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6431A - 양면 발광형 유기 발광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조명 - Google Patents

양면 발광형 유기 발광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조명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6431A
KR20150066431A KR1020140099247A KR20140099247A KR20150066431A KR 20150066431 A KR20150066431 A KR 20150066431A KR 1020140099247 A KR1020140099247 A KR 1020140099247A KR 20140099247 A KR20140099247 A KR 20140099247A KR 20150066431 A KR20150066431 A KR 201500664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light
refractive index
light emitting
light extr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92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73762B1 (ko
Inventor
김장주
김정범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1500664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64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37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37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일 측면에 따라서 기판, 상기 기판 상의 투명한 하부전극, 상기 하부전극과 대향하는 투명한 상부전극, 상기 하부전극과 상기 상부전극 사이에 개재되고,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층, 상기 상부전극 상의 제1 광추출 향상층, 상기 기판 상의, 상기 하부전극과 반대편에 있는 제2 광추출 향상층, 상기 제1 광추출 향상층 상의 제1 반사 방지층, 및 상기 제2 광추출 향상층 상의 제2 반사 방지층을 포함하는 양면 발광형 유기 발광 소자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양면 발광형 유기 발광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조명{Double-sided organic light-emitting diode and display device and illumination}
유기 발광 소자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광추출 효율(outcoupling efficiency)이 향상된 양면 발광형 유기 발광 소자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기 발광 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는 자발광형 소자로서 시야각이 넓고 콘트라스트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응답시간이 빠르며, 휘도, 구동전압 및 응답속도 특성이 우수하고 다색화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유기 발광 소자는 애노드 및 캐소드 사이의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층으로 이루어진다. 유기 발광 소자의 애노드 및 캐소드 간에 전압을 인가하면, 애노드로부터 주입된 정공 및 캐소드로부터 주입된 전자가 발광층에서 재결합하여 엑시톤(exciton)을 생성하고 이 엑시톤이 여기 상태에서 기저상태로 변하면서 발광한다.
양면 발광형 유기 발광 소자는 광이 소자의 전면 및 배면의 양쪽 방향으로 방출되는 유기 발광 소자이다. 양면 발광형 유기 발광 소자는 광이 한쪽으로 방출되는, 전면 발광형 또는 배면 발광형 소자에 비해 공진 효과가 상대적으로 약하여 높은 광추출 효율을 얻기가 어렵다.
일반적인 유기 발광 소자의 경우 내부층의 굴절률 차이에 기인한 전반사 때문에 광추출 효율이 20% 내외로 제한되어 왔으며, 특히 ITO 등의 투명 전극을 사용한 유기 발광 소자는 소자 내에 많은 빛이 갇혀 광추출 효율이 더욱 낮았다. 이를 개선하고자 광추출 향상을 위한 층들이 도입되고 있으나, 좀더 향상된 광추출 효율이 요구된다.
광추출 효율이 향상된 양면 발광형 유기 발광 소자를 제공하고자 한다.
일 측면에 따라서 기판, 상기 기판 상의 투명한 하부전극, 상기 하부전극과 대향하는 투명한 상부전극, 상기 하부전극과 상기 상부전극 사이에 개재되고,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층, 상기 상부전극 상의 제1 광추출 향상층, 상기 기판 상의, 상기 하부전극과 반대편에 있는 제2 광추출 향상층, 상기 제1 광추출 향상층 상의 제1 반사 방지층, 및 상기 제2 광추출 향상층 상의 제2 반사 방지층을 포함하는 양면 발광형 유기 발광 소자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제1 반사 방지층 및 상기 제2 반사 방지층은 굴절률이 1.2 내지 2.5인 물질의 단일층 또는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단일층 및 상기 복수의 층을 이루는 각각의 층은 30nm 내지 200nm 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반사 방지층 또는 상기 제2 반사 방지층이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복수의 층은 1.20 이상 1.65 미만의 굴절률을 갖는 저굴절률 층과 1.65 이상 2.50 미만의 굴절률을 갖는 고굴절률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저굴절률 층과 상기 고굴절률 층은 교대로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반사 방지층 및 상기 제2 반사 방지층은 서로 독립적으로 LiF, MgF2, CeF3, CaF2, ScF3, SiO2, ITO, IZO, IGZO, TiO2, SnO2, ZnO, ZrO2, Al2O3 및 Ta2O5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제1 광추출 향상층은 50° 내지 80°의 경사와 50-100㎛의 높이를 갖는 복수개의 제1 볼록부의 배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볼록부는 원뿔 형상, 다각형의 각뿔 형상 또는 이들의 윗면이 잘린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광추출 향상층이 복수개의 제2 볼록부의 배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볼록부는 원뿔 형상, 필라 형상, 피라미드 형상 또는 렌즈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유기층은 n-도핑층, 상기 n-도핑층 상의 발광층, 상기 발광층 상의 정공수송층 및 상기 정공수송층 상에 형성되고 시아노기 함유 화합물로 이루어진 정공주입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유기층은 n-도핑층, 상기 n-도핑층 상의 전자수송층, 상기 전자수송층 상의 발광층, 상기 발광층 상의 정공수송층 및 상기 정공수송층 상에 형성되고 시아노기 함유 화합물로 이루어진 정공주입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n-도핑층은 제1 전자수송물질 및 상기 제1 전자수송물질에 도핑된 Li2CO3, Na2CO3, K2CO3, Cs2CO3, Rb2CO3, Ba2CO3, 피로닌 B(pyronin B), DMC(decamethylcobaltocene, 데카메틸코발토센), BEDTTTF(bis(ethylenedithio)-tetrathiafulvalene, 비스(에틸렌디티오)-테트라티아풀발렌), 로다민B(rhodamin B), TMBI (1,2,3-trimethyl-2-phenyl-2,3-dihydro-1H-benzoimidazole, 1,2,3-트리메틸-2-페닐-2,3-디히드로-1H-벤조이미다졸), DMBI (1,3-dimethyl-2-phenyl-2,3-dihydro-1H-benzoimidazole, 1,3-디메틸-2-페닐-2,3-디히드로-1H-벤조이미다졸), Cl-DMBI (dichlorophenyl-1,3-dimethyl-2,3-dihydro-1H-benzoimidazole, 디클로로페닐-1,3-디메틸-2,3-디히드로-1H-벤조이미다졸), N-DMBI (4-(1,3-dimethyl-2,3-dihydro-1H-benzoimidazole-2-yl)-phenyl)-dimethyl-amine, 4-(1,3-디메틸l-2,3-디히드로-1H-벤조이미다졸-2-일)-페닐)-디메틸-아민), OH-DMBI (2-(1,3-dimethyl-2,3-dihydro-1H-benzoimidazol-2-yl)-phenol, 2-(1,3-디메틸-2,3-디히드로-1H-벤조이미다졸-2-일)-페놀), PTCDI-C13(N,N′-ditridecylperylene-3,4:9,10-tetracarboxylic acid diimide, N,N′-디트리데실페릴렌-3,4:9,10-테트라카르복실산 디이미드) 또는 F-PTCDI-C4(N,N′-dibutyl-1,7-difluoroperylene-3,4:9,10-tetracarboxylic acid diimide, N,N′-디부틸-1,7-디플루오로페릴렌-3,4:9,10- 테트라카르복실산 디이미드) 중 적어도 1종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n-도핑층은 Li2CO3, Na2CO3, K2CO3, Cs2CO3, Rb2CO3, Ba2CO3, 피로닌 B, DMC, BEDTTTF, 로다민B, TMBI, DMBI, Cl-DMBI, N-DMBI, OH-DMBI, PTCDI-C13 또는 F-PTCDI-C4 중 적어도 1종으로 이루어진 불순물층 및 상기 불순물층 상에 형성된 제1 전자수송물질을 포함하는 제1 전자수송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아노기 함유 화합물이 헥사아자트리페닐렌 헥사카보니트릴(HAT-CN)일 수 있다.
상기 제1 광추출 향상층 및 상기 제2 광추출 향상층은 서로 독립적으로 1.4 내지 2.2의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일 측면에 따라 상기 양면 발광형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다른 일 측면에 따라 상기 양면 발광형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조명을 제공한다.
