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4968A - 호버링을 이용한 대상 동작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호버링을 이용한 대상 동작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4968A
KR20150064968A KR1020130149953A KR20130149953A KR20150064968A KR 20150064968 A KR20150064968 A KR 20150064968A KR 1020130149953 A KR1020130149953 A KR 1020130149953A KR 20130149953 A KR20130149953 A KR 20130149953A KR 20150064968 A KR20150064968 A KR 201500649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object
hovering
touch panel
distance
recogniz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9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근
김세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딥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딥
Priority to KR10201301499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64968A/ko
Publication of KR201500649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49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4Connections between sensors and controllers, e.g. routing lines between electrodes and connection 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버링을 이용한 대상 동작 제어 방법은 호버링을 이용한 대상 동작 제어 시스템이 터치패널에 근접한 적어도 하나의 이동 오브젝트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이동 오브젝트의 상기 터치패널의 근접에 따른 동작 대상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터치패널과 인식되고 있는 이동 오브젝트의 거리에 기초해 상기 동작 대상에 부여할 힘의 강도를 감지하는 단계; 및 감지된 힘의 강도에 따라 상기 동작 대상의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호버링을 이용한 대상 동작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ST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OBJECT MOTION USING HOVERING}
본 발명은 대상 동작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호버링을 이용한 대상 동작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TV, 스마트폰, MP3 플레이어, PMP, 노트북, PDA 등의 전자 시스템들에는 다양한 입출력 장치들이 장착되고 있다. 다양한 입출력 장치들은 사용자가 위 시스템들을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데 전자 시스템들 중에서도 핸드폰, MP3 플레이어, PMP, 노트북, PDA 등과 같은 장치들은 사이즈가 작기 때문에, 입출력 장치들을 장착하는데도 한계가 있어 최근 이러한 장치들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개선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써 터치패널, 터치스크린, 네비게이션 패드 등이 장착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을 채택한 일체형 컴퓨터 및 테블릿 컴퓨터 보급으로 인하여 다양한 형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요구되고 있다.
터치 스크린을 채용함으로써 일반 PC에서 마우스 및 키보드 입력을 대체하고, 좁은 공간에서도 사용자로 하여금 다양한 방식으로 데이터를 입력하고, 명령을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도 불구하고, 장치들의 입력에는 많은 제한이 따르고, 사용자도 그만큼 불편을 느낄 수 있는데, 예를 들면, 터치만으로는 보다 정밀한 조작이 어려워 게임이나 웹서핑을 즐기는데 문제점이 발생하는 것이 이에 해당한다. 최근에는 이를 탈피하고자 호버링(hovering)을 적용한 다양한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이에,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0-0041006호에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그래픽 오브젝트를 집는 핀칭(pinching) 움직임을 검출하는 호버링을 채택한 인터페이스를 개시하고 있지만, 단순히 핀칭에 대응하는 경우에 해당되며 강약이 반영되는 호버링과 같은 다양한 입력에 대응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호버링을 이용한 대상 동작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은 사용자에게 보다 효율적이고 정밀한 방법으로 대상을 조작할 수 있게 하는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버링을 이용한 대상 동작 제어 방법은 터치패널에 근접한 적어도 하나의 이동 오브젝트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이동 오브젝트의 상기 터치패널의 근접에 따른 동작 대상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터치패널과 인식되고 있는 이동 오브젝트의 거리 또는 상기 이동 오브젝트의 이동속도에 기초해 상기 동작 대상에 부여할 힘의 강도를 감지하는 단계; 