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4612A - 자동차용 후방 카메라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후방 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4612A
KR20150064612A KR1020130149513A KR20130149513A KR20150064612A KR 20150064612 A KR20150064612 A KR 20150064612A KR 1020130149513 A KR1020130149513 A KR 1020130149513A KR 20130149513 A KR20130149513 A KR 20130149513A KR 20150064612 A KR20150064612 A KR 201500646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transparent cover
light emitting
front surface
cove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9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용범
Original Assignee
이스턴 마스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스턴 마스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스턴 마스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495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64612A/ko
Priority to PCT/KR2014/011730 priority patent/WO2015084037A1/ko
Publication of KR201500646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46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8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4Mounting of cameras operative during driv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relative to the vehicl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7/00Control of exposure by setting shutters, diaphragms or filters, separately or conjointly
    • G03B7/02Control effected by setting a graduated member on the camera in accordance with indication or reading afforded by a light meter, which may be either separate from or built into camera bod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후방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 카메라 케이싱부재의 전면에 장착되는 투명 커버부재를 접착시킴으로써, 케이싱 내부 방수 효과를 증대시키며, 조립 과정을 단순화하여 제조 비용을 절감하고, 생산성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콤팩트한 설계로 제품의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후방 카메라{Camera for watching back of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후방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방수 성능이 우수하고, 제조 시 조립 공정을 단순화한 자동차용 후방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후방을 확인하기 위해 룸미러와 사이드 미러가 장착된다.
근래에 들어, 자동차의 후방을 더 편리하고, 확실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후방 감시카메라가 자동차의 후방에 설치되고 있다. 상기 후방 감시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은 케이블을 통해 차량 내부에 설치된 모니터로 전송되어 운전자가 확인한다.
도 1을 참고하면, 상기 후방 카메라(1)는, 전면이 개방된 카메라 케이싱부재(30)의 내부에 개방된 전면을 향해 카메라 모듈(10) 및 적외선 조명용 엘이디(IR LED)(21)가 배치되고, 상기 개방된 전면에 투명 커버부재(40)가 구비된다.
상기 투명 커버부재(40)는 상기 카메라 케이싱부재(30)의 개방된 전면을 커버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10)의 렌즈 및 적외선 조명용 엘이디(21)를 보호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10)로 외부를 촬영 가능하게 하고, 상기 적외선 조명용 엘이디(21)에서 발생된 적외선을 통과시켜 외부를 조명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후방 카메라(1)는 상기 카메라 케이싱부재(30)의 전면을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진 투명 커버부재(40)로 커버한다. 상기 적외선 조명용 엘이디(21)에서 발생되어 외부로 방출되는 빛과, 상기 카메라 모듈(10)의 렌즈로 유입되는 빛이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진 상기 투명 커버부재(40)로 함께 통과된다.
그러나, 상기 투명 커버부재(40)는 상기 카메라 케이싱부재(30)의 전면에 고정볼트(2)로 체결되어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카메라 케이싱부재(30)의 내부를 밀폐시키기 어려워 상기 카메라 케이싱부재(30)의 내부로 수분이 침투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볼트(2)와 너트 등의 체결구가 사용되므로, 상기 체결구를 사용하기 위한 내부 공간이 확보되어야 하고 이에 따라 크기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이러한 형태의 투명 커버부재(40)의 고정 형태에서는, 그 고정에 사용되는 부품에 의하여 후방 카메라의 내부 공간이 사용이 되기 때문에, 초소형화에 있어서 제약이 있다. 또한, 투명 커버부재(40)의 일부 영역에 힘이 가해져서, 투명 커버부재(40)이 후방 카메라에 고정이 되는 형태이기 때문에, 방수 및 이물질 유입 방지에 있어서도 열악하고, 특히 비포장 도로 혹은 극한의 환경에서는 투명 커버부재(40)의 시일성에 문제가 생겨서, 후방 카메라가 오작동을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후방 카메라(1)는 극한의 환경에서 내부 온도 및 습도의 변화에 의하여, 오작동을 일으키는 경우가 빈번하다. 만약 내부 온도 및 습도가 적정한 수준으로 유지되지 않으면, 상기 후방 카메라의 적외선 조명용 엘이디(21) 및 카메라 모듈(10) 중 어느 하나가 오작동이 일어남으로써, 후방 카메라가 오작동을 일으킬 수 있다.
