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1310A - D2D(Device to Device) 통신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D2D(Device to Device) 통신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1310A
KR20150051310A KR1020140124609A KR20140124609A KR20150051310A KR 20150051310 A KR20150051310 A KR 20150051310A KR 1020140124609 A KR1020140124609 A KR 1020140124609A KR 20140124609 A KR20140124609 A KR 20140124609A KR 20150051310 A KR20150051310 A KR 201500513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group
terminal
rlc
ent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4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미영
신재승
오성민
이창희
박애순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US14/527,511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50124646A1/en
Publication of KR201500513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13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4/08User group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04W84/20Master-slave selection or change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Abstract

기지국의 중계 없이 제1 그룹의 제1 단말이 상기 제1 그룹의 다른 단말들과 직접 통신하는 D2D(Device to Device) 통신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제1 단말은, 제2 단말로부터 제1 데이터를 수신한다. 상기 제1 단말은, 상기 제1 데이터의 그룹 식별자를 이용해, 상기 제1 데이터가 상기 제1 그룹을 목적지로 하는 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단말은, 상기 제1 데이터가 상기 제1 그룹을 목적지로 하는 경우에, 다수의 RLC(Radio Link Control) 엔터티 중에서 상기 제2 단말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RLC 엔터티를, 상기 제1 데이터의 소스 단말 식별자를 이용해, 판단한다.

Description

D2D(Device to Device) 통신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DEVICE TO DEVICE DIRECT COMMUNICATION}
본 발명은 기지국의 중계 없이 단말들이 직접 통신하는 D2D(Device to Device) 통신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LTE(Long Term Evolution)-advanced 기반 시스템에서 단말들이 기지국의 중계 없이 직접 통신하는 D2D 그룹 통신(예, 브로드캐스트(broadcast), 멀티캐스트(multicast))을 위한 표준화가 진행되고 있다. 하나의 단말이 기지국의 중계 없이 다수의 단말과 직접 통신하는 1:M D2D 그룹 통신에 있어서, IP(Internet Protocol) 패킷에 기반한 서비스가 사용되고,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는 헤더 압축/압축 해제(Header-compression/decompression)가 가능하며, RLC(Radio Link Control) UM(Unacknowledged Mode) 모드가 사용되고,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피드백은 사용되지 않는다.
한편, D2D 그룹 통신을 위한 PDCP/RLC/MAC(Medium Access Control) 프로토콜을 설정하는 방법, 메시지 플로우, 및 구분자에 대한 논의는 아직 진행되고 있지 않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LTE-Advanced 기반 시스템에서 직접 통신 단말간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또는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기지국의 중계 없이 제1 그룹의 제1 단말이 상기 제1 그룹의 다른 단말들과 직접 통신하는 D2D(Device to Device) 통신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D2D 통신 방법은, 제2 단말로부터 제1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데이터의 그룹 식별자를 이용해, 상기 제1 데이터가 상기 제1 그룹을 목적지로 하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데이터가 상기 제1 그룹을 목적지로 하는 경우에, 다수의 RLC(Radio Link Control) 엔터티 중에서 상기 제2 단말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RLC 엔터티를, 상기 제1 데이터의 소스 단말 식별자를 이용해,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소스 단말 식별자와 상기 그룹 식별자는 상기 제1 데이터의 MAC(Medium Access Control) 헤더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D2D 통신 방법은, 상기 제1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설정을 위한 RRC(Radio Resource Control) 정보를 RRC 시그널링 없이 상기 제1 단말을 위해 사전에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D2D 통신 방법은, 제2 RLC 엔터티를 통해 상기 제1 데이터를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RLC 엔터티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데이터의 소스 단말 식별자를 이용해, 상기 다수의 RLC 엔터티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1 RLC 엔터티를 판단하는 단계; 및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1 RLC 엔터티 중에서 상기 제1 데이터의 논리 채널 식별자(LCID: Logical Channel Identification)에 대응하는 상기 제2 RLC 엔터티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D2D 통신 방법은, 상기 다수의 RLC 엔터티가 상기 제1 RLC 엔터티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제1 RLC 엔터티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단말은 D2D 그룹 통신을 위한 하나의 RLC 엔터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데이터는, 상기 제2 단말의 RLC 엔터티를 통해 브로드캐스트(broadcast) 또는 멀티캐스트(multicast)될 수 있다.
