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7671A - Mobile terminal - Google Patents

Mobi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7671A
KR20150067671A KR1020130153429A KR20130153429A KR20150067671A KR 20150067671 A KR20150067671 A KR 20150067671A KR 1020130153429 A KR1020130153429 A KR 1020130153429A KR 20130153429 A KR20130153429 A KR 20130153429A KR 20150067671 A KR20150067671 A KR 201500676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plate
terminal
contact
circuit board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34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권우용
안광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534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67671A/en
Publication of KR20150067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767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6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keys on side or rear 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7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Abstract

Provided is a mobile terminal.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for mounting a display on one surface, and a button assembly which is separated from the body to be independently operated, and is fixed to a side of the body. The button assembly includes a fixing plate, a contact surface touching the fixing plate, a flexible PCB which is bent to an end of the contact surface, is extended, and includes an extension surface where a contact terminal is formed, a dome key formed on the contact surface, and a cap which is separated by the flexible PCB and is combined with the fixing plate.

Description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0001] MOBILE TERMINAL [0002]

본 발명은 사이드 키 버튼을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having a side key button.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As the functions are diversified, the terminal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multimedia device having a complex function of, for example, taking pictures or moving pictures, playing music or moving picture files, receiving games and receiving broadcasts have.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할 수 있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The terminal can move And may be divided into a mobile terminal and a stationary terminal depending on whether the mobile terminal is a mobile terminal or a mobile terminal. A portable terminal is a portable device having one or more functions capable of performing voice and video communication, capable of inputting / outputting information, and storing data, which can be carried while being portable.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상기 구조적인 개량에는 단말기의 사이드 키 버튼의 구조를 변경하는 것이 포함된다. In order to support and enhance the functionality of such terminals, it may be considered to improve the structural and / or software parts of the terminal. The structural improvement includes changing the structure of the side key buttons of the terminal.

도 1은 종래의 사이드 키 버튼의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conventional side key button.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사이드 키 버튼은 메인 PCB에 표면실장(SMT)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종래의 사이트 키 버튼은 메인 PCB의 장착 높이에 의존하여 배치가 결정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180)는 디스플레이(152b)의 배면과 중첩되도록 배치되므로 윈도우로(151a)부터 키 버튼(185)까지의 두께(H)가 두꺼워지고 베젤의 크기(B)가 커지게 된다. Referring to FIG. 1, a conventional side key button is formed to surface mount (SMT) on a main PCB. Accordingly, the conventional site key button is determined depending on the mounting height of the main PCB. As shown in the drawing, the switch 180 is disposed to overlap the back surface of the display 152b, 185) becomes thicker and the size (B) of the bezel becomes larger.