국내특허공개 제2004-0065798호 '차량 후방용 감시 카메라'(2004년 7월 23일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야간 촬영을 위한 조명 시 조명에 의한 난반사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야간 촬영 시 선명한 화질을 제공함과 동시에, 카메라 모듈에 결합되는 투명 커버체의 견고한 유지 및 방수를 도모함과 동시에, 카메라 모듈 내부의 공간 확보에 의한 초소형화가 가능한 자동차용 후방 카메라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 전기 전원을 공급받아 빛을 발광하는 발광체; 상기 카메라 모듈과 상기 발광체가 내부에 장착되며, 상기 카메라 모듈로 영상을 촬영하게 하고, 상기 발광체에서 발생된 빛을 방출하도록 개방된 개방부가 전면에 형성된 카메라 케이싱부재; 상기 카메라 케이싱부재의 전면에 장착되어 상기 개방부를 커버하는 투명 커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투명 커버부재는 상기 카메라 케이싱부재의 전면에 양면 테이프에 의하여 접착되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카메라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카메라 케이싱부재는, 상기 카메라 모듈의 전면을 개방하는 촬영용 개방부가 구비된 촬영부; 상기 발광체의 전면을 개방하는 조명용 개방부가 구비된 발광부를 구비하며, 상기 투명 커버부재는, 상기 촬영부의 전면에 장착되어 상기 촬영용 개방부를 커버하는 제1투명 커버체; 및 상기 발광부의 전면에 장착되어 상기 조명용 개방부를 커버하는 제2투명 커버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양면 테이프는, 아크릴 발포 기재부; 상기 아크릴 발포 기재부의 일면에 배치되는 제1아크릴 접착층; 및 상기 아크릴 발포 기재부의 타면에 배치되는 제2아크릴 접착층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양면 테이프는, 50 중량% 내지 70 중량%의 압력 반응 접착 아크릴레이트 중합체; 10 중량% 내지 30 중량%의 아크릴레이트 삼원 공중합체; 0.5 중량% 내지 2 중량%의 카본; 및 20 중량% 내지 30 중량%의 첨가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첨가제는 폴리에틸렌 및 셀룰로오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촬영부와 상기 발광부는 높이 차이를 가지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촬영부가 상기 카메라 케이싱부재의 전면에 돌출되게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발광체는, 적외선 조명용 엘이디(IR LED)와 일반 조명용 엘이디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일반 조명용 엘이디는 화이트 엘이디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케이싱 내부 방수 효과를 증대시키며, 조립 과정을 단순화하여 제조 비용을 절감하고, 생산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다 콤팩트한 설계가 가능하여 크기를 더 소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야간에 선명한 화질을 제공하며, 저조도 야간 주행 시 화질을 향상시켜 야간 운전 시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자동차용 후방 카메라를 도시한 단면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후방 카메라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후방 카메라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광 간섭과 관련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후방 카메라의 비교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도 4의 A부를 확대한 단면도
도 7 내지 도 10은 자동차용 후방 카메라에서 카메라 케이싱부재의 다양한 실시 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11은 광 간섭과 관련된 본 발명에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후방 카메라의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12은 도 4의 B부를 확대한 단면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후방 카메라에서, 카메라 모듈(10), 발광체(20), 카메라 케이싱부재(30)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카메라 케이싱부재(30) 내에 카메라 모듈(10), 발광체(20)가 장착된 상태이고, 상기 카메라 케이싱부재(30)의 전면에 제1투명 커버체(41)와, 상기 제2투명 커버체(42)가 분리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후방 카메라는,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10)을 포함한다. 상기 카메라 모듈(10)은, 카메라 렌즈부(11); 및 상기 카메라 렌즈부(11)가 실장되는 카메라 기판부(12)를 포함하여, 상기 카메라 렌즈부(11)에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후방 카메라는, 상기 카메라 모듈(10)로 야간 촬영 시 빛을 발생시키는 발광체(2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발광체(20)는 램프 기판에 실장되어 전기 전원을 공급받아 빛을 발광한다.
