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9523A - Water dispenser having powder solution means - Google Patents

Water dispenser having powder solution mean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9523A
KR20150059523A KR1020130143233A KR20130143233A KR20150059523A KR 20150059523 A KR20150059523 A KR 20150059523A KR 1020130143233 A KR1020130143233 A KR 1020130143233A KR 20130143233 A KR20130143233 A KR 20130143233A KR 20150059523 A KR20150059523 A KR 201500595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up
rotation
powder
intake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323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성화
Original Assignee
임성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성화 filed Critical 임성화
Priority to KR10201301432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59523A/en
Publication of KR20150059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952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0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 A47J31/402Liquid dos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47J31/441Warming devices or supports for beverage containers
    • A47J31/4425Supports for beverage containers when filled or while being filled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dispenser having a powder dissolution function. More specifically, by having a central intake hole where water is discharged toward a cup placed in a lower direction and having a rotary intake hole where the water is discharged as being rotated around the central intake hole,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o easily dissolve a powder by inducing a whirlpool phenomenon of the water contained in the cup, and to have a function of stirring a tea powder such as coffee only with an operation of receiving the water from the intake ho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dispenser having a powder dissolution function comprises: an intake portion where the water is discharged to a lower portion; and a cup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the cup to make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intake portion be contained. The intake portion comprises: a motor; a rotary housing connected to a rotary shaft of the motor, and rotatable; the central intake hole installed on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rotary housing in order to make the water be fallen in a central part inside the cup; and the rotary intake hole eccentrically installed from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rotary housing in order to make the water be rotated and fallen along an internal edge of the cup.

Description

분말의 용해 기능이 구비된 워터 디스펜서{WATER DISPENSER HAVING POWDER SOLUTION MEANS}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dispenser having a powder dissolving function,

본 발명은 분말의 용해 기능이 구비된 워터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부 방향에 놓여진 컵을 향하여 물이 배출되는 중앙취수구와 그 중앙취수구를 중심으로 회전되며 물이 배출되는 회전취수구가 구비되어 컵에 담겨진 물의 소용돌이 현상을 유도하여 분말을 쉽게 용해시킬 수 있어 취수구로부터 물을 받는 작업만으로 커피와 같은 차 분말을 젖는 기능을 겸용할 있는 분말의 용해 기능이 구비된 워터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dispenser having a powder dissolving func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ter dispenser having a central water intake port through which water is discharged toward a cup placed in a downward direction, and a rotation water intake port rotated around the central water intake por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dispenser equipped with a dissolving function of a powder which can also dissolve a powder easily by inducing a swirling phenomenon of water contained in the cup, and can also function to wet tea powder such as coffee only by receiving water from a water inlet.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커피믹스나 분말류의 차를 마시기 위해서는 컵에 커피 가루 등의 분말을 넣고 뜨거운 물을 부어 스푼으로 저어 용해시키게 되는데, 스푼 등이 없는 경우 커피 등은 분말이 쉽게 용해되지 않아 컵을 흔들며 완전히 용해가 될 때까지 기다리거나, 일부의 경우 긴 모양의 커피 믹스 포장지를 물과 분말을 젖는 용도로 사용하는 등의 경우가 있었던 것이다.Generally, in order to drink coffee mix or powder tea in home or office, powder such as coffee powder is poured into a cup, and hot water is poured into it to stir and dissolve with a spoon. In the absence of a spoon, coffee powder does not easily dissolve Waiting until it is completely dissolved by shaking the cup, or in some cases using a long-form coffee mix wrapper for wetting water and powders.

이렇듯, 분말과 함께 섞인 물을 젖기 위한 스푼이 없는 경우에는 커피를 바로 마실 수 없어 매우 난감하게 되는 것이고, 커피 포장지 등을 스푼 대용으로 사용하는 것은 매우 비위생적이었을 뿐만 아니라, 커피 가루와 같은 분말류의 용해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해 맛이 떨어지게 되는 것이었다.As such, if there is no spoon for wetting the water mixed with the powder, it is very difficult to drink the coffee immediately, and it is very unsanitary to use coffee wrapping paper instead of a spoon, It was not able to dissolve properly and the taste was reduced.

