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2870A - a gabion wall - Google Patents

a gabion wal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2870A
KR20150062870A KR1020130147968A KR20130147968A KR20150062870A KR 20150062870 A KR20150062870 A KR 20150062870A KR 1020130147968 A KR1020130147968 A KR 1020130147968A KR 20130147968 A KR20130147968 A KR 20130147968A KR 20150062870 A KR20150062870 A KR 201500628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support frame
gabion
slot
st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796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10816B1 (en
Inventor
최현정
Original Assignee
최현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현정 filed Critical 최현정
Priority to KR10201301479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0816B1/en
Publication of KR20150062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287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08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081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abion wall which fixates a gabion composed by storing a filling material such as stone, gravel, or the like therein on an outer side to be installed and, more specifically, to an assembly gabion wall using a gabion. A plurality of support frame is fixedly installed in an outer side of a building wall member or a concrete structure. An insertion groove is formed at a consistent distance to a vertical direction to the ground in the support frame. A gabion wherein a filling material is stored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for an outer wall to be formed. Thus, a wall member in the outside or a concrete structure, and a frame supporting the same are prevented from being intactly exposed. Moreover, harmony with nature is realized as well as providing beauty to more improve utilization.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fully applied to a steel-frame structure or the like without having a concrete structure to be helpfully utilized in wall construction of a building.

Description

돌망태를 이용한 조립식 개비온벽체{a gabion wall}A gabion wall using a gabion

본 발명은 돌이나 자갈 등의 채움재를 그 내부에 수납하여 구성되는 돌망태를 외부측에 고정하여 설치하는 개비온(gabion)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 벽체부재나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측에 다수 개의 지지프레임을 설치 고정하되 상기 지지프레임에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의 끼움부를 형성하고 상기 끼움부에 채움재가 수납되는 돌망태를 삽설하여 외벽이 형성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외부에 벽체부재나 콘크리트 구조물 및 이를 지지하는 프레임이 그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미려함을 제공함은 물론 자연과의 조화를 이루도록 하여 그 활용성을 한층 높여줄 수 있도록 하는 돌망태를 이용한 조립식 개비온벽체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abion wall for installing a gabion constructed by housing a filler such as stone or gravel inside the gabion wall, The support frame is installed and fixed, the support frame is formed with a fitting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gap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aper surface, and a gauze in which the filler is received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frame to form an outer wal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gabion wall using a gabion that can provide a beautiful appearance while preventing a frame supporting the gabbro from being exposed as it is and, in addition, enhancing its usability in harmony with nature.

일반적으로 하천이나 경사도로 등에는 하천개량이나 토목공사 등을 통해 옹벽이나 호안블럭과 같은 콘크리트 구조물이 설치된다.Generally, concrete structures such as retaining walls and shore blocks are installed on rivers and slopes through river improvement or civil works.

이와 같은 옹벽(Retaining Wall)은, 콘크리트 구조물로서 토압에 저항하여 흙이 무너지지 않도록 예방하는 벽체 구조물을 가리킨다. 이는 벽 자체의 무게와 바닥면의 마찰력 등을 이용하여 안정을 유지하는 항토압 구조물이며, 벽에 작용하는 토압과 그 흙 위에 실린 하중, 지지력, 지반의 지지력 등을 조건으로 하여 구조부재의 안전성과 벽 전체가 쓰러지거나 미끄러지는 것에 대한 안정성이 확보되도록 설계된다.Such a retaining wall is a concrete structure, which is a wall structure that prevents earth from falling down by resisting earth pressure. This is an anti-earth pressure structure that maintains stability by using the weight of the wall itself and the frictional force of the bottom surface. It is a safety and stability measure of the structural member under conditions of the earth pressure acting on the wall, the load on the earth, bearing capacity, It is designed to ensure stability against collapsing or sliding of the whole wall.

또한 호안블럭은, 콘크리트 구조물로서 하안(河岸)·해안(海岸)·둑을 보호해서 유수에 의한 물가선의 침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 비탈면에 시설하는 구조물을 가리킨다.In addition, a block of a revetment is a concrete structure, which means a structure provided on the slope in order to protect the river (river), the coast, and the dam to prevent the erosion of the water line by the water.

상기 옹벽 및 호안블럭 등을 구성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은 시멘트를 이용하여 제작하게 되는데, 이러한 시멘트에는 라돈, 암모니아, 포름알데히드 등의 독성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콘크리트 구조물의 노출면을 통해 상기의 독성 성분들이 유출되며, 이로 인해 환경오염을 유발시키고 자연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The concrete structure constituting the retaining wall, the revetment block, and the like is manufactured by using cement. The cement contains poisonous components such as radon, ammonia, and formaldehyde, so that the toxic components are leaked through the exposed surface of the concrete structure Which causes environmental pollution and adversely affects the natural ecosystem.

따라서, 도로변 또는 하천변에 콘크리트 구조물을 축조함에 있어서, 최근에는 친환경적인 공법으로 돌망태 공법 즉, 개비온(Gabion, 돌망태 또는 철망태라고도 함) 공법이 많이 적용되고 있다.Therefore, in constructing a concrete structure on a road side or a river side, recently, a gabion method (Gabion, gabion or wire netting) method has been widely applied as an environmentally friendly method.

