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1613A -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보호 방법, 장치, 단말기,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보호 방법, 장치, 단말기,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1613A
KR20150061613A KR1020147021519A KR20147021519A KR20150061613A KR 20150061613 A KR20150061613 A KR 20150061613A KR 1020147021519 A KR1020147021519 A KR 1020147021519A KR 20147021519 A KR20147021519 A KR 20147021519A KR 20150061613 A KR20150061613 A KR 201500616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program
protection
protected
terminal
protection inte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1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리앙 양
웬린 왕
유젠 완
Original Assignee
시아오미 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아오미 아이엔씨. filed Critical 시아오미 아이엔씨.
Publication of KR201500616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16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06F21/12Protecting executable softwa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2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 G06F21/6218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to a system of files or objects, e.g. local or distributed file system or database
    • G06F21/6281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to a system of files or objects, e.g. local or distributed file system or database at program execution time, where the protection is within the operating syst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2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 G06F21/629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to features or functions of an appl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6User authentication by graphic or iconic represen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50Monitoring users, programs or devices to maintain the integrity of platforms, e.g. of processors, firmware or operating systems
    • G06F21/51Monitoring users, programs or devices to maintain the integrity of platforms, e.g. of processors, firmware or operating systems at application loading time, e.g. accepting, rejecting, starting or inhibiting executable software based on integrity or source reliabi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5Program loading or initia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2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21/00 and subgroups addressing 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37Time limited access, e.g. to a computer or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2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21/00 and subgroups addressing 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41Access rights, e.g. capability lists, access control lists, access tables, access matr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2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21/00 and subgroups addressing 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47Locking f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ultimedia (AREA)
  • Technology Law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eth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보호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단말기에 관련된 것으로, 단말기 보안분야에 속한다. 상기 방법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가동을 요청하기 위한 가동요청을 획득하는 단계, 가동요청에 기초하여 가동하려고 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보호될 필요가 있는 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보호될 필요가 있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일 경우 보호 인터페이스를 가동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가동하려고 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보호될 필요가 있다고 검출한 경우 보호 인터페이스를 가동하고 보호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해제신호를 수신한 다음에만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가동함으로써 보호 인터페이스를 가동할 시 보호해야 할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이미 실행상태에 있어 음성재생 등을 통해 당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정보가 누설되는 문제를 해결하고, 가동하려고 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보호할 필요가 있다고 검출되었을 경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가동하지 않고 보호 인터페이스를 직접 가동하는 것을 통하여 전면적으로 철저히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정보를 보호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보호 방법, 장치 및 단말기{METHOD, DEVICE AND TERMINAL FOR PROTECTING APPLICATION PROGRAM}
본 출원은 출원번호가 CN201310533866.4이고 출원일이 2013년10월31일인 중국특허출원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며 당해 중국특허출원의 모든 내용을 본 출원에 원용한다.
본 발명은 네트워크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보호방법, 장치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전자기술의 발전에 따라 디지털제품은 더욱더 광범히 생활과 사업의 각 분야에 응용되고 있으며 휴대폰은 더욱 사람들의 생활에 밀접히 연관되어 있다. 휴대폰의 각종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는 사적인 내용이 저장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자신 이외의 타인이 이러한 내용을 보는 것을 꺼려한다. 때문에 이러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보호할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시스템은 순환검출시스템을 통하여 일지를 가동시키거나 혹은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순환조회하여 금방 실행하기 시작하였거나 현재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보호할 필요가 있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임을 검출하였을 경우 암호화 보호 인터페이스를 가동하여 보호해야 할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사용 인터페이스를 커버하고 당해 암호화 보호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패스워드를 수신하였을 경우 당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사용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패스워드를 수신하지 못했거나 혹은 대응하지 않는 패스워드를 수신하였을 경우 당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사용 인터페이스를 표시하지 않고 당해 암호화 보호 인터페이스만 표시하여 당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보호하는 목적을 달성한다.
본 발명을 실현하는 과정에 발명자는 관련기술에 적어도 이하의 결점이 존재하고 있음을 발견했다. 즉 암호화 보호 인터페이스를 가동하여 보호해야 할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인터페이스를 커버할 시 당해 보호해야 할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이미 실행상태에 있으므로 음성재생 등의 경로를 통해 당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정보가 누설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은 암호화 보호 인터페이스를 가동할 시 당해 보호해야 할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이미 실행상태에 있어 음성재생 등 경로를 통해 당해 보호해야 할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정보가 누설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보호방법, 장치 및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 1 양상에 의하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보호방법을 제공하며 당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보호방법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가동을 요청하기 위한 가동요청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가동요청에 기초하여 가동하려고 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보호할 필요가 있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인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단계, 가동하려고 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보호할 필요가 있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일 경우, 보호 인터페이스를 가동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가동요청에 기초하여 가동하려고 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보호할 필요가 있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인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단계는, 상기 가동요청 중의,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명칭이 포함되어 있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가동 파라미터를 해석하는 단계,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명칭에 기초하여, 보호할 필요가 있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리스트인 보호리스트에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있는지 없는지를 검출하는 단계, 검출결과로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상기 보호 리스트에 있을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보호할 필요가 있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라고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보호방법은, 검출결과로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상기 보호 리스트에 있을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사전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아닌지를 검출하는 단계, 검출결과로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사전 설정된 조건을 만족할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보호할 필요가 있다고 판정하는 단계를 또한 포함하고, 상기 사전 설정된 조건은,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가동된 적이 없다는 조건,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최종 가동된 이후 당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단말기의 스크린이 오프된 적이 있다는 조건,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최종 가동된 이후 당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단말기가 재가동된 적이 있다는 조건,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최종 가동되어서부터 이번에 가동되기까지의 시간이 사전 설정된 값을 초과한다는 조건 중의 임의의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보호 인터페이스를 가동하는 단계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가동 파라미터와 사전에 정의한 보호 인터페이스의 가동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보호 파라미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보호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보호 인터페이스의 가동 파라미터를 취득하는 단계, 상기 보호 인터페이스의 가동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보호 인터페이스를 가동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보호방법은 상기 보호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해제신호를 수신하였을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가동하는 단계를 또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2 양상에 의하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보호장치를 제공하며 당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보호장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가동을 요청하기 위한 가동요청을 획득하기 위한 획득모듈, 상기 가동요청에 기초하여 가동하려고 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보호할 필요가 있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인지 아닌지를 판정하기 위한 판정모듈, 상기 판정모듈에 의해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보호할 필요가 있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라고 판정할 경우 보호 인터페이스를 가동하기 위한 제 1 가동모듈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판정모듈은, 상기 가동요청 중의,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명칭이 포함되어 있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가동 파라미터를 해석하기 위한 해석유닛, 상기 해석유닛에 의해 해석된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명칭에 기초하여, 보호할 필요가 있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리스트인 보호 리스트에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있는지 없는지를 검출하기 위한 제 1 검출유닛, 상기 제 1 검출유닛의 검출결과로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상기 보호 리스트에 있을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보호할 필요가 있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라고 판정하기 위한 판정유닛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판정모듈은, 상기 제 1 검출유닛의 검출결과로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상기 보호 리스트에 있을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사전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아닌지를 검출하기 위한 제 2 검출유닛을 또한 포함하고, 상기 판정유닛은 상기 제 2 검출유닛의 검출결과로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사전 설정된 조건을 만족할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보호할 필요가 있다고 판정하며, 상기 사전 설정된 조건은,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가동된 적이 없다는 조건,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최종 가동된 이후 당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단말기의 스크린이 오프된 적이 있다는 조건,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최종 가동된 이후 당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단말기가 재가동된 적이 있다는 조건,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최종 가동되어서부터 이번에 가동되기까지의 시간이 사전 설정된 값을 초과한다는 조건 중의 임의의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 1 가동모듈은,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가동 파라미터와 사전에 정의한 보호 인터페이스의 가동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보호 파라미터를 생성하기 위한 생성유닛, 상기 생성유닛에 의해 생성된 상기 보호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보호 인터페이스의 가동 파라미터를 취득하기 위한 취득유닛, 상기 취득유닛에 의해 취득한 상기 보호 인터페이스의 가동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보호 인터페이스를 가동하기 위한 가동유닛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보호장치는 상기 보호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해제신호를 수신하였을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가동하기 위한 제 2 가동모듈을 또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 3 양상에 의하면 단말기를 제공하며 당해 단말기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보호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 4 양상에 의하면 단말기를 제공하며 당해 단말기는, 하나 혹은 복수의 프로세서, 메모리 및 하나 혹은 복수의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하나 혹은 복수의 모듈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하나 혹은 복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며, 상기 하나 혹은 복수의 모듈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가동을 요청하기 위한 가동요청을 획득하고, 상기 가동요청에 기초하여 가동하려고 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보호할 필요가 있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인지 아닌지를 판정하며, 가동하려고 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보호할 필요가 있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일 경우 보호 인터페이스를 가동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안은 가동요청을 획득하고, 당해 가동요청에 기초하여 가동하려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보호할 필요가 있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인지 아닌지를 검출하며, 검출결과로서 당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보호할 필요가 있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일 경우, 보호 인터페이스를 가동한다. 따라서 보호 인터페이스를 가동할 시 보호해야 할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이미 실행상태에 있어 보호해야 할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음성재생 등의 경로를 통해 정보가 누설되는 문제를 해결하고, 가동하려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보호할 필요가 있다고 검출되었을 경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가동하지 않고 직접 보호 인터페이스를 가동하고 보호 인터페이스가 해제되었을 때에야만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가동하기 시작하는것을 통하여 전면적으로 철저히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정보를 보호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아래의 도면은 명세서의 일부분을 구성하며 본 발명에 맞는 실시예를 예시하여 명세서와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해석하도록 한다.
