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0358A - 이차 전지용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 Google Patents

이차 전지용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0358A
KR20150050358A KR1020140137614A KR20140137614A KR20150050358A KR 20150050358 A KR20150050358 A KR 20150050358A KR 1020140137614 A KR1020140137614 A KR 1020140137614A KR 20140137614 A KR20140137614 A KR 20140137614A KR 20150050358 A KR20150050358 A KR 201500503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ondary battery
frame
cooling plate
unit frame
convex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7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10876B1 (ko
Inventor
강달모
성준엽
엄영섭
김기연
유성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EP14858778.5A priority Critical patent/EP3065212B1/en
Priority to US15/031,809 priority patent/US9755285B2/en
Priority to CN201480059657.3A priority patent/CN105723560B/zh
Priority to PCT/KR2014/010251 priority patent/WO2015065043A1/ko
Priority to PL14858778T priority patent/PL3065212T3/pl
Publication of KR201500503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03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08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08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6Solid parts with flow channel passages or pipes for heat exchange
    • H01M10/6557Solid parts with flow channel passages or pipes for heat exchange arranged between the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86Frames for plates or membra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3Cooling or keeping co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2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1M10/625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4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ells
    • H01M10/647Prismatic or flat cells, e.g. pouch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4Rods or pl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6Solid parts with flow channel passages or pipes for heat exchan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1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ouch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8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spacing elements or positioning means within frames, racks or packs
    • H01M50/291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spacing elements or positioning means within frames, racks or pack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8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spacing elements or positioning means within frames, racks or packs
    • H01M50/293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spacing elements or positioning means within frames, racks or pack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5Gas exhaust passages comprising elongated, tortuous or labyrinth-shaped exhaust passages
    • H01M50/367Internal gas exhaust passages forming part of the battery cover or case; Double cover vent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33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 H01M50/24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adapted for protecting batteries from their environment, e.g. from corro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Abstract

본 발명은 이차 전지에서 가스가 발생하더라도 발생된 가스가 냉각용 유로 또는 그와 연결된 덕트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차 전지용 프레임과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용 프레임은, 열전도성 재질의 플레이트 형태로 구성된 상부 냉각 플레이트; 열전도성 재질의 플레이트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 냉각 플레이트와 상호 대면되는 형태로 소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상부 냉각 플레이트와 그 사이 공간에 유로를 형성하는 하부 냉각 플레이트; 및 양단이 서로 연결된 4개의 단위 프레임을 구비하여, 상기 상부 냉각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냉각 플레이트의 외주부를 감싸는 형태로 구성되고, 파우치형 이차 전지의 외주부가 안착되며, 2개의 단위 프레임 측면에 상기 유로가 개방되도록 개구부가 형성되고, 적어도 2개 이상의 단위 프레임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상호 대응되는 형태로 요철부가 형성된 메인 프레임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이차 전지용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Frame for secondary battery and battery modul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배터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이차 전지를 포함하여 배터리 모듈을 구성할 때 이용되는 이차 전지용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에 관한 것이다.
현재 상용화된 이차 전지로는 니켈 카드뮴 전지, 니켈 수소 전지, 니켈 아연 전지, 리튬 이차 전지 등이 있는데, 이 중에서 리튬 이차 전지는 니켈 계열의 이차 전지에 비해 메모리 효과가 거의 일어나지 않아 충 방전이 자유롭고, 자가 방전율이 매우 낮으며 에너지 밀도가 높은 장점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이러한 리튬 이차 전지는 주로 리튬계 산화물과 탄소재를 각각 양극 활물질과 음극 활물질로 사용한다. 리튬 이차 전지는, 이러한 양극 활물질과 음극 활물질이 각각 도포된 양극판과 음극판이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배치된 전극 조립체와, 전극 조립체를 전해액과 함께 밀봉 수납하는 외장재, 즉 전지 케이스를 구비한다.
일반적으로 리튬 이차 전지는 외장재의 형상에 따라, 전극 조립체가 금속 캔에 내장되어 있는 캔형 이차 전지와 전극 조립체가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의 파우치에 내장되어 있는 파우치형 이차 전지로 분류될 수 있다.
최근에는 휴대형 전자기기와 같은 소형 장치뿐 아니라, 자동차나 전력저장장치와 같은 중대형 장치에도 이차 전지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중대형 장치에 이용되는 경우, 용량 및 출력을 높이기 위해 많은 수의 이차 전지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특히, 이러한 중대형 장치에는 적층이 용이하다는 장점으로 인해 파우치형 이차 전지가 많이 이용된다.
