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2503A - 피투피 통신 방식에 기반한 그룹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피투피 통신 방식에 기반한 그룹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2503A
KR20150062503A KR1020130147229A KR20130147229A KR20150062503A KR 20150062503 A KR20150062503 A KR 20150062503A KR 1020130147229 A KR1020130147229 A KR 1020130147229A KR 20130147229 A KR20130147229 A KR 20130147229A KR 20150062503 A KR20150062503 A KR 201500625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information
client
activity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7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64091B1 (ko
Inventor
손종욱
조국래
박세권
조희섭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301472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4091B1/ko
Publication of KR20150062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25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40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40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4/08User group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04W8/186Processing of subscriber group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Abstract

P2P 통신 기반 그룹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이 방법은 상기 P2P 통신을 이용한 장치 및 서비스 디스커버리 과정에 기초하여 그룹화된 다수의 클라이언트 중 그룹 소유자에 해당하는 클라이언트로부터 그룹 정보와 그룹 내의 각 클라이언트 사이에서 발생한 그룹 활동과 관련된 정보를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과정 및 상기 그룹화된 각 클라이언트가 상기 그룹 정보와 상기 그룹 활동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그룹 정보와 상기 그룹 활동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매체에 등록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피투피 통신 방식에 기반한 그룹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A METHOD FOR PROVIDING GROUP SERVICE BASED ON PEER TO PEER COMMUNICATION AND A DEVICE THEREFOR}
본 발명은 Peer to Peer (P2P) 통신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그룹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P2P 통신 서비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셜 네트워크는 서버 기반의 네트워크 통신 방식을 이용한다. 이러한 서버 기반의 네트워크 통신 방식은 유료 통신망 이용에 따른 데이터 요금의 발생으로 인해 사용 부담이 있다.
이에 반해, P2P 통신은 장치와 장치 간의 직접 통신 방식을 이용하기 때문에 데이터 요금에 대한 부담은 없으나, 그룹 게임, 그룹 멤버간 채팅 등과 같은 소셜 활동과 관련된 그룹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는다.
최근에는, 그룹 게임, 그룹 멤버간 채팅 등과 같은 그룹 기반의 서비스를 지원하는 P2P 기반 통신 방식이 개발된 바 있는데, 이러한 P2P 기반 통신 방식으로는 블루투스 (Bluetooth), WiFi D2D (Device to Device), Long Term Evolution (LTE) D2D 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블루투스 (Bluetooth), WiFi D2D (Device to Device), Long Term Evolution (LTE) D2D 등과 같은 P2P 기반 통신 방식은 그룹 게임, 그룹 멤버간 채팅 등과 같은 그룹 기반의 서비스를 제공하지만, 그룹 활동이 소셜 활동의 한 영역임에도 기존의 소셜 네트워크와 연동하지 못한다. 이는 기존의 P2P 기반 통신 방식은 그룹 활동에 따라 발생한 정보의 소멸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사용자는 최근 각광받고 있는 소셜 네트워크 기반에 따른 다양한 기능을 제공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서버 기반의 네트워크 통신 방식에 따른 서비스 장점과 P2P 기반의 통신 방식에 따른 서비스 장점이 결합된 P2P 기반의 통신 방식에 따라 그룹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P2P 통신 방식에 기반한 그룹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P2P 통신 방식에 기반한 서버는 상기 P2P 통신을 이용한 장치 및 서비스 디스커버리 과정에 기초하여 그룹화된 다수의 클라이언트 중 그룹 소유자에 해당하는 클라이언트로부터 그룹 정보와 그룹 내의 각 클라이언트 사이에서 발생한 그룹 활동과 관련된 정보를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그룹화된 각 클라이언트가 상기 그룹 정보와 상기 그룹 활동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그룹 정보와 상기 그룹 활동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매체에 등록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른 P2P 통신 기반의 그룹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장비는, 상기 P2P 통신을 이용해 장치 및 서비스 디스커버리를 수행하여 이웃한 사용자 장비와 그룹을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P2P 