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3863A - 모바일 금융거래의 숫자와 패턴의 조합으로 구성된 인증번호 입력장치 및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 금융거래의 숫자와 패턴의 조합으로 구성된 인증번호 입력장치 및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3863A
KR20150053863A KR1020130135927A KR20130135927A KR20150053863A KR 20150053863 A KR20150053863 A KR 20150053863A KR 1020130135927 A KR1020130135927 A KR 1020130135927A KR 20130135927 A KR20130135927 A KR 20130135927A KR 20150053863 A KR20150053863 A KR 201500538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authentication
combination
input
nu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5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7565B1 (ko
Inventor
양용철
Original Assignee
양용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용철 filed Critical 양용철
Priority to KR1020130135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7565B1/ko
Publication of KR201500538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38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75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75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2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a predetermined code, e.g. password, passphrase or P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61Generation of secret information including derivation or calculation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63Generation of secret information including derivation or calculation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involving passwords or one-time passwo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8Usage controlling of secret information, e.g. techniques for restricting cryptographic keys to pre-authorized uses, different access levels, validity of crypto-period, different key- or password length, or different strong and weak cryptographic algorith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금융거래에서의 인증번호 유출 및 해킹 방지를 위한 인증번호 입력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비밀번호 숫자와 패턴 이미지 입력의 조합으로 인증번호를 생성하고 제어하는 것이다.
그 방법은 사용자가 숫자와 패턴 이미지를 조합하여 자신의 인증번호를 생성하는 단계 ; 숫자와 패턴 이미지를 사용자의 인증번호로 저장하는 단계 및 ; 사용자로부터 숫자와 패턴 이미지로 인증번호가 입력되면 저장된 숫자와 패턴 이미지와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로 진행된다.

Description

모바일 금융거래의 숫자와 패턴의 조합으로 구성된 인증번호 입력장치 및 제어방법 {Method and Device for Security Number Input using the Combination of Password Number and Pattern Image Input in Mobile Stock Trading}
본 발명은 모바일 금융거래에서의 인증번호 유출방지 및 해킹을 어렵게 하기 위한 인증번호 입력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4자리 비밀번호 숫자와 잠금장치인 패턴 이미지 입력의 조합으로 인증번호를 생성하고 제어하는 것이다.
모바일 및 스마트폰 증권거래를 이용하기 위하여 로그인(아이디, 패스워드), 거래비밀번호, 증권계좌이체시에는 인증번호 또는 비밀번호 등을 입력하여 사용자의 인증을 실시하고 있다. 상기 인증번호는 현재 로그인시 숫자와 문자의 조합으로 입력하고 있으며 주식을 매매하거나 증권계좌와 은행계좌간에 자금이체를 하고자 하는 때에는 비밀번호 4자리를 이용하고 있다.
모바일 증권거래 앱을 실행한 후 로그인 단계에서 아이디나 또는 패스워드를 입력할 때에는 영문자 키보드에서 영문자와 숫자의 혼합으로 6자 이상을 입력해야 한다. 이때 사용자는 패스워드를 기억해야 하고 입력 키보드상에서 패스워드를 입력한다. 이때 키보드에는 수십개의 숫자와 문자가 나열되므로 특정 문자를 선택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입력에 시간이 소요되며 문자 숫자를 일일이 외워야 하는 불편이 있다. 한편 스마트폰상에서 키보드는 도 24 내지 도26과 같이 한글자판(도24), 영문자판(도25), 숫자자판(도26)을 번갈아 가면서 입력해야 하므로 시간과 노력이 많이 소요되고 있는 실정이다. 예를들어 ABC 증권사에 로그인시 아이디가 syusch2594이가 패스워드가 kimgyu738이라고 가정하자. 먼저 아이디란을 선택하면 한글자판이 나타나고 여기서 영문자판 선택버튼을 선택한 후 <syusch>을 입력한 후 다시 숫자키패드로 전환한 후 <2594>를 입력하고 엔터키를 치면 아이디 입력이 완료된다. 이어 패스워드 입력란을 선택한 후 다시 <kimgyu>를 입력한 수 숫자자판으로 전환한 후 <738>을 입력한 후 엔터키를 선택하면 패스워드 입력이 완료된다.
한편 증권매매시 또는 증권계좌의 자금이체시 현재 사용중인 비밀번호 4자리는 간단하여 외우기와 입력이 쉽지만 유출이나 해킹의 위험이 높다. 특히 스마트 폰을 이용하여 공공장소에서 이용시에는 제3자에게 비밀번호를 유출할 위험이 높으며, 금액이 큰 주식매매를 하고자 하는 경우 비밀번호 4자리로만 보안을 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불안을 느끼게 된다.
패턴 이미지만을 인증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도, 주위 사람들에게 노출될 수 있는 위험이 있다.
한편 인증번호 또는 비밀번호를 복잡하게 만들고자 하는 경우, 보안성은 높아 지지만 반대로 사용자는 복잡한 비밀번호를 기억하고 일일이 번거롭게 많은 시간과 노력을 들여 입력해야 하는 부작용을 수반하게 된다.
현재 이와같은 인증방법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스마트 폰을 이용한 증권거래에서는 필수적으로 주식매매자금의 계좌이체, 주식의 매수, 매도에 따른 이익, 손실이라는 현금의 이동이 발생하므로 사용자에게는 매우 중요한 것이지만 기존의 숫자 4자리만으로는 유출이나 해킹의 위험이 높아 보다 복잡하고 높은 보안이 필요하다. 스마트 폰은 화면이 크기가 작아 수십개의 문자와 숫자판을 표시하기 위해서는 문자나 숫자 키보드를 작게 표시하여야 하고 그에 따라 사용자는 키보드 판독이 어렵고 손가락으로 특정 문자나 숫자를 선택하여 입력하기 쉽지 않고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스마트폰은 화면이 적기 때문에 한꺼번에 숫자, 영문을 동시에 표시하기 곤란하므로 한글, 영문, 숫자 키패드를 번갈아 가면서 전환하여 표시해야 하고 사용자는 그에 따라 많은 작업과정을 거쳐야 한다. 또한 문자와 숫자의 조합은 일일이 기억해야 하고 장기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잊어버리는 경우가 많아 노트에 적어 놓거나 비밀번호 재발급을 하는 경우 사용자 뿐만 아니라 증권사 직원이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많은 시간과 노력을 소비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들이 추가로 새로운 요소를 외우지 않으면서도 인증번호를 복잡하게 만드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간단한 입력만으로 가능한 한 복잡한 인증번호를 만드는 것이다.
