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4229A - Studying materials for pansori - Google Patents

Studying materials for pansori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4229A
KR20150054229A KR1020130136413A KR20130136413A KR20150054229A KR 20150054229 A KR20150054229 A KR 20150054229A KR 1020130136413 A KR1020130136413 A KR 1020130136413A KR 20130136413 A KR20130136413 A KR 20130136413A KR 20150054229 A KR20150054229 A KR 201500542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sori
learning
paper
page
teaching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64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81504B1 (en
Inventor
심재균
Original Assignee
사단법인 꼭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단법인 꼭두 filed Critical 사단법인 꼭두
Priority to KR10201301364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1504B1/en
Publication of KR201500542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422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1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150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G09B5/062Combinations of audio and printed presentations, e.g. magnetically striped cards, talking books, magnetic tapes with printed texts there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ultimedia (AREA)
  • Toys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specification discloses a studying material for Pansori and, more specifically, a studying material for Pansori comprising: papers including pictures and writings related to Pansori, wherein the papers are expressed through a variety of cutting or tearing operations of the pertinent pages.

Description

판소리 학습용 교재{STUDYING MATERIALS FOR PANSORI}{STUDYING MATERIALS FOR PANSORI}

본 발명은 판소리 학습용 교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판소리를 주제로 하는 그림, 글씨 등이 새겨진 학습종이를 해당 페이지의 지면에 오리거나 자르는 작업을 통해 다양하게 표현하여 지면에 삽입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소리 학습용 교재에 관한 것이다.[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nsori learning materi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pansori learning material which is variously represented by a task of cutting or cutting a learning paper on which a picture, And to a pansori learning teaching material.

일반적으로 유아 혹은 어린이들로 하여금 흥미를 유발하여 두뇌 계발이나 학습 능력을 키울 수 있도록한 학습구들이 출현되어 있다.In general, there have been emerging learning spheres that allow infants or children to develop interest and develop their brain development and learning abilities.

그러나 기존의 어린이들로 하여금 문자, 숫자 및 그림 등에 대한 학습효과를 높이는 데에 사용하는 교재들은 대부분 이들 내용이 표시된 책이나 혹은 카드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구성의 학습 교재는 어린이들이 문자, 숫자 및 각종 그림 등에 대한 학습을 함에 있어서 2차원 적인 평면에 표시된 문자, 숫자 및 그림 등을 오직 시각에 의존해서만 이들 내용을 학습 혹은 교습을 하고 있는 실정이므로 어린이 들로 하여금 학습의 큰 흥미를 갖지 못하게 함은 물론 오히려 단조로운 구성으로 쉽게 학습 흥미를 잃게되는 폐단이 있다. 참고로 어린이들의 학습에 대한 연구결과를 보면 손으로 직접적으로 움직일 수 있게 하면서도 입체감 있게 구성된 입체물에 의한 것이 큰 학습 효과를 얻는 것으로 발표된바 있다.However, most of the textbooks used by existing children to enhance the learning effects of letters, numbers, and pictures are in the form of books or cards with these contents. The learning textbooks of this structure are used in learning or teaching the contents of letters, numbers, and pictures displayed on a two-dimensional plane only in view of their visual sense in learning about letters, numbers and various pictures Not only does it make children less interested in learning, but they also tend to lose interest in learning in a monotonous way. For reference, the results of research on children's learning show that it is possible to move directly by hand, but it is reported that a stereoscopic three-dimensional object can achieve a great learning effect.

그러나 아동들은 집중력이 짧아 한 곳을 집중하여 보거나 듣는 등의 능력이 떨어지게 되므로 동일한 내용의 책, 즉, 동화책에 색상을 화려하게 넣거나, 입체적으로 돌출시키거나 또는 음향 등을 내장한다 하여도 결국은 책 내용은 변함이 없게 되어 결국은 동일한 동화책을 반복하여 보게 되는 결과에 지나지 않게 된다.However, since the concentration of children is so short that they can not concentrate or listen to one place, the ability to read or listen to them is reduced. Therefore, even if a book of the same content, such as a fairy tale book, The contents will remain unchanged and eventually become the result of repeatedly seeing the same storybook.

