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6171A - 무선 자원 할당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 자원 할당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6171A
KR20150066171A KR1020130151407A KR20130151407A KR20150066171A KR 20150066171 A KR20150066171 A KR 20150066171A KR 1020130151407 A KR1020130151407 A KR 1020130151407A KR 20130151407 A KR20130151407 A KR 20130151407A KR 20150066171 A KR20150066171 A KR 201500661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base stations
radio resource
next base
equ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1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준혁
이원주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301514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66171A/ko
Publication of KR20150066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61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 자원 할당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이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우선 기지국과 M개의 차기 기지국들을 포함하는 중첩 인지 무선통신 시스템의 무선 자원 할당 방법은 상기 우선 기지국이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의 상기 M개의 차기 기지국들의 총 전송율에 기초하여 상기 M개의 차기 기지국들 중에서 상기 우선 기지국의 주파수 대역 사용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L개의 차기 기지국들에 대한 비용함수를 획득하는 단계와, 얼고딕 평균을 이용하여 상기 M개의 차기 기지국들의 얼고딕 채널 용량을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얼고딕 채널 용량에 기초하여 상기 비용함수로부터 상기 L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자원 할당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METHOD OF ALLOCATING RADIO RESOURCE, AND SYSTEM OPERATING THE SAME}
아래 실시예들은 차기 기지국들의 전송률을 높이는 무선 자원 할당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무선 통신 환경에서 주파수 대역 부족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동적 자원 할당 기술에 기초한 인지 무선통신(cognitive radio)이 제안되었다. 상기 인지 무선 통신은 주파수 대역의 우선 권한을 갖고 있는 우선 사용자(primary user)가 실제로 상기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고 있지 않을 때, 다른 차기 사용자(secondary user)가 상기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도록 허락하는 기술이다. 이에, 상기 차기 사용자는 상기 우선 사용자의 통신을 보호해야 할 의무를 갖는다. 상기 차기 사용자는 상기 우선 사용자가 상기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고 있는지 여부를 감지해야 한다. 또한, 상기 차기 사용자는 상기 주파수 대역을 사용할 때, 상기 우선 사용자에게 미치는 간섭 허용치를 따라야 한다.
차기 사용자의 감지 성능을 높이기 위해, 중첩 인지 무선통신 네트워크(heterogeneous cognitive radio network)가 제안되었다. 상기 중첩 인지 무선통신 네트워크는 하나의 우선 사용자 네트워크와 복수의 차기 사용자 네트워크들로 구성되고, 각 네트워크는 기지국-사용자로 구성된다. 상기 중첩 인지 무선통신 네트워크는 상기 복수의 차기 사용자 네트워크들의 복수의 차기 기지국들이 서로의 감지 결과를 공유하는 협력 주파수 대역 감지 기술을 사용한다.
실시예들은 최적의 감지 시간과 감지에 사용되는 총 에너지를 계산하여 차기 사용자들의 전송률을 높이는 무선 자원 할당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은 상기 최적의 감지 시간과 상기 총 에너지를 근사화함으써 상기 무선 자원 할당 기술의 복잡도를 낮추는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우선 기지국과 M개의 차기 기지국들을 포함하는 중첩 인지 무선통신 시스템의 무선 자원 할당 방법은 상기 우선 기지국이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의 상기 M개의 차기 기지국들의 총 전송율에 기초하여 상기 M개의 차기 기지국들 중에서 상기 우선 기지국의 주파수 대역 사용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L개의 차기 기지국들에 대한 비용함수를 획득하는 단계와, 얼고딕 평균을 이용하여 상기 M개의 차기 기지국들의 얼고딕 채널 용량을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얼고딕 채널 용량에 기초하여 상기 비용함수로부터 상기 L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얼고딕 평균을 이용하여 상기 L개의 차기 기지국들의 얼고딕 채널 용량을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얼고딕 평균을 이용하여 (M-L)개의 차기 기지국들의 얼고딕 채널 용량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카루시-쿤-터커 조건과 라그랑지 곱 전근법을 통해 상기 비용함수로부터 상기 L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중첩 인지 무선통신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차기 기지국에서 감지에 사용되는 표본화율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의 무선 자원 할당 방법의 전송률 성능에 대한 그래프이다.
도 3은 차기 기지국에서 감지에 사용되는 에너지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의 무선 자원 할당 방법의 전송률 성능에 대한 그래프이다.