도 1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보호방법의 흐름도,
도 2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보호방법의 실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보호방법의 흐름도,
도 4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보호방법의 실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보호방법의 실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보호방법의 실시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보호방법의 흐름도,
도 8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보호방법의 실시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보호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0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보호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1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보호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2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아래에 도면을 참조하면서 예시적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에 도면에 관하여 설명할 시 별도로 설명이 없는 한 상이한 도면 중의 동일한 부호는 동일 혹은 유사한 요소를 나타낸다. 하기의 예시적 실시예에서 서술하는 실시형태는 본 발명과 일치한 모든 실시형태를 대표하는 것이 아니다. 반대로 이는 요청항에서 상술하는 본 발명의 일부분에 해당되는 장치와 방법의 예에 지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보호방법, 장치 및 단말기를 제공하고 하기에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보호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가능한 단말기에 당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보호방법을 응용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당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보호방법은 아래와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101에 있어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가동을 요청하기 위한 가동요청을 획득한다.
단말기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가동을 요청하기 위한 가동요청을 획득한다.
단계102에 있어서, 가동요청에 기초하여 가동하려고 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보호할 필요가 있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단말기는 가동요청에 기초하여 가동하려고 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보호할 필요가 있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단계103에 있어서, 가동하려고 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보호할 필요가 있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일 경우 보호 인터페이스를 가동한다.
가동하려고 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보호할 필요가 있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일 경우, 단말기는 보호 인터페이스를 가동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보호방법에 의하면 가동요청을 획득하여 가동하려고 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보호할 필요가 있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인지 아닌지를 검출하고, 검출한 결과, 가동하려고 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보호할 필요가 있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일 경우 보호 인터페이스를 가동한다. 따라서 보호 인터페이스를 가동할 시 보호해야 할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이미 실행상태에 있어 보호해야 할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음성재생 등 경로를 통해 정보가 누설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가동해야 할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보호할 필요가 있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임이 검출되었을 경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가동하지 않고 직접 보호 인터페이스를 가동하고 보호 인터페이스가 해제되었을 경우에만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가동하여 전면적으로 철저히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정보를 보호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보호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 가능한 단말기에 당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보호방법을 응용하여 설명한다. 당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보호방법은 하기와 같은 단계를 포함단다.
단계201에 있어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가동을 요청하기 위한 가동요청을 획득한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가동하기 위한 가동요청을 획득하기 위하여 도3을 참조하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가동의 일반적인 프로세스를 나타내고 있다. 가동을 개시 할 시, 단말기는 가동요청을 수신하고 당해 가동요청에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가동 파라미터가 포함되어 있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가동 파라미터를 해석하여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판정하고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가동하여 전체 가동 프로세스를 종료한다.
본 실시예에서 단말기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가동 프로세스 중의 "301 가동개시"의 단계에서 가동요청을 획득하고 판정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보호할 필요가 있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일 경우 그 중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가동 파라미터를 당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보호하는 보호 인터페이스에 관한 보호 파라미터로 교체한다. 아래에 이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단계202에 있어서, 가동요청 중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가동 파라미터를 해석한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가동 파라미터에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명칭이 포함되어 있다.
단말기는 획득한 가동요청 중의 가동 파라미터를 해석한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가동 파라미터에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명칭이 포함되어 있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가동 파라미터를 해석하여 얻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명칭이 "X레이플레이어"라고 가정한다.
단계203에 있어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명칭에 기초하여 당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보호 리스트에 있는지 아닌지를 검출한다.
보호 리스트는 보호할 필요가 있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리스트이다. 단말기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명칭에 기초하여 보호 리스트에 당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존재하는지 아닌지를 조회한다.
예하면,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사전에 보호하려고 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보호하려고 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보호 리스트에 추가한다. 도 4에서 보호하려고 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문자, 게임고양이, 인터넷티비, 사진, X레이플레이어와 음악청취를 포함한다.
검출한 결과,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보호 리스트에 있을 경우, 단계204에 들어서며,
검출한 결과,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보호 리스트에 없을 경우, 단계210에 들어선다.
단계204에 있어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보호할 필요가 있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라고 판정한다.
검출한 결과,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보호 리스트에 있을 경우, 단말기는 당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보호할 필요가 있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라고 판정한다.
예하면 단말기는 단계202에서 얻은 당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명칭 "X레이플레이어"에 기초하여 보호 리스트에서 당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보호할 필요가 있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임을 조회하면, "X레이플레이어"가 보호할 필요가 있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라고 판정한다.
단계205에 있어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가동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보호 파라미터를 생성한다.
당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보호할 필요가 있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임을 판정한 후 단말기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가동 파라미터를 보호 파라미터의 일부분으로 하고 사전에 정의한 보호 인터페이스의 가동 파라미터를 보호 파라미터의 다른 일부분으로 하여 보호 파라미터를 생성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보호 인터페이스의 가동 파라미터에는 보호 인터페이스의 표시 내용 등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단계206에 있어서, 보호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보호 인터페이스의 가동 파라미터를 취득한다.
단말기는 보호 파라미터를 해석하여 당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보호 인터페이스의 가동 파라미터를 얻는다.
단계207에 있어서, 보호 인터페이스의 가동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당해 보호 인터페이스를 가동한다.
단말기는 해석하여 얻은 보호 인터페이스의 가동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당해 보호 인터페이스를 가동한다.
예하면, 도 5를 참조하면 단말기는 당해 보호 인터페이스를 가동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5에 도시된 수도크의 잠금화면 패턴을 보호 인터페이스의 예로하여 설명하지만 보호 인터페이스의 패턴은 도 5에 한정되지 않는다.
단계208에 있어서, 보호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해제신호를 수신한다.
단말기가 보호 인터페이스를 표시한 후 당해 보호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해제신호를 수신하여야만 당해 보호 인터페이스를 해제하고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가동한다. 해제신호는 당해 보호 인터페이스를 해제하기 위한 것이다.
