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6927A - Vehicle moving part shielding unit - Google Patents

Vehicle moving part shielding un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6927A
KR20150066927A KR1020130152579A KR20130152579A KR20150066927A KR 20150066927 A KR20150066927 A KR 20150066927A KR 1020130152579 A KR1020130152579 A KR 1020130152579A KR 20130152579 A KR20130152579 A KR 20130152579A KR 20150066927 A KR20150066927 A KR 201500669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part
vehicle
coupling end
drive shaft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257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한신
이준호
조현
남종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525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66927A/en
Publication of KR201500669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692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62D25/2009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 B62D25/2018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the subunits being front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22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main drive shafting, e.g. cardan sh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7/00Stabilising vehicle bodies without controlling suspension arrangements
    • B62D37/02Stabilising vehicle bodies without controlling suspension arrangements by aerodynamic means

Abstract

A vehicle moving part shielding unit is disclos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ehicle moving part shielding unit shields a space between a driving shaft of a moving part installed in the lower side of an engine room of a vehicle and a moving hole which is formed on an engine room shielding panel and is composed of a space where the driving shaft is moved. The vehicle moving part shielding unit comprises: a coupling end couple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iving shaft; and a flange formed in the opposite side of the coupling end and connected to the shielding panel along a circumference of the moving hole. A body which is extended and compressed in accordance with movement of the driving shaft is formed between the coupling end and the flange.

Description

차량 무빙파트 차폐 유닛{VEHICLE MOVING PART SHIELDING UNIT}VEHICLE MOVING PART SHIELDING UNIT}

본 발명은 실링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엔진룸 하부 샤시계 무빙파트를 차폐시켜 차량 주행 중 발생되는 공기 흐름을 후방으로 유도하여, 엔진룸 하부에 걸리는 공기저항을 최소화하고, 공력성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차량 무빙파트 차폐 유닛에 관한 것이다.[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aling unit, and more particularly, to a sealing unit which shields a moving part of an engine room lower chassis to guide an air flow generated during a running of the vehicle to the rear to minimize air resistance under the engine room, To a vehicle moving part shielding unit.

일반적으로 차량은 주행할 때 차체가 대기중의 공기와 충돌하게 됨으로써, 저항을 받게되는데 이러한 저항을 공기저항력이라 하며, 공기저항력은 크게 항력과 양력으로 구분된다.Generally, when the vehicle is running, the vehicle body collides with air in the air, thereby receiving a resistance. Such resistance is called air resistance, and air resistance is largely divided into drag force and lift force.

여기서, 항력이란 주행 중에 공기와 직접 충돌되는 차체가 주행의 반대방향으로 받는 저항력을 말하는 것이고, 양력이란 주행중에 차체 상부와 하부에서 발생되는 압력차이로 차체가 뜨게 되는 현상을 말한다.Here, the drag force is a resistance force that a vehicle body that directly impacts air while traveling,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traveling direction, and a lift phenomenon refers to a phenomenon that a vehicle body floats due to a pressure difference generated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vehicle during driving.

따라서, 자동차 개발 초기단계에서 이러한 공기저항력을 최대한 저감시키고자 목표 공기저항계수를 정해놓고, 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여러 차례의 시뮬레이션과 풍동실험 등을 수행하면서 차체 형상을 결정한다.Therefore, in the early stage of automobile development, the target air resistance coefficient is set in order to reduce the air resistance as much as possible, and the body shape is determined by performing several simulations and wind tunnel tests in order to achieve the target.

한편, 기본적인 차체 형상이 결정된 다음에도 항력과 양력을 저감시킴으로써 공력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여러 가지의 수단이 제공되는데, 그 중의 하나가 차량의 엔진룸 하부에 설치되는 언더커버이다.On the other hand, after the basic body shape is determined, various means are provided to improve the aerodynamic performance by reducing the drag and lift, one of which is an undercover installed under the engine room of the vehicle.