또한, 고층빌딩이 주를 이루는 현대 건축물에서는 외장마감재로 하이테크의 상징을 위한 유리, 석재, 금속패널 등의 커튼월 외장재가 사용되고 있고, 저층빌딩 및 주거건축물에서는 외장 마감재로 경제성을 위한 도장재 및 타일 등이 사용되어 왔다. Also, curtain wall exterior materials such as glass, stone, and metal panel are used for the symbol of high-tech as exterior finishing materials in modern buildings where high-rise buildings are mainly composed. In the low-rise buildings and residential buildings, exterior finishing materials are used for cost- Has been used.

그러나 이러한 외장 마감재들만으로는 다양한 건축물의 설계목적을 만족시키지 못하였으며, 특히 기능적인 공간보다는 예술적인 공간에 해당하는 미술관, 공연장 등에는 공간특성을 살리지 못하였다. However, these exterior finishes alone did not satisfy the design purpose of various buildings. Especially, they did not utilize spatial characteristics in art museums and theaters.

따라서 종래의 건축물 외장 마감재로 하여 채움석재가 채워진 돌망태를 채택하여 활용하게 되었다. Therefore, it has been used as the exterior finish of the existing building by adopting the gab with the filled stone.

이와 같이 종래의 돌망태는 도로변 또는 하천변에 축조된 콘크리트 벽체 또는 옹벽 등의 외벽체나 일반 건축물의 외장 마감재 등으로 설치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nventional gabion is widely used because it is installed on an exterior wall body such as a concrete wall or a retaining wall built on a road side or a river side, or an exterior finish material of a general building.

상기와 같은 종래의 돌망태 구조는 철망을 이용하여 제작한 격자형 개비온(gabion)에 소정 크기의 채움용 석재를 채우고, 이러한 채움용 석재가 채워진 상기 개비온을 경사면에 계단식 또는 수직하게 축조하여 옹벽을 형성하게 된다.In the conventional gabion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a grating stone of a predetermined size is filled in a grid-shaped gabion fabricated by using a wire mesh, and the garniture which is filled with the stone for filling is formed stepwise or vertically on the slope surface to form a retaining wall .

그런데, 이와 같이 다수개의 개비온을 적재하여 소정 높이의 옹벽을 축조하는 경우 토압을 견딜 수 있을 정도의 두께를 갖도록 설치하게 되는데, 설치 높이가 높은 경우, 높이에 따라 하부에 발생되는 토압 및 자체하중으로 인해 하부에 설치되는 개비온의 두께도 두꺼워져야만 하므로 경제적이지 못하다.However, when the retaining wall of a predetermined height is built by stacking a plurality of openings in such a manner, it is installed to have a thickness enough to withstand the earth pressure. When the installation height is high, the earth pressure and self- So that the thickness of the garbons installed at the lower portion must be increased, which is not economical.

또한 종래의 건축물 외장 마감재로 쓰이는 돌망태 구조는 등록특허 제10-0656092호의 '건축물 외장용 돌망태 설치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Also, a conventional gabion structure used as an exterior finishing material for a building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0-0656092, entitled " Structure for external installation of a gabion structure ".

종래의 상기 '건축물 외장용 돌망태 설치 구조'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he conventional 'above-mentioned gable installation structure for building exterior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건축물 외장용 돌망태 설치구조는 콘크리트 벽체의 외장마감을 위한 건축물 외벽구조에서, 콘크리트 외벽체; 상기 콘크리트 외벽체의 외장마감재로 고정·설치되는 것으로, 다수개의 환봉을 소정의 간격으로 배열하여 제작된 망태기와 상기 망태기 내에 채워지는 채움재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돌망태; 및, 상기 돌망태를 콘크리트 외벽체에 고정시키는 고정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structure of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for the exterior finishing of the concrete wall is composed of the concrete outer wall body; A gauze formed to be fixed and installed with an exterior finish material of the concrete outer wall body, the gauze being formed by arranging a plurality of round rods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a filler filled in the gauze; And a fixing device for fixing the gauze to the concrete outer wall body.

상기와 같은 종래의 건축물 외장용 돌망태 설치구조에 따르면, 통상 건축물 외장재로 채택하기 곤란한 망태기 내에 쇄석이 채워진 돌망태를 새롭게 외장재료로 선택하여 콘크리트 외벽체에 안정적으로 고정·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건축물 설계자의 설계의도가 반영되고 건축물의 요구특성이 투영된 건축물의 외관을 구성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structure for installing a ceiling structure for building exterior, it is possible to stably install and fix a gabion filled with crushed stone in a mortar, which is difficult to adopt as a building exterior material, as a new exterior material. This reflects the design intent of the building designer and makes it possible to construct the appearance of the building in which the required characteristics of the building are projected.

KR 10-0656092 (등록번호) 2006.12.05.KR 10-0656092 (registration number) 2006.12.05. KR 20-0438636 (등록번호) 2008.02.19.KR 20-0438636 (registration number) 2008.02.19. KR 10-0744635 (등록번호) 2007.07.31.KR 10-0744635 (registration number) 2007.07.31.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돌망태 또는 철망태 구조는 돌망태를 건축물의 벽체부재의 외부면이나 콘크리트 외벽체에 고정시키는 고정장치 등을 설치하게 됨으로써 설치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설치 공정이 복잡하다는 문제가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gab or wire net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is disadvantageous in that installation cost is high and the installation process is complicated because a gait is fixed to an outer surface of a wall member of a building or a concrete outer wall body.

