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6736A - 고객맞춤정보 (mli정보)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고객맞춤정보 (mli정보)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6736A
KR20150056736A KR1020130139465A KR20130139465A KR20150056736A KR 20150056736 A KR20150056736 A KR 20150056736A KR 1020130139465 A KR1020130139465 A KR 1020130139465A KR 20130139465 A KR20130139465 A KR 20130139465A KR 20150056736 A KR20150056736 A KR 201500567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mli
service
icf
ic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9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윤휘
Original Assignee
이윤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윤휘 filed Critical 이윤휘
Priority to KR10201301394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56736A/ko
Publication of KR201500567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67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Abstract

본 발명은 고객과의 지속적인 상호작용을 통한 삶의 긍정적 개선을 목표로, 세계보건기구가 제안한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 (이하 ‘ICD’),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 Health(이하 ‘ICF’),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Health Interventions (이하 ‘ICHI’) 및 ICD-11의 분류정보, 단백질 바이오마커 및 환경요인 등을 통하여 생성된 지표정보를 다양한 알고리즘 및 변수의 사용을 통하여 통합, 연계하여, 개인의 질병에 관한 진단정보, 신체의 기능 및 활동에 관한 관리정보, 개인본인과 환경에 관한 요인정보, 개인의 심리적, 감정적 상태에 관한 증상정보 등을 포함한 본인의 ICF Bio-Psycho-Social model 및 ICD-11 content model 정보(이하 ‘BPS정보’) 로 설정, 제공하여 (이하 'My Life Index 정보사업’), 증상이 나타나기 전에 조기에 경보를 알리고, 이러한 조기진단을 통한 액션플랜 등을 제공, 지원하는 서비스를 통하여, 고객의 참여, 예측, 예방, 맞춤 요건 등이 반영되는 진화된 대화도구를 제공함으로써, 암 및 질병의 치료 및 치유 중심으로 신체기관의 증세변화에 의존하여 기술적 기반에 중점을 두고 사후에 진단, 검사하는 현행 시스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My Life Index 정보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객맞춤정보 (MLI정보)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MY LIFE INDEX SERVICE BUSINESS METHOD AND SYSTEM WHICH THE MEMBER CAN APPLY FOR BIO-PSYCHO-SOCIAL ICF INFORMATION}
본 발명은 고객과의 지속적인 상호작용을 통한 삶의 긍정적 개선을 목표로, 세계보건기구가 제안한 ICHI, ICF 및 ICD-11 분류정보, 단백질 바이오마커 및 환경요인 등을 통하여 생성된 지표정보를 다양한 알고리즘 및 변수의 사용을 통하여 통합, 연계하여, 개인의 질병에 관한 진단정보, 신체의 기능 및 활동에 관한 관리정보, 개인본인과 환경에 관한 요인정보, 개인의 심리적, 감정적 상태에 관한 증상정보 등을 포함한 본인의 BPS 정보로 설정, 제공하여, 증상이 나타나기 전에 조기에 경보를 알리며, 이러한 조기진단을 통한 액션플랜 등의 제공을 지원하는 서비스를 통하여, 고객의 참여, 예측, 예방, 맞춤 요건 등이 반영되는 진화된 대화도구를 제공함으로써, 암 및 질병 중심으로 신체기관의 증세변화에 의존하여 기술적 기반에 중점을 두고 사후에 진단하고 검사하는 현행 시스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My Life Index 정보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최근 의료기술의 발전은 고가의 맞춤진단 및 맞춤치료의 방향을 지향하고 있어 개인이나 국가의 보건의료 비용이 증가, 고령화, 만성질환의 관리, 건강수명에 대한 국민기대치의 증가 등에 따른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는 ‘치료중심의 의료’에서 ‘예방 및 조기진단 중심 의료’로 전환이 요구되고, 인간게놈프로젝트의 완성 이후 바이오마커의 발굴이 대단위로 활성화되고 미세물질을 탐지할 수 있는 마이크로센서 기술의 발달로 정교하면서도 많은 검체를 신속히 검사할 수 있는 "high throuput" 융합기술이 미래의 예방 및 조기진단 중심 의료를 가능하게 하며, 최근에는 정부도 지난 3년간 실시한 스마트케어서비스사업의 의학적.경제적.기술적 타당성에 대한 종합적 분석결과로서 약물복용과 함께 기기를 통한 자가 건강측정, 건강정보 제공 등으로 생활습관 개선을 유도할 경우 단순 약 복용보다 치료효과가 더 높다고 판단되며 원격의료서비스를 향후 만성질환관리 방안으로 활용할 가치가 충분하다고 판단하였으며, 환자들의 52.3%는 병원치료비 이외에도 원격관리 서비스비용을 지불할 의향이 있다고 응답하여 경제적 타당성이 있다고 발표하였다 (2013년 11월 13일 산업통상자원부 보도자료).
의학과 함께 유전체학, 전사체학, 분자생물학, 단백질체학, 탄수화물체학, 대사체학, 생물정보학 등과 같은 생물학분야와 이러한 분야와 연계된 생명공학기술이 Bio-technology, Nano-technology의 발달로 체계화 되어 가며, 개인의 유전자 및 단백질 정보에 근거한 개별적, 개인적 진단, 치료 등의 분야가 발전함에 따라서 유전자 및 단백질 분석의 비용이 현저히 감소함에 따라서 유전자 및 단백질 정보를 저장하는 현상이 증가하여, 미국 NCBI의 경우, 모든 분석 data를 통합하는 시스템이 개발되고, 많은 데이터베이스들은 독립적인 형태로 데이터 저장하고 있다. 이렇게 저장된 데이터의 활용문제와 임상정보(Clinical data)와의 통합을 위하여 EMR시스템에 통합 및 연계에 관한 방법으로서 생물정보학(BI - bioinformatics)의 연구가 활발하다. 생물정보학은 유전체학(genomics), 단백체학(proteomics), 화학유전체학 (chemogenomics), 약리유전체학(pharmacogenomics), 독성유전체학 (toxicogenomics), 대사유전체학(metabogenomics) 등의 다양한 첨단 BT기술분야에 반드시 이용되어야 할 기반학문으로서, 생명공학(BT - biotechnology)과 정보학(IT: informatics)의 합성어로 유전자 및 단백질 등의 생체분자와, 의약품 등의 생리활성물질이 지니고 있는 생물학적 데이터를 취득, 수집하여 컴퓨터를 활용하여, 이를 분석.관리.평가함으로써 인간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융합학문을 의미한다.
이러한 생명정보학의 발전은 성명, 주소/연락처, 관련/유사 질병, 하위유형, 질병원인, 소인적 원인, 병인, 분자 분석, 유전적 배경, 임상적 발견, 연관 시스템 분석, 병변 장애/상해, 진단, 예측, 치료, 임상실험, 신체 기능 정보, 활동 정보, 참가 정보, 환경 요인 정보 및 개인 요인 정보 등을 포함하는 개인적 의료정보, 임상기록, 질병자료 등의 의료정보가 게놈, 전사체, 단백질유전정보, Regulome, Variome, Interactome, 대사체, 피지옴, Pathome, Pharmacogenome 등에 관한 바이오정보와 연계되어 의료기술이 ‘치료 및 치유 중심의 의료’에서 ‘예방 및 조기진단 중심 의료’로 전환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최근 이러한 의료정보와 바이오정보가 컴퓨터 engineering기술과 알고리즘의 개발로 긴밀히 연계되어 바이오 의학시장은 미래에 더욱 확대될 것이다.
