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5690A - 상자식 채니기 - Google Patents

상자식 채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5690A
KR20150055690A KR1020130137939A KR20130137939A KR20150055690A KR 20150055690 A KR20150055690 A KR 20150055690A KR 1020130137939 A KR1020130137939 A KR 1020130137939A KR 20130137939 A KR20130137939 A KR 20130137939A KR 20150055690 A KR20150055690 A KR 201500556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unit
trigger pin
wir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7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13193B1 (ko
Inventor
김동성
강희산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301379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3193B1/ko
Publication of KR201500556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56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31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31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04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solid state, e.g. by cut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24Earth materi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2001/1006Dispersed solids
    • G01N2001/1012Suspensions
    • G01N2001/1025Liquid suspensions; Slurries; Mud; Slud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Immu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상자식 채니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자식 채니기는, 하단이 수중의 바닥면에 닿을 수 있도록 이루어지고 상측에 지지부가 형성되는 프레임; 지지부 상에서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바디; 지지부 아래쪽에서 바디에 결합되고, 하측으로 개구된 개구부 및 개구부를 통하여 내부에 퇴적물이 유입되는 수용부가 형성되는 케이스; 지지부 아래쪽에서 제1 회전축을 기준으로 바디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개구부에 밀착되어 수용부를 밀폐하는 밀폐판 및 밀폐판 반대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회전아암이 형성되는 회전삽; 와이어를 통하여 회전아암의 일측과 연결되는 와이어 연결부; 바디 상측에 결합되고, 와이어가 걸리는 걸림핀 및 커넷터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헤드; 및 와이어 연결부가 삽입홈에 삽입되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트리거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자식 채니기가 해저면으로 내려지는 과정에서는 트리거핀이 와이어 연결부에 걸려 와이어 연결부가 삽입홈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자식 채니기가 해저면에 닿는 과정에서는 트리거핀이 와이어 연결부에서 분리되면서 와이어가 당겨질 수 있는 상태로 용이하게 변경되고, 바디가 프레임을 기준으로 하측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개방핀에 의한 압력도어의 지지가 해제되면서 압력도어가 압력홀을 밀폐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사용 및 작동이 용이한 채니기를 형성할 수 있고, 특히 채니기 사용에 필요한 인력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상자식 채니기{BOX CORER}
본 발명은 상자식 채니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강이나 바다의 퇴적물 채취를 위하여 사용되며, 장치의 수중 투입과 회수과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상자식 채니기에 관한 것이다.
채니기는 배 위에서 침전물을 채집하는 데 사용되며, 채니기로 채집된 침전물은 물 밑의 지질도 작성, 지하자원 조사, 퇴적물의 역사적인 연구 등에 이용된다.
이러한 채니기에는, 강철로 된 갈퀴가 달린 드레저를 해저에서 끌어당겨 채집하는 기구로서 많은 양을 채집하는 데 사용되는 예항형 채니기(曳航型採泥器:dredger), 2개 이상의 버킷이 강력한 스프링 작용을 하여 밑바닥에 닿는 동시에 맞물려서 시료를 채취하는 기구로 일정한 면적의 퇴적물을 채집하는 데 사용되는 맞물림식 채니기(snaper), 어떤 한 지점의 퇴적물을 퇴적된 상태로 채집하는 기구로서 중추식(重錘式), 진공식 및 피스톤식으로 구분되는 주상 채니기(柱狀採泥器:core sampler)가 있다.
이러한 채니기와 관련하여, 한국등록특허 제10-1277324호는 "복합식 시료 채취 장치"를 개시하며, 구체적으로 일정의 중량을 구비하여 해저에 침투되며, 해저 지형 내부에 삽입되어 퇴적물을 포함하는 시료를 채취하는 메인 시료 채취부와; 메인 시료 채취부의 측부에 배치되며, 해저 지형에 도달함을 인지하여 해저 지형 표면의 시료를 긁어 일정량 채취하는 하나 또는 다수의 서브 시료 채취부; 및 메인 시료 채취부에 설치되며, 해저 지형의 영상을 취득하는 영상 취득부를 포함하도록 하고 있으며, 이에 의할 때, 해저의 동일 영역에서 자유 낙하식과 박스식을 동시에 사용하여 망간 단괴와 같은 시료를 동시에 채취할 수 있고, 해저의 시료를 채취하는 경우에 자유 낙하식 또는 박스식을 동시에 또는 독립적으로 사용하도록 할 수 있음을 기재하고 있다.
