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0363A - M2m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의 과금 정산 방법 - Google Patents

M2m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의 과금 정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0363A
KR20150060363A KR1020130144712A KR20130144712A KR20150060363A KR 20150060363 A KR20150060363 A KR 20150060363A KR 1020130144712 A KR1020130144712 A KR 1020130144712A KR 20130144712 A KR20130144712 A KR 20130144712A KR 20150060363 A KR20150060363 A KR 201500603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information
streaming
data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47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4865B1 (ko
Inventor
김규백
강석연
최상호
윤종필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447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4865B1/ko
Publication of KR201500603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03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48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48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4Accounting or bill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M2M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의 과금 정산 방법을 개시한다.
본 실시예는 M2M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에 대한 과금을 정산하는 과정에 있어서, M2M 단말기가 스트리밍 서버로 데이터를 스트리밍하는 경우 발생한 트래픽에 대한 제1 통화 기록정보 및 사용자 단말기 각각이 스트리밍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스트리밍 받는 경우 발생한 트래픽에 대한 제2 통화 기록정보를 기반으로 M2M 단말기에 과금된 데이터 사용요금을 사용자 단말기별로 분할 과금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M2M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의 과금 정산 방법{Billing Method on M2M Multimedia Streaming Service}
본 실시예는 M2M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의 과금 정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M2M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시 유발되는 M2M 단말기의 과금을 효율적으로 정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 기술되는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와 관련되는 배경 정보만을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이 아님을 밝혀둔다.
사물지능통신은 국제적으로 다소 상이하게 정의되어 있지만 전반적으로 M2M(Machine to Machine, ETSI), IoT(Internet of Things, ITU-T),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s, 3GPP) 등으로 용어가 정의되고 있다. 이러한, 사물지능통신에 대하여 방송통신위원회는 '통신·방송·인터넷 인프라를 인간 대 사물, 사물대 사물 간 영역으로 확대·연계하여 사물을 통해 지능적으로 정보를 수집, 가공, 처리하여 상호 전달하는 서비스'로 정의하였다. 협의의 의미로는 기계 간 통신 및 사람이 작동하는 장치와 기계 간 통신을 의미하지만, 광의의 의미로는 통신과 ICT 기술을 결합하여 원격지의 사물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인프라, 시스템, 단말기 등 제반 모든 솔루션(Solution)을 의미한다.
이러한, 사물지능통신의 주요 응용분야로 각광받고 있는 서비스로는 모바일오피스, 홈서비스, 헬스서비스, 차량서비스, 결제, 물류관리, 보안 등이 있으며, 타산업과의 융합을 통한 신규 비즈니스 모델 창출이 가능하다. 이중, M2M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는 M2M 단말기로부터 수집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최종적으로 사용자 단말기로 스트리밍하여 사용자 단말기가 M2M 단말기로부터 수집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이다. 이러한, M2M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는 블랙박스 및 CCTV 등에 응용되고 있다.
한편, 이러한, M2M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가 수행되기 위해서는 M2M 단말기가 수집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스트리밍 서버로 스트리밍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 경우, M2M 단말기가 수집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스트리밍 서버로 스트리밍하는 과정에서 트래픽이 발생하게 되며, 현재로서는 해당 트래픽에 대한 과금을 M2M 단말기를 소유하고 있는 사용자에게 부과하고 있다. 이때, M2M 단말기가 개인용인 경우에는 과금 정산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하지 않지만, 공용인 경우에는 단말기 소유자가 다른 사용자가 이용한 M2M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에 대하여 발생한 과금까지 지불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실시예는 M2M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에 대한 과금을 정산하는 과정에 있어서, M2M 단말기가 스트리밍 서버로 데이터를 스트리밍하는 경우 발생한 트래픽에 대한 제1 통화 기록정보 및 사용자 단말기 각각이 스트리밍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스트리밍 받는 경우 발생한 트래픽에 대한 제2 통화 기록정보를 기반으로 M2M 단말기에 과금된 데이터 사용요금을 사용자 단말기별로 분할 과금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과금 정산장치가 과금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M2M 단말기가 스트리밍 서버로 데이터를 스트리밍하는 경우 발생한 트래픽에 대한 제1 통화 기록정보(CDR: Call Detailed Record)를 수신하는 과정; 사용자 단말기 각각이 상기 스트리밍 서버로부터 상기 데이터를 스트리밍 받는 경우 발생한 트래픽에 대한 제2 통화 기록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및 상기 제1 통화 기록정보를 기반으로 산출된 상기 M2M 단말기에 대한 과금정보 및 상기 제2 통화 기록정보를 기반으로 산출된 상기 사용자 단말기 각각의 데이터 사용량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M2M 단말기에 과금된 데이터 사용요금을 사용자 단말기별로 분할 과금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금 정산장치의 과금 수행방법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M2M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에 대한 과금을 정산하는 과정에 있어서, M2M 단말기가 스트리밍 서버로 데이터를 스트리밍하는 경우 발생한 트래픽에 대한 제1 통화 기록정보 및 사용자 단말기 각각이 스트리밍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스트리밍 받는 경우 발생한 트래픽에 대한 제2 통화 기록정보를 기반으로 M2M 단말기에 과금된 데이터 사용요금을 사용자 단말기별로 분할 과금함으로써 M2M 단말기가 공용인 경우 발생할 수 있는 과금 부담 문제를 해결하고, 이를 통해,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M2M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에 대한 과금을 정산하기 위한 M2M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M2M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에 대한 과금을 정산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과금 정산장치가 과금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통화 기록정보 및 제2 통화 기록정보를 예시한 예시도이다.