도 4는 차기 기지국의 수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의 무선 자원 할당 방법의 전송률 성능에 대한 그래프이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중첩 인지 무선통신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중첩 인지 무선통신 시스템(heterogeneous cognitive radio; 10)은 중첩 인지 무선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일 수 있다.
단말 장치(PU)는 주파수 대역의 우선 권한을 갖는 우선 사용자(primary user)에 해당할 수 있다. 단말 장치(PU)는 우선 기지국(PB)에 대응될 수 있다.
단말 장치들(SU1 및 SU2)은 단말 장치(PU)가 주파수 대역을 쓰지 않을 때, 상기 주파수 대역을 사용할 수 있는 차기 사용자들(secondary users)에 해당할 수 있다. 단말 장치(SU1)는 차기 기지국(SB1)에 대응되고, 단말 장치(SU2)는 차기 기지국(SB2)에 대응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각 차기 기지국(SB1 및 SB2)은 우선 기지국(PB)이 단말 장치(PU)와 통신하고 있는지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차기 기지국(SB1 및 SB2)은 우선 기지국(PB)이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고 있는지 감지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두 개의 차기 기지국들만을 도시하고 있지만, 중첩 인지 무선통신 시스템(10)은 하나 이상의 차기 기지국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 차기 기지국(SB1 및 SB2)은 우선 기지국(PB)이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고 있는지 감지하기 위해 에너지 검파기(energy detector)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 관리소는 각 차기 기지국(SB1 및 SB2)로부터 전송된 우선 기지국(PB)의 주파수 사용 여부 감지 결과를 동등 이득 조합(equal gain combining)하여 최종 감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중앙 관리소는 상기 각 차기 기지국과는 상이한 별개의 관리소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중앙 관리소는 상기 각 차기 기지국 중에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우선 기지국(PB)이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지 있지 않을 때, 각 차기 기지국(SB1 및 SB2)은 중앙 관리소의 제어에 따라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각 차기 기지국(SB1 및 SB2)에 해당하는 각 단말 장치(SU1 및 SU2)와 통신할 수 있다.
우선 기지국(PB)이 통신을 하고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해 복수의 차기 기지국들 중에서 m번째 차기 기지국에서 얻은 관측 벡터는 수학식 1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차기 기지국(SB1 또는 SB2)은 중첩 인지 무선통신 시스템(10)에 포함된 복수의 차기 기지국들 중에서 m번째 차기 기지국일 수 있다.
Figure pat00001
우선 기지국(PB)이 통신을 하고 있지 않을 때, 즉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고 있지 않을 경우(H0), m번째 차기 기지국의 n번째 관측 벡터는 수학식 2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pat00002
우선 기지국(PB)이 통신을 하고 있을 때, 즉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고 있을 경우(H1), m번째 차기 기지국의 n번째 관측 벡터는 수학식 3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pat00003
여기서,
Figure pat00004
은 서로 독립적이고, 분포가 같은 부가 백색 정규 잡음(additive white Gsussian noise)이고,
Figure pat00005
는 레일리(Rayleigh) 분포를 따르는 우선 기지국(PB)과 m번째 차기 기지국간의 채널이고,
Figure pat00006
은 우선 기지국(PB)에서 전송하는 신호일 수 있다.
중앙관리소는 각 차기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검정 통계량을 이용하여 전역 검정 통계량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전력 검정 통계량은 수학식 4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pat00007
여기서,
Figure pat00008
Figure pat00009
의 함수이고,
Figure pat00010
는 결정 문턱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Figure pat00011
는 감지에 사용되는 차기 기지국들의 수와 관측의 수에 의해서 결정될 수 있다. 중앙 관리소는 수학식 4를 이용하여 우선 기지국(PB)의 주파수 대역 사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수학식 4에 기초한 우선 기지국(PB)의 주파수 대역 사용 여부의 검파 확률은 아래의 수학식 5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pat00012
수학식 4에 기초한 우선 기지국(PB)의 주파수 대역 사용 여부의 오경보 확률은 수학식 6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pat00013
우선 기지국(PB)이 주파수 대역을
Figure pat00014
의 확률로 사용하고 있지 않을 때, m번째 차기 기지국의 총 전송률(예를 들어, 총 데이터 전송률)은 수학식 7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pat00015
여기서,
Figure pat00016
는 한 프레임의 길이이고,
Figure pat00017
은 감지하는 데 사용되는 시간일 수 있다. m번째 차기 기지국은
Figure pat00018
시간 동안 m번째 차기 기지국에 해당하는 단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Figure pat00019
는 우선 기지국(PB)의 주파수 대역 사용 여부, 즉
Figure pat00020
에 따라 전송할 수 있는 m번째 차기 기지국의 총 전송률(예를 들어, 총 데이터 전송률)일 수 있다. 이때,
Figure pat00021
또는
Figure pat00022
일 수 있다.
