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4729A - 항균 봉합사 - Google Patents

항균 봉합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4729A
KR20150054729A KR1020150056782A KR20150056782A KR20150054729A KR 20150054729 A KR20150054729 A KR 20150054729A KR 1020150056782 A KR1020150056782 A KR 1020150056782A KR 20150056782 A KR20150056782 A KR 20150056782A KR 20150054729 A KR20150054729 A KR 201500547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ture
salt
weight
solution
fatty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6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균
윤혜성
김선우
여규동
고영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양바이오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양바이오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양바이오팜
Priority to KR10201500567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54729A/ko
Publication of KR201500547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47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7/00Materials for surgical sutures or for ligaturing blood vessels ; Materials for prostheses or catheters
    • A61L17/06At least partially resorbable materials
    • A61L17/10At least partially resorbable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64Surgical staples, i.e. penetrating the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7/00Materials for surgical sutures or for ligaturing blood vessels ; Materials for prostheses or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1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ontaining or releasing inorganic materials
    • A61L2300/102Metals or metal compounds, e.g. salts such as bicarbonates, carbonates, oxides, zeolites, silicates
    • A61L2300/104Silver, e.g. silver sulfadiaz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2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ontaining or releasing organic materials
    • A61L2300/204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ontaining or releasing organic materials with nitrogen-containing functional groups, e.g. aminoxides, nitriles, guanidines
    • A61L2300/206Biguanides, e.g. chlorohexid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이구아나이드(biguanide) 항균제; 생분해성 필름 형성 고분자; 및 지방산, 그것의 염 또는 그것의 에스테르염을 포함하는 코팅 물질로 구성된 코팅층을 포함하는 봉합사 및 그것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봉합사는 생분해성 필름 형성 고분자, 및 지방산, 그것의 염 또는 그것의 에스테르염을 포함함으로써, 바이구아나이드 항균제가 우수한 항균성을 나타내기에 적절한 농도로 방출되도록 하는 바, 이를 통해 세균, 박테리아, 바이러스의 증식을 충분히 억제하여 봉합 부위의 접합을 촉진시키며, 우수한 지혈 작용을 나타낼 수 있다.

Description

항균 봉합사{Antimicrobial Suture}
본 발명은 봉합사, 구체적으로 항균성을 나타내는 봉합사 및 그것을 제조하는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의료 장비, 의료 기기로 환자들을 접촉시키는 때에는 항상 감염의 위험성이 있다. 특히 신체 내부로 넣어 사용되는 의료 용구는 체내의 조직이나 체액 등과 직접 접촉하게 되어 감염의 위험성이 훨씬 크게 증가한다. 이러한 감염의 위험성을 줄이기 위하여 감염 억제제를 의료 용구에 도입하는 노력이 있어 왔다.
그러나, 상기 감염 억제제를 포함하는 의료용구가 체내에 사용되는 기간 동안에 원하는 수준으로 감염 억제 활성이 유지되는가가 문제이다. 의료 용구 사용의 충분한 시간 동안 감염 억제 효력을 유지하기 위하여 충분한 양의 항균제(anti-infective agents)를 의료 용구에 도입해야 하는데, 이것이 의료 용구 표면 특성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줄 수도 있고, 항균성과 함께 세포독성을 동시에 가지게 될 가능성도 있어서 항균제의 농도를 적절한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소망하는 정도로 우수한 감염 억제 효력을 발휘하는 봉합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우수한 감염 억제 효력을 발휘하는 봉합사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봉합사는 바이구아나이드(biguanide) 항균제, 생분해성 필름 형성 고분자, 및 지방산, 그것의 염 또는 그것의 에스테르염을 포함하는 코팅 물질로 구성된 코팅층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봉합사의 제조방법은 a) 바이구아나이드(biguanide)를 용매에 용해한 바이구아나이드 용액을 제조하고, 필름 형성 고분자 및 지방산 또는 지방산염을 용매에 용해한 고분자 용액을 제조하는 공정; b) 상기 단계 a)의 바이구아나이드 용액과 고분자 용액을 혼합하여 코팅 용액을 제조하는 공정; c) 상기 단계 b)의 코팅 용액을 봉합사 표면에 도포시키는 공정; 및 d) 상기 단계 c)의 봉합사를 건조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수술시 세균, 박테리아에 의한 감염을 막기 위해 봉합사의 표면을 바이구아나이드 항균제로 코팅하게 되면, 세균의 증식을 억제하고 살균하여 우수한 감염 억제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상처 회복(지혈 및 봉합 부위 접합)에 탁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봉합사의 구성은 수술용 봉합사 외에 유착방지 메쉬, 탈장 수술용 등 외과용 메쉬에도 적절하게 응용이 가능하다.
