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8439A - 지리적위치 샘플에 근거하는 콘텐츠 아이템 선택 - Google Patents

지리적위치 샘플에 근거하는 콘텐츠 아이템 선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8439A
KR20150058439A KR1020157010098A KR20157010098A KR20150058439A KR 20150058439 A KR20150058439 A KR 20150058439A KR 1020157010098 A KR1020157010098 A KR 1020157010098A KR 20157010098 A KR20157010098 A KR 20157010098A KR 20150058439 A KR20150058439 A KR 201500584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item
user
path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0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알렉산더 패브리칸트
야론 신거
마이클 바크만
Original Assignee
구글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글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구글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500584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84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1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0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 H04W4/21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for social networking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네트워크 액세스가능 디바이스가 반복적으로 이동된 지리적 경로를 식별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네트워크 액세스가능 디바이스로부터 일련의 지리적위치 샘플들이 수신되고, 이러한 샘플들은 임의의 시구간에 걸친 디바이스의 상이한 지리적 위치들을 표시한다. 일련의 샘플들로부터, 디바이스가 반복적으로 이동됐던 지리적 경로가 식별된다. 지리적 경로에 근접하는 물리적 위치를 갖는 엔티티에 대한 콘텐츠 아이템이 선택된다. 네트워크 액세스가능 디바이스의 사용자와 관련된 디스플레이 상에 콘텐츠 아이템이 디스플레이된다.

Description

지리적위치 샘플에 근거하는 콘텐츠 아이템 선택{SELECTING CONTENT ITEMS BASED ON GEOPOSITIONING SAMPLES}
콘텐츠 제공자들(content providers)("퍼블리셔들(publishers)")은 다양한 네트워크 액세스가능 디바이스들(network accessible devices)(예를 들어, 스마트폰(smart phones), 태블릿(tablets), 랩탑(laptops), 이-리더기(e-readers), 데스크탑 컴퓨터(desktop computers), 등) 상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콘텐츠를 제공한다. 이러한 콘텐츠는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는바, 예를 들어, 웹 페이지(web pages), 모바일 애플리케이션(mobile applications)(앱(apps)), 오디오 제작물(audio works)(예를 들어, mp3 파일들), 비디오 제작물(video works), 텍스트 제작물(textual works)(예를 들어, 이-북(e-books) 등)과 같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퍼블리셔 콘텐츠는 종종 콘텐츠 아이템들(content items)(예를 들어, 광고, 다른 판촉 메시지, 통신물, 등과 같은 것)을 수반하는, 이러한 콘텐츠 아이템들은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고, 이러한 형태에는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리치 미디어(rich media) 등이 포함된다.
퍼블리셔 콘텐츠는 퍼블리셔 디스플레이 내에 혹은 퍼블리셔 디스플레이 상에서의 특별하게 구성된 슬롯(slot)들 내에 하나 이상의 콘텐츠 아이템들을 요청 및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콘텐츠 아이템들은 랜딩 페이지(landing pages)에 대한 링크(links)를 확립할 수 있거나 혹은 써드 파티들(third parties)들에 의해 소유된 다른 퍼블리셔 콘텐츠에 대한 링크를 확립할 수 있다. 콘텐츠 아이템들의 디스플레이는 퍼블리셔에게 다수의 혜택들을 제공할 수 있는바, 예를 들어, 디바이스의 사용자가 콘텐츠 아이템을 보거나 혹은 선택할 때 수익(revenue)을 낼 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 액세스가능 디바이스가 반복적으로 이동된 지리적 경로를 식별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네트워크 액세스가능 디바이스로부터 일련의 지리적위치 샘플들이 수신되고, 이러한 샘플들은 임의의 시구간(time interval)에 걸친 디바이스의 상이한 지리적 위치들을 표시한다. 일련의 샘플들로부터, 디바이스가 반복적으로 이동됐던 지리적 경로가 식별된다. 지리적 경로에 근접하는 물리적 위치를 갖는 엔티티에 대한 콘텐츠 아이템이 선택된다. 네트워크 액세스가능 디바이스의 사용자와 관련된 디스플레이 상에 콘텐츠 아이템이 디스플레이된다.
다양한 실시예들을 특징지을 수 있는 이러한 특징 및 장점 그리고 다른 특징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되는 도면을 고려하여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기반 시스템의 기능적 블록 표현을 제공한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기반 시스템의 또 하나의 다른 기능적 블록 표현을 제공한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도 1 및 도 2의 시스템의 실시형태들을 보여준다.
도 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복수의 지리적 경로들로부터의 복수의 지리적위치 샘플들을 제공한다.
도 5는 도 4의 경로들과 관련된 빈도수 정보의 테이블을 도시한다.
도 6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가속 데이터의 그래픽 표현이다.
도 7은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사용자 모델 엔진의 실시형태들을 보여준다.
도 8은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수행되는 단계들을 일반적으로 예시하는 지리적위치 샘플링 루틴을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수행되는 단계들을 일반적으로 예시하는 콘텐츠 아이템 발생 루틴을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수행되는 단계들을 일반적으로 예시하는 콘텐츠 아이템 선택 루틴을 위한 흐름도이다.
본 개시내용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 액세스가능 디바이스(예를 들어,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 혹은 데스크탑 컴퓨터와 같은 것, 하지만 이러한 것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 상에 퍼블리셔 콘텐츠와 함께 디스플레이를 위해 콘텐츠 아이템들을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퍼블리셔 디스플레이 아이템들은 종종 디바이스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al User Interface, GUI)를 통한 프리젠테이션(presentation)을 위해 네트워크 액세스가능 디바이스에 전달되거나 혹은 네트워크 액세스가능 디바이스 상에 저장된다. 퍼블리셔 디스플레이 아이템들은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는바, 예를 들어, 웹 페이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앱), 이-리더 북(e-reader books), 이메일 서비스(email services), 검색 엔진(search engines), 게임(games), 오디오 제작물, 비디오 제작물 등과 같은 형태를 취할 수 있지만 이러한 것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퍼블리셔 디스플레이 아이템은 퍼블리셔에 의해 공급되는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써드 파티들로부터의 콘텐츠 아이템(들)의 삽입을 수용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슬롯들도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 아이템들은 다양한 콘텐츠 아이템 제공자들로부터의 한 무리의 이용가능한 콘텐츠 아이템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콘텐츠 아이템들은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는바, 예를 들어, 광고, 통신물, 공익 광고(public service announcements), 설문조사(survey), 청원(petition) 혹은 다른 활동에 참여하도록 하는 초대 등과 같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콘텐츠 아이템들은 생성 부분(creative portion) 및 상호작용 부분(interactive portion)을 포함할 수 있다. 생성 부분은 사용자에게 텍스트 정보, 오디오 정보, 이미지 정보, 그리고/또는 비디오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호작용 부분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때(예컨대, "클릭(click)"되는 것과 같은 것), 디바이스를 임의의 링크된 웹 페이지로 연결시키거나 혹은 생성 부분과 관련된 다른 위치("랜딩 페이지")로 연결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를 변경시킬 수 있다.
광고자(advertiser)들과 같은 콘텐츠 소유자들이 콘텐츠 아이템들을 개개인들의 네트워크 액세스가능 디바이스들에 서빙(serving)하는 것이 점점더 바람직한 것으로 되어 가고 있다(여기서 개개인들은 예를 들어, 물품(product)들 및/또는 서비스(service)들을 구매함으로써 혹은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 아이템들과 관련된 특정 물리적 위치들을 방문함으로써, 콘텐츠 아이템들의 프리젠테이션에 호의적으로 반응을 보일 가능성이 있는 그러한 개개인들임).
이에 따라,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 액세스가능 디바이스와 관련된 지리적 이동 패턴들과 관련되어 콘텐츠 아이템들을 디스플레이시키도록 동작한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네트워크 액세스가능 디바이스의 사용자가 디바이스와 관련된 지리적위치 정보를 공유할 것을 선택하는 경우, 디바이스가 임의의 선택된 시구간에 걸쳐 반복적으로 이동됐던 하나 이상의 지리적 경로들을 식별하기 위해 디바이스로부터의 지리적위치 샘플(geopositioning sample)들이 사용된다. 이후, 하나 이상의 콘텐츠 아이템들이, 사용자와 관련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상에서의 디스플레이를 위해, 그 검출된 지리적 경로들과 관련되어 선택되고 전달된다. 지리적 경로에 근접하는 물리적 위치를 갖는 엔티티(entity)들로부터의 콘텐츠 아이템들이 디스플레이를 위해 선택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콘텐츠 아이템들은 네트워크 액세스가능 디바이스 상에 직접 디스플레이되는바, 여기서 네트워크 액세스가능 디바이스는 스마트 폰일 수 있거나 혹은 사용자가 가지고 다닐 수 있는 다른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콘텐츠 아이템들은 사용자와 관련된 다른 디바이스(예를 들어, 데스크탑 컴퓨터, 태블릿, 이-리더, 등과 같은 것) 상에 디스플레이된다. 다른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채택했던 임의의 선택된 경로의 끝점(end point)에 근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경로들은 다양한 이동 패턴들의 빈도에 근거하여 선택될 수 있는바, 즉 그 관련된 시구간에 걸쳐 해당 경로가 채택되었던 횟수에 근거하여 선택될 수 있다. 일정 시구간 동안 적어도 임계 횟수 N번 이동된 그러한 경로들만이 고려대상으로서 선택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각각의 경로 빈도들의 상대적 측정치가 사용되는바, 이에 따라 콘텐츠 아이템들은 상대적으로 더 높은 이동 빈도를 갖는 경로(들)와 관련되어 선택되게 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모델은 사용자의 이동 패턴들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을 일반적으로 표시하는 지리적 경로 데이터에 근거하여 만들어진다. 모델은 지리적 경로와 관련된 가속 데이터에 근거할 수 있고 그리고/또는 다른 데이터(예를 들어, 지도 데이터, 날씨 데이터 등과 같은 것)에 근거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콘텐츠 아이템들이 그 발생된 모델에 응답하여 사용자와 관련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상에서의 디스플레이를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임의의 관련된 콘텐츠 아이템의 디스플레이를 위해 엔티티가 기꺼이 지불하려할 수 있는 액수를 나타내는 입찰가(bid)들은 그 콘텐츠 아이템들과 함께 제출될 수 있거나 혹은 그 콘텐츠 아이템들과 연계되어 발생될 수 있다. 입찰가들은 지리적 경로들에 근거하여 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엔티티들은 해당 경로의 빈도들이 더 높은 경우, 모델 특징들이 상이한 경우, 콘텐츠 아이템의 디스플레이의 결과로서 채택된 지리적 경로에서 변경들이 검출된 경우 등에 대해 더 높은 입찰가들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이러한 특징들 및 다른 특징들 그리고 혜택들은 도 1의 검토를 시작하면서 이해될 수 있는바,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구성되고 동작하는 네트워크-기반 데이터 전달 시스템(100)을 도시한다.
