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0632A - 무선 전력 송신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전력 송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0632A
KR20150060632A KR1020150065313A KR20150065313A KR20150060632A KR 20150060632 A KR20150060632 A KR 20150060632A KR 1020150065313 A KR1020150065313 A KR 1020150065313A KR 20150065313 A KR20150065313 A KR 20150065313A KR 20150060632 A KR20150060632 A KR 201500606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transmission unit
wireless power
disposed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5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4109B1 (ko
Inventor
송영길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653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4109B1/ko
Publication of KR201500606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06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41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41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2J17/00
    • H02J7/025

Landscapes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충전을 위한 무선 전력 송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배면부에 배치되며, 제 1 충전 방식을 갖는 제 1 무선 송신부와,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측면부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되며, 제 1 충전 방식과 다른 제 2 충전 방식을 갖는 제 2 무선 송신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보다 효율적으로 무선 전력 수신 장치를 충전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전력 송신 장치{WIRELESS APPARATUS FOR TRANSMITTING POWER}
본 발명은 무선 전력 충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 전력 충전 시스템의 무선 전력 송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전자 기기가 배터리를 구비하고, 배터리에 충전된 전력을 이용하여 구동한다. 이 때 전자 기기에서, 배터리는 교체될 수 있으며, 재차 충전될 수도 있다. 여기서, 배터리의 충전을 위하여, 전자 기기는 외부의 충전 장치와 접촉하기 위한 접촉 단자를 구비한다. 즉 전자 기기는 접촉 단자를 통해, 충전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런데, 전자 기기에서 접촉 단자가 외부로 노출됨에 따라, 이물질에 의해 오염되거나 습기에 의해 단락(short)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접촉 단자와 충전 장치 사이에 접촉 불량이 발생되어, 전자 기기에서 배터리가 충전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무선으로 전자 기기를 충전하기 위한 무선 전력 충전 시스템이 제안되고 있다. 무선 전력 충전 시스템은 무선 전력 송신 장치를 포함하며,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무선으로 전자 기기에 전력을 공급한다. 이 때 전자 기기는 미리 설정된 충전 방식에 따라, 전력을 수신한다. 이로 인하여,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전자 기기를 충전하기 위하여, 전자 기기와 동일한 충전 방식에 따라, 전력을 공급해야 한다. 즉 무선 전력 송신 장치에 전자 기기와 상이한 충전 방식이 설정된 경우,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전자 기기를 충전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자 기기를 효율적으로 충전하기 위한 무선 전력 송신 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양한 충전 방식들에 따라, 전자 기기를 충전할 수 있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젼력 송신 장치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충전을 위한 것으로,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배면부에 배치되며, 제 1 충전 방식을 갖는 제 1 무선 송신부와,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측면부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충전 방식과 다른 제 2 충전 방식을 갖는 제 2 무선 송신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충전 방식에 따라, 상기 제 1 무선 송신부 또는 제 2 무선 통신부를 통해 전력을 송신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이 때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2 무선 송신부는, 상기 제 1 무선 송신부로부터 기울어질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2 무선 송신부는, 상기 제 1 무선 송신부에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2 무선 송신부의 중심은,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중심과 동일한 축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제 1 무선 송신부와 제 2 무선 송신부를 구비하여, 다양한 충전 방식들에 따라, 무선 전력 수신 장치를 충전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보다 효율적으로 무선 전력 수신 장치를 충전할 수 있다. 이 때 무선 전력 송신 장치에서, 제 1 무선 송신부와 제 2 무선 송신부가 상호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됨과 동시에, 무선 전력 수신 장치와 각각의 중첩 면적이 확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선 전력 송신 장치에서, 무선 전력 수신 장치를 위한 충전 효율이 보다 증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전력 충전 시스템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3은 도 2에서 무선 송신부들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예시도,
도 4는 도 2에서 무선 송신부들의 등가 회로를 도시하는 회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도 5에서 A-A’를 따라 절단된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8은 도 7에서 B-B’를 따라 절단된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변형 예들을 도시하는 사시도들, 그리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다른 변형 예들을 도시하는 단면도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충전 시스템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무선 전력 충전 시스템(10)은 전력 공급 장치(110), 무선 전력 송신 장치(120), 무선 전력 수신 장치(130) 및 부하(140)를 포함한다. 이 때 전력 공급 장치(110)와 무선 전력 송신 장치(120)는 단일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무선 전력 수신 장치(130)와 부하(140)는 단일 구성, 예컨대 전자 기기로 구현될 수 있다.
