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1145A -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electronic coupon to user terminal - Google Patents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electronic coupon to user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1145A
KR20150061145A KR1020130144521A KR20130144521A KR20150061145A KR 20150061145 A KR20150061145 A KR 20150061145A KR 1020130144521 A KR1020130144521 A KR 1020130144521A KR 20130144521 A KR20130144521 A KR 20130144521A KR 20150061145 A KR20150061145 A KR 201500611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electronic voucher
usage information
information
electro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45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병욱
조영제
Original Assignee
갤럭시아커뮤니케이션즈 주식회사
롯데쇼핑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갤럭시아커뮤니케이션즈 주식회사, 롯데쇼핑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갤럭시아커뮤니케이션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445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61145A/en
Publication of KR20150061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114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45Payment circuits using payment protocols involving ticke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9Keeping log of transactions for guaranteeing non-repudiation of a transa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2Confirmation, e.g. check or permission by the legal debtor of pay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A method for supplying an electronic gift certificate to a user terminal accord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tep of transmitting purchase information about the electronic gift certificate including an automatic response system (ARS) access number to the user terminal based on sales information about the electronic gift certificate including an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user terminal; a step of performing access verification of the user terminal based on access of the user terminal using the ARS access number; and a step of supplying usage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gift certificate in barcode form to the user terminal based on a result of the access verification.

Description

사용자 단말로 전자 상품권을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ELECTRONIC COUPON TO USER TERMINAL}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n electronic voucher to a user terminal,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로 전자 상품권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로 전자 상품권의 사용 정보를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a method for providing an electronic voucher to a user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chnique for providing usage information of an electronic voucher to a user terminal.

사용자 단말로 전자 상품권을 제공하는 기술은 전자 상품권 판매 사이트 또는 오프라인 판매소로부터 구매된 전자 상품권을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전자 상품권의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기술로써,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를 기초로 전자 상품권이 사용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개인 정보가 노출된 위험이 있다.The technology for providing the electronic voucher to the user terminal is a technique for providing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voucher to the user terminal so that the electronic voucher purchased from the electronic voucher sale site or the offline sales outlet can be used by using the user terminal. Since the electronic voucher is used as a basis, there is a risk that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is exposed.

이에,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지 않고 전자 상품권이 사용되도록, 전자 상품권을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기술이 요구된다.
Therefore, a technique for providing the electronic voucher to the user terminal is required so that the electronic voucher is used instead of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지 않고 전자 상품권이 사용되도록, 전자 상품권의 사용 정보를 이용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 method, an apparatus, and a system that use the electronic voucher usage information so that the electronic voucher is used instead of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온라인 사이트 및 오프라인 교환소에서 사용될 수 있는 전자 상품권의 사용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 a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providing usage information of an electronic voucher that can be used at an online site and an off-line exchange offic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전자 상품권의 사용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의 점유 인증을 수행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 a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performing occupancy authentication of a user terminal to provide usage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voucher to the user terminal.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자 단말의 점유 인증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ARS(Automatic Response System) 접속 번호를 이용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In addi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 method, an apparatus, and a system using an ARS (Automatic Response System) access number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occupancy authentication of a user terminal.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로 전자 상품권을 제공하는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전자 상품권의 판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ARS(Automatic Response System) 접속 번호를 포함하는 상기 전자 상품권의 구매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ARS 접속 번호를 통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접속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점유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점유 인증 수행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상품권의 사용 정보를 바코드 형태로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of providing an electronic voucher to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ransmitting an ARS (Automatic Response System) access number to the user terminal based on sales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voucher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Transmitting purchase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voucher to the purchaser; Performing occupancy authentication of the user terminal based on connection of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ARS access number; And providing the usage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voucher to the user terminal in the form of a barcode based on the result of the occupancy authentication.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자 상품권을 제공하는 방법은 상기 사용 정보를 이용한 상기 전자 상품권의 사용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 정보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사용 정보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사용 정보를 상기 전자 상품권이 사용되는 사이트의 서버 또는 상기 전자 상품권이 교환되는 오프라인 교환소의 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method of providing an electronic voucher to the user terminal includes receiving a request for use of the electronic voucher using the usage information; Determining the validity of the usage information in response to the usage request; Transmitting the usage information to at least one of a server of a site where the electronic voucher is used or a server of an off-line exchange where the electronic voucher is exchang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age information is valid; And updating the usage information based on the usage request.

상기 사용 요청은 상기 전자 상품권이 사용되는 사이트의 서버 또는 상기 전자 상품권이 교환되는 오프라인 교환소의 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The use request may be received from at least one of a server of the site where the electronic voucher is used or a server of an off-line exchange where the electronic voucher is exchanged.

상기 사용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 상품권의 사용 정보가 상기 사이트에서 사용되는지 또는 상기 오프라인 교환소에서 지류 상품권으로 교환되어 사용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및 상기 사용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 정보에 포함되는 금액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updating of the usage information comprises: determining whether usage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voucher is used at the site or is exchanged with a branch gift voucher at the offline clearinghouse; And updating the amount information included in the usage information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and the usage request.

