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7109A - 축냉재를 구비한 냉장고 - Google Patents

축냉재를 구비한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7109A
KR20150057109A KR1020130140033A KR20130140033A KR20150057109A KR 20150057109 A KR20150057109 A KR 20150057109A KR 1020130140033 A KR1020130140033 A KR 1020130140033A KR 20130140033 A KR20130140033 A KR 20130140033A KR 20150057109 A KR20150057109 A KR 201500571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artment
freezing
circulation fan
storage
c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0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2818B1 (ko
Inventor
아키라 토쿠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40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2818B1/ko
Publication of KR201500571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71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28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28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06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ld storage accumu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6/00Devices using a combination of a cooling mode associated with refrigerating machinery with a cooling mode not associated with refrigerating machiner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00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축냉재를 구비한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저장실이 형성된 냉장고 본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저장실의 냉기가 순환되는 냉기순환유로; 상기 저장실 또는 상기 냉기순환유로에 구비되는 축냉재; 상기 냉기순환유로에 배치되는 증발기 및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를 포함한 냉동사이클장치; 상기 냉기순환유로에 구비되는 순환팬;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하고 상기 순환팬에 연결되어 상기 순환팬에 전력을 제공하는 축전지; 및 상기 냉동사이클장치 및 상기 축냉재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상기 저장실이 냉각될 수 있게 상기 냉동사이클장치 및 상기 순환팬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에 의해, 냉동사이클장치 및 순환팬을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축냉재를 구비한 냉장고{REFRIGERATOR WITH COLD STORAGE MEDIUM}
본 발명은, 축냉재를 구비한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냉동사이클장치 및 축냉재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저장실이 냉각될 수 있도록 한 축냉재를 구비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냉장고는, 저장실의 내부에 수납된 식품을 냉동 또는 냉장 상태로 하여 더 오래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한 장치이다.
상기 냉장고는, 통상, 내부에 저장실이 형성된 냉장고 본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저장실에 냉기를 제공하는 냉동사이클장치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최근에는 냉기를 저장할 수 있는 축냉재(畜冷材, cold storage medium)를 이용한 냉장고가 개발 및/또는 이용되고 있다.
상기 축냉재는 소위 피씨엠(PCM:Phase Change Materials)이라고 하는 상변화물질이 이용된다.
상기 축냉재는 정상 운전시 냉동사이클장치에 의해 동결되어 축냉(畜冷)하고, 정전(停電)에 의한 냉동사이클장치의 중지시, 해동되어 냉기(차가운 에너지)를 방출하여 저장실의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억제한다.
상기 축냉재는 해동시 자연대류에 의해 냉동실 또는 냉장실의 내부를 냉각할 수 있도록 냉동실 및 냉장실의 상부영역에 배치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축냉재를 구비한 냉장고에 있어서는, 축냉재를 냉동실 또는 냉장실의 내부에 구비하도록 되어 있어, 냉동실 및/또는 냉장실의 식품저장공간이 그만큼 작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축냉재와 가까운 영역에 비해 멀리 떨어진 영역의 온도가 빠르게 상승하게 되므로 축냉재로부터 상대적으로 멀리 떨어진 영역은 축냉재에 의한 보냉효과가 미흡하게 된다.
JP 2013-029263 A
따라서, 본 발명은, 냉동사이클장치 및 순환팬을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축냉재를 구비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축냉재에 의해 식품저장공간이 감소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축냉재를 구비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미리 설정된 시간에 축냉재에 의해 저장실을 냉각시킬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력 소모 고조(피크)시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축냉재를 구비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축냉재에 의한 냉각시 고내 온도 편차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축냉재를 구비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정전 발생시 고내 온도 상승을 신속하게 억제할 수 있는 축냉재를 구비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해, 저장실이 형성된 냉장고 본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저장실의 냉기가 순환되는 냉기순환유로; 상기 저장실 또는 상기 냉기순환유로에 구비되는 축냉재; 상기 냉기순환유로에 배치되는 증발기 및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를 포함한 냉동사이클장치; 상기 냉기순환유로에 구비되는 순환팬;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하고 상기 순환팬에 연결되어 상기 순환팬에 전력을 제공하는 축전지; 및 상기 냉동사이클장치 및 상기 축냉재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상기 저장실이 냉각될 수 있게 상기 냉동사이클장치 및 상기 순환팬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저장실은 냉장실이고, 상기 축냉재는 상기 냉장실의 냉각 온도 미만에서 동결되고 상기 냉장실의 냉각 온도 이상에서 해동되게 구성되고, 상기 축냉재는 상기 냉기순환유로에 구비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축냉재는 상기 증발기의 상측에 구비되고, 상기 축냉재는 표면의 응결수가 상기 증발기의 일 측으로 낙하하게 안내하는 응결수가이드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축냉재의 표면에는 항균처리한 항균처리부가 구비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저장실은 냉동실이고, 상기 축냉재는 상기 냉동실의 냉각 온도 미만에서 동결되고 상기 냉동실의 냉각 온도 이상에서 해동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축냉재는, 표면적이 증가할 수 있게 요철부를 구비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축냉재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게 관통된 관통부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정전시 상기 순환팬이 회전될 수 있게 상기 순환팬을 제어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는 도어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가 닫히고 상기 축냉재에 의해 상기 저장실이 냉각될 수 있게 미리 설정된 축냉재운전개시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압축기의 구동을 중지시키고, 상기 순환팬이 회전되게 제어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저장실은 서로 분리된 냉동실 및 냉장실을 구비하고, 상기 냉동실에는 내부의 냉기가 순환하는 냉동실냉기순환유로 및 냉동실순환팬이 구비되고, 상기 냉장실에는 내부의 냉기가 순환하는 냉장실냉기순환유로 및 냉장실순환팬이 구비되고, 상기 축냉재는 상기 냉동실냉기순환유로에 배치되는 냉동실축냉재 및 상기 냉장실냉기순환유로에 배치되는 냉장실축냉재를 포함하고, 상기 축전지는 상기 냉동실순환팬 및 상기 냉장실순환팬에 각각 연결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정전시 상기 냉동실순환팬 및 냉장실순환팬을 각각 회전시킬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 본체에는 상기 냉동실 및 냉장실을 각각 개폐하는 냉동실도어 및 냉장실도어가 구비되고, 상기 냉동실도어 및 냉장실도어의 개폐를 각각 감지하는 냉동실도어감지부 및 냉장실도어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냉동실도어 및 냉장실도어가 각각 닫힌 후 상기 냉동실축냉재 및 상기 냉장실축냉재에 의해 상기 냉동실 및 상기 냉장실이 각각 냉각될 수 있게 미리 설정된 축냉재운전개시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압축기의 구동을 중지시키고 상기 냉동실순환팬 및 냉장실순환팬이 각각 회전되게 제어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시간을 산출하는 타이머; 및 상기 압축기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상기 축냉재에 의해 상기 저장실을 냉각시키는 시간을 설정하는 시간설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압축기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상기 축냉재에 의해 상기 저장실을 냉각시키는 축냉재냉각시간을 설정하는 시간설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간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상기 축냉재냉각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압축기 및 상기 순환팬을 각각 제어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냉동사이클장치와 축냉재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저장실이 냉각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특히, 전력 소모 피크 시 전력 소비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정전 발생 시 고내 온도 상승을 억제시킬 수 있다.