구체적 예를 제공할 목적으로, 시스템(100)에 의해 서빙되는 콘텐츠 아이템들은 광고들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고려될 것이며, 이러한 광고들은 퍼블리셔 디스플레이 아이템들의 상이한 타입들로 다양한 광고 슬롯들 내에 디스플레이된다. 이러한 것이 단지 구체적 예를 제공할 목적만을 갖는 것이고 한정적 의미를 갖지 않음이 이해될 것인데, 왜냐하면 이러한 시스템은 필요에 따라 콘텐츠 아이템들의 임의 개수의 상이한 타입들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시스템(100)은 다수의 활성 요소(active element)들을 포함하는바, 이러한 활성 요소들은 퍼블리셔 서버들(102), 광고(ad) 서버(104), 광고자(콘텐츠 아이템 소유자) 서버(106),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네트워크 액세스가능 디바이스(108)를 포함하는데, 이들 모두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112)를 통해 통신한다.
도 1에서의 다양한 서버들 및 디바이스들은 네트워크 패브릭(network fabric)(112)을 통해 통신하는바, 여기서 네트워크 패브릭은 하나 이상의 통신 네트워크들(예를 들어, 인터넷, WAN(Wide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브로드밴드 무선(broadband wireless)(wifi) 네트워크 등과 같은 것)을 구성할 수 있다.
퍼블리셔들(102)은 퍼블리셔 콘텐츠의 다양한 서로 다른 타입들(예를 들어, 웹 페이지들, 모바일 앱들, 검색 엔진들, 통신 프로그램들, A/V 제작물들 등과 같은 것)을 디바이스(108)에 전달하도록 구성된 호스팅 서버(hosting server)들 혹은 유사한 시스템들을 나타낸다. 광고 서버(104)는 퍼블리셔 콘텐츠와 연계되어 광고들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요구하는 광고 요청들을 서비스한다. 광고자 서버(106)는 광고 서버에 의해 공급되는 광고들과 관련된 상품들이나 서비스들의 소스 또는 소유자와 관련될 수 있다.
네트워크 액세스가능 디바이스(108)는 다양한 형태들을 취할 수 있는바, 예를 들어, 데스크탑 컴퓨터, 랩탑 컴퓨터, 스마트폰, 태블릿, 게이밍 콘솔(gaming console), 텔레비젼, 전자 리더(이-리더)와 같은 형태를 취할 수 있거나, 혹은 퍼블리셔(102)와 광고 서버(104)와 그리고 광고자(106)와 상호작용하도록 구성된 다른 유사한 디바이스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다른 요소들이 시스템(100) 내에 포함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도 2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도 1의 시스템(100)의 실시형태들을 보여준다. 도 1로부터의 네트워크 액세스가능 디바이스(108)는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인 것으로 고려될 것인데, 하지만 이것은 단지 구체적인 예를 제공할 목적만을 갖는 것이지 한정의 의미를 갖는 것은 아니다.
디바이스(108)는 제어기(114),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116), 위성 위치확인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117) 및 메모리(118)를 포함한다. 제어기(114)는 네트워크(112)와 상호작용하기 위해 메모리 내의 관련된 오퍼레이팅 시스템 프로그래밍(operating system programming) 및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application software)(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를 사용하는 프로그래밍가능 프로세서일 수 있다.
GUI(116)는 디스플레이 모니터, 키보드, 마우스, 스피커, 헤드폰, 터치 스크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8)는 사용자 디바이스(108) 내에서 다양한 메모리 디바이스들로 구성된 계층적 메모리 구조를 나타낼 수 있는바, 여기에는 비-휘발성 메인 메모리(예를 들어, 디스크 메모리(disc memory), 솔리드-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state drive), 등), 데이터 전달 버퍼, 로컬 프로세서(L1-L3) 캐쉬 등과 같은 그러한 소자들이 포함된다.
메모리(118)는 애플리케이션(앱)들(120) 및 애플리케이션(앱) 데이터(122)를 포함하는 다양한 동작가능한 모듈들을 저장한다. 디바이스 오퍼레이팅 시스템(Operating System, OS)(따로 지정되지는 않음)은 앱들의 실행 및 데이터의 사용을 위한 동작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다운로드 관리자(download manager)(124)는 네트워크(112)를 걸쳐 통신 및 데이터 전달을 제어하도록 동작하고 OS의 일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선택된 퍼블리셔 서버(102)는 제어기(126)를 포함할 수 있고, 아울러 다수의 이용가능한 퍼블리셔 디스플레이 아이템들(128)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퍼블리셔 웹사이트의 경우에 있어서, 디바이스(108)로부터의 요청들에 응답하여 메모리(128)로부터 웹 페이지들이 전달된다.
광고 서버(104)는 제어기(130), (콘텐츠 제공자들로부터의 한 무리의 이용가능한 콘텐츠 아이템들을 저장하기 위한 관련 메모리 내의) 광고 데이터베이스(132), 광고 선택 엔진(134)(혹은 콘텐츠 아이템 선택 엔진), 그리고 지리정보/시간정보 검출 모듈(136)을 포함한다. 광고 선택 엔진(134)은 프로세서 루틴(processor routine)(이것은 메모리 내에 저장되고, 제어기(130)에 의해 실행됨)으로서 실현될 수 있거나 혹은 개별 하드웨어 혹은 소프트웨어 모듈(원격 모듈을 포함함)일 수 있다. 광고 선택 엔진(134)은 일반적으로, 디바이스(108) 상에 상주하거나 혹은 디바이스(108)에 로딩된 웹 페이지들 및 다른 퍼블리셔 콘텐츠로부터의 광고 요청들에 응답하여 데이터베이스(132)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광고들을 디바이스(108) 상에서의 디스플레이를 위해 전달하도록 동작한다.
도 2를 계속 참조하면, 광고자 서버(106)는 광고 서버(104) 내의 콘텐츠 아이템들(광고들)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되어 있는 엔티티를 위한 퍼블리셔 서버의 일 타입이다. 광고자 서버(106)는 제어기(138), 랜딩 페이지 선택기(140), 그리고 관련 메모리 내의 일 세트의 랜딩 페이지들(142)을 포함한다. 랜딩 페이지 선택기(140)는 임의의 디스플레이된 콘텐츠 아이템이 사용자에 의해 "클릭"될 때 일 세트의 랜딩 페이지들로부터 어떤 랜딩 페이지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이 될지를 선택한다. 관련된 랜딩 페이지는 콘텐츠 아이템의 구성에 따라 달라질 것이고, 온-라인 스토어, 정보를 제공하는 웹 페이지, (애플리케이션 혹은 다른 정보가 디바이스 디바이스에 다운로드(전달)되게 하는) 임의의 메커니즘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러한 것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대안적으로, 디바이스(108) 상에서의 콘텐츠 아이템의 클릭으로 인해 발생된 그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는 초기에 해당 콘텐츠 아이템과 함께 전달된 것일 수 있고 디바이스의 로컬 메모리(118)에 저장된 것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그 콘텐츠는 디바이스의 상주하는 메모리(118)로부터 서빙되게 된다.
도 3은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도 1 및 도 2에서의 시스템(100)의 실시형태들을 예시한다. 광고 서버(104)의 지리정보/시간정보 검출기 모듈(136)은 네트워크 액세스가능 디바이스(108)로부터 시간 정보, GPS 정보 및 제어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한다. 다른 데이터 입력들이 또한 제공될 수 있다. 네트워크 액세스가능 디바이스(108)에 의해 공급되는 제어 정보는 네트워크 액세스가능 디바이스(108)의 사용, 콘텐츠 및 서비스 파라미터들에 관한 임의의 정보일 수 있다.
지리정보/시간정보 검출 모듈(136)은 수신된 데이터를 프로세싱하여 하나 이상의 입력들을 광고 선택 엔진(134)에 제공하도록 동작하고, 이 경우 광고 선택 엔진(134)은 또한 모듈(136)로부터의 입력들 및 디바이스(108)로부터의 요청에 근거하여 네트워크 액세스가능 디바이스(108)로의 전달을 위한 그리고 네트워크 액세스가능 디바이스(108) 상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콘텐츠 아이템을 선택한다.
도 3에서 일반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108)가 지리적위치 샘플들을 공급하고 있는 동안 이와 동시에 콘텐츠 아이템이 전달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지리정보/시간정보 검출 모듈(136)에 의해 이동 패턴들이 발생 및 유지될 수 있어 후속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즉, 네트워크 액세스가능 디바이스(108)의 이후의 동작 동안, 사용자는 콘텐츠 아이템(예를 들어, 광고)의 전달을 위해 앞에서 논의된 바와 같은 임의의 요청을 발행하는 모바일 앱 혹은 다른 피처를 개시시킬 수 있다. 이때, 광고 선택 엔진(134)은 모듈(136)로부터 이동 패턴 정보를 검색할 수 있고, 그리고 이러한 정보를 사용하여 디바이스(108)로의 전달을 위한 적절한 콘텐츠 아이템을 선택할 수 있다.
반드시 지리적위치 샘플들이 도출된 동일 디바이스(108)로 콘텐츠 아이템이 전달돼야 함이 요구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또한, 사용자와 관련된 제 2 네트워크 액세스가능 디바이스(108')를 보여준다. 제 2 디바이스(108')는, 직장에서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는 사무실 컴퓨터, 태블릿, 이-리더, 사용자와 관련된 또 하나의 다른 스마트폰,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들을 취할 수 있다. 제 2 디바이스(108')는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자와 관련된 것으로 결정될 수 있는바, 사용자는 네트워크에 대해 디바이스를 특정적으로 식별시킬 수 있고, 제 2 디바이스(108')에 로그인할 수 있거나 그렇지 않으면 제 2 디바이스(108')로부터 시스템과 통신할 수 있고, 혹은 제 2 디바이스(108')가 제 1 디바이스(108)에 상관되도록 다른 조치들을 취할 수 있다.
