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1478A - 영상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영상 제공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1478A
KR20150061478A KR1020130145671A KR20130145671A KR20150061478A KR 20150061478 A KR20150061478 A KR 20150061478A KR 1020130145671 A KR1020130145671 A KR 1020130145671A KR 20130145671 A KR20130145671 A KR 20130145671A KR 20150061478 A KR20150061478 A KR 201500614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ewing
information
user terminal
user
r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5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74771B1 (ko
Inventor
한상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301456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4771B1/ko
Publication of KR201500614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14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47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47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2Viewing or reading apparat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ultimedia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서버가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 형태의 사용자 단말을 착용한 사용자에게 영상을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좌우 회전각 정보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위치 정보에 설정된 관람 범위와 상기 모니터링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가 바라보는 시야 방향이 상기 관람 범위를 벗어나는지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시야 방향이 상기 관람 범위를 벗어나는 시간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관람 범위는 상기 사용자가 관람 영역을 보기 위해 기준 방향의 좌우로 상기 사용자 단말을 움직이는 각도 범위이다.

Description

영상 제공 방법 및 시스템{VIDEO PROVID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영상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IT 기술의 발달로, 몸에 착용할 수 있는 단말이 출시되고 있다. 특히, 단말은 머리에 착용할 수 있는 안경이나 헬멧 형태일 수 있는데,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 단말 또는 헤드 마운티드 단말이라고 부를 수 있다.
대표적인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단말로 구글 글래스가 있다. 구글 글래스는 사용자의 눈 앞의 디스플레이에 영상을 포함하는 각종 정보를 표시한다. 구글 글래스는 컴퓨팅 장치, 통신 장치, 카메라, 각종 센서, GPS 장치 등으로 구성되어 스마트폰과 같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구글 글래스를 비롯한 현재의 단말은 증강 현실 정보를 제공하는 정도의 기능이 구현되어 있으나, 사용자의 행동을 분석하고, 사용자의 행동을 기초로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은 구현되어 있지 않다. 앞으로, 몸에 착용할 수 있는 형태의 단말이 보급되는 경우, 단말이 사용자의 행동으로부터 의미 있는 정보를 추론하는 기술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단말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관람 영역을 보는지 모니터링하고, 사용자가 놓친 장면을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놓친 장면을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 형태의 사용자 단말을 착용한 사용자에게 영상을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좌우 회전각 정보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위치 정보에 설정된 관람 범위와 상기 모니터링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가 바라보는 시야 방향이 상기 관람 범위를 벗어나는지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시야 방향이 상기 관람 범위를 벗어나는 시간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관람 범위는 상기 사용자가 관람 영역을 보기 위해 기준 방향의 좌우로 상기 사용자 단말을 움직이는 각도 범위이다.
상기 영상 제공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시야 방향이 상기 관람 범위를 벗어나는 시간에 해당하는 영상을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야 방향이 상기 관람 범위를 벗어나는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위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좌석 위치를 계산하고, 상기 좌석 위치와 상기 관람 영역 사이의 거리 및 방향 정보를 기초로 상기 좌석 위치에서의 관람 범위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모니터링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가 바라보는 시야 방향을 계산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시야 방향과 상기 관람 범위를 비교하여, 상기 시야 방향이 상기 관람 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야 방향을 계산하는 단계는 기준 방향에서 상기 회전각 정보에 해당하는 각도만큼 회전한 방향을 상기 시야 방향으로 계산하고, 상기 기준 방향은 상기 좌석 위치에서 상기 관람 영역을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상기 영상을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시야 방향이 상기 관람 범위를 벗어나는 시간인 놓친 시간을 저장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놓친 시간에 해당하는 놓친 장면 영상을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놓친 장면 영상을 전달하는 단계는 저장된 영상 중에서, 상기 놓친 시간에 해당하는 영상을 상기 놓친 장면 영상으로 추출할 수 있다.