최근에는 이동 단말기 외관의 중요성이 점차 높아지고 있으며, 따라서 단말기를 보다 슬림화하고 외관 디자인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사이드 키 버튼의 구조에 대하여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In recent years, the importance of the appearance of a mobile terminal has gradually increased, and various attempts have been made for a structure of a side key button that can make a terminal slimmer and improve the degree of freedom of appearance design.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를 보다 슬림화할 수 있는 구조의 사이드 키 버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ide key button of a structure that can make the mobile terminal more slim.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 단말기는 일면에 디스플레이가 장착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와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조작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일측면에 고정되는 버튼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버튼 조립체는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접하는 접촉면과, 상기 접촉면의 일단에서 굽어서 연장되며 일단부에 접촉단자가 형성되는 연장면을 포함하는 연성회로기판과, 상기 접촉면에 형성되는 돔키 및 상기 연성회로기판을 사이에 두고 상기 고정 플레이트와 결합되는 캡을 포함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on which a display is mounted on one surface, a body that is separated from the body and is independently operable, Wherein the button assembly comprises a flexible circuit board including a stationary plate, a contact surface in contact with the stationary plate, and an extension surface extending bendingly from one end of the contact surface and having contact terminals at one end, And a cap coupled to the fixing plate with the flexible circuit board interposed therebetwee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접촉면은 상기 디스플레이의 측면과 오버랩되도록 배치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ct surface is disposed to overlap with a side surface of the displa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몸체 내부에 장착되고, 일면에 상기 접촉단자와 접하는 돌출단자가 형성되는 메인 회로기판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terminal includes a main circuit board mounted on the inside of the body and having protruding terminals formed on one surface thereof in contact with the contact terminal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돔키가 눌리는 방향과 상기 돌출단자가 돌출되는 방향은 서로 직교하도록 형성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domkey is pressed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protruding terminal protrudes are formed to b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 플레이트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두께 방향으로 리세스되는 안착면을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plate includes a seating surface which is recess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fixing plat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캡은 일면이 상기 고정 플레이트와 대면하고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두께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플랜지부 및 상기 플랜지부의 타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버튼부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p includes a flange portion having one surface facing the fixing plate and reciprocating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fixing plate, and a button portion protruding from the other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 플레이트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캡은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여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걸리도록 형성되는 후크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plate includes a through hole penetrating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fixing plate, and the cap includes a hook formed to pass through the through hole and to be caught by the fixing plat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후크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두께 방향으로 고정 플레이트의 두께보다 길게 연장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일단에서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너비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고정 플레이트와 중첩되도록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ok may include an extension portion extending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fixing plate lon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fixing plate, and a hook protruding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xing plate from one end of the extending portion, And a protrusion form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플랜지부 및 상기 고정 플레이트는 금속 재질로 형성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lange portion and the fixing plate are formed of a metal materia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버튼부는 상기 프랜지부와 인서트 사출에 의하여 형성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utton portion is formed by injection molding with the flange portion.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사이드 키 버튼을 모듈화하여 조립성을 증대시키고, 사이드 키 버튼을 단말기 몸체에 장착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키 버튼의 성능을 검사할 수 있으므로 단말기의 품질을 조기 확보할 수 있다.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modularizes the side key buttons to increase the assemblability and can check the performance of the key buttons even when the side key buttons are not mounted on the terminal body Therefore, the quality of the terminal can be secured early.

또한, 본 발명의 사이드 키 버튼은 메인 회로기판에 표면 실장되는 스위치 없이 버튼 조립체만으로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이드 키 버튼을 디스플레이 측면과 오버랩되도록 배치할 수 있고 단말기 내부 필요 공간을 줄여 이동 단말기의 디자인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Also, the side key butt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nput a signal only by a button assembly without a surface-mounted switch on a main circuit board. Thus, the side key buttons can be arranged to overlap with the display side, and the space required inside the terminal can be reduced, thereby improving the degree of design freedom of the mobile terminal.

도 1은 종래의 사이드 키 버튼의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버튼 조립체가 장착된 이동 단말기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버튼 조립체의 분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연성회로기판의 접촉면을 나타낸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버튼 조립체의 단면도.
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tructure of a conventional side key button.
FIG. 2A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B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mobile terminal shown in FIG. 2A.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obile terminal equipped with the button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view of the button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contact surface of the flexible circuit board shown in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utton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Hereinafter, a mobi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different embodiments in the same or similar configurations. As used herein, the singular forms "a", "an" and "the" include plural referent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different embodiments in the same or similar configurations. As used herein, the singular forms "a", "an" and "the" include plural referent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addition, the suffix "module" and " part "for constituent elem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their own meaning or role.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100)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The mobile terminal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may include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laptop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a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and navigation. However,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described herein may be applied to a fixed terminal such as a digital TV, a desktop computer, or the like, except when applicable only to the mobile terminal 100. [

도 2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100)의 후면 사시도이다. 2A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B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mobile terminal 100 shown in FIG. 2A.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나아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100)는 카메라 및 플래시를 갖는 임의의 휴대 전자 장치, 예를 들어,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O(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2A and 2B, the mobile terminal 100 includes a bar-shaped terminal body.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can be applied to various structures such as a slide type, a folder type, and a swing type in which two or more bodies are coupled to be movable relative to each other. Further, the mobile terminal 100 described herein may be any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a camera and flash, such as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notebook computer, a digital broadcast terminal,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O (Portable Multimedia Player), and the like.