예하면, 단말기가 도 5에 도시된 보호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면 사용자는 사전에 설정한 액세스 제한 패스워드를 입력해야 한다. 당해 액세스 제한 패스워드는 당해 보호 인터페이스를 해제하는 해제신호이다. 단말기는 정확한 액세스 제한 패스워드를 수신한 후에야만 당해 보호 인터페이스를 해제하고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가동하여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사용 인터페이스를 표시한다. 사용자가 사전에 설정한 당해 "X레이플레이어"의 액세스 제한 패스워드가 도6에 도시된 패턴이라고 가정한다.
단계209에 있어서, 보호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가동 파라미터를 취득한다.
단말기는 해제신호를 수신한 후, 당해 해제신호가 당해 보호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지 아닌지를 검출하고, 검출한 결과, 당해 해제신호가 당해 보호 인터페이스에 대응할 경우, 보호 파라미터 중에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가동 파라미터를 취득한다.
예하면, 사용자가 도 6에 도시된 패턴을 수신한 후, 단말기는 당해 패턴이 당해 보호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지 아닌지를 검출하고 검출한 결과, 당해 패턴이 당해 보호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면 보호 파라미터 중에서 가동신호가 가동하려고 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가동정보를 취득한다.
단계210에 있어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가동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가동한다.
단말기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가동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가동하려고 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가동한다.
예하면, 단말기는 사용자가 입력한 도 6에 도시된 패턴을 수신하면 당해 보호 인터페이스를 해제하고,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가동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X레이플레이어"를 가동하고 당해 "X레이플레이어"의 재생 인터페이스를 표시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보호방법에 의하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가동을 요청하기 위한 가동요청을 획득하고, 가동요청 중의 가동 파라미터를 해석하여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판정하며 보호 리스트에서 당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조회하여 보호 리스트에서 당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조회되면 당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보호할 필요가 있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라고 판정하고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가동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보호 파라미터를 생성한다. 당해 보호 파라미터에는 보호 인터페이스의 가동 파라미터가 또한 포함되며 당해 보호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해제신호를 수신하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가동한다. 따라서 보호 인터페이스를 가동할 시 보호해야 할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이미 실행상태에 있어 보호해야 할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음성 재생 등 경로를 통해 정보가 누설되는 문제를 해결하고 가동하려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보호할 필요가 있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일 경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가동하지 않고 직접 보호 인터페이스를 가동하며 보호 인터페이스가 해제되었을 때에만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가동하여 전면적으로 철저히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정보를 보호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사용자가 여러번 동일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가동할 시 매번 해제신호를 입력하는 것을 피면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하기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보호방법을 또한 제공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보호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가능한 단말기에 당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보호방법을 응용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당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보호방법은 하기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701에 있어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가동을 요청하기 위한 가동요청을 획득한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가동하기 위한 가동요청을 획득하기 위하여 도3을 참조하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가동의 일반적인 프로세스를 나타내고 있다. 가동을 개시 할 시, 단말기는 가동요청을 수신하고 당해 가동요청에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가동 파라미터가 포함되어 있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가동 파라미터를 해석하여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판정하고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가동하여 전체 가동 프로세스를 종료한다.
본 실시예에서 단말기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가동 프로세스 중의 "301 가동개시"의 단계에서 가동요청을 획득하고 판정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보호할 필요가 있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일 경우 그 중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가동 파라미터를 당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보호하는 보호 인터페이스에 관한 보호 파라미터로 교체한다. 아래에 이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단계702에 있어서, 가동요청 중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가동 파라미터를 해석한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가동 파라미터에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명칭이 포함되어 있다.
단말기는 획득한 가동요청 중의 가동 파라미터를 해석한다. 당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가동 파라미터에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명칭이 포함되어 있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가동 파라미터를 해석하여 얻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명칭이 "X레이플레이어"라고 가정한다.
단계703에 있어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명칭에 기초하여 당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보호 리스트에 있는지 아닌지를 검출한다.
보호 리스트는 보호할 필요가 있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리스트이다. 단말기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명칭에 기초하여 보호 리스트에 당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존재하는지 아닌지를 조회한다.
도 3중의 "302 가동 파라미터를 해석하여 가동하려고 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취득"하는 단계 이후, 단말기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명칭에 기초하여 당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보호 리스트에 있는지 아닌지를 검출한다.
예하면,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사전에 보호하려고 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보호하려고 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보호 리스트에 추가한다. 도 4에서 보호하려고 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문자, 게임고양이, 인터넷티비, 사진, X레이플레이어와 음악청취를 포함한다.
검출한 결과,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보호 리스트에 있을 경우, 단계704에 들어서며,
검출한 결과,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보호 리스트에 없을 경우, 단계711에 들어선다.
단계704에 있어서, 당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사전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아닌지를 검출한다.
검출한 결과,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보호 리스트에 있을 경우, 단말기는 당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사전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아닌지를 검출한다.
여기에서 사전 설정된 조건은 당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가동된 적이 없다는 조건, 당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최종 가동된 이후 당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단말기의 스크린이 오프된 적이 있다는 조건, 당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최종 가동된 이후 당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단말기가 재가동된 적이 있다는 조건, 당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최종 가동되여서부터 이번에 가동되기까지의 시간이 사전 설정된 값을 초과하였다는 조건 중의 임의의 하나를 포함한다.
예하면, 단말기는 "X레이플레이어"가 도 4에 도시된 보호 리스트에 있는 것이 검출되면 "X레이플레이어"가 처음으로 가동된 것이 아닌지, "X레이플레이어"가 최종 가동된 이후 단말기의 스크린이 오프된 적이 있는지, "X레이플레이어"가 최종 가동된 이후 단말기가 재가동된 적이 있는지, 혹은 "X레이플레이어"가 최종 가동되여서부터 이번에 가동되기까지의 시간이 사전 설정된 값을 초과하였는지를 검출한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상기 사전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아닌지를 쉽게 검출하기 위하여 단말기는 검증 리스트를 설정해도 된다.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당해 검증 리스트는 보호할 필요가 있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사전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아닌지를 기록하기 위한 것으로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한번 가동되면 "검증통과여부"의 란에 "√"를 표기하고 당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가동된 후 단말기 스크린이 오프된 적이 있거나 단말기가 재가동되었거나 혹은 가동된 후 사전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였을 경우 "검증통과여부"의 란에 "√"를 "×"로 수정한다. 여기에서 상기 사전 설정된 시간을 24시간이라고 가정한다.
단말기가 특정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사전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아닌지를 검출할 시 당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검증통과여부"란의 표기만 검출하면 된다.
당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검증통과여부"의 란에 "√"가 표기되어 있을 경우 당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가동된 적이 있고 가동된 후 단말기의 스크린이 오프된 적이 없고 단말기가 재가동된 적도 없으며 최종 가동되어서부터 경과된 시간이 24시간을 초과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당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재차 가동할 시에는 보호 인터페이스를 다시 가동할 필요가 없이 당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직접 가동한다. 즉 사전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당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검증통과여부"란에 "×"가 표기되어 있을 경우 당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하기의 조건 중의 하나에 부합됨을 의미한다.
1)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가동된 적이 없다.
2)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최종 가동된 이후 당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단말기의 스크린이 오프된 적이 있다.
3)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최종 가동된 이후 당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단말기가 재가동된 적이 있다.
4)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최종 가동되어서부터 이번에 가동되기까지의 시간이 사전 설정된 값을 초과한다.
따라서 당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가동할 시 보호 인터페이스를 가동할 필요가 있고 보호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해제신호를 수신한 후에야만 당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가동한다. 즉 사전 설정된 조건을 만족한다고 간주할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상기의 검증리스트를 작성하는 프로세스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사전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아닌지를 검출하는 일종의 실현방법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이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검출한 결과,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사전 설정된 조건을 만족할 경우 단계705에 들어서며,
검출한 결과,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사전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지 않을 경우 단계711에 들어선다.