제 2 디바이스(108')를 사용자가 동작시키는 동안, 애플리케이션 혹은 다른 퍼블리셔 콘텐츠는 광고 선택 엔진(134)으로부터 콘텐츠 아이템을 요청할 수 있다. 이전과 같이, 엔진(134)은 모듈(136)로부터 이동 패턴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고, 콘텐츠 아이템 선택 프로세스 동안 이러한 데이터를 사용하여 제 2 디바이스(108')로 적절한 콘텐츠 아이템을 전달할 수 있다.
GPS 신호들은 디바이스(108)의 지리적위치를 확립 및 선택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데이터의 하나의 형태이며, 셀률러 통신 타워들로부터 도출되는 정보, 가속도계로부터 도출되는 정보, 와이파이 핫스팟(wifi hotspot)들로부터 도출되는 정보,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IP) 어드레스들로부터 도출되는 정보, 지도 애플리케이션 정보, 키워드 검색 정보 그리고/또는 디바이스의 위치가 결정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정보를 포함하는 임의 개수의 신호들이 사용될 수 있다.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프로그램들 혹은 피처들이 이러한 정보를 수집할지 여부를 제어할 기회를 제공받는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가 수집될지 여부 및/또는 어떻게 수집될 것인지를 제어하고, 그리고 사용자에 대한 정보가 콘텐츠 서버에 의해 사용될지 여부 및/또는 어떻게 사용될 것인지를 제어한다.
결론적으로 자신들의 위치를 기꺼이 공유하려는 개개인들에 있어서, 사용자가 취했던 통상의 경로들(예를 들어, 통근자 경로들, 빈번하게-다녔던 도로 등)이 결정될 수 있다. 이것은 로컬 광고자들이 사용자들의 네트워크 액세스가능 디바이스들을 선택하게 할 수 있는데, 로컬 광고자들의 선택은 이러한 경로들에 근거하는바, 그럼으로써 로컬 소비자들에게 광고들이 서빙되는 것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일 예에서, 로컬 커피 숍은 도시 X에서 메인 도로로부터 벗어나 위치할 수 있다. 커피 숍의 소유자는 커피 숍 주변(예를 들어, 이들이 지나가고 있는 도로로부터 직접적으로 떨어져 있는 곳 혹은 커피 숍에 근접해 있는 그러한 도로들과 같은 곳)을 빈번하게 지나가는 개개인들(예를 들어, 데스크탑 및 모바일 사용자들 모두)의 네트워크 액세스가능 디바이스에 로컬 광고를 제공하기를 바랄 수 있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커피 숍 소유자는, 빈도(개개인들이 이러한 거리를 얼마나 자주 지나가는가), 방향, 커피 숍에 근접한 위치에서의 특정 도로들에 근거하여, 개개인들의 네트워크 액세스가능 디바이스들에 광고들을 제공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광고들(그리고 다른 콘텐츠 아이템들)은 디바이스에 의해 취해진 다양한 경로들과 관련된 모델 데이터에 근거하여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들 및 다른 실시형태들이 또한 논의될 것이다.
도 4는 임의의 선택된 시구간에 걸쳐 특정 네트워크 액세스가능 디바이스에 의해 반복적으로 취해진 다수의 상이한 지리적 경로들을 일반적으로 도시한다. 경로들은 경로 A, 경로 B, 경로 B1, 경로 B2, 경로 C, 및 경로 D로서 표시되어 있다. 이러한 경로들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지리적 경관에 걸쳐 임의의 다양한 형태들을 취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다양한 경로들의 일부분들은 중복될 수 있다(예를 들어, 고속도로 혹은 공통 도로, 이웃 거리 등을 따라 취해지는 경로들). 경로들은 자동차 경로들, 대중 교통 경로들, 자전거 트레일(trails) 혹은 보행 트레일 등일 수 있다. 간결한 예시적 설명을 위해, 예시된 경로들 각각은 시작점(144)에서 시작하여 서로 다른 끝점(146, 147, 148, 149, 150 및 152)에서 끝나는 것으로 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경로들은 연속적이거나 비연속적일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분리될 수 있거나 함께 결합될 수 있다.
경로 A 내지 경로 D는 도 3에서 일반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액세스가능 디바이스(108)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신되는 지리적위치 샘플들로부터 식별된다. 각각의 경로는 관련된 빈도를 갖는바, 이러한 빈도는 일정 시구간에 걸쳐 관련 경로를 따라 디바이스가 얼마나 여러 번 이동한 것으로 검출되었는가에 관한 것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경로가 식별되기 전에, 임의의 주어진 경로를 따르는 반복된 이동의 최소 임계 횟수 N(예를 들어, 2, 5 등)이 요구된다. 이것은 디바이스의 반복되는 이동 패턴들과 비교함에 있어서 디바이스의 주기적 이동 혹은 우연한 이동 간을 구분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임계치는 임의의 적절한 레벨에서 설정될 수 있다(예를 들어, 1달/1주/1일 당 X번 이동됨, 등).
도 5는 도 4로부터의 각각의 경로들, 그리고 임의의 적용가능한 기간(time period)(본 경우에 있어서는 30일)에 걸친 관련된 빈도 혹은 경로이동 횟수를 표로 만든 것이다. 이러한 표 데이터는 예시적인 것이며 그 적용가능한 구간 동안 디바이스의 검출된 이동들을 모두 반영할 필요는 없음이 이해될 것이다. 경로들이 (예를 들어, 각각의 시간에 지점(144)으로부터 시작하여) 한쪽 방향으로만 이동되는 것으로 고려되고 있지만, 대안적으로 본 시스템은 왕복-이동(round-trips)을 선택할 수 있고, 뿐만 아니라 경로들을 "구역(zone)들"(예를 들어, 1/4 평방 마일(square mile) 영역들 등)의 형태로 식별할 수 있다(이 경우 구역들은 그 안에서 빈도가 높은 이동 패턴들이 일정 기간 동안 집중되는 그러한 구역들임).
도 5로부터 알 수 있는 것은 식별된 경로들 중 경로 D가 가장 빈번하게 이동된 경로라는 것이다(적용가능한 기간 동안 21번). 사용자가 경로 D를 가장 높은 빈도로 이동하고 있는 것으로 검출된다는 사실에 근거하여 경로 D에 근접하여 위치하고 있는 엔티티들(예를 들어, 광고자들)에 대한 콘텐츠 아이템들이 전달될 수 있다. 일부 경로들은 다른 경로들의 일부분들일 수 있다(예를 들어, 경로 B는 서브-경로 B1 및 서브-경로 B2로 분할됨).
그러나, 만약 경로들이 하루 중 상이한 시간에 이동된 경로임 혹은 한 주 중 상이한 날에 이동된 경로임이 발견된다면, 그러한 정보는 다른 검출된 경로들에 근거하여 적절한 콘텐츠 아이템들을 선택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는 적용가능한 기간에 걸쳐 경로 A가 단지 13번만 이동된 경로였음을 보여준다. 만약 콘텐츠 아이템이 서빙되는 시간이 일반적으로 경로 A와 관련된 이동 패턴(예를 들어, 하루 중 해당하는 시간, 한 주 중 해당하는 날, 등)에 대응한다면, 경로 A에 근접한 콘텐츠 아이템을 제공하는 것이 더 적절할 수 있다.
이동 패턴 빈도들의 다양한 대역들(범위들)이 정의될 수 있다. 예컨대, 30일(예를 들어 1달) 시구간을 사용하는 경우, 매일 일어나는 이동된 경로들은 매일 이동된 경로들일 수 있다(예를 들어, 1달 동안 30번 혹은 그 이상); 빈번하게 이동된 경로들은 1달 동안 21번 내지 29번 이동된 경로들로서 정의될 수 있고; 때때로 이동된 경로들은 11-20번/1달, 드물게 이동된 경로들은 6-10번/1달, 매우 드물게 이동된 경로들은 1-5번/1달로서 정의될 수 있다. 다른 분류방식이 또한 사용될 수 있는바, 예를 들어, 도 5에서 또한 제시되는 바와 같이 각각의 경로에 대해 하루 평균이 계산될 수 있고, 하루 평균 빈도에 상이한 빈도 범위들이 할당될 수 있다.
지리적위치 샘플들은, 다양한 경로들을 따르는 이동 패턴들의 짧은-기간 빈도 및 더긴-기간 빈도를 모두 결정하기 위해, 복수의 구간들(예를 들어, 지난 주, 지난 30일, 지난 90일, 지난 180일 등)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절한 시구간들에 걸쳐 축적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콘텐츠 아이템들과 관련된 엔티티들은 상이한 이동 패턴 빈도들에 근거하여 상이한 입찰가들을 제공할 수 있다. 각각의 입찰가는 일반적으로, 관련된 콘텐츠 아이템의 디스플레이를 위해 엔티티가 기꺼이 지불하려는 액수를 나타낸다. 이러한 입찰가들은, 자동화된 경매 메커니즘 혹은 다른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디스플레이를 위한 한 무리의 이용가능한 콘텐츠 아이템들로부터 임의의 콘텐츠 아이템을 선택하는 광고 선택 엔진(134)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입찰가가 높으면 높을수록, 콘텐츠 아이템이 이러한 엔진에 의해 선택될 수 있는 가능성은 더 커진다.
기대 수익 값(Expected Return Value, ERV)은 콘텐츠 아이템 선택 프로세스의 일부로서 결정 및 사용될 수 있는데, 이것은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은 관계식을 따른다.
ERV = (p)(b) (1)
여기서 p는 사용자가 콘텐츠 아이템을 선택할 확률을 나타내고, b는 입찰값(bid value)을 나타낸다. 확률은 사용자에 의해 제공되는 사용자 관심 정보에 근거하는 것을 포함하는 다양한 방식들로 확립될 수 있다. 확률과 입찰값 중 어느 하나 혹은 모두는 다양한 경로들과 관련된 이동 패턴 빈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들에서, 콘텐츠 아이템과 관련된 엔티티의 선호도(Preferences)(P)와 경로(Route)(R)의 어떤 측정치가 콘텐츠 아이템 선택 프로세스에 더 포함될 수 있는데, 이것은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은 관계식을 따른다.