하지만, 파우치형 이차 전지는 일반적으로 알루미늄과 폴리머 수지의 라미네이트 시트의 전지 케이스로 포장되어 있으므로 기계적 강성이 크지 않다. 따라서, 다수의 파우치형 이차 전지를 포함하여 배터리 모듈을 구성할 때, 이차 전지를 외부의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하고, 그 유동을 방지하며, 적층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프레임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프레임은 카트리지 등 다른 다양한 용어로 대체될 수 있는데, 보통 중앙 부분이 비어 있는 사각 플레이트 형태로 구성되는 경우가 많으며, 이때 4개의 변 부분이 파우치형 이차 전지의 외주부를 감싸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프레임은 배터리 모듈을 구성하기 위해 다수가 적층된 형태로 이용되며, 이차 전지는 프레임이 적층되었을 때 생기는 내부의 빈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이처럼 다수의 프레임을 이용하여 다수의 이차 전지가 조립되도록 하는 경우, 이차 전지 사이에는 플레이트 형태의 냉각 핀이 개재될 수 있다. 이차 전지는 여름과 같이 고온 환경에서 사용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으며, 또한 이차 전지 자체적으로도 열이 발생할 수 있다. 이때, 다수의 이차 전지가 서로 적층되어 있는 경우, 이차 전지의 온도는 더욱 높아질 수 있는데, 이 온도가 적정 온도보다 높아지면 이차 전지의 성능이 저하될 수 있고, 심한 경우 폭발이나 발화의 위험도 있다. 따라서, 배터리 모듈을 구성할 때 이차 전지 사이에 냉각 핀을 개재시켜, 이러한 냉각 핀을 통해 이차 전지의 온도 상승이 방지되도록 하는 구성이 많이 이용된다.
이러한 플레이트 형태의 냉각 핀, 즉 냉각 플레이트를 이차 전지 사이에 게재시킨 배터리 모듈의 경우, 다양한 형태 및 방식으로 이차 전지를 냉각시킬 수 있다. 이러한 냉각 방식 중 대표적으로는, 냉각 플레이트 주변으로 외부 공기가 흐르도록 함으로써 냉각 플레이트와 공기 사이의 열교환을 통해 이차 전지의 온도를 낮추는 공냉식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이러한 공냉식을 이용하여 이차 전지를 냉각시키는 배터리 모듈의 경우, 냉각 플레이트 주변에 냉각용 유로를 확보하고, 이러한 냉각용 유로를 덕트와 연결하여 배터리 모듈 내외부 간 공기가 유출입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런데, 종래 이와 같이 구성되는 배터리 모듈의 경우, 이차 전지로부터 발생된 가스가 냉각용 유로 및 덕트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즉, 파우치형 이차 전지는 사용 중에 가스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가스는 인체에 유해한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런데, 이처럼 이차 전지로부터 발생한 유해 가스가 냉각용 유로로 침투하게 되면, 침투된 유해 가스는 덕트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며, 배출된 가스를 배터리 사용자가 흡입할 수 있다. 특히, 하이브리드 자동차나 전기 자동차의 경우, 많은 이차 전지가 포함된 중대형 배터리 팩이 장착되므로 이차 전지로부터 가스가 배출될 가능성이 많다. 또한, 이러한 자동차용 배터리 팩에서 유해 가스가 배출되어 덕트로 유입되면, 자동차 운전자가 덕트로 유입된 유해 가스를 흡입하여 인체에 해를 입는 것은 물론, 운전 중 유해 가스로 인해 운전 능력이 감소되어 사고를 당할 위험성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이차 전지에서 가스가 발생하더라도 발생된 가스가 냉각용 유로 또는 그와 연결된 덕트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차 전지용 프레임과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배터리 팩 및 자동차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용 프레임은, 열전도성 재질의 플레이트 형태로 구성된 상부 냉각 플레이트; 열전도성 재질의 플레이트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 냉각 플레이트와 상호 대면되는 형태로 소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상부 냉각 플레이트와 그 사이 공간에 유로를 형성하는 하부 냉각 플레이트; 및 양단이 서로 연결된 4개의 단위 프레임을 구비하여, 상기 상부 냉각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냉각 플레이트의 외주부를 감싸는 형태로 구성되고, 파우치형 이차 전지의 외주부가 안착되며, 2개의 단위 프레임 측면에 상기 유로가 개방되도록 개구부가 형성되고, 적어도 2개 이상의 단위 프레임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상호 대응되는 형태로 요철부가 형성된 메인 프레임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요철부는, 상기 이차 전지용 프레임의 상하 적층 시 인접하는 이차 전지용 프레임의 요철부와 상호 결합하여 결합된 부분이 밀폐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요철부는, 적어도 상기 개구부가 형성된 단위 프레임에 형성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요철부는, 상기 단위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요철부는, 상기 단위 프레임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둘 이상 형성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요철부는, 상기 단위 프레임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돌출부와 오목부가 모두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기 요철부가 형성된 단위 프레임의 상부에 상기 파우치형 이차 전지의 실링부가 절곡되어 안착 가능하도록 안착부가 형성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기 요철부에 실링 부재가 구비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차 전지용 프레임의 상하 적층 시, 상기 파우치형 이차 전지로부터 유출된 가스가 흐르는 벤팅 유로는, 상기 상부 냉각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냉각 플레이트 사이의 유로와 물리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인 프레임은, 개구부가 형성되지 않은 단위 프레임의 측면에, 상기 파우치형 이차 전지가 수납된 공간을 개방시키는 벤팅부가 형성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기 상부 냉각 플레이트의 상부에 하나의 파우치형 이차 전지가 안착되고, 상기 하부 냉각 플레이트의 하부에 다른 하나의 파우치형 이차 전지가 안착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은,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용 프레임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은,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용 프레임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는,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용 프레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냉각 