또한, 돌망태 또는 철망태의 두께가 두껍게 되어야 하기 때문에 수납되는 채움재가 많이 들어 고비용이 요구된다.In addition, since the thickness of the gabardia or the wire netting is required to be thick, a large amount of filler materials are required to be stored, and high cost is required.

또한, 종래의 돌망태 또는 철망태를 콘크리트 구조물의 지지프레임에 설치 고정하는 작업은 그 무게가 무겁고 작업시간이 많이 들기 때문에 여건상 현장에서 작업하기가 매우 어렵다고 하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work of fixing a gab or a wire mesh to a support frame of a concrete structure has a drawback in that it is very difficult to work on the ground because of its heavy weight and heavy work time.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상부면과 하부면,좌측면,우측면 및 전면망체부가 소정크기의 망목형상을 갖는 망체로 되어 그 내부에 돌이나 자갈 등의 채움용 석재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돌망태와, 건축물 벽체부재나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측에 상기 돌망태가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가 설치 구비되는 지지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에 일정한 간격으로 수직하게 다수개의 삽설홈을 구비하여 채움재가 수납되는 상기 돌망태를 끼워 벽체부재 또는 콘크리트의 외부측으로 부가적인 외벽이 구성됨으로써, 이를 지지하는 프레임이 그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미려함을 제공함은 물론 자연과의 조화를 이루도록 하여 그 활용성을 한층 높여줄 수 있도록 하는 돌망태를 이용한 조립식 개비온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 gauze having a top, a bottom, a left side, a right side, and a front net body as mesh bodies having a mesh-like shape of a predetermined size and allowing the filling stone such as stone or gravel to be received therein, And a plurality of support frames install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so that the gabbass can be fixed to the outside of the structure. The support fram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vertical grooves at regular intervals to sandwich the gaboid, Since the outer wall of the wall member or the outer side of the concrete is formed as an additional outer wall, the frame supporting the frame is prevented from being exposed as it is, and also the gauges are provided so as to enhance the usability by harmonizing with natur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efabricated garbage wall.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채움재가 수용된 철망태를 사전에 소정크기로 분할 제작하여 작업현장에 구비되는 벽체부재의 크기에 따라 조립식으로 간단하게 철골 지지프레임에 삽설하여 설치 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시간을 최대한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teel wire netting structure by dividing a wire netting containing a filler material into predetermined sizes and inserting the steel wire netting into a steel frame supporting frame according to the size of a wall member provided at a work site, So that it can be shortened as much as possible.

상기 목적을 달성시키기 위한 본 발명은 채움재가 수납된 돌망태를 철골 구조물에 설치하여 벽체를 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립식 개비온벽체에 있어서,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refabricated garniture-type wall for providing a wall structure by installing a gab with a filler in a steel structure,

작업 경사면의 전방부에 구비되어 경사면의 붕괴를 방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콘크리트 구조물 또는 건축물의 벽체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벽체부재와, 상부면과 하부면, 좌측면, 우측면 및 전후면 망체부가 소정크기의 망목형상을 갖는 망체로 되어 그 내부에 채움재가 수납되어 이루어지는 돌망태, 및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 또는 상기 벽체부재의 전면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 고정되는 철골 지지프레임으로 구성되되,A wall member provided at a front portion of the working slope so as to form a concrete structure or a wall of a building installed so as to prevent collapse of an inclined surface and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a left surface, a right surface, A mesh structure having a net shape of a predetermined size and having a filler inside thereof and a steel frame supporting frame which is installed and fix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oncrete structure or the wall member,

상기 철골 지지프레임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슬롯이 다층으로 구비되고, 상기 돌망태의 후면부에는 상기 지지프레임이 삽설되는 요홈이 형성되며, 상기 요홈에는 상기 슬롯에 끼워지는 설치로드가 구비되어, 상기 설치로드를 상기 슬롯에 삽설하여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측으로 상기 돌망태의 벽체가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Wherein the support fram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lot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and a rear surface of the gaboid is provided with a groove into which the support frame is inserted, wherein the groove has an installation rod fitted in the slot, And a wall of the gabion is installed outside the concrete structure by inserting the wall of the gabion into the slot.

본 발명에 따른 돌망태를 이용한 조립식 개비온벽체는 건축물의 벽체부재나 콘크리트 구조물이 그대로 노출되어 그 노출면으로부터 방출되는 유해성분을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prefabricated gabion wall using the gab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that the wall member or the concrete structure of the building is directly exposed and the harmful components emitted from the exposed surface are effectively blocked.

또한 본 발명은 외부에 콘크리트 구조물과 이를 지지하는 프레임이 그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미려함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자연과의 조화를 이루도록 하는 자연미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 그 활용성을 한층 높여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concrete structure and the frame supporting the concrete from being directly exposed to the outside, so tha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natural beauty that can harmonize with the natural environment, There are advantages to be able to.

또한, 본 발명은 채움용 석재가 수용된 돌망태를 사전에 소정크기로 분할 제작하여 벽체부재나 콘크리트 등의 크기에 따라 조립식으로 용이하게 설치 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시간을 최대한 단축시킬 수 있어 경제성이 획기적으로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gabion containing a filling stone can be divided and manufactured in advance to a predetermined size, and can be easily installed and fixed according to the size of a wall member or concrete, thereby shortening the working time as much as possible, Can be obtained.