상기 사용 정보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 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금액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전자 상품권의 잔액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전자 상품권의 잔액이 있는 경우, 상기 사용 정보가 사용된 적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전자 상품권의 잔액이 없거나 또는 상기 사용 정보가 사용된 적이 있는 경우, 상기 사용 정보의 유효성을 무효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validity of the usage information comprises: determining whether the remaining amount of the electronic voucher is present based on the amount information included in the usage information; Determining whether the usage information has been used when there is a balance of the electronic voucher; And invalidating the validity of the usage information when the remaining amount of the electronic voucher is not available or the usage information has been use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점유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구매 정보가 전송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와 상기 ARS 접속 번호를 통해 접속되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performing occupancy authentication of the user terminal may include determining whether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to which the purchase information is transmitted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connected through the ARS access number match have.

상기 사용 정보는 상기 사용 정보의 식별 번호 및 미리 설정된 유효 기간을 포함할 수 있다.The usage information may include an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usage information and a predetermined validity period.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자 상품권을 제공하는 방법은 전자 상품권 판매 사이트의 서버로부터 상기 전자 상품권의 판매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of providing an electronic voucher to the user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receiving sales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voucher from a server of the electronic gift vending sit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로 전자 상품권을 제공하는 시스템은 상기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메모리부; 및 상기 메모리부에 기록된 상기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전자 상품권의 판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ARS 접속 번호를 포함하는 상기 전자 상품권의 구매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ARS 접속 번호를 통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접속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점유 인증을 수행하며, 상기 점유 인증 수행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상품권의 사용 정보를 바코드 형태로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한다.A system for providing an electronic voucher to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emory unit for recording a program operating in the system; And a processor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of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ogram recorded in the memory unit, wherein the program causes an ARS connection to the user terminal based on sales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gift certificate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And transmits the purchase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voucher containing the number of the electronic voucher to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result of the occupancy authentication, And provides usage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in the form of a barcode.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사용 정보를 이용한 상기 전자 상품권의 사용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 정보의 유효성을 판단하며, 상기 사용 정보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사용 정보를 상기 전자 상품권이 사용되는 사이트의 서버 또는 상기 전자 상품권이 교환되는 오프라인 교환소의 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Wherein the program receives a use request of the electronic gift certificate using the usage information, determines the validity of the use information in response to the use request, and when the use information is determined to be valid, To a server of the site to be used or a server of an off-line exchange to which the electronic voucher is exchanged, and update the usage information based on the use request.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지 않고 전자 상품권이 사용되도록, 전자 상품권의 사용 정보를 이용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method, an apparatus, and a system that use the electronic voucher usage information so that the electronic voucher is used instead of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온라인 사이트 및 오프라인 교환소에서 사용될 수 있는 전자 상품권의 사용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provide a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providing usage information of an electronic voucher that can be used at an online site and an off-line exchange offic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전자 상품권의 사용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의 점유 인증을 수행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a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performing occupancy authentication of a user terminal to provide usage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voucher to the user terminal.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자 단말의 점유 인증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ARS 접속 번호를 이용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method, an apparatus, and a system using an ARS access number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occupancy authentication of a user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로 전자 상품권을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상품권의 구매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상품권의 사용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로 전자 상품권을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5는 전자 상품권의 사용 정보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단계(460)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6은 전자 상품권의 사용 정보를 업데이트 하는 단계(480)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로 전자 상품권을 제공하는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1 is a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providing an electronic voucher to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purchase information of an electronic vouc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usage information of an electronic vouc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n electronic voucher to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specifically showing a step 460 of judging the validity of the electronic gift certificate usage information.
6 is a flowchart specifically showing a step 480 of updating usage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voucher.
7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for providing an electronic voucher to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or limited by the embodiments. 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shown in the drawings denote the same member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로 전자 상품권을 제공하는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1 illustrates a system for providing an electronic voucher to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로 전자 상품권을 제공하는 과정은 사용자 단말(110), 전자 상품권 판매 사이트의 서버(120), 사용자 단말로 전자 상품권을 제공하는 시스템(130) 및 전자 상품권이 사용되는 사이트 또는 오프라인 교환소의 서버(140) 사이에서 수행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process of providing an electronic voucher to a user terminal includes a user terminal 110, a server 120 of an electronic voucher sale site, a system 130 for providing an electronic voucher to a user terminal, Or between the server at the site or the off-line exchange.

전자 상품권 판매 사이트의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전자 상품권의 구매 요청을 수신하고(111), 이에 대응하는 전자 상품권의 판매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자 상품권을 제공하는 시스템(130)으로 전송할 수 있다(121). 이 때, 판매 정보는 사용자 단말(11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판매 정보에는 사용자 단말(110)의 전화 번호가 암호화되어 포함될 수 있다.The server 120 of the electronic gift certificate sales site receives the electronic gift certificate purchase request (111) from the user terminal 110 and provides the electronic gift certificate to the user terminal (121). At this time, the sales information may includ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110. For example, the sales information may include the telephone number of the user terminal 110 encrypted.