상기 발광체(20)는 전기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하여 야간 후진 시 시야를 확보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10)로 후방을 보다 선명하게 촬영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카메라 모듈(10)과 상기 발광체(20)는 카메라 케이싱부재(30)의 내부에 장착된다.
상기 카메라 케이싱부재(30)는 내부에 상기 카메라 모듈(10)과 상기 발광체(20)를 장착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되고, 전면에 개방부(33)가 형성된다.
상기 개방부(33)는 상기 카메라 모듈(10)로 영상을 촬영하게 하고, 상기 발광체(20)에서 발생된 빛을 방출하도록 개방된다.
상기 전면은 상기 카메라 모듈(10)이 촬영하는 방향으로, 상기 카메라 케이싱부재(30)는 자동차의 후방에 설치 시 상기 전면이 상기 자동차의 후방을 향해 배치되어 상기 카메라 모듈(10)로 자동차의 후방을 촬영하게 한다.
즉, 상기 카메라 모듈(10)은 상기 카메라 렌즈부(11)가 상기 개방부(33)를 향하도록 배치되어 개방된 상기 개방부(33)를 통해 외부의 영상을 촬영한다. 상기 발광체(20)는 상기 개방부(33)를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발광체(20)에서 발광된 빛은 상기 개방부(33)를 통해 외부로 방출되어 상기 카메라 모듈(10)로 촬영되는 부분을 조명한다.
상기 카메라 케이싱부재(30)에는 케이블 관통 구멍(34)이 형성되어 영상 출력 및 전원 공급을 위한 케이블이 상기 케이블 관통 구멍(34)을 통해 내부로 삽입된다. 상기 케이블은 상기 카메라 케이싱부재(30)의 내부에서 상기 카메라 기판부(12)와, 상기 램프 기판부(20a)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 모듈(10)과, 상기 발광체(20)에 각각 전기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10)에서 촬영된 영상을 자동차의 내부에 설치된 모니터로 전송한다. 상기 카메라 모듈(10)에서 촬영된 차량의 후방 영상은 상기 모니터를 통해 출력되어 운전자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관통 구멍(34)에는 상기 케이블이 통과되는 부분을 실링하는 패킹링체(35) 및 상기 케이블의 위치를 고정하는 케이블 부싱(36)이 결합된다.
상기 발광체(20)는 상기 카메라 모듈(10)의 양 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카메라 모듈(10)의 양측에서 빛을 발광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10)로 촬영되는 부분을 효과적으로 조명한다.
상기 발광체(20)는 적외선 발광체인 적외선 조명용 엘이디(IR LED)(21)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발광체(20)는 일반 조명용 엘이디(22)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일반 조명용 엘이디(22)는 백색광을 발광하는 화이트 엘이디(White LED)인 것을 일 예로 한다.
상기 적외선 조명용 엘이디(21)와 상기 일반 조명용 엘이디(22)는 각각 상기 램프 기판부(20a)에 실장되어 전기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한다.
상기 적외선 조명용 엘이디(21)는 복수로 구비되고, 상기 일반 조명용 엘이디(22)는 복수로 구비되어 더 넓은 범위를 조명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후방 카메라는 상기 발광체(20)로, 적외선 조명용 엘이디(21)뿐만 아니라 가시광선 발광체인 일반 조명용 엘이디(22) 즉, 화이트 엘이디를 더 포함하여 저조도 상태에서 상기 카메라 모듈(10)로 영상을 더 선명하게 촬영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적외선 조명용 엘이디(21)만 사용하여 조명하는 것과 비교할 때 동일한 거리, 동일 조도에서 컬러 영상을 구현한다.