이러한 의학시장의 변화는 보건정보체계 구축을 위하여 체계적으로 코드화된 분류기준을 제공하는 ICHI, ICF 및 ICD-11의 공동사용을 위한 부호화 시스템과 연계되어, 건강과 건강관련 상태, 결과 그리고 결정요소를 이해하고 조사하는 과학적 기초를 제공하며, 건강과 건강관련 상태를 설명하는 합리적인 국제공통 표준용어를 제공하며, 국가별 자료, 건강관리 원칙, 서비스 그리고 시간에 대한 비교 기회 제공하는데 주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가령, ICF는 신체의 기능/장애를 연속체로서 이해하고, 장애범주를 의료적 구조와 기능의 손상에서 사회적 불이익과 참여제한으로 확대하며, 환경적 요인과 개인적 요인까지 포함한다. 환경적 요인에서 물적 환경을 가장 우선으로 생각하지만 인적, 사회의식, 제도적 환경도 중요시하며, 개인적 요인은 개성존중을 통해 매우 다양한 개인적 요인을 분류하여 그에 다른 처우를 하는 것으로 이해한다. 이와 같이 ICF는 모든 사람들에게 삶을 살아내도록 하는 건강 및 행복 (complete physical, mental, social well being)과 관련된 조건을 생활복지 국제표준언어로서 설명하는 (mapping) 전반적 삶의 현황보고서 (ICF Sets)형식으로 작성하며, 본인 스스로가 삶에서 최적수준의 목적을 갖고 자신과 함께 동행할 수 있는 전문가들을 선택하여 주체적으로 삶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optimal functioning) 도구는 물론 개인적 필요에 적합한 합리적인 예산편성과 재정분담 (personal budget system)의 도구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개인적 삶의 문제를 설명하는 보고서 설정, 제공은 개인적인 생활의 활동기반에 근거를 두고 지속적, 정기적으로 활동모델 (action-based behavior model) 및 일정 (golden schedule)을 설정, 제공하는 도구 및 합리적으로 설정된 개인적 목표달성을 위한 coaching 시스템을 통하여 goal management 서비스를 제공하는 도구로도 사용할 수가 있다.
ICD-11은 속성의 분류, 구분 및 정의, 조건, 신체 시스템/구조의 형상 및 분석, 시간적 속성, 하위유형의 심각성, 현상 및 징후, 평소 증상, 기동성, 자가치료, 대인관계, 생활활동, 참여 등을 포함하는 ICF (기능성), 특정조건, ICHI (치료) 및 진단기준의 사항들이 부합하여야 ICD의 범위에서 판단하도록 규정하므로, 본인 개인적으로 처한 삶의 현장을 배경으로 삶의 문제와 그 문제의 수준을 이해하고, 이러한 삶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목표 (occupation goal)를 본인이 활용 가능한 자원의 범위 내에서 설계하는 합리적인 국제공통언어로서 고객과의 진화된 대화도구로서 역할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개인의 합리적인 삶을 설계할 수 있는 국제 공통 표준 언어로서 활용 가능한 ICD/ICF는 부호화 공동사용과 내용식별에 대한 수치적 명시 (0 ~ 100%)로 질병 및 장애 분야에서 통상적 임상목적으로 연계되어 재활 치료, 일시적 처방/완화 치료, 노인병 치료, 보조/지원 치료, 회복, 적합판정 (장애급여) 등의 사례에 활용된다. ICD 개념 범위에서도 ICF의 기능이 사용되므로 독립개체 (정의, 내포), 징후 및 증상, 심각성 정도, 진단기준 등을 사용하는 경우, 부호화에 관하여 중복되는 규모와 성격을 확인한다.
인간의 신체는 약 3만개의 염색체(DNA), 10만개의 mRNA, 100만개 종류의 다양한 단백질, 60조의 세포로 구성되어 있고, 이러한 세포의 working unit은 단백질로 알려져 있다. DNA와 RNA (리보헥산)의 경우 수량을 평가하고 자세히 설명하기가 쉬운 반면에, 단백질의 경우에는, 세포의 작용과 질병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나아가서 신체의 기관 및 기능에도 최종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현재로서는 자세한 설명이 불가능하며, 확인도 어렵고, 변화하기 쉬우며, 분리하여 작업하기가 어려운 특징 때문에 아직도 많은 연구, 실험, 분석 등이 진행되고 있다.
최근에 DNA, RNA, 대사물질, 단백질 등을 통하여 몸 안의 변화를 알아낼 수 있는 지표로서 바이오마커가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지표는 독성물질의 노출에 따라 생물체 내에서 발생하는 탐지 가능한 제반 생리, 생화학적 변화를 나타내는 지표를 총칭하는 용어로서, 생물을 이용한 환경 오염상태를 표시하는 지표로서, 환경지표에 이용되는 생물은 환경변화에 민감하고 분포의 폭이 넓고 관찰이나 취급이 용이하고, 바이오마커는 단백질지도를 비교하여 쉽게 찾아낼 수가 있다. 바이오마커는 주로 암세포를 비롯하여 질병을 일으키는 단백질을 발견하는데 사용되는데, 지금까지는 대부분의 경우 질병의 발생과 진행은 실제적으로 부모님의 유전자 보다는 단백질이 더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고 밝혀져 있다. 최근 의료기관의 자동화기기 이후를 대비한 MRM (spectrometry), NMR spectroscopy, aptamer arrayer 등의 새로운 임상의료기기의 출현이 준비되고 있지만, 현재까지 암검진과 암환자 모니터링에 가장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는 임상의료기기는 바이오마커를 검사하는 방법이 거의 유일한 방법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발견되는 바이오마커를 의료, 보건, 건강 등의 분야에서 어떤 전략으로 실용화할 지가 미래의 숙제로 여겨지고 있다.
지금까지는 암 또는 질병의 검진 및 치료를 위한 바이오마커의 기술과 기법의 개발, 연구 및 실용화를 중요하게 다루어, 형광물질을 표지하는 면역형광현미경 (Immunofluorescence Microscopy), SDS-PAGE 법으로 단백질을 분자량에 따라 이동시킨 후, 서로 다른 전하를 가진 단백질들을 각각 분리하는 2차원 겔 전기영동 (2-dimensional gel electrophoresis), SDS-PAGE로 단백질을 분자량에 따라 분리시킨 후, 이를 니트로셀룰로스 막에 이동시키는 웨스턴 블롯팅 (Western Blotting), Ficoll-Hypaque (농도구배원심액) 상에서 원심분리하는 혈액 중 림프구의 분리, 레이저 광선을 통과할 때 마다 세포의 크기 및 밀도를 형광 정도를 통하여 감지, 기록하는 형광 유세포 분리기 (Fluorescence-activated cell sorter, FACS), 단클론 항체에 미세한 자석입자(magnetic beads)를 결합시키고, 자석 입자와 분리하고자 하는 세포와 혼합한 후, 이 입자를 끌어당기는 물질로 이루어진 기둥을 통과시키면서 강력한 자기장을 걸어주는 Immuno-magnetic beads, ELISPOT ASSAY, Cytotoxic T cell Assay 등의 기술이 항원-항체 반응을 이용한 진단법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에는 Sequest, MASCOT, X!Tandem, OMSSA, SeqMS, BioAnalyst, MassSeq, GutenTag 등 단백질 데이터의 분석을 위한 바이오마커의 다양한 분석 알고리즘이 개발되어서 암 또는 질병을 검진은 물론, 예방 및 조기진단 기술로서도 활용이 가능하며, 이러한 분석 알고리즘을 통하여 단백질 데이터의 분석을 스코어로 측정하여 수치를 명시할 수 있어(가령, 0~100%), 암 또는 질병의 검진 및 관리는 물론 고객의 참여, 예측, 예방, 맞춤 요건 등이 반영되는 진화된 대화도구로서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이렇게 다양한 알고리즘과 변수의 적용으로, 저장된 데이터를 통합, 연계하여 사용할 수 있고, 원내처방전달시스템 (order communication system), 전자의무기록시스템 (electronic medical record),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 (picture archiving communication system), 전사적자원관리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원외환자지원시스템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등을 포함한 통합의료정보시스템 (integrated medical information system), 전자기기 및 통신시스템의 발달 등을 기반으로 원격진료 및 U-Health 등을 적용하여 건강관리 비지니스의 활성화와 건강관리 체계 시스템의 활용이 가능하다. 나아가서 고객과의 지속적인 상호작용을 통한 삶의 긍정적 개선을 목표로, 단백질 바이오마커의 검사 및 환경요인 등을 모두 포함한 위험예측알고리즘의 적용으로, 개인의 질병에 관한 진단정보, 신체의 기능 및 활동에 관한 관리정보, 개인본인과 환경에 관한 요인정보, 개인의 심리적, 감정적 상태에 관한 증상정보 등을 포함한 본인의 BPS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MLI정보 서비스는 소비자 개인에게 해당하는 각 바이오마커 값을 향후 관리 목적을 위한 대화수단으로 표시하는 것으로, 앞으로 관리계획 (care plan)을 실천하고 종합 바이오마커 측정 정기 관리서비스를 받으면서 본인이 실행의 변화를 직접 보고서를 통하여 수치 및 그래픽으로 확인 가능하며, 증상이 나타나기 전에 조기에 경보를 알려고, 이러한 조기진단을 통한 활동모델(가령, golden schedule), personal budget, goal amangement 등을 제공, 지원하는 서비스를 통하여, 고객의 참여, 예측, 예방, 맞춤 요건 등이 반영되는 진화된 대화도구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과 그 시스템을 제시한다.