도 1은 필름 형성 고분자의 농도에 따른 항균제 방출 거동을 분석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봉합사는 바이구아나이드 항균제, 생분해성 필름 형성 고분자 및 지방산, 그것의 염 또는 그것의 에스테르염(이하, '지방산 성분')을 포함하는 코팅물질로 코팅되어 있는 바, 바이구아나이드 항균제가 단순 확산에 의해 방출되거나, 필름 형성 고분자의 구조에 생겨난 기공을 통하여 방출되어, 소망하는 항균성을 발휘하기에 적절한 농도로 유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종래 미국 특허공보 제5616338호는 비분해성 폴리우레탄을 코팅물질로 하여 은과 클로르헥시딘(chlorhexidine)을 적용한 카테터를 개시하고 있으며, 국제특허출원 공개공보 제WO97/25085호는 클로르헥시딘과 트리클로산(triclosan)을 함께 사용하여 카테터등의 의료 용구에 도포한 예를 개시하고 있으나, 생분해성 필름 형성 고분자 및 지방산 성분을 혼합한 코팅물질로 코팅된 봉합사는 보고된 바 없다.
상기 바이구아나이드 항균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클로르헥시딘(chlorhexidine) 및 그것의 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클로르헥시딘의 염은 클로르헥시딘 디포스파닐레이트(chlorhexidine diphosphanilate), 클로르헥시딘 디글루코네이트(chlorhexidine digluconate), 클로르헥시딘 디아세테이트(chlorhexidine diacetate), 클로르헥시딘 디히드로클라이드(chlorhexidine dihydrochloride), 클로르헥시딘 디클로라이트(chlorhexidine dichloride), 클로르헥시딘 디히드로요오드(chlorhexidine dihydroiodide), 클로르헥시딘 디페르콜레이트(chlorhexidine diperchlorate), 클로르헥시딘 디니트레이트(chlorhexidine dinitrate), 클로르헥시딘 설페이트(chlorhexidine sulfate), 클로르헥시딘 설파이드(chlorhexidine sulfite), 클로르헥시딘 티오설페이트(chlorhexidine thiosulfate), 클로르헥시딘 디액시드 포스페이트(chlorhexidine di-acid phosphate), 클로르헥시딘 디풀루오로포스페이트(chlorhexidine difluorophosphate), 클로르헥시딘 디포메이트(chlorhexidine diformate), 클로르헥시딘 디프로피오네이트(chlorhexidine dipropionate), 클로르헥시딘 디아이오도부티레이트(chlorhexidine di-iodobutyrate), 클로르헥시딘 디-n-발러레이트(chlorhexidine di-n-valerate), 클로르헥시딘 디카프로에이트(chlorhexidine dicaproate), 클로르헥시딘 말로네이트(chlorhexidine malonate), 클로르헥시딘 석시네이트(chlorhexidine succinate), 클로르헥시딘 말레이트(chlorhexidine malate), 클로르헥시딘 타르트레이트(chlorhexidine tartrate), 클로르헥시딘 디모노글리콜레이트(chlorhexidine dimonoglycolate), 클로르헥시딘 모노디클리콜레이트(chlorhexidine monodiglycolate), 클로르헥시딘 디락테이트(chlorhexidine dilactate), 클로르헥시딘 디-알파-히드록시이소부티레이트(chlorhexidine di-.alpha.-hydroxyisobutyrate), 클로르헥시딘 디글루코헵토네이트(chlorhexidine diglucoheptonate), 클로르헥시딘 디-이소티오네이트(chlorhexidine di-isothionate), 클로르헥시딘 디벤조에이트(chlorhexidine dibenzoate), 클로르헥시딘 디시나메이트(chlorhexidine dicinnamate), 클로르헥시딘 디만델레이트(chlorhexidine dimandelate), 클로르헥시딘 디-이소프탈레이트(chlorhexidine di-isophthalate), 클로르헥시딘 디-2-히드록시나프토에이트(chlorhexidine di-2-hydroxynapthoate), 및 클로르헥시딘 엠보네이트(chlorhexidine embon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클로르헥시딘의 염은 클로르헥시딘 디글루코네이트, 클로르헥시딘 디아세테이트 또는 클로르헥시딘 디히드로클라이드일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바이구아나이드는 봉합사에 항균 물성을 제공할 정도의 충분한 양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봉합사의 구조, 필라멘트의 수, 브레이드(braid) 또는 트위스트(twist)의 견고함, 봉합사의 크기 및 조성, 코팅 물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바이구아나이드 항균제는 봉합사의 중량을 기준으로 0.001 