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7635A -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7635A
KR20150057635A KR1020130141242A KR20130141242A KR20150057635A KR 20150057635 A KR20150057635 A KR 20150057635A KR 1020130141242 A KR1020130141242 A KR 1020130141242A KR 20130141242 A KR20130141242 A KR 20130141242A KR 20150057635 A KR20150057635 A KR 201500576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container
unit
housing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1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세웅
김현정
박상욱
김혜련
이상호
박선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301412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57635A/ko
Publication of KR201500576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76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B65D25/40Nozzles or spo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화장품을 수용하며, 상기 화장품이 토출되는 토출구를 구비하는 용기부; 상기 용기부의 상부에 설치되는 분사부 또는 도포부; 상기 분사부의 측면에 설치되는 버튼부; 및 노즐을 구비하여 상기 토출구와 상기 분사부를 연통되게 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버튼부의 횡방향 이동에 따라 하강하여 상기 토출구를 오픈(open) 시킴으로써, 상기 용기부에 수용된 상기 화장품이 상기 분사부를 통하여 분사되게 하거나 상기 도포부로 이동되게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내부에 수용된 화장품을 에어로졸(aerosol) 타입으로 분사되게 하거나, 화장 부위를 도포할 수 있게 도포부로 이동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장품 용기{Cosmetic vessel}
본 발명은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수용된 화장품을 에어로졸(aerosol) 타입으로 분사하거나 또는 물파스와 같이 바르는 방식으로 피부에 액상의 화장품을 도포할 수 있게 하는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무형 화장품 용기는 상부 부분에 상기 화장품 용기 내에 보관된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시킬 수 있도록 분사구가 장착되어 있다.
이와 관련된 종래의 기술로는 본 출원인의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2-0026209호인 '리필 가능한 화장품 용기'가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필 가능한 화장품 용기에는 상기 디스펜서(1b)가 용기본체(1a)에 대해 하방으로 눌리면 상기 디스펜서(1b)의 펌핑작용으로 상기 용기본체(1a) 내의 내용물이 상기 디스펜서(1b)를 통해 외부로 토출되는 구조가 기재되어 있다. 소비자는 디스펜서(1b)의 조작을 통해 상기 용기본체(1a) 내의 내용물을 외부로 편리하게 토출시켜 쓸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 리필 가능한 화장품 용기는 디스펜서(1b)의 펌핑작용을 이용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사용하는데 있어서 불편하다.
또한, 사용자는 한 손으로 몸체를 잡은 상태에서, 상기 화장품 용기의 상부에 설치되는 디스펜서(1b)를 하방쪽으로 가압하기 때문에, 상기 화장품 용기를 떨어뜨릴 가능성이 존재한다.
즉, 상기 화장품 용기의 하중과 더불어 상기 화장품 용기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힘에 의하여, 사용자는 상기 화장품 용기를 빈번하게 떨어뜨리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내부에 수용된 화장품을 에어로졸(aerosol) 타입으로 분사하거나 또는 물파스와 같이 바르는 방식으로 피부에 액상의 화장품을 도포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측면에 버튼을 구비하여 화장품 용기의 하중의 방향과 버튼의 가압 방향을 다르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놓치는 사고를 방지하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내부에 화장품을 수용하며, 상기 화장품이 토출되는 토출구를 구비하는 용기부; 상기 용기부의 상부에 설치되는 분사부; 상기 분사부의 측면에 설치되는 버튼부; 및 노즐을 구비하여 상기 토출구와 상기 분사부를 연통되게 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버튼부의 횡방향 이동에 따라 하강하여 상기 토출구를 오픈(open) 시킴으로써, 상기 용기부에 수용된 상기 화장품이 상기 분사부를 통하여 분사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에 의하여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분사부는, 상기 버튼부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삽입공과 상기 노즐의 일 영역이 삽입되도록 형성된 연통공을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상기 연통공과 연통되게 결합되는 분사구; 및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상기 스위치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내부에 화장품을 수용하며, 상기 화장품이 토출되는 토출구를 구비하는 용기부; 상기 용기부의 