이러한 언더커버는 차량의 주행 시, 노면 소음 등의 소음이 엔진룸과 대시패널을 통해 실내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엔진룸의 부품들이 외부 먼지 등으로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공기역학 성능을 향상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Such an under cover prevents noise such as road surface noises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room through the engine room and the dash panel when the vehicle is traveling and also prevents dirt from being contaminated by the parts of the engine room, Thereby improving aerodynamic performance. Here,

그런데 이러한 언더커버는 공기가 고속으로 유입될 경우, 유입된 공기가 차량의 하부 후방으로 바로 배출되지 않고, 엔진룸 하부에 설치되는 무빙파트 즉, 드라이브 샤프트, 서스펜션 로어암, 스테빌라이저바 및 스티어링 타이로드 등의 구동축이 움직이기 위해 형성된 무빙홀을 통하여 분산 배출되어 유동손실을 발생시키고, 이로 인해, 차량의 주행 중, 전체적인 공기저항이 증가되는 단점이 있다. However, when the air is introduced at a high speed, such an undercover does not discharge the introduced air directly to the rear of the lower portion of the vehicle. Instead, the undercover covers a moving part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engine room, that is, a drive shaft, a suspension lower arm, A driving shaft such as a rod is dispersed and discharged through a moving hole formed for moving, thereby generating a flow loss. As a result, the overall air resistance during traveling of the vehicle is increased.

또한, 이러한 공기저항은 차량의 공력성능을 저하시키게 됨으로써, 쿨링모듈 이후 엔진룸 및 하체에 걸리는 저항(Interference Drag)이 증가되고, 엔진룸에서 발생되는 열해로 인한 부품들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단점도 있다.In addition, such air resistance deteriorates the aerodynamic performance of the vehicle, thereby increasing the resistance to interference between the engine room and the lower body after the cooling module and degrading the durability of the components due to heat generated in the engine room .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일측이 엔진룸 하부에 설치되는 무빙파트의 구동축과 결합되고, 타측이 엔진룸 차폐패널 상에 형성되어 구동축이 무빙되는 무빙홀의 가장자리와 연결되면서 구동축과 무빙홀 사이의 공간을 차폐시켜, 차량의 공력성능을 향상시키도록 된 차량 무빙파트 차폐 유닛을 제공하고자 한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side is coupled to a drive shaft of a moving part provided under the engine room, and the other side is formed on an engine room shielding panel and connected to the edge of a moving hole where the driving shaft is moved, So as to improve the aerodynamic performance of the vehicle.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구동축과 무빙홀 사이의 공간을 차폐하면서, 구동축의 무빙에 따라 일측이 인장과 압축을 통해 사방으로 변형 대응 가능하도록 된 차량 무빙파트 차폐 유닛을 제공하고자 한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ehicle moving part shielding unit which shields a space between a drive shaft and a moving hole and is capable of deforming in one direction by tension and compression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drive shaft.

본 발명의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 예에서는 차량의 엔진룸 하부에 설치되는 무빙파트의 구동축과, 엔진룸 차폐페널 상에 형성되어 상기 구동축이 무빙되는 공간으로 구성되는 무빙홀 사이의 공간을 차폐시키는 차량 무빙파트 차폐 유닛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결합단과, 상기 결합단의 반대측에 형성되어 상기 무빙홀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상기 차폐페널에 연결되는 플랜지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단과 상기 플랜지 사이에는 상기 구동축의 무빙에 따라 인장 및 압축 변형되는 몸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무빙파트 차폐 유닛이 제공될 수 있다.In one or mor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riving shaft of a moving part provided at the bottom of an engine room of a vehicle, and a vehicle body which shields a space between moving holes formed on an engine room shielding panel, A moving part shielding unit comprising: a coupling end couple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iving shaft; and a flange formed on an opposite side of the coupling end and connected to the shielding panel along an edge of the moving hole, And a body which is tensile and compressively deform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drive shaft is formed.

또한, 상기 몸체는 상기 결합단과 플랜지 사이에 주름부로 형성될 수 있다.Also, the body may be formed as a corrugation between the coupling end and the flange.

또한, 상기 몸체는 상기 결합단 및 상기 플랜지와 상호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body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coupling end and the flange.

또한, 상기 주름부는 상기 결합단에서 상기 플랜지 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될 수 있다.Further, the diameter of the wrinkle portion may be increased toward the flange side from the coupling end.

또한, 상기 결합단은 상기 구동축과의 사이에 실링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Further, a sealing member may be provided between the coupling end and the drive shaft.

또한, 상기 실링부재는 베어링, 브러시 및 표면코팅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실링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ealing member may be a sealing member selected from a bearing, a brush, and a surface coating.

또한, 상기 무빙파트의 구동축은 드라이브 샤프트가 될 수 있다.The drive shaft of the moving part may be a drive shaft.

