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0546B1 - 사용자의 청력에 맞게 오디오 재생파일을 변환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사용자의 청력에 맞게 오디오 재생파일을 변환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0546B1
KR101060546B1 KR1020100017836A KR20100017836A KR101060546B1 KR 101060546 B1 KR101060546 B1 KR 101060546B1 KR 1020100017836 A KR1020100017836 A KR 1020100017836A KR 20100017836 A KR20100017836 A KR 20100017836A KR 101060546 B1 KR101060546 B1 KR 1010605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ring
user
frequency
level
f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7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성식
Original Assignee
(주)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엔텍 filed Critical (주)엔텍
Priority to KR10201000178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05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05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05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5/00Tone control or bandwidth control in amplifiers
    • H03G5/16Automatic control
    • H03G5/165Equalizers; Volume or gain control in limited frequency ba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2Audiometering
    • A61B5/121Audiometering evaluating hearing capacit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ultimedia (AREA)
  • Otolaryngology (AREA)
  • Biophys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청력에 맞게 오디오 재생파일을 변환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좌측 및 우측의 청력손실에 대한 청력 프로파일을 측정한 후, 상기 측정된 청력 프로파일에 따라 오디오 재생기기에서 좌측 및 우측 귀의 청력손실 특성에 맞게 각각 보정된 이퀄라이저 값을 갖는 음향을 출력할 수 있도록 오디오 재생파일의 레벨 값을 변환함으로써 개인용 PC 및 MP3 등의 오디오 재생기기 사용자가 상기 변환된 오디오 재생파일을 통하여 각자의 청력 손실에 맞게 보정된 음향을 즐길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사용자의 청력에 맞게 오디오 재생파일을 변환하는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VERTING AUDIO PLAY FILE ACCORDING TO AUDITORY CAPACITY OF INDIVIDUAL USER}
본 발명은 사용자의 청력에 맞게 오디오 재생파일을 변환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좌측 및 우측의 청력손실에 대한 청력 프로파일을 측정한 후, 상기 측정된 청력 프로파일에 따라 오디오 재생파일의 레벨 값을 변환함으로써 오디오 재생기기에서 좌측 및 우측 귀의 청력손실 특성에 맞게 각각 보정된 이퀄라이저 값을 갖는 음향을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의 청력에 맞게 오디오 재생파일을 변환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은 개인용 오디오 기기의 보급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MP3 플레이어 기능이 결합된 휴대용 이동 단말기의 출시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음향 기술의 발달로 인해 상기 MP3 플레이어 및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에도 사용자 특성에 맞는 음질을 제공하기 위하여 기본적인 이퀄라이저 기능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이퀄라이저 시스템은 클래식, 락, 재즈, 팝 및 발라드 등과 같은 장르의 오디오 파일에 따르는 주파수 특성 등을 고려하여 사용자가 최적의 상태에서 음악을 감상할 수 있게 하는 시스템이다.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이퀄라이저 시스템 중의 하나는 수동으로 이퀄라이저 정보를 설정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종래의 이퀄라이저 설정방법의 일예가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5-0116895호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종래의 오디오 파일의 이퀄라이저 설정 방법은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는 플레이어(10)에서 이퀄라이저 설정 메뉴인 "EQ"(11)를 선택하면, 미리 정의된 그래픽 이퀄라이저 설정 화면(12)이 디스플레이되고, 이후 사용자는 탭(13)을 상하로 이동하여 각 주파수별 레벨을 사용자 자신의 좌우측 귀에 맞게 조정한 다음에 오디오 파일을 