이에, 종래에는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09-0012467호 "와류 발생 정수기용 취수구"와 같은 기술에서는 정수기용 취수구 내부 배관에 회전 유동장을 만드는 프로펠러가 취수구 레버와 연결되게 장착되어 물을 받는 기능과 젖는 기능을 할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Conventionally, in the technology disclosed in Korean Utility Model No. 20-2009-0012467, "Vortex water purifier intake port ", a propeller for generating a rotating flow field is connected to a water intake lever to receive water, A technique capable of performing a wetting function is disclosed.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취수구로 배출되어 컵에 담겨진 물의 유동현상을 어느 정도 발생시킬 수 있는 효과는 있다 하겠으나, 단순히 물을 회전시키도록 하는 작용은 효율적이지 못한 방법인 것으로, 커피와 같은 분말을 완전히 용해시키기에는 시간이 오래 걸리고, 상기 취수구를 통해 배출된 물이 컵의 어느 일정한 지점이 아닌 여러 지점에 불규칙적으로 낙하되기 때문에 와류 현상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게 될 뿐만 아니라, 취수구 레버를 잡고 있는 시간 동안만 물이 짧게 회전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용해 작용이 더디게 진행될 뿐만 아니라, 와류 현상을 오래 지속하기 위해 상기 취수구 레버를 잡고 있는 시간을 길게 하는 경우에는 분말의 양에 비해 물의 양이 많아져 커피 맛이 떨어지게 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However, the conventional technique as described above has an effect of causing a phenomenon of the water discharged into the cup to flow to some extent, but it is an inefficient method to simply rotate the water, It takes a long time to completely dissolve the powder and the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water inlet drops irregularly at various points other than a certain point of the cup so that the vortex phenomenon can not be properly performed and the water inlet lever When the time taken to hold the water inlet lever is prolonged so as to maintain the vortex phenomenon for a long time, the amount of water is increased compared to the amount of the water,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aste is reduc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하부 방향에 놓여진 컵을 향하여 물이 배출되는 중앙취수구와 그 중앙취수구를 중심으로 회전되며 물이 배출되는 회전취수구가 구비되어 컵에 담겨진 물의 소용돌이 현상을 유도하여 분말을 쉽게 용해시킬 수 있어 취수구로부터 물을 받는 작업만으로 분말 가루를 젖는 기능을 겸용할 있는 분말의 용해 기능이 구비된 워터 디스펜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8]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supply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dispenser equipped with a function of dissolving a powder which can induce a swirling phenomenon and easily dissolve the powder so that the powder can be wetted only by receiving water from the water inlet.