한편, 한국등록특허 제10-1277324호에서 개시되는 채니기에서 스프레드의 회전을 위한 수단으로서, 중량체의 상단에 와이어가 연결되어 있고, 회전 바 또한 중량체의 상단에 연결되는 와이어가 연결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이때, 개폐 부재에 의한 시료 박스의 하단 밀폐를 위하여, 회전 바에 연결되는 와이어는 특정 상태에서만 당겨져야 하는데, 이를 위한 수단에 대하여 한국등록특허 제10-1277324호에서는 구체적으로 개시하고 있지 않다.
또한, 종래의 채니기에서 이러한 작동을 위하여 구비되는 수단이 매우 복잡하게 이루어져 있어 채취를 위한 준비과정이 번거롭고 다수의 인력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0001)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277324호(공고일: 2013.06.20)
본 발명의 목적은, 장치의 수중 투입, 채취 및 회수과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특히 회전삽의 회전을 위한 작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상자식 채니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하단이 수중의 바닥면에 닿을 수 있도록 이루어지고 상측에 지지부가 형성되는 프레임; 상기 지지부 상에서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바디; 상기 지지부 아래쪽에서 상기 바디에 결합되고, 하측으로 개구된 개구부 및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내부에 퇴적물이 유입되는 수용부가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지지부 아래쪽에서 제1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바디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개구부에 밀착되어 상기 수용부를 밀폐하는 밀폐판 및 상기 밀폐판 반대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회전아암이 형성되는 회전삽; 와이어를 통하여 상기 회전아암의 일측과 연결되는 와이어 연결부; 상기 바디 상측에 결합되고, 상기 와이어가 걸리는 걸림핀 및 상기 커넷터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헤드; 및 상기 와이어 연결부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트리거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자식 채니기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와이어 연결부에는 걸림고리가 형성되고, 상기 트리거핀은 상기 헤드에 제2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에 상기 걸림고리에 삽입되는 걸림후크가 형성되며, 상기 트리거핀이 상기 제2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걸림후크가 상기 걸림고리에서 이탈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트리거핀에는,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 상기 걸림후크가 상기 걸림고리에서 이탈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무게추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헤드에는, 상기 트리거핀이 상기 제2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것을 저지하는 제1 안전핀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바디에는 바디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바디관통홀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부 상측에 걸리도록 이루어지는 제2 안전핀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바디의 하측에는 상기 케이스의 수용부와 연통되는 압력홀이 형성되고, 상기 바디에는 상기 압력홀을 밀폐하는 압력도어가 힌지결합되며, 상기 지지부에는 상기 압력도어가 개방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지지하는 개방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압력홀은 상측을 향할수록 상기 바디의 중심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압력도어는 하단이 상기 바디에 힌지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개방핀은 상기 지지부에서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회전아암 쪽은 상기 밀폐판 쪽보다 무겁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자식 채니기가 해저면으로 내려지는 과정에서는 트리거핀이 와이어 연결부에 걸려 와이어 연결부가 삽입홈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자식 채니기가 해저면에 닿는 과정에서는 트리거핀이 와이어 연결부에서 분리되면서 와이어가 당겨질 수 있는 상태로 용이하게 변경되고, 바디가 프레임을 기준으로 하측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개방핀에 의한 압력도어의 지지가 해제되면서 압력도어가 압력홀을 밀폐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사용 및 작동이 용이한 채니기를 형성할 수 있고, 특히 채니기 사용에 필요한 인력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자식 채니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상자식 채니기에서 헤드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상자식 채니기에서 압력도어가 개폐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자식 채니기(1)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상자식 채니기(1)에서 헤드(60)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상자식 채니기(1)에서 압력도어(24)가 개폐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자식 채니기(1)는 강, 호수 또는 바다와 같은 수중의 바닥에서 퇴적물을 채취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고, 특히 해저표층 퇴적물을 안정적으로 채집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이를 위하여 프레임(10), 바디(20), 케이스(30), 회전삽(40), 와이어 연결부(50), 헤드(60) 및 트리거핀(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프레임(10)은 그 하단이 해저면에 닿을 수 있도록 이루어지고,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상자식 채니기(1)가 해저면에 놓이는 경우, 상자식 채니기(1)가 균형을 유지할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하여 프레임(10)은, 저면부(11), 연결부(12) 및 지지부(13)로 구분된다.
