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9885A - 제어기기의 시험 평가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제어기기의 시험 평가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9885A
KR20150059885A KR1020130143527A KR20130143527A KR20150059885A KR 20150059885 A KR20150059885 A KR 20150059885A KR 1020130143527 A KR1020130143527 A KR 1020130143527A KR 20130143527 A KR20130143527 A KR 20130143527A KR 20150059885 A KR20150059885 A KR 201500598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control device
test
value
test evalu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3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45148B1 (ko
Inventor
이원태
오상기
이용준
임성정
Original Assignee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기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1435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5148B1/ko
Publication of KR201500598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98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51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51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5Programmable logic controllers, e.g. simulating logic interconnections of signals according to ladder diagrams or function charts
    • G05B19/056Programming the PLC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20Design optimisation, verification or simulation

Abstract

본 발명은 제어기기의 시험 평가를 자동적으로 수행하고 제어기기와 시험 평가 장치의 시간 동기화를 통하여 시간 관련한 시험 평가가 정확히 이루어지며 시험결과를 빠른 시간에 판정할 수 있는 제어기기의 시험 평가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제어기기의 시험 평가 장치 {Apparatus For Test and Evaluation of Control Device}
본 발명은 제어기기의 시험 평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력 설비 등 피제어기(controlled device)를 제어하는 제어기(control device 또는 controller)가 정상적으로 피제어기를 제어하고 있는지 여부의 성능 시험을 통해 제어기기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시험 평가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정이나 공장 또는 빌딩 등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 시스템은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소, 전력을 수송하는 송전선로, 전력을 필요한 크기로 변성하는 변전소, 및 필요한 각 지역으로 전력을 배분하는 배전선로 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변전소는 변압기, 모선, 선로, 차단기 등의 전력설비로 구성된다. 변압기에서는 전송되는 전압의 크기를 변성하고, 모선에서는 송전선로를 연결하며, 차단기에서는 선로의 전력흐름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IED는 변전소에 설치되어 각종 전력설비를 감시, 제어 및 보호하기 위한 지능형 전자 장치로서 컴퓨터가 사용될 수 있다. IED에 결함이 발생하면 전력설비를 적절히 감시, 제어 및 보호하기 어려우므로 전력공급이 원활히 이루어지기 어렵다.
기존의 변전소에서는 IED가 전력설비와 직접 연결되고 독립적으로 동작하였으나 최근에는 각 IED가 서로 정보를 공유하는 변전소 자동화 시스템이 도입되는 추세이다. IEC61850은 변전소내 설치된 이종 IED간의 원활한 통신을 구현하기 위하여 제안된 국제표준 변전소 자동화 통신 아키텍쳐이다. IEC61850은 변전소 자동화를 위한 유일한 국제표준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IED가 IEC61850 국제규격을 따르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IED 의 정상 동작을 보장하기 위하여 시스템으로부터 IED를 분리하지 않고도 그 정상 동작 여부를 시험하고 관리하는 것은 변전소 자동화 시스템을 운영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일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IED 기능 시험 장치는 인터넷 상에서 계통 시뮬레이터를 제어하여 IED에 연결되어 있는 계통 시뮬레이터가 IED를 제어하도록 한다.