상기 놓친 장면 영상을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놓친 시간의 목록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목록 중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선택된 놓친 장면 영상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놓친 장면 영상을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영상 요청을 기초로 상기 놓친 장면 영상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시야 방향이 상기 관람 범위를 벗어나는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시야 방향이 기준 시간 이상 상기 관람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시야 방향이 관람 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제공 방법은 각 좌석 위치와 상기 관람 영역 사이의 거리 및 방향 정보를 기초로 각 좌석 위치에서의 관람 범위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좌우 회전각 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머리를 움직일 때, 상기 사용자 단말이 기준 방향의 좌우로 움직이는 각도 정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에게 영상을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 형태이고, 위치 정보와 좌우 회전각 정보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정보를 측정하는 사용자 단말, 그리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모니터링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위치 정보에 설정된 관람 범위와 상기 모니터링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단말을 착용한 사용자가 바라보는 시야 방향이 상기 관람 범위를 벗어나는지 판단하며, 상기 시야 방향이 상기 관람 범위를 벗어나는 시간에 저장된 영상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는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관람 범위는 상기 사용자가 관람 영역을 보기 위해 기준 방향의 좌우로 상기 사용자 단말을 움직이는 각도 범위이다.
상기 서버는 상기 위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좌석 위치를 계산하고, 상기 좌석 위치와 상기 관람 영역 사이의 거리 및 방향 정보를 기초로 상기 좌석 위치에서의 관람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상기 모니터링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가 바라보는 시야 방향을 계산하고 상기 시야 방향과 상기 관람 범위를 비교하여 상기 시야 방향이 상기 관람 범위를 벗어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기준 방향에서 상기 회전각 정보에 해당하는 각도만큼 회전한 방향을 상기 시야 방향으로 계산하고, 상기 기준 방향은 상기 좌석 위치에서 상기 관람 영역을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상기 서버는 상기 시야 방향이 상기 관람 범위를 벗어나는 시간인 놓친 시간을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놓친 시간에 해당하는 놓친 장면 영상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상기 시야 방향이 상기 관람 범위를 벗어나는 시간이 기준 시간 이상 지속되면, 상기 시야 방향이 관람 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각 좌석 위치와 상기 관람 영역 사이의 거리 및 방향 정보를 기초로 각 좌석 위치에서의 관람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행동을 모니터링할 수 있고, 사용자의 행동에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진행 중인 경기나 공연 등을 관람하는 경우, 사용자는 놓친 장면을 별도로 제공받을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향상된 경기 관람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예시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관람장의 구역을 구분하는 예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관람 범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시야 방향과 관람 범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예시이다.
도 1과 도 2를 참고하면, 사용자 단말(100)은 착용할 수 있는(wearable) 단말로서, 예를 들면,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 단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0)은 안경이나 헬멧 형태로 구현될 수 있지만, 사용자 단말(100)의 외관은 다양하게 설계 변경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컴퓨팅부(110), 통신부(120), 디스플레이(130), 위치 측정부(140), 그리고 회전각 측정부(150)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100)은 복수의 카메라(160, 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컴퓨팅부(110)는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통해 각종 프로그램 및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처리한다. 컴퓨팅부(110)는 사용자 단말(100)에 포함된 각종 장치와 연결되어, 각종 장치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영상 제공 방법은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언어로 구현되어 있다. 어플리케이션은 컴퓨팅부(110)에 설치되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은 프로그램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통신부(120)는 외부 통신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통신 모듈은 와이파이나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통신 모듈, 이동통신 모듈 등 다양할 수 있다. 통신부(120)는 외부 서버(미도시)와 통신한다. 통신부(120)는 수신한 정보를 컴퓨팅부(110)로 전달하고, 컴퓨팅부(110)로부터 전달된 정보를 지정된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0)는 컴퓨팅부(110)에서 출력한 정보를 출력한다. 디스플레이(130)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0)을 착용했을 때, 사용자의 눈 앞이나 눈 근처에 위치한다.
