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9914A - 개인의 청력 특성에 최적화된 음원의 출력을 가능하게 하는 이어폰 장치 - Google Patents

개인의 청력 특성에 최적화된 음원의 출력을 가능하게 하는 이어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9914A
KR20150049914A KR1020130131097A KR20130131097A KR20150049914A KR 20150049914 A KR20150049914 A KR 20150049914A KR 1020130131097 A KR1020130131097 A KR 1020130131097A KR 20130131097 A KR20130131097 A KR 20130131097A KR 20150049914 A KR20150049914 A KR 201500499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ource
pressure level
hearing
characteristic information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1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20799B1 (ko
Inventor
윤정순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청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청텍 filed Critical 유한회사 청텍
Priority to KR10201301310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0799B1/ko
Publication of KR201500499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99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07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07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41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91Detail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R1/1008 - H04R1/108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70Adaptation of deaf aid to hearing loss, e.g. initial electronic fit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청력특성정보 수집장치로부터 해당 주파수별 가청이 최적화된 음압레벨에 대응된 청력특성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처리한 후 개인의 청력특성정보로 설정 저장하는 청력특성정보설정부; 음원제공장치로부터 음원 제공시 음원의 주파수별 음압레벨을 검출하여 이를 처리한 후 음원특성정보를 생성시키는 음원특성정보생성부; 상기 음원특성정보와 청력특성정보를 비교한 후 음원특성정보에 포함된 주파수별 음압레벨이 청력특성정보에 포함된 주파수별 가청이 최적화된 음압레벨에 대응되도록 음압레벨을 가감시켜 음압레벨조정정보를 생성하는 음압레벨조정부; 상기 음압레벨조정정보를 토대로 음압레벨에 대한 이퀄라이징 처리를 수행하는 이퀄라이징부; 상기 이퀄라이징 처리된 음원을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음원출력부; 및 상기 구성부들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개인의 청력 특성에 최적화된 음원의 출력을 가능하게 하는 이어폰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개인의 청력 특성에 최적화된 음원의 출력을 가능하게 하는 이어폰 장치{Earphone apparatus capable of outputting sound source optimized about hearing character of an individual}
본 발명은 이어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원제공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음원이 출력되도록 하는 이어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음원이 이어폰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 개인의 청력에 최적화된 주파수별 음압레벨로 재생되도록 하여 개인의 청력 차이를 반영한 나만의 맞춤형 이어폰 장치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는 개인의 청력 특성에 최적화된 음원의 출력을 가능하게 하는 이어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MP3 플레이어, 스마트폰 및 스마트탭 등과 같은 동영상 또는 음원을 재상하는 멀티미디어 재생장치는 현대인의 필수품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상기 멀티미디어 재생장치에 헤드폰 등과 같은 이어폰 장치가 접속되어 상기 멀티미디어 재생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음원이 출력되도록 하고 있다.
한편, 도 1의 표준 등청감곡선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람의 평균적인 청력 특성은 3.5kHz 주파수를 중심으로 작은 소리를 잘 들을 수 있는 청각 감도가 좋고, 3.5kHz 주파수보다 높거나 낮은 주파수의 소리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청각 감도가 좋지 못하여, 3.5kHz에서는 청각 감도가 좋기 때문에 소리의 음압을 크게 하지 않아도 청취가 용이하고 그 보다 높거나 낮은 주파수의 소리에 대해서는 청각 감도가 낮기 때문에 소리의 음압을 크게 해야 하는 등, 개인적인 음향 환경, 즉, 선천적인 요인이나 질환, 작업 환경, 음악 청취 습관 등의 영향에 의하여 변형된 청각 감도를 갖는 사람에는 상기와 같이 단순히 멀티미디어 재생장치 등과 같은 음원제공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음원이 재생되는 경우 그에 대한 감흥이 천차만별로 다르게 된다.