청취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오디오 파일의 이퀄라이저 설정방법은, 사용자가 청취하고자 하는 오디오 파일마다 이퀄라이저를 설정하여야 하므로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음악에 대한 상당한 지식 없이는 이퀄라이저 설정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특정 주파수에서 청력손실을 가진 사용자는 특정 주파수에 대해 일반적인 이퀄라이저의 설정으로는 들리지 않기 때문에 오디오 기기의 볼륨을 올리게 되는데, 오디오 기기의 볼륨을 올려도 전체 주파수에 대한 음압레벨이 상승하므로, 청력이 손실된 주파수에 대한 음원은 제대로 듣지 못하고 다른 주파수에 과도한 소리로 인하여 손실을 가져 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좌측 및 우측 귀의 청력손실이 다를 경우, 사용자는 청력손실이 있는 한쪽 귀의 주파수에 대하여 음원을 보정하지 못한 채 오디오 파일을 청취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사용자의 좌측 및 우측의 청력손실에 대한 청력 프로파일을 측정한 후, 상기 측정된 청력 프로파일에 따라 오디오 재생기기에서 좌측 및 우측 귀의 청력손실 특성에 맞게 각각 보정된 이퀄라이저 값을 갖는 음향을 출력할 수 있도록 오디오 재생파일의 레벨 값을 변환하는 사용자의 청력에 맞게 오디오 재생파일을 변환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즉, 개인용 PC 및 MP3 등의 오디오 재생기기 사용자는 상기 변환된 오디오 재생파일을 통하여 각자의 청력 손실에 맞게 보정된 음향을 즐길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사용자의 청력에 맞게 오디오 재생파일을 변환하는 장치는, 사용자에게 청력 프로파일 요청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사용자 청력 프로파일 요청부(110); 사용자의 귀에 측정용 순음을 일정 간격마다 발생시키는 순음 발생부(120); 상기 순음 발생부(120)로부터 출력되는 순음에 따라 사용자의 귀에 반응하는 주파수 및 레벨 신호를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부(130); 상기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좌측 및 우측 귀의 청력에 대한 주파수(Hz) 및 레벨(dB)의 프로파일을 저장하는 청력 프로파일 저장부(140); 상기 사용자 청력 프로파일 요청부(110), 순음 발생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및 청력 프로파일 저장부(140)의 기능을 제어하여 사용자의 청력 프로파일을 측정하게 하는 순음 측정 제어부(150); 청력에 대하여 기준이 되는 기준 주파수(Hz) 및 기준 레벨(dB)의 프로파일을 저장하는 순음 레퍼런스 프로파일 저장부(160); 상기 순음 레퍼런스 프로파일 저장부(160)에 저장된 기준 주파수(Hz) 및 레벨(dB)과, 상기 청력 프로파일 저장부(140)에 저장된 사용자의 좌측 및 우측 귀의 청력에 대한 주파수(Hz) 및 레벨(dB)에 대한 차이값을 저장하는 특성 프로파일 저장부(170) 및 상기 특성 프로파일 저장부(170)에 저장된 주파수(Hz) 및 레벨(dB)에 대한 차이값에 따라 좌측 및 우측 귀의 각각에 대하여 보정된 이퀄라이저 값을 포함하게 오디오 재생파일을 변환하는 파일 변환 제어부(180)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사용자의 청력에 맞게 오디오 재생파일을 변환하는 장치는,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좌측 및 우측 귀의 청력에 대한 주파수(Hz) 및 레벨(dB)의 프로파일을 저장하는 청력 프로파일 저장부(140); 청력에 대하여 기준이 되는 기준 주파수(Hz) 및 기준 레벨(dB)의 프로파일을 저장하는 순음 레퍼런스 프로파일 저장부(160); 상기 순음 레퍼런스 프로파일 저장부(160)에 저장된 기준 주파수(Hz) 및 레벨(dB)과, 상기 청력 프로파일 저장부(140)에 저장된 사용자의 좌측 및 우측 귀의 청력에 대한 주파수(Hz) 및 레벨(dB)에 대한 차이값을 저장하는 특성 프로파일 저장부(170); 및 상기 특성 프로파일 저장부(170)에 저장된 주파수(Hz) 및 레벨(dB)에 대한 차이값에 따라 좌측 및 우측 귀의 각각에 대하여 보정된 이퀄라이저 값을 포함하게 오디오 재생파일을 변환하는 파일 변환 제어부(180)를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파일 변환 제어부(180)는 원래의 원본 오디오 소스파일(181)과, 상기 소스파일의 원본 오디오 파일 포맷을 로우 데이터로 디코딩하는 디코더(183)와, 상기 디코딩된 로우 데이터와 상기 특성 프로파일 저장부(170)의 각 주파수(Hz) 및 레벨(dB)에 대한 차이값의 보정을 수행하여 보정된 오디오 재생파일로 변환하는 컨버터부(185) 및 상기 변환된 오디오 재생파일을 소스파일과 같은 오디오 파일 포맷으로 인코딩하는 인코더(187)를 포함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청력에 맞게 오디오 재생파일을 변환하는 장치에 따르면, 사용자의 좌측 및 우측의 청력손실에 대한 청력 프로파일을 측정한 후, 상기 측정된 청력 프로파일에 따라 오디오 재생기기에서 좌측 및 우측 귀의 청력손실 특성에 맞게 각각 보정된 이퀄라이저 값을 갖는 음향을 출력할 수 있도록 오디오 재생파일의 레벨 값을 변환함으로써, 좌측 또는 우측 귀에 청력손실이 있는 사용자라 하더라도 청력손실에 대한 보정을 통해 보다 좋은 음질의 음악 감상을 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사용자 각자의 청력손실에 따른 청력 프로파일을 보관 및 수시로 테스트할 수 있게 하여 사용자 각자의 청력을 자각시킴으로써 각자의 청력손실을 예방할 수 있게 한다.