또한 본 발명은 콘크리트의 구조물이 없는 철골구조물 등에도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어 건축물의 벽체시공에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steel structure having no concrete structure, which is advantageous in that it can be very usefully applied to a wall construction of a building.

또한 본 발명의 돌망태는 그 두께가 얇아지는 장점이 있어 공장 등에서 돌망태안에 돌을 채워서 출하하는 것이 가능하고, 현장에서 돌이 들어있는 돌망태를 인력으로 들어 올리는 것이 가능할 정도의 무게가 가능하여 현장에서 발생하는 높은 설치비를 배제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또한, 현장에서 용접이 필요하지 않아 화재위험을 예방할 수 있으면서 단순히 홈에 끼워넣기만 하면 되므로 초보자도 시공이 가능한 경제적인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gab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that its thickness is thin, it is possible to ship the gab in the factory by filling the gab with the stone, and it is possible to weigh enough to lift the gab with the stone at the site by manpower.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exclude high installation cost, and it is economically advantageous for a novice to construct becaus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isk of fire due to the fact that welding is not required in the field, and it is simply inserted into the groov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돌망태를 이용한 조립식 개비온벽체가 설치된 사시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돌망태를 이용한 조립식 개비온벽체에서 일부 돌망태가 분리된 사시상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돌망태를 이용한 조립식 개비온벽체의 평면도와 개략적인 상태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돌망태를 이용한 조립식 개비온벽체가 설치된 사시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돌망태를 이용한 조립식 개비온벽체에서 일부 돌망태가 분리된 사시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돌망태를 이용한 조립식 개비온벽체에 대한 평면도와 개략적인 상태단면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gable-like wall constructed using a ga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a gabion separated from an assembled garnish wall using a gab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lan view and a schematic sectional view of the prefabricated gabion wall using the gab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gypsum wall constructed using a ga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a gabion separated from an assembled gypsum wall using a gab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lan view and schematic state sectional view of a prefabricated garniture wall using a gab of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돌망태를 이용한 조립식 개비온벽체(1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The gypsum wall 100 using the gauz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작업 경사면의 전방부에 구비되어 경사면의 붕괴를 방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콘크리트 구조물(110) 또는 건축물의 벽체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벽체부재(111)와, A concrete structure 110 provided at a front portion of the operation slope to prevent collapse of an inclined surface or a wall member 111 for forming a wall of a building,

상부면과 하부면, 좌측면, 우측면 및 전후면 망체부가 소정크기의 망목(이하 와이어메쉬, wire mash, 그물이라고도 함)형상을 갖는 망체로 되어 그 내부에 돌이나 자갈 등의 채움용 석재(S, 이하 채움재라 함)가 수납되어 이루어지는 돌망태(120)와,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the left surface, the right surface, and the front and rear surface net portions are mesh bodies having a predetermined mesh siz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wire mesh, also referred to as a net) and are filled with stones such as stones or gravel S,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iller)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10)또는 상기 벽체부재(111)의 전면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 고정되는 철골 지지프레임(130, 각관이라고도 함)으로 구성되되,A steel supporting frame 130 (also referred to as a square pipe) installed and fix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oncrete structure 110 or the wall member 111,

상기 철골 지지프레임(130)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슬롯(131)이 다층으로 구비되고, 상기 돌망태(120)의 후면부에는 상기 지지프레임(130)이 삽설되는 요홈(121)이 형성되며, 상기 요홈(121)에는 상기 슬롯(131)에 끼워지는 설치로드(122)가 구비되어,A plurality of slots 131 are formed in the steel support frame 13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and a groove 121 in which the support frame 130 is inserted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gab 120, (121) is provided with an installation rod (122) fitted in the slot (131)

상기 설치로드(122)를 상기 슬롯(131)에 삽설하여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10)의 외측으로 상기 돌망태(120)가 설치 고정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The gantry 120 is installed and fixed to the outside of the concrete structure 110 by inserting the installation rod 122 into the slot 131.

그리고 상기 슬롯(131)은 상기 철골 지지프레임(130)의 전면에서 후면으로 갈수록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게 된다.
The slot 131 is inclined downward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steel support frame 130 toward the rear surface.

또한 상기 돌망태(120)는 환봉이나 굵은 철사(wire)와 같은 로드(rod)를 이용하여 다수개의 가로로드(123)와 세로로드(124)를 통해 격자 형상으로 설치되어 메쉬형상의 망체로 구성되면서 소정 크기로 분할되어 제작되게 된다.The gab 120 may include a plurality of horizontal rods 123 and vertical rods 124 using a rod such as a round bar or a thick wire to form a mesh net It is divided into a predetermined size.

그리고 상기 돌망태(120)의 상부면은 그 내부로 채움재를 수납할 수 있도록 넓은 공간을 이루는 채움재출입구(125)가 형성 구비되어 있다.The upper surface of the gab (120) is provided with a filler inlet / outlet (125) having a large space for accommodating the filler therein.

따라서 상기 채움재출입구(125)를 통해 돌이나 자갈 등의 채움재를 용이하게 상기 돌망태(120)의 내부로 수납할 수가 있게 된다.
Therefore, filler such as stone or gravel can be easily stored in the gab (120) through the filling material entrance (125).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돌망태를 이용한 조립식 개비온벽체(100)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벽체를 설치하고자 하는 지면 또는 경사면 측면 등에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10) 또는 건물벽체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상기 벽체부재(111)를 설치한 다음 그 전면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상기 철골 지지프레임(130)을 장착 고정한다.1 and 2, the concrete structure 110 or the building wall can be formed on a ground surface or an inclined surface side on which a wall is to be installed, The steel frame supporting frame 130 is mounted and fix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wall member 111 at regular intervals.