저면부(11)는 동일평면을 이루는 원형 링 형태로 이루어져, 전체적으로 해저면에 닿을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저면부(11)가 이루는 공간 내부에서 케이스(30)에 의한 퇴적물 채취가 이루어진다. 저면부(11)는 원형 이외에, 다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12)는, 하단이 저면부(11)의 일측에 고정되어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단이 지지부(13)에 연결된다. 연결부(12)는 저면부(11)의 원주 방향을 따라 다수 개로 구비되며, 각 연결부(12)는 저면부(11)의 중심에서 대칭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지지부(13)는 연결부(12)의 상단에 결합되고, 평면도상 저면부(11)의 중앙에 위치한다. 지지부(13)는 사각형의 틀과 같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그 중앙을 통해 바디(20)가 삽입되어 바디(20)가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결합된다.
지지부(13)에는 하측방향으로 기다랗게 형성된 개방핀(14)이 결합되며, 개방핀(14)은 지지부(13)에 회전할 수 있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개방핀(14)은 그 상단이 지지부(13)에 결합되며, 이에 따라 외력이 작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개방핀(14)은 지지부(13)의 아래쪽으로 긴 형태를 유지한다. 지지부(13)는, 후술할 압력도어(24)가 개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압력도어(24)를 지지하는 수단으로 사용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10)에는, 수중으로의 안정된 투입을 위하여 별도의 중량체가 결합될 수 있다.
바디(20)는 지지부(13) 상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슬라이딩기둥(21)과 커넥터부(22)로 구분된다.
슬라이딩기둥(21)은 지지부(13)에 연결되는 부분이며, 지지부(13)가 사각틀과 같이 이루어질 때 슬라이딩기둥(21)은 사각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지지부(13) 상에서 상하방향으로 안정되게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꼭 맞게 결합된다.
그리고 슬라이딩기둥(21)에는 바디관통홀(21a)이 관통형성되고, 본 발명에 따른 상자식 채니기(1)에는 이러한 바디관통홀(21a)에 삽입되는 제2 안전핀(25)이 구비된다. 제2 안전핀(25)은 바디관통홀(21a)에 삽입된 상태에서 지지부(13) 상측에 걸려지며, 이에 따라 슬라이딩기둥(21)(바디(20))이 지지부(13) 아래쪽으로 이동하는 것이 차단된다.
커넥터부(22)는 슬라이딩기둥(21) 하단에 형성되고, 그 하단에 케이스(30)가 결합된다. 케이스(30)는 커넥터부(22)의 내부로 삽입되는 형태로 커넥터부(22)와 결합될 수 있고, 커넥터부(22)와 케이스(30)의 결합 및 분리를 위하여는,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커넥터부(22)의 위쪽 부분은 하측을 향할수록 직경이 확장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이러한 공간은 케이스(30)의 내부(수용부(32))와 연통된다.
커넥터부(22)의 일측(경사진 부분)에는 개구된 압력홀(23)이 형성되고, 압력홀(23)이 형성되는 지점에서 커넥터부(22)에는 압력도어(24)가 결합된다. 압력도어(24)는 바디(20), 보다 구체적으로는 커넥터부(22)에 힌지결합되며, 특히 압력도어(24)의 하단이 커넥터부(22)에 힌지결합된다.