본 발명은 최근 의료기술의 발전은 고가의 맞춤진단 및 맞춤치료의 방향을 지향하고 있어 개인이나 국가의 보건의료 비용이 증가, 고령화, 만성질환의 관리, 건강수명에 대한 국민기대치의 증가 등에 따른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는 ‘치료중심의 의료’에서 ‘예방 및 조기진단 중심 의료’로 전환하며, 저장된 의료정보와 바이오정보에 관한 데이터의 통합과 연계를 통한 활용을 위하여 다양한 알고리즘 및 변수를 사용하여, ICHI, ICF 및 ICD-11 등의 공동사용을 위한 부호화 및 수치화 시스템과 연계하고, 모든 사람들의 건강과 관련된 조건에 관하여 국제공통 표준언어로 설명하는 전반적 삶의 현황보고서 형식(ICF Sets)으로 작성한다. 이러한 개인적 삶의 보고내용은 개인적 필요에 적합한 합리적인 예산편성과 재정분담(personal budget)의 도구, 개인적 생활의 활동기반에 근거를 두고 지속적, 정기적으로 활동모델 (action-based behaviour model) 및 일정 (golden schedule)을 설정, 제공하는 도구 및 개인적 목표달성을 위한 coaching 시스템을 통하여 goal management 서비스를 제공하는 도구로 사용된다.
그리고 소비자 개인적 필요에 적합하게 선정하여, 개인의 질병에 관한 진단정보, 신체의 기능 및 활동에 관한 관리정보, 개인본인과 환경에 관한 요인정보, 개인의 심리적, 감정적 상태에 관한 증상정보 등을 포함한 본인의 BPS정보를 제공하며, 소비자에게 해당하는 각 바이오마커 값을 향후 관리 목적을 위한 대화수단으로, 앞으로 본인의 건강계획을 실천하고 종합 바이오마커 측정 정기 관리서비스를 받으시면서 본인이 실행의 변화를 직접 보고서를 통하여 수치 및 그래픽으로 확인 가능하여, 증상이 나타나기 전에 조기에 경보를 알리고, 이러한 조기진단을 통한 액션플랜 등을 제공, 지원하는 서비스를 통하여, 고객의 참여, 예측, 예방, 맞춤 요건 등이 반영되는 진화된 대화도구를 제공하기 위한 MLI정보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시한다.
본 발명은 고객과의 지속적인 상호작용을 통한 삶의 긍정적 개선을 목표로, 세계보건기구가 제안한 ICD, ICF, ICHI 및 ICD-11 분류정보, 단백질 바이오마커 및 환경요인 등을 통하여 생성된 지표정보를 다양한 알고리즘 및 변수를 사용하여 통합, 연계하여, 개인의 질병에 관한 진단정보, 신체의 기능 및 활동에 관한 관리정보, 개인본인과 환경에 관한 요인정보, 개인의 심리적, 감정적 상태에 관한 증상정보 등을 포함한 본인의 BPS 정보로 설정, 제공하여, 증상이 나타나기 전에 조기에 경보를 알리고, 이러한 조기진단을 통한 활동모델(가령, golden schedule), personal budget, goal amangement 등을 제공, 지원하는 서비스를 통하여, 고객의 참여, 예측, 예방, 맞춤 요건 등이 반영되는 진화된 대화도구를 제공함으로서, 암 및 질병 중심으로 신체기관의 증세변화에 의존하여 기술적 기반에 중점을 두고 사후에 진단하고 검사하는 현행 시스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MLI정보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민감도(Sensitivity)와 특이도(Specificity)를 위한 2x2 table을 사용하는 전형적 방법으로서의 진단실험평가는 적합하지 않으므로 위험예측 알고리즘의 도입이 필요한데, 이러한 알고리즘은 바이오마커와 환경요인 등에 관한 data가 모두 포함하여야 하며, 근본 data에는 나이, 성별 등을 포함한 구체적 위험요소들이 제공되어야 한다. 위험예측의 진단에 있어서 절대적 위험요소는 핵심사항이며, 위험의 예방을 위한 적합한 예방적 중재수단이 존재하여야 효용성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예방적 중재수단의 개입을 요구하는 위험허용수준의 설정이 반드시 필요하며, 위험허용수준의 설정은 개인의 통합적 정보를 설정, 제공하는 MLI정보 서비스를 통하여 제시할 수 있다.
인체는 약 1백만개의 단백질 바이오마커 지표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이해되며, 정확한 데이타를 분류, 정렬, 저장하기 위하여 인체를 구성하는 단백질을 100%를 이해할 수 있는 연구와 조사가 필요하지만, 게놈연구분야와는 달리 아직까지는 1%에도 미치지 못하는 현실에서는, 표본 데이터를 Training data와 Testing Data로 구분하여 다양한 알고리즘과 변수를 활용하는 기술을 적용하고 있다. 따라서 단백질 바이오마커에 관한 지속적인 연구 및 조사와 새로운 기술의 축척과 통합이 필요하며, 이러한 기술의 축척과 통합은 새로운 기술을 개발한 개발업체 및 연구기관 등을 통한 라이센싱 계약을 통하여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1) 고객들이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MLI정보 서비스의 신청, 서비스 제공범위, 비용 조회, 장비의 지정, 서비스 목적의 지정, 의료기관 장소 및 시간의 지정, 지정한 의료기관의 예약 확인, MLI정보 전달 등 서비스 제공을 위한 대부분 절차와 과정을 단말기 사용을 통한 온라인/인터넷/이동통신으로 제공하고; (2) 고객이 지정한 의료기관과 MLI정보 서비스제공의 예약사항 변경 및 확인; (3) 고객이 의뢰한 유전자/단백질 샘플, 의료정보, 바이오정보 등을 다양한 분석 알고리즘 및 변수를 활용하여 조사, 분석하며; (4) 조사 및 분석 정보를 바탕으로 고객의 BPS정보를 제공하는 MLI 보고서를 준비, 작성하며; (5) 작성된 MLI 보고서를 고객이 지정한 의료기관에 통보, 전송하며; (6) MLI 정보 서비스를 제공한 의료기관으로부터 고객의 feed-back 정보를 모집, 저장하며; (7) 고객 본인이 추가적으로 개인적 정보를 입력하여 본인 BPS 정보의 update 하며; (8) 수집된 정보는 ICD/ICF의 국제공통표준언어를 적용하여 본인에게 필요한 정보로 변환하여, 암 및 질병 중심으로 신체기관의 행동증세에 의존하여 기술적 기반에 중점을 두고 사후에 진단하고 검사하는 현행 시스템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관리계획 (care plan)을 실천하고 종합 바이오마커 측정 정기 관리서비스를 받으면서 본인이 실행의 변화를 직접 보고서를 통하여 수치 및 그래픽으로 확인 가능하여, 증상이 나타나기 전에 조기에 경보를 알리고, 이러한 조기진단을 통한 활동모델(가령, golden schedule), personal budget, goal amangement 등의 제공, 지원하는 서비스를 통하여, 고객의 참여, 예측, 예방, 맞춤 요건 등이 반영되는 진화된 대화도구를 제공함으로써 고객과의 지속적인 상호작용을 통한 삶의 긍정적 개선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효과를 유발하여, 암 및 질병 중심으로 신체기관의 증세변화에 의존하여 기술적 기반에 중점을 두고 사후에 진단하고 검사하는 현행 시스템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시한다.