사용자 단말로 전자 상품권을 제공하는 시스템(130)은 수신된 판매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110)로 전자 상품권의 구매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131). 이 때, 구매 정보에는 ARS 접속 번호, 사용자 단말(110)의 사용자가 구매 요청한 전자 상품권의 금액 정보, 구매 요청한 전자 상품권이 사용될 수 있는 사용처 정보 및 구매 요청한 전자 상품권의 유효 기간이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2를 참조하여 기재하기로 한다.The system 130 for providing the electronic voucher to the user terminal may transmit the purchase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voucher to the user terminal 110 based on the received sales information (131). In this case, the purchase information may include the ARS connection number, the amount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voucher requested by the user of the user terminal 110, the usage information to which the purchased electronic voucher can be used, and the validity period of the electronic voucher requested for purchas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사용자 단말(110)의 사용자는 수신된 구매 정보에 포함되는 ARS 접속 번호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로 전자 상품권을 제공하는 시스템(130)으로 접속할 수 있다(112). 이 때, 구매 정보에는 하나의 ARS 접속 번호가 포함되기 때문에, 사용자 단말(110)의 사용자는 하나의 ARS 접속 번호만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로 전자 상품권을 제공하는 시스템(130)으로 접속할 수 있다(112).The user of the user terminal 110 may access the system 130 providing the electronic voucher to the user terminal via the ARS access number included in the received purchase information (112). At this time, since one ARS access number is included in the purchase information, the user of the user terminal 110 can access the system 130 providing the electronic voucher to the user terminal using only one ARS access number (112 ).

또한, 사용자 단말로 전자 상품권을 제공하는 시스템(130)은 사용자 단말(110)의 ARS 접속 번호를 통한 접속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110)의 점유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110)의 점유 인증은 별도의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의 요청 없이, 구매 정보가 전송된 사용자 단말(110)의 식별 정보와 ARS 접속 번호를 통해 접속되는 사용자 단말(110)의 식별 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매 정보가 전송된 사용자 단말(110)의 식별 정보와 ARS 접속 번호를 통해 접속되는 사용자 단말(110)의 식별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다면, 사용자 단말로 전자 상품권을 제공하는 시스템(130)은 구매 정보가 전송된 사용자 단말(110)의 사용자가 아닌, 다른 단말의 사용자가 ARS 접속 번호를 통해 접속함을 인식하여, 다음 단계를 수행하지 않고, 구매 정보가 전송된 사용자 단말(110)로 전자 상품권에 대한 부당 사용 요청이 수신되었음을 통지할 수 있다(131). 반면에, 구매 정보가 전송된 사용자 단말(110)의 식별 정보와 ARS 접속 번호를 통해 접속되는 사용자 단말(110)의 식별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로 전자 상품권을 제공하는 시스템(130)은 구매 정보가 전송된 사용자 단말(110)의 사용자가 ARS 접속 번호를 통해 접속함을 인식하여, 전자 상품권의 사용 정보를 바코드 형태로 사용자 단말(110)로 제공할 수 있다(131).The system 130 for providing the electronic voucher to the user terminal may also perform the occupancy authentication of the user terminal 110 based on the connection through the ARS access number of the user terminal 110. [ In this case, the occupancy authentication of the user terminal 110 may be performed by the user terminal 110 connected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110 through which the purchas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hrough the ARS connection number, without request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nother user terminal It can be performed by judging whether or not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tches. For example, if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110 through which the purchase information is transmitted does not match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110 connected through the ARS connection number, the system 130 for providing the electronic voucher to the user terminal, Recognizes that a user of another terminal, rather than a user of the user terminal 110 to which the purchase information has been transmitted, accesses through the ARS access number and performs the following steps, It may be notified that a request for fraudulent use of the electronic voucher has been received (131). On the other hand, whe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110 to which the purchase information is transmitted match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110 connected through the ARS connection number, the system 130 for providing the electronic voucher to the user terminal The user of the user terminal 110 to which the purchase information has been transmitted may be connected through the ARS access number, and the usage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gift certificate may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110 in the form of a barcode (131).

