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5359A - 스마트기기의 탈부착 가능한 로봇 - Google Patents

스마트기기의 탈부착 가능한 로봇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5359A
KR20150065359A KR1020130150590A KR20130150590A KR20150065359A KR 20150065359 A KR20150065359 A KR 20150065359A KR 1020130150590 A KR1020130150590 A KR 1020130150590A KR 20130150590 A KR20130150590 A KR 20130150590A KR 20150065359 A KR20150065359 A KR 201500653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device
robot
angle
case
adjus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0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세경
이상기
Original Assignee
(주) 퓨처로봇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퓨처로봇 filed Critical (주) 퓨처로봇
Priority to KR10201301505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65359A/ko
Publication of KR201500653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53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integrated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e.g. leg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스마트기기의 탈부착 가능한 로봇에 따르면, 스마트기기를 결합할 수 있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배면에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를 일정각도 범위내에서 거치되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고, 로봇의 장착부에 결합되는 각도조절부; 및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각도조절부가 결합되는 장착부가 상부에 형성된 로봇;을 포함하고, 상기 로봇은, 각도조절부와 로봇은 분리되었을 때 무선통신이 가능하고 결합되었을 때 유선통신을 하는 통신부; 전방에 구비되어 상하로 각도를 조절하며 전방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 하부에 구비되어 사방으로 회전 및 직진이 가능한 구동부; 후면에 구비되어 MP3와 결합되는 USB단자; 및 상기 MP3 또는 스마트기기로부터 음원을 전달받아 외부로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하고, 스마트기기를 탈착하였을 때, 지면으로부터 스마트기기를 거치하고, 다양한 각도에서 스마트기기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마트기기의 탈부착 가능한 로봇{robot}
본 발명은 스마트기기의 탈부착 가능한 로봇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과 같은 스마트기기를 로봇으로부터 탈부착 가능하며, 탈착하였을 때, 지면에 거치시킬 수 있는 스마트기기의 탈부착 가능한 로봇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은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상대방과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전자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휴대폰은 휴대성을 고려하여 소형화, 슬림화, 그립화 및 경량화되어가는 추세에 있으며, 특히, 최근에는 단순히 음성 또는 메시지와 관련된 통신뿐만 아니라, 인터넷,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및 각종 응용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과 같이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스마트기기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스마트기기는 휴대폰에 인터넷 통신과 정보검색 등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단말기로서 사용자가 원하는 응용프로그램을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즉, 스마트기기는 단순히 음성 통신 서비스만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각종 응용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해, 음악,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사진촬영, 게임, 영화 등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스마트기기는 공장과 같은 넓은 공간에서 다수의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는 용도로 이용되는 경우, 스마트기기를 특정 위치에 놓여져 있거나 또는 특정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다면, 실질적으로 이를 다수의 사용자가 공동으로 이용하기에는 어려운 문제들이 있다.
또한, 장애인, 노약자 또는 어린이가 이러한 복잡한 응용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신이 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는 것 또한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스마트기기는 상기한 바와 같이 다양한 응용프로그램들을 제공하기 때문에, 짧은 시간 내에 배터리가 소모되며, 따라서, 자주 충전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사용자가 이러한 충전을 일일이 시간에 맞춰 수행하지 못하기 때문에, 꼭 필요한 시점에 스마트폰을 이용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폰을 장착한 상태로 이동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로봇들이 개발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공개번호 제10-2013-0022497호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스마트기기를 장착한 상태에서 자유롭게 이동이 가능하며, 스마트기기를 탈착하였을 때, 지면으로부터 스마트기기를 거치하고, 다양한 각도에서 스마트기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기기의 탈부착 가능한 로봇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스마트기기의 탈부착 가능한 로봇에 따르면, 스마트기기를 결합할 수 있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배면에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를 일정각도 범위내에서 거치되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고, 로봇의 장착부에 결합되는 각도조절부; 및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각도조절부가 결합되는 장착부가 상부에 형성된 로봇;을 포함하고, 상기 로봇은, 각도조절부와 로봇은 분리되었을 때 무선통신이 가능하고 결합되었을 때 유선통신을 하는 통신부; 전방에 구비되어 상하로 각도를 조절하며 전방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 하부에 구비되어 사방으로 회전 및 직진이 가능한 구동부; 후면에 구비되어 MP3와 결합되는 USB단자; 및 상기 MP3 또는 스마트기기로부터 음원을 전달받아 외부로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하고, 스마트기기를 탈착하였을 때, 지면으로부터 스마트기기를 거치하고, 다양한 각도에서 스마트기기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효과는, 스마트기기를 장착한 상태에서 자유롭게 이동이 가능하며, 스마트기기를 탈착하였을 때, 지면으로부터 스마트기기를 거치하고, 다양한 각도에서 스마트기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기기의 탈부착 가능한 로봇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의 탈부착 가능한 로봇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의 탈부착 가능한 로봇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의 탈부착 가능한 로봇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의 탈부착 가능한 로봇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스마트기기(1)의 탈부착 가능한 로봇(4)은, 스마트기기(1)를 결합할 수 있는 케이스(2)가 구비된다.
그리고, 케이스(2)의 배면에는 상기 케이스(2)를 일정각도 범위내에서 거치되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각도조절부(3)가 구비된다.
또한, 각도조절부(3)가 이동이 가능한 로봇(4)의 장착부(5)에 결합되며, 각도조절부(3)와 로봇(4)은 분리되었을 때 무선통신이 가능하고 결합되었을 때 유선통신이 가능하다.
또한, 로봇(4)의 전방에 상하로 각도를 조절하며 전방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6)가 구비되고, 로봇(4)의 하부에 사방으로 회전 및 직진이 가능한 구동부(7)가 구비되어 사방으로 움직이 가능하다.
그리고, 장애물감지가 가능하도록 센서가 부착되고, 그 센서로 인해 낙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로봇(4)의 후면에 MP3와 결합되는 USB단자(8)가 구비되고, 상기 MP3 또는 스마트기기(1)로부터 음원을 전달받아 외부로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9)가 구비된다.
그리고, 스피커(9)의 음량을 조절할 수 있는 음량조절버튼이 더 구비된다.
한편, 스마트기기(1)를 탈착하였을 때, 지면으로부터 스마트기기(1)를 거치하고, 다양한 각도에서 스마트기기(1)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로봇(4)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LED가 구비되어, 주위의 조도에 따라 빛의 밝기 또는 점소등이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스마트기기 2: 케이스
3: 각도조절부 4: 로봇
5: 장착부 6: 카메라
7: 구동부 8: USB단자
9: 스피커