통신을 이용해 상기 이웃한 사용자 장비와 교환한 그룹 정보와 그룹 활동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그룹 정보와 그룹 활동과 관련된 정보를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른 서버에서 P2P 통신 기반의 그룹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상기 P2P 통신을 이용한 장치 및 서비스 디스커버리 과정에 기초하여 그룹화된 다수의 클라이언트 중 그룹 소유자에 해당하는 클라이언트로부터 그룹 정보와 그룹 내의 각 클라이언트 사이에서 발생한 그룹 활동과 관련된 정보를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과정 및 상기 그룹화된 각 클라이언트가 상기 그룹 정보와 상기 그룹 활동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그룹 정보와 상기 그룹 활동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매체에 등록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른 사용자 장비에서 P2P 통신 기반의 그룹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상기 사용자 장비가 상기 P2P 통신을 이용해 장치 및 서비스 디스커버리 과정을 수행하여, 상기 사용자 장비가 그룹 소유자로서 이웃한 사용자 장비들과 그룹을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그룹 내의 사용자 장비들이 상기 P2P 통신을 이용해 그룹 정보를 상호 교환하는 과정과, 그룹 소유자인 상기 사용자 장비가 상호 교환된 상기 그룹 정보를 취합하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로 전송하여 업로드 하는 과정과, 상기 서버에 등록된 그룹내의 사용자 장비들이 상기 P2P 통신을 이용해 상호 교환한 그룹 활동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그룹 소유자인 사용자 장비가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서버로 전송하여 업로드 하는 과정 및 상기 사용자 장비 및 상기 이웃한 사용자 장비들이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서버에 업로드 된 상기 그룹 정보 및 상기 그룹 활동과 관련된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서버 기반의 네트워크 통신 방식 장점과 P2P 통신 방식의 장점을 결합한 P2P기반의 그룹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 입장에서는 인접해 있는 그룹 멤버간 P2P 통신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네트워크 사용에 대한 요금 부담에서 자유롭게 소셜 그룹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이동 통신 사업자 입장에서는 P2P 통신 기법을 통한 데이터 오프로딩 효과와 함께 사용자에게 더 다양한 기능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P2P 통신 방식에 기반한 그룹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그룹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 제1 내지 제3 클라이언트들 간의 신호 흐름도를 보여주는 신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장비에서 P2P 통신 기반 그룹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서버 기반의 네트워크 통신 방식 장점과 P2P 통신 방식의 장점을 결합한 P2P기반의 그룹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안이 개시된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P2P 기반의 그룹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실시 예가 기술되며, 본 발명은 아래의 실시 예를 통해 본 발명은 구체화될 수 있다.
실시 예를 기술하기에 앞서, 상세한 설명 전반에 걸쳐 사용되는 기술 용어들을 설명한다. 이러한 기술 용어들의 이해를 통해 본 발명은 더욱 명확히 이해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아래의 실시 예에서 그룹화된 다수의 클라이언트와 서버를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한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음성 비디오, 패킷 데이터 메시징, 브로드캐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컨텐츠를 운반하도록 구성된다. 이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이용 가능한 네트워크 자원을 공유함으로써, 다수의 클라이언트들을 지원할 수 있는 다중-액세스 네트워크들과 이 다중-액세스 네트워크들과 연결되어 이종망을 구성하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유무선 네트워크들의 예는 유무선 인터넷 망일 수 있다. 다중-액세스 네트워크들의 예는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CDMA) 네트워크들, 시분할 다중 액세스(TDMA) 네트워크들,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FDMA) 네트워크들, 직교 네트워크들(FDMA 또는 OFDMA) 및 단일-캐리어 네트워크들을 포함한다. 이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다수의 클라이언트에 대한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다수의 기지국들을 포함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는 다운링크(또는 순방향 링크) 및 업 링크(또는 역방향 링크)를 통해 기지국과 통신할 수 있다. 다운링크는 기지국으로부터 클라이언트로의 통신 링크를 지칭하고, 업 링크는 클라이언트로부터 기지국으로의 통신 링크를 지칭한다. 무선 네트워크는 또한 광역 네트워크(WAN), 공공 지상 모바일 네트워크(PLMN: public land mobile network) 등으로서 지칭될 수 있거나 또는 이들의 일부분일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는 다수의 이벌브드 노드 B들(eNB들) 및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들을 포함할 수 있다.
