from large unstructured datasets
Malik et al. EPR-ML: E-Commerce Product Recommendation Using NLP and Machine Learning Algorithm
Sassi et al. A competitive intelligence solution to predict competitor action using K-modes algorithm and rough set theory
CN109146606B (zh) 一种品牌推荐方法、电子设备、存储介质及系统
Oliveira et al. Evolutionary rank aggregation for recommender systems
Hendalianpour et al. Applying decision tree models to SMEs: A statistics-based model for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Hikmawati et al. Pruning Strategy on Adaptive Rule Model by Sorting Utility Items
Li The method for product design selection with incomplete linguistic weight information based on quality function deployment in a fuzzy environment
CN116806342A (zh) 通过原型网络和弱监督学习对基础设施模型中的要素进行分类并预测属性
EP2238567A1 (en) Use of associate memory learning agent technology to identify interchangeable parts in parts catalog
Kazi et al. Preprocessy: a customisable data preprocessing framework with high-level APIs
Witschel et al. Case Model for the RoboInnoCase Recommender System for Cases of Digital Business Transformation: Structuring Information for a Case of Digital Chan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41120

Effective date: 20150925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