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1138A - D2d(device to device) 디스커버리 방법 및 자원 할당 방법 - Google Patents

D2d(device to device) 디스커버리 방법 및 자원 할당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1138A
KR20150051138A KR1020140124611A KR20140124611A KR20150051138A KR 20150051138 A KR20150051138 A KR 20150051138A KR 1020140124611 A KR1020140124611 A KR 1020140124611A KR 20140124611 A KR20140124611 A KR 20140124611A KR 20150051138 A KR20150051138 A KR 201500511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ource
discovery
base station
termina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4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재승
윤미영
오성민
이창희
박애순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US14/526,673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50119055A1/en
Publication of KR201500511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11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2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downlink control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H04W84/045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using private Base Stations, e.g. femto Base Stations, home Node 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기지국의 중계 없이 제1 셀 내의 제1 단말이 제2 셀 내의 제2 단말을 디스커버리하는 D2D(Device to Device) 디스커버리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제1 단말은, 상기 제1 셀의 제1 기지국으로부터, D2D 디스커버리를 위한 제1 자원에 대한 정보를 SIB(System Information Block) 또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메시지를 통해 수신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단말은, 상기 제1 자원을 이용해 D2D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한다.

Description

D2D(DEVICE TO DEVICE) 디스커버리 방법 및 자원 할당 방법{METHOD FOR DEVICE TO DEVICE DISCOVERY AND METHOD FOR RESOURCE ALLOCATION}
본 발명은 단말의 D2D 디스커버리 방법 및 기지국의 자원 할당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는, 단말이 기지국을 경유하지 않고 다른 단말과 직접 통신하는 D2D(Device to Device) 통신을 위한 표준화가 진행 중이다.
지금까지 3GPP 회의를 통해 합의된 D2D 시나리오는 도 1과 같다. 구체적으로, 도 1의 (A)는 시나리오 1A를 나타내고, 단말(100)과 단말(200) 모두가 기지국의 커버리지 밖에 위치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도 1의 (B)는 시나리오 1B를 나타내고, 단말(100)은 기지국(300)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고, 단말(200)은 기지국(300)의 커버리지 밖에 위치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도 1의 (C)는 시나리오 1C를 나타내고, 단말(100)과 단말(200) 모두가 기지국(300)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도 1의 (D)는 시나리오 1D를 나타내고, 단말(100)은 기지국(300)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고, 단말(200)은 기지국(400)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즉, 시나리오 1A~1D는 아래의 표 1과 같다.
시나리오 단말(100) 단말(200)
1A: Out of Coverage Out of Coverage Out of Coverage
1B: Partial Coverage In Coverage Out of Coverage
1C: In Coverage-Single-Cell In Coverage In Coverage
1D: In Coverage-Multi-Cell In Coverage In Coverage
2013년 9월 RAN2 #83bis 회의를 통해 작성된 TR 36.843 문서에 따르면, 아래의 표 2와 같이, 시나리오 1A~1D 중에서 In coverage 환경에서의 D2D 디스커버리 메카니즘(예, 시나리오 1C, 1D)에 중점을 두는 것으로 합의되었다.
6. D2D Discovery 6.3.1 General - RAN2 will focus on a D2D Discovery mechanism for in - coverage ( Scenario 1C and 1D)

- UE needs to be allowed by the NW to transmit discovery messages in both RRC_IDLE and RRC_CONNECTED modes.
a) The NW needs to be in control of the resources and transmission mode (RRC_CONNECTED and/or RRC_IDLE) that the UEs may use to transmit Discovery signals.
b) The details of resource allocation (Type 1 or Type2; SIB or dedicated) are FFS.
c) Editor's note: NW should have the option to select the preferred configuration mode (RRC_IDLE or RRC_CONNECTED) for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discovery messages.
6.3.3 RRM Aspect - It is possible for UEs to receive D2D discovery message while being RRC_IDLE and RRC_CONNECTED.
a) If the UE cannot interpret (in AS or higher layers) the received D2D discovery message it may or may not establish an RRC Connection in order to verify the content e.g. with an application server.

- Transmission of discovery messages should be supported in RRC_IDLE mode and in RRC_CONNECTED mode.
현재까지 3GPP에서 합의된 D2D 디스커버리의 자원 할당 및 제공 형태는, 아래의 표 3과 같이, 크게 제1 타입(Type 1)과 제2 타입(Type 2)으로 구분되고, 제2 타입(Type 2)은 다시 제2A 타입(Type 2A)과 제2B 타입(Type 2B)으로 구분된다.