이러한 IED(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등의 제어기기를 시험 평가하기 위하여 기존에는 각 시험항목에 대해 시험조건을 수동으로 설정하여 시험을 수행하기 때문에 시험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시험조건 입력시 오류발생확률이 높은 단점이 있었다. 또한, 제어 시간의 성능 비교를 위하여 제어기기가 감시, 제어하여 처리하는 처리 결과까지의 소요 시간 등을 일일이 수동으로 확인하여야 하는 어려움이 있고, 이와 같은 수동 방식으로 각 시험항목에 대한 시험결과를 수동으로 평가하기 때문에 시험평가 및 보고서 작성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관련 선행문헌으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0-0025085 호 (2000.05.06. 공개) 등을 참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어기기의 시험 평가를 자동적으로 수행하고 제어기기와 시험 평가 장치의 시간 동기화를 통하여 시간 관련한 시험 평가가 정확히 이루어지며 시험결과를 빠른 시간에 판정할 수 있는 제어기기의 시험 평가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먼저, 본 발명의 특징을 요약하면,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제어 대상 설비에 설치된 피제어 시뮬레이터와 연결되어 감시와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기기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시험 평가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피제어 시뮬레이터 및 상기 제어기기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통신하는 시험평가장치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어 설정값을 편집 또는 선택하여 상기 피제어 시뮬레이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시험평가장치에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어명령을 편집 또는 선택하여 상기 제어기기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기기가 해당 응답을 발생하는 단계; 상기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제어기기가 해당 제어값을 생성하여 상기 피제어 시뮬레이터로 출력하면, 상기 피제어 시뮬레이터가 해당 응답을 상기 제어기기로 출력함과 동시에 상기 제어 설정값에 대하여 상기 제어값에 따른 변경값을 상기 시험평가장치와 상기 제어기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시험평가장치에서 상기 제어기기의 상기 응답을 수신하면, 상기 제어명령에 대하여 상기 변경값을 분석하여 소정의 양식에 따라 평가 결과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리포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유무선 통신망은, PLC(Power Line Communication), 이더넷, WiFi, CDMA, WCDMA, LTE, 유선 전화, 또는 블루투스나 지그비 방식을 포함하는 무선 근거리 통신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명령은 시간동기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기에서 상기 시간동기화 정보에 따라 해당 동기화 시간에 상기 제어값을 출력하면, 상기 피제어 시뮬레이터가 상기 변경값을 상기 시험평가장치와 상기 제어기기로 전송하고, 상기 시험평가장치에서 상기 변경값에 대한 임계 범위의 만족 여부 및 상기 동기화 시간으로부터 소정의 시간 내에 상기 변경값의 수신 여부로부터 판단하여 상기 평가 결과를 리포팅할 수 있다.
상기 제어명령은 제어 대상 설비에 설치된 복수의 제어 대상에 대한 명령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피제어 시뮬레이터에서 상기 변경값으로서 상기 복수의 제어 대상에 대한 결과 정보를 출력하면, 상기 시험평가장치에서 상기 복수의 제어 대상에 대한 평가 결과를 리포팅할 수 있다.
상기 피제어 시뮬레이터는, 변전소 자동화 시스템의 전력설비를 감시, 제어 또는 보호하기 위한 변전소의 지능형 전자 장치(IED)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른, 제어 대상 설비에 설치된 피제어 시뮬레이터와 연결되어 감시와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기기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상기 피제어 시뮬레이터 및 상기 제어기기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통신하는 시험 평가 장치에 있어서, 제어 설정값 또는 제어명령의 편집 또는 선택을 지원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기 제어 설정값을 상기 피제어 시뮬레이터로 전송하는 설정부; 및 상기 제어명령을 상기 제어기기로 전송하는 제어기 명령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제어기기가 해당 응답을 발생하고 해당 제어값을 생성하여 상기 피제어 시뮬레이터로 출력하면, 상기 피제어 시뮬레이터가 해당 응답을 상기 제어기기로 출력함과 동시에 상기 제어 설정값에 대하여 상기 제어값에 따른 변경값을 상기 시험평가장치와 상기 제어기기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기 명령부에서 상기 제어기기의 상기 응답을 수신하면, 상기 제어명령에 대하여 상기 변경값을 분석하여 소정의 양식에 따라 평가 결과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리포팅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기기의 시험 평가 장치에 따르면, 각 시험항목에 대해 시험조건을 자동으로 설정하여 시험을 수행하기 때문에 시험시간이 빠르고, 시험조건 입력에 대한 오류발생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제어기기와 시험 평가 장치의 시간 동기화를 통하여 시간 관련한 시험 평가가 정확히 이루어지며, 이와 같은 각 시험항목에 대한 시험결과의 분석과 평가가 자동으로 리포팅되어 분석과 평가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기기와 시험 평가 장치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1의 시험 평가 장치의 구체적인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기기(120)와 시험 평가 장치(110)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험 평가 장치(110)는, 제어 대상 설비에 설치된 피제어 시뮬레이터(130)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통신하며, 또한, 피제어 시뮬레이터(130)와 연결되어 감시와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기기(120)와도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통신할 수 있다.