이하, 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M2M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에 대한 과금을 정산하기 위한 M2M 시스템(100)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서의 M2M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에 대해 설명하자면, M2M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는 M2M 단말기(110)로부터 수집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최종적으로 사용자 단말기(130)로 스트리밍하여 사용자 단말기(130)가 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이다. 한편, 이러한, M2M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가 수행되기 위해서는 M2M 단말기(110)가 수집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스트리밍 서버(170)로 스트리밍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 경우, M2M 단말기(110)가 수집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스트리밍 서버(170)로 스트리밍하는 과정에서 트래픽이 발생하게 되며, 현재로서는 해당 트래픽에 대한 과금을 M2M 단말기(110) 측에 부담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M2M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 수행시 M2M 단말기(110)에 과금되는 데이터 사용요금을 M2M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 단말기(130)에 분할 과금함으로써 M2M 단말기(110)가 공용인 경우 발생할 수 있는 과금 부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M2M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에 대한 과금을 정산하기 위한 M2M 시스템(100)은 M2M 단말기(110), M2M 게이트웨이(120), 사용자 단말기(130), eNB(140a, 140b), 패킷 게이트웨이(150a, 150b), M2M 장치(160), 스트리밍 서버(170), 과금 수집장치(180) 및 과금 정산장치(190)를 포함한다. M2M 시스템에 포함된 구성요소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 1에서는 M2M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에 대한 과금을 정산하기 위한 M2M 시스템(100)을 3GPP LTE 네트워크를 예시하여 설명하였지만, 트래픽 과금 수행에 관련된 모든 네트워크 예컨대, WCDMA 네트워크, Wibro 네트워크 등에 얼마든지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M2M 단말기(110)는 실제 데이터를 수집하는 주체이며, 수집된 데이터를 M2M 게이트웨이(120)로 전달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M2M 단말기(110)는 M2M 장치(160)와 직접 통신을 수행하지 않고, M2M 게이트웨이(120)를 경유하여 M2M 장치(160)와 통신을 수행하는 장치를 말한다.
M2M 단말기(110)는 데이터를 수집하며, 수집된 데이터를 M2M 통신으로 전송하기 위한 모든 단말기 또는 기능 모듈을 말한다. M2M 단말기(110)는 M2M 통신을 위해 M2M 게이트웨이(120)와 통신하기 위한 프로그램 또는 프로토콜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해당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연산 및 제어하기 위한 모듈 등을 구비하고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M2M 단말기(110)는 M2M 통신을 위해 M2M 게이트웨이(120)와 연동하며, M2M 통신을 위해 탑재된 M2M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한다. M2M 단말기(110)는 (ⅰ) 다른 M2M 단말기, M2M 게이트웨이(120) 또는 각종 기기 또는 네트워크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모뎀 등의 통신 장치, (ⅱ) 각종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ⅲ)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연산 및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구비하는 다양한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M2M 단말기(110)는 M2M 통신을 위해 M2M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한 단말기를 말하며, M2M 통신을 위해 탑재된 M2M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특정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또 다른 M2M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M2M 단말기(110)는 M2M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를 위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집하는 장치로서 예컨대, 블랙박스 또는 CCTV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M2M 단말기(110)가 특정 개인이 아닌 다수를 위한 공용 M2M 단말기인 경우를 예시하여 설명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M2M 단말기(110)는 수집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패킷 게이트웨이(150a, 150b)를 경유하여 스트리밍 서버(170)로 스트리밍한다. 이때, M2M 단말기(110)는 사용자 단말기(130)로부터 멀티미디어 데이터 스트리밍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수집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스트리밍 서버(170)로 스트리밍할 수도 있다. 또한, M2M 단말기(110)는 실시간 또는 기 설정된 주기에 근거하여 수집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스트리밍 서버(170)로 스트리밍할 수도 있다.