Type 1 - a discovery procedure where resources for discovery signal transmission are allocated on a non UE specific basis.

- Resources can be for all UEs or group of UEs.
Type 2 a discovery procedure where resources for discovery signal transmission are allocated on a per UE specific basis.
Type 2A:
Resources are allocated for each specific transmission instance of discovery signals
Type 2B:
Resources are semi-persistently allocated for discovery signal transmission
표 3과 같이, 제1 타입(Type 1)의 디스커버리 방식은, 특정 단말이 아닌 셀 내의 모든 단말이나 단말 그룹을 대상으로 자원이 할당되는 형태이다. 그리고 제2 타입(Type 2)의 디스커버리 방식은, 특정 단말을 대상으로 자원이 할당되는 형태이다. 구체적으로, 제2A 타입(Type 2A)의 디스커버리 방식은, 디스커버리를 위한 신호가 전송될 때 마다 동적으로 자원이 할당되는 형태이고, 제2B 타입(Type 2B)의 디스커버리 방식은, 일정 시간 동안 고정 자원이 할당되는 형태이다.
한편, 단말들(100, 200) 간의 디스커버리는, 한 단말(100)이 기지국(300)으로부터 자원을 할당 받아 디스커버리를 위한 신호를 전송하고, 주변 단말(200)이 해당 자원을 탐색하여 디스커버리 신호를 올바르게 수신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시나리오 1C(Intra-Cell)에서는, 하나의 기지국(300)에 의해 자원이 할당되고, 할당된 자원 정보를 셀 내의 모든 단말들(100, 200)이 공유할 수 있으므로, 단말(100)이 보낸 디스커버리 신호를 주변 단말(200)이 해당 자원을 탐색하여, 올바르게 수신할 수 있다.
하지만, 시나리오 1D(Inter-Cell)에서는, 상이한 기지국(300, 400)에 의해 서로 다른 자원이 할당되고, 할당된 자원 정보가 이웃 셀까지 전달되지 않는다면, 다른 셀에 속한 단말(100)이 보낸 디스커버리 신호를 주변 셀에 속한 단말(200)이 해당 자원을 탐색할 수 없어 올바르게 수신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단말들이 서로 다른 셀에 속해 있는 경우에, 디스커버리를 올바르게 수행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기지국의 중계 없이 제1 셀 내의 제1 단말이 제2 셀 내의 제2 단말을 디스커버리하는 D2D(Device to Device) 디스커버리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D2D 디스커버리 방법은, 상기 제1 셀의 제1 기지국으로부터, D2D 디스커버리를 위한 제1 자원에 대한 정보를 SIB(System Information Block) 또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메시지를 통해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자원을 이용해 D2D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자원은 D2D 디스커버리를 위해 상기 제1 기지국과 상기 제2 셀의 제2 기지국에 의해 공통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 자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기지국 및 상기 제2 기지국에 의해 사전에 정의된 상기 제1 자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SIB를, 상기 제1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자원은 D2D 디스커버리를 위해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1 셀 내의 제3 단말에게 할당될 수 있다.
상기 제1 자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제1 셀과 상기 제2 셀의 경계 영역 또는 중첩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제1 기지국 및 상기 제2 기지국에 의해 상기 경계 영역 또는 상기 중첩 영역을 위한 자원으로써 사전에 설정된 상기 제1 자원에 대한 정보를, 상기 RRC 메시지를 통해 상기 제1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D2D 디스커버리 방법은, 상기 제1 자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제1 단말의 위치 정보 및 수신 신호 세기에 대한 측정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제1 기지국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기지국의 중계 없이 제1 셀 내의 제1 단말이 제2 셀 내의 제2 단말을 디스커버리하는 D2D 디스커버리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D2D 디스커버리 방법은, 상기 제1 셀의 제1 기지국이 D2D 디스커버리를 위해 사용하는 제1 자원에 대한 정보와 상기 제2 셀의 제2 기지국이 D2D 디스커버리를 위해 사용하는 제2 자원에 대한 정보를, SIB 또는 RRC 메시지를 통해 상기 제1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자원을 이용해 제1 D2D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D2D 디스커버리 방법은, 상기 제1 자원과 상기 제2 자원을 스캐닝하여 제2 D2D 디스커버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자원 정보와 상기 제2 자원 정보는 상기 제1 기지국과 상기 제2 기지국 간의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제1 기지국과 상기 제2 기지국 간에 공유될 수 있다.
상기 제1 자원 정보와 상기 제2 자원 정보는 상기 제1 기지국과 상기 제2 기지국의 SON(Self Organizing Network) 기능을 통해 상기 제1 기지국과 상기 제2 기지국 간에 공유될 수 있다.