Claims (1)

  1. 스마트기기를 결합할 수 있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배면에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를 일정각도 범위내에서 거치되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고, 로봇의 장착부에 결합되는 각도조절부; 및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각도조절부가 결합되는 장착부가 상부에 형성된 로봇;을 포함하고,
    상기 로봇은,
    각도조절부와 로봇은 분리되었을 때 무선통신이 가능하고 결합되었을 때 유선통신을 하는 통신부;
    전방에 구비되어 상하로 각도를 조절하며 전방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
    하부에 구비되어 사방으로 회전 및 직진이 가능한 구동부;
    후면에 구비되어 MP3와 결합되는 USB단자; 및
    상기 MP3 또는 스마트기기로부터 음원을 전달받아 외부로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하고,
    스마트기기를 탈착하였을 때, 지면으로부터 스마트기기를 거치하고, 다양한 각도에서 스마트기기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의 탈부착 가능한 로봇.
KR1020130150590A 2013-12-05 2013-12-05 스마트기기의 탈부착 가능한 로봇 KR201500653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0590A KR20150065359A (ko) 2013-12-05 2013-12-05 스마트기기의 탈부착 가능한 로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0590A KR20150065359A (ko) 2013-12-05 2013-12-05 스마트기기의 탈부착 가능한 로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5359A true KR20150065359A (ko) 2015-06-15

Family

ID=53504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0590A KR20150065359A (ko) 2013-12-05 2013-12-05 스마트기기의 탈부착 가능한 로봇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6535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02625B2 (en) 2016-03-24 2019-09-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WO2021149897A1 (ko) * 2020-01-20 2021-07-29 주식회사 원더풀플랫폼 크래들의 구동패턴을 이용한 도우미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02625B2 (en) 2016-03-24 2019-09-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WO2021149897A1 (ko) * 2020-01-20 2021-07-29 주식회사 원더풀플랫폼 크래들의 구동패턴을 이용한 도우미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0657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qualizing audio for playback on an electronic device
US9692953B2 (en) Camera-lens automatic pop-up assembly
KR102317526B1 (ko) 헤드셋 및 그 제어 방법
CN203616564U (zh) 用于移动终端的外置闪光灯及补光系统
US20140370817A1 (en) Determining proximity for devices interacting with media devices
EP3141947A1 (en) Smart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20120068914A1 (en) Miniature communications gateway for head mounted display
KR20170017112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CN105786170A (zh)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JP2019515518A (ja) ハウジング、写真機器システム、及び付属品
US20150110324A1 (en) Speakerphone base for an electronic device
CN204859235U (zh) 一种手机
US20180160205A1 (en) Peripheral audio output device
KR20150065359A (ko) 스마트기기의 탈부착 가능한 로봇
KR101729393B1 (ko) 이동 단말기와 충전 거치대
CN206835234U (zh) 电子设备的摄像头组件及电子设备
KR20160035908A (ko)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KR20160141426A (ko) 휴대용 액세서리 장치
CN205249461U (zh) 一种应用于手机的wifi音箱
KR20160004018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TWI422210B (zh) 行動通訊裝置
US20230102665A1 (en) Modular electronics box enabling device interchangeability
WO2022022722A1 (zh) 配件主题自适应方法、装置和系统
US10203723B2 (en) Headset with integrated computing system
KR20170006957A (ko) 이동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