및 감지된 힘의 강도에 따라 상기 동작 대상의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호버링을 이용한 대상 동작 제어 방법은 터치패널에 근접한 적어도 하나의 이동 오브젝트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이동 오브젝트의 상기 터치패널의 근접에 따른 동작 대상을 식별하는 단계; 인식되고 있는 이동 오브젝트의 위치 이동을 감지하는 단계; 감지된 위치 이동에 따라 동작 대상의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터치패널과 인식되고 있는 이동 오브젝트의 거리 또는 상기 이동 오브젝트의 이동속도에 기초해 상기 동작 대상에 부여할 힘의 강도를 감지하는 단계: 및 감지된 힘의 강도에 따라 상기 동작 대상의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 오브젝트를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오브젝트가 상기 터치패널과 미리 결정된 거리 이내에 진입하는 것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동작 대상의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오브젝트의 인식을 해제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오브젝트의 인식이 해제됨에 따라 상기 동작 대상의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동작 대상의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 오브젝트가 제1 이동 오브젝트인 경우에 상기 제1 이동 오브젝트가 인식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미리 결정된 거리 이내에 제2 이동 오브젝트가 나타나는 것으로 인식되는 경우에 그에 따라 상기 동작 대상의 특정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호버링을 이용한 대상 동작 제어 시스템은 터치패널; 상기 터치패널상에 적어도 하나의 이동 오브젝트가 근접하는 것을 인식하고, 상기 이동 오브젝트가 상기 터치패널로부터 미리 결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지 또는 미리 결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한 상기 이동 오브젝트가 상기 거리 밖으로 떨어지는지 여부 또는 미리 결정된 거리 이내에 다른 이동 오브젝트가 인식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호버링 검출 모듈; 상기 이동 오브젝트가 상기 미리 결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이동 오브젝트와 상기 터치패널과의 거리 변화 또는 상기 이동 오브젝트의 이동속도를 감지하는 변화 감지 모듈; 및 상기 변화 감지 모듈이 감지한 거리 변화 또는 상기 이동속도에 따라 상기 동작 대상을 특정 동작으로 전환하는 동작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변화 감지 모듈은, 상기 이동 오브젝트가 상기 미리 결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이동 오브젝트와 상기 터치패널과의 거리 변화에 따른 상하 위치 이동 또는 상기 이동 오브젝트의 측방으로의 위치 이동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변화 감지 모듈은, 상기 이동 오브젝트가 상기 미리 결정된 거리 밖으로 나가는지 여부를 더 감지하고, 이 경우 상기 동작 모듈은, 인식되고 있는 상기 이동 오브젝트의 인식을 해제하며 상기 인식의 해제에 따른 상기 동작 대상의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호버링을 이용한 대상 동작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의하면 사용자가 보다 효율적이고 정밀한 방법으로 대상을 조작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버링을 이용한 대상 동작 제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버링을 이용한 대상 동작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호버링을 이용한 대상 동작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버링을 이용한 대상 동작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4의 S310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손가락이 터치패널에 근접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대한 호버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도 7의 단계에 따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손가락과 터치패널과의 거리에 따라 동작 대상에 주어지는 힘의 강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구성 요소들은 상기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버링을 이용한 대상 동작 제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대상 동작 제어 시스템(1)은 호버링 검출 모듈(10), 터치패널(20), 변화 감지 모듈(30) 및 동작 모듈(40)을 포함한다.
여기서 호버링(hovering)은 일반적으로 터치패널의 입력면에 근접하지만 접촉하지는 않는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와 같은 입력 이동 오브젝트의 도입을 칭한다.
또한 여기서 사용된 '모듈'이라는 용어는 논리적인 구성 단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반드시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구성 요소가 아니라는 점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다.