상기 제1 그룹을 목적지로 하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데이터의 LCID를 상기 제1 데이터의 그룹 식별자로써 이용해, 상기 제1 데이터가 상기 제1 그룹을 목적지로 하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D2D 통신 방법은, 다수의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엔터티 중에서, 상기 제2 단말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PDCP 엔터티를, 상기 제1 데이터의 소스 단말 식별자를 이용해,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D2D 통신 방법은, 상기 다수의 PDCP 엔터티가 상기 제1 PDCP 엔터티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제1 PDCP 엔터티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D2D 통신 방법은, 상기 제1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설정을 위한 RRC 정보를 포함하는 RRC 메시지를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D2D 통신 방법은, 상기 제1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상기 제1 데이터의 소스 단말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D2D 통신 방법은, 상기 제2 단말로부터, 데이터 송신 완료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기지국의 중계 없이 제1 그룹의 제1 단말이 상기 제1 그룹의 다른 단말들과 직접 통신하는 D2D(Device to Device) 통신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D2D 통신 방법은, 제2 단말로부터 제1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D2D 그룹 통신을 위한 하나의 RLC 엔터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데이터의 그룹 식별자를 이용해, 상기 제1 데이터가 상기 제1 그룹을 목적지로 하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데이터가 상기 제1 그룹을 목적지로 하는 경우에, 상기 제1 단말의 RLC 엔터티를 통해, 상기 제1 데이터의 RLC 시퀀스 번호(SN: Sequence Number)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데이터의 RLC SN이 특정값인 경우에, 수신 버퍼를 리셋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데이터가 새로운 데이터이거나 연속적인 데이터 전송이 완료된 후에 다시 전송되는 데이터인 경우에, 상기 제1 데이터의 RLC SN은, 상기 제2 단말의 RLC 엔터티를 통해, 상기 특정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그룹을 목적지로 하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데이터의 LCID를 상기 제1 데이터의 그룹 식별자로써 이용해, 상기 제1 데이터가 상기 제1 그룹을 목적지로 하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D2D 통신 방법은, 상기 제1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상기 제1 데이터의 소스 단말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D2D 통신 방법은, 상기 제2 단말로부터, 데이터 송신 완료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D2D 통신 방법은, 상기 제1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RLC 엔터티에 대응하는 하나의 PDCP 엔터티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기지국의 중계 없이 제1 그룹의 제1 단말이 상기 제1 그룹의 다른 단말들과 직접 통신하는 D2D(Device to Device) 통신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D2D 통신 방법은, 상기 제1 그룹의 그룹 오너(group owner)로 설정되는 단계; 상기 제1 그룹의 제2 단말로부터, 제1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데이터의 목적지를 상기 제1 그룹으로 설정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LTE-Advanced 기반 시스템에서 D2D 통신에 참여 하는 단말들이 멀티캐스트 서비스 또는 브로드캐스트 서비스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룹 오너가 있는 D2D 그룹 통신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룹 오너가 없는 D2D 그룹 통신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신 단말을 위한 계층 2의 엔터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신 단말을 위한 계층 2의 엔터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이 D2D 그룹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신 단말을 위한 계층 2의 엔터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신 단말을 위한 계층 2의 엔터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단말(terminal)은,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MT), 이동국(mobile station, MS), 진보된 이동국(advanced mobile station, AMS), 고신뢰성 이동국(high reliability mobile station, HR-MS),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SS), 휴대 가입자국(portable subscriber station, PSS), 접근 단말(access terminal, AT),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노드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단말, MT, MS, AMS, HR-MS, SS, PSS, AT, UE, 노드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기지국(base station, BS)은, 진보된 기지국(advanced base station, ABS), 고신뢰성 기지국(high reliability base station, HR-BS), 노드B(node B), 고도화 노드B(evolved node B, eNodeB), 접근점(access point, AP), 무선 접근국(radio access station, RAS), 송수신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 MMR(mobile multihop relay)-BS, 기지국 역할을 수행하는 중계기(relay station, RS), 기지국 역할을 수행하는 고신뢰성 중계기(high reliability relay station, HR-RS), 소형 기지국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BS, ABS, HR-BS, 노드B, eNodeB, AP, RAS, BTS, MMR-BS, RS, HR-RS, 소형 기지국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직접 통신 단말간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 전송에 있어서, 규격에 정의된 내용에 따르면, 그룹에 속한 단말은 데이터를 전송한 경우에, 다른 단말이 데이터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없다. 이에 따라, 그룹 오너가 있는 D2D 그룹 통신 방식과 그룹 오너가 없는 D2D 그룹 통신 방식이 고려될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여 그룹 오너가 있는 D2D 그룹 통신 방식에 대해서 설명하고, 도 2를 참고하여 그룹 오너가 없는 D2D 그룹 통신 방식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룹 오너가 있는 D2D 그룹 통신 방식(이하 '제1 D2D 그룹 통신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제1 그룹(G1)이 단말(100, 200, 300, 400)을 포함하고, 제2 그룹(G2)이 단말(400, 500, 600, 700)을 포함하는 경우를 예시하였다. 단말(400)은 제1 그룹(G1)과 제2 그룹(G2)에 속한다.
각 그룹(G1, G2) 마다 그룹 내의 통신을 관리하는 그룹 오너(Group Owner)가 정의된다. 예를 들어, 단말(200)은 제1 그룹(G1)을 위한 그룹 오너로 설정되고, 단말(700)은 제2 그룹(G2)을 위한 그룹 오너로 설정될 수 있다.
각 그룹(G1, G2) 내의 단말(100~700)은 그룹 오너 단말(200, 700)에게 멀티캐스트 또는 브로드캐스트 전송을 위한 트래픽을 전달한다. 예를 들어, 제1 그룹(G1)의 단말(100)은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그룹 오너 단말(200)에게 전달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단말(400)은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예, 제2 그룹(G2)을 위한 데이터)를 그룹 오너 단말(700)에게 전달할 수 있다.
트래픽을 전달받은 그룹 오너 단말(200, 700)은 트래픽을 전달한 단말을 대신해서 멀티캐스트 또는 브로드캐스트 전송을 전달한다. 예를 들어, 단말(100)로부터 데이터를 전달받은 그룹 오너 단말(200)은 전달받은 데이터를 제1 그룹(G1)을 목적지로 하여, 단말(100)을 대신해,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단말(400)로부터 데이터를 전달받은 그룹 오너 단말(700)은 전달받은 데이터를 제2 그룹(G2)을 목적지로 하여, 단말(400)을 대신해,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할 수 있다
각 그룹(G1, G2)의 단말(100~700)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범위는 그룹 오너 단말(200, 700)의 통신 반경과 일치한다. 따라서, 제1 D2D 그룹 통신 방식은, 각 그룹(G1, G2) 내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하는 단말이 변경되더라도, 서비스 통신 범위가 고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예를 들어, 제2 그룹(G2)의 단말(400)이 그룹 오너 단말(700)에게 데이터를 전달한 이후에 제2 그룹(G2)의 단말(500)이 그룹 오너 단말(700)에게 데이터를 전달하더라도, 그룹 오너 단말(700)의 제2 그룹(G2)을 위한 서비스 통신 범위(R1)는 고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하지만, 제1 D2D 그룹 통신 방식은, 각 그룹(G1, G2)에 속한 단말들(100~700)이 통신 반경 내에 위치한 그룹 오너를 선정하는 메커니즘을 필요로 하는 단점을 가진다. 그리고 제1 D2D 그룹 통신 방식은, 각 그룹(G1, G2) 내에서 송신 단말이 그룹 오너 단말로 데이터를 전달하고 그룹 오너 단말(200, 700)은 전달받은 데이터를 전송하기 때문에, 무선 자원(radio resource)이 낭비되고 전송 지연(latency)이 증가하는 단점을 가진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룹 오너가 없는 D2D 그룹 통신 방식(이하 '제1 D2D 그룹 통신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제1 그룹(G1)이 단말(100~400)을 포함하고, 제2 그룹(G2)이 단말(400~700)을 포함하는 경우를 예시하였다. 단말(400)은 제1 그룹(G1)과 제2 그룹(G2)에 속한다.