P2P 무선 통신
P2P 무선 통신은 아래의 실시 예에서 그룹화된 다수의 클라이언트를 서로 통신 연결한다. 상기 P2P 무선 통신은 어떤 기지국의 중재 없이 클라이언트들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장치와 장치 간의 직접 통신을 의미한다. 이러한 P2P 무선 통신으로, 블루투스 (Bluetooth), WiFi D2D (Device to Device), Long Term Evolution (LTE) D2D 등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장치 디스커버리(device discovery) 및 서비스 디스커버리(service discovery) 과정을 지원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P2P 기반의 무선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Client )
클라이언트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네트워크 엔티티들 또는 기지국들의 피어(peer)들이 아니며, 클라이언트와 기지국 또는 네트워크 엔티티들 사이의 통신은 본 명세서에서 언급하는 P2P 통신에 포함되지 않는다. 이 클라이언트는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로 지칭될 수 있다. UE는 기지국으로부터 디지털 데이터로서 수신되는 데이터를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를 통해 아날로그 형태로 사용자에게 직접적으로 출력하고, 사용자 입력의 아날로그-대-디지털 변환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을 통해 사용자 입력 데이터(예를 들어, 음성, 이미지, 키스트로크 또는 터치스크린 입력)을 수신하며, 그리고 이러한 사용자 입력으로부터의 디지털 데이터를 기지국에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컴포넌트들을 포함함으로써 UE가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다른 엔티티들과 추가로 구별될 수 있다는 점이 명백해야 한다. 이러한 다른 엔티티들(예를 들어, 비-사용자 장비)은 일반적으로 이러한 컴포넌트들이 결여되거나, 또는 주로 네트워크 관리 기능들을 지원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UE는 일례로, 셀룰러 폰, 개인 디지털 정보 단말(PDA), 무선 모뎀, 무선 통신 디바이스, 랩톱 컴퓨터, 무선 로컬 루프(WLL) 스테이션, 스마트 폰, 넷 북, 스마트 북 등일 수 있다. UE는 또한 또 다른 UE와 직접 통신할 수 있는데, 이는 P2P 통신 또는 직접 통신으로서 지칭될 수 있다. 또 다른 UE와 직접 통신하는 UE는 P2P UE로서 지칭될 수 있다. 아래의 실시 예에서 클라이언트로 지칭되는 UE들은 피어-투-피어로 통신할 수 있고, UE는 기지국(base-station 또는 eNB들)과 통신할 수 있다.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 User profile information )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는 기본적으로 소셜 네트워크 또는 서버 기반 통신을 수행할 때 사용하는 사용자 정보에 해당하며, 사용자의 e-mail 주소나 식별 정보(global ID) 등과 관련된 정보들을 의미할 수 있다.
그룹 프로파일 정보( Group profile information )
그룹 프로파일 정보는 클라이언트들이 P2P 통신 기반의 그룹을 형성할 때, 사용자 프로파일(user profile)과 같이 그룹(group)을 구분하기 위한 식별 정보(group ID)와 관련된 정보들을 의미할 수 있다.
그룹 활동 정보( Group activities information )
그룹 활동 정보는 기본적으로 activities 라고 하며, posting a text, upload a multimedia content, share a link, perform check-in 등을 나타냅니다. 즉, 일반적으로 소셜 네트워크에서 일어나는 모든 활동과 관련된 정보들을 의미할 수 있다.
그룹 반응 정보( Group reactions information )
그룹 반응 정보는 like, share, comment 같은 어떤 게시 글에 대한 평가 혹은 반응과 관련된 정보들을 의미할 수 있다.
데이터 오프로딩 효과
데이터 오프로딩은 통신 사용자가 늘어나면서 데이터 전송에 한계가 오고 비용이 증가함에 따라 D2D 혹은 P2P 방식을 사용해서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데이터의 할되어 네트워크의 로드를 줄이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P2P 통신 방식에 기반한 그룹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300)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가능한 서버(100: Sever)와,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10)를 통해 상기 서버(100)와 무선 통신하는 클라이언트 그룹(200)을 포함한다. 클라이언트 그룹(200)은 상호간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다수의 클라이언트들(210, 220, 230)을 포함하며, 각 클라이언트들은 장치 디스커버리(device discovery) 및 서비스 디스커버리(service discovery)를 수행하도록 P2P 통신(20)을 지원하며, 이러한 P2P 통신(20)을 통해 P2P 링크를 형성하게 된다.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 도 1에서는 3개의 클라이언트들(210, 220, 230)로 구성된 클라이언트 그룹(200)이 예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100)는 제어부(110), 통신부(120) 및 저장부(130)를 포함한다. 제어부(110)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서버(100) 내에 구성되어 서버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여타의 하드웨어 구성들과 상기 통신부(120)의 동작을 제어 및 관리한다. 