복수의 상기 적외선 조명용 엘이디(21)는 상기 카메라 모듈(10)의 양 측에서 각각 세로로 일렬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복수의 상기 일반 조명용 엘이디(22)는 상기 적외선 조명용 엘이디(21)보다 외측에서 각각 세로로 일렬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적외선 조명용 엘이디(21)의 개수가 상기 일반 조명용 엘이디(22)의 개수보다 많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적외선 조명용 엘이디(21)와 상기 일반 조명용 엘이디(22)는 상기 카메라 모듈(10)의 양 측에서 각각 복수로 구비되고, 각각 일렬로 배치된다. 또, 상기 일반 조명용 엘이디(22)가 상기 적외선 조명용 엘이디(21)보다 외측에 일렬로 배치된다.
이는 저조도 시 가시거리를 최대한 증대시키기 위한 상기 적외선 조명용 엘이디(21)와 상기 일반 조명용 엘이디(22)의 배치이며, 적외선 조명용 엘이디(21)만 사용하여 조명하는 것과 비교할 때 가시거리를 비약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일반 조명용 엘이디(22)는 온오프 조작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일반 조명용 엘이디(22)는 트리거 신호를 통해 운전자가 필요에 따라 온오프한다. 상기 일반 조명용 엘이디(22)는 발광 시 주변 환경에 따라 상기 카메라 모듈(10)로 촬영된 영상에 눈부심을 발생시킬 수 있고, 주변의 조도가 기설정된 이상인 경우 오프시켜 눈부심을 방지하고, 더 선명한 자동차의 후방 영상을 제공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후방 카메라는 저조도 시 상기 카메라 모듈(10)로 더 선명하게 영상을 촬영할 수 있고, 저조도 시에도 칼라 영상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케이싱부재(30)의 내부에는 전기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하는 히터(50)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히터(50)는 상기 카메라 기판부(12) 또는 상기 램프 기판부(20a) 중 어느 한 측에 실장되어 상기 케이블로부터 전기전원을 공급받아 발광하며, 세라믹 히터(51)인 것을 일 예로 한다. 상기 세라믹 히터(51)는 상기 카메라 케이싱부재(30)의 내부 온도 및 습도를 조절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10)와 상기 발광체(20)의 오작동 및 고장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카메라 케이싱부재(30)는 전면 케이싱부(30a)와 후면 케이싱부(30b)로 분리되어 서로 볼트 체결로 분리 가능하게 조립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또한, 상기 카메라 케이싱부재(30)는 상기 전면부에 형성되는 개방부(33)를 커버하는 투명 커버부재(40)를 포함한다.
상기 카메라 케이싱부재(30)의 전면에는 상기 개방부(33)에서 상기 카메라 모듈(10)로 촬영되는 부분을 커버하는 제1투명 커버체(41)가 장착된다. 또한, 상기 카메라 케이싱부재(30)의 전면에는 상기 개방부(33)에서 상기 발광체(20)에서 빛이 방출되는 부분을 커버하는 제2투명 커버체(42)가 장착된다. 상기 제2투명 커버체(42)는 상기 제1투명 커버체(41)와 별개로 제조된 것으로 상기 제1투명 커버체(41)와 상기 제2투명 커버체(42)는 서로 분리되어 상기 카메라 모듈(10)의 전면과, 상기 발광체(20)의 전면을 각각 커버한다.
즉, 상기 투명 커버부재(40)는 상기 제1투명 커버체(41)와 상기 제2투명 커버체(42)를 포함한다. 상기 제1투명 커버체(41)는 상기 개방부(33)에서 상기 카메라 모듈(10)의 전면을 커버하고, 상기 제2투명 커버체(42)는 상기 개방부(33)에서 발광체(20)의 전면을 커버한다.
상기 제1투명 커버체(41)와 상기 제2투명 커버체(42)는 투명 재질의 유리인 것을 일 예로 하고, 아크릴 수지 등의 투명 또는 반투명 수지로 제조될 수 있고, 투광성이 좋은 투명한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카메라 케이싱부재(30)의 전면에는, 상기 카메라 모듈(10)의 전면을 개방하는 촬영용 개방부(33a)가 구비된 촬영부(31)가 전면에 돌출되게 구비된다.