수학식 7에 있어서, 두 번째 항은 첫 번째 항보다 매우 작기 때문에, 상기 두 번째 항은 생략될 수 있다. 따라서, 수학식 7은 아래의 수학식 8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pat00023
중첩 인지 무선통신 시스템(10), 예를 들어 중앙 관리소는 우선 기지국(PB)의 주파수 대역 사용 여부를 감지하는 L개의 차기 기지국들과 상기 L개의 차기 기지국들 각각의 K개의 관측 수를 스케줄링할 수 있다. 이때, 중첩 인지 무선통신 시스템(10) 내에서 총 M개의 차기 기지국들의 총 전송률은 최대일 수 있다. 상기 모든 차기 기지국들은 상기 L개의 차기 기지국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첩 인지 무선통신 시스템(10)의 상기 모든 차기 기지국들의 총 전송률을 최대로 하기 위해, 상기 중앙 관리소는 최적의 L과 K를 스케줄링할 수 있다. M, L, 및 K는 1보다 큰 자연수일 수 있다. L은 M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최적의 L과 K는 수학식 9, 수학식 10, 및 수학식 11을 만족할 수 있다.
Figure pat00024
Figure pat00025
Figure pat00026
Figure pat00027
는 우선 기지국(PB)과 m번째 차기 기지국의 간의 채널이고,
Figure pat00028
는 차기 기지국의 송신 파워,
Figure pat00029
는 m번째 차기 기지국이 우선 기지국(PB)의 주파수 대역 사용 여부를 감지하는 데 사용되는 에너지,
Figure pat00030
는 우선 기지국(PB)에 대응하는 우선 사용자, 예를 들어 단말 장치(PU)에 허용된 간섭 허용치,
Figure pat00031
Figure pat00032
는 중첩 인지 무선통신 시스템(10)에서 요구하는 목표 오경보 확률 및 목표 검파 확률일 수 있다.
Figure pat00033
은 m번째 차기 기지국이 우선 기지국(PB)의 주파수 대역 사용 여부를 감지하는데 x개의 관측을 얻었을 때의 걸리는 시간일 수 있다.
Figure pat00034
은 상술한
Figure pat00035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차기 기지국에서 사용되는 표본화율이
Figure pat00036
일 때,
Figure pat00037
Figure pat00038
일 수 있다.
중첩 인지 무선통신 시스템(10)에서 차기 기지국마다 서로 간섭이 있는 환경이라 할 때, 우선 기지국(PB)이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 모든 차기 기지국들, 예를 들어 M개의 차기 기지국들의 총 전송률인
Figure pat00039
은 수학식 12와 같을 수 있다.
Figure pat00040
여기서,
Figure pat00041
은 m번째 차기 기지국과 j번째 차기 사용자간의 채널이고, 분산
Figure pat00042
을 갖을 수 있다.
Figure pat00043
은 m번째 차기 기지국과 m번째 차기 사용자간의 채널이고, 분산
Figure pat00044
을 갖을 수 있다. m번째 차기 기지국과 j번째 차기 사용자간의 거리는 m번째 차기 기지국과 m번째 차기 사용자간의 거리보다 멀기 때문에 감쇄가 발생하므로 크기가 다른 분산이 적용될 수 있다.
중첩 인지 무선통신 시스템(10)이 레일리 감쇄 환경일 때, 동등 이득 조합의 오경보 확률은 수학식 13과 같을 수 있다.
Figure pat00045
중첩 인지 무선통신 시스템(10)이 레일리 감쇄 환경일 때, 동등 이득 조합의 검파 확률은 임의의 함수 f가 도입된 수학식 13을 재정리하여 수학식 14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pat00046
이때, 수학식 13과 수학식 14를 만족시키는 K와 L 조합은 수학식 15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pat00047
따라서, K는
Figure pat00048
로 표시될 수 있다. 이에, 수학식 11은 수학식 16과 같이 다시 표현될 수 있다.