또한, 본 발명은 간편한 스위치 작동을 통해 일정 시간 동안 회전취수구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수회만큼 반복 회전될 수 있어 분말의 용해 작용이 매우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분말의 용해 기능이 구비된 워터 디스펜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ater dispenser equipped with a function of dissolving powder that can be repeatedly rotated several times in forward or reverse directions for a predetermined time through a simple switch operation so that the dissolving action of powder is very simple and efficient .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분말의 용해 기능이 구비된 워터 디스펜서는, 하부로 물이 배출되는 취수부와; 상기 취수부에서 배출된 물이 담기도록 컵이 놓이기 위한 컵받침부를; 포함하는 워터 디스펜서에 있어서, 상기 취수부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 가능한 회전하우징과, 물이 상기 컵 내부의 중앙 부분에 낙하되도록 상기 회전하우징의 회전중심상에 설치된 중앙취수구와, 물이 상기 컵 내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회전되며 낙하되도록 상기 회전하우징의 회전중심에서 편심되게 설치된 회전취수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ater dispenser equipped with a powder dissolving function, comprising: a water intake part for discharging water to a lower part; A cup support part for placing the cup so that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water intake part is contained; The water dispenser includes a motor, a rotating housing rotatably connected to a rotating shaft of the motor, a central water inlet provided on a rotating center of the rotating housing such that water falls to a central portion of the inside of the cup, And a spin intake port eccentrically disposed at a rotation center of the rotary housing so that water is rotated and dropped along an edge of the inside of the cup.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분말의 용해 기능이 구비된 워터 디스펜서는, 상기 취수부에서 배출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스위치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중앙 취수구에서 물이 배출되도록 작동시키는 메인스위치와, 상기 회전취수구에서 물이 배출되도록 작동시키는 회전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water dispenser equipped with the function of dissolving the pow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witch unit for adjusting the amount of water discharged from the water intake unit, A switch, and a rotary switch for allowing water to be discharged from the rotary intake por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분말의 용해 기능이 구비된 워터 디스펜서는, 상기 회전하우징의 회전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제어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스위치의 작동 신호가 인가된 경우 상기 회전취수구가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설정된 횟수만큼 반복 회전된 후 정지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water dispenser equipped with the function of dissolving the pow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ler for adjusting the rotating direction of the rotating housing, wherein when the operating signal of the rotating switch is applied, The motor is controlled so as to be repeatedly rotated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the reverse direction and then stopped.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분말의 용해 기능이 구비된 워터 디스펜서는 회전취수구를 통해 컵에 담겨진 물의 소용돌이 현상을 유도하여 분말을 쉽게 용해시킬 수 있어 취수구로부터 물을 받는 작업만으로 분말 가루를 젖는 기능을 겸용할 있는 장점을 갖는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water dispenser equipped with the dissolving function of pow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nduce the swirling phenomenon of water contained in the cup through the rotary intake port to easily dissolve the powder, And has a merit that it can also use a wetting func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분말의 용해 기능이 구비된 워터 디스펜서는 간편한 스위치 작동을 통해 일정 시간 동안 회전취수구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수회만큼 반복 회전되도록 할 수 있어 분말의 용해 작용이 매우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는 장점을 갖는다.In addition, the water dispenser equipped with the dissolving function of the pow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rotate the water intake port repeatedly several times in the forward direction or the reverse direction for a predetermined time through the simple switch operation, so that the dissolving action of the powder is very simple and efficient .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말의 용해 기능이 구비된 워터 디스펜서를 도시한 저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말의 용해 기능이 구비된 워터 디스펜서의 취수부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말의 용해 기능이 구비된 워터 디스펜서에 의해 컵 내부에 와류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a water dispenser equipped with a powder dissolv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dispens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ter dispenser having a powder dissolving function.
FIG. 3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vortex phenomenon occurring in a cup by a water dispenser equipped with a dissolving function of a pow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분말의 용해 기능이 구비된 워터 디스펜서(이하에서는 "워터 디스펜서"라 한다.)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water dispens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water dispenser") having a function of dissolving a pow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말의 용해 기능이 구비된 워터 디스펜서를 도시한 저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말의 용해 기능이 구비된 워터 디스펜서의 취수부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상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말의 용해 기능이 구비된 워터 디스펜서에 의해 컵 내부에 와류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FIG. 1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water dispenser having a function of dissolving a pow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ter dispenser having a function of dissolving a pow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vortex phenomenon occurring in a cup by a water dispenser equipped with a powder dissolv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워터 디스펜서(1)는, 취수부(10), 컵받침부(20), 스위치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a water dispens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ater intake unit 10, a coasceptor unit 20, and a switch unit 30.

본 발명은 찬물이나 뜨거운 물을 받기 위해 설치되는 워터 디스펜서의 취수구 구조에 대한 것으로, 커피 머신 등과 같이 취수구를 갖는 기기에도 적용이 가능하며, 컵에 담겨진 물의 소용돌이 현상을 유도하여 커피 등의 차 분말을 쉽게 용해시킬 수 있어 취수구로부터 물을 받는 작업만으로 차 분말을 젖는 기능을 겸용할 있는 것을 가장 큰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intake structure of a water dispenser installed to receive cold water or hot water, and is applicable to a device having a water intake such as a coffee machine, and induces a swirling phenomenon of water contained in the cup, It is possible to easily dissolve the tea powder so that the tea powder can be wetted only by the operation of receiving water from the water intake port.

상기 취수부(10)는 모터(11)와, 회전하우징(12)과, 중앙취수구(13)와, 회전취수구(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water intake unit 10 includes a motor 11, a rotary housing 12, a central intake port 13, and a rotation intake port 14. [

통상의 워터 디스펜서에는 직육면체로 내부공간이 형성된 본체의 일측에서 물이 배출되기 위한 취수구가 마련되어 있는데, 이러한 워터 디스펜서는 본체의 상부에 물통을 연결하거나, 외부의 수도관에 호스 등을 연결하여 취수구에 연결된 레버를 밀거나 들어올리는 동작을 통해 취수구가 개방되어 물이 배출되도록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 보통이었다.A conventional water dispenser is provided with a water inlet for discharging water from one side of a main body having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inner space formed therein. The water dispenser is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or a hose or the like is connected to an outside water pipe The pushing or lifting of the lever normally opened the intake to allow the water to drain.