내지 0.1 중량%, 구체적으로는 0.005 내지 0.0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코팅 물질은 은 또는 은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은염은 구체적으로, 초산 은(silver acetate), 벤조산 은(silver benzoate), 탄산 은(silver carbonate), 요오드산 은(silver iodate), 요오드 은(silver iodide), 젖산 은(silver lactate), 로우르산 은(silver laurate), 질산은(silver nitrate), 산화 은(silver oxide), 팔미트산 은(silver palmitate) 및 설파디아진 은(silver sulfadiazi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은 또는 은염과 바이구아나이드는 몰비가 1:0.2 내지 1:5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봉합사에 포함되는 항균제는 의료 용구 표면 특성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줄 수도 있고, 항균성과 함께 세포독성을 동시에 가지게 되는 가능성도 있어서 항균제의 농도를 본 발명의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상기 항균제는 용매에 용해하여 코팅 용액을 제조한 후 봉합사에 적용할 수 있다. 이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침지(dipping), 분무(spraying), 닦아 내기(wiping), 브러쉬(brushing) 등의 방법이 가능하다. 더욱 상세하게는, 봉합사를 고분자 용액에 통과시키거나, 코팅 용액을 스프레이 분무하여 봉합사에 적시게 한 후 용매가 제거될 정도의 시간 및 온도에서 건조시킬 수 있다.
상기 생분해성 필름 형성 고분자는 구체적으로 글리콜리드, 락티드, 카프로락톤, 트리메틸렌 카보네이트, 디옥사논, 디옥세파논의 호모폴리머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일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글리콜리드 및 락티드의 공중합체(Poly(glycolic acid-co-lactic acid) : PGLA)일 수 있다.
상기 글리콜리드 및 락티드의 공중합체의 경우, 생분해성이여서 고분자가 체내에서 가수분해되면서 부식(erosion)에 의해 코팅되어 있던 항균제가 주위로 방출되는 기전을 갖는다. 즉, 생분해성 고분자가 항균제를 포함하여 폴리머 매트릭스를 형성하기 때문에 생분해성 고분자의 분해속도에 따라 항균제의 방출속도가 영향을 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PGLA는, 식약청으로부터 허가받은 생분해성 고분자로서 세균 감염의 원인이 될 가능성이 오염의 위험이 적어 항균 기능을 가진 봉합사의 필름 형성 고분자로 사용하기에 적절하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글리콜리드 및 락티드의 공중합체는 고유 점도(inherent viscosity)가 0.8 내지 1.2이며, 공중합체에 포함되는 글리콜리드 및 락티드의 중량비는 1~3 : 7~9, 구체적으로 3:7일 수 있다.
상기 생분해성 필름 형성 고분자는 코팅 물질이 용해된 코팅 용액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5 내지 10 중량%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고, 봉합사의 중량을 기준으로 0.5 내지 2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코팅되는 봉합사 표면에 균일하게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초기에 필름 형성 고분자에 함입된 후 생분해성 필름 형성 고분자의 분해와 함께 주위로 방출되는 항균제로 인하여 체내에서 봉합사가 유지되는 동안 독성을 유발하지 않고, 감염을 지속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카테터(Catheter)에 비해 체내에서 유지되어야 하는 기간이 더 긴 봉합사의 경우, 생분해성 필름 형성 고분자와 함께 바이구아나이드와 같은 항균제를 봉합사에 적용함으로써, 충분한 시간 동안 항균제가 방출되어 항균력의 효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지방산은 포화, 불포화, 및 탄소수 12이상의 지방산을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스테아린산(stearic acid), 팔미트산(palmitic acid), 미리스트산(myristic acid), 로리산이며(lauric acid)등과 같은 포화지방산 또는 올레인산(oleic acid), 리놀렌산(linoleic acid), 리놀레닌산(linolenic aicd) 등과 같은 불포화 지방산일 수 있다.