ERV=p(M(R,P))b(M(R,P)) (2)
여기서 p 및 b는 앞서 정의되었고, 측정치 M(R,P)에 부분적으로 의존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M(R,P)는, 콘텐츠 아이템과 관련된 엔티티의 물리적 위치와 경로(R) 상에서 그 위치에 가장 가까이 있는 지점 간의 거리일 수 있는바, 이것은 사용자가 콘텐츠 아이템을 선택할 확률 및/또는 입찰가의 값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M(R,P)는, 특정 영역에서 고속도로 상에 멈춰 소비된 시간의 길이에 의해 결정될 수 있고, 그리고 견인 서비스(towing service)와 같은 콘텐츠 아이템과 관련된 엔티티는 그 특정 영역에서 멈춰 소비된 시간의 길이에 근거하여 관련 콘텐츠 아이템을 제공할 수 있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콘텐츠 선택 프로세스는 디바이스(108)가 현재 특정 경로 상에 있음이 (지리적위치 샘플들을 통해) 결정됨에 따라 수행될 수 있거나, 또는 경로를 따르는 디바이스(108)의 이전의 이동에 근거하여 디바이스(108) 상에 혹은 또 다른 디바이스(108') 상에서의 디스플레이를 위해 나중에 선택될 수 있다.
엔티티는 엔티티와 관련된 물리적 위치에 근접하여 상대적으로 더 높은 이동 패턴 빈도들을 갖는 것으로 발견된 사용자들에 대한 디바이스 상에서의 콘텐츠 아이템의 디스플레이를 위해 기꺼이 더 많은 비용을 지불하려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매업자 Y는, (검출된 이동 경로들을 경유하는) 사용자가 정기적으로 많이 지나가는 경로를 따라 있는 소매업자의 시설물들 중 하나를 지나가는 것에 근거하여 사용자 디바이스 상에서의 광고의 디스플레이를 위해 기꺼이 프리미엄(premium)을 지불하려고 할 수 있다. 사용자는 대부분 정기적으로 그 시설물의 표지판(signage)을 보거나 혹은 시설물의 표지판에 노출되기 때문에, 사용자와 관련된 디바이스 상에서의 광고 혹은 다른 콘텐츠 아이템의 후속 디스플레이는 결과적으로 사용자가 그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 아이템을 선택할 가능성을 크게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 아이템의 선택은 다양한 방식들로 검출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콘텐츠 아이템은 상호작용적일 수 있고, 사용자가 콘텐츠 아이템을 선택할 때(예를 들어, "클릭"을 통해 선택할 때), 새로운 아이템이 디바이스 디스플레이 상에 디스플레이된다(예를 들어, 새로운 아이템이 디바이스에 보내짐으로써). 이러한 경우에, "클릭"은, 터치 패드 상에서의 콘텐츠 아이템을 물리적으로 선택하는 것, 혹은 마우스나 다른 입력 디바이스를 통해 선택하는 것, 디바이스를 흔들거나 다른 방식으로 조작함으로써 선택하는 것, 음성 명령을 음성 명령 인터페이스에 방출시킴으로써 선택하는 것 등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 아이템의 선택은, 콘텐츠 아이템과 관련된 엔티티의 물리적 위치에 근접하는 위치 그리고/또는 그 물리적 위치를 향하는 위치로의 디바이스(108)의 움직임이 검출됨에 따라 일어날 수 있다. 예를 들어, 앞서 언급된 커피 숍에 대한 광고는 구매시 무려 커피 1잔을 제공하는 판촉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디바이스(108)가 커피 숍으로 이동됨을 검출하는 것은, 사용자가 디바이스 상의 콘텐츠 아이템을 "클릭"했는지의 여부에 상관없이, 사용자가 그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 아이템을 선택했다는 확인으로 충분할 수 있다.
콘텐츠 아이템이 디스플레이된 이후, 선택 응답 구간이 개방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특정 콘텐츠 아이템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응답 구간(예를 들어, 1시간, 24시간, 등) 내에 디바이스와 관련되어 엔티티의 물리적 위치에 근접하여 움직이는 디바이스(108)의 검출은 그 콘텐츠 아이템을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것으로서 특징짓기에 충분할 수 있다. 콘텐츠 아이템의 디스플레이에 응답하여, 콘텐츠 아이템과 관련된 엔티티의 물리적 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현재 경로로부터 벗어나는 것도 또한 콘텐츠 아이템의 선택으로서 식별될 수 있다. 디바이스 상에서 그 물리적 위치에서의 로컬 와이파이 핫스팟의 검출도 또한 임의의 선택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대안예들 및 다른 대안예들이 본 개시내용을 고려하는 경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자들에게는 용이하게 일어날 것이다.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 아이템의 사용자에 의한 선택은, 어떠한 형태를 갖든, 콘텐츠 아이템과 관련된 엔티티로부터의 일정 양의 자금(funds)을 콘텐츠 아이템 선택 서버(예를 들어, 도 1에서의 광고 서버(104) 등)를 관리하는 엔티티로 이전(transfer)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는 임의의 전환(conversion)이 일어나게 할 수 있다. 이전되는 자금의 양은 앞서 논의된 다양한 입찰가, 거리 및/또는 확률 값들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며, 뿐만 아니라 콘텐츠 아이템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기회 비용을 포함하는 다른 적절한 요인(factor)들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이전되는 자금 중 일부분은 또한, 콘텐츠 아이템을 요청한 혹은 결과적으로 콘텐츠 아이템에 대한 요청이 일어나게 한 퍼블리셔 콘텐츠의 소유자에게 보내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자금은 지불 기간의 끝에서 전달될 수 있거나, 또는 거래 단위 기반과는 다른 기반에 따라 이전될 수 있다(예를 들어, 결제는 오로지 특정 수의 사용자들이 어떤 방식으로(예를 들어, 광고를 클릭함으로써) 전환이 일어나게 했을 경우에만 발생할 수 있고, 그렇지 않다면 어떠한 금전 거래도 없음).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네트워크 액세스가능 디바이스들은 상이한 디스플레이 특성들 및 환경들을 가질 수 있다. 모바일 앱들과 관련되어 스크린 크기 및 퍼블리셔 콘텐츠의 레이아웃은 종래의 데스크탑/랩탑/태블릿 포맷과는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 상에서 서빙되는 모바일 광고들은 예를 들어,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제한될 수 있는바,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은 이용가능한 가시 영역(viewing area) 중 상대적으로 큰 부분을 차지할 수 있다. 반면, 데스크탑 디스플레이 상에서 서빙되는 종래의 광고는 더 크고 더 상호작용적일 수 있으며, 일부 경우들에서는 모바일 앱들보다 더 큰 전환율(conversion rates)을 가져올 수 있다. 이에 따라, 한정적 의미를 갖지 않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은, 상대적으로 "더 작은" 디스플레이를 갖는 사용자의 디바이스와 관련된 지리적위치 샘플들에 근거하여, 사용자와 관련된 "더 큰" 디스플레이들에 콘텐츠 아이템들을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 따르면, 다양한 서로 다른 데이터 타입들(여기에는 지리적위치 데이터 및 시간 데이터가 포함되지만 이러한 것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이, 디바이스의 이동 패턴들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이것은 또한 디바이스를 가지고 다니는 사용자와 상관될 수 있음)을 일반적으로 표시하는 모델을 발생시키기 위해 네트워크 액세스가능 디바이스(108)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모델은 위치, 속도, 가속도, 예상 목적지, 날씨, 지도, 디바이스 사용, 그리고 디바이스(108)의 검출된 경로(들)와 관련되어 제공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수개의 적절한 데이터 타입들에 근거할 수 있다. 발생된 모델에 응답하여, 하나 이상의 콘텐츠 아이템들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상에서의 디스플레이를 위해 제공될 수 있거나, 혹은 사용자와 관련된 다른 디바이스들 상에서의 디스플레이를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예로써, 도 6은 속도 곡선(160)을 제공하는바, 이 속도 곡선(160)은 x-축(162)이 경과 시간을 나타내도록 도시되었고, y-축(164)은 (시간당 마일단위로 표시된 즉, mph 단위로 표시된) 속도를 나타내도록 도시되었다. 이 곡선(160)은 도 4의 경로 A 내지 경로 D 중 임의의 선택된 경로와 관련될 수 있거나, 혹은 경로 A 내지 경로 D 중 일부분과 관련될 수 있거나, 혹은 다른 검출된 경로와 관련될 수 있으며, 그리고 앞서 논의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로부터의 일련의 지리적위치 신호들로부터 도출된 것이다. 예시적 데이터가 부드러운 곡선으로서 도시되어 있는데, 이러한 곡선은 도 3에서 앞서 논의된 개별 지리적위치 샘플들로부터 추론(extrapolate)된 것일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지리적위치 샘플들로부터 이용가능한 식별력(resolution)에 따라, 속도 곡선(160)과 관련된 특징들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대 검출 속도를 속도 곡선과 관련된 지리적 경로의 일부분에 대한 표시된 속도 제한값들과 비교하는 것, 뿐만 아니라 이용가능한 경우 해당 디바이스에 근접하는 다른 디바이스들로부터의 지리적위치 데이터와 비교하는 것은, 디바이스의 사용자가 습관적으로 속도 제한치 및/또는 주변 교통 상황보다 더 빠르게 운전하는지 아니면 더 느리게 운전하는지를 표시할 수 있다. 더 느린 속도로부터 더 빠른 속도로 변하는 가속율도 마찬가지로 디바이스가 위치하고 있는 차량을 운전하는 방식의 난폭성(aggressiveness)의 정도(measure)를 제공할 수 있다.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프로그램들 혹은 피처들이 이러한 정보를 수집할 것인지 여부를 제어할 기회를 제공받는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가 수집될지 여부 및/또는 어떻게 수집될 것인지를 제어하고, 그리고 사용자에 대한 정보가 콘텐츠 서버에 의해 사용될지 여부 및/또는 어떻게 사용될 것인지를 제어한다.
시간 경과에 따라, 디바이스의 사용자가 임의의 특정된 비-개인적으로 식별가능한 인구통계자료의 하나의 요소(예를 들어, 젊은 남성)임이 결정될 수 있고, 이것은 또한 콘텐츠 아이템들(예를 들어, 해당하는 인구통계자료의 구성원의 관심을 끌 수 있는 상품들 및/또는 서비스들의 타입들에 대한 광고들)의 디스플레이와 관련되어 어떤 기회들을 제안할 수 있다.
