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1897A - suction and irrigator - Google Patents

suction and irrig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1897A
KR20150061897A KR1020130146221A KR20130146221A KR20150061897A KR 20150061897 A KR20150061897 A KR 20150061897A KR 1020130146221 A KR1020130146221 A KR 1020130146221A KR 20130146221 A KR20130146221 A KR 20130146221A KR 20150061897 A KR20150061897 A KR 201500618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gas
perfusion
gas injectio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62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546488B1 (en
Inventor
정향진
Original Assignee
(주)레드메디칼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레드메디칼코리아 filed Critical (주)레드메디칼코리아
Priority to KR10201301462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6488B1/en
Publication of KR201500618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189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64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648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ction perfusion device which comprises: a body unit; a suction perfusion pipe which takes in liquid from a human body through a perfusion hole or injects liquid into a human body; a gas injection unit injecting gas from a peripheral portion of the perfusion hole to prevent the perfusion hole from clogging when it is taking in liquid; and an operation unit which is installed in the body unit and operates the suction perfusion pipe and the gas injection unit.

Description

흡입 관류기{suction and irrigator}A suction and irrigator

본 발명은 흡입 관류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스 주입을 통해 조직이 관류공에 들러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흡입 관류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ction perfusion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uction perfusion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tissue from adhering to a perfusion hole through gas injection.

1980년대 이후 도입된 내시경(복강경) 수술법은 최소침습술(minimal invasive surgery)로서 환자의 통증, 감염, 상처, 입원 기간 등의 감소 등의 장점으로 최근 들어 급속히 발전하고 있다.Endoscopic (laparoscopic) surgery, introduced since the 1980s, is a minimally invasive surgery that has been rapidly advancing in recent years due to its advantages such as patient pain, infection, wounds, and reduced length of stay.

복강경 수술에는 수술 부위의 출혈 등을 제거하고 수술 시야를 좋게 하기 위해, 음압으로 혈액, 용액 등을 흡입하게 되는 흡입 관류기가 필요하다.Laparoscopic surgery requires a suction perfusion device that sucks blood, solution, etc., at a negative pressure, in order to remove bleeding from the surgical site and to improve the surgical field.

흡입 관류기는 관류를 위한 수액을 복강 내에 분사하는 기능과 복강 내의 혈액 등을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다.The suction perfusion device has a function of injecting the fluid for perfusion into the abdominal cavity and a function of sucking the blood in the abdominal cavity and discharging it to the outside.

하지만 기존 흡입 관류기를 복강경 시술에 적용하게 되면, 혈액, 용액 등을 복강 내에서 흡입하여 복강 외부로 배출시킬 때에 복강 내의 장기, 특히 창자(bowel), 장간막(omentum)과 피덩이(blood clot) 등이 흡입구(관류공)를 막아 복강 내 혈액 혹은 용액의 원활한 흡입이 방해되고 지연되어 이로 인해 수술 시간이 상당히 지연되는 문제가 있다.However, when the conventional suction perfusion device is applied to the laparoscopic procedure, the blood, solution, and the like are sucked in the abdominal cavity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abdominal cavity, the organs in the abdominal cavity, especially the bowel, omentum and blood clot And blocking the suction port (perfusion hole) to prevent smooth suction of the blood or solution in the abdominal cavity and delaying the operation, resulting in considerable delay in the operation time.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13-0111226호 (2013. 10. 10. 공개)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3-0111226 (published on October 10, 2013)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13-0057250호 (2013. 05. 31 공개)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13-0057250 (published on May 31, 2013)

따라서, 본 발명은 조직이 관류공에 들러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흡입 관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uction perfusion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the tissue from sticking to the perfusion hole.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몸체부와; 신체 내 액체를 관류공을 통해 흡입하거나 신체 내에 액체를 주입하는 흡입 관류관과; 상기 관류공 주변에서 가스를 주입하여 상기 관류공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는 가스 주입부와; 상기 몸체에 구비되어 상기 흡입 관류관 및 상기 가스 주입부의 작동을 조작하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흡입 관류기에 의해 달성된다.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chieved by a body part comprising: a body part; A suction perfusion tube for sucking liquid in the body through a perfusion hole or injecting a liquid into the body; A gas injection unit for injecting a gas around the perfusion hole to prevent the perfusion hole from being clogged; And an operating portion provided on the body for operating an operation of the suction inlet pipe and the gas injecting portion.

상기 가스 주입부는 상기 관류공의 둘레에서 가스를 주입할 수 있다.The gas injection unit may inject gas around the perforation hole.

가스 주입 방향과 흡입방향은 서로 역방향이며 평행할 수 있다.The gas injection direction and the suction direction are opposite to each other and parallel.

상기 가스 주입부는 상기 흡입 관류관을 감싸는 관체형상일 수 있다.The gas injection unit may be in the shape of a tube that surrounds the suction pipe.

상기 가스 주입부는 흡입 관류관의 외측에 배치되어 감싸는 형상을 갖으며 가스의 통로가 되는 가스 주입관과; 상기 가스 주입관의 일측에 형성되어 가스가 분사되는 노즐과; 상기 가스 주입관의 타측에 연결되어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덕트를 포함할 수 있다.The gas injection unit includes a gas injection tube having a shape disposed on the outside of the suction pipe and wrapped around the gas injection pipe and serving as a gas passage; A nozzle formed at one side of the gas injection pipe and through which gas is injected; And a gas duct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gas injection tube to supply gas.

