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3850A - 테마 poi 제공 및 sns 통계를 연계한 hot poi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테마 poi 제공 및 sns 통계를 연계한 hot poi 제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3850A
KR20150053850A KR1020130135632A KR20130135632A KR20150053850A KR 20150053850 A KR20150053850 A KR 20150053850A KR 1020130135632 A KR1020130135632 A KR 1020130135632A KR 20130135632 A KR20130135632 A KR 20130135632A KR 20150053850 A KR20150053850 A KR 201500538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i
information
user
theme
keywo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56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67035B1 (ko
Inventor
차영혁
김형구
Original Assignee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356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7035B1/ko
Publication of KR201500538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38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7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70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5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histo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1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lo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9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profile or attribu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테마 POI 제공 및 SNS 통계를 연계한 HOT POI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현재 위치, 지역을 기반으로 거리, 시간 등을 고려하여 테마 POI를 추출하고, SNS 통계 정보를 수집하여 검색된 POI에 가중치를 부가하여 HOT POI를 제공하는 테마 POI 제공 및 SNS 통계를 연계한 HOT POI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테마 POI 제공 및 SNS 통계를 연계한 HOT POI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은 테마 POI를 검색하는 제 1단계, 테마 POI정보를 추출하는 제 2단계, 상기 테마 POI정보를 기반으로 위치정보 또는 시간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반영하여 서브테마 POI정보를 추출하는 제 3단계 및 추출한 상기 테마 POI정보 또는 상기 서브테마 POI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화면표시 모듈에 표시하는 제 4단계를 포함함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테마 POI 제공 및 SNS 통계를 연계한 HOT POI 제공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the theme POI provides and HOT POI provided by SNS statistics}
본 발명은 테마 POI 제공 및 SNS 통계를 연계한 HOT POI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현재 위치, 지역을 기반으로 거리, 시간 등을 고려하여 테마 POI를 추출하고, SNS 통계 정보를 수집하여 검색된 POI에 가중치를 부가하여 HOT POI를 제공하는 테마 POI 제공 및 SNS 통계를 연계한 HOT POI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내비게이션은 지도 안내를 통해 길 찾기를 도와주는 장치 혹은 프로그램으로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장착되어 사용자에게 위치와 주변 지도의 정보를 전송하고 목적지에 이르는 경로나 최단 거리 등을 알려 주게 된다.
최근에 사용되는 차량용 내비게이션 장치의 경우, 길안내뿐만 아니라 MP3, 동영상 플레이어, 지상파 DMB 수신, 실시간 교통정보 제공, 관심지점(POI : point of interest) 표시 등 다양한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차량용 내비게이션뿐만 아니라 모바일 기기를 통한 길안내와 포털 사이트의 지도 정보를 통한 길안내 서비스 등 다양한 내비게이션 시스템이 제공되고 있다.
내비게이션의 전자지도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사용자가 자주 방문하는 장소나 사용자가 임의로 지정한 관심지점을 검색하는 기능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관심지점을 검색하는 방식으로는 상호/명칭/카테고리 검색 방식 등이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관심지점을 테마별로 분류하여 사용자가 테마별 관심지점 검색을 통한 다양한 관심지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기술 또한 사용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10-1027152)는 차량의 위치와 검색빈도를 고려한 목적지를 표출하는 내비게이션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내비게이션에서 목적지를 검색한 이력에서 자주 방문한 목적지에 가중치를 부과하여 관심지점으로 선정하고 이를 표시하기 위한 방법을 기술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에 사용되던 관심지점을 선정하고 표시하는 방법은 사용자가 목적지로 검색한 곳에 대하여 빈도수를 계산하고 이를 관심지점으로 선정하기 때문에 다양한 관심지점을 사용자가 획득하는데는 어려움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선택한 테마 POI에 사용자의 위치정보와 구매정보를 활용하여 사용자 맞춤형 테마 POI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지정했던 출발지, 목적지 또는 지도상에서 선택했던 지역의 위치정보와 일정 기간동안의 SNS에서 추출한 장소, 업종, 브랜드 키워드를 활용하여 HOT POI를 제공하기 위한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상기 테마 POI를 검색하는 제 1단계, 테마 POI정보를 추출하는 제 2단계, 상기 