상부에 설치되는 도포부; 상기 도포부의 측면에 설치되는 버튼부; 및 노즐을 구비하여 상기 토출구와 상기 도포부를 연통되게 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버튼부의 횡방향 이동에 따라 하강하여 상기 토출구를 오픈(open) 시킴으로써, 상기 용기부에 수용된 상기 화장품이 상기 도포부로 이동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에 의하여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도포부는, 상기 버튼부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삽입공과 상기 노즐의 일 영역이 삽입되도록 형성된 연통공을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상기 연통공과 연통되게 결합되는 스폰지 바디; 상기 스폰지 바디를 덮도록 설치되는 스폰지 패드; 및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상기 스위치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폰지 패드와 상기 스폰지 바디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스폰지의 외형이 유지되게 하는 텐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버튼부는 버튼과; 상기 버튼으로부터 상기 버튼의 누름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되, 상기 스위치부를 가압하도록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을 구비하는 수평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토출구를 가압하여 상기 화장품이 토출되게 하는 가압부; 상기 가압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되, 단부가 라운딩 처리된 돌출부; 및 상기 토출구와 상기 연통공을 연결하는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튼이 가압됨에 따라, 상기 수평이동부는 상기 버튼부의 삽입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돌출부의 단부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스위치부가 하방으로 이동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용기부는 상기 토출구를 구비하는 내압 용기와, 상기 내압 용기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내부에 수용된 화장품을 에어로졸(aerosol) 타입으로 분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품 용기는 내부에 수용된 화장품을 스폰지 패드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화장 부위를 도포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측면에 버튼을 구비하여 화장품 용기의 하중의 방향과 버튼의 가압 방향을 다르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놓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분무형 화장품 용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를 나타내는 분해 단면도이고,
도 3 및 도 4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분사 동작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사용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에 관한 해결 방안을 명확화하기 위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 공지기술에 관한 설명이 오히려 본 발명의 요지를 불명료하게 하는 경우 그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설계자, 제조자 등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도면번호(참조번호)로 표시된 부분은 동일한 요소들을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는 용기부(100), 분사부(200), 버튼부(300) 및 스위치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용기부(100)는 내부에 화장품(2)이 수용된 내압 용기(110)와 케이스(120)를 포함할 수 있다.
내압 용기(110)는 내부에 에어(air) 또는 질소와 같은 압축된 기체 및 화장품(2)을 수용한다. 그리고, 내압 용기(11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구(111)를 구비한다. 그에 따라, 토출구(111)의 오픈(open)시, 화장품(2)은 토출구(111)를 통하여 내압 용기(110)의 외부로 토출된다.
또한, 내압 용기(110)는 케이스(12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에 따라, 내압 용기(110) 내부에 수용된 화장품(2)의 소진시, 내압 용기(110)만을 교체할 수 있다.
분사부(200)는 용기부(100)의 상부에 설치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부(200)는 하우징(210), 분사구(220) 및 지지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210)은 내부에 수용 공간(211)을 구비하며, 수용 공간(211)에는 스위치부(400)가 설치된다. 그리고, 하우징(210)의 일측에는 버튼부(300)가 삽입되어 설치되게 삽입공(212)이 형성된다.
또한, 하우징(210)은, 일측에는 스위치부(400)의 노즐이 결합되고, 타측에는 분사구(220)가 결합되도록 형성된 연통공(213)을 포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토출구(111)를 통하여 토출되는 화장품(2)은 노즐 및 연통공(213)을 거쳐 분사구(220)를 통하여 에어로졸(aerosol) 타입으로 분사되게 된다.
분사구(220)는 하우징(210)의 상부에 위치하는 연통공(213)과 연통되게 결합한다.