제어기기(120)와 피제어 시뮬레이터(130)는 모뎀(modem) 없이 일반적인 시리얼 케이블 등으로 연결되어 시리얼 방식 등으로 직접 디지털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제어기기(120)와 피제어 시뮬레이터(130) 간에도 해당 모뎀을 장착하여 위와 같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한 통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도 있다. 여기서, 유무선 통신망은, PLC(Power Line Communication), 이더넷, WiFi, CDMA, WCDMA, LTE, 유선 전화, 또는 블루투스나 지그비 방식을 포함하는 무선 근거리 통신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험 평가 장치(110)는, 제어 대상 설비에 설치된 피제어 시뮬레이터(130)와 연결되어 감시와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기기(120)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피제어 시뮬레이터(130) 및 제어기기(120)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통신하는 장치로서, 시험 평가 장치(110)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어 설정값(status settings)을 편집(명령의 수정, 삭제, 추가 등) 또는 선택함에 따라 피제어 시뮬레이터(130)로 전송함과 동시에, 사용자에 의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편집(명령의 수정, 삭제, 추가 등) 또는 선택함에 따라 제어기기(120)로 해당 제어명령(command)을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어명령에 따라 제어기기(120)에서는 해당 응답(response)을 발생하며, 제어기기(120)가 해당 제어값(output)을 생성하여 피제어 시뮬레이터(130)로 출력하면, 피제어 시뮬레이터(130)가 해당 응답(response)을 제어기기(120)로 출력함과 동시에 제어 설정값(status settings)에 대하여 제어기기(120)의 제어값(output)에 따른 변경값(changed values)을 시험평가장치(110)와 제어기기(12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제어기기(120)의 응답(response)을 수신하는 시험평가장치(110)에서는 이때 제어명령(command)에 대하여 변경값(changed values)을 분석하여 소정의 양식에 따라 평가 결과를 사용자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리포팅할 수 있다. 제어기기(120)는 변경값(changed values) 생성에 대한 응답(response)을 수신하면 다음 제어를 위한 대기 모드로 들어갈 수 있다.
특히 시험 평가 장치(110)가 제어기기(120)로 전송하는 제어명령(command)에는 시간동기화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기기(120)에서 해당 시간동기화 정보에 따라 해당 동기화 시간에 제어값(output)을 출력하면, 피제어 시뮬레이터(130)가 변경값(changed values)을 시험평가장치(110)와 제어기기(120)로 전송하고, 시험평가장치(110)에서 변경값(changed values)에 대한 임계 범위의 만족 여부 및 해당 동기화 시간으로부터 소정의 시간 내에 변경값(changed values)의 수신 여부로부터 판단하여 시간 관련하여 정확히 이루어진 해당 평가 결과를 리포팅할 수 있다.
피제어 시뮬레이터(130)는, 제어 대상 설비인 각종 빌딩, 사무실, 가정, 변전소 등에 설치되는 하나 또는 2이상 복수의 제어 디바이스 또는 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감시제어 목적에 따라 피제어 시뮬레이터(130)는 제어 디바이스 또는 센서를 제어하고 각 요소의 (감시) 정보를 주기적으로 체크하여 표시할 수 있으며, 시험평가장치(110)의 제어명령 또는 제어기기(120)의 제어값(output)에 따라서도 제어 디바이스 또는 센서를 제어하고 각 요소의 (감시) 정보를 시험평가장치(110)또는 제어기기(120)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제어 시뮬레이터(130)는, 변전소 자동화 시스템의 전력설비를 감시, 제어 또는 보호하기 위한 변전소의 지능형 전자 장치(IED)를 포함할 수도 있다.