디바이스의 사용자가 실제로 차량의 운전자인지 아니면 운전자가 아닌 차량 내의 승객인지를 결정하기 위해 필터링 및 다른 신호 분석이 적용될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디바이스(108)의 사용을 검출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는바, 주행 경로에서 크게 이탈함이 없이 높은 속도로 텍스트 작업이 이루어지거나 혹은 다른 사용자 상호대화형 동작들이 이루어진다면, 이것은 디바이스의 사용자가 승객임을 시사할 수 있다. 차량의 조정이 운전자의 주의력을 요구하는 동안 물리적인 사용자 입력 동작들(예를 들어, 차량이 임의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안 이루어진 타이핑 작업)이 측정된다면, 이것은 디바이스(108)가 아마도 비-운전자에 의해 운용되는 것임을 나타내는 표시이다.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프로그램들 혹은 피처들이 이러한 정보를 수집할 것인지 여부를 제어할 기회를 제공받는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가 수집될지 여부 및/또는 어떻게 수집될 것인지를 제어하고, 그리고 사용자에 대한 정보가 콘텐츠 서버에 의해 사용될지 여부 및/또는 어떻게 사용될 것인지를 제어한다.
실제로, 이동 경로들을 디바이스 사용 정보 및 다른 정보(예를 들어, 대중 교통 스케쥴들과 같은 것)와 상관시키는 것은 시스템으로 하여금 디바이스의 사용자가 대중 교통 수단(예를 들어, 시에서 운용하는 버스)을 통해 이동하고 있다고 결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것은 또한 임의 형태의 모델(예를 들어,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특정 경로들에 대해 대중 교통을 이용하는 사람임을 나타내는 모델)로서 서빙될 수 있다. 이것은 사용자가 해당 경로로부터 이탈하는 것이 반드시 자유로운 것은 아니라는 결론에 이르게 되는바, 이것은 사용자에게 해당 시간에 기존의 경로로부터 이탈할 것을 요구하는 그러한 근처의 시설물들에 대한 광고들을 서빙하는 것이 덜 매력적이게 한다.
도 7은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모델 발생 엔진(170)을 도시한다. 이러한 엔진(170)은 도 2 내지 도 3의 지리정보/시간정보 모듈(136)에 통합될 수 있다. 이러한 엔진(170)은 디바이스의 이동 패턴들과 관련된 모델을 발생시키기 위해 다양한 데이터 입력들(예를 들어, 지리적위치 데이터(172), 지도 데이터(174), 날씨 데이터(176), 디바이스 사용 데이터(178) 등과 같은 것)을 사용한다. 그 다음에 모델은 광고 선택 엔진(134)에 대한 입력으로서 사용될 수 있어 적절한 콘텐츠 아이템을 선택할 때 사용될 수 있다.
도 3에서 앞서 논의된 바와 같이 지리적위치 데이터(172)가 제공될 수 있다. 지도 데이터(174)는 네트워크 액세스가능 디바이스의 사용자가 이동한 특정 경로들을 결정하기 위해 거리에 대한 지도 정보, 고속도로에 대한 지도 정보, 지형에 대한 지도 정보 등(예를 들어, 구글 맵(Google Maps), 나브텍(NavTeq), 그래픽 정보 시스템(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GIS), 웹 GIS,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뿐만 아니라 이러한 경로들과 관련된 정보(예를 들어, 표시된 속도 제한값, 차선의 개수, 출구 및 교차로의 위치, 정지 신호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날씨 데이터(176)는 시간 및 위치별로 실-시간 날씨 정보 및/또는 저장된 날씨 정보의 하나 이상의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예를 들어, NCDS, NWS 등). 디바이스 사용 데이터(178)는 통화 기록, 이메일 사용, 텍스트작업, 웹-브라우징, 그리고 디바이스의 사용을 표시하는 다른 타입의 통신 및 사용 데이터를 포함한다.
이러한 모델은 디바이스의 사용자의 비-개인적으로 식별가능한 특징들 및 관심사항들에 관해 더 잘 파악하기 위해 다수의 애플리케이션들에서 사용될 수 있다. 모델은 임의의 다양한 형태들을 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다양한 경로들을 따라 통상적으로 주행된 속도, 그리고 다양한 경로들을 따르는 가속율/감속율은 사용자의 특정 운전 특징들을 표시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추론된 운전 특징들은 또한 더 높은 확률로 다양한 콘텐츠 아이템들에서 사용자가 관심을 갖고 있는 것을 제안할 수 있다.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프로그램들 혹은 피처들이 이러한 정보를 수집할 것인지 여부를 제어할 기회를 제공받는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가 수집될지 여부 및/또는 어떻게 수집될 것인지를 제어하고, 그리고 사용자에 대한 정보가 콘텐츠 서버에 의해 사용될지 여부 및/또는 어떻게 사용될 것인지를 제어한다.
가속률 및 속도가 높다는 것은 사용자의 고성능 차량들에 대한 소유 그리고/또는 사용자의 고성능 차량들에 대한 관심과 관련된 정보를 시사할 수 있다. (디바이스 지리적위치 신호들로부터) 특히 평지에서는 빠르게 가속을 행하지만 경사진 곳을 올라갈 때는 더 느리게 가속을 행하는 사용자는, 예를 들어, 더 고성능의 차량들 혹은 엔진 개조/서비싱과 같은 그러한 특정 타입의 상품들/서비스들에 대한 잠재적인 후보일 수 있다.
지리적위치 신호들을 세분화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자주 높은 빈도로 차선 변경을 한다고 결정될 수 있는바, 이것은 또한 운전 성향이 난폭하다는 신호로서 사용될 수 있다.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프로그램들 혹은 피처들이 이러한 정보를 수집할 것인지 여부를 제어할 기회를 제공받는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가 수집될지 여부 및/또는 어떻게 수집될 것인지를 제어하고, 그리고 사용자에 대한 정보가 콘텐츠 서버에 의해 사용될지 여부 및/또는 어떻게 사용될 것인지를 제어한다.
날씨 데이터(176)는 사용자가 비가 내리는 영역, 눈이 내리는 영역, 빙판 영역 혹은 다른 기상이 좋지 못한 상태에 있는 영역에서 이동하고 있는지를 표시하기 위해 앞서의 데이터와 결합될 수 있다. 지도 데이터(174)로부터의 지형 정보는 이동하고 있는 도로의 타입(예를 들어, 주요 도로(main roads) 대 비-포장 경로(off-pavement routes))을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빈번하게 운전하는 사용자는 이러한 상태와 관련된 적절한 상품들/서비스들(예를 들어, 스노우 타이어(snow tires), 구호 상자(emergency kits), 야외 스포츠 용품(outdoor sporting goods), 등과 같은 그러한 것)에 대한 광고들 및 다른 콘텐츠 아이템들에 대해서 후보로서 식별될 수 있다.
날씨가 좋은 상태에서의 운전 특징들을 날씨가 안 좋은 상태에서와 대비하여 비교하는 것은 또한 운전자의 위험-감수(risk-adverseness) 정도를 특징지을 수 있다.
사용자의 운전 난폭성에 관한 모델은 인구통계자료에 관한 일반적 예측을 행함으로써 발견될 수 있으며, 이것은 예측된 인구통계자료에 근거하여 맥주, 스포츠 티겟, 자동차 등과 같은 특정 제품들을 광고하기 위한 결정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지리적위치 샘플들의 실-시간 모니터링은 또한 상황 푸시(push)로 적절한 아이템들에 대한 기회를 제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약 디바이스가 주요 도로를 따라 멈춘 것으로 결정되고 다른 차량들은 동일한 경로 상에서 계속 운행하는 것으로 검출된다면, 견인 서비스 및 다른 긴급구호 연락 도움 메시지들이 자동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U-턴을 여러 번 하는 사용자들 혹은 매우 짧은 정지들을 하는 사용자들에게는 GPS 디바이스들 및 다른 네비게이션 보조물들과 관련된 광고들이 제공될 수 있다.
앞서 논의된 실시예들은 로컬 소비자들에게 광고(그리고 다른 통신물 전달)를 수행하기에 적절하며, 하지만 더 넓은 지리적 영역으로 다양한 기법들이 확장될 수 있다. 지리적위치 샘플들은 디바이스(108)가 임의의 확장된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되고 있음(예를 들어, 국토-횡단 여행(cross-country trip)을 하는 것)을 표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해당 모델은 휴가형 이동 패턴을 제안할 수 있다. 이동 시간, 속도, 및 경로에 근거하여, 해당 모델은 사용자가 가까운 장래(예를 들어, 점심 시간이 가까울 때, 혹은 날이 저물 때)에 택할 수 있는 장소를 추론할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발생된 모델에 근거하여 이러한 영역들 가까이 있는 식당, 숙박시설 및 공연 명소와 같은 물리적 위치를 갖는 엔티티들에 대한 적절한 콘텐츠 아이템들이 서빙될 수 있다.
이동 패턴들이 반드시 동력을 가진 차량 기반의 이동으로만 한정될 필요는 없다. 검출된 경로가 조깅 트레일(jogging trails) 및/또는 자전거 전용도로를 따라 정기적으로 택해진 경로라면, 이것은 사용자가 체력 단련에 관심이 있음을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와 관련된 디바이스(108) 혹은 다른 디바이스들(108')에게 적절한 콘텐츠 아이템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8은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수행될 수 있는 단계들을 일반적으로 예시하는 지리적위치 샘플링 루틴(geopositioning sampling routine)(200)을 설명한다. 다양한 대안예들이 앞서 논의되었고, 이에 따라 다양한 단계들이 필요에 따라 그리고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생략, 수정 혹은 추가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루틴(200)은, 도 2 내지 도 3의 예시적인 지리정보/시간정보 검출 모듈(136)에 의해 수행되는 바와 같이, 네트워크 액세스가능 디바이스와 관련된 이동 패턴들을 식별하도록 동작한다.
네트워크 액세스가능 디바이스(108)로부터의 일련의 지리적위치 샘플들이 단계(202)에서 수신된다. 이러한 샘플들은 하나 이상의 시구간들에 걸친 네트워크 액세스가능 디바이스의 상이한 지리적 위치들을 표시한다.