또한, 축냉재를 식품저장공간이 아닌 냉기순환유로에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축냉재에 의해 식품저장공간이 감소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축냉재의 응결수를 안내하는 응결수가이드를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축냉재의 응결수가 증발기로 낙하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축냉재의 응결수가 정전 후 증발기 운전 재개시 증발기에 결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축냉재의 표면에 항균처리된 항균처리부를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축냉재의 표면에 세균 및/또는 바이러스 등이 증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축냉재의 표면에 요철부를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축냉재에 의한 저장실의 냉각시 축냉재의 신속한 냉기 방출이 가능하여 고내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축냉재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게 관통부를 구비함으로써, 축냉재의 신속한 동결 및 해동이 가능하여 축냉재에 의한 냉각 작용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저장실의 도어가 닫히고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압축기의 구동을 중지하고 축냉재에 의한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압축기의 구동회수를 줄여 압축기의 빈번한 구동에 기인한 전력소모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압축기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축냉재에 의한 냉각을 실시하는 시간을 설정하는 시간설정부를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생활 패턴에 대응되게 압축기의 구동을 적절히 제어하여 전력 소비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단면도,
도 2는 도 1의 냉장실의 평단면도,
도 3은 도 1의 냉장실의 냉기순환유로영역의 확대도,
도 4는 도 3의 냉장실축냉재의 부분절취 사시도,
도 5는 도 4의 Ⅴ-Ⅴ선에 따른 부분절취단면도,
도 6은 도 1의 냉장고의 제어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축냉재를 구비한 냉장고의 요부 단면도,
도 8은 도 7의 Ⅶ-Ⅶ선에 따른 냉장실축냉재의 평면도,
도 9는 도 8의 Ⅸ-Ⅸ선에 따른 제1가이드영역의 단면도,
도 10은 도 8의 Ⅹ-Ⅹ선에 따른 제2가이드영역의 단면도,
도 11은 도 7의 냉장고의 제어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120)이 형성된 냉장고 본체(110); 상기 저장실(120)을 개폐하는 도어(130); 상기 저장실(120)의 냉기가 순환되는 냉기순환유로(140); 상기 저장실(120) 또는 상기 냉기순환유로(140)에 구비되는 축냉재(220); 상기 냉기순환유로(140)에 배치되는 증발기(170) 및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161)를 포함한 냉동사이클장치(160); 상기 냉기순환유로(140)에 구비되는 순환팬(190);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하고 상기 순환팬(190)에 연결되어 상기 순환팬(190)에 전력을 제공(공급)하는 축전지(210); 및 상기 냉동사이클장치(160) 및 상기 축냉재(220)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상기 저장실(120)이 냉각될 수 있게 상기 냉동사이클장치(160) 및 상기 순환팬(190)을 제어하는 제어부(260);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저장실(120)은 식품이 저장되는 공간의 총칭이다. 상기 냉장고 본체(110)는 냉동실(121) 및 냉장실(125) 중 어느 하나만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냉장고 본체(110)의 내부에는 복수의 저장실(12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저장실(120)에는 도어(130)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저장실(120)은 상기 냉장고 본체(110)의 상하방향으로 구획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저장실(120)은, 예를 들면, 냉동실(121) 및 냉장실(125)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도어(130)는, 예를 들면, 상기 냉장실(125)을 개폐하는 냉장실도어(135) 및 상기 냉동실(121)을 개폐하는 냉동실도어(13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냉장실(125)은, 예를 들면, 상기 냉장고 본체(11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동실(121)은, 예를 들면, 상기 냉장고 본체(110)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 본체(110)에는 상기 저장실(120)에 냉기를 제공할 수 있게 냉동사이클장치(16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동사이클장치(160)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161), 냉매가 방열되는 응축기(미도시), 냉매가 감압 및 팽창하는 팽창장치(미도시), 및 냉매가 주위의 잠열을 흡수하여 증발하는 증발기(170)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 본체(110)에는, 예를 들면, 상기 압축기(161)가 수용되는 기계실(11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계실(115)은 상기 냉장고 본체(110)의 후방 하부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냉장실(125)의 후방영역에는 상기 냉장실(125)의 냉기가 순환되는 냉장냉기순환유로(15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장냉기순환유로(151)의 하부에는, 예를 들면, 상기 냉장실(125)의 냉기가 유입되는 냉기유입구(15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장냉기순환유로(151)의 상부에는, 예를 들면, 상기 냉장냉기순환유로(151)의 냉기가 상기 냉장실(125)로 토출될 수 있게 냉기토출구(15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장냉기순환유로(151)의 내부에는 냉장실증발기(17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증발기(175)는 상기 냉장냉기순환유로(151)의 하부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증발기(175)의 하측에는 물을 수집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물배출부재(18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물배출부재(180)에는 배수부(18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물배출부재(180)의 저부면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물이 용이하게 수집될 수 있다.