전력 공급 장치(110)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120)에 전력을 공급한다. 이 때 전원 공급 장치(110)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120)에 교류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전원 공급 장치(110)는 직류 전압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전원 공급 장치(110)는 직류 전압을 미리 설정된 기준치로 변환할 수 있다. 한편, 전원 공급 장치(110)는 일정 주파수를 갖는 교류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전력 공급 장치(110)는 직류 전압과 교류 신호를 이용하여, 교류 전력을 생성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 장치(120)는 전력 공급 장치(110)로부터 전력을 수신하여,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한다. 이 때 무선 전력 송신 장치(120)는 다양한 충전 방식들에 따라, 전력을 송신한다. 여기서, 충전 방식들은 전자기 유도(electromagnetic induction) 방식, 공진(resonance) 방식 및 전파 방사(RF/Micro Wave Radiation) 방식을 포함한다. 즉 무선 전력 송신 장치(120)에, 다수개의 충전 방식들이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무선 전력 송신 장치(120)는 충전 방식들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전력 송신 장치(120)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130)에 대응하여, 충전 방식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 장치(130)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130)로부터 전력을 수신하여, 부하(140)에 전력을 전달한다. 이 때 무선 전력 수신 장치(130)는 미리 설정된 충전 방식에 따라, 전력을 수신한다. 여기서, 무선 전력 수신 장치(130)의 충전 방식은 전자기 유도 방식, 공진 방식 또는 전파 방사 방식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부하(140)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130)로부터 전력을 수신하여, 실질적으로 충전된다. 그리고 부하(140)는 전력을 이용하여 구동한다. 즉 부하(140)는 전력을 저장하고, 필요에 따라 전력을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부하(140)는, 예컨대 배터리와 같은 저장부를 구비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2에서 무선 송신부들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예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2에서 무선 송신부들의 등가 회로를 도시하는 회로도들이다. 이 때 도 4의 (a)는 제 1 무선 송신부의 등가 회로를 나타내며, 도 4의 (b)는 제 2 무선 송신부의 등가 회로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들의 무선 전력 송신 장치(120)는 인터페이스부(210), 무선 송신부(220), 메모리(240), 제어부(250) 및 입력부(260)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부(210)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120)에서 전력 공급 장치(110)와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즉 인터페이스부(210)가 전력 공급 장치(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인터페이스부(210)가 전력 공급 장치(110)로부터 전력을 수신한다.
무선 송신부(220)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120)에서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한다. 이 때 무선 송신부(220)는 다양한 충전 방식들에 따라, 전력을 송신한다. 여기서, 충전 방식들은 전자기 유도 방식, 공진 방식 및 전파 방사 방식을 포함한다. 이러한 무선 송신부(220)는 제 1 무선 송신부(231)와 제 2 무선 송신부(233)를 포함한다. 이 때 제 1 무선 송신부(231)와 제 2 무선 송신부(233)는 서로 다른 충전 방식을 갖는다. 그리고 제 1 무선 송신부(231) 또는 제 2 무선 송신부(233)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구동하여, 전력을 송신한다. 여기서, 제 1 무선 송신부(231)와 제 2 무선 송신부(233)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코일(coil)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코일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현될 수 있다. 즉 코일은 평면형으로서, 권선이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감겨,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권선의 일 단부와 타 단부는 상호에 나란하게, 코일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권선의 일 단부는 코일의 상부 또는 하부를 가로지를 수 있다.