압력도어(24)는 압력홀(23)을 밀폐하거나 압력홀(23)을 개방하는 수단이며, 별도의 외력이 작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압력도어(24)가 압력홀(23)을 밀폐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압력도어(24)가 힌지결합되는 지점에서 별도의 코일스프링(미도시)이 형성되고, 이러한 코일스프링이 압력도어(24)가 압력홀(23)을 밀폐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압력도어(24)가 개방된 상태(개방핀(14)에 걸려진 상태)에서 상자식 채니기(1)는 수중으로 투입되고, 퇴적물이 채취되는 과정에서는 압력도어(24)가 압력홀(23)을 밀폐하여 케이스(30)의 개구부(31)를 통하여 채취된 퇴적물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케이스(30)는 지지부(13) 아래쪽에서 바디(20)에 결합되고, 특히 커넥터부(22)에 결합된다. 케이스(30)는 퇴적물을 채취하는 직접적인 수단이며, 케이스(30)에는 하측으로 개구된 개구부(31) 및 개구부(31)를 통하여 내부에 퇴적물이 유입되는 수용부(32)가 형성된다.
케이스(30)는 상하방향을 따라 직경이 일정한 박스 형태로 형성된다.
회전삽(40)은 지지부(13) 아래쪽에서 제1 회전축(S1)을 기준으로 바디(2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특히 커넥터부(2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제1 회전축(S1)을 기준으로 회전삽(40)이 회전하면서, 케이스(30)의 개구부(31)를 개방하거나 밀폐하게 된다. 이러한 회전삽(40)은 밀폐판(41) 및 회전아암(42)으로 구분된다.
밀폐판(41)은 개구부(31)에 밀착되어 수용부(32)를 밀폐하도록 하는 부분이며, 이를 위하여 제1 회전축(S1)에서 밀폐판(41)까지의 거리는 제1 회전축(S1)에서 개구부(31)까지의 거리와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밀폐판(41)은 제1 회전축(S1)을 중심으로 한 원형 곡면 형태로 형성되고, 개구부(31)의 하단모양도 제1 회전축(S1)을 중심으로 한 원형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밀폐판(41)의 안쪽에는 케이스(30)의 안정된 밀폐를 위하여, 탄성을 갖는 별도의 패드(고무판 등) 또는 실링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회전아암(42)은 제1 회전축(S1)을 중심으로 밀폐판(41)의 반대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제1 회전축(S1)을 기준으로 회전아암(42) 쪽은 밀폐판(41) 쪽보다 무겁게 이루어진다. 도 1을 기준으로, 회전아암(42)이 바디(20)의 슬라이딩기둥(21)과 대체로 직교하는 상태에서 시계방향으로 더 이상 회전하지 않도록 이루어지며, 이를 위하여 바디(20)에는 회전삽(40)의 회전을 저지하는 스토퍼(미도시)가 형성된다. 이러한 스토퍼가 구비됨으로써, 별도의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회전삽(40)은 바디(20)와 직교하는 상태로 유지되게 된다.
와이어 연결부(50)는 와이어(52)를 통하여 회전아암(42)과 연결된다.
와이어 연결부(50)는, 본 발명에 따른 상자식 채니기(1)를 수중에 투입할 때, 그 상단에서 기중기 등의 체인에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이를 위하여 상측 부분이 고리, 후크 등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와이어 연결부(50)에는 원형 고리 형태(중앙에 구멍이 형성된 형태)의 걸림고리(51)가 형성된다.
헤드(60)는 바디(20) 상측에 결합되고, 와이어(52)가 걸리는 걸림핀(61) 및 와이어 연결부(50)가 삽입되는 삽입홈(62)이 형성된다.
트리거핀(70)은, 와이어 연결부(50)가 헤드(60)의 삽입홈(62)에 삽입된 상태에서, 와이어 연결부(5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이를 위하여 트리거핀(70)은 헤드(60) 상에서 제2 회전축(S2)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되고, 걸림후크(71) 및 무게추(72)가 구비된다.