즉, 먼저, 변압기, 모선, 선로, 차단기 등의 전력설비를 갖춘 변전소를 자동 제어하기 위한 변전소 자동화 시스템에서 IED(Intelligent Electronic Device)는 변전소에 설치되어 설치된 센서들을 통한 전력설비의 감시, 제어(측정 포함) 또는 보호를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IED는 변전소에 설치되어 각종 전력설비를 감시, 제어 및 보호하기 위한 지능형 전자 장치로서 컴퓨터가 사용될 수 있으며, 수동 또는 자동으로 제어 명령을 통하여 전력설비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거나 제어 또는 측정하여 그 결과를 사용자 인터페이스 등을 통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ED는 전압, 전류, 위상, 주파수, 열량, 전력 등의 과다, 부족, 틀어짐 등을 설치된 제어 디바이스, 센서들을 통한 감시, 제어, 설정량과 비교 등을 통하여 전원 장치나 전기기기를 보호하며, 전원 장치나 전기기기의 이상에 대한 이상을 검출하고 출력하여 차단기 등을 동작시켜 전기기기를 보호하거나, 화재 등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는 도1의 시험 평가 장치(110)의 구체적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험 평가 장치(110)는, 제어부(111), 메모리(112), 사용자 인터페이스(113), 설정부(114), 제어기 명령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험 평가 장치(110)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와의 결합으로 실현될 수 있으며 데스크 탑 PC, 노트북 PC 등 컴퓨터에 탑재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 스마트폰 모바일 기기에 탑재되어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111)는 시험 평가 장치(110)의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하는 프로세서이며, 필요한 정보를 메모리(112)에서 읽어 제어를 수행하며 수행결과를 메모리(112)에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13)는 사용자에 의해 필요한 정보의 입력과 출력을 수행하는 부분으로서 데이터 입력장치, 디스플레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13)를 통해 제어 설정값(status settings), 제어명령(command) 등을 편집 또는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제어 설정값(status settings), 제어명령(command) 등 필요한 데이터는 메모리(112)에 저장 관리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제어 설정값(status settings) 또는 제어명령(command) 편집 또는 선택을 위한 소정의 프로그램이나 하드웨어를 동작시키고 사용자 인터페이스(113)를 통해 표시되는 편집창을 통하여 명령어로 이루어진 프로그램의 편집이 가능하다. 제어명령(command)은 IED 등이 설비를 제어하여 설비의 상태나 측정 정보의 발생을 제어하기 위한 하나의 명령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형태일 수도 있고, 2이상의 복수의 명령어의 집합으로된 프로그램 형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어 설정값(status settings)은 제어명령(command)에 따라 설비에 대한 제어가 이루어지지 전에 설비에 설치된 제어 디바이스나 센서에 사전에 설정되는 값(전류, 전압 등)이다.
센서 명령부(114)는 제어 설정값(status settings)을 피제어 시뮬레이터(130)로 전송하며, 제어기 명령부(115)는 제어명령(command)을 제어기기(120)로 전송한다.
위와 같은 제어명령(command)에 따라 제어기기(120)가 해당 응답(response)을 발생하고 해당 제어값(output)을 생성하여 피제어 시뮬레이터(130)로 출력하면, 피제어 시뮬레이터(130)가 해당 응답(response)을 제어기기(120)로 출력함과 동시에 제어 설정값(status settings)에 대하여 제어값(output)에 따른 변경값(changed values)을 시험평가장치(110)와 제어기기(120)로 전송한다. 제어기 명령부(115)에서 제어기기(120)의 응답(response)을 수신하면, 제어명령(command)에 대하여 변경값(changed values)을 분석하여 소정의 양식에 따라 평가 결과를 사용자 인터페이스(113)를 통해 리포팅할 수 있다. 제어기기(120)는 변경값(changed values) 생성에 대한 응답(response)을 수신하면 다음 제어를 위한 대기 모드로 들어갈 수 있다.
제어기 명령부(115)가 제어기기(120)로 전송하는 제어명령(command)에는 시간동기화 정보(예, 제어 시간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제어기기(120)에서 해당 시간동기화 정보에 따라 해당 동기화 시간에 제어값(output)을 출력하면, 피제어 시뮬레이터(130)가 변경값(changed values)을 시험평가장치(110)와 제어기기(120)로 전송하고, 시험평가장치(110)의 제어기 명령부(115)에서 변경값(changed values)에 대한 임계 범위의 만족 여부(예, 변경범위 내 양호, 범위 상위로 불량, 범위 하위로 불량 등) 및 해당 동기화 시간으로부터 소정의 시간 내에 변경값(changed values)의 수신 여부(예, 시간범위 내 양호, 범위 상위로 불량, 범위 하위로 불량 등)로부터 판단하여 평가 결과를 리포팅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제어명령은 복수의 제어 디바이스 또는 센서에 대하여 동시에 제어 또는 센서 정보의 독출을 위한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에는 해당 제어명령에 따라 피제어 시뮬레이터(130)에서 해당 복수의 제어 대상에 대하여 제어 또는 센서 정보의 독출 결과 정보를 출력할 수 있고, 이때 제어기 명령부(115)는 해당 복수의 제어 대상에 대한 평가 결과를 리포팅할 수 있다.