단계705에 있어서, 당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보호할 필요가 있다고 판정한다.
검출한 결과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사전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단말기는 당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보호할 필요가 있다고 판정한다.
예하면, 단계704의 검출결과로서 명칭이 "X레이플레이어"인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사전 설정된 조건을 만족할 경우, 단말기는 "X레이플레이어"가 보호할 필요가 있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라고 판정한다.
도 8을 참조하면 가동하려고 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문자"일 경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문자"가 보호 리스트에 있지만 사전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므로 보호 인터페이스를 가동할 필요가 없이 직접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가동 파라미터를 해석하여 당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가동하는 단계를 진행한다.
단계706에 있어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가동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보호 파라미터를 생성한다. 보호 파라미터는 보호 인터페이스의 가동 정보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당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보호할 필요가 있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라고 판정한 후 단말기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가동 파라미터를 보호 파라미터의 일부분으로 하고 사전에 정의한, 보호 인터페이스의 가동 정보를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보호 파라미터의 다른 일부분으로 하여 보호 파라미터를 얻는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보호 인터페이스의 가동 파라미터에는 보호 인터페이스의 표시내용 등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단계707에 있어서, 보호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보호 인터페이스의 가동 파라미터를 취득한다.
단말기는 보호 파라미터를 해석하여 당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보호 인터페이스의 가동 파라미터를 얻는다.
단계708에 있어서, 보호 인터페이스의 가동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당해 보호 인터페이스를 가동한다.
단말기는 해석하여 얻은 보호 인터페이스의 가동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당해 보호 인터페이스를 가동한다.
예하면, 도5를 참조하면 단말기는 당해 보호 인터페이스를 가동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5에 도시된 수도크의 잠금화면 패턴을 보호 인터페이스의 예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보호 인터페이스의 패턴은 도 5에 한정되지 않는다.
단계709에 있어서, 보호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해제신호를 수신한다.
단말기는 보호 인터페이스를 표시한 후 당해 보호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해제신호를 수신하여야만 당해 보호 인터페이스를 해제하고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가동한다. 해제신호는 당해 보호 인터페이스를 해제하기 위한 것이다.
예하면, 단말기가 도 5에 도시된 보호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면 사용자는 사전에 설정한 액세스 제한 패스워드 즉 당해 보호 인터페이스를 해제하는 해제신호를 입력할 필요가 있다. 단말기는 정확한 액세스 제한 패스워드를 수신한 후에야만 당해 보호 인터페이스를 해제하고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가동하여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사용 인터페이스를 표시한다. 사용자가 사전에 설정한 당해 "X레이플레이어"의 액세스 제한 패스워드가 도6에 도시된 패턴이라고 가정한다.
단계710에 있어서, 보호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가동 파라미터를 취득한다.
단말기는 해제신호를 수신한 후, 당해 해제신호가 당해 보호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지 아닌지를 검출하고, 당해 해제신호가 당해 보호 인터페이스에 대응할 경우, 보호 파라미터로부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가동 파라미터를 취득한다.
예하면, 사용자가 도 6에 도시된 패턴을 입력하면, 단말기는 당해 패턴이 당해 보호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지 아닌지를 검출하고 당해 패턴이 당해 보호 인터페이스에 대응할 경우 보호 파라미터로부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가동 파라미터를 취득한다.
단계711에 있어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가동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가동한다.
단말기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가동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가동하려고 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가동한다.
예하면, 단말기는 사용자가 입력한 도 6에 도시된 패턴을 수신한 후, 당해 보호 인터페이스를 해제하고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가동 정보에 기초하여 "X레이플레이어"를 가동하며 당해 "X레이플레이어"의 재생 인터페이스를 표시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단계703의 검출결과 당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보호 리스트에 없거나 혹은 단계704의 검출결과 당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사전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지 않을 경우 직접 보호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가동 정보를 취득하고 당해 가동 정보에 기초하여 당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가동하는 단계를 실행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보호방법에 의하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가동을 요청하기 위한 가동요청을 획득하고, 가동요청 중의 가동 파라미터를 해석하여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판정하며 보호 리스트에서 당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조회하면 당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보호할 필요가 있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라고 판정한다. 당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보호할 필요가 있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인지 아닌지를 판정하기 전에 당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사전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아닌지를 검출하고 당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사전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당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보호할 필요가 있다고 판정하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가동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보호 파라미터를 생성하고 당해 보호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해제신호를 수신한 후에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가동한다. 따라서 보호 인터페이스를 가동할 시 보호해야 할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이미 실행상태에 있어 보호해야 할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음성 재생 등 경로를 통해 정보가 누설되는 문제를 해결하고, 가동하려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보호할 필요가 있다고 검출되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가동하지 않고 직접 보호 인터페이스를 가동하며 보호 인터페이스가 해제되었을 때에야만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가동하기 시작하는 것을 통하여 전면적으로 철저히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정보를 보호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보호리스트에 있다고 검출된 후 당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사전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아닌지를 검출하여 보호 인터페이스를 가동할 것인지 아닌지를 판정함으로써 사용자가 빈번히 특정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가동할 시 해제신호를 매번 입력할 필요가 없이 한번만 입력하면 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보호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를 도시하고 있다. 당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보호장치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혹은 양자의 조합에 의하여 단말기의 전부 혹은 일부분을 구성할 수 있으며 당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보호장치는 획득모듈(910), 판정모듈(920), 제1가동모듈(930)을 포함한다.
획득모듈(910)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가동을 요청하기 위한 가동요청을 획득한다.
판정모듈(920)은 상기 가동요청에 기초하여 가동하려고 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보호할 필요가 있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제1가동모듈(930)은 상기 판정모듈(920)에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보호할 필요가 있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라고 판정할 경우 보호 인터페이스를 가동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보호장치에 의하면, 가동요청을 획득하고 가동요청에 기초하여 가동하려고 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보호할 필요가 있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인지 아닌지를 검출하며, 검출한 결과 가동하려고 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보호할 필요가 있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일 경우, 보호 인터페이스를 가동한다. 따라서 보호 인터페이스를 가동할 시 보호해야 할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이미 실행상태에 있어 보호해야 할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음성재생 등 경로를 통해 정보가 누설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가동하려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보호할 필요가 있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임이 검출되었을 경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가동하지 않고 직접 보호 인터페이스를 가동하고 보호 인터페이스가 해제되었을 때에만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가동하여 전면적으로 철저히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정보를 보호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보호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를 도시하고 있다. 당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보호장치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혹은 양자의 조합에 의하여 단말기의 전부 혹은 일부분을 구성할 수 있다. 당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보호장치는 획득모듈(1010), 판정모듈(1020), 제 1 가동모듈(1030), 제 2 가동모듈(1040)을 포함한다.
획득모듈(1010)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가동을 요청하기 위한 가동요청을 획득한다.
판정모듈(1020)은 상기 가동요청에 기초하여 가동하려고 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보호할 필요가 있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판정모듈(1020)은 해석유닛(1021), 제 1 검출유닛(1022), 판정유닛(1023)을 포함한다.
해석유닛(1021)은 상기 가동요청 중의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가동 파라미터를 해석한다.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가동 파라미터에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명칭이 포함되어 있다.
제 1 검출유닛(1022)은 상기 해석유닛(1021)에서 해석한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명칭에 기초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보호 리스트에 있는지 아닌지를 검출한다. 상기 보호 리스트는 보호할 필요가 있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들의 리스트이다.
판정유닛(1023)은 상기 제 1 검출유닛(1022)에 의한 검출결과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상기 보호 리스트에 있을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보호할 필요가 있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라고 판정한다.