또한, 종래의 아동용 도서나 동화책 등은 생산 코스트의 상승에 비해 실질적인 효과, 즉 양 상표나 아동들로 하여금 흥미를 지속적으로 유발시키는데 한계가 있어, 효율적으로 지속적인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보다 발전된 동화 책이 요구되고 있는 추세이며, 창의력 및 표현력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conventional children's books and fairy tale books have a substantial effect compared to the increase of production cost, that is, there is a limit to continuously induce interest of both brands or children, and thus, a more developed fairy tale book There is a problem that creativity and expressive power are lowered.

현대 사회가 점차 서구화함에 따라 서구 음악 중심의 사회 환경이 되어 생활 속에서 전통 음악을 들을 수 있는 기회가 점차 줄어들고 있다. 이에 젊은 세대일수록 서구 음악을 선호하여 민요나 동요, 판소리와 같은 우리의 전래 음악을 어렵게 느끼거나 생소하게 느끼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As modern society gradually becomes westernized, it becomes a social environment centering on Western music, and the opportunity to listen to traditional music in everyday life is gradually diminishing. Therefore, it is a reality that the younger generation feels difficult or unfamiliar with our traditional music such as folk songs, songs, and pansori, preferring Western music.

아기를 포함한 어린이들에게 생활 속에서 판소리와 같은 전통 음악을 들려준다면, 어려서부터 전래 음악을 친숙하게 여기고 전래 음악에 대한 감수성을 높일 수 있으며, 특히 유아기는 발달의 기초가 이루어지는 시기로서, 신체와 더불어 감성과 지적 능력이 발달하고, 기본생활 습관과 학습 태도가 형성되는 중요한 시기로서, 이 때 놀이 중심의 질 높은 교육을 제공할 때 유아의 잠재력을 보다 계발시킬 수 있으나, 생활 속에서 판소리와 같은 전통 음악을 접할 기회가 희박하다. If children, including babies, listen to traditional music such as pansori in their daily life, they will be able to familiarize themselves with the music from early childhood and enhance the sensitivity to traditional music. Especially in infancy, It is an important period in which emotional and intellectual abilities are developed and basic life habits and learning attitudes are formed.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cultivate the potential of infants when providing quality play centered education. However, There is little chance of seeing music.

등록실용신안 제20-0181467호(유아용 전래 음악 학습기구)Registration Utility Model No. 20-0181467 (Infant Music Instructional Organizatio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음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아이들에게 우리나라의 전통 음악인 판소리를 쉽게 접할 수 있는 교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eaching material for children to easily access Korean traditional music Pansori.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은 판소리를 주제로 하는 그림, 글씨 등이 새겨진 학습종이를 해당 페이지의 지면에 오리거나 자르는 작업을 통해 다양하게 표현하여 지면에 삽입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learning paper on which pictures, texts, and the like are engraved on a pansori is displayed on the floor of the corresponding pag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학습종이는 상기 교재를 펼쳤을 때 중앙선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전개되면서 형태적 변화를 일으키는 팝업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learning pa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pop-up form that causes a morphological change while being expanded toward both sides with respect to a center line when the teaching material is sprea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교재의 지면에는 해당 페이지의 내용이 저장되는 음성출력 칩이 구비되며, 사용자가 상기 음성출력 칩을 누르면 상기 음성출력 칩으로부터 해당 페이지의 내용이 음성으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udio output chip for storing contents of a page on a sheet of the teaching material, and when the user presses the audio output chip, do.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판소리를 주제로 하는 학습종이를 아이들이 직접 자르거나 오려는 작업을 통해 다양하게 표현하면서 책을 완성토록 하여 어린 아이들이 우리나라의 전통 음악인 판소리를 쉽고 재미있게 접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enables children to easily and easily encounter Korean traditional music Pansori by completing a book expressing various kinds of works by cutting or cutting the pansori-related learning paper directly.