단말기 바디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으로 불릴 수 있다)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1) 및 상기 프론트 케이스(101)와 반대되는 면을 덮는 배터리 커버(103) 및 상기 프론트 케이스(101)과 상기 배터리 커버(103) 사이에 배치되는 리어 케이스(102)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케이스(101) 및 상기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 부품들이 내장된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The terminal body includes a case (which may be referred to as a casing, a housing, a cover, and the like) that forms an appearance. The case includes a battery case 103 covering a front case 101 and a surface opposite to the front case 101 and a rear case 102 disposed between the front case 101 and the battery cover 103 Can be distinguished.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are installed in a space formed between the front case 101 and the rear case 102. [ The cases may be formed by injection molding a synthetic resin, or may be formed to have a metal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STS) or titanium (Ti) or the like.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제1 음향 출력부(152a), 신호입력부 및 전면 카메라부(121a)를 포함한다. The front of the terminal body includes a display unit 151, a first sound output unit 152a, a signal input unit, and a front camera unit 121a.

디스플레이부(151)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모듈, 이페이퍼(e-paper) 등을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방식에 의하여 입력할 수 있게 터치감지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터치감지수단을 포함한 디스플레이부(151)를 '터치스크린'으로 칭하기로 한다. 터치스크린 상의 어느 한 곳에 대하여 터치가 있으면 그 터치된 위치에 대응하는 내용이 입력된다. 터치방식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문자 또는 숫자이거나, 각종 모드에서의 지시 또는 지정 가능한 메뉴항목 등일 수 있다. 터치감지수단은 디스플레이부(151)가 보일 수 있도록 투광성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밝은 곳에서 터치스크린의 시인성(visibility)을 높이기 위한 구조가 포함될 수 있다. 도 2a에 의하면, 터치스크린은 프론트 케이스(101)의 전면(front surface)의 대부분을 차지한다.The display unit 151 includes an LCD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an 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module, and an e-paper for visually expressing information. The display unit 151 may include touch sensing means for inputting data by a touch method. Hereinafter, the display unit 151 including the touch sensing unit will be referred to as a 'touch screen'. If there is a touch on any one place on the touch screen,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touched position are input. The content input by the touch method may be a letter or a number, an instruction in various modes, a menu item which can be designated, and the like. The touch sensing means is formed in a light-transmissive manner so that the display unit 151 can be seen, and a structure for enhancing the visibility of the touch screen in a bright place may be included. According to FIG. 2A, the touch screen occupies most of the front surface of the front case 101.

상기 제1 음향 출력부(152a)는 통화음을 사용자의 귀에 전달시키는 리시버(receiver) 또는 각종 알람음이나 멀티미디어의 재생음을 출력하는 라우드 스피커(loud 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The first sound output unit 152a may be implemented as a receiver for delivering a call sound to a user's ear or a loud speaker for outputting various alarm sounds or multimedia playback sounds.

상기 전면 카메라부(121a)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The front camera unit 121a processes an image frame such as a still image or a moving image obtained by the image sensor in the video communication mode or the photographing mode. The processed image frame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1. [

상기 전면 카메라(121a)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전면 카메라부(121a)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The image frame processed by the front camera 121a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60 or trans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 The front camera unit 121a may be provided in two or more depending on the use environment.

상기 신호입력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입력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키들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지며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The signal input unit is operated to receive a comman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input keys. The input keys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manipulating portion and may be employed in any manner as long as the user has a tactile sense and operates in a tactile manner.

예를 들어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신호입력부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작, 종료, 스크롤 등을 입력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For example, a dome switch or touch screen capable of receiving a command or information by a push or touch operation of a user, a touch pad, or a wheel, a jog type or a joystick for rotating a key . The contents input by the signal input unit can be variously set. For example, to enter start, end, scroll, and the like.

상기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에는 사이드키(132), 인터페이스부(170) 및 음향입력부(122) 등이 배치된다.A side key 132, an interface unit 170, and an acoustic input unit 122 are disposed on a side surface of the rear case 102.

