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3338A - 밸브용 씰링재 보호장치 - Google Patents

밸브용 씰링재 보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3338A
KR20150053338A KR1020130135127A KR20130135127A KR20150053338A KR 20150053338 A KR20150053338 A KR 20150053338A KR 1020130135127 A KR1020130135127 A KR 1020130135127A KR 20130135127 A KR20130135127 A KR 20130135127A KR 20150053338 A KR20150053338 A KR 201500533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valve body
welding
cylindrical portion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5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순
Original Assignee
김도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도순 filed Critical 김도순
Priority to KR10201301351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53338A/ko
Publication of KR201500533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33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10Welded hou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3/00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 F16L13/02Welded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alve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밸브바디를 조립한 후, 작업현장에서 밸브바디의 소켓에 이음배관을 이음연결하기 위해 용접 접합할 경우 전달되는 용접 열로부터 씰링재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밸브용 씰링재 보호장치는,
조정레버의 조작에 의해 유로를 개폐시키는 밸브바디;
상기 밸브바디의 좌,우측에 장착되는 소켓;
상기 소켓에 끼워맞춤되어 용접 접합에 의해 이음연결되는 이음배관;
상기 밸브바디와 소켓 사이의 밀착면에 장착되는 기밀용 가스켓;을 구비하는 밸브용 씰링재 보호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켓에 상기 이음배관을 용접 접합시 발생되는 용접 열이 상기 소켓을 통해 상기 가스켓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소켓은, 상기 이음배관이 이음연결되는 소정직경을 갖는 제1원통부와, 상기 제1원통부와 상기 소켓의 플랜지 사이에서 상기 제1원통부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제2원통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용 씰링재 보호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밸브용 씰링재 보호장치{protector for valve sealing}
본 발명은 밸브용 씰링재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밸브바디를 조립한 후, 작업현장에서 밸브바디의 소켓에 이음배관을 이음연결하기 위해 용접 접합할 경우 전달되는 용접 열로부터 씰링재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 밸브용 씰링재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관을 현장에서 이음연결하는 방법은 용접 접합, 플랜지 접합 또는 별도 체결구에 의한 접합 등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용접 접합으로서 강관의 내면과 외면에서 완전 용입이 되도록 용접한 경우 관체와 동등한 기계적 성능을 발휘할 수 있으므로 특히 관로 안전을 중요시하는 배관에서는 매우 유용한 접합 기술이다.
작업현장에서 강관을 용접 접합할 경우 용접에 의한 열 영향을 고려하여 관의 내면과 외면에 관의 끝부분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보통 80mm~300mm)를 미도장 상태로 남겨둔 상태로 강관을 제조하고, 작업현장에서 용접이 끝나면 용접부를 포함한 미도장 부위를 깨끗이 청소한 후 현장 방식 도장 공사를 함으로써 강관이 전체적으로 부식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 1에서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해 밸브는, 조정레버(1)의 조작에 의해 유로를 개폐시키는 밸브바디(2)와,
상기 밸브바디(2)의 좌,우측에 볼트(3)에 의해 체결되는 소켓(4,5)과,
상기 소켓(4,5)에 끼워맞춤되어 용접 접합에 의해 이음연결되는 이음배관(6,7)으로 이루어진다.
도면중 미 설명부호 8은 밸브바디(2)와 소켓(4,5) 사이의 밀착면에 장착되는 기밀용 가스켓이다.
전술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밸브바디(2)와 소켓(4,5)은 조립라인에서 볼트(3)의 체결에 의해 선 조립되어 작업현장으로 운반되어진 후, 작업현장에서 소켓(4,5)에 끼워맞춤되는 이음배관(6,7)을 용접 접합에 의해 이음연결하는 2차 작업을 하게 된다. 이때 소켓(4,5)과 이음배관(6,7)의 이음부위를 용접시 발생되는 용접 열이 소켓(4,5)을 통해 전도되어 밸브바디(2)의 가스켓(8)에 전달되므로, 가스켓(8)(일 예로서 테프론재가 사용될 수 있다)의 물성 변화 또는 형상 변형을 초래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가스켓(8)의 물성 변화로 인해 이의 사용수명이 단축되고, 가스켓(8)의 형상이 변형되는 경우 밸브바디(2)의 이음연결부를 통해 누수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특허출원 10-2004-0069374호에 배관재의 현장 접합을 위한 연결 외관, 이를 이용한 배관재의 접합 방법 및 접합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출원 제0069374호는, 각종 배관재의 외부에서 조립되어 배관재의 외면과의 사이에 주입되는 소정의 접착력을 갖는 수지와 함께 배관재를 현장에서 연결하기 위한 연결외관으로서,
상기 배관재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한 쌍의 원통형 반체와; 상기 원통형 반체의 내면 양단에서 원주 방향으로 부착 형성되어 상기 배관재와 반체 사이로 주입되는 수지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연질의 패킹 수단과; 상기 원통형 반체 중 어느 하나의 외측면에 별도로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수지를 통과시키기 위한 연질의 수지 주입구와; 상기 원통형 반체중 어느 하나의 외측면에 별도로 형성되어 상기 몸체와 배관재 사이에 있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연질의 공기배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원통형 반체의 양단에는 축방향으로 나사공이 형성된 플랜지부가 구비되어 상기 한 쌍의 원통형 반체가 나사 체결되고, 상기 접착성 수지는 무용제형 속건성 이액형 폴리우레탄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씰링재가 장착된 밸브바디의 소켓에, 작업현장에서 이음배관을 이음연결하기 위해 용접 접합시 전달되는 용접 열로 인한 씰링재의 물성 변화되는 것을 방지하고, 씰링재의 형상 변형으로 인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밸브용 씰링재 보호장치와 관련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밸브용 씰링재 보호장치는,