본 발명에서의 회원ID/비밀번호는 신청자의 회원등록여부를 사전적 단계에서
미리 확인하여 불필요한 후속단계를 차단하며, 또한 등록된 거래내역정보의 목록코드 역할을 하여 바이오마커정보DB(13), 제품.서비스정보DB(14), 알고리즘정보DB(15), ICHI/ICD/ICF정보DB(16)와 MLI보고서정보DB(17)에 등록된 수많은 거래내역정보의 목록작성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한다.  특히, 본 발명의 거래방법은 모든 신청내역정보를 메인 서버(10)로 전송하여 상기 메인 서버(10)에서 회원정보DB(11), 불량거래정보DB(12), 바이오마커정보DB(13), 제품.서비스정보 정보DB(14), 알고리즘정보DB(15), ICHI/ICD/ICF정보DB(16)와 MLI보고서정보DB(17)에 등록된 정보와 비교하고 판단하기 때문에 정보보안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1) 고객들이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MLI정보 서비스의 신청, 서비스 제공범위, 비용 조회, 장비의 지정, 서비스 목적의 지정, 의료기관 장소 및 시간의 지정, 지정한 의료기관의 예약 확인, MLI정보 전달 등 서비스 제공을 위한 대부분 절차와 과정을 단말기 사용을 통한 온라인/인터넷/이동통신으로 제공하고; (2) 고객이 지정한 의료기관과 MLI정보 서비스제공의 예약사항 변경 및 확인; (3) 고객이 의뢰한 유전자/단백질 샘플, 의료정보, 바이오정보 등을 다양한 분석 알고리즘 및 변수를 활용하여 조사, 분석하며; (4) 조사 및 분석 정보를 바탕으로 고객의 BPS정보를 제공하는 MLI 보고서를 준비, 작성하며; (5) 작성된 MLI 보고서를 고객이 지정한 의료기관에 통보, 전송하며; (6) MLI 정보 서비스를 제공한 의료기관으로부터 고객의 feed-back 정보를 모집, 저장하며; (7) 고객 본인이 추가하여 개인적 정보를 입력하여 본인 BPS 정보의 update 하며; (8) 수집된 정보는 ICHI/ICD/ICF의 국제공통표준언어를 적용하여 본인에게 필요한 정보로 변환하여, 암 및 질병 중심으로 신체기관의 행동증세에 의존하여 기술적 기반에 중점을 두고 사후에 진단하고 검사하는 현행 시스템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관리계획 (care plan)을 실천하고 종합 바이오마커 측정 정기 관리서비스를 받으면서 본인이 실행의 변화를 직접 보고서를 통하여 수치 및 그래픽으로 확인 가능하여, 증상이 나타나기 전에 조기에 경보를 알리고, 이러한 조기진단을 통한 활동모델(가령, golden schedule), personal budget, goal amangement 등의 제공, 지원하는 서비스를 통하여, 고객의 참여, 예측, 예방, 맞춤 요건 등이 반영되는 진화된 대화도구를 제공함으로써 고객과의 지속적인 상호작용을 통한 삶의 긍정적 개선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효과를 유발한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MLI정보 서비스 거래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MLI 정보 서비스사업 시스템의 개념도이고,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메인 서버의 구성도이고,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회원정보DB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회원으로 가입하는 절차에 대한 흐름도이고,
도6은 본 발명에 의한 MLI 정보 서비스사업의 주요한 구성원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MLI보고서관리정보DB(16)에서 회원의 거래에 대한 선택정보의 입력과 거래의 선정에 관한 절차를 구분하는 흐름도이고,
도8은 본 발명에 의한 MLI보고서정보DB(17)에서 신청정보의 입력절차에 대한 흐름도이고,
도9는 본 발명에 의한 제품.서비스관리DB(14)에서 회원의 거래절차를 구분하는 흐름도이고,
도10a, 도10b와 도10c는 본 발명에 의한 바이오마정보DB(13), 알고리즘정보DB(15)와 ICHI/ICD/ICF정보DB(16)에서 회원의 데이터에 바이오마커, 알고리즘 및 변수, ICD/ICF의 국제공통표준언어 등을 적용하여 본인의 BPS정보로서 MLI보고서정보DB(17)로 저장되는 흐름도이고
도11은 본 발명에 의한 관리서버(10)에서 대출거래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거래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로서 본 발명에 의한 MLI정보 서비스의 거래방법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회원으로 가입하여 개별정보, ID, 비밀번호 등을 등록하여 개별적 거래구좌를 개설한 회원들만이 이용할 수 있으므로 회원등록단계(S100)를 거쳐야 한다. 회원은 MLI정보 서비스의 정보 및 거래를 허락하는 회원ID 등을 회원정보DB(11)에 등록하며, 이러한 회원ID는 유일코드(unique code)로 관리된다. 본 발명에 의한 MLI정보 서비스 시스템의 모든 정보는 회원ID에 의하여 목록화하기 때문에 회원ID는 유일하여야 하므로, 동일한 회원ID가 이미 등록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조회하는 회원ID 중복여부 확인단계(S211)를 반드시 거쳐야 하며, 동일한 회원ID가 이미 등록된 경우에는 신청한 회원ID에 대해서는 가입신청이 거절된다.
그리고 이러한 MLI정보 서비스의 신규가입자의 회원가입 및 회원ID의 등록에 관한 정보들은 본부가 관리하는 메인 서버(10)에서 불량거래정보DB(12)의 조회 등을 통하여 신청회원의 불량거래자여부에 대한 판별단계(S212)를 거쳐서 회원정보DB(11)에 등록되며(S100), 회원에게 제공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에 관한 모든 정보는 바이오마커정보DB(13)에, 회원이 제공할 수 있고 사용할 수 있는 생활 및 건강 관리에 관련된 장비, 기자재 및 서비스에 관한 모든 정보는 제품.서비스정보 DB(14), 저장된 데이터의 분석에 사용되는 다양한 알고리즘 및 변수에 관한 정보는 알고리즘정보DB(15), ICD/ICF의 국제공통표준언어의 적용에 관한 모든 정보는 ICHI/ICD/ICF정보DB(16), MLI 보고서에 기재되는 사항에 관한 정보는 MLI보고서정보DB(17)에 각각 저장된다. 상기의 회원ID 등에 관한 중복여부 확인단계(S211) 또는 불량거래자 판별단계(S212)에서 해당요건이 충족되지 않는 경우에는 MLI정보 서비스의 신규회원등록 절차를 종료하고 그 사실 및 이에 해당되는 이유를 설명하여 회원등록을 거절하는 거절단계(S811)(S812)를 거치게 된다.