본 발명이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들에게 추가로 외우지 않고도 복잡한 인증번호를 만드는 것이다.
본 발명이 또 다른 목적은, 숫자 키패드상에서 숫자와 패턴을 동시에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또 다른 목적은, 숫자 키패드상에서 숫자와 패턴 입력을 구분하여 판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복잡한 비밀번호로서 보안성이 높지만 사용자들이 잊어버리지 않는 항상 기억할 수 있는 인증번호를 만드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그림, 도형, 시간차, 리듬, 허수, 박자 등의 새로운 입력요소없이 종래의 사용자가 전통적으로 사용하는 입력요소(숫자와 패턴)만으로 인증번호를 복잡하게 만드는 것이다.
그 방법은 기존에 사용자들이 추가로 숫자나 문자, 시간차를 외우지 않는 방법으로서, 사용자들이 평소 익숙한 영역(Area, Category)에 속하는 기억들을 활용하는 것이다. 평소 익숙한 기억으로는 이름, 주민번호, 전화번호, 집주소, 생일, 자동차 번호 등이 있다. 이러한 기억들은 자주 사용하고 간단하므로 외우고 기억하는데 부담이 없다. 그 외에 숫자 4자리, 문자를 이용한 패스워드, 패턴입력, 지문, 얼굴인식, 음성인식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이중 패턴이란 9개(3*3)의 점 중 4개 이상의 점을 드래그하여 나만의 패턴을 직접 만들어 사용하는 것이다. 9개 점의 패턴입력은 약 40만개의 경우의 수를 가지므로(도 9), 4자리 숫자에 비해 약 40배의 경우의 수를 가지므로 높은 보안성을 갖는다. 반면 패턴입력은 스마트폰에서 화면 잠금을 해제하는데 사용하므로 많은 사용자들이 평소 자주 사용하는 기능이므로 잘 기억하고 있다. 따라서 패턴입력은 높은 인증번호 효과와 함께 입력이 간단하여 시각화되어 있어 기억을 하기 쉽다는 장점과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패턴입력이 갖는 위와 같은 효율성의 특징과 종래의 4자리 인증번호를 조합하여 복잡한 인증번호를 생성시키면도 사용자들의 추가적인 기억을 요구하지 않는 방법을 고안하고자 한다.
그 방법은 평소 사용하는 인증번호 4자리 숫자와 패턴입력을 조합하여 인증번호를 생성시키는 것이다. 인증번호 입력은 5자리이며 각각의 입력자리에 숫자 또는 패턴을 입력한다. 예를들어 인증번호가 1234이고 패턴입력이 4각형 드래그이면 1, 패턴, 2, 3, 4로 입력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은 1,2,패턴,3,4이 있다. 다음으로 1,2,3,패턴,4 / 1,2,3,4,패턴 / 패턴, 1,2,3,4등이 있다. 패턴을 중간에 두 번 입력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숫자와 패턴을 조합한 인증번호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본 방법은 사용자들이 평소 사용하는 친숙한 기존의 4자리 숫자와 스마트폰에서 화면잠금 해제시 사용하는 패턴 이미지 입력을 조합하여 이용한다. 따라서 사용자들이 별도의 추가적으로 외워야 할 필요가 없고 잊어먹지 않고 친숙하고 입력이 간단한 반면 매우 높은 복잡한 인증번호를 생성하므로 보안성이 매우 높다.
1. 본 발명에 따르면 숫자키패드상에서 비밀번호 숫자와 패턴 이미지를 각각 입력할 수 있으므로 자판을 전환할 필요가 없이 복잡한 인증번호를 입력할 수 있다.
2. 입력이 간단하고 추가로 외울 필요가 없다. 종래의 추가적인 번호, 문자, 도형, 시간차, 리듬, 박자 등 친숙하지 않은 입력요소를 외울 필요가 없다.
3. 인증번호 4자리와 패턴의 친숙한 요소로 간단하게 구성되지만 보안성과 경우의 수는 매우 높다.
4. 9개점의 패턴1개는 약 40만개의 경우의 수를 가지므로(도 9) 4자리 숫자에 비해 수학적으로 약 40배의 복잡성을 가진다. 이러한 패턴1개와 4자리 숫자와 조합으로 구성하면 약 200만개이 복잡한 인증번호(도 10)를 가지게 되는 반면 사용자들은 최소한의 기억만 가지면 된다.
5. 숫자 키입력값을 중간에 파악하는 해킹이 방지된다. 숫자와 패턴의 조합을 통신망에서 중간에 가로채서 파악할 수 없다.
6. 사용이 편리하다. 기존에 사용하는 숫자와 패턴이므로 친숙하여 누구나 쉽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7. 비밀번호 숫자 4자리는 일만개의 경우를 수를 가지며, 9개점의 패턴1개는 약 40만개의 경우의 수를 가진다. 따라서 숫자4자리와 패턴1개를 조합하면 약200만개의 경우의 수(도 10)를 가지게 되어 유출이가 해킹이 어렵다. 반면 사용자는 기존의 비밀번호 4자리에 패턴만 추가하면 되므로 신속하고 간단한 패턴 입력을 한 개 추가하는 것만으로도 매우 높은 보안을 유지하게 된다.
8. 숫자 키패드상에서 숫자와 패턴이미지를 연속적으로 입력하므로, 제3자가 이를 훔쳐보아도 파악하기 어렵고 자판을 전환할 필요가 없으므로 연속적으로 신속하게 숫자와 패턴을 조합하여 입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매우 복잡하면서도 보안성이 높은 인증번호를 쉽고 평소 사용하는 친숙한 숫자, 패턴이미지를 조합하여 편리하게 입력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폰 증권거래에서의 숫자와 패턴입력의 조합의 증권사의 인증번호 제어장치 및 방법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폰의 인증번호 제어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증권사의 인증서버의 인증번호 제어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증권사의 인증서버에 인증번호를 등록하는 흐름도이다.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증권사의 인증서버에 인증번호를 등록하는 실시예 또는 스마트폰에서 인증번호를 입력하는 실시예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권사의 인증서버에 접속하여 인증번호를 확인하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4자리 숫자와 패턴 1개 입력의 조합으로 인증번호를 인증하는 경우의 수의 예이다.