M2M 게이트웨이(120)는 자체 통신 능력을 가지고 있어 직접 M2M 장치(160)와 연동이 가능한 장치이다. M2M 게이트웨이(120)는 M2M 단말기(110)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M2M 장치(160)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M2M 게이트웨이(120)는 하위 M2M 단말기(110)가 없이 자체적으로 수집한 데이터를 M2M 장치(160)로 전송 가능한 일체형 단말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M2M 게이트웨이(120)는 M2M 통신을 위해 다른 네트워크로 진입하는 입구 역할을 하는 네트워크 포인트를 말한다. M2M 게이트웨이(120)는 복수의 게이트웨이를 포함한 그룹을 말하나, 본 실시예에는 설명의 편의상 M2M 게이트웨이로 명명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복수 개의 M2M 단말기(110)들이 하나의 M2M 게이트웨이(120)와 연결되며, M2M 게이트웨이(120)들은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30)는 가입자 단말 장치로서, 음성통화나 데이터 서비스를 수행하는 통신 단말에 국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능들을 제공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단말 장치(Multimedia Device Group), 또는 다수의 멀티미디어 단말 장치들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단말 장치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130)는 스마트폰(Smart Phone), 노트패드(Notepad), 태블릿(Tablet) 컴퓨터 등의 다양한 형태의 멀티미디어 단말 장치나 멀티미디어 단말 장치일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기(130)는 eNB(140a 140b)를 통해 광대역 접속으로 인터페이스 하여 가입자에게 광대역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30)는 M2M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스트리밍 요청신호를 패킷 게이트웨이(150a, 150b)를 경유하여 스트리밍 서버(170)로 전송한다. 이후, 사용자 단말기(130)는 스트리밍 서버(170)로부터 스트리밍 요청신호에 대응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스트리밍 받는다. 한편, 사용자 단말기(130)가 스트리밍 서버(170)로 전송하는 스트리밍 요청신호에는 특정 M2M 단말기에 대한 식별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스트리밍 서버(170)는 해당 정보를 기반으로 특정 M2M 단말기로부터 업로드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130)로 재업로드한다.
eNB(140a, 140b)는 EUTRAN 액세스 방식의 기지국 장비로서, 전송신호의 RF화 및 송수신, 신호세기 및 품질측정, 기저대역 신호처리, 채널 카드 자원관리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패킷 게이트웨이(PGW: Packet Data Network Gateway, 150a, 150b)는 M2M 단말기(110) 및 사용자 단말기(130)의 IP를 할당하고, PDN(Public Data Network) 및 Non-3GPP망과 연동하는 세션을 제어하는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 장치로서, 패킷 서비스를 위해 서빙 게이트웨이(미도시) 및 PDN과 라우팅 정보를 유지하며, 터널링 및 IP 라우팅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패킷 게이트웨이(150a, 150b)는 서빙 게이트웨이 및 PDN으로 PDU를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패킷 게이트웨이(150a, 150b)는 M2M 단말기(110)와 사용자 단말기(130) 간 M2M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가 수행되는 과정에서 M2M 단말기(110)가 스트리밍 서버(170)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스트리밍하는 경우 발생한 트래픽에 대한 제1 통화 기록정보(CDR: Call Detailed Record)를 생성한다. 즉, 패킷 게이트웨이(150a, 150b)는 M2M 단말기(110)가 스트리밍 서버(170)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스트리밍하는 경우 발생한 트래픽을 분석하여 사용자가 어떤 서비스를 사용하는지를 나타내는 제1 통화 기록정보를 생성한다. 예컨대, 패킷 게이트웨이(150a, 150b)는 트래픽을 분석하는 과정을 통해 망 자원 사용량(예, 패킷 전송량)과 패킷 전송시간, 사용 내역을 기록하고, 이를 통해 제1 통화 기록정보를 생성한다. 한편, 패킷 게이트웨이(150a, 150b)를 이용하여 생성된 제1 통화 기록정보의 필드정보에는 MIN IP 필드, 목적지(Destination) IP 필드(Dest IP), 및 소스(Source) IP 필드(Src IP) 등이 포함된다. 이 경우, MIN IP 필드 및 소스 IP 필드에는 M2M 단말기(110)에 대한 식별정보가 목적지 IP 필드에는 스트리밍 서버(170)의 식별정보가 추가로 포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통화 기록정보에 포함된 필드정보에 대하여 MIN IP 필드, 목적지 IP 필드 및 소스 IP 필드 등이 포함된다고 명시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M2M 단말기(110)가 스트리밍 서버(170)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스트리밍하는 경우 발생한 트래픽에 대한 다양한 분석 정보 예컨대, 서비스 사용 시작/종료 시간 및 총 사용량 등의 필드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도 1에서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집하여 스트리밍 서버(170)로 스트리밍하는 M2M 단말기가 하나인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실질적으로는 다수의 M2M 단말기가 존재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패킷 게이트웨이(150a, 150b)는 M2M 단말기(110)와 사용자 단말기(130) 간 M2M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가 수행되는 과정에서 사용자 단말기(130)가 스트리밍 서버(170)로부터 M2M 단말기(110)에 대응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스트리밍 받는 경우 발생한 트래픽에 대한 제2 통화 기록정보를 생성한다. 즉, 패킷 게이트웨이(150a, 150b)는 사용자 단말기(130)가 스트리밍 서버(170)로부터 M2M 단말기(110)에 대응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스트리밍 받는 경우 발생한 트래픽을 분석하여 사용자가 어떤 서비스를 사용하는지를 나타내는 제2 통화 기록정보를 생성한다. 한편, 패킷 게이트웨이(150a, 150b)를 이용하여 생성된 제2 통화 기록정보의 필드정보에는 MIN IP 필드, 목적지(Destination) IP 필드(Dest IP), 및 소스(Source) IP 필드(Src IP) 등이 포함된다. 이 경우, MIN IP 필드 및 목적지 IP 필드에는 사용자 단말기(130)에 대한 식별정보가 소스 IP 필드에는 M2M 단말기(110)의 식별정보가 추가로 포함된다. 마찬가지로, 제2 통화 기록정보에 포함된 필드정보에 대해서는 특정 필드정보에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도 1에서는 스트리밍 서버(170)로부터 M2M 단말기(110)에 대응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스트리밍 받는 사용자 단말기가 하나인 것으로 명시하였지만 실질적으로는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가 될 수 있다. 이에, 본 실시예에 따른 패킷 게이트웨이(150a, 150b)는 M2M 단말기(110)에 대응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스트리밍 받는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제2 통화 기록정보를 생성한다.