상기 양면 발광형 유기 발광 소자는 광추출 향상층 위에 반사 방지층을 적용함으로써 외부 양자 효율과 전력 효율이 향상된다.
도 1은 일 구현예에 따른 양면 발광형 유기 발광 소자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다른 일 구현예에 따른 양면 발광형 유기 발광 소자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샘플 1 및 샘플 2의 투과도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4는 실험예 13 및 실험예 16의 유기 발광 소자들의 외부 양자 효율의 실험예 10의 유기 발광 소자들의 외부 양자 효율에 대한 비를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의 높이에 따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5는 실험예 14 및 실험예 17의 유기 발광 소자들의 외부 양자 효율의 실험예 11의 유기 발광 소자들의 외부 양자 효율에 대한 비를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의 높이에 따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6은 실험예 15 및 실험예 18의 유기 발광 소자들의 외부 양자 효율의 실험예 12의 유기 발광 소자들의 외부 양자 효율에 대한 비를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의 높이에 따라 도시한 그래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구현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구현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일 구현예에 따른 양면 발광형 유기 발광 소자(1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일 구현예에 따른 양면 발광형 유기 발광 소자(100)는 기판(101), 상기 기판(101) 상의 투명한 하부전극(110), 상기 하부전극(110)과 대향하는 투명한 상부전극(130), 상기 하부전극(110)과 상기 상부전극(130) 사이에 개재된 유기층(120), 상기 상부전극(130) 상의 제1 광추출 향상층(141) 및 상기 기판(101) 하의 제2 광추출 향상층(142), 및 제1 광추출 향상층(141) 상의 제1 반사 방지층(151) 및 제2 광추출 향상층(142) 상의 제2 반사 방지층(152)을 포함한다.
상기 유기층(120)은 n-도핑층(123), 상기 n-도핑층(123) 상에 형성된 발광층(125), 상기 발광층(125) 상에 형성된 정공수송층(126), 및 상기 정공수송층(126) 상에 형성되고 시아노기 함유 화합물로 이루어진 정공주입층(127)을 포함한다.
상기 n-도핑층(123)은 전자수송 특성을 가지는 층에 n-도펀트가 불순물로 함유된 층이다. 소자에 전압을 인가하면 n-도핑층(123) 내에서 전자가 생성되고, n-도핑층(123) 내에서 생성된 전자는 발광층(125)으로 주입 및 수송된다.
상기 정공수송층(126)과 상기 정공주입층(127)은 정공을 발광층(125)으로 주입 및 수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정공은 상부전극(130)으로부터 주입되어 정공주입층(127)과 정공수송층(126)을 차례로 거쳐 발광층(125)으로 수송된다.
상기 제1 광추출 향상층(141)은 전면 발광(top emission)을 위해 상부전극(130) 상에 형성되므로 상부전극(130)과 유사한 굴절률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광추출 향상층(141)은 약 1.4 내지 약 2.2의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광추출 향상층(142)은 배면 발광(bottom emission)을 위해 기판(101) 하에 형성되며 기판(101)과 유사한 굴절률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광추출 향상층(142)은 약 1.4 내지 약 2.2의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반사 방지층(151, 152)은 광추출 향상층(141, 142)로부터 공기 중으로 광이 투과될 때 광추출 향상층(141, 142)의 경계면에서의 광의 내부 전반사를 막기 위한 층이다. 제1 반사 방지층(151) 및 제2 반사 방지층(152)은 단일층으로 이루어진 경우에 각각 제1 광추출 향상층(141) 및 제2 광추출 향상층(142) 보다 낮은 굴절률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반사 방지층(151) 및 제2 반사 방지층(152)은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진 경우에 저굴절 층과 고굴절 층이 번갈아 존재할 수 있다. 이때 저굴절률 층은 1.20 이상 1.65 미만의 굴절률을 가질 수 있고, 고굴절률 층은 1.65 이상 2.5 미만의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양면 발광형 유기 발광 소자에서 하부전극을 투명 전극으로 선택할 경우 일함수의 차이로 의하여 전하의 주입 및 수송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구현예의 양면 발광형 유기 발광 소자(100)는 하부전극(110)을 투명 전극으로 선택하더라도 이하에서 살펴보는 바와 같이 전자의 주입 및 수송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양면 발광형 유기 발광 소자(100)는 하부전극(110)과 발광층(125) 사이에 n-도핑층(123)이 구비되어 있어서 하부전극(110)의 재료 선택의 폭이 넓어질 수 있다. 즉, 하부전극(110)에 (-) 전압을 인가하고 상부전극(130)에 (+) 전극을 인가하면, n-도핑층(123)과 하부전극(110) 사이 계면의 에너지 장벽이 낮아져 하부전극(110)의 일함수 값에 상관없이 전자의 주입 및 수송이 용이해진다. 그 결과 소자의 하부전극(110)의 선택 폭이 넓어져 하부전극(110)을 양면 발광에 적합한 투명 전극으로 선택할 수 있다.
n-도핑층(123)은 제1 전자수송물질에 n-도펀트를 포함하는 단일층일 수 있다. 제1 전자수송물질로는 B3PYMPM(비스-4,6-(3,5-디-3-피리딜페닐)-2-메틸피리미딘), Alq3, Bphen(4,7-디페닐-1,10-페난트롤린), BCP(2,9-디메틸-4,7-디페닐-1,10-페난트롤린), TPBi(2,2',2"-(1,3,5-벤젠트리일)-트리스(1-페닐-1H-벤즈이미다졸), TPQ1(트리스-페닐퀴녹살린즈 1,3,5-트리스[(3-페닐-6-트리플루오로메틸)퀴녹살린-2-일]벤젠), TPQ2(트리스-페닐퀴녹살린즈 1,3,5-트리스[{3-(4-tert-부틸페닐)-6-트리플루오로메틸}퀴녹살린-2-일]벤젠), TAZ(3-(4-비페닐릴)-4-페닐-5-터트-부틸페닐-1,2,4-트리아졸), NTAZ(4-(나프탈렌-1-일)-3,5-디페닐-4H-1,2,4-트리아졸), tBu-PBD(2-(4-비페닐릴)-5-(4-tert-부틸페닐)-1,3,4-옥사디아졸), BeBq2(10-벤조[h]퀴놀리놀-베릴륨), E3(터플루오렌)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n-도펀트로는 리튬(Li), 나트륨(Na), 칼륨(K), 루비듐(Rb), 세슘(Cs), 마그네슘(Mg), 칼슘(Ca), 스트론튬(Sr), 바륨(Ba), 란타늄(La), 세륨(Ce), 네오디뮴(Nd), 사마륨(Sm), 유로퓸(Eu), 테르븀(Tb), 디스프로슘(Dy) 또는 이테르븀(Yb) 중 적어도 1종의 금속; 상기 금속의 질화물; 상기 금속의 탄산염; 또는 상기 금속의 착물 중 적어도 1종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리튬(Li), 나트륨(Na), 칼륨(K), 루비듐(Rb), 세슘(Cs), 마그네슘(Mg), 칼슘(Ca), 스트론튬(Sr), 바륨(Ba), 란타늄(La), 세륨(Ce), 네오디뮴(Nd), 사마륨(Sm), 유로퓸(Eu), 테르븀(Tb), 디스프로슘(Dy) 및 이테르븀(Yb) 등은 일함수가 상대적으로 낮아 전자의 생성에 유리하기 때문에 n-도펀트로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Li2CO3, Na2CO3, K2CO3, Cs2CO3, Rb2CO3 또는 Ba2CO3 중 적어도 1종을 n-도펀트로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피로닌 B(pyronin B), DMC(decamethylcobaltocene, 데카메틸코발토센), BEDTTTF(bis(ethylenedithio)-tetrathiafulvalene, 비스(에틸렌디티오)-테트라티아풀발렌), 로다민B(rhodamin B), TMBI (1,2,3-trimethyl-2-phenyl-2,3-dihydro-1H-benzoimidazole, 1,2,3-트리메틸-2-페닐-2,3-디히드로-1H-벤조이미다졸), DMBI (1,3-dimethyl-2-phenyl-2,3-dihydro-1H-benzoimidazole, 1,3-디메틸-2-페닐-2,3-디히드로-1H-벤조이미다졸), Cl-DMBI (dichlorophenyl-1,3-dimethyl-2,3-dihydro-1H-benzoimidazole, 디클로로페닐-1,3-디메틸-2,3-디히드로-1H-벤조이미다졸), N-DMBI (4-(1,3-dimethyl-2,3-dihydro-1H-benzoimidazole-2-yl)-phenyl)-dimethyl-amine, 4-(1,3-디메틸l-2,3-디히드로-1H-벤조이미다졸-2-일)-페닐)-디메틸-아민), OH-DMBI (2-(1,3-dimethyl-2,3-dihydro-1H-benzoimidazol-2-yl)-phenol, 2-(1,3-디메틸-2,3-디히드로-1H-벤조이미다졸-2-일)-페놀), PTCDI-C13(N,N′-ditridecylperylene-3,4:9,10-tetracarboxylic acid diimide, N,N′-디트리데실페릴렌-3,4:9,10-테트라카르복실산 디이미드) 또는 F-PTCDI-C4(N,N′-dibutyl-1,7-difluoroperylene-3,4:9,10-tetracarboxylic acid diimide, N,N′-디부틸-1,7-디플루오로페릴렌-3,4:9,10- 테트라카르복실산 디이미드)과 같은 n-형의 유기 화합물을 n-도펀트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n-도펀트의 함량은 n-도핑층(123)의 총중량 대비 0.1 중량 % 내지 25 중량 %일 수 있다. n-도펀트 함량이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n-도핑층(123) 내에서 전자가 만족스러운 수준으로 생성될 수 있다.