각 그룹(G1, G2)에 속한 단말(100~700)이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에, 각 단말(100~700)이 데이터를 직접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그룹(G1)의 단말(200)은 제1 그룹(G1)을 목적지로 하여, 데이터를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단말(400)은 제2 그룹(G2)을 목적지로 하여, 데이터를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할 수 있다.
제2 D2D 그룹 통신 방식은, 제1 D2D 그룹 통신 방식에 비해, 그룹 통신의 서비스 범위가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말의 위치에 따라서 변경되는 단점을 가진다. 예를 들어, 단말(400)이 제2 그룹(G2)을 위한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에, 단말(400)의 위치에 따라서 단말(400)의 제2 그룹(G2)을 위한 서비스 통신 범위(R2)는 변경될 수 있다. 또한, D2D 그룹 통신에서는 데이터 수신 여부가 확인될 수 없으므로, 그룹 통신의 서비스 범위가 단말의 위치에 따라 수시로 변경되면, 서비스 수신 여부는 더욱 확신될 수 없다.
하지만, 제2 D2D 그룹 통신 방식은, 제1 D2D 그룹 통신 방식에 비해, 무선 자원 낭비가 적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하에서는, 제2 D2D 그룹 통신 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송/수신 기술을 설명한다.
한편, 기존의 데이터 서비스에서는 하나의 노드(즉, 기지국)가 전송하는 데이터를 단말이 수신하였다. 하지만, 직접 통신 단말간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또는 멀티캐스트 서비스에서는, 하나의 단말은 여러 개의 단말이 송신하는 트래픽을 수신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이를 위한 송/수신 프로토콜의 변경이 필요하다. 특히, 하나의 단말이 일대일 통신을 여러 단말과 수행하는 것은 기지국의 데이터 수신 모듈의 도입을 통해서 해결될 수 있다. 하지만, 하나의 단말이 여러 단말이 송신하는 하나의 서비스를 수신하기 위해서는(즉, 하나의 단말이 동일한 그룹 내의 여러 단말이 전송하는 브로드캐스트 데이터 또는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서는), 계층 2(layer 2)의 엔터티 구조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제1 엔터티 구조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하고, 도 6 및 도 7을 참고하여 제2 엔터티 구조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신 단말을 위한 계층 2(layer 2)의 엔터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단말(600)이 제2 그룹(G2)을 위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를 예시하였다.
단말(600)은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에, D2D 그룹 통신을 위한 하나의 PDCP 엔터티(640), 하나의 RLC 엔터티(630), 및 하나의 MAC 엔터티(620)를 생성한다. PDCP 엔터티(640)는 PDCP 프로토콜의 기능을 수행하고, RLC 엔터티(630)는 RLC 프로토콜의 기능을 수행하고, MAC 엔터티(620)는 MAC 프로토콜의 기능을 수행한다.
단말(600)의 RRC(650)는 PDCP 엔터티(640), RLC 엔터티(640), MAC 엔터티(620), 및 직접 통신 채널(610) 각각에 대한 설정(configuration)을 수행하고, PDCP 엔터티(640), RLC 엔터티(630), MAC 엔터티(620), 및 직접 통신 채널(610)을 관리한다. 여기서 직접 통신 채널(610)은 D2D 통신을 위한 PHY(Physical) 계층의 물리 채널이다.
단말(600)은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에, 그룹 식별자를 설정한다. 예를 들어, 단말(600)은 LCID(Logical Channel Identification, 논리 채널 식별자)를 그룹 식별자로써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단말(600)은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에, RBID(Radio Bearer Identification, 무선 베어러 식별자)와 소스 노드 식별자를 추가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소스 노드 식별자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말을 나타낸다.
단말(600)은 PDCP 엔터티(640), RLC 엔터티(630), MAC 엔터티(620), 및 직접 통신 채널(610)을 통해, 데이터를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한다. 여기서 단말(600)이 전송하는 데이터는, 제2 그룹(G2)을 나타내는 그룹 식별자, 그리고 단말(600)을 나타내는 소스 노드 식별자를 포함한다.
한편, 도 3에서는 하나의 그룹(G2)에 가입된 단말(600)의 엔터티 구조를 예시하였다. 만약, 단말(600)이 2개 이상의 그룹에 가입한 경우에는, 가입한 그룹의 개수에 따라 다수의 RLC 엔터티와 다수의 PDCP 엔터티를 생성할 수 있다. 또는, 단말(600)은 가입한 그룹 각각의 LCID 별로 RLC 엔터티와 PDCP 엔터티를 생성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신 단말을 위한 계층 2(layer 2)의 엔터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단말(500)이 제2 그룹(G2)의 단말(400, 600, 700)이 전송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단말(500)의 직접 통신 채널(510)은 정해진 스케쥴에 따라 데이터를 수신한다. 직접 통신 채널(510)은 D2D 통신을 위한 PHY 계층의 물리 채널이다.