M2M 장치(160)는 개방형 M2M 플랫폼(Open M2M Platform)으로 구현된 장치이다. 개방형 M2M 플랫폼은 네트워크 캐파빌리티(Network Capability)를 제공하는 M2M 네트워크 플랫폼(MNP)과 서비스 캐파빌리티를 지원하는 M2M 서비스 플랫폼(MSP)을 포함한다. 개방형 M2M 플랫폼은 표준 기반 단말 인터페이스 및 기존 단말 연동 규격을 지원하며, 오픈 인터페이스, 텔코(Teolco) 인프라 연동이 가능하다.
M2M 네트워크 플랫폼(MNP)은 M2M 게이트웨이(120)와 M2M 프로토콜로 연동하여 M2M 게이트웨이(120)로부터 주기보고 수집과 M2M 게이트웨이(120)로 단말 제어 명령을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M2M 네트워크 플랫폼(MNP)은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및 유선 IP망, Wi-Fi(Wireless Fidelity)와 같은 다양한 네트워크를 지원한다.
M2M 서비스 플랫폼(MSP)은 다양한 M2M 애플리케이션에게 공통된 개방형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제공하여 M2M 단말기(110)와 M2M 게이트웨이(120)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M2M 애플리케이션으로 제공한다. 또한, M2M 서비스 플랫폼(MSP)은 M2M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단말 제어 명령을 받아 M2M 네트워크 플랫폼(MNP)을 경유하여 M2M 게이트웨이(120)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M2M 장치(160)는 표준 기반 단말 인터페이스 및 기존 단말 연동 규격을 지원한다. 또한, M2M 장치(160)는 오픈 인터페이스, 텔코 인프라 연동 기능 제공을 이용하여 M2M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하, M2M 장치(160)가 제공하는 주요 기능을 설명한다. M2M 장치(160)는 WCDMA, LTE, CDMA, 유선 IP, Wi-Fi 등의 다중 액세스 네트워크 연동을 지원한다. M2M 장치(160)는 ETSI 기반 표준 연동 규격인 mIa(M2M Network Interface Application), mId(M2M Network Interface Device) 인터페이스, 기 설정된 M2M 프로토콜 등의 다중 프로토콜을 지원한다. M2M 장치(160)는 프로토콜 변환 기능을 이용하여 다양한 버티컬 마켓(Vertical Market)에 대한 서비스를 지원한다. M2M 장치(160)는 SMS, LBS(Location Based Service), FOTA(Firmware Over The Air), 가입자관리시스템, 빌링(Billing) 등의 텔코 인프라 연동을 지원한다. M2M 장치(160)는 M2M 포털을 통해 고객사 또는 운영자가 단말기 관리 또는 애플리케이션 관리 등의 서비스 기능을 제공한다.
스트리밍 서버(170)는 복수의 M2M 단말기로부터 스트리밍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관리한다. 이후, 스트리밍 서버(170)는 사용자 단말기(130)로부터 멀티미디어 데이터 스트리밍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요청신호에 포함된 특정 M2M 단말기에 대한 식별정보에 근거하여 복수의 M2M 단말기로부터 스트리밍된 멀티미디어 데이터 중 특정 M2M 단말기(이하, M2M 단말기(110)로 명시한다.)에 대응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130)로 재스트리밍(Re-Streaming)한다.