그러나 상기 헤드폰 등과 같은 이어폰 장치는, 각 주파수별로 다른 감도를 갖는 개인의 주파수별 청력 특성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모든 주파수에 대하여 동일하게 선형적으로 소리의 크기가 조절되도록 하고 있어, 해당 음원을 청취하는 이어폰 장치 사용자의 감흥이 고조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공개특허 10-2009-82776호 등에는, 개인의 주파수 대역별로 청력 역치를 측정하고 측정된 청력 역치를 기반으로 이퀄라이저를 조절하여 최적의 소리 및 청력보호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최적의 소리 및 청력보호 기능을 제공하는 것은, 상기 이어폰 장치가 접속되는 음원제공장치의 내부에 해당 환경이 설정되도록 한 후, 최적의 소리가 단순히 이어폰 장치를 통해서 출력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최적의 소리 및 청력보호 기능을 가지는 음원제공장치를, 상기 음원제공장치의 사용자와 서로 다른 청력 특성을 가지는 타인이 음원을 청취하는 경우, 타인의 경우 서로 상이한 청력 특성으로 인하여 해당 음원에 대한 감흥을 느낄 수 없어, 미리 설정된 음원제공장치의 해당 기능 및 설정 환경을 해제한 후, 다시 타인의 청력 특성에 대응된 해당 기능 및 설정 환경을 설정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에, 상기 이어폰 장치의 경우 해당 음원제공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 개인이 주로 혼자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이어폰 장치에 사용자 개인의 청력 특성에 최적화된 음원이 출력되도록 하는 설정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복수개의 음원제공장치를 하나의 이어폰 장치를 연결하여 음원을 청취하더라도 해당 청력 특성이 반영된 최적화된 음원이 청취되도록 할 수 있는 방안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음원제공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음원이 이어폰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 개인의 청력에 최적화된 주파수별 음압에 대응되도록 조절된 상태에서 재생되도록 하여 개인의 청력 차이를 반영한 나만의 맞춤형 이어폰 장치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는 개인의 청력 특성에 최적화된 음원의 출력을 가능하게 하는 이어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청력특성정보 수집장치로부터 해당 주파수별 가청이 최적화된 음압레벨에 대응된 청력특성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처리한 후 개인의 청력특성정보로 설정 저장하는 청력특성정보설정부; 음원제공장치로부터 음원 제공시 음원의 주파수별 음압레벨을 검출하여 이를 처리한 후 음원특성정보를 생성시키는 음원특성정보생성부; 상기 음원특성정보와 청력특성정보를 비교한 후 음원특성정보에 포함된 주파수별 음압레벨이 청력특성정보에 포함된 주파수별 가청이 최적화된 음압레벨에 대응되도록 음압레벨을 가감시켜 음압레벨조정정보를 생성하는 음압레벨조정부; 상기 음압레벨조정정보를 토대로 음원의 음압레벨에 대한 이퀄라이징 처리를 수행하는 이퀄라이징부; 상기 이퀄라이징 처리된 음원을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음원출력부; 및 상기 구성부들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개인의 청력 특성에 최적화된 음원의 출력을 가능하게 하는 이어폰 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청력특성데이터는, 표준 등청감곡선에 대응된 해당 주파수별 다른 음압레벨의 가청시 사용자가 개인의 청력을 이용하여 가장 잘 들리는 음압레벨의 선택시 이를 해당 주파수별 최적화된 음압레벨로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청력특성정보설정부는, 상기 청력특성정보 수집장치에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상태에서, 청력특성데이터를 제공받아 해당 주파수별 가청이 최적화된 음압레벨을 나타내는 청력특성정보로 처리 생성한 후 이를 메모리 수단에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음원특성정보생성부는, 음원제공장치에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상태에서, 음원의 재생시 제공되는 음원의 주파수별 음압레벨을 검출하여 해당 주파수별 음압레벨을 나타내는 음원특성정보로 실시간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음압레벨조정부는, 음원제공장치에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음원특성정보에 포함된 주파수별 음압레벨이 상기 청력특성정보에 설정된 주파수별 가청이 최적화된 음압레벨에 근접 또는 일치되도록 조정하여 해당 주파수별 음압레벨 가감치를 나타내는 음압레벨조정정보로 실시간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개인의 청력 특성에 최적화된 음원의 출력을 가능하게 하는 A동작모드와 개인의 청력 특성이 반영되지 않는 음원의 출력을 가능하게 하는 B동작모드의 선택 및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A동작모드는, 청력특성정보 수집장치로부터 해당 주파수별 가청이 최적화된 음압레벨에 대응된 청력특성데이터가 청력특성정보설정부에 의해 