플레이트와 열교환을 하기 위한 냉각 유체가 흐르는 냉각용 유로와 이차 전지가 수납되는 공간 사이가 물리적으로 보다 확실하게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러한 측면에 의하면, 이차 전지로부터 가스가 발생하더라도 발생된 가스가 냉각용 유로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이차 전지용 프레임의 적층시 상부 및/또는 하부에 형성된 돌출부와 하부 및/또는 상부에 형성된 삽입홈이 삽입 체결됨으로써, 이차 전지가 수납된 공간으로부터 냉각용 유로로 가스가 새어나갈 수 있는 경로가 복잡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하면, 이차 전지에서 유해한 가스가 발생하더라도 발생된 가스가 냉각용 유로 및 덕트를 통해 배터리 팩 사용자에게 전해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용 프레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구성에 대한 우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선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용 프레임이 상하 방향으로 적층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용 프레임의 요철부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용 프레임의 요철부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용 프레임의 요철부 부분에 대한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구성 방식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용 프레임은, 다수의 이차 전지를 적층 및 패키징하여 배터리 모듈을 구성할 때 이용되는 것으로, 이차 전지를 홀딩하여 그 유동을 방지하고 이차 전지의 조립을 가이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용 프레임(10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구성에 대한 우측면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1의 A-A'선에 대한 단면도이다. 다만, 도 1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부 냉각 플레이트(110)의 일부분이 절취된 형태로 도시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용 프레임(1000)은, 상부 냉각 플레이트(110), 하부 냉각 플레이트(120) 및 메인 프레임(200)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 냉각 플레이트(110)는, 넓은 플레이트 형태로 구성되며, 넓은 면이 상방과 하방을 향하도록 눕혀진 형태로 배치된다. 특히, 상부 냉각 플레이트(110)는 사각 플레이트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냉각 플레이트(120)는, 상기 상부 냉각 플레이트(110)와 마찬가지로 플레이트 형태로 구성되며, 상부 냉각 플레이트(110)의 형태에 대응되는 형태, 이를테면 상부 냉각 플레이트(110)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하부 냉각 플레이트(120)는, 넓은 면이 상부 냉각 플레이트(110)의 넓은 면과 상호 대면되는 형태로 상부 냉각 플레이트(11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부 냉각 플레이트(120)는, 상부 냉각 플레이트(110)와 소정 거리 이격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더욱이, 하부 냉각 플레이트(120)는 상부 냉각 플레이트(110)와 수평 방향으로 평행한 형태가 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처럼, 하부 냉각 플레이트(120)는 상부 냉각 플레이트(110)로부터 다소 떨어진 형태로 배치되어, 하부 냉각 플레이트(120)와 상부 냉각 플레이트(110) 사이에는 빈 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형성된 빈 공간으로는 냉각을 위한 유체가 흐를 수 있으므로, 이와 같은 하부 냉각 플레이트(120)와 상부 냉각 플레이트(110) 사이의 빈 공간은 유로로서 기능할 수 있다. 즉, 상기 하부 냉각 플레이트(120)는 상부 냉각 플레이트(110)와의 사이 공간에 냉각용 유로를 형성한다.
상기 상부 냉각 플레이트(110) 및 하부 냉각 플레이트(120)는 각각, 상부 및 하부에 위치하는 이차 전지(10)와 열교환을 할 수 있도록 열전도성이 있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2개의 냉각 플레이트는, 열전도성이 뛰어나면서도 성형이 용이하고 무게가 가벼운 알루미늄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냉각 플레이트 재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러한 냉각 플레이트는 알루미늄 이외의 금속 등 다른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메인 프레임(200)은, 4개의 단위 프레임을 구비하고, 각각의 단위 프레임은 양단이 서로 연결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메인 프레임(2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변을 구비하며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바라본 형태가 중앙 부분이 비어 있는 사각 링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메인 프레임(200)에 있어서 각 단위 프레임은 사각형의 각 변을 이룬다고 할 수 있다.
상기 메인 프레임(200)은 이러한 4개의 단위 프레임을 통해 상부 냉각 플레이트(110)와 하부 냉각 플레이트(120)의 외주부를 감싸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메인 프레임(200)은 전방, 후방,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단위 프레임을 구비하며, 이러한 각각의 단위 프레임은 상부 냉각 플레이트(110) 및 하부 냉각 플레이트(120)의 전방, 후방, 좌측 및 우측 테두리를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메인 프레임(200)의 비어 있는 중앙 부분에는 상부 방향으로는 상부 냉각 플레이트(110)가 노출되고, 하부 방향으로는 하부 냉각 플레이트(120)가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메인 프레임(200)은 상부 냉각 플레이트(110) 및 하부 냉각 플레이트(120)가 개재된 상태에서 사출 성형 등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제조 방식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메인 프레임(200)은, 파우치형 이차 전지(10)가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메인 프레임(200)은 파우치형 이차 전지(10)의 외주부가 안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우치형 이차 전지(10)는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바라본 형태가 대략 사각형이 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파우치형 이차 전지(10)의 전방, 후방, 좌측 및 우측 외주부는, 각각 메인 프레임(200)의 전방, 후방, 좌측 및 우측 단위 프레임(204)에 안착될 수 있다.