이하, 스트리밍 서버(170)가 사용자 단말기(130)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재스트리밍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스트리밍 서버(170)는 사용자 단말기(130)로부터 멀티미디어 데이터 스트리밍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요청신호에 포함된 M2M 단말기(110)에 대한 식별정보에 근거하여 복수의 M2M 단말기로부터 스트리밍된 멀티미디어 데이터 중 해당 M2M 단말기(110)로부터 스트리밍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추출한다. 이후, 스트리밍 서버(170)는 해당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하여 트랜스코딩(Transcoding) 과정을 수행한다. 즉, 스트리밍 서버(170)는 M2M 단말기(110)로부터 RTSP(Real Time Streaming Protocol) 규격에 따라 스트리밍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130)에 적합한 프로토콜인 HLS(Hypertext Transfer Protocol Live Streaming) 규격으로 변환한다. 또한, 스트리밍 서버(170)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130)의 네트워크, 해상도, 프로세서 성능,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적합하도록 변환한다. 이후, 스트리밍 서버(170)는 트랜스코딩이 수행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패킷 게이트웨이(150a, 150b)를 경유하여 사용자 단말기(130)로 재스트리밍한다.
과금 수집장치(180)는 패킷 게이트웨이(150a, 150b)로부터 생성된 통화 기록정보를 수집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과금 수집장치(180)는 패킷 게이트웨이(150a, 150b)로부터 M2M 단말기(110)가 스트리밍 서버(170)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스트리밍하는 경우 발생한 트래픽에 대한 제1 통화 기록정보 및 사용자 단말기(130)가 스트리밍 서버(170)로부터 M2M 단말기(110)에 대응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스트리밍 받는 경우 발생한 트래픽에 대한 제2 통화 기록정보를 수신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과금 수집장치(180)는 패킷 게이트웨이(150a, 150b)로부터 수집한 통화 기록정보에 대하여 중복되거나 유실된 데이터를 재정리하는 데이터 클렌징(Data Cleansing) 과정을 수행하고, 이를 통해, 수집된 통화 기록정보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한다.
과금 정산장치(190)는 과금 수집장치(180)로부터 데이터 클렌징 과정이 수행된 제1 통화 기록정보 및 제2 통화 기록정보를 수신한다. 이후, 과금 정산장치(190)는 제1 통화 기록정보를 기반으로 산출된 M2M 단말기(110)에 대한 과금정보 및 제2 통화 기록정보를 기반으로 산출된 사용자 단말기 각각의 데이터 사용량 정보에 근거하여 M2M 단말기(110)에 과금된 데이터 사용요금을 사용자 단말기별로 분할 과금한다.
이하, 과금 정산장치(190)가 M2M 단말기(110)에 과금된 데이터 사용요금을 사용자 단말기별로 분할 과금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과금 정산장치(190)는 과금 수집장치(180)로부터 수신한 제1 통화 기록정보를 기반으로 M2M 단말기(110)가 스트리밍 서버(170)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스트리밍하는 경우 발생한 트래픽에 대한 과금정보 예컨대, M2M 단말기(110)의 데이터 사용요금을 산출한다. 한편, 과금 정산장치(190)는 M2M 단말기별로 기 설정된 과금 정책정보를 기 파악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M2M 단말기(110)에 대한 과금정보를 산출한다.
과금 정산장치(190)는 제2 통화 기록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기(130)의 데이터 사용량 정보를 산출한다. 한편, 앞서 명시된 바와 같이 제2 통화 기록정보에는 MIN IP 필드, 목적지 IP 필드, 소스 IP 필드, 서비스 사용 시작/종료 시간 및 총 사용량 등의 필드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즉, 과금 정산장치(190)는 제2 통화 기록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 단말기(130)의 데이터 사용량 정보를 산출한다. 한편, 스트리밍 서버(170)로부터 M2M 단말기(110)에 대응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스트리밍 받는 사용자 단말기는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가 될 수 있으며, 이에, 본 실시예에 따른 과금 정산장치(190)는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제2 통화 기록정보를 기반으로 각각의 사용자 단말기별로 데이터 사용량 정보를 산출한다. 이후, 과금 정산장치(190)는 사용자 단말기별로 산출된 데이터 사용량 정보를 합산하여 M2M 단말기(110)에 대응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스트리밍 받는 사용자 단말기들이 사용한 총 데이터 사용량 정보를 산출한다.