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오디오 파일의 이퀄라이저 설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사용자의 청력에 맞게 오디오 재생파일을 변환하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파일 변환 제어부를 통해 오디오 재생파일을 변환하는 화면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상기 도 2의 파일 변환 제어부의 세부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사용자의 청력에 맞게 오디오 재생파일을 변환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6은 사용자 청력 프로파일 요청부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측정하고 있는 순음 측정레벨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화면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청력의 측정이 완료되었을 때의 화면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청력손실이 있는 사용자의 청력 프로파일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순음 레퍼런스 프로파일 저장부에 저장된 정상청력을 가진 기준 주파수 및 레벨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청력에 맞게 오디오 재생파일을 변환하는 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사용자의 청력에 맞게 오디오 재생파일을 변환하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파일 변환 제어부를 통해 오디오 재생파일을 변환하는 화면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상기 도 2의 파일 변환 제어부의 세부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사용자의 청력에 맞게 오디오 재생파일을 변환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또한, 도 6은 사용자 청력 프로파일 요청부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측정하고 있는 순음 측정레벨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8은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화면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청력의 측정이 완료되었을 때의 화면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10은 청력손실이 있는 사용자의 청력 프로파일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1은 순음 레퍼런스 프로파일 저장부에 저장된 정상청력을 가진 기준 주파수 및 레벨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사용자의 청력에 맞게 오디오 재생파일을 변환하는 장치는, 사용자 청력 프로파일 요청부(110), 순음 발생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청력 프로파일 저장부(140), 순음 측정 제어부(150), 순음 레퍼런스 프로파일 저장부(160), 특성 프로파일 저장부(170), 파일 변환 제어부(180) 및 오디오 재생파일 저장부(19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사용자 청력 프로파일 요청부(1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자신의 청력에 해당하는 주파수(Hz) 및 레벨(dB)을 선택할 수 있는 청력 프로파일 요청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상기 청력 프로파일 요청 화면에는 총 x 단계의 주파수(Hz), 예를 들어 '낮은음 1단계' ~ '고음 4단계'와, 총 y 단계의 레벨(dB)을 디스플레이 한다.
즉, 상기 청력 프로파일 요청 화면에 총 x 단계의 주파수(Hz)가 있으면, 각 주파수에 대하여 y 단계의 레벨, 예를 들어 주파수 x1에 y=10, 즉 레벨 1단계부터 10단계의 레벨을 디스플레이 한다.
순음 발생부(120)는 일정간격, 예를 들어 3초에 1초씩 사람의 귀(125)에 측정하고자 하는 순음을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예를 들어 '정지', '저장', '수정' 등과 같은 버튼으로 구성되며,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순음 발생부(120)로부터 출력되는 순음에 따라 사용자의 귀(125)의 반응을 입력받는 수단이며, 상기 반응에 해당하는 주파수 및 레벨 신호가 청력 프로파일 저장부(140)에 저장된다.
청력 프로파일 저장부(140)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청력,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좌측 및 우측 귀의 청력에 대한 주파수(Hz) 및 레벨(dB)의 프로파일을 저장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한다.
즉,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해 측정된 사용자의 귀는 20dB를 기준으로 할 때, 좌측 귀는 4kHz ~ 6kHz 주파수에서 심한 청력손실이 있고 우측 귀는 6kHz ~ 8kHz 주파수에서 청력손실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는데, 이 청력손실에 대한 주파수(Hz)와 레벨(dB)을 상기 청력 프로파일 저장부(140)가 저장한다.
순음 측정 제어부(150)는 상기 사용자 청력 프로파일 요청부(110), 순음 발생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및 청력 프로파일 저장부(140)의 기능을 제어하여 사용자의 청력 프로파일을 측정하게 한다.