이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워터 디스펜서(1)는 소정 내부공간을 갖는 본체(1a)가 마련되고, 상기 본체(1a)의 전방에는 상기 취수부(10)가 구성된다.Accordingly, the water dispenser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main body 1a having a predetermined internal space, and the water intake part 10 is formed in front of the main body 1a.

또한, 상기 취수부(10)는 상기 중앙취수구(13) 및 상기 회전취수구(14)가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중앙취수구(13) 및 회전취수구(14)는 상기 모터(11)의 회전축(11a)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원통형의 상기 회전하우징(12)의 하단부에 수직하게 고정되어 그 하부로 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The central intake port 13 and the rotation intake port 14 may constitute the intake port 10. The central intake port 13 and the rotation intake port 14 are connected to the rotation axis of the motor 11 11a so as to discharge the water to the lower portion of the rotary housing 12. The water-

상기 중앙취수구(13)는 종래의 일반적인 워터 디스펜서와 같이 찬물이나 뜨거운 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되, 본 발명에서는 상기 중앙취수구(13)가 상기 모터(11)의 회전축(11a)과 동일축상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회전하우징(12)의 회전중심상에 설치된다. 이는, 상기 중앙취수구(13)를 통해 수직하게 분사되는 물이 컵(C) 내부의 중앙 부분에 낙하되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central intake port 13 is configured to discharge cold water or hot water like a conventional water dispens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entral intake port 13 is provided on the same axis as the rotation axis 11a of the motor 11 As shown in FIG. That is, on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rotary housing 12. This is so that the water vertically injected through the central intake port 13 falls in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inside of the cup C. [

이때, 상기 회전취수구(14)는 상기 중앙취수구(13)를 중심으로 상기 회전하우징(12)과 함께 회전되도록 상기 회전하우징(12)의 회전중심에서 편심되게 설치된다.At this time, the rotation intake port 14 is installed eccentrically from the rotation center of the rotation housing 12 so as to be rotated together with the rotation housing 12 about the central intake port 13.

따라서, 상기 중앙취수구(13) 및 상기 회전취수구(14)는 상기 회전하우징(12)이 회전됨에 따라 함께 회전되는데, 상기 중앙취수구(13)가 상기 회전하우징(12)의 회전중심상에서 회전되는 것과 반면에, 상기 회전취수구(14)는 물이 상기 컵(C) 내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회전되며 낙하되도록 상기 회전하우징(12)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일정 반경으로 회전된다.Accordingly, the central intake port 13 and the rotation intake port 14 are rotated together as the rotation housing 12 is rotated. The central intake port 13 is rotated on the rotation center of the rotation housing 12 On the other hand, the rotation intake port 14 is rotated at a certain radius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center of the rotation housing 12 so that water is rotated along the edge of the inside of the cup C and falls.

상기 컵받침부(20)는 상기 취수부(10) 즉, 상기 중앙취수구(13) 및 회전취수구(14)를 통해 배출되는 물이 담기기 위한 컵(C)이 놓이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컵받침부(20)는 상기 본체(1a)의 전방 일부 공간이 빈 상태로 확보되어 컵(C)이 상기 취수부(10)의 하부에 위치될 수 있도록 평평한 바닥면(21)을 이루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바닥면(21)은 세어나온 물이 고이도록 하는 물받침판이 구비되는 구성도 가능할 것이다.The cup receiving portion 20 is a structure for placing the cup C for receiving the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water intake portion 10, that is, the central intake port 13 and the rotation intake port 14. The cup receiving portion 20 is formed to have a flat bottom surface 21 so that the front portion of the main body 1a is partially empty and the cup C is positioned below the receiving portion 10 do. In addition, the bottom surface 21 may be provided with a water-receiving plate for allowing water to be gathered.