테마 POI정보를 기반으로 위치정보 또는 시간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반영하여 서브테마 POI정보를 추출하는 제 3단계 및 추출한 상기 테마 POI정보 또는 상기 서브테마 POI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화면표시 모듈에 표시하는 제 4단계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POI를 검색하는 제 1단계, 사용자의 위치정보와 로그데이터를 수집하는 제 2단계, 상기 사용자의 로그데이터에서 구매정보를 추출하는 제 3단계, 상기 구매정보와 관련된 테마 POI정보를 추출하는 제 4단계, 상기 테마 POI정보를 기반으로 지역 특성 정보를 반영하여 서브테마 POI정보를 추출하는 제 5단계 및 추출한 상기 테마 POI정보 또는 상기 서브테마 POI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화면표시 모듈에 표시하는 제 6단계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HOT POI를 검색하는 제 1단계, 사용자의 위치정보, 로그데이터 또는 SNS 키워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수집하는 제 2단계, 상기 로그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사용자의 POI검색 이력으로부터 검색 빈도수를 추출하거나, 상기 SNS 키워드에서 상기 사용자가 검색한 POI와 유사한 키워드 사용 빈도수를 추출하는 제 3단계 및 상기 제 3단계에서 상기 빈도수가 높은 POI를 HOT POI로 설정하여 화면 표시 모듈에 출력하는 제 4단계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위치정보와 로그데이터를 수집하는 모바일 단말,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사용자의 위치정보와 로그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POI 검색모드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테마 POI의 정보 및 경로를 추출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는 경로안내 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사용자의 구매정보 이력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테마 POI에 상기 사용자가 구매한 상품정보와 관련된 POI 정보를 추출하여 제공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테마 POI 제공 및 SNS 통계를 연계한 HOT POI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은 사용자가 검색한 테마 POI 및 HOT POI에 대해서 사용자 맞춤형으로 제공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기반 테마별 POI를 제공하는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경로안내 서버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기반 테마별 POI를 제공하는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테마별 검색모드 선택에 따른 POI정보 출력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테마별 검색모드 선택에 따른 POI정보 출력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구매정보 검색모드 선택에 따른 POI정보 출력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구매정보 검색모드 선택에 따른 POI정보 출력 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HOT POI 검색모드 선택에 따른 POI정보 출력 순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검색 POI빈도수와 SNS 장소 키워드 빈도수에 따른 HOT POI 출력 실시예,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SNS 장소 키워드 빈도수에 따른 HOT POI 출력 실시예,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SNS 장소 키워드의 가중치 설정을 통한 POI 도출을 나타낸 그림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기반 테마별 POI를 제공하는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선택한 테마별 POI를 표시하는 시스템은 사용자의 위치정보와 로그데이터를 수집하는 모바일 단말(200)과 모바일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위치정보와 로그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선택한 POI 검색모드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한 테마 POI의 정보 및 경로를 추출하여 모바일 단말(200)로 전송하는 경로안내 서버(10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모바일 단말(200)은 스마트폰, PDA 등 통신형 단말 외에, 차량에 장착된 내비게이션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경로안내 서버(100)는 모바일 단말(200) 뿐만 아니라 인터넷에 연결된 다양한 SNS(Social Networking Service)으로부터 사용자가 선택 또는 입력한 POI와 유사한 장소, 브랜드, 업종에 관련된 키워드를 추출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경로안내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로안내 서버(100)는 모바일 단말(200) 또는 SNS(300)와 통신을 하기 위한 서버 통신부(120), POI의 업종정보, 업종 이미지, 주소, 전화번호, 유사업종 POI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저장하기 위한 POI정보 저장부(142), 내비게이션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로그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로그데이터 저장부(143), 사용자가 검색한 POI와 관련된 장소 키워드, 업종 키워드, 브랜드 키워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SNS(300)에서 수집하여 저장하는 SNS 키워드 저장부(144), 사용자가 검색한 POI에 대한 POI 검색 모드별 POI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서버 제어부(130)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SNS(300)는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트위터, 블로그, 미투데이 등을 사용하며, 특정 기간 동안 사용된 장소, 업종, 브랜드 관련 키워드를 추출하여 가중치를 부가하여 HOT POI정보를 제공하는데 사용된다.