도 9는 9개의 점으로 구성된 패턴 1개에 입력할 수 있는 경우의 수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4자리 숫자와 패턴 1개 입력의 조합으로 인증번호를 인증하는 경우의 수이다.
도 11내지 도 20은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폰 상에서의 숫자와 패턴입력의 조합으로 인증번호를 인증하는 실시예이다.
도 21은 본 발명에 의한 주식매매 주문화면에서의 숫자 키패드를 상태를 유지하면서 패턴을 입력받은 실시예이다.
도 22 내지 도 23은 본 발명에 의한 로그인 화면에서의 숫자 키패드를 상태를 유지하면서 패턴을 입력받은 실시예이다.
도 24 내지 도 26은 종래의 인증번호 입력의 자판의 예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폰 증권거래에서의 숫자와 패턴입력의 조합 입력방법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숫자와 패턴이미지를 겸용으로 입력할 수 있는 <숫자/패턴 혼용 키패드>를 이용한 증권거래 인증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은 모바일 또는 스마트폰 (10-1, 10-2, ..., 10-n, 이하 10으로 통칭), 증권사의 인증서버(30) 및 데이터베이스(40)를 포함한다. 스마트폰(10)은 통신망을 통한 통신이 가능한 모바일 증권거래 단말장치이다.
증권사의 인증 서버(30)는 스마트폰(10)을 통해 접속한 사용자의 인증을 수행하는데, 스마트폰(10)으로부터 수신된 인증을 위한 입력정보를 미리 저장된 인증정보와 비교함으로써 인증을 처리한다.
데이터베이스(40)는 회원인증을 위한 <숫자/패턴 혼용 키패드>에 따른 인증번호를 저장하는 장치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10)의 인증번호 인증을 위한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10)은 제어부(11), 스마트폰 증권거래 관련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12), <숫자/패턴 혼용 키패드>로 구성된 인증번호 입력부(13), 인증번호 인증을 위한 통신부(14)로 구성된다.
제어부(11)는 사용자로부터 <숫자/패턴 조합>의 인증번호를 입력받도록 제어하고 입력한 <숫자/패턴 조합>의 인증번호를 통신부(14)를 통해 인증서버(30)로 전송하는 것을 제어하고 인증서버(30)로 부터의 인증결과를 받아 표시하는 것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는 패턴의 조합으로 구성된 인증번호를 입력하는 입력부를 메모리에 저장하였다가 불러오거나 인증서버로부터 입력받아 표시하는 것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숫자 입력판과 패턴입력판을 화면이 큰 경우 병행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탭 등으로 선택하면 전환하여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스마트폰등과 같이 화면이 적은 경우 숫자와 패턴을 같은 상태에서 입력받을 수 있는 혼용(겸용, 하이브리드)으로 표시하고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인증번호 입력과정에서 제어부(11)는 인증번호 입력시 숫자사이를 드래그 또는 두점 이상을 드래그하면 패턴입력으로 인식하고 패턴을 입력받는 것을 제어하도로 한다. 제어부(11)는 숫자사이를 드래그 또는 두점 이상을 드래그로 패턴입력이 판단되면 숫자키패드를 패턴입력 키패드로 전환하는 것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는 숫자사이를 드래그 또는 두점 이상을 드래그로 패턴입력이 판단되더라도 숫자키패드를 유지하면서 패턴을 입력받는 것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는 패턴의 입력이 완료되면 숫자판으로 자동으로 전환하여 숫자를 입력받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메모리(12)는 증권사의 인증서버(30)로부터 증권거래와 관련한 데이터 (로그인 화면, 주식주문화면 등)를 입력받아 저장한다. 또한 메모리는 <숫자/패턴 혼용 키패드>를 인증서버로부터 입력받아 저장하고 제공한다.
<숫자/패턴 혼용 키패드>로 구성된 인증번호 입력부(13)는 인증번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0부터 9까지의 숫자판으로 구성된다. 입력부(13)는 스마트폰의 화면에 표시되고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숫자를 선택하거나 패턴의 이미지를 드래그하면 입력한 정보를 입력받는다. 상기 숫자와 패턴의 조합으로 구성된 인증번호를 입력하는 입력부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다가 표시되거나 또는 인증서버로부터 입력되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숫자/패턴 혼용 키패드>는 숫자와 입력되는 패턴이미지를 동시에 혼용하여 표시한다. 상기 <숫자/패턴 혼용 키패드>는 패턴이 입력되면 입력된 패턴 이미지를 숫자키패드상에서 표시하는 특징이 있다. 상기 <숫자/패턴 혼용 키패드>는 패턴이 입력되면 패턴입력창으로 전환하여 표시된다.
통신부(14)는 스마트폰(10)과 인증서버(30)와의 인증번호 인증을 위한 통신을 담당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권사 인증서버(30)의 인증번호 인증을 위한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인증서버(30)는 제어부(31), <숫자/패턴 조합>의 인증번호 데이터베이스(40), 통신부(32)로 구성된다.
제어부(31)는 스마트폰(10)으로부터 통신부(32)를 통해 사용자 인증 요청이 있으면 데이터베이스(40)와 비교하여 인증을 판단하는 것을 제어한다. 예를들어 스마트폰으로부터 입력되는 인증번호 설정(등록)용 숫자와 패턴의 조합으로 구성된 인증번호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숫자와 패턴의 조합으로 구성된 인증번호를 데이터베이스의 등록된 인증번호와 비교하여 인증을 처리한다. 또한, 제어부(31)는 최초 <숫자/패턴 조합>의 인증번호 설정 등록시에는 사용자로부터 <숫자/패턴 조합>의 인증번호를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하도록 제어한다.