Figure pat00049
수학식 12의 분포에 있는 간섭 성분
Figure pat00050
Figure pat00051
로 근사될 수 있다. m번째 차기 기지국과 j번째 차기 사용자간의 채널인
Figure pat00052
에 대해 얼고딕 평균을 취한 비용함수는 수학식 17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Figure pat00053
여기서,
Figure pat00054
Figure pat00055
은 수학식 18과 수학식 19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pat00056
Figure pat00057
차기 기지국은 우선 기지국의 주파수 대역 사용 여부를 감지하는데 많은 에너지를 소모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Figure pat00058
는 대개 매우 작으므로,
Figure pat00059
Figure pat00060
로 근사될 수 있다.
상술한 수학식 17과 같이, 수학식 9의 우선 기지국과 차기 기지국, 예를 들어 m번째 차기 기지국의 간의 채널인
Figure pat00061
에 대해 얼고딕 평균을 취하면, 수학식 9는 수학식 20과 같이 다시 표현될 수 있다.
Figure pat00062
수학식 18의 분자
Figure pat00063
Figure pat00064
의 자유도(degree od freedom)을 갖는 감마 분포를 따르고, 분모
Figure pat00065
Figure pat00066
의 자유도를 갖는 감마 분포를 따른다. 이에, 수학식 18의
Figure pat00067
, 즉 얼고딕 채널 용량은 수학식 21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pat00068
여기서,
Figure pat00069
은 수학식 22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pat00070
상술한 수학식 14와 마찬가지로, 나머지
Figure pat00071
개의 차기 기지국들에서 얻을 수 있는 얼고딕 채널 용량
Figure pat00072
Figure pat00073
로 표현될 수 있다. 여기서,
Figure pat00074
Figure pat00075
은 표본화율
Figure pat00076
와 차기 기지국이 우선 기지국의 주파수 대역 사용 여부를 감지하는데 사용되는 에너지
Figure pat00077
의 함수일 수 있다.
중앙 관리소는 우선 기지국(PB)의 주파수 대역 사용 여부를 감지하는데 걸리는 최적의 감지 시간과 총 에너지, 예를 들어 얼고딕 채널 용량을 구할 수 있다. 이때, 수학식 17의 비용함수는 아래의 수학식 23과 같이 다시 표현될 수 있다.
Figure pat00078
수학식 23이 위로 볼록(concave) 함수이므로, 수학식 23의 최적의 해는 카루시-쿤-터커 조건과 라그랑지 곱 접근법을 통해 얻어질 수 있다. 먼저, 수학식 23에 적용된 상기 카루시-쿤-터커 조건과 상기 라그랑지 곱 접근법을 통해 수학식 24와 수학식 25가 얻어질 수 있다.
Figure pat00079
Figure pat00080
Figure pat00081
은 수학식 24와 수학식 25를 만족시키는 전역 최적 해(global optimum solution)일 수 있다. 우선 기지국의 주파수 대역 사용 여부를 감지하는 차기 기지국들의 수 L은 항상 1보다 크거나 같고 M보다 작은 정수이므로, 준 최적 해는 수학식 26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pat00082
여기서,
Figure pat00083
는 x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 가운데 가장 작은 정수일 수 있다.
중앙 관리소는 수학식 16 대신 수학식 23을 사용하여 L을 결정함으로써 낮은 복잡도를 갖을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서는 차기 기지국-사용자가 8쌍임을 가정하여 설명한다.
도 2는 표본화율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의 무선 자원 할당 방법의 전송률 성능에 대한 그래프이고, 도 3은 차기 기지국의 감지에 사용되는 에너지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의 무선 자원 할당 방법의 전송률 성능에 대한 그래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중첩 인지 무선통신 시스템(10)의 무선 자원 할당 방법에 의한 전송률 성능이 전송 시간 최적화 기술(TTM)과 에너지 효율 최적화 기술(EEM)에 의한 전송률 성능보다 향상될 수 있다.
수학식 16을 모두 계산하여 L을 결정하는 무선 자원 할당 방법(optimal)의 성능과 수학식 23을 계산하여 L을 결정하는 중첩 인지 무선통신 시스템(10)의 최적의 무선 자원 할당 방법의 성능은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을 수 있다. 중첩 인지 무선통신 시스템(10)이 수학식 23을 계산하여 L을 결정하는 최적의 무선 자원 할당 방법은 우선 기지국(PB)의 주파수 대역 사용 여부에 대한 감지 시간과 우선 기지국(PB)의 주파수 대역 사용 여부에 사용되는 에너지를 모두 고려한 일반적인 통신 환경에서 최적의 무선 자원 할당을 할 수 있다.