이때, 4개의 변을 가진 파우치형 이차 전지(10)의 외주부는, 4개의 변 모두 메인 프레임(200)에 안착되도록 구성되거나, 4개의 변 중 일부 변, 이를테면 전방 및 후방 2개의 변이 메인 프레임(200)에 안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인 프레임(200)에는 2개의 파우치형 이차 전지(10)가 장착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 프레임(200)에는 상부 냉각 플레이트(110)와 하부 냉각 플레이트(120)가 수직 방향으로 중앙 부분에 위치해 있을 수 있으며, 2개의 파우치형 이차 전지(10)는 메인 프레임(200)에서 상부 냉각 플레이트(110)의 상부 및 하부 냉각 플레이트(120)의 하부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메인 프레임(200)은, 둘 이상이 적층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이차 전지용 프레임이 둘 이상 적층될 수 있다. 즉, 도 3의 메인 프레임(200) 구성에서, 상부와 하부에 각각 다른 메인 프레임(200)이 적층될 수 있다. 이처럼, 둘 이상의 이차 전지용 프레임이 적층되면, 이차 전지(10)를 기준으로 메인 프레임(200)이 외주부에 배치되고, 냉각 플레이트가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된다. 그러므로, 이 경우, 이차 전지용 프레임을 수직 방향으로 다수 개 적층하는 경우, 1개의 이차 전지용 프레임마다 2개의 이차 전지(10)가 수납될 수 있다.
상기 메인 프레임(200)은, 도 1 내지 도 3에서 O로 표시된 바와 같이, 측면에 개구부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개구부는 메인 프레임(200)을 수평 방향으로 관통한 형태로 구성되어, 상부 냉각 플레이트(110)와 하부 냉각 플레이트(120) 사이에 형성된 빈 공간, 즉 유로의 적어도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어 개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메인 프레임(200) 외부의 공기 등이 이러한 개구부를 통해 2개의 냉각 플레이트 사이에 형성된 유로로 유출입될 수 있다.
특히, 상기 개구부는, 4개의 단위 프레임 중 2개의 단위 프레임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1개의 단위 프레임 측면에 형성된 개구부는 유체의 유입구로서 기능하고, 다른 1개의 단위 프레임 측면에 형성된 개구부는 유체의 유출구로서 기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프레임(200)이 전방 단위 프레임(201), 후방 단위 프레임(202), 좌측 단위 프레임(203) 및 우측 단위 프레임(204)으로 구성되는 경우, 좌측 단위 프레임(203)과 우측 단위 프레임(204)에 각각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우측 단위 프레임(204)에 형성된 개구부는 유입구로서 기능하고, 좌측 프레임에 형성된 개구부는 유출구로서 기능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에서 점선에 의한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우측 단위 프레임(204)의 개구부로 유입된 외부 공기는 2개의 냉각 플레이트 사이의 유로를 따라 흐르면서 냉각 플레이트를 통해 이차 전지(10)와 열 교환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이처럼 냉각 플레이트와 열 교환을 수행한 공기는, 좌측 단위 프레임(203)의 개구부를 통해 메인 프레임(200)의 외부 공간으로 유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2개의 단위 프레임 측면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경우, 개구부는 서로 반대되는 측에 위치하는 단위 프레임에 각각 형성되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예와 같이, 개구부는, 좌측 단위 프레임(203)과 우측 단위 프레임(204)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유로의 유입구와 유출구가 서로 반대 방향에 형성되므로, 유로를 따라 흐르는 유체의 흐름이 직선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의 경우, 유체의 유출입이 보다 원활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냉각 플레이트 사이에 형성된 유로의 전체 구간에 유체가 흐를 수 있게 되어 냉각 효율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프레임(200)은, 적어도 2개 이상의 단위 프레임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상호 대응되는 형태로 요철부(210)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요철부(210)는 상하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볼록부(212)와 상하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부(211)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메인 프레임(200)은, 상부에 볼록부(212)가 형성되고 이러한 볼록부(212)에 대응되는 형태로 하부에 오목부(211)가 형성되거나, 하부에 볼록부(212)가 형성되고 이러한 볼록부(212)에 대응되는 형태로 상부에 오목부(211)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메인 프레임(2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단위 프레임(203)과 우측 단위 프레임(204)의 상부 및 하부에 요철부(210)가 형성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요철부(210)는, 이를테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 프레임의 하부에 볼록부(212)가 형성되고 이러한 볼록부(212)의 형태에 대응되는 형태를 갖는 오목부(211)가 단위 프레임의 상부에 형성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요철부(210)는, 이러한 형태 이외에도, 단위 프레임의 상부에 볼록부(212)가 형성되고 단위 프레임의 하부에 오목부(211)가 형성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용 프레임이 상하 방향으로 적층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특히,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이차 전지용 프레임이 2개 적층된 구성이라 할 수 있는데,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부에 위치한 이차 전지용 프레임을 F1이라 하고, 하부에 위치한 이차 전지용 프레임을 F2라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하로 적층된 2개의 이차 전지용 프레임 F1 및 F2는 각각, 단위 프레임의 하부에 볼록부(212)가 형성되고, 이러한 볼록부(212)의 형태에 대응되는 형태의 오목부(211)가 해당 단위 프레임의 상부에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F1 및 F2가 상하 방향, 즉 수직 방향으로 적층되는 경우, F2의 오목부(211)에 F1의 볼록부(212)가 삽입되는 형태로 요철부(210)가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요철부(210)는, 이차 전지용 프레임의 상하 적층 시 인접하는 이차 전지용 프레임의 요철부(210)와 상호 결합하여 결합된 부분이 밀폐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상기 도 4의 실시예에서, F1 및 F2가 상하 적층되어, F1의 볼록부(212)와 F2의 오목부(211)가 상호 결합하는 경우, 이와 같은 결합 부분(B로 표시)은 F1과 F2의 적층 시 그 사이 공간으로 흘러나가는 가스의 흐름 경로에 장애물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이차 전지용 프레임 간 사이 공간을 통해 가스가 새어나가지 않거나 적어도 가스가 새어나가는 양이 크게 감소될 수 있다.