지지부(230)는 하우징(210)의 하부에 설치되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부(400)를 안내한다.
좀 더 상세하게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230)는 스위치부(400)의 일 영역이 삽입되도록 형성된 결합공(231)을 포함하여, 스위치부(400)의 상하 이동시, 스위치부(400)를 안내한다. 또한, 스위치부(400)의 타측 영역은 연통공(213)에 삽입되어 안내된다.
그에 따라,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부(400)가 상하로 이동하더라도 일측은 연통공(213)에 의하여, 타측은 지지부(230)에 의하여 안내 및 지지되게 된다.
버튼부(300)는 분사부(200)의 측면에 설치된다. 좀 더 상세하게는 하우징(210)에 형성된 삽입공(212)에 삽입 설치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화장품 용기는 사용자는 한 손으로 몸체를 잡은 상태에서, 상기 화장품 용기의 상부에 설치되는 디스펜서(1b)를 하방쪽으로 가압하기 때문에, 상기 화장품 용기를 빈번하게 떨어뜨리는 사고를 유발하는 문제가 있다.
즉, 종래의 화장품 용기의 하중의 방향과 사용시 가압되는 방향이 일치하기 때문에, 상기 화장품 용기를 떨어뜨리는 사고를 유발한다 .
그러나, 본 발명인 상기 화장품 용기(1)의 버튼부(300)는 측면에 설치되기 때문에, 상기 화장품 용기(1)의 하중의 방향과 가압되는 방향을 달리하여 상기 화장품 용기(1)를 떨어뜨리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화장품 용기(1)의 버튼부(300)를 가압하는 검지 외의 손가락의 경우 가압되는 방향의 역방향으로 상기 화장품 용기(1)를 지지하여 상기 화장품 용기(1)를 떨어뜨리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버튼부(300)는 버튼(310)과 수평이동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버튼(31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상기 화장품 용기(1)의 사용시, 사용자에 의하여 가압된다.
수평이동부(320)는 버튼(310)으로부터 버튼(310)의 누름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수평이동부(32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부(400)를 가압하도록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321)을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부(400)는 버튼부(300)의 가압에 따라 토출구(111)를 오픈(open) 시켜 용기부(100)에 수용된 화장품(2)이 분사부(200)를 통하여 분사되게 한다.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스위치부(400)는 토출구(111)와 분사구(220)를 연통되게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버튼부(300)의 가압에 따라 토출구(111)를 오픈(open) 시킨다.
즉, 스위치부(400)는 토출구(111)를 개폐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스위치부(4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부(410), 돌출부(420) 및 노즐(430)을 포함할 수 있다.
가압부(410)는 일측에는 돌출구(111)가 결합되도록 형성된 결합공(411)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가압부(410)는, 버튼부(300)의 가압 여부에 따라, 돌출구(111)를 개폐시킨다.
돌출부(420)는 가압부(410)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돌출부(420)의 선단은 라운드 처리되게 형성되기 때문에, 가압면(321)의 이동에 따라 돌출부(420)의 선단은 가압되어 스위치부(400)가 하방으로 이동되게 된다.
그에 따라, 스위치부(400)는 토출구(111)를 오픈시키게 된다.
노즐(43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부(410)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노즐(430)은 토출구(111)와 분사구(220)를 연통되게 연결시킨다.
그에 따라, 용기부(100)에 수용된 화장품(2)은 토출된 후, 노즐(430)을 거쳐 분사구(220)를 통해 에어로졸(aerosol) 타입으로 분사된다.
본 발명의 노즐(430)은 가압부(410)에 일체로 형성된 것을 그 예로 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결합공(411)에 결합하여 토출구(111)와 연통되게 하는 별도의 구조물로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화장품 용기(1)의 동작을 살펴본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부(300)의 가압에 따라, 버튼부(300)는 버튼부(300)의 삽입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버튼부(300)의 가압면(321)은 스위치부(400)의 돌출부(420) 선단을 가압하여 스위치부(400)가 하방으로 이동되게 함으로써, 토출구(111)를 오픈시킨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부(300)의 가압력이 해제됨에 따라, 내압 용기(110)의 토출구(111)는 내압 용기(110)의 내부 압력에 의하여 가압 전 상태로 복귀한다.