도 4는 차기 기지국의 수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의 무선 자원 할당 방법의 전송률 성능에 대한 그래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차기 기지국-사용자의 수가 많아질수록, 전송 시간 최적화 기술(TTM)의 전송률은 감소할 수 있다. 차기 기지국-사용자의 수가 많아질수록, 중첩 인지 무선통신 시스템(10)의 무선 자원 할당 방법은 전송률이 증가하고, 에너지 효율 최적화 기술(EEM)에 비해 높은 전송률을 갖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3)

  1. 우선 기지국과 M개의 차기 기지국들을 포함하는 중첩 인지 무선통신 시스템의 무선 자원 할당 방법에 있어서,
    상기 우선 기지국이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의 상기 M개의 차기 기지국들의 총 전송율에 기초하여 상기 M개의 차기 기지국들 중에서 상기 우선 기지국의 주파수 대역 사용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L개의 차기 기지국들에 대한 비용함수를 획득하는 단계;
    얼고딕 평균을 이용하여 상기 M개의 차기 기지국들의 얼고딕 채널 용량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얼고딕 채널 용량에 기초하여 상기 비용함수로부터 상기 L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자원 할당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얼고딕 평균을 이용하여 상기 L개의 차기 기지국들의 얼고딕 채널 용량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얼고딕 평균을 이용하여 (M-L)개의 차기 기지국들의 얼고딕 채널 용량을 계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자원 할당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카루시-쿤-터커 조건과 라그랑지 곱 전근법을 통해 상기 비용함수로부터 상기 L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자원 할당 방법.
KR1020130151407A 2013-12-06 2013-12-06 무선 자원 할당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 KR201500661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1407A KR20150066171A (ko) 2013-12-06 2013-12-06 무선 자원 할당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1407A KR20150066171A (ko) 2013-12-06 2013-12-06 무선 자원 할당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6171A true KR20150066171A (ko) 2015-06-16

Family

ID=53514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1407A KR20150066171A (ko) 2013-12-06 2013-12-06 무선 자원 할당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6617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296386A1 (en) System and method for spectrum sharing
US9271292B2 (en) Interference process of interference signal
KR20180022556A (ko) 비직교 다중접속 시스템의 부대역에 대한 전력 및 사용자 분배를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21047647A1 (zh) 上行传输方法和装置
US20230045916A1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path-loss reference signal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Srinu et al. Cooperative wideband spectrum sensing in suspicious cognitive radio network
Zhu et al. Rao test based cooperative spectrum sensing for cognitive radios in non-Gaussian noise
KR102074217B1 (ko) 상향링크 비직교 다중접속 시스템을 위한 적응적 속도 분할 방법 및 시스템
US1089349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timing synchronization
CN115038124A (zh) 一种频段调度方法、通信节点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1079928B1 (ko) 클러스터 기반의 협력 센싱을 위한 무선 인지 통신 장치 및 그 방법
Yin et al. Performance of energy detector in the presence of noise uncertainty in cognitive radio networks
Liu et al. Optimal joint allocation of multislot spectrum sensing and transfer power in multichannel cognitive radio
KR102074216B1 (ko) 상향링크 비직교 다중접속 시스템을 위한 고정적 속도 분할 방법 및 시스템
KR20150066171A (ko) 무선 자원 할당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
KR102174127B1 (ko) 라디오 통신 시스템의 장치 및 방법
Perumal et al. Experimental Analysis Using USRP for Novel Wavelet‐Based Spectrum Sensing for 2.2 GHZ Band Communication Using LabVIEW
Cui et al. Cooperative spectrum sensing with adaptive node selection for cognitive radio networks
EP3905746A1 (en) Frequency spectrum management apparatus, frequency spectrum management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CN117796007A (zh) 共享频谱带中的发送器检测
CN115134839B (zh) 一种灵活帧结构系统下行仿真方法、装置及设备
KR101393141B1 (ko) 이종 셀룰러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다중 무선접속기술 선택 접속과 동시 접속 및 부하 분산하는 기법
CN115134841B (zh) 一种灵活帧结构系统上行仿真方法、装置及设备
CN115087011B (zh) 灵活帧结构仿真系统的下行信号检测方法及装置
US20240098514A1 (en) FINGERPRINT-BASED vRAN CELL INTEGRITY MONITOR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