상기 조작부는 가스 주입과 흡입 작동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상기 흡입 관류관 및 상기 가스 주입부를 조작할 수 있다.The operation portion can operate the suction perfusion tube and the gas injection portion so that the gas injection and the suction operation are simultaneously performed.

상기 가스 주입부는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서로 다른 유량의 가스를 선택적으로 주입할 수 있다.The gas injecting unit can selectively inject gases of different flow rates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unit.

상기 흡입 관류관의 내측에 전후진 가능하게 배치되어 소작을 실시하는 소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 cauterizer disposed inside the suction-perfusion tube so as to be capable of moving forward and backward and performing cauterization.

상기 소작부는 흡입 관류관의 내부에 전후진 가능하게 배치되어 전기적인 소작시술을 행할 수 있는 전기봉과; 상기 몸체에 힌지가능하게 장착되어 시술자가 당기거나 미는 경우 전기봉을 전후진시키는 트리거와; 상기 트리거를 몸체에 고정시키는 안전바와; 상기 전기봉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기 플러그를 포함할 수 있다.The cauterization section being disposed inside the suction perfusion tube so as to be able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and to perform an electric cauterization procedure; A trigger hingedly mounted on the body to advance and retract the electrode when the operator pulls or pivots; A safety bar for securing the trigger to the body; And an electric plug for supplying electricity to the electric rod.

상기 전기봉의 선단에는 집게턱이 구비되어, 벌어지거나 접혀질 수 있다.A tip of the electric bar is provided with a tongue jaw so that it can be opened or folded.

상기 흡입 관류기는 복강경 수술에 사용될 수 있다.The suction perfusion can be used in laparoscopic surgery.

본 발명에 따르면 조직이 관류공에 들러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흡입 관류기가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uction perfusion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a tissue from sticking to a perfusion hole.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흡입 관류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흡입 관류기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흡입 관류기의 선단부에 형성된 가스 분출구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흡입 관류기의 스위치부를 보여주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흡입 관류기의 스위치부를 보여주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있어, 조작부의 조작에 따른 가스 유량 변화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흡입 관류기의 선단부에 형성된 가스 분출구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흡입 관류기의 선단부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uction perfusion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suction-perfusion device shown in FIG. 1. FIG.
FIG. 3 is a front view showing a gas ejection port formed at the tip of the suction-type perfusion machine shown in FIG. 2. FIG.
FIG. 4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a switch portion of the suction pipe shown in FIG. 1. FIG.
5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a switch portion of a suction pip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change in gas flow rate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portion 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front view showing a gas outlet formed at the tip of a suction pip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suction pip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이하의 설명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흡입 관류기가 복강경 수술에 사용되는 것을 예시로 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흡입시 흡입 관류기를 막는 것을 신체 내 장기로 예시로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following description is provided to aid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For exampl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suction perfus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n laparoscopic surgery,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lso, it is exemplified as an organ in the body to prevent the suction perfusion device when inhaling,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먼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흡입 관류기를 설명한다.First, referring to FIG. 1 to FIG. 4, a suction pip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 관류기(1)는 복강경 수술에 사용되는 의료기구이다.As shown in Figs. 1 to 4, the suction perfusion device 1 is a medical device used in laparoscopic surgery.

흡입 관류기(1)는 복강(B) 내에 진입하여, 장기(S) 특히 창자, 장간막에 접촉함으로써 복강(B) 내 혈액 혹은 용액을 흡입하고, 이 과정에서 장기(S)가 흡입 관류기의 선단에 들러붙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원활한 복강(B) 시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The suction perfusion device 1 enters the abdominal cavity B and contacts the organ S and particularly the intestines and mesenteric membranes to thereby suck blood or solution in the abdominal cavity B. During this process, (B) operation can be performed by preventing the distal end from being stuck to the distal end.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흡입 관류기는 몸체(3)와, 상기 몸체(3)의 일측에 돌출된 선단부(5)의 내측에 배치되어 복강(B)으로부터 혈액 혹은 용액을 흡입하거나 수액을 주입하는 흡입 관류관(13)과, 흡입 관류관(13)을 감싸는 관체형상이며, 가스를 복강(B)내에 주입함으로써 흡입 관류관(13)의 선단이 장기(S)에 들러붙는 것을 방지하는 가스 주입부(4)와, 흡입 관류관(13)의 내측에 전후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장기(S)에 대한 소작을 실시하는 소작부(6)와, 몸체(3)에 구비되어 흡입 관류관(13) 및 가스 주입부(4)를 개폐시키는 조작부(버튼부, 7)를 포함한다.More specifically, the suction perfusion device includes a body 3 and an inhalation device 5 disposed inside the distal end portion 5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body 3 to suck blood or solution from the abdominal cavity B, And a gas injection unit 13 for injecting gas into the abdominal cavity B to prevent the distal end of the suction perfusion tube 13 from sticking to the organ S, A crotch portion 6 disposed on the inside of the suction perfusion tube 13 so as to be able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to perform cauterization on the organ S; And an operation portion (button portion) 7 for opening and closing the gas injection portion 4.

이러한 구조를 갖는 흡입 관류기에 있어서, 몸체(3)는 시술자가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편리하게 시술할 수 있도록 손잡이가 달린 형상을 갖는다.In the suction-perfusion machine having such a structure, the body 3 has a shape with a handle so that a practitioner can conveniently perform the operation while being held by a hand.