위치 측정부(140)는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를 측정한다. 위치 측정부(140)는 GPS 장치 등 다양한 위치 측정 장치와 연동하여 위치를 측정한다.
회전각 측정부(150)는 사용자 단말(100)이 기준 방향에서 회전하는 각도를 측정한다. 회전각 측정부(150)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0)을 착용했을 때, 사용자의 머리가 기준 방향에서 좌우로 움직이는 각도를 측정한다. 회전각 측정부(150)는 다양한 센서로 구현될 수 있고, 예를 들면, 자이로 센서나 각도 측정 센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카메라(160)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0)을 착용했을 때, 전방을 촬영할 수 있도록 사용자 단말(100)에 설치된다.
카메라(170)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0)을 착용했을 때, 사용자의 시선을 추적할 수 있도록 사용자 단말(100)에 설치된다.
다음에서, 영상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영상 제공 시스템(10)은 사용자 단말(100)과 서버(200)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가 착용한 단말이다. 사용자 단말(100)은 서버(200)로 위치 정보와 좌우 회전각 정보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정보를 전송한다.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 정보와 관람장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좌석 위치를 계산한다. 관람장은 사용자가 바라보는 관람 영역(area)을 포함하는 공간으로서, 예를 들면 경기장이나 공연장 등일 수 있다. 관람 영역은 선수들이 경기하는 운동장이나, 배우들이 연기하는 무대일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0)을 착용하고 운동장이나 무대를 관람한다. 관람장 정보는 관람 영역과 관람석을 포함하는 3차원 구조 정보 및 시설 정보를 포함하고, 구체적으로 좌석 배치, 각 좌석 위치에서 관람 영역까지의 거리 및 방향, 카메라 설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서버(200)는 좌석 위치와 관람 영역 사이의 거리 및 방향 정보를 기초로 좌석 위치에서의 관람 범위를 설정한다. 관람 범위는 사용자가 관람 영역을 보기 위해 기준 방향의 좌우로 사용자 단말(100)을 움직이는 각도 범위이다. 이때, 서버(200)는 좌석별 또는 구역(zone)별로 관람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서버(200)는 좌석 위치에서 관람 영역까지의 거리, 좌석 위치에서 관람 영역을 바라보는 좌우 방향 등을 통해 좌석 위치에서의 관람 범위를 설정한다.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모니터링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가 바라보는 시야 방향을 계산한다. 서버(200)는 회전각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단말(100)이 고정 위치(좌석 위치)에서 어느 정도 좌우 회전하는지 계산한다.
서버(200)는 시야 방향이 관람 범위를 벗어나는지 판단한다. 시야 방향이 관람 범위를 벗어나는 시간이 기준 시간 이상 지속되면, 서버(200)는 사용자가 관람 영역을 보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시야 방향이 관람 범위를 벗어나면, 사용자가 해당 시간에 해당 장면을 놓친 것으로 간주한다. 또는,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 정보가 변한 경우, 서버(200)는 사용자가 이동하기 때문에 관람 영역을 보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서버(200)는 시야 방향이 관람 범위를 벗어나는 시간 정보(놓친 시간)를 기록한다. 그리고 서버(200)는 기록한 시간 정보에 해당하는 영상을 사용자 단말(100)이나 다른 단말로 전달한다. 서버(200)가 놓친 장면(missed scene)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법은 다양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놓친 장면 영상을 수신하고 재생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블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관람장의 구역을 구분하는 예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관람 범위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시야 방향과 관람 범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서버(200)는 모니터링부(210), 관람장 정보부(220), 판단부(230), 그리고 영상 관리부(240)를 포함한다.