조정레버의 조작에 의해 유로를 개폐시키는 밸브바디;
상기 밸브바디의 좌,우측에 장착되는 소켓;
상기 소켓에 끼워맞춤되어 용접 접합에 의해 이음연결되는 이음배관;
상기 밸브바디와 소켓 사이의 밀착면에 장착되는 기밀용 가스켓;을 구비하는 밸브용 씰링재 보호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켓에 상기 이음배관을 용접 접합시 발생되는 용접 열이 상기 소켓을 통해 상기 가스켓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소켓은, 상기 이음배관이 이음연결되는 소정직경을 갖는 제1원통부와, 상기 제1원통부와 상기 소켓의 플랜지 사이에서 상기 제1원통부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제2원통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용 씰링재 보호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원통부와 제2원통부의 경계부위는 직각또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씰링재가 장착된 밸브바디의 소켓에, 작업현장에서 이음배관을 이음연결하기 위해 용접 접합시 전달되는 용접 열로 인한 씰링재의 물성 변화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사용수명을 연장하고, 또한 씰링재의 형상 변형으로 인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신뢰성 및 실용성을 갖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밸브바디에 이음배관을 용접에 의해 이음연결됨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밸브용 씰링재 보호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밸브의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밸브용 씰링재 보호장치는,
조정레버(1)의 조작에 의해 유로를 개폐시키는 밸브바디(2);
상기 밸브바디(2)의 좌,우측에 볼트(3)의 체결에 의해 장착되는 소켓(4,5);
상기 소켓(4,5)에 끼워맞춤되어 용접 접합에 의해 이음연결되는 이음배관(6,7);
상기 밸브바디(2)와 소켓(4,5) 사이의 밀착면에 장착되는 기밀용 가스켓(8);을 구비하는 밸브용 씰링재 보호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켓(4,5)에 상기 이음배관(6,7)을 용접 접합시 발생되는 용접 열이 상기 소켓(4,5)을 통해 상기 가스켓(8)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소켓(4,5)은, 상기 이음배관(6,7)이 이음연결되는 소정직경을 갖는 제1원통부(9)와, 상기 제1원통부(9)와 상기 소켓(4,5)의 플랜지(10) 사이에서 상기 제1원통부(9)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제2원통부(11)가 구비된다.
도면에는 미 도시되었으나, 상기 제1원통부(9)와 제2원통부(11)의 경계부위는 직각 또는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소켓(4,5)에 이음배관(6,7)을 용접 접합시 발생되는 용절 열이, 제1,2원통부(9,11)의 경계면에서 용접 열을 전달하는 통로의 단면적을 줄임에 따라 상기 제1원통부(9)에서 제2원통부(11)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작레버(1)의 조작에 의해 이음배관(6,7)을 통과하는 유체 흐름을 단속하는 밸브바디(2)와, 용접 접합에 의해 소켓(4,5)에 이음연결되는 이음배관(6,7)은 도 1에 도시된 밸브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들의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밸브용 씰링재 보호장치의 사용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밸브를 조립하는 공장의 조립라인에서 상기 밸브바디(2)에 소켓(4,5)의 플랜지(10)를 밀착시킨 후, 밸브바디(2)에 체결되는 볼트(3)에 의해 일체형으로 고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밸브바디(2)와 소켓(4,5)의 플랜지(10) 사이의 밀착면에 기밀용 가스켓(8)이 게재되어 장착된다.
즉, 상기 밸브바디(2)와 소켓(4,5) 사이의 틈새를 기밀시킴에 따라 상기 이음배관(6,7)을 통과하는 유체(일 예로서 가스, 오일, 상수도 등을 말함)의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소켓(4,5)에 이음배관(6,7)을 결합시켜 용접 접합시킬 경우 발생되는 용접 열에 의해 상기 가스켓(8)의 물성 변화 또는 형상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소켓(4,5)과 이음배관(6,7)의 이음부위를 용접 접합시 발생되는 용접 열이 소켓(4,5)을 통해 밸브바디(2)측으로 전달된다. 이때 용접 열의 일부는 상기 제1원통부(9)의 반경 방향으로 방열된다(상기 용접 열이 제1원통부(9)에 전달될 경우 제1원통부(9)의 중심보다 가장자리측이 상대적으로 고온을 유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용접 열이 상기 제1원통부(9)를 통과하여 밸브바디(2)측으로 전달될 경우, 상기 제1원통부(9)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제2원통부(11)를 통과하여 밸브바디(2)에 전달된다. 즉 용접 열의 일부는 상기 제1원통부(9)의 반경 방향으로 방열되므로 소멸되고, 용접 열의 나머지는 제1원통부(9)를 통과하여 제2원통부(11)에 전달된다.
이때, 상기 제2원통부(11)의 직경이 상기 제1원통부(9)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작도록 형성되어 제1,2원통부(9,11) 사이에 단면적 변화가 발생 되므로, 용접 열이 제1원통부(9)에서 제2원통부(11)로 전달되는 과정에서 소멸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소켓(4,5)에 이음배관(6,7)을 용접 접합에 의해 이음연결시킬 경우 발생되는 용접 열이 소켓(4,5)을 통과하여 밸브바디(2)에 장착된 가스켓(8)으로 전달될 경우, 상기 소켓(4,5)이 제1원통부(9)와 제2원통부(11)의 직경 차이로 인한 단면적 변화를 갖게 되므로, 소켓(4,5)과 이음배관(6,7)의 용접부에서 발생되는 용접 열이 소켓(4,5)을 통과하여 밸브바디(2)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소켓(4,5)과 이음배관(6,7)을 용접 접합시 발생되는 용접 열이 밸브바디(2)에 장착된 가스켓(8)에 전달되어 가스켓(8)의 물성 변화 또는 형상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1; 조작레버
2; 밸브바디
3; 볼트
4,5; 소켓
6,7; 이음배관
8; 가스켓
9; 제1원통부
10; 플랜지
11; 제2원통부