몸체(3)의 일측에 돌출된 선단부(5)는 이중관 구조로 내측에는 흡입 관류관(13)이 배치되고, 외측에는 가스 주입관(11)이 배치된다.A tip end portion 5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body 3 has a double pipe structure, a suction inlet pipe 13 is disposed on the inner side, and a gas injection pipe 11 is disposed on the outer side.

흡입 관류관(13)은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관체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이러한 흡입 관류관(13)은 일측은 외부에 연통되며, 타측은 흡입덕트(Inhalation Duct;25) 및 관류덕트(23)에 선택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흡입덕트(25) 및 관류덕트(23)는 압력을 발생시키는 펌프(도시안됨) 등에 연결된다.The suction inlet pipe (13) has a tubular shape in which an empty space is formed. One end of the suction inlet pipe 13 communicates with the outside and the other end is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suction duct 25 and the duct 23. At this time, the suction duct 25 and the perfusion duct 23 are connected to a pump (not shown) for generating pressure.

복강경 시술시, 흡입 관류관(13)의 일측이 복강(B) 내부로 진입하여 장기(S) 등의 시술부위에 접촉하고, 펌프(도시안됨)의 구동시 흡입 관류관(13)의 내부가 음압상태가 되므로 복강(B) 내의 혈액 혹은 용액이 관류공(15)을 통해 흡입되어 흡입덕트(25)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During the laparoscopic procedure, one side of the suction perfusion tube 13 enters the abdominal cavity B and contacts the treatment area such as the organ S and the inside of the suction perfusion tube 13 when the pump (not shown) The blood or solution in the abdominal cavity B can be sucked through the perfusion hole 15 and discharged through the suction duct 25 to the outside.

이러한 흡입 관류관(13)은 관류 목적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즉, 상기 흡입 관류관(13)은 후술하는 관류버튼(17)을 조작하는 경우, 관류덕트(23)가 개방됨으로써 별도로 저장된 수액이 펌프(도시안됨)에 의한 압력에 의하여 흡입 관류관(13)을 통하여 신체 내로 배출될 수 있다.This suction perfusion tube 13 can also be used for perfusion purposes. That is, when the perfusion button 17 described below is operated, the suction perfusion tube 13 is opened by opening the perfusion duct 23 so that the stored fluid is supplied to the suction perfusion tube 13 by the pressure by the pump (not shown) Lt; / RTI > into the body.

흡입 관류관(13)의 흡입력에 의하여 장기(S)가 관류공(15)을 막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가스 주입부(4)가 구비된다.The gas injection unit 4 is provided to prevent the organ S from blocking the perfusion hole 15 by the suction force of the suction perfusion tube 13. [

가스 주입부(4)는 관체 형상을 가지며 흡입 관류관(13)을 감싸는 구조이다.The gas injection unit 4 has a tubular shape and is configured to surround the suction perfusion tube 13.

가스 주입부(4)는 흡입 관류관(13)의 외측에 배치되어 감싸는 형상을 가지며 가스의 통로가 되는 가스 주입관(11)과; 가스 주입관(11)의 일측에 형성되어 가스가 분사되는 노즐(h)과; 가스 주입관(11)의 타측에 연결되어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덕트(21)를 포함한다. 노즐(h)의 분사방향은 흡입 방향의 반대방향이면서 평행하다.The gas injection unit 4 includes a gas injection pipe 11 having a shape disposed on the outside of the suction pipe 13 and serving as a gas passage; A nozzle h formed at one side of the gas injection pipe 11 and through which gas is injected; And a gas duct 21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gas injection pipe 11 to supply gas. The injection direction of the nozzle h is parallel to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suction direction.

이러한 구조를 갖는 가스 주입부(4)에 있어서, 노즐(h)은 가스 주입관(11)의 일측 전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된다. 따라서, 가스 주입관(11)으로부터 분사된 가스는 상기 노즐(h)을 통하여 복강(B)내의 장기(S)와 가스 주입부(4)의 사이로 분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스는 바람직하게는 이산화탄소(CO2)를 포함한다.In the gas injection portion 4 having such a structure, the nozzles h are arrang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entire one side of the gas injection tube 11. The gas injected from the gas injection tube 11 can be injected through the nozzle h and between the organ S in the abdominal cavity B and the gas injection part 4. [ At this time, the gas preferably includes carbon dioxide (CO2).

이와 같이, 노즐(h)을 통하여 가스가 분사됨으로써 장기(S)가 관류공(15)에 들러붙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노즐(h)은 관류공(15)의 주변에서 가스 주입관(11)의 측면에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by spraying the gas through the nozzle h,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organ S from adhering to the perfusion hole 15. In another embodiment, the nozzle h may be additionally formed on the side of the gas injection tube 11 in the periphery of the flow-through hole 15.

가스덕트(21)는 외부의 가스 소스와 연결됨으로써 가스가 가스 주입관(11)으로 공급되는 통로가 된다. 이러한 가스덕트(21)는 버튼부(7)에 의하여 개폐가 됨으로써 필요시 가스를 적절하게 공급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The gas duct 21 is connected to an external gas source so that the gas is supplied to the gas injection pipe 11. The gas duct 21 is opened and closed by the button portion 7, so that the gas can be appropriately supplied or cut off, if necessary.

가스덕트(21)는 가스 소스와 연결된 배관(40) 및 압력조절부(41)를 거쳐 가스를 공급받는다.The gas duct 21 is supplied with the gas through the pipe 40 and the pressure regulating part 41 connected to the gas source.