즉 제 1 무선 송신부(231)는 제 1 충전 방식을 갖는다. 이 때 제 1 충전 방식은 전자기 유도 방식일 수 있다. 여기서, 제 1 무선 송신부(231)는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즉 제 1 무선 송신부(231)는 제 1 인덕터(L1)와 제 1 커패시터(C1)를 포함하며, 제 1 인덕터(L1)와 제 1 커패시터(C1)는 상호에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 1 무선 송신부(231)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130)에 제 1 충전 방식, 즉 전자기 유도 방식으로 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 무선 송신부(233)는 제 2 충전 방식을 갖는다. 이 때 제 2 충전 방식은 공진 방식일 수 있다. 여기서, 제 2 무선 송신부(233)는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즉 제 2 무선 송신부(233)는 송신 유도 코일(235)과 송신 공진 코일(237)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송신 유도 코일(235)은 제 2 인덕터(L2)와 제 2 커패시터(C2)를 포함하며, 제 2 인덕터(L2)와 제 2 커패시터(C2)는 상호에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송신 공진 코일(237)은 제 3 인덕터(L3)와 제 3 커패시터(C3)를 포함하며, 제 3 인덕터(L3)와 제 3 커패시터(C3)는 상호에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 2 무선 송신부(233)가 무선 전력 수신 장치(130)에 제 2 충전 방식, 즉 공진 방식으로 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송신 유도 코일(235)이 송신 공진 코일(237)에 전자기 유도 방식으로 전력을 송신하고, 송신 공진 코일(237)이 무선 전력 수신 장치(130)에 공진 방식으로 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
메모리(240)는 프로그램 메모리와 데이터 메모리를 포함한다. 프로그램 메모리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12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을 저장한다. 이 때 프로그램 메모리는 다양한 충전 방식들로 전력을 송신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메모리는 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 때 데이터 메모리는 제 1 무선 송신부(231)와 제 1 충전 방식 및 제 2 무선 송신부(233)와 제 2 충전 방식의 매핑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250)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12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이 때 제어부(250)는 무선 송신부(220)를 제어하여, 다양한 충전 방식들로 전력을 송신한다. 즉 제어부(250)는 충전 방식들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250)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130)에 대응하여, 충전 방식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무선 송신부(220)를 구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무선 전력 수신 장치(130)에 제 1 충전 방식이 설정되어 있으면, 제어부(250)는 제 1 무선 송신부(231)를 구동시켜, 제 1 충전 방식으로 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 또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130)에 제 2 충전 방식이 설정되어 있으면, 제어부(250)는 제 2 무선 송신부(233)를 구동시켜, 제 2 충전 방식으로 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
입력부(260)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120)의 기능을 설정 또는 실행하기 위한 이벤트를 발생시킨다. 이 때 입력부(260)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130)의 충전 방식을 나타내는 이벤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도 5에서 A-A’를 따라 절단된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들이다. 이 때 도 6의 (a)는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며, 도 6의 (b)는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무선 전력 송신 장치(120)는 하우징(270)을 더 포함한다.
하우징(270)은 무선 전력 송신 장치(120)의 적어도 일부 구성을 내장한다. 이 때 하우징(270)은 무선 송신부(220)를 내장한다. 그리고 하우징(270)은 무선 전력 송신 장치(120)에서 무선 송신부(220)의 위치 및 자세를 고정시킨다. 또한 하우징(270)은 무선 전력 수신 장치(130)를 거치시킨다. 즉 하우징(270)은 무선 전력 송신 장치(120)에서 무선 전력 수신 장치(130)의 위치 및 자세를 고정시킨다. 이러한 하우징(270)에서, 무선 송신부(220)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130)의 배면부에 배치된다.
이 때 하우징(270)에, 수용 홈(271)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270)은 수용 홈(271)을 통해 무선 전력 수신 장치(130)를 수용할 수 있다. 수용 홈(271)은 하우징(270)의 상부에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수용 홈(271)의 사이즈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130)의 사이즈를 초과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270)은 수용 홈(271) 내부의 바닥면(272) 및 내측면(273, 274, 275, 276)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바닥면(272)은 무선 전력 수신 장치(130)의 배면부에 배치되며, 내측면(273, 274, 275, 276)들은 무선 전력 수신 장치(130)의 측면부들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무선 송신부(220)는 하우징(270)에서 바닥면(272)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무선 송신부(231)와 제 2 무선 송신부(233)는,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으로 적층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무선 송신부(231)가 제 2 무선 송신부(233) 상에 적층될 수 있다. 