또한, 상기 무빙파트의 구동축은 서스펜션 로어암, 스테빌라이저바 및 스티어링 타이로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구동축으로 될 수 있다.The driving shaft of the moving part may be a driving shaft selected from a suspension lower arm, a stabilizer bar, and a steering tie rod.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엔진룸 하부에 설치되는 무빙파트의 구동축과 엔진룸 차폐패널 상에 형성되어 구동축이 무빙되는 무빙홀 사이의 공간을 차폐시킴으로, 상기 무빙홀을 통해 분산 배출되던 공기의 유동손실을 방지하여 차량의 주행 중 발생되는 차량 하부의 공기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차량의 공력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space between a driving shaft of a moving part provided at the bottom of an engine room and a moving hole where a driving shaft is moved is formed on the engine room shielding panel so as to shield a flow loss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air resistance in the lower portion of the vehicle generated during the running of the vehicle, thereby improving the aerodynamic performance of the vehicle.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엔진룸에서 발생되는 열을 단열시켜 열해에 의해 부품들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heat from being generated in the engine room, thereby preventing damage to the components due to thermal degradation.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엔진룸 차폐패널에 형성되는 무빙홀을 차폐시킴으로, 주행에 따른 소음이 실내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전체적인 차음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ields the moving hole formed in the engine room shielding panel, thereby preventing the noise caused by traveling from entering the room, thereby improving the overall sound insulation performance.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차량의 공력상승, 단열 및 차음 성능이 향상됨으로, 차량의 연비 및 차량의 주행성능(NVH: Noise vibration Harshness)을 개선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aerodynamic power of the vehicle, the heat insulation and the sound insulation performance, thereby improving the fuel consumption of the vehicle and the NVH (Noise Vibration Harshness) of the vehicl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무빙파트 차폐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무빙파트 차폐 유닛의 설치상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무빙파트 차폐 유닛의 작동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moving part shield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vehicle moving part shield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operational view of a vehicle moving part shield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단, 도면에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embodiments, 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arts that are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무빙파트 차폐 유닛(1)은 엔진룸 하부에 설치되는 무빙파트의 구동축(3)과, 상기 구동축(3)이 무빙되는 공간인 무빙홀(5) 사의의 공간을 차폐시켜, 차량의 공력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이다.In describ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vehicle moving part shielding unit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riving shaft 3 of a moving part provided at the bottom of an engine room, The space of the moving hole 5 is shielded to improve the aerodynamic performance of the vehicle.

이때, 상기 무빙파트의 구동축(3)은 드라이브 샤프트, 서스펜션 로어암, 스테빌라이저바, 스티어링 타이로드의 구동축(3)이 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이들을 포함하는 구동축(3)으로 설명하기로 한다.At this time, the drive shaft 3 of the moving part may be a drive shaft, a suspension lower arm, a stabilizer bar, and a drive shaft 3 of a steering tie rod. Hereinafter, the drive shaft 3 including these will be describ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무빙파트 차폐 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무빙파트 차폐 유닛의 설치상태 단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moving part shield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ectional view of a vehicle moving part shield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무빙파트 차폐 유닛(1)은 결합단(7), 플랜지(9) 및 몸체(11)로 이루어진다.1 and 2, a vehicle moving part shielding unit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oupling end 7, a flange 9, and a body 11.

상기 결합단(7)은 상기 구동축(3)의 외주면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결합단(7)과 구동축(3)의 사이에는 실링부재(13)가 구비될 수 있다.The coupling end (7) is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rive shaft (3). At this time, a sealing member 13 may be provided between the coupling end 7 and the drive shaft 3.

상기 실링부재(13)는 베어링, 브러시 및 표면코팅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실링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ealing member 13 may be formed of a sealing material selected from a bearing, a brush, and a surface coating.

이러한 실링부재(13)는 무빙되는 구동축(3)과 결합단(7)과의 마찰을 줄이기 위한 것으로, 무빙되는 구동축(3)의 종류에 따라 고실링/고마찰이 요구될 때에는 베어링을 사용하고, 중실링/중마찰이 요구될 때에는 브러시를 사용할 수 있다.The sealing member 13 is used to reduce the friction between the driving shaft 3 and the coupling end 7 which are moved and when the high sealing / high friction is required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driven driving shaft 3, , And when a solid ring / heavy load is required, a brush can be used.