통신부(120)는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10)를 통해 상기 다수의 클라이언트들과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무엇보다도 상기 통신부(120)는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그룹을 형성하는 상기 클라이언트들 각각의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 그룹 프로파일 정보, 그룹 활동 정보 및 그룹 반응 정보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저장부(130)는 상기 통신부(120)를 통해 수신된(또는 업로드 된)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User profile information), 그룹 프로파일 정보(Group profile information), 그룹 활동 정보(Group activities information) 및 그룹 반응 정보(Group reactions information)들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각 클라이언트들(210, 220, 230)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서버(100)에 저장된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User profile information), 그룹 프로파일 정보(Group profile information), 그룹 활동 정보(Group activities information) 및 그룹 반응 정보(Group reactions information)들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각 클라이언트(210, 220, 230)가 서버(100)에 업로드 된 그룹 활동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들을 확인함으로써, 서버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와 연동할 수 있게 됨으로써, 그룹 활동에 따른 다양한 정보들이 소실되는 기존의 P2P 기반 통신 방식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그룹(200)은 제1 클라이언트(210: Client 1), 제2 클라이언트(220: Client 2) 및 제3 클라이언트(230: Client 3)를 포함한다. 제1 클라이언트(210)는 클라이언트 그룹(200) 내에서 그룹 소유자로서 다양한 방법들을 사용하여 P2P 통신(20)을 위한 제2 및 제3 클라이언트(220 및 230)를 디스커버리 및 이들(220 및 230)과 연관된 서비스를 디스커버리 할 수 있다. 이러한 장치 및 서비스 디스커버리를 위해, 제1 클라이언트(210)는 블루투스 (Bluetooth), WiFi D2D, LTE D2D 등과 같은 P2P 통신(20)을 지원하도록 구현된다. 이를 위해, 제1 클라이언트(210)는 제1 통신부(212), 제어부(214) 및 제2 통신부(216)를 포함한다. 제1 통신부(212)는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10)를 통해 상기 서버에 접속 가능하도록 구현된다. 제어부(214)는 도시되지 않은 상기 제1 클라이언트(210)의 내의 하드 웨어 구성들 및 상기 제1 및 제2 통신부(212, 216)의 동작을 제어 및 관리한다. 제2 통신부(216)는 제2 및 제3 클라이언트(220 및 230)를 디스커버리 및 이들(220 및 230)과 연관된 서비스를 디스커버리 하기 위해 P2P 통신(20)을 지원하도록 구현된다. 도 1에서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한 서버 기반의 통신을 지원하는 제1 통신부(212)와 P2P 통신(20)을 지원하는 제2 통신부(216)가 분리된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하나의 통합된 형태로 집적화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무엇보다도 상기 제어부(210)는 상기 제2 통신부(216)에 의해 수행되는 P2P 통신(20)을 통해 상기 제2 및 제3 클라이언트들(220, 230)과 교환된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User profile information), 그룹 프로파일 정보(Group profile information), 그룹 활동 정보(Group activities information) 및 그룹 반응 정보(Group reactions information) 등과 같은 그룹 활동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서버(100)에 송신하도록 상기 제1 통신부(212)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각 클라이언트(210, 220, 230)는 그룹 활동과 관련된 정보들을 P2P 통신(20)을 통해 상호 교환하고, 교환된 정보들을 그룹 내의 그룹 소유자인 제1 클라이언트(210)가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100)에 업로드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각 클라이언트는 서버(100)에 업로드 된 그룹 활동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들을 확인할 수 있게 되어, 그룹 활동에 따른 다양한 정보들이 소실되는 기존의 P2P 기반 통신 방식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2 및 제3 클라이언트(220, 230) 각각은 제1 클라이언트(210) 내의 구성들(212, 214, 216)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 다. 따라서, 제2 및 제3 클라이언트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제1 클라이언트(210)에 대한 설명으로 대신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그룹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 제1 내지 제3 클라이언트들 간의 신호 흐름도를 보여주는 신호 흐름도이다.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도 1을 함께 참조한다.
먼저 도 2a를 참조하면, 먼저, 411에서, 제1 클라이언트(210)가 그룹 소유자로서, 이웃한 제2 및 제3 클라이언트(220 및 230)과 그룹을 형성하기 위해, 무선 통신 네트워크(10)를 통해 그룹을 식별할 수 있는 그룹 ID의 발행을 요청하는 그룹 ID 요청(Group ID request) 메시지를 상기 서버(100)로 송신한다.
413에서, 상기 서버(100)가 상기 그룹 ID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그룹 ID를 발행하고,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10)를 통해 상기 발행된 그룹 ID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상기 제1 클라이언트(210)로 송신한다.
415에서, 상기 제1 클라이언트(210)는 상기 그룹 ID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면, P2P 그룹을 형성하기에 앞서, P2P 통신을 이용한 장치 및 서비스 디스커버리(device/service discovery)를 수행하여 현재 접속 가능한 장치(device)와 서비스(service)의 존재 여부를 판단한다.