상기 배수부(182)에는 배수관(184)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배수관(184)은, 예를 들면, 상기 기계실(115)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냉장냉기순환유로(151)에는 상기 냉장실(125)의 냉기가 상기 냉장냉기순환유로(151)를 경유하여 순환하게 하는 냉장실순환팬(19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순환팬(195)은, 예를 들면, 상기 냉장실증발기(175)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순환팬(195)은, 예를 들면, 축방향으로 흡입하여 원심방향으로 토출하는 원심팬 또는 축방향으로 송풍하는 축류팬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냉장고는, 상기 냉동사이클장치(160)의 미작동시 상기 저장실(120)을 냉각시키는 축냉재(220)(잠열 축냉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축냉재(220)는, 예를 들면, 미리 설정된 온도에서 상변화되는 상변화물질(PCM,phase change materials)로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축냉재(220)는, 상기 저장실(120)의 운전시 냉각 온도 미만에서 고체화 또는 동결되고, 상기 저장실(120)의 냉각 온도 이상에서 액체화 또는 해동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냉동사이클장치(160)에 의한 상기 저장실(120)의 냉각시 상기 축냉재(220)는 고체화(동결)되고, 정전 등에 의해 상기 냉동사이클장치(160)의 구동이 중지되는 경우, 상기 저장실(120)의 내부 온도가 냉각 온도이상으로 상승되는 경우 상기 축냉재(120)가 액화(해동)되면서 냉기를 방출하여 상기 저장실(120)의 내부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축냉재(220)는, 예를 들면, 상기 냉장실(125)을 냉각시키는 냉장실축냉재(22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냉장실축냉재(225)는, 상기 냉장실(125)의 냉각 온도(예를 들면 영상 4℃) 미만에서 동결되고 영상 4℃ 이상에서 해동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축냉재(225)는, 예를 들면, 상기 냉장냉기순환유로(151)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축냉재(225)는, 예를 들면, 상기 냉장실순환팬(195)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축냉재(225)는, 예를 들면, 상기 냉장냉기순환유로(151)의 냉기토출구(155)에 근접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냉장실축냉재(225)의 동결 및/또는 해동이 원활하게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냉동실(121)에는 상기 냉동실(121)의 냉기가 순환할 수 있게 냉동냉기순환유로(14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동냉기순환유로(141)에는 상기 냉동실(121)을 냉각시키는 냉동실증발기(17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냉동냉기순환유로(141)에는 상기 냉동실(121)의 냉기가 상기 냉동냉기순환유로(141)를 경유하여 순환할 수 있게 냉동실순환팬(19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축냉재(220)는, 예를 들면, 상기 냉동실(121)을 냉각시키는 냉동실축냉재(22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냉동실축냉재(221)는, 상기 냉동실(121)의 냉각 온도(예를 들면, 영하 18℃) 미만에서 고체화(동결)되고, 상기 냉동실(121)의 냉각온도(영하 18℃) 이상에서 액화(해동)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냉동실축냉재(221)는, 예를 들면, 상기 냉동실(121)의 상부영역 또는 천장에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냉동실축냉재(221)가 냉동실(121)의 상부 천장에 배치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상기 냉동실축냉재(221)는 상기 냉동냉기순환유로(141)에 구비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저장실(120)이 상기 냉동실(121) 및 냉장실(125)과 다른 냉각 온도(예를 들면 내부 냉각 온도가 영하 1℃)를 가지는 특선실(미도시)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경우, 상기 특선실에는 영하 1℃ 미만에서 고체화(동결)되고 영하 1℃ 이상에서 액화(해동)되는 특선실축냉재(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냉장실축냉재(225)는, 예를 들면,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231), 상기 케이스(231)의 내부에 수용되는 축냉물질(241)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냉장실축냉재(225)는 상기 냉장실(125)의 냉각온도(영상 4℃) 이상에서 상기 축냉물질(241)이 해동될 경우 상기 케이스(231)의 표면에 공기(냉장실(125)의 내부 공기) 중의 수분이 응결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축냉재(225)의 표면에는 공기와 접촉 면적이 증가될 수 있게 요철부(235)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냉장실축냉재(225)와 공기(냉장실(125)의 내부 공기)와 열교환이 촉진될 수 있다.
상기 요철부(235)는, 예를 들면, 상기 케이스(231)의 표면에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요철부(235)는, 예를 들면, 상기 케이스(231)의 표면에서 함몰된 그루브(미도시)를 구비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요철부(235)는, 예를 들면, 상기 케이스(231)의 표면에서 돌출되고 상하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된 복수의 리브(237)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리브(237)는 수평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냉장실축냉재(225)의 표면에 응결되는 응결수가 원활하게 하향 유동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축냉재(225)는,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을 항균 처리하여 형성된 항균처리부(239)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냉장실축냉재(225)의 표면은 미생물의 번식이 억제되거나 미생물이 생성되지 아니할 수 있다.
상기 항균처리부(239)는, 예를 들면, 상기 케이스(231)의 표면에 제올라이트(zeolite, 비석(沸石))를 도포(코팅)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축냉재(225)는, 예를 들면, 표면의 응결수를 안내하는 응결수가이드(25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응결수가이드(251)는, 예를 들면, 상기 냉장실축냉재(225)에서 낙하하는 응결수가 상기 냉장실증발기(175)와 접촉되지 아니하면서 낙하할 수 있게 상기 냉장실증발기(175)의 일 측으로 상기 응결수를 안내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응결수가이드(25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냉장실증발기(175)의 일 측(도면상 좌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응결수가 상기 냉장실증발기(175)의 일 측(좌측)으로 이격된 지점으로 낙하될 수 있다.
