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1749A - 주물사배출노즐 - Google Patents

주물사배출노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1749A
KR20150061749A KR1020130145830A KR20130145830A KR20150061749A KR 20150061749 A KR20150061749 A KR 20150061749A KR 1020130145830 A KR1020130145830 A KR 1020130145830A KR 20130145830 A KR20130145830 A KR 20130145830A KR 20150061749 A KR20150061749 A KR 201500617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molding sand
sand
vertical hol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5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상진
Original Assignee
최상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상진 filed Critical 최상진
Priority to KR1020130145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61749A/ko
Publication of KR201500617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17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CFOUNDRY MOULDING
    • B22C15/00Mould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compacting mechanism; Accessories therefor
    • B22C15/02Compacting by pressing devices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ting Devices For Mol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물사배출노즐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주물사가 내입된 샌드호퍼의 하부에 장착되어 금형틀 내부로 주물사를 진입시키는 주물사배출노즐에 있어서,
상기 주물사배출노즐(100)은 원기둥형상의 몸체(110)로 구성되며, 상기 몸체(110)의 외주면에는 나선부(112)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중앙에는 상,하부를 관통하는 수직홀(113)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수직홀(113)의 상부측에는 테이퍼면(114)이 형성되며, 상기 테이퍼면(114)이 끝나는지점에는 걸림턱(115)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홀(113)에는 압력에 의해 주물사(10)가 하부로 배출되는 개폐노즐부(120)가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개폐노즐부(120)는 상부가 개구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부면은 중심으로부터 방사형으로 절개된 다수개의 조각편(122)을 포함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노즐의 개폐가 명확함으로 주물사가 새지 않아 원자재의 손실량을 최소화시키며, 노즐이 막히지 않아 제품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감소시킴으로써 작업의 효율성이 높은 주물사배출노즐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주물사배출노즐 {blowing nozzle for molding sand}
본 발명은 주물사배출노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형 금형에서 사용되며 샌드호퍼의 하부에 장착되어 금형틀 내부로 주물사를 진입시키는 주물사배출노즐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로서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 10-0721633호(사형을 제조하는 조형기 및 사형을 제조하는 방법)에 의하면, 사형을 위한 조형 장치로서, 복수의 노즐이 주물사를 포함하는 샌드 호퍼의 하부에 설치되며, 압력을 제어하도록 샌드 호퍼의 하부에 설치된 복수의 스퀴즈 풋이 노즐의 측부에 서로 인접하게 배열되며, 상기 샌드호퍼는 지지 수단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조형 공간은 패턴, 주형틀, 바닥 주물사를 갖는 패턴 플레이트로 형성되며, 복수의 스퀴즈 풋을 갖는 샌드 호퍼는 바닥 프레임의 상부에 배열되며, 주물사는 주물사를 조형 공간에 채우도록 노즐로부터 배출되며, 샌드 호퍼는 스퀴즈 풋에 의해 조형 공간 내의 주물사를 압축시키기 위해 조형 공간을 향해 하강되며, 주물사는 조형 공간 내에 채워질 수 있으며 주물사는 하나의 스테이션(압축 및 압축 스테이션) 내에서 압축될 수 있다고 기재되어 있다.