상기 지방산 에스테르는 삼스테아린산 소비탄(sorbitan tristearate) 또는 경화 피마자유(hydrogenated castor oil)일 수 있다.
상기 지방산염 또는 지방산 에스테르의 염은 탄소수 6 이상, 구체적으로 탄소수 12 내지 22의 지방산 또는 지방산 에스테르의 다가 금속이온 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방산염 또는 지방산 에스테르의 염은 스테아린산, 팔미트산, 올레일산의 칼슘, 마그네슘, 바륨, 알루미늄, 아연을 포함할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 칼슘 스테아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방산 성분의 함량은 코팅 물질이 용해된 코팅 용액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2 내지 15 중량%, 구체적으로는 3 내지 10 중량%일 수 있다. 지방산 성분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묶은 매듭이 쉽게 풀려서 수술 후 매듭 유지에 어려움이 있으며, 봉합사가 뿌옇게 보이는 문제가 있다. 반면, 지방산 성분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매듭 과정이 매끄럽지 않는 문제가 있다.
상기 봉합사는 그 형태에 따라 하나의 가닥으로 이뤄진 모노필라멘트와 여러 가닥의 장 섬유로 이루어진 멀티필라멘트로 나눌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멀티필라멘트 봉합사는 가닥 사이의 미세공간 때문에 박테리아나 세균 등에 쉽게 감염되어 체내 염증 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바이구아나이드 항균제가 코팅되는 봉합사는 여러 가닥의 장 섬유를 포함하는 멀티필라멘트일 수 있다.
상기 봉합사는 또한, 흡수성, 생분해성과 비분해성, 비흡수성 봉합사로 나눠질 수 있고, 흡수성 물질(천연/합성물질)로 이루어진 생분해성 봉합사는 수개월에 걸쳐 생체 내에서 흡수되어 사라지나 비흡수성 봉합사는 생체 조직 내에 영구적으로 남게 된다. 이러한 대부분의 비흡수성 봉합사들은 세균 감염의 원인이 될 소지가 있어서 오염의 위험이 있는 신체 내부의 상처 부위는 흡수성 봉합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봉합사는 생체 흡수성 고분자 또는 생체 비흡수성 고분자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생체 흡수성 고분자는 생체 내에 존재하는 물이나 효소 등에 의해 고분자량의 고분자가 저분자화 되어 신진 대사 등을 통해 분해/배출될 수 있는 고분자를 의미한다.
상기 생체 흡수성 폴리머는 구체적으로 글리콜라이드(glycolide), 글리콜산(glycolic acid), 락타이드(lactide), 젖산(lactic acid), 카프로락톤(e-caprolactone), 다이옥사논(p-dioxanone), 트리메틸렌카보네이트(trimethylene carbonate)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라이드(polyethylene glycolide), 폴리언히드라이드, 폴리히드록시알카노에이트 등 중에서 선택된 폴리머의 단일 중합체 또는 이들을 포함하는 공중합체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폴리다이옥사논의 단일 중합체 또는 이를 포함하는 공중합체, 폴리글리콜산 및 폴리락타이드의 공중합체, 폴리카프로락톤, 폴리트리메틸렌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라이드, DL-폴리락타이드 등의 단일 중합체 또는 이들을 포함하는 공중합체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폴리글리콜산 및 폴리락타이드의 공중합체일 수 있다.
상기 생체 비흡수성 폴리머는 폴리올레핀, 폴리아미드, 폴리우레탄,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등의 단일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olyvinylidene fluoride) 또는 나일론 6, 나일론 66 등과 같은 폴리아마이드(polyamides) 등일 수 있다.