특히, 도 4의 구성에서 메인 프레임(200)의 좌측에는 냉각 플레이트 사이에 형성된 유로로 외부 공기를 공급하거나 이러한 유로를 따라 흐르는 공기를 배터리 모듈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덕트가 구비될 수 있다. 그런데, 본 발명의 경우, 메인 프레임(200)의 적층 사이 공간에 요철부(210)가 형성되어 상호 결합되어 있으므로, 적층된 두 메인 프레임(200)의 틈새 공간으로 유체가 새어 나가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되거나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도 4에서 메인 프레임(200)의 우측에 위치한 파우치형 이차 전지(10)로부터 가스가 발생하더라도 이러한 가스는 메인 프레임(200) 사이의 틈새를 거쳐 좌측에 구비된 덕트로 새어나가는 것이 방지되거나 감소될 수 있다.
한편,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냉각 플레이트(110) 및 하부 냉각 플레이트(120)는 단위 프레임, 즉 메인 프레임(200)을 관통하도록 길게 연장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파우치형 이차 전지(10)로부터 발생된 가스가, 상부 냉각 플레이트(110)와 단위 프레임 사이, 또는 하부 냉각 플레이트(120)와 단위 프레임 사이로 유출되어 유로 또는 덕트로 흘러들어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요철부(210)는, 적어도 상기 개구부가 형성된 단위 프레임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로를 개방하기 위한 개구부가 좌측 단위 프레임(203) 및 우측 단위 프레임(204)에 형성된 경우, 이러한 좌측 단위 프레임(203) 및 우측 단위 프레임(204)에는 요철부(210)도 형성될 수 있다. 이차 전지(10)로부터 가스가 발생한 경우, 이러한 가스는 덕트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그런데, 개구부가 형성된 단위 프레임의 외부 측에는 덕트가 구비될 수 있으므로, 상기 실시예와 같이 개구부가 형성된 단위 프레임에 요철부(210)가 형성되도록 하면, 이차 전지용 프레임의 적층 시 요철부(210) 간 결합으로 인해, 이차 전지(10)로부터 덕트로 가스가 유입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요철부(210)는, 상기 단위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요철부(210)가 형성된 단위 프레임에서의 내외부 간 가스 유출입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철부(210)가 좌측 단위 프레임(203) 및 우측 단위 프레임(204)에 형성된 경우, 요철부(210)는 좌측 단위 프레임(203) 및 우측 단위 프레임(204)의 전방측 단부에서 후방측 단부에 이르기까지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좌측 단위 프레임(203) 및 우측 단위 프레임(204)의 어느 부분으로도 내외부 간 가스가 유출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요철부(210)는, 개구부가 형성된 단위 프레임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길게 연장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개구부가 형성된 단위 프레임의 전체 부분에 걸쳐 가스 유출입이 방지되므로, 개구부가 형성된 단위 프레임의 외측에 구비된 덕트로 이차 전지(10)에서 발생한 가스가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요철부(210)는, 상기 단위 프레임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용 프레임의 요철부(210)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과 마찬가지로 도 1의 A-A'선에 대한 단면도라 할 것이나, 도 3과는 다른 요철부(210) 구성을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요철부(210)는, 단위 프레임의 상부에도 2개가 형성되고, 단위 프레임의 하부에도 2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를테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 프레임의 상부에 오목부(211)가 2개 형성되고, 단위 프레임의 하부에 볼록부(212)가 2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이처럼 요철부(210)가 단위 프레임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둘 이상 형성되는 구성에서, 요철부(210)는 단위 프레임의 길이 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를테면, 도 5의 구성에서, 단위 프레임의 상부에 형성된 2개의 오목부(211)는, 해당 단위 프레임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좌우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오목부(211)의 배열 형태에 대응하여, 2개의 볼록부(212) 또한 단위 프레임의 하부에서 좌우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2개의 이차 전지용 프레임이 상하 방향으로 적층될 때, 적층된 틈새 공간으로 가스가 새어나가는 것이 보다 확실하게 방지될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이차 전지용 프레임이 2개 적층되는 경우, 적층 틈새 공간에는 2개의 요철부(210)가 존재하므로, 가스가 새어나갈 수 있는 경로는 더욱 복잡해질 수 있다. 따라서, 이로 인해 이차 전지용 프레임 간 적층 틈새로 가스가 유출되는 것이 보다 확실하게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시예와 같이, 단위 프레임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둘 이상의 요철부(210)가 형성된 경우, 동일한 부분에 반드시 동일한 형태의 요철부(210)가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즉, 도 5에서는 단위 프레임의 상부에 오목부(211)가 2개 형성되고, 단위 프레임의 하부에 볼록부(212)가 2개 형성된 구성이 도시되어 있으나, 요철부(210)는 다른 다양한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용 프레임의 요철부(210)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 및 도 5의 구성에 대한 다른 변형예라 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단위 프레임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오목부(211)와 볼록부(212)가 모두 형성되어 있다. 