여기서, 전자 상품권의 사용 정보는 사용 정보의 식별 번호, 사용 정보의 미리 설정된 유효 기간 및 사용 정보의 금액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사용 정보의 미리 설정된 유효 기간은 사용 정보에 대응하는 전자 상품권의 유효 기간과는 다른 유효 기간으로서, 전자 상품권의 사용 정보가 이용될 수 있는 유효 기간을 의미한다. 또한, 사용 정보의 식별 번호는 사용 정보에 대응하는 전자 상품권의 일련 번호와 구별되는 일회용 식별 번호일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3을 참조하여 기재하기로 한다.Here, the usage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voucher may include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usage information, the preset validity period of the usage information, and the amount information of the usage information. At this time, the predetermined validity period of the use information means an expiration period different from the validity period of the electronic gift certificate corresponding to the usage information, and the use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gift certificate can be used. In addition,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usage information may be a disposable identification number that is distinguished from the serial number of the electronic voucher corresponding to the usage informa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또한, 전자 상품권의 사용 정보는 사용자 단말(110)의 사용자가 제공된 사용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 정보에 대응하는 전자 상품권을 사용하는 경우, 업데이트될 수 있다. 이 때, 전자 상품권의 사용 정보는 사이트에서 사용되는지 또는 오프라인 교환소에서 지류 상품권으로 교환되어 사용되는지 판단되고, 판단 결과 및 사용 요청에 기초하여 사용 정보에 포함되는 금액 정보가 갱신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age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voucher can be updated when the user of the user terminal 110 uses the electronic voucher corresponding to the usage information using the usag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user. At this tim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usage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voucher is used at the site or exchanged with the branch exchange voucher at the off-line exchange, and the amount information included in the usage information may be updated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and the use request.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110)의 사용자가 전자 상품권이 사용되는 사이트 또는 오프라인 교환소의 서버(140)에 사용 요청을 하는 경우(113), 전자 상품권이 사용되는 사이트 또는 오프라인 교환소의 서버(140)는 사용자 단말로 전자 상품권을 제공하는 시스템(130)으로 전자 상품권의 사용 요청을 전송할 수 있고(141), 이에 응답하여, 사용자 단말로 전자 상품권을 제공하는 시스템(130)은 사용 정보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사용 정보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사용 정보는 전자 상품권이 사용되는 사이트 또는 오프라인 교환소의 서버(140)로 전송될 수 있다(132). 그 후, 사용자 단말로 전자 상품권을 제공하는 시스템(130)은 전자 상품권의 사용 정보가 사이트에서 사용되는지 또는 오프라인 교환소에서 지류 상품권으로 교환되어 사용되는지를 판단하여, 사용 요청된 금액 및 사용된 금액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 정보에 포함되는 금액 정보를 갱신할 수 있고, 전자 상품권이 사용되는 사이트 또는 오프라인 교환소의 서버(140)는 사용자 단말(110)로 사용 정보에 대응하는 전자 상품권을 사용 처리할 수 있다(142).Specifically, when a user of the user terminal 110 makes a request to use a server 140 of a site or an off-line exchange office where the electronic voucher is used (113), the server 140 of the site or the off-line exchange office where the electronic voucher is used The system 130 for providing the electronic voucher to the user terminal may transmit the request for use of the electronic voucher to the system 130 and in response thereto the system 130 for providing the electronic voucher to the user terminal may determine the validity of the usage information . At this tim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age information is valid, the usage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server 140 of the site or the offline exchange office where the electronic voucher is used (132). Thereafter, the system 130 for providing the electronic voucher to the user terminal determines whether the usage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voucher is used at the site or is exchanged with the branch exchange voucher at the off-line exchange, , And the server 140 of the site or the off-line exchange office where the electronic voucher is used can process the electronic voucher corresponding to the usage information with the user terminal 110 (142).

여기서, 사용자 단말로 전자 상품권을 제공하는 시스템(130)이 사용 정보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과정은 사용 정보에 포함되는 금액 정보를 기초로 전자 상품권의 잔액이 있는지를 판단하고, 전자 상품권의 잔액이 있는 경우, 사용 정보가 사용된 적이 있는지를 판단하여, 판단 결과 전자 상품권의 잔액이 없거나 또는 사용 정보가 사용된 적이 있는 경우, 사용 정보의 유효성을 무효 처리하는 과정을 포함함으로써, 잔액이 없거나 또는 사용된 적이 있는 사용 정보를 제외한, 잔액이 있고 새로 발급된 사용 정보에 한해서만 사용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Here, the process of determining the validity of the usage information by the system 130 for providing the electronic voucher to the user terminal determines whether the remaining amount of the electronic voucher is present based on the amount information included in the usage information, , It is judged whether or not the usage information has been used and invalidation of the validity of the usage information is made when there is no balance of the electronic gift voucher or the usage information has been used as a result of the judgment, Usage processing can be performed only with the balance information and newly issued usage information, except usage information that has never been used.

예를 들어, 사용 정보를 처음 제공받은 사용자 단말(110)의 사용자가 전자 상품권이 사용되는 사이트의 서버(140)에 사용 정보를 이용하여 100,000원 금액의 전자 상품권에 대해 70,000원 금액의 사용 요청을 하는 경우(113), 전자 상품권이 사용되는 사이트의 서버(140)는 사용자 단말로 전자 상품권을 제공하는 시스템(130)으로 사용 요청을 전송할 수 있고(141), 이에 응답하여, 사용자 단말로 전자 상품권을 제공하는 시스템(130)은 사용 정보에 포함되는 금액 정보를 기초로 전자 상품권의 잔액이 있는지 및 전자 상품권의 잔액이 있는 경우, 사용 정보가 사용된 적이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사용 정보는 처음으로 제공받았기 때문에, 사용 정보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되고, 사용 정보는 전자 상품권이 사용되는 사이트의 서버(140)로 전송되고, 100,000원의 금액이 사용된 70,000원의 금액을 제외한 나머지 30,000원의 금액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user of the user terminal 110 receiving the usage information first requests the server 140 of the site where the electronic voucher is used to use 70,000 won for the electronic voucher of 100,000 won amount using the usage information The server 140 of the site in which the electronic voucher is used may transmit the usage request to the system 130 for providing the electronic voucher to the user terminal 141, The system 130 for providing the usage information can determine whether the remaining amount of the electronic voucher exists or the remaining amount of the electronic voucher exists based on the amount information included in the usage information. At this time, since the usage information is received for the first time, it is determined that the usage information is valid. The usag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140 of the site where the electronic voucher is used, and the amount of 70,000 won The remaining amount can be updated to the amount of 30,000 won.