상기 카메라 케이싱부재(30)의 전면에는 상기 카메라 모듈(10)의 전면을 개방하는 촬영용 개방부(33a)가 구비된 촬영부(31)와 상기 발광체(20)의 전면을 개방하는 조명용 개방부(33b)가 구비된다. 상기 촬영부(31)와 상기 발광부(32)는 서로 높이 차이를 가지도록 상기 카메라 케이싱부재(30)의 전면에 구비된다.
상기 발광부(32)는 상기 촬영부(31)의 양 측에 배치되고, 상기 촬영부(31)는 상기 카메라 케이싱부재(30)에서 전면방향으로 상기 발광부(32)보다 더 돌출된다.
상기 카메라 케이싱부재(30)에서 상기 촬영부(31)는 중앙부에 배치되고, 상기 발광부(32)는 상기 촬영부(31)의 양 측에 배치된다. 이는, 상기에 기재한 바와 같이 상기 카메라 모듈(10)의 양 측에 상기 발광체(20)가 배치되는 이유로, 상기 카메라 모듈(10)(10) 및 상기 발광체(20)의 위치에 의한 것이다.
상기 제1투명 커버체(41)는 상기 촬영부(31)에 장착되어 상기 촬영용 개방부(33a)를 커버한다. 상기 제2투명 커버체(42)는 상기 발광부(32)에 장착되어 상기 조명용 개방부(33b)를 커버한다.
상기 투명 커버부재(40) 즉, 상기 제1투명 커버체(41)와 상기 제2투명 커버체(42)는 상기 카메라 케이싱부재(30)의 전면에 접착되어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투명 커버부재(40)는 상기 카메라 케이싱부재(30)의 전면에 접착제로 접착시켜 장착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양면 테이프(60)를 사용하여 상기 카메라 케이싱부재(30)의 전면에 접착된다.
상기 투명 커버부재(40)를 볼트와 같은 체결구로 체결하여 상기 카메라 케이싱부재(30)의 전면에 장착될 수 있으나, 상기한 체결구로 체결되는 경우 상기 카메라 케이싱부재(30)의 내부를 밀폐시키기 어려워 상기 카메라 케이싱부재(30)의 내부로 수분이 침투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볼트와 너트 등의 체결구가 사용되므로, 상기 체결구를 사용하기 위한 공간이 확보되어야 하므로 그 크기가 접착제 또는 양면 테이프(60)를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해 상대적으로 크기가 크게 설계된다.
상기 투명 커버부재(40)는 상기 카메라 케이싱부재(30)의 전면에 접착제 또는 양면 테이프(60)에 의해 접착되어 장착되므로 상기 카메라 케이싱부재(30)의 방수성을 향상시키고, 상기 카메라 케이싱부재(30)의 크기를 더 소형화하여 설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명 커버부재(40)는 상기 카메라 케이싱부재(30)의 전면에 접착제 또는 양면 테이프(60)에 의해 접착되어 장착되므로 상기 투명 커버부재(40)의 장착 시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하고, 제조 시 공정을 단순화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킨다.
도 4 및 도 1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후방 카메라는, 상기 카메라 모듈(10)의 전면을 커버하는 제1투명 커버체(41)와 상기 발광체(20)의 전면을 커버하는 제2투명 커버체(42)가 상기 카메라 케이싱부재(30)의 전면에 분리되어 장착됨으로써 상기 발광체(20)에서 발광된 빛이 상기 제2투명 커버체(42)에 의해 반사되어 상기 제1투명 커버체(41)를 통해 상기 카메라 모듈(10)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된다.
또한, 상기 제1투명 커버체(41)와 상기 제2투명 커버체(42)는 상기 카메라 케이싱부재(30)의 전면 방향에서 서로 높이 차이를 가짐으로 상기 발광체(20)에서 발광된 빛이 상기 제2투명 커버체(42)에 의해 반사되어 상기 제1투명 커버체(41)를 통해 상기 카메라 모듈(10)로 유입되는 것이 완전히 차단된다.