개인의 청력특성정보로 설정 저장된 후, 음원제공장치로부터 음원이 제공되는 경우 음원특성정보생성부에 의해 상기 음원의 주파수별 음압레벨이 검출되도록 하여 음원특성정보가 생성되도록 함과 동시에, 음압레벨조정부에 의해 상기 음원특성정보와 청력특성정보가 비교된 후 음원특성정보에 포함된 주파수별 음압레벨이 청력특성정보에 포함된 주파수별 가청이 최적화된 음압레벨에 대응되도록 음압레벨이 가감된 음압레벨조정정보가 생성되도록 하여, 상기 이퀄라이징부와 음원출력부를 통해 개인의 청력 특성에 최적화된 음원이 출력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B동작모드는, 음원제공장치로부터 음원이 제공되는 경우 이를 상기 이퀄라이징부와 음원출력부를 통해 개인의 청력 특성이 반영되지 않는 음원이 출력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음원제공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음원이 이어폰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 개인의 청력에 최적화된 주파수별 음압에 대응되도록 조절된 상태에서 재생되도록 하여 개인의 청력 차이를 반영한 나만의 맞춤형 이어폰 장치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는 개인의 청력 특성에 최적화된 음원의 출력을 가능하게 하는 이어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어폰 장치의 내부에 이어폰 장치 사용자 개인의 청력에 최적화된 청력특성정보가 설정되고 음원제공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음원의 주파수별 음압레벨이 상기 청력특성정보의 주파수별 음압레벨에 대응된 상태로 출력됨으로써, 이어폰 장치 사용자 개인의 청력 특성에 맞는 맞춤형 음원이 재생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어폰 장치의 내부에 상기와 같은 동작 설정이 이루어짐으로써, 음원제공장치와 관계없이 이어폰 장치 자체적으로 사용자 개인의 청력 특성에 최적화된 음원이 출력되도록 하여 복수개의 음원제공장치를 사용하더라도 별도로 상기 청력특성정보의 설정 없이도 개인의 청력 특성이 반영된 최적화된 음원을 청취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표준 등청감곡선의 그래프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인의 청력 특성에 최적화된 음원의 출력을 가능하게 하는 이어폰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개인의 청력특성데이터를 토대로 생성 설정되는 청력특성정보의 그래프를 예시적 나타낸 도면;
도 4는 음원제공수단으로부터 제공되는 음원의 음원특성정보의 그래프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4의 음원특성정보가 도 3의 청력특성정보에 대응되도록 음압레벨이 조정된 음압레벨조정정보의 그래프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 및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인의 청력 특성에 최적화된 음원의 출력을 가능하게 하는 이어폰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제어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표준 등청감곡선의 그래프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인의 청력 특성에 최적화된 음원의 출력을 가능하게 하는 이어폰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3은 개인의 청력특성데이터를 토대로 생성 설정되는 청력특성정보의 그래프를 예시적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음원제공수단으로부터 제공되는 음원의 음원특성정보의 그래프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음원특성정보가 도 3의 청력특성정보에 대응되도록 음압레벨이 조정된 음압레벨조정정보의 그래프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인의 청력 특성에 최적화된 음원의 출력을 가능하게 하는 이어폰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제어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인의 청력 특성에 최적화된 음원의 출력을 가능하게 하는 이어폰 장치(100)는, PC 또는 스마트폰 등과 같은 청력특성정보 수집장치(10)로부터 해당 주파수별 가청이 최적화된 음압레벨 즉, 해당 주파수별 가장 잘 들리는 음압레벨에 대응된 청력특성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개인의 청력특성정보로 설정 저장하는 청력특성정보설정부(110), MP3, 스마트폰 등과 같은 음원제공장치(20)로부터 음원 제공시 음원의 주파수별 음압레벨을 검출하여 이를 음원특성정보를 생성시키는 음원특성정보생성부(120), 상기 음원특성정보와 청력특성정보를 비교한 후 음원특성정보에 포함된 주파수별 음압레벨이 청력특성정보에 포함된 주파수별 가청이 최적화된 음압레벨에 대응되도록 음압레벨을 가감시켜 음압레벨조정정보를 생성하는 음압레벨조정부(130), 상기 음압레벨조정정보를 토대로 음압레벨에 대한 이퀄라이징 처리를 수행하는 이퀄라이징부(140), 상기 이퀄라이징 처리된 음원을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음원출력부(150) 및 상기 구성부들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해당 구성부들을 제어하는 제어부(160) 등을 포함한다.