더 구체적인 예를 들어, 100.000원 금액의 전자 상품권에 대해 70,000원 금액을 사용한 사용자 단말(110)의 사용자가 전자 상품권이 사용되는 사이트의 서버(140)에, 사용된 사용 정보를 이용하여 전자 상품권의 사용 요청을 하는 경우(113), 전자 상품권이 사용되는 사이트의 서버(140)는 사용자 단말로 전자 상품권을 제공하는 시스템(130)으로 사용 요청을 전송할 수 있고(141), 이에 응답하여, 사용자 단말로 전자 상품권을 제공하는 시스템(130)은 사용 정보에 포함되는 금액 정보를 기초로 전자 상품권의 잔액이 있는지 및 전자 상품권의 잔액이 있는 경우, 사용 정보가 사용된 적이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사용 정보는 한번 사용된 적이 있기 때문에, 사용자 단말로 전자 상품권을 제공하는 시스템(130)은 사용 정보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과정에서 사용 정보의 유효성을 무효 처리함으로써, 사용자 단말(110)의 사용 정보에 대해 사용 처리를 수행하지 않고, 사용자 단말(110)의 사용자가 사용 정보를 재발급 받도록 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for example, the user of the user terminal 110 using the 70,000 won amount for the electronic voucher of 100,000 won amount can use the usage information used in the server 140 of the site where the electronic voucher is used, If a request for use is made 113, the server 140 of the site where the electronic voucher is used may transmit the usage request to the system 130 that provides the electronic voucher to the user terminal 141, and in response, The system 130 for providing the electronic voucher can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balance of the electronic voucher and whether the usage information has been used when there is a balance of the electronic voucher on the basis of the amount information included in the usage information. At this time, since the usage information has been used once, the system 130 for providing the electronic voucher to the user terminal invalidates the validity of the usage information in the process of determining the validity of the usage information, It is possible for the user of the user terminal 110 to receive the use information again without performing use processing on the use informa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상품권의 구매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view showing purchase information of an electronic vouc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전자 상품권의 구매 정보는 사용자가 구매 요청한 전자 상품권의 금액 정보(210), ARS 접속 번호(220), 전자 상품권이 사용될 수 있는 사용처 정보(230) 및 전자 상품권의 유효 기간(24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상품권의 유효 기간(240)은 전자 상품권의 사용 정보의 미리 설정된 유효 기간과 구별되는 유효 기간으로서, 사용 정보와 무관하게 전자 상품권이 사용될 수 있는 유효 기간을 의미한다. 또한, ARS 접속 번호(220)는 사용자 단말의 점유 인증을 수행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purchase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gift certificate includes information on the amount 210 of the electronic gift certificate requested by the user, the ARS access number 220, the usage information 230 where the electronic gift certificate can be used, 240). Here, the validity period 240 of the electronic voucher is an expiration period distinguishable from a predetermined valid period of use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voucher, which means an expiration period in which the electronic voucher can be used regardless of the usage information. In addition, the ARS access number 220 may be used to perform occupancy authentication of the user terminal.

또한, 전자 상품권이 사용되는 사용처는 온라인 사이트일 수 있거나 또는 오프라인 교환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상품권은 온라인 사이트에서 사용될 수도 있고, 오프라인 교환소에서 지류 상품권으로 교환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place where the electronic voucher is used can be an online site or an offline exchange. For example, e-vouchers can be used at online sites or exchanged for branch gift vouchers at off-line clearing houses.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상품권의 사용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usage information of an electronic vouc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전자 상품권의 사용 정보는 바코드(310), 사용 정보의 식별 번호(320), 사용 정보의 미리 설정된 유효 기간(330) 및 전자 상품권에 대응하는 사용 정보의 금액 정보(3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바코드(310)에는 전자 상품권의 일련 번호 정보, 사용 정보의 식별 정보(320), 사용 정보의 미리 설정된 유효 기간(330) 및 금액 정보(340)가 암호화되어 저장됨으로써, 사용 정보가 바코드 리더기를 통하여 사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바코드(310)에는 사용 정보의 유효성을 나타내는 식별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3, usage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gift certificate includes bar code 310, identification information 320 of usage information, a preset validity period 330 of usage information, and amount information 340 of usag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electronic gift certificate. . ≪ / RTI > The serial number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gift certificat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320 of the use information, the preset validity period 330 of the usage information, and the amount information 340 are encrypted and stored in the barcode 310, As shown in FIG. In addition, the barcode 310 may includ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e validity of the usage information.

또한, 사용 정보의 식별 정보(320)는 전자 상품권의 일련 번호와 구별되는 일회용 식별 번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상품권의 일련 번호가 123456인 경우, 사용 정보가 생성되는 과정에서, 사용 정보의 식별 정보(320)는 전자 상품권의 일련 번호인 123456과 구별되도록 12346785941로 설정될 수 있다. 이 때, 사용 정보의 식별 정보(320)는 사용 정보에 대응하는 전자 상품권의 일련 번호, 사용 정보의 미리 설정된 유효 기간(330) 및 사용 정보의 금액 정보(340)에 대응되도록 설정됨으로써, 사용 정보가 온라인 사이트를 통하여 사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 정보의 식별 정보(320)에는 사용 정보의 유효성을 나타내는 식별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320 of the usage information may be a disposable identification number that is distinguished from the serial number of the electronic voucher. For example, when the serial number of the electronic voucher is 123456, in the process of generating usage informati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320 of the usage information may be set to 12346785941 so as to be distinguished from the serial number 123456 of the electronic voucher. At this tim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320 of the usage information is set to correspond to the serial number of the electronic voucher corresponding to the usage information, the preset validity period 330 of the usage information, and the amount information 340 of the usage information, Can be used through an online site. In additi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320 indicating the use information may includ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e validity of the use information.