n-도핑층(123)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단일층일 수 있으나 선택적으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n-도펀트로 이루어진 불순물층(123')과 상기 불순물층(123') 상에 적층된 제1 전자수송층(123")으로 이루어진 이중층일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불순물층(123')과 하부전극(110) 사이 계면의 에너지 장벽이 낮아져 하부전극(110)의 일함수 값에 상관없이 전자의 주입 및 수송이 용이해지고, 그 결과 소자의 하부전극(110)의 선택 폭이 넓어지고 하부전극(110)을 양면 발광에 적합한 투명 전극으로 선택할 수 있다.
양면 발광형 유기 발광 소자(100)의 상부전극(130) 아래에는 시아노기 함유 화합물로 이루어진 정공주입층(127)이 구비되어 있다. 정공주입층(127)은 상부전극(130)으로부터 주입된 정공을 발광층(125)으로 원활하게 주입 및 수송시킬 뿐만 아니라, 스퍼터링과 같은 제조 공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유기층의 손상을 방지하여 준다. 이러한 정공주입층(127)의 특성으로 인해 소자의 상부전극(130)을 양면 발광에 적합한 투명 전극으로 선택할 수 있다.
정공주입층(127)은 도핑하지 않은 단일 물질로 이루어진 층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일 물질로 이루어진 층을 사용할 경우 실질적인 구동 전압의 상승 없이 만족스러운 수준의 정공 주입 특성을 가질 수 있고 유기층의 손상도 방지할 수 있다.
정공주입층(127)의 재료로는 시아노기를 함유한 결정성 유기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는데, 이러한 시아노기 함유 결정성 유기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하기와 같은 헥사아자트리페닐렌 헥사카보니트릴(HAT-CN)이 있다.
Figure pat00001
HAT-CN
통상적으로 상부전극에 투명 전극을 사용하는 경우에 전하의 주입 및 수송에 어려움이 발생하나 헥사아자트리페닐렌 헥사카보니트릴(HAT-CN)을 사용하여 정공주입층(127)을 형성하면 형성된 유기층이 격자화되는 특성을 가져 스퍼터링과 같은 제조 공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이온 충격 손상(ion bombardment damage)로부터 유기층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여 투명소자의 구현이 용이하다.
양면 발광형 유기 발광 소자(100)의 정공주입층(127) 하에는 정공수송층(126)이 구비되어 있다. 정공수송층(126)은 정공주입층(127)과 함께 정공의 주입 및 수송을 원활하게 하는 기능을 한다.
정공수송층(126)은 정공수송물질을 포함한다. 정공수송물질로는 프탈로시아닌 유도체, NPB(4,4'-비스[N-(1-나프틸)-N-페닐아미노]바이페닐), TPD(4,4'-비스[N-(3-메틸페닐)-N-페닐아미노]바이페닐), MTDATA(4,4',4"-트리스[(3-메틸페닐)페닐아미노]트라이페닐아민), TAPC(1,1-비스(4-(N,N-다이-p-톨릴아미노)페닐)사이클로헥세인), TCTA(4-(9H-카바졸-9-일)-N,N-비스[4-(9H-카바졸-9-일)페닐]-벤젠아민), CBP(9,9'-[1,1'-바이페닐]-4,4'-다이일비스-9H-카바졸), mCP(9,9'-(1,3-페닐렌)비스-9H-카바졸) 또는 2-TNATA(4,4',4"-트리스(N-(2-나프틸)-N-페닐아미노) 트리페닐아민) 중 적어도 1종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양면 발광형 유기 발광 소자(100)의 상부전극(130) 상에 제1 광추출 향상층(141)이 형성되어 있다.
제1 광추출 향상층(141)으로는 약 1.4 내지 약 2.2의 굴절률을 만족하는 유기물, 무기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보통 상부전극(130)의 굴절률이 하부의 기판(101)의 굴절률 보다 높으므로 상부전극(130) 상에 형성되는 제1 광추출 향상층(141)은 제2 광추출 향상층(142)보다 굴절률이 더 높을 수 있다.
제1 광추출 향상층(141)의 가시 광선 투과율은 약 70% 내지 약 99%일 수 있다. 제1 광추출 향상층(141)은 상부전극(130) 상에 접촉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 광추출 향상층(141)의 면 중, 상부전극(130)과 접촉하는 면을 제1 입사면이라 정의하고 상기 제1 입사면의 반대측에 위치한 면을 제1 출사면이라고 정의하면, 상기 제1 출사면 상에는 복수개의 제1 볼록부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볼록부는 광산란을 일으켜서 발광층(125)으로부터 상부전극(130)을 통해 외부로 방출되는 광의 추출 효율을 향상시킨다. 구체적으로 제1 볼록부의 반복 주기를 가시 광선의 파장 영역이 되도록 형성한다면 제1 볼록부가 상부전극(130)을 통해 나오는 가시 광선에 대해 산란체 역할을 하여 가시 광선의 추출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볼록부의 특정 형상과 주기에 따라 광산란 형태가 결정되므로 제1 볼록부의 형상과 주기를 단색광 파장의 산란에 적합하도록 형성하여 상부전극(130) 외부로 방출되는 광의 추출 특성을 조절할 수 있다.
제1 볼록부의 필팩터(fill factor)는 제1 입사면 상에 형성된 복수개의 제1 볼록부의 표면적을 제1 출사면의 표면적으로 나눈 값으로 정의되며, 제1 볼록부의 필팩터가 약 50% 내지 약 100%인 경우 제1 볼록부에 의한 산란이 적합하여 광추출 특성이 만족스러운 수준이 될 수 있다.
제1 볼록부는 콘(원뿔) 형상, 삼각뿔 또는 사각뿔과 같은 다각형 뿔 형상, 또는 이들의 윗면이 잘린 형상 등과 같이 측면이 경사를 갖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볼록부의 밑면의 직경(D)은 1㎛ 내지 500㎛ 일 수 있고, 제1 볼록부 측면의 밑면에 대한 경사 각도(θ)는 약 50° 내지 80° 일 수 있다. 이때 필팩터는 약 50% 내지 100%일 수 있다. 제1 볼록부가 상기와 같은 형상과 직경, 경사각 및 필팩터를 가질 경우 전반사 또는 광도파로에 의한 광소실을 감소시키고 광을 외부로 보다 잘 추출시킬 수 있다.
기판(101) 하에는 제2 광추출 향상층(142)이 구비되어 있다. 제2 광추출 향상층(142)의 재료로는 약 1.4 내지 약 2.2의 굴절률을 만족하는 유기물, 무기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제2 광추출 향상층(142)은 기판(101) 아래에 형성되므로 기판(101)과 비슷한 수준의 굴절율을 갖는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유기물의 경우에는 통상적으로 굴절률이 낮은 것을 사용하고 무기물의 경우에는 굴절률이 높지 않은 것을 주로 사용할 수 있다. 제2 광추출 향상층(142)의 가시 광선 투과율은 약 70% 내지 약 99%일 수 있다.