다른 종래기술로서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 20-0336181호(샌드 블라스트용 노즐)에 의하면, 상기 샌드 블라스트용 노즐은 냉간공구강을 주소재로 하며, 내측에 일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분사경로를 구비하고, 상기 분사경로 중 가장 작은 분출단면부 내측에 링수용홈이 형성된 노즐본체와; 초경합금을 주소재로 하며, 상기 노즐본체의 링수용홈에 설치되어 내주면이 상기 노즐본체와 함께 매끄러운 분사경로를 형성하는 내마모링;으로 구성되어 연마재가 상기 노즐본체와 내마모링을 연속으로 통과하여 분사됨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고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품에서는 노즐이 쉽게 막혀서 제품불량이 발생하고, 충격에 의해 노즐 내부의 주물사가 외부로 세게 되어 작업의 효율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노즐의 개폐가 명확함으로 주물사가 새지 않아 원자재의 손실량을 최소화시키며, 노즐이 막히지 않아 제품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감소시킴으로써 작업의 효율성이 높은 주물사배출노즐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주물사배출노즐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주물사가 내입된 샌드호퍼의 하부에 장착되어 금형틀 내부로 주물사를 진입시키는 주물사배출노즐에 있어서,
상기 주물사배출노즐(100)은 원기둥형상의 몸체(110)로 구성되며, 상기 몸체(110)의 외주면에는 나선부(112)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중앙에는 상,하부를 관통하는 수직홀(113)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수직홀(113)의 상부측에는 테이퍼면(114)이 형성되며, 상기 테이퍼면(114)이 끝나는지점에는 걸림턱(115)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홀(113)에는 압력에 의해 주물사(10)가 하부로 배출되는 개폐노즐부(120)가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개폐노즐부(120)는 상부가 개구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부면은 중심으로부터 방사형으로 절개된 다수개의 조각편(122)으로 구성되는 것이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물사배출노즐은 노즐의 개폐가 명확함으로 주물사가 새지 않아 원자재의 손실량을 최소화시키며, 노즐이 막히지 않아 제품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감소시킴으로써 작업의 효율성이 높은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주물사배출노즐의 결합도
도2는 본 발명의 주물사배출노즐의 저면 결합도
도3은 본 발명의 주물사배출노즐의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주물사배출노즐의 개폐노즐부의 저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주물사배출노즐의 저면사시도
도6은 도5의 개폐노즐부의 작동도
도7은 본 발명의 주물사배출노즐의 실시도
도8은 도7의 주물사배출노즐의 확대 단면도
도9는 본 발명의 주물사배출노즐의 몸체의 단면도
본 발명은 주물사배출노즐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주물사가 내입된 샌드호퍼의 하부에 장착되어 금형틀 내부로 주물사를 진입시키는 주물사배출노즐에 있어서, 상기 주물사배출노즐(100)은 원기둥형상의 몸체(110)로 구성되며, 상기 몸체(110)의 외주면에는 나선부(112)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중앙에는 상,하부를 관통하는 수직홀(113)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수직홀(113)의 상부측에는 테이퍼면(114)이 형성되며, 상기 테이퍼면(114)이 끝나는지점에는 걸림턱(115)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홀(113)에는 압력에 의해 주물사(10)가 하부로 배출되는 개폐노즐부(120)가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개폐노즐부(120)는 상부가 개구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부면은 중심으로부터 방사형으로 절개된 다수개의 조각편(122)으로 구성되는 것이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110)의 하부면에는 링형상의 끼움홈(116)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116)에는 패킹부재(130)가 끼워지는 것으로, 상기 패킹부재(130)는 링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부면보다 하부로 더 돌출된 상태로 끼움결합되는 것이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의 주물사배출노즐의 결합도, 도2는 본 발명의 주물사배출노즐의 저면 결합도, 도3은 본 발명의 주물사배출노즐의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주물사배출노즐의 개폐노즐부의 저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주물사배출노즐의 저면사시도, 도6은 도5의 개폐노즐부의 작동도, 도7은 본 발명의 주물사배출노즐의 실시도, 도8은 도7의 주물사배출노즐의 확대 단면도, 도9는 본 발명의 주물사배출노즐의 몸체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주물사배출노즐은 주물사가 내입된 샌드호퍼의 하부에 장착되어 금형틀 내부로 주물사를 진입시킨다.
상기 주물사배출노즐은 원기둥형상의 몸체로 구성되되, 상기 몸체의 하부에 는 수평단면이 육각형인 헤드부가 형성되어있다.