상기 터치패널(20)은 센서의 일종에 해당하며, 터치스크린의 개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호버링 검출 모듈(10)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 오브젝트가 상기 터치패널(20)과 비접촉상태에서 상기 터치패널(20)로부터 미리 결정된 거리(x,y,z 값) 이내에 위치하는지 및 미리 결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 오브젝트가 상기 거리 밖으로 떨어지는지 또는 상기 미리 결정된 거리 이내에 또다른 이동 오브젝트가 인식되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거리(x,y,z 값) 검출의 예시들은 상기 터치패널(20) 위의 캐패시턴스 변화를 검출함으로써 거리를 검출하는 방식, 초음파 방출을 통해 거리를 검출하는 방식 등이 있을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또다른 방식을 통한 거리 검출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호버링 검출 모듈(10)은 통상의 기술을 가진자의 설계변경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 오브젝트가 상기 터치패널(20)에 1차 접촉을 한 경우에 이를 호버링 신호로 보고 그 이후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 오브젝트가 상기 터치패널(20)로부터 미리 결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지 및 미리 결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 오브젝트가 상기 거리 밖으로 떨어지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변화 감지 모듈(30)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 오브젝트가 상기 미리결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 오브젝트와 상기 터치패널(20)과의 거리 변화에 따른 상하 위치 이동뿐 아니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 오브젝트의 측방으로의 위치 이동 또는 이동 오브젝트의 이동속도(x,y 및 z 축 방향으로의 이동속도)도 감지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 오브젝트가 상기 터치패널(20)과의 거리에는 변화가 없더라도 터치패널(20)과 평행하게 측방(좌,우,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변화 감지 모듈(30)은 이러한 위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데, 그 방식은 터치패널(20)의 레이어의 좌표값(x,y,z)의 변화를 감지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변화 감지 모듈(30)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 오브젝트가 상기 미리 결정된 거리 밖으로 나가는지 여부를 더 감지하고, 이 경우 상기 동작 모듈(40)은 인식되고 있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 오브젝트 인식을 해제하며, 상기 인식의 해제에 따른 상기 동작 대상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또는 상기 변화 감지 모듈(30)은 상기 미리 결정된 거리 이내에 호버링 인식되고 있는 제1 이동 오브젝트가 있는 경우에 다른 제2 이동 오브젝트가 나타나는지도 인식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동작 모듈(40)은 동작 대상의 동작을 특정 동작으로 수행하게 할 것이다.
상기 변화 감지 모듈(30)은 상기 감지된 거리가 가까울수록 이를 크게 수치화하여 이하에서 설명할 동작 모듈(40)이 동작시킬 동작 대상의 힘의 강도를 센 것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동작 모듈(40)은 상기 변화 감지 모듈(30)이 감지한 거리 변화 또는 이동속도에 따라 상기 동작 대상을 특정 동작으로 전환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버링을 이용한 대상 동작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상기 호버링을 이용한 대상 동작 제어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호버링을 이용한 대상 동작 제어 시스템(1)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호버링을 이용한 대상 동작 제어 시스템(1)은 상기 터치패널에 근접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 오브젝트를 인식(또는 호버링, hovering)한다(S120). 이후 호버링을 이용한 대상 동작 제어 시스템(1)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 오브젝트의 터치패널(20) 근접에 따른 동작 대상을 식별한다.
이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 오브젝트는 사람의 신체의 일부에 해당할 수도 있고, 스타일러스펜에 해당할 수도 있으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 오브젝트를 인식하는 것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 오브젝트가 상기 터치패널과 미리 결정된 거리 이내에 진입하는 것을 인식하는 것에 해당할 수 있다.
호버링을 이용한 대상 동작 제어 시스템(1)은 상기 터치패널(20)과 인식되고 있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 오브젝트의 거리 또는 상기 이동 오브젝트의 이동속도에 기초해 동작 대상에 부여할 힘의 강도를 감지할 수 있다(S130).
여기서 상기 동작 대상은 상기 호버링을 이용한 대상 동작 제어 시스템(1)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으로 인해 출력되는 화면상의 특정 오브젝트에 해당할 수 있는데, 예컨대, 게임상의 특정 캐릭터, 웹브라우저 상의 스크롤, 웹브라우저 상의 지도(map) 등을 포함하는 오브젝트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호버링을 이용한 대상 동작 제어 시스템(1)은 거리가 짧을수록 상기 동작 대상에 부여할 힘의 강도가 강해지는 것으로 감지할 수 있으며, 거리가 길어질수록 상기 동작 대상에 부여할 힘의 강도가 약해지는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또한 호버링을 이용한 대상 동작 제어 시스템(1)은 이동 오브젝트의 이동속도가 빠를수록 상기 동작 대상에 부여할 힘의 강도가 강해지는 것으로 감지할 수 있으며, 이동속도가 느릴수록 상기 동작 대상에 부여할 힘의 강도가 약해지는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호버링을 이용한 대상 동작 제어 시스템(1)은 감지된 힘의 강도에 따라 동작 대상의 동작을 수행한다(S140). 예컨대, 상기 호버링을 이용한 대상 동작 제어 시스템(1)은 내부적으로 수치화된 값을 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 오브젝트와 상기 터치패널(20)과의 거리에 따른 또는 이동 오브젝트의 이동속도에 따른 힘의 강도를 감지/결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대상 동작에 주어지는 힘의 강도를 결정할 수 있다.