즉, 단위 프레임은, 그 상부에 오목부(211)와 볼록부(212)가 모두 형성되고, 그 하부에도 오목부(211)와 볼록부(212)가 모두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메인 프레임(200) 사이의 틈새 공간으로 가스가 새어 나가는 경로를 더욱 복잡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인 프레임(200)은, 요철부(210)가 형성된 단위 프레임의 상부에 파우치형 이차 전지(10)의 실링부가 절곡되어 안착 가능하도록 안착부가 형성된 것이 좋다. 즉, 도 4의 구성에서 C로 표시된 부분과 같이, 메인 프레임(200) 중, 요철부(210)가 형성된 단위 프레임의 상부에는 이차 전지(10)의 실링부가 절곡된 형태로 안착 가능하도록 안착부가 형성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이차 전지(10) 실링부의 절곡 부분과 안착부가 서로 접촉하여 외측 방향으로의 가스 유출에 대한 장벽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이차 전지(10)의 실링부를 통해 가스가 발생하더라도 이러한 가스가 실링부의 절곡된 부분과 안착부의 접촉된 구성에 의해 외측 방향으로 유출되는 것이 방지되거나 그 양이 감소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용 프레임의 요철부(210) 부분에 대한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메인 프레임(200)은, 요철부(210)에 실링 부재(230)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실링 부재(230)는, 요철부(210)에 구비되어 요철부(210) 간 결합 시 밀폐력을 향상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실링 부재(230)는, 요철부(210)가 결합할 때 결합 부분의 공간에 위치하도록,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의 표면에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실링 부재(230)는, 오목부(211)의 표면에 구비되거나 돌출부 및 오목부(211)의 표면에 모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실링 부재(230)는, 고무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고무 재질의 경우, 틈새 공간을 통해 유체가 이동하지 않도록 밀폐력을 확보하는데 용이하다. 다만,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링 부재(230)의 재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링 부재(230)는 밀폐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다양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벤팅 유로는 냉각 유로와 물리적으로 분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벤팅 유로는 파우치형 이차 전지로부터 가스가 발생하는 경우, 배터리 모듈 내부에서 이러한 가스가 흐르는 경로를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냉각 유로는 배터리 모듈 내부에서 냉각용 유체가 흐르는 경로를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벤팅 유로와 냉각 유로가 물리적으로 분리된다는 것은, 벤팅 유로에 흐르는 기체가 냉각 유로로 유입될 수 없고, 냉각 유로에 흐르는 기체가 벤팅 유로로 유입될 수 없도록 구성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이차 전지용 프레임은, 상하 적층 시, 이차 전지로부터 유출된 가스가 흐르는 벤팅 유로가, 상부 냉각 플레이트(110)와 하부 냉각 플레이트(120) 사이의 냉각용 유로와 물리적으로 분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벤팅 유로와 냉각 유로는 서로 층을 달리 하여 형성됨으로써 물리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이를테면, 하나의 이차 전지용 프레임에 있어서, 벤팅 유로는 상부 냉각 플레이트(110)의 상부에 형성되고, 냉각 유로는 상부 냉각 플레이트(110)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이차 전지(10)로부터 배출된 가스가 개구부가 형성된 측으로 유출되지 않을 수 있다. 특히, 이차 전지에서 배출된 가스는 인체에 유해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할 경우, 이차 전지 측에서 유해한 가스가 발생하더라도 이와 같이 발생된 가스는 벤팅 유로를 통해 배터리 팩 외부로 배출될 뿐, 냉각용 유로 및 덕트를 통해 배터리 팩 사용자에게 전해지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인 프레임(200)은, 개구부가 형성되지 않은 단위 프레임의 측면에, 파우치형 이차 전지(10)가 수납된 공간을 개방시키는 벤팅부(220)가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개구부는 메인 프레임(200)의 좌우 측면에 형성되고, 벤팅부(220)는 메인 프레임(200)의 전후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프레임(200)은, 좌측 단위 프레임(203)과 우측 단위 프레임(204)에 개구부가 형성된 경우, 개구부가 형성되지 않은 전방 단위 프레임(201)과 후방 단위 프레임(202)에 벤팅부(220)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메인 프레임(200)의 내측에 위치한 이차 전지(10)로부터 가스가 발생한 경우, 이러한 가스는 메인 프레임(200)의 벤팅부(220)를 통해 메인 프레임(200)의 외측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벤팅부(220)는 개구부가 형성되지 않은 단위 프레임에 위치해 있으므로, 이차 전지(10)로부터 배출된 가스가 개구부가 형성된 측으로 유출되지 않을 수 있다.