상기 응결수가이드(251)는 얇은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응결수가이드(251)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측면(254a)과, 수직면(254b) 및 안내경사면(254c)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안내경사면(254c)의 하단부는 상기 냉장실증발기(175)로부터 수평방향을 따라 일정 거리 이격된 지점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응결수가이드(251)의 안내경사면(254c)을 따라 하향 유동되어 낙하된 응결수는 상기 냉장실증발기(175)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된 지점으로 낙하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축냉재(225)의 응결수는 상기 냉장실증발기(175)를 우회하여 낙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냉장실증발기(175)의 냉각 운전 재개시 상기 냉장실축냉재(225)로부터 낙하된 응결수가 상기 냉장실증발기(175)의 표면에 접촉되어 응결되는 상기 냉장실증발기(175)의 열교환효율을 저해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상기 응결수가이드(251)는 상기 리브(237)의 하측에 하향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리브(237)를 따라 하향 유동된 응결수가 상기 응결수가이드(251)의 안내경사면(254c)을 따라 일 측으로 안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응결수가이드(251)가 상기 각 리브(237)의 직하방에 동일 선상에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각 리브(237)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상기 각 응결수가이드(251)의 간격은 상기 리브(237)의 간격과 다르게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냉장실축냉재(225)의 구성 중 일부(예를 들면, 요철부(235), 항균처리부(239) 등)는 필요시 상기 냉동실축냉재(221)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실시예의 냉장고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냉동사이클장치(160) 및 상기 축냉재(220)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상기 저장실(120)이 냉각될 수 있게 상기 냉동사이클장치(160) 및 상기 순환팬(190)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260)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60)는, 예를 들면, 제어프로그램을 구비한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60)는, 예를 들면, 상기 저장실(120)이 닫힌 상태에서 상기 냉동사이클장치(160) 및 상기 축냉재(220)에 의한 상기 저장실(120)의 냉각이 수행되게 상기 냉동사이클장치(160) 및 상기 순환팬(190)을 제어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60)에는 상기 저장실(120)의 도어(130)의 닫힘을 감지할 수 있게 도어감지부(265)가 통신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도어감지부(265)는, 상기 냉동실도어(131)의 닫힘을 감지하는 냉동실도어감지부(266) 및 상기 냉장실도어(135)의 닫힘을 감지하는 냉장실도어감지부(267)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도어감지부(265)는, 예를 들면, 상기 저장실(120)의 전면 개구와 상기 저장실(120)의 도어(130)의 상호 접촉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감지부(265)는, 예를 들면, 상기 저장실(120)(냉동실(121), 냉장실(125))의 전면 개구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실(120)의 도어(130)(냉동실도어(131), 냉장실도어(135))의 닫힘시 상기 도어(130)에 의해 가압되어 누름 조작되는 도어스위치(냉동실도어스위치, 냉장실도어스위치)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60)에는 상기 냉동실도어(131) 및 냉장실도어(135)의 닫힘을 각각 감지할 수 있게 상기 냉동실도어감지부(266) 및 냉장실도어감지부(267)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60)는 상기 축냉재(220)에 의한 상기 저장실(120)(냉동실(121) 및/또는 냉장실(125))의 냉각이 실시되면 상기 냉동사이클장치(160)의 운전을 중지시킬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60)에는 상기 압축기(161)가 제어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축냉재(220)에 의한 냉각 운전 시 상기 압축기(161)의 운전이 중지되게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60)에는 상기 냉동실순환팬(191) 및 상기 냉장실순환팬(195)이 각각 제어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260)에는 상기 냉장고 본체(110)의 전원 공급 중단(정전)시, 상기 순환팬(190)(냉동실순환팬(191) 및 냉장실순환팬(195))에 전력을 공급하는 축전지(210)(이차전지)가 제어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축전지(210)는, 예를 들면, 충전회로(215)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충전회로(215)는, 예를 들면, 상기 냉장고 본체(110)의 정상 운전시 자동으로 충전이 수행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축전지(210)는 상기 제어부(260), 및 상기 순환팬(190)(냉동실순환팬(191) 및 냉장실순환팬(195))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게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정전시 상기 축냉재(220)에 의한 냉각 운전 시 상기 순환팬(190)(냉동실순환팬(191) 및 냉장실순환팬(195))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60)는 상기 축냉재(220)에 의한 냉각 운전시 상기 순환팬(190)이 일정한 주기 및/또는 일정한 속도로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순환팬(190)을 각각 