거리의 경우를 예를 들면, 만일 제1 거리의 내부판단 수치값이 10이고, 제2 거리의 내부판단 수치값이 20인 경우, 제1 거리에서 제2 거리로 이동할때 상기 대상 동작에 주어지는 힘의 강도를 크게 하는 것으로 동작 대상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호버링을 이용한 대상 동작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상기 호버링을 이용한 대상 동작 제어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호버링을 이용한 대상 동작 제어 시스템(1)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호버링을 이용한 대상 동작 제어 시스템(1)은 상기 터치패널에 근접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 오브젝트를 인식(또는 호버링, hovering)한다(S220). 이후 호버링을 이용한 대상 동작 제어 시스템(1)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 오브젝트의 터치패널(20) 근접에 따른 동작 대상을 식별한다.
이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 오브젝트는 사람의 신체의 일부에 해당할 수도 있고, 스타일러스펜에 해당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 오브젝트를 인식하는 것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 오브젝트가 상기 터치패널(20)과 미리 결정된 거리 이내에 진입하는 것을 인식하는 것에 해당할 수 있다.
호버링을 이용한 대상 동작 제어 시스템(1)은 상기 터치패널(20)과 인식되고 있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 오브젝트의 위치 이동을 감지한다(S230). 즉, 호버링을 이용한 대상 동작 제어 시스템(1)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 오브젝트가 상기 미리 결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 오브젝트의 측방으로의 위치 이동(터치패널(20)과 평행인 상,하,좌,우 방향)을 감지한다.
이후, 호버링을 이용한 대상 동작 제어 시스템(1)은 감지된 위치 이동에 따라 동작 대상의 동작을 수행한다(S240). 예컨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 오브젝트가 터치패널(20) 상에서 상방,좌방으로 이동한 경우에 동작 대상의 위치를 상방,좌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동작 대상은 상기 호버링을 이용한 대상 동작 제어 시스템(1)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으로 인해 출력되는 화면상의 특정 오브젝트에 해당할 수 있는데, 예컨대, 게임상의 특정 캐릭터, 웹브라우저 상의 스크롤, 웹브라우저 상의 지도(map) 등을 포함하는 오브젝트에 해당할 수 있다.
호버링을 이용한 대상 동작 제어 시스템(1)은 상기 터치패널(20)과 인식되고 있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 오브젝트의 거리 또는 이동 오브젝트의 이동속도에 기초해 상기 동작 대상에 부여할 힘의 강도를 감지한다(S250). 예컨대 호버링을 이용한 대상 동작 제어 시스템(1)은 거리가 짧을수록 상기 동작 대상에 부여할 힘의 강도가 강해지는 것으로 감지할 수 있으며, 거리가 길어질수록 상기 동작 대상에 부여할 힘의 강도가 약해지는 것으로 감지할 수 있으며, 호버링을 이용한 대상 동작 제어 시스템(1)은 이동 오브젝트의 이동속도가 빠를수록 상기 동작 대상에 부여할 힘의 강도가 강해지는 것으로 감지할 수 있으며, 이동속도가 느릴수록 상기 동작 대상에 부여할 힘의 강도가 약해지는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이후, 호버링을 이용한 대상 동작 제어 시스템(1)은 감지된 힘의 강도에 따라 동작 대상의 동작을 수행한다(S260).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버링을 이용한 대상 동작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의 흐름도는 도 2의 S140 또는 도 3의 S260 이후에 이루어지는 단계에 해당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S140 또는 S260 이후에 호버링을 이용한 대상 동작 제어 시스템(1)에 의해 인식(또는 호버링)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 오브젝트의 인식(또는 호버링)이 해제 또는 인식되지 않는 다른 이동 오브젝트를 인식(또는 호버링)한다(S310). 여기서, 기존에 인식되고 있는 이동 오브젝트에 더하여 다른 이동 오브젝트가 추가적으로 인식되기 때문에 이를 멀티 호버링이라 호칭할 수 있다. S310에 대한 더 구체적인 설명은 도 5에서 설명된다.