데이터베이스(40)는 제어부(31)의 제어에 따라 최초 <숫자/패턴 조합>의 인증번호값을 등록 저장하고, 제어부(31)로부터 인증번호 조회 요청이 오면 저장된 인증번호를 제어부(31)의 제어에 따라 스마트폰 또는 단말장치로 송부한다. 또한 복수개의 <숫자/패턴 조합 키패드> (숫자 또는 패턴의 개수, 패턴의 키배열)를 저장하였다가 사용자가 등록한 해당 <숫자/패턴 조합 키패드>를 제공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사용자 인증번호는 숫자와 패턴이미지의 조합으로 구성된 인증번호임을 특징으로 한다.
통신부(32)는 스마트폰(10)과 인증서버(30)간의 인증번호 설정과 인증의 통신을 담당한다.
상기 인증서버(30)는 단말기로부터 인증 요청이 수신되면 해당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숫자와 패턴의 형태에 해당하는 <숫자/패턴 혼용 키패드>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숫자/패턴 조합>을 이용한 스마트폰 증권거래에서의 최초 인증번호 설정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일 실시예에 따른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증권회사 지점, 은행창구, 스마트폰 등을 이용하여 인증방법을 선택한다(S10). 예를 들면, 사용자가 은행창구에서 ABC증권사에 가입한 후 로그인, 주식매매 비밀번호, 증권계좌의 자금이체의 인증 또는 비밀번호로서 <숫자/패턴 조합>의 인증방법을 선택한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숫자/패턴 조합>의 인증번호를 결정하고 단말기에 인증번호를 입력한다(S20).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은행 창구 단말기에 <1, 2, 패턴, 3, 4>와 같이 인증번호를 입력한다.
사용자가 인증번호 설정용 인증번호를 입력하면, 인증서버(30)는 사용자가 입력한 <숫자/패턴 조합>의 인증번호를 데이터베이스(40)에 사용자의 인증번호로서 저장한다(S20).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은행 창구 단말기에 <5, 6, 7, 패턴, 8>을 입력하였다면 <5, 6, 7, 패턴, 8>을 인증번호로서 저장한다.
입력이 완료되면 인증서버(30)는 사용자가 입력한 최초 인증번호 설정번호를 증권사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한다(S30). 상기 숫자와 패턴의 조합으로 구성된 인증번호를 단말기로부터 입력받아 인증서버에 등록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선택한 순서대로 숫자 또는 패턴이미지를 순서대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입력된 숫자와 패턴 조합의 인증번호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선택한 숫자 또는 패턴의 개수, 패턴의 키배열을 더 포함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회원정보로는 이름, 아이디 등의 개인 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숫자/패턴 조합>을 이용한 모바일 증권거래 프로그램의 실행을 위한 로그인 또는 주식 매매시의 거래비밀번호, 증권계좌의 자금이체시의 인증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사용자가 스마트폰(10)을 통해 스마트폰(모바일) 증권거래를 요청한다(T10). 즉 스마트폰의 모바일 증권거래 입을 실행시킨다. 그러면 제어부(11)는 증권사의 인증서버에 인증용 화면을 요청하고 인증서버(30)는 데이터베이스(40)로부터 인증방법을 일고 그에 해당하는 인증방법을 스마트폰(10)으로 전송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계좌개설시 로그인 인증방법으로 <숫자/패턴 조합>을 선택하였다면 인증서버(30)는 <숫자/패턴 조합>의 인증데이터를 스마트폰(10)으로 전송한다.
또는 인증서버(30)로부터 인증번호 입력 화면(13)을 입력받아 메모리(12)에 저장하였다가 사용자가 로그인시 메모리(12)에 저장된 인증번호 입력부(13)를 스마트폰의 화면에 표시하도록 한다(T20).
위와 같이 <숫자/패턴 조합>의 인증번호를 입력하는 입력부(13)가 표시되면, 사용자가 아이디 또는 인증번호(비밀번호) 입력란을 선택한 후 <숫자/패턴 조합>의 입력부(13)상에서 첫 번째 인증번호(패턴)를 입력한다(T30). 이때 사용자가 숫자판을 손가락으로 선택하면 숫자로 인식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숫자 키패드 상세 숫자 <4>를 선택하면 첫 번째 인증번호로 숫자 <4>을 인식한다(T40). 만약 사용자가 숫자를 드래그하면 패턴 이미지 인식으로 인식한다(T50). 예를들어 사용자가 <3 4>로 두 개 점을 드래그 하였다면 숫자 입력이 아닌 패턴으로 인식하고 숫자 키패드를 패턴입력 모드로 순간적으로 전환한다. 이어서 사용자가 4개 이상의 점을 드래그하면 드래그 한대로 궤적을 그리고 더 이상 드래그가 없어지면 패턴 이미지 입력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한다. 이로써 패턴 이미지 입력을 완료시킨다. 만약 사용자가 패턴을 입력한 후 숫자를 추가로 입력하면 숫자를 입력받는다(T60). 예를들어 사용자는 패턴 여러 개를 기억하기 어려우므로 일반적으로 패턴1개를 사용하고 숫자 4개를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일 것이다.
도 18은 패턴 이미지 입력시(T50) 또 다른 화면 표시방법으로 숫자판을 유지하면서도 패턴을 입력받는 실시예이다. 사용자가 숫자 2개 사이를 드래그하면 패턴입력 모드로 전환하지 않고 숫자키패드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패턴 이지미를 입력받을 수 있다. 더 이상 드래그가 없으면 패턴 이미지 입력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한다.
한편 <패턴입력 모드>로 전환되면 패턴 이미지를 시각적으로 명확하게 보면서 패턴을 그릴 수 있지만, 제3자에 쉽게 패턴을 볼 수 있는 점이 있다. 반면, 패턴 입력시 <패턴입력 모드>로 전환하지 않고 숫자 키패드를 그대로 숫자를 표기하면서 패턴을 입력받는 것은 시각적으로 패턴도 보면서 제3자가 쉽게 패턴과 숫자를 구분하지 못하게 연속적으로 입력되므로 매우 높은 보안성을 가지는 장점이 있다.