상기 청력특성정보설정부(110)는, 청력특성정보 수집장치(10)로부터 사용자 개인의 해당 주파수별 가청이 최적화된 음압레벨에 대응된 청력특성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처리한 후 개인의 청력특성정보로 설정 저장하는 수단으로, 청력특성정보 수집장치(10)에 USB 인터페이스 또는 블루투스 등과 같은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상태에서, 청력특성정보 수집장치(10)로부터 청력특성데이터를 제공받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해당 주파수별 가청이 최적화된 음압레벨을 나타내는 청력특성정보로 처리 생성한 후 이를 메모리 수단에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청력특성정보 수집장치(10)는, 표시부, 오디오 출력단, 데이터입력부 등을 포함하는 PC 또는 스마트폰 등으로, 청력특성정보 수집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해당 주파수와 음압레벨의 결합에 대해 일련의 사운드 패턴과 비주얼 패턴을 생성 및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고, 오디오 출력단을 통해 청력특성정보설정부(110)의 해당 인터페이스에 상기 패턴들을 제공하여 음원출력부(150)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며, 데이터입력부에 이어폰 장치(100)의 입력버튼 등으로부터 상기 패턴들이 출력될 때마다 입력되는 신호를 통하여 사용자 개인의 청력특성데이터를 측정 생성한다.
즉, 상기 청력특성정보 수집장치(10)는, 도 1의 표준 등청감곡선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해당 주파수와 음압레벨의 결합에 대해 일련의 사운드 패턴과 비주얼 패턴을 생성하여 표시부와 오디오 출력단을 통해 이어폰 장치(100)의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가시 및 가청하도록 한 후, 해당 주파수별로 다른 음압레벨이 가청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개인의 청력특성에 최적화된 즉, 가장 잘 들리는 음압레벨을 해당 입력버튼이나 이어폰 장치(100)의 볼륨버튼이나 해당 입력버튼을 통해 입력 선택시 이를 청력특성데이터로 측정 생성하고, 이어폰 장치(100)의 청력특성정보설정부(110)에 해당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한다.
상기 음원특성정보생성부(120)는, MP3, 스마트폰 등과 같은 음원제공장치(20)로부터 음원 제공시 음원의 주파수별 음압레벨을 검출하여 이를 처리한 후 음원특성정보를 생성시키는 수단으로, 음원제공장치(20)에 잭 인터페이스 또는 블루투스 등과 같은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상태에서, 음원의 재생시 제공되는 음원의 주파수별 음압레벨을 검출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해당 주파수별 음압레벨을 나타내는 음원특성정보로 실시간 처리한다.