반면에,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카메라 케이싱부재(30)의 전면을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진 투명 커버부재(40)로 상기 카메라 모듈(10)의 전면과 상기 발광체(20)의 전면을 모두 커버하는 경우 상기 적외선 조명용 엘이디(21)에서 외부로 방출되는 빛이 상기 투명 커버부재(40)를 통과할 때 상기 투명 커버부재(40)에 반사된 빛의 일부가 상기 카메라 모듈(10)로 촬영된 영상과 함께 렌즈로 투영되어 난반사가 심하게 발생하였다.
따라서, 상기 후방 카메라(1)는 야간 촬영 시 발생하는 난반사로 인해 영상이 얼룩져 보이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선명한 화질을 제공하지 못하게 된다.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양면 테이프(60)는, 아크릴 발포 기재부(61);
상기 아크릴 발포 기재부(61)의 일면에 배치되는 제1아크릴 접착층(62); 및
상기 아크릴 발포 기재부(61)의 타면에 배치되는 제2아크릴 접착층(63)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양면 테이프(60)는 바람직하게는 0.2mm 내지 1mm 의 두께를 가지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3mm ~ 0.5mm 의 두께를 가진다.
이와 같은 양면 테이프의 성분은 다음과 같다.
- 50 중량% 내지 70 중량%의 압력 반응 접착 아크릴레이트 중합체
- 10 중량% 내지 30 중량%의 아크릴레이트 삼원 공중합체
- 0.5 중량% 내지 2% 중량%의 카본
- 20 중량% 내지 30% 중량%의 첨가제
상기 압력 반응 접착 아크릴레이트 중합체는 6-methylheptyl prop-2-enoate; prop-2-enoic acid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아크릴레이트 삼원 공중합체는 butyl prop-2-enoate, ethenyl acetate, 2-ethylhexyl prop-2-enoate, prop-2-enoic acid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첨가제는 폴리에틸렌 및 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양면 테이프(60)는 상기 아크릴 발포 기재부(61)의 양면에 제1아크릴 접착층(62)과 제2아크릴 접착층(63)이 구비되어 상기 투명 커버부재(40)를 상기 카메라 케이싱부재(30)의 전면에 각각 접착시켜 장착한다.
더 상세하게는, 상기 제1투명 커버체(41)는 상기 촬영부(31)의 전면에 상기 양면 테이프(60)로 접착되어 장착되고, 상기 제2투명 커버체(42)는 상기 발광부(32)의 전면에 상기 양면 테이프(60)로 접착되어 장착된다.
상기 양면 테이프(60)는 상기 아크릴 발포 기재부(61)를 사용하여 양면에 접착층을 구비한 테이프로, 내후성이 탁월하며, 진동 및 충격에 강해 상기 투명 커버부재(40)를 상기 카메라 케이싱부재(30)의 전면에 견고하게 장착시키며, 자동차의 주행 중 발생하는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접착력이 저하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상기 투명 커버부재(40)를 장착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실시예]
하기의 조성을 갖는 본 발명의 양면 테이프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점착력, 내열도, 전단점착력, 및 내액성을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성)
- 60 중량%의 압력 반응 접착 아크릴레이트 중합체
- 14 중량%의 아크릴레이트 삼원 공중합체
- 1 중량%의 카본
- 5 중량%의 폴리에틸렌
- 20 중량%의 셀룰로오스
(점착력)
피착재에 2kg 의 하중으로 부착한 후에, 30분 후 180도로 박리하는 경우 측정되는 힘(단위: 힘/양면테이프 폭)은 다음과 같다.
-상온: 5000gf/25mm
-고온: 5200gf/25mm
-저온: 3800gf/25mm
(내열도)
양면 테이프에 500g 의 추를 매달고, 1시간 후, 40˚C 에서 1시간 유지 후, 5분 간격으로 3˚C씩 온도가 상승할 때, 양면 테이프가 떨어질 때의 온도는 120 ˚C 이다.
(전단점착력)
양면테이프를 피착재에 부착 30분 후, 각각의 조건으로 수직방향으로 인장시 파괴 강도는 다음과 같다.