사이드키(132)는 조작유닛으로 통칭될 수 있으며,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사이드키(132)는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사이드키(132)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이드키(132)에 의하여, 영상입력부의 제어, 음향출력부(152a)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The side key 132 may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n operation unit and is capable of receiving a comman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The side key 132 may be employed in any manner as long as the user is operating in a tactile manner with a tactile impression. The contents input by the side key 132 can be variously set. For example, by the side key 132, commands such as control of the image input unit, size adjustment of the sound output from the sound output unit 152a, or switching to the touch recognition mode of the display unit 151 can be received have.

상기 음향입력부(122)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기 위해,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microphone)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The sound input unit 122 may be implemented, for example, in the form of a microphone to receive a user's voice, other sounds, or the like.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7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등}, 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70)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소켓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The interface unit 170 is a channel for allowing the mobile terminal 100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o exchange data with an external device. For example, the interface unit 170 may be a wired or wireless connection terminal for connecting to an earphone, a port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for example, an IrDA port, a Bluetooth port, a wireless LAN port Wireless LAN Port) or the like, or power supply terminals for supplying power to the mobile terminal 100. The interface unit 170 may be implemented as a socket for receiving an external card such as a SIM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or a UIM (User Identity Module) or a memory card for storing information.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전원공급부(191), 후면 카메라부(121b)가 배치된다. A power supply unit 191 and a rear camera unit 121b are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상기 후면 카메라부(121b)에 인접하게 플래쉬(123)가 배치된다. 상기 플래쉬(123)는 상기 후면 카메라부(121b)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하여 빛을 비춘다.A flash 123 is disposed adjacent to the rear camera unit 121b. The flash 123 illuminates the subject toward the subject when the subject is photographed by the rear camera unit 121b.

상기 플래쉬(123)와 인접하게 거울(124)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거울은 사용자가 상기 후면 카메라부(121b)을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A mirror 124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flash 123. The mirror allows the user to illuminate the user's own face or the like when the user wants to photograph himself / herself (self-photographing) using the rear camera unit 121b.

상기 후면 카메라부(121b)은 전면에 배치되는 전면 카메라부(121a)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상기 전면 카메라부(121a)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 일 수 있다.The rear camera unit 121b may have a photographing direction substantially opposite to that of the front camera unit 121a disposed on the front side and may be a camera having pixels different from the front camera unit 121a.

예를 들어, 전면 카메라부(121a)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상기 후면 카메라부(121b)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면 및 후면 카메라부(121a,121b)는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게 단말기 바디에 설치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front camera unit 121a has low pixels so that it is easy to capture a face of a user in case of a video call or the like and send it to the other party. The rear camera unit 121b photographs a general subject and immediately transmits It is preferable to have a high pixel. The front and rear camera units 121a and 121b may be installed on the terminal body so as to be able to rotate or pop-up.

배터리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배터리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직접 탈착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The battery supplies power to the mobile terminal 100. The battery may be built in the terminal body or may be detached from the outside of the terminal body.

본 발명에서는 사이드 키(132)에 적용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버튼 조립체를 개시한다.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new type of button assembly that can be applied to the side key 132.

도 3은 본 발명의 버튼 조립체(200)가 장착된 이동 단말기의 단면도이다.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obile terminal equipped with the button assembly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단말기 본체는 단말기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를 포함하며, 본체의 일면에는 디스플레이부(151)가 장착되어 영상 정보를 제공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본체 내부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151b)와, 상기 디스플레이(151b)와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윈도우(151a)를 포함한다. 상기 윈도우(151a)는 사용자가 윈도우(151a)를 터치하여 신호를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the main body of the terminal includes a case which forms an appearance of the terminal, and a display unit 151 is mounted on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to provide image information. The display unit 151 includes a display 151b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and a window 151a arranged to overlap with the display 151b. The window 151a may be formed so that the user can touch the window 151a to input a signal.