그리고, 로그데이터 저장부(143)에는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포함하여, 목적지 검색이력, 사용자의 상품구매이력, 성별, 연령, 차량소유여부, 주행정보, 결혼여부, 가족정보, 주거지, 소득액, 상품 구매지역 정보, 카드사용 내역 등이 저장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단말(200)은 경로안내 서버(100)와 통신을 하기 위한 단말기 통신부(270)와 모바일 단말(2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210), GPS 위성으로부터 위치좌표를 수신하기 위한 GPS 수신부(220), 터치 또는 버튼을 눌러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230), 외부 장치를 연결하거나 외부 저장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240), 내비게이션의 지도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화면표시 모듈(262)과 음성 안내를 출력하기 위한 음향출력 모듈(261)을 포함하는 출력부(260)와 사용자의 위치정보와 POI검색 이력, 상품구매 이력, 출발지 또는 목적지 검색 이력 등을 경로안내 서버(100)로 전송하는 단말기 제어부(250)로 구성된다.
경로안내 서버(100)와 통신을 하지 않는 비통신형 모바일 기기의 경우 POI의 업종정보, 업종 이미지, 주소, 전화번호, 유사업종 POI 정보 등을 저장하는 POI정보 저장부(142)와 사용자 로그데이터를 저장하는 로그데이터 저장부(143)는 비통신형 모바일 단말 내에 위치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기반 테마별 POI를 제공하는 순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마별 POI를 제공하는 방법은 테마 POI를 검색(S100)하고, 사용자의 위치정보가 존재하는지 확인(S200)하게 된다. 위치정보를 확인하지 못할 경우, 검색한 테마 POI에 대한 랭킹별 기본정보를 추출(S400)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의 위치정보와 로그데이터를 확인하면, 사용자 위치정보 및 로그데이터를 수집(S300)하고, 사용자 입력부로부터 사용자가 어떤 POI검색모드를 선택했는지 확인(S500)하게 된다.
사용자가 테마별 검색모드를 선택한 경우, 사용자의 위치와 시간정보를 반영하여 테마별 POI 정보를 추출(S600)하여 화면표시 모듈에 POI정보를 출력(S900)하게 되고, 사용자가 구매정보 검색 모드를 선택하게 되면 사용자 구매정보를 반영하여 상품연계 POI 정보를 추출(S700)하여 화면표시 모듈에 POI정보를 출력(S900)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HOT POI 검색 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사용자 검색이력 및 SNS 키워드 분석을 통한 HOT POI정보를 도출(S800)하여 화면표시 모듈에 POI정보를 출력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테마별 검색모드 선택에 따른 POI 정보출력 순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마별 검색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테마 POI정보를 추출(S610)하고, 테마 POI정보를 기반으로 위치정보 또는 시간정보 등을 반영하여 서브테마 POI정보를 추출(S620)하고, 추출한 테마 POI정보 또는 서브테마 POI정보에 해당하는 경로를 탐색하여 추출(S630)하고, 테마 POI정보 또는 서브테마 POI정보를 화면표시 모듈에 출력(S900)하게 된다.
테마 POI의 경우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반영하여 검색되는 것이 바람직 하지만, 위치정보를 획득하지 못하는 경우, 검색한 테마 POI의 랭킹 순서에 의해 테마 POI가 표시된다.