사용 정보의 미리 설정된 유효 기간(330)은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가 ARS 접속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의 점유 인증을 수행한 후 제공받은 사용 정보에 대한 유효 기간으로서, 전자 상품권의 유효 기간과는 별도로, 사용 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유효 기간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전자 상품권의 유효 기간이 4년일지라도, 사용 정보의 미리 설정된 유효 기간(330)은 사용 정보가 제공받은 시점으로부터 24시간 동안 유효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The preset validity period 330 of the usage information is an expiration period for the usage information provided after the user of the user terminal performs the occupancy authentication of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ARS connection and is different from the validity period of the electronic voucher, Is vali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For example, even if the validity period of the electronic voucher is four years, the predetermined validity period 330 of the usage information may be set to be valid for 24 hours from the point of time when the use information is provided.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로 전자 상품권을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n electronic voucher to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로 전자 상품권을 제공하는 시스템은 전자 상품권 판매 사이트의 서버로부터 전자 상품권의 판매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410).Referring to FIG. 4, a system for providing an electronic voucher to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receive sales information of an electronic voucher from a server of the electronic gift vending site (410).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로 전자 상품권을 제공하는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 상품권의 판매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로 ARS 접속 번호를 포함하는 전자 상품권의 구매 정보를 전송한다(420).In addition, the system for providing the electronic voucher to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purchase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for acquiring purchase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voucher including the ARS access number to the user terminal based on sales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voucher contain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420).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로 전자 상품권을 제공하는 시스템은 ARS 접속 번호를 통한 사용자 단말의 접속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의 점유 인증을 수행한다(430). 이 때, 사용자 단말의 점유 인증을 수행하는 과정은 구매 정보가 전송된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와 ARS 접속 번호를 통해 접속되는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ystem for providing the electronic voucher to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occupancy authentication of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connection of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ARS access number (430). In this case, the step of performing the occupancy authentication of the user terminal may include a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to which the purchase information is transmitted match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connected through the ARS connection number.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로 전자 상품권을 제공하는 시스템은 점유 인증 수행 결과에 기초하여 전자 상품권의 사용 정보를 바코드 형태로 사용자 단말로 제공한다(440).In addition, the system for providing the electronic voucher to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usage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voucher to the user terminal in the form of a barcode on the basis of the result of the occupancy authentication (440).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로 전자 상품권을 제공하는 시스템은 사용 정보를 이용한 전자 상품권의 사용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450). 이 때, 사용 요청은 전자 상품권이 사용되는 사이트의 서버 또는 전자 상품권이 교환되는 오프라인 교환소의 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ystem for providing the electronic voucher to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receive the request for using the electronic voucher using the usage information (450). At this time, the use request may be received from at least one of the server of the site where the electronic voucher is used or the server of the off-line exchange where the electronic voucher is exchanged.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로 전자 상품권을 제공하는 시스템은 사용 요청에 응답하여 사용 정보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다(460).In addition, the system for providing the electronic voucher to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determine the validity of the usage information in response to the usage request (460).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로 전자 상품권을 제공하는 시스템은 사용 정보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사용 정보를 전자 상품권이 사용되는 사이트의 서버 또는 전자 상품권이 교환되는 오프라인 교환소의 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할 수 있다(470).The system for providing the electronic voucher to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erver of the site where the electronic voucher is used or a server of the offline exchange where the electronic voucher is exchanged, (470).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로 전자 상품권을 제공하는 시스템은 사용 요청에 기초하여 사용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480).
In addition, the system for providing the electronic voucher to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update the usage information based on the usage request (480).

도 5는 전자 상품권의 사용 정보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단계(460)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5 is a flowchart specifically showing a step 460 of judging the validity of the electronic gift certificate usage informa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로 전자 상품권을 제공하는 시스템은 사용 정보에 포함되는 금액 정보를 기초로 전자 상품권의 잔액이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510).Referring to FIG. 5, a system for providing an electronic voucher to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balance of the electronic voucher on the basis of the amount information included in the usage information (510).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로 전자 상품권을 제공하는 시스템은 판단 결과 전자 상품권의 잔액이 있는 경우, 사용 정보가 사용된 적이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520).In addition, the system for providing the electronic voucher to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determine whether the usage information has been used (520) when the remaining amount of the electronic voucher exists as a determination result.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로 전자 상품권을 제공하는 시스템은 판단 결과 전자 상품권의 잔액이 없거나 또는 사용 정보가 사용된 적이 있는 경우, 사용 정보의 유효성을 무효 처리할 수 있다(530).
In addition, the system for providing the electronic voucher to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validate the validity of the usage information when the remaining amount of the electronic voucher is not available or the usage information has been used ).

도 6은 전자 상품권의 사용 정보를 업데이트 하는 단계(480)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6 is a flowchart specifically showing a step 480 of updating usage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voucher.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로 전자 상품권을 제공하는 시스템은 전자 상품권의 사용 정보가 사이트에서 사용되는지 또는 오프라인 교환소에서 지류 상품권으로 교환되어 사용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610).Referring to FIG. 6, a system for providing an electronic voucher to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determine whether usage information of an electronic voucher is used in a site or in an off-line exchange, (610).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로 전자 상품권을 제공하는 시스템은 판단 결과 및 사용 요청에 기초하여 사용 정보에 포함되는 금액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620).
In addition, the system for providing the electronic voucher to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update the amount information included in the usage information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and the usage request (operation 620).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로 전자 상품권을 제공하는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7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for providing an electronic voucher to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로 전자 상품권을 제공하는 시스템은 메모리부(710) 및 프로세서(72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7, a system for providing an electronic voucher to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emory unit 710 and a processor 720.