그리고 저실링/저마찰이 요구될 때에는 표면코팅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실링부재(13)는 마찰면적을 줄이거나 마찰계수가 작은 것으로 상기와 같이 차별적용하면서 사용될 수 있다.When a low sealing / low friction is required, a surface coating may be used, and such a sealing member 13 may be used while reducing the friction area or applying a difference in friction coefficient as described above.

상기 플랜지(9)는 상기 결합단(7)의 반대측에 형성되어 차폐페널(15) 상에 형성되는 상기 무빙홀(5)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접합된다. 이때, 접합은 용접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The flange 9 is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coupling end 7 and is joined along the edge of the moving hole 5 formed on the shielding panel 15. At this time, the welding can be performed by welding.

한편, 상기 몸체(11)는 상기 결합단(7)과 플랜지(9)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구동축(3)의 무빙에 따라 인장 및 압축 변형된다.The body 11 is formed between the coupling end 7 and the flange 9 and is tensile and compressively deformed as the driving shaft 3 moves.

이때, 상기 몸체(11)는 결합단(7)과 플랜지(9) 사이에서 주름부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결합단(7)과 플랜지(9)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body 11 may be formed as a corrugation part between the coupling end 7 and the flange 9, and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coupling end 7 and the flange 9.

그리고, 상기 주름부는 상기 연결단(7)에서 상기 플랜지(9) 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상기 구동축(3)의 무빙 시, 구동축(3)과 몸체(11)가 상호 간섭받지 않으며 구동축(3)이 무빙될 수 있다.The diameter of the corrugations may be increased from the connection end 7 toward the flange 9 side. Accordingly, when the drive shaft 3 is moved, the drive shaft 3 and the body 11 are not interfered with each other, and the drive shaft 3 can be moved.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차량 무빙파트 차폐 유닛의 작동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moving part shielding unit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무빙파트 차폐 유닛의 작동도이다.3 is an operational view of a vehicle moving part shield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무빙파트 차폐유닛(1)은 먼저, 상기 구동축(3)의 무빙 시, 구동축(3)의 무빙 방향에 따라 주름부로 이루어지는 몸체(11)가 일측은 화살표(A) 방향으로 인장되고, 타측은 화살표(B) 방향으로 압축되면서 용이하게 구동축(3)의 무빙에 대응할 수 있다.3, a vehicle moving part shielding unit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ly includes a body 11 composed of a corrugated portion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drive shaft 3 when the drive shaft 3 is moved One side is stretch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A and the other side is compress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B so that it can easily cope with the movement of the drive shaft 3.

그리고 상기 구동축(3)과 무빙홀(5) 사이를 상기 결합단(7), 플랜지(9), 몸체(11) 및 실링부재(13)가 차폐시킴에 따라, 상기 무빙홀(5)을 통해 분산 배출되던 공기의 유동손실이 방지되며, 차량의 주행 중 발생되는 차량 하부의 공기저항을 최소화시키면서 차량의 공력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As the coupling end 7, the flange 9, the body 11 and the sealing member 13 shield the gap between the driving shaft 3 and the moving hole 5, The flow loss of the air being dispersed and discharged can be prevented and the aerodynamic performance of the vehicle can be improved while minimizing the air resistance of the vehicle under the vehicle running.

또한, 엔진룸에서 발생되는 열이 상기 무빙홀(5)을 통해 배출되는 것을 차단시켜 열해에 의한 주변 부품들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In addition, heat generated in the engine room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ischarged through the moving hole 5, thereby preventing damage to neighboring components due to the thermal degradation.

또한, 상기 무빙홀(5)이 차폐됨에 따라, 주행에 따른 차량 하부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실내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In addition, as the moving hole 5 is shielded, noise generat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vehicle due to traveling can be prevented from entering the room.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차량의 공력상승, 단열 및 차음 성능을 향상시켜 차량의 연비 및 차량의 주행성능(NVH: Noise vibration Harshness)이 개선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aerodynamic power of the vehicle, the heat insulation and the sound insulation performance, so that the fuel consumption of the vehicle and the noise vibration harshness (NVH) of the vehicle can be improved.

이상으로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And all changes to the scope that are deemed to be valid.