한편, 트리거핀(70)의 회전을 저지하기위한 제1 안전핀(73)이 구비되며, 제1 안전핀(73)은 헤드(60) 및 트리거핀(70)을 관통하여 결합되면서 헤드(60)와 트리거핀(70) 간의 상대회전이 방지되도록 한다.
제1 안전핀(73)이 헤드(60) 및 트리거핀(70)에 체결된 상태에서, 걸림후크(71)는 와이어 연결부(50)의 걸림고리(51)에 삽입되며, 걸림고리(51)에 의하여 와이어 연결부(50)는 헤드(60) 상에서 그 위치가 고정된다.
무게추(72)는 헤드(60)의 바깥쪽으로 길게 돌출형성된 로드의 단부에 결합된다. 아울러, 무게추(72)는 걸림후크(71)가 걸림고리(51)에서 인출되는 방향 쪽 끝에 형성되고, 제2 회전축(S2)을 기준으로 무게추(72) 쪽이 걸림후크(71) 쪽보다 무겁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트리거핀(70)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제2 회전축(S2)을 기준으로 트리거핀(70)은 회전하게 되고 이때 걸림후크(71)가 걸림고리(51)에서 인출되게 된다.
또한, 이 상태에서 와이어 연결부(50)는 트리거핀(70)에 의하여 걸려지는 것이 아니므로 헤드(60) 위쪽으로 당겨질 수 있으며, 이때 와이어(52)가 당겨지면서 회전삽(40)이 회전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상자식 채니기(1)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퇴적물을 채취하기 위하여 상자식 채니기(1)를 수중에 투입하기에 앞서, 제1 안전핀(73)을 헤드(60) 및 트리거핀(70)으로부터 분리하고, 또한 제2 안전핀(25)을 바디(20)로부터 분리한다.
다음으로 와이어 연결부(50)에 기중기 등의 체인을 연결하여 수중으로 상자식 채니기(1)를 투입시킨다.
이때, 걸림후크(71)는 와이어 연결부(50)의 걸림고리(51)에 삽입된 상태에서 마찰이 발생하여, 트리거핀(70)의 회전이 저지되고 와이어 연결부(50)는 헤드(60)의 삽입홈(62)에 삽입된 상태가 유지된다. 즉, 와이어 연결부(50)가 트리거핀(70)의 회전을 저지하게 된다.
또한, 압력도어(24)는 개방핀(14)에 의해 지지되며, 압력홀(23)의 개방된 상태가 유지된다. 이러한 압력홀(23)의 개방은, 케이스(30)의 수용부(32) 내부로 퇴적물의 유입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돕는다.
상자식 채니기(1)가 수중으로 투입되면서 프레임(10)의 저면부(11)가 우선 해저면에 닿게 되고, 이후 바디(20), 케이스(30) 및 회전삽(40)이 하측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케이스(30)의 하단이 퇴적물 속으로 삽입되고, 퇴적물이 케이스(30)의 수용부(32) 내부로 유입된다.
또한, 이때 바디(20)가 프레임(10)의 지지부(13)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개방핀(14)에 의한 압력도어(24)의 지지가 해제되고, 이에 따라 압력도어(24)는 압력홀(23)을 밀폐하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케이스(30)가 해저면 하측으로 충분히 이동하게 되면, 와이어 연결부(50)를 당기는 체인은 느슨하게 되며, 이에 따라 와이어 연결부(50)가 헤드(60)를 기준으로 약간 아래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트리거핀(70)의 걸림후크(71)와 와이어 연결부(50)의 걸림고리(51) 간의 마찰력을 현저히 감소하게 되고, 이에 따라 트리거핀(70)이 제2 회전축(S2)을 기준으로 회전하게 되고, 와이어 연결부(50)가 헤드(60)를 기준으로 상측으로 당겨질 수 있는 상태가 된다.
퇴적물의 채취가 완료되면, 기중기 등을 이용하여 와이어 연결부(50)를 당기고, 와이어(52)가 당겨짐에 따라 회전삽(40)이 회전하면서 밀폐판(41)이 케이스(30)의 개구부(31)를 밀폐하게 된다.