단계(204)에서, 디바이스가 반복적으로 이동된 하나 이상의 지리적 경로들이 식별된다. 이것은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그러한 경로들을 식별하기 위해 지도 데이터 및 다른 정보 형태들을 참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경로들과 관련된 빈도 정보가 단계(206)에서 도출된다. 이러한 빈도 정보는 도 5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모델 정보가 단계(208)에서 발생될 수 있고, 이것은 단계(204)의 경로들 중 하나 이상의 경로를 따르는 디바이스의 이동 패턴들의 특징들을 표시하는 하나 이상의 모델들을 제공한다. 이러한 모델은 앞서 논의된 모델 발생 엔진(170)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다른 사용자 디바이스들이 단계(210)에서 식별될 수 있다. 이것은 사용자에게 다른 디바이스들을 식별시키도록 요청함으로써, 혹은 다양한 다른 디바이스들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시스템에 액세스하는 것을 모니터링함으로써, 혹은 다른 적절한 수단을 사용함으로써 앞서 논의된 바와 같이 수행될 수 있다. 빈도 정보, 모델 정보 및 디바이스 정보는 이후 후속 참조를 위해 단계(212)에서 메모리에 저장된다.
도 9는 콘텐츠 아이템 발생 루틴(220)을 도시한다. 앞에서와 같이, 루틴(220)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다양한 단계들이 생략, 변경 혹은 부가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루틴(220)은 도 8의 루틴(200)에서 축적된 빈도/모델/디바이스 정보에 응답하여 선택될 수 있는 이용가능한 콘텐츠 아이템들 각각을 제공하도록 동작한다. 도 9에서 제시된 단계들은 도 1 내지 도 2에서의 광고 서버(104) 및 광고자(106) 모듈들에서 수행될 수 있다.
콘텐츠 아이템이 단계(222)에서 발생된다. 콘텐츠 아이템은 관련된 메모리에 저장되는 디지털 데이터로서 표현될 수 있는바, 이러한 디지털 데이터는 프로그래밍 코드(programming code), 그래픽(graphics), 오디오/비주얼 콘텐츠, 텍스트, 및 임의의 다른 적절한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 아이템은 임의의 엔티티와 관련될 것이며, 사용자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상으로의 전송에 적합하게 된 아울러 사용자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상에서의 디스플레이를 위해 적합하게 된 그러한 광고의 형태를 가질 수 있거나, 혹은 판촉 메시지, 통신, 초대, 통지, 등의 다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반드시 요구되는 것은 아니지만, 엔티티는 도 8의 사용자 근방에 있는 소매업 시설물과 같은 하나 이상의 물리적 위치들을 가질 수 있음이 고려된다. 예를 들어, 만약 물리적 위치가 식당이라면, 콘텐츠 아이템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콘텐츠는 로고(logo), 거리 주소(street address), 보행 방향(walking directions), 운전 방향(driving directions), 메뉴(menu), 쿠폰(coupon), 특가품(special offer), 사진(photograph), 리뷰(review) 혹은 수상(award)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 아이템의 이러한 요소들 및 다른 요소들이 필요에 따라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단계(222)의 콘텐츠 아이템에 대해 단계(224)에서 하나 이상의 입찰가들이 발생될 수 있다. 각각의 입찰가는 콘텐츠 아이템과 관련된 엔티티가 그 콘텐츠 아이템이 사용자 디바이스 상에 디스플레이되게 하는 것에 대해 기꺼이 지불하려할 수 있는 액수를 나타낸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복수의 입찰가들이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엔티티는 빈도가 더 낮은 경로들에 대해서는 제1의 더 낮은 입찰가를 특정할 수 있고, 빈도가 더 높은 경로들에 대해서는 제2의 더 높은 입찰가를 특정할 수 있다. 소정의 경로를 따라 상이한 근접도(거리)에 대해 상이한 입찰가들이 또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빈도가 높은 경로에 가까이 위치하거나 혹은 빈도가 높은 경로 상에 위치하는 물리적 위치들을 갖는 엔티티들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더 높은 입찰가가 형성될 수 있다.
모델 정보에 근거하여 상이한 입찰가들이 또한 발생될 수 있다. 지리적위치 샘플들 및 모델 정보로부터 특정 인구통계자료가 선택될 수 있다(예를 들어, 사용자가 안전한 운전자인 것으로 추론되는 것, 사용자가 야외활동 열성가인 것으로 추론되는 것과 같은 그러한 경우에).
단계(226)에서는, 발생된 입찰가(들) 및 콘텐츠 아이템들이 이후 광고 서버(104)와 같은 콘텐츠 아이템들의 소스의 메모리 내의 저장을 위해 전달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엔티티는 콘텐츠 아이템 및 입찰가들을 발생시킨다.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광고 서버 혹은 써드 파티가 콘텐츠 아이템 및/또는 입찰가들을 발생시킨다. 상이한 입찰가들 및 콘텐츠 아이템들이 상이한 광고 캠페인(ad campaign)들로 함께 그룹화될 수 있다.
도 10은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콘텐츠 아이템 선택 루틴(230)을 보여준다. 앞에서와 같이, 다양한 단계들이 필요에 따라 부가, 삭제 및/또는 수정될 수 있다. 도 10에서 제시되는 단계들은 도 1 내지 도 3에서의 광고 서버(104)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이 고려된다.
콘텐츠 아이템에 대한 요청이 단계(232)에서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다. 이러한 요청은 디바이스 상에서 동작하는 퍼블리셔 콘텐츠에 응답하여 네트워크 액세스가능 디바이스(예를 들어, 도 3에서의 108, 108')로부터의 실제 요청 혹은 다른 통신 신호일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상황 푸시에서, 이러한 콘텐츠 아이템들을 수신할 것을 이전에 선택했던 사용자들에 대해, 이러한 요청은 지리적위치 샘플들로부터 시사될 수 있다. 이것은 예시된 것으로, 예를 들어, 평소에는 움직이는 교통량을 갖는 것으로 결정된 그러한 경로의 한쪽을 따라 디바이스가 정지해 있는 것으로 검출되는 앞서 논의된 경우에서, 시스템은 디바이스에게 응급 서비스(emergency service)들을 위한 콘텐츠 아이템을 제공함으로써 응답한다. 이러한 경우에, 그 검출된 정지 위치는 단계(232) 동안 임의의 요청을 구성하는 것이다.
요청에 응답하여, 시스템은 관련된 사용자에 대한 도 8의 루틴(200)으로부터의 빈도/모델/디바이스 정보에 액세스하기 위해 단계(234)에서 진행한다. 한 무리의 이용가능한 콘텐츠 아이템들로부터 임의의 적절한 콘텐츠 아이템이 단계(236)에서 선택되는바, 이용가능한 콘텐츠 아이템들 각각은 빈도/모델/디바이스 정보에서 식별된 다양한 지리적 경로들에 근접하는 물리적 위치를 가질 수 있는 상이한 엔티티와 관련되어 있다.
콘텐츠 아이템은 자동화된 경매 메커니즘 혹은 다른 적절한 선택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선택될 수 있다. 다양한 입찰가들이 선택 프로세스에 하나의 요인으로서 포함될 수 있는바, 이러한 선택 프로세스에서는 가장 높은 기대 수익 값을 갖는 콘텐츠 아이템 혹은 변환 확률이 가장 높은 콘텐츠 아이템이 선택된다. 선택된 콘텐츠 아이템을 앞서의 요인들에 근거하여 디스플레이를 위해 식별함에 있어서 임의 개수의 적절한 파라미터들이 사용될 수 있다.
선택된 콘텐츠 아이템은 단계(238)에서 사용자의 디바이스 상에서의 디스플레이를 위해 전달된다. 도 3에서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콘텐츠 아이템이 디스플레이되는 디바이스는 지리적위치 샘플들을 보낸 디바이스와 동일한 디바이스일 수 있거나 혹은 동일한 디바이스가 아닐 수 있다.
콘텐츠 아이템의 선택이 그 다음에 단계(240)에서 검출된다. 이것은 또한 다양한 방식들로 수행될 수 있다. 종래의 데스크탑 환경에서, 선택은 콘텐츠 아이템 상의 사용자 클릭에 의해 검출될 수 있고 그리고 디바이스에 새로운 콘텐츠의 제공을 감지함으로 검출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 환경에서, 선택은 유사하게 검출될 수 있는바, 사용자가 콘텐츠 아이템을 클릭하는 것, 디바이스를 흔들거나 다른 방식으로 조작하는 것, 디바이스에게 명령을 음성으로 말하는 것 등을 행함으로써 디바이스와 상호작용하는 것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모바일 디바이스와 관련되어 콘텐츠 아이템의 선택은, 엔티티의 물리적 위치로 향하는 방향으로 소정의 경로로부터 벗어나는 디바이스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은 또한 물리적 위치에서의 디바이스의 상호작용(예를 들어, 디바이스 상의 디스플레이된 바 코드(전자 쿠폰)의 스캐닝, 물리적 위치의 와이파이 핫스팟, IP 어드레스 등의 검출에 의해, 기타 등등과 같은 것)에 의해 확인될 수 있다. 선택이 일어나면, 도 9에서의 선택된 콘텐츠 아이템을 제공한 엔티티에서 도 10에서의 콘텐츠 아이템의 공급자(예를 들어, 광고 서버(104))로 이들 간에 자금의 이전이 일어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시스템들 및/또는 방법들이 사용자에 대한 개인 정보를 수집하거나 혹은 이러한 개인 정보를 사용할 수 있는 상황에서, 사용자들은 프로그램들 혹은 피처들이 사용자 정보(예를 들어, 사용자의 소셜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 사용자의 소셜 행동 혹은 활동들에 대한 정보, 사용자의 직업에 대한 정보, 사용자의 선호도에 대한 정보, 혹은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것인지 여부를 제어할 기회를 제공을 수 있거나, 또는 사용자들은 사용자에게 더 관련될 수 있는 콘텐츠 서버로부터의 콘텐츠를 수신할지 여부 및/또는 어떻게 수신할지를 제어할 기회를 제공을 수 있다. 추가적으로, 특정 데이터는 저장 혹은 사용 전에, 개인적으로 식별가능한 정보가 제거되어 없어지도록 하나 이상의 방식들로 처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아이덴티티(identity)는 사용자에 대한 개인적으로 식별가능한 정보가 결정될 수 없도록 처리될 수 있거나, 또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가 획득되는 사용자의 지리적 위치는 (예컨대, 일 예로서, 최근방 십(10) 피트, 도시(city), 우편 번호(Zip code), 혹은 주(state) 레벨에 관해 정확도가 변할 수 있도록) 일반화될 수 있는바, 이에 따라 사용자의 특정 위치는 결정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가 어떻게 수집되고 콘텐츠 서버에 의해 어떻게 사용될지에 관한 제어권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시스템은 또한 선택된 퍼블리셔 디스플레이의 로딩(loading)에 응답하여 한 무리의 이용가능한 콘텐츠 아이템들로부터 제공될 임의의 콘텐츠 아이템의 요청을 포함할 수 있다. 차단된 콘텐츠 아이템들은 선택된 퍼블리셔 디스플레이 상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한 무리의 콘텐츠 아이템들부터 제거된다. 선택된 콘텐츠 아이템들이 차단된 이후 남겨진 한 무리의 콘텐츠 아이템들로부터 임의의 콘텐츠 아이템이 새롭게 선택된다. 그 다음에 콘텐츠 아이템은 디스플레이를 위해 디바이스에 전송된다.