이제 사용자가 상기 단계(S10∼S30)에서 설정한 인증번호대로 숫자와 패턴 인증번호를 아이디 또는 패스워드 입력란에 입력하였다(T70). 예를 들어 사용자가 <8, 4, 패턴, 3, 9>를 입력하였다. 사용자는 <숫자/패턴 혼용 키패드>상에서 숫자나 패턴을 마음대로 선택할 수 있다. 숫자는 해당 숫자를 손가락으로 터치하면 되고 패턴 이미지는 숫자사이를 드래그하면 패턴으로 인식된다. 여기서 드래그는 일반적으로 현재 사용하고 있는 패턴입력시 사용하는 드래그와 동일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큰 혼란 없이 숫자와 패턴을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그에 따라 화면이 작은 스마트톤상에서도 자판을 전환하지 않고도 동일한 숫자키보드상에서 숫자와 패턴을 혼용하여 입력할 수 있어 입력시간이 단축된다. 사용자가 숫자 또는 패턴을 어떻게 순서대로 선택할 수 있는지는 도 5 내지 도 6의 인증과정의 설명이 완료된 후 도 7에서 이어서 설명한다.
한편 도 5에서 사용자가 인증번호를 다 입력하면(T70), 즉 최초 설정된 개수만큼의 숫자/패턴을 입력하고 나면 또는 사용자가 입력 후 엔터키를 입력하면 제어부(11)는 입력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한다. 그에 따라 제어부는 입력된 <숫자/패턴 조합>의 인증번호를 통신부(14)를 통해 인증서버(30)으로 전송한다(T80).
그러면 증권사의 인증서버(30)의 제어부(31)는 스마트폰(10)으로부터 입력된 인증번호를 데이터베이스(40)의 회원 인증번호와 비교한다(도 6의 T90). 비교 결과 사용자가 입력한 <숫자/패턴 조합>의 인증번호가 데이터베이스(40)의 회원 인증정보와 일치하면 제어부(31)는 인증번호 일치하면(T100), 다음단계로 진행한다(T110). 즉, 로그인을 성공시키거나 주식매매주문, 자금이체를 진행시킨다. 만약 인증번호가 일치하지 않으면 인증실패를 전송한다. 예를들어, 사용자가 <8, 4, 패턴, 3, 9>를 입력하였고 데이터베이스(40)상의 인증번호도 <8, 4, 패턴, 3, 9>이면 인증번호가 일치한 것이다. 상기 숫자와 패턴의 조합으로 구성된 인증번호를 비교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설정 등록한 숫자값 또는 패턴 이미지의 입력순서와 값이 사용자가 인증을 위해 입력한 숫자값 또는 패턴 이미지의 입력순서와 값이 일치하는 지를 비교하여 인증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권사의 인증서버에 접속하여 인증번호를 확인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인증을 위하여 숫자 키패드를 첫 번째로 접촉하면 제어부(11)는 숫자의 선택인지 숫자간을 연결하는 드래그인지 판단한다(W10). 판단결과 숫자이면 첫 번째 인증번호로 숫자를 인식하고(W15), 패턴이면 첫 번째 인증번호로 패턴으로 인식한다(W20). 사용자가 두 번째로 숫자를 선택하면 숫자로 인식하고(W20, W40, W50, W60), 패턴이면 <숫자, 패턴>으로 인식한다(W30). 다음으로 사용자가 세 번째로 숫자를 선택하면 숫자로 인식하고(W20, W30, W50, W60), 패턴이면 패턴으로 인식한다(W40). 사용자가 네 번째로 숫자를 선택하면 숫자로 인식하고(W20, W30, W40, W60), 패턴이면 패턴으로 인식한다(W50). 마지막 다섯 번째로 사용자가 숫자를 선택하면 숫자로 인식하고(W20, W30, W40, W50), 패턴이면 패턴으로 인식한다(W60). 다섯 개의 입력이 완료되면(W70), 제어부(11)는 입력데이터를 인증서버(30)로 전송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4자리 숫자와 패턴 1개 입력의 조합으로 인증번호를 인증하는 경우의 수의 예이다. 도 7 내지 도 8과 같이 입력은 5개이고 그 중 패턴은 1개이므로 패턴은 첫 번째부터 다섯 번째 자리중 하나에 들어간다. 나머지는 4개는 숫자로 입력될 수 있다. 따라서 숫자 4개와 패턴 1개를 구분하는 입력 Case는 5가지이다.
도 9는 9개의 점으로 구성된 패턴 1개에 입력할 수 있는 경우의 수이다. 도 9의 자료는 일반적으로 인터넷상에 공개된 자료이며 다수의 수학자들이 검증한 것이다(출처 네이버 지식, 블로그). 가로 3개, 세로3개의 9개의 점으로 구성된 패턴 중 4개 이상의 점을 연결하는 경우의 수는 389,112개이다(R10).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4자리 숫자와 패턴 1개 입력의 조합으로 인증번호를 인증하는 경우의 수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패턴 1개는 약 39만개의 경우의 수를 가지고 숫자4개는 약 1만개의 경우의 수를 가지므로 숫자4개와 패턴1개로 구성된 경우의 수는 40만개이다(Case 5). 따라서 <숫자, 숫자, 숫자, 숫자, 패턴>의 경우의 수는 40만개이고, 패턴이 입력1, 2, 3, 4, 5에 각각 위치할 수 있으므로 숫자4개, 패턴1개의 조합으로 생성할 수 있는 경우의 수는 1,995,560으로서 약 200만개의 경우의 수를 가진다(R20). 만약 9개의 점이 아닌 12개의 점으로 구성된 패턴이미지를 인증번호로 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에 따른 숫자/패턴 조합의 경우의 수는 수백만 개로 증가될 것이다. 또한 다른 패턴을 2개 이상 또는 동일한 패턴을 2회 이상 입력하는 경우에도 경우의 수는 크게 증가한다.
본 발명에 특징에 따른 기존의 숫자 4자리 인증번호에 가장 간단한 패턴 1개를 추가하여 조합하는 것에 의하여 약 200만 (2,000,000) 가지의 경우의 수를 가지게 되었다. 따라서 사용자는 매우 높은 보안성을 가지는 반면 입력과 기억은 매우 간단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특징에 따르면 숫자와 패턴을 연속적으로 입력하는 경우 약 200만개의 경우의 수를 가지는 것외에 제3자가 패턴과 숫자입력을 보더라도 쉽게 이를 기억하여 다시 이를 모방하는 것이 어렵다는 특징이 있다.
종래에는 숫자 4자리로는 약 일만개의 경우의 수를 가지고 있다.