제2 실시예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a)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a)를 설명함에 있어서, 상술 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a)는 용기부(100), 도포부(200a), 버튼부(300) 및 스위치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포부(200a)는 용기부(100)의 상부에 설치된다. 그리고, 도포부(200a)는 하우징(210), 도포구(220a) 및 지지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포구(220a)는 스폰지 바디(221), 스폰지 패드(222) 및 텐션부(223)를 포함할 수 있다.
스폰지 바디(221)는 하우징(210)의 상부에 위치하는 연통공(213)과 연통되게 결합한다. 그에 따라, 토출구(111)를 통하여 토출되는 화장품(2)은 노즐(430) 및 연통공(213)을 거쳐 스폰지 바디(221)로 이동하여 스폰지 바디(221)를 덮는 스폰지 패드(222)에 스며들게 된다.
따라서, 스폰지 패드(222)는, 화장품(2)의 토출시, 화장품(2)이 스며들어 피부에 도포 가능한 상태가 된다.
텐션부(223)는 스폰지 바디(200)의 상부 및 스폰지 패드(600)의 하부 사이에 설치된다. 그리고, 텐션부(223)는 스폰지 패드(600)의 외형을 유지토록 지지하며, 탄성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화장품 용기(1)를 이용한 피부 도포시, 피부 자극을 완화한다.
그리고, 텐션부(223)는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에 형성된 복수 개의 분사공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분사공의 분포 위치 및 갯수는 화장품(2)의 유출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설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화장품 용기(1, 1a)는 뚜껑(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뚜껑(50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부(200) 또는 토출부(200a)를 덮도록 설치된다. 그에 따라, 상기 화장품 용기(1)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분사부(200) 또는 토출부(200a)를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로부터 보호할 수 있게 하여, 화장시 사용자가 오염된 화장품(2)을 사용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실시 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는 물론 관련 기술 분야에서 본 명세서에 언급된 내용 이외의 다른 여러 기술적 과제들을 해결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해 실시 예들을 참고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본 발명이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자명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균등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화장품 용기 2 : 화장품
100 : 용기부 200 : 분사부
200a : 도포부 210 : 하우징
220 : 분사구 220a : 도포구
221 : 스폰지 바디 222 : 스폰지 패드
223 : 텐션부 300 : 버튼부
310 : 버튼 320 : 수평이동부
400 : 스위치부 410 : 가압부
420 : 돌출부 430 : 노즐
500 : 뚜껑

Claims (9)

  1. 내부에 화장품을 수용하며, 상기 화장품이 토출되는 토출구를 구비하는 용기부;
    상기 용기부의 상부에 설치되는 분사부;
    상기 분사부의 측면에 설치되는 버튼부; 및
    노즐을 구비하여 상기 토출구와 상기 분사부를 연통되게 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버튼부의 횡방향 이동에 따라 하강하여 상기 토출구를 오픈(open) 시킴으로써, 상기 용기부에 수용된 상기 화장품이 상기 분사부를 통하여 분사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부는,
    상기 버튼부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삽입공과 상기 노즐의 일 영역이 삽입되도록 형성된 연통공을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상기 연통공과 연통되게 결합되는 분사구; 및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상기 스위치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3. 내부에 화장품을 수용하며, 상기 화장품이 토출되는 토출구를 구비하는 용기부;
    상기 용기부의 상부에 설치되는 도포부;
    상기 도포부의 측면에 설치되는 버튼부; 및
    노즐을 구비하여 상기 토출구와 상기 도포부를 연통되게 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버튼부의 횡방향 이동에 따라 하강하여 상기 토출구를 오픈(open) 시킴으로써, 상기 용기부에 수용된 상기 화장품이 상기 도포부로 이동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부는,
