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8709A - 빅 데이터 해석기반의 연구 능률 관리 및 운영 통합 시스템, 그리고 그 방법 - Google Patents

빅 데이터 해석기반의 연구 능률 관리 및 운영 통합 시스템, 그리고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8709A
KR20150058709A KR1020130141548A KR20130141548A KR20150058709A KR 20150058709 A KR20150058709 A KR 20150058709A KR 1020130141548 A KR1020130141548 A KR 1020130141548A KR 20130141548 A KR20130141548 A KR 20130141548A KR 20150058709 A KR20150058709 A KR 201500587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big data
management
analysis
resear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1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52216B1 (ko
Inventor
조형태
문용재
서흥원
엄항섭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415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2216B1/ko
Publication of KR201500587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87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22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22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Abstract

본 발명은 빅 데이터 해석기반의 연구 능률 관리 및 운영 통합 시스템, 그리고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연구과제관리 시스템, 지적재산관리 시스템, 연간 시수계획 모듈, 그리고 비용 계획 및 실적 모듈로부터 데이터 수집을 수행하는 빅 데이터 해석기반의 연구 능률 관리 및 운영 통합 시스템에 있어서, 수집한 다수의 소스 데이터(Source data)로부터 데이터를 자동 추출하여 통합 데이터베이스로 관리하면서 실시간으로 레포트를 생성한다.
이에 의해, 기존의 연구과제관리 시스템 및 지적재산관리 시스템을 통해 입력된 실적데이터, 그리고 오프라인으로 관리하고 있던 비용(국내출장비, 업무추진비, 활력추진비) 및 계획 시수 등의 데이터를 종합적인 빅 데이터로 자동적으로 수집하고, 다양한 분석 레포트의 생성 및 차트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통합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뷰어(viewer)를 통해 UI 화면을 생성하여 구현한 뒤, 엑셀 데이터에서 직접 쿼리를 수행하고, 운영 담당자가 추가적인 비관리 데이터를 입력시, 자동으로 다양한 차트 및 지표를 반영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빅 데이터 해석기반의 연구 능률 관리 및 운영 통합 시스템, 그리고 그 방법{Integrated system for research productivity and operation managment based on big date technology,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빅 데이터 해석기반의 연구 능률 관리 및 운영 통합 시스템, 그리고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회사 및 연구소의 운영을 위해서는 연구 자원의 관리 및 성과 관리, 평가, 정보 공유 등 다양한 정보들이 체계적으로 집계되고 보고가 되도록 하기 위한 빅 데이터 해석기반의 연구 능률 관리 및 운영 통합 시스템, 그리고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기존 연구소의 운영 관리를 위해 연구과제관리시스템의 운영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기존 작업 방식은 각 소스로부터 엑셀 데이터(Excel data)로 다운로드 또는 직접 카피(Copy)를 하여 데이터를 취합 후 수작업으로 레포트 생성하는 방식으로 수행하였다.
여기에서 기존의 데이터는 주로 엑셀 데이터 형태로 관리되고 있으며, 시수 및 과제 실적 데이터는 연구과제관리 시스템에서 관리되며, 특허 및 지식재산은 지식관리 시스템에서 관리되며, 시수 계획, 그리고 비용 계획 및 실적 데이터는 오프 라인 중심으로 엑셀 데이터에 의해 관리되고 있다.
즉, 기존의 데이터는 연구원들에 의해 입력되는 시수, 과제 비용, 과제 실적 등의 실적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인해, 기타 주요 지표에 대한 계획 및 실적에 대해서는 엑셀 파일 중심의 오프-라인(Off-line)으로 관리되어, 이에 대한 취합 및 종합적인 분석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어 왔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작업의 경우 많은 시간을 소요하는 단점이 있어 왔다.