상기 제1 자원은 D2D 디스커버리를 위해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1 셀 내의 제3 단말에게 할당되고, 상기 제2 자원은 D2D 디스커버리를 위해 상기 제2 단말과 상기 제2 셀 내의 제4 단말에게 할당될 수 있다.
상기 제1 자원 정보와 제2 자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자원 정보와 상기 제2 자원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SIB를, 상기 제1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지국 및 상기 제2 기지국은 매크로(macro) 기지국일 수 있다.
상기 제2 자원은, D2D 디스커버리를 위해 상기 제2 단말에게 할당된 제3 자원과 D2D 디스커버리를 위해 상기 제2 셀 내의 제4 단말에게 할당된 제4 자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자원 정보와 제2 자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자원 정보와 상기 제2 자원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RRC 메시지를, 상기 제1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자원은 D2D 디스커버리를 위해 상기 제1 셀 내의 제3 단말에게 할당된 자원과 다른 자원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셀의 제1 기지국이 D2D 디스커버리를 위한 자원을 할당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자원 할당 방법은, 상기 제1 기지국이 D2D 디스커버리를 위해 사용하는 제1 자원에 대한 정보를 제2 셀의 제2 기지국에게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2 기지국이 D2D 디스커버리를 위해 사용하는 제2 자원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2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자원 정보 및 상기 제2 자원 정보를 포함하는 SIB 또는 RRC 메시지를, 상기 제1 셀 내의 제1 단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2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는, SON 기능을 이용해 상기 제2 자원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단말에게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셀 내의 제2 단말에게 할당한 자원과 동일한 상기 제1 자원을 상기 제1 단말에게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자원 정보 및 상기 제2 자원 정보를 포함하는 SIB를 브로드캐스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들이 서로 다른 셀에 속해 있는 경우에도, 제1 타입(Type 1)의 디스커버리와 제2 타입(Type 2)의 디스커버리를 올바르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은 다른 매크로 기지국 영역 내에 속한 상대 단말을 정상적으로 디스커버리할 수 있다.
도 1은 D2D 시나리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시나리오 1D에서 단말이 디스커버리를 정상적으로 수행하지 못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단말이 공통 자원을 이용해 제1 타입의 디스커버리를 수행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단말이 공통 자원을 이용해 D2D 디스커버리를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단말이 전용 자원을 이용해 제1 타입의 디스커버리를 수행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단말이 전용 자원을 이용해 D2D디스커버리를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은 단말이 전용 자원을 이용해 제2 타입의 디스커버리를 수행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단말이 전용 자원을 이용해 D2D디스커버리를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9는 단말이 사전에 설정된 자원을 이용해 제2 타입의 디스커버리를 수행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단말(terminal)은,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MT), 이동국(mobile station, MS), 진보된 이동국(advanced mobile station, AMS), 고신뢰성 이동국(high reliability mobile station, HR-MS),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SS), 휴대 가입자국(portable subscriber station, PSS), 접근 단말(access terminal, AT),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단말, MT, MS, AMS, HR-MS, SS, PSS, AT, UE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기지국(base station, BS)은, 진보된 기지국(advanced base station, ABS), 고신뢰성 기지국(high reliability base station, HR-BS), 노드B(node B), 고도화 노드B(evolved node B, eNodeB), 접근점(access point, AP), 무선 접근국(radio access station, RAS), 송수신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 MMR(mobile multihop relay)-BS, 기지국 역할을 수행하는 중계기(relay station, RS), 기지국 역할을 수행하는 고신뢰성 중계기(high reliability relay station, HR-RS), 소형 기지국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BS, ABS, HR-BS, 노드B, eNodeB, AP, RAS, BTS, MMR-BS, RS, HR-RS, 소형 기지국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2는 시나리오 1D에서 단말(100, 200)이 디스커버리를 정상적으로 수행하지 못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기지국(300)이 D2D 디스커버리를 위해 자원(R1)을 기지국(100)의 셀(10) 내의 단말(100)에게 할당하고, 단말(100)이 디스커버리 자원(R1)을 이용해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 단말(200)은 단말(100)이 D2D 디스커버리를 위해 사용하는 자원(R1)에 대한 정보를 알지 못하기 때문에, 디스커버리 자원(R1)을 탐색할 수 없어 올바르게 디스커버리 신호를 수신할 수 없다. 마찬가지로, 기지국(400)이 D2D 디스커버리를 위해 자원(R2)를 기지국(200)의 셀(20) 내의 단말(200)에게 할당하고, 단말(200)이 디스커버리 자원(R2)을 이용해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 단말(100)은 단말(200)이 D2D 디스커버리를 위해 사용하는 자원(R2)에 대한 정보를 알지 못하기 때문에, 디스커버리 자원(R2)을 탐색할 수 없어 올바르게 디스커버리 신호를 수신할 수 없다.