제2 광추출 향상층(142)은 기판(101)과 접촉할 수 있다. 제2 광추출 향상층(142)의 면 중, 기판(101)과 접촉하는 면을 제2 입사면이라 정의하고 상기 제2 입사면의 반대측에 위치한 면을 제2 출사면이라고 정의하면, 상기 제2 출사면 상에는 복수개의 제2 볼록부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볼록부는 광산란을 일으켜서 발광층(125)으로부터 기판(101)을 통해 외부로 방출되는 광의 추출 효율을 향상시킨다. 구체적으로 제2 볼록부의 반복 주기를 가시 광선의 파장 영역이 되도록 형성한다면 제2 볼록부가 기판(101)을 통해 나오는 가시 광선에 대해 산란체 역할을 하여 가시 광선의 추출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2 볼록부의 특정 형상과 주기에 따라 광산란 형태가 결정되므로 제2 볼록부의 형상과 주기를 단색광 파장의 산란에 적합하도록 형성하여 기판(101) 외부로 방출되는 광의 추출 특성을 조절할 수 있다.
제2 볼록부의 형상과 주기를 특정짓는 인자로서 필팩터를 예로 들 수 있다. 필팩터는 제2 입사면 상에 형성된 복수개의 제2 볼록부의 표면적을 제2 출사면의 표면적으로 나눈 값으로 정의된다. 필팩터가 약 50% 내지 약 100%인 경우 제2 볼록부에 의한 산란이 적합하여 광추출 특성이 만족스러운 수준이 될 수 있다.
제2 볼록부는 원뿔 형상, 필라 형상, 피라미드 형상 또는 렌즈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볼록부가 상기와 같은 형상일 경우, 전반사 또는 광도파로에 의한 광소실을 감소시키고 광을 외부로 보다 잘 추출시킬 수 있다.
제2 볼록부의 폭과 높이는 제2 볼록부의 형상과 산란되는 광의 파장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볼록부는 렌즈 형상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제2 볼록부의 밑면의 직경 및 높이는 1㎛ 내지 500㎛일 수 있고, 필팩터는 약 70% 내지 90%일 수 있다.
제1 광추출 향상층(141) 위에 제1 반사 방지층(151)이 형성되어 있고, 제2 광추출 향상층(142) 위에 및 제2 반사 방지층(152)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반사 방지층(151) 및 제2 반사 방지층(152)은 서로 독립적으로 30nm 내지 200nm 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반사 방지층 및 상기 제2 반사 방지층은 서로 독립적으로 굴절률이 1.2 내지 2.5인 물질로 단일층 또는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반사 방지층 및 상기 제2 반사 방지층이 단일층으로 이루어진 경우 이 단일층의 굴절률은 1.2 내지 1.7 또는 1.2 내지 1.6 또는 1.2 내지 1.5 일 수 있다. 상기 제1 반사 방지층 및 상기 제2 반사 방지층이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진 경우 이 복수의 층은 굴절률이 낮은 층과 굴절률이 높은 층이 교대로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층 이상인 경우 두 층 사이의 층의 굴절률이 상기 두 층의 굴절률 보다 작거나 또는 두 층 사이의 층의 굴절률이 상기 두 층의 굴절률 보다 클 수 있다. 이때 굴절률이 낮은 층은 예를 들어 1.20 이상 1.65 미만의 굴절률을 가질 수 있고, 굴절률이 높은 층은 예를 들어 1.65 이상 2.5 미만의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반사 방지층 및 상기 제2 반사 방지층이 상기 범위의 굴절률 및 두께를 가질 경우 제1 광추출 향상층 및 제2 광추출 향상층으로부터 공기 중으로 나오는 광의 제1 광추출 향상층 및 제2 광추출 향상층 경계에서의 내부 전반사를 효율적으로 줄여서 광추출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제1 반사 방지층(151) 및 제2 반사 방지층(152)은 예를 들어 서로 독립적으로 LiF, MgF2, CeF3, CaF2, ScF3, SiO2, ITO, IZO, IGZO, TiO2, SnO2, ZnO, ZrO2, Al2O3 또는 Ta2O5의 단일층 또는 이들의 혼합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반사 방지층(151) 및 제2 반사 방지층(152)은 LiF의 단일층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반사 방지층(151) 및 제2 반사 방지층(152)이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복수의 층은 상기 저굴절률 층과 상기 고굴절률 층이 교대로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저굴절률 층은 1.20 이상 1.65 미만의 굴절률을 가질 수 있고, 고굴절률 층은 1.65 이상 2.50 미만의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의 층은 MgF2(n=1.38)과 Al2O3(n=1.69)의 이중층 또는 MgF2(n=1.38), ZrO2(n=2.05) 및 Al2O3(n=1.69)의 삼중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층을 구성하는 각각의 층의 두께가 30nm 내지 200nm 일 수 있다. 따라서 혼합층 전체의 두께는 이들 각각의 층의 두께의 합이 된다.
도 2는 다른 일 구현예에 따른 양면 발광형 유기 발광 소자(200)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상기 양면 발광형 유기 발광 소자(200)는 기판(101), 상기 기판(101) 상에 형성된 투명한 하부전극(110), 상기 하부전극(110) 상에 형성되고 상기 하부전극(110)과 대향된 투명한 상부전극(130), 상기 하부전극(110)과 상기 상부전극(130) 사이에 개재된 유기층(220), 상기 상부전극(130) 상에 형성된 제1 광추출 향상층(141) 및 상기 기판(101) 하에 형성된 제2 광추출 향상층(142), 및 제1 광추출 향상층(141) 상의 제1 반사 방지층(151) 및 제2 광추출 향상층(142) 상의 제2 반사 방지층(152)을 포함한다.
상기 유기층(220)은 n-도핑층(123), 상기 n-도핑층(123) 상에 형성된 발광층(125), 상기 발광층(125) 상에 형성된 정공수송층(126) 및 상기 정공수송층(126) 상에 형성되고 시아노기 함유 화합물로 이루어진 정공주입층(127)을 포함한다. 발광층(125)과 n-도핑층(123) 사이에는 전자의 주입 및 수송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제2 전자수송층(224)이 더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유기 발광 소자(200)는 유기층(220)이 제2 전자수송층(224)을 더 포함하는 점에서 도 1의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제2 전자수송층(224)은 제2 전자수송물질을 포함한다. 제2 전자수송물질로는 제1 전자수송물질과 마찬가지로 B3PYMPM(비스-4,6-(3,5-디-3-피리딜페닐)-2-메틸피리미딘), Alq3, Bphen(4,7-디페닐-1,10-페난트롤린), BCP(2,9-디메틸-4,7-디페닐-1,10-페난트롤린), TPBi(2,2',2"-(1,3,5-벤젠트리일)-트리스(1-페닐-1H-벤즈이미다졸), TPQ1(트리스-페닐퀴녹살린즈 1,3,5-트리스[(3-페닐-6-트리플루오로메틸)퀴녹살린-2-일]벤젠), TPQ2(트리스-페닐퀴녹살린즈 1,3,5-트리스[{3-(4-tert-부틸페닐)-6-트리플루오로메틸}퀴녹살린-2-일]벤젠), TAZ(3-(4-비페닐릴)-4-페닐-5-터트-부틸페닐-1,2,4-트리아졸), NTAZ(4-(나프탈렌-1-일)-3,5-디페닐-4H-1,2,4-트리아졸), tBu-PBD(2-(4-비페닐릴)-5-(4-tert-부틸페닐)-1,3,4-옥사디아졸), BeBq2(10-벤조[h]퀴놀리놀-베릴륨), E3(터플루오렌)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상기 도 2에 도시된 양면 발광형 유기 발광 소자(200)를 참조하여 양면 발광형 유기 발광 소자(200)의 구조 및 제조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양면 발광형 유기 발광 소자(200)의 제조방법은 양면 발광형 유기 발광 소자(100)의 제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른 양면 발광형 유기 발광 소자(200)는 기판(101)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기판(101) 상에 투명한 하부전극(110)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하부전극(110) 상에 n-도핑층(123), 발광층(125), 정공수송층(126) 및 시아노기 함유 화합물로 이루어진 정공주입층(127)을 포함한 유기층(220)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유기층(220) 상에 투명한 상부전극(130)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상부전극(130) 상에 1.4 내지 2.2의 굴절률을 갖는 제1 광추출 향상층(141)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기판(101) 하에 1.4 내지 2.2의 굴절률을 갖는 제2 광추출 향상층(142)을 형성하는 단계를 거쳐 제조된다.