이에 따라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서는, 기존의 방법에 있어서 업무 담당자가 각 시스템 또는 엑셀 데이터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하여 각각 취합을 함으로 인해 각 데이터 간의 연관 관계에 의한 종합적인 분석이 어려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1. 데이터 기록매체, 데이터 기록방법, 데이터 처리장치,데이터 분배방법 및 데이터 분배장치, 데이터 송신방법 및 데이터 송신장치와, 데이터분배 시스템 및 데이터통신시스템(DATA RECORDING MEDIUM, DATA RECORDING METHOD, DATA PROCESSING DEVICE, DATA DISTRIBUTION METHOD, DATA DISTRIBUTION DEVICE, DATA TRANSMISSION METHOD, DATA TRANSMISSION DEVICE, DATA DISTRIBUTION SYSTEM, AND DATA COMMUNICATION SYSTEM) (특허출원번호 제10-2004-7009258호) 2. 데이터 처리 단말기, 데이터 처리 단말기의 데이터 처리 방법, 데이터 처리 시스템 및 데이터 처리 시스템의 데이터 처리 방법(DATA PROCESSING TERMINAL, METHOD OF PROCESSING DATA THEROF, DATA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THEREOF) (특허출원번호 제10-2011-0077351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기존의 연구과제관리 시스템 및 지적재산관리 시스템을 통해 입력된 실적데이터, 그리고 오프라인으로 관리하고 있던 비용(국내출장비, 업무추진비, 활력추진비) 및 계획 시수 등의 데이터를 종합적인 빅 데이터로 자동적으로 수집하고, 다양한 분석 레포트의 생성 및 차트를 제공하도록 하기 위한 빅 데이터 해석기반의 연구 능률 관리 및 운영 통합 시스템, 그리고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통합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뷰어(viewer)를 통해 UI 화면을 생성하여 구현한 뒤, 엑셀 데이터에서 직접 쿼리를 수행하고, 운영 담당자가 추가적인 비관리 데이터를 입력시, 자동으로 다양한 차트 및 지표가 반영되도록 하기 위한 빅 데이터 해석기반의 연구 능률 관리 및 운영 통합 시스템, 그리고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빅 데이터 해석기반의 연구 능률 관리 및 운영 통합 시스템은, 연구과제관리 시스템, 지적재산관리 시스템, 연간 시수계획 모듈, 그리고 비용 계획 및 실적 모듈로부터 데이터 수집을 수행하는 빅 데이터 해석기반의 연구 능률 관리 및 운영 통합 시스템에 있어서, 수집한 다수의 소스 데이터(Source data)로부터 데이터를 자동 추출하여 통합 데이터베이스로 관리하면서 실시간으로 레포트를 생성한다.
이때, 본 발명은 오퍼레이션 개시에 따라 상기 통합 데이터베이스에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뷰어(viewer)를 통해 UI 화면을 생성하여 입출력부로 구현한 뒤, 빅 데이터를 형성하는 엑셀 데이터에 대한 직접 쿼리를 수행하고, 운영 담당자가 추가적인 비관리 데이터를 입력을 수신하는 통합 운영 관리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통합 운영 관리 모듈은 상기 통합 운영 관리 모듈에 의해 구현된 데이터 업데이트 버튼(전체 업데이트 버튼)에 대한 운영 담당자의 입력시, 자동으로 상기 연구과제관리 시스템, 상기 지적재산관리 시스템, 상기 연간 시수계획 모듈, 및 상기 비용 계획 및 실적 모듈로부터 빅 데이터를 수집하도록 송수신부를 제어하는 빅 데이터 취합 수단; 상기 통합 데이터베이스에 업데이트된 빅 데이터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상관관계 분석 수단; 및 상기 상관관계 분석 수단에 의해 분석된 각 빅 데이터를 저장한 상기 통합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피봇 데이터 및 차트에 대한 자동 업데이트를 수행하고, 최종적으로 종합 레포트를 생성하는 업데이트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업데이트 수단은 다양한 분석 결과를 생성하고, 생성된 데이터를 피봇 테이블(pivot table) 또는 차트의 그래픽(Graphic)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입출력부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빅 데이터 해석기반의 연구 능률 통합 관리 및 운영 방법은, 시스템 오퍼레이션 개시(Operation Start)에 따라, UI 화면을 구현한 빅 데이터 해석기반의 연구 능률 통합 관리 및 운영 화면상에서 사용자에 의한 업데이트 버튼 선택 입력에 따른 업데이트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제 1 단계; 소스 시스템 및 