도 11내지 도 20은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폰 상에서의 숫자와 패턴입력의 조합으로 인증번호를 인증하는 실시예이다. 도 11은 스마트폰을 이용한 주식매수 주문화면이다. 사용자는 일반적으로 주문시 거래비밀번호를 입력해야 허거나 미리 비밀번호를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주식을 매수하려고 하며 단가와 수량을 입력하고 거래 비밀번호(Q10)를 선택한다.
그러면 도 12와 같이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숫자/패턴 혼용 키패드>가 표시된다(Q20). 키패드가 표시되면 사용자는 입력을 시작한다. 도 13과 같이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숫자/패턴 혼용 키패드>상에서 사용자가 숫자 8을 터치하면 첫 번째 비밀번호로 8이 입력된다(Q30). 입력란에 편의상 8로 표시하였으나 실제로는 <*표>로 표기된다. 다음으로 도 14와 같이 사용자가 두 번째로 숫자 4를 터치하였다(Q40). 그러면 입력란에 두 번째 숫자 4가 입력된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도 15와 같이 숫자 2로부터 숫자 3의 방향으로 드래그한다(Q50). 그러면 제어부(11)는 숫자가 아닌 패턴의 입력으로 인식한다. 그리고 도 16과 같이 즉시 숫자키패드 아이콘을 패턴아이콘으로 전환한다(Q60). 패턴 아이콘으로 전환하는 목적은 사용자가 패턴을 입력하기를 원하므로 사용자가 패턴을 시각적으로 보면서 쉽게 입력할 수 있도록 표시를 해주는 것이다. 도 16에서는 12개의 점(3*4)을 패턴 아이콘을 표시하였으나 9개의 점(3*3)으로 한정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패턴을 9개의 점으로 할지 12개의 점으로 할지는 최초 인증번호 설정시 선택하면 되고 그에 따라 설정된 점수만큼의 패턴화면을 인증서버가 전송하여 표시하고 입력을 받도록 한다.
한편 사용자가 도 17과 같이 드래그를 계속하여 숫자 <2, 3, 5, 7, 8, 9, 0>를 연결하여 패턴 이미지 입력을 완료한다(Q70). 패턴 입력이 완료되면 제어부(11)는 패턴 이미지를 숫자키패드로 도 18과 같이 즉시 전환하여 숫자를 입력받을 수 있도록한다(Q80).
이상으로 사용자는 숫자 2개와 패턴1개를 입력하여 총 3개의 비밀번호를 입력하였고 이제 네 번째와 다섯 번째의 2개의 입력이 남아있다.
네 번째 비밀번호 입력으로서 사용자가 도 19와 같이 숫자 3을 선택하였고(Q90) 그리고 마지막 다섯 번째로 도 20과 같이 숫자 9를 선택하였다(Q100).
이상으로 비밀번호 5자리가 입력이 완료되었고 스마트폰으로부터 주식 매수의 주문정보(수량, 단가, 종목, 증권계좌번호 등)와 함께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숫자/패턴 조합>의 인증번호가 증권사의 서버로 전송된다. 그에 따라 주식매수 주문이 접수되었다는 주식매주주문완료 메시지나 에러인 경우 에러로 처리되어 에러 메시지를 스마트폰에 표시하게 된다.
도 21은 본 발명에 의한 주식매매 주문화면에서의 숫자 키패드를 상태를 유지하면서 패턴을 입력받은 실시예이다. 도 15내지 도 17에서는 사용자가 숫자사이를 드래그 하면 패턴입력모드로 자동으로 전환되는 실시예를 표시하였다. 도 21에서는 사용자가 숫자사이를 드래그하여도 패턴으로 전환하지 않고 숫자판을 유지하면서도 패턴 채널을 따라 이미지를 표시하는 실시예이다. 도 21에서 사용자가 숫자 2, 3, 5, 7로 드래그 중이지만 숫자 1, 4, 6 등 패턴으로 선택되지 않은 숫자들은 패턴아이콘으로 전환되지 않고 숫자아이콘을 유지하고 있다(Q110). 도 21과 같이 숫자키패드를 유지하면서 패턴이미지를 입력하는 것은 패턴화면으로 전환이 불필요하고 제3자가 파악할 수 없도록 하기 위함이다. 숫자키패드를 유지하면서 패턴 이미지 채널이동경로를 표시하므르 사용자는 몇 번의 연습만 하게 되면 혼란없이 패턴을 숫자키패드상에서 입력할 수 있고 숙달될 것이다.
도 22 내지 도 23은 본 발명에 의한 로그인 화면에서의 숫자 키패드를 상태를 유지하면서 패턴을 입력받은 실시예이다. 사용자가 증권조회나 주문을 하기 위해서는 증권거래 앱을 실행시키고 로그인을 해야 한다. 이때 도 22와 같이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숫자/패턴 혼용 키패드>가 표시된다. 사용자가 아이디(Q120)나 비밀번호(Q130) 입력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숫자/패턴 혼용 키패드>(Q140)상에서 숫자나 패턴을 입력한다. 도 23은 로그인 화면상에서 숫자키패드를 유지(Q150)하면서 패턴이미지(Q160)를 입력받은 실시예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특징은 <숫자/패턴 혼용 키패드>로서 한 개의 키패드상에서 숫자와 패턴 이미지를 혼용 또는 연속적으로 입력할 수 있다는 것이다. 즉 동물로 치면 암수 동체의 하이브리드로서 이종인 숫자와 패턴이 혼합, 혼성, 혼혈을 이루는 개념이다.
도 24는 종래의 스마트폰의 한글키패드이다. 영문이나 숫자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한/영> 버튼(Q170) 또는 <123/기호> 버튼을 선택해야 한다. 도 25는 종래의 스마트폰의 영문키패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5와 같이 약 30개의 자판이 작은 화면에 표시되므로 사용자는 입력에 많은 신경과 시간을 소비하게 된다. 또한 영문자와 숫자를 혼용하는 경우에는 도 26의 숫자 키패드로 전환해야 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숫자/패턴 혼용 키패드>를 이용한 숫자와 패턴의 조합을 이용한 인증은 모바일 증권거래외에도 스마트폰의 잠금해제, 모바일 뱅킹, ATM의 터치스크린, 온라인 쇼핑몰 등 사용자 인증을 위한 각종 비밀번호 또는 인증시에 적용할 수 있으며 모두 동일한 개념이라는 것을 업으로 하는 이들은 당연이 알 수 있을 것이다.