그리고 상기 주물사 배출노즐은 헤드부가 하부를 향하도록 하여 샌드호퍼의 하부에 나사결합으로 장착되어지는 것으로,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는 나선부가 형성되며, 이와 대응되는 샌드호퍼에도 나선부가 형성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몸체에 형성된 나선부를 헤드부의 상부 일부구간에만 형성시켜 사용자가 짧은시간에 샌드호퍼에서 몸체를 용이하게 탈착하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 헤드부의 하면에는 링형상의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에는 링형상의 패킹부재가 끼워지되, 상기 패킹부재는 하부로 돌출된 상태로 끼움결합된다.
상기 패킹부재의 하면은 금형틀의 상부면과 접촉되기 때문에 샌드호퍼 내부의 주물사가 외부로 세지않고 용이하게 금형틀 내부로 진입시키게 된다.
또한, 도1 및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의 중앙에는 상,하부를 관통하는 수직홀이 형성되며, 상기 수직홀의 수직단면은 ‘
Figure pat00001
’형상으로 상부 일부구간에는 테이퍼면이 형성되며, 상기 테이퍼면이 끝나는지점에는 걸림턱이 형성되어있다.
상기 테이퍼면은 본 발명의 주물사배출노즐이 샌드호퍼에 장착되었을 경우, 주물사배출노즐의 상면이 샌드호퍼의 내부 하면보다 하부에 위치하게 되므로 샌드호퍼 내부의 주물사가 용이하게 몸체의 외부면에 쌓여서 노즐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수직홀에는 개폐노즐부가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개폐노즐부의 전체적인 형상은 원기둥모양의 링 형상으로 형성되되, 하부면에는 하부를 개폐하는 다수개의 조각편이 형성되어있다.
상기 개폐노즐부의 하부면은 중심으로부터 방사형으로 절개되는 것으로, 상기 하부면은 ‘
Figure pat00002
’형상으로 절개되어 ‘
Figure pat00003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러므로 다수개의 조각편은 ‘
Figure pat00004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조각편은 원호형상의 원호부와 직선형상의 절개부로 구성되며, 상기 원호부는 개폐노즐부의 하부 외주면과 일체로 붙어있고, 절개부는 각각 분리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다수개의 조각편은 개폐노즐부의 하부 외주면과 일체로 형성되되, 끝단부는 구속되지 않기 때문에 압력에 의해 밀려지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개폐노즐부는 실리콘재질 등의 연질의 고무로 이루어지므로,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노즐부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압력을 가하면, 하부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조각편이 하부외측으로 이동함으로써 하부면이 개방되어지는 것이다.
즉, 상기 다수개의 조각편의 원호부는 개폐노즐부의 하부 외주면과 일체로 붙어있고, 절개부는 각각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개폐노즐부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압력을 가하면, 하부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조각편이 하부외측으로 밀려짐으로써 하부면이 개방되어진다.
또한, 압력을 제거하게 되면 조각편의 탄성력 때문에 본래의 자리로 되돌아가게되므로 하부면은 폐쇄되어지는 것이다.
즉, 상기 도6 및 7에 도시된바와 같이, 샌드호퍼의 상부에서 에어압력이 가해지면 개폐노즐부의 하부는 개방되기 때문에 샌드호퍼 내의 주물사가 금형틀 내부로 주입되어 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개폐노즐부의 상부 외주면에는 링형상의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개폐노즐부가 수직홀에 장착될 때, 상기 걸림돌기가 수직홀의 걸림턱에 걸려짐으로써 상기 개폐노즐부는 용이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개폐노즐부는 몸체에서 용이하게 착탈가능하여 교체가 가능한 것으로, 사용자는 노즐교환에 따른 비용부담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물사배출노즐은 노즐의 개폐가 명확함으로 주물사가 새지 않아 원자재의 손실량을 최소화시키며, 노즐이 막히지 않아 제품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감소시킴으로써 작업의 효율성이 높은 현저한 효과가 있다.