바꿔 말하면, 제 1 무선 송신부(231)가 제 2 무선 송신부(233)와 비교하여, 무선 전력 수신 장치(130)에 더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제 1 무선 송신부(231)와 제 2 무선 송신부(233)가 수직으로 적층됨에 따라, 제 1 무선 송신부(231)와 제 2 무선 송신부(233) 사이에 간섭이 발생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무선 전력 송신 장치(120)에서, 무선 전력 수신 장치(130)를 위한 충전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한편, 제 1 무선 송신부(231)와 제 2 무선 송신부(233)는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무선 송신부(231)와 제 2 무선 송신부(233)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130)의 배면부에 나뉘어 배치될 수 있다. 바꿔 말하면, 제 1 무선 송신부(231)가 무선 전력 수신 장치(130)의 배면부에서 일부 영역에 배치되고, 제 2 무선 송신부(233)가 무선 전력 수신 장치(130)의 배면부에서 나머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제 1 무선 송신부(231)와 제 2 무선 송신부(233)가 무선 전력 수신 장치(130)의 배면부에 나뉘어 배치됨에 따라, 제 1 무선 송신부(231)와 무선 전력 수신 장치(130)의 중첩 면적 및 제 2 무선 송신부(233)와 무선 전력 수신 장치(130)의 중첩 면적이 작다. 이로 인하여, 무선 전력 송신 장치(120)에서, 무선 전력 수신 장치(130)를 위한 충전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8은 도 7에서 B-B’를 따라 절단된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변형 예들을 도시하는 사시도들이다. 게다가,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다른 변형 예들을 도시하는 단면도들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무선 전력 송신 장치(120)는 하우징(270)을 더 포함한다. 이 때 본 실시예의 하우징(270)은 전술된 실시예의 하우징(270)과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다만, 본 실시예의 하우징(270)에서, 무선 송신부(220)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130)의 배면부 뿐만 아니라 측면부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도 배치된다. 이 때 무선 송신부(220)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130)의 배면부와 더불어, 측면부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송신부(220)는 하우징(270)에서 바닥면(272)의 내측 및 내측면(273, 274, 275, 276)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제 1 무선 송신부(231)가 무선 전력 수신 장치(130)의 배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 1 무선 송신부(231)가 하우징(270)에서 바닥면(272)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무선 송신부(233)가 무선 전력 수신 장치(130)의 측면부들 중 어느 두 개에 배치된다. 즉 제 2 무선 송신부(233)가 하우징(270)에서 내측면(273, 273, 275, 276)들 중 어느 두 개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 2 무선 송신부(233)는 내측면(273, 274, 275, 276)들 중 상호 대향하여 배치되는 어느 두 개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 2 무선 송신부(233)는 제 1 무선 송신부(231)를 기준으로,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 2 무선 송신부(233)는 제 1 무선 송신부(231)로부터 기울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 2 무선 송신부(233)의 중심이 무선 전력 수신 장치(130)의 중심과 동일한 축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실시예의 하우징(270)에서, 제 1 무선 송신부(231)와 제 2 무선 송신부(233)가 상호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로 인하여, 제 1 무선 송신부(231)와 제 2 무선 송신부(233) 사이에 간섭이 발생되지 않는다. 그리고 제 1 무선 송신부(231)와 무선 전력 수신 장치(130)의 중첩 면적 및 제 2 무선 송신부(233)와 무선 전력 수신 장치(130)의 중첩 면적이 확장 및 확보된다. 이로 인하여, 무선 전력 송신 장치(120)에서, 무선 전력 수신 장치(130)의 충전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무선 전력 송신 장치(120)에서, 제 2 무선 송신부(233)의 위치 및 자세는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즉 제 2 무선 송신부(233)는,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면(273, 274, 275, 276)들 중 상호 대향하여 배치되는 다른 두 개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제 2 무선 송신부(233)는, 도 9의 (b) 및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면(273, 274, 275, 276)들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 2 무선 송신부(233)는 내측면(273, 274, 275, 276)들 중 어느 세 개 또는 네 개에 배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 2 무선 송신부(233)는,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무선 송신부(231)에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 2 무선 송신부(233)는,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무선 송신부(231)를 기준으로,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하우징(270)은, 도 10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 홈(271)이 형성되지 않은 상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0의 (c)를 참조하면, 하우징(270)은 무선 전력 수신 장치(13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고, 수용 홈이 형성되지 않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하우징(270)의 하부의 수평폭은 상부의 수평폭보다 클 수 있다. 제 1 무선 송신부(231)는 하우징(270)의 내부 상면에 배치되고, 무선 전력 수신 장치(130)의 배면부에 배치될 수 있고, 제 2 무선 송신부(233)는 하우징(270)의 내부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무선 송신부(231)와 제 2 무선 송신부(233)는 상호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고, 제 2 무선 송신부(233)는 제 1 무선 송신부(231)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고, 제 2 무선 송신부(233)는, 제 1 무선 송신부(231)로부터 기울어지게 배치될 수 있다. 제 2 무선 송신부(233)는 하우징(270)의 상부와 인접할수록 제 1 무선 송신부(231)와 가까울 수 있고, 제 2 무선 송신부(233)는 하우징(270)의 하부와 인접할수록 제 1 무선 송신부(231)와 멀어질 수 있다. 제 2 무선 송신부(233)는 하우징(270)의 측면의 일부와 동일한 각도로 기울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 전력 송신 장치(120)가 제 1 무선 송신부(231)와 제 2 무선 송신부(233)를 구비하여, 다양한 충전 방식들에 따라, 무선 전력 수신 장치(130)를 충전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무선 전력 송신 장치(120)는 보다 효율적으로 무선 전력 수신 장치(130)를 충전할 수 있다. 이 때 무선 전력 송신 장치(120)에서, 제 1 무선 송신부(231)와 제 2 무선 송신부(233)가 상호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됨과 동시에, 무선 전력 수신 장치(130)와 각각의 중첩 면적이 확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선 전력 송신 장치(120)에서, 무선 전력 수신 장치(130)를 위한 충전 효율이 보다 증대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무선 전력 충전 시스템