단말(100, 200)이 서로 다른 셀(10, 20)에 위치하더라도, 단말(100, 200)이 제1 타입(Type 1)의 D2D 디스커버리를 올바르게 수행할 수 있는 방법(예, 자원 할당 방법, 할당된 자원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등)에 대하여, 도 3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단말(100, 200)이 서로 다른 셀(10, 20)에 위치하더라도, 단말(100, 200)이 제2 타입(Type 2)의 D2D 디스커버리를 올바르게 수행할 수 있는 방법(예, 자원 할당 방법, 할당된 자원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등)에 대하여, 도 7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단말(100, 200)이 공통 디스커버리 자원(R3)을 이용해 제1 타입(Type 1)의 디스커버리를 수행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1 타입(Type 1)의 디스커버리 방식에서, 기지국(300)은 D2D 디스커버리를 위해 셀(10) 내의 모든 단말에게 동일한 자원을 할당하거나, 셀(10) 내의 단말 그룹에게 동일한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시스템의 모든 기지국(300, 400)은 D2D 디스커버리를 위해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공통 디스커버리 자원(System-Wide Common D2D Discovery Resource, R3)을 사전에 정의한다.
기지국(300, 400)은 공통 디스커버리 자원(R3)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SIB(System Information Block)를 방송(Broadcast)한다. 기지국(300, 400)은 SIB를 주기적으로 방송한다.
각 셀(10, 20) 내의 모든 단말(100, 200)은 공통 디스커버리 자원(R3)을 사용하여 D2D 디스커버리를 위한 절차를 수행한다.
도 4는 도 3의 단말(100, 200)이 공통 디스커버리 자원(R3)을 이용해 D2D 디스커버리를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기지국(300, 400)은 D2D 디스커버리를 위한 공통 자원(R3)을 사전에 설정한다(S110).
각 기지국(300, 400)은 공통 디스커버리 자원(R3)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SIB를 주기적으로 방송한다(S120, 130).
각 단말(100, 200)은 SIB를 수신하고, SIB로부터 공통 디스커버리 자원(R3)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고, 공통 디스커버리 자원(R3)을 이용해 D2D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한다(S140). 그리고 각 단말(100, 200)은 공통 디스커버리 자원(R3)을 스캐닝하여, D2D 디스커버리 신호를 수신한다.
도 5는 단말(100, 200)이 전용(dedicated) 자원(R4, R5)을 이용해 제1 타입의 디스커버리를 수행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각 기지국(300, 400)은 D2D 디스커버리를 위해 독자적으로 사용하는 자원(R4, R5)을 정의한다. 구체적으로, 도 5에서는 기지국(300)이 D2D 디스커버리를 위해 자원(R4)을 사용하고, 기지국(400)이 D2D 디스커버리를 위해 자원(R5)을 사용하는 경우를 예시하였다.
각 기지국(300, 400)은 디스커버리 자원(R4, R5)에 대한 정보를 주변 기지국과 공유한다. 구체적으로, 기지국(300)과 기지국(400)은 시그널링을 통해 디스커버리 자원(R4, R5)에 대한 정보를 서로 공유할 수 있다. 또는, 기지국(300)과 기지국(400)은 SON(Self Organizing Network) 기능을 통해 디스커버리 자원(R4, R5)에 대한 정보를 서로 공유할 수 있다.
각 기지국(300, 400)이 디스커버리 자원(R4, R5)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SIB를 방송한다. 구체적으로, 기지국(300)은 셀(10)을 위해 할당된 디스커버리 자원(R4)에 대한 정보와, 주변 셀(20)을 위해 할당된 디스커버리 자원(R5)에 대한 정보를 모두 SIB에 포함시켜, SIB를 방송한다. 마찬가지로, 기지국(400)은 셀(20)을 위해 할당된 디스커버리 자원(R5)에 대한 정보와, 주변 셀(10)을 위해 할당된 디스커버리 자원(R4)에 대한 정보를 모두 SIB에 포함시켜, SIB를 방송한다.