단말(500)은 D2D 그룹 통신을 위한 하나의 MAC 엔터티(520)를 생성한다. MAC 엔터티(520)는 수신된 데이터의 그룹 식별자가 단말(500)이 속한 그룹(예, G2)을 나타내는 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MAC 엔터티(520)는 수신된 데이터의 LCID(5 비트로 구성)를 통해서, 수신된 데이터가 단말(500)이 가입(join)한 제2 그룹(G2)을 목적지로 하는 지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기지국은 하나의 MAC 엔터티를 가질 수 있다.
단말(500)은 D2D 그룹 통신을 위한 RLC 엔터티(531~533), 및 PDCP 엔터티(541~543)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단말(500)은 수신된 데이터의 그룹 식별자가 단말(500)이 가입한 그룹(G2)을 나타내는 경우에, 송신 단말 별로 적어도 하나의 RLC 엔터티를 생성하고, 송신 단말 별로 적어도 하나의 PDCP 엔터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500)은 제2 그룹(G2)의 단말(600)로부터 데이터를 처음 수신하는 경우(제2 그룹(G2)의 단말(600)을 위한 RLC 엔터티와 PDCP 엔터티가 생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제2 그룹(G2)의 단말(600)을 위한 RLC 엔터티(531)와 PDCP 엔터티(541)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단말(500)은 제2 그룹(G2)의 단말(700)로부터 데이터를 처음 수신하면, 제2 그룹(G2)의 단말(700)을 위한 RLC 엔터티(532)와 PDCP 엔터티(542)를 생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단말(500)은 제2 그룹(G2)의 단말(400)로부터 데이터를 처음 수신하면, 제2 그룹(G2)의 단말(400)을 위한 RLC 엔터티(533)와 PDCP 엔터티(543)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단말(500)은 송신 단말의 링크 별로 RLC 엔터티와 PDCP 엔터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500)과 단말(600) 간의 링크가 3개(QoS(Quality of Service)가 서로 다름)인 경우에, 단말(500)은 3개의 링크에 대응하는 3개의 RLC 엔터티와 3개의 PDCP 엔터티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단말(500)은 베어러 별로 RLC 엔터티와 PDCP 엔터티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단말(500)은 가입한 그룹 각각의 송신 단말 별로 RLC 엔터티와 PDCP 엔터티를 생성할 수 있다.
RRC(550)는 직접 통신 채널(510), MAC 엔터티(520), RLC 엔터티(531~533), 및 PDCP 엔터티(541~543)를 관리한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제2 그룹(G2)의 단말(600)과 단말(700) 각각을위한 RLC 엔터티(531, 532)와 PDCP 엔터티(541, 542)가 생성되어 있고, 단말(500)이 제2 그룹(G2)의 단말(600)과 단말(700) 각각이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단말(500)의 수신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단말(600)이 전송한 데이터를 단말(600)이 직접 통신 채널(510)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에, MAC 엔터티(520)는 수신된 데이터의 그룹 식별자(예, LCID)가 단말(500)이 가입한 제2 그룹(G2)을 나타내는 지를 판단한다. 수신된 데이터의 그룹 식별자가 제2 그룹(G2)을 나타내는 경우에, MAC 엔터티(520)는 수신된 데이터의 소스 노드 식별자(단말(600)을 나타냄)에 따라 매핑되는 RBID를 구분한다. 여기서 RBID는 소스 노드 식별자와 그룹 식별자에 따른 링크를 구분하는 단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MAC 엔터티(520)는 수신된 데이터의 소스 노드 식별자와 그룹 식별자(예, LCID)에 따라 매핑되는 RBID를 구분하고, 소스 노드 식별자, 그룹 식별자, 그리고 RBID에 대응되는 RLC 엔터티(531)로 MAC SDU를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RLC 엔터티(531)는 MAC SDU를 처리하고, MAC SDU로부터 추출된 RLC SDU를 PDCP 엔터티(541)로 전달한다. PDCP 엔터티(541)는 RLC SDU를 처리한다. 그 후, 단말(700)이 전송한 데이터를 단말(600)이 수신한 경우에, 상술한 동작과 동일한 동작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MAC 엔터티(520)는 수신된 데이터의 그룹 식별자가 단말(500)이 가입한 제2 그룹(G2)을 나타내는 지를 판단한다. 수신된 데이터의 그룹 식별자가 제2 그룹(G2)을 나타내는 경우에, MAC 엔터티(520)는 수신된 데이터의 소스 노드 식별자(단말(700)을 나타냄)와 LCID에 대응하는 RLC 엔터티(532)로 MAC SDU를 전달한다. 그리고 RLC 엔터티(532)는 MAC SDU로부터 추출된 RLC SDU를 PDCP 엔터티(542)로 전달한다.
한편, 설정에 사용되는 RRC 정보는, 단말(500)이 데이터를 수신하기 전에, RRC 시그널링 없이, 단말(500)에 미리 설정(pre-configure)될 수 있다. 여기서, RRC 시그널링은 D2D 통신에 참여하는 단말 간의 시그널링을 의미한다. 또는, 설정에 사용되는 RRC 정보는, 단말(500)이 데이터를 수신하기 전에, 네트워크에 의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또는, 설정 관련 정보(예, 파일 다운로드 방식에 관련된 정보)가 단말(500)의 내부에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또는 설정에 사용되는 RRC 정보는, 단말(500)이 데이터를 수신하기 이전에, RRC 메시지를 통해 송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500)은 데이터를 수신하기 이전에, D2D 통신의 상대 단말로부터 RRC 메시지를 통해 설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단말(500)은 RRC 메시지를 수신한 이후에,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RLC 엔터티(531~533)는 UM 모드에서 RLC SN(Sequence Number, 시퀀스 번호)을, 수신된 RLC SDU(Service Date Unit)의 중복(duplication) 처리, 재정렬(reordering) 처리, 또는 유실 감지(loss detection) 처리 등을 위해서 사용한다. RLC 엔터티(531~533)는 매 수신마다 하나씩 증가된 RLC SN을 수신한다. 제2 그룹(G2) 내의 여러 단말(400, 600, 700)이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에, 각 단말(400, 600, 700)이 생성한 RLC SN 또는 PDCP SN은 단말 별로 다른 값을 가질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상황에서도, 단말(500)은 송신 단말 별 RLC 엔터티(531~533)와 PDCP 엔터티(541~543)를 포함하기 때문에, 정상적으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각 그룹(G1, G2) 내의 송신 단말의 개수는 RBID의 개수만큼 제한될 수 있고, 특히 단말(예, 400)이 여러 서비스에 가입한 경우에, RLC 엔터티 및 PDCP 엔터티가 많이 생성될 수 있다. 하지만, 단말(400)이 여러 서비스에 가입했더라도, 단말(400)은 데이터를 수신한 후에, 데이터를 송신한 단말 정보(예, 그룹 식별자와 소스 노드 식별자)에 따라서, RLC 엔터티와 PDCP 엔터티를 자동으로 생성하기 때문에, 제1 엔터티 구조는 기존 규격의 변경을 최소화하는 장점을 가진다.