모니터링부(21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위치 정보와 좌우 회전각 정보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정보를 수신한다. 모니터링부(210)는 일정 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정보를 수신한다. 모니터링부(210)는 사용자 단말(100)이 관람장에 위치하는 시간 동안 모니터링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관람장 정보부(220)는 관람장 설계 정보를 기초로 좌석 배치, 관람석과 관람 영역의 위치, 거리, 방향 정보를 저장한다. 관람석과 관람 영역은 도 5와 같이, 야구장의 관람석을 복수의 구역으로 구분할 수 있고, 관람 영역(그라운드)도 복수의 구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판단부(230)는 사용자의 좌석 위치와 관람 영역 사이의 거리 및 방향 정보를 기초로 좌석 위치에서의 관람 범위를 설정한다. 관람 범위는 좌석 위치의 사용자가 관람 영역(예를 들면, 그라운드)을 보기 위해 기준 방향의 좌우로 사용자 단말(100)을 움직이는 각도 범위이다. 판단부(230)는 좌석 위치에서 관람 영역까지의 거리, 좌석 위치에서 관람 영역을 바라보는 좌우 방향 등을 통해 좌석 위치에서의 관람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판단부(230)는 좌석별로 관람 범위를 설정할 수 있고, 도 5와 같이 구분된 구역별로 관람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관람 범위는 미리 계산되어 저장될 수 있다.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관람 범위는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관람 범위는 기준 방향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이 아닐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판단부(23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모니터링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가 바라보는 시야 방향을 계산한다. 판단부(230)는 사용자 단말(100)이 지정된 위치의 기준 방향에서 어느 정도 좌우 회전하는지 계산한다. 회전 각도는 기준 방향을 포함하는 평면에서 계산되고, 회전 각도를 기초로 시야 방향이 결정된다. 여기서 기준 방향은 좌석 위치에서 관람 영역을 향하는 방향이고, 사용자가 좌석에서 관람 영역을 바라보는 정면 방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머리를 돌려 정면에서 오른쪽 45도 방향을 바라보는 경우, 판단부(230)는 모니터링 정보를 기초로 기준 방향의 오른쪽 45도 방향을 시야 방향으로 계산할 수 있다.
판단부(230)는 시야 방향이 관람 범위를 벗어나는지 판단한다. 판단부(230)는 시야 방향1의 경우, 관람 범위에 포함되므로, 사용자가 관람 영역을 보고 있다고 판단한다. 판단부(230)는 시야 ?향2이 경우, 관람 범위를 벗어나므로, 사용자가 관람 영역을 보고 있지 않다고 판단한다. 시야 방향이 관람 범위를 벗어나는 시간이 기준 시간 이상 지속되면, 판단부(230)는 이 시점의 시간 정보, 즉 놓친 시간(missed timestamp)을 저장한다.
판단부(230)는 사용자 단말(100)에 대응하여 놓친 시간들을 관리한다. 놓친 시간들은 대응하는 시간에 저장된 실시간 영상을 찾는데 이용된다.