또한, 상기 컵받침부(20)는 상기 컵(C)의 중앙 부분이 상기 중앙취수구(13)와 수직선상의 위치에 놓일 수 있도록 상기 바닥면(21)의 중앙 부분을 표시하는 중앙표시홈(21a)이 형성될 수 있으며, 규격화된 컵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규격화된 컵의 외경에 대응하여 컵(C)의 안착 위치를 유도하도록 상기 바닥면(21)에서 원형의 돌출턱이 형성되어 상기 중앙표시홈(21a)을 대체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위치에 컵(C)이 놓일 수 있도록 하는 실시예도 충분히 가능할 것이다.The cup receiving portion 20 includes a central indicating groove 21a for indicating a central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21 so that a center portion of the cup C can be positioned in a vertical line with the central intake port 13, When a standardized cup is used, a circular protruding step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21 to guide the seating position of the cup C corresponding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standardized cup, It is sufficiently possible that the cup C is placed at a more accurate position by replacing the indication groove 21a.

상기 스위치부(30)는 상기 중앙취수구(13) 및 회전취수구(14) 각각에서 물이 배출되도록 작동시키거나 이와 같이 배출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구성이다.The switch unit 30 is configured to operate to discharge water from each of the central intake port 13 and the rotary intake port 14, or to control the amount of water thus discharged.

또한, 상기 스위치부(30)는 상기 중앙취수구(13)의 개폐를 조절하여 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메인스위치(31)와, 상기 회전취수구(14)의 개폐를 조절하여 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회전스위치(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switch unit 30 includes a main switch 31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central intake port 13 so as to allow water to be discharged from the main intake port 13, (Not shown).

다만, 통상의 워터 디스펜서와 같이 본체의 전원을 인가하거나 찬물, 뜨거운 물을 선택할 수 있는 별도의 스위치 등은 당연히 구비되어야 할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은 스위치 등의 기재 및 표시는 생략하기로 한다.However,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a separate switch, such as a conventional water dispenser, for applying power to the main body or selecting cold water or hot water should be provid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워터 디스펜서(1)는 상기 회전하우징(12)의 회전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제어부(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water dispens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ler 40 for adjusting the rotating direction of the rotary housing 12.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회전하우징(12)의 회전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The controller 4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housing 12 can be rotated in a forward direction or a reverse direction.

즉,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회전하우징(12)의 하단부에 고정되게 설치된 상기 회전취수구(14)가 상기 회전스위치(32)의 작동 신호가 인가된 경우 상기 모터(11)에 의해 상기 중앙취수구(13)를 중심으로 상기 회전하우징(12)과 함께 회전되는데, 이때, 상기 회전취수구(14)가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수회 또는 설정된 횟수만큼 반복 회전되도록 상기 모터(12)를 제어하게 된다.That is, when the operation signal of the rotary switch 32 is applied to the rotary intake port 14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rotary housing 12, the control unit 40 controls the motor 11 to rotate the central intake port 14, The motor 12 is rotated together with the rotating housing 12 around the rotating shaft 13 so that the rotating shaft 14 is repeatedly rotated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이와 같은 이유는 상기 중앙취수구(13) 및 회전취수구(14) 각각으로 물이 공급되도록 연결되는 물공급관(15)이 상기 중앙취수구(13) 및 회전취수구(14)의 회전에 의해 꼬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The reason for this is that the water supply pipe 15 connected to supply the water to each of the central intake port 13 and the rotation intake port 14 is prevented from being twisted by the rotation of the central intake port 13 and the rotary intake port 14 .

이에, 상기 모터(11)를 구동시키도록 상기 제어부(40)에 구성될 수 있는 회로 기판에 상기 모터(11)의 작동을 일정 시간 동안 지연시키는 모터릴레이 또는 타임릴레이(도면미도시)와 같은 구성이 구비된 경우, 상기 회전취수구(14)가 상기 회전스위치(32)의 작동 신호에 따라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정해진 횟수만큼 반복 회전되게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A configuration such as a motor relay or a time relay (not shown) for delaying the operation of the motor 11 for a predetermined time is provided on a circuit board that can be configured in the control unit 40 to drive the motor 11 The rotary intake port 14 may be repeatedly rotated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in a forward direction and a reverse direction in accordance with an operation signal of the rotary switch 32.

