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7773A - Water Level Checking Device for Visual Impairment Person - Google Patents

Water Level Checking Device for Visual Impairment Pers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7773A
KR20150057773A KR1020130141542A KR20130141542A KR20150057773A KR 20150057773 A KR20150057773 A KR 20150057773A KR 1020130141542 A KR1020130141542 A KR 1020130141542A KR 20130141542 A KR20130141542 A KR 20130141542A KR 20150057773 A KR20150057773 A KR 201500577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water level
buoyant
liquid
visually impai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154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535646B1 (en
Inventor
박영환
김윤환
박철수
전우식
민진
고유민
Original Assignee
박영환
민진
전우식
고유민
김윤환
박철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환, 민진, 전우식, 고유민, 김윤환, 박철수 filed Critical 박영환
Priority to KR10201301415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5646B1/en
Publication of KR201500577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777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56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564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54Inspection openings or windows
    • B65D25/56Inspection openings or windows with means for indicating level of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3/00Decoration means, markings, information elements, contents indicators
    • B65D2203/12Audible, olfactory or visual signall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evel Indicators Using A Float (AREA)

Abstract

A water level checking device for a visually impaired person is provided.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ain body unit including an inner main body positioned inside a container where a fluid is filled and an outer main body positioned in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and held by an upper circumference of the container; a buoyancy unit assembled to be capable of vertically moving in the inner main body to be submerged in the fluid filled in the container or floating on the water surface to be moved in accordance with a water level change of the fluid; and a sensing unit connected to the buoyancy unit by means of a wire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of which the direction is converted by at least one direction conversion member installed in the main body unit and assembled to be capable of vertically moving in the outer main body.

Description

시각장애인용 수위 확인장치{Water Level Checking Device for Visual Impairment Person}Water Level Checking Device for Visual Impairment Person}

본 발명은 시각장애인이 용기에 채워지는 액체의 수위를 확인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휴대 및 보관이 간편하면서 시각장애인이나 저시력자가 용기 내에 채워지는 액체의 수위를 안전하게 확인함과 동시에 음용하고자 하는 용기 내의 액체용량을 간편하고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는 시각장애인용 수위확인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verifying the level of a liquid filled in a container by a visually impaired pers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vice for verifying the level of a liquid filled in a container by a visually impaired person or a low vision person, To a liquid level detecting device for a visually impaired person who can easily and precisely control the liquid capacity in the container.

일반적으로 시각장애인이나 시력이 약한 저시력자들은 물, 우유, 주스, 커피, 차 등과 같은 액체를 용기에 따라 마실 때 일반인과 달리 채워지는 액체의 수위를 확인하여 섭취하고자 하는 용량을 조절하는 것이 매우 곤란하였다. In general, visually impaired or low-sighted people with low vision, when drinking liquids such as water, milk, juice, coffee, tea, etc. in containers, it is very difficult to control the amount of liquid to be filled, Respectively.

즉, 육안으로 용기에 채워지는 액체수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기 때문에 예를 들면 손가락을 용기에 넣고 수위를 촉감으로 감지하여 예측하거나 용기에 액체가 채워질 때 발생하는 소리를 청각으로 감지하여 대략적으로 수위를 판단하는 경우가 많다. In other words, since the liquid level of the liquid filled in the container can not be accurately measured by the naked eye, for example, the finger is put into the container, the water level is sensed by touch, or the sound generated when the liquid is filled in the container is audibly detected, In many cases.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비위생적이고 용기 내의 액체를 섭취하기 위한 정확한 수위를 측정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상기 액체가 온수와 같이 뜨거울 경우에는 화상의 위험으로 인해 손가락을 온수에 담가 수위를 감지하여 측정할 수 없게 된다.However, such a method is unsanitary and it is difficult to measure the exact level for taking the liquid in the container. In addition, when the liquid is hot as hot water, the finger is immersed in hot water due to the risk of burning, I will not.

특히, 시각장애인이나 시력이 약한 저시력자들이 가루로 된 분말을 물에 타서 섭취하고자 하는 경우, 취향에 따라 용기에 채워지는 물의 채움량을 조절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Particularly, when the blind or visually impaired low-vision person intends to take the powdered powder in water, it is very difficult to control the filling amount of the water filled in the container according to taste.

(특허문헌 1) KR10-2013-0037374 A (Patent Document 1) KR10-2013-0037374 A

(특허문헌 2) KR10-2009-0070177 A (Patent Document 2) KR10-2009-0070177 A

특허문헌 1에는 섭취하고자 하는 액체가 머그컵인 용기에 담는 경우에만 멜로디음을 출력하여 수위를 감지하고, 용기의 세척을 위해 물을 담는 등의 경우에는 멜로디음이 출력되지 않도록 하는 시각장애인용 멜로디컵을 개시하고 있다.Patent Literature 1 discloses a melody cup for a visually impaired person in which a melody sound is output to detect a water level only when the liquid to be ingested is contained in a container made of a mug and a melody sound is not output when water is contained for washing the container .

그러나, 이러한 특허문헌 1은 감지수단 및 알림수단이 용기에 일체로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일회용 용기나 다른 용기에 액체를 채워 섭취하고자 할 때 정확한 수위감지 및 측정에 의한 섭취량을 조절하는 것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in Patent Document 1, since the sensing means and the informing means are integrally provided in the container,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measure the water level and to adjust the amount of intake by measuring when the container is filled with the liquid .

특허문헌 2에는 용기 내부에 채워지는 액체가 사전에 설정한 액위에 도달할 때 액체에 잠기면서 서로 통전되는 한 쌍의 전극과, 한 쌍의 전극이 통전되었을 때 작동되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저시력자를 위한 수위감지기를 개시하고 있다. Patent Document 2 discloses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a pair of electrodes which are immersed in liquid when the liquid filled in the container reaches a preset liquid level, and a speaker which is operated when a pair of electrodes are energized. A water level detector is started.

그러나, 이러한 특허문헌 2는 다른 용기에도 이용할 수 있고 휴대가 가능한 장점은 있지만 한 쌍의 전극이 동시에 물에 잠겨져 통전에 의한 수위 알림을 위해서는 한쌍의 전극이 동시에 잠겨지는 위치에서만 수위알림이 가능하기 때문에 용기내에 채워지는 액체의 수위변화를 정확하게 확인하면서 용량을 조절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although Patent Document 2 has a merit that it can be used in other containers and is portable, since a pair of electrodes are simultaneously immersed in water, in order to notify the water level by energization, water level notification is possible only at a position where a pair of electrodes are simultaneously locked There has been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control the capacity while accurately checking the change in the level of the liquid filled in the container.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휴대 및 보관이 간편하면서 시각장애인이나 저시력자가 용기 내에 채워지는 액체의 수위를 안전하게 확인함과 동시에 음용하고자 하는 용기 내의 액체용량을 간편하고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는 시각장애인용 수위확인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quid container which is easy to carry and store and which can visually check the liquid level of the liquid filled in the contain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ater level check device for a visually impaired person.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not restrictive of the invention, unless further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possibl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액체가 채워지는 용기의 내부에 위치하는 내부본체와, 상기 용기의 외부에 위치하는 외부본체를 갖추어 상기 용기의 상단테두리에 거치되는 본체부 ; 상기 용기에 채워지는 액체에 잠겨지거나 수면부상되어 액체의 수위변화에 맞추어 이동되도록 상기 내부본체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부력부 ; 및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방향전환부재에 의해서 방향전환되는 일정길이의 선재를 매개로 상기 부력부와 연결되어 상기 외부본체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감지부 ; 를 포함하는 시각장애인용 수위확인장치를 제공한다. As a specific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as a concrete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n inner body located inside a container filled with a liquid and an outer body located outside the container A main body having a main body and being mounted on an upper edge of the container; A buoyant portion which is assembled to the inner body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so as to be immersed in the liquid to be filled in the container or floated on the surface of the inner body so as to be moved in accordance with a change in the level of the liquid; And a sensing part connected to the buoyancy part via a wir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being vertically movable by the at least one direction switching element provided in the body part, And a water level detection device for a visually impaired person.