판단부(230)와 영상 관리부(240)가 놓친 시간들에 해당하는 영상을 관리하고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하는 방법은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판단부(230)는 놓친 시간들에 해당하는 놓친 장면 영상들을 영상 관리부(240)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판단부(230)는 놓친 장면 영상들 각각을 영상 클립으로 저장하거나, 하나의 통합 클립으로 저장할 수 있다. 판단부(230)는 놓친 시간들과 놓친 장면 영상들을 매핑해 두고, 사용자로부터 특정 영상을 요청받으면, 영상 관리부(240)에 특정 영상을 사용자 단말(100)로 스트리밍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단말(100)이 직접 영상 관리부(240)로 놓친 장면 영상을 요청할 수 있다. 판단부(230)는 다수의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이 있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 근처의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판단부(230)는 사용자 단말(100)이 놓친 장면이 있으면, 수시로 또는 일정 시간 후(예를 들면, 경기 종료 후)에 놓친 장면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판단부(230)는 경기 정보를 기초로 놓친 장면 정보 중에서 이벤트가 발생한 놓친 장면을 추출할 수 있다. 즉, 판단부(230)는 사용자가 놓친 모든 장면을 제공할 필요없이, 경기 정보와 놓친 장면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가 특정 이벤트(예를 들면, 홈런 이벤트) 장면을 놓쳤는지 판단할 수 있다. 또는 판단부(230)는 놓친 장면 정보를 관리하고, 사용자 단말(100)이 요청하면 놓친 장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음성, 모션입력, 혹은 터치센서 입력 등을 통해 사용자 단말(100)로 놓친 장면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영상 관리부(240)는 관람 영역을 촬영한 영상들을 관리한다. 영상 관리부(240)는 관람장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로부터 수신한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관리부(240)는 야구 경기를 중계하는 방송사의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또는 영상 관리부(240)는 사용자들이 착용한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즉, 영상 관리부(240)는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로부터 실시간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영상 관리부(240)는 저장된 영상 중에서, 판단부(230)로 요청 영상을 제공한다. 또는 영상 관리부(240)는 판단부(230)나 사용자 단말(100)로 요청 시간에 해당하는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영상 관리부(240)는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와 관련된 별도의 단말로 놓친 장면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을 참고하면,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 정보와 사용자 단말(100)의 좌우 회전각 정보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정보를 수신한다(S110).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 정보는 GPS 정보, WPS 정보 등일 수 있다. 또는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좌석 정보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의 좌우 회전각 정보는 사용자가 머리를 움직일 때, 사용자 단말(100)이 기준 방향의 좌우로 움직이는 각도 정보이다. 사용자 단말(100)의 좌우 회전각 정보는 자이로 센서나 각도 센서와 같은 센서에 의해 측정된다.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좌석 위치를 계산한다(S120). 서버(200)는 관람장 정보부에 저장된 좌석 배치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를 확인한다.
서버(200)는 좌석 위치와 관람 영역 사이의 거리 및 방향 정보를 기초로 좌석 위치에서의 관람 범위를 설정한다(S130). 관람 범위는 사용자가 관람 영역, 또는 관람 영역 중 지정된 영역을 보기 위해 기준 방향의 좌우로 사용자 단말(100)을 움직여야 하는 각도 범위이다. 관람 범위는 좌석별로 또는 구역별로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모니터링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가 바라보는 시야 방향을 계산한다(S140).
서버(200)는 시야 방향이 관람 범위를 벗어나는지 판단한다(S150). 즉, 서버(200)는 시야 방향이 관람 범위에 들어가면, 사용자가 관람 영역을 보고 있다고 판단하고, 시야 방향이 관람 범위를 벗어나면, 사용자가 관람 영역을 보고 있지 않다고 판단한다.
서버(200)는 시야 방향이 관람 범위를 벗어나는 시간 정보인 놓친 시간 정보를 저장한다(S160). 이때, 서버(200)는 시야 방향이 관람 범위를 벗어나는 시간이 기준 시간 이상 지속되면, 시야 방향이 관람 범위를 벗어났다고 판단할 수 있다.
서버(200)는 놓친 시간 정보에 해당하는 놓친 장면 영상을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한다(S170). 서버(200)가 놓친 장면 영상을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하는 절차는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200)는 놓친 시간 정보들을 사용자 단말(100)로 전달하고, 사용자 단말(100)이 선택한 시간에 해당하는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서버(200)는 놓친 시간 정보들 중에서 특정 이벤트가 발생한 시간 정보들을 추출하여 사용자 단말(100)로 전달할 수 있다.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의 요청을 수신하면, 놓친 시간 정보들이나 놓친 시간 영상들을 제공할 수 있다. 놓친 장면 영상은 관람장에 설치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이나, 사용자들이 착용한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영상 중에서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행동을 모니터링할 수 있고, 사용자의 행동에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진행 중인 경기나 공연 등을 관람하는 경우, 사용자는 놓친 장면을 별도로 제공받을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향상된 경기 관람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8)

  1. 서버가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 형태의 사용자 단말을 착용한 사용자에게 영상을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좌우 회전각 정보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위치 정보에 설정된 관람 범위와 상기 모니터링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가 바라보는 시야 방향이 상기 관람 범위를 벗어나는지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시야 방향이 상기 관람 범위를 벗어나는 시간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관람 범위는 상기 사용자가 관람 영역을 보기 위해 기준 방향의 좌우로 상기 사용자 단말을 움직이는 각도 범위인, 영상 제공 방법.