상기 봉합사는 앞서 언급된 고분자를 사용하여, 브레이딩(braiding), 제직, 편직 등과 같은 공지의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필라멘트가 연신, 배향, 꼬임 등에 의해 실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a) 바이구아나이드(biguanide) 항균제를 용매에 용해한 바이구아나이드 용액을 제조하고, 필름 형성 고분자 및 지방산 또는 지방산염을 용매에 용해한 고분자 용액을 제조하는 공정; b) 상기 단계 a)의 바이구아나이드 용액과 고분자 용액을 혼합하여 코팅 용액을 제조하는 공정; c) 상기 단계 b)의 코팅 용액을 봉합사 표면에 도포시키는 공정; 및 d) 상기 단계 c)의 봉합사를 건조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봉합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단계 a)에서, 바이구아나이드 항균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클로르헥시딘(chlorhexidine) 및 그것의 염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바이구아나이드 항균제는 봉합사에 항균 물성을 제공할 정도의 충분한 양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코팅 용액의 중량을 기준으로 0.02 내지 0.5 중량%, 구체적으로 0.05 내지 0.2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단계 a)에서, 필름 형성 고분자는 생분해성 고분자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글리콜리드, 락티드, 카프로락톤, 트리메틸렌 카보네이트, 디옥사논, 디옥세파논의 호모폴리머 또는 공중합체, 더욱 구체적으로는 글리콜리드 및 락티드의 공중합체(PGLA)일 수 있다.
상기 단계 a)에서, 생분해성 필름 형성 고분자는 코팅 용액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5 내지 10 중량%, 구체적으로 0.5 내지 5 중량%의 농도로 항균제 코팅 용액에 포함될 수 있고, 코팅되는 봉합사 표면에 균일하게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계 a)에서, 지방산은 포화, 불포화, 및 탄소수 12이상의 지방산을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스테아린산(stearic acid), 팔미트산(palmitic acid), 미리스트산(myristic acid), 로리산이며(lauric acid)등과 같은 포화지방산 또는 올레인산(oleic acid), 리놀렌산(linoleic acid), 리놀레닌산(linolenic aicd) 등과 같은 불포화 지방산일 수 있다.
상기 단계 a)에서, 지방산 에스테르는 삼스테아린산 소비탄(sorbitan tristearate) 또는 경화 피마자유(hydrogenated castor oil)일 수 있으며, 지방산염 또는 지방산 에스테르의 염은 탄소수 6 이상, 구체적으로 탄소수 12 내지 22의 지방산 또는 지방산 에스테르의 다가 금속이온 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방산염 또는 지방산 에스테르의 염은 스테아린산, 팔미트산, 올레일산의 칼슘, 마그네슘, 바륨, 알루미늄, 아연을 포함할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 칼슘 스테아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계 a)에서, 지방산, 그것의 염 또는 그것의 에스테르염은 코팅 용액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2 내지 15 중량%, 구체적으로는 3 내지 10 중량%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단계 a)에서, 바이구아나이드 항균제는 에탄올, 메탄올, 메틸렌 클로라이드 및 헥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용매에 용해될 수 있으며, 바이구아나이드 항균제가 메탄올 또는 에탈올 등의 알코올류에 잘 용해되는 바, 상기 용매는 구체적으로 메탄올 또는 에탄올일 수 있다. 이 때, 용매는 코팅 용액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2 내지 15 중량%, 구체적으로 3 내지 10 중량%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단계 a)에서, 필름 형성 고분자, 및 지방산, 그것의 염 또는 그것의 에스테르염을 에틸 아세테이트 또는 메틸렌 클로라이드 용매에 용해될 수 있다. 이 때, 용매는 코팅 용액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75 내지 98 중량%, 구체적으로 85 내지 96 중량%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단계 b)에서, 코팅 용액은 은 또는 은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은 또는 은염과 바이구아나이드의 몰비가 1:0.2 내지 1:5인 코팅 용액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단계 b)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코팅 용액의 사용량은 봉합사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20 내지 35 중량%, 더 구체적으로는 25 내지 30 중량%일 수 있다. 또한, 코팅 용액 중 바이구아나이드 항균제 용액과 고분자 용액은 중량비를 기준으로 1: 5 내지 1: 40의 비율, 구체적으로 1:10 내지 1:30 의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단계 c)는 코팅 용액을 봉합사에 적용하는 단계로서, 구체적으로 코팅 용액이 함유된 배스(bath) 전후에 배치된 롤러의 속도를 조절하여, 코팅 용액이 함유된 배스에 봉합사를 침지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단계 d)는 용매를 제거하는 공정으로서, 용매는 70 내지 90℃에서 건조시켜 제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항균제가 도포된 봉합사는 진공 건조시킨 후 EO(Ethylene Oxide Gas) 멸균을 통해 패키지에 포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봉합사는 통상의 방법에 따라 수술용 바늘에 부착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봉합사를 포함하는 메쉬(mesh) 구체적으로, 의료용 메쉬(surgical mesh)에 관한 것으로, 상기 메쉬는 예를 들어, 유착방지 메쉬, 탈장 수술용 메쉬 또는 외과용 메쉬일 수 있다.