가스 소스는 복강경 수술 시 복강 내로 공급되는 이산화탄소 가스 소스를 사용하거나 별도의 이산화탄소 탱크를 사용할 수 있다.The gas source may be a carbon dioxide gas source supplied into the abdominal cavity during laparoscopic surgery or a separate carbon dioxide tank.

버튼부(7)는 흡입덕트(25)와, 관류덕트(23)와, 가스덕트(21)를 개방하거나 차단한다.The button portion 7 opens or closes the suction duct 25, the perfusion duct 23, and the gas duct 21. [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버튼부(7)는 몸체(3)에 장착되는 하우징(18)과; 하우징(18)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되어 흡입덕트(25)를 개폐하는 흡입버튼(19)과; 하우징(18)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되어 관류덕트(23) 및 가스덕트(21)를 개폐하는 관류/가스버튼(17)을 포함한다.More specifically, the button portion 7 includes a housing 18 mounted on the body 3; A suction button (19) arranged vertically to the housing (18) to open and close the suction duct (25); And a perfusion / gas button 17 disposed vertically to the housing 18 for opening and closing the perfusion duct 23 and the gas duct 21. [

이러한 구조를 갖는 버튼부(7)에 있어서, 상기 흡입버튼(19)은 통상적인 버튼 구조를 갖는다. 즉, 1회 누르면 흡입덕트(25)를 눌러서 폐쇄하고, 다시 1회 누르면 누르는 힘이 해제됨으로써 흡입덕트(25)를 개방하는 구조이다.In the button portion 7 having such a structure, the suction button 19 has a conventional button structure. That is, when the suction duct 25 is pressed once, the suction duct 25 is closed, and once again, the pressing force is released, thereby opening the suction duct 25. [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흡입버튼(19)은 하우징(18)에 지지된다. 흡입버튼(19)의 하부에는 스프링(S2)이 배치되어 상기 흡입버튼(19)을 상향으로 탄력적으로 지지한다. Describing in more detail, the suction button 19 is supported on the housing 18. A spring S2 is disposed under the suction button 19 to elastically support the suction button 19 upward.

시술자가 흡입버튼(19)을 누르는 경우에는 스프링(S2)이 압축되고, 반대로 흡입버튼(19)을 누르는 힘을 해제하는 경우 스프링(S2)의 탄력에 의하여 흡입버튼(19)이 상승하여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When the practitioner presses the suction button 19, the spring S2 is compressed. On the contrary, when the pressing force of the suction button 19 is released, the suction button 19 is rais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S2, Return.

흡입버튼(19)의 하부 중심부에는 흡입덕트(25)에 접촉하여 흡입덕트(25)를 가압하거나 해제하는 흡입 가압바(47)가 돌출되어 있다. 이러한 흡입 가압바(47)는 시술자가 흡입버튼(19)을 누르는 경우, 하강하여 흡입덕트(25)를 누름으로써 흡입덕트(25)를 폐쇄시킬 수 있다.At the lower center of the suction button 19, a suction pressure bar 47 for pressing or releasing the suction duct 25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uction duct 25. When the practitioner presses the suction button 19, the suction pressure bar 47 can be lowered to push the suction duct 25 to close the suction duct 25.

반대로, 시술자가 흡입버튼(19)을 1회 더 누르면, 흡입버튼(19)을 누르는 힘이 해제되고, 흡입버튼(19)은 스프링(S2)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향으로 상승하게 되어 흡입 가압바(47)가 흡입덕트(25)와 접촉상태에서 이탈할 수 있다. 결국, 흡입덕트(25)가 개방됨으로써 복강(B)내의 혈액 혹은 용액이 흡입덕트(25)를 통하여 흡입될 수 있다.On the contrary, when the operator pushes the suction button 19 one more time, the pushing force of the suction button 19 is released, and the suction button 19 is lifted upwar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S2, 47 can be released from contact with the suction duct 25. As a result, since the suction duct 25 is opened, the blood or solution in the abdominal cavity B can be sucked through the suction duct 25.

이와 같이, 시술자는 흡입버튼(19)을 누르거나 해제함으로써 흡입덕트(25)를 개폐할 수 있다.In this manner, the practitioner can open or close the suction duct 25 by pressing or releasing the suction button 19.

관류/가스버튼(17)도 흡입버튼(19)과 유사한 구조를 갖는다. 관류버튼(17)도 하우징(18)에 지지되며, 이 관류버튼(17)의 하부에는 스프링(S1)이 배치됨으로써 관류버튼(17)을 탄력적으로 지지하게 된다.The perfusion / gas button 17 also has a structure similar to the suction button 19. The flow-through button 17 is also supported by the housing 18. A spring S1 is disposed under the flow-through button 17 to elastically support the flow-through button 17. [

관류버튼(17)의 하부에는 2개의 가압바(43,45)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즉, 2개의 가압바(43,45)는 관류덕트(23)를 가압하거나 해제하는 관류 가압바(45)와; 가스덕트(21)를 가압하거나 해제하는 가스 가압바(43)를 포함한다.At the lower portion of the flow-through button 17, two pressure bars 43 and 45 are protruded. That is, the two pressure bars 43 and 45 include a flow-through pressure bar 45 for pressing or releasing the flow-through duct 23; And a gas pressure bar (43) for pressing or releasing the gas duct (21).