그리고 상기 돌망태(120)를 상기 철골 지지프레임(130)의 하부측부터 차례로 삽설하여 주면 벽체가 완성되게 된다.The gauze 120 is sequentially inserted from the lower side of the steel support frame 130 to complete the main wall.

즉, 상기 돌망태(120)의 이면에 형성된 상기 요홈(121)에 상기 철골 지지프레임(130)을 맞추어 주면서 상기 요홈(121)에 구비된 상기 설치로드(122)를 상기 철골 지지프레임(130)에 형성된 상기 슬롯(131)에 끼워 넣게 되면, 상기 슬롯(131)이 하면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어 상기 설치로드(122)가 상기 돌망태(120)의 자중에 의해 상기 슬롯(131)의 경사면을 따라 슬립되면서 간단하게 설치 고정되게 된다.That is, the mounting rod 122 provided in the groove 121 is fitted to the steel supporting frame 130 while the steel supporting frame 130 is aligned with the groove 121 form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gab 120 The installation rod 122 is sloped along the inclined surface of the slot 131 by the weight of the gab 120 so that the slab 131 is sloped toward the lower surface, It is simply fixed and fixed.

여기서 상기 설치로드(122)는 상기 철골 지지프레임(130)에 형성된 상기 슬롯(131)의 갯수와 대응되는 수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installation rod 122 may be provided in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slots 131 formed in the steel support frame 130.

그리고 기존 제품의 시공방법을 이용할 때는 돌망태의 두께가 두꺼워 돌을 채워서 운반할 수가 없었고, 또 차량 하차나 설치 시 들어올릴 때 일일이 인력으로 하거나 장비를 이용해야 하는 단점이 있어 현장 설치비가 비싼 단점이 있었으며, 또한 기존에는 인건비가 비싼 용접공이 필요하여 설치 비용이 올라가거나 현장 안전문제(용접으로 인한 화재문제)가 생길 수 있는 단점이 있었으나,In addition, when using the existing product construction method, the thickness of the gabion was too thick to be able to be transported with stones, and there w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site installation cost was expensive because it had to be used as a manpower or equipment when lifting the vehicle In addition,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a welding worker having a high labor cost is required to raise the installation cost or a safety problem (fire problem due to welding)

본 발명의 상기 돌망태(120)의 시공방법에 있어서는, 돌망태의 두께가 얇아지는 장점이 있어 공장 등에서 돌망태안에 돌을 채워서 출하하는 것이 가능하고, 현장에서 돌이 들어있는 돌망태를 인력으로 들어 올리는 것이 가능할 정도의 무게가 가능하여 현장에서 발생하는 높은 설치비를 배제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또한, 현장에서 용접이 필요하지 않고(화재위험이 없음) 단순히 홈에 끼워넣기만 하면 되므로 초보자도 시공이 가능한 경제적인 장점이 있다.In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gabaplae 120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dvantageous that the thickness of the gabapapia is thinned, so that it is possible to ship the gabapapa in a factory or the like by filling it with stones, , It is possible to eliminate the high installation cost incurred in the field. Moreover, since welding is not required in the field (there is no risk of fire) and it is simply inserted into the groove,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conomical There are advantages.

그리고 상기 설치로드(122)가 상기 슬롯(131)에 용이하게 삽설될 수 있도록 상기 슬롯(131)의 입구측은 상기 설치로드(122)의 직경(두께)보다 크게 형성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inlet side of the slot 131 may b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installation rod 122 so that the installation rod 122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slot 131.

이와 같은 돌망태를 이용한 조립식 개비온벽체(100)는 주로 건축물 벽체 또는 조경용 벽체 등을 시공하는데 활용된다.
The prefabricated gable-on wall 100 using the gabion is mainly used for constructing a building wall or a landscape wall.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돌망태를 이용한 조립식 개비온벽체(100)는 도 3 내지 도6에 도시되어 있는바와 같이, 다른 형태의 돌망태를 이용한 조립식 개비온벽체(200)가 구성 실시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3 to 6, the prefabricated gabion wall 100 using the gab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ed as above can be constructed as a prefabricated gabion wall 200 using another type of gabion.

상부면과 하부면, 좌측면, 우측면 및 전후면 망체부가 소정크기의 망목형상을 갖는 망체로 되어 그 내부에 채움재(S)가 수납되어 이루어지는 돌망태(210)와, A gab (210) having a top surface, a bottom surface, a left surface, a right surface, and front and rear surface net portions formed into a net having a mesh shape of a predetermined size and containing a filler (S)

지표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세워서 설치 고정되는 철골 지지프레임(220)으로 구성되되,And a steel support frame (220) installed and fix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ground surface,

상기 철골 지지프레임(220)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전면과 후면에 각각 슬롯(221)이 다층으로 구비되고, 상기 돌망태(210)의 후면부에는 상기 철골 지지프레임(220)이 삽설되는 요홈(211)이 형성되며, 상기 요홈(211)에는 상기 슬롯(221)에 끼워지는 설치로드(212)가 구비되어,A plurality of slots 221 are formed on the front and back surfaces of the steel support frame 22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and grooves 211 in which the steel support frame 220 is inserted are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gauze 210, And an installation rod 212 fitted in the slot 221 is formed in the groove 211,

상기 설치로드(212)를 상기 슬롯(221)에 삽설하여 상기 철골 지지프레임(220)의 전방과 후방의 외측으로 상기 돌망태(210)가 설치 고정되면서 지표면상에 자립형태의 벽체가 세워지는 구조로 되어 있다.The installation rod 212 is installed in the slot 221 and the gabbing 210 is installed and fixed to the outside of the front and rear of the steel support frame 220 so that the self- .