그리고, 서브테마 POI정보는 테마 POI정보의 유사업종 POI정보이며, 위치정보와 시간정보 등에 따라 표시되는 정보가 변동되며, 테마 POI정보 또는 서브테마 POI정보는 POI의 업종정보, 업종 이미지, 주소, 전화번호, 유사업종 POI정보 등이 저장되어 있는 POI정보 저장부에서 추출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테마별 검색모드 선택에 따른 POI 정보출력 실시예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강남에서 테마 POI중 등산 테마를 오전 11시에 선택하게 되면 테마 POI에는 ① 강남 근방의 산 POI를 제공하게 되고, 서브테마 POI에는 테마 POI와 시간정보를 반영하여 ①-① 산 주변의 맛집(점심)과 ①-② 산 주변 아웃도어 매장 등을 검색하여 표시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오후 9시에 강북지역에서 등산 테마를 검색하게 되면 메인 테마 POI에는 ② 강북 근방의 산 POI를 제공하고, 서브테마 POI에는 검색시간 정보를 반영하여 저녁식사 또는 숙박을 할 수 있는 ②-① 산 주변의 맛집(저녁, 야식)정보, ②-② 산 주변 숙박시설, ②-③ 산 주변 편의점 정보를 검색하여 표시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사용자의 검색 위치에 따라서 사용자가 위치한 지역의 근처에 해당하는 테마 POI를 테마 POI로 표시하고, 검색시간 정보를 반영하여 테마 POI의 유사업종 POI를 표시하게 된다.
또한, 서브테마 POI는 사용자의 위치정보와 검색한 시간정보 외에 사용자의 로그데이터 정보 중에서 사용자의 연령대, 성별, 결혼 유무, 가족정보 등을 반영하여 서브테마 POI정보를 도출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구매정보 검색모드 선택에 따른 POI 정보출력 순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POI를 검색하고 사용자의 위치정보와 로그데이터를 수집하여 수집한 로그데이터에서 사용자의 구매정보를 추출(S710)하게된다. 그리고, 사용자의 구매정보와 관련된 테마 POI정보를 추출(S720)하고, 테마 POI정보를 기반으로 지역 특성정보를 반영하여 서브테마 POI정보를 추출(S730)하고 추출한 테마 POI정보 또는 서브테마 POI정보에 해당하는 경로를 탐색하여 추출(S740)하여, 테마 POI정보 또는 서브테마 POI정보를 화면표시 모듈에 출력하여 표시(S900)하게 된다.
지역특성정보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서 소정 거리 이내의 생활지역정보,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서 소정 시간 내에 이동 가능한 지역정보, 사용자의 현재 위치와 동일한 행정구역 또는 인접한 행정구역정보,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서 유사한 소득수준 또는 소비수준을 가진 지역정보 등이다.
그리고, 사용자의 구매정보는 상품결재정보 또는 카드결재 문자정보 등이며, 사용자의 메일 또는 휴대폰 문자 등에서 추출하게 된다. 그리고 서브테마 POI정보는 테마 POI의 유사업종 POI이며, 지역특성에 따라 변경되어 표시된다.
또한, 구매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로그데이터는 로그데이터 저장부(143)에 저장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구매정보 검색모드 선택에 따른 POI 정보출력 실시예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로그데이터에서 사용자가 골프채를 구매한 이력을 추출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 위치정보를 확인하는데, 사용자의 위치가 강남인 경우 사용자의 구매정보와 관련된 테마 POI에는 ① 강남 근방의 골프장을 추천하게 되고, 서브테마 POI에는 테마 POI의 유사업종 POI중에서 지역특성 정보를 반영하여 ①-① 주변 실외 추천 골프장, ①-② 주변 스크린 골프장, ①-③ 주변 골프웨어 매장 등을 검색하여 추천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강북에서 검색하는 경우, 사용자 구매정보와 관련된 테마 POI에는 ② 강북 근방 추천 골프장을 추천하게 되고, 서브테마 POI에는 테마 POI의 유사업종 POI중에서 지역특성 정보를 반영하여 ②-① 주변 골프웨어 매장, ②-② 주변 실외 골프 연습장, ②-③ 주변 추천 스크린 골프장 등을 검색하여 추천하게 된다.