단말(100)은 셀(10)을 위해 할당된 디스커버리 자원(R4)을 이용해 D2D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한다. 그리고 단말(100)은 디스커버리 자원(R4)과 주변 셀(20)을 위해 할당된 디스커버리 자원(R5)을 스캐닝하여, 자신이 속한 셀(10) 또는 주변 셀(20)에서 생성된 D2D 디스커버리 신호를 수신한다. 마찬가지로, 단말(200)은 셀(20)을 위해 할당된 디스커버리 자원(R5)을 이용해 D2D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하고, 디스커버리 자원(R5)과 주변 셀(10)을 위해 할당된 디스커버리 자원(R4)을 스캐닝하여 D2D 디스커버리 신호를 수신한다.
도 6은 도 5의 단말(100, 200)이 전용 자원을 이용해 D2D 디스커버리를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기지국(300, 400)은 D2D 디스커버리를 위한 자원 설정 정보를 서로 공유한다(S210). 구체적으로 기지국(300, 400)은 D2D 디스커버리를 위한 자원 설정 정보를 서로 교환할 수 있다. 또는, 각 기지국(300, 400)은 D2D 디스커버리를 위한 주변 셀의 자원 설정 정보를 SON 기능을 이용해 획득할 수 있다.
기지국(300)은 자신의 셀(10)을 위해 할당된 디스커버리 자원(R4)에 대한 정보와 S210 과정에서 획득된 주변 셀(20)의 디스커버리 자원(R5)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SIB를 주기적으로 방송한다(S220). 마찬가지로, 기지국(400)은 자신의 셀(20)을 위해 할당된 디스커버리 자원(R5)에 대한 정보와 S210 과정에서 획득된 주변 셀(10)의 디스커버리 자원(R4)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SIB를 주기적으로 방송한다(S230).
단말(100)은 디스커버리 자원(R4)을 이용해 D2D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한다(S240). 그리고 단말(100)은 디스커버리 자원(R4)과 디스커버리 자원(R5)을 스캐닝하여 D2D 디스커버리 신호를 수신한다. 마찬가지로, 단말(200)은 디스커버리 자원(R5)을 이용해 D2D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하고(S250), 디스커버리 자원(R4)과 디스커버리 자원(R5)을 스캐닝하여 D2D 디스커버리 신호를 수신한다.
도 7은 단말(100, 200)이 전용 자원(R6, R7)을 이용해 제2 타입의 디스커버리를 수행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2 타입(Type 2)의 디스커버리 방식에서, 기지국(300)은 D2D 디스커버리를 위해 셀(10) 내의 단말들에게 동일한 자원 또는 서로 다른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300)은 셀(10) 내의 단말(100)에게 디스커버리 자원(R6)을 할당하고, 셀(10) 내의 다른 단말에게 디스커버리 자원(R6)과 다른 자원을 할당할 수도 있다.
각 기지국(300, 400)은 D2D 디스커버리를 위해 독자적으로 사용하는 자원(R6, R7)을 정의한다. 구체적으로, 도 7에서는 기지국(300)이 D2D 디스커버리를 위해 자원(R6)을 단말(100)에게 할당하고, 기지국(400)이 D2D 디스커버리를 위해 자원(R7)을 단말(200)에게 할당하는 경우를 예시하였다.
각 기지국(300, 400)은 정의한 자원 정보(L1, L2)를 주변 기지국과 주기적으로 공유한다. 예를 들어, 기지국(300)이 단말(100)에게 디스커버리 자원(R6)을 할당하고, 셀(10) 내의 다른 단말에게 디스커버리 자원(R6)과 다른 디스커버리 자원(이하 '디스커버리 자원(R9)')을 할당한 경우에, 디스커버리 자원(R6)과 디스커버리 자원(R9)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디스커버리 자원 리스트(L2)를 기지국(4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기지국(400)이 단말(200)에게 디스커버리 자원(R7)을 할당하고, 셀(20) 내의 다른 단말에게 디스커버리 자원(R7)과 다른 디스커버리 자원(이하 '디스커버리 자원(R10)')을 할당한 경우에, 디스커버리 자원(R7)과 디스커버리 자원(R10)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디스커버리 자원 리스트(L1)를 기지국(3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각 기지국(300, 400)은 자신의 셀을 위해 할당된 자원 정보와 주변 셀을 위해 할당된 자원 정보를 포함하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시그널링 메시지를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기지국(300)은 단말(100)에게 할당한 디스커버리 자원(R6)에 대한 정보와 기지국(400)으로부터 수신된 디스커버리 자원 리스트(L1)를 RRC 시그널링 메시지에 포함시키고, RRC 시그널링 메시지를 단말(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기지국(400)은 단말(200)에게 할당한 디스커버리 자원(R7)에 대한 정보와 기지국(300)으로부터 수신된 디스커버리 자원 리스트(L2)를 RRC 시그널링 메시지에 포함시키고, RRC 시그널링 메시지를 단말(2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단말(100)은 할당 받은 디스커버리 자원(R6)을 이용해 D2D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한다. 그리고 단말(100)은 디스커버리 자원(R6)과 디스커버리 자원 리스트(L1)에 포함된 자원을 스캐닝하여, D2D 디스커버리 신호를 수신한다. 마찬가지로, 단말(200)은 할당 받은 디스커버리 자원(R7)을 이용해 D2D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하고, 디스커버리 자원(R7)과 디스커버리 자원 리스트(L2)에 포함된 자원을 스캐닝하여, D2D 디스커버리 신호를 수신한다.