        이하에서는 MLI정보 서비스 시스템의 회원등록단계(S100)를 완료한 것을 전제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로서 MLI정보 서비스 시스템의 회원이 요청한 정보신청에 관한 내역정보의 입력에 따른 각 단계의 거래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거래의 각 단계는, 회원으로 가입한 고객들이 MLI정보 서비스를 신청하는 경우, 홈페이지에 연결하여 MLI정보 서비스를 신청하기 위하여    전송하는 회원들의 정보를 확인하는 회원ID 확인요청단계(S200)와, '회원으로부터 전송 받은 신청내역정보'와 '회원정보DB(11)에 등록된 신청내역정보'를 비교, 확인하는 회원 및 신청내역정보의 확인단계(S210)와,         
상기 회원ID에 해당하는 회원정보에 대하여 불량거래자 여부를 확인하는 거래상태 확인단계로 이루어지는 회원ID 확인단계(S220)와,
        상기 확인단계(S210)(S220)들 중에서 해당요건이 충족하지 않는 경우, 회원이 신청한 지급처리를 중단하고 그러한 거래의 신청에 대한 승인을 거절하는 거절단계(S811)(S812)와,
        상기 확인단계(S210)(S220)들의 요건이 모두 충족된 경우, 회원의 대출신청단계(S300) 및 회원ID에 해당하는 회원의 바이오마커정보DB(13), 제품.서비스정보 정보DB(14), 알고리즘정보DB(15), ICHI/ICD/ICF정보DB(16) 또는 MLI보고서정보DB(17)에 등록된 거래 승인내역'과 '회원으로부터 전송 받은 신청내역'을 비교하여 승인조건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승인가능여부 판별단계(S400)와,
상기 판별단계(S400)의 요건이 충족되지 않는 경우, 모든 승인절차를 중단하고 그러한 거래의 승인을 거절하는 거절단계(S813)와,
        상기 판별단계(S400)의 요건을 충족하는 경우, 회원정보DB(11)에 등록된 회원이 MLI보고서 정보제공 서비스의 일부분으로 요구하는 보고서 작성에 필요한 신청인의 MLI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S500)와 바이오마커정보DB(13), 제품.서비스정보 DB(14), 알고리즘정보DB(15) 또는 ICHI/ICD/ICF정보DB(16)에 등록된 승인내역정보와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인증단계(S600)와,
        상기 인증단계(S600)에서 '회원으로부터 전송 받은 신청내역정보'와 ?牡結으뗑옥ㅊ?B(13), 제품.서비스정보 DB(14), 알고리즘정보DB(15) 또는 ICHI/ICD/ICF정보DB(16)에 등록된 승인내역정보'가 일치하지 않으면 승인을 중단하는 거래불승인단계(S814)와,
        상기 신청내역정보 및 승인내역정보의 확인단계에서 바이오마커정보DB(13), 제품.서비스정보 DB(14), 알고리즘정보DB(15) 또는 ICHI/ICD/ICF정보DB(16)에서 데이터의 검색(S131)을 통하여 상이한 사항을 수정하거나 추가정보를 입력하고(S700), 수정된 사항을 확인하는 단계(S800)와,
        상기 확인단계(S800)에서 '회원으로부터 전송 받은 신청내역정보'와 ‘바이오마커정보DB(13), 제품.서비스정보 DB(14), 알고리즘정보DB(15) 또는 ICHI/ICD/ICF정보DB(16)에 등록된 승인내역정보'가 일치하는 경우에는 거래를 승인하는 승인단계(S900)를 거쳐서 MLI보고서정보DB(17)에 저장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러한 처리 흐름도가 도1에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의 회원ID는 신청자의 회원등록여부를 사전적 단계에서 미리 확인함으로써 불필요한 후속단계를 차단하며, 또한 등록된 신청내역정보의 목록코드 역할을 함으로써 회원정보DB(11)에 등록된 수많은 신청내역정보의 목록작성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 회원ID는 타인에게 노출되어도 무방하며, 만일 부정사용자에 의하여 회원ID가 도용되어도 회원정보DB(11)에 등록된 신청내역정보와 다른 부당한 거래는 이루어지지 않는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의 거래방법은 모든 신청정보를 메인 서버(10)로 전송하여 상기 메인 서버(10)내에서 회원정보DB(11), 불량거래자정보DB(12), 바이오마커정보DB(13), 제품.서비스정보 DB(14), 알고리즘정보DB(15) 또는 ICHI/ICD/ICF정보DB(16)에 등록된 정보와 비교하고 판단하게 때문에 정보보안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대용량의 신청정보를 통신망을 이용하여 상기 메인 서버(10)로 전송함에 따른 처리속도의 저하가 우려될 수 있으나, 이러한 문제는 데이터의 압축 기술 및 통신기술에 의존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에 의한 거래방법의 실시 가능성에 대한 의심의 여지는 없다.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MLI정보 서비스 시스템의 개념도로써, 메인 서버(10)와, 상기 메인 서버(10)에 접속되어 금융거래를 수행하는 금융기관 서버(20)와 상기 메인 서버(10)와 단말기(30) 상호간에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보안을 위한 압축 및 암호화/부호화 모듈 및 ODBC 또는 TCP/IT 등의 통신프로토콜을 이용한 자체 통신모듈이 내장되어 거래정보를 송수신하는 회원의 단말기(30)와, 상기 메인 서버(10)와 단말기(30) 상호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공지의 통신시스템(40)으로 구성된다.
        상기 메인 서버(10)는 MLI정보 서비스 시스템의 회원에 관한 인적 정보와 회원ID 및 신청내역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회원정보DB(11)와, 불량거래자 정보를 저장하는 불량거래자정보DB(12)와, 회원에게 제공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에 관한 모든 정보는 바이오마커관리정보DB(13)에, 회원이 제공할 수 있고 사용할 수 있는 생활 및 건강 관리에 관련된 장비, 기자재 및 서비스에 관한 모든 정보는 제품.서비스정보 DB(14), 저장된 데이터의 분석에 사용되는 알고리즘 및 변수에 관한 정보는 알고리즘정보DB(15), ICD/ICF의 국제공통표준언어의 적용에 관한 모든 정보는 ICHI/ICD/ICF정보DB(16), MLI 보고서에 기재되는 사항에 관한 정보는 MLI보고서정보DB(17), '회원의 단말기(30)로부터 전송받은 신청내역정보'와 '상기 회원정보DB(11)에 저장하고 관리되는 회원ID' 및 '바이오마커정보DB(13), 제품.서비스정보 DB(14), 알고리즘정보DB(15) 또는 ICHI/ICD/ICF정보DB(16)에 등록된 승인내역정보'를 비교하는 비교연산장치(미도시)로 구성된다.
도3은 상기 메인 서버의 구성도로서, 상기 메인 서버(10)는 MLI정보 서비스 시스템의 회원에 관한 인적 정보와 회원ID 및 신청내역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회원정보DB(11), 불량거래자 정보를 저장하는 불량거래자정보DB(12), 회원에게 제공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에 관한 모든 정보는 바이오마커관리정보DB(13)에, 회원이 제공할 수 있고 사용할 수 있는 생활 및 건강 관리에 관련된 장비, 기자재 및 서비스에 관한 모든 정보는 제품.서비스정보 DB(14), 저장된 데이터의 분석에 사용되는 알고리즘 및 변수에 관한 정보는 알고리즘정보DB(15), ICD/ICF의 국제공통표준언어의 적용에 관한 모든 정보는 ICHI/ICD/ICF정보DB(16), MLI 보고서에 기재되는 사항에 관한 정보는 MLI보고서정보DB(17) 등으로 구성되는 DB관리서버(20)와 회원인증모듈(21), 바이오마커관리모듈(22), 장비 및 서비스관리모듈(23), 알고리즘관리모듈(24), ICD/ICF관리모듈(25)와 및 MLI보고서관리모듈(26) 등으로 구성되는 MLI정보서비스관리서버(26) 및 회원이 개설한 개별적 회원계좌(1101)를 관리하는 계좌관리모듈(27)로 구성된다. 이러한 관리모듈들은 관리서버와 함께 서로가 긴밀하게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이때 관리모듈은 관리서버와 지속적인 신호연결관계를 취하면서 회원들의 MLI정보 서비스의 신청, 서비스 제공범위, 비용 조회, 장비의 지정, 서비스 목적의 지정, 의료전문인력의 지정, 의료기관 장소 및 시간의 지정, 지정한 의료기관의 예약 확인, 대출 조건의 지정 및 적용, 알고리즘 및 변수의 지정 및 적용, MLI보고서 모델의 지정 및 적용, MLI정보 전달 등 서비스 제공을 위한 모든 절차와 과정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MLI정보 서비스제공의 진행에 따라서 각 절차에 필요한 각종 정보의 필요영역에 선택적으로 저장하거나, 역으로 로딩, 출력함으로써, 관리서버의 전체적인 절차진행을 보조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가령, 회원의 신청이 합당한 것인가의 여부, 검진에 필요한 인력, 시설, 장비 등을 어떻게 설정하고 진행할 것인지의 여부, 알고리즘과 변수의 적절한 선택을 어떻게 결정할 것인가 여부, MLI정보 서비스의 범위와 조건을 어떻게 결정할 것인가의 여부, 대출의 규모와 조건을 어떻게 결정할 것인가의 여부 등을 신뢰할 수 있도록 심사하고 평가하는 가이드 역할을 수행한다.