파일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한 뒤, 추출된 데이터를 통합 데이터베이스로 저장하는 제 2 단계; 및 개별 분석 레포트에 대한 자동 업데이트를 수행하고, 피봇 테이블 및 차트 업데이트를 수행한 뒤, 종합 레포트를 생성하는 제 3 단계; 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 2 단계의 소스 시스템은 연구과제관리 시스템 및 지적재산관리 시스템이며, 파일은 연간 시수계획 모듈, 및 비용 계획 및 실적 모듈로부터 수신된 연간 시수계획 데이터, 및 비용 계획 및 실적 데이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빅 데이터 해석기반의 연구 능률 통합 관리 및 운영 방법은, 기존의 연구과제관리 시스템 및 지적재산관리 시스템을 통해 입력된 실적데이터, 그리고 오프라인으로 관리하고 있던 비용(국내출장비, 업무추진비, 활력추진비) 및 계획 시수 등의 데이터를 종합적인 빅 데이터로 자동적으로 수집하고, 다양한 분석 레포트의 생성 및 차트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빅 데이터 해석기반의 연구 능률 통합 관리 및 운영 방법은, 통합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뷰어(viewer)를 통해 UI 화면을 생성하여 구현한 뒤, 엑셀 데이터에서 직접 쿼리를 수행하고, 운영 담당자가 추가적인 비관리 데이터를 입력시, 자동으로 다양한 차트 및 지표를 반영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기존 연구소의 운영 관리를 위해 연구과제관리시스템의 운영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빅 데이터 해석기반의 연구 능률 관리 및 운영 통합 시스템(100)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도 2의 빅 데이터 해석기반의 연구 능률 관리 및 운영 통합 시스템(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빅 데이터 해석기반의 연구 능률 관리 및 운영 통합 시스템(100)에서 구현된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빅 데이터 해석기반의 연구 능률 통합 관리 및 운영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빅 데이터 해석기반의 연구 능률 관리 및 운영 통합 시스템(100)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도 2의 빅 데이터 해석기반의 연구 능률 관리 및 운영 통합 시스템(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빅 데이터 해석기반의 연구 능률 관리 및 운영 통합 시스템(100)에서 구현된 유저인터페이스 화면(User Interface 화면, 이하: UI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빅 데이터 해석기반의 연구 능률 관리 및 운영 통합 시스템(100)은 연구과제관리 시스템(10), 지적재산관리 시스템(20), 연간 시수계획 모듈(30) 및 비용 계획 및 실적 모듈(40)과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모듈이라 함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상기 하드웨어를 구동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모듈은 소정의 코드와 상기 소정의 코드가 수행되기 위한 하드웨어 리소스의 논리적인 단위를 의미할 수 있으며, 반드시 물리적으로 연결된 코드를 의미하거나, 한 종류의 하드웨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님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에게는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빅 데이터 해석기반의 연구 능률 관리 및 운영 통합 시스템(100)은 도 2와 같이 연구과제관리 시스템(10), 지적재산관리 시스템(20), 연간 시수계획 모듈(30) 및 비용 계획 및 실적 모듈(40)로부터 수신된 다수의 소스 데이터(Source data)로부터 데이터를 자동 추출하여 통합 데이터베이스(130)로 관리하면서 실시간으로 레포트를 생성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데이터베이스라 함은, 각각의 데이터베이스에 대응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검색, 저장, 및 관리하기 위한 별도의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링크드 리스트(linked-list), 트리(Tree),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형태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데이터베이스에 대응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모든 데이터 저장매체 및 데이터 구조를 포함한다.