기판(101)으로는 기계적 강도, 열적 안정성, 투명성, 표면 평활성, 취급용이성 및 방수성이 우수한 유리 기판 또는 투명 플라스틱 기판을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양면 발광을 위해 투명한 기판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판(101)으로는 SiO2를 주성분으로 하는 투명한 유리 재질 기판을 사용할 수 있다.
기판 상에는 하부전극(110)을 형성한다. 하부전극(110)은 비아홀을 통하여 n형 박막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n형 박막 트랜지스터로부터 인가되는 구동 전류를 공급 받는 역할을 한다. 하부전극(110)은 예를 들면 캐소드일 수 있다.
하부전극(110)은 양면 발광을 위해 ITO(인듐주석산화물), IZO(인듐아연산화물) 또는 ZnO(아연 산화물) 같은 투명한 산화물, 얇은 막의 그래핀(graphene), Ag 또는 Al 등과 같은 투명한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ITO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ITO에 자외선-오존 처리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하부전극(110)은 공지된 다양한 방법, 예를 들면, 증착법, 스퍼터링법, 스핀코팅법 또는 블레이드코팅법 등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하부전극(110) 상에는 n-도핑층(123)을 형성한다. n-도핑층(123)은 제1 전자수송물질에 불순물인 n-도펀트를 도핑한 단일층으로 형성하거나, 또는 불순물인 n-도펀트로 이루어진 불순물층(123')에 제1 전자수송물질을 포함하는 제1 전자수송층(123")이 순서대로 적층된 이중층으로 형성한다.
n-도핑층(123) 내에서는 n-도펀트의 영향으로 전자가 생성되고, 생성된 전자는 전자수송층(274)을 거쳐 발광층(125) 쪽으로 이동하여 소자에 전류를 흐르게 한다.
n-도핑층(123)은 제1 전자수송물질에 n-도펀트를 도핑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n-도펀트의 도핑 농도는 n-도핑층(123)의 총중량 대비 약 0.1중량 % 내지 25중량 %일 수 있다. n-도핑층(123)의 형성은 진공증착법, 스핀코팅법, 캐스트법 또는 LB법 등과 같은 다양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n-도핑층(123)의 두께는 약 5Å 내지 약 1,000Å일 수 있다. n-도핑층(123)의 두께가 상기 범위를 만족할 경우, 실질적인 구동 전압의 상승 없이 n-도핑층(123) 내에서 만족스러운 수준으로 전자가 생성될 수 있다.
n-도핑층을 이중층으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불순물층(123')과 제1 전자수송층(123")을 진공증착법, 스핀코팅법, 캐스트법 또는 LB법 등과 같은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순서대로 적층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불순물층(123')의 두께는 약 2Å 내지 약 100Å일 수 있고, 불순물층(123') 및 제1 전자수송층(123")의 두께의 합은 약 5Å 내지 약 1,000Å 일 수 있다. 불순물층(123') 및 제1 전자수송층(123")의 두께가 상기 범위를 만족할 경우, 실질적인 구동 전압의 상승 없이 불순물층(123') 및 제1 전자수송층(123")에 의해 만족스러운 수준으로 전자가 생성될 수 있다.
n-도핑층(123) 상에는 제2 전자수송층(224)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전자수송층(224)은 제2 전자수송물질을 사용하여 형성하며, 예를 들면 B3PYMPM(비스-4,6-(3,5-디-3-피리딜페닐)-2-메틸피리미딘), Alq3, Bphen(4,7-디페닐-1,10-페난트롤린), BCP(2,9-디메틸-4,7-디페닐-1,10-페난트롤린), TPBi(2,2',2"-(1,3,5-벤젠트리일)-트리스(1-페닐-1H-벤즈이미다졸), TPQ1(트리스-페닐퀴녹살린즈 1,3,5-트리스[(3-페닐-6-트리플루오로메틸)퀴녹살린-2-일]벤젠), TPQ2(트리스-페닐퀴녹살린즈 1,3,5-트리스[{3-(4-tert-부틸페닐)-6-트리플루오로메틸}퀴녹살린-2-일]벤젠), TAZ(3-(4-비페닐릴)-4-페닐-5-터트-부틸페닐-1,2,4-트리아졸), NTAZ(4-(나프탈렌-1-일)-3,5-디페닐-4H-1,2,4-트리아졸), tBu-PBD(2-(4-비페닐릴)-5-(4-tert-부틸페닐)-1,3,4-옥사디아졸), BeBq2(10-벤조[h]퀴놀리놀-베릴륨), E3(터플루오렌)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전자수송층(224)의 형성은 진공증착법, 스핀코팅법, 캐스트법 또는 LB법 등과 같은 다양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제2 전자수송층(224)의 두께는 약 5Å 내지 약 1,000Å일 수 있다. 제2 전자수송층(224)의 두께가 상기 범위를 만족할 경우, 실질적인 구동 전압의 상승 없이 만족스러운 정도의 전자 주입 및 수송 특성을 얻을 수 있다.
제2 전자수송층(224) 상에는 발광층(125)을 형성한다. 발광층(125)은 공지의 인광 호스트와 인광 도펀트, 또는 공지의 형광 호스트와 형광 도펀트를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공지의 호스트로서, 예를 들어, Alq3(트리스(8-퀴놀리노레이트)알루미늄), CBP(4,4'-N,N'-디카바졸-비페닐), ADN(9,10-디-나프탈렌-2-일-안트라센), PVK(폴리(n-비닐카바졸)), TCTA, TPBI(1,3,5-트리스(N-페닐벤즈이미다졸-2-일)벤젠), TBADN(3-터트-부틸-9,10-디(나프트-2-일) 안트라센), 또는 E3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적색 도펀트로서 PtOEP(Pt(II) 옥타에틸포르핀), Ir(piq)3(트리스(2-페닐이소퀴놀린)이리듐), Btp2Ir(acac)(비스(2-(2'-벤조티에닐)-피리디나토-N,C3')이리듐(아세틸아세토네이트)), DCM(4-(디시아노메틸렌)-2-메틸-6-[p-(디메틸아미노)스티릴]-4H-피란) 또는 DCJTB(4-(디시아노메틸렌)-2-터트-부틸-6-(1,1,7,7,-테트라메틸주로리딜-9-에닐)-4H-피란) 등을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녹색 도펀트로서 Ir(ppy)3(트리스(2-페닐피리딘), Ir(ppy)2(acac)(비스(2-페닐피리딘)(아세틸아세토) 이리듐(III)), 또는 Ir(mpyp)3(트리스(2-(4-톨일)페닐피리딘) 이리듐), C545T(10-(2-벤조티아졸일)-1,1,7,7-테트라메틸-2,3,6,7,-테트라하이드로-1H,5H,11H-[1]벤조피라노 [6,7,8-ij]-퀴놀리진-11-온) 등을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청색 도펀트로서, F2Irpic(비스[3,5-디플루오로-2-(2-피리딜)페닐(피콜리나토) 이리듐(III)), (F2ppy)2Ir(tmd), Ir(dfppz)3, DPVBi(4,4'-비스(2,2'-디페닐에텐-1-일)비페닐), DPAVBi(4,4'-비스(4-디페닐아미노스타릴) 비페닐), 또는 TBPe(2,5,8,11-테트라-tert-부틸 페릴렌) 등을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발광층(125)이 호스트 및 도펀트를 포함할 경우 도펀트의 함량은 통상적으로 호스트 약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약 0.01 내지 약 25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발광층(125)의 두께는 약 100Å 내지 약 500Å일 수 있다. 발광층(125)의 두께가 상기 범위를 만족할 경우, 실질적인 구동 전압의 상승 없이 우수한 발광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발광층(125)에 인광 도펀트가 포함될 경우에는 삼중항 여기자 또는 정공이 전자수송층으로 확산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발광층(125)과 전자수송층 사이에 정공 저지층(HBL, 미도시)을 형성할 수도 있다.