관류 가압바(45)와 가스 가압바(43)는 관류버튼(17)을 누르는 경우 같이 연동하여 승하강한다. 즉, 관류버튼(17)을 누르는 경우, 관류 가압바(45)와 가스 가압바(43)가 동시게 하강함으로써 각각 관류덕트(23)와 가스덕트(21)를 가압하게 된다. The pressurization bar 45 and the gas pressurization bar 43 are moved upward and downward in cooperation with each other when the flow-through button 17 is pressed. That is, when the flow-through button 17 is depressed, the flow-through pressure bar 45 and the gas pressure bar 43 simultaneously descend to pressurize the flow-through duct 23 and the gas duct 21, respectively.

반대로, 관류버튼(17)을 누르는 힘을 해제하는 경우, 관류 가압바(45)와 가스 가압바(43)가 동시에 관류덕트(23)와 가스덕트(21)로부터 이탈되어 상승하게 된다.Conversely, when releasing the force pressing the flow-through button 17, the flow-through pressure bar 45 and the gas pressure bar 43 simultaneously move away from the flow-through duct 23 and the gas duct 21.

결과적으로, 시술자가 관류버튼(17)을 누르는 경우, 관류덕트(23)가 개방되어 복강(B)내로 수액이 공급되며, 동시에 가스덕트(21)를 통하여 가스가 공급될 수 있다.As a result, when the practitioner presses the perfusion button 17, the perfusion duct 23 is opened and the fluid is supplied into the abdominal cavity B, and at the same time, the gas can be supplied through the gas duct 21.

소작부(6)는 흡입 관류관(13)의 내부에 전후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장기(S) 등에 대하여 전기적인 소작시술을 행할 수 있는 전기봉(37)과; 몸체(3)에 힌지가능하게 장착되어 시술자가 당기거나 미는 경우 전기봉(37)을 전후진시키는 트리거(Trigger;29)와; 트리거(29)를 몸체(3)에 고정시키는 안전바(33)와; 전기봉(37)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기 플러그(27)를 포함한다.The cauterization unit 6 includes an electric rod 37 which is disposed inside the suction perfusion tube 13 so as to be able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so as to perform electrical cauterization for the organ S and the like; A trigger 29 hingedly mounted on the body 3 to advance and retract the electric rod 37 when the operator pulls or pivots; A safety bar 33 for fixing the trigger 29 to the body 3; And an electric plug (27) for supplying electricity to the electric rod (37).

이러한 구조를 갖는 소작부(6)에 있어서, 전기봉(37)은 흡입 관류관(13)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는 직경을 갖는다. 전기봉(37)의 선단에는 집게턱(J)이 장착됨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전기 소작을 실시할 수 있다. In the cauterization section 6 having such a structure, the electric rod 37 has a diameter that can be disposed inside the suction inlet pipe 13. The electric jaw J is mounted on the tip of the electric rod 37, so that the electric cauterization can be performed more easily.

전기봉(37)의 후단은 트리거(29)에 연결된다. 따라서, 시술자가 손가락 등을 이용하여 트리거(29)를 당기는 경우, 전기봉(37)이 전진함으로써 시술부위로 접근할 수 있다.The rear end of the electric rod 37 is connected to the trigger 29. Therefore, when the practitioner pulls the trigger 29 using a finger or the like, the electric rod 37 can advance to the treatment site by advancing.

트리거(29)는 몸체(3)에 힌지핀에 의하여 장착되며, 트리거(29)의 후방에는 인장스프링(미도시)이 연결되어 몸체(3)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트리거(29)는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 예를 들면 시술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 인장 스프링(S)에 의하여 뒤로 당겨지게 되므로 전기봉(37)은 후진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The trigger 29 is attached to the body 3 by a hinge pin and a tension spring (not shown) is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trigger 29 to be fixed to the body 3. Therefore, when the external force is not applied to the trigger 29, for example, when the trigger 29 is not operated, the trigger 29 is pulled back by the tension spring S, so that the electric rod 37 maintains the backward state.

트리거(29)는 손가락 등으로 이 트리거(29)를 당기는 경우 전기봉(37)이 전진하게 되고, 당기는 상태를 해제하는 경우에는 전기봉(37)이 인장 스프링(S)에 의하여 후진하게 된다. When the trigger 29 is pulled by a finger or the like, the electric rod 37 is advanced. When the trigger 29 is released, the electric rod 37 is moved backward by the tension spring S.

전기봉(37)에 의한 소작시술을 지속적으로 행하여야 하는 경우, 안전바(33)에 의하여 트리거(29) 위치를 고정시킴으로써 전기봉(37)이 시술부위에 접근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When the cauterization procedure by the electric rod 37 is to be continuously performed, the position of the trigger 29 can be fixed by the safety bar 33 so that the electric rod 37 can be kept in a state of approaching the treatment site.

안전바(33)는 몸체(3)의 하부에 힌지핀에 의하여 장착되며, 상면에는 다수의 기어산(35)이 형성되어 있다. 기어산(35)은 트리거(29)에 돌출된 돌기(31)에 순차적으로 걸릴 수 있다.The safety bar 33 is attached to a lower portion of the body 3 by a hinge pin and a plurality of gear teeth 35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The gear teeth 35 can be sequentially engaged with the projections 31 protruding from the trigger 29.

트리거(29)를 일정 각도로 위치시킨 후, 안전바(33)를 회전시켜서 다수의 기어산(35)중 하나의 기어산(35)에 돌기(31)가 걸리게 조작함으로써 트리거(29)가 일정 위치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The trigger 29 is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then the safety bar 33 is rotated so that the projection 31 is engaged with one of the gear teeth 35 of the plurality of gear teeth 35, It can be stably fixed in position.