과금 정산장치(190)는 산출된 M2M 단말기(110)에 대한 과금정보, 사용자 단말기 각각의 데이터 사용량 정보 및 사용자 단말기 총 데이터 사용량 정보를 이용하여 M2M 단말기(110)에 과금된 데이터 사용요금에 대한 사용자 단말기별 분할 과금정보를 추출한다. 이때, 과금 정산장치(190)는 수학식 1을 이용하여 M2M 단말기(110)에 과금된 데이터 사용요금에 대한 사용자 단말기별 분할 과금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수학식 1에서 X는 M2M 단말기(110)에 과금된 데이터 사용요금을, Y는 특정 사용자 단말기(110)의 데이터 사용량 정보를, Z는 M2M 단말기(110)에 대응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스트리밍 받는 사용자 단말기들이 사용한 총 데이터 사용량 정보를 의미한다. 한편, 수학식 1을 통해 유추할 수 있듯이, 사용자 단말기 각각에 분할되는 과금은 M2M 단말기(110)에 과금된 데이터 사용요금 및 사용자 단말기 각각의 데이터 사용량 정보에 비례하며, 사용자 단말기 총 데이터 사용량 정보에 반비례한다. 즉, 과금 정산장치(190)는 사용자 단말기들이 사용한 총 데이터 사용량 대비 사용자 단말기 각각이 실질적으로 사용한 데이터 사용량 정보에 근거하여 M2M 단말기(110)에 과금된 데이터 사용요금을 각각의 사용자 단말기에 분할 과금한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M2M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에 대한 과금을 정산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한편, 도 2에서는 M2M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에 대한 과금 정산 방법이 3GPP LTE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트래픽 과금 수행에 관련된 모든 네트워크 예컨대, WCDMA 네트워크, Wibro 네트워크 등을 기반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M2M 단말기(110)는 M2M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를 위해 수집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패킷 게이트웨이(150a, 150b)를 경유하여(S202), 스트리밍 서버(170)로 스트리밍한다(S204). 이때, M2M 단말기(110)는 사용자 단말기(130)로부터 멀티미디어 데이터 스트리밍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수집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스트리밍 서버(170)로 스트리밍할 수도 있으며, 실시간 또는 기 설정된 주기에 근거하여 수집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스트리밍 서버(170)로 스트리밍할 수도 있다. 한편, 도 2에서는 스트리밍 서버(170)가 하나의 M2M 단말기(110)로부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스트리밍받는 것으로 명시하였지만 실질적으로는 복수의 M2M 단말기로부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스트리밍 받는다.
패킷 게이트웨이(150a, 150b)는 M2M 단말기(110)가 스트리밍 서버(170)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스트리밍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트래픽에 대한 제1 통화 기록정보를 생성한다(S206). 단계 S206에서 패킷 게이트웨이(150a, 150b)는 트래픽을 분석하는 과정을 통해 망 자원 사용량(예, 패킷 전송량)과 패킷 전송시간, 사용 내역을 기록하고, 이를 통해 제1 통화 기록정보를 생성한다.
사용자 단말기(130)는 M2M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스트리밍 요청신호를 패킷 게이트웨이(150a, 150b)를 경유하여(S208), 스트리밍 서버(170)로 전송한다(S210). 한편, 사용자 단말기(130)가 스트리밍 서버(170)로 전송하는 스트리밍 요청신호에는 특정 M2M 단말기에 대한 식별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스트리밍 서버(170)는 단계 S210을 이용하여 수신한 멀티미디어 데이터 스트리밍 요청신호 근거하여 복수의 M2M 단말기로부터 스트리밍된 멀티미디어 데이터 중 특정 M2M 단말기(이하, M2M 단말기(110)로 명시한다.)에 대응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패킷 게이트웨이(150a, 150b)로 재스트리밍한다(S212). 단계 S212에서 스트리밍 서버(170)는 M2M 단말기(110)에 대응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하여 트랜스코딩 과정을 수행한다. 즉, 스트리밍 서버(170)는 M2M 단말기(110)로부터 RTSP 규격에 따라 스트리밍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130)에 적합한 프로토콜인 HLS 규격으로 변환한다. 또한, 스트리밍 서버(170)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130)의 네트워크, 해상도, 프로세서 성능,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적합하도록 변환한다.
패킷 게이트웨이(150a, 150b)는 사용자 단말기(130)가 스트리밍 서버(170)로부터 M2M 단말기(110)에 대응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스트리밍 받는 과정에서 발생한 트래픽에 대한 제2 통화 기록정보를 생성한다(S214). 한편, 단계 S214에서 패킷 게이트웨이(150a, 150b)가 제2 통화 기록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은 앞서 명시된 바와 동일하며 이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패킷 게이트웨이(150a, 150b)는 단계 S212를 이용하여 스트리밍 서버(170)로부터 수신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130)로 스트리밍한다(S216).
과금 수집장치(180)는 단계 S206 및 단계 S214를 통해 생성된 제1 통화 기록정보 및 제2 통화 기록정보를 수집한다(S218). 한편, 단계 S218에서 과금 수집장치(180)는 패킷 게이트웨이(150a, 150b)로부터 수집한 통화 기록정보에 대하여 중복되거나 유실된 데이터를 재정리하는 데이터 클렌징 과정을 수행한다.