도4는 회원정보DB(11)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회원정보DB에는 회원등록을 통하여 회원으로 판단할 수 있는 회원ID를 저장하는 회원ID필드(1011), 해당 회원의 상호 또는 성명, e-mail주소를 포함하는 우편주소, 전화번호, 직업 및 성별, 주거래은행, BSP정보 등의 회원에 관한 모든 개별적 정보를 저장하는 회원정보필드(1012), 해당회원의 비밀번호를 저장하는 비밀번호필드(1013)와 해당회원의 사업, 직업, 성별, 연령 등의 성격에 따라서 구분하는 회원분류필드(1014)가 적어도 포함된다.
도5는 회원으로 가입하는 절차에 대한 흐름도이다.  인터넷 및 이동통신을 통하여 메인 서버(10)에 접속하며, 회원의 사업성격구분에 따른 가입여부를 결정한다 (S110).  회원의 구분에 따른 가입선택을 하면, 회원의 개별적 정보의 입력을 요구한다 (S120). 회원의 개별적 정보의 입력이 완료되면 (S130), 해당 회원에게 ID와 임시비밀번호가 부여되고 개별적 거래구좌가 개설됨으로써 (S140) 가입절차가 종료된다. 비밀번호는 나중에 변경이 가능하며, 회원이 원하는 ID와 비밀번호의 입력도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은 인터넷/온라인/이동통신을 통한 가입이며, 물론 오프라인을 통한 가입도 가능하다.
도6는 MLI정보 서비스의 주요한 구성원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소비자(111) 이외에도, 지역health 관련업체(112), 사업본부(113), 대출기관(114), 법원등기소(115) 등 MLI정보 서비스를 구성하는 이해 당사자들은 일반적으로 당사자간에 체결된 계약관계에 근거하여 본 발명의 운영과 거래가 이루어진다.
도 7는 MLI보고서정보DB(16)에서 회원의 거래에 대한 선택정보의 입력과 거래의 선정에 관한 절차를 구분하는 흐름도이다.  흐름도에서 제시하는 바와 같이 회원ID와 비밀번호를 요구하는 회원확인절차와 정상회원확인절차(S610)를 거치면, MLI정보 서비스신청에 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으며(S620)(S630), 이러한 신청정보는 다시 변경이 허용되며(S640), 신청정보가 최종적으로 확인되면, 전송 받은 ‘신청내역정보’에 대한 임시승인 절차를 거쳐서(S650), 신청절차가 유효하게 종료된다(S670).
도8은 MLI보고서정보DB(16)에서 신청정보의 입력절차에 대한 흐름도이다. 회원의 단말기를 통하여 서버(10)에 접속하여, 회원의 개별적 정보를 입력하려면(S160), 회원에게 1차적으로 회원별 정보분류를 안내하고(S1610), 다음으로 검진장비의 정보분류를 안내하고(S1620), 다음으로 회원들을 위하여 제공하는 바이오마커에 관한 정보분류를 안내하고(S1630), 다음으로 알고리즘 및 변수에 관한 정보분류를 안내하고(S1660), 다음으로 클레임에 관한 정보분류를 안내하고(S1650), 마지막으로 회원들이 요구할 수 있는 질문정보, 신청정보 등의 기타정보분류를 안내하여(S1660), 이와 같이 MLI정보 서비스신청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하면, MLI보고서 서비스신청에 관한 정보의 선택은 종료된다(S1670). 물론 모든 절차를 차례로 거쳐야만 하는 것이 아니라, 회원정보DB(11)에 저장되는 해당회원의 회원분류필드(1014)의 구분에 따른 신청자의 성격에 따라서 불필요 절차는 자동적으로 생략되게 프로그램을 설정한다.
도9는 제품.서비스정보DB(14)에서 회원의 거래절차를 구분하는 흐름도이다. 흐름도에서 제시하는 바와 같이 장비, 기자재 및 서비스에 대한 거래를 선정하고, 회원ID와 비밀번호를 요구하는 회원확인절차를 거치면(S1410), 회원이 이용할 수 있는 장비, 기자재 및 서비스에 대한 거래범위를 안내하며(S1411), 이러한 거래범위에서 회원이 거래대상인 장비, 기자재 및 서비스의 거래를 주문하면(S1412), 장비, 기자재 및 서비스 중 거래 가능한 종류와 그 거래절차에 대한 진행안내가 제공되고(S1413) 거래진행과 함께 거래를 주문한 장비, 기자재 및 서비스의 비용안내가 제공되고(S1414), 판매, 매입 및 임대에 대한 청약과 승낙이 이루어져서 거래가 실행을 주문하면(S1415), 이러한 거래의 인증절차를 거쳐서(S1416), 거래정보가 회원거래구좌를 통하여 전송되고(S1417), 등록회원이 거래를 승인하는 경우(S1418), 장비 및 서비스의 거래가 유효하게 종료된다(S1420). 실행된 거래에 대한 정보가 요약되어 회원거래구좌를 통하여 전송된다(S1421).
도10a는 바이오마정보DB(13), 알고리즘정보DB(15)와 ICHI/ICD/ICF정보DB(16)에서 회원의 데이터에 바이오마커, 알고리즘 및 변수, ICD/ICF의 국제공통표준언어 등을 적용하여 본인의 BPS정보로서 MLI보고서정보DB(17)로 저장되는 흐름도이다. 흐름도에서 제시하는 바와 같이 신청자의 데이터는 적절한 바이오마커를 적용하여 분류, 정렬, 처리되고(S1110), 처리된 정보는 적절한 알고리즘 및 변수 등을 적용하여 분석이 이루어지고(S1120), 이러한 분석정보는 ICD/ICF의 국제공통표준언어를 적용하여 본인에게 필요한 변환절차가 진행되며(S1130), 신청자의 요구사항, 결과의 정확도, 시스템의 정상적 작동, 시스템의 upgrade에 의한 수정 및 변경 등을 고려하여 결과를 승인하는 경우, 회원의 MLI보고서 작성에 관한 진행절차가 유효하게 종료된다(S1140).
도10b는 바이오마정보DB(13), 알고리즘정보DB(15)와 ICHI/ICD/ICF정보DB(16)에서 회원의 데이터에 바이오마커, 알고리즘 및 변수, ICD/ICF의 국제공통표준언어 등을 적용하여 본인의 BPS정보로서 MLI보고서정보DB(17)로 저장되는 흐름도이다. 흐름도에서 제시하는 바와 같이 신청자의 데이터를 입력하고(S1310), 입력된 데이터는 최대한 적절한 알고리즘 및 변수 등을 적용하여(S1511, S1521) 분류, 정렬, 저장되고(S1320), 저장된 정보는 최대한 적절한 알고리즘 및 변수 등을 적용하여(S1512, S1522), 모델의 지표분석이 이루어지고(S1330), 이러한 모델의 지표분석정보는 최대한 적절한 알고리즘 및 변수 등을 적용하여(S1513, S1523), 신청자 본인의 모델로서 본인에게 필요한 진단과 평가와 ICD/ICF의 국제공통표준언어를 적용하여 본인에게 필요한 변환절차가 진행되며(S1340), 신청자의 요구사항, 결과의 정확도, 시스템의 정상적 작동, 시스템의 upgrade에 의한 수정 및 변경 등을 고려하여 결과를 승인하는 경우, 회원의 MLI보고서 작성에 관한 진행절차가 유효하게 종료된다(S1350).