전기봉(37)은 단극 방식 뿐만 아니라 양극방식에도 적용할 수 있다.The electric rod 37 can be applied not only to the unipolar type but also to the bipolar type.

전기봉(37)을 단극방식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전기봉(37)의 선단에 장착된 집게턱(J)이 전방으로 돌출됨으로써 전기소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반면에 전기봉(37)을 양극방식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 집게턱(J)의 작동으로 전기소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When the electric rod 37 is used in a unipolar fashion, the tongue jaw J mounted on the tip of the electric rod 37 protrudes forward, so that the electric cauterization can be perform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electric bar 37 is used in a bipolar manner, electric cautery can be performed by operation of the tongue jaw J.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흡입관류기를 이용하여 복강경 시술을 하는 과정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laparoscopic procedure using the suction perfus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강경 시술을 하는 경우, 먼저 선단부(5)를 복강(B)내로 진입시키고, 흡입 관류관(13)의 선단이 시술부위에 접촉할 때까지 전진시킨다. 이때, 펌프가 구동됨으로써 흡입 관류관(13) 및 흡입덕트(25)의 내부는 음압상태가 된다.As shown in Figs. 1 to 4, when the laparoscopic procedure is performed, the distal end portion 5 is first introduced into the abdominal cavity B, and the distal end of the suction perfusion tube 13 is advanced until it contacts the treatment site. At this time, by driving the pump, the interior of the suction pipe 13 and the suction duct 25 becomes a sound pressure state.

이 상태에서 흡입 관류관(13)의 선단이 시술부위에 접촉하면, 흡입 관류관(13) 및 흡입덕트(25) 내부의 음압에 의하여 혈액 혹은 용액이 흡입 관류관(13)을 통하여 흡입되어 배출될 수 있다.In this state, when the tip of the suction perfusion tube 13 comes into contact with the treatment site, blood or solution is sucked through the suction perfusion tube 13 by the sound pressure inside the suction perfusion tube 13 and the suction duct 25, .

흡입시술을 중단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버튼부(7)의 흡입버튼(19)을 누르게 되고, 흡입버튼(19)의 하강에 의하여 흡입 가압바(47)가 하강하여 흡입덕트(25)를 가압한다.The suction button 19 of the button portion 7 is depressed and the suction pressure bar 47 is lowered by the descent of the suction button 19 to pressurize the suction duct 25 .

이이 따라, 흡입덕트(25)가 눌려져서 폐쇄되고, 흡입덕트(25)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이 차단됨으로써 흡입시술이 중단될 수 있다.As a result, the suction duct 25 is pushed and closed, and the flow of air discharged through the suction duct 25 is blocked, so that the suction procedure can be interrupted.

물론, 흡입시술을 다시 재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이 흡입버튼(19)을 누른 힘을 해제하면 흡입버튼(19)이 스프링(S2)의 탄력에 의하여 상승함으로써 흡입 가압바(47)가 흡입덕트(25)로부터 이탈되어 음압이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The suction button 19 is lift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S2 so that the suction pressure bar 47 is lifted by the suction duct 19 25 so that the negative pressure can be maintained constantly.

흡입시술 중, 장기(S)가 흡입 관류관(13)의 선단에 압력차에 의하여 들러붙는 경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가스 주입관(11)을 통하여 가스를 복강(B)내로 주입하게 된다.When the organ S adheres to the tip of the suction perfusion tube 13 due to a pressure difference during the inhalation procedure, the gas is injected into the peritoneal cavity B through the gas injection tube 11 to prevent it.

이러한 가스 주입 과정을 설명하면, 버튼부(7)의 관류버튼(17)을 1회 누르게 되면, 관류덕트(23) 및 가스덕트(21)를 누르고 있던 관류 가압바(45) 및 가스 가압바(43)가 상승하게 된다. When the flow-through button 17 of the button portion 7 is pressed once, the flow-through pressure bar 45 and the gas pressure bar (not shown), which have pressed the flow-through duct 23 and the gas duct 21, 43).

따라서, 관류덕트(23)와 가스덕트(21)가 개방됨으로써 수액 혹은 가스가 복강(B)내로 주입될 수 있다. 이때, 수액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라면 가스만이 가스 주입관(11)과 노즐(h)을 통하여 복강(B)내로 주입될 수 있다.Therefore, the inflow duct 23 and the gas duct 21 are opened, so that the infusion fluid or gas can be injected into the peritoneal cavity B. At this time, if the liquid is not supplied, only the gas can be injected into the abdominal cavity B through the gas injection tube 11 and the nozzle h.

이와 같이, 다수의 노즐(h)을 통하여 장기(S)와 선단부(5)의 사이로 주입된 가스는 장기(S)가 흡입 관류관(13)의 흡입력에 의하여 관류공(15)을 막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gas injected between the organ S and the tip 5 through the plurality of nozzles h prevents the organ S from blocking the perfusion hole 15 by the suction force of the suction perfusion tube 13 can do.

만약, 가스 주입을 중단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버튼부(7)의 관류버튼(17)을 한 번 더 누르게 된다. 이와 같이 관류버튼(17)을 한 번 더 누르게 되면 관류 가압바(45) 및 가스 가압바(43)가 하강함으로써 관류덕트(23) 및 가스덕트(21)를 가압하여 폐쇄시킨다.If the gas injection is to be stopped, the flow-through button 17 of the button portion 7 is pressed again. When the perfusion button 17 is further depressed as described above, the perfusion pressure bar 45 and the gas pressure bar 43 are lowered to thereby pressurize the perfusion duct 23 and the gas duct 21 to be closed.