특히, 도 1의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냉각용 유체가 흐르는 경로는 유로를 따라 좌측 단위 프레임(203)과 우측 단위 프레임(204) 사이의 좌우 방향으로 형성되고, 이차 전지(10)에서 발생한 가스가 흐르는 경로는 전방 단위 프레임(201)과 후방 단위 프레임(202) 사이의 전후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배터리 모듈로 냉각용 유체를 유출입시키기 위한 덕트는 좌측 단위 프레임(203)과 우측 단위 프레임(204)의 외측에 구비될 수 있고, 이차 전지(10)에서 발생한 가스를 배출시키기 위한 벤팅 장치는 전방 단위 프레임(201)과 후방 단위 프레임(202)의 외측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벤팅부(2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 형태로 형성되거나, 오목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은, 상술한 이차 전지용 프레임을 복수 개 포함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구성 방식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은, 다수의 파우치형 이차 전지(10)와 함께 다수의 이차 전지용 프레임(10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이차 전지용 프레임(1000)은 수직 방향으로 적층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이차 전지용 프레임(1000)의 적층에 의해 형성된 내부 공간에 파우치형 이차 전지(10)가 수납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은, 하나의 이차 전지용 프레임(1000)당 2개의 파우치형 이차 전지(10)가 수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배터리 모듈에는,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용 프레임이 복수 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은, 이러한 배터리 모듈 이외에,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수납하기 위한 케이스, 배터리 모듈의 충방전을 제어하기 위한 각종 장치, 이를테면 BMS(Battery Management System), 전류 센서, 퓨즈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용 프레임은, 전기 자동차나 하이브리드 자동차와 같은 자동차에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배터리 팩에는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용 프레임이 포함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상, 하, 좌, 우, 전, 후와 같은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가 사용되었으나, 이러한 용어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대상이 되는 사물의 위치나 관측자의 위치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본 발명의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110: 상부 냉각 플레이트
120: 하부 냉각 플레이트
200: 메인 프레임
201: 전방 단위 프레임
202: 후방 단위 프레임
203: 좌측 단위 프레임
204: 우측 단위 프레임
210: 요철부
211: 오목부
212: 볼록부
220: 벤팅부

Claims (19)

  1. 열전도성 재질의 플레이트 형태로 구성된 상부 냉각 플레이트;
    열전도성 재질의 플레이트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 냉각 플레이트와 상호 대면되는 형태로 소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상부 냉각 플레이트와 그 사이 공간에 유로를 형성하는 하부 냉각 플레이트; 및
    양단이 서로 연결된 4개의 단위 프레임을 구비하여, 상기 상부 냉각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냉각 플레이트의 외주부를 감싸는 형태로 구성되고, 파우치형 이차 전지의 외주부가 안착되며, 2개의 단위 프레임 측면에 상기 유로가 개방되도록 개구부가 형성되고, 적어도 2개 이상의 단위 프레임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상호 대응되는 형태로 요철부가 형성된 메인 프레임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용 프레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부는, 상기 이차 전지용 프레임의 상하 적층 시 인접하는 이차 전지용 프레임의 요철부와 상호 결합하여 결합된 부분이 밀폐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용 프레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부는, 적어도 상기 개구부가 형성된 단위 프레임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용 프레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부는, 상기 단위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용 프레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부는, 상기 개구부가 형성된 단위 프레임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길게 연장된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용 프레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부는, 상기 단위 프레임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둘 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용 프레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둘 이상의 요철부는, 상기 단위 프레임의 길이 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용 프레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부는, 상기 단위 프레임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돌출부와 오목부가 모두 형성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용 프레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기 요철부가 형성된 단위 프레임의 상부에 상기 파우치형 이차 전지의 실링부가 절곡되어 안착 가능하도록 안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용 프레임.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기 요철부에 실링 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용 프레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 부재는, 고무 재질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용 프레임.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차 전지용 프레임의 상하 적층 시, 상기 파우치형 이차 전지로부터 유출된 가스가 흐르는 벤팅 유로는, 상기 상부 냉각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냉각 플레이트 사이의 유로와 물리적으로 분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용 프레임.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은, 개구부가 형성되지 않은 단위 프레임의 측면에, 상기 파우치형 이차 전지가 수납된 공간을 개방시키는 벤팅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용 프레임.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메인 프레임의 좌우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벤팅부는 상기 메인 프레임의 전후 측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용 프레임.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기 상부 냉각 플레이트의 상부에 하나의 파우치형 이차 전지가 안착되고, 상기 하부 냉각 플레이트의 하부에 다른 하나의 파우치형 이차 전지가 안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용 프레임.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냉각 플레이트 및 상기 하부 냉각 플레이트는, 알루미늄 재질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용 프레임.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이차 전지용 프레임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18.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이차 전지용 프레임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19.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이차 전지용 프레임을 포함하는 자동차.
KR1020140137614A 2013-10-30 2014-10-13 이차 전지용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KR1016108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4858778.5A EP3065212B1 (en) 2013-10-30 2014-10-29 Frame for secondary battery and battery module comprising the same
US15/031,809 US9755285B2 (en) 2013-10-30 2014-10-29 Frame for secondary battery and battery module comprising the same
CN201480059657.3A CN105723560B (zh) 2013-10-30 2014-10-29 用于二次电池的框架和包括该框架的电池模块
PCT/KR2014/010251 WO2015065043A1 (ko) 2013-10-30 2014-10-29 이차 전지용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PL14858778T PL3065212T3 (pl) 2013-10-30 2014-10-29 Ramka dla baterii akumulatorowej i zawierający ją moduł akumulatorow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9860 2013-10-30
KR20130129860 2013-10-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0358A true KR20150050358A (ko) 2015-05-08
KR101610876B1 KR101610876B1 (ko) 2016-04-08

Family

ID=53388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7614A KR101610876B1 (ko) 2013-10-30 2014-10-13 이차 전지용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755285B2 (ko)
EP (1) EP3065212B1 (ko)
KR (1) KR101610876B1 (ko)