사용자의 소득이 낮거나 강북 거주자라면 골프채를 구매하였을 경우, 서브테마 POI에 인도어 골프장 또는 골프채 관련 저렴한 물품을 판매하는 매장을 안내하게 되고, 사용자의 소득이 높거나 강남 거주자라면 서브테마 POI에 아웃도어 골프장 또는 골프채 관련 비싼 물품을 판매하는 매장을 안내하게 된다.
그리고, 차량을 소유하지 않은 사용자의 경우에는 검색한 위치를 중심으로 가까운 거리에 위치한 POI를 사용자에게 안내하게 되고, 차량을 소유한 사용자의 경우 먼 거리까지 위치한 POI를 사용자에게 안내하게 된다.
또한, 같은 기간에 동일한 금액의 소비를 했더라도, 고급음식점을 이용하지만 옷은 남대문시장이나 할인매장 또는 할인기간을 이용하는 사용자와 상대적으로 저렴한 음식점을 이용하지만 옷은 명품을 소비하는 사용자의 경우 소비패턴에서 차이가 나게 된다. 이런 사용자 소비패턴을 반영하여 서브테마 POI를 도출하여 안내 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HOT POI 검색모드 선택에 따른 POI 정보출력 순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POI 검색 이력 또는 SNS의 키워드 빈도수에 따른 HOT POI를 제공하는 방법은 사용자가 HOT POI를 검색하고, 사용자의 위치정보, 로그데이터 또는 SNS 키워드 등을 수집(S810)하고, 수집한 정보에서 키워드 빈도수를 추출(S820)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 로그데이터에서 POI 검색 빈도수와 SNS 키워드에서 사용자가 검색한 POI와 유사한 키워드 빈도수에 가중치를 적용(S830)하여 HOT POI를 도출(S840)하게 된다. 그리고, HOT POI에 대한 경로를 추출(S850)하여 화면표시 모듈에 POI정보를 출력(S900)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검색한 POI는 사용자가 지정했던 출발지, 목적지 또는 지도상에서 선택했던 위치정보이며, SNS 키워드는 사용자가 검색한 POI와 유사한 장소, 업종, 브랜드 관련 키워드이다. 또한, 사용자가 검색한 POI와 관련된 장소 키워드, 업종 키워드, 브랜드 키워드는 SNS 키워드 저장부(144)에 저장되게 된다.
그리고 경로안내 서버(100)에서는 사용자가 선택한 목적지나 경로뿐만 아니라, 사용자와 연령, 성별, 소비패턴, 위치 등이 유사한 다른 사용자의 목적지 선택정보와 경로정보 등을 수집하여 HOT POI를 선택하는데 사용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검색 POI빈도수와 SNS 장소 키워드 빈도수에 따른 HOT POI 출력 실시예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HOT POI는 (a) 사용자 검색 POI 빈도수 와 (b) SNS 장소 키워드 빈도수를 추출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 검색 POI 빈도수와 SNS 장소 키워드 빈도수 중에서 상위 빈도수에 해당하는 POI를 선택하여 표시하게 된다. (a)에서 사용자의 검색 POI 중 빈도수가 높은 POI가 파리바게트가 10번, 스타벅스가 3번, 신한은행이 2번이다. 그리고 SNS 장소 키워드 빈도수는 백화점 세일이 500번 파리바게트가 300번, IFC CGV가 200번이다. 따라서 (c) SNS 및 사용자 검색어 빈도수에 의한 HOT POI에는 상위 빈도수에 해당하는 파리바게트와 롯데백화점 그리고 신한은행이 표시되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SNS 장소 키워드 빈도수에 따른 HOT POI 출력 실시예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검색 POI 빈도수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b) SNS 장소 키워드 빈도수만을 이용하여 사용자 HOT POI를 도출하게 된다.
따라서, (b) SNS 장소 키워드의 상위 빈도수에 해당하는 백화점과 파리바게트를 HOT POI로 표시하게 된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SNS 장소 키워드의 가중치 설정을 통한 POI 도출을 나타낸 그림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a) SNS 장소 키워드 빈도수를 추출하고 가중치를 설정하는 것은 SNS 단어를 추출하여, 장소, 업종, 브랜드로 분류하고 그에 따라 가중치를 설정하게 된다.