한편, 전기 소작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안전바(33)를 해제한 후, 트리거(29)를 후방으로 당긴다. 트리거(29)가 당겨지면 전기봉(37)이 전진하여 시술부위에 도달한다. 이때 상기 전기봉(37)에는 전원이 공급된 상태이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electric cauterization is performed, the safety bar 33 is released and the trigger 29 is pulled backward. When the trigger 29 is pulled, the electric rod 37 advances and reaches the treatment site. At this time, electric power is supplied to the electric rod 37.

전기봉(37)이 시술부위에 접촉함으로써 전기소작 시술이 행해질 수 있다.
The electrocautery can be performed by the contact of the electric rod 37 with the treatment site.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제2실시예에서는 흡입버튼(19)의 작동에 의해 가스덕트(21)와 흡입덕트(25)의 개폐가 동시에 결정된다. 흡입 시술 필요시 흡입버튼(19)을 조작하여 흡입과 가스 분사를 동시에 실시할 수 있다.In the second embodiment,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gas duct 21 and the suction duct 25 are simultaneously determined by the operation of the suction button 19. [ When the suction operation is required, suction and gas injection can be simultaneously performed by operating the suction button (19).

이 경우 가스 분사에 의해 장기가 관류공(15)을 막는 것을 방지하면서 동시에 흡입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실시예에 비해 흡입 시술이 간편해 진다.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rgans from blocking the perfusion hole 15 by the gas injection, and simultaneously perform the suction operation. Therefore, the suction operation is simplified as compared with the first embodiment.

다른 실시예에서는 가스덕트(21)의 개폐와 흡입덕트(25)의 개폐가 독립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gas duct 21 and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suction duct 25 can be configured independently.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제3실시예에서는 조작부(버튼부, 7)의 조작에 의해 가스 분사의 유량이 변환한다. 수술 상태 등에 따라 흡입 시 관류공(15)의 막힘을 방지할 수 있는 가스 분사 강도가 상이할 수 있다. 제3실시예에서는 가스 분사 강도를 조절할 수 있어, 적절한 가스 분사 강도를 선택할 수 있다. In the third embodiment, the flow rate of the gas injection is changed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portion (button portion) 7. The gas injection intensity that can prevent clogging of the perfusion hole 15 upon inhalation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operation state and the like. In the third embodiment, the gas injection intensity can be adjusted and the appropriate gas injection intensity can be selected.

다른 실시예에서는 가스 분사의 유량을 3단 이상 선택하도록 마련하거나, 가스 분사 유량을 연속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게 마련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flow rate of the gas injection may be selected in three or more stages, or the gas injection flow rate may be continuously changed.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제4실시예에서는 노즐(h)이 불균일하게 배치된다. 직경이 큰 노즐(h1)이 3개 인접배치되어 있으며, 직경이 작은 노즐(h2) 5개가 인접배치되어 있다.In the fourth embodiment, the nozzles h are arranged non-uniformly. Three nozzles h1 having a large diameter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five nozzles h2 having a small diameter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노즐(h)의 크기 및 배치는 다양하게 변화할 수 있으며, 관류공(15)은 가스 주입관(11)에 대하여 편심되어 위치할 수도 있다.
The size and arrangement of the nozzles h may vary and the perfusion holes 15 may be positioned eccentrically with respect to the gas injection tube 11.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제5실시예에서는 선단부(5)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노즐(h)외에 가스 주입관(11)의 측면에 형성된 측면노즐(h3)이 형성되어 있다. 가스 분사 시 노즐(h)과 측면 노즐(h3)에서 동시에 가스가 분사되어 관류공(15)의 부착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측면노즐(h3)의 형상, 크기 및 배치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In the fifth embodiment, in addition to the nozzle h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istal end portion 5, side nozzles h3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gas injection tube 11 are formed. Gas can be injected at the same time from the nozzle h and the side nozzle h3 at the time of gas injection so that the adhesion of the perforation hole 15 can be more effectively prevented. The shape, size, and arrangement of the side nozzles h3 may be variously modified.

Claims (11)