구동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260)는 상기 저장실(120)의 도어(130)가 닫히고 상기 축냉재(220)에 의해 상기 저장실(120)이 냉각될 수 있게 미리 설정된 축냉재운전개시시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압축기(161)의 구동을 중지시키고 상기 순환팬(190)이 회전되게 제어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압축기(161)의 빈번한 구동시 기동전류(기동전류는 정상 운전 전류의 수배(예를 들면 5배 내지 8배) 소요됨)에 기인하여 전력소비가 매우 증가하게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축냉재운전개시시간은 제조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저장실(120)의 도어(130)가 차단된 후 수 시간이 경과된 후 축냉재(220)에 의한 냉각운전이 개시될 수 있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60)는 시간을 산출하는 타이머(26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60)는 상기 냉동실도어(131) 및 냉장실도어(135)가 각각 닫힌 후 상기 냉동실축냉재(221) 및 상기 냉장실축냉재(225)에 의해 상기 냉동실(121) 및 상기 냉장실(125)이 각각 냉각될 수 있게 미리 설정된 축냉재운전개시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압축기(161)의 구동을 중지시키고 상기 냉동실순환팬(191) 및 상기 냉장실순환팬(195)이 각각 회전되게 제어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축냉재운전개시시간은 상기 냉동실도어(191) 및 냉장실도어(195) 중 나중에 닫힌 도어의 닫힌 시점으로부터 기산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60)는 상기 축냉재운전개시시간의 도래에 의해 상기 압축기(161)의 구동이 중지되면 상기 저장실(120)(냉동실(121) 및 냉장실(125))의 순환팬(190)(냉동실순환팬(191) 및 냉장실순환팬(195))이 회전되게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순환팬(190)의 회전이 개시되면, 상기 저장실(120)의 공기가 순환하면서 상기 축냉재(220)에 접촉되어 냉각되고, 냉각된 공기가 상기 저장실(120)을 순환하게 됨으로써 상기 저장실(120)의 온도 편차가 작아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저장실(120)(냉동실(121) 및 냉장실(125))의 내부 온도가 미리 설정된 냉각 온도에 미달되면 상기 냉동사이클장치(160)가 구동되어 상기 저장실(120)이 상기 냉각 온도에 도달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60)에 의해 상기 냉동사이클장치(160)의 압축기(161)가 구동되면 상기 냉동실(121) 및 냉장실(125)에 각각 구비된 냉동실증발기(171) 및 냉장실증발기(175)에 냉매가 유입되어 주위의 잠열을 흡수하여 증발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260)는 상기 냉동실순환팬(191) 및 냉장실순환팬(195)이 각각 회전되게 함으로써, 상기 냉동실(121) 및 냉장실(125)이 각각 냉각될 수 있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냉동실순환팬(191)이 회전을 개시하면 상기 냉동실(121)의 실내 공기는 냉동냉기순환유로(141)로 유입되어 상기 냉동실증발기(171)와 열교환되어 냉각된 후 냉동실(121)로 토출되어 냉동실(121)을 냉각시키게 된다.
상기 냉장실순환팬(195)이 회전을 개시하면, 상기 냉장실(125)의 실내 공기는 상기 냉장냉기순환유로(151)로 유입되어 상기 냉장실증발기(175)와 열교환되어 냉각된 후 냉장실(125)로 토출되어 상기 냉장실(125)을 냉각시키게 된다.
상기 제어부(260)는 상기 저장실(120)의 도어(13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타이머(262)에 의해 산출된 시간(경과시간)이 미리 설정된 상기 축냉재운전개시시간을 경과하게 되면, 상기 압축기(161)의 구동이 중지되게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60)는 상기 냉동실도어(131) 및 냉장실도어(135)가 각각 닫힌 상태에서 미리 설정된 상기 축냉재운전개시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압축기(161)의 구동을 중지시키고, 상기 냉동실순환팬(191) 및 냉장실순환팬(195)이 각각 회전되게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냉동실순환팬(191)이 순환되면 상기 냉동실(121)의 냉기가 상기 냉동냉기순환유로(141)를 경유하여 순환될 수 있다. 상기 냉동냉기순환유로(141)를 경유한 냉기는 상기 냉동실축냉재(221)와 접촉되어 냉각된 후, 상기 냉동실(121)의 내부를 순환함으로써 상기 냉동실(121)의 내부 온도 상승을 억제하고 냉동실(121)의 온도 편차 발생이 억제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순환팬(195)이 순환되면 상기 냉장실(125)의 냉기가 상기 냉장냉기순환유로(151)로 유입되고, 상기 냉장실축냉재(225)와 접촉되어 냉각될 수 있다. 냉각된 냉기는 상기 냉장실(125)로 토출되어 순환함으로써 상기 냉장실(125)의 온도 상승 및 온도 편차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충전회로(215)는 상기 축전지(210)가 충전된 상태를 유지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60)는 상기 냉장고 본체(110)의 전원 공급 중단(정전 발생)시, 상기 순환팬(190)(냉동실순환팬(191) 및 냉장실순환팬(195))이 회전되게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저장실(120)(냉동실(121) 및 냉장실(125))의 공기가 순환하면서 축냉재(220)(냉동실축냉재(221) 및 냉장실축냉재(225))와 열교환하여 냉각되고, 냉각된 냉기가 저장실(120)(냉동실(121), 냉장실(125))을 순환하게 되어 저장실(120)(냉동실(121), 냉장실(125))의 온도 상승 및 온도 편차 발생이 억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냉장실축냉재(225)의 표면에는 공기 중의 수분이 응결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축냉재(225)의 표면에 응결된 응결수는 상기 냉장실축냉재(225)의 리브(237)를 따라 하향 유동될 수 있다.
상기 리브(237)를 따라 하향 유동된 응결수는 상기 응결수가이드(251)의 안내경사면(254c)을 따라 상기 냉장실증발기(175)를 우회하여 상기 물배출부재(180)의 상면으로 낙하될 수 있다.
상기 물배출부재(180)로 낙하된 응결수는 상기 배수부(182) 및 배수관(184)을 통해 외부(예를 들면 기계실(115))로 배출될 수 있다.