이에 따라, 상기 물공급관(15)은 상기 회전하우징(12)의 회전에 따른 꼬임 현상에 의해 변형 또는 파손되는 것을 예방하도록 플렉시블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회전취수구(14)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구성은 커피 등의 분말을 빨리 용해시킬 수 있는 방법이기도 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Accordingly, the water supply pipe 15 may be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to prevent the water supply pipe 15 from being deformed or damaged due to the twisting phenomenon caused by the rotation of the rotary housing 12. [ In addition,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rotating intake port 14 is rotated in the forward direction or the reverse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is also a method of rapidly dissolving the powder of coffee or the like, and more specific effects will be described below again.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워터 디스펜서(1)는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가 발생된다.Hereinafter, the water dispenser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operational effects through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분말이 담긴 원통형의 컵(C)에 물이 담기도록 상기 컵받침부(20)의 바닥면(21) 상부에 올려놓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중앙표시홈(21a)에 컵의 중심 부분이 일치하도록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Referring to FIGS. 2 and 3, the user places the cup on top of the bottom surface 21 of the cup-receiving portion 20 so that water is contained in the cylindrical cup C containing the powder.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user places the central display groove 21a so that the center portion of the cup coincides.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메인스위치(31)를 눌러 상기 컵(C)에 일정량의 물을 담아 일차적으로 분말과 혼합시키게 된다.Then, the user presses the main switch 31 to mix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into the cup C and mixes the powder with the powder.

이후, 사용자는 상기 컵(C)에 담긴 분말과 물이 어느 정도 희석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스위치(32)를 1회 작동시킨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취수구(14)가 상기 중앙취수구(13)를 중심으로 일정 반경으로 회전되는데, 이때, 상기 회전취수구(14)에서 분사된 물이 상기 컵(C)의 가장자리를 따라 대략 2~3회 정도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연속되게 반복 분사된 후 멈추게 된다.When the rotary switch 32 is operated once in a state in which the powder and water contained in the cup C are diluted to some extent, the rotation inlet 14 is connected to the central intake 13 The water injected from the rotation intake port 14 is repeatedly spray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bout 2 to 3 times along the edge of the cup C and then stopped .

이와 같이 상기 컵(C)의 가장자리를 따라 분사되는 물에 의해 상기 컵(C) 내부에서는 와류 현상이 발생되는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와류 현상은 컵(C)의 가장자리를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의 양방향으로 번갈아 가며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분말과 물의 용해 작용이 매우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FIG. 3, the vortex phenomenon occurs in the cup (C) due to the water sprayed along the edge of the cup (C) Or alternately in opposite directions, so that the dissolving action of powder and water can be performed very quickly.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발명 분말의 용해 기능이 구비된 워터 디스펜서(1)는 상기 취수부(10) 즉, 상기 중앙취수구(13) 및 회전취수구(14)와 같은 구성요소들의 유기적인 결합관계를 통해 상기 컵(C)에 담긴 물의 소용돌이 현상을 유도하여 커피와 같은 분말을 물에 쉽게 용해시킬 수 있어 취수구로부터 물을 받는 작업만으로 분말을 젖는 기능을 겸용할 있는 작용효과가 발생된다.The water dispenser 1 equipped with the dissolving function of the powd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and the water dispenser 1 having the function of dissolving the pow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organic coupling relation of components such as the water intake part 10, the central water intake port 13 and the rotation water intake port 14 It is possible to easily dissolve powder such as coffee in water by inducing swirling phenomenon of water contained in the cup (C) through the through hole, so that the operation and effect of wetting the powder only by the operation of receiving water from the intake port are generat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분말의 용해 기능이 구비된 워터 디스펜서는(1) 간편한 스위치 작동을 통해 일정 시간 동안 회전취수구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수회만큼 반복 회전되도록 할 수 있어 분말의 용해 작용이 매우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 또한 발생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water dispenser equipped with the dissolving function of pow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1) make it possible to rotate the water intake port repeatedly several times in the forward direction or the reverse direction for a predetermined time through the simple switch operation, An effect that can be achieved efficiently can also be generated.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분말의 용해 기능이 구비된 워터 디스펜서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The water dispenser having the dissolving function of the powder described above and shown in the drawings is only one embodiment for practic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only by the matters set forth in the following claims, and the embodiments improved and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bvious to those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10 취수부 11 모터
12 회전하우징 13 중앙취수구
14 회전취수구 20 컵받침부
21 바닥면 21a 중앙표시홈
30 스위치부 31 메인스위치
32 회전스위치 C 컵
10 Water intake part 11 Motor
12 Rotating housing 13 Central intake
14 Rotation intake 20 Cup stand
21 Floor surface 21a Center marking groove
30 Switch part 31 Main switch
32 Rotary Switch C Cup