그리고 상기 슬롯(221)은 상기 철골 지지프레임(220)의 전면과 후면의 양측면에서 각각 그 중앙부측으로 갈수록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게 된다.The slots 221 are sloped downward toward the center of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steel support frame 220, respectively.

또한 상기 돌망태(210)는 환봉이나 굵은 철사(wire)와 같은 로드(rod)를 이용하여 다수개의 가로로드(213)와 세로로드(214)를 통해 격자 형상으로 설치되어 메쉬형상의 망체로 구성되면서 소정 크기로 분할되어 제작되게 된다.The gabbing 2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horizontal rods 213 and a plurality of vertical rods 214 using a rod such as a round wire or a thick wire and may be installed in a lattice shape to form a mesh- It is divided into a predetermined size.

그리고 상기 돌망태(210)의 상부면은 그 내부로 채움재를 수납할 수 있도록 넓은 공간을 이루는 채움재출입구(215)가 형성 구비되어 있다.The upper surface of the gab (210) is provided with a filling material inlet / outlet (215) which is large enough to accommodate the filling material therein.

따라서 상기 채움재출입구(215)를 통해 돌이나 자갈 등의 채움재를 용이하게 상기 돌망태(210)의 내부로 수납할 수가 있게 된다.Therefore, the filling material such as stone or gravel can be easily stored in the gab (210) through the filling material entrance (215).

이와 같이 상기 돌망태를 이용한 조립식 개비온벽체(200)는 일반 주택의 정원이나 돌담 등을 구축할 경우 주로 사용되는 공법에 속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gabion-type wall body 200 using the gabion is a construction method that is mainly used when constructing a garden or a stone wall of a general hous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다른 형태의 실시예인 돌망태를 이용한 조립식 개비온벽체(200)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3 to 6, the prefabricated gabion wall 200 using the gabion, which is another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자라형태의 벽체를 설치하고자 하는 지표면 상에 상기 철골 지지프레임(220)을 세워 설치한다.The steel support frame 220 is installed on the ground surface on which the girder-type wall is to be installed.

그리고 상기 돌망태(210)를 상기 철골 지지프레임(220)의 양측면 하부측부터 차례로 삽설하여 주면 지표면상에 자립형태의 벽체가 완성되게 된다.The gaboids 210 are sequentially inserted from the lower side of both sides of the steel support frame 220 to complete the self-supporting wall on the ground surface.

즉, 상기 돌망태(210)의 이면에 형성된 상기 요홈(211)에 상기 철골 지지프레임(220)을 맞추어 주면서 상기 요홈(211)에 구비된 상기 설치로드(212)를 상기 철골 지지프레임(220)에 형성된 상기 슬롯(221)에 끼워 넣게 되면, 상기 슬롯(221)이 하면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어 상기 설치로드(212)가 상기 돌망태(210)의 자중에 의해 상기 슬롯(221)의 경사면을 따라 슬립되면서 간단하게 설치 고정되게 된다.That is, the installation rod 212 provided in the groove 211 is connected to the steel support frame 220 while the steel support frame 220 is aligned with the groove 211 form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gab (210) The installation rod 212 is sloped along the slope of the slot 221 by the weight of the gab (210), so that the slab (221) It is simply fixed and fixed.

여기서 상기 설치로드(212)는 상기 철골 지지프레임(220)에 형성된 상기 슬롯(221)의 갯수와 대응되는 수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ounting rod 212 may be provided in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slots 221 formed in the steel support frame 220.

그리고 상기 돌망태(210)의 시공방법 또한, 돌망태의 두께가 얇아지는 장점이 있어 공장 등에서 돌망태안에 돌을 채워서 출하하는 것이 가능하고, 현장에서 돌이 들어있는 돌망태를 인력으로 들어 올리는 것이 가능할 정도의 무게가 가능하여 현장에서 발생하는 높은 설치비를 배제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또한, 현장에서 용접이 필요하지 않고(화재위험이 없음) 단순히 홈에 끼워넣기만 하면 되므로 초보자도 시공이 가능한 경제적인 장점이 있다.Also,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gab (210) is also advantageous in that the thickness of the gab will be thinned, and it is possible to ship the gab in the factory by filling the gab with the stone, and the gab weighs enough to lift the gab, It is possible to exclude the high installation costs incurred in the field, and it is also economically advantageous for the novice to install because it does not require welding in the field (there is no risk of fire) .

그리고 상기 설치로드(212)가 상기 슬롯(211)에 용이하게 삽설될 수 있도록 상기 슬롯(211)의 입구측은 상기 설치로드(212)의 직경(두께)보다 크게 형성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inlet 211 of the slot 211 may b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installation rod 212 so that the installation rod 212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slot 211.