과금 정산장치(190)는 단계 S218을 통해 데이터 클렌징 과정이 수행된 제1 통화 기록정보 및 제2 통화 기록정보를 과금 수집장치(180)로부터 수신하고, 제1 통화 기록정보를 기반으로 산출된 M2M 단말기(110)에 대한 과금정보 및 제2 통화 기록정보를 기반으로 산출된 사용자 단말기 각각의 데이터 사용량 정보에 근거하여 M2M 단말기(110)에 과금된 데이터 사용요금을 사용자 단말기(130)에 분할 과금한다(S220). 한편, 단계 S220에서 과금 정산장치(190)가 사용자 단말기(130)에 대한 분할 과금정보를 추출하는 과정은 앞서 명시된 바와 동일하며, 이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2에서는 과정 S202 내지 과정 S220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이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도 2에 기재된 순서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과정 S202 내지 과정 S220 중 하나 이상의 과정을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2는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과금 정산장치(190)가 과금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과금 정산장치(190)는 과금 수집장치(180)로부터 M2M 단말기(110)가 스트리밍 서버(170)로 데이터를 스트리밍하는 경우 발생한 트래픽에 대한 제1 통화 기록정보를 수신하고(S310), 사용자 단말기 각각이 스트리밍 서버(170)로부터 데이터를 스트리밍 받는 경우 발생한 트래픽에 대한 제2 통화 기록정보를 수신한다(S320). 한편, 스트리밍 서버(170)로부터 M2M 단말기(110)에 대응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스트리밍 받는 사용자 단말기는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가 될 수 있으며, 이에 과금 정산장치(190)는 과금 수집장치(180)로부터 복수의 제2 통화 기록정보를 수신하게 된다.
과금 정산장치(190)는 단계 S310을 이용하여 수신한 제1 통화 기록정보를 기반으로 M2M 단말기(110)에 대한 과금정보 예컨대, M2M 단말기(110)의 데이터 사용요금을 산출한다(S330). 한편, 과금 정산장치(190)는 M2M 단말기별로 기 설정된 과금 정책정보를 기 파악하고 있으며, 기 설정된 과금 정책정보 및 제1 통화 기록정보를 기반으로 M2M 단말기(110)에 대한 과금정보를 산출한다.
과금 정산장치(190)는 단계 S320을 이용하여 수신한 제2 통화 기록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기 각각의 데이터 사용량 정보를 산출한다(S340). 이후, 과금 정산장치(190)는 단계 S340을 이용하여 산출된 사용자 단말기 각각의 데이터 사용량 정보를 합산하여 사용자 단말기 총 데이터 사용량 정보를 산출한다(S350). 한편, 단계 S340에서, 과금 정산장치(190)는 제2 통화 기록정보에 포함된 MIN IP 필드, 목적지 IP 필드, 소스 IP 필드, 서비스 사용 시작/종료 시간 및 총 사용량 등의 필드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 단말기 각각의 데이터 사용량 정보를 산출한다.
과금 정산장치(190)는 산출된 M2M 단말기(110)에 대한 과금정보, 사용자 단말기 각각의 데이터 사용량 정보 및 사용자 단말기 총 데이터 사용량 정보를 이용하여 M2M 단말기(110)에 과금된 데이터 사용요금에 대한 사용자 단말기별 분할 과금정보를 추출한다(S360). 이때, 과금 정산장치(190)는 수학식 1을 이용하여 M2M 단말기(110)에 과금된 데이터 사용요금에 대한 사용자 단말기별 분할 과금정보를 추출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 단말기 각각에 분할되는 과금은 M2M 단말기(110)에 과금된 데이터 사용요금 및 사용자 단말기 각각의 데이터 사용량 정보에 비례하며, 사용자 단말기 총 데이터 사용량 정보에 반비례한다.
도 3에서는 과정 S310 내지 과정 S360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이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도 3에 기재된 순서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과정 S310 내지 과정 S360 중 하나 이상의 과정을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3은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통화 기록정보 및 제2 통화 기록정보를 예시한 예시도이다.
도 4에서 도시하듯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통화 기록정보는 MIN IP 필드, 목적지 IP 필드, 및 소스 IP 필드 등의 필드정보를 포함한다. 한편, 제1 통화 기록정보의 경우, MIN IP 필드 및 소스 IP 필드에는 M2M 단말기(110)에 대한 식별정보가 목적지 IP 필드에는 스트리밍 서버(170)의 식별정보가 포함된다. 도 4에서는 제1 통화 기록정보에 포함된 필드정보에 대하여 MIN IP 필드, 목적지 IP 필드 및 소스 IP 필드로 예시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M2M 단말기(110)가 스트리밍 서버(170)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스트리밍하는 경우 발생한 트래픽에 대한 다양한 분석 정보 예컨대, 서비스 사용 시작/종료 시간 및 총 사용량 등의 필드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통화 기록정보 또한, MIN IP 필드, 목적지 IP 필드, 및 소스 IP 필드 등이 포함된다. 한편, 제2 통화 기록정보의 경우, MIN IP 필드 및 목적지 IP 필드에는 사용자 단말기(130)에 대한 식별정보가 소스 IP 필드에는 M2M 단말기(110)의 식별정보가 포함된다. 마찬가지로, 제2 통화 기록정보에 포함된 필드정보에 대해서는 특정 필드정보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필드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과금 정산장치(190)는 제1 통화 기록정보를 기반으로 산출된 M2M 단말기(110)에 대한 과금정보 및 제2 통화 기록정보를 기반으로 산출된 사용자 단말기 각각의 데이터 사용량 정보에 근거하여 M2M 단말기(110)에 과금된 데이터 사용요금을 사용자 단말기별로 분할 과금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M2M 단말기 120: M2M 게이트웨이
130: 사용자 단말기 140a, 140b: eNB
150a, 150b: 패킷 게이트웨이 160: M2M 장치
170: 스트리밍 서버 180: 과금 수집장치
190: 과금 정산장치

Claims (4)

  1. 과금 정산장치가 과금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M2M 단말기가 스트리밍 서버로 데이터를 스트리밍하는 경우 발생한 트래픽에 대한 제1 통화 기록정보(CDR: Call Detailed Record)를 수신하는 과정;
    사용자 단말기 각각이 상기 스트리밍 서버로부터 상기 데이터를 스트리밍 받는 경우 발생한 트래픽에 대한 제2 통화 기록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및