본체의 측면에는 버튼 조립체(200)가 고정된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케이스에는 버튼 조립체(200)가 장착되는 장착홀(164)이 형성되고, 버튼 조립체(200)는 상기 장착홀(164)에 걸리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장착홀(164)은 디스플레이(151b)의 측면과 중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버튼 조립체(200)는 상기 디스플레이(151b)의 측면과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므로 단말기의 디자인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The button assembly 200 is fix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The case is formed with a mounting hole 164 on which the button assembly 200 is mounted and the button assembly 200 is disposed on the mounting hole 164.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unting hole 164 may be formed to overlap the side surface of the display 151b. In other words, since the button assembly 200 can be disposed to overlap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display 151b, the degree of freedom in designing the terminal can be increased.

본체 내부에는 메인 회로기판(160)이 장착된다. 메인 회로기판(160)에는 돌출단자(162)가 형성된다. 돌출단자(162)의 돌출방향(B)은 상기 버튼 조립체(200)의 돔키(216)가 눌리는 방향(A)과 직교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버튼 조립체(200)는 연성회로기판(210)을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 버튼 조립체(200)가 메인 회로기판(160)에 결합되는 방향과 버튼이 눌리는 방향을 서로 다르게 형성시킨다. 이를 통해, 메인 회로기판(160)의 위치에 의존하지 않고 사이드 키 버튼을 자유롭게 배치할 수 있게 된다. A main circuit board 160 is mounted inside the main body. A protruding terminal 162 is formed on the main circuit board 160. The protruding direction B of the protruding terminal 162 may be formed to be orthogonal to the direction A in which the dome key 216 of the button assembly 200 is pressed. That is, since the button assembly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lectrically connected using the flexible circuit board 210, the direction in which the button assembly 200 is coupled to the main circuit board 160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buttons are pressed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 As a result, the side key buttons can be freely arranged without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main circuit board 160.

도 4는 본 발명의 버튼 조립체(200)의 분해도이다. 4 is an exploded view of the button assembly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버튼 조립체(200)는 고정 플레이트(220)와, 연성회로기판(210)과, 캡(230) 등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4, the button assembly 200 includes a fixing plate 220, a flexible circuit board 210, a cap 230, and the like.

고정 플레이트(220)는 버튼 조립체(200)의 바닥면을 이룬다. 다시 말해, 고정 플레이트(220)는 버튼 조립체(200)의 베이스가 되어 버튼이 눌릴 때 연성회로기판(210)을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고정 플레이트(220)는 케이스에 결합되어 상기 버튼 조립체(200)가 단말기 본체에 고정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케이스에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너비 방향으로 홈이 형성되어 고정 플레이트(220)가 상기 홈에 맞물려 고정될 수 있다. The fastening plate 220 forms the bottom surface of the button assembly 200. In other words, the fixing plate 220 becomes the base of the button assembly 200 and is formed to support the flexible circuit board 210 when the button is pressed. In addition, the fastening plate 220 is coupled to the case to allow the button assembly 200 to be secured to the terminal body. For example, the case may have a groove form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xed plate so that the fixed plate 220 may be fixedly engaged with the groove.

상기 고정 플레이트(220)에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222)이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222)은 고정 플레이트(220)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한다. At least one through hole 222 may be formed in the fixing plate 220. The through hole 222 penetrates the fixing plate 220 in the thickness direction.

연성회로기판(210)은 접촉면(212)과 연장면(214)을 포함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접촉면(212)의 일면에는 누름 동작에 의하여 신호를 입력하는 돔키(216)가 형성된다. 즉, 상기 일면에는 표면 실장 기술(SMT, Surface Mounting Technology)에 의하여 돔키(216)가 형성된다. The flexible circuit board 210 includes a contact surface 212 and an extension surface 214. Referring to FIG. 5, a dome key 216 for inputting a signal by pressing operation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contact surface 212. That is, a dome key 216 is formed on the one surface by surface mounting technology (SMT).

돔키(216)는 탄성력에 의하여 왕복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다시 말해, 돔키(216)에 압력이 가해지면 상기 돔키(216)는 버튼 조립체(200)의 두께 방향으로 이동하고, 압력이 사라지면 다시 원래 위치로 복귀된다. The dome key 216 is formed to be able to reciprocate by an elastic force. In other words, when pressure is applied to the dome key 216, the dome key 216 moves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button assembly 200 and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when the pressure disappears.