한편, 제1 엔터티 구조에서, MAC 엔터티(520)가 그룹을 구분하기 위해서, LCID를 사용하는 경우에, LCID는 아래의 표 1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그룹 식별자(예, LCID)는 MAC 서브헤더에 포함될 수 있다.
인덱스 LCID values
00000-11101 그룹 식별자
11110 Reserved
111111 Padding
한편, 제1 엔터티 구조에서, MAC 엔터티(520)는 그룹 식별자 뿐만 아니라 트래픽을 전송한 단말의 식별자 정보(소스 노드 식별자)를 필요로 한다. 소스 노드 식별자는 MAC 서브헤더를 통해서 전달될 수 있으나, 이로 인해, MAC 전송 계층에서의 오버헤드가 증가될 수도 있다. 따라서 오버헤드를 최소화하면서 소스 노드 식별자를 전송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소스 노드 식별자를 전송하는 방법에 대해서, 도 5를 참고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이 D2D 그룹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제2 그룹(G2)의 단말(400~700)간의 D2D 그룹 통신을 예시하였다.
브로트캐스트 트래픽 또는 멀티캐스트 트래픽을 전송하는 단말(600)은 자신의 정보(SenderInfo)를 트래픽을 전송하기 전에 미리 전송(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한다(S110). 전송되는 정보(SenderInfo)는 단말(600)을 나타내는 소스 노드 식별자(SrcID1)와 트래픽 전송 시작 정보(Start)를 포함한다. 이를 통해, 나머지 단말(400, 500, 700)은 이후에 수신하는 트래픽을 생성한 단말(600)에 대한 정보를 미리 알 수 있다.
단말(600)은 자신의 정보(SenderInfo)를 전송한 후에, 데이터를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한다(S120).
또한, 단말(600)은 데이터의 송신을 완료한 경우에, 데이터 송신이 끝났음을 제2 그룹(G2)의 멤버들(400, 500, 700)에게 알리기 위하여, 정보(SenderInfo)를 전송(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할 수 있다(S130). S130 과정에서 전송되는 정보(SenderInfo)는 단말(600)을 나타내는 소스 노드 식별자(SrcID1)와 트래픽 전송 중단 정보(Stop)를 포함한다. 이를 통해, 제2 그룹(G2)의 다른 단말들(400, 500, 700)은 단말(600)의 데이터 전송이 완료되었음을 명시적으로 알 수 있다. S130 과정에서 정보(SenderInfo)를 송신한 단말(600)은 제2 그룹(G2)에 관련된 RLC 엔터티와 PDCP 엔터티를 삭제할 수 있다. 그리고 S130 과정에서 정보(SenderInfo)를 수신한 제2 그룹(G2)의 멤버들(400, 500, 700)은 제2 그룹(G2)의 단말(600)에 관련된 RLC 엔터티와 PDCP 엔터티를 삭제할 수 있다. 도 5에서 설명한 D2D 그룹 통신 방법에 따르면, 분산 스케쥴링을 사용하는 환경에서 파워 절약(power saving)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단말(600)이 데이터 전송을 완료했음을 알리면,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하는 단말(400)은 새로운 송신자가 되어서, S110~S130과 동일한 과정으로, 데이터 전송을 시작할 수 있다(S140~S160). 구체적으로 단말(400)은 데이터 전송 시작을 제2 그룹(G2)의 다른 단말들(500~700)에게 알리기 위해서, 정보(SenderInfo)를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한다(S140). S140 과정에서 전송되는 정보(SenderInfo)는 단말(400)을 나타내는 소스 노드 식별자(SrcID2)와 트래픽 전송 시작 정보(Start)를 포함한다. 단말(400)은 자신의 정보(SenderInfo)를 전송한 후에, 데이터를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한다(S150). 단말(400)은 데이터 송신이 끝났음을 제2 그룹(G2)의 멤버들(500~700)에게 알리기 위하여, 정보(SenderInfo)를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한다(S160). S160 과정에서 전송되는 정보(SenderInfo)는 단말(400)을 나타내는 소스 노드 식별자(SrcID2)와 트래픽 전송 중단 정보(Stop)를 포함한다.
한편, 제2 엔터티 구조에서는, 제1 엔터티 구조와 다르게, D2D 그룹 통신의 송신 단말 및 수신 단말은, 기존 서비스와 동일하게, 하나의 프로토콜 엔터티(MAC 엔터티, RLC 엔터티, PDCP 엔터티)를 생성한다. 따라서, 제2 엔터티 구조는, 기존 규격에 추가적인 기능의 정의를 필요로 한다. 도 6 및 도 7을 참고하여, 제2 엔터티 구조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신 단말을 위한 계층 2(layer 2)의 엔터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단말(200)이 제1 그룹(G1)을 위한 데이터를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하는 경우를 예시하였다.
단말(200)은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에, D2D 그룹 통신을 위한 하나의 MAC 엔터티(220), RLC 엔터티(230), 및 PDCP 엔터티(240)를 생성한다.