현재 접속 가능한 장치(220, 230)와 서비스(service)가 존재한 것으로 판단되면, 417 내지 423을 통해 상기 제1 클라이언트(210)가 상기 제2 및 제3 클라이언트(220, 230)를 그룹에 초대하고, 상기 제2 및 제3 클라이언트(220, 230)가 상기 그룹에 조인(join)한다. 구체적으로, 417에서, 상기 제1 클라이언트(210)가 최초 그룹을 생성하기 위해 P2P 통신을 이용하여 제2 클라이언트(220)를 상기 초기 그룹에 초대하는 초대 요청(Invitation request) 메시지를 상기 제2 클라이언트(220)로 송신한다. 419에서, 상기 제2 클라이언트(220)는 상기 제1 클라이언트로(210)부터의 초대 요청을 수락하면, 상기 초대 요청(Invitation request)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초대 요청의 수락을 나타내는 응답(Response) 메시지를 상기 제1 클라이언트(210)로 송신함으로써, 상기 초기 그룹이 생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제1 클라이언트로부터 제2 클라이언트로의 초대 요청에 따른 초기 그룹을 생성하는 예가 기술되고 있으나, 제2 클라이언트(220)로부터 제1 클라이언트(210)로의 초대 요청에 따라 초기 그룹을 생성할 수도 있다. 즉, 제2 클라이언트(220)가 장치 디스커버리를 수행하여 그룹 소유자인 제1 클라이언트(210)를 발견하며, 상기 초대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제1 클라이언트(210)로 송신하고, 상기 제1 클라이언트(210)가 상기 초대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초대 요청에 대한 수락을 나타내는 응답 메시지를 상기 제2 클라이언트(220)로 송신함으로써, 초기 그룹을 생성할 수도 있다. 다른 대안으로, 제1 클라이언트(210)가 자체적으로 초기 그룹을 생성할 수도 있다.
상기 417 및 419에 따라 초기 그룹이 생성되면, 421에서, 상기 초기 그룹에 합류하고자 하는 상기 제3 클라이언트(230)가 P2P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제1 클라이언트(210)에게 상기 초기 그룹에 조인(join)을 요청하는 그룹 조인 요청(Group join request) 메시지를 송신한다. 423에서, 상기 제1 클라이언트(210)가 상기 제3 클라이언트(230)로부터의 상기 그룹 조인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그룹 조인을 허용하는 응답 메시지를 P2P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제3 클라이언트(230)에게 송신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최종 그룹이 형성된다. 신규 클라이언트가 상기 초기 그룹에 조인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421과 423과 동일한 방식으로 추가될 수 있다.
상기 최종 그룹의 생성이 완료되면, 상기 최종 그룹에 조인한 클라이언트가 인증된 클라이언트인지 또는 각 클라이언트가 조인하기를 원하는 클라이언트인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와 그룹 프로파일 정보를 교환한다. 구체적으로, 425에서, 상기 제2 클라이언트(220)가 자신의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를 P2P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제1 클라이언트(210)로 송신하고, 427에서, 상기 제1 클라이언트(210)가 상기 제2 클라이언트(220)가 인증된 사용자임을 확인하면, 상기 제2 클라이언트(220)의 사용자가 인증된 사용자임을 확인하였음을 알리는 응답 메시지를 제2 클라이언트(220)로 전송한다. 429에서, 상기 제3 클라이언트(230) 또한 자신의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를 P2P 통신을 이용해 상기 제1 클라이언트(210)로 송신하고, 상기 제1 클라이언트(210)가 상기 제3 클라이언트(220)가 인증된 사용자임을 확인하면, 431에서, 상기 제3 클라이언트(230)가 인증된 사용자임을 확인하였음을 알리는 응답 메시지를 상기 제3 클라이언트(230)로 송신한다. 이어, 433에서, 그룹 소유자인 제1 클라이언트(210)는 그룹 내의 모든 사용자들(제1 및 제3 클라이언트)의 프로파일 정보와 그룹 프로파일 정보를 P2P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제2 클라이언트(220)로 송신한다. 또한 그룹 소유자인 제1 클라이언트(210)는 그룹내의 모든 사용자들(제1 및 제2 클라이언트)의 프로파일 정보와 그룹 프로파일 정보를 P2P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제3 클라이언트(230)로 송신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그룹 내의 클라이언트들은 상호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와 그룹 프로파일 정보를 교환할 수 있게 된다.