즉, 상기 음원특성정보생성부(120)는 음원이 코덱에 의해 디코딩되어 입력시 음원을 샘플링하여 음원의 주파수별 음압레벨을 정량적인 값으로 검출하는 동작을 실시간으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음원제공장치(20)는, 표시부, 오디오 출력단, 데이터입력부 등을 포함하는 MP3 또는 스마트폰 등으로, 음원재생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해당 음원의 주파수와 음압레벨을 나타내는 음원특성을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거나 또는 오디오 출력단을 통해 음원특성정보생성부(120)의 해당 인터페이스에 상기 음원특성들을 제공하여 음원출력부(150)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며, 데이터입력부를 통해 이어폰 장치(100)의 입력버튼 등으로부터 상기 음원 재생의 제어를 위한 신호 제공시 이에 대응되는 제어 즉, 음원의 선택, 재생, 정지, 앞으로, 뒤로, 볼륨 출력 등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음압레벨조정부(130)는, 상기 음원특성정보와 청력특성정보를 비교한 후 음원특성정보에 포함된 주파수별 음압레벨이 청력특성정보에 포함된 주파수별 가청이 최적화된 음압레벨에 대응되도록 음압레벨을 가감시켜 음압레벨조정정보를 생성하는 수단으로, 상기 음원제공장치(20)에 잭 인터페이스 또는 블루투스 등과 같은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음원특성정보에 포함된 주파수별 음압레벨이 상기 청력특성정보에 설정된 주파수별 가청이 최적화된 음압레벨에 근접 또는 일치되도록 조정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해당 주파수별 음압레벨 가감치를 나타내는 음압레벨조정정보로 실시간 처리한다.
즉, 상기 음압레벨조정정보는, 상기 음원특성정보가 도 4에서와 같이 100Hz일 때 80dB, 1000Hz일 때 60dB, 10kHz일 때 75dB를 나타내고, 상기 청력특성정보가 도 3에서와 같이 100Hz일 때 80dB, 1000Hz일 때 50dB, 10kHz일 때 80dB로 설정된 상태이면, 상기 음원특성정보 중 100Hz일 때의 음압레벨 가감치를 0dB로 세팅하고 1000Hz일 때의 음압레벨 가감치를 -10dB로 세팅하며 10kHz일 때의 음압레벨 가감치를 +5dB로 세팅되도록 하는 재생 음원의 주파수별 음압레벨 가감치를 포함한다.
상기 이퀄라이징부(140)는, 상기 음압레벨조정정보를 토대로 음압레벨에 대한 이퀄라이징 처리를 수행하는 이퀄라이징 수단으로 스피커의 전달특성에 따라 상기 음압레벨조정정보의 음원에 대한 음압레벨을 보상 처리하는 평활화수단 등을 포함하며, 이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음원출력부(150)는 상기 이퀄라이징 처리된 음원을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수단으로, 이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구성부들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해당 구성부들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으로, 이어폰 장치(100)에 별도로 구성되는 동작모드버튼을 통하여 개인의 청력 특성에 최적화된 음원의 출력을 가능하게 하는 A동작모드와 개인의 청력 특성이 반영되지 않는 음원의 출력을 가능하게 하는 B동작모드의 선택 및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여기서, 상기 A동작모드는, 이어폰 장치(100)가 개인의 청력 특성에 최적화된 음원을 출력을 가능하게 하는 동작모드로, 상기 음원특성정보생성부(120)와 음압레벨조정부(130)의 동작이 제어되는데, 일단, PC 또는 스마트폰 등과 같은 청력특성정보 수집장치(10)로부터 해당 주파수별 가청이 최적화된 음압레벨에 대응된 청력특성데이터가 청력특성정보설정부(110)에 의해 개인의 청력특성정보로 설정 저장된 후, MP3, 스마트폰 등과 같은 음원제공장치(20)로부터 음원이 