그리고 (b) SNS 장소 키워드를 통한 SNS POI를 도출하는 방법은, 소정 기간동안의 SNS의 정보, 장소, 업종, 브랜드 등의 키워드 빈도수를 조합하고, 최근 3일 데이터와 중복 요일의 장소에 대해서는 가중치를 높혀서 SNS POI를 도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0 : 길안내 서버 110, 210 : 전원공급부
120 : 서버 통신부 130 : 서버 제어부
140 : 저장부 141 : 지도정보 저장부
142 : POI정보 저장부 143 : 로그데이터 저장부
144 : SNS키워드 저장부 200 : 모바일 단말
220 : GPS 수신부 230 : 사용자 입력부
240 : 인터페이스부 250 : 단말기 제어부
260 : 출력부 261 : 음향출력 모듈
262 : 화면표시 모듈 270 : 단말기 통신부
300 : SNS

Claims (21)

  1. 테마별 POI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테마 POI를 검색하는 제 1단계;
    테마 POI정보를 추출하는 제 2단계;
    상기 테마 POI정보를 기반으로 위치정보 또는 시간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반영하여 서브테마 POI정보를 추출하는 제 3단계; 및
    추출한 상기 테마 POI정보 또는 상기 서브테마 POI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화면표시 모듈에 표시하는 제 4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마별 POI 제공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테마 POI정보는 랭킹 순위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마별 POI 제공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테마 POI정보는 상기 테마 POI정보의 유사업종 POI정보이며, 위치정보 또는 시간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따라 변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마별 POI 제공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테마 POI정보 또는 서브테마 POI정보는 POI의 업종정보, 업종 이미지, 주소, 전화번호, 유사업종 POI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저장되어 있는 POI정보 저장부에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마별 POI 제공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테마 POI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현재위치를 중심으로 소정 거리 내에 위치하거나,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경로에서 소정 거리 내에 위치한 POI의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마별 POI 제공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추출한 상기 테마 POI정보 또는 상기 서브테마 POI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면, 상기 사용자의 현재위치를 출발지 설정하고, 선택한 상기 테마 POI정보 또는 서브테마 POI정보를 목적지로 설정한 경로를 탐색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마별 POI 제공 방법.
  7. 사용자 구매정보를 연계한 테마별 POI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POI를 검색하는 제 1단계;
    사용자의 위치정보와 로그데이터를 수집하는 제 2단계;
    상기 사용자의 로그데이터에서 구매정보를 추출하는 제 3단계;
    상기 구매정보와 관련된 테마 POI정보를 추출하는 제 4단계;
    상기 테마 POI정보를 기반으로 지역 특성 정보를 반영하여 서브테마 POI 정보를 추출하는 제 5단계; 및
    추출한 상기 테마 POI정보 또는 상기 서브테마 POI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화면표시 모듈에 표시하는 제 6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구매정보를 연계한 테마별 POI를 제공하는 방법.
  8. 상기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로그데이터는 성별, 연령, 차량소유여부, 주행정보, 결혼여부, 가족정보, 주거지, 소득액, 카드사용 내력, 상품구매 정보, 구매지역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저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구매정보를 연계한 테마별 POI를 제공하는 방법.
  9. 상기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차량을 소유하지 않은 경우 POI 검색 범위를 소정 거리 이내로 가까운 거리로 설정하고, 상기 사용자가 차량을 소유한 경우 상기 POI 검색 범위를 소정 거리 이상으로 먼 거리까지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구매정보를 연계한 테마별 POI를 제공하는 방법.
  10. 상기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구매정보는 사용자의 메일, 사용자의 입력 또는 휴대폰 문자 중 어느 하나 이상에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구매정보를 연계한 테마별 POI를 제공하는 방법.
  11. 상기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지역 특성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서 소정 거리 이내의 생활지역정보,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서 소정 시간 내에 이동 가능한 지역정보,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와 동일한 행정구역 또는 인접한 행정구역정보,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서 유사한 소득수준 또는 소비수준을 가진 지역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구매정보를 연계한 테마별 POI를 제공하는 방법.