-상온: 7.4kgf/cm2
-고온: 7.5kgf/cm2
-저온: 6.4kgf/cm2
-상온에서 가솔린용액 노출후: 4.5kgf/cm2
-상온에서 왁스용액 노출후: 5.2kgf/cm2
-상온에서 염수액 노출후: 4.7kgf/cm2
위의 실험결과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양면 테이프(60)는 내후성이 탁월하며, 진동 및 충격에 강해 상기 투명 커버부재(40)를 상기 카메라 케이싱부재(30)의 전면에 견고하게 장착시키며, 자동차의 주행 중 발생하는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접착력이 저하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상기 투명 커버부재(40)를 장착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양면 테이프(60)를 사용함으로써, 단단한 이물질에 의하여 투명 커버부재(40)가 파손되더라도, 간단한 작업으로 투명 커버부재를 교체할 수 있다.
도 12은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10)을 덮는 제1투명 커버체(41)의 접합 구조에 있어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투명 커버체(41)는 본 발명의 목적에 맞는 특수한 재질의 양면 테이프(60)에 의하여 카메라 케이싱부재(30)의 내부 구조물에 고정이 된다. 이와 같은 고정에 있어서, 부착상의 용이성을 도모하고, 부착 후 기포 및 이물질 등이 제1투명 커버체(41)를 통하여 표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투명 커버체(41)의 양면 테이프(60)측 일면에는 잉크층(64)이 형성된다.
또한, 제1투명 커버체(41) 및 양면 테이프(60)의 가장자리에는 방수형 접착 도포액(65)이 도포됨으로써 제조 과정의 용이성을 도모하면서, 방수성 및 접착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도 7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카메라 케이싱부재(30)는 서로 다른 형상으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도 7은 상기 촬영부(31)의 양측에 상기 발광부(32)가 구비되고, 상기 발광부(32)가 전면 측에서 외측으로 휘어지게 형성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8은 상기 촬영부(31)의 양측에 상기 발광부(32)가 구비되고, 상기 발광부(32)가 상기 카메라 케이싱부재(30)의 양 측면에서 전면 측으로 돌출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9는 상기 촬영부(31)의 양측에 상기 발광부(32)가 구비되고, 상기 발광부(32)가 전면 측에서 내측으로 휘어지게 형성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0은 상기 촬영부(31)의 양측에 상기 발광부(32)가 구비되고, 상기 발광부(32)가 상기 카메라 케이싱부재(30)의 양 측면에서 후면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야간에 선명한 화질을 제공하며, 저조도 야간 주행 시 화질을 향상시켜 야간 운전 시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킨다.
본 발명은 방수성이 향상되고, 제조 비용을 절감하며, 조립이 간단하고, 보다 콤팩트한 설계가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구성에 포함됨을 밝혀둔다.
10 : 카메라 모듈 11 : 카메라 렌즈부
12 : 카메라 기판부 20 : 발광체
20a : 램프 기판부 21 : 적외선 조명용 엘이디
22 : 일반 조명용 엘이디 30 : 카메라 케이싱부재
30a : 전면 케이싱부 30b : 후면 케이싱부
31 : 촬영부 32 : 발광부
33 : 개방부 33a : 촬영용 개방부
33b : 조명용 개방부 34 : 케이블 관통 구멍
40 : 투명 커버부재 41 : 제1투명 커버체
42 : 제2투명 커버체 50 : 히터
51 : 세라믹 히터 60 : 양면 테이프
61 : 아크릴 발포 기재부 62 : 제1아크릴 접착층
63 : 제2아크릴 접착층

Claims (10)

  1.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
    전기 전원을 공급받아 빛을 발광하는 발광체;
    상기 카메라 모듈과 상기 발광체가 내부에 장착되며, 상기 카메라 모듈로 영상을 촬영하게 하고, 상기 발광체에서 발생된 빛을 방출하도록 개방된 개방부가 전면에 형성된 카메라 케이싱부재; 및
    상기 카메라 케이싱부재의 전면에 장착되어 상기 개방부를 커버하는 투명 커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투명 커버부재는 상기 카메라 케이싱부재의 전면에 양면 테이프에 의하여 접착되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카메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케이싱부재는,
    상기 카메라 모듈의 전면을 개방하는 촬영용 개방부가 구비된 촬영부; 및
    상기 발광체의 전면을 개방하는 조명용 개방부가 구비된 발광부를 구비하며,
    상기 투명 커버부재는,
    상기 촬영부의 전면에 장착되어 상기 촬영용 개방부를 커버하는 제1투명 커버체; 및
    상기 발광부의 전면에 장착되어 상기 조명용 개방부를 커버하는 제2투명 커버체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카메라.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양면 테이프는,
    아크릴 발포 기재부;
    상기 아크릴 발포 기재부의 일면에 배치되는 제1아크릴 접착층; 및
    상기 아크릴 발포 기재부의 타면에 배치되는 제2아크릴 접착층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카메라.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양면 테이프는,