또한 본 발명은, 액체가 채워지는 용기의 내부에 위치하는 내부본체와, 상기 용기의 외부에 위치하는 외부본체를 갖추어 상기 용기의 상단테두리에 거치되는 본체부 ; 상기 용기에 채워지는 액체에 잠겨지거나 수면부상되어 액체의 수위변화에 맞추어 이동되는 외부부력체와, 상기 외부부력체와 자력에 의해서 동일한 방향으로 상하이동되는 내부이동체를 상기 내부본체의 내부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조립하는 부력부 ; 및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방향전환부재에 의해서 방향전환되는 일정길이의 선재를 매개로 상기 내부이동체와 연결되어 상기 외부본체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감지부 ; 를 포함하는 시각장애인용 수위확인장치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liquid container comprising: an inner body positioned inside a container filled with a liquid; a main body placed on an upper edge of the container with an outer body positioned outside the container; An outer buoyant body which is immersed in the liquid filled in the vessel or floated on the water surface and is moved in accordance with a change in the level of the liquid, and an inner buoyant body which is vertically moved in the same direction by the magnetic force with the buoyant outer body, Buoyant parts possibly assembled; And a sensing unit connected to the inner moving body via a wir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being vertically movable by the at least one direction switching member provided in the body, And a water level detection device for a visually impaired person.

바람직하게, 상기 내부본체는 상기 부력부가 상하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안내턱을 갖추고, 상기 부력부와 감지부사이를 연결하는 선재가 간섭없이 진행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일정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되는 좌우한쌍의 수직판체를 포함한다. Preferably, the inner main body includes a guide jaw to which the buoyancy part is assembled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and a pair of right and left pairs of the wire rods connecting the buoyancy part and the sensing part are arranged side by side at regular intervals Of the present invention.

바람직하게, 상기 외부본체는 상기 감지부가 상하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안내홈을 서로 마주하는 내부면에 함몰형성하고, 상기 선재가 간섭없이 진행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일정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되는 좌우한쌍의 수직판체를 포함한다. Preferably, the outer body is formed by recessing the guide grooves assembled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so that the sensing unit is opposed to each other, and the pair of right and left pairs of the wire rods are arranged side by side at regular intervals Of the present invention.

바람직하게, 상기 내부본체와 외부본체사이에는 상기 선재의 진행방향을 전환시키는 방향전환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내,외부본체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본체를 구비한다. Preferably, a direction changing member for switching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wire is provided between the inner body and the outer body, and a connecting body for connecting the inner and outer bodies.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연결본체는 상기 내부본체의 상단과 상기 외부본체사이를 일체로 연결하는 좌우한쌍의 수평판체를 포함하고, 좌우한쌍의 수평판체사이에는 상기 선재가 안내이동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스페이서를 구비한다. More preferably, the connection body includes a pair of left and right horizontal plate members integrally connecting the upper end of the inner body and the outer body, and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pair of left and right horizontal plate members for guiding and moving the wire rod A spacer is provided.

바람직하게, 상기 내부본체는 상기 내부이동체가 상하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내부수직공을 관통형성한 중공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부수직공의 개방된 상,하부단을 밀폐하는 상,하부덮개를 포함한다. Preferably, the inner body includes an upper cover and a lower cover which are made of a hollow body having an inner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inner moving body is vertically movable, and which seal the opened upper and lower ends of the inner through hole .

바람직하게, 상기 외부본체는 상기 감지부가 상하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안내공과 이에 연통되어 상기 외부몸체의 외부면에 개구형성되는 슬릿공을 관통형성한 중공체를 포함한다. Preferably, the outer body includes a hollow body through which the sensing unit communicates with the guide hole arranged to be movable up and down, and through which the slit hole is formed to ope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body.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내부본체와 외부본체사이에는 상기 선재의 진행방향을 전환시키는 방향전환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내부본체의 내부수직공과 상기 외부본체의 안내공을 연통시키는 연결공을 갖는 연결본체를 구비한다. Preferably, a connection main body having a direction switching member for switching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wire rod is provided between the inner main body and the outer main body, and a connection hole communicating the inner vertical hole of the inner main body with the guide hole of the outer main body Respectively.

바람직하게, 상기 부력부는 상기 내부본체에 형성된 안내턱에 외부이탈곤란하게 조립되고, 상기 용기의 액체가 개재되도록 상기 안내턱사이에 간극을 형성하는 조립홈을 갖는 부력체를 포함한다. Preferably, the buoyancy portion includes a buoyant body having an assembling groove which is assembled in a guide jaw formed in the inner body so as to be difficult to be detached from the outer body, and which forms a gap between the guide jaws so that liquid in the container is interposed.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안내턱은 상단과 하단에 상기 부력체와 간섭되어 상하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구비한다.More preferably, the guide jaw has a stopper which interferes with the buoyant body at the upper and lower ends to limit vertical movement.

바람직하게, 상기 외부부력체는 상기 이동체와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일정세기의 자력에 의해서 서로 당기는 인력을 발생시키는 피자성체를 상기 내부본체의 외부면과 대응하는 일측면에 구비한다. Preferably, the external buoyant body includes a body to be attracted to each other by a magnetic force of a constant intensity generated between the body and the external body, on one side of the body corresponding to the external surface of the body.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피자성체와 이동체중 어느 하나는 일정세기의 자력을 갖는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지고, 나머지 하나는 상기 영구자석과 다른 극으로 마주하는 다른 영구자석으로 구비되거나 금속소재로 이루어진다. More preferably, one of the permanent magnet and the moving body is made of a permanent magnet having a magnetic force of a certain strength, and the other permanent magnet is made of another metal or a permanent magnet facing another pole with respect to the permanent magnet.

바람직하게, 상기 본체부는 상기 용기의 내부벽면 또는 외부벽면에 탄성적으로 접하여 상기 본체부를 위치고정하는 고정력을 발생시키는 고정부를 추가 포함한다. Preferably, the body portion further includes a fixing portion for elastically contacting the inner wall surface or the outer wall surface of the container to generate a fixing force for fixing the body portion.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부는 상기 용기의 내부벽면과 마주하는 내부본체의 일측면 또는 상기 용기의 외부벽면과 마주하는 외부본체의 일측면에 호형으로 돌출형성되는 돌출부로 구비되거나 상기 본체부에 일단이 고정되는 호형 탄성편으로 구비된다. Preferably, the fix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projecting portion protruding in an arc shape on one side of the inner body facing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container or on one side of the outer body facing the outer wall surface of the container, Shaped resilient piece.

바람직하게, 상기 감지부와 인접하는 상기 외부본체의 외부면에는 상기 감지부의 높이변화를 촉감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점자형 표시부를 구비한다. Preferably,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body adjacent to the sensing unit is provided with a point-like display unit for recognizing the change in height of the sensing unit by touch.

바람직하게, 상기 방향전환부재는 상기 내부본체의 하부단에 구비되어 상기 선재와 접하는 제1전환부재와, 상기 내부본체와 외부본체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선재와 접하는 제2전환부재를 포함한다. Preferably, the direction switching member includes a first switching member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inner body and in contact with the wire rod, and a second switching member provided in a connection body connecting between the inner body and the outer body, .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제1전환부재 또는 제2전환부재는 상기 선재가 접하여 배치되는 요홈을 외주면에 함몰형성한 롤과, 상기 내부본체 및 연결본체에 형성된 축지지홈에 각각 조립되는 축부재를 포함한다. More preferably, the first switching member or the second switching member includes a roll formed by recessing a groove on which the wire rod is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 shaft member that is respectively assembled to the inner body and the shaft support groove formed in the connection body do.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제1전환부재 또는 제2전환부재는 상기 선재와 접하도록 상기 내부본체 또는 연결본체로부터 연장되는 일정길이의 리브를 포함한다.
More preferably, the first switching member or the second switching member includes a rib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extending from the inner body or the connecting body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wire rod.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effects.