연장면(214)은 상기 접촉면(212)의 일단에서 연장된다. 연성의 재질로 형성되므로 상기 접촉면(212)은 연장면(214)의 일단에서 굽어져 연장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연장면(214)의 일단부에는 접촉단자(미도시)가 형성된다. 접촉단자를 통해 상기 돔키(216)에 의한 입력 신호가 메인 회로기판(160)에 전달된다. The extension surface 214 extends from one end of the contact surface 212. The contact surface 212 can be bent and extended from one end of the extended surface 214. [0051] As shown in FIG. A contact terminal (not shown) is formed at one end of the extending surface 214. An input signal from the dome key 216 is transmitted to the main circuit board 160 through the contact terminal.

캡(230)은 플랜지부(232)와 버튼부(234)를 포함한다. 플랜지부(232)는 일면이 고정 플레이트(220)와 대면하도록 배치되고 고정 플레이트(220)의 두께 방향으로 왕복 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버튼부(234)가 눌리면 플랜지부(232)는 고정 플레이트(220) 방향으로 이동하여 고정 플레이트(220)에 인접하게 되고, 버튼부(234)를 누르지 않은 경우 플랜지부(232)는 다시 고정 플레이트(220)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유지한다. The cap 230 includes a flange portion 232 and a button portion 234. The flange portion 232 is disposed such that one surface thereof faces the stationary plate 220 and is reciprocally movable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stationary plate 220. That is, when the button portion 234 is pressed, the flange portion 232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fixed plate 220 to be adjacent to the fixed plate 220. When the button portion 234 is not pressed, And is kept spaced apart from the fixing plate 220.

버튼부(234)는 상기 플랜지부(232)의 타면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버튼부(234)는 케이스의 장착홀(164)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버튼부(234)는 플랜지부(232)에 접착되어 형성될 수도 있고 플랜지부(232)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사용자가 버튼부(234)를 누르면 캡(230)은 고정 플레이트(220)를 향하여 이동하여 돔키(216)를 누르게 된다. The button portion 234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other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232. The button portion 234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mounting hole 164 of the case. The button portion 234 may be adhered to the flange portion 232 or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flange portion 232. When the user presses the button portion 234, the cap 230 moves toward the fixed plate 220 and presses the dome key 216.

캡(230)은 고정 플레이트(220)의 관통홀(222)을 통과하여 고정 플레이트(220)에 걸리도록 형성되는 후크(236)를 포함한다. The cap 230 includes a hook 236 that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222 of the fastening plate 220 and is configured to engage the fastening plate 220.

후크(236)는 고정 플레이트(220)의 두께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236a)와, 상기 연장부(236a)의 일단에서 고정 플레이트(220)의 너비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236b)를 포함한다. The hook 236 includes an extension portion 236a extending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fixing plate 220 and a projection portion 236b projecting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xing plate 220 at one end of the extension portion 236a .

상기 연장부(236a)는 고정 플레이트(220)의 두께보다 길게 형성되어 캡(230)이 고정 플레이트(220)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상기 돌출부(236b)는 고정 플레이트(220)에 걸려 캡(230)이 고정 플레이트(22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The extension portion 236a is lon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fixing plate 220 to allow the cap 230 to move up and down with the fixing plate 220 engaged. The protrusion 236b is caught by the fixing plate 220 to prevent the cap 23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ixing plate 220. [

도 6은 본 발명의 버튼 조립체(200)의 단면도이다.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utton assembly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버튼 조립체(200)는 고정 플레이트(220)와, 상기 고정 플레이트(220)에 안착되는 연성회로기판(210)과, 상기 고정 플레이트(220)와 결합되어 상하로 왕복운동하는 캡(230) 등을 포함한다. 6, the button assembly 200 includes a fixed plate 220, a flexible circuit board 210 that is seated on the fixed plate 220, and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210 coupled to the fixed plate 220, Cap 230, and the like.