  12. 상기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테마 POI정보는 상기 테마 POI의 유사업종 POI이며, 상기 지역 특성 정보에 따라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구매정보를 연계한 테마별 POI를 제공하는 방법.
  13. 상기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구매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로그데이터는 로그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구매정보를 연계한 테마별 POI를 제공하는 방법.
  14. POI검색 이력 또는 SNS의 키워드 빈도수에 따른 HOT POI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HOT POI를 검색하는 제 1단계;
    사용자의 위치정보, 로그데이터 또는 SNS 키워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수집하는 제 2단계;
    상기 로그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사용자의 POI검색 이력으로부터 검색 빈도수를 추출하거나, 상기 SNS 키워드에서 상기 사용자가 검색한 POI와 유사한 키워드 사용 빈도수를 추출하는 제 3단계; 및
    상기 제 3단계에서 상기 빈도수가 높은 POI를 HOT POI로 설정하여 화면 표시 모듈에 출력하는 제 4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NS의 키워드에 따른 가중치를 적용한 HOT POI를 제공하는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POI검색 이력으로부터 검색 빈도수를 추출하는 방법에는 다른 사용자가 검색했던 POI정보도 검색 빈도수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NS의 키워드에 따른 가중치를 적용한 HOT POI를 제공하는 방법.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POI검색 이력은 상기 사용자가 지정했던 출발지, 목적지 또는 지도상에서 선택했던 위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SNS의 키워드에 따른 가중치를 적용한 HOT POI를 제공하는 방법.
  1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SNS 키워드에서 상기 사용자가 검색한 POI와 유사한 키워드는 장소, 업종, 브랜드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관련된 키워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SNS의 키워드에 따른 가중치를 적용한 HOT POI를 제공하는 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검색한 POI와 관련된 장소 키워드, 업종 키워드, 브랜드 키워드는 SNS 키워드 저장부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NS의 키워드에 따른 가중치를 적용한 HOT POI를 제공하는 방법.
  19. 사용자가 선택한 테마별 POI를 표시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위치정보와 로그데이터를 수집하는 모바일 단말;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사용자의 위치정보와 로그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POI 검색모드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테마 POI의 정보 및 경로를 추출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는 경로안내 서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사용자의 구매정보 이력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테마 POI에 상기 사용자가 구매한 상품정보와 관련된 POI 정보를 추출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가 선택한 테마별 POI를 표시하는 시스템.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은
    위치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GPS 수신부;
    상기 경로안내 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단말기 통신부;
    상기 POI 정보와 지도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화면표시모듈과 음향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음향출력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출력부; 및
    사용자의 위치정보와 POI검색 이력, 상품구매 이력, 출발지 또는 목적지 검색 이력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 로그데이터를 수집하여 상기 경로안내 서버로 전송하는 단말기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가 선택한 테마별 POI를 표시하는 시스템.
  21.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안내 서버는
    상기 모바일 단말 또는 SNS와 통신을 하기 위한 서버 통신부;
    POI의 업종정보, 업종 이미지, 주소, 전화번호, 유사업종 POI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저장되는 POI정보 저장부;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수신한 로그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로그데이터 저장부;
    상기 사용자가 검색한 POI와 관련된 장소 키워드, 업종 키워드, 브랜드 키워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SNS에서 수집하여 저장하는 SNS 키워드 저장부;
    상기 사용자가 검색한 POI에 대한 POI 검색 모드별 POI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서버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가 선택한 테마별 POI를 표시하는 시스템.