단말(200)의 RRC(250)는 PDCP 엔터티(240), RLC 엔터티(230), MAC 엔터티(220), 및 직접 통신 채널(210) 각각을 관리한다. 여기서 직접 통신 채널(210)은 D2D 통신을 위한 PHY 계층의 물리 채널이다.
단말(200)은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에, 제1 그룹(G1)를 나타내는 그룹 식별자를 설정한다. 예를 들어, 단말(600)은 LCID를 그룹 식별자로써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단말(200)은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에, RBID와 단말(200)을 나타내는 소스 노드 식별자를 추가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단말(200)은 PDCP 엔터티(240), RLC 엔터티(230), MAC 엔터티(220), 및 직접 통신 채널(6210)을 통해, 데이터를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한다.
한편, 단말(200)은 새로운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하거나 연속적인 데이터 전송을 완료한 후(연속적인 데이터 전송 완료 후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 다시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에, RLC SN 또는 PDCP SN을 항상 제1 특정값(예, 0)으로 설정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신 단말을 위한 계층 2(layer 2)의 엔터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제1 그룹(G1)의 단말(300)이 제1 그룹(G1)의 단말(100, 200, 400)이 전송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단말(300)의 직접 통신 채널(310)은 정해진 스케쥴에 따라 데이터를 수신한다. 직접 통신 채널(310)은 D2D 통신을 위한 PHY 계층의 물리 채널이다.
단말(300)은 직접 통신 채널(310)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에, D2D 그룹 통신을 위한, 하나의 MAC 엔터티(320), 하나의 RLC 엔터티(320), 그리고 하나의 PDCP 엔터티(340)를 생성한다. MAC 엔터티(320)는 수신된 데이터의 그룹 식별자가 단말(300)이 가입한 제1 그룹(G1)을 나타내는 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MAC 엔터티(320)는 수신된 데이터의 LCID를 그룹 식별자로써 이용할 수 있다. MAC 엔터티(320)는 수신된 데이터가 단말(300)이 속한 제1 그룹(G1)을 목적지로 하는 경우에, RLC 엔터티(330)로 MAC SDU를 전달한다.
RLC 엔터티(330)는 MAC SDU로부터 RLC SDU를 추출하여, PDCP 엔터티(340)로 전달한다.
PDCP 엔터티(340)는 RLC SDU를 처리한다.
RRC(350)는 직접 통신 채널(310), MAC 엔터티(320), RLC 엔터티(330), 및 PDCP 엔터티(340)를 관리한다.
한편, 송신 단말(예, 200)이 RLC 엔터티(230)와 PDCP 엔터티(240)를 새롭게 생성한 경우에, 제1 SN 설정 방법 또는 제2 SN 설정 방법을 통해, RLC SN/PDCP SN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SN 설정 방법에서, 송신 단말(200)은 RLC 엔터티(230)와 PDCP 엔터티(240)를 새롭게 생성한 경우에, RLC SN/PDCP SN이 제1 특정값(예, 0)을 가지도록 설정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기존의 RLC 엔터티(330)와 PDCP 엔터티(340)를 유지하고 있던 수신 단말(예, 300)이 예상한 값이 아닌 제1 특정값의 RLC SN/PDCP SN을 가지는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에, 수신 단말(300)은 송신 단말(200)이 RLC 엔터티(230)와 PDCP 엔터티(240)를 재생성한 것을 암묵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수신 단말(300)은 수신 데이터의 RLC SN/PDCP SN이 예상 값이 아니더라도, 재정렬(reordering) 타이머를 구동하지 않고(예상 값의 RLC SN/PDCP SN을 가지는 데이터를 기다리지 않고), RLC SDU/PDCP SDU를 수신하여 상위 계층에게 전달한다. 구체적으로, 수신된 데이터가 단말(300)이 속한 제1 그룹(G1)을 목적지로 하는 경우에, RLC 엔터티(330)는 수신된 데이터의 RLC SN을 확인한다. 수신된 데이터의 RLC SN이 RLC 엔터티(330)가 예상한 값이 아닌 제1 특정값(예, 0)인 경우에, 단말(300)은 수신 버퍼를 모두 리셋하고, 새롭게 RLC SDU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단말(300)이 단말(200)이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 전송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의 그룹 식별자가 제1 그룹(G1)을 나타내고, 그리고 수신된 데이터의 RLC SN이 제1 특정값(예, 0)인 경우에, 수신된 데이터는 새로운 데이터이거나 연속적인 데이터 전송을 완료된 후에 다시 전송되는 데이터이므로, 단말(300)은 수신 버퍼를 모두 리셋한다. 마찬가지로, 수신된 데이터의 PDCP SN이 PDCP 엔터티(340)가 예상한 값이 아닌 제1 특정값(예, 0)인 경우에, 단말(300)은 수신 버퍼를 모두 리셋하고, 새롭게 RLC SDU를 수신한다. 이 때, 수신 버퍼에는 이전 노드가 송신한 프레그멘티드(Fragmented) RLC PDU(Protocol Data Unit)가 남아 있을 수 있으나, D2D 그룹 통신의 브로드캐스트 전송 또는 멀티캐스트 전송에서는 데이터 수신 여부가 확인될 수 없고, 중간에 데이터가 유실될 가능성도 있으므로, 수신 버퍼의 리셋을 통해 수신 버퍼의 데이터가 폐기되더라도, 서비스 저하는 발생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프레그멘티드 데이터가 수신 버퍼에 남아 있어 수신 단말(예, 300)이 다음 데이터를 기다리고 있는 동안에, 수신 단말(300)이 수신한 데이터의 RLC SN/PDCP SN이 예상 값이 아닌 제1 특정값(예, 0)인 경우에, 수신 단말(300)은 수신 버퍼를 리셋할 수 있다. 또는, 수신 단말(300)에 의해 재정렬 타이머가 구동 중이고 수신 단말(300)이 중간에 유실된 데이터를 기다리고 있는 동안에, 수신 단말(300)이 수신한 데이터의 RLC SN/PDCP SN이 예상 값이 아닌 제1 특정값(예, 0)인 경우에, 수신 단말(300)은 재정렬 타이머를 중지시키고, 수신 버퍼에 남아 있는 데이터 중 프레그멘티드되지 않은 데이터만 상위 계층으로 포워딩하거나 수신 버퍼에 남아 있는 데이터를 모두 버릴 수 있다.