또한, 상기 학습종이가 형태적 변화를 일으키는 팝업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아이들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고, 해당 페이지의 내용이 음성으로 출력되도록 하여 판소리를 직접 들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learning paper is formed in a pop-up form that causes a morphological change, it can induce interest of children, and the content of the page is outputted as a voice, so that the pansori can be directly heard.

도 1 내지 4는 본 발명에 따른 판소리 학습용 교재의 예시도.1 to 4 illustrate an example of a teaching material for pansori learn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 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 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 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based on embodiments best suited to an understanding of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by the illustrated embodiments, 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with other embodiments. Therefore, it is intend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overs the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is invention provided they com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to be described below, in the reference numeral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mong the components that perform the same function in the embodiments, the related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or an extension line number.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판소리 학습용 교재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textbook for learning pansori related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본 발명은 어린 아이들이 우리나라의 전통 음악인 판소리를 쉽고 재미있게 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판소리 학습용 교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aching material for learning pansori, which aims to allow young children to easily and funly access traditional Korean music pansori.

본 발명에 따른 판소리 학습용 교재는 춘향가, 심청가, 흥보가, 수궁가 등 북 장단에 맞추어 소리꾼이 몸짓을 섞어 가면서 일정한 대사와 소리로 이야기를 엮어 나가는 우리 민족 고유의 노래인 판소리를 주제로 하는 학습종이를 아이들이 직접 자르거나 오려는 작업을 통해 다양하게 표현하면서 책을 완성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ansori teaching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nsori-based learning paper, which is a song unique to the Korean people, which is composed by a singer mixed with a gesture in accordance with the length of the drum such as Chunhyangga, Simchungga, And the book is completed by expressing variously through the work of cutting or cutting directly.

상기 판소리 학습용 교재는 복수의 페이지를 갖는 책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각 페이지의 지면에는 각 페이지의 지면에는 전개되는 판소리의 내용과 대응되는 이미지나 글씨를 포함하는 배경이 인쇄된다. The pansori learning teaching material is in the form of a book having a plurality of pages, and a background including images or letters corresponding to the contents of the pansori developed on the ground of each page is printed on the paper of each page.

상기 학습종이는 해당 페이지의 지면에 인쇄된 배경과 대응되는 이미지, 글씨가 새겨지며, 아이들이 직접 오리기 자르기 등의 작업 후 풀을 통해 지면에 붙여가면서 책을 직접 완성할 수 있도록 한다.The learning paper is engraved with images and letters corresponding to the background printed on the page of the page, and allows the children to directly complete the book while sticking to the ground through the paste after the work such as cutting and cutting.

상기 학습종이는 각 페이지의 지면에 인쇄된 이미지나 글씨 등의 배경과 어울리도록 다양한 형상과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learning paper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and shapes so as to match the background of images, texts, and the like printed on the ground of each page.

도 1 내지 4는 우리나라의 전통 음악인 판소리 중 춘향전을 주제로 한 판소리 학습용 교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 to 4 are diagrams showing textbooks for learning pansori on the theme of Chunhyangjeon among Korean traditional music pansori.

도 1 내지 4에는 양측 페이지의 지면에 개울가와, 평지와, 나무 및 숲이 인쇄되어 있으며, 마을을 형상화한 제1타입의 학습종이와, 춘향이, 이몽룡, 방자 등의 등장인물을 나타내는 제1타입의 학습종이(30)와, 천하대장군, 지하여장군이 인쇄된 장승을 나타내는 제2타입의 학습종이(40) 및 마을을 형성화한 제1타입의 학습종이와 장승을 나타내는 제2타입의 학습종이를 연결하여 판소리 학습용 교재를 펼쳤을 때 장승이 수직으로 세워질 수 있도록 하는 나무가 인쇄된 제3타입의 학습종이(50)가 접착되어 있다. Figs. 1 to 4 illustrate a first type of learning paper in which villages are formed in the form of a stream, on which plain paper, trees, and forests are printed, and villages Type learning paper 30, a second type of learning paper 40 representing a grand piano printed with a grand piano group, a underground piano group, and a second type of learning paper representing a first type of learning paper and a long- And a third type of learning paper 50 printed with wood on which the pansori is laid vertically when the pansori teaching material is unfolded is connected.