10 : 스마트폰 20 : 통신망
30 : 증권사의 인증서버 40 : 인증 데이터베이스
11 : 스마트폰의 제어부 12 : 메모리
13 : 스마트폰의 인증번호(숫자/패턴) 입력부 (숫자/패턴 혼용 키패드)
14 : 스마트폰의 통신부 31 : 증권사 인증서버의 제어부
32 : 증권사 인증서버의 통신부

Claims (28)

  1. 모바일 금융거래에서의 인증에 있어서 숫자와 패턴의 조합으로 구성된 인증 제어장치로서,
    숫자와 패턴의 조합으로 구성된 인증번호를 입력하는 단말기 및 ;
    숫자와 패턴의 조합으로 구성된 인증번호를 인증하는 인증서버로 구성된 숫자와 패턴의 조합으로 구성된 인증번호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증 제어장치.
  2. 모바일 금융거래에서의 인증에 있어서 숫자와 패턴 조합으로 구성된 인증번호를 입력하는 단말기로서,
    숫자와 패턴의 조합으로 구성된 인증번호 입력을 제어하는 제어부 ;
    숫자와 패턴의 조합으로 구성된 인증번호를 입력하는 입력부 및 ;
    인증서버와 숫자와 패턴 조합의 인정번호를 통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숫자와 패턴의 조합으로 구성된 인증번호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증 제어장치.
  3. 청구항 1 내지 2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숫자와 패턴의 조합으로 구성된 인증번호를 입력하는 입력부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패턴의 조합으로 구성된 인증번호를 입력하는 입력부를 메모리에 저장하였다가 불러오거나 인증서버로부터 입력받아 표시하는 것을 제어하는 단말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숫자와 패턴의 조합으로 구성된 인증번호를 입력하는 입력부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다가 표시되거나 또는 인증서버로부터 입력되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숫자 입력판과 패턴입력판을 병행하여 표시하거나 선택적으로 표시하거나 또는 혼용(겸용, 하이브리드)으로 표시하는 것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숫자사이를 드래그 또는 두점 이상을 드래그하면 패턴입력으로 인식하고 패턴을 입력받는 것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숫자사이를 드래그 또는 두점 이상을 드래그로 패턴입력이 판단되면 숫자키패드를 패턴입력 키패드로 전환하는 것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9.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숫자사이를 드래그 또는 두점 이상을 드래그로 패턴입력이 판단되더라도 숫자키패드를 유지하면서 패턴을 입력받는 것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10.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패턴의 입력이 완료되면 숫자판으로 자동으로 전환하여 숫자를 입력받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11. 모바일 금융거래에서의 인증에 있어서 숫자와 패턴 조합으로 구성된 인증번호를 인증하는 인증서버로서,
    숫자와 패턴의 조합으로 구성된 인증번호의 처리를 제어하는 제어부 ;
    숫자와 패턴의 조합으로 구성된 인증번호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숫자와 패턴의 조합으로 구성된 인증번호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증서버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인증번호 설정(등록)용 숫자와 패턴의 조합으로 구성된 인증번호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숫자와 패턴의 조합으로 구성된 인증번호를 데이터베이스의 등록된 인증번호와 비교하여 인증을 처리하는 것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증서버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사용자의 인증번호로서 사용자가 설정한 숫자와 패턴의 조합으로 구성된 인증번호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증서버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사용자의 인증번호로서 사용자가 설정한 숫자와 패턴의 조합으로 구성된 인증번호 입력부를 저장하고 단말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증서버
  15.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사용자가 선택한 숫자 또는 패턴의 개수, 패턴의 키배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증서버
  16.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사용자 인증번호는 숫자와 패턴이미지의 조합으로 구성된 인증번호임을 특징으로 하는 인증서버
  17.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인증서버는 단말기로부터 인증 요청이 수신되면 해당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숫자와 패턴의 형태에 해당하는 <숫자/패턴 혼용 키패드>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증서버
  18. 모바일 금융거래에서의 인증에 있어서 숫자와 패턴 조합으로 구성된 인증번호를 입력하는 단말기로서,
    숫자키패드와 패턴 이미지를 혼용하여 입력하는 <숫자/패턴 혼용 키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증 입력장치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숫자/패턴 혼용 키패드>는 숫자와 입력되는 패턴이미지를 동시에 혼용하여 표시하는 입력장치
  20.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숫자/패턴 혼용 키패드>는 패턴이 입력되면 입력된 패턴 이미지를 숫자키패드상에서 표시하는 입력장치
  21.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숫자/패턴 혼용 키패드>는 패턴이 입력되면 패턴입력창으로 전환하여 표시하는 입력장치
  22. 모바일 금융거래에서의 인증에 있어서 숫자와 패턴 조합으로 구성된 인증번호를 등록하는 방법으로서,
    숫자와 패턴의 조합으로 구성된 인증번호를 단말기로부터 입력받아 인증서버에 등록하는 단계 및 ;
    입력된 숫자와 패턴 조합의 인증번호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숫자와 패턴의 조합으로 구성된 인증번호를 등록하는 방법
  23.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숫자와 패턴의 조합으로 구성된 인증번호를 단말기로부터 입력받아 인증서버에 등록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선택한 순서대로 숫자 또는 패턴이미지를 순서대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증번호 등록방법
  24.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숫자와 패턴 조합의 인증번호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선택한 숫자 또는 패턴의 개수, 패턴의 키배열을 더 포함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증번호 등록방법
  25. 모바일 금융거래에서의 인증에 있어서 숫자와 패턴 조합으로 구성된 인증번호를 인증하는 방법으로서,
    숫자와 패턴의 조합으로 구성된 인증번호를 단말기에 입력하는 단계 ;
    인증서버가 상기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숫자와 패턴 조합의 인증번호를 데이터베이스의 숫자/패턴 조합의 인증번호와 비교하는 단계 및 ;
    데이터베이스의 숫자/패턴 조합의 인증번호와 일치하면 인증을 성공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숫자와 패턴의 조합으로 구성된 인증번호를 인증하는 방법