  2. 제1항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시야 방향이 상기 관람 범위를 벗어나는 시간에 해당하는 영상을 전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영상 제공 방법.
  3. 제1항에서,
    상기 시야 방향이 상기 관람 범위를 벗어나는 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위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좌석 위치를 계산하고, 상기 좌석 위치와 상기 관람 영역 사이의 거리 및 방향 정보를 기초로 상기 좌석 위치에서의 관람 범위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모니터링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가 바라보는 시야 방향을 계산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시야 방향과 상기 관람 범위를 비교하여, 상기 시야 방향이 상기 관람 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영상 제공 방법.
  4. 제3항에서,
    상기 시야 방향을 계산하는 단계는
    기준 방향에서 상기 회전각 정보에 해당하는 각도만큼 회전한 방향을 상기 시야 방향으로 계산하고,
    상기 기준 방향은 상기 좌석 위치에서 상기 관람 영역을 향하는 방향인 영상 제공 방법.
  5. 제1항에서,
    상기 영상을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시야 방향이 상기 관람 범위를 벗어나는 시간인 놓친 시간을 저장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놓친 시간에 해당하는 놓친 장면 영상을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영상 제공 방법.
  6. 제5항에서,
    상기 놓친 장면 영상을 전달하는 단계는
    저장된 영상 중에서, 상기 놓친 시간에 해당하는 영상을 상기 놓친 장면 영상으로 추출하는 영상 제공 방법.
  7. 제5항에서,
    상기 놓친 장면 영상을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놓친 시간의 목록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목록 중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선택된 놓친 장면 영상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는 영상 제공 방법.
  8. 제5항에서,
    상기 놓친 장면 영상을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영상 요청을 기초로 상기 놓친 장면 영상을 전달하는 영상 제공 방법.
  9. 제1항에서,
    상기 시야 방향이 상기 관람 범위를 벗어나는 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시야 방향이 기준 시간 이상 상기 관람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시야 방향이 관람 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하는 영상 제공 방법.
  10. 제1항에서,
    각 좌석 위치와 상기 관람 영역 사이의 거리 및 방향 정보를 기초로 각 좌석 위치에서의 관람 범위를 설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영상 제공 방법.
  11. 제1항에서,
    상기 좌우 회전각 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머리를 움직일 때, 상기 사용자 단말이 기준 방향의 좌우로 움직이는 각도 정보인 영상 제공 방법.
  12. 사용자에게 영상을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 형태이고, 위치 정보와 좌우 회전각 정보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정보를 측정하는 사용자 단말, 그리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모니터링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위치 정보에 설정된 관람 범위와 상기 모니터링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단말을 착용한 사용자가 바라보는 시야 방향이 상기 관람 범위를 벗어나는지 판단하며, 상기 시야 방향이 상기 관람 범위를 벗어나는 시간에 저장된 영상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는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관람 범위는 상기 사용자가 관람 영역을 보기 위해 기준 방향의 좌우로 상기 사용자 단말을 움직이는 각도 범위인, 영상 제공 시스템.
  13. 제12항에서,
    상기 서버는
    상기 위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좌석 위치를 계산하고, 상기 좌석 위치와 상기 관람 영역 사이의 거리 및 방향 정보를 기초로 상기 좌석 위치에서의 관람 범위를 설정하는 영상 제공 시스템.