고정 플레이트(220)는 버튼 조립체(200)의 바닥면을 이룬다. 다시 말해, 고정 플레이트(220)는 버튼 조립체(200)의 베이스가 되어 버튼이 눌릴 때 연성회로기판(210)을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고정 플레이트(220)는 두께 방향으로 리세스되는 안착면(221)을 포함한다. 상기 안착면(221)에는 연성회로기판(210)의 접촉면(212)이 안착된다. The fastening plate 220 forms the bottom surface of the button assembly 200. In other words, the fixing plate 220 becomes the base of the button assembly 200 and is formed to support the flexible circuit board 210 when the button is pressed. The fixing plate 220 includes a seating surface 221 which is recess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The contact surface 212 of the flexible circuit board 210 is seated on the seating surface 221.

연성회로기판(210)의 접촉면(212)에는 누름 동작에 의하여 신호를 입력하는 돔키(216)가 형성된다. 즉, 상기 접촉면(212)에는 표면 실장 기술(SMT, Surface Mounting Technology)에 의하여 돔키(216)가 형성된다. 돔키(216)는 탄성력에 의하여 왕복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다시 말해, 돔키(216)에 압력이 가해지면 상기 돔키(216)는 버튼 조립체(200)의 두께 방향으로 이동하고, 압력이 사라지면 다시 원래 위치로 복귀된다. On the contact surface 212 of the flexible circuit board 210, a dome key 216 for inputting a signal by a pressing operation is formed. That is, a dome key 216 is formed on the contact surface 212 by surface mounting technology (SMT). The dome key 216 is formed to be able to reciprocate by an elastic force. In other words, when pressure is applied to the dome key 216, the dome key 216 moves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button assembly 200 and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when the pressure disappears.

상기 접촉면(212)은 고정 플레이트(220)의 안착면(221)에 안착된다. 안착면(221)은 고정 플레이트(220)의 두께 방향으로 움푹 들어간 형상을 이루고, 상기 안착면(221)에 돔키(216)가 배치되므로 버튼 조립체(200)의 두께를 줄일 수 있다. The contact surface 212 is seated on the seating surface 221 of the fixed plate 220. The seating surface 221 has a recessed shape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fixing plate 220 and the dome key 216 is disposed on the seating surface 221 so that the thickness of the button assembly 200 can be reduced.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사이드 키 버튼을 모듈화하여 조립성을 증대시키고, 사이드 키 버튼을 단말기 몸체에 장착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키 버튼의 성능을 검사할 수 있으므로 단말기의 품질을 조기 확보할 수 있다.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modularizes the side key buttons to increase the assemblability and can check the performance of the key buttons even when the side key buttons are not mounted on the terminal body Therefore, the quality of the terminal can be secured early.

또한, 본 발명의 사이드 키 버튼은 메인 회로기판(160)에 표면 실장되는 스위치 없이 버튼 조립체(200)만으로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이드 키 버튼을 디스플레이(151b) 측면과 오버랩되도록 배치할 수 있고 단말기 내부 필요 공간을 줄여 이동 단말기의 디자인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Also, the side key butt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nput a signal only through the button assembly 200 without a switch mounted on the main circuit board 160. As a result, the side key buttons can be arranged to overlap with the side of the display 151b and the space required inside the terminal can be reduced, thereby improving the degree of freedom of design of the mobile terminal.

이상에서 설명한 이동 단말기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The mobile terminal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the embodiments may be configured by selectively combining all or a part of the embodiments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Claims (10)