Claims (3)

하부로 물이 배출되는 취수부와; 상기 취수부에서 배출된 물이 담기도록 컵이 놓이기 위한 컵받침부를; 포함하는 워터 디스펜서에 있어서,
상기 취수부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 가능한 회전하우징과, 물이 상기 컵 내부의 중앙 부분에 낙하되도록 상기 회전하우징의 회전중심상에 설치된 중앙취수구와, 물이 상기 컵 내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회전되며 낙하되도록 상기 회전하우징의 회전중심에서 편심되게 설치된 회전취수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의 용해 기능이 구비된 워터 디스펜서.
A water intake part for discharging water to the lower part; A cup support part for placing the cup so that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water intake part is contained; A water dispenser comprising:
The water intake portion includes a motor, a rotary housing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of the motor and rotatable, a central intake port provided on the rotation center of the rotary housing such that water falls on a central portion of the interior of the cup, And a rotation inlet formed at a center of rotation of the rotary housing to be rotated along an edge of the rotary housing and to be dropp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취수부에서 배출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스위치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중앙 취수구에서 물이 배출되도록 작동시키는 메인스위치와, 상기 회전취수구에서 물이 배출되도록 작동시키는 회전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의 용해 기능이 구비된 워터 디스펜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witch unit for adjusting an amount of water discharged from the water intake unit,
Wherein the switch unit comprises a main switch that operates to discharge water from the central intake port and a rotation switch that operates to discharge water from the rotation intake por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하우징의 회전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제어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스위치의 작동 신호가 인가된 경우 상기 회전취수구가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설정된 횟수만큼 반복 회전된 후 정지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의 용해 기능이 구비된 워터 디스펜서.
3. The method of claim 2,
Further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adjusting a rotating direction of the rotating housing,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motor such that the rotation inlet is repeatedly rotated and rotated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in a forward direction and a reverse direction when the operation signal of the rotation switch is applied.
KR1020130143233A 2013-11-22 2013-11-22 Water dispenser having powder solution means KR2015005952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3233A KR20150059523A (en) 2013-11-22 2013-11-22 Water dispenser having powder solution mea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3233A KR20150059523A (en) 2013-11-22 2013-11-22 Water dispenser having powder solution mean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9523A true KR20150059523A (en) 2015-06-01

Family

ID=53490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3233A KR20150059523A (en) 2013-11-22 2013-11-22 Water dispenser having powder solution mean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59523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67622A (en) * 2015-10-26 2015-12-23 苏州凯丰电子电器有限公司 Portable stock shelf for drinking water machin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67622A (en) * 2015-10-26 2015-12-23 苏州凯丰电子电器有限公司 Portable stock shelf for drinking water machi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402410B (en) Agitating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reof in automatic cup
JP4774042B2 (en) Coffee maker with dairy beverage production equipment
US9396605B2 (en) Beverage vending machines
US8794485B2 (en) Frozen beverage dispenser
RU2011127986A (en) INTEGRATED METHOD AND SYSTEM FOR DOSING AND MIXING / MIXING OF DRINKING INGREDIENTS
JP2012510939A5 (en)
TWI609663B (en) Beverage carafe lid open/closed detection and system control
EP3104755A1 (en) Beverage brewer and related methods for brewing beverages
CN101438940A (en) Electric food preparation appliance having a support for a mixing accessory
TWI378776B (en) Drink making machine
JP2016526419A (en) Mixing chamber for producing beverages
JPS61253021A (en) Coffee extractor
KR20150059523A (en) Water dispenser having powder solution means
CN203789775U (en) Tool for preparing foams by using food liquid
JP5724611B2 (en) Beverage supply equipment
CN105212742B (en) A kind of intelligent brewing machine
CN209423448U (en) A kind of Pharmacy's medicament mixing device
KR20010086919A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mixing dried milk with water and sterillizing milk bottles
EP3758563B1 (en) Device for dosing and pouring an amount of ground coffee powder into a coffee filter of a coffee-making apparatus
CN207745758U (en) A kind of dairy products mixed ingredients tank
KR101258070B1 (en) Powdered milk supply vessel
JP4688209B2 (en) Beverage supply equipment
CN200994708Y (en) Instant coffee maker
JP2010148585A (en) Beverage dispenser
JP5372458B2 (en) Beverage production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