도 8은 도 7의 단말(100, 200)이 전용 자원(R6, R7)을 이용해 D2D 디스커버리를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기지국(300, 400)은 D2D 디스커버리를 위한 자원 설정(resource configuration)을 주기적으로 교환한다(S310).
기지국(300)은 단말(100)에게 할당한 디스커버리 자원(R6)에 대한 정보와, S310 과정에서 기지국(400)으로부터 수신한 디스커버리 자원 리스트(L1)를 포함하는 RRC 시그널링 메시지를 단말(100)에게 전송한다(S320). 마찬가지로, 기지국(400)은 단말(200)에게 할당한 디스커버리 자원(R7)에 대한 정보와, S310 과정에서 기지국(300)으로부터 수신한 디스커버리 자원 리스트(L2)를 포함하는 RRC 시그널링 메시지를 단말(200)에게 전송한다(S330). 디스커버리 자원 리스트(L1)는 디스커버리 자원(R7)을 포함하고, 디스커버리 자원 리스트(L2)는 디스커버리 자원(R6)을 포함한다.
단말(100)은 할당 받은 디스커버리 자원(R6)을 이용해 D2D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한다(S340). 그리고 단말(100)은 디스커버리 자원(R6)과 디스커버리 자원 리스트(L1)에 포함된 자원(R7)을 스캐닝하여 D2D 디스커버리 신호를 수신한다. 마찬가지로, 단말(200)은 할당 받은 디스커버리 자원(R7)을 이용해 D2D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하고(S350), 디스커버리 자원(R7)과 디스커버리 자원 리스트(L2)에 포함된 자원(R6)을 스캐닝하여 D2D 디스커버리 신호를 수신한다.
도 9는 단말(100, 200)이 사전에 설정된(pre-configured) 자원(R8)을 이용해 제2 타입의 디스커버리를 수행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기지국들(300, 400)은 셀(100, 200)의 경계(boundary) 영역(30) 또는 자신의 셀과 다른 셀이 중첩된 영역(30)을 위한 D2D 디스커버리 자원(R8)을, 사전에 정의한다. 제1 영역(30)은 셀(100, 200)의 경계 영역과 중첩 영역을 포함한다.
기지국(300, 400)은 단말(100, 200)의 위치 정보 및 측정 보고(measurement report) 등을 기반으로 단말(100, 200)이 제1 영역(30)에 위치함을 감지한 경우에, D2D 디스커버리를 위해 사전에 설정된 자원(R8)을 단말(100, 200)에게 할당한다. 예를 들어, 단말(100)은 자신의 위치 정보, 수신 신호 세기에 대한 측정 결과 등을 기지국(3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300)은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기초로 단말(100)이 제1 영역(30)에 위치하는 지를 판단한다. 단말(100)이 제1 영역(30)에 위치하는 경우에, 기지국(300)은 제1 영역(30)을 위해 사전에 설정된 디스커버리 자원(R8)을 단말(100)에게 할당한다.
기지국(300, 400)은 단말(100, 200)에게 할당한 디스커버리 자원(R8)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RRC 시그널링 메시지를, 단말(100, 200)에게 전송한다. 예를 들어, 기지국(100)이 제1 영역(30)에 위치하는 단말(100)에게 디스커버리 자원(R8)을 할당한 경우에, 디스커버리 자원(R8)에 대한 정보를 RRC 시그널링 메시지에 포함시키고, RRC 시그널링 메시지를 단말(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단말(100, 200)은 RRC 시그널링 메시지에 포함된 디스커버리 자원(R8)에 대한 정보를 이용해, D2D 디스커버리 절차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제1 영역(30)에 위치하는 단말(100)은 할당 받은 디스커버리 자원(R8)을 이용해 D2D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한다. 그리고 단말(100)은 디스커버리 자원(R8)을 스캐닝하여, D2D 디스커버리 신호를 수신한다. 마찬가지로, 제1 영역(30)에 위치하는 단말(200)은 할당 받은 디스커버리 자원(R8)을 이용해 D2D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하고, 디스커버리 자원(R8)을 스캐닝하여 D2D 디스커버리 신호를 수신한다.