CN (1) CN105723560B (ko)
PL (1) PL3065212T3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4124A (ko) * 2015-05-14 2016-11-23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 전지용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WO2017138753A1 (ko) * 2016-02-12 2017-08-17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용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팩
WO2018008799A1 (ko) * 2016-07-05 2018-01-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 전지용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CN109428022A (zh) * 2017-08-31 2019-03-05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电池模组以及电池包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7638B1 (ko) * 2014-11-05 2017-10-19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중 측벽 구조를 가지는 카트리지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GB2538932B (en) * 2015-01-26 2021-12-29 Bytec Healthcare Ltd Battery module and casing
KR102120118B1 (ko) * 2016-08-18 2020-06-08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CN106450059B (zh) * 2016-12-27 2019-07-09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电池模组
US11189872B2 (en) 2017-01-27 2021-11-3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ultifunctional pouch battery cell frame
US10930978B2 (en) * 2017-01-27 2021-02-2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ultifunctional ion pouch battery cell frame
US10700323B2 (en) 2017-08-23 2020-06-3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pparatus for directed vent gas expulsion in battery cells
US10446819B2 (en) 2017-09-27 2019-10-1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directed vent gas expulsion in battery cells
JP7171615B2 (ja) * 2017-12-19 2022-11-15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源装置と電源装置用のセパレータ
US11024901B2 (en) * 2018-01-19 2021-06-01 Hanon Systems Battery cooling plate with integrated air vents
US20190363319A1 (en) * 2018-05-22 2019-11-28 Wei Hao Liao Battery pack stacking structure
DE102018221539A1 (de) * 2018-12-12 2020-06-18 Robert Bosch Gmbh Batteriemoduleinheit aufweisend zumindest zwei Batteriezellen
FR3092936B1 (fr) * 2019-02-15 2022-03-04 Novares France Unité de batterie et véhicule automobile équipé d’au moins une telle unité
DE102019217240A1 (de) * 2019-11-07 2021-05-12 Mahle International Gmbh Kühlrahmen
KR20210126979A (ko) * 2020-04-13 2021-10-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04655A (en) * 1989-12-14 1991-04-02 Globe-Union Inc. Thin bipolar lead-acid battery with individual cell vent
KR100870846B1 (ko) 2005-01-04 2008-11-27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필름 외장 전기 디바이스용 케이스 및 필름 외장 전기디바이스 집합체
KR100877816B1 (ko) * 2005-01-21 2009-01-12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전성이 향상된 전지팩
JP4996857B2 (ja) * 2006-01-24 2012-08-0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池
KR101106111B1 (ko) * 2007-06-28 2012-01-18 주식회사 엘지화학 효율적인 냉각 및 배기 구조의 중대형 전지팩
US8628872B2 (en) * 2008-01-18 2014-01-14 Lg Chem, Ltd. Battery cell assembly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battery cell assembly
JP2009190134A (ja) * 2008-02-15 2009-08-27 Makita Corp バッテリ式電動工具
CN102630357B (zh) * 2009-11-27 2014-12-24 Lg电子株式会社 电池盒
US9065158B2 (en) 2010-05-28 2015-06-2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Corrugated fin and frame assembly for battery cooling
US8574740B2 (en) * 2010-08-10 2013-11-0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olded frame with corrugated cooling fin for air-cooled battery
US8673473B2 (en) 2010-08-10 2014-03-1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Integrated cooling fin and frame
KR101447062B1 (ko) 2012-01-26 2014-11-03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4124A (ko) * 2015-05-14 2016-11-23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 전지용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WO2017138753A1 (ko) * 2016-02-12 2017-08-17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용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팩
US10622663B2 (en) 2016-02-12 2020-04-14 Lg Chem, Ltd. Cartridge for secondary battery and secondary battery pack comprising same
WO2018008799A1 (ko) * 2016-07-05 2018-01-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 전지용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KR20180004992A (ko) * 2016-07-05 2018-01-15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 전지용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US10629874B2 (en) 2016-07-05 2020-04-21 Lg Chem, Ltd. Cartridge for secondary batteries, and battery module including the cartridge
CN109428022A (zh) * 2017-08-31 2019-03-05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电池模组以及电池包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0876B1 (ko) 2016-04-08
EP3065212B1 (en) 2019-02-13
US20160248135A1 (en) 2016-08-25
PL3065212T3 (pl) 2019-09-30
CN105723560A (zh) 2016-06-29
EP3065212A4 (en) 2017-09-20
CN105723560B (zh) 2017-12-01
EP3065212A1 (en) 2016-09-07
US9755285B2 (en) 2017-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0876B1 (ko) 이차 전지용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KR101743697B1 (ko) 냉각 유로와 벤팅 유로가 분리된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101773104B1 (ko) 배터리 모듈
KR101307992B1 (ko) 높은 효율성의 냉각 구조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KR101658594B1 (ko) 이차 전지용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JP6505236B2 (ja) バッテリーパック
KR101205180B1 (ko) 콤팩트하고 안정성이 우수한 냉각부재와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KR101736378B1 (ko) 이차 전지용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KR20180020547A (ko) 배터리 모듈
KR20160115582A (ko) 배터리 모듈
KR20190012998A (ko) 배터리 셀용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KR101960922B1 (ko) 배터리 모듈
KR20180004992A (ko) 이차 전지용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KR101543477B1 (ko) 전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차 전지팩
KR20170020095A (ko) 배터리 모듈
KR101217608B1 (ko) 전지 카세트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KR101655328B1 (ko)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101795703B1 (ko) 이차 전지용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KR101806412B1 (ko) 이차 전지용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CN111742441B (zh) 包括模块壳体的电池模块
KR101851432B1 (ko) 이차 전지용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KR101678490B1 (ko) 이차 전지용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KR101746765B1 (ko) 이차 전지용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KR20170052059A (ko) 배터리 모듈
KR101760399B1 (ko) 이차 전지용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