그룹 내의 클라이언트들이 상호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와 그룹 프로파일 정보의 교환을 완료하면, 441에서, 그룹 소유자인 제1 클라이언트(210)는 자신의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와 제2 및 제3 클라이언트(230)의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들을 포함하는 그룹 업데이트(Group update) 정보를 무선 통신 네트워크(10)를 통해 상기 서버(100)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100)는 전송 받은 그룹 정보(또는 그룹 업데이트 정보)를 저장 매체에 저장함으로써, 신규 그룹을 등록하거나 기존의 그룹의 업데이트를 완료하고, 443에서, 신규 그룹의 등록 또는 그룹 업데이트가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응답 메시지를 상기 제1 클라이언트(210)로 송신한다. 이와 같이, 그룹 내의 클라이언트들이 교환한 각자의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를 그룹 소유자인 제1 클라이언트를 통해 상기 서버(100)에 업로드 됨으로써, 각 클라이언트들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서버(100)에 접속하여 상기 교환된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각 클라이언트들은 상기 서버(100)에 접속하여 그룹 검색 등을 통해 그룹의 존재 유무, 그룹 현황 등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신규 그룹의 등록 또는 기존 그룹의 업데이트가 완료되면, 그룹 내의 클라이언트들 간에 채팅 데이터 교환 등과 같은 그룹 활동들(Group activities)이 일어나고, 이와 연계된 그룹 반응들(Group reactions)이 일어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그룹 활동들과 그룹 반응들과 연관된 정보들을 상기 서버(100)에 업로드 함으로써, 기존의 P2P 통신 기반의 통신 방식이 서버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와 연동되지 못하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안을 제안하며, 이하, 그룹 활동들과 그룹 반응들과 연관된 정보들을 상기 서버(100)에 업로드 하는 과정은 도 2B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b를 참조하면, 445에서, 그룹 내의 제2 클라이언트(220)에 의한 그룹 활동이 일어나면, 상기 제2 클라이언트(220)가 그룹 활동 정보(Group activities information)를 상기 제1 클라이언트(210)로 전송한다. 예컨대, 제2 클라이언트(220)가 텍스트(a text)를 상기 제1 클라이언트(210)에게 포스팅(posting)한다. 그러면, 447에서, 상기 제2 클라이언트(220)가 상기 그룹 활동 정보(Group activities information)에 대한 그룹 반응 정보(Group reactions information)를 P2P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제1 클라이언트(210)로 송신한다. 예컨대, 상기 텍스트를 수신한 제1 클라이언트(210)는 like, share, comment 등과 같은 상기 텍스트에 대한 반응 혹은 평가와 연관된 그룹 반응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P2P 통신을 이용해 상기 제2 클라이언트(220)로 전송한다. 또한 449에서, 상기 제1 클라이언트(210)는 상기 제2 클라이언트(220)로부터 전달받은 그룹 활동 정보를 상기 상기 제3 클라이언트(230)로 전송하고, 451에서, 상기 제3 클라이언트(230)는 상기 제1 클라이언트(210)를 통해 전달받은 상기 제2 클라이언트(220)의 그룹 활동 정보에 대한 그룹 반응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상기 제1 클라이언트(210)로 전송한다. 이와 같이, 그룹 소유자인 제1 클라이언트(210)에 의해 그룹 내의 그룹 활동 정보 및 그룹 반응 정보를 상호 교환한다. 이러한 상호 교환이 일어난 후, 그룹 내의 임의의 클라이언트 예컨대, 상기 제3 클라이언트(230)가 그룹에서 이탈하고자 하는 경우, 453에서, 상기 제3 클라이언트(230)가 상기 그룹에서 이탈을 통지하는 그룹 이탈 통지(Group leave notification) 메시지를 상기 제1 클라이언트(210)로 전송한다. 이어, 455에서, 상기 제1 클라이언트(210)는 상기 그룹 이탈 통지 메시지에 대한 수신을 확인하였음을 알리는 응답 메시지를 상기 제3 클라이언트(230)로 전송한다. 상기 제1 클라이언트(210)는 그룹 내의 모든 클라이언트들의 그룹 활동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457에서, 상기 제1 클라이언트(210)가 그룹 종료를 알리는 그룹 종료 통지(Group termination notification) 메시지를 상기 제2 클라이언트(220)로 전송하고, 459에서, 상기 제2 클라이언트(220)가 상기 그룹 종료 통지 메시지의 수신을 확인하였음을 알리는 응답 메시지를 상기 제1 클라이언트(210)로 전송함으로써, 그룹 소유자인 제1 클라이언트(210)는 그룹을 소멸시킨다.
그룹이 소멸되면, 461에서, 그룹 소유자인 상기 제1 클라이언트(210)는 그룹 내에서 일어난 그룹 활동과 연관된 그룹 활동 정보 및 그룹 반응 정보를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100)에 업로드하고, 업로드가 완료되면, 463에서, 상기 서버(100)는 업로드가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응답 메시지를 제1 클라이언트(210)로 전송한다.