(1) 용기에 상단테두리에 고정되는 본체부와, 용기에 채워지는 액체에 의해서 부상되는 부력부 및 부력부와 더불어 상하이동되는 감지부로 이루어짐으로써 시각장애인 또는 저시력자가 용기내에 채워지는 액체의 수위변화를 용기외부에 배치된 감지부를 통해 간접적으로 확인하여 음용하고자 하는 액체의 용량을 정확하게 확인하면서 조절할 수 있다. (1) a body portion which is fixed to an upper edge of the container, and a buoyancy portion and a buoyancy portion floating by the liquid filled in the container, and a sensing portion which is moved up and down, Can be indirectly checked through the sensing unit disposed outside the container to accurately check the capacity of the liquid to be consumed.

(2) 전체적인 구성을 단순화하고 소형화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휴대 및 보관이 간편해지는 한편, 전자방식의 수위확인장치에 비하여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어 구매력을 높일 수 있다. (2) Since the entire configuration can be simplified and miniaturized, the portable and storage of the user can be simplified, and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lowered as compared with the electronic water level checking device, thereby increasing the purchasing power.

(3) 용기에 담겨지는 본체부에 액체가 내부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 후 세척이 용이하고, 내,외관 상태를 청결하게 유지하여 위생상 안전성을 보장하여 사용자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3) Sinc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iquid from entering into the body part contained in the container, it is easy to clean after use, and maintenance of the internal and external condition is kept clean, Is obtained.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수위확인장치를 도시한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수위확인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수위확인장치를 도시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수위확인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수위확인장치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수위확인장치를 도시한 전체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수위확인장치를 도시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수위확인장치에서 외부부력체와 내부본체간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수위확인장치에서 외부부력체와 내부본체간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수위확인장치에서 원반형 내부이동체를 구비하는 단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수위확인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수위확인장치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DRAWINGS FIG. 1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water level check apparatus for a visually impaired perso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water level check apparatus for a visually impaired perso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water level detection device for a visually impaired perso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water level detecting apparatus for the visually impaire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water level detection device for the visually impaire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overall configuration view showing a level indicator for a visually impaired perso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water level check apparatus for a visually impaired perso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coupling between an external buoyant body and an inner body in a water level checking apparatus for a visually impaired perso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coupling between an external buoyant body and an inner body in a visually impaired water level checking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a visually impaired water level checking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a disk-like internal moving body.
11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water level checking apparatus for the visually impaire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state diagram illustrating a water level check apparatus for a visually impaired pers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구조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portions having similar functions and functions throughout the drawings.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in the entir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may be referred to as 'indirectly connected' not only with 'directly connected' . Also, to include an element does not exclud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but may also include other elements.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수위확인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이나 음료수와 같은 액체가 채워지는 용기(B)에 임시적으로 거치되어 용기 내부에 채워지는 액체의 수위를 시각장애인이나 저시력자가 감각적으로 정확하게 확인하여 마시고자 하는 액체의 용량을 정확히 조절할 수 있도록 본체부(110), 부력부(120) 및 감지부(13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S. 1 to 5, the visually impaired water level determin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emporarily installed in a container B filled with liquid such as water or beverage, The buoyancy unit 120 and the sensing unit 130 so that the visually impaired person or the low vision person can precisely check the liquid level of the liquid to be filled in the liquid level sensing unit 130,

상기 본체부(110)는 음용하고자 하는 용기(B)의 상단테두리에 거치되는 대략 'ㄷ' 자형의 구조물로서, 이러한 본체부(110)는 액체가 채워지는 용기(B)의 내부에 위치하는 내부본체(111)와, 상기 용기(B)의 외부에 위치하는 외부본체(112)를 포함한다. The main body 110 is a substantially 'C' -shaped structure that is mounted on the upper edge of the container B to be consumed. The main body 110 includes a body B, A body 111 and an external body 112 located outside the container B. [

상기 내부본체(111)는 상기 부력부(120)가 상하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안내턱(113)을 갖추고, 상기 부력부(120)와 감지부(130)사이를 연결하는 선재(125)가 간섭없이 진행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일정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되는 좌우한쌍의 수직판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inner main body 111 is provided with a guide protrusion 113 in which the buoyant portion 120 is assembled to be movable up and down and the wire rod 125 connecting the buoyant portion 120 and the sensing portion 130 is interfered And a pair of right and left vertical plates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nd spaced apart to form a space that is free from the above-mentioned problems.

상기 외부본체(112)는 상기 감지부(130)가 상하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안내홈(114)을 서로 마주하는 내부면에 함몰형성하고, 상기 선재(125)가 간섭없이 진행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일정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되는 좌우한쌍의 수직판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outer body 112 is formed by recessing an inner surface of the outer body 112 facing the mutually facing guide grooves 114 in which the sensing unit 130 is assembled to be movable up and down, And a pair of right and left vertical plates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여기서, 좌우한쌍의 수직판체로 이루어지는 외부본체(112)는 상기 감지부의 상하이동을 위한 간격을 형성하면서 상하이동되는 감지부와 간섭되어 이동높이를 제한할 수 있도록 서로 마주하는 수직판체의 내부면에 구비되는 상하한쌍의 연결핀(112a)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outer body 112, which is formed of a pair of right and left vertical plates, forms an interval for vertical movement of the sensing unit, interferes with the sensing unit moving up and down, And a pair of upper and lower connection pins 112a.

상기 내부본체(111)와 외부본체(112)사이에는 상기 부력부(120)와 감지부(130)사이를 연결하면서 상기 부력부(120)와 감지부(130)의 이동방향이 동일하도록 선재(125)의 진행방향을 전환시키는 방향전환부재(140)를 구비하고, 내,외부본체(111,112)사이를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본체(115)를 구비한다. The buoyant portion 120 and the sensing portion 130 are connected between the inner body 111 and the outer body 112 so that the moving direction of the buoyant portion 120 and the sensing portion 130 are the same. And a direction changing member 140 for changing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inner and outer main bodies 111 and 125. The connecting main body 115 integrally connects the inner and outer main bodies 111 and 112 to each other.

이러한 연결본체(115)는 상기 내부본체(111)의 상단과 상기 외부본체(112)사이를 일체로 연결하는 좌우한쌍의 수평판체로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설계에 따라 분리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Although the connection body 115 is shown as a pair of horizontal plate members integrally connecting the upper end of the inner body 111 and the outer body 112, the connection body 115 is not limited thereto, As shown in FIG.

상기 연결본체(115)는 서로 마주하는 좌우한쌍의 수직판체로 이루어지는 내,외부본체(111,112)와 마찬가지로 좌우한쌍의 수평판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평판체사이에는 상기 선재(125)가 안내이동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스페이서(115a)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onnection body 115 is composed of a pair of left and right horizontal plate members in the same manner as the inner and outer bodies 111 and 112 formed of a pair of right and left vertical plates facing each other and the wire member 125 is guided and moved between the horizontal plate members It is preferable to provide the spacer 115a to form a space.

이때, 상기 스페이서(115a)는 좌우한쌍의 수평판체 중 어느 하나의 수평판체 벽면에 일체로 구비되어 나머지 수평판체의 벽면에 단부가 접하는 돌출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At this time, the spacer 115a may be a protrusion formed integrally with the wall surface of the horizontal plate member of the pair of left and right horizontal plate members and contacting the end of the other horizontal plate member.

이에 따라, 상기 내,외부본체(111,112) 및 연결본체(115)는 상기 용기의 내,외부에 배치되는 한쌍의 수직판체와 이들 사이를 일체로 연결하면서 용기 상단에 거치되는 수평판체로 이루어지는 대략 'ㄷ' 자형 판체를 좌우합형한 조립구조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Accordingly, the inner and outer bodies 111 and 112 and the connecting body 115 are formed of a pair of vertical plate members disposed in the inner and outer portions of the container, and a pair of vertical plate members disposed integrally with each other, And the 'C' -shaped plate may be formed of a right and left assembly structure.

상기 용기의 내부에 배치되는 내부본체(111)와 상기 용기의 외부에 배치되는 외부본체(112)는 서로 동일한 길이로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서로 다른 길이로 구비될 수도 있다. Although the inner body 111 disposed inside the container and the outer body 112 disposed outside the container are shown to have the same length, they are not limited thereto and may have different lengths .