또한, 와이어 연결부(50)가 상측으로 당겨지면서 바디(20) 및 케이스(30)가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압력홀(23)은 압력도어(24)에 의하여 밀폐된 상태가 유지되므로, 밀폐판(41)이 케이스(30)의 개구부(31)를 밀폐하도록 회전하는 시점에서 수용부(32) 아래쪽으로 퇴적물이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자식 채기기가 수중에서 인출되면, 케이스(30) 부분을 탈거하여 내부의 퇴적물을 분리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자식 채니기(1)에 의하면, 상자식 채니기(1)가 해저면으로 내려지는 과정에서는 트리거핀(70)이 와이어 연결부(50)에 걸려 와이어 연결부(50)가 삽입홈(62)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자식 채니기(1)가 해저면에 닿는 과정에서는 트리거핀(70)이 와이어 연결부(50)에서 자연스럽게 분리되면서 와이어(52)가 당겨질 수 있는 상태로 용이하게 변경되고, 바디(20)가 프레임(10)을 기준으로 하측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개방핀(14)에 의한 압력도어(24)의 지지가 해제되면서 압력도어(24)가 압력홀(23)을 밀폐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사용 및 작동이 용이한 채니기를 형성할 수 있고, 특히 채니기 사용에 필요한 인력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 상자식 채니기 10 : 프레임
11 : 지지부 12 : 연결부
13 : 저면부 14 : 개방핀
20 : 바디 21 : 슬라이딩기둥
22 : 커넥터부 23 : 압력홀
24 : 압력도어 25 : 제2 안전핀
30 : 케이스 31 : 개구부
32 : 수용부 40 : 회전삽
41 : 밀폐판 42 : 회전아암
50 : 와이어 연결부 51 : 걸림고리
60 : 헤드 61 : 걸림핀
62 : 삽입홈 70 : 트리거핀
71 : 걸림후크 72 : 무게추
73 : 제1 안전핀 S1 : 제1 회전축
S2 : 제2 회전축

Claims (9)

  1. 하단이 수중의 바닥면에 닿을 수 있도록 이루어지고 상측에 지지부가 형성되는 프레임;
    상기 지지부 상에서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바디;
    상기 지지부 아래쪽에서 상기 바디에 결합되고, 하측으로 개구된 개구부 및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내부에 퇴적물이 유입되는 수용부가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지지부 아래쪽에서 제1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바디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개구부에 밀착되어 상기 수용부를 밀폐하는 밀폐판 및 상기 밀폐판 반대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회전아암이 형성되는 회전삽;
    와이어를 통하여 상기 회전아암의 일측과 연결되는 와이어 연결부;
    상기 바디 상측에 결합되고, 상기 와이어가 걸리는 걸림핀 및 상기 커넷터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헤드; 및
    상기 와이어 연결부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트리거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자식 채니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연결부에는 걸림고리가 형성되고,
    상기 트리거핀은 상기 헤드에 제2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에 상기 걸림고리에 삽입되는 걸림후크가 형성되며,
    상기 트리거핀이 상기 제2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걸림후크가 상기 걸림고리에서 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자식 채니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핀에는,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 상기 걸림후크가 상기 걸림고리에서 이탈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무게추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자식 채니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에는, 상기 트리거핀이 상기 제2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것을 저지하는 제1 안전핀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자식 채니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에는 바디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바디관통홀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부 상측에 걸리도록 이루어지는 제2 안전핀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자식 채니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하측에는 상기 케이스의 수용부와 연통되는 압력홀이 형성되고,
    상기 바디에는 상기 압력홀을 밀폐하는 압력도어가 힌지결합되며,
    상기 지지부에는 상기 압력도어가 개방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지지하는 개방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자식 채니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홀은 상측을 향할수록 상기 바디의 중심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압력도어는 하단이 상기 바디에 힌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자식 채니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핀은 상기 지지부에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자식 채니기.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회전아암 쪽은 상기 밀폐판 쪽보다 무거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자식 채니기.