KR1020130135632A 2013-11-08 2013-11-08 테마 poi 제공 및 sns 통계를 연계한 hot poi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0670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5632A KR102067035B1 (ko) 2013-11-08 2013-11-08 테마 poi 제공 및 sns 통계를 연계한 hot poi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5632A KR102067035B1 (ko) 2013-11-08 2013-11-08 테마 poi 제공 및 sns 통계를 연계한 hot poi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3850A true KR20150053850A (ko) 2015-05-19
KR102067035B1 KR102067035B1 (ko) 2020-01-16

Family

ID=53390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5632A KR102067035B1 (ko) 2013-11-08 2013-11-08 테마 poi 제공 및 sns 통계를 연계한 hot poi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703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0148B1 (ko) 2015-11-03 2017-05-25 케이티하이텔 주식회사 고객의 오프라인활동 데이터에 기반한 온라인쇼핑상품 추천방법
US9719796B2 (en) 2015-09-10 2017-08-01 Hyundai Motor Company Intersection guidance method, navigation server, navigation terminal, and naviga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KR20170115998A (ko) * 2017-10-10 2017-10-18 주식회사 리퓨터 U-빌리지 힐링 시스템
KR20190037987A (ko) * 2017-09-29 2019-04-08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Poi 정보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200068373A (ko) * 2018-12-05 2020-06-15 소프트런치주식회사 사용자 선호도 기반의 최적 동선 추천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5330A (ko) * 2008-06-02 2009-1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내비게이션 단말기와 그에 따른 신용카드 사용정보관리방법
KR20120087268A (ko) * 2010-12-22 2012-08-07 주식회사 케이티 위치 정보 기반의 테마별 poi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130082903A (ko) * 2011-12-22 2013-07-22 주식회사 케이티 관심 지점 제공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5330A (ko) * 2008-06-02 2009-1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내비게이션 단말기와 그에 따른 신용카드 사용정보관리방법
KR20120087268A (ko) * 2010-12-22 2012-08-07 주식회사 케이티 위치 정보 기반의 테마별 poi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130082903A (ko) * 2011-12-22 2013-07-22 주식회사 케이티 관심 지점 제공 방법 및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19796B2 (en) 2015-09-10 2017-08-01 Hyundai Motor Company Intersection guidance method, navigation server, navigation terminal, and naviga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KR101740148B1 (ko) 2015-11-03 2017-05-25 케이티하이텔 주식회사 고객의 오프라인활동 데이터에 기반한 온라인쇼핑상품 추천방법
KR20190037987A (ko) * 2017-09-29 2019-04-08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Poi 정보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170115998A (ko) * 2017-10-10 2017-10-18 주식회사 리퓨터 U-빌리지 힐링 시스템
KR20200068373A (ko) * 2018-12-05 2020-06-15 소프트런치주식회사 사용자 선호도 기반의 최적 동선 추천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7035B1 (ko) 2020-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43087B2 (en)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to user
CN107532920B (zh) 获得兴趣点数据的方法
JP5071536B2 (ja) 情報提供装置、及び、情報提供システム
KR101779993B1 (ko) 문맥 대응 관심 지점 검색
US8301639B1 (en) Location based query suggestion
US8370062B1 (en) Switching between location contexts
JP4327899B2 (ja) 広告情報提供方法、広告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広告情報提供プログラム
CN105247915A (zh) 上下文敏感相关联引擎平台
US20090240429A1 (en) Method for route planning on a navigation system including points of interest
US20070050183A1 (en) Navigation device with integrated multi-language dictionary and translator
US20080234929A1 (en) System and method to determine, in a vehicle, locations of interest
KR102067035B1 (ko) 테마 poi 제공 및 sns 통계를 연계한 hot poi 제공 시스템 및 방법
WO2008050974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travel information using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US8060499B2 (en) Simple discovery UI of location aware information
WO2011119270A1 (en) Navigation system with point of interest ranking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KR102061579B1 (ko) 경로 추천 장치 및 방법
US2017006102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ontrol method, and program
KR20180096701A (ko) 정보처리 장치, 프로그램, 단말 및 표시 제어 방법
US20140280053A1 (en) Contextual socially aware local search
US20170053034A1 (en) Display control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program
US9406079B1 (en) Content relevance weighting system
US20170076338A1 (en) Content relevance weighting sysetm
KR20090049956A (ko) 컨텐츠 정보 표시 단말기 및 방법
Skulimowski et al. POI explorer-A sonified mobile application aiding the visually impaired in urban navigation
CN102575935A (zh) 具有定位机制的导航系统及其操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