순음 레퍼런스 프로파일 저장부(160)는 청력에 대하여 양호한 음질의 기준이 되는 기준 주파수(Hz) 및 기준 레벨(dB)의 프로파일을 저장한다.
즉, 순음 레퍼런스 프로파일 저장부(160)는 상기 도 10에서 예를 들어 설명한 바와 같이, 20dB를 기준으로 할 때, 좌측 귀가 4kHz ~ 6kHz 주파수에서 청력손실이 있고 우측 귀가 6kHz ~ 8kHz 주파수에서 청력손실이 있는 청력과는 달리,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20dB를 기준으로 할 때 0.25kHz ~ 8kKz의 주파수 대역에서 청력손실 없이 양호한 기준의 청력을 갖는 프로파일을 저장하고 있다.
특성 프로파일 저장부(170)는 상기 순음 레퍼런스 프로파일 저장부(160)에 저장된 기준 주파수(Hz) 및 레벨(dB)과, 상기 청력 프로파일 저장부(140)에 저장된 사용자의 좌측 및 우측 귀의 청력에 대한 주파수(Hz) 및 레벨(dB)의 차이값을 저장한다.
파일 변환 제어부(180)는 도 3에 일예로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해 측정된 사용자의 좌측 및 우측 귀의 청력손실이 있는 청력에 대한 주파수(Hz) 및 레벨(dB)을 순음 레퍼런스 프로파일 저장부(160)에 저장된 양호한 음질의 기준이 되는 기준 주파수(Hz) 및 레벨(dB)의 프로파일에 맞게 보정된 이퀄라이저 값을 포함하게 오디오 재생파일을 변환하거나, 또한 상기 특성 프로파일 저장부(170)에 저장된 주파수(Hz) 및 레벨(dB)에 대한 차이값에 따라 좌측 및 우측 귀의 각각에 대하여 보정된 이퀄라이저 값을 포함하게 오디오 재생파일을 변환하며, 오디오 재생파일 저장부(190)가 상기 변환된 오디오 재생파일을 저장한다.
이때, 상기 파일 변환 제어부(18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래의 원본 오디오 파일인 ogg, mp3, wav 등의 소스파일(181)과, 상기 소스파일의 원본 오디오 파일 포맷을 로우 데이터(raw data)로 디코딩하는 디코더(183)와, 고속 푸리에 변환(Fast Fourier Transform; FFT)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디코딩된 로우 데이터와 상기 특성 프로파일 저장부(170)의 각 주파수(Hz) 및 레벨(dB)에 대한 차이값의 보정을 수행하여 보정된 오디오 재생파일로 변환하는 컨버터부(185) 및 상기 변환된 오디오 재생파일을 소스파일과 같은 오디오 파일 포맷으로 인코딩하는 인코더(187)를 포함한다.
한편,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사용자의 청력에 맞게 오디오 재생파일을 변환하는 장치를 통해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사용자의 청력에 맞게 오디오 재생파일을 변환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청력에 맞게 오디오 재생파일을 변환하는 방법은, 먼저 사용자 청력 프로파일 요청부(110)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청력 프로파일 요청 화면을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 자신의 청력에 해당하는 청력에 대한 주파수(Hz) 및 레벨(dB)을 선택할 수 있게 한다(S210).
다음에, 상기 S210 단계를 통해 청력 프로파일 요청화면을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 순음 발생부(120)가 일정 간격마다 사용자의 귀(125)에 측정용 순음을 발생시킨다(S220).
그 다음, 사용자 입력부(130)는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순음 발생부(120)로부터 출력되는 순음에 따라 사용자의 반응에 해당하는 주파수 및 레벨 신호를 입력받는다(S230).
이후, 순음 측정 제어부(150)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해 측정된 사용자의 좌측 및 우측 귀의 청력손실을 포함하는 청력에 대한 주파수(Hz) 및 레벨(dB)을 청력 프로파일 저장부(140)에 구분하여 저장시킨다(S240).
이때, 파일 변환 제어부(180)는 순음 레퍼런스 프로파일 저장부(160)에 저장된 양호한 음질의 기준이 되는 기준 주파수(Hz) 및 기준 레벨(dB)의 프로파일을 불러온다(S250).