한편, 제2 SN 설정 방법에서, 송신 단말(예, 200)은 RLC 엔터티(230)와 PDCP 엔터티(240)를 새롭게 생성한 경우에, 이전의 RLC 엔터티/PDCP 엔터티에서 사용된 RLC SN/PDCP SN을 유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송신 단말(200)은 RLC 엔터티(230)와 PDCP 엔터티(240)를 새롭게 생성하더라도, 이전의 RLC SN/PDCP SN을 기존처럼 증가시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수신 단말(예, 300)은 RLC 엔터티(330)/PDCP 엔터티(340)를 새롭게 생성하거나 처음으로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에, RLC SDU/PDCP SDU를 수신한다. 한편, RLC 엔터티(330)는 UM 모드에서 RLC SN을, 수신된 RLC SDU의 중복(duplication) 처리, 재정렬(reordering) 처리, 또는 유실 감지(loss detection) 처리 등을 위해서 사용한다. RLC 엔터티(330)는 매 수신마다 하나씩 증가된 RLC SN을 수신한다. 하지만 제1 그룹(G1) 내의 여러 단말(100, 200, 400)이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에, 각 단말(100, 200, 400)이 생성한 RLC SN 또는 PDCP SN은 단말 별로 다른 값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제1 엔터티 구조에서는, 수신 단말이 다수의 RLC 엔터티와 PDCP 엔터티(예, 수신 단말이 속한 각 그룹의 송신 단말의 개수만큼의 RLC 엔터티와 PDCP 엔터티)를 생성하고, 트래픽을 송신하는 노드의 정보(예, 소스 노드 식별자)가 필요하다. 하지만, 제2 엔터티 구조에서는, 수신 단말(300)이 하나의 RLC 엔터티(330)와 PDCP 엔터티(340)를 생성하더라도, 정의된 내부 동작(예, RLC SN 또는 PDCP SN에 따라 수신 버퍼를 리셋하는 동작 등)을 통해서, 이러한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제1 SN 설정 방법에 따른 수신 버퍼 리셋 동작은, 제2 엔터티 구조 뿐만 아니라 제1 엔터티 구조에도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제2 엔터티 구조에서는, 트래픽을 전송하는 단말을 구분하기 위한 소스 노드 식별자가 필요하지 않으나, 만약 이전 노드가 데이터 전송을 완료하지 않았는데도 새로운 노드가 데이터를 전송하면, 이전 노드가 생성한 데이터가 유실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제2 엔터티 구조에, 상술한 도 5의 절차가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엔터티 구조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하는 단말은 자신이 속한 그룹의 멤버들에게 데이터 전송 시작을 알리고, 데이터의 송신을 완료한 경우에, 그룹의 멤버들에게 데이터 송신이 끝났음을 알릴 수 있다. 이를 통해, 데이터 전송을 위한 토큰(Token)이 효율적으로 관리될 수 있다.
한편, 제1 엔터티 구조에서는 단말은 다수의 RLC 엔터티와 PDCP 엔터티를 생성하고, 별도의 메시지가 없다면 수신 단말과 송신 단말은 구현 방법에 따라 각각의 엔터티를 삭제하고 재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데이터 전송 시에 MAC CE(Control Element) 또는 추가적인 MAC 헤더를 이용하여, 명시적으로 전송 엔터티의 생성과 해제를 알릴 수 있다. 즉, 단말은 RRC 메시지 등을 이용하지 않고, 전송 엔터티의 생성/해제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와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RLC 엔터티/PDCP 엔터티의 SN은 효율적으로 관리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8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단말(100~700)은 단말(800)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단말(800)은 프로세서(810), 메모리(820), 및 RF(Radio Frequency, 무선 주파수) 변환기(83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810)는 도 1에서 설명한 절차, 기능 및 방법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810)는 도 2에서 설명한 절차, 기능 및 방법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810)는 도 3 내지 도 5에서 설명한 절차, 기능 및 방법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810)는 도 6 및 도 7에서 설명한 절차, 기능 및 방법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820)는 프로세서(810)와 연결되고, 프로세서(810)의 동작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RF 변환기(830)는 프로세서(810)와 연결되고, 무선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한다. 그리고 단말(800)은 단일 안테나 또는 다중 안테나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프로토콜 설정, 메시지 플로우, 그리고 식별자(예, 그룹 식별자, 소스 노드 식별자)를 이용해, LTE-Advanced 시스템 기반의 D2D 통신에 참여하는 단말들이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또는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송수신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는,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및 멀티캐스트 서비스 이외에 유니캐스트(unicast) 서비스에도 동일한 원리로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20)

  1. 기지국의 중계 없이 제1 그룹의 제1 단말이 상기 제1 그룹의 다른 단말들과 직접 통신하는 D2D(Device to Device) 통신 방법으로서,
    제2 단말로부터 제1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데이터의 그룹 식별자를 이용해, 상기 제1 데이터가 상기 제1 그룹을 목적지로 하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데이터가 상기 제1 그룹을 목적지로 하는 경우에, 다수의 RLC(Radio Link Control) 엔터티 중에서 상기 제2 단말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RLC 엔터티를, 상기 제1 데이터의 소스 단말 식별자를 이용해,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D2D 통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단말 식별자와 상기 그룹 식별자는 상기 제1 데이터의 MAC(Medium Access Control) 헤더에 포함되는
    D2D 통신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설정을 위한 RRC(Radio Resource Control) 정보를 RRC 시그널링 없이 상기 제1 단말을 위해 사전에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D2D 통신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제2 RLC 엔터티를 통해 상기 제1 데이터를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RLC 엔터티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데이터의 소스 단말 식별자를 이용해, 상기 다수의 RLC 엔터티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1 RLC 엔터티를 판단하는 단계; 및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1 RLC 엔터티 중에서 상기 제1 데이터의 논리 채널 식별자(LCID: Logical Channel Identification)에 대응하는 상기 제2 RLC 엔터티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D2D 통신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RLC 엔터티가 상기 제1 RLC 엔터티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제1 RLC 엔터티를 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D2D 통신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은 D2D 그룹 통신을 위한 하나의 RLC 엔터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데이터는, 상기 제2 단말의 RLC 엔터티를 통해 브로드캐스트(broadcast) 또는 멀티캐스트(multicast)되는
    D2D 통신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룹을 목적지로 하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데이터의 LCID를 상기 제1 데이터의 그룹 식별자로써 이용해, 상기 제1 데이터가 상기 제1 그룹을 목적지로 하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D2D 통신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다수의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엔터티 중에서, 상기 제2 단말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PDCP 엔터티를, 상기 제1 데이터의 소스 단말 식별자를 이용해, 판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D2D 통신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PDCP 엔터티가 상기 제1 PDCP 엔터티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제1 PDCP 엔터티를 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D2D 통신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설정을 위한 RRC 정보를 포함하는 RRC 메시지를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D2D 통신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상기 제1 데이터의 소스 단말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D2D 통신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로부터, 데이터 송신 완료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D2D 통신 방법.