상기 봉합사를 통해 메쉬를 제조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본 발명에 따른 메쉬는 필라멘트 형태의 봉합사를 제직 또는 편직하여 제조하거나, 일반적인 부직포 제조방법을 통해서 제조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나, 이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실시예에 의해 어떤 식으로든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및 2
중량비 30:70의 글리콜리드 및 락티드의 공중합체(PGLA) 및 칼슘 스테아레이트(Calcium Stearate)를 에틸아세테이트에 용해하여 분산시켰다. 이와 같이 제조된 용액에 표 1의 함량과 같이 클로르헥시딘 디아세테이트 및/또는 설파디아진 은을 메탄올에 용해하고, 고분자 용액에 첨가하여 항균제가 포함된 코팅 용액을 제조하였다.
네오솔브(NeoSorb, 삼양사) 봉합사를 코팅 용액이 함유된 배스(bath)에 침지한 후, 70-90℃에서 건조시켰다.
Figure pat00001
실시예 3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코팅하되, 중량비 30:70의 PGLA의 농도를 달리하여 코팅 용액의 중량을 기준으로 0.5, 1, 2, 3중량%의 중량비 30:70의 PGLA 공중합체와, 고정된 비율의 칼슘 스테아레이트를 에틸아세테이트에 용해하여 분산시키고, 코팅용액 중량기준으로 0.2 중량%의 클로르헥시딘 디아세테이트를 메탄올에 용해시켜 두 용액을 서로 섞어 항균 코팅용액을 제조하여 네오솔브(NeoSorb) 봉합사에 코팅하였다.
시험예 1
1.5 X 105 의 균농도로 스타필로코코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및 스타필로코코스 에피더미스(S. epidermis)가 접종된 배지에 실시예 1 및 2, 비교예 1로 코팅된 봉합사를 올려놓고 37℃에서 24시간동안 배양한 후에 인히비션 존(Inhibition zone)을 측정하였다.
비교예 1은 항균제 성분을 제외시키고 코팅물질로 코팅한 봉합사에 대해 동일하게 시험하였다.
Figure pat00002
시험예 2
실시예 3에서 제조된 항균 봉합사의 항균제 방출 거동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을 참조하면, 필름 형성 고분자 PGLA370의 농도가 높을수록 지연방출 정도가 증가함을 알 수 있다. 또한, 필름 형성 고분자 매트릭스 표면 부근에 있는 항균제가 빠르게 방출되어 파열 방출(burst release)이 일어나고, 필름 형성 고분자 매트릭스 내부에 포함되어 있는 항균제는 좀 더 천천히 확산에 의해 방출되는 지연 방출이 일어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26)

  1. 바이구아나이드(biguanide) 항균제;
    생분해성 필름 형성 고분자; 및
    지방산, 그것의 염 또는 그것의 에스테르염을 포함하는 코팅 물질로 구성된 코팅층을 포함하는 봉합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구아나이드 항균제는 클로르헥시딘(chlorhexidine) 또는 그것의 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구아나이드 항균제는 봉합사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01 내지 0.1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 물질은 은 또는 은염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은 또는 은염과 바이구아나이드는 몰비가 1:0.2 내지 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필름 형성 고분자는 글리콜리드 및 락티드의 공중합체(Poly(glycolic acid-co-lactic acid) : PGL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필름 형성 고분자는 코팅 물질이 용해된 코팅 용액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5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 그것의 염 또는 그것의 에스테르염은 칼슘 스테아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 그것의 염 또는 그것의 에스테르염은 코팅 물질이 용해된 코팅 용액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2 내지 1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봉합사는 흡수성 항균 봉합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
  11. a) 바이구아나이드(biguanide) 항균제를 용매에 용해한 바이구아나이드 용액을 제조하고, 필름 형성 고분자, 및 지방산, 그것의 염 또는 그것의 에스테르염을 용매에 용해한 고분자 용액을 제조하는 공정;
    b) 상기 단계 a)의 바이구아나이드 용액과 고분자 용액을 혼합하여 코팅 용액을 제조하는 공정;
    c) 상기 단계 b)의 코팅 용액을 봉합사 표면에 도포시키는 공정; 및
    d) 상기 단계 c)의 봉합사를 건조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봉합사의 제조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구아나이드 항균제는 클로르헥시딘(chlorhexidine) 또는 그것의 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의 제조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는 봉합사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01 내지 0.1 중량%의 바이구아나이드 항균제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의 제조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는 필름 형성 고분자로 생분해성 글리콜리드 및 락티드의 공중합체(PGLA)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의 제조방법.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는 코팅 용액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5 내지 10 중량%의 필름 형성 고분자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의 제조방법.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 그것의 염 또는 그것의 에스테르염은 칼슘 스테아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의 제조방법.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는 코팅 용액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2 내지 15중량%의 지방산, 그것의 염 또는 그것의 에스테르염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의 제조방법.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는 바이구아나이드 항균제를 에탄올, 메탄올, 메틸렌 클로라이드 및 헥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되는 용매에 용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의 제조방법.