한편, 상기 용기(B)의 내부벽면과 마주하는 상기 내부본체(111)의 일측면 또는 상기 용기의 외부벽면과 마주하는 상기 외부본체(112)의 일측면에는 상기 용기의 수직한 벽체의 내부벽면 또는 외부벽면에 탄성적으로 접하여 상기 본체부(110)를 위치고정하는 일정크기의 고정력을 발생시키는 고정부(15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one side of the inner body 111 facing the inner wall of the container B or on one side of the outer body 112 facing the outer wall of the container, Or a fixing portion 150 elastically contacting the outer wall surface to generate a fixing force of a predetermined size to fix the main body 110 to the position.

이러한 고정부(150)는 상기 용기의 벽체와 마주하는 외부본체의 일측면에 호형으로 돌출형성되는 돌출부로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단이 상기 본체부(110)에 고정되는 고정단과 상기 용기에 탄력적으로 접하여 고정력을 발생시키는 자유단을 갖는 호형 탄성편으로 구비될 수 있다. The fixing part 150 is formed as a protrusion protruding in an arc shape on one side of the external body facing the wall of the container. However, the fixing part 150 is not limited to this, and one end may be fixed to the main body part 110 And an arc-shaped resilient piece having a fixed end and a free end that elastically contacts the container and generates a clamping force.

이에 따라, 시각장애인이나 저시력자가 상기 본체부(110)의 내,외부본체사이로 용기 벽체를 삽입하여 배치하는 경우, 상기 용기의 벽체에 탄력적으로 접하면서 고정력을 발생시키는 고정부(150)에 의해서 사용중 상기 본체부(110)의 움직임이 없도록 용기에 확고히 위치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Accordingly, when the visually impaired person or the low vision person inserts the container wall between the inner and outer main bodies of the main body 110, So that the body 110 can be firmly fixed to the container without movement.

상기 부력부(120)는 상기 용기에 채워지는 액체에 몸체일부가 침지되어 잠겨지거나 수면위에 부상되어 액체의 수위변화에 맞추어 이동되도록 부력을 갖추고, 상기 내부본체(111)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이동구조물이다. The buoyant portion 120 is buoyant enough to be partially immersed in the liquid filled in the container and immersed in the liquid or floated on the surface of water to be moved in accordance with a change in the level of the liquid, It is a moving structure.

이러한 부력부(120)는 상기 내부본체(111)에 형성된 안내턱(113)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조립됨과 동시에 외부이탈이 곤란하도록 조립되는 조립홈(122)을 일측면에 형성한 부력체(121)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buoyant portion 120 includes a buoyant body 121 formed at one side thereof with an assembly groove 122 assembled so as to be vertically movable on the guide jaws 113 formed on the inner body 111 and assembled to make it difficult to be separated from the buoyant portion 120 ).

상기 부력체(121)는 중력과 반대 방향인 윗방향으로 힘을 유체인 액체로부터 받게 되는 부력을 충분히 발생시킬 수 있도록 물보다 비중이 가벼운 발포소재로 이루어지거나 일정량의 공기와 같은 기체가 내부공간에 채워지는 공동부를 갖는 구조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buoyant body 121 is made of a foamed material having a specific gravity smaller than that of water so as to sufficiently generate a buoyancy to receive a force from the liquid fluid in the upward direction opposite to the gravity, And a structure having a cavity to be filled.

이에 따라, 상기 용기에 채워지는 액체에 몸체 일부가 침지되어 잠겨지거나 수면에 부상되어 부력을 발생시키는 부력체(121)는 상기 액체의 수위변화에 따라 상기 내부본체(110)의 안내턱을 따라 상하이동된다. Accordingly, the buoyant body 121, which is partially immersed and immersed in the liquid filled in the container, is floated on the water surface and generates buoyancy, moves up and down along the guiding jaws of the inner body 110 .

이때, 상기 부력체(121)에 형성된 조립홈(122)과 상기 내부본체(111)에 형성된 안내턱(113)사이에는 액체가 채워지도록 일정크기의 간극을 형성함에 따라 상기 부력체의 상하이동시 발생하는 마찰력을 최소화하여 마찰손실에 기인하는 상기 부력부의 부력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At this time, a gap of a predetermined size is formed between the assembling groove 122 formed in the buoyant body 121 and the guiding jaws 113 formed in the inner body 111,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buoyancy of the buoyant portion due to the friction loss.

여기서, 상기 부력체(121)는 상기 용기에 채워지는 액체와의 접촉면적을 확대하여 부력을 높일 수 있도록 외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Here, the buoyant body 121 may have an extension extending in the outward direction so as to increase the contact area with the liquid filled in the container to increase the buoyancy.

그리고, 상기 안내턱(113)의 상단과 하단에는 상기 용기에 채워지는 액체의 수위변화에 따른 상기 부력체(121)의 상하이동시 상기 내부본체의 최상단과 최하단에서 간섭되어 상기 내부본체의 상부 또는 하부로의 분리이탈을 방지하도록 스토퍼(113a)를 각각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guide jaws 113 interfere with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inner body at the same time as the up and down movement of the buoyant body 121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level of the liquid filled in the container, It is preferable that each of the stoppers 113a is provided with a stopper 113a.

상기 감지부(130)는 상기 본체부(110)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방향전환부재(140)에 의해서 방향전환되는 일정길이의 선재(125)를 매개로 상기 부력부(120)와 연결되어 상기 외부본체(112)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이동구조물이다. The sensing unit 130 is connected to the buoyancy unit 120 through a wire rod 125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that is changed by at least one direction switching member 140 provided in the main body 110, And is assembled to the external body 112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이러한 감지부(130)는 상기 선재(121)의 일단과 연결되어 상기 외부본체의 안내홈(114)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이동체(131)와, 상기 이동체(131)로부터 연장되는 연결봉(132)을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외부본체(112)의 외부면에 노출되는 감지체(133)를 포함한다. The sensing unit 130 includes a moving body 131 connected to one end of the wire rod 121 and assembled in the guide groove 114 of the outer body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And a sensing body 133 which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body 112 through an intermediary of the sensing body 133 and exposed to the external surface of the external body 112.

여기서, 상기 이동체(131)는 상기 외부본체(112)의 서로 마주하는 수직판체에 형성된 안내홈(114)사이에서 마찰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안내홈과 마주하는 외면과 점접촉하는 엠보싱부(131a)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moving body 131 is made of a material capable of minimizing the frictional resistance between the guide grooves 114 formed in the vertical plates facing each other of the outer body 112, It is preferable to have an embossing portion 131a to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it.

그리고, 상기 감지체(133)와 인접하는 상기 외부본체(112)의 외부면에는 상기 감지체(133)의 높이변화를 촉감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점자형 표시부(135)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점자형 표시부(135)는 상기 외부본체의 외부면에 일체로 구비되거나 스티커로 이루어져 부착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body 112 adjacent to the sensing body 133 is provided with a braille display portion 135 so that the change in the height of the sensing body 133 can be recognized by touch. The pointer-like display unit 135 may be integrally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body or may be formed of a sticker and attached thereto.

이에 따라, 시각장애인 또는 저시력자는 상기 용기내에 채워지는 액체의 수위변화에 따라 상승되거나 하강되는 부력체와 더불어 상승되거나 하강되는 감지부의 감지체(133)가 대응하는 위치를 상기 점자형 표시부(135)를 손가락의 촉감으로 인지하여 용기 내에 채워지는 액체용량을 정확하게 확인하여 용기내에 채워지는 액체용량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Accordingly, the visually impaired person or the low vision person can see the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sensing unit 133 of the sensing unit, which is raised or lowered together with the buoyant body that is raised or lowered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level of the liquid filled in the container, Is recognized as the tactile sensation of the finger, and the liquid capacity to be filled in the container can be accurately checked to control the liquid capacity to be filled in the container.

또한, 상기 감지부(130)는 상기 부력체(121)에 의한 상승이동 후 수위저감시 하강복귀할 수 있도록 상기 부력체(121)보다 상대적으로 무거운 중량을 갖는 구조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ensing unit 130 may be a structure having a relatively greater weight than the buoyant body 121 so that the sensing unit 130 can be lowered and returned when the water level is reduced after the buoyant body 121 moves up.