제 1 가동모듈(1030)은 상기 판정모듈(1020)에 의해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보호할 필요가 있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라고 판정되면 보호 인터페이스를 가동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 1 가동모듈(1030)은 생성유닛(1031), 취득유닛(1032), 가동유닛(1033)을 포함한다.
생성유닛(1031)은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가동 파라미터와 사전에 정의한 보호 인터페이스의 가동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보호 파라미터를 생성한다.
취득유닛(1032)은 상기 생성유닛(1031)에 의해 생성된 상기 보호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보호 인터페이스의 가동 파라미터를 취득한다.
가동유닛(1033)은 상기 취득유닛(1032)에 의해 취득한 상기 보호 인터페이스의 가동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보호 인터페이스를 가동한다.
제 2 가동모듈(1040)은 상기 제 1 가동모듈(1030)이 가동한 보호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해제신호를 수신하였을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가동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 2 가동모듈(1040)은 제 2 취득유닛(1041), 제 2 가동유닛(1042)을 포함한다.
제 2 취득유닛(1041)은 상기 보호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해제신호를 수신하였을 경우 상기 보호요청 중의 가동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가동정보를 취득한다.
제 2 가동유닛(1042)은 상기 제 2 취득유닛이 취득한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가동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가동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보호장치에 의하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가동을 요청하기 위한 가동요청을 획득하고, 가동요청 중의 가동 파라미터를 해석하여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판정하며 보호 리스트에서 당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조회한다. 보호리스트에서 당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조회되면 당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보호할 필요가 있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라고 판정하고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가동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보호 파라미터를 생성한다. 당해 보호 파라미터에는 보호 인터페이스의 가동 파라미터가 또한 포함되어 있다. 당해 보호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해제신호를 수신한 후에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가동함으로써 보호 인터페이스를 가동할 시 보호해야 할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이미 실행상태에 있어 보호해야 할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음성재생 등 경로를 통해 정보가 누설되는 문제를 해결하고 가동하려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보호할 필요가 있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임이 검출되었을 경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가동하지 않고 직접 보호 인터페이스를 가동하고 보호 인터페이스가 해제되었을 때에야만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가동하기 시작하는것을 통하여 전면적으로 철저히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정보를 보호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보호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를 도시하고 있다. 당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보호장치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혹은 양자의 조합에 의하여 단말기의 전부 혹은 일부분을 구성할 수 있다. 당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보호장치는 획득모듈(1110), 판정모듈(1120), 제 1 가동모듈(1130), 제 2 가동모듈(1140)을 포함한다.
획득모듈(1110)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가동을 요청하기 위한 가동요청을 획득한다.
판정모듈(1120)은 상기 가동요청에 기초하여 가동하려고 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보호할 필요가 있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판정모듈(1120)은 해석유닛(1121), 제 1 검출유닛(1122), 제 2 검출유닛(1123), 판정유닛(1124)을 포함한다.
해석유닛(1121)은 상기 가동요청 중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가동 파라미터를 해석한다.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가동 파라미터에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명칭이 포함되어 있다.
제 1 검출유닛(1122)은 상기 해석유닛(1121)에 의해 해석한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명칭에 기초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보호 리스트에 있는지 아닌지를 검출한다. 상기 보호 리스트는 보호할 필요가 있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들의 리스트이다.
제 2 검출유닛(1123)은 상기 제 1 검출유닛(1122)에 의한 검출결과로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상기 보호 리스트에 있을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사전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아닌지를 검출한다.
상기 사전 설정된 조건은 당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가동된 적이 없다는 조건, 당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최종 가동된 이후 당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단말기의 스크린이 오프된 적이 있다는 조건, 당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최종 가동된 이후 당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단말기가 재가동된 적이 있다는 조건, 당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최종 가동되여서부터 이번에 가동되기까지의 시간이 사전 설정된 값을 초과하였다는 조건 중의 임의의 하나를 포함한다.
판정유닛(1124)은 상기 제 2 검출유닛(1123)에 의한 검출결과로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상기 사전 설정된 조건을 만족할 시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보호할 필요가 있다고 판정한다.
제 1 가동모듈(1130)은 상기 판정모듈(1120)에 의해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보호할 필요가 있다고 판정할 경우 보호 인터페이스를 가동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 1 가동모듈(1130)은 생성유닛(1131), 취득유닛(1132), 가동유닛(1133)을 포함한다.
생성유닛(1131)은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가동 파라미터와 사전에 정의한 보호 인터페이스의 가동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보호 파라미터를 생성한다.
취득유닛(1132)은 상기 생성유닛(1131)에 의해 생성된 상기 보호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보호 인터페이스의 가동 파라미터를 취득한다.
가동유닛(1133)은 상기 취득유닛(1132)에 의해 취득한 상기 보호 인터페이스의 가동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보호인터페이스를 가동한다.
제 2 가동모듈(1140)은 상기 제 1 가동모듈(1130)에 의해 가동된 보호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해제신호를 수신하였을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가동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 2 가동모듈(1140)은 제 2 취득유닛(1141), 제 2 가동유닛(1142)을 포함한다.
제 2 취득유닛(1141)은 상기 보호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해제신호를 수신하였을 경우, 상기 보호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가동 파라미터를 취득한다.
제 2 가동유닛(1142)은 상기 제 2 취득유닛에 의해 취득한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가동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가동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보호장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가동을 요청하기 위한 가동요청을 획득하고, 가동요청 중의 가동 파라미터를 해석하여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판정하며 보호 리스트에서 당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조회되면 당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보호할 필요가 있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라고 판정한다. 당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보호할 필요가 있는지 없는지를 판정하기 전에 당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사전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아닌지를 검출하고 당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사전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당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보호할 필요가 있다고 판정한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가동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보호 파라미터를 생성하고 당해 보호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해제신호를 수신한 후에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가동한다. 따라서 보호 인터페이스를 가동할 시 보호해야 할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이미 실행상태에 있어 보호해야 할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음성재생 등 경로를 통해 정보가 누설되는 문제를 해결하고 가동하려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보호할 필요가 있다고 검출되었을 경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가동하지 않고 직접 보호 인터페이스를 가동하고 보호 인터페이스가 해제되었을 때에야만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가동하기 시작하는 것을 통하여 전면적으로 철저히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정보를 보호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보호 리스트에 있다고 검출된 후 당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사전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아닌지를 검출하여 보호 인터페이스를 가동할 것인지 아닌지를 판정함으로써 사용자가 빈번히 특정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가동할 시 해제신호를 매번 입력할 필요가 없이 한번만 입력하면 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당해 단말기는 상기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를 실행할 수 있다.
단말기(1200)는 통신유닛(1210),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메모리(1220), 입력유닛(1230), 표시유닛(1240), 센서(1250), 오디오회로(1260), WIFI(Wireless Fidelity)모듈(1270), 하나 이상의 처리 코어를 포함하는 프로세서(1280) 및 전원(1290) 등 부품을 포함한다. 당업자는 도 12에 도시된 단말기의 구성이 단말기에 대한 한정이 아니며 당해 단말기가 도시된 부품보다 많은 수량 또는 적은 수량의 부품을 포함해도 되고 혹은 몇개의 부품의 조합 또는 상이한 부품 배치를 포함해도 됨을 이해해야 한다.