한편, 도 9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 7의 실시예에 비해, 기지국(300, 400)이 디스커버리 자원 정보를 교환하는 오버헤드를 완화시킬 수 있고, RRC 시그널링 메시지를 다운사이징(downsizing)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단말(200)은 단말(100)과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100)은 프로세서(110), 메모리(120), 및 RF(Radio Frequency) 변환기(13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10)는 도 3 내지 도 9에서 설명한, 단말(100, 200)과 관련된 절차, 기능 및 방법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120)는 프로세서(110)와 연결되고, 프로세서(110)의 동작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RF 변환기(130)는 프로세서(110)와 연결되고, 무선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한다. 그리고 단말(100)은 단일 안테나 또는 다중 안테나를 가질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3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기지국(400)은 기지국(300)과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지국(300)은 프로세서(310), 메모리(320), 및 RF 변환기(33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310)는 도 3 내지 도 9에서 설명한, 기지국(300, 400)과 관련된 절차, 기능 및 방법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320)는 프로세서(310)와 연결되고, 프로세서(310)의 동작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RF 변환기(330)는 프로세서(310)와 연결되고, 무선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한다. 그리고 기지국(300)은 단일 안테나 또는 다중 안테나를 가질 수 있다.
한편, 기지국(300, 400)은 매크로(macro) 기지국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9)

  1. 기지국의 중계 없이 제1 셀 내의 제1 단말이 제2 셀 내의 제2 단말을 디스커버리하는 D2D(Device to Device) 디스커버리 방법으로서,
    상기 제1 셀의 제1 기지국으로부터, D2D 디스커버리를 위한 제1 자원에 대한 정보를 SIB(System Information Block) 또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메시지를 통해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자원을 이용해 D2D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자원은 D2D 디스커버리를 위해 상기 제1 기지국과 상기 제2 셀의 제2 기지국에 의해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D2D 디스커버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기지국 및 상기 제2 기지국에 의해 사전에 정의된 상기 제1 자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SIB를, 상기 제1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자원은 D2D 디스커버리를 위해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1 셀 내의 제3 단말에게 할당되는
    D2D 디스커버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제1 셀과 상기 제2 셀의 경계 영역 또는 중첩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제1 기지국 및 상기 제2 기지국에 의해 상기 경계 영역 또는 상기 중첩 영역을 위한 자원으로써 사전에 설정된 상기 제1 자원에 대한 정보를, 상기 RRC 메시지를 통해 상기 제1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D2D 디스커버리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제1 단말의 위치 정보 및 수신 신호 세기에 대한 측정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제1 기지국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D2D 디스커버리 방법.
  5. 기지국의 중계 없이 제1 셀 내의 제1 단말이 제2 셀 내의 제2 단말을 디스커버리하는 D2D 디스커버리 방법으로서,
    상기 제1 셀의 제1 기지국이 D2D 디스커버리를 위해 사용하는 제1 자원에 대한 정보와 상기 제2 셀의 제2 기지국이 D2D 디스커버리를 위해 사용하는 제2 자원에 대한 정보를, SIB 또는 RRC 메시지를 통해 상기 제1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자원을 이용해 제1 D2D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D2D 디스커버리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원과 상기 제2 자원을 스캐닝하여 제2 D2D 디스커버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D2D 디스커버리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원 정보와 상기 제2 자원 정보는 상기 제1 기지국과 상기 제2 기지국 간의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제1 기지국과 상기 제2 기지국 간에 공유되는
    D2D 디스커버리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원 정보와 상기 제2 자원 정보는 상기 제1 기지국과 상기 제2 기지국의 SON(Self Organizing Network) 기능을 통해 상기 제1 기지국과 상기 제2 기지국 간에 공유되는
    D2D 디스커버리 방법.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원은 D2D 디스커버리를 위해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1 셀 내의 제3 단말에게 할당되고, 상기 제2 자원은 D2D 디스커버리를 위해 상기 제2 단말과 상기 제2 셀 내의 제4 단말에게 할당되고,
    상기 제1 자원 정보와 제2 자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자원 정보와 상기 제2 자원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SIB를, 상기 제1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D2D 디스커버리 방법.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지국 및 상기 제2 기지국은 매크로(macro) 기지국인
    D2D 디스커버리 방법.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자원은, D2D 디스커버리를 위해 상기 제2 단말에게 할당된 제3 자원과 D2D 디스커버리를 위해 상기 제2 셀 내의 제4 단말에게 할당된 제4 자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자원 정보와 제2 자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자원 정보와 상기 제2 자원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RRC 메시지를, 상기 제1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D2D 디스커버리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원은 D2D 디스커버리를 위해 상기 제1 셀 내의 제3 단말에게 할당된 자원과 다른 자원인
    D2D 디스커버리 방법.