    상기 제1 통화 기록정보를 기반으로 산출된 상기 M2M 단말기에 대한 과금정보 및 상기 제2 통화 기록정보를 기반으로 산출된 상기 사용자 단말기 각각의 데이터 사용량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M2M 단말기에 과금된 데이터 사용요금을 사용자 단말기별로 분할 과금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금 정산장치의 과금 수행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화 기록정보는 상기 M2M 단말기의 식별정보 및 상기 스트리밍 장치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통화 기록정보는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정보 및 상기 M2M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금 정산장치의 과금 수행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과금하는 과정은,
    상기 제1 통화 기록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M2M 단말기에 대한 과금정보를 산출하는 과정;
    상기 제2 통화 기록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 각각의 데이터 사용량 정보를 산출하는 과정;
    상기 사용자 단말기 각각의 데이터 사용량 정보를 합산하여 사용자 단말기 총 데이터 사용량 정보를 산출하는 과정; 및
    상기 M2M 단말기에 대한 과금정보, 상기 사용자 단말기 각각의 데이터 사용량 정보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 총 데이터 사용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M2M 단말기에 과금된 데이터 사용요금에 대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별 분할 과금정보를 추출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금 정산장치의 과금 수행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별 분할 과금정보는,
    상기 M2M 단말기에 대한 과금정보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 각각의 데이터 사용량 정보에 비례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 총 데이터 사용량 정보에 반비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금 정산장치의 과금 수행방법.
KR1020130144712A 2013-11-26 2013-11-26 M2m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의 과금 정산 방법 KR1020748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4712A KR102074865B1 (ko) 2013-11-26 2013-11-26 M2m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의 과금 정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4712A KR102074865B1 (ko) 2013-11-26 2013-11-26 M2m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의 과금 정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0363A true KR20150060363A (ko) 2015-06-03
KR102074865B1 KR102074865B1 (ko) 2020-02-07

Family

ID=53504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4712A KR102074865B1 (ko) 2013-11-26 2013-11-26 M2m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의 과금 정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486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9693A (ko) * 2010-12-01 2012-06-11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테더링 서비스 과금 지원 시스템 및 과금 지원 방법과,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및 과금 서비스 적용 장치
JP2012533242A (ja) * 2009-07-16 2012-12-20 ▲ホア▼▲ウェイ▼技術有限公司 課金計数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533242A (ja) * 2009-07-16 2012-12-20 ▲ホア▼▲ウェイ▼技術有限公司 課金計数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20120059693A (ko) * 2010-12-01 2012-06-11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테더링 서비스 과금 지원 시스템 및 과금 지원 방법과,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및 과금 서비스 적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4865B1 (ko) 2020-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088501A1 (zh) 一种计费方法及装置
CN104883736B (zh) 终端的定位方法及装置
CN101715182A (zh) 一种流量控制方法、系统和设备
CN103430487A (zh) 用于检测分组数据连接的服务数据的方法、设备和系统
CN102868988B (zh) 无线网络中基于策略计费控制的业务处理方法与系统
WO2005053224A1 (en) Differentiated charging in packet data networks
US8351419B2 (en) Local access to a mobile network
CN103428731A (zh) 路由优化方法及系统、服务网关
CN101998347A (zh) 本地ip访问计费信息的获取方法和系统
CN103119891A (zh) 移动通信系统及其用于管理系统中的信令消息的方法
US9980172B2 (en) MTC-IWF entity, SCS entity, PCRF entity, and communication method
US9450768B2 (en) Subscriber-specific tracing in communications
KR102074865B1 (ko) M2m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의 과금 정산 방법
WO2006016756A1 (en) Call analysis system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N109451530B (zh) 信息收集方法和信息收集系统
KR101694403B1 (ko) 과금 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 품질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559818B1 (ko) M2m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방법 및 장치
KR101466210B1 (ko) M2m 단말기로 장문 메시지를 전달하는 방법 및 장치
CN103078829A (zh) 应用信息上报方法及装置
KR102026215B1 (ko)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Kim et al. An Effective Solution for the Multimedia Telephony Services in Evolving Networks
CN104410965A (zh) 实现移动网络Iub接口RRC信令解密的系统及方法
KR101491730B1 (ko) M2m 암호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CN105704752B (zh) 业务与路由分离的方法及装置
KR102249782B1 (ko) 애플리케이션 설치 유도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