호버링을 이용한 대상 동작 제어 시스템(1)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 오브젝트의 인식(또는 호버링)의 해제 또는 상기 멀티 호버링에 따라 상기 동작 대상의 동작을 수행한다(S320). 이에 대한 예시가 도 10에서 도시되며 이후에서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도 4의 S310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호버링을 이용한 대상 동작 제어 시스템(1)은 터치패널(20)로부터 미리 결정된 거리 이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 오브젝트가 떨어지는지 여부를 감지하거나 상기 미리 결정된 거리 내에 추가적인 다른 이동 오브젝트가 인식되는 것을 감지한다(S312). 상기 미리 결정된 거리 내에 추가적인 다른 이동 오브젝트가 인식되는 것이라 함은, 예컨대 미리 결정된 거리 내의 영역인 호버링 영역에 제1 이동 오브젝트인 손가락 하나가 인식되고 있는 경우에 추가적으로 제2 이동 오브젝트인 다른 손가락이 상기 호버링 영역에 들어온 경우 이를 감지하는 것에 해당할 수 있다.
터치패널(20)로부터 미리 결정된 거리 이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 오브젝트가 떨어지는 것으로 감지가 된 경우, 호버링을 이용한 대상 동작 제어 시스템(1)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 오브젝트의 인식(또는 호버링)을 해제한다(S314).
즉, 호버링을 이용한 대상 동작 제어 시스템(1)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 오브젝트가 상기 터치패널(20)로부터 미리 결정된 거리 이상으로 떨어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 오브젝트가 상기 터치패널(20)로부터 미리 결정된 거리 이상으로 떨어지는 것으로 판단하면 인식되고 있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 오브젝트 인식(또는 호버링)을 해제할 것이다.
도 6은 손가락이 터치패널에 근접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터치패널(20)의 입력면(22)에 이동 오브젝트인 손가락이 근접하게 되며 미리 결정된 거리(610) 이내에 상기 손가락이 접근하면 호버링을 이용한 대상 동작 제어 시스템(1)은 이를 인식/호버링하여 동작 대상(예컨대, 도 8 내지 도 10의 경우 체스말)을 손가락의 움직임에 따라 동작시킨다.
도 6에서는 손가락이 미리 결정된 거리(610) 이내의 거리(620)에 위치하고 있는바 호버링을 이용한 대상 동작 제어 시스템(1)은 이를 인식/호버링할 것이다. 하지만 설계에 따라 터치패널(20)의 입력면(22)에 손가락이 1차접촉이 이루어진 이후에만 이를 인식신호로 보고 상기 호버링을 이용한 대상 동작 제어 시스템(1)은 상기 미리 결정된 거리(610) 이내에 상기 손가락이 접근하면 이를 인식/호버링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도면부호 610이 호버링 영역에 해당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대한 호버링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 내지 도 10은 도 7의 단계에 따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호버링을 이용한 대상 동작 제어 시스템(1)은 상기 미리 결정된 거리(610) 이내에 상기 손가락이 접근하면 이를 감지/호버링하여 동작 대상의 1차 동작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손가락의 위치 이동이 이루어져 호버링의 위치 이동이 일어난 경우에 동작 대상의 위치를 상기 손가락의 위치 이동에 상응하도록 이동시키는 2차 동작을 수행한다. 이후 상기 미리 결정된 거리(610) 밖으로 상기 손가락이 후퇴하거나 상기 미리 결정된 거리 내에 추가적으로 다른 손가락이 인식되는 경우 동작 대상의 3차 동작을 수행한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도 8은 상기 호버링을 이용한 대상 동작 제어 시스템(1)이 호버링을 감지한 경우 동작 대상인 체스말을 들어올리는 1차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 9는 상기 호버링을 이용한 대상 동작 제어 시스템(1)이 손가락의 위치 이동이 이루어져 호버링의 위치 이동이 일어난 경우에 동작 대상인 체스말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2차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나타낸다. 이때 감지되는 상기 힘의 강도에 따라서 체스말의 위치 및 이동 속도 등이 변할 수 있다.