  26.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숫자와 패턴의 조합으로 구성된 인증번호를 비교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설정등록한 숫자값 또는 패턴 이미지의 입력순서와 값이 사용자가 인증을 위해 입력한 숫자값 또는 패턴 이미지의 입력순서와 값이 일치하는 지를 비교하여 인증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증번호를 인증하는 방법
  27.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 가능하며, 제 1항 내지 제 26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28. 청구항 1 내지 27에 있어서
    상기 숫자와 패턴의 조합으로 구성된 인증번호 장치 및 방법은 모바일 증권거래, 모바일 은행(뱅킹), 현금입출금기(ATM), 온라인 쇼핑몰, 전자결재에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숫자와 패턴의 조합으로 구성된 인증번호 장치 및 인증방법
KR1020130135927A 2013-11-09 2013-11-09 모바일 금융거래의 숫자와 패턴의 조합으로 구성된 인증번호 입력장치 및 제어방법 KR1021775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5927A KR102177565B1 (ko) 2013-11-09 2013-11-09 모바일 금융거래의 숫자와 패턴의 조합으로 구성된 인증번호 입력장치 및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5927A KR102177565B1 (ko) 2013-11-09 2013-11-09 모바일 금융거래의 숫자와 패턴의 조합으로 구성된 인증번호 입력장치 및 제어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3107A Division KR20200123758A (ko) 2020-10-15 2020-10-15 모바일 금융거래의 숫자와 패턴의 조합으로 구성된 인증번호 입력장치 및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3863A true KR20150053863A (ko) 2015-05-19
KR102177565B1 KR102177565B1 (ko) 2020-11-11

Family

ID=53390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5927A KR102177565B1 (ko) 2013-11-09 2013-11-09 모바일 금융거래의 숫자와 패턴의 조합으로 구성된 인증번호 입력장치 및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75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06590A1 (en) 2019-07-08 2021-01-14 Lg Electronics Inc. Docking device and mobile robot system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6219A (ko) * 2008-08-29 2010-03-10 (주)혜강씨큐리티 터치스크린 방식 디지털 도어록 인증방법
KR20100062900A (ko) * 2008-12-02 2010-06-10 (주)지란지교소프트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잠금상태 해제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하는 전자장치
KR20120118355A (ko) * 2011-04-18 2012-10-26 주식회사 팬택 전자 기기, 전자 기기의 사용자 입력 데이터의 보안 방법 및 장치
KR20130027313A (ko) * 2011-09-07 2013-03-15 오상호 입력패턴을 이용한 인증 방법 및 시스템
KR20130085040A (ko) * 2010-11-16 2013-07-26 인텔 코포레이션 패스워드로 디바이스 모션을 사용하는 방법
KR20130085279A (ko) * 2012-01-19 2013-07-2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단말에서의 점진적 잠금 해제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단말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6219A (ko) * 2008-08-29 2010-03-10 (주)혜강씨큐리티 터치스크린 방식 디지털 도어록 인증방법
KR20100062900A (ko) * 2008-12-02 2010-06-10 (주)지란지교소프트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잠금상태 해제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하는 전자장치
KR20130085040A (ko) * 2010-11-16 2013-07-26 인텔 코포레이션 패스워드로 디바이스 모션을 사용하는 방법
KR20120118355A (ko) * 2011-04-18 2012-10-26 주식회사 팬택 전자 기기, 전자 기기의 사용자 입력 데이터의 보안 방법 및 장치
KR20130027313A (ko) * 2011-09-07 2013-03-15 오상호 입력패턴을 이용한 인증 방법 및 시스템
KR20130085279A (ko) * 2012-01-19 2013-07-2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단말에서의 점진적 잠금 해제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단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06590A1 (en) 2019-07-08 2021-01-14 Lg Electronics Inc. Docking device and mobile robot system
KR20210006184A (ko) 2019-07-08 2021-0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도킹기기 및 이동 로봇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7565B1 (ko) 2020-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825382B (zh) 一种移动支付方法及电子设备
US20120124654A1 (en) System and method for a secure user interface
KR101473640B1 (ko) 터치 단말기 및 터치 단말기의 패스워드 생성 방법
JP4734965B2 (ja) 暗証番号入力装置
WO2016183862A1 (zh) 一种移动终端指纹输入密码的方法及装置
US20160132676A1 (en) Secure password storage and recall system
CN105930065A (zh) 一种操作指令输入方法、后台设备及终端
CN111052164A (zh) 结算系统、结算方法以及程序
JP6745009B1 (ja) 認証システム、認証装置、認証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70249450A1 (en) Device and Method for Authenticating a User
KR20210110535A (ko) 숫자와 패턴을 조합한 스마트폰 보안모드 잠금해제의 제어방법
KR20150089104A (ko) 이동 단말에서의 숫자와 패턴을 조합한 잠금해제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단말
CN104063651B (zh) 鉴权及提交装置和鉴权及提交方法
JP5433812B1 (ja) 認証装置及び認証プログラム
KR102177565B1 (ko) 모바일 금융거래의 숫자와 패턴의 조합으로 구성된 인증번호 입력장치 및 제어방법
KR102222411B1 (ko) 숫자와 패턴 혼용 입력부를 이용한 숫자와 패턴을 조합한 인증암호의 인증방법 및 인증장치
KR20220061930A (ko) 지문인식을 이용한 암호화모듈 및 이의 제어방법
KR20200123758A (ko) 모바일 금융거래의 숫자와 패턴의 조합으로 구성된 인증번호 입력장치 및 제어방법
KR20210027317A (ko) 숫자와 패턴 혼용 입력부를 이용한 숫자와 패턴을 조합한 인증암호의 인증방법 및 인증장치
KR20150063896A (ko) 숫자와 패턴을 조합한 스마트폰 잠금해제 입력장치 및 제어방법
KR20210026987A (ko) 히든 패스워드 입력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패스워드 입력방법
KR102246446B1 (ko) 문자와 패턴을 조합한 인증암호의 인증방법 및 인증장치
KR100826516B1 (ko) 연상기억방식에 의한 암호처리 시스템
CN111753288B (zh) 应用程序功能设置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20220051280A (ko) 패턴의 위치를 지정하는 숫자와 패턴으로 혼용된 인증번호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