도10c는 바이오마정보DB(13), 알고리즘정보DB(15)와 ICHI/ICD/ICF정보DB(16)에서 회원의 데이터에 바이오마커, 알고리즘 및 변수, ICD/ICF의 국제공통표준언어 등을 적용하여 본인의 BPS정보로서 MLI보고서정보DB(17)로 저장되는 흐름도이다. 흐름도에서 제시하는 바와 같이 신청자의 데이터는 적절한 바이오마커를 적용하여 처리된 정보는 적절한 알고리즘 및 변수 등을 적용하여 절대적 위험요소를 포함하는 확률모델인 표준모델의 지표가 설정되고(S1510), 이러한 모델의 지표를 본인모델의 지표로 설정하기 위한 분석규칙이 설정되며(s1520), 설정된 규칙의 적용절차와 반복적용절차의 판정을 거쳐서(s1530, s1540), 위험허용수준을 설정하는 최적확률분포를 갖는 확률모델로서 본인모델의 지표가 결정되며(s1550), 신청자 본인의 모델로서 본인에게 필요한 진단과 평가와 ICD/ICF의 국제공통표준언어를 적용하여 본인에게 필요한 변환절차가 진행되며(S1560), 신청자의 요구사항, 결과의 정확도, 시스템의 정상적 작동, 시스템의 upgrade에 의한 수정 및 변경 등을 고려하여 결과를 승인하는 경우, 회원의 MLI보고서 작성에 관한 진행절차가 유효하게 종료된다(S1570).
도11은 관리서버(10)에서 대출거래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흐름도에서 제시하는 바와 같이 신청자가 정상회원으로 확인되면(S2610), 대출신청서를 작성하고(S2620), 판매사업체의 경우에는 외상매출채권의 정보 또는 소비자의 경우에는 회원거래정보를 제공하고(S2630), 대출기관과 여신거래약정서를 체결하고(S2640), 소비자 및 판매사업체가 제공한 정보를 근거로 대출의 심사를 거쳐서 승인이 결정되고(S2650), 회원의 지정한 계좌에 대출금이 지급되면(S2670), 대출에 관한 진행절차는 유효하게 종료된다(S2670).
본 발명은 신청회원들이 거래의 개설 및 회원의 ID와 신청내역정보의 입력만으로도 플랫폼사업의 회원으로 가입하여 MLI정보 서비스를 제공받으며, 플랫폼사업의 회원으로 가입하여 생활 및 건강 관리에 관련된 제품 및 서비스를 판매하는 기업 또는 자영업자들에게는 외상매출채권을 담보로 단기간 대출을 제공하여, 단기자금 압박을 해소하고, 신속한 자금회전을 통하여 매출을 증대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단기대출사업체, 소비자, 상품 및 서비스판매업체 간의 거래에 대한 효율적 운영을 위한 거래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시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 메인 서버
11: 회원정보DB
12: 불량거래자정보DB
13: 바이오마커정보DB
14: 제품.서비스정보DB
15: 알고리즘정보DB
16: ICHI/ICD/ICF정보DB
17: MLI 보고서정보DB
20: 금융기관 서버
30: 회원 단말기
40: 통신시스템
50: VAN시스템
60: 웹 서버

Claims (6)

  1. 고객과의 지속적인 상호작용을 통한 삶의 긍정적 개선을 목표로, 고객에게 해당하는 각 바이오마커 값을 향후 관리 목적으로 표시하는 것으로, 앞으로 관리계획 (care plan)을 실천하고 종합 바이오마커 측정 정기 관리서비스를 받으면서 본인이 실행의 변화를 직접 보고서를 통하여 수치 및 그래픽으로 확인 가능하여, 증상이 나타나기 전에 조기에 경보를 알리며, 이러한 조기진단을 통한 활동모델(가령, golden schedule), personal budget, goal amangement 등의 제공, 지원하는 MLI정보 서비스를 통하여, 고객의 참여, 예측, 예방, 맞춤 요건 등이 반영되는 진화된 대화도구로서 MLI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며, (1) MLI정보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회원으로 가입한 소비자, (2)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는 개발업체 및 연구기관, 새로운 의료 관련 시설장비와 기자재를 개발하는 의료 및 보건 장비업체, 알고리즘을 개발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개발업체와 u-fitness, u-health, u-hospital, u-healthcare서비스 지원기능을 실행하는 통신사업체, 의료 및 보건 산업 분야의 의료기관, 교육기관 및 전문인력 등을 포함하는 건강 및 생활 관리에 관련된 제품 및 서비스를 판매하는 기업 또는 자영업자들로 구성된 판매업체, (3) 소비자와 판매사업체 간의 원활하고 효율적인 거래를 위하여 단기간 대출을 제공하는 대출사업체 등이 상호 간에 생활 및 건강 관리에 관련된 제품 및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거래 방법에 있어서,
            이러한 거래방법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회원가입 신청자들의 개별정보, 회원ID 등을 등록하여 개별적 구좌를 개설한 회원만이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회원등록단계(S100);
            지속적인 상호작용을 통한 삶의 긍정적 개선을 할 수 있도록 지원받으려는 소비자, 한정적인 시설, 인적, 물적 자원을 바탕으로 소비자에게 생활 및 건강에 제품 및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판매하는 기업 또는 자영업자, 판매사업체에게는 외상매출채권을 담보로 단기간 대출을 제공하며 소비자에게는 단기소액대출을 제공하려는 대출사업체 간에, 소비자와 판매사업체의 단기적 자금의 압박 및 재정적 어려움을 해소하고, 신속한 자금회전을 통하여 판매사업체의 매출을 증대를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플랫폼사업에 가입한 회원들 간의 거래에 관하여 신청내역정보를 전송하는 회원들의 정보를 확인하는 회원ID 확인요청단계(S200);
            회원의 단말기(30)로부터 전송 받은 신청내역정보와 회원정보DB(11)에 등록된 신청내역정보를 비교, 확인하는 회원 및 신청내역정보의 확인단계(S210);
            상기 회원ID에 해당하는 회원정보에 대하여 불량거래자 여부를 확인하는 거래상태 확인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회원ID 확인단계(S220);
            상기 확인단계(S210)(S220)들의 요건이 모두 충족된 경우, 회원의 거래 신청단계(S300);
            상기 회원ID 확인단계(S200)를 거친 '회원으로부터 전송받은 신청내역'과 회원ID에 해당하는 '회원의 바이오마커정보DB(13), 제품.서비스관리정보DB(14), 알고리즘정보DB(15), ICHI/ICD/ICF정보DB(16) 또는 MLI보고서정보DB(17)에 등록된 승인내역'을 비교하여 승인조건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승인가능여부 판별단계(S400);
            상기 판별단계(S400)의 요건을 충족하는 경우, 상기 회원 및 신청내역정보의 확인단계(S210)를 거쳐 회원정보DB(11)에 등록된 회원이 거래한 모든 거래정보를 확인하는 회원ID 확인단계(S500);
            상기 회원 및 신청내역정보의 확인단계(S210)를 거쳐 회원정보DB(11)에 등록된 회원이 거래한 모든 거래정보를 확인하는 회원ID 확인단계(S500)를 거친 후, '전송 받은 신청내역정보'와 '바이오마커정보DB(13), 제품.서비스관리정보DB(14), 알고리즘정보DB(15), ICHI/ICD/ICF정보DB(16) 또는 MLI보고서정보DB(17)에 등록된 승인내역정보'와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인증단계(S600);
            상기 신청내역정보 및 승인내역정보의 확인단계에서 바이오마커정보DB(13), 제품.서비스관리정보DB(14), 알고리즘정보DB(15), ICHI/ICD/ICF정보DB(16) 또는 MLI보고서정보DB(17)에서 데이터의 검색(S131)을 통하여 정보를 수정 및 추가하고(S132), 본인이 직접 본인의 수정정보 또는 추가정보를 입력하고(S700), 확인하는 단계(S800)와
            상기 확인단계(S800)에서 '회원으로부터 전송받은 신청내역정보'와 ' 바이오마커정보DB(13), 제품.서비스관리정보DB(14), 알고리즘정보DB(15), ICHI/ICD/ICF정보DB(16) 또는 MLI보고서정보DB(17)에 등록된 승인내역정보'가 일치하는 경우에는 거래를 승인하는 승인단계(S900) 및 바이오마커정보DB(13), 제품.서비스관리정보DB(14), 알고리즘정보DB(15), ICHI/ICD/ICF정보DB(16) 또는 MLI보고서정보DB(17)에 저장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LI정보 서비스 사업시스템에 가입한 회원들 간의 거래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회원ID에 관한 중복여부 확인단계(S210) 또는 불량거래자 판별단계(S220)에서 해당요건이 충족되지 않는 경우에는 신규회원등록 절차를 종료하고 그 사실 및 이에 해당되는 이유를 설명하여 회원등록을 거절하는 거절단계(S811)(S812)를 더 포함하는 MLI정보 서비스사업 시스템에 가입한 회원들 간의 거래에 관한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단계(S400)의 요건이 충족되지 않는 경우, 모든 진행절차를 중단하고 그러한 거래의 승인을 거절하는 거절단계(S810)를 더 포함하는 MLI정보 서비스사업 시스템에 가입한 회원들 간의 거래에 관한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단계(S600)에서 '회원으로부터 전송받은 신청내역정보'와 '바이오마커정보DB(13), 제품.서비스정보DB(14), 알고리즘정보DB(15), ICHI/ICD/ICF정보DB(16) 또는 MLI보고서정보DB(17)에 에 등록된 승인내역정보'가 일치하지 않으면 거래를 중단하는 거래불승인단계(S810)를 더 포함하는 MLI정보 서비스사업 시스템에 가입한 회원들 간의 거래에 관한 방법.