먼저, 상기 제1타입(30)의 학습종이는 판소리 학습용 교재가 덮힌 상태에서는 중앙선을 기준으로 양측 외주면이 상호 밀착되면서 접철된 상태를 유지하였다가 펼치게 되면 중앙선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팝업 형태로 전개되면서 입체적인 형상을 표현할 수 있다.First, the learning paper of the first type 30 is held in a folded state with bo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being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in a state in which the pansori learning teaching material is covered, and when expanded, the learning paper is developed in a pop- Three-dimensional shape can be expressed.

상기 제1타입(30)은 각 페이지의 지면에 풀과 같은 접착제를 통해 접착될 수 있도록 저면에 소정의 길이만큼 접혀지는 제1접착부(31)가 형성되며, 상기 판소리 학습용 교재의 중앙선과 대응되는 위치에 부착할 수 있도록 제1타입의 중앙에도 수직으로 절곡선(32)이 형성된다.The first type 30 is formed with a first adhesive portion 31 that is folded by a predetermined length on the bottom surface so as to be adhered to the paper surface of each page through adhesive such as grass, A folding line 32 is formed vertically in the center of the first type so as to be attached to the position.

다음으로, 상기 학습종이는 양측 페이지 가운데 어느 한쪽 페이지의 지면에만 풀을 통해 접착하는 제2타입(40)으로 형성될 수 있다. Next, the learning paper may be formed as a second type 40 that is adhered to the paper of one of the two pages through a paste.

상기 제2타입(40)의 학습종이는 상기 제1타입과 마찬가지로 부착되는 페이지의 내용과 대응되는 이미지나 글씨가 인쇄되며, 저면에는 해당 페이지의 지면에 풀과 같은 접착제로 접착될 수 있도록 소정의 길이만큼 접혀지는 제2접착부(41)가 형성된다. The learning paper of the second type 40 is printed with an image or a letter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of the attached page in the same manner as the first type, A second bonding portion 41 folded as much as the length is formed.

한편, 상기 제2타입은 단순히 해당 페이지의 저면에 접착된 상태이기 때문에 판소리 학습용 교재를 펼치더라도 제1타입과 같이 팝업 형태로 전개되지 않을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since the second type is simply adhered to the bottom of the page, even if the Pansori teaching textbook is expanded, it may not be developed in a pop-up form like the first type.

이에, 본 발명은 상기 제1타입의 외주면에는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절개된 제1절개홈(33)이 형성되고, 상기 제2타입의 외주면에도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절개된 제2절개홈(42)이 형성되며, 상기 제1절개홈과 제2절개홈을 연결하는 제3타입(50)의 학습종이가 더 구비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incision groove (33)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type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r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type is also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length A second type of cutting paper 42 is formed and a third type 50 of learning paper is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cutting grooves.

상기 제3타입(50)의 양단에는 상기 제1절개홈 및 제2절개홈에 삽입되어 제1타입과 제2타입을 연결하는 연결부(51)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가 상기 제1절개홈 및 제2절개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다시 빠져나오지 않도록 연결부의 끝단은 상기 제1절개홈 및 제2절개홈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both ends of the third type (50), a connection part (51) is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type and the second type by being inser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incision grooves, And the end of the connection part is formed to be longer than the first and second incision grooves so as not to escape from the second incision groove.