여기에서, 통신유닛(1210)은 정보를 송수신하거나 통화중에 신호를 수신하고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당해 통신유닛(1210)은 RF(Radio Frequency)회로, 라우터, 모뎀 등의 네트워크 통신장치여도 된다. 특히, 통신유닛(1210)이 RF회로일 경우 기지국으로부터의 다운링크 정보를 수신한 후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280)에 전송하여 처리하게 한다. 또한, 업링크 데이터를 기지국에 송신한다. 일반적으로 통신유닛으로서의 RF회로는 안테나, 적어도 하나의 앰프, 튜너, 하나 또는 복수의 발진기, 가입자인증모듈(SIM)카드, 수발신기, 커플러, LNA(Low Noise Amplifier, 저 노이즈 앰프), 듀플렉서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통신유닛(1210)은 무선통신에 의해 네트워크 및 기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상기 무선통신으로서 GSM(Global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전자메일, SMS(Short Messaging Service) 등을 포함하는 임의의 통신규격 또는 프로토콜을 이용해도 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메모리(1220)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모듈을 저장하기 위한 것이며 프로세서(1280)는 메모리(1220)에 저장되어 있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모듈을 실행하는 것을 통하여 각종 기능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및 데이터 처리를 실행한다. 메모리(1220)는 주로 프로그램 저장영역과 데이터 저장영역을 포함한다. 프로그램 저장영역에는 OS,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실행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예를 들면 음성재생기능, 화상재생기능 등) 등이 저장된다. 데이터 저장영역에는 단말기(1200)의 사용에 의해 작성된 데이터(예를 들면 오디오 데이터, 전화부 등) 등이 저장된다. 또한, 메모리(1220)는 고속RAM(Random Access Memory)를 포함해도 되고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자기 디스크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등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기타 휘발성 SSD(solid state drive) 메모리를 포함해도 된다. 그리고 메모리(1220)는 프로세서(1280) 및 입력유닛(1230)이 메모리(1220)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메모리 제어기를 또한 포함해도 된다.
입력유닛(1230)은 숫자 또는 캐릭터 정보의 입력을 받고 사용자 설정 및 기능 제어에 관한 키보드, 마우스, 조이 스틱, 광학 볼이나 트랙 볼에 의한 신호입력을 발생하기 위한 것이다. 입력유닛(1230)은 터치센시티브표면(1231) 및 기타 입력장치(1232)를 포함해도 된다. 터치센시티브표면(1231)은 터치 패널 또는 터치 패드라고도 불리우며 사용자가 그 표면위나 부근에 대한 터치 조작(예를 들면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터치팬 등의 임의의 적합한 물건이나 부속품을 사용하여 터치센시티브표면(1231) 위 혹은 터치센시티브표면(1231) 부근에 대하여 진행하는 조작)을 수집함과 동시에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관련된 접속장치를 구동한다. 터치센시티브표면(1231)은 선택적으로 터치 검출수단 및 터치 제어기 이 2 개의 부분을 포함해도 된다. 여기에서, 터치 검출수단은 사용자의 터치 위치를 검출함과 동시에 터치 조작에 의한 신호를 검출하고 그 터치 정보를 터치 제어기에 송신한다. 터치 제어기는 터치 검출수단으로부터 터치 정보를 수신하고 당해 정보를 접촉점 좌표로 변환하여 프로세서(1280)에 송신함과 동시에 프로세서(1280)로부터의 커맨드를 수신하여 실행한다. 또한, 저항식, 용량식, 적외선식 및 표면 탄성파식 등의 각종 방식으로 터치센시티브표면(1231)을 실현할 수 있다. 입력유닛(1230)은 터치센시티브표면(1231) 외에 기타 입력장치(1232)를 또한 포함해도 된다. 기타 입력장치(1232)는 물리적인 키보드, 기능키(예를 들면 볼륨버튼, 스위치버튼 등), 트랙 볼, 마우스, 조이 스틱 등 중의 하나 또는 복수를 포함해도 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표시유닛(1240)은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나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정보 및 단말기(1200)의 각종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표시하기 위한 것이며 이러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도형, 텍스트, 아이콘, 비디오 및 그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표시유닛(1240)은 표시패널(1241)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표시패널(1241)은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Emitting Diode) 등 형태로 구성되어도 된다. 또한, 터치센시티브표면(1231)이 표시패널(1241)을 덮게끔 설치되고 터치센시티브표면(1231)이 그 표면 또는 부근에 대한 터치조작을 검출하면 그 검출 결과를 프로세서(1280)에 전송하여 터치 이벤트의 타입을 확인하게 하고 그 후 프로세서(1280)가 터치 이벤트의 타입에 기초하여 표시패널(1241) 상에 대응되는 시각적 출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도 12에 있어서, 터치센시티브표면(1231)과 표시패널(1241)은 2 개의 독립적인 부품으로서 출력 및 입력 기능을 실현하게끔 구성되어 있지만 터치센시티브표면(1231)과 표시패널(1241)을 집적 구성하여 입력 및 출력 기능을 실현하는 실시예도 가능하다.
단말기(1200)는 예를 들면 광센서, 운동센서 및 기타 센서 등 적어도 하나의 센서(1250)를 또한 포함해도 된다. 광센서는 환경광센서와 근접센서를 포함해도 되는데 환경광센서는 환경광의 밝기에 기초하여 표시패널(1241)의 휘도를 조절할 수 있고 근접센서는 단말기(1200)가 귓가까지 이동하면 표시패널(1241) 및/또는 백라이트를 오프시킨다. 운동센서의 일종으로서의 중력가속도센서는 각 방향(일반적으로 3축)에서의 가속도의 크기를 검출할 수 있고 정지상태에서는 중력의 크기 및 그 방향을 검출할 수 있으므로 휴대폰의 자세를 인식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예를 들면 화면의 횡종방향의 변환, 게임, 자력계의 자세교정), 진동인식에 관한 기능(예를 들면 보수계, 타격) 등에 사용된다. 단말기(1200)는 자이로스코프,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적외선센서 등의 기타 센서를 또한 포함해도 되는데 여기에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오디오회로(1260), 스피커(1261), 마이크(1262)는 사용자와 단말기(1200) 간의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오디오회로(1260)는 수신한 오디오 데이터로부터 변환된 전기 신호를 스피커(1261)에 전송하고 스피커(1261)에 의하여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반면, 마이크(1262)는 수집한 음성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고 오디오회로(1260)가 당해 전기 신호를 수신한 후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고 오디오 데이터를 프로세서(1280)에 전송하여 처리한 후 RF회로(1210)를 경유하여 예를 들면 기타 단말기에 전송하거나 또는 오디오 데이터를 메모리(1220)에 송신하여 또한 처리하도록 한다. 오디오회로(1260)는 단말기(1200)가 외부의 이어폰과 통신할 수 있도록 이어플러그 잭을 또한 포함해도 된다.
당해 단말기는 무선통신을 실현하기 위하여 무선통신유닛(1270)을 포함해도 된다. 당해 무선통신유닛(1270)은 WIFI모듈이여도 된다. WIFI는 근거리 무선통신기술에 속하며 사용자에게 무선 광대역 인터넷 액세스를 제공하므로 사용자는 단말기(1200)의 무선통신유닛(1270)을 이용하여 전자메일의 송수신, 웹 사이트의 열람, 스트리밍 미디어의 액세스 등을 진행할 수 있다. 비록 도 12에서 무선통신유닛(1270)을 도시하고 있지만 당해 무선통신유닛(1270)은 단말기(1200)에 있어서 불가결의 구성이 아니며 본 발명의 취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수요에 따라 생략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프로세서(1280)는 단말기(1200)의 제어 센터이며 각종 인터페이스 및 회로를 경유하여 휴대폰 전체의 각 부분에 접속되며 메모리(1220) 내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또는 모듈을 실행 또는 작동시킴과 동시에 메모리(1220) 내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호출하는 것을 통하여 단말기(1200)의 각종 기능의 실행 및 데이터의 처리를 실현하며 따라서 휴대폰 전체를 제어한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서(1280)는 하나 또는 복수의 처리 코어를 포함해도 되고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프로세서와 모뎀 프로세서를 집적하여 구성되어도 된다. 여기에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프로세서는 주로 OS,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을 처리하고 모뎀 프로세서는 주로 무선통신을 처리한다. 그리고 상기 모뎀 프로세서가 프로세서(1280)에 집적되지 않아도 됨을 이해해야 한다.