발광층(125) 상에는 정공수송층(126)을 형성한다. 정공수송층(126)을 형성하는 재료로는 프탈로시아닌 유도체, NPB(4,4'-비스[N-(1-나프틸)-N-페닐아미노]바이페닐), TPD(4,4'-비스[N-(3-메틸페닐)-N-페닐아미노]바이페닐), MTDATA(4,4',4"-트리스[(3-메틸페닐)페닐아미노]트라이페닐아민), TAPC(1,1-비스(4-(N,N-다이-p-톨릴아미노)페닐)사이클로헥세인), TCTA(4-(9H-카바졸-9-일)-N,N-비스[4-(9H-카바졸-9-일)페닐]-벤젠아민), CBP(9,9'-[1,1'-바이페닐]-4,4'-다이일비스-9H-카바졸), mCP(9,9'-(1,3-페닐렌)비스-9H-카바졸) 또는 2-TNATA(4,4',4"-트리스(N-(2-나프틸)-N-페닐아미노) 트리페닐아민) 중 적어도 1종을 들 수 있다.
정공수송층(126)의 형성은 진공증착법, 스핀코팅법, 캐스트법 또는 LB법 등과 같은 다양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정공수송층(126)의 두께는 약 5Å 내지 약 1,000Å일 수 있다. 정공수송층(126)의 두께가 상기 범위를 만족할 경우, 실질적인 구동 전압의 상승 없이 만족스러운 정도의 정공 수송 특성을 얻을 수 있다.
정공수송층(126) 상에는 정공주입층(127)을 형성한다. 정공주입층(127)은 시아노기를 함유한 결정성 유기화합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헥사아자트리페닐렌 헥사카보니트릴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정공주입층(127)의 형성은 진공증착법, 스핀코팅법, 캐스트법 또는 LB법 등과 같은 다양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정공주입층(127)의 두께는 약 10Å 내지 약 10,000Å일 수 있다. 정공주입층(127)의 두께가 상기 범위를 만족할 경우, 실질적인 구동 전압의 상승 없이 만족스러운 정도의 정공 주입 특성을 얻을 수 있다.
정공주입층(127) 상에는 상부전극(130)을 형성한다. 상부전극(130)은 양면 발광을 위해 투명 전극으로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ITO(인듐주석산화물), IZO(인듐아연산화물) 또는 ZnO(아연 산화물) 같은 투명한 산화물, 박막의 그래핀(graphene), Ag 또는 Al 등과 같은 투명한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부전극(130) 상에 제1 광추출 향상층(141)을 형성한다. 제1 광추출 향상층(141)은 투명한 상부전극(130)과 유사한 수준의 굴절률, 약 1.4 내지 2.2의 굴절률을 갖는 물질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제1 광추출 향상층(141)의 재료로는 통상의 유기 합성 재료를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NPB를 사용할 수 있다. 제1 광추출 향상층(141)의 제작 방법으로는 이온빔 증착법(ion beam deposition), 전자빔 증착법(electron beam deposition), 플라즈마 증착법(plasma deposition), 물리적 기상 증착법(physical vapor deposition), 화학적 기상 증착법(chemiacl vapor deposition), 열증착법(thermal deposition), 원자층 증착법(atomic layer deposition), 코팅 또는 전사(transfer) 방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어서 기판(101) 하에 제2 광추출 향상층(142)을 형성한다. 제2 광추출 향상층(142)은 기판(101)과 유사한 수준의 굴절률, 약 1.4 내지 약 2.2의 굴절률을 갖는 물질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제2 광추출 향상층(142)은 유리 또는 플라스틱을 굴절률 정합 점착제(index matching adhesive)를 사용하여 기판(101) 하에 필름 타입으로 부착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광추출 향상층(142)의 재료로는 굴절률 약 1.5의 PDMS(폴리디메틸실록산)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를 사용하고, 굴절률 정합 점착제로는 자외선 경화 에폭시 점착제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마지막으로 제1 광추출 향상층(141)과 제2 광추출 향상층(142) 위에 제1 반사 방지층(151) 및 제2 반사 방지층(152)을 형성한다. 제1 광추출 향상층(141)과 제2 광추출 향상층(142)은 서로 독립적으로 LiF, MgF2, CeF3, CaF2, ScF3, SiO2, ITO, IZO, IGZO, TiO2, SnO2, ZnO, ZrO2, Al2O3 및 Ta2O5을 예를 들어 진공 증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제1 광추출 향상층(141)과 제2 광추출 향상층(142)은 단일층 또는 복수의 층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단일층 또는 복수의 층의 각각은 30nm 내지 150nm 의 두께로 형성할 수 있다. 복수의 층으로 형성하는 경우 상대적으로 고굴절 물질과 저굴절 물질이 번갈아 위치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gF2(n=1.38)과 Al2O3(n=1.69)의 이중층 또는 MgF2(n=1.38), ZrO2(n=2.05) 및 Al2O3(n=1.69)의 삼중층으로 제1 광추출 향상층(141) 또는 제2 광추출 향상층(142)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양면 발광형 유기 발광 소자(200)는 시야각에 따라 발광하는 빛의 스펙트럼이 변하는 현상이 감소하고, 양 말단에 투명전극을 사용하더라도 정공 및 전자의 주입 특성이 양호하고, 유기 발광 소자의 내부에서 도파되는 반사광이 줄어들어 우수한 발광 효율을 갖는다.
다른 일 측면에 따라, 기판,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되며 소스 전극, 드레인 전극, 산화물 반도체층, 게이트 전극, 및 게이트 절연층을 포함하는 n형 박막 트랜지스터; 상기 n형 박막 트랜지스터 상에 형성된 절연층; 및 상기 절연층 상에 형성된 상기 설명한 양면 발광형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양면 발광형 유기 발광 소자의 상기 하부전극이 상기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 중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발광 효율이 우수하며 최근 디스플레이 분야에 대두되고 있는 플렉시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및 조명 등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비제한적인 참조예 및 실시예를 통하여 일 구현예를 따르는 유기 발광 소자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나, 본 발명이 하기의 참조예 및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투과도 측정
샘플 1
0.7mm 두께의 유리 기판 위에 70㎛ 두께의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MLA)(n=1.52, NOA65(Norland Product) 필름을 형성하였다.
샘플 2
0.7mm 두께의 유리 기판 위에 70㎛ 두께의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MLA)(n=1.52, NOA65(Norland Product) 필름을 형성하고, MLA 필름 위에 . 990Å의 LiF 반사방지층을 코팅하였다.
도 3은 샘플 1과 샘플 2의 광투과도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상기 투과도는 백색광 및 적분구(6인치, Labsphere 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도 3의 그래프를 참조하면, 400-700nm 범위 전체에서 샘플 2의 LiF가 코팅된 MLA 필름의 투과도가 샘플 1의 MLA 필름의 투과도 보다 더 높다. 이는 MLA 필름으로부터 공기로 빛이 투과되는 경우 MLA 필름과 공기 사이에 존재하는 LiF 필름이 MLA 필름 내부에서의 광의 반사를 줄이고 MLA 필름의 광투과도를 높이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시뮬레이션
하기 실험예 1 내지 실험예 15의 양면발광형 유기 발광 소자의 구조에 대하여 외부 양자 효율(External Quantum Efficiency, EQE)을 시뮬레이션하였다. 시뮬레이션은 3차원 기하학적 광선 추적 시뮬레이션 방법(LightTools)을 사용하였다. 시뮬레이션에서 물질은 광특성을 사용하여 특정하였다.