본 개시내용의 구현예들은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혹은 이들의 임의의 적절한 조합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구현예들은 또한 머신 판독가능 매체 상에 저장되는 명령들로서 구현될 수 있는바, 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판독 및 실행될 수 있다. 유형의 머신-판독가능 매체는, 머신(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형태로 정보를 저장 혹은 전송하기 위한 임의의 유형의 비-일시적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형의 머신-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판독 전용 메모리, 랜덤 액세스 메모리, 자기 디스크 저장 매체들, 광학 저장 매체들,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들, 그리고 다른 유형의 저장 매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무형의 머신-판독가능 전송 매체들은 무형의 형태를 가진 전파 신호(propagated signal)들을 포함할 수 있는바, 예를 들어, 반송파(carrier wave)들, 적외선 신호(infrared signal)들, 디지털 신호들, 그리고 다른 무형의 전송 매체들과 같은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펌웨어, 소프트웨어, 루틴들, 혹은 명령들은 본 개시내용의 특정 예시적 구현예들과 관련되어 앞서의 개시내용에서 설명될 수 있고 특정 동작들을 구현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설명들은 단지 편의상 제공되는 것이고 이러한 동작들이 실제로는 펌웨어, 소프트웨어, 루틴들, 혹은 명령들을 실행하는 컴퓨팅 디바이스들, 프로세서들, 제어기들, 또는 다른 디바이스들로부터 나오는 것임은 명백할 것이다.
앞서 논의된 바에 따라,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상의 퍼블리셔 디스플레이 아이템의 "디스플레이"는 임의의 사용자 검출가능 형태(여기에는 시각적 형태, 청각적 형태, 혹은 다른 감각적 형태를 포함하지만 이러한 것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를 가질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상이한 타입"의 디스플레이 아이템들로 언급되는 것은, 사용자에 대해 상이한 파일 포맷 디스플레이들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아이템들의 상이한 클래스(class)들(예를 들어, 텍스트, 오디오, 비디오, 정지 이미지들, 모바일 앱들 등)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앞서의 논의와 일관되어 이해될 것이다.
비록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실시예들의 다수의 특징들 및 장점들이 앞서의 설명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의 구조 및 기능에 관한 세부사항들과 함께 제시되고 있지만 이러한 상세한 설명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세부적으로 변경이 행해질 수 있는바 특히 본 개시내용의 원리 내에서 부분들의 구조 및 구성에 있어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고 이것은 첨부되는 특허청구범위가 표현되는 용어의 광범위한 일반적 의미에 의해 표시되는 전 범위까지 행해질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Claims (39)

  1. 컴퓨터로 구현되는 방법으로서,
    임의의 시구간(time interval)에 걸쳐 네트워크 액세스가능 디바이스(network accessible device)로부터 상기 디바이스의 상이한 지리적 위치(geographical location)들을 표시하는 일련의 지리적위치 샘플(geopositioning sample)들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일련의 지리적위치 신호들에 응답하여, 상기 디바이스가 상기 시구간 동안 적어도 임계 횟수 N번 반복적으로 이동됐던 지리적 경로(geographical route)를 식별하는 단계와;
    상기 지리적 경로에 근접하는 물리적 위치를 갖는 상이한 엔티티(entity)와 각각 관련되어 있는 복수의 이용가능한 콘텐츠 아이템(content item)들로부터 콘텐츠 아이템을 선택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네트워크 액세스가능 디바이스의 사용자와 관련된 디스플레이 상에 상기 콘텐츠 아이템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구현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련의 지리적위치 신호들에 응답하여 상기 네트워크 액세스가능 디바이스가 상기 시구간 동안 적어도 상기 임계 횟수 N번 반복적으로 이동됐던 복수의 지리적 경로들을 식별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지리적 경로들 각각에 대해서 상기 디바이스가 상기 시구간에 걸쳐 상기 경로를 따라 이동됐던 총 횟수를 표시하는 빈도수(frequency count)를 축적(accumulating)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콘텐츠 아이템은 관련된 빈도수에 근거하여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구현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아이템은 관련된 빈도수가 가장 큰 경로에 근거하여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구현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N은 복수(plural numb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구현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와 관련된 가속 데이터(acceleration data) 및 타이밍 데이터(timing data), 그리고 상기 지리적위치 샘플들에 응답하여, 상기 경로와 관련된 특징을 표시하는 모델(model)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 아이템은 또한, 상기 발생된 모델과 관련되어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구현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모델은 또한, 상기 경로와 관련된 지도 데이터(map data)에 응답하여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구현되는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모델은 또한, 상기 경로와 관련된 날씨 데이터(weather data)에 응답하여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구현되는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모델은 또한, 상기 경로와 관련된 트래픽 데이터(traffic data)에 응답하여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구현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아이템은 또한, 상기 엔티티에 의해 제공되는 입찰가(bid)와 관련되어 선택되며, 상기 입찰가는 상기 선택된 콘텐츠 아이템의 디스플레이를 위해 상기 엔티티가 지불하려는 액수를 표시하고, 상기 입찰가는 상기 디바이스가 상기 시구간에 걸쳐 상기 지리적 경로를 따라 이동했다고 검출된 총 횟수와 관련되어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구현되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액세스가능 디바이스는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mobile communication device)이고, 상기 선택된 콘텐츠 아이템은 상기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의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상이한 제 2 네트워크 액세스가능 디바이스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구현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네트워크 액세스가능 디바이스는 상기 지리적 경로의 끝점(end point)에 근접하여 위치하고 있는 상기 사용자의 데스크탑 컴퓨터(desktop comput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구현되는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 아이템의 선택을 검출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선택에 응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전달된 상기 콘텐츠 아이템의 소스(source)와 상기 엔티티 간에 자금(funds)의 이전(transfer)을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구현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 아이템의 선택의 검출은,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서의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 아이템의 클릭(click)을 검출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구현되는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 아이템의 선택의 검출은, 미리결정된 선택 응답 구간 내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 아이템과 관련된 상기 엔티티의 상기 물리적 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네트워크 액세스가능 디바이스의 움직임을 검출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구현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 아이템의 선택의 검출은, 상기 네트워크 액세스가능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 아이템과 관련된 상기 엔티티의 상기 물리적 위치의 와이파이 핫스팟(wifi hotspot)을 검출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구현되는 방법.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리적위치 샘플들에 근거하여 상기 네트워크 관련 디바이스의 상기 사용자의 모델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델은 상기 사용자가 모터 차량(motor vehicle)을 운전함에 따른 상기 사용자의 상대적 난폭성(relative aggressiveness)을 표시하고,
    상기 콘텐츠 아이템은 상기 발생된 모델과 관련되어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구현되는 방법.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아이템은 상기 선택된 디스플레이의 광고 슬롯(ad slot) 내에서의 제시(presentation)를 위해 구성된 광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구현되는 방법.