제어기 명령부(115)는 위와 같은 제어명령(command)에 따른 해당 제어 디바이스 또는 센서 등의 제어 또는 센서 정보의 독출 결과 정보의 수신시간과 내용, 미리 준비한 예상 진단 정보(예, 변경/시간 범위 내 양호, 변경/시간 범위 상위로 불량, 변경/시간 범위 하위로 불량 등) 등을 텍스트, 도표, 그래프 등의 형식으로 리포팅할 수 있고, 예상 진단 정보와 센서 진단 정보의 일치 여부에 따른 판정 결과 등을 함께 표시하여 성적 시험서 등으로 리포팅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기기(120)의 시험 평가 장치(110)에 따르면, 각 시험항목에 대해 시험조건을 자동으로 설정하여 시험을 수행하기 때문에 시험시간이 빠르고, 시험조건 입력에 대한 오류발생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제어기기와 시험 평가 장치의 시간 동기화를 통하여 시간 관련한 시험 평가가 정확히 이루어지며, 이와 같은 각 시험항목에 대한 시험결과의 분석과 평가가 자동으로 리포팅되어 분석과 평가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시험평가장치(110)
제어기기(120)
피제어 시뮬레이터(130)

Claims (6)

  1. 제어 대상 설비에 설치된 피제어 시뮬레이터와 연결되어 감시와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기기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시험 평가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피제어 시뮬레이터 및 상기 제어기기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통신하는 시험평가장치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어 설정값을 편집 또는 선택하여 상기 피제어 시뮬레이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시험평가장치에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어명령을 편집 또는 선택하여 상기 제어기기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기기가 해당 응답을 발생하는 단계;
    상기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제어기기가 해당 제어값을 생성하여 상기 피제어 시뮬레이터로 출력하면, 상기 피제어 시뮬레이터가 해당 응답을 상기 제어기기로 출력함과 동시에 상기 제어 설정값에 대하여 상기 제어값에 따른 변경값을 상기 시험평가장치와 상기 제어기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시험평가장치에서 상기 제어기기의 상기 응답을 수신하면, 상기 제어명령에 대하여 상기 변경값을 분석하여 소정의 양식에 따라 평가 결과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리포팅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기기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시험 평가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무선 통신망은, PLC(Power Line Communication), 이더넷, WiFi, CDMA, WCDMA, LTE, 유선 전화, 또는 블루투스나 지그비 방식을 포함하는 무선 근거리 통신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기기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시험 평가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명령은 시간동기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기에서 상기 시간동기화 정보에 따라 해당 동기화 시간에 상기 제어값을 출력하면, 상기 피제어 시뮬레이터가 상기 변경값을 상기 시험평가장치와 상기 제어기기로 전송하고,
    상기 시험평가장치에서 상기 변경값에 대한 임계 범위의 만족 여부 및 상기 동기화 시간으로부터 소정의 시간 내에 상기 변경값의 수신 여부로부터 판단하여 상기 평가 결과를 리포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기기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시험 평가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명령은 제어 대상 설비에 설치된 복수의 제어 대상에 대한 명령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피제어 시뮬레이터에서 상기 변경값으로서 상기 복수의 제어 대상에 대한 결과 정보를 출력하면, 상기 시험평가장치에서 상기 복수의 제어 대상에 대한 평가 결과를 리포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기기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시험 평가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제어 시뮬레이터는, 변전소 자동화 시스템의 전력설비를 감시, 제어 또는 보호하기 위한 변전소의 지능형 전자 장치(IE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기기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시험 평가 방법.