다음에, 파일 변환 제어부(180)는 상기 S240 단계를 통해 저장된 사용자의 좌측 및 우측 귀의 청력손실을 포함하는 주파수(Hz) 및 레벨(dB)과, 상기 S250 단계의 순음 레퍼런스 프로파일 저장부(160)에 저장된 양호한 음질의 기준이 되는 기준 주파수(Hz) 및 기준 레벨(dB)의 차이값을 계산하여 특성 프로파일 저장부(170)에 저장한다(S260).
이후, 사용자가 청력 프로파일을 기초하여 오디오 재생파일의 변환을 요청시, 파일 변환 제어부(180)는 상기 S240 단계를 통해 저장된 사용자의 좌측 및 우측 귀의 청력손실이 있는 청력에 대한 주파수(Hz) 및 레벨(dB)의 프로파일에 따라 보정된 이퀄라이저 값을 포함하게 오디오 재생파일을 변환하고, 또한 상기 S260 단계를 통해 특성 프로파일 저장부(170)에 저장된 주파수(Hz) 및 레벨(dB)에 대한 차이값에 따라 좌측 및 우측 귀의 각각에 대하여 보정된 이퀄라이저 값을 포함하게 오디오 재생파일을 변환하여 저장한다(S270).
따라서, 상기와 같은 단계를 통해 변환된 오디오 재생파일을 사용자가 청취할 경우, 각각의 좌측 및 우측 귀의 청력손실에 대한 주파수 및 레벨의 이퀄라이저 값이 보정되었기 때문에, 특정 주파수에 대한 좌측 및 우측 귀의 청력손실이 다르더라도 청력손실이 있는 특정 주파수대의 음원을 양호한 음질로 청취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및 변형한 것도 본 발명에 속함은 당연하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MP3 및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와 같은 오디오 재생기기를 일예로서 설명하고 있지만, 컴퓨터, 다국어 언어번역기, 비행기, 선박 및 자동차, 헤드폰 및 보청기 등에 사용되는 통신용 오디오 출력기기 등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5)

  1. 사용자의 청력에 맞게 오디오 재생파일을 변환하는 장치로서,
    사용자에게 청력 프로파일 요청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사용자 청력 프로파일 요청부(110);
    사용자의 귀에 측정용 순음을 일정 간격마다 발생시키는 순음 발생부(120);
    상기 순음 발생부(120)로부터 출력되는 순음에 따라 사용자의 귀에 반응하는 주파수 및 레벨 신호를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부(130);
    상기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좌측 및 우측 귀의 청력에 대한 주파수(Hz) 및 레벨(dB)의 프로파일을 저장하는 청력 프로파일 저장부(140);
    상기 사용자 청력 프로파일 요청부(110), 순음 발생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및 청력 프로파일 저장부(140)의 기능을 제어하여 사용자의 청력 프로파일을 측정하게 하는 순음 측정 제어부(150);
    청력에 대하여 기준이 되는 기준 주파수(Hz) 및 기준 레벨(dB)의 프로파일을 저장하는 순음 레퍼런스 프로파일 저장부(160);
    상기 순음 레퍼런스 프로파일 저장부(160)에 저장된 기준 주파수(Hz) 및 레벨(dB)과, 상기 청력 프로파일 저장부(140)에 저장된 사용자의 좌측 및 우측 귀의 청력에 대한 주파수(Hz) 및 레벨(dB)에 대한 차이값을 저장하는 특성 프로파일 저장부(170); 및
    상기 특성 프로파일 저장부(170)에 저장된 주파수(Hz) 및 레벨(dB)에 대한 차이값에 따라 좌측 및 우측 귀의 각각에 대하여 보정된 이퀄라이저 값을 포함하게 오디오 재생파일을 변환하는 파일 변환 제어부(180)를 포함하되,
    상기 파일 변환 제어부(180)는 원래의 원본 오디오 소스파일(181)과, 상기 소스파일의 원본 오디오 파일 포맷을 로우 데이터로 디코딩하는 디코더(183)와, 상기 디코딩된 로우 데이터와 상기 특성 프로파일 저장부(170)의 각 주파수(Hz) 및 레벨(dB)에 대한 차이값의 보정을 수행하여 보정된 오디오 재생파일로 변환하는 컨버터부(185) 및 상기 변환된 오디오 재생파일을 소스파일과 같은 오디오 파일 포맷으로 인코딩하는 인코더(18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청력에 맞게 오디오 재생파일을 변환하는 장치.