단말기(1200)는 각 부분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1290)(예를 들면 배터리)를 또한 포함하고 당해 전원(1290)은 전원관리시스템을 통하여 프로세서(1280)에 논리적으로 접속되어 전원관리시스템을 통하여 충방전관리 및 전력관리 등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전원(1290)은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직류 또는 교류 전원, 재충전시스템, 전원고장검출회로, 전원 컨버터 또는 인버터, 전원상태 인티케이터 등 임의의 어셈블리를 또한 포함해도 된다.
단말기(1200)는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카메라, 블루투스모듈 등을 또한 포함해도 되며 여기에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메모리(1220)에는 하나 혹은 하나 이상의 모듈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하나 혹은 하나 이상의 모듈은 하나 혹은 복수의 프로세서(1280)에 의해 실행되며, 상기 하나 혹은 복수의 모듈은 하기의 기능을 갖는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가동을 요청하기 위한 가동요청을 획득한다.
상기 가동요청에 기초하여 가동하려고 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보호할 필요가 있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가동하려고 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보호할 필요가 있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일 경우 보호 인터페이스를 가동한다.
상기 하나 혹은 복수의 모듈은 또한 하기의 기능을 갖는다.
상기 가동요청 중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가동 파라미터를 해석한다.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가동 파라미터에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명칭이 포함되어 있다.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명칭에 기초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보호 리스트에 있는지 아닌지를 검출한다. 상기 보호 리스트는 보호할 필요가 있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들의 리스트이다.
검출한 결과,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상기 보호 리스트에 있을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보호할 필요가 있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라고 판정한다.
상기 하나 혹은 복수의 모듈은 또한 하기의 기능을 갖는다.
검출한 결과,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상기 보호 리스트에 있을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사전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아닌지를 검출한다.
검출한 결과,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사전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보호할 필요가 있다고 판정한다.
여기에서, 상기 사전 설정된 조건은 당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가동된 적이 없다는 조건, 당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최종 가동된 이후 당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단말기의 스크린이 오프된 적이 있다는 조건, 당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최종 가동된 이후 당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단말기가 재가동된 적이 있다는 조건, 당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최종 가동되여서부터 이번에 가동되기까지의 시간이 사전 설정된 값을 초과하였다는 조건 중의 임의의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하나 혹은 복수의 모듈은 또한 하기의 기능을 갖는다.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가동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보호 파라미터를 생성한다. 상기 보호 파라미터는 상기 보호 인터페이스의 가동정보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상기 보호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보호 인터페이스의 가동 파라미터를 취득한다.
상기 보호 인터페이스의 가동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보호 인터페이스를 가동한다.
상기 하나 혹은 복수의 모듈은 또한 하기의 기능을 갖는다.
상기 보호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해제신호를 수신하였을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가동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에 의하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가동을 요청하기 위한 가동요청을 획득하고, 당해 가동요청 중의 가동 파라미터를 해석하여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판정하며 보호 리스트에서 당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조회되면 당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보호할 필요가 있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라고 판정한다. 당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보호할 필요가 있는지 없는지를 판정하기 전에 당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사전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아닌지를 검출하고 당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사전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당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보호할 필요가 있다고 판정하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가동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보호 파라미터를 생성하고 당해 보호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해제신호를 수신한 후에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가동한다. 따라서 보호 인터페이스를 가동할 시 보호해야 할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이미 실행상태에 있어 보호해야 할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음성재생 등의 경로를 통해 정보가 누설되는 문제를 해결하고 가동하려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보호할 필요가 있다고 검출되었을 경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가동하지 않고 직접 보호 인터페이스를 가동하고 보호 인터페이스가 해제되었을 때에야만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가동하기 시작하는 것을 통하여 전면적으로 철저히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정보를 보호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또한 비휘발성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를 제공하고 당해 기록매체에는 하나 혹은 복수의 모듈(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당해 하나 혹은 복수의 모듈은 설비에 응용되어 당해 설비로 하여금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가동을 요청하기 위한 가동요청을 획득하고, 상기 가동요청에 기초하여 가동하려고 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보호할 필요가 있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인지 아닌지를 판정하며, 가동하려고 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보호할 필요가 있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일 경우 보호 인터페이스를 가동하는 단계를 실행하게 하는 인스트럭션(instructions)을 포함한다.
상기 가동요청에 기초하여 가동하려고 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보호할 필요가 있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인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단계는 상기 가동요청 중의,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명칭이 포함되어 있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가동 파라미터를 해석하는 단계,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명칭에 기초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보호 리스트에 있는지 없는지를 검출하는 단계, 검출한 결과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상기 보호 리스트에 있을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보호할 필요가 있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라고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보호 리스트는 보호할 필요가 있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들의 리스트이다.
상기 방법은 또한 검출한 결과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상기 보호 리스트에 있을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사전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아닌지를 검출하는 단계, 검출한 결과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사전 설정된 조건을 만족할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보호할 필요가 있다고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 중, 상기 사전 설정된 조건은 하기의 조건 중의 임의의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가동된 적이 없다.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최종 가동된 이후 당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단말기의 스크린이 오프된 적이 있다.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최종 가동된 이후 당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단말기가 재가동된 적이 있다.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최종 가동되어서부터 이번에 가동되기까지의 시간이 사전 설정된 값을 초과한다.
상기 보호 인터페이스를 가동하는 단계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가동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보호 인터페이스의 가동 정보를 나타내는 보호 파라미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보호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보호 인터페이스의 가동 파라미터를 취득하는 단계, 상기 보호 인터페이스의 가동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보호 인터페이스를 가동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또한 상기 보호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해제신호를 수신하였을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가동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상의 개시내용에 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나타냈으나 청구항에 의해 한정되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전제하에서 각종 변경 및 수정을 진행할 수 있다. 상기에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방법 청구항의 기능, 단계 및 액션을 특정된 순서로 실행할 필요는 없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요소는 개체로서 기재 또는 요청되지만 단수라고 명확히 한정되지 않는 한 복수여도 된다.
상기의 구체적인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목적, 기술안 및 유익한 효과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상기의 내용은 다만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로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대한 한정이 아니며 본 발명의 취지 및 원칙범위내에서 진행되는 임의의 수정, 균등대체, 개량 등은 모두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함을 이해해야 한다.

Claims (12)

  1.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가동을 요청하기 위한 가동요청(a start request)을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가동요청에 기초하여 가동하려고 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보호될 필요가 있는 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와,
    가동하려고 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보호될 필요가 있는 경우, 보호 인터페이스를 가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보호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요청에 기초하여 가동하려고 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보호될 필요가 있는 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는,
    상기 가동요청 중의,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명칭이 포함되어 있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가동 파라미터(start parameters)를 해석하는 단계와,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명칭에 기초하여, 보호될 필요가 있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리스트인 보호리스트에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와,
    검출결과로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상기 보호 리스트에 있을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보호될 필요가 있다고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보호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검출결과로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상기 보호 리스트에 있을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사전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와,
    검출결과로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상기 사전 설정된 조건을 만족할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보호될 필요가 있다고 판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전 설정된 조건은,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가동된 적이 없다는 조건,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최종 가동된 이후 당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단말기의 스크린이 오프된 적이 있다는 조건,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최종 가동된 이후 당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단말기가 재가동된 적이 있다는 조건,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최종 가동되고나서 이번에 가동되기까지의 시간이 사전 설정된 값을 초과한다는 조건 중의 임의의 하나를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보호방법.
  4. 제 2 항 혹은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인터페이스를 가동하는 단계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가동 파라미터와 사전에 정의한 보호 인터페이스의 가동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보호 파라미터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보호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보호 인터페이스의 가동 파라미터를 취득하는 단계와,
    상기 보호 인터페이스의 가동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보호 인터페이스를 가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보호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해제신호(a release signal)를 수신할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가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보호방법.