빅 데이터 해석기반의 연구 능률 관리 및 운영 통합 시스템(100)은 도 3과 같이 송수신부(110), 입출력부(120), 통합 데이터베이스(130) 및 통합 운영 관리 모듈(140)을 포함한다. 그리고 통합 운영 관리 모듈(140)은 빅 데이터 취합 수단(141), 상관관계 분석 수단(142) 및 업데이트 수단(143)을 구비할 수 있다.
먼저, 빅 데이터 해석기반의 연구 능률 관리 및 운영 통합 시스템(100)의 오퍼레이션 개시에 따라 통합 운영 관리 모듈(140)은 도 4와 같이 통합 데이터베이스(130)를 기반으로 뷰어(viewer)를 통해 UI 화면을 생성하여 입출력부(120)로 구현한 뒤, 빅 데이터를 형성하는 엑셀 데이터에 대한 직접 쿼리를 수행하고, 운영 담당자가 추가적인 비관리 데이터를 입력시, 자동으로 통합 데이터베이스(130) 상의 다양한 차트 및 지표가 반영되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빅 데이터 취합 수단(141)은 상술한 통합 운영 관리 모듈(140)에 의해 입출력부(120)에 구현된 데이터 업데이트 버튼(도 4의 전체 업데이트 버튼)에 대한 운영 담당자의 입력시, 자동으로 연구과제관리 시스템(10), 지적재산관리 시스템(20), 연간 시수계획 모듈(30) 및 비용 계획 및 실적 모듈(40)로부터 빅 데이터를 수집하도록 송수신부(110)를 제어한다.
이후, 빅 데이터 취합 수단(141)은 연구소 운영 관리에 필요한 다양한 데이터를 통합 데이터베이스(130)에 취합함으로써, 업데이트를 수행한다.
여기서, 빅 데이터 취합 수단(141)은 오라클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연구과제관리 시스템(10) 및 지식재산관리 시스템(20) 외에도, 엑셀 데이터를 기반으로하는 연간 시수계획 모듈(30) 및 비용 계획 및 실적 모듈(40)로부터 다양하게 분산된 원본 데이터로부터 데이터를 취합한다.
상관관계 분석 수단(142)은 통합 데이터베이스(130)에 업데이트된 빅 데이터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관관계 분석 수단(142)은 데이터 마트(Data mart)를 운영하며, 데이터 마트를 통한 빅 데이터를 통합하고, 관련 데이터간의 관계를 해석한다.
업데이트 수단(143)은 상관관계 분석 수단(142)에 의해 분석된 각 빅데이터를 저장한 통합 데이터베이스(130)를 참조하여 피봇 데이터 및 차트 등에 대한 자동 업데이트를 수행하고, 최종적으로 종합 레포트를 생성한다.
즉, 업데이트 수단(143)은 다양한 분석 결과를 생성하고, 생성된 데이터를 피봇 테이블(pivot table) 또는 차트 등의 그래픽(Graphic)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출력부(110)로 구현함으로써, 사용자 및 관리자들에게 보다 효과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빅 데이터 해석기반의 연구 능률 관리 및 운영 통합 시스템(100)은 다양한 데이터 소스의 취합, 재가공 및 분석을 위해 빅데이터(big data) 기법을 도입함으로써, 보다 쉽고 빠르게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빅 데이터 해석기반의 연구 능률 관리 및 운영 통합 시스템(100)은 피봇 레포트 및 차트를 제공함으로써, 분석 가시화를 위한 다양한 형식의 그래픽 리포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빅 데이터 해석기반의 연구 능률 통합 관리 및 운영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빅 데이터 해석기반의 연구 능률 관리 및 운영 통합 시스템(100)은 시스템 오퍼레이션 개시(Operation Start)를 수행한다(S1).