일면에 디스플레이가 장착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와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조작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일측면에 고정되는 버튼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버튼 조립체는,
고정 플레이트;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접하는 접촉면과, 상기 접촉면의 일단에서 굽어서 연장되며 일단부에 접촉단자가 형성되는 연장면을 포함하는 연성회로기판;
상기 접촉면에 형성되는 돔키; 및
상기 연성회로기판을 사이에 두고 상기 고정 플레이트와 결합되는 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A body on which a display is mounted; And
And a button assembly detachably attached to the body and being independently operable and fixed to one side of the body,
The button assembly includes:
A fixing plate;
A flexible circuit board including a contact surface in contact with the fixed plate and an extended surface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contact surface and having contact terminals at one end;
A dome key formed on the contact surface; And
And a cap coupled to the fixing plate with the flexible circuit board interposed therebetwee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면은,
상기 디스플레이의 측면과 오버랩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act surface
And is disposed to overlap with a side surface of the displa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내부에 장착되고, 일면에 상기 접촉단자와 접하는 돌출단자가 형성되는 메인 회로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main circuit board mounted on the inside of the body, the protrusion terminal being in contact with the contact terminal on one side of the main circuit boar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돔키가 눌리는 방향과 상기 돌출단자가 돌출되는 방향은 서로 직교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a direction in which the domkey is pressed and a direction in which the protruding terminal protrudes are formed to be orthogonal to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플레이트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두께 방향으로 리세스되는 안착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xing plate includes:
And a seating surface which is recessed in a thickness direction of the fixing pl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일면이 상기 고정 플레이트와 대면하고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두께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플랜지부; 및
상기 플랜지부의 타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버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ap
A flange part having one surface facing the fixed plate and reciprocating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fixed plate; And
And a button portion protruding from the other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플레이트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캡은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여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걸리도록 형성되는 후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fixing plate includes a through hole penetrating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fixing plate,
And the cap includes a hook formed to pass through the through hole and to be caught by the fixing plat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두께 방향으로 고정 플레이트의 두께보다 길게 연장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일단에서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너비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고정 플레이트와 중첩되도록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8. The method of claim 7,
The hook
An extension extending in a thickness direction of the fixing plate longer than a thickness of the fixing plate; And
And a protrusion protruding in a width direction of the fixing plate from one end of the extending portion and overlapping with the fixing plat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 및 상기 고정 플레이트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flange portion and the fixing plate are formed of a metal material.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는,
상기 프랜지부와 인서트 사출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button unit includes:
And the insert part is formed by injection molding with the flange part.
KR1020130153429A 2013-12-10 2013-12-10 Mobile terminal KR2015006767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3429A KR20150067671A (en) 2013-12-10 2013-12-10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3429A KR20150067671A (en) 2013-12-10 2013-12-10 Mobile termin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7671A true KR20150067671A (en) 2015-06-18

Family

ID=53515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3429A KR20150067671A (en) 2013-12-10 2013-12-10 Mobile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67671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29682A (en) * 2019-02-28 2019-05-07 西安易朴通讯技术有限公司 A kind of fixed device of flexible circuit board FPC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29682A (en) * 2019-02-28 2019-05-07 西安易朴通讯技术有限公司 A kind of fixed device of flexible circuit board FPC
CN109729682B (en) * 2019-02-28 2020-12-04 西安易朴通讯技术有限公司 Flexible printed circuit FPC fixing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7264B1 (en) Portable terminal
KR101485392B1 (en) Portable terminal
KR101437991B1 (en) Portable terminal
KR20130095084A (en) Mobile terminal
KR20140036624A (en) Mobile terminal
KR101977079B1 (en) Mobile terminal
KR20140113170A (en) Connection modul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20140051720A (en) Mobile terminal and a cover of the mobile terminal
KR20150084159A (en) Mobile terminal
KR20150067671A (en) Mobile terminal
KR101918989B1 (en) Mobile terminal
KR102053198B1 (en) Mobile terminal
KR101772078B1 (en) Mobile terminal
KR101561900B1 (en) Portable terminal
KR101604753B1 (en) Portable terminal
KR20140045818A (en) Mobile terminal
KR20140021929A (en) Mobile terminal
KR20130128155A (en) Key modul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2053197B1 (en) Mobile terminal
KR101969899B1 (en) Mobile terminal
KR101622684B1 (en) Portable terminal
KR101502008B1 (en) Portable terminal
KR101789536B1 (en) Mobile terminal
KR101910381B1 (en) Mobile terminal
KR101495180B1 (en) Display assembly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