한편, 상기 부력부(120)와 감지부(130)사이를 연결하는 선재(125)의 방향을 전환시킴으로써 상기 부력부와 감지부의 상하이동을 동일한 방향으로 유도하는 방향전환부재(140)는 상기 내부본체(111)의 하부단에 구비되어 상기 선재(125)와 접하는 제1전환부재(141)와, 상기 내부본체(111)와 외부본체(112)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본체(115)에 구비되어 상기 선재(125)와 접하는 제2전환부재(142)를 포함한다.A direction changing member 140 for guiding the upward and downward movement of the buoyancy portion and the sensing portion in the same direction by switching the direction of the wire member 125 connecting the buoyancy portion 120 and the sensing portion 130 is formed in the inside A first switching member 141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main body 111 and in contact with the wire member 125 and a connection main body 115 connecting between the inner main body 111 and the outer main body 112 And a second switching member 142 in contact with the wire member 125.

이러한 제1,2전환부재(141,142)는 상기 선재(125)가 접하여 배치되는 요홈(143a)을 외주면에 함몰형성한 롤(143)과, 상기 내부본체(111) 및 연결본체(125)에 형성된 축지지홈(144a)에 각각 조립되는 축부재(144)를 포함한다. The first and second switching members 141 and 142 include a roll 143 formed by recessing a groove 143a on which the wire rod 125 is dispos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shaft members 144 that are respectively assembled to the shaft support grooves 144a.

여기서, 상기 롤(143)은 상기 축부재(144)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거나 일체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롤(143)과 조립된 축부재(144)는 상기 축지지홈(144a)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거나 위치고정될 수 있다. The roll 143 may be rotatably or integrally formed with the shaft member 144 and the shaft member 144 assembled with the roll 143 may rotate in the shaft support groove 144a Possibly assembled or fixed in position.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수위확인장치(100a)는 도 6 내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본체부(110), 부력부(120) 및 감지부(130)를 포함하며,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6 to 12, the apparatus 100a for visually handicapped person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10, a buoyancy portion 120, (130), and the same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본체부(110)는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용기(B)의 내부에 위치하는 내부본체(111)와, 상기 용기(B)의 외부에 위치하는 외부본체(112)를 포함하는바, 상기 내부본체(110)는 후술하는 내부이동체(127)가 상하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내부수직공(116)을 관통형성한 수직한 중공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부수직공(116)의 개방된 상,하부단을 밀폐하는 상,하부덮개(116a,116b)를 포함한다. The main body 110 includes an inner body 111 located inside the container B and an outer body 112 located outside the container B as in the first embodiment. The inner body 110 is formed of a vertical hollow body formed through an inner through hole 116 in which an inner moving body 127 to be described later is arranged to be movable up and down. And upper and lower covers 116a and 116b for sealing the lower end.

여기서, 상기 상,하부덮개(116a,116b)는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 또는 스냅피트와 같은 결합부재를 매개로 하여 상기 내부수직공(116)의 개방된 상,하단을 밀폐하도록 상기 내부본체(110)의 상,하단에 각각 착탈가능하게 조립되거나 억지끼움방식으로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upper and lower lids 116a and 116b are fixed to the inner body 110 (see FIG. 1) so as to seal the upper and lower open ends of the inner straight hole 116 via a coupling member such as a bolt or a snap- ), Or may be assembled in an interference fit manner.

그리고, 상기 하부덮개(116b)는 상기 용기(B)내에 채워지는 액체에 침지되는 내부본체(111)의 하부단과의 조립부위를 통해 액체가 내부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실링부재(116c)를 매개로 하여 상기 내부본체(111)의 개방된 하부단과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ower cover 116b is sealed with a sealing member 116c to prevent the liquid from being introduced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container B through the assembly portion with the lower end of the inner body 111 which is immersed in the liquid filled in the container B. To the open lower end of the inner body (111).

상기 하부덮개의 상부면에는 상기 내부본체의 내부벽면에 형성된 조립홈에 단부가 탄력적으로 걸림연결되는 스냅피트를 구비할 수도 있다.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cover may have a snap fit to which an end portion is elastically hooked and connected to an assembly groove formed in an inner wall surface of the inner body.

이러한 내부본체(111)는 개방된 하부단이 하부덮개(116b)에 의해서 밀봉처리되어 용기에 채워지는 액체의 내부유입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기 때문에 음료수와 같이 점도가 있는 액체에 의한 내부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외부오염에 대한 세척도 용이하여 항상 외관상태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The inner bottom 111 of the inner main body 111 is sealed by the bottom cover 116b to prevent internal inflow of the liquid to be filled into the container, thereby preventing internal contamination by the viscous liquid such as drinking water And it is possible to easily clean the external contamination, so that the external appearance can always be kept clean.

그리고, 상기 하부덮개(116b)는 상기 용기(B)내에 채워지는 액체에 침지되는 내부본체(111)의 하부단과의 조립부위를 통해 액체가 내부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실링부재(116c)를 매개로 하여 상기 내부본체(111)의 하부단과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ower cover 116b is sealed with a sealing member 116c to prevent the liquid from being introduced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container B through the assembly portion with the lower end of the inner body 111 which is immersed in the liquid filled in the container B. And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inner body 111.

상기 외부본체(112)는 상기 감지부(130)가 상하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안내공(117)과 이에 연통되어 외부면에 일측에 높이방향으로 개구형성되는 슬릿공(117b)을 관통형성한 일정길이의 중공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안내공(117)의 개방된 상부단을 밀폐하는 다른 상부덮개(117a)를 포함한다.The outer body 112 includes a guide hole 117 through which the sensing unit 130 is vertically movable and a slit hole 117b formed through the slit hole 117b, And another upper cover 117a that seals the open upper end of the guide hole 117. [

상기 안내공(117)의 상부단은 상기 내부수직공과 마찬가지지로 상부덮개(117a)로 밀폐하고, 하부단은 개방상태로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안내공의 하부단도 이물침입이 곤란하도록 하부덮개에 의해서 밀폐될 수도 있다. The upper end of the guide hole 117 is closed by the upper lid 117a, and the lower end of the guide hole 117 is opened. However, the upper end of the guide hole 117 is not limited to this, It may be sealed by the bottom cover so that intrusion is difficult.

여기서, 상기 슬릿공(117b)에는 상하이동되는 감지부(130)와 간섭되어 이동높이를 제한할 수 있도록 상하한쌍의 연결핀(112a)을 구비할 수 있다. Here, the slit hole 117b may include a pair of upper and lower connection pins 112a to interfere with the sensing unit 130, which is moved up and down, to limit the movement height.

이러한 상기 감지부(130)의 상하높이 제한은 상기 내부본체의 수직안내공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내부이동체(127)와 간섭되는 상하한쌍의 돌출턱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upper and lower height restriction of the sensing unit 130 may be formed by a pair of upper and lower protrusions protruding from the vertical guide holes of the inner body and interfering with the inner moving body 127.

상기 내부본체(111)와 외부본체(112)사이에도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부력부(120)와 감지부(130)사이를 연결하는 선재(125)의 진행방향을 전환시키는 방향전환부재(140)를 구비하고, 상기 내부본체(111)의 내부수직공(116)과 상기 외부본체의 안내공(117)을 연통시키는 연결공(118)을 갖는 연결본체(115)를 구비한다. A direction switching member (not shown) for switching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wire member 125 connecting between the buoyancy portion 120 and the sensing portion 130 is provided between the inner body 111 and the outer body 112 as in the first embodiment And a connection body 115 having a connection hole 118 for communicating the internal thread 116 of the internal body 111 and the guide hole 117 of the external body.

이러한 연결본체(115)는 외부로부터의 이물침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별도의 덮개부재에 의해서 밀봉처리될 수 있다. The connection body 115 can be sealed by a separate lid member so as to prevent intrusion of foreign matter from the outside.

이에 따라, 상기 내,외부본체(111,112) 및 연결본체(115)는 상기 용기의 내,외부에 배치되는 한쌍의 중공체와, 이들 사이를 일체로 연결하면서 상기 선재가 안내이동되는 통로를 갖는 대략 'ㄷ' 자형 일체 구조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Accordingly, the inner and outer bodies 111 and 112 and the connecting body 115 have a pair of hollow bodies disposed on the inner and outer sides of the container, and a pair of hollow bodies having a passage through which the wire rod is guided and moved integrally, Shaped " C " -shaped one-piece structure.