1: 차량 무빙파트 차폐 유닛 3: 구동축
5: 무빙홀 7: 결합단
9: 플랜지 11: 몸체
13: 실링부재 15: 차폐페널
1: vehicle moving part shielding unit 3: drive shaft
5: Moving hole 7: Coupling end
9: flange 11: body
13: sealing member 15: shielding panel

Claims (8)

차량의 엔진룸 하부에 설치되는 무빙파트의 구동축과, 엔진룸 차폐페널 상에 형성되어 상기 구동축이 무빙되는 공간으로 구성되는 무빙홀 사이의 공간을 차폐시키는 차량 무빙파트 차폐 유닛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결합단과, 상기 결합단의 반대측에 형성되어 상기 무빙홀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상기 차폐페널에 연결되는 플랜지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단과 상기 플랜지 사이에는
상기 구동축의 무빙에 따라 인장 및 압축 변형되는 몸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무빙파트 차폐 유닛.
1. A vehicle moving part shielding unit for shielding a space between a driving shaft of a moving part provided under an engine room of a vehicle and a moving hole formed on an engine room shielding panel and composed of a space for moving the driving shaft,
And a flange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coupling end and connected to the shielding panel along an edge of the moving hole,
Between the coupling end and the flange
And a body that is tensile and compressively deform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drive shaft is form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결합단과 플랜지 사이에 주름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무빙파트 차폐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ody is formed as a corrugation between the coupling end and the flang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결합단 및 상기 플랜지와 상호 일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무빙파트 차폐 유닛.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body is integral with the coupling end and the flang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부는 상기 결합단에서 상기 플랜지 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무빙파트 차폐 유닛.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wrinkle portion increases in diameter from the coupling end toward the flange si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단은 상기 구동축과의 사이에 실링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무빙파트 차폐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coupling end is provided with a sealing member between the coupling end and the drive shaf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베어링, 브러시 및 표면코팅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실링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무빙파트 차폐유닛.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sealing member comprises one of a sealing member selected from a bearing, a brush and a surface coat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파트의 구동축은 드라이브 샤프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무빙파트 차폐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rive shaft of the moving part is a drive shaf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파트의 구동축은 서스펜션 로어암, 스테빌라이저바 및 스티어링 타이로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구동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무빙파트 차폐유닛.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drive shaft of the moving part is any one of a drive shaft selected from a suspension lower arm, a stabilizer bar, and a steering tie rod.
KR1020130152579A 2013-12-09 2013-12-09 Vehicle moving part shielding unit KR2015006692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2579A KR20150066927A (en) 2013-12-09 2013-12-09 Vehicle moving part shielding un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2579A KR20150066927A (en) 2013-12-09 2013-12-09 Vehicle moving part shielding uni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6927A true KR20150066927A (en) 2015-06-17

Family

ID=53515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2579A KR20150066927A (en) 2013-12-09 2013-12-09 Vehicle moving part shielding un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66927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39745B2 (en) Sealing device with sound insulation seal
US8776937B2 (en) Front differential-integrated engine support bracket
KR101495544B1 (en) Mounting structure of intercooler pipe
KR101188044B1 (en) Structure for equipping a motor with an electric vehicle
US10293858B2 (en) Vehicle substructure
KR102431401B1 (en) Rear wheel steering apparatus
JP4826959B2 (en) Intake device for vehicle engine
KR20150066927A (en) Vehicle moving part shielding unit
JP7000967B2 (en) Vehicle undercarriage
KR101509686B1 (en) Cooling drag reduction unit for cooling system of vehicle
JP6819390B2 (en) Vehicle undercarriage
CN205047991U (en) Prevent abnormal sound and fix pipe clamp
KR20140057964A (en) Sound insulation structure for electric vehicle
KR100916448B1 (en) device for improving aerodynamic performance of lower part of car
KR20120020753A (en) Roll rod for vehicle
KR102095256B1 (en) engine mounting bracket for automobile
KR101316866B1 (en) Engine noise reduction device of vehicle
CN105800518A (en) Forklift truck frame with dust with noise reduction and dust control
US9636996B1 (en) High-efficiency body-on-frame air deflector sealing system
CN203713751U (en) Engine hood cover cap of light truck
JP6225629B2 (en) Engine mount cooling structure
JP2010052660A (en) Vehicle noise reduction structure
JP5029591B2 (en) Vehicle front structure
KR20120126986A (en) Under cover for vehicle
JP4568913B2 (en) Car fender apron prot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