이하,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전술 및 도시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설명의 편의 상 도시를 생략하고 동일한 참조부호를 인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일부 구성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전술한 설명으로 갈음하고, 이하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의 축냉재를 구비한 냉장고는, 저장실(120)이 형성된 냉장고 본체(110); 상기 저장실(120)을 개폐하는 도어(130); 상기 저장실(120)의 냉기가 순환되는 냉기순환유로(140); 상기 저장실(120) 또는 상기 냉기순환유로(140)에 구비되는 축냉재(220); 상기 냉기순환유로(140)에 배치되는 증발기 및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161)를 포함한 냉동사이클장치(160); 상기 냉기순환유로(140)에 구비되는 순환팬(190);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하고 상기 순환팬(190)에 연결되어 상기 순환팬(190)을 회전시키는 축전지(210); 및 상기 냉동사이클장치(160) 및 상기 축냉재(220)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상기 저장실(120)이 냉각될 수 있게 상기 냉동사이클장치(160) 및 상기 순환팬(190)을 제어하는 제어부(260);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저장실(120)은 냉동실(121) 및 냉장실(125)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도어(130)는 냉동실도어(131) 및 냉장실도어(135)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축냉재(220)는 상기 냉동실(121)에 구비되어 상기 냉동실(121)을 냉각시키는 냉동실축냉재(221) 및 상기 냉장실(125)에 구비되어 상기 냉장실(125)을 냉각시키는 냉장실축냉재(26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냉동실축냉재(221)는 전술한 설명으로 갈음하고, 이하에서는 상기 냉장실축냉재(265)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냉장실(125)의 일 측에는 냉장냉기순환유로(15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장냉기순환유로(151)의 내부 하부에는 냉장실증발기(175)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증발기(175)의 하측에는 물배출부재(18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증발기(175)의 상측에는 냉장실순환팬(195)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순환팬(196)은, 예를 들면, 축류팬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냉장냉기순환유로(151)의 내부에는 상기 냉장실축냉재(26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축냉재(265)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271)와, 상기 케이스(271)의 내부에 수용되는 축냉물질(281)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271)에는 상기 냉장실(125)의 냉기가 통과할 수 있게 관통된 관통부(27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271)는, 예를 들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관통부(274)가 형성된 대략 직사각 통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271)는, 예를 들면, 상기 냉장실(125)의 좌우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장측벽부(272) 및 상기 냉장실(125)의 전후방향으로 배치되는 단측벽부(27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271)의 표면에는 요철부(27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요철부(275)는 상기 케이스(271)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리브(277)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요철부(275)는 상기 케이스(271)의 외면 및 상기 관통부(274)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냉장실축냉재(265)에는 응결수를 안내하는 응결수가이드(25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응결수가이드(251)는, 예를 들면, 상기 각 장측벽부(272)의 저면에 각각 형성되는 제1가이드(252a)와, 상기 각 단측벽부(273)의 저면에 각각 형성되는 제2가이드(252b)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252a)는, 예를 들면, 얇은 두께를 가지는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252a)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측면(254a), 수직면(254b) 및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안내경사면(254c)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가이드(252b)는, 얇은 두께를 가지는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가이드(252b)는, 예를 들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측면(255a), 수직면(255b) 및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안내경사면(255c)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가이드(252b)의 안내경사면(255c)은 상기 제1가이드(252a)의 안내경사면(254c)에 비해 상대적으로 긴 길이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252a) 및 제2가이드(252b)의 각 안내경사면(254c,255c)은 상기 냉장실증발기(175)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각각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각 안내경사면(254c,255c)을 따라 유동된 응결수는 상기 냉장실증발기(175)로부터 이격된 지점(물배출부재(180)의 상면)에 각각 낙하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냉장고는, 상기 냉동사이클장치(160) 및 상기 축냉재(220)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상기 저장실(120)이 냉각될 수 있게 상기 냉동사이클장치(160) 및 상기 순환팬(190)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260)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60)에는, 예를 들면, 도어감지부(265)(냉동실도어감지부(266),냉장실도어감지부(267))와, 압축기(161), 순환팬(190)(냉동실순환팬(191), 냉장실순환팬(196))이 각각 제어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60)는 타이머(262)를 구비할 수 있다. 이들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전술한 설명으로 갈음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260)는, 예를 들면, 상기 냉동사이클장치(160)의 구동을 중지하고 상기 축냉재(220)에 의해 저장실(120)의 냉각이 수행될 수 있게 상기 냉동사이클장치(160) 및 순환팬(190)(냉동실순환팬(191), 냉장실순환팬(196))을 제어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60)는, 예를 들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축기(161)의 구동을 중지시키고 상기 축냉재(220)에 의해 상기 저장실(120)을 냉각시키는 축냉재냉각시간을 설정하는 시간설정부(280)를 구비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시간설정부(280)는, 예를 들면, 상용 전력의 수요가 절정(피크)에 달하는 시간에 대응되게 상기 축냉재냉각시간을 설정하게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축냉재냉각시간은 사용자의 생활패턴에 맞게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제어부(260)는, 상기 시간설정부(280)에 의해 설정된 상기 축냉재냉각시간이 도래하면, 상기 압축기(161)의 구동이 중지되게 상기 압축기(161)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압축기(161)의 구동이 중지되면, 상기 제어부(260)는 상기 축냉재(220)(냉동실축냉재(221), 냉장실축냉재(265))에 의한 냉각이 수행되게 순환팬(190)(냉동실순환팬(191), 냉장실순환팬(196))이 구동되게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냉장실순환팬(196)이 회전되면 상기 냉장실(125)의 냉기가 상기 냉장냉기순환유로(151)로 유입되고, 상향 유동하여 상기 냉장실축냉재(265)와 접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냉장실축냉재(265)는 상향 유동된 공기와 외면 및 관통부(274)를 통해 접촉됨으로써 보다 신속하게 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장실축냉재(265)의 외면 및 관통부(274)에 각각 형성된 리브(277)에 의해 열교환이 촉진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축냉재(265)와 접촉되어 냉각된 공기는 상기 냉기토출구(155)를 통해 상기 냉장실(125)로 순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냉장실(125)의 온도 상승 및 온도 편차 발생이 억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냉장실축냉재(265)의 표면에는 공기 중의 수분이 응결된 응결수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응결수는 상기 응결수가이드(251)에 의해 상기 냉장실증발기(175)로부터 이격된 지점으로 낙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냉장실축냉재(265)의 장측벽부(272)에서 하향 유동된 응결수는 상기 제1가이드(252a)를 따라 낙하하고, 상기 냉장실축냉재(265)의 단측벽부(273)를 따라 하향 유동된 응결수는 상기 제2가이드(252b)를 따라 낙하된다.