상기와 같이, 상기 돌망태(12,210)는 그 내부에 석재 등과 같은 채움재가 수납 설치되어 구성되고, 이러한 구성은 사전에 다양한 사이즈와 크기로 제작된다.As described above, the gab (12, 210) is constructed such that a filler such as stone or the like is received and installed in the gab (12, 210), and such a structure is manufactured in various sizes and sizes in advance.

따라서 철골 지지프레임에 상기 돌망태를 언제 어디서나 간단하게 끼워 조립하여 설치할 수 있어 매우 간편하면서도 편리한 벽체 시공이 이루어질 수가 있다.
Therefore, the gabion can be easily assembled and installed at any time and anywhere on the steel support frame, so that a very convenient and convenient wall construction can be achiev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돌망태를 이용한 조립식 개비온벽체는 상부면과 하부면, 좌측면, 우측면 및 전후면 망체부가 소정크기의 망목형상을 갖는 망체로 되어 그 내부에 채움용 석재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돌망태와,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측에 상기 돌망태가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가 설치 구비되는 지지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에 일정한 간격으로 수직하게 다수개의 삽설홈을 구비하여 채움재가 수납되는 상기 돌망태를 끼워 콘크리트의 외부측으로 부가적인 외벽이 구성됨으로써, 외부에 콘크리트 구조물과 이를 지지하는 프레임이 그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미려함을 제공함은 물론 자연과의 조화를 이루도록 하여 그 활용성을 한층 높여줄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fabricated gabion wall using the gab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mesh structure having an upper surface, a lower surface, a left surface, a right surface, and front and rear surface net portions having a predetermined mesh size, And a plurality of support frames install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so that the gaboid can be fixedly installed on the outer side of the concrete structure. The support fram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vertical grooves at regular intervals in the support frame, The concrete structure and the frame supporting the concrete structure are prevented from being exposed as they are, while the outer wall is formed by the outer wall of the concrete by sandwiching the gauze to be housed. In addition, It will be possible to raise it.

또한 본 발명은 채움재가 수용된 철망태를 사전에 소정크기로 분할 제작하여 작업현장에 구비되는 콘크리크 구조물의 크기에 따라 조립식으로 간단하게 철골 지지프레임에 삽설하여 설치 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시간을 최대한 단축시킬 수 있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divide a wire net containing a filler material into a predetermined size, and to install and fix the wire netting in a steel frame supporting frame according to the size of a cone crest structure provided at a work site, Can be shortened.

100, 200:돌망태를 이용한 조립식 개비온벽체
110:콘크리트 구조물 111:벽체부재
120:돌망태
121:요홈 122:설치로드 123:가로로드 124:세로로드
125:채움재출입구
130:철골 지지프레임 131:슬롯
210:돌망태
211:요홈 212:설치로드 213:가로로드 214:세로로드
215:채움재출입구
220:철골 지지프레임 221:슬롯
100, 200: Prefabricated gabion wall using gabion
110: concrete structure 111: wall member
120: Gabion
121: groove 122: installation rod 123: transverse rod 124: vertical rod
125: Filler doorway
130: steel supporting frame 131: slot
210: Gabion
211: groove 212: installation rod 213: transverse rod 214: vertical rod
215: Filler doorway
220: steel supporting frame 221: slot

Claims (6)