상기 부력부(120)는 상기 용기에 채워지는 액체에 몸체일부가 침지되어 잠겨지거나 수면위에 부상되어 액체의 수위변화에 맞추어 이동되도록 부력을 갖는 외부부력체(126)와, 상기 외부부력체(126)와 자력에 의해서 동일한 방향으로 상하이동되도록 상기 내부본체(111)의 내부에 형성된 내부수직공(116)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조립하는 내부이동체(127)를 포함한다. The buoyant portion 120 includes an external buoyancy body 126 having a buoyancy such that a part of the body is immersed in or immersed in the liquid filled in the vessel and floated on the water surface and moved in accordance with a change in the level of the liquid, And an inner moving body 127 which is vertically movably assembled to the inner through hole 116 formed in the inner body 111 so as to be vertically moved in the same direction by a magnetic force.

상기 외부부력체(126)는 상기 내부이동체(127)와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일정세기의 자력에 의해서 서로 당기는 인력을 발생시키는 피자성체(126a)를 상기 내부본체(111)의 외부면과 대응하는 일측면에 구비한다. The external buoyant body 126 is provided with a pneumatic body 126a for generating a pulling force to be pulled by a magnetic force of a constant intensity generated between the external buoyant body 126 and the inner moving body 127, Respectively.

이러한 피자성체(126a)와 내부이동체(127)중 어느 하나는 일정세기의 자력을 갖는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지고, 나머지 하나는 상기 영구자석과 다른 극으로 마주하는 다른 영구자석으로 구비되거나 금속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Either one of the body 126a and the internal moving body 127 is made of a permanent magnet having a magnetic force of a certain strength and the other is made of another permanent magnet facing another pole with respect to the permanent magnet, .

이러한 영구자석은 상기 외부부력체(126)의 표면이나 상기 내부이동체의 표면에 일정두께로 코팅되는 코팅층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외부부력체에 의해서 발생하는 부상력에 의해서 상기 내부이동체를 자력에 의해서 상승시킬 수 있도록 충분한 자력을 발생시키는 강자성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permanent magnet may be a coating layer coated on the surface of the external buoyant body 126 or the surface of the inner moving body to a predetermined thickness. It is preferable that the ferromagnetic body is made of a ferromagnetic material which generates a sufficient magnetic force so as to be raised by the magnetic field.

상기 피자성체(126a) 또는 내부이동체(127)에 구비되는 영구자석의 자력세기는 부재들간의 접촉에 의해서 발생하는 마찰저항을 고려하여 예측되는 설계값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자력을 갖는 강자성체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magnetic force intensity of the permanent magnet provided in the magnetic body 126a or the internal moving body 127 is formed of a ferromagnetic material having a magnetic force relatively higher than a design value predicted in consideration of frictional resistance caused by contact between the members desirable.

그리고, 상기 피자성체(126a)를 제외하는 나머지 외부부력체(126)는 중력과 반대 방향인 윗방향으로 힘을 유체인 액체로부터 받게 되는 부력을 충분히 발생시킬 수 있도록 물보다 비중이 가벼운 발포소재로 이루어지거나 일정량의 공기와 같은 기체가 내부공간에 채워지는 공동부를 갖는 구조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external buoyant body 126 excluding the adherent body 126a is formed of a foamed material having a specific gravity smaller than that of water so as to sufficiently generate buoyancy that the force is received from the liquid fluid in the upward direction opposite to the gravity Or a structure having a cavity in which a gas such as a certain amount of air is filled in the inner space.

이때, 상기 외부부력체(126)는 액체와 접하는 면적을 확대하여 높은 부상력을 얻을 수 있도록 반달모양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external buoyant body 126 is shown in a half-moon shape in order to enlarge an area in contact with the liquid and obtain a high levitation forc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provided in various forms.

이에 따라, 상기 용기에 채워지는 액체에 몸체 일부가 침지되어 잠겨지거나 수면에 부상되어 부력을 발생시키는 외부부력체(126)는 상기 액체의 수위변화에 따라 상하이동되고, 상기 피자성체(126a)와 대응하여 상기 내부본체의 내부수직공에 배치된 내부이동체(127)도 이들사이에 발생하는 자력에 의해서 상하이동되는 것이다. Accordingly, the external buoyant body 126, which is partially immersed and immersed in the liquid filled in the container or floated on the water surface, generates buoyancy, is moved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liquid level, The inner moving body 127 disposed in the inner working hole of the inner body correspondingly moves up and down by the magnetic force generated therebetween.

한편, 상기 외부부력체(126)는 도 8과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내부본체의 외부면에 함몰형성되는 안내홈(111)에 대응결합되어 수위변화에 따라 상하안내이동되는 돌출부(126b)를 구비하며, 이러한 돌출부(126b)의 외부면 또는 상기 안내홈(111a)의 내부면에는 이들간의 접촉에 기인하는 마찰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선형 돌기(111b)를 상기 외부부력체의 이동방향과 나란하도록 연속하여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8 and 9, the outer buoyant body 126 is coupled to the guide groove 111 formed in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body to be vertically guided And at least one linear protrusion 111b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rotrusion 126b or the inner surface of the guide groove 111a so as to reduce frictional resistance caused by the contact between them, So as to be parallel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ieve.

이때, 상기 돌출부(126b)의 외부면과 상기 안내홈(111a)사이에는 액체가 채워지도록 일정크기의 간극을 형성함에 따라 상기 외부부력체(126)의 상하이동시 상기 내부본체와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을 최소화하여 마찰손실에 기인하는 상기 부력부(120)의 부력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The gap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protrusion 126b and the guide groove 111a is formed with a gap of a predetermined size to fill the gap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protrusion 126b and the guide groove 111a, The frictional force can be minimized and the buoyancy of the buoyant portion 120 caused by the friction loss can be prevented from lowering.

여기서, 상기 외부부력체(126)는 상기 용기에 채워지는 액체와의 접촉면적을 확대하여 부력을 높일 수 있도록 액체 수면전체를 덮을 정도의 크기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외부부력체(126)는 분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내,외부본체 또는 이들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본체와 일정길이의 연결선을 매개로 연결될 수 있다. The external buoyant body 126 may be sized to cover the entire liquid surface to increase the buoyancy by enlarging the contact area with the liquid filled in the container. And may be connected to the inner or outer body or the connecting body connecting between them through a connecting line of a predetermined length so as to prevent loss.

또한, 상기 내부이동체(127)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내부본체의 내부면에 외주면이 부분적으로 접하는 좌우한쌍의 원반체(127a,127a)와, 상기 선재와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좌우한쌍의 원반체사이를 연결하는 연결축(127b)을 포함하며, 상기 원반체는 상기 연결축의 양단에 각각 고정조립되거나 회전가능하도록 조립될 수 있다. 10, the inner moving body 127 includes a pair of left and right disks 127a and 127a havi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partially in contact with an inner surface of the inner body, And a connecting shaft 127b connecting the pair of discs, and the disc may be fixedly assembled or rotatably mounted at both ends of the connecting shaft.

이에 따라, 상기 용기내에 채워지는 액체의 수위변화에 따른 상기 외부부력체의 상하이동과 더불어 상하이동되는 내부이동체의 원반체는 상기 내부본체의 내부면과 접하여 미끄럼식으로 이동되거나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Accordingly, the disk of the inner moving body, which is vertically moved together with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outer floating body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level of the liquid filled in the container, is slidably moved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body, It can be.

상기 감지부(130)는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선재(121)의 일단과 연결되어 상기 외부본체의 안내공(117)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이동체(131)와, 상기 이동체(131)로부터 연장되는 연결봉(132)을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외부본체(112)의 외부면에 노출되는 감지체(133)를 포함한다.The sensing unit 130 includes a moving body 131 connected to one end of the wire rod 121 and assembled to the guide hole 117 of the outer body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as in the first embodiment, And a sensing member 133 connect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body 112 through a connection rod 132 extending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body 112.