실험예 1
ITO 유리기판 (700Å) /B3PYMPM: Rb2CO3(85:15 중량비)(30Å) /B3PYMPM(100Å) /B3PYMPM과 TCTA의 1:1 몰비 혼합물:Ir(ppy)3 (92:8 중량비) (300Å) /TAPC(200Å) /HAT-CN(500Å) /lZO(600Å)
실험예 2
ITO 유리기판 (700Å) /B3PYMPM:Rb2CO3(85:15 중량비)(30Å) /B3PYMPM(100Å) /B3PYMPM과 TCTA의 1:1 몰비 혼합물:Ir(ppy)2(acac)(92:8 중량비) (300Å) /TAPC(200Å) /HAT-CN(500Å) /lZO(600Å)
실험예 3
ITO 유리기판 (700Å) /B3PYMPM:Rb2CO3(85:15 중량비)(30Å) /B3PYMPM(100Å) /B3PYMPM과 TCTA의 1:1 몰비 혼합물:Ir(ppy)2(tmd)(92:8 중량비) (300Å) /TAPC(200Å) /HAT-CN(500Å) /lZO(600Å)
실험예 4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층(반구 형상, 지름 60㎛, 높이 30㎛, n=1.52)(70㎛) /ITO 유리기판 (700Å) /B3PYMPM:Rb2CO3(85:15 중량비)(30Å) /B3PYMPM(100Å) /B3PYMPM과 TCTA의 1:1 몰비 혼합물:Ir(ppy)3 (92:8 중량비) (300Å) /TAPC(200Å) /HAT-CN(500Å) /lZO(600Å)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층(α-NPD, 80㎛, n=1.80)
실험예 5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층(반구 형상, 지름 60㎛, 높이 30㎛, n=1.52)(70㎛) /ITO 유리기판 (700Å) /B3PYMPM:Rb2CO3(85:15 중량비)(30Å) /B3PYMPM(100Å) /B3PYMPM과 TCTA의 1:1 몰비 혼합물:Ir(ppy)2(acac)(92:8 중량비) (300Å) /TAPC(200Å) /HAT-CN(500Å) /lZO(600Å)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층(α-NPD, 80㎛, n=1.80)
실험예 6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층(반구 형상, 지름 60㎛, 높이 30㎛, n=1.52)(70㎛) /ITO 유리기판 (700Å) /B3PYMPM:Rb2CO3(85:15 중량비)(30Å) /B3PYMPM(100Å) /B3PYMPM과 TCTA의 1:1 몰비 혼합물:Ir(ppy)2(tmd)(92:8 중량비)(300Å) /TAPC(200Å) /HAT-CN(500Å) /lZO(600Å)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층(α-NPD, 80㎛, n=1.80)
실험예 7
LiF(990Å)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층(반구 형상, 지름 70㎛, 높이 35㎛, n=1.52)(70㎛) /ITO 유리기판 (700Å) /B3PYMPM:Rb2CO3(85:15 중량비)(30Å) /B3PYMPM(100Å) /B3PYMPM과 TCTA의 1:1 몰비 혼합물:Ir(ppy)3 (92:8 중량비) (300Å) /TAPC(200Å) /HAT-CN(500Å) /lZO(600Å)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층(α-NPD, 80㎛, n=1.80) /LiF(990Å)
실험예 8
LiF(990Å)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층(반구 형상, 지름 60㎛, 높이 30㎛, n=1.52)(70㎛) /ITO 유리기판 (700Å) /B3PYMPM:Rb2CO3(85:15 중량비)(30Å) /B3PYMPM(100Å) /B3PYMPM과 TCTA의 1:1 몰비 혼합물:Ir(ppy)2(acac)(92:8 중량비)(300Å) /TAPC(200Å) /HAT-CN(500Å) /lZO(600Å)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층(α-NPD, 80㎛, n=1.80) /LiF(990Å)
실험예 9
LiF(990Å)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층(반구 형상, 지름 60㎛, 높이 30㎛, n=1.52)(70㎛) /ITO 유리기판 (700Å) /B3PYMPM:Rb2CO3(85:15 중량비)(30Å) /B3PYMPM(100Å) /B3PYMPM과 TCTA의 1:1 몰비 혼합물:Ir(ppy)2(tmd)(92:8 중량비)(300Å) /TAPC(200Å) /HAT-CN(500Å) /lZO(600Å)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층(α-NPD, 80㎛, n=1.80) /LiF(990Å)
상기 실험예 1 내지 실험예 9의 양면발광형 유기 발광 소자의 외부 양자 효율을 시뮬레이션한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발광층
도펀트
제1 및 제2 광추출 향상층 제1 및 제2 반사방지층 EQE (%) EQE 증가율
실험예 1 Ir(ppy)3 X X 21.7 -
실험예 2 Ir(ppy)2(acac) X X 25.7 -
실험예 3 Ir(ppy)2(tmd) X X 27.5 -
실험예 4 Ir(ppy)3 O X 59.7 2.75
실험예 5 Ir(ppy)2(acac) O X 68.1 2.65
실험예 6 Ir(ppy)2(tmd) O X 71.5 2.60
실험예 7 Ir(ppy)3 O O 65.5 3.02
실험예 8 Ir(ppy)2(acac) O O 73.8 2.87
실험예 9 Ir(ppy)2(tmd) O O 77.0 2.80
표 1을 참조하면, 하부 전극과 상부 전극 위에 광추출 향상층을 사용한 실험예 4 내지 6에서 광추출 향상층을 사용하지 않은 실험예 1 내지 3 에 비하여 외부 광자 효율이 2.6-2.75배 증가하였다. 또한, 광추출 향상층 위에 반사 방지층을 사용한 실험예 7 내지 9에서 실험예 1 내지 3에 비하여 외부 광자 효율이 2.8-3.0배 증가하였다.
실험예 10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의 반구의 높이를 30㎛ 대신 2.5㎛에서 30㎛까지 5㎛ 씩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구조들이다.
실험예 11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의 반구의 높이를 30㎛ 대신 2.5㎛에서 30㎛까지 5㎛ 씩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와 동일한 구조들이다.
실험예 12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의 반구의 높이를 30㎛ 대신 2.5㎛에서 30㎛까지 5㎛ 씩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3과 동일한 구조들이다.
실험예 13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의 반구의 높이를 30㎛ 대신 2.5㎛에서 30㎛까지 5㎛ 씩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4와 동일한 구조들이다.
실험예 14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의 반구의 높이를 30㎛ 대신 2.5㎛에서 30㎛까지 5㎛ 씩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5와 동일한 구조들이다.
실험예 15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의 반구의 높이를 30㎛ 대신 2.5㎛에서 30㎛까지 5㎛ 씩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6과 동일한 구조들이다.
실험예 16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의 반구의 높이를 30㎛ 대신 2.5㎛에서 30㎛까지 5㎛ 씩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7과 동일한 구조들이다.
실험예 17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의 반구의 높이를 30㎛ 대신 2.5㎛에서 30㎛까지 5㎛ 씩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8과 동일한 구조들이다.
실험예 18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의 반구의 높이를 30㎛ 대신 2.5㎛에서 30㎛까지 5㎛ 씩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9와 동일한 구조들이다.
도 4는 실험예 13 및 실험예 16의 유기 발광 소자들의 외부 양자 효율의 실험예 10의 유기 발광 소자들의 외부 양자 효율에 대한 비를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의 높이에 따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5는 실험예 14 및 실험예 17의 유기 발광 소자들의 외부 양자 효율의 실험예 11의 유기 발광 소자들의 외부 양자 효율에 대한 비를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의 높이에 따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6은 실험예 15 및 실험예 18의 유기 발광 소자들의 외부 양자 효율의 실험예 12의 유기 발광 소자들의 외부 양자 효율에 대한 비를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의 높이에 따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3 내지 도 5의 그래프를 참조하면, 반사 방지층을 적용한 실험예 16 내지 18에서 반사 방지층을 적용하지 않은 실험예 13 내지 15에 비하여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의 모든 높이에 대하여 외부 양자 효율이 높게 나타난다.