상기 제1가이드(252a) 및 제2가이드(252b)에 의해 안내된 응결수는 상기 냉장실증발기(175)를 우회하여 상기 물배출부재(180)로 낙하될 수 있다.
상기 물배출부재(180)의 상면으로 낙하된 응결수는 상기 물배출부재(180)의 배수부(182) 및 배수관(184)을 통해 상기 냉장냉기순환유로(151)의 외부(예를 들면, 기계실(115))로 배출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 사상 또는 본질적인 특징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그 상세한 설명의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앞서 기술한 상세한 설명에서 일일이 나열되지 않은 실시예라 하더라도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된 그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넓게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범위와 그 균등범위 내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포섭되어야 할 것이다.
110 : 냉장고 본체 115 : 기계실
120 : 저장실 121 : 냉동실
125 : 냉장실 130 : 도어
131 : 냉동실도어 135 : 냉장실도어
140 : 냉기순환유로 141 : 냉동냉기순환유로
143,153 : 유입구 145,155 : 냉기토출구
151 : 냉장냉기순환유로 160 : 냉동사이클장치
161 : 압축기 170 : 증발기
171 : 냉동실증발기 175 : 냉장실증발기
180 : 물배출부재 182 : 배수부
184 : 배수관 190 : 순환팬
191 : 냉동실순환팬 195,196 : 냉장실순환팬
210 : 축전지 215 : 충전회로
220 : 축냉재 221 : 냉동실축냉재
225,265 : 냉장실축냉재 231,271 : 케이스
235,275 : 요철부 237,277 : 리브
239 : 항균처리부 241,281 : 축냉물질
251 : 응결수가이드 252a : 제1가이드
252b : 제2가이드 254a,255a : 측면
254b,255b : 수직면 254c,255c : 안내경사면
260 : 제어부 262 : 타이머
272 : 장측벽부 273 : 단측벽부
280 : 시간설정부

Claims (13)

  1. 저장실이 형성된 냉장고 본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저장실의 냉기가 순환되는 냉기순환유로;
    상기 저장실 또는 상기 냉기순환유로에 구비되는 축냉재;
    상기 냉기순환유로에 배치되는 증발기 및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를 포함한 냉동사이클장치;
    상기 냉기순환유로에 구비되는 순환팬;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하고 상기 순환팬에 연결되어 상기 순환팬에 전력을 제공하는 축전지; 및
    상기 냉동사이클장치 및 상기 축냉재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상기 저장실이 냉각될 수 있게 상기 냉동사이클장치 및 상기 순환팬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실은 냉장실이고,
    상기 축냉재는 상기 냉장실의 냉각 온도 미만에서 동결되고 상기 냉장실의 냉각 온도 이상에서 해동되게 구성되고,
    상기 축냉재는 상기 냉기순환유로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축냉재는 상기 증발기의 상측에 구비되고, 상기 축냉재는 표면의 응결수가 상기 증발기의 일 측으로 낙하하게 안내하는 응결수가이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축냉재의 표면은 항균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실은 냉동실이고,
    상기 축냉재는 상기 냉동실의 냉각 온도 미만에서 동결되고 상기 냉동실의 냉각 온도 이상에서 해동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축냉재는, 표면적이 증가할 수 있게 요철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축냉재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게 관통된 관통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정전시 상기 순환팬이 회전되게 상기 순환팬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는 도어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가 닫히고 상기 축냉재에 의해 상기 저장실이 냉각될 수 있게 미리 설정된 축냉재운전개시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압축기의 구동을 중지시키고, 상기 순환팬이 회전되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실은 서로 분리된 냉동실 및 냉장실을 구비하고,
    상기 냉동실에는 내부의 냉기가 순환하는 냉동실냉기순환유로 및 냉동실순환팬이 구비되고,
    상기 냉장실에는 내부의 냉기가 순환하는 냉장실냉기순환유로 및 냉장실순환팬이 구비되고,
    상기 축냉재는 상기 냉동실냉기순환유로에 배치되는 냉동실축냉재 및 상기 냉장실냉기순환유로에 배치되는 냉장실축냉재를 포함하고,
    상기 축전지는 상기 냉동실순환팬 및 상기 냉장실순환팬에 각각 전력을 공급할 수 있게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정전시 상기 냉동실순환팬 및 냉장실순환팬이 각각 회전할 수 있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 본체에는 상기 냉동실 및 냉장실을 각각 개폐하는 냉동실도어 및 냉장실도어가 구비되고,
    상기 냉동실도어 및 냉장실도어의 개폐를 각각 감지하는 냉동실도어감지부; 및 냉장실도어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냉동실도어 및 냉장실도어가 각각 닫힌 후 상기 냉동실축냉재 및 상기 냉장실축냉재에 의해 상기 냉동실 및 상기 냉장실이 각각 냉각될 수 있게 미리 설정된 축냉재운전개시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압축기의 구동을 중지시키고 상기 냉동실순환팬 및 냉장실순환팬이 각각 회전되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3. 제1항에 있어서,
    시간을 산출하는 타이머; 및
    상기 압축기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상기 축냉재에 의해 상기 저장실을 냉각시키는 축냉재냉각시간을 설정하는 시간설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간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상기 축냉재냉각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압축기 및 상기 순환팬을 각각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130140033A 2013-11-18 2013-11-18 축냉재를 구비한 냉장고 KR1021528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0033A KR102152818B1 (ko) 2013-11-18 2013-11-18 축냉재를 구비한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0033A KR102152818B1 (ko) 2013-11-18 2013-11-18 축냉재를 구비한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7109A true KR20150057109A (ko) 2015-05-28
KR102152818B1 KR102152818B1 (ko) 2020-09-07

Family