메모리부(710)는 사용자 단말로 전자 상품권을 제공하는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다.The memory unit 710 records a program operating in the system for providing the electronic voucher to the user terminal.

프로세서(720)는 메모리부에 기록된 프로그램에 따라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한다.The processor 72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ogram recorded in the memory unit.

여기서, 프로그램은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 상품권의 판매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로 ARS 접속 번호를 포함하는 전자 상품권의 구매 정보를 전송하고, ARS 접속 번호를 통한 사용자 단말의 접속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의 점유 인증을 수행하며, 점유 인증 수행 결과에 기초하여 전자 상품권의 사용 정보를 바코드 형태로 사용자 단말로 제공한다.Here, the program transmits the purchase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voucher containing the ARS connection number to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sales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voucher contain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and based on the connection of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ARS connection number Performs occupancy authentication of the user terminal, and provides usage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voucher to the user terminal in the form of a barcode based on the result of the occupancy authentication.

또한, 프로그램은 사용 정보를 이용한 전자 상품권의 사용 요청을 수신하고, 사용 요청에 응답하여 사용 정보의 유효성을 판단하며, 사용 정보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사용 정보를 전자 상품권이 사용되는 사이트의 서버 또는 전자 상품권이 교환되는 오프라인 교환소의 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고, 사용 요청에 기초하여 사용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ogram receives the use request of the electronic gift certificate using the usage information, determines the validity of the use information in response to the use request, and when the use information is determined to be valid, Or a server of an off-line exchange where the electronic voucher is exchanged, and may update the usage information based on the usage request.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The apparatus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as a hardware component, a software component, and /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components and software components. For example, the apparatus and component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within a computer system, such as, for example, a processor, a controller, an arithmetic logic unit (ALU), a digital signal processor, a microcomputer, a field programmable array (FPA) A programmable logic unit (PLU), a microprocessor, or any other device capable of executing and responding to instructions. The processing device may execute an operating system (OS) and one or more software applications running on the operating system. The processing device may also access, store, manipulate, process, and generate data in response to execution of the software. For ease of understanding, the processing apparatus may be described as being used singly,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cognize that the processing apparatus may have a plurality of processing elements and / As shown in FIG. For example, the processing unit may comprise a plurality of processors or one processor and one controller. Other processing configurations are also possible, such as a parallel processor.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The software may include a computer program, code, instructions, or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foregoing, and may be configured to configure the processing device to operate as desired or to process it collectively or collectively Device can be commanded. The software and / or data may be in the form of any type of machine, component, physical device, virtual equipment, computer storage media, or device , Or may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embodied in a transmitted signal wave. The software may be distributed over a networked computer system and stored or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The software and data may be stored on one or mor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a.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program command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and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to be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embodiments or may be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magnetic media such as floppy disks;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machine language code such as those produced by a compiler, as well as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s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embodiments, and vice versa.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For exampl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chniques described may b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than the described methods, and / or that components of the described systems, structures, devices, circuits, Lt; / RTI > or equivalents, even if it is replaced or replaced.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equivalents to the claims are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Claims (10)