상기 업로드가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면, 465에서, 상기 제1 클라이언트(210)는 그룹 삭제를 요청하는 그룹 삭제 요청 메시지를 상기 서버(100)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가 상기 그룹 삭제 요청 메시지의 수신을 확인하면, 상기 그룹 삭제 요청 메시지의 수신을 확인하였음을 알리는 응답 메시지를 상기 제1 클라이언트로 전송함으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그룹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일련의 절차가 완료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그룹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서는, P2P 통신을 이용해, 그룹 내의 각 클라이언트들이 그룹 활동과 연관된 정보들을 상호 교환하고, 동시에 상호 교환된 그룹 활동과 연관된 정보들을 그룹 소유자에 해당하는 클라이언트가 서버(100)에 업로드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서버 기반의 서비스 장점과 P2P 통신 기반의 서비스 장점을 결합한 P2P의 그룹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됨으로써, 사용자 입장에서는 인접해 있는 그룹 멤버간 P2P 통신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네트워크 사용에 대한 데이터 요금 부담에서 자유롭게 소셜 그룹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이동 통신 사업자 입장에서는 P2P 통신 기법을 통한 데이터 오프로딩 효과와 함께 사용자에게 다양한 기능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장비에서 P2P 통신 기반 그룹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S310에서, 상기 사용자 장비가 상기 P2P 통신을 이용해 장치 및 서비스 디스커버리 과정을 수행하여, 상기 사용자 장비가 그룹 소유자로서 이웃한 사용자 장비들과 그룹을 생성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이어, S320에서, 상기 그룹 내의 사용자 장비들이 상기 P2P 통신을 이용해 그룹 정보를 상호 교환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이어, S330에서, 그룹 소유자인 상기 사용자 장비가 상호 교환된 상기 그룹 정보를 취합하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로 전송하여 업로드 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이어, S340에서, 상기 서버에 등록된 그룹내의 사용자 장비들이 상기 P2P 통신을 이용해 상호 교환한 그룹 활동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그룹 소유자인 사용자 장비가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서버로 전송하여 업로드 하는 과정이 수행되고, S350에서 상기 사용자 장비 및 상기 이웃한 사용자 장비들이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서버에 업로드 된 상기 그룹 정보 및 상기 그룹 활동과 관련된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이상의 설명으로 당업자는 전술한 실시예들을 이해하고 구현할 수 있다. 특히 방법에서의 블록들 모두 또는 그 일부는 프로그램에 의해 명령되는 관련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다.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도 있다.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상술한 방법 실시 예에서 하나의 블록 또는 이들의 조합이 포함될 수도 있다.

Claims (10)

  1. P2P 통신을 기반으로 그룹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에 있어서,
    상기 P2P 통신을 이용한 장치 및 서비스 디스커버리 과정에 기초하여 그룹화된 다수의 클라이언트 중 그룹 소유자에 해당하는 클라이언트로부터 그룹 정보와 그룹 내의 각 클라이언트 사이에서 발생한 그룹 활동과 관련된 정보를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그룹화된 각 클라이언트가 상기 그룹 정보와 상기 그룹 활동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그룹 정보와 상기 그룹 활동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매체에 등록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서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매체에 등록되는 그룹 정보는,
    상기 각 클라이언트의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user profile information)와 그룹을 식별하는 식별 정보(Group profile information)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매체에 등록되는 그룹 활동과 관련된 정보는,
    상기 각 클라이언트가 상기 P2P 통신을 이용해 텍스트를 포스팅 하는 활동,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업 로딩 하는 활동, 링크를 공유하는 활동을 포함하는 그룹 활동 정보(Group activities information)와, 상기 각 클라이언트가 상기 활동에 대한 평가 또는 반응과 연관된 정보를 포함하는 그룹 반응 정보(Group reactions information)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그룹 정보와 상기 그룹 활동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매체에 등록 완료한 이후, 상기 그룹화된 다수의 클라이언트들 중 임의의 클라이언트의 그룹 이탈 요청에 따라 상기 그룹 소유자에 해당하는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그룹 종료 통지 메시지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는 서버.
  5. P2P 통신 기반의 그룹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장비에 있어서,
    상기 P2P 통신을 이용해 장치 및 서비스 디스커버리를 수행하여 이웃한 사용자 장비와 그룹을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P2P 통신을 이용해 상기 이웃한 사용자 장비와 교환한 그룹 정보와 그룹 활동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그룹 정보와 그룹 활동과 관련된 정보를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로 전송하는 통신부
    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로 전송되는 상기 그룹 정보는,
    상기 이웃한 사용자 장비의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user profile information)와 상기 그룹을 식별하는 식별 정보(Group profile information)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장비.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로 전송되는 상기 그룹 활동과 관련된 정보는,
    상기 사용자 장비와 상기 이웃한 사용자 장비 사이에서 일어나는 텍스트를 포스팅하는 활동,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업 로딩 하는 활동, 링크를 공유하는 활동을 포함하는 그룹 활동 정보(Group activities information)와, 상기 활동에 대한 상대 사용자 장비의 평가 또는 반응과 연관된 정보를 포함하는 그룹 반응 정보(Group reactions information)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장비.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그룹 정보와 상기 그룹 활동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한 이후, 상기 이웃한 사용자 장비의 그룹 이탈 요청에 따라 그룹 종료 통지 메시지를 상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사용자 장비.