단계(S1) 이후, 빅 데이터 해석기반의 연구 능률 관리 및 운영 통합 시스템(100)은 UI 화면을 구현한 빅 데이터 해석기반의 연구 능률 통합 관리 및 운영 화면상에서 사용자에 의한 업데이트 버튼 선택 입력에 따른 업데이트 요청 신호를 수신한다(S2).
단계(S2) 이후, 빅 데이터 해석기반의 연구 능률 관리 및 운영 통합 시스템(100)은 소스 시스템 및 파일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한다(S3).
여기서 소스 시스템은 연구과제관리 시스템(10) 및 지적재산관리 시스템(20)일 수 있으며, 파일은 연간 시수계획 모듈(30), 그리고 비용 계획 및 실적 모듈(40)로부터 각각 수신된 연간 시수계획 데이터, 그리고 비용 계획 및 실적 데이터일 수 있다.
단계(S3) 이후, 빅 데이터 해석기반의 연구 능률 관리 및 운영 통합 시스템(100)은 단계(S3)에서 추출된 데이터를 통합 데이터베이스(130)로 저장한다(S4).
단계(S4) 이후, 빅 데이터 해석기반의 연구 능률 관리 및 운영 통합 시스템(100)은 개별 분석 레포트에 대한 자동 업데이트를 수행한다(S5).
단계(S5) 이후, 빅 데이터 해석기반의 연구 능률 관리 및 운영 통합 시스템(100)은 피봇 테이블 및 차트 업데이트를 수행한다(S6).
즉, 빅 데이터 해석기반의 연구 능률 관리 및 운영 통합 시스템(100)은 각단계(S4)에 따른 개별의 빅 데이터(big data)가 업데이트 되면, 각 업데이트된 빅 데이터를 참조하는 개별 분석 레포트에 대한 자동 업데이트 수행(S5)이 완료되며, 이후, 업데이트된 빅 데이터를 참조하는 피봇 테이블 및 차트가 자동 업데이트되어 유용한 정보로 가공되는 특성이 있다.
단계(S6) 이후, 빅 데이터 해석기반의 연구 능률 관리 및 운영 통합 시스템(100)은 종합 레포트를 생성한다(S7).
빅 데이터 해석기반의 연구 능률 관리 및 운영 통합 시스템(100)에 의한 제 1 정성적 효과로 일관성 있는 레포트 체계 수립, 시수 계획과 실적의 조화로 보다 효과적인 분석이 가능해지며, 시수, 비용, 과제의 통합 레포팅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 2 정성적 효과로 연구원 기회 균등 및 보건(과로) 관리점 제시가 가능해지며, 연구 유형효과 수시 확인을 통한 MOU 지표 관리가 가능해지며, 계획 대비 실적 비교분석으로 비용 절감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빅 데이터 해석기반의 연구 능률 관리 및 운영 통합 시스템(100)에 의한 정량적 효과로, 관리자의 분석 보고서 작성 시간 감소, 데이터 취합 시간 감소, 정확한 분석을 통한 기회 균등부여로 이직자 예방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연구과제관리 시스템
20: 지적재산관리 시스템
30: 연간 시수계획 모듈
40: 비용 계획 및 실적 모듈
100: 빅 데이터 해석기반의 연구 능률 관리 및 운영 통합 시스템
110: 송수신부
120: 입출력부
130: 통합 데이터베이스
140: 통합 운영 관리 모듈
141: 빅 데이터 취합 수단
142: 상관관계 분석 수단
143: 업데이트 수단

Claims (6)

  1. 연구과제관리 시스템, 지적재산관리 시스템, 연간 시수계획 모듈, 그리고 비용 계획 및 실적 모듈로부터 데이터 수집을 수행하는 빅 데이터 해석기반의 연구 능률 관리 및 운영 통합 시스템에 있어서,