여기서, 상기 이동체(131)는 상기 외부본체(112)의 안내공(117) 내부면과의 접촉에 기인하는 마찰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안내공과 마주하는 외면과 점접촉하는 엠보싱부(131a)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moving body 131 is made of a material capable of minimizing the frictional resistance due to th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guide hole 117 of the outer body 112, or may be made of an embossing material having point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facing the guide hole.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portion 131a.

그리고, 상기 감지체(133)와 인접하는 상기 외부본체(112)의 외부면에도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점자형 표시부(135)를 구비함으로써 액체의 수위변화에 따라 상승되거나 하강되는 외부부력체 및 내부이동체와 더불어 상승되거나 하강되는 감지부의 감지체가 대응하는 위치를 상기 점자형 표시부를 손가락의 촉감으로 인지하여 용기내에 채워지는 액체용량을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body 112 adjacent to the sensing body 133 is also provided with a point-like display portion 135 as in the first embodiment so that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body is raised or lowered according to the liquid level change. The position of the sensing unit of the sensing unit, which is raised or lowered together with the internal moving body, is recognized as the tactile display of the fingertip display unit, and the liquid capacity to be filled in the container can be accurately controlled.

또한, 상기 감지부(130)는 상기 외부부력체(126) 및 내부이동체(127)에 의한 상승이동 후 수위저감시 하강복귀할 수 있도록 상기 내부이동체(121)보다 상대적으로 무거운 중량을 갖는 구조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외부부력체(126)은 내부본체로부터 분리이격되어 자력이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감지부의 하강복귀가 이루어질 수 있다 The sensing unit 130 may be a structure having a relatively greater weight than the internal moving body 121 so that the sensing unit 130 can be lowered and returned when the water level is lowered after moving up by the external buoyant body 126 and the internal moving body 127 . At this time, the external buoyant body 126 may be separated from the inner body so that the sensing unit may be returned and returned while the magnetic force is released

한편, 상기 방향전환부재(140)는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내부본체(111)의 하부단에 구비되어 상기 선재(125)와 접하는 제1전환부재(141)와, 상기 내부본체(111)와 외부본체(112)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본체(115)에 구비되어 상기 선재(125)와 접하는 제2전환부재(142)를 포함한다. The direction switching member 140 includes a first switching member 141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inner body 111 and in contact with the wire member 125 as in the first embodiment, And a second switching member 142 provided in the connection body 115 for connecting between the external body 112 and the wire member 125.

상기 제1전환부재(141)는 상기 선재(125)가 접하는 하부면이 하부로 돌출되고, 상기 내부수직공을 형성하는 내부본체(112)의 내부면으로부터 연장되는 호형단면상의 리브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리브는 상기 제2전환부재(142)에 동일하게 돌출방향만 달리하여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The first switching member 141 may be formed of a rib-shaped rib extending downwar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body 112 forming the inner through hole, the lower surface of which the wire member 125 contacts, The ribs may be equally applied to the second switching member 142 with different protruding directions.

또한, 상기 제1전환부재(141)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내부수직공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상부덮개의 하부면으로부터 직하부로 일정길이 연장되거나 상기 내부수직공의 내부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선재가 하부단에 접하는 수직리브(141a)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전환부재(142)는 상기 내부본체(111)와 외부본체(112)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본체(115)에 구비되는 연결공(118)의 내부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선재가 상단부에 접하는 다른 수직리브(142a)로 이루어질 수 있다. 8, the first switching member 141 may exten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cover covering the opened upper portion of the inner through hole to a portion directly underneath or exten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through hole And the second switching member 142 is provided in a connection body 115 connecting between the inner body 111 and the outer body 112, And another vertical rib 142a exten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connection hole 118 and contacting the upper end of the wire rod.

여기서, 상기 수직리브(141a,142a)는 상기 선재와의 안내이동을 보다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호형으로 굴곡된 접촉판(141b,142b)를 각각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vertical ribs 141a and 142a may be provided with arc-shaped contact plates 141b and 142b, respectively, so as to more reliably perform guiding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wire rod.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110 : 본체부
111 : 내부본체
112 : 외부본체
113 : 안내턱
114 : 안내홈
115 : 연결본체
116 : 내부수직공
117 : 안내공
118 : 연결공
120 : 부력부
121 : 부력체
122 : 조립홈
125 : 선재
126 : 외부부력체
127 : 내부이동체
130 : 감지부
131 : 이동체
132 : 연결봉
133 : 감지체
135 : 점자형 표시부
140 : 방향전환부재
141 : 제1전환부재
142 : 제2전환부재
110:
111: inner body
112: external body
113: guide chin
114: guide groove
115: connecting body
116: Internal handler
117: Guide ball
118: connecting ball
120: buoyancy part
121: Buoyant body
122: Assembly groove
125: wire rod
126: External buoyancy
127: internal moving body
130:
131: Moving object
132: connecting rod
133:
135:
140:
141: first switching member
142: second switching member

Claims (19)