Claims (2)

  1. 조정레버의 조작에 의해 유로를 개폐시키는 밸브바디;
    상기 밸브바디의 좌,우측에 장착되는 소켓;
    상기 소켓에 끼워맞춤되어 용접 접합에 의해 이음연결되는 이음배관;
    상기 밸브바디와 소켓 사이의 밀착면에 장착되는 기밀용 가스켓;을 구비하는 밸브용 씰링재 보호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켓에 상기 이음배관을 용접 접합시 발생되는 용접 열이 상기 소켓을 통해 상기 가스켓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소켓은 상기 이음배관이 이음연결되는 소정직경을 갖는 제1원통부와, 상기 제1원통부와 상기 소켓의 플랜지 사이에서 상기 제1원통부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제2원통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2원통부의 직경 차이로 인한 용접 열을 전달하는 통로의 단면적을 줄임에 따라, 상기 소켓에 상기 이음배관을 용접 접합시 발생되는 용접 열이 상기 제1,2원통부를 통과하여 상기 밸브바디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용 씰링재 보호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원통부와 제2원통부의 경계부위는 직각 또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용 씰링재 보호장치.
KR1020130135127A 2013-11-08 2013-11-08 밸브용 씰링재 보호장치 KR201500533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5127A KR20150053338A (ko) 2013-11-08 2013-11-08 밸브용 씰링재 보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5127A KR20150053338A (ko) 2013-11-08 2013-11-08 밸브용 씰링재 보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3338A true KR20150053338A (ko) 2015-05-18

Family

ID=53389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5127A KR20150053338A (ko) 2013-11-08 2013-11-08 밸브용 씰링재 보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5333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91489B2 (en) Detachable pipe joint
US4171142A (en) Leak repair clamp
US7490868B2 (en) Pipe mating swivel adapter for misaligned joints
KR101805117B1 (ko) 플랜지관을 이용한 고압 천연가스 수송용 관로 시공 방법
US8151825B2 (en) Reverse flow wye connector
KR20140119067A (ko) 플랜지 조인트 접속 구조
US11774015B2 (en) Pipe joint
CN203979698U (zh) 一种管道接头
EP3735549B1 (en) Pipe coupling capsulation assembly with retaining elements
WO2015019623A1 (ja) 高圧パイプ用継手および継手構造
JP3210602U (ja) 小径配管用継手
RU2388961C1 (ru) Способ протасова в.н. внутренней втулочной противокоррозионной защиты сварных соединений трубных фасонных деталей с внутренним противокоррозионным покрытием
CN112747179A (zh) 改进型防漏通用哈夫节组件
KR20150053338A (ko) 밸브용 씰링재 보호장치
KR101449428B1 (ko) 파이프 커플링
KR102541108B1 (ko) 플랜지 어셈블리
AU2011286156B2 (en) High pressure pipe joint
JPH08184393A (ja) 管継手
GB2129897A (en) Joining pipes
CN113090414A (zh) 姿控发动机
KR100453450B1 (ko) 배관에서 누설되는 계통수 밀봉장치
KR20180000828U (ko) 수밀 성능이 향상된 단관 플랜지붙이 관 구조
JP4149036B2 (ja) 管体フランジ部漏洩補修機構
KR20150098109A (ko) 버터플라이 밸브 면간길이를 갖는 신축관 일체형 밸브
CN110864168A (zh) 制冷剂管的连接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