    50 중량% 내지 70 중량%의 압력 반응 접착 아크릴레이트 중합체;
    10 중량% 내지 30 중량%의 아크릴레이트 삼원 공중합체;
    0.5 중량% 내지 2 중량%의 카본; 및
    20 중량% 내지 30 중량%의 첨가제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카메라.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폴리에틸렌 및 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카메라.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와 상기 발광부는 높이 차이를 가지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카메라.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가 상기 카메라 케이싱부재의 전면에 돌출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카메라.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발광체는, 적외선 조명용 엘이디(IR LED)와 일반 조명용 엘이디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카메라.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일반 조명용 엘이디는 화이트 엘이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카메라.
  10.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케이싱부재의 내부에는 전기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하는 히터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카메라.
KR1020130149513A 2013-12-03 2013-12-03 자동차용 후방 카메라 KR2015006461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9513A KR20150064612A (ko) 2013-12-03 2013-12-03 자동차용 후방 카메라
PCT/KR2014/011730 WO2015084037A1 (ko) 2013-12-03 2014-12-02 자동차용 후방 카메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9513A KR20150064612A (ko) 2013-12-03 2013-12-03 자동차용 후방 카메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4612A true KR20150064612A (ko) 2015-06-11

Family

ID=53503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9513A KR20150064612A (ko) 2013-12-03 2013-12-03 자동차용 후방 카메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6461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5508A (ko) * 2018-03-05 2019-09-17 식아게 카메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5508A (ko) * 2018-03-05 2019-09-17 식아게 카메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04576B2 (en) Vehicle vision system with camera and mirror mount
JP6880269B2 (ja) 車輌用撮像装置、車輌用灯具及び電子制御ユニット
US11631332B2 (en) Vehicular exterior rearview mirror assembly with blind zone indicator
US20220189310A1 (en) Exterior mirror assembly with blind zone indication module
US11312305B2 (en) Combined approach lamp and logo lamp
US7609961B2 (en) Vehicle camera
US10668868B2 (en) Slider window assembly with integrated camera
US9796333B2 (en) Sealed mirror head
US20050046696A1 (en) Vehicle camera and light in a common housing
KR20150065169A (ko) 자동차용 후방 카메라
JP2011184030A (ja) カメラを内蔵した車両用灯具
US8033698B2 (en) Indicator display assembly for a vehicle rearview mirror
US8669852B2 (en) Acoustic backup alarm for providing acoustic and dual technology (acoustical and optical) operation
US20200189451A1 (en) Puddle lamp with static and dynamic image projection
JP2009012751A (ja) 自動車の視覚支援モジュール
JP7042465B2 (ja) 光源ユニット、及び移動体
US10364971B2 (en) Light system
KR20150064612A (ko) 자동차용 후방 카메라
KR200455913Y1 (ko) 조명등이 구비된 주차면 멀티카메라
JP2014193696A (ja) 車両用周辺視界確認装置
CN205344752U (zh) 一种车载摄像头四灯头外壳
JP7316630B2 (ja) 車載装置
KR20170142286A (ko) 자동차용 전방향 감시카메라
KR200293764Y1 (ko) 폐쇄회로 텔레비젼용 카메라
US20080246294A1 (en) Side-view mirror with door-open ligh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