    상기 버튼부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삽입공과 상기 노즐의 일 영역이 삽입되도록 형성된 연통공을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상기 연통공과 연통되게 결합되는 스폰지 바디;
    상기 스폰지 바디를 덮도록 설치되는 스폰지 패드; 및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상기 스위치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폰지 패드와 상기 스폰지 바디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스폰지의 외형이 유지되게 하는 텐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는
    버튼과;
    상기 버튼으로부터 상기 버튼의 누름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되, 상기 스위치부를 가압하도록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을 구비하는 수평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토출구를 가압하여 상기 화장품이 토출되게 하는 가압부;
    상기 가압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되, 단부가 라운딩 처리된 돌출부; 및
    상기 토출구와 상기 연통공을 연결하는 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이 가압됨에 따라, 상기 수평이동부는 상기 버튼부의 삽입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돌출부의 단부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스위치부가 하방으로 이동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9.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는
    상기 토출구를 구비하는 내압 용기와,
    상기 내압 용기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KR1020130141242A 2013-11-20 2013-11-20 화장품 용기 KR201500576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1242A KR20150057635A (ko) 2013-11-20 2013-11-20 화장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1242A KR20150057635A (ko) 2013-11-20 2013-11-20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7635A true KR20150057635A (ko) 2015-05-28

Family

ID=53392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1242A KR20150057635A (ko) 2013-11-20 2013-11-20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5763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8222B1 (ko) * 2021-04-20 2021-10-28 주식회사 씨에이치바이오 내용물의 흡수를 돕는 헤드를 갖는 화장품 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8222B1 (ko) * 2021-04-20 2021-10-28 주식회사 씨에이치바이오 내용물의 흡수를 돕는 헤드를 갖는 화장품 용기
WO2022225283A1 (ko) * 2021-04-20 2022-10-27 주식회사 씨에이치바이오 내용물의 흡수를 돕는 헤드를 갖는 화장품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6568B1 (ko) 크림타입 진공 화장품용기
CN101742941B (zh) 一种泵型化妆品容器
KR200475351Y1 (ko) 다양한 문양으로 화장품 내용물을 배출할 수 있는 에어리스 화장품용기
KR200469033Y1 (ko) 복수의 에어리스 화장품 용기를 갖는 내용물 혼합 배출 용기
JP5483414B2 (ja) 押下ヘッド付き吐出器
KR102427476B1 (ko) 방출 스펀지를 포함하는 액체 디스펜서
KR20140005620U (ko) 화장품 용기
KR20120059893A (ko) 직압 분사식 화장도구
KR20150057635A (ko) 화장품 용기
KR102654590B1 (ko) 복수의 분사 방식을 갖는 스프레이 헤드
KR200452005Y1 (ko) 휴대용 디스펜서
KR20180062197A (ko) 스프레이 분사밸브 장치
KR100895882B1 (ko) 화장품 용기의 슬라이딩 펌핑장치
KR101770553B1 (ko) 듀얼 펌프가 구비된 디스펜서 용기
KR20160081290A (ko) 컴팩트타입 화장품 용기
JP4951229B2 (ja) エアゾール装置
KR101474325B1 (ko) 화장료 배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KR20150039434A (ko) 크림타입 진공 화장품용기
KR200491089Y1 (ko) 거울이 부착된 화장품 용기
KR100936181B1 (ko) 잔 가스 배출 기능을 갖는 정량 분사 용기
KR20150047341A (ko) 스탬프형 화장품 용기
KR20160069825A (ko) 에어로졸 화장품 용기
KR101790978B1 (ko) 화장품 용기
KR101823518B1 (ko) 플라워 캡을 구비하는 분사용기
KR101458314B1 (ko) 스프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