사용자 단말로 전자 상품권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전자 상품권의 판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ARS(Automatic Response System) 접속 번호를 포함하는 상기 전자 상품권의 구매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ARS 접속 번호를 통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접속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점유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점유 인증 수행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상품권의 사용 정보를 바코드 형태로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로 전자 상품권을 제공하는 방법.
A method for providing an electronic voucher to a user terminal,
Transmitting purchase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gift certificate including an automatic response system (ARS) access number to the user terminal based on sales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gift certificate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Performing occupancy authentication of the user terminal based on connection of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ARS access number; And
Providing the usage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voucher to the user terminal in a barcode form based on the result of the occupancy authentication step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정보를 이용한 상기 전자 상품권의 사용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 정보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사용 정보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사용 정보를 상기 전자 상품권이 사용되는 사이트의 서버 또는 상기 전자 상품권이 교환되는 오프라인 교환소의 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로 전자 상품권을 제공하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Receiving a use request of the electronic gift certificate using the usage information;
Determining the validity of the usage information in response to the usage request;
Transmitting the usage information to at least one of a server of a site where the electronic voucher is used or a server of an off-line exchange where the electronic voucher is exchang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age information is valid; And
Updating the usage information based on the usage request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요청은
상기 전자 상품권이 사용되는 사이트의 서버 또는 상기 전자 상품권이 교환되는 오프라인 교환소의 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 단말로 전자 상품권을 제공하는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The use request
Wherein the electronic voucher is received from at least one of a server of a site where the electronic voucher is used or a server of an off-line exchange where the electronic voucher is exchange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 상품권의 사용 정보가 상기 사이트에서 사용되는지 또는 상기 오프라인 교환소에서 지류 상품권으로 교환되어 사용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및 상기 사용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 정보에 포함되는 금액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로 전자 상품권을 제공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Updating the usage information comprises:
Determining whether the usage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voucher is used at the site or is exchanged for a branch gift voucher at the offline clearinghouse; And
Updating the amount information included in the usage information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and the use request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정보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 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금액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전자 상품권의 잔액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전자 상품권의 잔액이 있는 경우, 상기 사용 정보가 사용된 적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전자 상품권의 잔액이 없거나 또는 상기 사용 정보가 사용된 적이 있는 경우, 상기 사용 정보의 유효성을 무효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로 전자 상품권을 제공하는 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The step of determining the validity of the usage information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 balance of the electronic voucher based on the amount information included in the usage information;
Determining whether the usage information has been used when there is a balance of the electronic voucher; And
Invalidating the validity of the usage information when the remaining amount of the electronic voucher is not present or the usage information has been use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점유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구매 정보가 전송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와 상기 ARS 접속 번호를 통해 접속되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로 전자 상품권을 제공하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performing the occupancy authentication of the user terminal
Determining whether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to which the purchase information is transmitted match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connected through the ARS connection number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정보는
상기 사용 정보의 식별 번호 및 미리 설정된 유효 기간을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로 전자 상품권을 제공하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usage information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usage information, and a predetermined validity period.
제1항에 있어서,
전자 상품권 판매 사이트의 서버로부터 상기 전자 상품권의 판매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로 전자 상품권을 제공하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Receiving sales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voucher from a server of the electronic voucher sale site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사용자 단말로 전자 상품권을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메모리부; 및
상기 메모리부에 기록된 상기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전자 상품권의 판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ARS 접속 번호를 포함하는 상기 전자 상품권의 구매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ARS 접속 번호를 통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접속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점유 인증을 수행하며, 상기 점유 인증 수행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상품권의 사용 정보를 바코드 형태로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로 전자 상품권을 제공하는 시스템.
A system for providing an electronic voucher to a user terminal,
A memory unit for recording a program operating in the system; And
A processo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ogram recorded in the memory unit;
Lt; / RTI >
The program
And transmits the purchase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voucher containing the ARS connection number to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sales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voucher contain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And provides the electronic voucher to the user terminal in the form of a barcode in the usage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voucher on the basis of the occupancy authentication result.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사용 정보를 이용한 상기 전자 상품권의 사용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 정보의 유효성을 판단하며, 상기 사용 정보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사용 정보를 상기 전자 상품권이 사용되는 사이트의 서버 또는 상기 전자 상품권이 교환되는 오프라인 교환소의 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사용자 단말로 전자 상품권을 제공하는 시스템.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program
Wherein the usage information is used in a case where the usage information is determined to be valid, in response to the use request of the electronic gift certificate using the usage information, To a server of the site or to a server of an off-line exchange where the electronic voucher is exchanged, and provides the electronic voucher to a user terminal that updates the usage information based on the use request.
KR1020130144521A 2013-11-26 2013-11-26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electronic coupon to user terminal KR2015006114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4521A KR20150061145A (en) 2013-11-26 2013-11-26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electronic coupon to user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4521A KR20150061145A (en) 2013-11-26 2013-11-26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electronic coupon to user termin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1145A true KR20150061145A (en) 2015-06-04

Family

ID=53499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4521A KR20150061145A (en) 2013-11-26 2013-11-26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electronic coupon to user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61145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5830A (en) * 2018-05-29 2019-12-09 주식회사 티모넷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based on blockchain using electronic code
KR102608806B1 (en) * 2023-07-03 2023-12-04 주식회사 중고나라 Service apparatus for voucher trading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5830A (en) * 2018-05-29 2019-12-09 주식회사 티모넷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based on blockchain using electronic code
KR102608806B1 (en) * 2023-07-03 2023-12-04 주식회사 중고나라 Service apparatus for voucher trading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03950B2 (en) Secure payment transactions with a circular application transaction counter
KR101882930B1 (en) Confirming the identity of integrator applications
EP3466017B1 (en) Subtoken management system for connected devices
JP4835167B2 (en) Program, system and method for license management
RU2016105772A (en) SYSTEMS AND METHODS FOR RISK REPORTING USING MARKER AUTHORITY DATA
RU2020120214A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 OF DIGITAL ASSETS
KR20180075641A (en) Servic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GB2533340A (en) Network 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cryptocurrencies between a user account and a receiving account
KR20160127878A (en) Method and system for verifying integrity and validity of contents using hash code
US9135610B2 (en) Software application license roaming
US20130254125A1 (en) Remote Execution of and Transfer of Rights in Registered Applications
KR20150061145A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electronic coupon to user terminal
KR20160108655A (en) User individual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system using verifying personal identity
US9286459B2 (en) Authorized remote access to an operating system hosted by a virtual machine
EP2953078B1 (en) Secure access system and operating method method thereof
KR20170031680A (en) Device and method to provide digital contents
KR20130107182A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point of arcade game machine
US20220237297A1 (en) Secure coprocessor enforced system firmware feature enablement
KR101019156B1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 security card
KR20180092152A (en) Device and method to verify content
WO2018061700A1 (en) Method for providing model, program, analysis processing device, and processing execution method
KR20170039427A (en) Wireless data market server and operation method of wireless data market server
KR102666287B1 (en) Method for providing nft service and system thereof
KR101974627B1 (en) Apparatus and method of detecting transaction of game account
KR101717914B1 (en) Device and method to provide digital cont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