  13. 기지국의 중계 없이 제1 그룹의 제1 단말이 상기 제1 그룹의 다른 단말들과 직접 통신하는 D2D(Device to Device) 통신 방법으로서,
    제2 단말로부터 제1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D2D 그룹 통신을 위한 하나의 RLC 엔터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데이터의 그룹 식별자를 이용해, 상기 제1 데이터가 상기 제1 그룹을 목적지로 하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데이터가 상기 제1 그룹을 목적지로 하는 경우에, 상기 제1 단말의 RLC 엔터티를 통해, 상기 제1 데이터의 RLC 시퀀스 번호(SN: Sequence Number)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데이터의 RLC SN이 특정값인 경우에, 수신 버퍼를 리셋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D2D 통신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은 D2D 그룹 통신을 위한 하나의 RLC 엔터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데이터는, 상기 제2 단말의 RLC 엔터티를 통해 브로드캐스트(broadcast) 또는 멀티캐스트(multicast)되는
    D2D 통신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가 새로운 데이터이거나 연속적인 데이터 전송이 완료된 후에 다시 전송되는 데이터인 경우에, 상기 제1 데이터의 RLC SN은, 상기 제2 단말의 RLC 엔터티를 통해, 상기 특정값으로 설정되는
    D2D 통신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룹을 목적지로 하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데이터의 LCID를 상기 제1 데이터의 그룹 식별자로써 이용해, 상기 제1 데이터가 상기 제1 그룹을 목적지로 하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D2D 통신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상기 제1 데이터의 소스 단말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D2D 통신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로부터, 데이터 송신 완료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D2D 통신 방법.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RLC 엔터티에 대응하는 하나의 PDCP 엔터티를 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D2D 통신 방법.
  20. 기지국의 중계 없이 제1 그룹의 제1 단말이 상기 제1 그룹의 다른 단말들과 직접 통신하는 D2D(Device to Device) 통신 방법으로서,
    상기 제1 그룹의 그룹 오너(group owner)로 설정되는 단계;
    상기 제1 그룹의 제2 단말로부터, 제1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데이터의 목적지를 상기 제1 그룹으로 설정하여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D2D 통신 방법.
KR1020140124609A 2013-11-01 2014-09-18 D2D(Device to Device) 통신 방법 및 장치 KR201500513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527,511 US20150124646A1 (en) 2013-11-01 2014-10-29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32543 2013-11-01
KR1020130132543 2013-11-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1310A true KR20150051310A (ko) 2015-05-12

Family

ID=53388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4609A KR20150051310A (ko) 2013-11-01 2014-09-18 D2D(Device to Device) 통신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5131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46811B2 (en) Method for establishing a fronthaul interface, method for performing access for a UE,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a handover for a UE, data forwarding method,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EP3509371B1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message
US10911980B2 (en) Method for triggering a sidelink buffer status reporting in a D2D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JP6683717B2 (ja) D2d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d2d端末に対するサイドリンクグラントを選択する方法及びその装置
KR102004272B1 (ko) D2d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버퍼 상태 보고를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US20210068176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s Apparatus
JP6662477B2 (ja) 最適化されたue中継
US20150124646A1 (en)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US10588160B2 (en) Method for handling an ID collision for a D2D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US20100020733A1 (en) Synchronous messaging for mobile station
US10506623B2 (en) Method for triggering a BSR for sidelink data in a D2D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US20220338283A1 (en) System information delivery for layer-2-based sidelink relay
US20160302181A1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network apparatus, and radio terminal
KR20170109002A (ko) D2D 통신 시스템에서의 ProSe를 위한 패킷 필터링 수행 방법 및 그 장치
CN110754112B (zh) 网络接入方法以及移动性支持和数据传送的方法和装置
WO2016013590A1 (ja) ユーザ端末及び移動通信システム
WO2022239690A1 (ja) 通信制御方法及びユーザ装置
US1120651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lay terminal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 in D2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3037094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ath Switch
US10667286B2 (en) Method for selecting prose destinations or SL grants in a D2D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WO2018054336A1 (zh) 消息的发送方法和装置
KR20150051310A (ko) D2D(Device to Device) 통신 방법 및 장치
US20230209534A1 (en)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