    수집한 다수의 소스 데이터(Source data)로부터 데이터를 자동 추출하여 통합 데이터베이스로 관리하면서 실시간으로 레포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 데이터 해석기반의 연구 능률 관리 및 운영 통합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오퍼레이션 개시에 따라 상기 통합 데이터베이스에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뷰어(viewer)를 통해 UI 화면을 생성하여 입출력부로 구현한 뒤, 빅 데이터를 형성하는 엑셀 데이터에 대한 직접 쿼리를 수행하고, 운영 담당자가 추가적인 비관리 데이터를 입력을 수신하는 통합 운영 관리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 데이터 해석기반의 연구 능률 관리 및 운영 통합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통합 운영 관리 모듈은,
    상기 통합 운영 관리 모듈에 의해 구현된 데이터 업데이트 버튼(전체 업데이트 버튼)에 대한 운영 담당자의 입력시, 자동으로 상기 연구과제관리 시스템, 상기 지적재산관리 시스템, 상기 연간 시수계획 모듈, 및 상기 비용 계획 및 실적 모듈로부터 빅 데이터를 수집하도록 송수신부를 제어하는 빅 데이터 취합 수단;
    상기 통합 데이터베이스에 업데이트된 빅 데이터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상관관계 분석 수단; 및
    상기 상관관계 분석 수단에 의해 분석된 각 빅 데이터를 저장한 상기 통합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피봇 데이터 및 차트에 대한 자동 업데이트를 수행하고, 최종적으로 종합 레포트를 생성하는 업데이트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 데이터 해석기반의 연구 능률 관리 및 운영 통합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 수단은,
    다양한 분석 결과를 생성하고, 생성된 데이터를 피봇 테이블(pivot table) 또는 차트의 그래픽(Graphic)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입출력부로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 데이터 해석기반의 연구 능률 관리 및 운영 통합 시스템.
  5. 시스템 오퍼레이션 개시(Operation Start)에 따라, UI 화면을 구현한 빅 데이터 해석기반의 연구 능률 통합 관리 및 운영 화면상에서 사용자에 의한 업데이트 버튼 선택 입력에 따른 업데이트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제 1 단계;
    소스 시스템 및 파일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한 뒤, 추출된 데이터를 통합 데이터베이스로 저장하는 제 2 단계; 및
    개별 분석 레포트에 대한 자동 업데이트를 수행하고, 피봇 테이블 및 차트 업데이트를 수행한 뒤, 종합 레포트를 생성하는 제 3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 데이터 해석기반의 연구 능률 통합 관리 및 운영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의 소스 시스템은 연구과제관리 시스템 및 지적재산관리 시스템이며, 파일은 연간 시수계획 모듈, 및 비용 계획 및 실적 모듈로부터 수신된 연간 시수계획 데이터, 및 비용 계획 및 실적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 데이터 해석기반의 연구 능률 통합 관리 및 운영 방법.