  6.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가동을 요청하기 위한 가동요청을 획득하기 위한 획득모듈과,
    상기 가동요청에 기초하여 가동하려고 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보호될 필요가 있는 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판정 모듈과,
    상기 판정모듈에 의해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보호될 필요가 있다고 판정될 때 보호 인터페이스를 가동하기 위한 제 1 가동모듈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보호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모듈은,
    상기 가동요청 중의,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명칭이 포함되어 있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가동 파라미터를 해석하기 위한 해석유닛과,
    상기 해석유닛에 의해 해석된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명칭에 기초하여, 보호할 필요가 있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리스트인 보호 리스트에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제 1 검출유닛과,
    상기 제 1 검출유닛의 검출결과로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상기 보호 리스트에 있을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보호될 필요가 있다고 판정하는 판정유닛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보호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모듈은,
    상기 제 1 검출유닛의 검출결과로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상기 보호 리스트에 있을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사전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제 2 검출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판정유닛은 상기 제 2 검출유닛의 검출결과로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상기 사전 설정된 조건을 만족할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보호될 필요가 있다고 판정하며,
    상기 사전 설정된 조건은,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가동된 적이 없다는 조건,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최종 가동된 이후 당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단말기의 스크린이 오프된 적이 있다는 조건,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최종 가동된 이후 당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단말기가 재가동된 적이 있다는 조건,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최종 가동되어서부터 이번에 가동되기까지의 시간이 사전 설정된 값을 초과한다는 조건 중의 임의의 하나를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보호장치.
  9. 제 7 항 혹은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동모듈은,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가동 파라미터와 사전에 정의한 보호 인터페이스의 가동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보호 파라미터를 생성하기 위한 생성유닛과,
    상기 생성유닛에 의해 생성된 상기 보호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보호 인터페이스의 가동 파라미터를 취득하기 위한 취득유닛과,
    상기 취득유닛에 의해 취득한 상기 보호 인터페이스의 가동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보호 인터페이스를 가동하기 위한 가동유닛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보호장치.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해제신호를 수신할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가동하기 위한 제 2 가동모듈을 더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보호장치.
  11. 제 6 항 내지 제 10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보호장치를 포함하는
    단말기.
  12.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메모리 및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모듈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모듈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가동을 요청하기 위한 가동요청을 획득하고,
    상기 가동요청에 기초하여 가동하려고 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보호될 필요가 있는 지 여부를 판정하며,
    가동하려고 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보호될 필요가 있을 경우 보호 인터페이스를 가동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단말기.
KR1020147021519A 2013-10-31 2014-05-13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보호 방법, 장치, 단말기,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KR2015006161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310533866.4 2013-10-31
CN201310533866.4A CN103824003B (zh) 2013-10-31 2013-10-31 应用程序保护方法、装置和终端
PCT/CN2014/077402 WO2015062241A1 (zh) 2013-10-31 2014-05-13 应用程序保护方法、装置和终端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1613A true KR20150061613A (ko) 2015-06-04

Family

ID=50759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1519A KR20150061613A (ko) 2013-10-31 2014-05-13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보호 방법, 장치, 단말기,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2869233B1 (ko)
JP (1) JP5976233B2 (ko)
KR (1) KR20150061613A (ko)
CN (1) CN103824003B (ko)
BR (1) BR112014019048A8 (ko)
MX (1) MX346403B (ko)
RU (1) RU2628214C2 (ko)
WO (1) WO20150622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79779B (zh) * 2015-09-25 2018-10-26 天脉聚源(北京)科技有限公司 导入动画部件异常的处理方法和装置
CN105787348A (zh) * 2016-02-01 2016-07-20 山东大学 一种用于移动设备的多级加锁、多级解锁方法
CN108664278A (zh) * 2017-03-27 2018-10-16 上海传英信息技术有限公司 用于通信终端应用模块启动音效的方法及装置
CN107229845A (zh) * 2017-05-27 2017-10-03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终端上的插件处理方法、装置及终端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0773A (ja) * 1998-06-23 2000-01-14 Toshiba Tec Corp プログラム実行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実行管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3244065A (ja) * 2002-02-20 2003-08-29 Toshiba Location Information Co Ltd プログラム起動方法、サーバ装置、端末装置
KR100735375B1 (ko) * 2005-08-25 2007-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어플리케이션 구동 방법 및 그이동통신단말기
US8127254B2 (en) * 2007-06-29 2012-02-28 Nokia Corporation Unlocking a touch screen device
JP5135049B2 (ja) * 2008-05-01 2013-01-30 株式会社東芝 医療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20100024020A1 (en) * 2008-07-22 2010-01-28 Ernest Samuel Baugher Wireless mobile device with privacy groups that independently control access to resident application programs
CN101853363B (zh) * 2010-05-07 2012-08-08 飞天诚信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文件保护方法及系统
US9378394B2 (en) * 2010-09-24 2016-06-28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differentiated access control
EP2466458B1 (en) * 2010-12-15 2018-05-30 BlackBerry Limited Application launching control on a mobile device
CN102081722B (zh) * 2011-01-04 2015-02-04 奇智软件(北京)有限公司 一种保护指定应用程序的方法及装置
CN102566927A (zh) * 2011-12-28 2012-07-11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触摸屏解锁的方法和装置
US9426145B2 (en) * 2012-02-17 2016-08-23 Blackberry Limited Designation of classes for certificates and key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69233A1 (en) 2015-05-06
CN103824003B (zh) 2017-02-15
CN103824003A (zh) 2014-05-28
EP2869233B1 (en) 2018-01-10
BR112014019048A2 (ko) 2017-06-20
RU2628214C2 (ru) 2017-08-15
BR112014019048A8 (pt) 2017-07-11
JP5976233B2 (ja) 2016-08-23
MX2014009372A (es) 2015-07-06
RU2015122417A (ru) 2017-01-10
WO2015062241A1 (zh) 2015-05-07
MX346403B (es) 2017-03-17
JP2015537486A (ja) 2015-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5835B1 (ko) 전자장치, 배터리 보호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KR101652373B1 (ko) 가상 키보드 표시방법, 장치, 단말기,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KR101794397B1 (ko) 표시된 폰트를 확대하는 방법과 장치, 및 기록매체
WO2017118412A1 (zh) 一种更新密钥的方法、装置和系统
CN106778175B (zh) 一种界面锁定方法、装置和终端设备
WO2018045564A1 (zh) 辅助服务管理方法及装置
CN103488939A (zh) 一种提示用户的方法、装置及终端
CN104424431B (zh) 一种重置虚拟机用户登陆密码的方法及装置
CN104965722B (zh) 一种显示信息的方法及装置
CN106709282B (zh) 资源文件解密方法及装置
WO2014000652A1 (zh) 浏览器插件安装方法、装置及终端
KR102503514B1 (ko) 인증 창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
CN107590397A (zh) 一种显示内嵌网页的方法和装置
CN104573437B (zh) 信息认证方法、装置和终端
KR20150061613A (ko)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보호 방법, 장치, 단말기,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CN105808043A (zh) 一种终端应用的设置方法和移动终端
US9479888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sound events
US10073957B2 (en) Method and terminal device for protecting application program
CN111159738B (zh) 权限配置方法、应用登录方法及装置
CN110032422B (zh) 一种应用管理方法、终端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WO2016131180A1 (zh) 一种键盘的显示方法、装置及终端设备
CN107533431A (zh) 显示器操作的方法、装置、用户界面及存储介质
US10248841B2 (en) Method of protecting an image based on face recognition, and smart terminal
US9390072B2 (en) Method and device for enlarging displayed font
WO2015014153A1 (en) Method,apparatus,and system of detectingdata secur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