액체가 채워지는 용기의 내부에 위치하는 내부본체와, 상기 용기의 외부에 위치하는 외부본체를 갖추어 상기 용기의 상단테두리에 거치되는 본체부 ;
상기 용기에 채워지는 액체에 잠겨지거나 수면부상되어 액체의 수위변화에 맞추어 이동되도록 상기 내부본체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부력부 ; 및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방향전환부재에 의해서 방향전환되는 일정길이의 선재를 매개로 상기 부력부와 연결되어 상기 외부본체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감지부 ; 를 포함하는 시각장애인용 수위확인장치.
A main body part having an inner body positioned inside a container filled with liquid and an outer body positioned outside the container, the container body being mounted on an upper edge of the container;
A buoyant portion which is assembled to the inner body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so as to be immersed in the liquid to be filled in the container or floated on the surface of the inner body so as to be moved in accordance with a change in the level of the liquid; And
A sensing part connected to the buoyancy part via a wir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being vertically movable by the at least one direction switching element provided in the body part, And a water level sensor for visually impaired persons.
액체가 채워지는 용기의 내부에 위치하는 내부본체와, 상기 용기의 외부에 위치하는 외부본체를 갖추어 상기 용기의 상단테두리에 거치되는 본체부 ;
상기 용기에 채워지는 액체에 잠겨지거나 수면부상되어 액체의 수위변화에 맞추어 이동되는 외부부력체와, 상기 외부부력체와 자력에 의해서 동일한 방향으로 상하이동되는 내부이동체를 상기 내부본체의 내부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조립하는 부력부 ; 및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방향전환부재에 의해서 방향전환되는 일정길이의 선재를 매개로 상기 내부이동체와 연결되어 상기 외부본체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감지부 ; 를 포함하는 시각장애인용 수위확인장치.
A main body part having an inner body positioned inside a container filled with liquid and an outer body positioned outside the container, the container body being mounted on an upper edge of the container;
An outer buoyant body which is immersed in the liquid filled in the vessel or floated on the water surface and is moved in accordance with a change in the level of the liquid, and an inner buoyant body which is vertically moved in the same direction by the magnetic force with the buoyant outer body, Buoyant parts possibly assembled; And
A sensing unit connected to the internal moving body via a wir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being vertically movable by the at least one direction changing member provided in the body, And a water level sensor for visually impaired perso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본체는 상기 부력부가 상하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안내턱을 갖추고, 상기 부력부와 감지부사이를 연결하는 선재가 간섭없이 진행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일정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되는 좌우한쌍의 수직판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수위확인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uoyancy portion of the inner body is provided with a guiding jaw assembled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and a pair of right and left straight plates arranged parallel to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so as to form a space in which the buoyancy portion and the sensing buoy- And a water level detector for detecting the level of the visually handicapped pers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본체는 상기 감지부가 상하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안내홈을 서로 마주하는 내부면에 함몰형성하고, 상기 선재가 간섭없이 진행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일정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되는 좌우한쌍의 수직판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수위확인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outer body includes a pair of right and left vertical plates disposed in parallel to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so as to form a space in which the wire rod moves without interference, And a water level detector for detecting the level of the visually handicapped pers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본체와 외부본체사이에는 상기 선재의 진행방향을 전환시키는 방향전환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내,외부본체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본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수위확인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connection body for connecting the inner and outer bodies with the direction switching member for switching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wire between the inner body and the outer body.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본체는 상기 내부본체의 상단과 상기 외부본체사이를 일체로 연결하는 좌우한쌍의 수평판체를 포함하고, 좌우한쌍의 수평판체사이에는 상기 선재가 안내이동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스페이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수위확인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connection body includes a pair of left and right horizontal plate members integrally connecting the upper end of the inner body and the outer body, and a spacer is provided between the pair of left and right horizontal plate members to form a space through which the wire is guided and moved Wherein the water level detection device is a water level detection device for a visually impaired pers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본체는 상기 내부이동체가 상하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내부수직공을 관통형성한 중공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부수직공의 개방된 상,하부단을 밀폐하는 상,하부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수위확인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inner body includes an upper cover and a lower cover which are made of a hollow body having an inner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inner moving body is vertically movable and which hermetically open upper and lower ends of the inner through hole, For the visually impair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본체는 상기 감지부가 상하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안내공과 이에 연통되어 상기 외부몸체의 외부면에 개구형성되는 슬릿공을 관통형성한 중공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수위확인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outer body includes a hollow body through which the sensing unit is guided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and a slit hole formed through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body so as to communicate therewith.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본체와 외부본체사이에는 상기 선재의 진행방향을 전환시키는 방향전환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내부본체의 내부수직공과 상기 외부본체의 안내공을 연통시키는 연결공을 갖는 연결본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수위확인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And a connection body having a direction switching member for switching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wire rod between the inner body and the outer body and having a connection hole communicating an inner vertical hole of the inner body and a guide hole of the outer body. For the visually impair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부는 상기 내부본체에 형성된 안내턱에 외부이탈곤란하게 조립되고, 상기 용기의 액체가 개재되도록 상기 안내턱사이에 간극을 형성하는 조립홈을 갖는 부력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수위확인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buoyant portion includes a buoyant body having an assembling groove which is assembled in a guide jaw formed in the inner body so as to be difficult to be detached and which forms a gap between the guide jaws so that liquid in the container is interposed therebetween Water Level Identification Devic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턱은 상단과 하단에 상기 부력체와 간섭되어 상하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수위확인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guide jaw has a stopper which interferes with the buoyant body at the upper and lower ends to restrict the upward and downward movement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부력체는 상기 이동체와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일정세기의 자력에 의해서 서로 당기는 인력을 발생시키는 피자성체를 상기 내부본체의 외부면과 대응하는 일측면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수위확인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Characterized in that the external buoyant body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dy corresponding to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body for generating a pulling force to be pulled by a magnetic force of constant intensity generated between the body and the moving body Identification devic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피자성체와 이동체중 어느 하나는 일정세기의 자력을 갖는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지고, 나머지 하나는 상기 영구자석과 다른 극으로 마주하는 다른 영구자석으로 구비되거나 금속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수위확인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one of the permanent magnet and the moving body is made of a permanent magnet having a magnetic force of a certain strength and the other permanent magnet is made of a metal material or another permanent magnet facing another pole with respect to the permanent magnet Water Level Identification Device.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용기의 내부벽면 또는 외부벽면에 탄성적으로 접하여 상기 본체부를 위치고정하는 고정력을 발생시키는 고정부를 추가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수위확인장치.
1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3,
Wherein the body portion further comprises a fixing portion for elastically contacting the inner wall surface or the outer wall surface of the container to generate a fixing force for fixing the body portion.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용기의 내부벽면과 마주하는 내부본체의 일측면 또는 상기 용기의 외부벽면과 마주하는 외부본체의 일측면에 호형으로 돌출형성되는 돌출부로 구비되거나 상기 본체부에 일단이 고정되는 호형 탄성편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수위확인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fixing portion may include a protrus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inner body facing the inner wall of the container or on one side of the outer body facing the outer wall of the container, And a water level sensor for visually impaired persons.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와 인접하는 상기 외부본체의 외부면에는 상기 감지부의 높이변화를 촉감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점자형 표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수위확인장치.
1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3,
Wherein the external surface of the external body adjacent to the sensing unit is provided with a pointing type display unit for recognizing the change in height of the sensing unit by touch.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전환부재는 상기 내부본체의 하부단에 구비되어 상기 선재와 접하는 제1전환부재와, 상기 내부본체와 외부본체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선재와 접하는 제2전환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수위확인장치.
1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3,
The direction switching member includes a first switching member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inner body and in contact with the wire rod, and a second switching member provided in a connection body connecting between the inner body and the outer body, Wherein the water level detecting device is a water level detecting device for a visually impaired person.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환부재 또는 제2전환부재는 상기 선재가 접하여 배치되는 요홈을 외주면에 함몰형성한 롤과, 상기 내부본체 및 연결본체에 형성된 축지지홈에 각각 조립되는 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수위확인장치.
18. The method of claim 17,
The first switching member or the second switching member includes a roll formed by recessing a groove on which the wire rod is dispos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 shaft member which is respectively assembled to the shaft main body formed in the inner body and the connecting body. For the visually impaired.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환부재 또는 제2전환부재는 상기 선재와 접하도록 상기 내부본체 또는 연결본체로부터 연장되는 일정길이의 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수위확인장치.
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first switching member or the second switching member includes a rib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extending from the inner body or the connecting body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wire rod.
KR1020130141542A 2013-11-20 2013-11-20 Water Level Checking Device for Visual Impairment Person KR10153564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1542A KR101535646B1 (en) 2013-11-20 2013-11-20 Water Level Checking Device for Visual Impairment Pers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1542A KR101535646B1 (en) 2013-11-20 2013-11-20 Water Level Checking Device for Visual Impairment Pers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7773A true KR20150057773A (en) 2015-05-28
KR101535646B1 KR101535646B1 (en) 2015-07-09

Family

ID=53392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1542A KR101535646B1 (en) 2013-11-20 2013-11-20 Water Level Checking Device for Visual Impairment Pers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564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810982B (en) * 2022-06-21 2023-08-01 黃英嘉 Sensing device for the amount of water in the cup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89510B (en) * 2020-01-21 2021-04-23 江西水利职业学院 Pond underwater topography multi-point measuring device and measuring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9198B2 (en) 1993-02-26 2001-02-26 東海ゴム工業株式会社 Hose for automotive fuel piping
KR20090070177A (en) * 2007-12-27 2009-07-01 박민규 Water level detector for low vision person
KR200454283Y1 (en) * 2009-04-15 2011-06-24 진선영 Hanger for fixing of ceiling structure
KR200464453Y1 (en) * 2010-12-09 2013-01-02 노봉환 Checking apparatus for remains of medicin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810982B (en) * 2022-06-21 2023-08-01 黃英嘉 Sensing device for the amount of water in the cu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5646B1 (en) 2015-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6334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ceptacle auto fill using inductive sensing
CN108601467B (en) Beverage cup capacity adjusting device
KR101535646B1 (en) Water Level Checking Device for Visual Impairment Person
US1156452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fluid consumption
AU2016344174A1 (en) Smart drink container
US10519025B2 (en) Adjustable liquid level autofill pitcher for an appliance
KR102561764B1 (en) Smart bottle
JP2008513759A (en) Weighing device
KR200476477Y1 (en) An alarm device for a cup used in visually impaired
US8303180B2 (en) Temperature recorder
JP5797274B2 (en) rice cooker
KR101195196B1 (en) Cup auxiliary device for eyesight disabled person
CN204600185U (en) A kind of kettle surveying water temperature
KR102476533B1 (en) Baby bottle with milk pump
RU2760509C2 (en) Device for determining the load and the corresponding manufacturing method
KR101900670B1 (en) Height measuring device including magnet
GB2520975A (en) Spill-proof liquid heating vessels
KR20240068103A (en) A water level sensor such as a paper cup for the visually impaired
KR200301667Y1 (en) cup for a blind person
CN220860058U (en) Integrated motion level detection device
RU2767832C2 (en) System for detecting excess over a preset threshold for the amount of contents in a container
CN109540276B (en) Food weight measuring device for steam box
CN211609146U (en) Cooking machine
KR20240063654A (en) Tumbler capable of displaying semi-permanent temperature
JP2023184269A (en) rice cook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