도 10은 상기 호버링을 이용한 대상 동작 제어 시스템(1)이 상기 미리 결정된 거리 밖으로 상기 손가락이 후퇴하는 경우 또는 멀티 호버링이 되는 경우 그에 따라 동작 대상인 체스말을 내려놓는 3차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 11은 손가락과 터치패널과의 거리 또는 손가락의 이동속도에 따라 동작 대상에 주어지는 힘의 강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손가락이 터치패널(20)의 입력면(22)으로 서서히 접근하면서 손가락과 입력면(22)의 거리가 점점 감소하는 경우, 힘의 강도가 점점 세지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으며, 동작 대상이 게임 내의 활시위라면 힘의 강도가 점점 세지기 때문에 활시위가 점점 당겨지는 것으로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또는 손가락의 이동속도가 빠를경우 동작 대상인 활시위를 당기는 속도를 빠르게 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힘의 강도가 점점 세지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동작 대상이 인터넷화면상의 스크롤(scroll)이라면 힘의 강도가 점점 세지기 때문에 스크롤 속도가 점점 빨리 당겨지는 것으로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힘의 강도가 점점 세지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동작 대상이 게임내의 포탄 날리는 장치(또는 선수)라면 힘의 강도가 점점 세지기 때문에 포탄을 날리는 수평 이동 속도가 점점 빨라지는 것으로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객체 정보 추정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는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전송될 수도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호버링을 이용한 대상 동작 제어 시스템(1)
호버링 검출 모듈(10)
터치패널(20)
입력면(22)
변화 감지 모듈(30)
동작 모듈(40)

Claims (8)

  1. 호버링을 이용한 대상 동작 제어 시스템이,
    터치패널에 근접한 적어도 하나의 이동 오브젝트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이동 오브젝트의 상기 터치패널의 근접에 따른 동작 대상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터치패널과 인식되고 있는 이동 오브젝트의 거리 또는 상기 이동 오브젝트의 이동속도에 기초해 상기 동작 대상에 부여할 힘의 강도를 감지하는 단계; 및
    감지된 힘의 강도에 따라 상기 동작 대상의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버링을 이용한 대상 동작 제어 방법.
  2. 호버링을 이용한 대상 동작 제어 시스템이,
    터치패널에 근접한 적어도 하나의 이동 오브젝트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이동 오브젝트의 상기 터치패널의 근접에 따른 동작 대상을 식별하는 단계;
    인식되고 있는 이동 오브젝트의 위치 이동을 감지하는 단계;
    감지된 위치 이동에 따라 동작 대상의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터치패널과 인식되고 있는 이동 오브젝트의 거리 또는 상기 이동 오브젝트의 이동속도에 기초해 상기 동작 대상에 부여할 힘의 강도를 감지하는 단계: 및
    감지된 힘의 강도에 따라 상기 동작 대상의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버링을 이용한 대상 동작 제어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 오브젝트를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오브젝트가 상기 터치패널과 미리 결정된 거리 이내에 진입하는 것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버링을 이용한 대상 동작 제어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대상의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오브젝트의 인식을 해제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오브젝트의 인식이 해제됨에 따라 상기 동작 대상의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버링을 이용한 대상 동작 제어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대상의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 오브젝트가 제1 이동 오브젝트인 경우에 상기 제1 이동 오브젝트가 인식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미리 결정된 거리 이내에 제2 이동 오브젝트가 나타나는 것으로 인식되는 경우에 그에 따라 상기 동작 대상의 특정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버링을 이용한 대상 동작 제어 방법.