  2. 사용자의 청력에 맞게 오디오 재생파일을 변환하는 장치로서,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좌측 및 우측 귀의 청력에 대한 주파수(Hz) 및 레벨(dB)의 프로파일을 저장하는 청력 프로파일 저장부(140);
    청력에 대하여 기준이 되는 기준 주파수(Hz) 및 기준 레벨(dB)의 프로파일을 저장하는 순음 레퍼런스 프로파일 저장부(160);
    상기 순음 레퍼런스 프로파일 저장부(160)에 저장된 기준 주파수(Hz) 및 레벨(dB)과, 상기 청력 프로파일 저장부(140)에 저장된 사용자의 좌측 및 우측 귀의 청력에 대한 주파수(Hz) 및 레벨(dB)에 대한 차이값을 저장하는 특성 프로파일 저장부(170); 및
    상기 특성 프로파일 저장부(170)에 저장된 주파수(Hz) 및 레벨(dB)에 대한 차이값에 따라 좌측 및 우측 귀의 각각에 대하여 보정된 이퀄라이저 값을 포함하게 오디오 재생파일을 변환하는 파일 변환 제어부(180)를 포함하되,
    상기 파일 변환 제어부(180)는 원래의 원본 오디오 소스파일(181)과, 상기 소스파일의 원본 오디오 파일 포맷을 로우 데이터로 디코딩하는 디코더(183)와, 상기 디코딩된 로우 데이터와 상기 특성 프로파일 저장부(170)의 각 주파수(Hz) 및 레벨(dB)에 대한 차이값의 보정을 수행하여 보정된 오디오 재생파일로 변환하는 컨버터부(185) 및 상기 변환된 오디오 재생파일을 소스파일과 같은 오디오 파일 포맷으로 인코딩하는 인코더(18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청력에 맞게 오디오 재생파일을 변환하는 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00017836A 2010-02-26 2010-02-26 사용자의 청력에 맞게 오디오 재생파일을 변환하는 장치 KR1010605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7836A KR101060546B1 (ko) 2010-02-26 2010-02-26 사용자의 청력에 맞게 오디오 재생파일을 변환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7836A KR101060546B1 (ko) 2010-02-26 2010-02-26 사용자의 청력에 맞게 오디오 재생파일을 변환하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0546B1 true KR101060546B1 (ko) 2011-08-30

Family

ID=44933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7836A KR101060546B1 (ko) 2010-02-26 2010-02-26 사용자의 청력에 맞게 오디오 재생파일을 변환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0546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00657B2 (en) Transforming audio content for subjective fidelity
TWI397059B (zh) 音頻訊號之處理方法及其裝置
US8165321B2 (en) Intelligent clip mixing
CN1972524B (zh) 再现音乐文件的方法和设备
KR100636213B1 (ko) 실시간 주파수 특성 보정 방법 및 그를 적용한 사운드재생 장치
KR102302683B1 (ko) 음향 출력 장치 및 그 신호 처리 방법
KR100916726B1 (ko) 청력 역치 측정 장치 및 그 방법과 그를 이용한 오디오신호 출력 장치 및 그 방법
JP2013501969A (ja) 方法、システム及び機器
US2009007420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TW200919953A (en) Automatic gain control device and method
CN109982231B (zh) 一种信息处理方法、设备及存储介质
US20210306734A1 (en) Hearing sensitivity acquisition methods and devices
JP4237768B2 (ja) 音声処理装置、音声処理プログラム
KR101051036B1 (ko) 사용자 개개인의 청력에 맞추어 오디오 기기의 음질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520799B1 (ko) 개인의 청력 특성에 최적화된 음원의 출력을 가능하게 하는 이어폰 장치
KR101060546B1 (ko) 사용자의 청력에 맞게 오디오 재생파일을 변환하는 장치
WO2016131373A1 (zh) 一种控制高保真功能的方法和终端
CN114903473A (zh) 听力检测方法、装置、电子设备以及存储介质
JP2010278791A (ja) オーディオ機能を有する機器
CN111739496A (zh) 音频处理方法、装置及存储介质
WO2016009850A1 (ja) 音声信号再生装置、音声信号再生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100703923B1 (ko) 멀티미디어기기를 위한 입체음향 최적화 장치 및 방법
WO2022129487A1 (en) Personalised audio output
KR101448247B1 (ko) 음압 측정장치 및 그 동작방법
CN114756196A (zh) 一种应用程序app音频模式调节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