KR1020130141548A 2013-11-20 2013-11-20 빅 데이터 해석기반의 연구 능률 관리 및 운영 통합 시스템, 그리고 그 방법 KR1015522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1548A KR101552216B1 (ko) 2013-11-20 2013-11-20 빅 데이터 해석기반의 연구 능률 관리 및 운영 통합 시스템, 그리고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1548A KR101552216B1 (ko) 2013-11-20 2013-11-20 빅 데이터 해석기반의 연구 능률 관리 및 운영 통합 시스템, 그리고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8709A true KR20150058709A (ko) 2015-05-29
KR101552216B1 KR101552216B1 (ko) 2015-09-11

Family

ID=53392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1548A KR101552216B1 (ko) 2013-11-20 2013-11-20 빅 데이터 해석기반의 연구 능률 관리 및 운영 통합 시스템, 그리고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221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4314B1 (ko) 2015-12-16 2016-09-06 주식회사 포스웨이브 공간 데이터 분산 처리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20170104341A (ko) * 2016-03-07 2017-09-15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데이터 표시 장치의 제어 방법
KR20200010645A (ko) * 2018-06-27 2020-01-31 (주)이지서티 빅데이터의 전처리 방법 및 장치
CN111177544A (zh) * 2019-12-24 2020-05-19 浙江禾连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用户行为数据和用户画像数据的运营系统及方法
KR20220064016A (ko) 2020-11-11 2022-05-18 주식회사 한국건설방재연구원 빅데이터를 활용한 데이터마이닝기반 건설사고 객체정보 추출 방법
KR102604582B1 (ko) 2022-12-13 2023-11-22 주식회사 한국건설방재연구원 시공재해 db 통합을 위한 핵심어구 추출 및 정확도 평가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9656B1 (ko) * 2009-10-30 2010-07-14 (주)비아이매트릭스 엑셀기반 분석보고서 작성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4314B1 (ko) 2015-12-16 2016-09-06 주식회사 포스웨이브 공간 데이터 분산 처리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20170104341A (ko) * 2016-03-07 2017-09-15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데이터 표시 장치의 제어 방법
KR20200010645A (ko) * 2018-06-27 2020-01-31 (주)이지서티 빅데이터의 전처리 방법 및 장치
CN111177544A (zh) * 2019-12-24 2020-05-19 浙江禾连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用户行为数据和用户画像数据的运营系统及方法
CN111177544B (zh) * 2019-12-24 2023-07-28 浙江禾连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用户行为数据和用户画像数据的运营系统及方法
KR20220064016A (ko) 2020-11-11 2022-05-18 주식회사 한국건설방재연구원 빅데이터를 활용한 데이터마이닝기반 건설사고 객체정보 추출 방법
KR102604582B1 (ko) 2022-12-13 2023-11-22 주식회사 한국건설방재연구원 시공재해 db 통합을 위한 핵심어구 추출 및 정확도 평가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2216B1 (ko) 2015-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2216B1 (ko) 빅 데이터 해석기반의 연구 능률 관리 및 운영 통합 시스템, 그리고 그 방법
CN107886238B (zh) 一种基于海量数据分析的业务流程管理系统及方法
CN109542967B (zh) 基于xbrl标准的智慧城市数据共享系统及方法
CN110581773A (zh) 一种自动化服务监控与报警管理系统
CN107294764A (zh) 智能监管方法和智能监管系统
US9367586B2 (en) Data validation and service
US8688626B2 (en) Software tool for generating technical business data requirements
CN113656021B (zh) 一种面向业务场景的油气大数据分析系统及方法
CN111988176A (zh) 一种基于仿真拓扑结构的故障定位系统可视化方法
US8862637B2 (en) Generating data access operations based on a data model using a data services model
Hammad et al. Provenance as a service: A data-centric approach for real-time monitoring
CN109213826A (zh) 数据处理方法和设备
US20080221959A1 (en) System and architecture for managing distributed design chains
CN114443854A (zh) 多源异构数据的处理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N113821538A (zh) 一种基于元数据的流式数据处理系统
CN113206867A (zh) 一种智能数据采集监控系统、方法和定时采集服务模块
KR101376226B1 (ko) 오픈 소스 통합 관리 방법 및 그 서버
CN105824848A (zh) 获得消防综合信息的方法和消防信息系统
US20150066985A1 (en) Retrieving information from social media sites based upon events in an enterprise
KR101545998B1 (ko) 유출-수리모형 데이터 통합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CN114723397A (zh) 一种流程执行方法及装置
CN105243490B (zh) 一种基于git软件的统计系统及方法
CN104123584A (zh) 基于信息系统的组织优化方法
AU2020101787A4 (en) Data security for distributed streaming data collection system using provenance model
RU52218U1 (ru)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ая система ситуационного анализ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