100, 200: 유기 발광 소자 101: 기판
110: 하부전극 120: 유기층
123: n-도핑층 125: 유기발광층
126: 정공수송층 127: 정공주입층
130: 상부전극 141: 제1 광추출 향상층
142: 제2 광추출 향상층 224: 제2 전자수송층

Claims (14)

  1. 기판;
    상기 기판 상의 투명한 하부전극;
    상기 하부전극과 대향하는 투명한 상부전극;
    상기 하부전극과 상기 상부전극 사이에 개재되고,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층;
    상기 상부전극 상의 제1 광추출 향상층;
    상기 기판 상의, 상기 하부전극과 반대편에 있는 제2 광추출 향상층;
    상기 제1 광추출 향상층 상의 제1 반사 방지층; 및
    상기 제2 광추출 향상층 상의 제2 반사 방지층; 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반사 방지층 및 상기 제2 반사 방지층은 굴절률이 1.2 내지 2.5인 물질의 단일층 또는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진 양면 발광형 유기 발광 소자.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층 및 상기 복수의 층을 이루는 각각의 층은 서로 독립적으로 30nm 내지 200nm 의 두께를 갖는 양면 발광형 유기 발광 소자.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사 방지층 또는 상기 제2 반사 방지층이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복수의 층은 1.20 이상 1.65 미만의 굴절률을 갖는 저굴절률 층과 1.65 이상 2.50 미만의 굴절률을 갖는 고굴절률 층을 포함하며, 상기 저굴절률 층과 상기 고굴절률 층이 교대로 위치하는 양면 발광형 유기 발광 소자.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사 방지층 및 상기 제2 반사 방지층은 서로 독립적으로 LiF, MgF2, CeF3, CaF2, ScF3, SiO2, ITO, IZO, IGZO, TiO2, SnO2, ZnO, ZrO2, Al2O3 및 Ta2O5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물질로 이루어지는 양면 발광형 유기 발광 소자.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추출 향상층은 50° 내지 80°의 경사와 50-100㎛의 높이를 갖는 복수개의 제1 볼록부의 배열을 포함하는 양면 발광형 유기 발광 소자.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볼록부는 원뿔 형상, 다각형의 각뿔 형상 또는 이들의 윗면이 잘린 형상을 갖는 양면 발광형 유기 발광 소자.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광추출 향상층이 원뿔 형상, 필라 형상, 피라미드 형상 또는 렌즈 형상을 갖는 복수개의 제2 볼록부의 배열을 포함하는 양면 발광형 유기 발광 소자.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층은 n-도핑층, 상기 n-도핑층 상에 형성된 발광층, 상기 발광층 상에 형성된 정공수송층 및 상기 정공수송층 상에 형성되고 시아노기 함유 화합물로 이루어진 정공주입층을 포함하는 양면 발광형 유기 발광 소자.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n-도핑층은 제1 전자수송물질 및 상기 제1 전자수송물질에 도핑된 Li2CO3, Na2CO3, K2CO3, Cs2CO3, Rb2CO3, Ba2CO3, 피로닌 B(pyronin B), DMC(decamethylcobaltocene, 데카메틸코발토센), BEDTTTF(bis(ethylenedithio)-tetrathiafulvalene, 비스(에틸렌디티오)-테트라티아풀발렌), 로다민B(rhodamin B), TMBI (1,2,3-trimethyl-2-phenyl-2,3-dihydro-1H-benzoimidazole, 1,2,3-트리메틸-2-페닐-2,3-디히드로-1H-벤조이미다졸), DMBI (1,3-dimethyl-2-phenyl-2,3-dihydro-1H-benzoimidazole, 1,3-디메틸-2-페닐-2,3-디히드로-1H-벤조이미다졸), Cl-DMBI (dichlorophenyl-1,3-dimethyl-2,3-dihydro-1H-benzoimidazole, 디클로로페닐-1,3-디메틸-2,3-디히드로-1H-벤조이미다졸), N-DMBI (4-(1,3-dimethyl-2,3-dihydro-1H-benzoimidazole-2-yl)-phenyl)-dimethyl-amine, 4-(1,3-디메틸l-2,3-디히드로-1H-벤조이미다졸-2-일)-페닐)-디메틸-아민), OH-DMBI (2-(1,3-dimethyl-2,3-dihydro-1H-benzoimidazol-2-yl)-phenol, 2-(1,3-디메틸-2,3-디히드로-1H-벤조이미다졸-2-일)-페놀), PTCDI-C13(N,N′-ditridecylperylene-3,4:9,10-tetracarboxylic acid diimide, N,N′-디트리데실페릴렌-3,4:9,10-테트라카르복실산 디이미드) 또는 F-PTCDI-C4(N,N′-dibutyl-1,7-difluoroperylene-3,4:9,10-tetracarboxylic acid diimide, N,N′-디부틸-1,7-디플루오로페릴렌-3,4:9,10- 테트라카르복실산 디이미드) 중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양면 발광형 유기 발광 소자.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n-도핑층은 Li2CO3, Na2CO3, K2CO3, Cs2CO3, Rb2CO3, Ba2CO3, 피로닌 B, DMC, BEDTTTF, 로다민B, TMBI, DMBI, Cl-DMBI, N-DMBI, OH-DMBI, PTCDI-C13 또는 F-PTCDI-C4 중 적어도 1종으로 이루어진 불순물층 및 상기 불순물층 상에 형성된 제1 전자수송물질을 포함하는 제1 전자수송층을 포함하는 양면 발광형 유기 발광 소자.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아노기 함유 화합물이 헥사아자트리페닐렌 헥사카보니트릴(HAT-CN)인 양면 발광형 유기 발광 소자.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추출 향상층 및 상기 제2 광추출 향상층은 서로 독립적으로 1.4 내지 2.2의 굴절률을 갖는 양면 발광형 유기 발광 소자.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양면 발광형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양면 발광형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조명.
KR1020140099247A 2013-12-06 2014-08-01 양면 발광형 유기 발광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조명 KR1015737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1711 2013-12-06
KR20130151711 2013-12-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6431A true KR20150066431A (ko) 2015-06-16
KR101573762B1 KR101573762B1 (ko) 2015-12-04

Family

ID=53514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9247A KR101573762B1 (ko) 2013-12-06 2014-08-01 양면 발광형 유기 발광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조명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376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05158A (zh) * 2016-12-01 2017-03-15 Tcl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量子点发光二极管器件及其制备方法
KR20170049777A (ko) * 2015-10-28 2017-05-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구동 방법
CN108091766A (zh) * 2017-12-01 2018-05-29 苏州大学 一种n型掺杂电子传输层和TiO2层的钙钛矿电池的制备方法
KR20190016161A (ko) * 2017-08-07 2019-02-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발광 소자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91427A1 (en) * 2008-01-30 2009-07-30 Liang-Sheng Liao Phosphorescent oled having double hole-blocking layers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9777A (ko) * 2015-10-28 2017-05-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구동 방법
CN106505158A (zh) * 2016-12-01 2017-03-15 Tcl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量子点发光二极管器件及其制备方法
CN106505158B (zh) * 2016-12-01 2019-07-09 Tcl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量子点发光二极管器件及其制备方法
KR20190016161A (ko) * 2017-08-07 2019-02-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발광 소자
CN108091766A (zh) * 2017-12-01 2018-05-29 苏州大学 一种n型掺杂电子传输层和TiO2层的钙钛矿电池的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3762B1 (ko) 2015-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52583B2 (e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containing co-hosts forming exciplex, and lighting device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same
US10615375B2 (e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panel,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8309947B2 (en) High efficiency hybrid light-emitting diode
JP6246990B2 (ja) 有機発光ダイオード装置
KR101213498B1 (ko) 유기 전계 발광 장치
KR102104978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671343B1 (ko) 유기 발광 소자 및 그 제조방법
US7474049B2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KR101581033B1 (ko) 유기 발광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조명
US9773983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evice
WO2016173135A1 (zh) 有机发光二极管器件及其制备方法
US20180013098A1 (e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Panel and Device
KR102365022B1 (ko) 유기 발광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10062862B2 (e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display panel, electronic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KR101573762B1 (ko) 양면 발광형 유기 발광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조명
CN110783478A (zh) 使用有机发光二极管的照明装置及其制造方法
KR101419809B1 (ko) 인버티드 유기 발광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30025422A (ko) 유기발광소자
KR101468064B1 (ko) 필름형 광추출 향상층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의 제조 방법
KR20180078637A (ko) 유기 발광 소자 및 그를 이용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50008709A (ko) 유기 발광 장치
KR101468063B1 (ko) 양면 발광형 유기 발광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조명
KR101441963B1 (ko) 양면 발광형 유기 발광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2283502B1 (ko) 유기 발광 소자 및 그를 이용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KR20160082895A (ko) 유기 발광 소자와 그 제조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