  9. 서버에서 P2P 통신 기반의 그룹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P2P 통신을 이용한 장치 및 서비스 디스커버리 과정에 기초하여 그룹화된 다수의 클라이언트 중 그룹 소유자에 해당하는 클라이언트로부터 그룹 정보와 그룹 내의 각 클라이언트 사이에서 발생한 그룹 활동과 관련된 정보를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과정; 및
    상기 그룹화된 각 클라이언트가 상기 그룹 정보와 상기 그룹 활동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그룹 정보와 상기 그룹 활동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매체에 등록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P2P 통신 기반의 그룹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10. 사용자 장비에서 P2P 통신 기반의 그룹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장비가 상기 P2P 통신을 이용해 장치 및 서비스 디스커버리 과정을 수행하여, 상기 사용자 장비가 그룹 소유자로서 이웃한 사용자 장비들과 그룹을 생성하는 과정;
    상기 그룹 내의 사용자 장비들이 상기 P2P 통신을 이용해 그룹 정보를 상호 교환하는 과정;
    그룹 소유자인 상기 사용자 장비가 상호 교환된 상기 그룹 정보를 취합하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로 전송하여 업로드 하는 과정;
    상기 서버에 등록된 그룹내의 사용자 장비들이 상기 P2P 통신을 이용해 상호 교환한 그룹 활동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그룹 소유자인 사용자 장비가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서버로 전송하여 업로드 하는 과정; 및
    상기 사용자 장비 및 상기 이웃한 사용자 장비들이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서버에 업로드 된 상기 그룹 정보 및 상기 그룹 활동과 관련된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P2P 통신 기반의 그룹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KR1020130147229A 2013-11-29 2013-11-29 피투피 통신 방식에 기반한 그룹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5640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7229A KR101564091B1 (ko) 2013-11-29 2013-11-29 피투피 통신 방식에 기반한 그룹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7229A KR101564091B1 (ko) 2013-11-29 2013-11-29 피투피 통신 방식에 기반한 그룹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2503A true KR20150062503A (ko) 2015-06-08
KR101564091B1 KR101564091B1 (ko) 2015-11-06

Family

ID=53500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7229A KR101564091B1 (ko) 2013-11-29 2013-11-29 피투피 통신 방식에 기반한 그룹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40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23525B2 (en) 2016-05-10 2021-06-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06957B2 (ja) * 2012-03-30 2014-02-05 株式会社Cij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端末、情報処理方法および会議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23525B2 (en) 2016-05-10 2021-06-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4091B1 (ko) 2015-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8472B1 (ko) M2m 시스템에서 디바이스간 연결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Ometov et al. Toward trusted, social-aware D2D connectivity: bridging across the technology and sociality realms
CN103037318B (zh) 移动设备通过接近式传感而形成点对点群组的装置、系统和方法
TWI596924B (zh) 上下文感知點對點通信
KR102070246B1 (ko) 와이파이 다이렉트 서비스를 위한 피투피 그룹 생성 방법 및 장치
EP2519037A1 (en) Method and network for sharing sensor data among mobile terminals
Casetti et al. Data connectivity and smart group formation in Wi-Fi direct multi-group networks
EP3020182A1 (en) Context-aware proximity services
KR102103328B1 (ko) 멀티그룹 콜 설정 방법 및 장치
CN104254145A (zh) 一种基于wlan的直接通信建立方法及装置
Yao et al. WiFi multihop: Implementing device-to-device local area networks by Android smartphones
Ogawara et al. Information dissemination performance of a disaster-tolerant NDN-based distributed application in disrupted cellular networks
Zhang et al. BLE mesh: A practical mesh networking development framework for public safety communications
KR101612475B1 (ko) 가십 기반의 p2p 서비스의 파트너쉽 형성 방법 및 장치
Belblidia et al. Part-whole dissemination of large multimedia contents in opportunistic networks
Ogawa A platform for building ad hoc social networks based on Wi-Fi direct
KR101611284B1 (ko) 피투피 그룹 서비스 제공 시스템
CN102821115A (zh) 一种点对点p2p传输资源的方法和装置
US20180063699A1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system and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to exchange services
KR101219536B1 (ko) 일반 피어 장치, pan 게이트웨이 장치, 수퍼 피어 장치, p2p 네트워크 기반의 상호 연동 방법
KR101564091B1 (ko) 피투피 통신 방식에 기반한 그룹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20160135017A1 (en) System and method for multiple clients synchronization in wi-fi peer-to-peer group
WO2009059542A1 (fr) Méthode, système et dispositif de mise en oeuvre de clavardage
KR100848289B1 (ko) 무선망에서 피투피 기반의 확장성 있는 실시간 이동그룹통신 서비스 관리 시스템 및 방법
Gäbler et al. uBeeMe—A platform to enable mobile collaborative appl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