제공되는 경우 음원특성정보생성부(120)에 의해 상기 음원의 주파수별 음압레벨이 검출되도록 하여 음원특성정보가 생성되도록 함과 동시에, 음압레벨조정부(130)에 의해 상기 음원특성정보와 청력특성정보가 비교된 후 음원특성정보에 포함된 주파수별 음압레벨이 청력특성정보에 포함된 주파수별 가청이 최적화된 음압레벨에 대응되도록 음압레벨이 가감된 음압레벨조정정보가 생성되도록 하여, 상기 이퀄라이징부(140)와 음원출력부(150)를 통해 개인의 청력 특성에 최적화된 음원 출력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상기 A동작모드에 의하면, 나만의 맞춤형 이어폰 장치(100)가 제공되어 해당 음원에 대한 감흥이 고조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어폰 장치(100)의 내부에 상기 A동작모드의 설정이 이루어진 상태를 가짐으로써, 음원제공장치(20)와 관계없이 이어폰 장치(100) 자체적으로 사용자 개인의 청력 특성에 최적화된 음원이 출력되도록 하여 복수개의 음원제공장치(20)를 사용하더라도 별도로 상기 개인의 청력특성정보의 설정 없이도 개인의 청력 특성이 반영된 최적화된 음원을 청취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B동작모드는, 개인의 청력 특성이 반영되지 않는 음원의 출력을 가능하게 하는 동작모드로, 상기 음원특성정보생성부(120)와 음압레벨조정부(130)의 동작이 제어되지 않고, MP3, 스마트폰 등과 같은 음원제공장치(20)로부터 음원이 제공되는 경우 이를 상기 이퀄라이징부(140)와 음원출력부(150)를 통해 개인의 청력 특성이 반영되지 않는 음원 출력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상기 B동작모드에 의하면, 나만의 맞춤형 이어폰 장치(100)가 아닌, 음원제공장치(20)에 미리 설정된 해당 기능 및 설정에 의해 제공되는 음원특성정보가 그대로 재생되도록 하여 타인이 상기 이어폰 장치(100)를 사용하여 불편함 없이 음원을 청취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인의 청력 특성에 최적화된 음원의 출력을 가능하게 하는 이어폰 장치의 동작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어폰 장치(100)의 청력특성정보설정부(110)에 청력특성정보 수집장치(10)로부터 사용자 개인의 해당 주파수별 가청이 최적화된 음압레벨에 대응된 청력특성데이터가 상호간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된 후, 상기 청력특성데이터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주파수별 가청이 최적화된 음압레벨을 나타내는 청력특성정보로 설정 및 저장된다(S100).
이 상태에서, 이어폰 장치(100)의 동작모드 선택에 따라 A동작모드가 선택되면(S110), 제어부(160)에 의해 S120단계 내지 S150단계가 수행된다.
즉,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음원제공장치(20)로부터 음원이 제공되면, 음원특성정보생성부(120)에 의해 상기 음원의 주파수별 음압레벨이 검출되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주파수별 음압레벨을 나타내는 음원특성정보로 실시간 처리된다(S120).
이후, 음압레벨조정부(130)에 의해 상기 음원특성정보와 청력특성정보가 비교된 후 음원특성정보에 포함된 주파수별 음압레벨이 청력특성정보에 포함된 주파수별 가청이 최적화된 음압레벨에 대응되도록 음압레벨이 가감되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주파수별 음압레벨 가감치를 나타내는 음압레벨조정정보로 실시간 처리된다(S130).
이후, 이퀄라이징부(140)에 의해 상기 음압레벨조정정보를 토대로 음원제공장치(20)로부터 제공되는 음원의 음압레벨이 이퀄라이징 처리된 후(S140), 음원출력부(150)에 의해 스피커를 통해 재생 출력된다(S150).
만약, 상기 S100 단계 이후, 이어폰 장치(100)의 동작모드 선택에 따라 A동작모드가 선택되면(S160), 제어부(160)에 의해 상기 S140단계와 S150단계가 수행된다.