  13. 제1 셀의 제1 기지국이 D2D 디스커버리를 위한 자원을 할당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제1 기지국이 D2D 디스커버리를 위해 사용하는 제1 자원에 대한 정보를 제2 셀의 제2 기지국에게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2 기지국이 D2D 디스커버리를 위해 사용하는 제2 자원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2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자원 정보 및 상기 제2 자원 정보를 포함하는 SIB 또는 RRC 메시지를, 상기 제1 셀 내의 제1 단말에게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자원 할당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는,
    SON 기능을 이용해 상기 제2 자원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원 할당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에게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셀 내의 제2 단말에게 할당한 자원과 동일한 상기 제1 자원을 상기 제1 단말에게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자원 정보 및 상기 제2 자원 정보를 포함하는 SIB를 브로드캐스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원 할당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자원은, D2D 디스커버리를 위해 상기 제2 셀 내의 제2 단말에게 할당된 제3 자원과 D2D 디스커버리를 위해 상기 제2 셀 내의 제3 단말에게 할당된 제4 자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말에게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자원 정보 및 상기 제2 자원 정보를 포함하는 RRC 메시지를 상기 제1 단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원 할당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에게 할당된 상기 제1 자원과 다른 제5 자원을 D2D 디스커버리를 위해 상기 제1 셀 내의 제4 단말에게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제5 자원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2 기지국에게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자원 할당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자원 정보를 상기 제2 기지국으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원 할당 방법.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지국 및 상기 제2 기지국은 매크로 기지국인
    자원 할당 방법.
KR1020140124611A 2013-10-31 2014-09-18 D2d(device to device) 디스커버리 방법 및 자원 할당 방법 KR201500511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526,673 US20150119055A1 (en) 2013-10-31 2014-10-29 D2d (device-to-device) discovery method and resource allocation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1546 2013-10-31
KR20130131546 2013-10-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1138A true KR20150051138A (ko) 2015-05-11

Family

ID=53388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4611A KR20150051138A (ko) 2013-10-31 2014-09-18 D2d(device to device) 디스커버리 방법 및 자원 할당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5113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2685A (ko) * 2015-10-19 2018-06-29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eMTC에 대한 D2D 통신 설계 고려사항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2685A (ko) * 2015-10-19 2018-06-29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eMTC에 대한 D2D 통신 설계 고려사항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2488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ignaling system information
US20150119055A1 (en) D2d (device-to-device) discovery method and resource allocation method
US10492120B2 (en) User apparatus and base station
KR101018853B1 (ko) 매크로셀에서 펨토셀로의 핸드오버를 위한 펨토셀 탐색 방법
US8548474B2 (en) Method for automatic neighbor cell relation reporting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11140596B2 (en) Method and device for service continuity of terminal
US882506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working between multiple frequency band modes
US10142815B2 (en) Mobile station apparatus, base station apparatus, 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1023791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resources for D2D communication
CN107040864B (zh) 设备到设备d2d资源的配置方法及装置
US8995930B2 (en) Method for creating a channel between femto base stations based on user equipment
US20180115362A1 (en) User apparatus and base station
US10462782B2 (en)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KR101771026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붕괴시 데이터 통신을 위한 방법 및 장치
CN107787602B (zh) 基于公共随机接入信道资源的协调随机接入
US20170223669A1 (en)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Method, System and Storage Medium Based on Network Sharing
US20150156619A1 (en) Device discovery of second user equipments in a second network for d2d communication
CN106535332B (zh) 资源配置的传输方法及装置
CN106375965B (zh) 一种广播系统信息的方法、装置及系统
JP2016201663A (ja) 装置及び方法
US20170339703A1 (en) Device-to-Device (D2D) Interference Coordination Method and Apparatus, Base Station and User Equipment (UE)
EP4210422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US10028241B2 (en)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upper network apparatus, and radio base station
US20170238348A1 (en) Hybrid Networking Implementation Method, System and Device and Computer Storage Medium
EP3076700A1 (en)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base st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