몸체부와;
신체 내 액체를 관류공을 통해 흡입하거나 신체 내에 액체를 주입하는 흡입 관류관과;
상기 관류공 주변에서 가스를 주입하여 상기 관류공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는 가스 주입부와;
상기 몸체에 구비되어 상기 흡입 관류관 및 상기 가스 주입부의 작동을 조작하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흡입 관류기.
A body portion;
A suction perfusion tube for sucking liquid in the body through a perfusion hole or injecting a liquid into the body;
A gas injection unit for injecting a gas around the perfusion hole to prevent the perfusion hole from being clogged;
And an operating portion provided on the body for operating an operation of the suction perfusion tube and the gas injection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주입부는 상기 관류공의 둘레에서 가스를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관류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gas injection unit injects gas around the perforation hole.
제2항에 있어서,
가스 주입 방향과 흡입방향은 서로 역방향이며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관류기.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gas injection direction and the suction direction are opposite and parallel to each oth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주입부는 상기 흡입 관류관을 감싸는 관체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관류기.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gas injection unit has a tubular shape that surrounds the suction-perfusion pip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주입부는 흡입 관류관의 외측에 배치되어 감싸는 형상을 갖으며 가스의 통로가 되는 가스 주입관과; 상기 가스 주입관의 일측에 형성되어 가스가 분사되는 노즐과; 상기 가스 주입관의 타측에 연결되어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덕트를 포함하는 흡입 관류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gas injection unit includes a gas injection tube having a shape disposed on the outside of the suction pipe and wrapped around the gas injection pipe and serving as a gas passage; A nozzle formed at one side of the gas injection pipe and through which gas is injected; And a gas duct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gas injection pipe to supply ga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가스 주입과 흡입 작동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상기 흡입 관류관 및 상기 가스 주입부를 조작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관류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perating portion is capable of operating the suction inlet pipe and the gas inlet portion so that the gas injection and the suction operation are simultaneously perform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주입부는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서로 다른 유량의 가스를 선택적으로 주입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관류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gas injecting unit is capable of selectively injecting gases having different flow rates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the operating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관류관의 내측에 전후진 가능하게 배치되어 소작을 실시하는 소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관류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auterizing portion disposed inside the suction perfusion tube so as to be capable of moving forward and backward and performing cauteriza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작부는 흡입 관류관의 내부에 전후진 가능하게 배치되어 전기적인 소작시술을 행할 수 있는 전기봉과; 상기 몸체에 힌지가능하게 장착되어 시술자가 당기거나 미는 경우 전기봉을 전후진시키는 트리거와; 상기 트리거를 몸체에 고정시키는 안전바와; 상기 전기봉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기 플러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관류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auterization section being disposed inside the suction perfusion tube so as to be able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and to perform an electric cauterization procedure; A trigger hingedly mounted on the body to advance and retract the electrode when the operator pulls or pivots; A safety bar for securing the trigger to the body; And an electric plug for supplying electricity to the electric rod.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봉의 선단에는 집게턱이 구비되어, 벌어지거나 접혀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관류기.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a tip of the electric rod is provided with a tongue jaw and can be opened or folded.
제 1항에 있어서,상기 흡입 관류기는 복강경 수술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관류기. The suction aspirato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ction perfusion unit is used in laparoscopic surgery.
KR1020130146221A 2013-11-28 2013-11-28 suction and irrigator KR10154648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6221A KR101546488B1 (en) 2013-11-28 2013-11-28 suction and irrig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6221A KR101546488B1 (en) 2013-11-28 2013-11-28 suction and irrig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1897A true KR20150061897A (en) 2015-06-05
KR101546488B1 KR101546488B1 (en) 2015-08-21

Family

ID=53499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6221A KR101546488B1 (en) 2013-11-28 2013-11-28 suction and irrig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6488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78546A1 (en) * 2017-10-17 2019-04-25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Surgical instrument for suction and irrigation
CN110338879A (en) * 2019-08-09 2019-10-18 刘飞德 A kind of high throughput laparoscope elastic separating plier
KR20200114299A (en) 2019-03-28 2020-10-07 주식회사 화인메디 Medical suction and irrigation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2922A (en) 2017-01-11 2018-07-19 이병갑 Medical Suction and Irrigation Apparatus with Surgical Electrod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9006B1 (en) 2000-05-30 2003-06-25 이희영 Searching and operating device of bleeding point comprising air brush
KR200357595Y1 (en) 2004-04-21 2004-07-30 이두연 An inhaler of blood for a surgical operation with an endoscop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78546A1 (en) * 2017-10-17 2019-04-25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Surgical instrument for suction and irrigation
US11383018B2 (en) 2017-10-17 2022-07-12 Orange Medics, Inc. Surgical instrument for suction and irrigation
KR20200114299A (en) 2019-03-28 2020-10-07 주식회사 화인메디 Medical suction and irrigation apparatus
CN110338879A (en) * 2019-08-09 2019-10-18 刘飞德 A kind of high throughput laparoscope elastic separating plier
CN110338879B (en) * 2019-08-09 2024-05-03 刘飞德 High-flux laparoscope separating forcep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6488B1 (en) 2015-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98229T3 (en) Device and manual drive system for spraying a tissue sealant
ES2297305T3 (en) ELECTRO-SURGICAL PENCIL WITH HEAD WITH A MANUAL VACUUM CLEANER / IRRIGATOR.
JP5860410B2 (en) Colon cleaning device
EP1991288B1 (en) Endoscopic suction device
JP6431847B2 (en) Medical / surgical irrigation unit with a control assembly that can be set to momentary on or constant on
AU745353B2 (en) Pneumatic tissue dissector with exhaust system
US5273524A (en) Electrosurgical device
KR101546488B1 (en) suction and irrigator
US7731713B2 (en) Versatile irrigation system dissector
US7540873B2 (en) Four function microsurgery instrument
JPH07500041A (en) Multifunctional probe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US20070213667A1 (en) Suction Irrigation Cleaner
US20160206369A1 (en) Laparoscopic suction device and method
CN114344669A (en) Irrigation suction tube and surgical device
KR20180082922A (en) Medical Suction and Irrigation Apparatus with Surgical Electrode
CN204147118U (en) Ablating electrode inhaled by a kind of holding hook
KR101477980B1 (en) Dental chair unit and suction of the air supply system
EP0578376A1 (en) Ultrasonic surgical aspirator
JP2013000308A (en) Illumination suction injection exclusion outer cylinder for endoscopic surgery forceps
JP2010263926A (en) Injector for endoscope
WO2010070387A1 (en) Surgical device for washing wounds and surgical sites
JPH10155807A (en) Treatment tool for endoscope
KR102358496B1 (en) Multi-channel suction and irrigation tube
CN201719330U (en) Novel surgical small needle knife
JP6472078B2 (en) Endoscop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