즉,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음원제공장치(20)로부터 음원이 제공되면, 상기 음원의 음압레벨이 이퀄라이징 처리된 후 스피커를 통해 재생 출력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음원제공장치(20)로부터 제공되는 음원이 이어폰 장치(100)를 사용하는 사용자 개인의 청력에 최적화된 주파수별 음압에 대응되도록 조절된 상태에서 재생되도록 함으로써, 개인의 청력 차이를 반영한 나만의 맞춤형 이어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 범위와 청구 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5)

  1. 청력특성정보 수집장치(10)로부터 해당 주파수별 가청이 최적화된 음압레벨에 대응된 청력특성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개인의 청력특성정보로 설정 저장하는 청력특성정보설정부(110);
    음원제공장치(20)로부터 음원 제공시 음원의 주파수별 음압레벨을 검출하여 이를 음원특성정보를 생성시키는 음원특성정보생성부(120);
    상기 음원특성정보와 청력특성정보를 비교한 후 음원특성정보에 포함된 주파수별 음압레벨이 청력특성정보에 포함된 주파수별 가청이 최적화된 음압레벨에 대응되도록 음압레벨을 가감시켜 음압레벨조정정보를 생성하는 음압레벨조정부(130);
    상기 음압레벨조정정보를 토대로 음원의 음압레벨에 대한 이퀄라이징 처리를 수행하는 이퀄라이징부(140);
    상기 이퀄라이징 처리된 음원을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음원출력부(150); 및
    상기 청력특성정보설정부(110), 음원특성정보생성부(120), 음압레벨조정부(130), 이퀄라이징부(140) 및 음원출력부(150)들을 제어하는 제어부(1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의 청력 특성에 최적화된 음원의 출력을 가능하게 하는 이어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청력특성데이터는,
    표준 등청감곡선에 대응된 해당 주파수별 다른 음압레벨의 가청시 사용자가 개인의 청력을 이용하여 가장 잘 들리는 음압레벨의 선택시 이를 해당 주파수별 최적화된 음압레벨로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의 청력 특성에 최적화된 음원의 출력을 가능하게 하는 이어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청력특성정보설정부(110)는,
    청력특성정보 수집장치(10)에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상태에서, 청력특성데이터를 제공받아 해당 주파수별 가청이 최적화된 음압레벨을 나타내는 청력특성정보로 처리 생성한 후 이를 메모리 수단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의 청력 특성에 최적화된 음원의 출력을 가능하게 하는 이어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60)는,
    개인의 청력 특성에 최적화된 음원의 출력을 가능하게 하는 A동작모드와 개인의 청력 특성이 반영되지 않는 음원의 출력을 가능하게 하는 B동작모드의 선택 및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의 청력 특성에 최적화된 음원의 출력을 가능하게 하는 이어폰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A동작모드는,
    청력특성정보 수집장치(10)로부터 해당 주파수별 가청이 최적화된 음압레벨에 대응된 청력특성데이터가 청력특성정보설정부(110)에 의해 개인의 청력특성정보로 설정 저장된 후,
    음원제공장치(20)로부터 음원이 제공되는 경우 음원특성정보생성부(120)에 의해 상기 음원의 주파수별 음압레벨이 검출되도록 하여 음원특성정보가 생성되도록 함과 동시에,
    음압레벨조정부(130)에 의해 상기 음원특성정보와 청력특성정보가 비교된 후 음원특성정보에 포함된 주파수별 음압레벨이 청력특성정보에 포함된 주파수별 가청이 최적화된 음압레벨에 대응되도록 음압레벨이 가감된 음압레벨조정정보가 생성되도록 하여,
    상기 이퀄라이징부(140)와 음원출력부(150)를 통해 개인의 청력 특성에 최적화된 음원이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의 청력 특성에 최적화된 음원의 출력을 가능하게 하는 이어폰 장치.