  19.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구아나이드 용액에 포함되는 용매는 코팅 용액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2 내지 15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의 제조방법.
  20.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는 필름 형성 고분자, 및 지방산, 그것의 염 또는 그것의 에스테르염을 에틸 아세테이트 또는 메틸렌 클로라이드 용매에 용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의 제조방법.
  21.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용액에 포함되는 용매는 코팅 용액전체의 중량을 기준으로 75 내지 98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의 제조방법.
  2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코팅 용액에 은 또는 은염을 첨가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의 제조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은 또는 은염과 바이구아나이드의 몰비가 1:0.2 내지 1:5가 되도록 은 또는 은염을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의 제조방법.
  2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바이구아나이드 용액과 고분자 용액을 중량비를 기준으로 1:10 내지 1:30 의 비율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의 제조방법.
  25. 제 1 항의 봉합사를 포함하는 메쉬(mesh).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메쉬는 유착방지 메쉬, 탈장 수술용 메쉬 또는 외과용 메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쉬.
KR1020150056782A 2015-04-22 2015-04-22 항균 봉합사 KR201500547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6782A KR20150054729A (ko) 2015-04-22 2015-04-22 항균 봉합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6782A KR20150054729A (ko) 2015-04-22 2015-04-22 항균 봉합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0931A Division KR101553250B1 (ko) 2013-05-29 2013-05-29 항균 봉합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4729A true KR20150054729A (ko) 2015-05-20

Family

ID=53390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6782A KR20150054729A (ko) 2015-04-22 2015-04-22 항균 봉합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5472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2928A (ko) 2015-08-21 2017-03-02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실크 봉합사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2928A (ko) 2015-08-21 2017-03-02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실크 봉합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067477A (ko) 2015-08-21 2018-06-20 주식회사 바이오스위트 4-헥실레조르시놀 처리 단계를 포함하는 실크 봉합사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73104B2 (en) Antimicrobial sutures and methods of making them
US5534288A (en) Infection-resistant surgical devices and methods of making them
CA2499466C (en) Antimicrobial fatty acid containing suture coating
AU2003300973B2 (en) Antimicrobial suture coating
AU2007221050B2 (en) Antimicrobial medical devices
JP2013517060A (ja) 抗菌性ポリマー組成物及びその用途
WO2004045663A1 (en) Surgical implant coated with a composition comprising a polyol fatty acid monoester
EP0647452B1 (en) Infection-resistant surgical devices and methods of making them
US20040185250A1 (en) Triclosan containing absorbable sutures with extended antimicrobial properties
KR101285466B1 (ko) 항균 봉합사
KR20180082477A (ko) 내장된 구리 이온 및 구리 이온 방출 피막을 갖는 생체적합성 물품
KR101553250B1 (ko) 항균 봉합사
KR20150054729A (ko) 항균 봉합사
CA3052965A1 (en) Braided suture with filament containing a medicant
Başçı et al. Biological Properties of Suture Materials
Simmons Selection and application of synthetic polymeric materials in surgical sutures
JP2012040360A (ja) 表面腐食性縫合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