KR1020130137939A 2013-11-13 2013-11-13 상자식 채니기 KR1016131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7939A KR101613193B1 (ko) 2013-11-13 2013-11-13 상자식 채니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7939A KR101613193B1 (ko) 2013-11-13 2013-11-13 상자식 채니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5690A true KR20150055690A (ko) 2015-05-22
KR101613193B1 KR101613193B1 (ko) 2016-04-19

Family

ID=53391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7939A KR101613193B1 (ko) 2013-11-13 2013-11-13 상자식 채니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319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41589A (zh) * 2017-12-04 2018-04-20 太原理工大学 一种圆柱体岩石试件柔性打磨装置
CN109374346A (zh) * 2018-11-30 2019-02-22 杭州瀚陆物探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深海箱式取样器及其取样方法
CN112747951A (zh) * 2021-01-14 2021-05-04 自然资源部第一海洋研究所 一种适用于深海沉积物取样操作的多管-箱式集成取样器
CN117268847A (zh) * 2023-09-26 2023-12-22 国家海洋局北海海洋工程勘察研究院 一种防污染海洋地质勘探仪箱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0605B1 (ko) 2020-07-15 2022-06-16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표층 퇴적물 채집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8143B1 (ko) 2010-03-25 2010-08-25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해저퇴적물 채취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41589A (zh) * 2017-12-04 2018-04-20 太原理工大学 一种圆柱体岩石试件柔性打磨装置
CN107941589B (zh) * 2017-12-04 2020-05-05 太原理工大学 一种圆柱体岩石试件柔性打磨装置
CN109374346A (zh) * 2018-11-30 2019-02-22 杭州瀚陆物探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深海箱式取样器及其取样方法
CN112747951A (zh) * 2021-01-14 2021-05-04 自然资源部第一海洋研究所 一种适用于深海沉积物取样操作的多管-箱式集成取样器
CN112747951B (zh) * 2021-01-14 2023-11-07 自然资源部第一海洋研究所 一种适用于深海沉积物取样操作的多管-箱式集成取样器
CN117268847A (zh) * 2023-09-26 2023-12-22 国家海洋局北海海洋工程勘察研究院 一种防污染海洋地质勘探仪箱
CN117268847B (zh) * 2023-09-26 2024-02-27 国家海洋局北海海洋工程勘察研究院 一种防污染海洋地质勘探仪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3193B1 (ko) 2016-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3193B1 (ko) 상자식 채니기
KR100978143B1 (ko) 해저퇴적물 채취장치
KR101480790B1 (ko) 반자동 개폐식 부니 채취기
KR101062218B1 (ko) 시료채취기에 구비된 슬라이드 방식의 코어 리테이너
CN107727443B (zh) 一种便于回收的自释放式底泥聚收装置
CN104677678B (zh) 一种触发上浮式采水装置
CN105510072B (zh) 一种适用于不同水体环境的水体、生物、沉积物采集器
CN209296369U (zh) 海洋地质沉积物取样器
CN105890921A (zh) 一种土壤取样装置
CN110455573A (zh) 深海沉积物原位插管装置
CN112539966A (zh) 一种方便进行定点取样的海水取样器
CN108663236A (zh) 一种石油取样检测方法
KR101515536B1 (ko) 다중 시료채집기
CN106053130B (zh) 一种浅水区水下深层柱状沉积物采集装置
CN203732312U (zh) 沉积物溢油原位采样器
CN113431492A (zh) 一种岩土工程勘察用钻探装置及使用方法
KR101498880B1 (ko) 표층 해저퇴적물 채취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해저퇴적물 채취장치
CN103293027B (zh) 一种锚式表层沉积物采集装置
CN103543037A (zh) 多功能抓斗式采水采泥器
KR100566541B1 (ko) 자동채수기
KR100732395B1 (ko) 추 자동이탈 퇴적물 시추기
CN1702448A (zh) 一种重力式柱状取样器
CN109374345B (zh) 铲式海底表层取样器
KR101029693B1 (ko) 시추용 피스톤 및 그것을 구비한 시추장치
CN206523316U (zh) 一种浅层水域底泥采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