  6. 호버링을 이용한 대상 동작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터치패널;
    상기 터치패널상에 적어도 하나의 이동 오브젝트가 근접하는 것을 인식하고, 상기 이동 오브젝트가 상기 터치패널로부터 미리 결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지 또는 미리 결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한 상기 이동 오브젝트가 상기 거리 밖으로 떨어지는지 여부 또는 미리 결정된 거리 이내에 다른 이동 오브젝트가 인식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호버링 검출 모듈;
    상기 이동 오브젝트가 상기 미리 결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이동 오브젝트와 상기 터치패널과의 거리 변화 또는 상기 이동 오브젝트의 이동속도를 감지하는 변화 감지 모듈; 및
    상기 변화 감지 모듈이 감지한 거리 변화 또는 상기 이동속도에 따라 상기 동작 대상을 특정 동작으로 전환하는 동작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버링을 이용한 대상 동작 제어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변화 감지 모듈은,
    상기 이동 오브젝트가 상기 미리 결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이동 오브젝트와 상기 터치패널과의 거리 변화에 따른 상하 위치 이동 또는 상기 이동 오브젝트의 측방으로의 위치 이동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버링을 이용한 대상 동작 제어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변화 감지 모듈은,
    상기 이동 오브젝트가 상기 미리 결정된 거리 밖으로 나가는지 여부를 더 감지하고,
    이 경우 상기 동작 모듈은,
    인식되고 있는 상기 이동 오브젝트의 인식을 해제하며 상기 인식의 해제에 따른 상기 동작 대상의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버링을 이용한 대상 동작 제어 시스템.
KR1020130149953A 2013-12-04 2013-12-04 호버링을 이용한 대상 동작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0649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9953A KR20150064968A (ko) 2013-12-04 2013-12-04 호버링을 이용한 대상 동작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9953A KR20150064968A (ko) 2013-12-04 2013-12-04 호버링을 이용한 대상 동작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4968A true KR20150064968A (ko) 2015-06-12

Family

ID=53503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9953A KR20150064968A (ko) 2013-12-04 2013-12-04 호버링을 이용한 대상 동작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6496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91895A1 (ko) * 2016-05-03 2017-11-09 주식회사 하이딥 터치 입력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91895A1 (ko) * 2016-05-03 2017-11-09 주식회사 하이딥 터치 입력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
US10338732B2 (en) 2016-05-03 2019-07-02 Hideep Inc. Displaying method of touch input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8282404B2 (en) Touch-sensitive button
TWI514229B (zh) 圖形編輯方法以及電子裝置
US897613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program
KR101766187B1 (ko) 작동 모드들을 변화시키는 방법 및 장치
TWI478041B (zh) 於觸控面板上識別手掌區域方法及其更新方法
EP1892605B1 (en) Apparatus, method, and medium of sensing movement of multi-touch point and mobile apparatus using the same
JP2010244132A (ja) タッチパネル付き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装置、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制御方法および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制御プログラム
WO2007108853A2 (en) Proximity sensor and method for indicating extended interface results
JP2011014044A (ja) 操作制御装置、操作制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10409412B1 (en) Multi-input element for electronic device
US20120075202A1 (en) Extending the touchable area of a touch screen beyond the borders of the screen
US10241590B2 (en) Capacitive keyboard having variable make points
WO2012111227A1 (ja) タッチ式入力装置、電子機器および入力方法
US20140298275A1 (en) Method for recognizing input gestures
CN102073427A (zh) 电容触摸屏多指检测的方法
JP6154148B2 (ja) 入力操作装置、表示装置、および、コマンド選択方法
KR20150064968A (ko) 호버링을 이용한 대상 동작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JP5899568B2 (ja) 入力物体を区別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468970B1 (ko)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입력을 통한 객체 스크롤 방법 및 장치
TWI405105B (zh) Signal handling method of compound touch panel
KR101596730B1 (ko) 터치패널 상에서의 입력좌표 판단방법 및 판단장치
KR101706909B1 (ko) 핑거 입력장치
US9939921B2 (en) Electronic device keyboard spacebar with visual feedback associated with location sensing
US20130154967A1 (en) Electronic device and touch control method thereof
Demski et al. Context Sensitive Gestu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