  6. 제어 대상 설비에 설치된 피제어 시뮬레이터와 연결되어 감시와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기기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상기 피제어 시뮬레이터 및 상기 제어기기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통신하는 시험 평가 장치에 있어서,
    제어 설정값 또는 제어명령의 편집 또는 선택을 지원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기 제어 설정값을 상기 피제어 시뮬레이터로 전송하는 설정부; 및
    상기 제어명령을 상기 제어기기로 전송하는 제어기 명령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제어기기가 해당 응답을 발생하고 해당 제어값을 생성하여 상기 피제어 시뮬레이터로 출력하면, 상기 피제어 시뮬레이터가 해당 응답을 상기 제어기기로 출력함과 동시에 상기 제어 설정값에 대하여 상기 제어값에 따른 변경값을 상기 시험평가장치와 상기 제어기기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기 명령부에서 상기 제어기기의 상기 응답을 수신하면, 상기 제어명령에 대하여 상기 변경값을 분석하여 소정의 양식에 따라 평가 결과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리포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험 평가 장치.
KR1020130143527A 2013-11-25 2013-11-25 제어기기의 시험 평가 장치 및 방법 KR1015451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3527A KR101545148B1 (ko) 2013-11-25 2013-11-25 제어기기의 시험 평가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3527A KR101545148B1 (ko) 2013-11-25 2013-11-25 제어기기의 시험 평가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9885A true KR20150059885A (ko) 2015-06-03
KR101545148B1 KR101545148B1 (ko) 2015-08-19

Family

ID=53504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3527A KR101545148B1 (ko) 2013-11-25 2013-11-25 제어기기의 시험 평가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51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07184A (zh) * 2021-05-28 2022-11-29 合肥本源量子计算科技有限责任公司 量子芯片测试装置、方法以及量子计算机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07184A (zh) * 2021-05-28 2022-11-29 合肥本源量子计算科技有限责任公司 量子芯片测试装置、方法以及量子计算机
CN115407184B (zh) * 2021-05-28 2024-04-05 本源量子计算科技(合肥)股份有限公司 量子芯片测试装置、方法以及量子计算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5148B1 (ko) 2015-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0959B1 (ko) Iec61850 기반 변전소 자동화 시스템의 ied 기능 시험을 위한 모의 장치
US6985784B2 (en) Configuring a centrally controlled circuit breaker protection system
EP3367527B1 (en) Power distribution systems and methods of testing responses to electrical conditions using a communication network
US8923993B2 (en) Method and system for engineering a substation automation system
CN101326695B (zh) 用于产生开关设备的故障响应容限的工具
US20140067148A1 (en) Configuration of the communication links of field devices in a power automation installation
US10673226B2 (en) Power distribution systems and methods of operating power distribution systems with a communication network
CN105223897A (zh) 一种铁路车辆电气控制柜测试装置及测试方法
CN108462141B (zh) 功率分配系统以及在其中执行区域选择性联锁的方法
KR101701733B1 (ko) 감시진단기기의 시험 평가 장치
KR101545148B1 (ko) 제어기기의 시험 평가 장치 및 방법
US11125821B2 (en) Testing device for protective relays in electric power delivery systems
KR101264869B1 (ko) 현장 감시 장치, 디지털 보호 계전기의 전력계통 감시 시스템 및 방법
CN108462157B (zh) 功率分配系统以及在其中执行接地故障检测的方法
EP3367531B1 (en) Power distribution systems and methods of performing zone selective interlocking in power distribution systems with a communication network
CN211528550U (zh) 一种就地化继电保护装置流水线检测装置
RU2719456C1 (ru) Способ комплексного управления электрическими системами с помощью компьютера управления электросетями
KR20170028501A (ko) Ied 테스트 장치 및 방법
CN109117627B (zh) 直流工程最后断路器保护功能验证系统及验证方法
RU2624610C1 (ru) Имитатор питающей электрической сети (ипэс)
CN113709450A (zh) 数据测试方法、装置、智能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RU2574836C2 (ru) Конфигурирование коммуникационных соединений полевых приборов оборудования автоматизации энергоснабжения
KR20170053227A (ko) 전자식 보호 계전·계측기용 핸디 터미널
KR20170126585A (ko) 데이터 관리 시스템
KR20160061762A (ko) Iec 61850 기반 확장형 유니버설 센서 노드 플랫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