채움재가 수납된 돌망태를 철골 구조물에 설치하여 벽체를 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립식 개비온벽체에 있어서,
작업 경사면의 전방부에 구비되어 경사면의 붕괴를 방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콘크리트 구조물 또는 건축물의 벽체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벽체부재와,
상부면과 하부면, 좌측면, 우측면 및 전후면 망체부가 소정크기의 망목형상을 갖는 망체로 되어 그 내부에 채움재가 수납되어 이루어지는 돌망태, 및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 또는 상기 벽체부재의 전면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 고정되는 철골 지지프레임으로 구성되되,
상기 철골 지지프레임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슬롯이 다층으로 구비되고, 상기 돌망태의 후면부에는 상기 지지프레임이 삽설되는 요홈이 형성되며, 상기 요홈에는 상기 슬롯에 끼워지는 설치로드가 구비되어,
상기 설치로드를 상기 슬롯에 삽설하여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측으로 상기 돌망태의 벽체가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돌망태를 이용한 조립식 개비온벽체.
A prefabricated, wall-hung wall body for constructing a wall by installing a gab with a filler in a steel structure,
A wall member provided on a front portion of the operation slope to form a concrete structure or a wall of a building installed to prevent collapse of an inclined surface,
A gauze in which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the left surface, the right surface, and the front and rear surface net portions are mesh bodies having a predetermined mesh size,
And a steel frame support frame installed and fix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oncrete structure or the wall member,
Wherein the support fram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lot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the back surface of the gait is provided with a groove into which the support frame is inserted, and the groove is provided with an installation rod fitted in the slot,
Wherein the installation rod is inserted into the slot and the wall of the gabion is installed outside the concrete structu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은 상기 철골 지지프레임의 전면에서 후면으로 갈수록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돌망태를 이용한 조립식 개비온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lot is sloped downward from a front side to a rear side of the steel support fram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의 입구측은 상기 설치로드가 상기 슬롯에 용이하게 삽설될 수 있도록 상기 설치로드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 구비되는 돌망태를 이용한 조립식 개비온벽체.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inlet side of the slot is formed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installation rod so that the installation rod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slot.
채움재가 수납된 돌망태를 철골 구조물에 설치하여 벽체를 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립식 개비온벽체에 있어서,
상부면과 하부면, 좌측면, 우측면 및 전후면 망체부가 소정크기의 망목형상을 갖는 망체로 되어 그 내부에 채움재가 수납되어 이루어지는 돌망태와,
지표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세워서 설치 고정되는 철골 지지프레임으로 구성되되,
상기 철골 지지프레임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전면과 후면에 각각 슬롯이 다층으로 구비되고, 상기 돌망태의 후면부에는 상기 철골 지지프레임이 삽설되는 요홈이 형성되며, 상기 요홈에는 상기 슬롯에 끼워지는 설치로드가 구비되어,
상기 설치로드를 상기 슬롯에 삽설하여 상기 철골 지지프레임의 전방과 후방의 외측으로 상기 돌망태가 설치 고정되면서 지표면상에 자립형태의 벽체가 세워지는 구조의 돌망태를 이용한 조립식 개비온벽체.
A prefabricated, wall-hung wall body for constructing a wall by installing a gab with a filler in a steel structure,
A top surface and a bottom surface, a left side surface, a right side surface, and front and rear surface netting portions are mesh bodies having a predetermined mesh size,
And a steel support frame which is installed and fix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ground surface,
The steel support frame is provided with slots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thereof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The rear surface of the gauze is provided with a groove into which the steel frame support frame is inserted. Respectively,
Wherein the installation rod is inserted into the slot and the gaboid is installed and fixed to an outer side of the front and rear of the steel support frame, and a self-supporting wall is placed on the ground surfac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은 상기 철골 지지프레임의 전면과 후면의 양측면에서 각각 그 중앙부측으로 갈수록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구조로 된 돌망태를 이용한 조립식 개비온벽체.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lots are inclined downwardly toward the center of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steel support frame, respectively.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의 입구측은 상기 설치로드가 상기 슬롯에 용이하게 삽설될 수 있도록 상기 설치로드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 구비되는 돌망태를 이용한 조립식 개비온벽체.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inlet side of the slot is formed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installation rod so that the installation rod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slot.
KR1020130147968A 2013-11-29 2013-11-29 a gabion wall KR10161081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7968A KR101610816B1 (en) 2013-11-29 2013-11-29 a gabion wal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7968A KR101610816B1 (en) 2013-11-29 2013-11-29 a gabion wal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2870A true KR20150062870A (en) 2015-06-08
KR101610816B1 KR101610816B1 (en) 2016-04-08

Family

ID=53500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7968A KR101610816B1 (en) 2013-11-29 2013-11-29 a gabion wal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0816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59055A (en) * 2017-10-30 2018-03-30 浙江鑫直建筑有限公司 A kind of lattice guest's Retaining wall method applied to bank slope protection
CN111926956A (en) * 2020-06-22 2020-11-13 上海宝冶建筑装饰有限公司 Semitransparent gabion curtain wall
CN117569262A (en) * 2024-01-06 2024-02-20 安平县鑫渤源丝网制品有限公司 Impact-resistant gabion mesh
CN117569262B (en) * 2024-01-06 2024-05-28 安平县鑫渤源丝网制品有限公司 Impact-resistant gabion mesh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59055A (en) * 2017-10-30 2018-03-30 浙江鑫直建筑有限公司 A kind of lattice guest's Retaining wall method applied to bank slope protection
CN111926956A (en) * 2020-06-22 2020-11-13 上海宝冶建筑装饰有限公司 Semitransparent gabion curtain wall
CN117569262A (en) * 2024-01-06 2024-02-20 安平县鑫渤源丝网制品有限公司 Impact-resistant gabion mesh
CN117569262B (en) * 2024-01-06 2024-05-28 安平县鑫渤源丝网制品有限公司 Impact-resistant gabion mes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0816B1 (en) 2016-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3474B1 (en) Earth of building land-side protection wall structure
KR100998253B1 (en) Temporary Structure For Land-Side Protection Wall
CN101736757A (en) Two-way synchronous construction method of tube structure of high-rise building
KR101610816B1 (en) a gabion wall
CN106436730B (en) A kind of masonry house concrete filled steel tube pillar support shock insulating foundation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KR101439164B1 (en) a gabion block
KR101495997B1 (en) Upright type rainwater storaging structure and Rainwater storaging facility having the structure and Method for building the facility
KR102275957B1 (en) Concrete foundation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JP2005146556A (en) Soil improving body, foundation structure of building comprising mat foundation, and construction method of soil improving mat foundation
JP2007056600A (en) Earthquake dispersion type basement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JP4866264B2 (en) Underground box
RU61313U1 (en) FENDING DESIGN
JP5620850B2 (en) Rainwater storage and infiltration facilities
WO2020008308A1 (en) Sustainable shelter
JP3197569U (en) Protection wall against landslides
CN213358627U (en) Supporting structure of building foundation pit
US20170037591A1 (en) Aboveground foundation for building superstructures
RU190322U1 (en) Device for the construction of multi-storey underground structures
KR102006630B1 (en) Traditional fence reinforcement structure, traditional fence comprising it and its construction method
JP2018021320A (en) Reconstruction method of building
JP2006118152A (en) Method for constructing circular closed conduit by open excavation system
KR101296477B1 (en) Vegetation block and vegetation block assembly including the same
Jakoel Elʽad, Shamai Street
GB2489692A (en) On site filling of wall cavities of a prefabricated building
KR20140141550A (en) Upright type rainwater storaging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