다만, 상기 연결부(51)가 상기 제1절개홈(33) 및 제2절개홈(42)보다 길게 형성됨에 따라 각 절개홈(33,42)에 삽입하는 작업이 어려울 수 있으므로, 상기 연결부(51)에 절곡선을 형성하여 상기 제1절개홈 및 제2절개홈에 삽입할 때에는 상기 절곡선을 따라 연결부의 소정면적을 절곡한 상태에서 삽입하고, 삽입이 완료되면 다시 절곡된 면을 펴서 연결부가 제1절개홈 및 제2절개홈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However, since the connecting portion 51 is longer than the first and second cutout grooves 33 and 42, it may be difficult to insert the cutout into the cutout grooves 33 and 42. Therefore, And when the first and second incision grooves are inserted into the first incision groove and the second incision groove, a predetermined area of the connection portion is inserted in a bent state along the folding line, and when the insertion is completed, So that it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irst incision groove and the second incision groove.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판소리 학습용 교재는 지면에 해당 페이지의 내용이 저장되는 음성출력 칩(미도시)이 구비된다.Next, the Pansori teaching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voice output chip (not shown) in which the content of the page is stored on the paper.

상기 음성출력 칩은 상기 판소리 학습용 교재의 모든 페이지에 구비될 수 있고, 어느 특정 페이지에만 구비될 수도 있다.The audio output chip may be provided on all pages of the pansori learning material, and may be provided on only a specific page.

상기 음성출력 칩에는 상기 판소리 학습용 교재의 일정 페이지를 펼쳤을 때 해당 페이지와 대응되는 내용이 음성으로 저장되며, 사용자가 누르는 동작이 감지되었을 때 저장된 내용을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버튼 및 감지센서가 구비된다.The voice output chip stores a voice corresponding to the page when the predetermined page of the Pansori teaching material is opened, and a button for outputting the stored voice when the user presses the button, and a detection sensor Respectively.

아이들이 일정 페이지를 펼치게 되면, 먼저 상기 학습종이가 판소리 학습용 교재의 중앙선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전개되면서 입체적인 모형을 형성하게 되고, 상기 음성출력 칩을 누르게 되면 해당 페이지에 해당되는 내용의 판소리가 출력되면서 아이들이 눈과 귀를 통해 판소리를 접할 수 있게 된다.
When the children expand the schedule page, the learning paper is first developed on both sides of the center line of the pansori teaching material to form a three-dimensional model. When the audio output chip is pushed, the pansori corresponding to the page is outputted Children will be able to see pansori through eyes and ears.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판소리를 주제로 하는 학습종이를 아이들이 직접 자르거나 오려는 작업을 통해 다양하게 표현하면서 책을 완성토록 하여 어린 아이들이 우리나라의 전통 음악인 판소리를 쉽고 재미있게 접할 수 있으며, 상기 학습종이가 형태적 변화를 일으키는 팝업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아이들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고, 해당 페이지의 내용이 음성으로 출력되도록 하여 판소리를 직접 들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enables the children to easily and comfortably see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Pansori by completing the book by expressing various kinds of works through the work of cutting or cutting the pansori-related learning paper directly by the children, Since the paper is formed in a pop-up form causing a morphological change, it is possible to induce the interest of the children, and the content of the page is outputted as a voice so that the pansori can be directly heard.

10 : 지면 20 : 학습종이
30 : 제1타입 31 : 제1접착부
32 : 절곡선 33 : 제1절개홈
40 : 제2타입 41 : 제2접착부
42 : 제2절개홈
50 : 제3타입 51 : 연결부
10: ground 20: learning paper
30: first type 31: first adhesive portion
32: fold curve 33: first incision groove
40: second type 41: second adhesive portion
42: second incision groove
50: Third type 51: Connection

Claims (3)