110: 전력 공급 장치 120: 무선 전력 송신 장치
130: 무선 전력 수신 장치 140: 부하
210: 인터페이스부 220: 무선 송신부
231: 제 1 무선 송신부 233: 제 2 무선 송신부

Claims (8)

  1.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충전을 위한 무선 전력 송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하부에 배치되고 수용 홈이 형성되지 않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배면부에 배치되는 제 1 무선 송신부;
    상기 하우징의 내부 측면에 배치되는 제 2 무선 송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무선 송신부는 상기 제 1 무선 송신부와 충전 방식이 상이한 무선 전력 송신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무선 송신부와 상기 제 2 무선 송신부는 상호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 2 무선 송신부는 상기 제 1 무선 송신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무선 송신부는,
    상기 제 1 무선 송신부로부터 기울어진 무선 전력 송신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무선 송신부는,
    상기 제 2 무선 송신부는 상기 하우징의 하부와 인접할수록 상기 제 1 무선 송신부로부터 멀어지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무선 송신부는 상기 하우징의 측면과 동일한 각도로 기울어진 무선 전력 송신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충전 방식은,
    전자기 유도 방식인 무선 전력 송신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충전 방식은,
    공진 방식인 무선 전력 송신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하부의 수평폭은 상부의 수평폭보다 큰 무선 전력 송신 장치.
KR1020150065313A 2015-05-11 2015-05-11 무선 전력 송신 장치 KR1016841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5313A KR101684109B1 (ko) 2015-05-11 2015-05-11 무선 전력 송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5313A KR101684109B1 (ko) 2015-05-11 2015-05-11 무선 전력 송신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0504A Division KR20150052367A (ko) 2013-10-10 2013-10-10 무선 전력 송신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0632A true KR20150060632A (ko) 2015-06-03
KR101684109B1 KR101684109B1 (ko) 2016-12-07

Family

ID=53505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5313A KR101684109B1 (ko) 2015-05-11 2015-05-11 무선 전력 송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41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0321A (ko) * 2020-07-17 2022-0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마스크용 무선충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3390A (ko) * 2021-09-01 2023-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전력 송신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07851A (ja) * 2002-04-08 2004-01-08 Alps Electric Co Ltd 充電庫
KR20120047027A (ko) * 2010-11-03 2012-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전력전송방법 및 장치
KR20130024757A (ko) * 2011-08-29 2013-03-08 주식회사 케이더파워 이종 충전 방식을 가진 무선 충전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07851A (ja) * 2002-04-08 2004-01-08 Alps Electric Co Ltd 充電庫
KR20120047027A (ko) * 2010-11-03 2012-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전력전송방법 및 장치
KR20130024757A (ko) * 2011-08-29 2013-03-08 주식회사 케이더파워 이종 충전 방식을 가진 무선 충전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0321A (ko) * 2020-07-17 2022-0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마스크용 무선충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4109B1 (ko) 2016-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52367A (ko) 무선 전력 송신 장치
CN111149178B (zh) 线圈装置和包括该线圈装置的无线充电装置
KR101247419B1 (ko) 무선 전력 전달의 개선을 위한 중계기들
KR101305303B1 (ko) 무선 전력전송장치 및 방법
JP6293370B2 (ja) 無線電力伝送装置
KR101843897B1 (ko) 무선 충전과 nfc 통신을 위한 무선 안테나 및 이를 적용한 무선 단말기
KR101684109B1 (ko) 무선 전력 송신 장치
KR101922530B1 (ko) 무선 충전과 nfc 통신을 위한 무선 안테나 및 이를 적용한 무선 단말기
EP3394957B1 (en) Uniform wireless charging device
KR101782877B1 (ko) 무선 전력전송장치 및 방법
KR20150042143A (ko) 무선 전력 송신 장치
KR20160043900A (ko) 코일 구조체 및 그를 이용한 무선 전력 수신 장치
KR101972053B1 (ko) 무선 충전과 nfc 통신을 위한 무선 안테나 및 이를 적용한 무선 단말기
KR102006371B1 (ko) 무선 충전과 nfc 통신을 위한 무선 안테나 및 이를 적용한 무선 단말기
KR20150034312A (ko) 무선 전력 송신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