KR1020130131097A 2013-10-31 2013-10-31 개인의 청력 특성에 최적화된 음원의 출력을 가능하게 하는 이어폰 장치 KR1015207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1097A KR101520799B1 (ko) 2013-10-31 2013-10-31 개인의 청력 특성에 최적화된 음원의 출력을 가능하게 하는 이어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1097A KR101520799B1 (ko) 2013-10-31 2013-10-31 개인의 청력 특성에 최적화된 음원의 출력을 가능하게 하는 이어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9914A true KR20150049914A (ko) 2015-05-08
KR101520799B1 KR101520799B1 (ko) 2015-05-15

Family

ID=53387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1097A KR101520799B1 (ko) 2013-10-31 2013-10-31 개인의 청력 특성에 최적화된 음원의 출력을 가능하게 하는 이어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079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593076A1 (es) * 2015-06-03 2016-12-05 Universidad Politécnica de Madrid Dispositivo audiófono de ecualización audiométrico para la corrección de la escucha
KR101941680B1 (ko) * 2018-07-13 2019-01-23 신의상 사용자 맞춤형 오디오 주파수 이퀄라이저 조절 장치 및 방법
KR102202369B1 (ko) * 2019-07-08 2021-01-13 유한회사 청텍 사용자의 청취 음원 패턴을 고려한 알람 기능을 가진 이어폰
KR20210004586A (ko) * 2019-07-05 2021-01-13 유한회사 청텍 사용자 청력 특성을 고려한 알람 기능을 가진 이어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593076A1 (es) * 2015-06-03 2016-12-05 Universidad Politécnica de Madrid Dispositivo audiófono de ecualización audiométrico para la corrección de la escucha
KR101941680B1 (ko) * 2018-07-13 2019-01-23 신의상 사용자 맞춤형 오디오 주파수 이퀄라이저 조절 장치 및 방법
KR20210004586A (ko) * 2019-07-05 2021-01-13 유한회사 청텍 사용자 청력 특성을 고려한 알람 기능을 가진 이어폰
KR102202369B1 (ko) * 2019-07-08 2021-01-13 유한회사 청텍 사용자의 청취 음원 패턴을 고려한 알람 기능을 가진 이어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0799B1 (ko) 2015-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74529B2 (ja) ヘッドセットと音源との間のオーディオの協調的処理
JP6325686B2 (ja) ヘッドセットと音源との間のオーディオの協調的処理
US10356535B2 (en) Method and system for self-managed sound enhancement
US8447042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diometric assessment and user-specific audio enhancement
KR101521030B1 (ko) 자체 관리 소리 향상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JP6231102B2 (ja) 主観的忠実度のための音声コンテンツの変換
KR20150104626A (ko) 자율 관리 음향 개선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0916726B1 (ko) 청력 역치 측정 장치 및 그 방법과 그를 이용한 오디오신호 출력 장치 및 그 방법
KR20100119890A (ko) 오디오 디바이스 및 이에 대한 동작 방법
US20180098720A1 (en) A Method and Device for Conducting a Self-Administered Hearing Test
KR20190005565A (ko) 음향 출력 장치 및 그 신호 처리 방법
KR101520799B1 (ko) 개인의 청력 특성에 최적화된 음원의 출력을 가능하게 하는 이어폰 장치
TWM519370U (zh) 具有可依據聽力生理狀況調整等化器設定之電子裝置及聲音播放裝置
KR101520800B1 (ko) 개인의 청력 보호 기능을 가지는 이어폰 장치
KR101051036B1 (ko) 사용자 개개인의 청력에 맞추어 오디오 기기의 음질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JP5397731B2 (ja) 音漏れシミュレータ
KR20240013351A (ko) 음장적용기능 및 적응적 소음통제기능이 구비되는 블루투스 이어폰
US10111005B2 (en) Method and device for modifying audio signals based on hearing capabilities of the listener
KR20070000823A (ko) 오디오장치의 개인 맞춤형 음질 재생방법
JP2020537470A (ja) オーディオ信号の個人適用のためのパラメータを設定するための方法
US20240064487A1 (en) Customized selective attenuation of game audio
US11653137B2 (en) Method at an electronic device involving a hearing device
WO2015064796A1 (ko) 개인의 청력 특성에 최적화된 음원의 출력을 가능하게 하는 이어폰 장치
KR101060546B1 (ko) 사용자의 청력에 맞게 오디오 재생파일을 변환하는 장치
JP2011527158A (ja) 聴覚強化および聴覚保護の方法及び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