10:주물사 20:샌드호퍼
30:금형틀
100:주물사배출노즐 110:몸체
111:헤드부 112:나선부
113:수직홀 114:테이퍼면
115:걸림턱 116:끼움홈
120:개폐노즐부 121:걸림돌기
122:조각편 123:원호부
124:절개부
130:패킹부재

Claims (2)

  1. 내부에 주물사가 내입된 샌드호퍼의 하부에 장착되어 금형틀 내부로 주물사를 진입시키는 주물사배출노즐에 있어서,
    상기 주물사배출노즐(100)은 원기둥형상의 몸체(110)로 구성되며, 상기 몸체(110)의 외주면에는 나선부(112)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중앙에는 상,하부를 관통하는 수직홀(113)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수직홀(113)의 상부측에는 테이퍼면(114)이 형성되며, 상기 테이퍼면(114)이 끝나는 지점에는 걸림턱(115)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홀(113)에는 압력에 의해 주물사(10)가 하부로 배출되는 개폐노즐부(120)가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개폐노즐부(120)는 상부가 개구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부면은 중심으로부터 방사형으로 절개된 다수개의 조각편(122)으로 구성되는 것이 특징인 주물사배출노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10)의 하부면에는 링형상의 끼움홈(116)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116)에는 패킹부재(130)가 끼워지는 것으로, 상기 패킹부재(130)는 링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부면보다 하부로 더 돌출된 상태로 끼움결합되는 것이 특징인 하는 주물사배출노즐
KR1020130145830A 2013-11-28 2013-11-28 주물사배출노즐 KR201500617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5830A KR20150061749A (ko) 2013-11-28 2013-11-28 주물사배출노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5830A KR20150061749A (ko) 2013-11-28 2013-11-28 주물사배출노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1749A true KR20150061749A (ko) 2015-06-05

Family

ID=53499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5830A KR20150061749A (ko) 2013-11-28 2013-11-28 주물사배출노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6174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73968A (zh) * 2018-04-02 2018-07-13 广西玉柴机器股份有限公司 一种铸造冷芯盒射嘴端头防粘砂的方法及结构
CN110252963A (zh) * 2019-07-30 2019-09-20 侯马市东鑫机械铸造有限公司 用于铸造生产线上的射砂整体工装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73968A (zh) * 2018-04-02 2018-07-13 广西玉柴机器股份有限公司 一种铸造冷芯盒射嘴端头防粘砂的方法及结构
CN110252963A (zh) * 2019-07-30 2019-09-20 侯马市东鑫机械铸造有限公司 用于铸造生产线上的射砂整体工装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9207B1 (ko) 핫러너 사출금형의 게이트 밸브장치
KR20150061749A (ko) 주물사배출노즐
KR101292498B1 (ko) 벤트봉을 구비한 노즐
EP2907601B1 (en) Machin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nd cores
KR101578294B1 (ko) 가압형 사출금형
CN208290398U (zh) 牛角浇口顶出机构
CN204076664U (zh) 塑料餐勺模具
KR102095729B1 (ko) 주물 금형용 벤틸레이터 및 그 벤틸레이터를 구비하는 금형
KR100846851B1 (ko) 금형조립체의 밀핀장치
CN204160713U (zh) 一种模具顶针
CN108247964A (zh) 一种自动化注塑生产设备
KR101659535B1 (ko) 진공 사출금형
KR101475152B1 (ko) 사출성형 장치의 노즐
KR101529548B1 (ko) 냉각 및 필터 시스템을 갖춘 알루미늄 코어 성형용 금형
KR20120084157A (ko) 사출성형기용 핫런너
KR102018303B1 (ko) Rtm 금형의 에어 흡입 및 분출 장치
JP5605326B2 (ja) 注型成形品エジェクト装置
CN111531817A (zh) 一种用于注塑模具的圆顶针
US5343928A (en) Two-piece liner for use in a matchplate molding machine
KR20130022199A (ko) 성형기의 진공챔버장치
KR200415476Y1 (ko) 가스배출용 코어를 가지는 프레스장치
US20190111474A1 (en) Method for molding
CN205341881U (zh) 一种铝合金轮毂中低压铸造模具
CN209920439U (zh) 用于制造啤酒盖的模具
CN209126109U (zh) 一种浇口切断注塑模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