  18. 장치로서,
    임의의 시구간에 걸쳐 네트워크 액세스가능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디바이스의 상이한 지리적 위치들을 표시하는 일련의 지리적위치 샘플들을 수신하도록 되어 있는 지리정보/시간정보 검출 모듈(geo/time detection module)과, 상기 모듈은 또한, 상기 일련의 지리적위치 신호들에 응답하여, 상기 디바이스가 상기 시구간 동안 상기 디바이스의 사용자에 의해 반복적으로 이동됐던 지리적 경로를 식별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지리적위치 신호들에 응답하여 상기 지리적 경로의 이동 패턴(travel pattern)과 관련된 모델을 발생시키도록 되어 있는 모델 발생 모듈과; 그리고
    상기 지리적 경로 및 상기 발생된 모델에 응답하여 한 무리의 이용가능한 콘텐츠 아이템들로부터 콘텐츠 아이템을 선택하는 것과, 그리고 상기 네트워크 액세스가능 디바이스의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상에서의 디스플레이를 위해 상기 콘텐츠 아이템을 전달하는 것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는 콘텐츠 아이템 선택 엔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액세스가능 디바이스에 연결되는 서버로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모델은 상기 경로와 관련된 가속 데이터 및 타이밍 데이터, 그리고 상기 지리적위치 샘플들에 응답하여 발생되며, 상기 모델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경로를 따라 모터 차량을 운전할 때의 특징적인 운전 방식을 표시하고, 그리고 상기 콘텐츠 아이템은 상기 사용자의 상기 특징적인 운전 방식에 응답하여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모델은 또한, 상기 경로와 관련된 지도 데이터에 응답하여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모델은 또한, 상기 경로와 관련된 날씨 데이터에 응답하여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모델은 또한, 상기 경로와 관련된 트래픽 데이터에 응답하여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4.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액세스가능 디바이스는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이고, 상기 선택된 콘텐츠 아이템은 상기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의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상이한 제 2 네트워크 액세스가능 디바이스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네트워크 액세스가능 디바이스는 상기 지리적 경로의 끝점에 근접하여 위치하고 있는 상기 사용자의 데스크탑 컴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모델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지리적 경로를 따라 모터 차량 내의 승객으로서 이동한 것인지 여부를 표시하고, 상기 표시에 응답하여 상기 콘텐츠 아이템이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7.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지리정보/시간정보 검출 모듈은 또한,
    상기 일련의 지리적위치 신호들에 응답하여, 상기 네트워크 액세스가능 디바이스가 상기 시구간에 걸쳐 적어도 임계 횟수 N번 반복적으로 이동됐던 복수의 지리적 경로들을 검출하는 것과, 그리고
    각각의 경로에 대해서 상기 네트워크 액세스가능 디바이스가 상기 시구간 동안 상기 경로를 따라 이동됐던 총 횟수를 표시하는 빈도수를 확립하는 것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선택 엔진은 또한, 상기 선택된 콘텐츠 아이템에 대한 관련된 빈도수와 관련되어 상기 콘텐츠 아이템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8.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콘텐츠 아이템은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광고 슬롯 내에서의 제시를 위해 구성된 광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아이템은 또한, 상기 엔티티에 의해 제공되는 입찰가와 관련되어 선택되며, 상기 입찰가는 상기 선택된 콘텐츠 아이템의 디스플레이를 위해 상기 엔티티가 지불하려는 액수를 표시하고, 상기 입찰가의 규모(magnitude)는 상기 발생된 모델과 관련되어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입찰가의 규모는 상기 디바이스가 상기 시구간에 걸쳐 상기 지리적 경로를 따라 이동했다고 검출된 총 횟수와 관련되어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1.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서,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상에는 프로그래밍이 저장되고, 상기 프로그래밍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한 실행시,
    임의의 시구간에 걸쳐 네트워크 액세스가능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디바이스의 상이한 지리적 위치들을 표시하는 일련의 지리적위치 샘플들을 수신하는 것과;
    상기 일련의 지리적위치 신호들에 응답하여, 상기 디바이스가 반복적으로 이동됐던 지리적 경로를 식별하는 것과;
    상기 지리적 경로와 관련된 특징적인 이동 패턴을 표시하는 모델을 발생시키는 것과;
    상이한 엔티티와 각각 관련되어 있는 복수의 이용가능한 콘텐츠 아이템들로부터 콘텐츠 아이템을 선택하는 것과, 상기 선택된 콘텐츠 아이템은 상기 발생된 모델과 관련된 콘텐츠를 가지며; 그리고
    상기 네트워크 액세스가능 디바이스의 사용자와 관련된 디스플레이 상에 상기 콘텐츠 아이템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포함하는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액세스가능 디바이스는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이고, 상기 선택된 콘텐츠 아이템은 상기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의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상이한 제 2 네트워크 액세스가능 디바이스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33.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네트워크 액세스가능 디바이스는 상기 지리적 경로의 끝점에 근접하여 위치하고 있는 상기 사용자의 데스크탑 컴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34.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모델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지리적 경로를 따라 모터 차량 내의 승객으로서 이동한 것임을 표시하고, 상기 표시에 응답하여 상기 콘텐츠 아이템이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35.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모델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지리적 경로를 따라 모터 차량의 운전자로서 이동한 것임을 표시하고, 상기 표시에 응답하여 상기 콘텐츠 아이템이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36.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모델은 또한, 적어도 상기 경로와 관련된 지도 데이터, 날씨 데이터, 트래픽 데이터, 혹은 사용 데이터 중 임의의 선택된 하나에 응답하여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37.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래밍은 또한,
    상기 일련의 지리적위치 신호들에 응답하여, 상기 네트워크 액세스가능 디바이스가 상기 시구간에 걸쳐 적어도 임계 횟수 N번 반복적으로 이동됐던 복수의 지리적 경로들을 검출하는 것과,
    각각의 경로에 대해서 상기 네트워크 액세스가능 디바이스가 상기 시구간 동안 상기 경로를 따라 이동됐던 총 횟수를 표시하는 빈도수를 확립하는 것과, 그리고
    상기 선택된 콘텐츠 아이템에 대한 관련된 빈도수와 관련되어 상기 콘텐츠 아이템을 선택하는 것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38.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콘텐츠 아이템은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광고 슬롯 내에서의 제시를 위해 구성된 광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39.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아이템은 또한, 상기 엔티티에 의해 제공되는 입찰가와 관련되어 선택되며, 상기 입찰가는 상기 선택된 콘텐츠 아이템의 디스플레이를 위해 상기 엔티티가 지불하려는 액수를 표시하고, 상기 입찰가의 규모는 상기 발생된 모델과 관련되어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KR1020157010098A 2012-12-19 2013-10-31 지리적위치 샘플에 근거하는 콘텐츠 아이템 선택 KR2015005843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719,807 US20140172571A1 (en) 2012-12-19 2012-12-19 Selecting content items based on geopositioning samples
US13/719,807 2012-12-19
PCT/US2013/067781 WO2014099140A1 (en) 2012-12-19 2013-10-31 Selecting content items based on geopositioning sampl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8439A true KR20150058439A (ko) 2015-05-28

Family

ID=50932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0098A KR20150058439A (ko) 2012-12-19 2013-10-31 지리적위치 샘플에 근거하는 콘텐츠 아이템 선택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40172571A1 (ko)
EP (1) EP2936338A4 (ko)
JP (1) JP2015535123A (ko)
KR (1) KR20150058439A (ko)
CN (1) CN104798023A (ko)
WO (1) WO201409914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23512A1 (en) * 2012-02-16 2013-08-22 Ims Solutions, Inc. Traffic portal enquiry and alert system
US9171327B2 (en) 2012-03-23 2015-10-27 Ebay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n-vehicle navigated shopping
US9141988B2 (en) 2012-02-22 2015-09-22 Ebay, Inc. Systems and methods to provide search results based on time to obtain
US10077988B2 (en) * 2013-01-08 2018-09-18 Excalibur Ip, Llc Systems and methods relating to ad/content targeting for map route options based on personalization and user data
US10078341B2 (en) * 2013-04-11 2018-09-18 Honeywell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method with GEO location triggering automatic action
US10963951B2 (en) 2013-11-14 2021-03-30 Ebay Inc. Shopping trip planner
JP6246101B2 (ja) * 2014-09-16 2017-12-13 株式会社オプティム メッセージ送信サーバ及び、メッセージ送信方法
US11004111B2 (en) * 2014-10-16 2021-05-11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Presenting smart billboard content based on optical pattern recognition of vehicle information
US9888394B2 (en) * 2015-08-24 2018-02-06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Route recommendations
JP6062014B1 (ja) * 2015-09-29 2017-01-18 Line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698031B1 (ko) 2015-11-20 2017-01-19 박치형 위치 기반 콘텐츠 공유 방법 및 위치 기반 콘텐츠 공유 서버
US20170323270A1 (en) * 2016-05-09 2017-11-09 Sap Se Geo-location based matching of digital profiles
CN106096515B (zh) * 2016-05-31 2019-10-2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解锁控制方法及终端设备
USD873958S1 (en) 2018-03-02 2020-01-28 Ademco Inc. Water heater controller
US20220083611A1 (en) * 2019-01-15 2022-03-17 Teejlab Inc. Data management system for web based data services
US11501337B2 (en) 2020-07-01 2022-11-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oute-based information slotting based on predicted acceptance
CN117745152B (zh) * 2024-02-04 2024-04-19 工业云制造(四川)创新中心有限公司 一种基于aigc的工业自动建模方法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31065A (ja) * 2000-10-20 2002-05-09 Honda Motor Co Ltd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および情報提供方法
JP2002156234A (ja) * 2000-11-17 2002-05-31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移動体広告システム
JP2002358256A (ja) * 2001-06-04 2002-12-13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情報提供装置および方法、情報提供システム、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EP1278339A1 (de) * 2001-07-20 2003-01-22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Anordnung zur Übermittlung von Daten aus einem ersten Datennetz in ein zweites Datennetz
JP4408635B2 (ja) * 2002-06-27 2010-02-03 ナヴィゲイション テクノロジーズ コーポレイション 経路情報と共に位置に基づく広告を提供する方法
JP2005148289A (ja) * 2003-11-13 2005-06-09 Nec Fielding Ltd 広告配信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7835859B2 (en) * 2004-10-29 2010-11-16 Aol Inc. Determining a route to a destination based on partially completed route
JP2007003220A (ja) * 2005-06-21 2007-01-11 Denso Corp 車両用情報提供システム
US20070050248A1 (en) * 2005-08-26 2007-03-01 Palo Alto Research Center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to manage advertising and coupon presentation in vehicles
US7519470B2 (en) * 2006-03-15 2009-04-14 Microsoft Corporation Location-based caching for mobile devices
JP5044160B2 (ja) * 2006-07-18 2012-10-10 株式会社ゼンリンデータコム ガイド情報提供システム
KR101417769B1 (ko) * 2007-04-16 2014-08-07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컨텐츠 관리 방법
US8219316B2 (en) * 2008-11-14 2012-07-10 Google Inc. System and method for storing and providing routes
JP2010134762A (ja) * 2008-12-05 2010-06-17 Nec Corp 情報通知システム、情報通知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00235394A1 (en) * 2009-03-10 2010-09-16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ing content based on user geolocation
US20110029383A1 (en) * 2009-07-28 2011-02-03 Randy Engel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dvertising content via an integrated home based device
US8898176B2 (en) * 2011-04-22 2014-11-25 Google Inc. Retrieving ratable content based on a geographic loc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99140A1 (en) 2014-06-26
JP2015535123A (ja) 2015-12-07
EP2936338A4 (en) 2016-08-10
CN104798023A (zh) 2015-07-22
US20140172571A1 (en) 2014-06-19
EP2936338A1 (en) 2015-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58439A (ko) 지리적위치 샘플에 근거하는 콘텐츠 아이템 선택
JP6636106B2 (ja) マーケティング上のモバイル広告供給に関するシステムと方法
US20210319476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evaluating the display of electronic content to individuals in geographic zone having inner boundary
US8762053B1 (en) Enhanced identification of interesting points-of-interest
TWI519972B (zh) 增進映射與路徑選擇之系統及方法
US8620579B1 (en) Enhanced identification of interesting points-of-interest
US9057616B1 (en) Enhanced identification of interesting points-of-interest
US8433512B1 (en) Enhanced identification of interesting points-of-interest
AU2010218372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sponsored landmark and location labels
US20210174394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displaying electronic content to individuals in geographic zone having inner boundary
US20140156410A1 (en) Systems and methods to provide transport aware geofences
US20150112585A1 (en) Communication System
JP2014523028A (ja) マルチステップインプレッションキャンペーン
TWI463423B (zh) 用以針對基於三維形狀之廣告系統使用位置資訊的方法
US20120271713A1 (en) Method of using gps and/or vehicle sensor data for detecting user interests and benefits, and for advertisement targeting
US20150095157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defining targeted geographic zones for delivering electronic content
CN106471537B (zh) 基于迂回的内容选择
US20140279012A1 (en) Targeted advertisements for travel region demographics
US20190180326A1 (en) Determining relevant business locations based on travel distances
JP2019114047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US20130091015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virtual vendor hawking using directional advertising
JP2019114046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