  14. 제12항에서,
    상기 서버는
    상기 모니터링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가 바라보는 시야 방향을 계산하고 상기 시야 방향과 상기 관람 범위를 비교하여 상기 시야 방향이 상기 관람 범위를 벗어나는 지 판단하는 영상 제공 시스템.
  15. 제14항에서,
    상기 서버는
    기준 방향에서 상기 회전각 정보에 해당하는 각도만큼 회전한 방향을 상기 시야 방향으로 계산하고,
    상기 기준 방향은 상기 좌석 위치에서 상기 관람 영역을 향하는 방향인 영상 제공 시스템.
  16. 제12항에서,
    상기 서버는
    상기 시야 방향이 상기 관람 범위를 벗어나는 시간인 놓친 시간을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놓친 시간에 해당하는 놓친 장면 영상을 전달하는 영상 제공 시스템.
  17. 제12항에서,
    상기 서버는
    상기 시야 방향이 상기 관람 범위를 벗어나는 시간이 기준 시간 이상 지속되면, 상기 시야 방향이 관람 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하는 영상 제공 시스템.
  18. 제12항에서,
    상기 서버는
    각 좌석 위치와 상기 관람 영역 사이의 거리 및 방향 정보를 기초로 각 좌석 위치에서의 관람 범위를 설정하는 영상 제공 시스템.
KR1020130145671A 2013-11-27 2013-11-27 영상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5747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5671A KR101574771B1 (ko) 2013-11-27 2013-11-27 영상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5671A KR101574771B1 (ko) 2013-11-27 2013-11-27 영상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1478A true KR20150061478A (ko) 2015-06-04
KR101574771B1 KR101574771B1 (ko) 2015-12-04

Family

ID=53499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5671A KR101574771B1 (ko) 2013-11-27 2013-11-27 영상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477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17675A1 (ko) * 2016-06-13 2017-12-21 주식회사 네비웍스 가상현실게임제어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10097070A (ko) 2021-07-19 2021-08-06 김민아 스포츠 경기 관전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17675A1 (ko) * 2016-06-13 2017-12-21 주식회사 네비웍스 가상현실게임제어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10097070A (ko) 2021-07-19 2021-08-06 김민아 스포츠 경기 관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4771B1 (ko) 2015-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466115B2 (ja) 撮像システムおよび校正方法
US10944955B2 (en) Multiple viewpoint image capturing system, three-dimensional space reconstructing system, and three-dimensional space recognition system
US10862977B2 (en) Method for sharing photographed images between users
KR102331780B1 (ko) 증강 현실 시스템들에 커플링된 프라이버시-민감 소비자 카메라들
US9123158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and image processing system
US8963956B2 (en) Location based skins for mixed reality displays
JP7122694B2 (ja) 撮像システムおよび校正方法
US2017032201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20180225537A1 (en) Methods and apparatus relating to camera switching and/or making a decision to switch between cameras
KR20160124479A (ko) 서버,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10192389A (zh) 一种网真系统
KR101703924B1 (ko) 관람위치 변경이 가능한 가상현실안경을 포함하는 가상현실 시스템
CN105528065B (zh) 向观看者显示定制放置的叠层
WO2017130198A1 (en) Line-of-sight-based content-sharing dynamic ad-hoc networks
KR101574771B1 (ko) 영상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50058866A (ko) 스마트 블랙박스 헬멧, 이를 이용한 스마트 블랙박스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JP2018163461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101790755B1 (ko) 사용자 기기 연동을 통한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스마트 글라스
KR20150061477A (ko) 영상 제공 방법 및 시스템
WO2024116270A1 (ja) 携帯情報端末及び仮想現実表示システム
US2024006149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US20240214614A1 (en) Multi-camera multiview imaging with fast and accurate synchronization
KR101487490B1 (ko) 웨어러블 단말의 영상 분석 방법
KR20150061476A (ko) 비주시 영역의 영상을 제공하는 방법
WO2024138099A1 (en) Multi-camera multiview imaging with fast and accurate synchroniz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