ID=53392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0033A KR102152818B1 (ko) 2013-11-18 2013-11-18 축냉재를 구비한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2818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49032A1 (en) * 2016-03-02 2017-09-08 Coolfinity Ip B.V. Refrigerator and cooling process
CN107810374A (zh) * 2015-08-28 2018-03-16 三星电子株式会社 冰箱
CN109264202A (zh) * 2018-12-03 2019-01-25 北京优冷供应链管理有限公司 制冷装置以及具有其的冷藏运输箱
WO2019050075A1 (ko) * 2017-09-08 2019-03-14 (주)지아이엠텍 에너지 효율을 개선한 냉장고
US10288338B2 (en) 2015-08-28 2019-05-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CN110906625A (zh) * 2019-10-30 2020-03-24 合肥晶弘电器有限公司 一种制冷设备瞬冻控制方法及制冷设备
CN110906627A (zh) * 2019-10-30 2020-03-24 合肥晶弘电器有限公司 一种瞬冻室控制方法及冰箱
CN110906686A (zh) * 2019-10-30 2020-03-24 合肥晶弘电器有限公司 一种瞬冻室控制方法及冰箱
CN113983739A (zh) * 2021-10-29 2022-01-2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制冷系统、冰箱及其控制方法
CN114777384A (zh) * 2022-05-12 2022-07-22 合肥美菱物联科技有限公司 一种冰箱及冰箱的储能保鲜方法
WO2023279988A1 (zh) * 2021-07-08 2023-01-12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冷藏冷冻装置及其控制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30594B2 (ja) * 1989-08-14 1998-03-25 東京電力株式会社 蓄冷貯蔵装置
KR20020009230A (ko) * 2000-07-25 2002-02-01 윤종용 냉장고
JP2004294034A (ja) * 2003-03-28 2004-10-21 Sanden Corp 蓄冷式保冷庫
JP2005043017A (ja) * 2003-07-25 2005-02-17 Sharp Corp 冷蔵庫
JP2013029263A (ja) 2011-07-29 2013-02-07 Try Company 家庭用冷蔵庫の節電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節電補助品
KR20130023873A (ko) * 2011-08-30 2013-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30594B2 (ja) * 1989-08-14 1998-03-25 東京電力株式会社 蓄冷貯蔵装置
KR20020009230A (ko) * 2000-07-25 2002-02-01 윤종용 냉장고
JP2004294034A (ja) * 2003-03-28 2004-10-21 Sanden Corp 蓄冷式保冷庫
JP2005043017A (ja) * 2003-07-25 2005-02-17 Sharp Corp 冷蔵庫
JP2013029263A (ja) 2011-07-29 2013-02-07 Try Company 家庭用冷蔵庫の節電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節電補助品
KR20130023873A (ko) * 2011-08-30 2013-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29071B2 (en) 2015-08-28 2021-06-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CN107810374A (zh) * 2015-08-28 2018-03-16 三星电子株式会社 冰箱
EP3271669A4 (en) * 2015-08-28 2018-04-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US10288338B2 (en) 2015-08-28 2019-05-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AU2016316427B2 (en) * 2015-08-28 2021-11-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WO2017149032A1 (en) * 2016-03-02 2017-09-08 Coolfinity Ip B.V. Refrigerator and cooling process
WO2019050075A1 (ko) * 2017-09-08 2019-03-14 (주)지아이엠텍 에너지 효율을 개선한 냉장고
CN109264202A (zh) * 2018-12-03 2019-01-25 北京优冷供应链管理有限公司 制冷装置以及具有其的冷藏运输箱
CN109264202B (zh) * 2018-12-03 2024-05-07 北京优冷供应链管理有限公司 制冷装置以及具有其的冷藏运输箱
CN110906686A (zh) * 2019-10-30 2020-03-24 合肥晶弘电器有限公司 一种瞬冻室控制方法及冰箱
CN110906627A (zh) * 2019-10-30 2020-03-24 合肥晶弘电器有限公司 一种瞬冻室控制方法及冰箱
CN110906625A (zh) * 2019-10-30 2020-03-24 合肥晶弘电器有限公司 一种制冷设备瞬冻控制方法及制冷设备
WO2023279988A1 (zh) * 2021-07-08 2023-01-12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冷藏冷冻装置及其控制方法
CN113983739A (zh) * 2021-10-29 2022-01-2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制冷系统、冰箱及其控制方法
CN114777384A (zh) * 2022-05-12 2022-07-22 合肥美菱物联科技有限公司 一种冰箱及冰箱的储能保鲜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2818B1 (ko) 2020-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57109A (ko) 축냉재를 구비한 냉장고
EP2354736B1 (en) Control method of refrigerator
KR101817816B1 (ko) 냉장고
KR101631904B1 (ko) 냉장고
JP6687384B2 (ja) 冷蔵庫
US11293678B2 (en) Control method for refrigerator
CN108362066B (zh) 风机遮蔽装置及冰箱
KR20150070907A (ko) 냉장고 및 냉장고 제어 방법
KR20180120975A (ko)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KR102418143B1 (ko)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KR101770467B1 (ko) 냉장고 및 냉장고 제어 방법
KR20180090501A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상 운전 제어 방법
KR102206097B1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상 운전 제어 방법
KR20180052312A (ko)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KR100288927B1 (ko) 냉장고의제상제어방법
CN214371222U (zh) 一种冰箱除湿化霜装置和冰箱
JP2007309530A (ja) 冷蔵庫
JP6837423B2 (ja) 冷蔵庫
JP5475033B2 (ja) 冷凍装置
JP6678290B2 (ja) 冷蔵庫
US20230266047A1 (en) Method for operating a domestic refrigerator, and domestic refrigerator
US20220154994A1 (en) Refrigerator control method
JP2003130535A (ja) 冷蔵庫
JP2010281491A (ja) 冷蔵庫
KR100228853B1 (ko) 냉장고의 냉각팬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