  5. 고객 본인의 BPS 정보 서비스 거래방법에 있어서,
            상기 신청내역정보 및 승인내역정보의 확인단계에서 바이오마커정보DB(13), 제품.서비스관리정보DB(14), 알고리즘정보DB(15), ICHI/ICD/ICF정보DB(16) 또는 MLI보고서정보DB(17)에서 데이터의 검색(S131)을 통하여 정보를 수정하고(S132), 수정된 정보를 입력(S700), 확인하는 단계(S800)를 더 포함하는 MLI정보 서비스사업 시스템에 가입한 회원들 간의 거래에 관한 방법.
  6.         고객 본인의 BPS 정보 서비스 거래방법에 있어서,
            MLI정보 서비스사업 시스템의 회원에 관한 인적 정보와 회원ID 및 신청내역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회원정보DB(11), 불량거래자 정보를 저장하는 불량거래자정보DB(12), 플랫폼사업을 통하여 회원에게 제공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에 관한 모든 정보는 바이오마커관리정보DB(13), 회원이 제공할 수 있고 사용할 수 있는 건강 및 생활과 관련된 장비, 기자재 및 서비스에 관한 모든 정보는 제품.서비스정보 DB(14), 저장된 데이터의 분석에 사용되는 알고리즘 및 변수에 관한 정보는 알고리즘정보DB(15), ICD/ICF의 국제공통표준언어의 적용에 관한 모든 정보는 ICHI/ICD/ICF정보DB(16), MLI 보고서에 기재되는 사항에 관한 정보는 MLI보고서정보DB(17), '회원의 단말기(30)로부터 전송받은 신청내역정보'와 '상기 회원정보DB(11)에 저장하고 관리되는 회원ID' 및 ' 바이오마커정보DB(13), 제품.서비스관리정보DB(14), 알고리즘정보DB(15), ICHI/ICD/ICF정보DB(16) 또는 MLI보고서정보DB(17)에 등록된 승인내역정보'를 비교하는 비교연산장치(미도시)로 구성되는 메인 서버(10);
            상기 VAN시스템(50)을 통하여 메인 서버(10)에 접속되어 해당 회원의 불량거래 여부를 확인하는 거래를 수행하는 금융기관 서버(20)
            상기 메인 서버(10)와 단말기(30) 상호간에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보안을 위한 압축 및 암호화/부호화 모듈 및 ODBC 또는 TCP/IT 등의 통신프로토콜을 이용한 자체 통신모듈이 내장되는 단말기(30);
            상기 메인 서버(10)와 단말기(30) 상호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공지의 통신시스템(40)으로 구성되며 회원들에게 지급하는 거래의 방법.
KR1020130139465A 2013-11-16 2013-11-16 고객맞춤정보 (mli정보)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500567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9465A KR20150056736A (ko) 2013-11-16 2013-11-16 고객맞춤정보 (mli정보)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9465A KR20150056736A (ko) 2013-11-16 2013-11-16 고객맞춤정보 (mli정보)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6736A true KR20150056736A (ko) 2015-05-27

Family

ID=53391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9465A KR20150056736A (ko) 2013-11-16 2013-11-16 고객맞춤정보 (mli정보)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5673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92058A (zh) * 2015-06-25 2015-10-21 成都厚立信息技术有限公司 疾病风险调整模型建立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92058A (zh) * 2015-06-25 2015-10-21 成都厚立信息技术有限公司 疾病风险调整模型建立方法
CN104992058B (zh) * 2015-06-25 2017-08-01 成都厚立信息技术有限公司 疾病风险调整模型建立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chwarz et al. Validation of a blood-based laboratory test to aid in the confirmation of a diagnosis of schizophrenia
JP4487929B2 (ja) 診断支援システムおよび携帯端末
Težak et al. US FDA and personalized medicine: in vitro diagnostic regulatory perspective
Redfern et al. Predicting in-hospital mortality and unanticipated admissions to the intensive care unit using routinely collected blood tests and vital signs: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multivariable model
KR101720040B1 (ko) 하나 이상의 생물학적 테스트 대상들 또는 환경 테스트 대상들과 관련된 수집된 데이터 및 분석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분석하고, 이들 데이터에 대한 액세스를 가능하게 하는 방법 및 시스템
JP2016508610A (ja) 検定結果を収集及び送信するためのシステム並びに方法
Riggs et al. T owards a U niversal C linical G enomics D atabase: The 2012 I nternational S tandards for C ytogenomic A rrays C onsortium M eeting
Knoppers et al. Regulatory approaches to reproductive genetic testing
Tozzoli et al. Automation, consolidation, and integration in autoimmune diagnostics
Graden et al. A high-level overview of the regulations surrounding a clinical laboratory and upcoming regulatory challenges for laboratory developed tests
Townsend et al. Rationale and design of the transformative research in diabetic nephropathy (TRIDENT) study
Lloyd-Puryear et al. Foundation of the Newborn Screening Translational Research Network and its tools for research
Marriott et al. Predictive validity of the Short-Term Assessment of Risk and Treatability (START) for multiple adverse outcomes: The effect of diagnosis
Clegg et al. New horizons in evidence-based care for older people: individual participant data meta-analysis
Denaxas et al. A semi-supervised approach for rapidly creating clinical biomarker phenotypes in the UK Biobank using different primary care EHR and clinical terminology systems
Kruse et al. Genetic testing for rare diseases: a systematic review of ethical aspects
King Assessment and findings of the vulnerability index (VI-spdat) survey of individuals experiencing homelessness in Travis County, TX
KR20150056736A (ko) 고객맞춤정보 (mli정보)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KR20210017837A (ko) 맞춤형 방문 예방검진 서비스 스케줄링 시스템 및 방법
Waddell et al.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model predicting mild stroke severity on admission using electronic health record data
Tamminga et al. What do people want to know about NIPT? Content analysis of questions emailed to national NIPT information websites
McGovern et al. Personnel standards and quality assurance practices of biochemical genetic testing laboratories in the United States
Abu Farha et al. Drug-related problem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out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a cross-sectional study from Jordan
KR20160045512A (ko) 스마트코디를 이용한 스마트 생활기능 경영정보 지원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McDonald et al. Mis-mappings between a producer’s quantitative test codes and LOINC codes and an algorithm for correcting th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