판소리를 주제로 하는 그림, 글씨 등이 새겨진 학습종이를 해당 페이지의 지면에 오리거나 자르는 작업을 통해 다양하게 표현하여 지면에 삽입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소리 학습용 교재.A pansori learning material, a pansori-themed learning paper, and the like are put on the ground by variously expressing through cutting or cutting work on the ground of the pa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종이는 상기 교재를 펼쳤을 때 중앙선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전개되면서 형태적 변화를 일으키는 팝업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소리 학습용 교재.The pansori teaching material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earning paper is formed in a pop-up form that causes a morphological change while being spread toward both sides with respect to a center line when the teaching material is unfolded.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교재의 지면에는 해당 페이지의 내용이 저장되는 음성출력 칩이 구비되며, 사용자가 상기 음성출력 칩을 누르면 상기 음성출력 칩으로부터 해당 페이지의 내용이 음성으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소리 학습용 교재.The audio output chip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a voice output chip for storing the contents of the page is provided on the paper of the teaching material, and when the user presses the voice output chip, The pansori teaching material is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KR1020130136413A 2013-11-11 2013-11-11 Studying materials for pansori KR10218150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6413A KR102181504B1 (en) 2013-11-11 2013-11-11 Studying materials for pansori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6413A KR102181504B1 (en) 2013-11-11 2013-11-11 Studying materials for pansori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4229A true KR20150054229A (en) 2015-05-20
KR102181504B1 KR102181504B1 (en) 2020-11-23

Family

ID=53390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6413A KR102181504B1 (en) 2013-11-11 2013-11-11 Studying materials for pansori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1504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3132Y1 (en) * 1999-10-04 2000-03-15 황창연 An assemble model have a stereo background used in education
KR200181467Y1 (en) 1999-12-02 2000-05-15 김옥희 Traditional music learning device for children
KR200263136Y1 (en) * 2001-11-08 2002-01-31 주식회사 유유트레이딩 Play implement for paper folding having scene-board
KR20020047351A (en) * 2000-12-13 2002-06-22 고종택 Tranning Implement With Stereograph Play For Children
JP3137868U (en) * 2007-09-13 2007-12-13 有限会社イープラン Multipurpose spreade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3132Y1 (en) * 1999-10-04 2000-03-15 황창연 An assemble model have a stereo background used in education
KR200181467Y1 (en) 1999-12-02 2000-05-15 김옥희 Traditional music learning device for children
KR20020047351A (en) * 2000-12-13 2002-06-22 고종택 Tranning Implement With Stereograph Play For Children
KR200263136Y1 (en) * 2001-11-08 2002-01-31 주식회사 유유트레이딩 Play implement for paper folding having scene-board
JP3137868U (en) * 2007-09-13 2007-12-13 有限会社イープラン Multipurpose sprea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1504B1 (en) 2020-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opalakrishnan Multicultural children’s literature: A critical issues approach
Reilly et al. Very young learners
Pantaleo The metafictive nature of postmodern picturebooks
Gibson Picturebooks, comics and graphic novels
Wright Guide to designing tactile illustrations for children's books
KR100849449B1 (en) A picture book in braille and teaching material set including the same
Neumann et al. For parents particularly: More than just storybooks: Promoting emergent literacy skills in the home
Ivanič Intertextual practices in the construction of multimodal texts in inquiry-based learning
Hill et al. Dave the potter: Artist, poet, slave
Campos et al. Mathematics and children’s literature linked by e-books
KR20150054229A (en) Studying materials for pansori
JP3224189U (en) Child picture book cover.
CN201655072U (en) Number-learning touch book
KR20150000630U (en) Book for child
YULI Teaching Reading Comprehension in Descriptive Text By using Lapbook (A Pre-Experimental Research on the Eighth Grade Students of SMP Negeri 1 Nanga Pinoh in the Academic Year of 2015/2016)
KR200247472Y1 (en) Studying Material for Infants
Williams et al. The Books That Taught Us Exhibition Catalog
KR200270599Y1 (en) The Making book
Bales et al. Book bento boxes: Creative reading response
Walsh et al. Understanding the Design Values of Baby Books: Materiality, Co-presence, and Remediation
KR20170026698A (en) Educational tool using storytelling and tactile impression
KR200406481Y1 (en) Magic book for educating children
Mueller Everyday Literacy: Environmental Print Activities for Children 3-8
Ponelienė Preschool-age children’s education by art: problems and possibilities
Hovorka et al. GERMA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